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349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349A
KR20210107349A KR1020200022233A KR20200022233A KR20210107349A KR 20210107349 A KR20210107349 A KR 20210107349A KR 1020200022233 A KR1020200022233 A KR 1020200022233A KR 20200022233 A KR20200022233 A KR 20200022233A KR 20210107349 A KR20210107349 A KR 2021010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take
case cover
co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김용식
윤서준
이상기
장철한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2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7349A/ko
Priority to PCT/KR2020/006105 priority patent/WO2020231102A1/ko
Priority to CN202080034696.3A priority patent/CN113811456B/zh
Priority to US17/609,343 priority patent/US20220314750A1/en
Priority to DE112020002317.6T priority patent/DE112020002317T5/de
Publication of KR2021010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테이크 유닛부분이 엔진룸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엔진룸측의 소음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정숙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측으로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과, 인테이크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차실내로 공급하는 열교환기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인테이크 유닛의 인테이크 케이스를 덮도록, 인테이크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되는 케이스 커버와; 인테이크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스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인테이크 케이스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케이스 방음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이크 유닛부분이 엔진룸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엔진룸측의 소음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정숙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공조장치(1)를 구비한다.
이러한 공조장치(1)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Intake Unit)(3)과,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 유닛(5)을 포함한다.
인테이크 유닛(3)은, 내,외기도입구(도시하지 않음)를 갖춘 인테이크 케이스(3a)와, 내,외기도입구를 통해 도입된 내,외기를 열교환기 유닛(5)으로 송풍하는 블로어(3b)를 갖추고 있으며, 차실내,외 공기를 흡입하여 차실내측으로 송풍한다.
열교환기 유닛(5)은, 증발기(5a)와 히터(5b)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인테이크 유닛(3)측으로부터 송풍된 내,외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다. 따라서, 차실내를 냉,난방한다.
한편, 이러한 공조장치는, 대시패널(D)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대시패널(D)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공간확보에 매우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탑승객의 편의성을 위해서 차실내 공간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는 추세이지만,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종래의 공조장치(1) 구조로는 차실내 공간확보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실내의 공간확보에 한계가 있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장치(1)의 일부분을 엔진룸측에 배치하여,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공조장치(1)의 부분을 최소화시키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공조장치(1)의 인테이크 유닛(3)부분을 엔진룸측에 배치하는 구조로서,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공조장치(1)의 부분을 최소화시킨다. 따라서, 차실내의 공간확보에 매우 유리하고, 이로써, 차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 탑승객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인테이크 유닛(3)부분이 엔진룸측에 배치되므로, 엔진룸측의 각종 이물질과 충격 및 소음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인테이크 유닛(3)이 쉽게 오염 및 손상되고, 엔진룸측의 소음이 차실내에 그대로 전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엔진룸측에서 발생된 소음이, 인테이크 유닛(3)의 인테이크 케이스(3a)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소음이 내부공기유로(3c)를 통해 차실내측까지 그대로 전달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실내의 정숙성이 저하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테이크 유닛부분을 엔진룸측에 배치하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엔진룸측의 각종 이물질과 충격 및 소음으로부터 인테이크 유닛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룸측의 소음이 인테이크 유닛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인테이크 유닛부분이 엔진룸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엔진룸측의 소음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정숙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측으로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과, 상기 인테이크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차실내로 공급하는 열교환기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유닛의 인테이크 케이스를 덮도록,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되는 케이스 커버와;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케이스 방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커버와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는,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와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와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는, 서로들 간에 틈새없이 밀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와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는, 서로에 대해 정위치로 결합시킬 수 있는 정위치 결합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위치 결합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돌기들과; 상기 결합돌기들과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들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들과 결합홈들은, 상기 케이스 커버의 내측에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를 정위치 상태로 밀착시켰을 때에 서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와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를 정위치 상태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도, 상기 케이스 커버의 분할 몸체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의 상측부분에 대응되는 상측 몸체부와, 하측부분에 대응되는 하측 몸체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측 몸체부에 대응되는 제 1분할몸체부와, 상기 케이스 커버의 하측 몸체부에 대응되는 제 2분할몸체부로 분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엔진룸에 인테이크 유닛을 설치하되, 별도의 케이스 커버와 케이스 방음부재로 인테이크 유닛을 커버하는 구조이므로, 엔진룸측의 소음과 이물질과 수분으로부터 인테이크 유닛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 방음부재를 통해, 엔진룸측의 소음이 인테이크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엔진룸측의 소음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고, 이로써, 차실내의 정숙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커버와 방음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커버와 방음부재가 인테이크 케이스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인테이크 유닛부분이 엔진룸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10)과,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 유닛(20)을 포함한다.
