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210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210A
KR20210108210A KR1020200023130A KR20200023130A KR20210108210A KR 20210108210 A KR20210108210 A KR 20210108210A KR 1020200023130 A KR1020200023130 A KR 1020200023130A KR 20200023130 A KR20200023130 A KR 20200023130A KR 20210108210 A KR20210108210 A KR 20210108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oking
cooking device
display
cooking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철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210A/ko
Publication of KR20210108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1화면과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2화면이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2단 적층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나 오븐과 같이 조리실 공간을 갖춘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의 조리실이 전방으로 개방된 형태이고, 조리실 전방에 도어가 구비된다.
오븐 도어의 개방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주로 힌지 연결된 도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회동 개방 방식의 도어는 힌지가 수직축을 이루는 스윙도어와, 힌지가 수평축을 이루는 풀다운 도어로 구분된다.
오븐의 전면 상부에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은, 오븐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에는, 오븐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 및 오븐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최근,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실내를 꾸미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서로 다른 조리 방식의 오븐을 2단으로 적층한 조리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2단 적층 조리기기는 빌트인 방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2단으로 적층한 빌트인 방식의 오븐은, 기존의 개별 오븐 방식에서 발생하지 않았던 문제가 발생한다. 가령 오븐의 전장 부품은, 오븐의 캐비티 상부 공간에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오븐 위에 다른 조리 방식의 오븐을 설치하여 2단 적층 조리기기를 구성할 경우, 두 오븐 조리실의 공간은 더 넓게 확보해야 하는 반면, 두 오븐의 전체 높이 치수는 제한된다.
그렇다고 해서 전장 부품이 차지할 공간을 줄이는 것도 쉽지 않다. 오븐의 조리실의 온도가 상당히 고온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전장 부품이 너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될 경우, 열에 취약한 전장 부품의 냉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2단으로 적층한 빌트인 방식의 오븐에서는 오븐마다 각각 컨트롤패널이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컨트롤패널에 의해 두 오븐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2단 적층 조리기기의 상단에 컨트롤패널이 배치되고, 이처럼 배치된 컨트롤패널의 조작을 통해 두 오븐의 작동이 모두 제어될 수 있다.
상기 2단 적층 조리기기의 일례로서, 컨트롤패널에는 오븐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 및 오븐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에는, 하부 오븐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와 상부 오븐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가 각각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오븐과 상부 오븐의 작동 상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측부에는 두 오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 배치되며, 이러한 버튼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오븐의 작동 상태가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컨트롤패널을 구비하는 통상의 2단 적층 조리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첫째, 상기 2단 적층 조리기기에서는 두 오븐 중 어느 하나의 작동 상태가 표시되기 위해서는, 두 오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조작이 요구된다. 즉 사용자가 오븐의 작동 상태를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버튼 조작이 필요하고, 이는 사용자의 동선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불편을 배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둘째, 상기 2단 적층 조리기기는 기본적으로 마지막으로 선택된 오븐의 동작 상태만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오븐이 아닌 다른 오븐의 동작 상태를 보기 위해서는 버튼 조작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2단 적층 조리기기에서는.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오븐의 동작 상태가 어느 오븐의 것인지 사용자가 쉽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한 오븐의 조작이 아닌 다른 오븐의 조작, 즉 오조작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
상기 2단 적층 조리기기의 디스플레이가 두 오븐의 동작 상태를 동시에 표시될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겠지만, 이 경우에도 오븐 선택을 위한 버튼 조작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히 있게 된다.
