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932A -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932A
KR20210096932A KR1020200010608A KR20200010608A KR20210096932A KR 20210096932 A KR20210096932 A KR 20210096932A KR 1020200010608 A KR1020200010608 A KR 1020200010608A KR 20200010608 A KR20200010608 A KR 20200010608A KR 20210096932 A KR20210096932 A KR 20210096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extract
artemisia capillaris
pres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040B1 (ko
Inventor
이효종
황수정
Original Assignee
코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0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이 멜라토닌 합성과 관련된 효소들을 인코딩 하는 Tph1a(tryptophan hydroxylase 1a), Aanat1(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1), Aanat2(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2), 및 Hiomt(hydroxyindole-O-methyltransferase)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하여 멜라토닌의 생성을 증가함으로써,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이 효과적인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제제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sleep disorders comprising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람들은 생활 수준의 연속적인 개선 및 사회적 경쟁 압력, 특히 매우 긴장한 근로 및 연구의 증가로 과도한 스트레스와 불안에 노출되어 삶의 질에 심각한 악영향을 받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수면장애이며, 수면장애가 지속되면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없기 때문에, 수면 부족으로 인한 교통사고, 작업장에서의 부상 등 일상 생활 뿐만 아니라, 당뇨병, 심장 질환, 비만 등 각종 질환이 발병하는 등의 신체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수면은 의식 활동을 멈추고 휴식을 취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활동시 소모한 에너지를 보충하고 신체 활동으로 누적된 피로를 회복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또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생리적 기능을 총괄하는 기관인 뇌가 적절한 활동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휴식이 필요하며, 이러한 휴식은 대부분 수면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면장애로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피로 및 뇌 활동이 누적되기 때문에, 신체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건강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수면장애로 고통을 호소하여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실제로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를 고려하면 수면장애를 겪는 환자의 수는 더욱 많을 것이라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면장애를 치료 및 개선하기 위한 각종 연구 및 약물 제품이 등장하였으며, 수면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경우 수면제, 정신 안정제, 스트레스 완화제와 같은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화학적 수면제의 경우 수면장애를 단기적으로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사용 횟수의 증가 및 장기간의 사용으로 약물 내성, 약물 의존성 형성 등의 부작용과 더불어, 불안, 흥분, 금단현상, 인지기능장애 등의 정신적인 부작용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장기간 수면제를 사용한 특정 환자의 경우 일상 생활의 어려움뿐 아니라, 인지적 장애, 우울증 등 다른 질병을 일으키기 때문에, 수면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안전한 제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천연 소재에서 다양한 기능성을 확인함으로서,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약물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노인, 어린이 또는 임산부의 경우 약물의 투여가 제한되기 때문에, 수면제에서 발생한 부작용이 없이 수면장애를 치료하고 수면의 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천연 물질로 이루어진 제제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천연 물질은 수면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약물로 섭취하는 것 이외에 일상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화장료, 향료 등의 제품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면장애의 개선을 위한 천연 소재를 발굴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새로운 천연 소재의 수면장애 개선 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공하기 위해,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이 멜라토닌 생성을 증가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멜라토닌의 생성을 증가하는 수면보조제 또는 수면개선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보조제로서, 상기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은 멜라토닌의 생성을 증가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수면보조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개선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이 멜라토닌 합성과 관련된 효소들을 인코딩 하는 Tph1a(tryptophan hydroxylase 1a), Aanat1(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1), Aanat2(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2), 및 Hiomt(hydroxyindole-O-methyltransferase)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하여 멜라토닌의 생성을 증가함으로써,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이 효과적인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제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투여에 따른 Tph1a(tryptophan hydroxylase 1a), Aanat1(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1), Aanat2(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2), 및 Hiomt(hydroxyindole-O-methyltransferase) 유전자 발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茵蔯蒿)"은 해안사구에서 소규모로 무리지어 자라는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라고 불린다. 인진쑥 어린시기의 잎은 쑥과 같이 전체에 솜털이 있고 백록색을 띠어, 잎의 표면이 매끈하며 가늘게 갈라진 비쑥 및 큰비쑥과 쉽게 구별된다. 자라면서 잎의 모양이 가늘고 길게 바뀌며 색도 꽃 필 무렵인 여름에는 완전한 연녹색으로 바뀐다. 줄기와 가지도 자라면서 목질화된다.