인테이크 유닛(10)은, 내,외기도입구(12a, 12b)를 갖춘 인테이크 케이스(12)와, 내,외기도입구(12a, 12b)를 통해 도입된 내,외기를 열교환기 유닛(20)으로 송풍하는 블로어(14)를 갖추고 있으며, 차실내,외 공기를 흡입하여 차실내측으로 송풍한다.
열교환기 유닛(20)은, 증발기(22)와 히터(24)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인테이크 유닛(10)측으로부터 송풍된 내,외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다. 따라서, 차실내를 냉,난방한다.
한편, 인테이크 유닛(10)은, 대시패널(Dash Panel)(D)을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설치되고, 열교환기 유닛(20)은, 대시패널(D)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유닛(10)의 인테이크 케이스(12) 외측면 부분에 설치되는 케이스 커버(30)를 구비한다.
케이스 커버(30)는,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측면 부분 중, 엔진룸에 노출되는 외면부분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 커버(30)는, 엔진룸측의 인테이크 케이스(12) 외면부분 전체를 감싸는 구조이므로, 엔진룸측의 소음과 이물질 및 충격으로부터 인테이크 유닛(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엔진룸측에서 발생되거나, 외측에서 유입된 각종 오염물질과 수분 및 충격으로부터 인테이크 유닛(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각종 오염물질과 수분 및 충격으로 인한 인테이크 유닛(10)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케이스 커버(30)는, 엔진룸측의 소음이 인테이크 케이스(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엔진룸의 소음이 인테이크 케이스(12)를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케이스 커버(30)는, 인테이크 케이스(12)에 나사(S)체결에 의해 설치되는데, 이때, 케이스 커버(30)와 인테이크 케이스(12)에는, 나사(S)체결을 위한 나사체결부(15)가 여러 곳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커버(30)는,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케이스 커버(30)는,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케이스 커버(30)는,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 형상에 맞춰서 사출 성형된다.
이때, 케이스 커버(30)는, 복수의 몸체부(30a, 30b)로 분할 성형된다. 특히,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상측부분에 대응되는 상측 몸체부(30a), 하측부분에 대응되는 하측 몸체부(30b)로 서로 나눠지게 성형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인테이크 케이스(12)에 대한 케이스 커버(30)의 조립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케이스 커버(30)를 사출 성형할 시에, 보다 쉽게 성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케이스 커버(30)는,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에 맞춰 성형되어야 하는데,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 형상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하나의 몸체로 사출 성형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30)는,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부품(16, 18), 예를 들면, 인테이크 도어 구동용 액츄에이터(16)와, 블로어 구동용 액츄에이터(18)의 각 전기커넥터(16a, 18a)에 대응되는 관통홀(32)들을 갖추고 있다.
상기 관통홀(32)들은, 케이스 커버(30)를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에 설치하였을 시에,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12)의 각종 전기부품(16, 18) 전기커넥터(16a, 18a)와 정렬되면서 상기 전기부품(16, 18)의 전기커넥터(16a, 18a)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인테이크 케이스(12)에 케이스 커버(30)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외부의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12)의 각종 전기부품(16, 18) 전기커넥터(16a, 18a)와 연결 접속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케이스 커버(30)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Flange)(34)를 갖추고 있다.
플랜지(34)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커버(30)를 인테이크 케이스(12)에 설치하였을 시에, 상기 대시패널(D) 및,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기도입구(12b)측 인테이크 덕트(12b-1)와 면접촉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대시패널(D)과 인테이크 덕트(12b-1)에 대한 케이스 커버(30)의 밀착력을 높인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12)와 케이스 커버(30)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 방음부재(40)를 구비한다.
