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958A -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958A
KR20210097958A KR1020200011589A KR20200011589A KR20210097958A KR 20210097958 A KR20210097958 A KR 20210097958A KR 1020200011589 A KR1020200011589 A KR 1020200011589A KR 20200011589 A KR20200011589 A KR 20200011589A KR 20210097958 A KR20210097958 A KR 20210097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pattern
light source
unit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018B1 (ko
Inventor
전영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018B1/ko
Priority to EP20214689.0A priority patent/EP3859203B1/en
Priority to CN202011550744.2A priority patent/CN113203074B/zh
Priority to US17/137,153 priority patent/US11326753B2/en
Publication of KR2021009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Elongated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F21S41/2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2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빛을 생성하여 외부에 상기 빛을 조사하되,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은 각각, 빛을 생성하고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에서 생성된 빛은 각각 외부에 방출되어 복수의 빔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각각 제1 빔 패턴부 및 제2 빔 패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사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램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Lamp for automobil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램프는 크게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와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테일 램프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헤드 램프는 자동차의 전방에서도 좌우 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야간 주행 등의 상황에서 차량의 전방에 빛을 비춤으로써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한다.
이러한 헤드 램프는 다시 대향하는 차량이 없는 도로를 주행할 때 사용되는 하이빔과 하이빔을 사용하는 상황 이외의 일반적인 도로 상황에서 사용되는 로우빔으로 구별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센서 기술과 연동하여 반대편에서 접근하는 대향차가 존재하는 경우 대향차가 존재하는 영역에는 암부 영역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헤드 램프에 복수의 광원(ex. LED)을 설치한 후, 암부 영역을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소등하는 방식으로 일부 영역에 선택적으로 암부 영역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암부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분해능, 광도, 빛 밝기의 균일도 등이 뛰어난 헤드 램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량의 광원이 헤드 램프에 설치될 필요가 있었다. 이는, 헤드 램프 제조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에 비해 적은 수량의 광원을 사용하면서도 분해능, 광도, 빛 밝기의 균일도 등이 뛰어난 헤드 램프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빛을 생성하여 외부에 상기 빛을 조사하되,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빛을 생성하고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1 광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은, 빛을 생성하고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2 광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에서 생성된 빛은 각각 외부에 방출되어 복수의 빔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빔 패턴은 횡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제1 빔 패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빔 패턴은 횡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제2 빔 패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사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램프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빔 패턴부에는 상기 제1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횡 방향을 따라 빛의 광휘도(luminance)가 극댓값(maximum value)을 갖는 복수의 제1 피크(peak)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빔 패턴부에는 상기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횡 방향을 따라 빛의 광휘도가 극댓값을 갖는 복수의 제2 피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피크 사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복수의 제2 피크 중 적어도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광원부에서 생성된 빛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로드부; 및 상기 제1 로드부로부터 방출된 빛이 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렌즈;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광원부에서 생성된 빛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 로드부; 및 상기 제2 로드부로부터 방출된 빛이 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제2 렌즈;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일 측 끝부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은, 상기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타 측 끝부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빔 패턴부의 횡 방향 일 측 끝부에서 횡 방향 타 측 끝부로 갈수록, 상기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일 측 끝부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은, 상기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타 측 끝부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빔 패턴부의 횡 방향 일 측 끝부에서 횡 방향 타 측 끝부로 갈수록, 상기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 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빔 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의 점등(點燈) 여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1 빔 패턴부와 상기 제2 빔 패턴부에 의해 형성되는 조사 영역 중 일부 영역에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이 소등됨으로써, 상기 조사 영역 중 일부에 빛이 도달하지 않는 암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휘도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 중 상기 암부 영역과 가장 인접한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제외한 나머지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휘도는, 상기 암부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상기 나머지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휘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용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된다.
상기 자동차용 램프는, 상기 자동차의 전방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적은 수량의 광원을 사용하면서도 분해능, 광도, 빛 밝기의 균일도 등이 뛰어난 헤드 램프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중 제1 모듈과 제2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에서 광원부의 빛이 로드부를 통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에서 제1 모듈과 제2 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빔 패턴부와 제2 빔 패턴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조사 영역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의 각 광원에 의해 형성되는 개별 빔 패턴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그러한 자동차용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설명한다.