상기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의 잎, 줄기, 꽃, 열매 및 전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방법은 진탕 추출 또는 환류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온도는 4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며, 70 내지 1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시간은 2 내지 24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은 멜라토닌의 생성을 증가하여 수면을 유도함으로써, 수면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은 멜라토닌 합성과 관련된 효소들을 인코딩 하는 Tph1a(tryptophan hydroxylase 1a), Aanat1(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1), Aanat2(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2), 및 Hiomt(hydroxyindole-O-methyltransferase)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인진쑥 추출물을 투여 받은 대상체는 생체 내에서 부족한 멜라토닌 양이 증가하여 자연스럽게 수면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멜라토닌"은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생체 호르몬으로, 의학적으로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등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로 사용된다. 기존의 뇌를 억제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약물과는 다르게 멜라토닌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자연적으로 수면을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생체 내 멜라토닌은 밤과 낮의 길이 등과 같은 광주기를 감지하여 합성되고, 사람의 수면-각성 리듬과 일상적, 계절적 생체리듬을 조절하며 자연적인 수면을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이외에 항산화 및 면역을 자극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대상체"는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 경로로 투여 받는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포유류가 될 수 있다.
상기 "수면장애"는 수면과 관련된 모든 질환으로, 여러 요인으로 인해 수면에 장애를 보이는 증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수면장애는 충분한 수면 또는 숙면을 취하지 못하여 만성피로를 느끼거나 낮에 졸리거나 두통을 느끼는 등 일상 생활에 지장이 되는 증상을 포함하며, 수면에 쉽게 들지 못하거나 수면을 취하더라도 얕게 잠들어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모든 증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숙면이란 4 내지 6시간 동안 뒤척임 없이 깊이 잠든 상태, 꿈을 꾸지 않거나 얼마나 잤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로 깊은 수면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수면장애는 바람직하게 입면장애, 숙면장애, 중도각성, 조기각성, 불면증, 악몽, 몽유병, 기면증, 수면 중 이상행동, 과수면증(hypersomnia), 수면발작, 호흡관련 수면장애, 무호흡증,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s), 사건수면(parasomnia), 하지불안증후군 및 주기적 사지 운동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 추가로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전분, 당, 및 만니톨과 같은 부형제, 칼슘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충전제 및 증량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알긴산염,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과 같은 결합제, 활석, 스테아린산 칼슘,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윤활제, 포비돈, 크로스포비돈과 같은 붕해제, 폴리소르베이트, 세틸알코올, 및 글리세롤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대상체에게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친화적인 것일 수 있다. 희석제의 예로는 염수, 수용성 완충액, 용매 및/또는 분산제(dispersion media)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당 분야에서 제제화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 상황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다양한 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용 제형의 경우에는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또는 안정화제 등을, 국소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기제(base), 부형제, 윤활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대상체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불면증의 예방 및/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캡슐제는 통상의 경질캡슐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 및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캡슐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고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수면장애의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수면장애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거나 섭취시켜 수면장애의 나쁜 상태를 좋게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보조제로서, 상기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은 멜라토닌의 생성을 증가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수면보조제를 제공한다.
상기 수면보조제는 수면제와 달리 전문가의 처방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수면 유도 또는 진정 효과가 있는 일반의 약품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개선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면개선용"은 수면장애와 관련된 증상들 및 그 외에 원활하게 수면을 이룰 수 없는 증상들이 질적 또는 양적으로 완화되는 모든 효과를 의미한다. 또한, 수면개선용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포유류에 비침습적으로 수면에 방해되는 증상들을 완화시키고 수면에 들 수 있도록 유도하는 모든 효과를 의미한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향기를 내는 용도로 사용되는 제품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향수류, 향초류, 오일류, 방향제류, 세제류 및 피부외용제류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품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비누, 세안제 또는 입욕제 등 목욕하는 데에 필요한 제품을 모두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한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대한민국에 기원이 있는 것으로 국내 시장에서 구입하였다. 인진쑥의 전초를 여러 번 세척한 후, 건조 및 절단하여 추출기에 일정량으로 준비하였다. 인진쑥 무게의 10-14배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추출기에 추가한 후, 90±5℃에서 3-5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1 μm 폴리프로필렌 필터로 여과하였다. 그 후, 여과된 추출액을 60℃ 미만에서 1차 감압 농축한 후, 7,000 rpm 이상으로 연속식 원심분리 하고,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침전물을 제거한 농축액을 60℃ 미만에서 수분 함량이 55±5%가 될 때까지 2차 감압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 45±5%인 인진쑥 추출물을 얻고, 85-90℃에서 30-60분 동안 살균하였다. 최종 수득된 인진쑥 추출물을 용기에 포장하여 냉장 보관하면서 본 실험을 위한 최종 시료로 사용하였다. 수율은 원재료 중량 대비 인진쑥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 기준으로 8-13%이다.