셋째, 상기 2단 적층 조리기기에서는 동작 표시 외에 기능 설정시에도 추가적인 버튼 조작이 요구된다. 예컨대 조명 기능이나 타이머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오븐 선택을 위한 버튼 조작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넷째, 상기 2단 적층 조리기기에서는 노브의 동작을 통해 구현되는 기능이 한 가지로 제한된다. 예컨대 조리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노브는 조리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만을 구현할 수 있고,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노브는 온도를 설정하는 기능만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2단 적층 조리기기의 문제점들을 고려하면, 사용자의 조작 횟수를 최소화시키면서도 오븐의 작동 상태 확인 및 기능 구현을 위한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트롤패널의 UI/UX의 구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오븐의 작동 상태의 확인이 빠르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여러 오븐 중에서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오븐의 작동 상태가 용이하게 파악되도록 함으로써 오조작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븐 동작과 관련된 기능 설정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노브로 여러 기능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여러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의 한 화면에 모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1화면과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2화면이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1화면과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2화면이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별도의 조작을 추가함 없이도 모든 오븐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의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1화면과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2화면이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표시되고, 제1화면과 제2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와 조리기기의 조작을 위한 터치버튼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하나의 화면을 통해 여러 오븐의 동작 상태를 한 눈에 모두 파악하고 한 화면에서 이들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고 오조작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1조리기기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제2조리기기, 및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한 화면에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동작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1화면, 및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2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 또는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제1동작상태화면과 제2동작상태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동작 중인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및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에서 동작 상태가 표시되고 있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터치버튼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에서 표시되는 터치버튼은,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어느 하나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동작상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동작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동작 중이 아닌 조리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1조작부, 및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2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동작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 중에서,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동작 중이 아닌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작부의 조작을 안내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조리기기 또는 상기 제2조리기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에서 표시되는 터치버튼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조작과 상기 노브의 조작 중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조리기기 또는 상기 제2조리기기의 온도 조절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동작상태화면과 설정대기상태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동작상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어느 하나의 동작도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설정대기상태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정대기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버튼, 및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상기 터치버튼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동작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정대기상태화면에서 표시되는 터치버튼은, 상기 설정대기상태화면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조작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설정대기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제2조작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설정대기상태화면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조작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조작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제2조작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조작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버튼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메인표시부,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버튼이 상시 표시되는 메뉴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표시부에 표시된 터치버튼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조작과 상기 노브의 조작이 함께 이루어지면, 상기 제1조리기기 또는 상기 제2조리기기의 타이머 설정 시간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조리기기의 상부에 상기 제1조리기기가 적층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1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패널이 연결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별도의 조작을 추가함 없이도 모든 오븐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의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오븐의 동작 상태가 한 눈에 파악되도록 함은 물론, 여러 오븐에 대한 조작이 한 화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시키고 더욱 향상된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나의 화면을 통해 여러 오븐의 동작 상태를 한 눈에 모두 파악하고 한 화면에서 이들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했던 오븐이 아닌 다른 오븐을 조작하는 등과 같은 오조작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상시 표시되는 터치버튼을 한 번 터치하는 것만으로 조명 설정이나 타이머 설정 등과 같은 기능 설정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시키고 더욱 향상된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노브로 온도 조절과 타이머 설정을 위한 조작과 같은 다양한 기능의 조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수의 노브로 조리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노브를 이용하여 조리기기에 배치되는 노브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플한 외관을 가지며 전체적인 미감이 향상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디스플레이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의 대기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의 설정대기상태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의 설정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의 설정화면에서의 온도 조절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의 설정화면에서의 온도 조절 과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의 설정화면에서 동작상태화면으로의 전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13은 종래 조리기기의 디스플레이의 설정화면에서 동작상태화면으로의 전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과 설정화면의 전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에서 설정화면으로의 전환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에서 설정화면으로의 전환 과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의 조명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종래 조리기기에서의 조명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의 타이머 설정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의 타이머 설정 과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종래 조리기기에서의 타이머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부에 배치된 제1조리기기(10)와 하부에 배치된 제2조리기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조리기기(10)와 제2조리기기(20) 모두가 전기 오븐 등과 같은 밀폐형 조리기기인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부에 배치되는 제1조리기기(10)가 전기 오븐이고 하부에 배치되는 제2조리기기(20)가 가스 오븐인 형태로 조리기기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반대로 상부에 배치되는 제1조리기기(10)가 가스 오븐이고 하부에 배치되는 제2조리기기(20)가 전기 오븐인 형태로 조리기기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레인지와 같이 오븐이 아닌 다른 형태의 밀폐형 조리기기가 제1조리기기(10) 또는 제2조리기기(20)로 적용될 수도 있고, 쿡탑, 홉, 그리들 등과 같은 개방형 조리기기가 제1조리기기(10)로 적용되어 제2조리기기(2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제1조리기기(10)와 제2조리기기(20) 모두가 전기 오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조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되, 제1조리기기(10)의 구성을 기준으로 조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조리기기(10)는, 본체(11)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1)는, 본체(11)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의 내부에는 조리실이 형성되며, 캐비티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조리실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가열부의 일례로서, 조리실의 상측에는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브로일 히터(Broil heater)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의 하측에도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베이크 히터(Bake heater)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 장치가 상기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체(11)의 전방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4)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14)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4)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4)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13)이 설치된다.
