KR100891136B1 - 전선 연결용 홀더 - Google Patents

전선 연결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136B1
KR100891136B1 KR1020080120325A KR20080120325A KR100891136B1 KR 100891136 B1 KR100891136 B1 KR 100891136B1 KR 1020080120325 A KR1020080120325 A KR 1020080120325A KR 20080120325 A KR20080120325 A KR 20080120325A KR 100891136 B1 KR100891136 B1 KR 10089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outer case
wire
conductive tub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갑곤
Original Assignee
서한컨설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컨설탄트(주) filed Critical 서한컨설탄트(주)
Priority to KR102008012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support means for ends of the slee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전선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전선 연결용 홀더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는, 전선을 삽입함에 따라 양단부가 반지름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단부의 직경이 중앙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양단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반지름방향으로 만곡(彎曲)되게 형성되어 있는 도전관과; 상기 도전관을 절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전관의 외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양측 외면에 제1 걸림홈들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있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도전관의 양단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도전관의 양단부를 압축시켜 상기 도전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내면에 제2 걸림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조임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케이스 및 상기 조임부재의 제1 및 제2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임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을 가지는 압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선, 홀더, 연결, 링

Description

전선 연결용 홀더{Electric wire connection holder}
본 발명은 2개의 전선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전선 연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연결되는 전선을 꼬지 않고 연결함으로써, 전선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두 전선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께가 다른 전선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전선 연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 가닥의 전선 끝 보호 피복을 니퍼(Nipper) 등을 이용하여 벗겨 낸 후 노출된 도선을 서로 꼬아 한 가닥이 되도록 연결하고, 꼬아진 도선이 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 외면에 절연테이프로 감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허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겨있던 절연테이프가 풀리거나 또는 외부에서 힘이 발생되면 꼬여 있는 도선이 쉽게 단선되거나 변형되어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3184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0342004호에는 커플링을 이용하 여 전선을 연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3184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0342004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커플링은, 전선을 연결체에 삽입한 후 조임너트를 회전시켜 전선을 고정시켜야 하므로, 전선을 고정하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연결체에 삽입되어 있는 전선이 연결체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누구나 편리하게 두 전선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연결되어 있는 전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두께가 다른 전선을 보다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전선 연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는, 전선을 삽입함에 따라 양단부가 반지름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단부의 직경이 중앙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양단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반지름방향으로 만곡(彎曲)되게 형성되어 있는 도전관과; 상기 도전관을 절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전관의 외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양측 외면에 제1 걸림홈들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있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도전관의 양단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도전관의 양단부를 압축시켜 상기 도전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내면에 제2 걸림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조임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케이스 및 상기 조임부재의 제1 및 제2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임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 하는 탄성을 가지는 압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전관은, 상기 전선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양측 만곡부에 내측으로 코킹된 걸림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외부케이스에 끼워지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링과 접촉되는 탄성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에 의하면, 두께가 상이한 전선을 보다 편리하게 연결할 뿐만 아니라, 연결되어 있는 전선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의 도전관 및 외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의 도전관 및 외부케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선 연결용 홀더는, 전선(150)이 양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전선(150)이 통전되도록 도전체에 의하여 제작되어 있는 도전관(110)과, 상기 도전관(110)이 외부의 물품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전관(110)의 외면에 일체로 접합되어 있는 외부케이스(120)와, 이 외부케이스(120)에 삽입되어 있는 한 쌍의 조입부재와, 외부케이스(120)와 조임부재(130)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압축링(140)을 포함한다.