케이스 방음부재(40)는, 방음 및 흡음성능이 매우 좋은 연질의 재질, 예를 들면,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며, 인테이크 케이스(12)와 케이스 커버(30) 사이에 틈새없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양쪽면 부분이, 각각 인테이크 케이스(12)와 케이스 커버(30)에 틈새없이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 방음부재(40)는, 엔진룸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에 설치된 케이스 커버(30)가, 엔진룸측 소음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데도 불구하고, 엔진룸측의 소음은 케이스 커버(30)를 통과하여 인테이크 케이스(12)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엔진룸측의 소음을 2차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인테이크 케이스(12)에 대한 엔진룸측 소음의 차단효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이로써, 엔진룸의 소음이 인테이크 케이스(12)를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그 결과, 인테이크 유닛(10)부분이 엔진룸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엔진룸측의 소음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이로써, 인테이크 유닛(10)부분이 엔진룸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정숙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케이스 방음부재(40)는,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케이스 방음부재(40)는, 통상적으로, 케이스 커버(30)의 내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케이스 커버(30)와 케이스 방음부재(40)에는,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정위치로 결합시킬 수 있는 정위치 결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정위치 결합부(50)는, 케이스 커버(30)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52)들과, 상기 결합돌기(52)들과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케이스 방음부재(40)에 형성되는 결합홈(54)들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2)들과 결합홈(54)들은, 십자형으로 구성되는데, 이렇게 구성된 십자형 결합돌기(52)들과 결합홈(54)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커버(30)의 내측에 케이스 방음부재(40)를 정위치 상태로 밀착시켰을 때에,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스 커버(30)와 케이스 방음부재(40)가 서로에 대해 정위치로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40)에는, 케이스 커버(30)와 인테이크 케이스(12)의 나사체결부(15)와 정렬되는 나사구멍(42)들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42)들은, 케이스 커버(30)와 케이스 방음부재(40)의 나사체결부(15)와 정렬됨으로써, 나사(S)를 통해, 상기 케이스 커버(30)와 케이스 방음부재(40)를 체결할 시에, 상기 나사(S)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케이스 방음부재(40)는, 인테이크 케이스(12)와 케이스 커버(30) 사이에 설치되어 있되, 2부분으로 서로 나눠지게 구성된다. 특히, 케이스 커버(30)의 상측 몸체부(30a)와 하측 몸체부(30b)에 각각 대응될 수 있도록, 제 1분할몸체부(40a)와 제 2분할몸체부(40b)로 각각 나눠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케이스 방음부재(40)는, 상기 케이스 커버(30)의 관통홀(32)들과 각각 정렬될 수 있는 관통홀(44)들을 갖추고 있다.
케이스 방음부재(40)의 관통홀(44)들은, 상기 케이스 커버(30)의 관통홀(32)들과 마찬가지로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부품(16, 18), 예를 들면, 인테이크 도어 구동용 액츄에이터(16)와, 블로어 구동용 액츄에이터(18)의 전기커넥터(16a, 18a)에 대응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스 커버(30)와 케이스 방음부재(40)를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면에 설치하였을 시에,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12)의 각종 전기부품(16, 18) 전기커넥터(16a, 18a)와 정렬되면서 상기 전기부품(16, 18)의 전기커넥터(16a, 18a)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이 밖에도, 케이스 방음부재(4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커버(30)의 플랜지(34)와 대응될 수 있는 씰링 플랜지(Seal Flange)(46)를 갖추고 있다.
씰링 플랜지(46)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방음부재(40)를 케이스 커버(30)의 내측에 결합시켰을 시에, 상기 케이스 커버(30)의 플랜지(34) 외측면에 겹쳐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씰링 플랜지(4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커버(30)와 케이스 방음부재(40)를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측면에 설치하였을 시에, 상기 대시패널(D) 및,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12)의 외기도입구(12b)측 인테이크 덕트(12b-1)와 면접촉하면서 밀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대시패널(D)과 인테이크 덕트(12b-1)에 대한 케이스 커버(30)의 기밀성능을 높인다. 이로써, 엔진룸측에 대한 인테이크 유닛(10)의 기밀성능을 높여, 엔진룸측에서 발생된 각종 오염물질, 수분, 소음 등이 인테이크 유닛(10)측으로 유입될 수 없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엔진룸에 인테이크 유닛(10)을 설치하되, 별도의 케이스 커버(30)와 케이스 방음부재(40)로 인테이크 유닛(10)을 커버하는 구조이므로, 엔진룸측의 소음과 이물질과 수분으로부터 인테이크 유닛(1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인테이크 유닛(10)을 커버하는 케이스 방음부재(40)는, 엔진룸측의 소음이 인테이크 케이스(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인테이크 유닛(10)이 엔진룸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엔진룸측의 소음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고, 그 결과, 차실내의 정숙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인테이크 유닛(Intake Unit) 12: 인테이크 케이스(Intake Case)
12a: 내기도입구 12b: 외기도입구
12b-1: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 14: 블로어(Blower)
16: 인테이크 도어 구동용 액츄에이터(Actuator)
18: 블로어 구동용 액츄에이터 16a, 18a: 전기커넥터(Connector)
20: 열교환기 유닛(Unit) 22: 증발기
24: 히터(Heater) 30: 케이스 커버(Case Cover)
30a: 상측 몸체부 30b: 하측 몸체부
32: 관통홀(Hole) 34: 플랜지(Flange)
40: 케이스 방음부재 40a: 제 1분할몸체부
40b: 제 2분할몸체부 42: 나사구멍
44: 관통홀 46: 씰링 플랜지(Sealing Flange)
50: 정위치 결합부 52: 결합돌기
54: 결합홈

Claims (10)