제1조리기기(10)의 전면 상부에는 컨트롤패널(10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은, 조리기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100)에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110,120) 및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의 구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패널(100)은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을 조절하고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100)은, 제1조작부(110)와 제2조작부(120) 및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작부(110)는, 제1조리기기(1)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조작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브(a,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조작부(110)에 두 개의 노브(a,b)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조작부(110)는 제1노브(a)와 제2노브(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제1노브(a)는, 복수개의 조리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노브(a)의 조작에 의해, 복수개의 조리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노브(a)는, 회전 조작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노브(a)를 회전시켜 조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회전되던 제1노브(a)가 멈추는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조리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즉 제1노브(a)의 회전각에 따라 선택되는 조리 모드가 달라지게 된다.
제2노브(b)는, 제1조리기기(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노브(b)의 조작에 의해, 제1조리기기(1)에서의 조리실 가열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노브(b)는, 제1노브(a)와 마찬가지로 회전 조작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2노브(b)를 회전시켜 제1조리기기(1)에서의 조리실 가열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2노브(b)가 정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설정 대상이 되는 온도(이하 "설정 온도"라 한다)가 상승되고, 제2노브(b)가 그 역방향인 타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설정 온도가 하강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노브(b)는, 원위치에서 회전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노브(b)는, 사용자가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제2노브(b)를 회전시킨 후 제2노브(b)를 놓으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제2노브(b)의 회전 상태가 유지된 시간에 따라 설정 온도의 상승 또는 하강 폭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노브(b)를 1초 미만의 짧은 시간 동안 회전시켰다가 놓으면 설정 온도가 1μ만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고, 제2노브(b)를 1초 이상 긴 시간 동안 회전시키면 제2노브(b)의 회전이 유지되는 동안 설정 온도가 5μ만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하고자 하는 온도의 상승폭 또는 하강폭이 클 때에도 설정 온도 조절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정확한 설정 온도 조절도 가능하게 된다.
제2조작부(120)는, 제2조리기기(2)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조작부(120)는, 제1조작부(110)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브(a,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조작부(110)와 마찬가지로, 제2조작부(120)가 제1노브(a)와 제2노브(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조작부(120)의 제1노브(a) 및 제2노브(b)가 제2조리기기(2) 동작을 조절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1조작부(110)의 제1노브(a) 및 제2노브(b)와 제2조작부(120)의 제1노브(a) 및 제2노브(b)의 구성 및 작용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제2조작부(120)의 제1노브(a) 및 제2노브(b)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150)는,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그리고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50)는,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터치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5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패널이 연결된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50)는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 및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터치버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된 터치버튼을 터치하여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UI]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디스플레이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디스플레이의 대기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디스플레이의 설정대기상태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디스플레이의 설정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디스플레이의 설정화면에서의 온도 조절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디스플레이의 설정화면에서의 온도 조절 과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디스플레이의 설정화면에서 동작상태화면으로의 전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화면이며, 도 12는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또한 도 13은 종래 조리기기의 디스플레이의 설정화면에서 동작상태화면으로의 전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과 설정화면의 전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에서 설정화면으로의 전환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디스플레이의 동작상태화면에서 설정화면으로의 전환 과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서는, 제1조리기기가 Upper 또는 Upper 오븐으로, 제2조리기기가 Lower 또는 Lower 오븐으로 표시되며, 노브가 Knob으로 표시됨을 밝혀둔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50)는 제1조작부(110)와 제2조작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조작부(110)와 제2조작부(120) 및 디스플레이(150)는 컨트롤패널(100)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50)는 컨트롤패널(100)의 가로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조작부(110)와 제2조작부(120)에서는, 제1노브(a)와 제2노브(b)가 각각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조작 가능한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가 모두 미동작 상태일 때에는, 디스플레이(150)는 대기화면(D1)을 표시할 수 있다. 대기화면(D1)에는, 현재 날짜와 시각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가 모두 미동작 상태일 때에는 디스플레이(150)가 꺼진 상태, 즉 아무 화면도 표시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0)가 대기화면(D1)을 표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50)를 터치하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0)에 설정대기상태화면(D2)이 표시될 수 있다.