자동차용 램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중 제1 모듈과 제2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에서 광원부의 빛이 로드부를 통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10, 이하, '램프'라 부르기로 한다)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외부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10)는, 빛을 생성하여 외부에 상기 빛을 조사하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200)은 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100)은, 빛을 생성하는 제1 광원부(110), 제1 광원부(110)에서 생성된 빛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로드부(120), 및 제1 로드부(120)로부터 방출된 빛이 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렌즈(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듈(200)은, 빛을 생성하는 제2 광원부(210), 제2 광원부(210)에서 생성된 빛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 로드부(220), 및 제2 로드부(220)로부터 방출된 빛이 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제2 렌즈(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130) 및 제2 렌즈(230)는 굴절면이 구면이 아닌 곡면으로 이루어진 비구면 렌즈일 수 있으나,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종류는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드부(120) 및 제2 로드부(220)는 각각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로드(rod, 120a 및 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부(110, 도 2 참조)에서 생성된 빛은 제1 로드부(120)에 형성된 복수의 로드(120a) 내의 빈 공간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고, 제2 광원부(210, 도 2 참조)에서 생성된 빛은 제2 로드부(220)에 형성된 복수의 로드(220a) 내의 빈 공간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1 로드부(120)와 제2 로드부(220)에 각각 8개의 로드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로드부(120)와 제2 로드부(220)에 형성된 로드의 개수는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100)의 제1 광원부(110)는 복수의 광원(110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모듈(200)의 제2 광원부(210) 역시 복수의 광원(21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10)의 복수의 광원(110a) 및 제2 광원부(210)의 복수의 광원(210a)은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부(110)에 구비된 광원(110a)의 개수는 제1 로드부(120)에 구비된 로드(120a)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광원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110a)은 제1 로드부(120)에 구비된 복수의 로드(120a)와 서로 일대일 대응 관계로 마주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광원부(210)에 구비된 광원(210a)의 개수는 제2 로드부(220)에 구비된 로드(220a)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 광원부(21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210a)은 제2 로드부(220)에 구비된 복수의 로드(220a)와 서로 일대일 대응 관계로 마주볼 수 있다. 도 4에는 제1 광원부(110)와 제2 광원부(210)에 각각 8개의 광원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광원부(110)와 제2 광원부(210)에 형성된 광원의 개수는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광원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110a)에서 생성된 빛은 제1 로드부(120)에 공급된다. 제1 로드부(120)에 공급된 빛은 제1 로드부(120)에 구비된 복수의 로드(120a) 내부의 빈 공간을 이동하게 되고, 복수의 로드(120a)를 통과한 빛은 제1 로드부(120)로부터 배출된 후 제1 렌즈(130)에 공급된다. 제1 렌즈(130)를 통과한 빛은 외부에 배출되고, 그 빛에 의해 외부에는 빔 패턴이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광원부(21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210a)에서 생성된 빛은 제2 로드부(220)에 공급된다. 제2 로드부(220)에 공급된 빛은 제2 로드부(220)에 구비된 복수의 로드(220a) 내부의 빈 공간을 이동하게 되고, 복수의 로드(220a)를 통과한 빛은 제2 로드부(220)로부터 배출된 후 제2 렌즈(230)에 공급된다. 제2 렌즈(230)를 통과한 빛은 외부에 배출되고, 그 빛에 의해 외부에는 빔 패턴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에서 제1 모듈과 제2 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빔 패턴부와 제2 빔 패턴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가로축은 제1 모듈과 제2 모듈에서 배출된 빛이 도달하는 영역의 가로 방향을 의미하고, 가로축 중에서 복수의 포물선의 하부에 구비된 영역은 제1 광원부와 제2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가로축 중에서 상대적으로 굵은 실선으로 형성된 포물선의 하부에 구비된 영역은 제1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을 의미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실선으로 형성된 포물선의 하부에 구비된 영역은 제2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을 의미한다.
