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418A -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23418A KR19980023418A KR1019960042906A KR19960042906A KR19980023418A KR 19980023418 A KR19980023418 A KR 19980023418A KR 1019960042906 A KR1019960042906 A KR 1019960042906A KR 19960042906 A KR19960042906 A KR 19960042906A KR 19980023418 A KR19980023418 A KR 199800234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wires
- holes
- connectors
- groov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H01R4/240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having needles or p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insulation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제피와 동시에 결속을 이룰 수 있는 제피기 겸용 전선접속구를 제공함에 있다.
각각에 전선삽입홀들과 절단날들이 형성된 접속구에 의해, 서로 다른 접속구를 관통하여 전선삽입구에 삽입된 전선의 단부의 피복을 절단날로 절단하고 서로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절단된 피복이 전선으로부터 제거됨과 동시에 서로 꼬이게 하여 전선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의 각 접속구들을 분리시킨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의 각 접속구들을 결합시킨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 이고,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제피기 겸용 전선접속 장치의 사용 일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전선12a, 12b : 접속구
14a, 14b : 관통홀16a, 16b : 제피홈
18a, 18b : 절단날19a, 19b : 요홈날부
20 : 접속수단22 : 환형상 끼움홈
24 : 환형상 끼움돌기
본 발명은 세탁기등에 배선되는 전선들의 피복을 제피(除彼)함과 동시에 그 제피된 전선들을 용이하게 접속 시킬 수 있게 한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선들의 피복 제거와 아울러 접속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접속구들을 갖는 전선 제피기 겸용 전선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등의 가전제품에는 부품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에 사용된 많은 전선들이 배선 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 배선은 필요시에는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러한 전선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함에는, 먼저 접속할 전선들의 단부의 피복일부위를 완전히 벗겨 낸 후, 이때 외부로 노출되는 동선들의 단부를 서로 꼬아서 접속 시키고 있다. 특히 서로 꼬아서 접속시킨 접속부는 그 동선들의 피복부위가 제피되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합선이나 혹은 감전 사고의 우려가 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호캡 등을 씌워서 보호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선들을 접속함에는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기 위하여 니퍼(nipper)나 혹은 핀쳐(pinchers)등의 별도의 제피용 작업공구를 준비 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따르고 있고, 또한 서로 꼬여서 결속시킨 접속단부는 감전 혹은 누전 방지를 위해 별도의 보호캡을 사용해야만 되는 비경제적인 요소로 원가상승과 아울러 작업성을 떨어지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 결점들을 해소하고, 세탁기 등의 전자 제품에 배선되는 전선들의 제피와 접속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여, 전선접속의 작업성과 경제성을 갖게 한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두개의 몸체들로 분할 형성하고, 각각의 몸체들에 제피할 전선들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홀들과, 그 관통홀들과 연락되게 형성하여 관통홀들을 삽입하는 전선들이 수용되게 하는 전선 제피홈들과, 그 전선제피홈들의 어느일측에 서 상기 전선제피홈들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된 전선피복절단날들로 이루어진 전선 접속구들; 및 상기 전선접속구들의 대향단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전선접속구들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전선의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의 각 접속구들을 분리시킨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 장치의 각 접속구들을 결합시킨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10)은 두개의 몸통으로 분할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 1 접속구(12a)와, 제 2 접속구(1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제 1 접속구(12a)와 제 2 접속구(12b)의 각각에는 제피할 전선들(1a, 1b)를 상호 대향위치에서 삽입할 수 있게 한 제 1 , 제 2 관통홀들(14a, 14b)가 그 제 1, 제 2 접속구들(12a, 12b)를 관통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 제 2 접속구들(12a, 12b)에는 제 1, 제 2 관통홀들(14a, 14b)의 일측으로 상기 제 1 , 제 2 관통홀들(14a, 14b)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전선들(1a, 1b)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 제 2 제피홈들(16a, 1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접속구(12a)에 형성된 제 1관통홀(15a)는 제 2 접속구(12b)의 제 2 제피홈(16b)와 그리고, 제 2 접속구(12b)에 형성된 제2관통홀(14b)는 제1제피홈(16a)와 각각 연락되게 접속된다.