설정대기상태화면(D2)은,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어느 하나의 동작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대기상태화면(D2)은,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버튼(T1,T2)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설정대기상태화면(D2)은,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터치버튼(T1,T2)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동작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대기상태화면(D2)의 상단에는 터치버튼(T1,T2)이 배치되고, 설정대기상태화면(D2)의 중앙에는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터치버튼(T1,T2)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동작 설정과 관련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터치버튼(T1,T2)은, 제1조리기기(1)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버튼(T1)과 제2조리기기(2)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버튼(T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조리기기(1)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버튼(T1)을 터치하면, 해당 터치버튼(T1)이 밝게 표시되면서 설정대기상태화면(D2)의 중앙에 제1조리기기(1)의 동작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조리기기(2)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버튼(T2)을 터치하면, 해당 터치버튼(T2)이 밝게 표시되면서 설정대기상태화면(D2)의 중앙에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에 설정대기상태화면(D2)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어느 것도 작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설정대기상태화면(D2)에는 제1조리기기(1) 또는 제2조리기기(2)가 미작동 상태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설정대기상태화면(D2)에는, 제1조리기기(1) 또는 제2조리기기(2)의 작동을 위해 어떠한 조작이 필요한지도 함께 안내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대기상태화면(D2)에 제1조리기기(1) 또는 제2조리기기(2)가 OFF되었다는 내용과 노브로 조리메뉴를 선택하라는 내용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설정대기상태화면(D2)을 통해, 제1조리기기(1)의 동작 상태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150)의 한 화면에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어느 것도 작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150)에 설정대기상태화면(D2)이 표시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된 설정대기상태화면(D2)은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모두가 미동작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고, 이는 디스플레이(150)의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설정대기상태화면(D2)에서 표시되는 터치버튼(T1,T2)은, 설정대기상태화면(D2) 내부에 배치된다. 즉 설정대기상태화면(D2)에서, 터치버튼(T1,T2)은 제1조리기기(1) 및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화면과 같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0)의 화면을 보면서 터치버튼(T1,T2)을 터치하여 조리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조리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버튼(T1,T2)이 설정대기상태화면(D2)을 보는 사용자의 시선 범위 내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고, 터치버튼(T1,T2)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동선이 최소화될 수 있다.
종래 조리기기의 경우, 조리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 디스플레이와 별도로 구비된 물리버튼(Physical button) 형태로 구비되고, 이 버튼은 디스플레이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는 사용자의 시선 범위 밖에 상기 버튼이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튼을 찾는데 불편함이 있게 되고, 버튼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동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버튼(T1,T2)이 설정대기상태화면(D2)을 보는 사용자의 시선 범위 내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터치버튼(T1,T2)를 쉽게 찾아 조작할 수 있고, 터치버튼(T1,T2)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동선도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설정대기상태화면(D2)에서, 제1조작부(110) 또는 제2조작부(120)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0)에 설정화면(D3)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조작부(110)의 제1노브(a)를 조작하여 조리 모드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150)의 설정화면(D3)에는 선택된 조리 모드가 어떤 것인지 표시될 수 있다(도 6에서는 Bake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예시됨). 이와 함께, 설정화면(D3)에는 조리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에는, 설정될 조리 온도가 표시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조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터치버튼(T3,T4)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화면(D3)에 표시된 터치버튼(T3,T4)를 터치하는 방법으로 설정될 조리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도 7 참조), 제2노브(b)를 조작하는 방법으로 설정될 조리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도 8 참조).
조리 온도의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설정화면(D3)에 표시된 다른 터치버튼(T5), 예컨대 "START"라고 표시된 터치버튼(T5)을 터치함으로써, 제1조리기기(1)를 동작시킬 수 있다(도 9 참조).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도 1 내지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0)에 동작상태화면(D4)이 표시될 수 있다. 동작상태화면(D4)은, 제1조리기기(1)의 동작 상태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를 하나의 디스플레이(150) 내에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상태화면(D4)은, 제1조리기기(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1화면(D41), 및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2화면(D42)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상태화면(D4)에서는, 상기 제1화면(D41)과 제2화면(D42)이 하나의 동시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화면(D41)과 제2화면(D42)은, 제1조리기기(1) 또는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제1동작상태화면과 제2동작상태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제1동작상태화면은, 제1조리기기(1) 또는 제2조리기기(2)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 동작 중인 조리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동작상태화면은, 제2조리기기(2)와 제2조리기기(2) 중 동작되고 있지 않은 조리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 디스플레이(150)에 동작상태화면(D4)이 표시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50)에 동작상태화면(D4)이 표시되고 있을 때에는, 제1화면(D41)과 제2화면(D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동작상태화면이 표시된다.
