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633U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4633U KR20130004633U KR2020120000503U KR20120000503U KR20130004633U KR 20130004633 U KR20130004633 U KR 20130004633U KR 2020120000503 U KR2020120000503 U KR 2020120000503U KR 20120000503 U KR20120000503 U KR 20120000503U KR 20130004633 U KR20130004633 U KR 2013000463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wire
- electric wire
- connector portion
-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중앙에 전선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으로부터 복수의 커넥터 핀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이 상기 커넥터부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전선의 피복을 절개하여 상기 전선의 코어에 접촉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부의 내면에 커넥터 핀 및 보조 통전침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전선 피복 스트립 과정없이 전선을 전기 커넥터에 쉽게 연결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선 피복 스트립 과정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작업자가 손쉽게 전선 연결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커넥터(ELECTRIC CONNECTOR)는 전선과 연결되는 단자부분을 갖는 금속재의 전도체와 이를 둘러싼 절연재의 케이싱으로 형성되어 전선과 전선 또는 전선과 기판 등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여기서, 전기 커넥터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먼저 작업자가 스트라이퍼 및 니퍼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벗긴 후 노출된 코어를 전기 커넥터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의 경우,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를 상승시켜 작업 효율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 안정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아래의 특허문헌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51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선을 커넥터에 연결하기 전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상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전선 피복 스트립 과정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작업자가 손쉽게 전선 연결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중앙에 전선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으로부터 복수의 커넥터 핀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이 상기 커넥터부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전선의 피복을 절개하여 상기 전선의 코어에 접촉 가능한 전기 커넥터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 둘레 방향과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는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커넥터 핀은, 그 단부가 상기 커넥터부의 개구된 일단을 향하도록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에 대한 경사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의 폐쇄된 타단부에는, 상기 커넥터부 내에 삽입된 상기 전선의 코어와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보조 통전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통전침은, 상기 커넥터부에 미연결되는 단부가 상기 커넥터부의 개구된 일단을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통전침은, 상기 커넥터부의 타단부에 대한 경사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 핀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는 전기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전기 전도성 재질의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에 상기 전선을 삽입한 후 압착함으로써 상기 전선을 상기 커넥터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커넥터부의 내면에 커넥터 핀 및 보조 통전침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전선 피복 스트립 과정없이 전선을 전기 커넥터에 쉽게 연결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커넥터 핀이 커넥터부의 내주면 둘레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됨으로써, 커넥터부의 내측에 전선을 일정 깊이 이상 삽입한 경우 전선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전선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전선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전선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하나의 전선을 또 다른 전선과 통전시키거나 별도의 전원 연결이 필요한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과정을 생략하여 작업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중앙에 전선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공(110)이 형성되고 내주면으로부터 복수의 커넥터 핀(120)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커넥터부(100), 및 커넥터부(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커버부(20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부(100)와 커버부(200)를 갖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커넥터부(100) 및 커넥터 핀(120)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커버부(200)는 전기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커넥터부(100) 및 커넥터 핀(120)은 일 예로 구리로 적용 가능하지만,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커넥터부(100)에 연결되며 커버부(200)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터미널(30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터미널(300)은 커버부(200)의 내측에 삽입 가능한 전선과 또 다른 전선을 통전시키거나, 별도의 전원 연결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터미널(300)에는 별도의 전원 연결장치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100)는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커넥터부(100)는 일측이 폐쇄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핀(120)은, 커넥터부(100)의 내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될 뿐만 아니라 커넥터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도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된다. 이러한 커넥터 핀(120)은 실질적으로 커넥터부(100)와 동일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도성을 갖는 또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커넥터 핀(120)은 별도로 제조된 후 커넥터부(100)의 내주면에 별도의 접합 과정을 통해 부착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 핀(120)은 플레이트 형상의 커넥터부(100)의 설정된 영역을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절개선을 형성한 후 일측으로 젖힘으로써 형성 가능하며, 이후 플레이트 형상의 커넥터부(100)를 둥글게 말아서 단부를 서로 접합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의 원통 형상의 커넥터부(100)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핀(120)이 커넥터부(100)의 내주면 둘레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커넥터부(100)의 내측으로 전선(400)을 삽입한 경우 전선(400)의 외부 이탈이 쉽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즉 전선(400)이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커넥터 핀(120)은, 그 자유 단부가 커넥터부(100)의 개구된 일단을 향하도록 커넥터부(100)의 내주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커넥터 핀(120)은 커넥터부(100)의 내주면에 