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756A - 미배아 발효물 함유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배아 발효물 함유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756A
KR20170051756A KR1020150152473A KR20150152473A KR20170051756A KR 20170051756 A KR20170051756 A KR 20170051756A KR 1020150152473 A KR1020150152473 A KR 1020150152473A KR 20150152473 A KR20150152473 A KR 20150152473A KR 20170051756 A KR20170051756 A KR 20170051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a
composition
sleep
tryptophan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유량
이석훈
김고래
황윤희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벤 filed Critical (주)바이오벤
Priority to KR102015015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1756A/ko
Publication of KR2017005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8Gamma-amino buty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5Tryptophan
    • A23Y2220/7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배아 발효가바(GABA)를 함유한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농도별 투여를 통하여 수면유도기 단축 및 수면시간 연장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수면장애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면유도기 단축 및 수면시간 연장 효과가 있으며, 유효 성분으로 천연물인 미배아 발효물 유래의 가바를 함유하므로, 부작용 및 내성 걱정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배아 발효물 함유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Sleep improvement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ation product of rice germ extract}
본 발명은 미배아 유산균발효물를 함유하는 수면의 질을 개선시키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러가지 수면장애 중 불면증은 매우 흔한 수면장애로 수면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증상으로 잠드는 것이 어렵거나, 잠을 유지하는 것의 어려움, 빨리 깨는 것,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불면증의 정도와 상관없이 성인 인구의 30-48%는 불면증 증상을 겪고 있고 성인 10명 중 3명이 수면장애에 시달리고 있으며, 여성이나 노인에서는 그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Woo, J, M., Hyun, S. Y., Lee, S. H., Kang, S. G., Lee, J. S. and Kim, L. Productivity time lost by sleep disturbance among workers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50: 62-8(2010)).
현대인의 수면시간이 크게 줄어든 이유는 장래에 대한 불안, 우울증, 불안장애,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이유에 의한 정신질환 증가, 직업과 사회적 다변화에 따른 주야간 교대 근무, 그리고 바르지 못한 생활습관 등 다양한 원인에 기인 한다. 즉,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할 일이 많아지고 스트레스도 늘어나면서 만성적 수면부족이 생겨난 것이다. 또한 커피 등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더 많이 섭취하는 것도 이유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일시적인 스트레스, 수면습관의 변화로 인한 불규칙한 수면습관 등으로 인하여 일시적인 급성불면증이 쉽게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급성불면증은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유지하고, 불면증을 유발한 스트레스나 원인 인자를 제거하게 되면 정상적인 수면습관으로 돌아오게 된다. 하지만, 잘못된 수면습관을 유지하거나 왜곡된 불면증에 대한 대처는 매일 잠을 못자는 만성불면증을 일으키게 된다.
만성불면증상은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우울증의 발생을 10배 이상 증가시키며, 또한 불면증으로 인한 수면장애는 고혈압이나 혈당 조절 문제, 비만 등의 문제를 야기시켜 각종 질병의 유병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의료비 지출의 증가, 주간의 사고 위험성 증가, 직장에서의 업무수행능력 저하 등 환자의 사회적인 부분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Kang, E. H. Sleep Disorder and Socioeconomic Burden.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8(2): 72-5(2011)).
불면증은 매우 흔한 수면장애임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불면증은 일반적으로 약물치료 및 수면위생, 수면인지행동치료 등의 비약물치료로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약물치료는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습관화되어 수면제 의존성과 내성이 생기게 되며 중단 시 금단증상 등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 시킬 수 있다. 수면인지행동치료는 비용이 비싸고, 전문가가 개입해야 하며, 치료효과가 나타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심각한 만성불면증 뿐만 아니라 일시적 불면증이나 단기불면증, 그리고 심하지 않은 불면증 환자들에게는 보다 안전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 요구되고 있다.
수면 조절 체계는 매우 복잡하지만, 수면장애에 대한 현재의 치료는 아직도 제한된 몇 가지 경로만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잘 알려진 많은 수면약은 가바 수용체를 타켓으로 하고 있다. 현재 임상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심적인 불면증치료약은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및 비벤조디아제핀계 약이다. 이들 수면제들은 GABA-A 수용체 복합체의 벤조디아제핀 결합부위에 작용하여 중추신경계에서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가바계의 작용을 증강시킴으로서 최면작용을 발현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면양식은 수면의 질이 일반적인 자연수면(생리적 수면)과 다른 진정형 수면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들 수면제는 장기복용에 의하여 기억장애, 운동장애, 의존성 등의 부작용이 현저하며, 따라서 이와 같은 불면증치료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부작용 없이 생리적으로 수면을 유발하는 새로운 형태의 숙면소재 개발이 시급하다.