제1동작상태화면은,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동작 중인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동작상태화면은, 제1동작상태화면에서 동작 상태가 표시되고 있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터치버튼(T6,T7)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제1조리기기(1)가 동작 중이라면, 제1화면(D41)에 제1동작상태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제1화면(D41)에는 제1조리기기(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과 제1조리기기(1)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터치버튼(T6,T7)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화면(D41)에는 제1조리기기(1)의 동작 진행 시간, 동작 온도 등과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제1조리기기(1)의 동작 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터치버튼(T6) 및 제1조리기기(1)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터치버튼(T7)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터치버튼(T6,T7)은, 제1동작상태화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버튼(T6,T7)이 제1동작상태화면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터치버튼(T6,T7)이 제1동작상태화면을 보는 사용자의 시선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터치버튼(T6,T7)를 쉽게 찾아 조작할 수 있고, 터치버튼(T6,T7)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동선도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제2동작상태화면은, 제1조리기기(1) 또는 제2조리기기(2)가 OFF된 상태라는 정보, 그리고 제1조리기기(1) 또는 제2조리기기(2)의 동작을 위한 조작 방법에 대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제1조리기기(1) 또는 제2조리기기(2)의 동작을 위한 조작 방법에 대한 정보의 일례로서,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동작 중이 아닌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작부의 조작을 안내하는 정보가 제2동작상태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조리기기(1)만 동작 중이고 제2조리기기(2)는 동작되지 않는 상태라면, 제1화면(D41)에만 상기와 같은 제1동작상태화면이 표시되고, 제2화면(D42)에는 제2동작상태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제2화면(D42)에는, 제2조리기기(2)가 OFF된 상태라는 정보, 그리고 제2조리기기(2)의 동작을 위한 조작 방법에 대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대기상태화면(D2)에 제1조리기기(1) 또는 제2조리기기(2)가 OFF되었다는 내용과 노브로 조리메뉴를 선택하라는 내용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제2조리기기(2)만 동작 중이고 제1조리기기(1)는 동작되지 않는 상태라면, 제2화면(D42)에만 제1동작상태화면이 표시되고, 제2화면(D42)에는 제2동작상태화면이 표시될 수 있댜(도 11 참조).
또 다른 예로서,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가 모두 동작 중이라면, 제1화면(D41)과 제2화면(D42) 모두에 제1동작상태화면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도 12 참조).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는 제1조리기기(1)의 동작 상태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가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모두 표시될 수 있고, 터치버튼들 또한 동일 화면 내에 모두 배치되어 설정대기상태화면이나 동작상태화면 등을 보는 사용자의 시선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종래 조리기기에서는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가 한 화면에 표시되기 위해서는 복잡한 조작 과정이 요구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조리기기에서 조리기기들의 동작 상태가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별도의 조작이 요구된다.
종래 조리기기에서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설정화면에서 "START" 버튼을 터치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동작이 시작되면,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설정화면에서 동작상태화면으로 전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전환된 동작상태화면에서는, 두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가 함께 표시되지 않고, 오로지 하나의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만이 표시된다. 즉 설정화면의 "START" 버튼의 터치에 의해 설정화면에서 전환된 동작상태화면에서는, 그 직전 설정화면에서 설정 대상이 된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만이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두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가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기 위해서는, 해당 동작상태화면에 표시된 별도의 터치버튼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종래 조리기기에서는,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조작이 더 이루어져야 두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가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기만 하면, 별도의 조작을 추가함 없이도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모두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150)의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 제공되는 동작상태화면에서는,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와 이들의 동작 제어를 위한 터치버튼(T6,T7), 또는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을 위한 조작 방법에 대한 정보가 하나의 화면을 통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가 한 눈에 파악됨은 물론, 여러 조리기기에 대한 조작이 한 화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동선이 최소화되고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하나의 화면을 통해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를 한 눈에 모두 파악할 수 있고, 한 화면에서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의도했던 조리기기가 아닌 다른 조리기기를 조작하는 등과 같은 오조작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50)에 동작상태화면(D4)이 표시된 상태에서 노브 또는 터치버튼의 조작을 통해 작동 중인 조리기기의 설정이 변경될 수도 있다.