또한, 제1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들이 모여 제1 빔 패턴부(T1)를 형성하고, 제2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들이 모여 제2 빔 패턴부(T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복수의 포물선은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들 각각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의 광휘도(luminanc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들 각각에 의해 형성된 개별 빔 패턴의 횡 방향 중앙 영역의 광휘도는 개별 빔 패턴의 가로 방향 양 끝 영역의 광휘도보다 클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제1 광원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광원에 의해 8개의 빔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제1 빔 패턴부(T1)가 도시되어 있고, 제2 광원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광원에 의해 8개의 빔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제2 빔 패턴부(T2)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각각 8개의 광원이 구비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에서 생성된 빛은 각각 외부에 방출되어 복수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빔 패턴은 횡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빔 패턴부(T1)는 횡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빔 패턴 역시 횡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빔 패턴부(T2) 역시 횡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빔 패턴부(T1)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사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2 빔 패턴부(T2)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사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다'라는 것은,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들 사이에 상기 소정의 간격에 의해 형성된 영역에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일부가 형성되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빔 패턴부(T1)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제1 빔 패턴부(T1)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빔 패턴부(T2)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경우,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사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은 각각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고하면, 제1 빔 패턴부(T1)에는 제1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횡 방향을 따라 광휘도가 극댓값(maximum value)을 갖는 복수의 제1 피크(peak, P1)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빔 패턴부(T2)에는 제2 광원부를 복수의 광원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휨 방향을 따라 광휘도가 극댓값을 갖는 복수의 제2 피크(P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제1 피크와 제2 피크가 각각 8개씩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제1 피크(P1) 사이의 횡 방향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복수의 제2 피크(P2) 중 적어도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제2 피크(P2)는 각각 복수의 제1 피크(P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램프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 중 분해능(resolution)과 영역에 따른 빛 밝기의 균일도는 서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갖는다. 즉, 자동차용 램프의 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좁은 폭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을 설치해야 하나, 이 경우 좁은 폭의 빔 패턴 때문에 자동차용 램프의 빛 밝기의 균일도가 떨어지게 된다(즉, 영역에 따라 빛 밝기가 불연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반면, 자동차용 램프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넓은 폭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을 설치해야 하나, 이 경우에는 넓은 폭의 빔 패턴 때문에, 인접한 광원(ex. LED)에 의한 빛들 간의 구분이 모호해지게 되므로 자동차용 램프의 분해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자동차용 램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암부 영역의 최소 폭이 증가하게 된다.
자동차용 램프의 분해능과 빛 밝기의 균일도를 모두 향상시키기 위해, (i) 좁은 폭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을, (ii) 촘촘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넓은 폭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빛 밝기의 균일도는 물론, 분해능이 향상된 자동차용 램프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넓은 폭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광원이 형성하는 빔 패턴과 제2 광원이 형성하는 빔 패턴이 서로 중첩되도록 하는 경우, 제1 광원과 제2 광원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부는 크게, (i) 제1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영역, (ii) 제2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영역, (iii) 제1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과 제2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이 서로 중첩되어 형성되는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광원과 제2 광원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암부 영역의 형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최소 폭이, 상기 (iii) 영역만큼 감소하게 되므로, 동일한 성능의 광원을 이용하여 자동차용 램프의 분해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과 제2 광원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서로 중첩되므로, 빛 밝기가 연속적으로 변하게 되므로 빛 밝기의 균일도 역시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예시에 따를 경우, 두 개의 광원으로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서로 다른 빔 패턴 영역이 3개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은 수의 광원을 가지고도 많은 수의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르면, 3개의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3개의 광원이 필요하나,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광원만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상기 효과는 