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189A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189A
KR20210099189A KR1020217024456A KR20217024456A KR20210099189A KR 20210099189 A KR20210099189 A KR 20210099189A KR 1020217024456 A KR1020217024456 A KR 1020217024456A KR 20217024456 A KR20217024456 A KR 20217024456A KR 20210099189 A KR20210099189 A KR 20210099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ntainer
replenishing container
introducing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544B1 (ko
Inventor
요헤이 가모
다이지로 가토
유스케 오이즈미
아야토모 오키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2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6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현상제 보급 용기는,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현상제 도입부와,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11b)를 갖는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하다. 현상제 보급 용기는,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셔터 개구가 형성된 배출부와, 걸림 결합부(30)를 갖는다. 걸림 결합부(30)는,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여, 도입구가 셔터 개구와 연통되도록 현상제 도입부를 변위시킨다. 또한, 걸림 결합부(30)는,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방향 상류를 향할수록, 장착 방향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는 만곡부(3b)를 갖는다.

Description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 등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미세 분말의 토너 등의 현상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에 의해 소비되어 버리는 현상제를, 현상제 보급 용기로부터 보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 보급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마련된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 장치의 현상제 도입부를 현상제 보급 용기의 배출구를 향하여 변위시키는 구성이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3-015826호 공보).
본 발명은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의 조작력을 경감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현상제 도입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를 갖는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이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회전 가능한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저면에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피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하여, 상기 도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현상제 도입부를 변위시키는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 단부의 상기 장착 방향에 대한 제1 각도가 상기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 단부의 상기 장착 방향에 대한 제2 각도보다 큰 형상인 현상제 보급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의 조작력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도입 장치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도입 장치를 나타내고, (a)는 부분 확대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단면도, (c)는 현상제 도입부의 사시도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를 나타내고, (a)는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b)는 플랜지부 주변의 단면도, (c)는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랜지부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저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걸림 결합부의 측면도이고, (a)는 장착 방향 하류측의 맞닿음 각도를, (b)는 장착 방향 상류측의 맞닿음 각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피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부의 관계를 나타내고, (a)는 걸림 결합 개시 전의 관계, (b)는 걸림 결합 개시 시의 관계, (c)는 걸림 결합 도중의 관계, (d)는 도입구가 셔터 개구와 연통하였을 때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셔터를 나타내고, (a)는 상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펌프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왕복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a)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a)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 시에 현상제 도입부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맞닿음 각도와 계수 C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현상제 도입부의 높이와 조작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를 나타내고, (a)는 현상제 보급 용기의 단부를,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b)는 걸림 결합부의 측면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a)는 비교예 2에 있어서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 시의 피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b)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 시의 피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를 나타내고, (a)는 현상제 보급 용기의 단부를,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b)는 피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하기 전의 걸림 결합부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에서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 시의 피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도 1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장치 본체(100a)의 상부에 원고 판독 장치(103)를 갖는다. 원고(101)는, 원고대 유리(102) 위에 놓인다. 그리고, 원고(101)의 화상 정보에 따른 광상(光像)을 원고 판독 장치(103)의 복수의 미러 M과 렌즈 Ln에 의해, 상 담지체로서의 원통형의 감광체인 감광 드럼(104) 위에 결상시킴으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 정전 잠상은 건식의 현상기(1성분 현상기)(201)에 의해 현상제(건식 분체)로서의 토너(1성분 자성 토너)를 사용하여 가시화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보급 용기(1)(토너 카트리지라고도 칭함)로부터 보급해야 할 현상제로서 1성분 자성 토너를 사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와 같은 예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1성분 비자성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을 행하는 1성분 현상기를 사용하는 경우, 현상제로서 1성분 비자성 토너를 보급하게 된다. 또한, 자성 캐리어와 비자성 토너를 혼합한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을 행하는 2성분 현상기를 사용하는 경우,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를 보급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와 함께 자성 캐리어도 함께 보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도 1에 도시하는 현상기(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고(101)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04)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서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하는 것이다. 또한, 현상기(201)에는,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이 접속되어 있고,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은, 현상제 보급 용기(1)와,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착탈 가능한 현상제 도입 장치(8)를 갖는다.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현상기(201)는, 현상제 호퍼부(201a) 외에, 현상 롤러(201f)가 마련되어 있다. 이 현상제 호퍼부(201a)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보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201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교반 부재(201c)에 의해 교반된 현상제는, 반송 부재(201d)에 의해 반송 부재(201e) 측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반송 부재(201e, 201b)에 의해 차례로 반송되어 온 현상제는, 현상 롤러(201f)에 담지되어, 최종적으로 감광 드럼(104)과 대향하는 현상부로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성분 현상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현상기(201)로 보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경우, 현상제 보급 용기로부터 현상제로서의 토너 및 캐리어를 보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카세트(105 내지 108)는, 각각 시트 등의 기록재 S를 수용한다. 화상 형성 시에는, 이들 카세트(105 내지 108) 중,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부(100d)로부터 조작자(유저나 서비스맨)가 입력한 정보 혹은 원고(101)의 사이즈를 바탕으로 최적인 기록재 S를 수용한 카세트가 선택된다. 여기서 기록재 S로서는 용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OHP 시트 등 적절하게 사용,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급송 분리 장치(105A 내지 108A)에 의해 반송된 1매의 기록재 S를, 반송부(109)를 경유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까지 반송하고, 감광 드럼(104)의 회전과, 원고 판독 장치(103)의 스캔 타이밍을 동기시켜서 반송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의 기록재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감광 드럼(104)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전사 대전기(111) 및 분리 대전기(112)가 마련되어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에 의해 반송된 기록재 S는, 전사 대전기(111)에 의해, 감광 드럼(104) 위에 형성된 현상제에 의한 화상(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그리고,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재 S는, 분리 대전기(112)에 의해 감광 드럼(10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반송부(113)에 의해 반송된 기록재 S는, 정착부(114)에 있어서 열과 압력이 가해져, 기록재 위에 토너 상이 정착된다. 그 후, 토너 상을 정착한 기록재 S는, 편면 카피의 경우에는, 배출 반전부(115)를 통과하고, 배출 롤러(116)에 의해 배출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한편, 양면 카피의 경우에는, 기록재 S는, 배출 반전부(115)를 통과하고, 일단, 배출 롤러(116)에 의해 일부가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후, 기록재 S의 종단이 전환 부재(118)를 통과하고, 배출 롤러(116)에 아직 끼움 지지되어 있는 타이밍에 전환 부재(118)의 위치를 전환함과 함께 배출 롤러(116)를 역회전시킴으로써, 기록재 S는, 다시, 장치 내로 반송된다. 또한, 이후, 기록재 S는, 재 급송 반송부(119, 120)를 경유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까지 반송된 후, 편면 카피의 경우와 마찬가지 경로를 거쳐서 배출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상기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있어서, 감광 드럼(104)의 둘레에는 현상기(201), 클리너부(202), 1차 대전기(203) 등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기(201)는, 원고 판독 장치(103)에 의해 판독한 원고(101)의 화상 정보 등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04)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부착시킴으로써,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것이다. 또한, 1차 대전기(203)는, 감광 드럼(104) 위에 원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감광 드럼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클리너부(202)는 감광 드럼(104)에 잔류하고 있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100a)의 외장 커버의 일부인 교환용 커버(40)를 조작자가 열면, 후술하는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일부가 나타난다. 그리고, 이 현상제 도입 장치(8)에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삽입함으로써, 현상제 보급 용기(1)는, 현상제 도입 장치(8)로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한편, 조작자가 현상제 보급 용기(1)를 교환할 때는, 장착 동작과는 반대의 동작을 행하여 현상제 도입 장치(8)로부터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이탈시킨 후에, 새로운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장착한다. 또한, 교환용 커버(40)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착탈(교환)하기 위한 전용 커버이며,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착탈하기 위해서만 개폐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인터넌스는, 전방면 커버(100c)를 개폐함으로써 행해진다. 여기서, 교환용 커버(40)와 전방면 커버(100c)는 일체여도 되고, 그 경우, 현상제 보급 용기(1)의 교환이나,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인터넌스는 일체화된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개폐함으로써 행해진다.