이하,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가 모두 동작 중인 상태를 예로 들어 조리기기의 설정 변경과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50)에 동작상태화면(D4)이 표시된 상태에서, 노브 조작이나 터치버튼 터치와 같은 조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150)의 화면이 동작상태화면(D4)에서 설정화면(D5)으로 전환될 수 있다.
설정화면(D5)에는, 조리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에는, 설정될 조리 온도가 표시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조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터치버튼(T3,T4)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화면(D5)에 표시된 터치버튼(T3,T4)을 터치하는 방법으로 설정될 조리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제2노브(b)를 조작하는 방법으로 설정될 조리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설정화면(D5)으로의 전환은, 노브,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노브(b)가 조작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도 15 참조), 동작상태화면(D4)에 표시된 터치버튼(T3,T4)이 터치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도 16 참조).
예컨대, 제1조작부(110)의 제2노브(b)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150)에 설정화면(D5)이 표시되는 동시에 제1조리기기(1)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버튼(T1)이 밝게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화면(D5)을 통해서는 제1조리기기(1)의 조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화면과 터치버튼(T3,T4)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조리기기(1)의 조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정화면(D5)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버튼(T1)이 밝아진 상태를 보고 설정화면(D5)에서의 조리 온도 조절 대상이 제1조리기기(1)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2노브(b) 대신 제1화면(D41)에 표시된 터치버튼(T3,T4)이 터치된 경우에도, 위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제1조리기기(1)의 조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정화면(D5)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조작부(120)의 제2노브(b)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제2조리기기(2)의 조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정화면(D5)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버튼(T2)이 밝아진 상태를 보고 설정화면(D5)에서의 조리 온도 조절 대상이 제2조리기기(2)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2노브(b) 대신 제2화면(D42)에 표시된 터치버튼(T3,T4)이 터치된 경우에도, 위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제2조리기기(2)의 조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정화면(D5)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만약 제1조리기기(1)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제1조작부(110)의 제1노브(a)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거나 제2조리기기(2)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제2조작부(120)의 제1노브(a)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진다면, 이와 관련된 조리기기의 동작은 중지되고, 디스플레이(150)에는 설정화면(D3)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설정대기상태화면(D2)에서 제1노브(a)의 조작이 이루어진 것과 같은 결과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 및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50)는 메인표시부(151)와 메뉴표시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에서 표시되는 화면은, 메인표시부(151) 영역과 메뉴표시부(155)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메인표시부(151)는, 제1조리기기(1)의 동작 상태와 제2조리기기(2)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설정대기상태화면(D2)이나 설정화면(D3) 및 동작상태화면(D4)이 메인표시부(151)에서 표시될 수 있다.
메뉴표시부(155)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버튼(T8,T9)이 상시 표시되는 영역이다. 메인표시부(151)에서는 각각의 화면마다 표시되는 터치버튼의 종류가 달라지거나 터치버튼의 유무가 변경되는 것과 비교하여, 메뉴표시부(155)에서는 터치버튼(T8,T9)이 상시 표시됨은 물론, 표시되는 터치버튼(T8,T9)의 종류도 변화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뉴표시부(155)가 메인표시부(151)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화면(D41)의 하부와 제2화면(D42)의 하부에 조명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T8)과 타이머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T9)이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메인표시부(151)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뉴표시부(155)에는, 제1조리기기(1)의 조명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T8)과 제1조리기기(1)의 타이머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T9), 그리고 제2조리기기(2)의 조명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T8)과 제2조리기기(2)의 타이머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T9)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화면(D41)의 하부에 제1조리기기(1)을 위한 터치버튼(T8,T9)이 배치되고 제2화면(D42)의 하부에 제2조리기기(2)을 위한 터치버튼(T8,T9)이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어떤 터치버튼이 어떤 조리기기를 위한 터치버튼인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T8)에는 조명 설정이 연상되는 아이콘이 표시되고 타이머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T9)에는 타이머 설정이 연상되는 아이콘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어떤 터치버튼이 어떤 기능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인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제1화면(D41) 하부에 배치된 터치버튼 중 조명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T8)을 터치할 경우, 제1조리기기(1)의 조리실 내부가 점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50)의 제1화면(D41)에 제1조리기기(1)의 점등이 이루어졌음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화면(D41)의 색상이 밝게 변화되거나 제1화면(D41)에 관련 아이콘이나 텍스트가 표시됨으로써, 제1조리기기(1)의 점등이 이루어졌음이 표시될 수 있다.