뇌 내에서 수면조절의 메신저 기능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을 총칭하여 수면물질(내인성 수면촉진물질)이라 부르며, 가바(γ-aminobutylic acid, GABA), 셀로토닌(serotonin), 타우린(taurine), 글리신(glycine)이 대표적인 수면물질이다. 이들은 우리들이 섭취하는 물질로부터 합성되기 때문에 영양기능성 성분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바는 중추신경계에서 신경흥분성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다. 가바는 여러 가지 생리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진정작용으로 이완을 증진시키는데 관여한다. 가바는 인체에 천연적인 진정제로서 뇌 조직에 주로 존재하는 GABAA와 GABAB 두 개의 가바-수용체에 가바가 리간드로 작용하여 결합되어 중추신경계에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서 작용하며, 가바의 양이 증가되면 전형적으로 정서적 안정과 항 정신불안증, 항 경련 효과, 수면유도 및 수면유지를 나타낸다. 가바 자체는 졸음을 일으키지 않는다. 대신에 불안을 완화시킴으로서 단순히 쉽게 잠들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많은 진정제 처방약과는 달리 가바는 습관성이 되지 않는다.
세로토닌(serotonin)은 전구물질인 트립토판 (tryptophan)으로부터 합성된다. 세로토닌은 대개 억제성으로 작용하는 신경전달물질로 불안장애, 식사장애, 수면장애, 퇴행성 뇌질환, 스트레스 장애 등 여러 신경정신질환의 원인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세로토닌은 각성의 활동성을 감소시켜 수면을 준비시키는 물질로서 작용한다.
한편 송과선(pineal gland)에서는 N-아세틸 전이효소(N-acetyl- transferase)에 의해 세로토닌이 멜라토닌(melatonin)이 되기 때문에 세로토닌 수준이 낮으면 멜라토닌 수준도 낮다. 나이가 들면 멜라토닌의 생산, 분비가 감소하게 되며 중·노령자의 입면장애, 도중각성, 조기각성 등의 불면증은 멜라토닌의 분비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중·노령자의 불면에 세로토닌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효하며, 세로토닌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구물질인 L-트립토판의 혈중 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Reimann D, Feige B, Hornyak M, Koch S, Hohagen F, Voderholzer U. The tryptophan depletion test: impact on sleep in primary insomnia-a pilot study. Psychiatry Res 2002; 109: 129-135).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부작용 없이 생리적으로 수면을 유발하는 새로운 형태의 숙면소재로 유산균 발효에 의하여 생성된 발효가바를 고농도로 함유한 발효조성물을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의 하나는 상기 발효조성물을 함유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가바는 일반곡류에 흔히 존재하여 일반적인 식사에서 매일 섭취하고 있다. 그러나 그 함량은 일반미에 1-4 mg/100 g, 현미에 4-8 mg/100 g, 발아현미에 10-20 mg/100 g으로 자연상태에서의 가바 함유량은 극히 적어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는 소재로 활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자들은 김치에서 분리한 식물성 유산균을 미배아추출물 배지에 배양하여 고농도 가바를 생성시키는데 성공하여 안전한 천연 수면유도제로서의 GABA의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바를 고농도로 함유한 발효조성물을 투여함으로서 수면유도기 단축 및 수면 유면시간 연장 효과가 현저함을 동물시험을 통하여 확인함으로서, 이를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음을 밝혀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면유도기 단축 및 수면시간 연장 효과가 있으며, 유효 성분으로 천연물인 미배아 발효물 유래의 가바를 함유하므로, 부작용 및 내성 걱정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펜토탈(Pentothal) 처리한 마우스 군의 수면유도기및 수면시간에 미치는 가바의 농도별 영향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2는 펜토탈(Pentothal) 처리한 마우스 군의 수면유도기 및 수면시간에 미치는 가바와 트립토판 혼합제제의 농도별 영향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3은 GABA 또는 GABA+Trp 혼합제제 처리로 인한 마우스 SCN에서의 AA1R의 면역반응성의 변화를 면역조직화학분석으로 확인한 도면이다.
도 4는 마우스 SCN에서의 AA1R 단백질 수준 변화를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확인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발효조성물"이란 가바 생산능을 가진 유산균를 이용하여 미배아 추출물을 발효하여 얻은 산물을 칭하는 것으로 발효 후에 추가로 탈색, 정제, 탈염, 건조 등의 가공처리를 하여 농축액, 분말, 결정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발효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B2-16(기탁번호 KFCC11321)로 미배아 추출물을 발효시킨 발효물이다.