  1.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측으로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과, 상기 인테이크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차실내로 공급하는 열교환기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유닛의 인테이크 케이스를 덮도록,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되는 케이스 커버와;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케이스 방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와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는,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와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와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는, 서로들 간에 틈새없이 밀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와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는,
    서로에 대해 정위치로 결합시킬 수 있는 정위치 결합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 결합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돌기들과;
    상기 결합돌기들과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들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들과 결합홈들은, 상기 케이스 커버의 내측에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를 정위치 상태로 밀착시켰을 때에 서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와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를 정위치 상태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도, 상기 케이스 커버의 분할 몸체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의 상측부분에 대응되는 상측 몸체부와, 하측부분에 대응되는 하측 몸체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측 몸체부에 대응되는 제 1분할몸체부와, 상기 케이스 커버의 하측 몸체부에 대응되는 제 2분할몸체부로 분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와 케이스 방음부재는,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에 설치되는 전기부품들의 전기커넥터에 대응되는 관통홀들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케이스 커버와 케이스 방음부재의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 설치 시에, 상기 전기부품의 전기커넥터와 정렬되어, 외부의 커넥터를 상기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측 전기부품의 전기커넥터와 연결 접속시킬 수 있게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와 인테이크 케이스에는, 상기 나사체결을 위한 복수의 나사체결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는,
    상기 케이스 커버와 인테이크 케이스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나사구멍들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유닛은, 대시패널(Dash Panel)을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 유닛은, 대시패널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가장자리를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Flange)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방음부재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플랜지 외측면에 겹쳐질 수 있는 가장자리 둘레의 씰링 플랜지(Sealing Flange)를 구비하며;
    서로 겹쳐진 상기 플랜지와 씰링 플랜지는, 상기 케이스 커버와 케이스 방음부재의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 설치 시에, 상기 대시패널 및, 상기 인테이크 케이스의 외기도입구측에 설치되는 인테이크 덕트와 면접촉하면서 기밀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00022233A 2019-05-10 2020-02-24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07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233A KR20210107349A (ko) 2020-02-24 2020-02-24 차량용 공조장치
PCT/KR2020/006105 WO2020231102A1 (ko) 2019-05-10 2020-05-08 차량용 공조장치
CN202080034696.3A CN113811456B (zh) 2019-05-10 2020-05-08 车辆空调
US17/609,343 US20220314750A1 (en) 2019-05-10 2020-05-08 Vehicle air conditioner
DE112020002317.6T DE112020002317T5 (de) 2019-05-10 2020-05-08 Fahrzeugklimaanl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233A KR20210107349A (ko) 2020-02-24 2020-02-2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349A true KR20210107349A (ko) 2021-09-01

Family

ID=7777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233A KR20210107349A (ko) 2019-05-10 2020-02-24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73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7349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646577B2 (ja) 車両のインタークーラ冷却用ダクト
CN113811456B (zh) 车辆空调
KR10157810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8029344B2 (en) Door assembly for climate control system
KR20190035528A (ko) 흡음부, 차음된 차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자동차
US20030108210A1 (en) Vechicle having loudspeaker
US11220153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90058817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812086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3785865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替装置
WO2005035968A1 (ja) 吸気装置
KR101484703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JP3790719B2 (ja) 遠心式送風機
KR2020012999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588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129559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S5819054Y2 (ja) 自動車用空調機器のハウジング構造
KR2019003474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145081Y1 (ko) 자동차의 블로우 모터 방음구
JP3312596B2 (ja) 自動車用電子制御ユニット収容箱と空冷用ダクトの結合構造
KR200157030Y1 (ko) 자동차 대쉬판넬의 에어콘 블로워 체결구조
JPH0974641A (ja) 電子制御ユニットの収容箱
JPH0414254Y2 (ko)
CN108661796B (zh) 内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