[현상제 도입 장치]
다음에,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해, 도 3의 (a) 내지 도 4의 (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현상제 도입 장치(8)에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장착 스페이스)(8f)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부(8f)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착탈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삽입 가이드(8e)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삽입 가이드(8e)에 의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이 화살표 A 방향이 되도록,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이탈 방향이 화살표 A 방향과 반대 방향(화살표 B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a) 내지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 장치(8)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로서 기능하는 구동 기어(9)를 갖고 있다. 이 구동 기어(9)는, 구동 모터(500)로부터 구동 기어열(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어, 장착부(8f)에 장착된 상태에 있는 현상제 보급 용기(1)에 대해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동 모터(500)는, 제어 장치(6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어 장치(600)는, 구동 모터(500)의 제어 외에, 화상 형성 장치(100)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은 제어 장치(6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을 갖고 있다. CPU는, ROM에 저장된 제어 수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판독하면서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RAM에는, 작업용 데이터나 입력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CPU는, 전술한 프로그램 등에 기초하여 RAM에 수납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어를 행한다.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장착부(8f)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를 도입하기 위한 현상제 도입부(11)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제 도입부(11)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에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도 5의 (b) 참조)와 접속되고,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11a)를 갖는다.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에 대해 원근 이동하는 방향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구체적으로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 부재(스프링)(12)에 의해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연직 방향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즉, 가압 부재(12)는, 현상제 도입부(11)를,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변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 때문에,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에 접근하는 방향(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할 때, 가압 부재(12)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장착부(8f)에는, 현상제 도입부(11)보다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상류측에 제1 셔터 스토퍼부(8a) 및 제2 셔터 스토퍼부(8b)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제2 셔터 스토퍼부(8a, 8b)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착탈 중의 현상제 보급 용기(1)에 있어서, 후술하는 셔터(4)(도 10의 (a) 등 참조)만에 관한 것으로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상대 이동을 규제한다. 이 경우, 셔터(4)는 후술하는 용기 본체(2) 등의 셔터(4) 이외의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일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게 된다.
도 3의 (b) 및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연직 방향 하방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보급된 현상제를 일시적으로 저류해 두는 서브 호퍼(8c)가 마련되어 있다. 이 서브 호퍼(8c) 내에는, 현상기(201)의 일부인 현상제 호퍼부(201a)(도 1 참조)에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스크류(14)와, 현상제 호퍼부(201a)와 연통한 개구(8d)가 마련되어 있다.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에는, 도입구(11a)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본체 시일(13)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 시일(13)은, 탄성체, 발포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시일(13)은,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를 둘러싸는 개구 시일(3a5)(도 5의 (b) 참조)과의 사이에서 후술하는 셔터(4)를 사이에 두고 밀착한다. 이에 의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셔터(4)의 셔터 개구(4j)(배출구)를 통하여 도입구(11a)로 배출되는 현상제가, 현상제 반송 경로인 도입구(11a) 밖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입구(11a)의 직경은, 장착부(8f) 내의 현상제에 의해 오염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셔터(4)의 셔터 개구(4j)의 직경보다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부터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셔터 개구(4j)의 직경보다 도입구(11a)의 직경이 작은 경우, 셔터 개구(4j)로부터 배출된 현상제가 본체 시일(13)의 상면에 부착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부착된 현상제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착탈 동작 시에 현상제 보급 용기(1)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현상제에 의한 오염의 한 요인이 된다. 이 점을 감안하여, 도입구(11a)의 직경은, 셔터 개구(4j)의 직경에 대해 대략 동일한 직경 내지 약2㎜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셔터(4)의 셔터 개구(4j)의 직경이 약2㎜인 미세구(핀 홀)인 경우, 도입구(11a)의 직경은 약 3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에는, 측면에 중앙측을 향해 돌출된 피걸림 결합부(11b)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이 피걸림 결합부(11b)는, 후술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1)에 마련된 걸림 결합부(30)(도 7의 (a) 참조)와 직접 걸림 결합하여, 가이드됨으로써, 현상제 도입부(11)가 현상제 보급 용기(1)를 향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현상제 보급 용기]
다음에,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1)에 대해, 도 5의 (a) 내지 도 13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를 사용하여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현상제 보급 용기(1)는, 주로 용기 본체(2), 플랜지부(3), 셔터(4), 펌프부(5), 왕복 부재(6), 커버(7)를 갖는다. 현상제 보급 용기(1)는, 현상제 도입 장치(8) 내에서 도 5의 (a)에 도시하는 회전 축선 P를 중심으로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를 현상제 도입 장치(8)로 보급한다. 이하에, 현상제 보급 용기(1)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 본체]
용기 본체(2)는, 주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2c)를 갖는다. 또한, 용기 본체(2)에는, 용기 본체(2)가 회전 축선 P에 대해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수용부(2c)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반송 홈(2a)(반송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일단부면측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캠 홈(2b)과, 본체측으로부터 구동을 받는 구동 받기부(2d)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 홈(2b)과 구동 받기부(기어)(2d)가 용기 본체(2)에 대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캠 홈(2b) 혹은 구동 받기부(2d)를 별체로서 형성하여, 용기 본체(2)에 일체적으로 장착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로서, 예를 들어 체적 평균 입경이 5㎛ 내지 6㎛인 토너가 현상제 수용부(2c)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수용부(2c)는 용기 본체(2)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2)와 후술하는 플랜지부(3) 및 펌프부(5)의 내부 공간을 합친 것이다.