도전관(110)은, 상호 연결할 2개의 전선(150)을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며, 이때 전선(15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복수개의 슬롯(11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관(110)은 양단부에 전선(150)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양단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반지름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전관(110)은 전선(150)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에 외측으로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전관(110)의 만곡부에는 조임부재(130)에 의하여 전선(150)의 외면에 접촉되었을 때 전선(150)과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코 킹(Calking)되어 걸림돌기(111)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도전관(110)에 결합된 전선(150)이 길이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전선(150)의 외면이 걸림돌기(111)에 걸리게 되어 도전관(1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전관(110)의 외면에 접합되어 있는 외부케이스(120)는, 조임부재(130) 및 압축링(140)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압축링(140)이 삽입되어 걸리는 제1 걸림홈(1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부케이스(120)에 제1 걸림홈(121)이 도전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임부재(130)에 의하여 외부케이스(120)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던 압축링(140)이 도전관(110)의 만곡부를 전선(150)측으로 완전하게 압착시키게 되면 제1 걸림홈(121)에 걸리면서 외부케이스(120)에 안정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조임부재(130)는 압축링(140)을 외부케이스(120)에서 보다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20)의 중앙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때, 조임부재(130)는 압축링(140)이 조임부재(130)와 외부케이스(120) 사이에서 보다 원활하게 이동됨과 동시에 외부케이스(120)를 보다 강한 압축시킬 수 있도록 고정관(131)과, 이 고정관(131)의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관(13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성관(133)의 내면에는 압축링(140)이 걸리는 제2 걸림홈(137)들이 형성되어 있다. 조임부재(130)의 고정관(131)은 상기 외부케이스(120)에 끼워져 있으며, 탄성관(133)은 고정관(131)의 내부에 접합되어 상기 압축링(140)을 탄성지지한다.
이에 따라, 조임부재(130)를 이동시키면서 압축링(140)으로 도전관(110)의 만곡부를 전선에 완전하게 압착시키게 되면, 만곡부가 탄성관(133) 및 압축 링(140)의 탄성에 의하여 더욱 큰 힘을 받게 되어 도전관(110)과 전선(150)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된다. 한편, 탄성관(133)의 내면은 압축링(140)이 보다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테이퍼(135)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양 단부 내면에는 압축링(140)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턱(13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조임부재(130)에 의하여 도전관(11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도전관(110)의 만곡부를 전선(150)측으로 밀착시키는 압축링(140)은 조임부재(130)에 의하여 외부케이스(120)의 외면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탄성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압축링(140)은 고무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150)을 도전관(110)의 양측에 각각 삽입시킨다. 이때 도전관(110)의 양단이 만곡부에 의하여 외측으로 벌어져 있으므로, 전선(150)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두께의 전선(150)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이후, 외부케이스(120)의 중앙부에 있는 조임부재(130)를 도전관(110)의 양단으로 각각 이동시켜 도전관(110)의 만곡부를 전선(150)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조임부재(130)의 이동에 따라 압축링(140)이 외부케이스(120)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도전관(110)의 만곡부를 전선(150)측으로 압착시켜 전선(150)을 도전관(110)에 고정시킨다. 이때, 전선(150)의 두께에 따라 외부케이스(120)의 제2 걸림홈(137)에 지지되는 압축링(14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전 선(150)을 보다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의 도전관 및 외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용 홀더의 도전관 및 외부케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10 : 도전관 120 : 외부케이스
130 : 조임부재 140 : 압축링
150 : 전선

Claims (3)

  1. 전선을 삽입함에 따라 양단부가 반지름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슬롯(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단부의 직경이 중앙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양단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반지름방향으로 만곡(彎曲)되게 형성되어 있는 도전관(110)과;
    상기 도전관(110)을 절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전관(110)의 외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양측 외면에 제1 걸림홈(121)들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있는 외부케이스(120)와;
    상기 도전관(110)의 양단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도전관(110)의 양단부를 압축시켜 상기 도전관(110)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내면에 제2 걸림홈(137)들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조임부재(130)와;
    상기 조임부재(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20)와 상기 조임부재(130)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케이스(120) 및 상기 조임부재(130)의 제1 걸림홈(121) 및 제2 걸림홈(137)에 삽입되어 상기 조임부재(1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을 가지는 압축링(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관(110)은, 상기 전선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양측 만곡부에 내측으로 코킹된 걸림돌기(111)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30)는, 상기 외부케이스(120)에 끼워지는 고정관(131)과, 상기 고정관(131)의 내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링(140)과 접촉되는 탄성관(133)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 걸림홈은 상기 탄성관(133)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홀더.
KR1020080120325A 2008-12-01 2008-12-01 전선 연결용 홀더 KR100891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325A KR100891136B1 (ko) 2008-12-01 2008-12-01 전선 연결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325A KR100891136B1 (ko) 2008-12-01 2008-12-01 전선 연결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136B1 true KR100891136B1 (ko) 2009-04-03