광원들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들이 보다 많이 중첩되도록 하는 경우에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자동차의 운전 상황에서 반대편에서 접근하는 차는 운전자 시야의 가운데 영역에서 접근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동차의 전방에서도 가운데 영역에서 자동차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광휘도가 높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5를 참고하면, 제1 빔 패턴부(T1)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일 측 끝부(E1)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은, 제1 빔 패턴부(T1)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타측 끝부(E1)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빔 패턴부(T1)의 횡 방향 일 측 끝부(E1)에서 횡 방향 타 측 끝부(E2)로 갈수록, 제1 빔 패턴부(T1)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횡 방향 일 측 끝부로 갈수록 제1 빔 패턴부(T1)를 형성하는 개별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이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育? 폭에 걸쳐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빔 패턴의 광휘도 역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빔 패턴부(T2)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일 측 끝부(E1)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은, 제2 빔 패턴부(T2)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타 측 끝부(E2)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 빔 패턴부(T2)의 횡 방향 일 측 끝부(E1)에서 횡 방향 타 측 끝부(E2)로 갈수록, 제2 빔 패턴부(T2)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횡 방향 일 측 끝부로 갈수록 제2 빔 패턴부(T2)를 형성하는 개별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이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좁은 폭에 걸쳐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빔 패턴의 광휘도 역시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일 측 끝부(E1)는 자동차의 전방 영역 중 가운데 영역에 인접할 수 있고,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타 측 끝부(E2)는 자동차의 전방 영역 중 외측 영역에 인접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전방 중에서도 가운데 영역에서 자동차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광휘도가 높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조사 영역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의 각 광원에 의해 형성되는 개별 빔 패턴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제1 광원부와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들이 모두 점등되었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빔 패턴부와 제2 광원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빔 패턴부에 의해 소정의 조사 영역(S)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LED 1 내지 LED 8이라고 명명된 사진은, 제1 모듈의 제1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에 의해 각각 형성된 개별 빔 패턴을 의미할 수 있고, LED 9 내지 LED 16이라고 명명된 사진은, 제2 모듈의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에 의해 각각 형성된 개별 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LED 1에서 LED 8로 갈수록 사진에 나타난 빔 패턴의 폭은 증가하되 빔 패턴의 광휘도(즉, 밝기)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LED 1으로 명명된 사진에 나타난 빔 패턴은 도 5를 참고하였을 때, 횡 방향 일 측 끝부(E1)에 형성된 빔 패턴일 수 있고, LED 8로 명명된 사진에 나타난 빔 패턴은 도 5를 참고하였을 때, 횡 방향 타 측 끝부(E2)에 형성된 빔 패턴일 수 있다.
또한, 계속해서 도 7을 살펴보면, LED 9에서 LED 16으로 갈수록 사진에 나타난 빔 패턴의 폭은 증가하되 빔 패턴의 광휘도(즉, 밝기)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LED 9로 명명된 사진에 나타난 빔 패턴은 도 5를 참고하였을 때, 횡 방향 일 측 끝부(E1)에 형성된 빔 패턴일 수 있고, LED 16으로 명명된 사진에 나타난 빔 패턴은 도 5를 참고하였을 때, 횡 방향 타 측 끝부(E2)에 형성된 빔 패턴일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램프(10)에서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의 점등(點燈) 여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빔 패턴부(T1)와 제2 빔 패턴부(T2)에 의해 형성되는 조사 영역(S, 도 6 참조) 중 일부 영역에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 전체가 소등됨으로써, 조사 영역 중 일부에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이 도달하지 않는 암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휘도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 중 암부 영역과 가장 인접한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제외한 나머지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휘도는, 암부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나머지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휘도보다 클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제1 빔 패턴부(T1)와 제2 빔 패턴부(T2)에 의해 형성되는 조사 영역 중 A 영역에 암부 영역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의 ① 영역 및 ② 영역에 해당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을 소등(消燈)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① 영역 및 ② 영역에 해당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은 A 영역 이외에도, A 영역과 인접한 영역인 B 영역과 C 영역에 각각 빛을 조사하므로, A 영역에 암부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A 영역과 인접한 B 영역과 C 영역의 빛 밝기가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A 영역에 암부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A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 소등됨에 따라, A 영역과 인접한 B 영역과 C 영역에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보상할 필요가 있으므로, 복수의 광원 중 일부의 광휘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암부 영역을 형성하고자 하는 A 영역과 가장 인접한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즉, ① 영역 및 ② 영역에 해당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과 가장 인접한 광원)의 광휘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암부 영역의 경계에서 글레어(glare) 현상, 즉,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A 영역에 암부 