[플랜지부]
계속해서, 플랜지부(3)에 대해 도 5의 (a)를 참조하면서, 도 7의 (a) 내지 도 9의 (d)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플랜지부(3)는, 용기 본체(2)와 회전 축선 P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현상제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장착되면, 플랜지부(3)는 장착부(8f)(도 3의 (a) 참조)에 대해 화살표 R 방향의 회전이 불가능해지도록 보유 지지된다. 또한, 플랜지부(3)의 일부에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가 마련되어 있고, 그 주위에는 개구 시일(3a5)이 첩착되어 있다. 플랜지부(3)에는, 도 5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부(5), 왕복 부재(6), 셔터(4), 커버(7)가 장착되어 있다.
우선,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의 일단측에는 펌프부(5)가 나사 접합되고, 타단측에는 용기 본체(2)가 도시하지 않은 시일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접합된다. 또한, 펌프부(5)를 집듯이, 왕복 부재(6)가 배치되고, 왕복 부재(6)에 마련된 걸림 결합 돌기(6b)(도 12의 (a), (b) 참조)가 용기 본체(2)의 캠 홈(2b)(도 6 참조)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플랜지부(3)에는 셔터(4)가 내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3)와 셔터(4)로, 현상제 수용부(2c)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부(30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셔터(4)가 마련되어 있는 면은, 플랜지부(3)의 저면이다. 또한, 외관상의 외견을 향상시킬 목적과 왕복 부재(6), 펌프부(5)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한 플랜지부(3), 펌프부(5), 왕복 부재(6)의 전체를 덮도록 커버(7)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도 5의 (b)와 같이 구성된다.
[걸림 결합부]
플랜지부(3)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도 4의 (c) 참조)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 결합부(30)를 갖고 있다. 걸림 결합부(30)는,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 도입부(11)로의 현상제 보급이 가능한 서로가 접속된 상태로 되도록,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부(11)를 현상제 보급 용기(1)를 향하여 변위시킨다. 또한, 걸림 결합부(30)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취출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보급 용기(1)와 현상제 도입부(11)의 접속 상태가 끊어지도록, 현상제 도입부(11)가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가이드한다.
걸림 결합부(30)는, 도 7의 (a) 내지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부(3b)와, 평행부(연신부)(3c)를 갖는다. 도 5의 (c)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30)(만곡부(3b), 평행부(3c))는, 회전 축선 P를 포함하는 평면 H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나아가, 회전 축선 P를 포함하는 평면 H는 수평면이며, 걸림 결합부(30)는, 이 수평면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만곡부(3b)는, 현상제 도입부(11)의 개봉 동작이 행해지도록,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현상제 도입부(11)를 변위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3b)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부(11)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개구 시일(3a5) 위의 일부와 접속한 상태로 되도록, 현상제 도입부(11)를 현상제 보급 용기(1)를 향하여 변위시킨다. 이 때문에 만곡부(3b)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만곡부(3b)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되는 방향으로, 걸림 결합한 피걸림 결합부(11b)를 안내하도록 만곡된 만곡면을 갖는다. 상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걸림 결합부는 이하의 구성으로 된다. 하단(제1 위치)으로부터 상단(제2 위치)을 향하여 연신되어 있는 경사부(제1 부분)(31)와 평행부(제2 부분)(32)는 피걸림 결합부(11b)가 통하는 트랙(track)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랙은 평면 H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회전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가상했을 때에, 배출구와 트랙은 동일한 영역(하방 영역)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평행부(32)는 수평면 H나 상기 가상한 평면에 경사부(31)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도입부(11)에 있어서, 피걸림 결합부(11b)와 도입구는 회전 축선 P에 직교하는 동일 평면 위에 있다. 그 결과, 피걸림 결합부(11b)와 평행부(32)는 회전 축선 P에 직교하는 동일 평면 위에 있다. 이 트랙에 피걸림 결합부(11b)가 걸림 결합하여, 피걸림 결합부(11b)를 들어 올려지는 결과, 배출구와 도입구가 연통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연통이 형성되었을 때, 현상제 보급 용기 내부와 배출구까지의 배출 경로가 형성되어, 현상제 보급 용기 내의 현상제가 도입구를 향하여 배출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3b)는,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는 면(만곡면)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 상류(화살표 A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할수록, 장착 방향에 대한 각도(맞닿음 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부(3b)의 장착 방향이 임의의 제1 위치의 맞닿음 각도를 θ1,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부(3b)의 상술한 임의의 제1 위치보다 장착 방향 상류측의 임의의 제2 위치의 맞닿음 각도를 θ2라 하자. 이 경우에, 만곡부(3b)는, θ2<θ1을 만족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만곡부(3b)의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는 면(상면)은, 상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3b)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피걸림 결합부(11b)의 걸림 결합이 개시되는 위치로부터 마련되어 있다.
평행부(걸림 결합면)(3c)는, 만곡부(3b)의 장착 방향 상류단부와 매끄럽게 연속되고, 장착 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평행부(3c)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용기 배출구(3a4)가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와 연통한 상태로 되도록, 현상제 도입부(11)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즉, 현상제 도입부(11)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개구 시일(3a5) 위의 일부와 접속하고 나서,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동안, 본체 시일(13)과 개구 시일(3a5)이 접속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도입구(11a)가 개구 시일(3a5) 위의 일부와 접속하고 나서 용기 배출구(3a4)까지 이동하는 동안, 본체 시일(13)과 개구 시일(3a5)이 접속한 상태를 유지시켜, 도입구(11a)를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시킨다. 이 때문에 평행부(3c)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평행부(3c)의 피걸림 결합부(11b)가 걸림 결합하는 면은, 대략 수평인 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평행부(3c)는, 장착 방향 혹은 회전 축선 P와 대략 평행인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의 평행부(3c)에 대응하는 걸림 결합부는, 평행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경사져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보급 용기의 회전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용기 배출구(3a4)를 통과하는 평면은, 이 평행부를 통과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현상제 보급 용기(1)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장착 시에는, 우선, 도 9의 (a)로부터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30)의 만곡부(3b)의 장착 방향 하류 단부에,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가 접촉한다. 그리고, 도 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피걸림 결합부(11b)가 만곡부(3b)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연직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이 때문에, 현상제 도입부(11)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의해 피걸림 결합부(11b)가 만곡부(3b)를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연직 방향 상방(화살표 D 방향), 즉 현상제 보급 용기(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또한,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삽입되면, 도 9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걸림 결합부(11b)가 평행부(3c)에 탑승하여 이동하면,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한 상태로 된다. 여기서, 도 9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와 평행부(3c)의 위치 관계는 용기 배출구(3a4)를 통하는 회전 축선 P에 직교하는 평면 L이 평행부(3c)를 통하는 관계에 있다. 또한, 평행부(3c)를 포함하는 평면은, 회전 축선 P와 용기 배출구(3a4) 사이에 배치되는 관계에 있다.