실험예 2. 인진쑥 추출물의 멜라토닌 생합성 효소 유전자 발현 평가
인진쑥 추출물이 수면장애를 개선하고 수면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동물 모델에서 인진쑥 추출물의 투여 여부에 따른 멜라토닌 생합성과 관련된 효소인 Tph1a(tryptophan hydroxylase 1a), Aanat1(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1), Aanat2(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2), 및 Hiomt(hydroxyindole-O-methyltransferase)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24 hpf (hour-post fertilization)된 제브라피쉬 배아에 0.01% 인진쑥 추출물을 1일 1회 3일간 투여하였다. 이후 배양한 제브라피쉬로부터 TRIzol (Invitrogen)을 이용하여 m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는 iScript cDNA Synthesis Kit (Bio-Rad)를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이후 cDNA를 증폭시키기 위해 사용한 프라이머는 하기 표 1과 같으며, 각 프라이머들은 바이오니아(Bioneer)에서 구매하였다.
명칭 방향 시퀀스 (크기) 서열번호
zAanat2 forward(정방향) CAGGGCAAAGGCTCCATCT (19 mer) 1
reverse(역방향) CAGGCAGACAGCGCAGGT (18 mer) 2
zHIOMT forward(정방향) GACCTGTTTGAAGCCCTCTACA (22 mer) 3
reverse(역방향) ACAGATGGTCTTGTACGGTGTC (22 mer) 4
zTph1a forward(정방향) ACTCTATCCCTCACACGCCT (20 mer) 5
reverse(역방향) TGTTGTCTTCACGGGAGTCG (20 mer) 6
zAanat1 forward(정방향) TTGGACACAGCCCTTGGAAA (20 mer) 7
reverse(역방향) CAGTGCGCTCACTACTGACA (20 mer) 8
PCR 증폭 시 β-액틴(actin)을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PCR 생성물은 2.0% 아가로스 겔(agarose gel)을 이용하여 분리하였고, 레드세이프 핵산 염색(RedSafe nucleic acid staining, Intron, Korea)과 UV 조사(irradiation)를 이용하여 시각화한 후, 액틴 대비 발현량%를 그래프로 나타냈다(도 1).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Tph1a(tryptophan hydroxylase 1a), Aanat1(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1), Aanat2(arylalkylamine-N-acetyltransferase 2), 및 Hiomt(hydroxyindole-O-methyltransferase) 유전자 발현량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여 인진쑥 추출물의 투여가 멜라토닌 생성을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110> Inje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sleep disorders comprising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130> ADP-2020-0024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Aanat2_f <400> 1 cagggcaaag gctccatct 19 <210> 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Aanat2_r <400> 2 caggcagaca gcgcaggt 18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HIOMT_f <400> 3 gacctgtttg aagccctcta ca 22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HIOMT_r <400> 4 acagatggtc ttgtacggtg tc 22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Tph1a_f <400> 5 actctatccc tcacacgcct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Tph1a_r <400> 6 tgttgtcttc acgggagtcg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Aanat1_f <400> 7 ttggacacag cccttggaaa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Aanat1_r <400> 8 cagtgcgctc actactgaca 20

Claims (9)

  1.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의 잎, 줄기, 꽃, 열매 및 전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은 멜라토닌의 생성을 증가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장애는 입면장애, 숙면장애, 중도각성, 조기각성, 불면증, 악몽, 몽유병, 기면증, 수면 중 이상행동, 과수면증(hypersomnia), 수면발작, 호흡관련 수면장애, 무호흡증,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s), 사건수면(parasomnia), 하지불안증후군 및 주기적 사지 운동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보조제로서, 상기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은 멜라토닌의 생성을 증가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수면보조제.