상기 제 1, 제 2 제피홈들(16a, 16b)의 어느일측 단부는 삽입되는 전선들(1a, 1b)가 외부로 연장되지 못하도록 폐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피홀들(16a, 16b)의 어느일측에는 삽입되는 전선들(1a, 1b)의 피복을 절단하기 위한 제1, 제2 절단날들(18a, 1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제2 절단날들(18a, 18b)는 제피할 전선들(1a, 1b)의 피복부위에 강한 압력을 가 하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제2 접속구들(12a, 12b)로부터 어느 일측을 향하여 약간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하고 있다.
상기 제1, 제2접속구들(12a, 12b)의 결합단부의 주연부에는 그 제1, 제2 접속구들(12a, 12b)를 일체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수단(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수단(20)은 제1, 제2접속구들(12a, 12b)중 어느 하나의 제 1 접속구(12a)에 형성한 환형상의 끼움홈(22)와, 그리고 상기 환형상의 끼움홈(22)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제2접속구(12b)에 형성한 환형상의 끼움돌기(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수단(20)의 끼움홈(22)와 끼움돌기(24)는 도면 표시한 실시예와는 달리 서로 바꾸어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 제2접속구들(12a, 12b)의 접속수단(20)은 그 제1, 제2 접속구들(12a, 12b)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구조라고 하면, 다른 어떠한 것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제1, 제2 절단날들(18a, 18b)에는 전선들(1a, 1b)를 감싸면서 절단하도록 된 요홈날부들(1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날부들(19a)는 전선들(1a, 1b)를 충분히 감싸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제피기 겸용 전선접속 장치의 사용 일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의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시키고자 하는 전선들(1a, 1b)의 어느 일측단부를 제1, 제2 접속구들(12a, 12b)의 관통홀들(14a, 14b)를 관통한 후, 그 관통홀들(14a, 14b)와 대응하여 설치한 제피홈들(16a, 16b)의 내부로 수용지지 되게 삽입한다. 상기 관통홀들(14a, 14b)와 그리고 제피홈들(16a, 16b)의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들(1a, 1b)는 그 제피홈들(16a, 16b)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선들(1a, 1b)의 삽입 완료 상태를 알 수가 있다.
상기 전선들(1a, 1b)를 접속구들(12a, 12b)의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완료되면, 상기 제1접속구(12a)와 제 2접속구(12b)를 끼움홈(22)와 끼움돌기(24)를 개재하여 일체로 결합한다. 상기 제 1 , 2접속구들(12a, 12b)가 일체로 결합되면 전선들(1a, 1b)를 향하여 위치된 절단날들(18a, 18b)를 그 전선들(1a, 1b)측으로 누르면서 접속구들(12a, 12b)를 서로 다른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시킨다. 상기 접속구들(12a, 12b)는 단지 끼움홈(22)에 끼움돌기(24)가 결합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어느 반대 방향으로 서로 돌리게 되면 상기 접속구들(12a, 12b)는 자연스럽게 돌아가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구들(12a, 12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시 그와 일체로 형성된 절단날들(18a, 18b)도 전선들(1a, 1b)에 압압되는 상태로서 그 전선들(1a, 1b)의 피복 주위를 따라서 회전되기 때문에, 그 예리한 절단날들(18a, 18b)에 의해서 전선들(1a, 1b)의 피복은 절단되게 된다.
