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405A - 거품 발생성 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거품 발생성 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405A
KR20210106405A KR1020217007588A KR20217007588A KR20210106405A KR 20210106405 A KR20210106405 A KR 20210106405A KR 1020217007588 A KR1020217007588 A KR 1020217007588A KR 20217007588 A KR20217007588 A KR 20217007588A KR 20210106405 A KR20210106405 A KR 20210106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oam
composition according
weight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365B1 (ko
Inventor
츠요시 쿠와하라
슌스케 카모
šœ스케 카모
Original Assignee
니토 메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110086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1010640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메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메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7Heparin; Hepar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고분자 계면활성제를 거품 발생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사용 시에 거품을 형성하는 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외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펌프 포머 용기나 스퀴즈 포머 용기에 충진하여 제공된다.

Description

거품 발생성 외용 조성물
본 발명은, 사용 시에 거품을 형성하는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부(두피 포함)에 사용하는 외용약으로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등이 사용되어 왔지만, 근년, 흘러내리지 않고 간편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또한, 매끄럽게 펴 바를 수 있는 등 사용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발포성 액체와 분사제를 사용하여 거품상으로 분출하는 에어로졸형 제제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에어로졸형 제제는 분사제로서 액화 프로판 등의 액화 가스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관한 규제를 받으며, 또한 사용이 끝난 캔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없는 등의 환경상의 점에서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펌프 포머 용기나 스퀴즈 포머 용기 등을 사용하여 토출 시에 거품상을 띠는 논가스 타입의 제제도 개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거품을 형성시키는 성분으로서 계면활성제가 알려져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거품 발생력은 높지만 자극성이 있다고 여겨져 있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자극성은 낮지만 거품 발생력이 낮다고 여겨지고 있어, 1종의 계면활성제로 거품 발생력과 안전성 모두 만족할 만한 것은 얻어지지 않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와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조합함으로써, 안전하고 양호한 거품을 형성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214407호 공보
그러나, 피부로의 부담을 보다 적게 하기 위해서는 첨가물은 적은 편이 바람직하고, 보다 적은 첨가물로, 보다 양호한 거품 질, 흘러내림이 없는 적당한 거품 유지감, 사용감이 좋은 거품을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거품 발생성 외용 조성물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양호한 거품 질, 흘러내림이 없는 적당한 거품 유지감, 사용감이 좋은 거품을 생성할 수 있는 거품 발생성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했더니, 고분자 계면활성제를 거품 발생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고분자 계면활성제를 거품 발생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사용 시에 거품을 형성하는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후술하는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처방에 의해, 보다 양호한 거품 질, 흘러내림이 없는 적당한 거품 유지감, 사용감이 좋은 새로운 외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고, 특히 가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펌프 포머 용기나 스퀴즈 포머 용기를 사용하여, 토출 시에 거품상을 나타내는 논가스 타입의 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고,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피부 질환의 치료에 적합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도 1은 실시예 1의 결과(거품 형성)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결과(거품의 지속성(폴리우레탄으로 평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의 결과(거품의 지속성(킴타월로 평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결과(거품의 드리핑)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사용 시에 원액을 거품상으로 하여 피부에 분무하기 위한 스프레이제, 혹은 그 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액이란, 거품 발생 가능한 액체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분사제를 사용하지 않고 펌프에 의해 용기 내의 원액을 분무하는 거품 토출 용기를 사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거품 토출 용기로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공기와 혼합하여 발포 상태에서 토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압박 펌프로부터 토출하는 펌프 스프레이(펌프 포머) 용기, 연질 용기의 동체부를 압박해서 토출하는 스퀴즈 포머 용기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고분자 계면활성제는,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히프로멜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특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히프로멜로오스)가 바람직하다. 