  8.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개선용 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향수류, 향초류, 오일류, 방향제류, 세제류 및 피부외용제류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품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KR1020200010608A 2020-01-29 2020-01-29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5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608A KR102375040B1 (ko) 2020-01-29 2020-01-29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608A KR102375040B1 (ko) 2020-01-29 2020-01-29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932A true KR20210096932A (ko) 2021-08-06
KR102375040B1 KR102375040B1 (ko) 2022-03-17

Family

ID=7731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608A KR102375040B1 (ko) 2020-01-29 2020-01-29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0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641B1 (ko) 2021-10-13 2023-02-0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신곡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77077A (ko) 2021-11-25 2023-06-01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호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WO2023136151A1 (ja) * 2022-01-17 2023-07-20 株式会社 資生堂 Asmt遺伝子発現促進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973A (ko) * 2005-06-01 2006-12-07 김종헌 수면촉진 숨쉬는 베개용볼 및 베개 제작방법
KR20120131337A (ko) * 2011-05-25 2012-12-05 김원규 인진쑥, 헛개나무, 민들레, 대추, 갈근 및 오가피의 각각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CN104800409A (zh) * 2015-05-25 2015-07-29 赵东文 一种治疗帕金森的中药配方
KR20170051756A (ko) 2015-10-30 2017-05-12 (주)바이오벤 미배아 발효물 함유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KR20180076607A (ko) * 2016-12-28 2018-07-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유도 기능을 가지는 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918249B1 (ko) * 2017-10-16 2018-11-13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강 및 능이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용 조성물
KR101973937B1 (ko) * 2017-11-30 2019-04-30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655990A (zh) * 2019-10-08 2020-01-07 宫鹏 一种中药艾草精油制备方法与用途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973A (ko) * 2005-06-01 2006-12-07 김종헌 수면촉진 숨쉬는 베개용볼 및 베개 제작방법
KR20120131337A (ko) * 2011-05-25 2012-12-05 김원규 인진쑥, 헛개나무, 민들레, 대추, 갈근 및 오가피의 각각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CN104800409A (zh) * 2015-05-25 2015-07-29 赵东文 一种治疗帕金森的中药配方
KR20170051756A (ko) 2015-10-30 2017-05-12 (주)바이오벤 미배아 발효물 함유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KR20180076607A (ko) * 2016-12-28 2018-07-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유도 기능을 가지는 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918249B1 (ko) * 2017-10-16 2018-11-13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강 및 능이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용 조성물
KR101973937B1 (ko) * 2017-11-30 2019-04-30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655990A (zh) * 2019-10-08 2020-01-07 宫鹏 一种中药艾草精油制备方法与用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Amer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Vol.43, No.4, 667-676(2015.06.)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641B1 (ko) 2021-10-13 2023-02-0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신곡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77077A (ko) 2021-11-25 2023-06-01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호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WO2023136151A1 (ja) * 2022-01-17 2023-07-20 株式会社 資生堂 Asmt遺伝子発現促進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040B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040B1 (ko)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45248B1 (ko) 신생혈관형성 억제용 한약 조성물
KR101789424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1504441A (ja) シソ発酵抽出物を含む睡眠障害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CN111919934A (zh) 一种用于降三高保护心血管的红花苏心茶及其制备方法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6456690B (zh) 包含来自荜茇的提取物的用于预防、治疗和改善排尿功能障碍的组合物
KR20210097487A (ko) 후코이단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93990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02846113B (zh) 一种桑叶保健枕芯及其制备方法
KR20040101598A (ko)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조성물
CN107712890A (zh) 一种宁心安神膏滋及其制备方法
CN102920083A (zh) 一种失眠治疗帽
KR20220017595A (ko) 땅콩새싹원액 또는 땅콩새싹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음료 그리고 음료조성물
KR101041044B1 (ko)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2020644B1 (ko) 스트레스 관련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207603B1 (ko)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수면 유도용 조성물
KR20070019395A (ko) 녹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 형태의 항비만 건강식품조성물
CN109260255A (zh) 一种木本复方防暑精油及其制备方法
CN114053323B (zh) 一种防治抑郁且消除抗抑郁药物致高泌乳素血症的药物平卧菊三七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90559B1 (ko) 불면증 및 수면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에 있어서 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20055159A (ko)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2422965B1 (ko) 감탕나무(Ilex integra Thunb.)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01557B1 (ko)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 수용체 효능제의 내성 억제 또는 부작용 경감을 위한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