영역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광원 중에서도 A 영역과 가장 인접한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의 광휘도는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 중 암부 영역과 가장 인접한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제외한 나머지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휘도는, 암부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나머지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휘도보다 크도록 제어함으로써, 암부 영역을 형성함에 따라 암부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서 빛의 밝기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암부 영역의 경계에서 글레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차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자동차용 램프(1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10)의 구성, 구조 및 작동 원리는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서 램프(10)는 자동차의 전방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램프(10)는 자동차의 전방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램프(10)는 자동차의 하이빔(high beam)에 사용되는 램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자동차용 램프
100 : 제1 모듈
110 : 제1 광원부
110a : 제1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
120 : 제1 로드부
120a : 제1 로드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로드
130 : 제1 렌즈
200 : 제2 모듈
210 : 제2 광원부
210a :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
220 : 제2 로드부
220a : 제2 로드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로드
230 : 제2 렌즈
T1 : 제1 빔 패턴부
T2 : 제2 빔 패턴부
P1 : 제1 피크
P2 : 제2 피크
S : 조사 영역

Claims (13)

  1. 빛을 생성하여 외부에 상기 빛을 조사하되,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빛을 생성하고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1 광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은,
    빛을 생성하고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2 광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에서 생성된 빛은 각각 외부에 방출되어 복수의 빔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빔 패턴은 횡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제1 빔 패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부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빔 패턴은 횡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제2 빔 패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사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램프.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빔 패턴부에는 상기 제1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횡 방향을 따라 빛의 광휘도(luminance)가 극댓값(maximum value)을 갖는 복수의 제1 피크(peak)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빔 패턴부에는 상기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횡 방향을 따라 빛의 광휘도가 극댓값을 갖는 복수의 제2 피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피크 사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복수의 제2 피크 중 적어도 일부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광원부에서 생성된 빛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로드부; 및
    상기 제1 로드부로부터 방출된 빛이 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렌즈;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광원부에서 생성된 빛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 로드부; 및
    상기 제2 로드부로부터 방출된 빛이 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제2 렌즈;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일 측 끝부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은, 상기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타 측 끝부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보다 작은 자동차용 램프.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빔 패턴부의 횡 방향 일 측 끝부에서 횡 방향 타 측 끝부로 갈수록, 상기 제1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이 증가하는 자동차용 램프.
  6. 청구항 4에서,
    상기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일 측 끝부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은, 상기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 중 횡 방향 타 측 끝부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횡 방향 폭보다 작은 자동차용 램프.
  7. 청구항 5에서,
    상기 제2 빔 패턴부의 횡 방향 일 측 끝부에서 횡 방향 타 측 끝부로 갈수록, 상기 제2 빔 패턴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빔 패턴의 횡 방향 폭이 증가하는 자동차용 램프.
  8.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빔 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빔 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중첩되는 자동차용 램프.
  9. 청구항 8에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의 점등(點燈) 여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1 빔 패턴부와 상기 제2 빔 패턴부에 의해 형성되는 조사 영역 중 일부 영역에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이 소등됨으로써, 상기 조사 영역 중 일부에 빛이 도달하지 않는 암부 영역이 형성되는 자동차용 램프.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휘도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자동차용 램프.
  11. 청구항 10에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 중 상기 암부 영역과 가장 인접한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제외한 나머지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휘도는, 상기 암부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상기 나머지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휘도보다 큰 자동차용 램프.
  12. 청구항 1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13. 청구항 12에서,
    상기 자동차용 램프는,
    상기 자동차의 전방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는 자동차.