히프로멜로오스로서는, 일본 약전에 규정된 치환도 타입이 2906 또는 2910의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고분자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중량%, 특히 약 0.5중량%, 약 0.75중량%나 약 1중량% 정도 함유하는 것이 예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수치에 대해서 "약"이라고 할 경우, 나타난 수치의 ±20% 또는 ±10% 혹은 5%의 값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종의 고분자 계면활성제만으로도 원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고분자 계면활성제에 더하여 목적에 따라, 의약품,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다른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해도 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N-아실-N-메틸글리신염, 알킬술폰산 나트륨, 알킬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라우릴 황산 나트륨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지방족 아민염, 지방족 4급 암모늄염,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1가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이소프렌글리콜, 1,2-펜탄디올, 2,4-헥산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이 예시되고, 1종 혹은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이 적합하게 예시된다. 해당 알코올의 총 함유량은, 5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3 내지 12 범위의 pH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pH값은 4 내지 10이다. 조성물을 상기 범위의 pH값으로 조절하기 위한 pH 조절제로서는, 낮은 pH 영역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인산 2 수소 칼륨, 시트르산 등을 들 수 있고, 높은 pH 영역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락트산 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L-아르기닌,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pH 조절제로서, 인산 2 수소 칼륨, 수산화 칼륨, 시트르산 나트륨, 시트르산, 디이소프로판올아민, 에데트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 조성물은, 상기 성분의 이외에, 보존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습윤제,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등, 피부용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의 예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 메틸, 파라옥시벤조산 에틸,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 등의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파라벤류), 벤조산 나트륨, 페녹시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복수를 병용해도 된다. 조성물에 있어서의 보존제의 함유량은, 0.01 내지 1중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0.5중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 유효 성분이나 화장료로서 유효한 성분을 배합하여 의약품이나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제로서 제공되어도 좋고,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 유효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의약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도 본 발명의 양태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하여 제공되는 외용제로서, 피부의 염증,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여드름, 반흔, 욕창, 좌창 등의 치료(치유, 증상의 개선, 악화의 방지, 발증의 예방 등을 포함) 등의 피부 질환에 적합하게 적용되고, 피부뿐만 아니라 두피와 같은 유모부(有毛部)로의 적용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배합되는 유효 성분으로서는, 피부에 적용하여 제공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한정은 없지만, 스테로이드류,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살균제, 항균제, 항진균제, 비타민류, 면역억제제, 무코 다당류, cAMP 유도체,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나프토산 유도체, 과산화 벤조일 등이 예시된다. 상기 스테로이드류로서는, 스테로이드 골격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한정은 없지만, 코르티손, 히드로코르티손, 아세트산 플루드로코르티존,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클로베타솔 및 그의 유도체 등, 상기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로서는, 인도메타신, 수프로펜, 케토티펜,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등, 상기 살균제로서는,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염화 벤잘코늄 등, 상기 항균제로서는, 테트라사이클린 염산염, 클로람페니콜, 황산 프라디오마이신, 나디플록사신, 클린다마이신 인산 에스테르, 오제녹사신,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염산염, 폴리믹신 B 황산염 등, 황산 겐타마이신, 푸시딘산 나트륨 등, 상기 항진균제로서는, 테르비나핀, 부테나핀, 비포나졸, 케토코나졸 등, 상기 비타민류로서는, 비타민 A 또는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비타민 A 오일 등), 비타민 B 또는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판테놀 등),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 비타민 D 또는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활성형 비타민 D3 등),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토코페롤 아세트산 에스테르 등), 비타민 K 또는 그의 유도체 등, 상기 면역억제제로서는, 타크롤리무스, 시클로포스파미드 등, 상기 무코 다당류로서는, 헤파린 유사 물질 혹은 히알루론산 및 그의 염, cAMP 유도체로서는, 부클라데신나트륨 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로서는 트라페르민 등, 나프토산 유도체로서는, 아다팔렌 등이 예시된다. 이들의 함유량은, 0.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이다. 특히, 헤파린 유사 물질 혹은 히알루론산 및 그의 염과 같은 무코 다당류를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이 적합하게 예시된다.