종래 조리기기의 경우, 조명 설정을 위한 버튼이 디스플레이와 별도로 구비된 물리버튼 형태로 구비되고, 이 버튼은 디스플레이의 외부에 배치된다. 또한 종래 조리기기에서는, 각 오븐 별로 조명 설정을 하기 위한 버튼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는다. 즉 종래기기에는, 단지 하나의 물리버튼이 여러 오븐들의 조명 설정을 위한 버튼으로 마련될 뿐이다.
종래 조리기기에서는, 오븐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 등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 필요하지 않는 많은 수의 버튼들이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 오븐 별로 조명 설정 버튼이나 타이머 설정 버튼이 마련될 경우 디스플레이 주변에 너무 많은 버튼이 배치될 수밖에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종래 조리기기에서는 각 오븐 별로 조명 설정 버튼이나 타이머 설정 버튼을 구비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조리기기에 오븐 별로 조명 설정을 하기 위한 버튼이 별도로 마련되지 못함에 따라, 종래 조리기기의 조명 설정을 위해서는 좀 더 복잡한 과정을 거칠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종래 조리기의 조명 설정을 위해서는, 먼저 물리버튼 형태로 구비된 조명 설정 버튼을 누른 후, 어떤 오븐의 조명을 설정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종래 조리기기에서는, 조명 설정을 위해 두 단계의 조작 과정이 요구된다(도 18 참조).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조명 설정을 위해 단 한 번의 조작 과정만이 요구될 뿐이다. 즉 제1화면(D41) 하부에 배치된 터치버튼(T8)을 한 번 터치하는 것만으로 제1조리기기(1) 조명 설정이 완료되고, 제2화면(D42) 하부에 배치된 터치버튼(T8)을 한 번 터치하는 것만으로 제2조리기기(2) 조명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조작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오조작 발생을 방지하는 등 더욱 향상된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타이머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T9)을 터치하여 원하는 조리기기의 타이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타이머 설정을 위한 터치버튼(T9)이 터치되면, 디스플레이(150)에는 타이머 설정과 관련된 화면인 타이머설정화면(D6)이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서, 타이머설정화면(D6)에 표시된 터치버튼(T10~T15)을 터치한 후, "OK"라고 표시된 터치버튼(T16)을 터치하는 방법으로 타이머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 내지 도 3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노브(b)를 조작하는 방법으로 타이머 설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래 제2노브(b)는 온도 설정을 위한 용도로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제2노브(b)는, 디스플레이(150)에 타이머설정화면(D6)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타이머 설정을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노브(b)가 정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타이머 설정 시간이 증가되고, 제2노브(b)가 그 역방향인 타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타이머 설정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제2노브(b)의 회전 상태가 유지된 시간에 따라 타이머 설정 시간의 증감폭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노브(b)를 1초 미만의 짧은 시간 동안 회전시켰다가 놓으면 타이머 설정 시간이 1초만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고, 제2노브(b)를 1초 이상 긴 시간 동안 회전시키면 제2노브(b)의 회전이 유지되는 동안 타이머 설정 시간이 10초 또는 1분만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종래 조리기기의 경우, 타이머 설정을 위한 버튼이 디스플레이와 별도로 구비된 물리버튼 형태로 구비되고, 이 버튼은 디스플레이의 외부에 배치된다. 또한 종래 조리기기에서는, 각 오븐 별로 타이머 설정을 하기 위한 버튼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는다. 즉 종래기기에는, 단지 하나의 물리버튼이 여러 오븐들의 타이머 설정을 위한 버튼으로 마련될 뿐이다.