Family

ID=4075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325A KR100891136B1 (ko) 2008-12-01 2008-12-01 전선 연결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1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98B1 (ko) 2014-07-18 2014-10-06 김미희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KR101448140B1 (ko) 2014-06-11 2014-10-08 동재감리 주식회사 효과적인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AT522590A4 (de) * 2019-09-06 2020-12-15 Mhs Montagesysteme Fuer Heizung Und Sanitaer Gmbh Rohr- und Leitungsdurchführ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3037A (ja) * 1994-03-18 1995-10-13 Nichifu Co Ltd 線状発熱体の接続構造
KR19990034693U (ko) * 1999-02-05 1999-09-06 김종민 배선연결터미널
KR200342004Y1 (ko) 2003-11-11 2004-02-14 이정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US20080217055A1 (en) 2006-07-27 2008-09-11 Markus Gumley Electrical Wire Connector with Temporary Gr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3037A (ja) * 1994-03-18 1995-10-13 Nichifu Co Ltd 線状発熱体の接続構造
KR19990034693U (ko) * 1999-02-05 1999-09-06 김종민 배선연결터미널
KR200342004Y1 (ko) 2003-11-11 2004-02-14 이정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US20080217055A1 (en) 2006-07-27 2008-09-11 Markus Gumley Electrical Wire Connector with Temporary Gri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40B1 (ko) 2014-06-11 2014-10-08 동재감리 주식회사 효과적인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447198B1 (ko) 2014-07-18 2014-10-06 김미희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AT522590A4 (de) * 2019-09-06 2020-12-15 Mhs Montagesysteme Fuer Heizung Und Sanitaer Gmbh Rohr- und Leitungsdurchführ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AT522590B1 (de) * 2019-09-06 2020-12-15 Mhs Montagesysteme Fuer Heizung Und Sanitaer Gmbh Rohr- und Leitungsdurchführ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3841B (fi) Taipuisa liitin koaksiaalikaapeleita varten, joissa on kierteispoimutettu ulkojohdin
EP2557345A2 (en) Pipe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a plurality of internal tubes
KR100891136B1 (ko) 전선 연결용 홀더
WO2017082021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5794434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
US8777679B2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d to receive various diameter cable
JPH04280084A (ja) はんだなしプラグ・ケーブル接続装置
JP5497143B1 (ja) 接続スリーブ
JP2010153187A (ja) 電線における圧着端子の接続方法及び圧着端子
CN112803345A (zh) 一种多股电线组的并线结构
US4592117A (en) Drop wire clamp
KR200479231Y1 (ko) 와이어 커넥터
KR102444629B1 (ko) 캡을 구비한 헤어핀 권선 방법 및 그의 권선 구조물
JP2019140080A (ja) コネクタ
KR20160033503A (ko) 와이어 커넥터
JP5840867B2 (ja) チューブ固定構造及びチューブ固定方法
KR200442224Y1 (ko) 전선연결장치
JP2017208950A (ja) ケーブル端末牽引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US20180191146A1 (en) Thermal protector
CN219553336U (zh) 导线末端遮蔽罩
KR102067588B1 (ko) 전선 결합용 연결구
CN110504778B (zh) 一种电机接线结构
JP2017208951A (ja) ケーブル牽引構造及びケーブル端末
KR100193937B1 (ko) 전원 케이블 고정구
JP6168960B2 (ja) 圧縮スリ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