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230B1 - 단자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단자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230B1
KR100806230B1 KR1020060020442A KR20060020442A KR100806230B1 KR 100806230 B1 KR100806230 B1 KR 100806230B1 KR 1020060020442 A KR1020060020442 A KR 1020060020442A KR 20060020442 A KR20060020442 A KR 20060020442A KR 100806230 B1 KR100806230 B1 KR 100806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insertion hole
terminal por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570A (ko
Inventor
한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남
Priority to KR102006002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230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7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supporting substrates others than wafers, e.g. ch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단자부와; 일측에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속부재과;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부가 상기 단자부의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걸림편 및;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전선이 연결된 접속부재으로 단자부를 물어 잡아 단자부에 전선을 견고하고 신속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전선, 단자, 연결, 접속부재, 압착

Description

단자연결장치{A DEVICE FOR CONNECTING WIRE TO TERMINAL}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단자연결장치의 접속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단자연결장치의 접속부재와 전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자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일측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연결장치의 접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접속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단자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D-D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E-E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자부 11 : 삽입공
20,20',20" : 접속부재 21 : 전선연결부
22 : 단자접속부 23 : 리세스부
24 : 절개홈 30: 걸림편 30': 보조걸림편
40 : 지지부재
본 발명은 단자와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부재를 이용하는 단자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기구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내장되어 있으며, 기판이나 스위치 등에 전선을 연결하는 데에는 연결부분에 전선의 선단부를 직접 납땜을 하거나 피스로 조이기도 하고 단자부를 구비하여 전선을 연결하기도 한다.
단자부를 구비한 경우에는 주변의 다른 부품이나 하우징 등을 분해하지 않고도 단자부와 전선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통상 전선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금속재질의 단자부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 단자부에는 전선을 꼬아서 암수나사로 조이거나 납땜을 하여 연결하기 도 한다. 이 경우 전선을 다루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11008호에 개시된 플러그 단자와 전선을 연결하는 수단을 보면, 전선감합부를 구비하여 전선을 감아 고정시키고 본체의 가압구와 받침돌기로 압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전선을 전선감합부에 감아야 하는 수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
이에 접속부재에 전선을 미리 결합시킨 상태에서 접속부재과 단자부를 연결하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단자연결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단자부를 단자연결장치에 견고하고 신속하게 연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종국적으로는 단자부와 전선을 용이하게 연결시키는 효과를 얻게 되는 단자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장치는,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단자부와; 일측에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속부재 및; 상기 단자부의 삽입공과 접속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수단은 선단부가 상기 단자부의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부재의 일측에 연장되어 절곡형성되는 걸림편이다.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접속부재의 폭방향의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접속부재의 길이방향의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형성된 보조걸림편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걸림편의 양측으로 걸림편과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부재의 일측에 상기 삽입공을 관통한 걸림편이 삽입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자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연결장치는, 일측에 삽입공(11)이 형성된 단자부(10)와, 상기 단자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속부재(20)과, 상기 접속부재(20)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된 1쌍의 걸림편(30) 및, 상기 각각의 걸림편(30)의 양측으로 접속부재(20)의 일단에 연 장되어 형성된 지지부재(40)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부(1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삽입공(11)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재(20)은 전선연결부(21)와, 상기 단자부(10)와 접촉하는 단자접속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전선연결부(21)는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수용부(21a)와 전선고정편(21b)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전선고정편(21b)은 전선수용부(21a)에서 연장·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선수용부(21a)쪽으로 접히면서 전선을 고정시키게 된다.
특히, 도 1a 및 도 1b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선고정편(21b)은 전선(C)피복된 부분과 피복이 벗겨진 부분을 각각 효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크기가 다른 제 1 전선고정편(21b')과 제 2 전선고정편(21b'')으로 구분되며,
피복된 부분은 길이가 긴 제 2 전선고정편(21b'')에서 고정되고, 피복이 벗겨진 부분은 제 1 전선고정편(21b')에서 고정되도록 이중으로 고정시켜 상기 접속부재(20)에 전선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전선(C)을 상기 전선수용부(21a)에 위치시키고 전선수용부(21a)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전선고정편(21b)의 각각을 전선수용부쪽으로 접어 전선을 감싸게 되면 상기 전선(C)은 전선연결부(21)와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단자접속부(22)는 일측에 상기 단자부(10)의 삽입공(11)과 대응되는 리세스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접속부(22)는 상기 단자부(10)와 면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접촉시 상기 삽입공(11)과 리세스부(23)가 서로 연통되게 배치된다.
상기 리세스부(23)로는 상기 삽입공(11)을 관통한 걸림편(30)의 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단자부(10)의 삽입공(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단자접속부(22)의 양단에 1쌍의 걸림편(30)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부(10)와 접속부재(20)은 일자형으로 결합된다.
상기 각각의 걸림편(30)은 그 선단부가 상기 단자부(10)의 삽입공(11)에 삽입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걸림편(30)의 양측으로 단자접속부(22)의 선단에 1쌍의 지지부재(40)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40)은 걸림편(30)과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그 걸림편(30)과 나란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40)은 상기 단자부 (10)의 일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걸림편(30)과 지지부재(40)은 변형가능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때의 변형은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지 않고는 복원되지 아니하고 변형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단자부(10)가 단자접속부(22)의 위에 올려지면 상기 단자접속부(22)의 상부면이 상기 단자부(10)의 저면과 접촉하게 되고,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부(10)의 삽입공(11)과 단자접속부(22)의 리세스부(23)가 대응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공(11)과 리세스부(23)가 대응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30)을 압착하여 소성변형시키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편(30)의 선단부가 삽입공(11)과 리세스부(23)를 관통하게 되고, 그로 인해 걸림편(30)이 단자부(10)를 물어 잡게 된다.
상기 걸림편(30)과 함께 상기 지지부재(40)을 압착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40)의 선단부가 단자부(10)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부(10)는 걸림편(30)에 의해 그 걸림편(3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10)는 지지부재(40)의 지지력에 의해 걸림편(30)을 선회중심으로 흔들리지 않고, 단자접속부(2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연결장치 는, 단자부(10)와 접속부재(20')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된다.
상기 접속부재(20')의 선단에 걸림편(30)과 지지부재(40)이 형성되고, 접속부재(20)의 내부 일측에 보조걸림편(30')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재(20')의 일측에는 리세스부(23')가 형성되고, 그 리세스부(23')의 양쪽으로 걸림편 및 보조걸림편(30)(30')이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되, 하나의 걸림편(30)은 접속부재(20')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보조걸림편(30')은 접속부재(20')의 내부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재(20')의 일측에는 걸림편(30')이 절개되어 절곡됨으로써 절개홈(24)이 형성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편 및 보조걸림편(30)(30')의 사이로 단자부(10)가 삽입되어 삽입공(11)과 리세스부(23')가 대응되게 배치되면, 걸림편 및 보조걸림편(30)(30')의 각 선단이 삽입공(11)과 리세스부(23')를 관통하여 단자부(10)를 물어 잡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0)은 단자부(10)의 상부면을 지지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재(20")의 양단에 단자부(10)를 각각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접속부재(20")의 양단에 걸림편(30)과 지지부재(40)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20")과 2개의 단자부(10)는 각각 일자형으로 연결된다.
상기 걸림편(30)과 지지부재(4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접속부재(20")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재에 고정되는 전선의 고정방식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연결장치에 의하면, 전선이 연결되는 단자연결장치의 접속부재에 특정구조를 갖는 체결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 접속부재에 단자부를 물어 잡아 종국적으로는 단자부와 전선을 견고하고 신속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단자부와;
    일측에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속부재 및;
    상기 단자부의 삽입공과 접속부재를 결합시키며, 선단부가 상기 단자부의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부재의 일측에 연장되어 절곡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걸림편;을 포함하는 단자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접속부재 폭방향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4.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단자부와;
    일측에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속부재 및;
    상기 단자부의 삽입공과 접속부재를 결합시키며, 선단부가 상기 단자부의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부재의 일측에 연장되어 절곡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걸림편;을 포함하는 단자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접속부재 길이방향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연결장치는 상기 접속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형성된 보조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6. 삭제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연결장치는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걸림편의 양측으로 걸림편과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공을 관통한 걸림편 또는 보조걸림편 또는 이들 모두가 삽입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KR1020060020442A 2006-03-03 2006-03-03 단자연결장치 KR100806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442A KR100806230B1 (ko) 2006-03-03 2006-03-03 단자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442A KR100806230B1 (ko) 2006-03-03 2006-03-03 단자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570A KR20070090570A (ko) 2007-09-06
KR100806230B1 true KR100806230B1 (ko) 2008-02-22