특히, 헤파린 유사 물질을 포함하는 거품 발생성 조성물은, 헤파린 유사 물질이, 혈액 응고 억제 작용, 혈유량 증가 작용, 혈종 소실 또는 퇴치 촉진 작용, 각질 수분 유지 증강 작용 및 섬유아세포 증식 억제 작용을 갖기 때문에, 건조성 피부 질환, 피지 결핍증, 진행성 지장각피증, 동창(凍瘡), 비후성 반흔 켈로이드, 혈행 장애에 기초하는 동통과 염증성 질환(주사 후의 경결 그리고 동통), 혈전성 정맥염(치핵 포함), 외상(타박, 염좌, 좌상) 후의 종창·혈종·건초염·근육통·관절염, 근성사경 등의 치료용 조성물로서도 적합하다.
이하에 실험예를 들어 본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본원의 효과를 밝히지만, 이것들은 단순한 예시이며, 이들에 의해 본원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하기 처방에 따라, 조제한 검체를 펌프 포머 용기에 충전하고, 용기로부터 토출 시의 거품 형성의 유무를 평가하였다(표 1, 도 1).
또한, 검체 A로부터 I 및 N이 고분자 계면활성제이다.
Figure pct00001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검체의 입수원을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본 발명의 거품 발생성 외용 조성물에 배합되는 고분자 계면활성제는 각각 단독으로 거품 발생제로서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하기 처방에 따라, 조제한 검체를 펌프 포머 용기에 충전하고, 거품 형성의 유무, 거품 질, 거품의 유지 시간 및 드리핑의 유무를 측정하였다(표 3 및 표 4). 조건 A에서는, 건강인의 피부에 가까운 재질로서 폴리우레탄 소재의 매트를 사용하고, 조건 B에서는 비교적 중증의 건성 피부를 상정한 킴타월(キムタオル)을 사용하여 그 위에 토출시켰다(도 2 및 도 3). 또한, 폴리우레탄 소재의 매트에 토출 후, 약 45℃도로 기울여 드리핑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도 4).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히프로멜로오스는 단체(單體)에서 양질로 안정한 거품을 형성하고, 5분 후에도 유지, 3 분 후에도 드리핑되지 않았다. 이 효과는, 다가 알코올을 조합함으로써 더 개량되었다. 한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에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나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를 조합한 것은, 거품을 형성하지 않거나, 형성하여도 탄력이 낮고, 유지 시간이 짧으며, 드리핑되고, 다가 알코올을 조합하여도 히프로멜로오스를 사용한 제제와 비교하여 탄력이나 유지 시간 등에서 떨어졌다.
실시예 3
점도가 다른 히프로멜로오스를 사용하여, 농도에 따른 거품 형성의 유무를 평가했다. 또한, 거품 질의 평가 기준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Figure pct00005
히프로멜로오스의 점도에 관계없이, 농도 0.2% 이상에서 거품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표 2의 원료명 2에 나타내는 처방에, 헤파린 유사 물질을 0.1 혹은 0.3%의 농도로 포함하는 2종의 조성물을 제조하고, 펌프 포머 용기에 충전하여 거품 형성의 유무, 거품의 유지 시간 및 드리핑의 유무를 측정하였다(표 5).
Figure pct00006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결, 탄력 모두 양호한 거품 질을 가지며, 흘러내림이 없는 적절하게 거품을 유지하는 헤파린 유사 물질 함유 의약 조성물이 얻어졌다.

Claims (13)

  1. 고분자 계면활성제를 거품 발생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사용 시에 거품을 형성하는 외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고분자 계면활성제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이 1,3-부틸렌글리콜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0.2 내지 3중량%, 1,3-부틸렌글리콜을 15 내지 40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 유효 성분을 적어도 1종 포함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의약 유효 성분이 무코 다당류인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의약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인,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의약 유효 성분으로서 헤파린 유사 물질 및/또는 히알루론산 혹은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펌프 포머 용기 또는 스퀴즈 포머 용기에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13.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KR1020217007588A 2018-12-19 2019-12-18 거품 발생성 외용 조성물 KR102584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7587 2018-12-19
JP2018237587 2018-12-19
PCT/JP2019/049587 WO2020130035A1 (ja) 2018-12-19 2019-12-18 起泡性外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405A true KR20210106405A (ko) 2021-08-30
KR102584365B1 KR102584365B1 (ko) 2023-10-04

Family

ID=7110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588A KR102584365B1 (ko) 2018-12-19 2019-12-18 거품 발생성 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781358B1 (ko)
KR (1) KR102584365B1 (ko)
CN (1) CN113164511A (ko)
WO (1) WO2020130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52486A0 (en) 2002-10-25 2003-05-29 Meir Eini Alcohol-fre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oam carrier
US8636982B2 (en) 2007-08-07 2014-01-28 Foamix Ltd. Wax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WO2011013009A2 (en) 2009-07-29 2011-02-03 Foamix Ltd. Non surfactant hydro-alcoholic foamable compositions, breakable foams and their uses
MX2017011630A (es) 2016-09-08 2018-09-25 Foamix Pharmaceuticals Ltd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tratar rosacea y acne.