또한, 현상제 도입부(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12)(도 3의 (b))에 의해 연직 방향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현상제 도입부(11)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제거할 때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가 화살표 A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피걸림 결합부(11b)가 만곡부(3b)를 따라 가이드되어,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하게 된다.
[셔터]
다음에, 셔터(4)에 대해, 도 10의 (a),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셔터(4)는 플랜지부(3)의 셔터 삽입부(3d) 위(도 7의 (a) 참조)를 미끄럼 이동하도록 하여,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일부(플랜지부(3))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셔터(4)는, 배출구로서의 셔터 개구(4j)를 갖고,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착탈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도 7의 (b) 참조)를 개폐한다. 즉,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셔터(4)가 현상제 보급 용기(1)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와 셔터 개구(4j)가 연통하고, 또한 용기 배출구(3a4)가 연통된다. 이에 의해, 현상제 보급 용기(1) 내부의 현상제를 도입구(11a)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 즉, 플랜지부(3)와 셔터(4)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부(300)(도 5의 (b) 참조)를 구성하고, 배출부(300)의 셔터(4)에는,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로서의 셔터 개구(4j)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셔터(4)의 셔터 개구(4j)로부터 벗어난 위치에는 현상제 밀봉부(4a)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제 밀봉부(4a)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발출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셔터(4)와 현상제 보급 용기(1)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용기 배출구(3a4)를 막는다. 또한, 현상제 밀봉부(4a)는, 현상제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장착부(8f)(도 3의 (a) 참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때, 용기 배출구(3a4)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셔터(4)는, 현상제 밀봉부(4a)를 상향으로 한 자세로, 플랜지부(3)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셔터(4)는,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1, 제2 셔터 스토퍼부(8a, 8b)(도 4의 (a) 참조)에 보유 지지되는 제1 스토퍼부(4b) 및 제2 스토퍼부(4c)를 갖고 있다. 또한, 셔터(4)는, 제1, 제2 스토퍼부(4b, 4c)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d)를 갖고 있다. 지지부(4d)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현상제 밀봉부(4a)의 양측면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각각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4d)의 선단부에, 각각 제1 스토퍼부(4b)와 제2 스토퍼부(4c)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제2 스토퍼부(4b, 4c)는, 지지부(4d)의 탄성에 의해 변위 가능으로 된다.
또한, 제1 스토퍼부(4b)와 지지부(4d)가 형성하는 각도 α는 예각이 되도록, 제1 스토퍼부(4b)는 경사져 있다. 이에 비하여, 제2 스토퍼부(4c)와 지지부(4d)가 형성하는 각도 β는 둔각이 되도록, 제2 스토퍼부(4c)는 경사져 있다.
제1 스토퍼부(4b)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 시에,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안내부(8g)와 걸림 결합하여 변위하고, 제2 셔터 스토퍼부(8b)를 통과하고, 제1 셔터 스토퍼부(8a)와 걸림 결합한다. 제1 스토퍼부(4b)와 제1 셔터 스토퍼부(8a)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셔터(4)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고, 셔터(4)와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상대 이동 가능된다. 그리고, 셔터(4)와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상대 이동함으로써, 셔터 개구(4j)와 용기 배출구(3a4)가 개폐하게 된다. 즉,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에 의해,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가 배출 가능해지고, 현상제 보급 용기(1)를 분리하였을 때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제2 스토퍼부(4c)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이탈 동작 시에,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2 셔터 스토퍼부(8b)에 걸림 결합하여, 제1 스토퍼부(4b)가 제1 셔터 스토퍼부(8a)로부터 벗어나도록 변위시킨다. 이에 의해, 셔터(4)가 현상제 도입 장치(8)로부터 벗어난다.
[펌프부]
펌프부(5)에 대해, 도 11의 (a) 및 도 11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펌프부(5)는, 용기 본체(2)(도 6 참조)의 구동 받기부(2d)가 받은 구동력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2c)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와 높은 상태로 교대로 반복하여 전환되도록 동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일부에 펌프부(5)를 마련하고 있다. 펌프부(5)는 그 용적이 가변인 용적 가변형 펌프이다. 구체적으로는, 펌프부로서, 신축 가능한 주름 상자형 신축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이 펌프부(5)의 신축 동작에 의해 현상제 보급 용기(1) 내의 압력을 변화시켜, 그 압력을 이용하여 현상제의 배출을 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펌프부(5)를 줄일 때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 내가 가압 상태로 되고, 그 압력에 압출되는 형태로 현상제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펌프부(5)를 늘릴 때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 내가 감압 상태가 되고, 외부로부터 용기 배출구(3a4)를 통하여 에어가 도입된다. 이 도입된 에어에 의해 용기 배출구(3a4)나, 플랜지부(3)의 용기 본체(2)로부터 반송된 현상제를 저류하는 저류부(3a3) 부근(도 7의 (a) 참조)의 현상제가 풀려, 다음의 배출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나 저류부(3a3) 부근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운반시 등의 진동으로 현상제 보급 용기(1) 내의 현상제가 모이고, 이 부분에서 현상제가 굳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를 통하여 에어가 도입됨으로써, 이와 같이 굳어져 버린 현상제를 풀 수 있다. 또한, 통상의 현상제의 배출 동작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에어가 도입됨으로써, 에어와 분체인 현상제가 혼성되어, 현상제의 유동성이 좋아져, 현상제의 막힘이 생기기 어려워진다는 효과도 있다. 이상과 같은 신축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현상제의 배출이 행해진다.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부(5)는, 개구단측에, 플랜지부(3)와 접합 가능하도록 접합부(5b)를 갖고 있다. 여기서는, 접합부(5b)로서 나사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부(5)는 타단측에, 후술하는 왕복 부재(6)(도 12의 (a) 및 도 12의 (b) 참조)와 동기하여 변위시키기 위해, 왕복 부재(6)와 걸림 결합하는 왕복 부재 걸림 결합부(5c)를 갖는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부(5)는, 「산」부와 「골」부가 주기적으로 형성된 주름 상자형의 신축부(주름 상자부, 신축 부재)(5a)를 갖는다. 신축부(5a)는, 그 접힘선을 따라(그 접힘선을 기점으로 해), 화살표 B 방향으로 절첩되거나, 화살표 A 방향으로 신장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은 주름 상자형의 펌프부(5)를 채용한 경우에는, 신축량에 대한 용적 변화량의 변동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용적 가변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펌프부(5)의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펌프부(5)의 재료(재질)에 관해서는, 신축 기능을 발휘해 용적 변화에 따라 현상제 수용부의 내압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재료면 어떤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ABS(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해도 된다. 혹은, 고무, 그 밖의 신축성 재료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왕복 부재]