Family

ID=3868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442A KR100806230B1 (ko) 2006-03-03 2006-03-03 단자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134B1 (ko) * 2009-07-23 2010-06-16 김권희 전열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202U (ko) * 1996-12-14 1998-09-15 박병재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KR19990031545U (ko) * 1997-12-31 1999-07-26 최진호 전원연결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202U (ko) * 1996-12-14 1998-09-15 박병재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KR19990031545U (ko) * 1997-12-31 1999-07-26 최진호 전원연결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570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9281B (zh) Electronic connector
US10680359B2 (en) Plug contact
US10665970B2 (en) Plug-in contact
JP2015056209A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US20200381855A1 (en) Stable female terminal and stable male-female plug-in electrical connector using same
KR10168027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KR100806230B1 (ko) 단자연결장치
CN106898906B (zh) 双线端子台结构
KR10130861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JP2011040199A (ja) 端子圧着装置
CN211350986U (zh) 一种电线连接器
WO2016141526A1 (zh) 射频同轴连接器及其连接端子
CN202189807U (zh) 接线盒
KR200381520Y1 (ko) 인레트소켓의 리드선 고정장치
JP2019071189A (ja) 電気コネクタ
CN215418616U (zh) 高载流连接器及连接器端子
KR20130004633U (ko) 전기 커넥터
KR20100118437A (ko) 터미널
KR200294134Y1 (ko) 커넥터 접속단자
JP3138690U (ja) コネクタ用端子
KR200224366Y1 (ko) 점검구를 갖는 터미널
CN106898889B (zh) 相连接导线端部连接器
KR101782920B1 (ko) 터미널단자
JP3169596U (ja) 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
CN204632989U (zh) 接线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