오븐 별로 타이머 설정을 하기 위한 버튼이 별도로 마련되지 못함에 따라, 종래 조리기기의 타이머 설정을 위해서는 좀 더 복잡한 과정을 거칠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종래 조리기의 타이머 설정을 위해서는, 먼저 물리버튼 형태로 구비된 타이머 설정 버튼을 누른 후, 어떤 오븐의 타이머를 설정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종래 조리기기에서는, 타이머설정화면이 표시되기 위해 세 단계의 조작 과정이 요구된다(도 20 참조).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타이머 설정을 위한 타이머설정화면(D6)이 표시되기 위해 단 한 번의 조작 과정만이 요구될 뿐이다. 즉 제1화면(D41) 하부에 배치된 터치버튼(T9)을 한 번 터치하는 것만으로 제1조리기기(1)의 타이머 설정을 위한 타이머설정화면(D6)이 표시되고, 제2화면(D42) 하부에 배치된 터치버튼(T8)을 한 번 터치하는 것만으로 제2조리기기(2)의 타이머 설정을 위한 타이머설정화면(D6)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조작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오조작 발생을 방지하는 등 더욱 향상된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제2노브(b)가 온도 조절을 위한 용도뿐 아니라, 타이머 설정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제2노브(b)로 온도 조절을 위한 조작과 타이머 설정을 위한 조작이 함께 이루어질 있게 됨으로써, 적은 수의 노브로 조리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리기기에 배치되는 노브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기기의 외관이 심플한 형태로 유지될 수 있고,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미감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 : 본체
13 : 도어
14 : 핸들
100 : 컨트롤패널
110 : 제1조작부
120 : 제2조작부
150 : 디스플레이
151 : 메인표시부
155 : 메뉴표시부
a : 제1노브
b : 제2노브

Claims (15)

  1.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1조리기기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제2조리기기, 및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한 화면에 모두 표시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동작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1화면, 및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2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표시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 또는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제1동작상태화면과 제2동작상태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동작 중인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및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에서 동작 상태가 표시되고 있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터치버튼을 표시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에서 표시되는 터치버튼은,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 내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어느 하나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동작상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동작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동작 중이 아닌 조리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1조작부, 및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2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동작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 중에서,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동작 중이 아닌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작부의 조작을 안내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조리기기 또는 상기 제2조리기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동작상태화면에서 표시되는 터치버튼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조작과 상기 노브의 조작 중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조리기기 또는 상기 제2조리기기의 온도 조절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조리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동작상태화면과 설정대기상태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동작상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어느 하나의 동작도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설정대기상태화면을 표시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대기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버튼, 및 상기 제1조리기기와 상기 제2조리기기 중 상기 터치버튼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동작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대기상태화면에서 표시되는 터치버튼은, 상기 설정대기상태화면의 내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1조작부, 및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2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조작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설정대기상태화면은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제2조작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설정대기상태화면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조작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제2조작부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조작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버튼을 표시하는 조리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1조작부, 및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2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조리기기 또는 상기 제2조리기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조리기기의 동작 상태와 상기 제2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메인표시부,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버튼이 상시 표시되는 메뉴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표시부에 표시된 터치버튼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조작과 상기 노브의 조작이 함께 이루어지면, 상기 제1조리기기 또는 상기 제2조리기기의 타이머 설정 시간이 조절되는 조리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기기의 상부에 상기 제1조리기기가 적층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1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패널이 연결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200023130A 2020-02-25 2020-02-25 조리기기 KR20210108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30A KR20210108210A (ko) 2020-02-25 2020-02-25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30A KR20210108210A (ko) 2020-02-25 2020-02-25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210A true KR20210108210A (ko) 2021-09-02

Family

ID=7779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130A KR20210108210A (ko) 2020-02-25 2020-02-25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82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3547B2 (ja) 加熱調理器
WO2020007284A1 (zh) 电器和用于在安全关键操作中操作它的方法
WO2010131798A1 (ko)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4309903B2 (ja) 加熱調理器
US20140062278A1 (en) Method of operating a domestic appliance, and domestic appliance having an ergonomic operator control apparatus
KR101920430B1 (ko) 조리기 및 그 입력 제어방법
KR20210108210A (ko) 조리기기
US6946630B2 (en) Combined toaster and microwave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92186B2 (en) Cooking appliance with multi-mode burner group
JP7243532B2 (ja) 加熱調理器
KR20240034653A (ko) 조리기기
JP2898476B2 (ja) 加熱調理器
JP2011208862A (ja) コンロ
JP6485781B2 (ja) 電気冷蔵庫
KR20090064497A (ko)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7291658B2 (ja)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器の操作方法
JP2020129462A (ja) 誘導加熱調理器
JPH0355441A (ja) 加熱調理器
JP2022137480A (ja) 加熱調理器
JP2021167689A (ja) 加熱調理器
JP2551031Y2 (ja) 加熱調理器
JPS6129623A (ja) 加熱調理装置
JP2022063675A (ja) 加熱調理器
JP2022182223A (ja) 加熱調理器
JP6706968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