왕복 부재(6)에 대해, 도 12의 (a) 및 도 12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왕복 부재(6)는 상술한 펌프부(5)의 용적을 가변하기 위해, 펌프부(5)에 마련된 왕복 부재 걸림 결합부(5c)(도 11의 (b) 참조)에 걸림 결합하는 펌프 걸림 결합부(6a)를 갖는다. 또한, 왕복 부재(6)는, 조립 시에 상술한 캠 홈(2b)(도 6 참조)에 끼워 넣어지는 걸림 결합 돌기(6b)를 갖는다. 걸림 결합 돌기(6b)는, 펌프 걸림 결합부(6a) 근방에서 착탈 방향(도면 중 화살표 A, 화살표 B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6c)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왕복 부재(6)는, 후술하는 커버(7)의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도 13의 (b) 참조)에 의해 암(6c)의 축선 P(도 5의 (a) 참조) 중심의 회전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가 구동 기어(9)에 의해 구동 받기부(2d)로부터 구동을 받아, 캠 홈(2b)이 일체로 되어 회전할 때 캠 홈(2b)에 끼워 넣어진 걸림 결합 돌기(6b)와 커버(7)의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의 작용에 의해, 왕복 부재(6)는 화살표 A, B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그에 수반하여, 또한, 왕복 부재(6)의 펌프 걸림 결합부(6a)와 왕복 부재 걸림 결합부(5c)를 통하여 걸림 결합한 펌프부(5)가 화살표 A, B 방향으로 신축 운동한다.
[커버]
커버(7)에 대해, 도 13의 (a) 및 도 13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하였지만, 커버(7)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외관의 외형 향상과, 왕복 부재(6)나 펌프부(5)의 보호를 목적으로서,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7)는, 플랜지부(3), 펌프부(5), 왕복 부재(6)의 전체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7)에는,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삽입 가이드(8e)(도 3의 (a) 참조)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7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7)에는, 상술한 왕복 부재(6)의 축선 P(도 5의 (a) 참조)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변위를 규제하는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에 의한 효과]
다음에, 도 8의 (a), (b), 도 14 내지 도 16을 사용하여, 플랜지부(3)의 걸림 결합부(30)의 만곡부(3b)의 형상과 그 효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의 (a), (b)는 플랜지부(3)의 측면도(걸림 결합부(30)의 상세 형상 설명도)이다. 도 14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 시에,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걸림 결합부(30)의 만곡부(3b)와 피걸림 결합부(11b)의 맞닿음 각도와, 후술하는 계수 C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현상제 도입부(11)의 연직 방향 높이 위치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삽입력(조작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부(3b)의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는 면의 형상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 상류를 향할수록, 장착 방향에 대한 각도(맞닿음 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만곡부(3b)의 상면은, 연직 방향 상방의 위치일수록 피걸림 결합부(11b)와의 맞닿음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3)의 만곡부(3b)와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가 어떤 맞닿음 각도 θ로 맞닿아 있는 경우의 힘 관계에 대해,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보급 용기(1)(플랜지부(3))를 삽입하는 힘(조작력)을 F, 플랜지부(3)의 만곡부(3b)에 걸리는 수직 효력을 N, 마찰 계수를 μ, 현상제 도입부(11)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데에 필요한 힘(항력)을 T라 한다. 그러면, 다음의 균형식이 성립된다.
Figure pat00001
상기 2식으로부터, 조작력 F에 대해 정리하면, 이하의 식 (1)이 성립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다음의 식 (2)와 같이 계수 C를 정의한다.
Figure pat00003
이에 의해, 식 (1)은, F=CㆍT로 나타낸다. 계수 C와 맞닿음 각도 θ는, 도 15의 그래프에 나타내는 관계가 된다. 또한, 도 15는, 마찰 계수 μ가 0.3과 0.5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맞닿음 각도 θ가 작은 쪽이 계수 C도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령, 현상제 도입부(11)를 들어 올리기 위한 항력 T가 일정한 경우에는 맞닿음 각도 θ가 작은 쪽이, 조작력 F도 작아진다.
또한, 실제의 현상제 도입부(11)를 들어 올리기 위한 항력 T는, 현상제 도입부(11)가 가압 부재(12)에 의해 연직 방향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제 도입부(11)의 연직 방향의 위치가 높은 위치가 될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가령,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 시에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는 플랜지부(3)의 걸림 결합부 맞닿음 각도가 일정한 경우(비교예 1의 경우)는, 현상제 도입부(11)의 연직 방향의 위치가 높은 위치일수록 조작력 F가 높아진다(도 16의 파선).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걸림 결합부(30)의 만곡부(3b)와 같이,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는 면의 형상을, 연직 방향 상방의 위치일수록 맞닿음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직 방향 상방의 위치일수록 맞닿음 각도 θ가 작아지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수 C도 작아진다. 따라서, 현상제 도입부(11)의 연직 방향의 위치가 높은 위치, 즉 항력 T가 높을 때에도, 계수 C가 작기 때문에, 식 (1)로부터 조작력 F가 높아지기 어렵다. 따라서, 현상제 도입부(11)의 연직 방향의 위치와 조작력 F의 관계가 도 16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조작력 F의 피크를 비교예 1보다 낮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장착할 때의 조작력을 경감할 수 있어, 조작자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3b)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피걸림 결합부(11b)의 걸림 결합이 개시되는 위치로부터 마련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 위치로부터 만곡부(3b)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걸림 결합부(30)의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 하류 단부 내지 중간부는, 장착 방향 상류측을 향할수록,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되는 방향(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류 단부에서 만곡부(3b)와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7의 (a) 내지 도 18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결합부(30)로서 만곡부(3b)와 평행부(3c)를 구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결합부(30A)는, 만곡부(3Ab)만을 구비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하고,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A)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도 4의 (c) 참조)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 결합부(30A)를 갖고 있다. 걸림 결합부(30A)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 도입부(11)로의 현상제 보급이 가능한 서로가 접속한 상태로 되도록,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부(11)를 현상제 보급 용기(1)를 향하여 변위시킨다. 또한, 걸림 결합부(30A)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취출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보급 용기(1)와 현상제 도입부(11)의 접속 상태가 끊어지도록, 현상제 도입부(11)가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가이드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결합부(30A)는 만곡부(3Ab)를 갖고, 만곡부(3Ab)는, 피걸림 결합부(11b)와의 걸림 결합에 의해 도입구(11a)(도 4의 (c))가 용기 배출구(3a4)(도 5의 (b))와 연통되는 위치에 현상제 도입부(11)가 변위할 때까지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30A)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평행부(3c)를 갖지 않고, 만곡부(3Ab)가, 걸림 결합부(30A)의 장착 방향 하류단(3Ab1)으로부터 상류단(3Ab2)까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 결합부(30A)의 상면은, 하류단(3Ab1)으로부터 상류단(3Ab2)을 향하여 만곡된 형상이다.