KR1020200011589A 2020-01-31 2020-01-31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32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589A KR102327018B1 (ko) 2020-01-31 2020-01-31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EP20214689.0A EP3859203B1 (en) 2020-01-31 2020-12-16 Headlamp for automobile and automobile with such a headlamp
CN202011550744.2A CN113203074B (zh) 2020-01-31 2020-12-24 用于汽车的灯以及包括该灯的汽车
US17/137,153 US11326753B2 (en) 2020-01-31 2020-12-29 Lamp for automobil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589A KR102327018B1 (ko) 2020-01-31 2020-01-31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958A true KR20210097958A (ko) 2021-08-10
KR102327018B1 KR102327018B1 (ko) 2021-11-16

Family

ID=7385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589A KR102327018B1 (ko) 2020-01-31 2020-01-31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26753B2 (ko)
EP (1) EP3859203B1 (ko)
KR (1) KR102327018B1 (ko)
CN (1) CN113203074B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832A (ko) * 2015-08-26 2017-03-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적응형 헤드 램프
KR20170027388A (ko) *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차량용 적응형 헤드 램프
KR20170076183A (ko) * 2015-12-24 2017-07-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적응형 헤드 램프
KR20170112268A (ko) * 2016-03-31 2017-10-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90067437A (ko) * 2017-12-07 2019-06-1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2019197743A (ja) * 2019-08-21 2019-11-1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9685A1 (de) 2005-10-14 2007-04-1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Multifunktions-Kfz-Scheinwerfermodul insbesondere für den Frontbereich eines Fahrzeugs
JP4663548B2 (ja) * 2006-02-24 2011-04-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KR20100122640A (ko) 2009-05-13 2010-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
AT508604B1 (de) * 2009-07-31 2012-07-15 Zizala Lichtsysteme Gmbh Led-kraftfahrzeugscheinwerfer zur erzeugung einer dynamischen lichtverteilung
JP5828424B2 (ja) * 2011-10-28 2015-12-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FR2991251B1 (fr) * 2012-06-04 2016-01-29 Valeo Vision Module d'eclairage a sources lumineuses ecartees, pour mise en oeuvre d'une fonction adb
DE102012211613A1 (de) * 2012-07-04 2014-01-09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ichtmodul
DE102012223658A1 (de) * 2012-12-18 2014-06-18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einem blendungsfreien Fernlicht
JP6409259B2 (ja) * 2013-09-05 2018-10-2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AT517523B1 (de) * 2015-07-28 2017-09-15 Zkw Group Gmbh Leuchteinrichtung für einen KFZ-Scheinwerfer
KR101979572B1 (ko) * 2015-12-24 2019-05-1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WO2018043663A1 (ja) * 2016-09-02 2018-03-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2018140689A (ja) * 2017-02-27 2018-09-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移動体
KR20180101963A (ko) * 2017-03-06 2018-09-14 주식회사 루멘스 엘이디 모듈
KR20190032069A (ko) * 2017-09-19 2019-03-2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7081917B2 (ja) * 2017-11-22 2022-06-0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EP3540296A1 (de) * 2018-03-15 2019-09-18 ZKW Group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CN209540760U (zh) * 2019-03-12 2019-10-25 深圳市绎立锐光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照明装置及汽车照明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832A (ko) * 2015-08-26 2017-03-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적응형 헤드 램프
KR20170027388A (ko) *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차량용 적응형 헤드 램프
KR20170076183A (ko) * 2015-12-24 2017-07-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적응형 헤드 램프
KR20170112268A (ko) * 2016-03-31 2017-10-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90067437A (ko) * 2017-12-07 2019-06-1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2019197743A (ja) * 2019-08-21 2019-11-1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9203B1 (en) 2023-06-14
US20210239288A1 (en) 2021-08-05
CN113203074B (zh) 2023-05-05
CN113203074A (zh) 2021-08-03
KR102327018B1 (ko) 2021-11-16
EP3859203A1 (en) 2021-08-04
US11326753B2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2191B1 (en) Lamp for vehicle
EP3647653B1 (en) Lamp for vehicle
JP4083516B2 (ja) 車両用前照灯
CN108302476B (zh) 用于机动车辆的包括光导的照明装置
CN112747287B (zh) 产生弓形光分布的照明装置
JP7364409B2 (ja) 車両用ランプ
US11415288B2 (en) Lamp for vehicle
JPWO2015045946A1 (ja) 光学ユニット
WO2019225645A1 (ja) 車両用灯具
KR20170112268A (ko) 차량용 램프
US11204147B1 (en) Headlight unit having micro-light emitting diode device, relay lens system and projection lens system
CN114659066A (zh) 车辆用灯具
JP7447698B2 (ja) 車両用灯具
KR102327018B1 (ko)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3029214A1 (en) Led module for vehicle headlight and vehicle headlight with such led module
KR20200071473A (ko) 차량용 램프
CN211822202U (zh) 用于车辆前照灯的光模块、前照灯及车辆
US11674656B2 (en) Vehicle lamp module
CN214745458U (zh) 用于汽车的灯以及包括用于汽车的灯的汽车
US11982415B1 (en) Lamp module for vehicle
KR102322461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114251624A (zh) 机动车前照灯的产生具有指示光的基本光分布的照明设备
KR20220015618A (ko) 차량용 램프
KR20230126484A (ko) 차량용 램프
KR20210136388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