대한 경사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100)의 관통된 중앙 영역에 전선(400)을 삽입할 경우, 커넥터 핀(120)은 이러한 전선(400) 표면(피복)과의 접촉에 의해 커넥터부(100)의 폐쇄된 타단을 향해 초기 기울어진 방향이 쉽게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100)에 전선(400)을 삽입한 경우, 커넥터 핀(120)은 전선(400)의 피복(410)의 피복(410)상에 절개선(미도시)을 스크라이빙(scribing)하여 피복(410)을 절개함으로써 전선(400)의 코어(420)에 접촉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커넥터부(100)의 내측에 전선(400)을 삽입하는 동안 커넥터 핀(120)이 전선(400)의 피복(410)의 일부 영역을 충분히 절개 가능하도록, 커넥터 핀(120)은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부(100)의 내측에 전선(400)을 삽입하여 커넥터 핀(120)이 전선(400)의 코어(420)에 접촉하게 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압착 공구 등을 이용하여 커버부(200)를 압착함으로써 전선(400)을 쉽게 별도의 전원연결장치(pcb 포함) 등에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전선(400)을 전원연결장치(pcb 포함) 등에 연결하기 위해, 종래 전선(400)의 피복(410)을 벗기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없으므로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100)의 폐쇄된 타단부에는, 커넥터부(100) 내에 삽입된 전선(400)의 코어(420)와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접점 형성이 가능하도록) 보조 통전침(130)이 마련된다. 즉, 커넥터부(100)의 내측에 전선(400)을 삽입한 경우, 보조 통전침(130)은 외부에 노출되는 전선(400)에 코어(420)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 통전침(130)은 커넥터 핀(120)과 전선(400)의 코어(420)와의 상호 접촉을 보조하는 것으로서, 보조 통전침(130)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커넥터부(100)와 전선(400)의 코어(420)와는 안정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조 통전침(130)은, 커넥터 핀(120)과 마찬가지로 커넥터부(100)에 미연결되는 단부가 커넥터부(100)의 개구된 일단을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 통전침(130)은 커넥터부(100)의 타단부에 대한 경사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넥터부(100)의 내측에 전선(400)을 삽입한 경우, 보조 통전침(130)은 일측으로 젖혀지게 되고 보조 통전침(130)과 코어(420)는 상호 간에 충분한 면접촉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 통전침(130)은 커넥터 핀(120)에 비해 코어(420)와의 상호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전기적인 접점 형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부(100)의 내측에 전선(400)의 삽입하는 작업 과정은, 일 예로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 가능한 그리퍼를 이용하여 전선(400)을 잡은 후 엘엠 가이드 레일 및 블록, 실린더 장치, 기어 래크 모듈 등을 이용하여 커넥터부(100) 측으로 이동시켜 삽입시킬 수도 있다. 부연하자면, 이러한 작업이 수작업에 의존되지 않으면서 전체적으로 공정 자동화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커넥터부 120: 커넥터 핀
130: 보조 통전침 200: 커버부
300: 터미널 400: 전선
130: 보조 통전침 200: 커버부
300: 터미널 400: 전선
Claims (8)
- 중앙에 전선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으로부터 복수의 커넥터 핀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이 상기 커넥터부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전선의 피복을 절개하여 상기 전선의 코어에 접촉 가능한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 둘레 방향과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커넥터 핀은, 그 단부가 상기 커넥터부의 개구된 일단을 향하도록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에 대한 경사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의 폐쇄된 타단부에는, 상기 커넥터부 내에 삽입된 상기 전선의 코어와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보조 통전침이 마련되는 전기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통전침은, 상기 커넥터부에 미연결되는 단부가 상기 커넥터부의 개구된 일단을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통전침은, 상기 커넥터부의 타단부에 대한 경사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 핀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는 전기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전기 전도성 재질의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에 상기 전선을 삽입한 후 압착함으로써 상기 전선을 상기 커넥터부에 고정 가능한 전기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0503U KR20130004633U (ko) | 2012-01-19 | 2012-01-19 | 전기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0503U KR20130004633U (ko) | 2012-01-19 | 2012-01-19 | 전기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4633U true KR20130004633U (ko) | 2013-07-29 |
Family
ID=5135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0503U KR20130004633U (ko) | 2012-01-19 | 2012-01-19 |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4633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56690A1 (ko) * | 2014-10-10 | 2016-04-14 | 주식회사 조우테크 |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
KR20210108912A (ko) * | 2020-02-26 | 2021-09-03 | 안관호 |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
-
2012
- 2012-01-19 KR KR2020120000503U patent/KR20130004633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56690A1 (ko) * | 2014-10-10 | 2016-04-14 | 주식회사 조우테크 |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
KR20160043192A (ko) * | 2014-10-10 | 2016-04-21 | 주식회사 조우스 |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
KR20210108912A (ko) * | 2020-02-26 | 2021-09-03 | 안관호 |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7891B1 (ko) |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 |
EP3125371B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CN107005014B (zh) | 带端子电线及带端子电线的制造方法 | |
CN108933336B (zh) | 免剥皮电线连接器用端子 | |
US9048549B2 (en) | Wire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fiber-core conductor | |
US20070054540A1 (en) | Method of connecting a cable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 |
CN105428891B (zh) | 用于可插式连接器的绝缘体及可插式连接器 | |
KR20130004633U (ko) | 전기 커넥터 | |
KR101068521B1 (ko) | 케이블러그 탈피용 커팅다이스 | |
US10566705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 |
KR101643218B1 (ko) |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 |
JP5765402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2006332005A (ja) | 電線用コネクタ | |
JP6256994B2 (ja) | 導電体とコンタクト部材を備える導電体装置 | |
WO2009113687A1 (ja) | 連鎖端子、内導体端子、内導体端子の製造方法及び、同軸ケーブルと内導体端子との圧着接続方法 | |
JP5822598B2 (ja) | 小型電機部品に使用する端子接続構造 | |
KR101991122B1 (ko) | 조인트바를 이용한 조인트 커넥터 | |
JP2020017407A (ja) | アルミニウム電線圧着端子、圧着装置、および圧着方法 | |
CN108023187A (zh) | 连接端子 | |
KR100806230B1 (ko) | 단자연결장치 | |
TWI426669B (zh) | 線纜連接器組合及其製造方法、導電端子及其料帶 | |
KR20100118437A (ko) | 터미널 | |
KR940001438Y1 (ko) | 재킷 케이블용 압점 코넥터 | |
JP2007299578A (ja) | 防水型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TWM645369U (zh) | 電線快速連接裝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