또한, 만곡부(3Ab)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는 면(만곡면)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 상류(화살표 A 방향과 반대 방향)를 향할수록, 장착 방향에 대한 각도(맞닿음 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만곡부(3Ab)의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는 면(상면)은, 상측에 볼록 형상으로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의 경우도, 현상제 보급 용기(1)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장착 시에는, 걸림 결합부(30A)의 만곡부(3Ab)의 장착 방향 하류 단부에,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가 접촉한다. 그리고,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피걸림 결합부(11b)가 만곡부(3Ab)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된다. 현상제 도입부(11)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의해 피걸림 결합부(11b)가 만곡부(3Ab)를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연직 방향 상방, 즉 현상제 보급 용기(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또한,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삽입되면, 피걸림 결합부(11b)가 만곡부(3Ab)의 장착 방향 상류 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한 상태로 된다.
또한, 현상제 보급 용기(1)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마련된 인입 장치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장착 위치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현상제 보급 용기(1)는, 조작자 등이 힘을 가하여 취출하려고 하지 않으면, 취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피걸림 결합부(11b)가 만곡부(3Ab)의 장착 방향 상류 단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예기치 않게 만곡부(3Ab)를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여기서,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 시에, 피걸림 결합부(11b)가 플랜지부의 걸림 결합부를 따라 이동하는 거동에 대해, 도 18의 (a),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a)는, 비교예 2에 있어서의 현상제 보급 용기(1)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장착 동작 시의 피걸림 결합부(11b)의 걸림 결합부(30C)에 대한 위치 궤적의 모식도이다. 도 18의 (b)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현상제 보급 용기(1)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장착 동작 시의 피걸림 결합부(11b)의 걸림 결합부(30A)에 대한 위치 궤적의 모식도이다.
도 1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걸림 결합부(30C)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 하류단으로부터 상류를 향할수록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부(30C1)와, 경사부(30C1)의 상류 단부와 연속된 평행부(30C2)를 갖는다. 비교예 2의 경우,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피걸림 결합부(11b)가 경사부(30C1)를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연직 방향 상방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피걸림 결합부(11b)가 평행부(30C2)에 올라 타 이동함으로써,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비교예 2의 경우, 경사부(30C1)와 평행부(30C2)가 연속되는 부분에, 경사 각도가 전환되는 변곡점(30C3)이 존재한다. 따라서,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에는, 피걸림 결합부(11b)가 이 변곡점(30C3)을 통과한다. 이 때문에, 피걸림 결합부(11b)는, 변곡점(30C3)을 통과하는 전후에서 이동 방향이 급격하게 변하고, 이 변화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의 조작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30A)는, 하류단(3Ab1)으로부터 상류단(3Ab2)을 향하여 만곡된 만곡부(3Ab)를 갖는다. 이 때문에, 비교예 2와 같은 변곡점(30C3)이 존재하지 않아,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에는, 피걸림 결합부(11b)가 만곡부(3Ab)를 따라 매끄럽게 이동한다. 이 때, 피걸림 결합부(11b)의 이동 방향은 매끄럽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 이동 방향의 변화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의 조작성에 끼치는 영향은 작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만곡부(3Ab)가, 피걸림 결합부(11b)와의 걸림 결합에 의해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되는 위치에 현상제 도입부(11)가 변위할 때까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걸림 결합부(30A)는,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는 면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 상류를 향할수록, 장착 방향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만곡부(3Ab)를 갖는다. 이 때문에,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장착할 때의 조작력을 경감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9의 (a) 내지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피걸림 결합부(11b)와의 걸림 결합에 불구하고, 걸림 결합부(30A)는 만곡된 형상이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걸림 결합부(30B)를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는 피걸림 결합부(11b)와의 걸림 결합에 의해 변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하고, 이하, 제1,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B)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도 4의 (c) 참조)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 결합부(30B)를 갖고 있다. 걸림 결합부(30B)는, 기단부(3Bb1)를 플랜지부(3B)에 고정하고, 그 다른 부분은, 플랜지부(3B)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 결합부(30B)는, 도 1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기 전은,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도시한 예에서는 연직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30B)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는 피걸림 결합부(11b)와의 걸림 결합에 의해 변형된다. 그리고, 걸림 결합부(30B)는, 장착 동작에 의해 피걸림 결합부(11b)가 이동하는 궤적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 상류(화살표 A 방향과 반대 방향)를 향할수록, 장착 방향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림 결합부(30B)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는 피걸림 결합부(11b)와의 걸림 결합에 의해 변형되어, 최종적으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부(3Bb)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만곡부(3Bb)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하는 면(만곡면)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 상류를 향할수록, 장착 방향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는 형상이다. 걸림 결합부(30B)는, 최종적으로 이와 같은 만곡 형상으로 되도록, 각 부의 강성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걸림 결합부(30B)의 최종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걸림 결합부(30B)의 각 부의 강성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장착 동작에 의해 피걸림 결합부(11b)가 이동하는 궤적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 상류를 향할수록, 장착 방향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면 된다.
이와 같은 걸림 결합부(30B)는, 피걸림 결합부(11b)와의 걸림 결합에 의해, 기단부(3Bb1)를 중심으로 절곡되도록 탄성 변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19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B)의 걸림 결합부(30B)보다 장착 방향 상류측에 위치 결정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31)는, 변형된 걸림 결합부(30B)의 선단부(3Bb2)와 맞닿아, 선단부(3Bb2)를 위치 결정한다.