WO2023127941A1 (ja) * 2021-12-28 2023-07-06 株式会社 資生堂 ポンプフォーマー用日焼け止め化粧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813A (ja) * 2005-11-17 2007-06-07 Kowa Co 非エアゾール式のフォーム剤用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を用いたフォーム剤
US20130136805A1 (en) * 2010-08-13 2013-05-30 Servet Buyuktimkin Foamable compositions of stabilized chlorite
JP2016128424A (ja) * 2014-12-24 2016-07-14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スクリーンフォーマー用の外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152B2 (ko) * 1972-08-12 1982-04-21
US7651990B2 (en) * 2005-06-13 2010-0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amable alcohol compositions comprising alcohol and a silicone surfactant, systems and methods of use
RS52336B (en) * 2007-05-10 2012-12-31 Neubourg Skin Care Gmbh & Co. Kg FOAM TENSIDE FORMULATIONS
JP5661253B2 (ja) * 2009-05-18 2015-01-28 株式会社ダイゾー エアゾール組成物
JP5952084B2 (ja) * 2012-05-22 2016-07-13 日進化学株式会社 エアゾール組成物と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813A (ja) * 2005-11-17 2007-06-07 Kowa Co 非エアゾール式のフォーム剤用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を用いたフォーム剤
US20130136805A1 (en) * 2010-08-13 2013-05-30 Servet Buyuktimkin Foamable compositions of stabilized chlorite
JP2016128424A (ja) * 2014-12-24 2016-07-14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スクリーンフォーマー用の外用組成物
JP2017214407A (ja) 2014-12-24 2017-12-07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スクリーンフォーマー用の外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81358B1 (ja) 2020-11-04
WO2020130035A1 (ja) 2020-06-25
CN113164511A (zh) 2021-07-23
KR102584365B1 (ko) 2023-10-04
JP2020176148A (ja) 2020-10-29
JPWO2020130035A1 (ja)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4365B1 (ko) 거품 발생성 외용 조성물
US8664224B2 (en) External preparation for athlete's foot treatment
JP6017455B2 (ja) 毛髪成長を増強する方法
US20080063607A1 (en) Oleaginous pharmaceutical and cosmetic foam
US20100216757A1 (en) Sprayable compositions comprising pharmaceutical active agents, volatile silicones and a non-volatile oily phase
US10265268B2 (en) External composition for screen foamers
KR20120099454A (ko) 모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JP2016130224A (ja) 外用組成物
US20150283080A1 (en) Stabilized dermatological delivery system for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s for topical administration to the skin
JP7313111B2 (ja) 皮脂分泌促進剤及び外用組成物
JP5849550B2 (ja) ステロイド性抗炎症薬含有外用剤
KR20150085968A (ko) 시노메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WO2020138403A1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エアゾール剤
JP7257378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
JP7282155B2 (ja) 頭皮用外用組成物
JP7329485B2 (ja) 頭皮用外用組成物
JP2023018775A (ja) 外用組成物
JP2022094515A (ja) 外用組成物
JP5879837B2 (ja) ステロイド性抗炎症薬含有外用剤
JP2022178152A (ja) 外用組成物
KR20150085970A (ko) 하이드록시 데카노익애씨드를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2022178158A (ja) 外用組成物
JP2023095650A (ja) 界面活性剤を含有する組成物
JP2020055773A (ja) 油性外用液
KR20150085697A (ko) 피트산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