상기 전선들(1a, 1b)가 절단날들(18a, 18b)에 의해서 절단됨과 아울러 접속구들(12a, 12b)는 계속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전선들(1a, 1b)에는 접속구들(12a, 12b)로부터 인장력이 부여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전선들(1a, 1b)의 절단되는 피복들이 인장력을 받게 되면, 그 전선피복들은 인장력이 발생되는 방향으로 당겨기게 되어 전선들(1a, 1b)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하게 됨과 아울러, 노출되는 동선들은 접속구들(12a, 12b)의 회전에 의하여 제4도의 표시와 같이 서로 꼬이게되면서 일체로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선들(1a, 1b)의 피복부위가 정확히 절단된 상태에서 서로 꼬여지게 되는 경우에는 접속구들(12a, 12b)로부터 손을 떼더라도 접속구들(12a, 12b)는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상기 전선들(1a, 1b)의 피복부위가 제대로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꼬이게 될시에는 전선피복의 탄성작용으로 인하여, 상기 접속구들(12a, 12b)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접속구들(12a, 12b)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 고한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전선들(1a, 1b)의 제피와 접속의 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접속상태가 확인되면 그동안 누르고 있던 절단날들(18a, 18b)로부터는 손을 떼면 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제피와 접속작업을 실행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기등과 같은 가전제품에 배선되는 전선들을 서로 연결시 제피기 겸용 전선접속구를 이용하여 전선 단부로부터 피복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피단부를 서로 꼬아 연결시킬수가 있게 한 것에 의해, 별도의 작업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선의 제피와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전선접속구들이 직접 종래의 전선보호캡의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보호캡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4)
- 두개의 몸체들로 분할 형성하고, 각각의 몸체들에 제피할 전선들(1a, 1b)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홀들(14a, 14b)와, 그 관통홀들(14a, 14b)의 어느일측에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들(14a, 14b)를 관통하는 전선들(1a, 1b)를 수용하는 제피홈들(16a, 16b)와, 그 제피홈들(!6a, 16b)의 어느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절단날들(18a, 18b)로 이루어진 전선 접속구들(12a, 12b) ; 및상기 전선접속구들(12a, 12b)의 대향단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전선접속구들(12a, 12b)를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수단(20)을 포함하는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20)은 전선접속구들(12a, 12b)중 어느 하나의 전선접속구(12a)에 일체로 형성한 환형상의 끼움홈(22)와, 다른 하나의 전선접속구(12b)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22)와 접속하는 환형상의 끼움돌기(2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피홈들(16a, 16b)는 어느 일측단부를 폐쇄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들(18a, 18b)에는 전선의 피복부위를 감싸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요홈날부들(19a, 19b)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42906A KR0157202B1 (ko) | 1996-09-30 | 1996-09-30 |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42906A KR0157202B1 (ko) | 1996-09-30 | 1996-09-30 |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3418A true KR19980023418A (ko) | 1998-07-06 |
KR0157202B1 KR0157202B1 (ko) | 1998-11-16 |
Family
ID=1947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42906A KR0157202B1 (ko) | 1996-09-30 | 1996-09-30 |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5720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4108B1 (ko) * | 2000-11-16 | 2003-05-14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배선연결용 스프라이스기 |
KR100879721B1 (ko) * | 2008-02-22 | 2009-01-22 | 김권중 | 전선 연결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7851Y1 (ko) * | 2007-10-10 | 2010-02-24 | 서완석 | 전선 결선구 |
KR101007632B1 (ko) * | 2010-02-10 | 2011-01-12 | 벽산파워 주식회사 | 전선 꼬임 기능을 구비한 와이어 커넥터 |
-
1996
- 1996-09-30 KR KR1019960042906A patent/KR01572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4108B1 (ko) * | 2000-11-16 | 2003-05-14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배선연결용 스프라이스기 |
KR100879721B1 (ko) * | 2008-02-22 | 2009-01-22 | 김권중 | 전선 연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57202B1 (ko) | 1998-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40031144A1 (en) | Coaxial cable braid everting tool | |
AU716555B2 (en) | Branching connector for an underground cable | |
KR100292230B1 (ko) | 전기도체용 연결단자 | |
NO983289L (no) | St°psel for avisolering ved ledningsmonteringen | |
US4697339A (en) | Method for the processing of a cable end and cable connector for connection to the cable | |
KR19980023418A (ko) |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 |
ES2151446A1 (es) | Maquina para el mecanizado de cables especiales para automoviles. | |
HU205499B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cable of thick core insulation to changing terminal | |
JPH09129274A (ja) | 分岐コネクタ装置 | |
US561979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 |
CA2486596C (en) | No strip no crimp electrical connector | |
CN216085985U (zh) | 一种电线剥线钳 | |
CN208862481U (zh) | 一种绝缘架空导线剥皮器 | |
KR102194941B1 (ko) |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 |
US4244067A (en) | Hand tool for working with wire and cable | |
KR102546362B1 (ko) |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 |
KR100911084B1 (ko) | 방수 커넥터 | |
KR200394078Y1 (ko) | 전기접속장치의 전선연결장치 | |
CN216530263U (zh) | 一种用于电缆绝缘层的剥裙结构 | |
KR200394254Y1 (ko) | 탈피가 용이한 전선의 구조 | |
KR100243994B1 (ko) | 동축 케이블의 절연피복 절삭기 | |
JP3000280B1 (ja) | 大径被覆電線の被覆剥離具。 | |
JP3023545B2 (ja) | 手持式圧接工具 | |
KR20180127016A (ko) | 전선 피복의 부분 탈피장치 | |
KR20230019674A (ko) | 멀티 구동 종단 피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