이와 같은 걸림 결합부(30B)의 변형에 대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장착 동작과 함께,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을 개시하면, 피걸림 결합부(11b)가 걸림 결합부(30B)의 기단부(3Bb1) 근방에 접근한다. 이 때, 피걸림 결합부(11b)가 걸림 결합부(30B)와 걸림 결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걸림 결합부(30B)는 기립한 그대로이다.
다음에, 현상제 보급 용기(1)가 더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되면,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부(30B)가 걸림 결합하고, 걸림 결합부(30B)가 점차 만곡된 방향으로 절곡됨과 함께, 피걸림 결합부(11b)가 걸림 결합부(30B)와의 걸림 결합에 의해 상방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걸림 결합부(30B)의 변형과, 이 걸림 결합부(30B)의 걸림 결합에 의한 피걸림 결합부(11b)의 상방으로의 변위가 계속된다. 그리고, 걸림 결합부(30B)의 선단부(3Bb2)가 위치 결정부(31)에 맞닿음으로써 걸림 결합부(30B)가 만곡된 형상(만곡부(3Bb))이 되고, 피걸림 결합부(11b)가 만곡부(3Bb)의 장착 방향 상류 단부 근방에 위치하여,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한 상태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장착 동작 시의 피걸림 결합부(11b)의 이동 궤적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 상류를 향할수록, 장착 방향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된 형상으로 변형된 걸림 결합부(30B)와, 이와 같이 변형된 걸림 결합부(30B)의 선단부(3Bb2)와 맞닿은 위치 결정부(31)에서, 만곡부(3Bb)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31)의 상면은, 선단부(3Bb2)가 맞닿은 상태의 걸림 결합부(30B)의 상면의 만곡면과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걸림 결합부(11b)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 시에, 걸림 결합부(30B)에 대한 상대 위치의 궤적이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된 형상으로 되도록 변위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경우도,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에는, 피걸림 결합부(11b)가 상술한 만곡 형상에 따라 매끄럽게 이동한다. 이 때문에,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걸림 결합부가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에 의해 변형되는 구성을,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위치 결정부의 상면을 제1 실시 형태의 평행부로 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
상술한 설명에서는,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가 연통되는 배출구를 셔터(4)의 셔터 개구(4j)로 하였지만, 셔터를 마련하지 않고,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에 현상제 도입부의 도입구를 직접, 맞닿게 하여 연통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배출구가 도입구와 연통되는 배출구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의 조작력을 경감할 수 있는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이 제공된다.
1: 현상제 보급 용기
2c: 현상제 수용부
3, 3A, 3B: 플랜지부
3a4: 용기 배출구
3b, 3Ab: 만곡부
3Bb1: 기단부
3Bb2: 선단부
3c: 평행부
4: 셔터
4j: 셔터 개구(배출구)
8: 현상제 도입 장치
11: 현상제 도입부
11a: 도입구
11b: 피걸림 결합부
12: 가압 부재(가압 수단)
30, 30A, 30B: 걸림 결합부
31: 위치 결정부
200: 현상제 보급 시스템
300: 배출부

Claims (9)

  1.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현상제 도입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이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회전 가능한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고정되는 일 단부 측과, 자유 단부인 타 단부 측을 갖는 걸림 결합부로서,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도입구를 상기 배출구와 연통시키기 위해서 상기 현상제 도입부를 변위시키도록 변형가능한 걸림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결합부가 변형될 때에, 위치 결정부는 상기 자유 단부에 의해 상기 자유 단부의 위치에 접촉될 수 있는, 현상제 보급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부의 상기 자유 단부가 상기 위치 결정부와 접촉할 때에, 상기 일 단부 측에서의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방향에 대한 제1 각도가 상기 타 단부 측에서의 장착 방향에 대한 제2 각도보다 더 큰, 현상제 보급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가 현상제 보급 장치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볼 때에 상기 배출부의 측면 측의 각각에 형성되는, 현상제 보급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과하는 평면이 연신부를 통과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
  5. 현상제 보급 시스템이며,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현상제 도입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도입 장치, 및
    상기 현상제 보급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저면 측에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도입구를 상기 배출구와 유체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현상제 도입구를 변위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피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가능한 걸림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결합부는, 장착 방향의 하류 단부에서의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방향에 대한 제1 각도가 장착 방향의 상류 단부에서의 장착 방향에 대한 제2 각도보다 더 큰 형상을 갖는, 현상제 보급 시스템.
  6. 현상제 보급 시스템이며,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현상제 도입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도입 장치, 및
    상기 현상제 보급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고정되는 일 단부 측과, 자유 단부인 타 단부 측을 갖는 걸림 결합부로서,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도입구를 상기 배출구와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현상제 도입부를 변위시키도록 변형가능한 걸림 결합부와,
    상기 걸림 결합부가 변형될 때에, 상기 자유 단부에 의해 상기 자유 단부의 위치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보급 시스템.
  7. 현상제 보급 용기이며,
    현상제를 수용하고, 기어부가 제공되는 현상제 수용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체와 유체 연통하는 현상제 배출체로서, 상기 현상제 배출체는 배출구를 갖고, 상기 배출구는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 통로의 일 단부는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최저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현상제 수용체는 상기 현상제 배출체에 대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형상제 배출체와,
    상기 배출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트랙과,
    상기 배출체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탄성부의 가동 범위 내에 부분을 갖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상기 트랙은 (i) 상기 탄성부가 상기 돌기로부터 이격하는 제1 상태와 (ii)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제1 상태로부터 구부려지고 상기 돌기와 접촉하는 제2 상태 간에 변경가능하고,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수직 방향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제1 상태일 경우에 상기 돌기가 상기 탄성부의 상기 고정부와 상기 자유 단부 사이에 있도록 상기 배출체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기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직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 대한 상기 트랙의 각도가 상기 고정부와 상기 돌기 사이에서 감소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상기 자유 단부 사이에서 구부려지고, 상기 고정부에 더 가까운 트랙의 부분에서의 각도가 상기 돌기에 더 가까운 트랙의 부분에서의 각도보다 더 큰, 현상제 보급 시스템.
  8. 현상제 보급 용기이며,
    현상제를 수용하고, 기어부가 제공되는 현상제 수용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체와 유체 연통하는 현상제 배출체로서, 상기 현상제 배출체는 배출구를 갖고, 상기 배출구는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 통로의 일 단부는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최저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현상제 수용체는 상기 현상제 배출체에 대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형상제 배출체와,
    상기 배출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배출체로부터 변위가능한 자유 단부까지 연장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회전 축선에 평행한 수평면과 교차하는 트랙을 포함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체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부분의 가동 범위 내에 있는 부분을 가지는, 현상제 보급 용기.
KR1020217024456A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417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2597A KR102469644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1798A JP7000091B2 (ja) 2017-09-21 2017-09-21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JP-P-2017-181798 2017-09-21
KR1020207011446A KR20200053598A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PCT/JP2018/036622 WO2019059418A1 (ja) 2017-09-21 2018-09-21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446A Division KR20200053598A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597A Division KR102469644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189A true KR20210099189A (ko) 2021-08-11
KR102417544B1 KR102417544B1 (ko) 2022-07-07

Family

ID=6581048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446A KR20200053598A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0217024456A KR102417544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0227040311A KR20220158087A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0227022597A KR102469644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446A KR20200053598A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311A KR20220158087A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0227022597A KR102469644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5) US10591865B2 (ko)
EP (3) EP3686681B1 (ko)
JP (2) JP7000091B2 (ko)
KR (4) KR20200053598A (ko)
CN (2) CN115480467A (ko)
AU (3) AU2018335182A1 (ko)
BR (1) BR112020004079A2 (ko)
CA (2) CA3226433A1 (ko)
DE (1) DE112018004237B4 (ko)
EA (1) EA202090797A1 (ko)
ES (1) ES2965184T3 (ko)
MA (1) MA50186B1 (ko)
MX (2) MX2020002980A (ko)
PL (1) PL3686681T3 (ko)
RS (1) RS65126B1 (ko)
RU (2) RU2766254C2 (ko)
WO (1) WO2019059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0091B2 (ja) 2017-09-21 2022-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5249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51347B2 (ja) 2017-09-21 202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9133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005250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862388B2 (ja) 2018-04-19 2021-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341772B2 (ja) * 2019-07-30 202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727779B (zh) * 2020-05-01 2021-05-11 上福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碳粉匣之連動機構
DE102020116112B3 (de) 2020-06-18 2021-11-04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Verbindungsmechanismus für Tonerkartusche
EP4235308A1 (en) * 2021-12-07 2023-08-30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Power cartridge coupling mechanis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599A (ko) * 2011-06-06 2014-04-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JP2016102987A (ja) * 2014-11-28 2016-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9262A1 (en) * 2002-05-24 2003-11-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device, toner cartridg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authenticity of toner cartridge
US7050728B2 (en) 2003-04-25 2006-05-2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detecting the amount of developer remaining in the container
JP4109177B2 (ja) * 2003-09-30 2008-07-0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供給装置およびシャッタ構造
JP4149347B2 (ja) * 2003-10-10 2008-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047354A (ja) * 2004-07-30 2006-02-16 Ricoh Co Ltd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03905B2 (ja) 2005-02-24 2010-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RU2398257C2 (ru) * 2005-03-04 2010-08-27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проявителя
JP2007304226A (ja) * 2006-05-10 2007-11-2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TW201027285A (en) * 2009-01-10 2010-07-16 Gen Plastic Ind Co Ltd Switching device of toner cartridge
JP5777381B2 (ja) * 2011-04-06 2015-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79863B2 (ja) * 2011-09-22 2016-03-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EP3582026B1 (en) * 2011-11-25 2022-08-03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719339B2 (ja) * 2012-11-22 2015-05-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JP2014122091A (ja) * 2012-12-20 2014-07-03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37882B2 (ja) 2013-03-11 2017-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021699B2 (ja) 2013-03-11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6021701B2 (ja) 2013-03-19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6180140B2 (ja) * 2013-03-19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025631B2 (ja) 2013-03-22 2016-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150661B2 (ja) * 2013-08-12 2017-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JP6320082B2 (ja) 2014-02-28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34293B2 (ja) * 2014-03-25 2017-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29597B2 (ja) 2014-11-10 2018-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385251B2 (ja) 2014-11-10 2018-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090932A (ja) 2014-11-10 2016-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39156B2 (ja) * 2015-08-31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CN205827072U (zh) * 2016-03-08 2016-12-21 珠海艾派克科技股份有限公司 粉盒及图像形成装置
JP2018081286A (ja) * 2016-11-18 2018-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05249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0091B2 (ja) 2017-09-21 2022-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51347B2 (ja) 2017-09-21 202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9133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005250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599A (ko) * 2011-06-06 2014-04-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JP2016102987A (ja) * 2014-11-28 2016-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6681A4 (en) 2021-09-01
RS65126B1 (sr) 2024-02-29
RU2766254C2 (ru) 2022-02-10
BR112020004079A2 (pt) 2020-10-06
EP4296782A2 (en) 2023-12-27
ES2965184T3 (es) 2024-04-11
CN111108448B (zh) 2022-10-28
RU2749491C1 (ru) 2021-06-11
RU2021113842A3 (ko) 2021-12-07
KR20220158087A (ko) 2022-11-29
KR20200053598A (ko) 2020-05-18
JP7000091B2 (ja) 2022-01-19
EA202090797A1 (ru) 2020-07-21
KR20220100092A (ko) 2022-07-14
US10591865B2 (en) 2020-03-17
CA3226433A1 (en) 2019-03-28
US11487239B2 (en) 2022-11-01
JP2019056846A (ja) 2019-04-11
US20200183321A1 (en) 2020-06-11
AU2021209326A1 (en) 2021-08-19
KR102469644B1 (ko) 2022-11-22
MA50186B1 (fr) 2023-12-29
RU2021113842A (ru) 2021-05-24
US20230017862A1 (en) 2023-01-19
US20230408967A1 (en) 2023-12-21
EP3686681A1 (en) 2020-07-29
AU2023229581A1 (en) 2023-10-05
DE112018004237B4 (de) 2023-04-13
DE112018004237T5 (de) 2020-05-14
CN111108448A (zh) 2020-05-05
KR102417544B1 (ko) 2022-07-07
WO2019059418A1 (ja) 2019-03-28
CA3076608C (en) 2024-02-27
EP4325297A2 (en) 2024-02-21
US20210356906A1 (en) 2021-11-18
CN115480467A (zh) 2022-12-16
CA3076608A1 (en) 2019-03-28
PL3686681T3 (pl) 2024-04-08
AU2018335182A1 (en) 2020-03-26
MX2023010072A (es) 2023-09-06
MX2020002980A (es) 2020-08-03
EP3686681B1 (en) 2023-11-15
US11782382B2 (en) 2023-10-10
US20190204778A1 (en) 2019-07-04
EP4325297A3 (en) 2024-05-15
MA50186A (fr) 2020-07-29
JP2022031978A (ja) 2022-02-22
US11156952B2 (en)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544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359671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409784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383351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333345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351905B1 (ko) 현상제 보급 시스템, 현상제 보급 용기 장착 방법 및 현상제 보급 유닛
JP2019132959A (ja) 現像剤受入れ装置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