일 구현예에서, 발효조성물은 가바를 10 내지 20% (w/w) 함유한 분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효조성물은 미배아 추출물을 발효원으로 기탁번호 KFCC11321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B2-16를 접종하여 발효하여 제조한 미배아 발효물이며, 가바를 약 15% (w/w) 함유한다.
일 구현예에서, 발효조성물은 정제, 탈염하여 가바가 20-80% 함유된 농축액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발효조성물은 정제, 탈염, 농축, 결정화시킨 순도 90% 이상의 결정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건강기능성 식품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캡슐, 타브렛, 분말형태, 고형식품, 음료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트립토판을 함유할 수 있으며, 트립토판은 순수한 단독 형태뿐만 아니라 카제인 등의 트립토판 함유량이 높은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효조성물에 트립토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수면개선 효과가 향상된다는 것을 동물시험을 통하여 확인한바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주요 성분인 상기 발효조성물 및 트립토판 이외에, L-글루타메이트(L-glutamate), 웨이단백질(whey protein), 5-하이드록시트립토판(5-hydroxytryptophan), 발레리안 추출물(valerian extract), 징코빌로바(ginkgo biloba), 포도씨 추출물(grape seed extract) 등 수면 개선 효과가 있다고 이미 알려졌거나 앞으로 알려질 여타의 공지된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장애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주요 성분인 상기 발효조성물의 혼합량은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0%로 함유될 수 있으나, 함량은 건강기능식품에 함유되는 기타 성분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기능식품 내 발효조성물의 함량이 1% 미만인 경우 실질적인 수면 유도 또는 불면증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용으로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식품용으로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식품에 배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성분, 예를 들어 물, 풍미제, 향미제, 착색제, 안정화제, 방부제, 알코올, 탄산화제, 과육, 증점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유기산, 미네랄, 영양제 등일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동물시험용 발효조성물 분말시료 제조
춘천 생물산업진흥원의 발효생산시설을 이용하여 동물시험을 위한 미배아발효 가바 분말제품을 생산 하였다. 우선 1차적으로 500L의 종발효조에 미배아추출물 배지 300L를 준비하고 여기에 실험실 발효조에서 전배양한 L. sake B2-16균주 배양액을 접종하여 30℃에서 종배양 하였다. 다음 신선한 미배아를 10배수의 60℃ 열수로 추출한 추출액 3,200L를 5000L 본 발효조에 채우고 121℃에서 15분간 살균, 냉각하였다. 발효조의 온도가 30℃로 냉각되면 종발효조의 배양액을 전량 무균적으로 본 발효조로 이송, 접종하였다. 접종을 완료한 후 본 발효조는 30℃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발효종료 후 발효액은 원심분리, 막여과 한 후 덱스트린을 첨가하고 대형 분무건조기에서 분무건조 하였으며, 알루미늄 적층 포장용기에 1kg단위로 소포장 하였다.
분말시료의 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열량(Kcal/100g) 261.34, 회분(%) 28.46, 탄수화물(%) 45.93, 수분(%) 6.58, 조지방(%) 0.30, 나트륨(mg/100g) 3574.32 및 조단백질(%) 18.73로 나타났으며, 자체분석 및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 분석 의뢰를 통하여 가바 함량은 15%(w/w)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동물시험을 통한 미배아 발효조성물의 수면개선 효능 검증
[실험방법]
1. 실험 동물
25 내지 30g의 수컷 성체 ICR 마우스들을 이용하였다. 마우스들은 한림대학교 (춘천, 한국)의 실험 동물 센터에서 분양받았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기 위하여, 마우스들을 실험 1주 전 동안 23℃의 온도 및 60%의 습도 하에 12시간 낮/12시간 밤의 사이클로 생육하였으며, 및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게 하였다. 실험동물의 관리를 포함한 절차는 실험동물의 관리 및 이용에 대한 NIH 간행물 No. 85-23, 1985 (1996에 개정)에 따른 국제 법률 및 정책을 준수한 대학 지침을 따랐다.
2. 가바 및 트립토판 투여
가바 및 트립토판 (sigma, USA)의 양은 문헌에 나와 있는 인체 대상 급여 시료 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마우스 용량으로 환산하였다. 미배아발효물에는 가바가 15% 함유되어 있으므로 투여량은 6.7배 하였다.
가바 단일 투여군은 용량별로 마우스들을 각각 12마리씩 1) 대조군 (비히클(vehicle), 2) 저-가바 처리군은 가바 22 mg/kg, 3) 중-가바 처리군은 가바 44 mg/kg, 4) 고-가바 처리군은 가바 66 mg/kg을 생리식염수 (Junsei Chemical Co., Ltd., Tokyo, Japan)에 녹여 마우스들에게 하루에 한 번 (오후 1시 내지 2시 사이) 주사기로 경구투여 하였다.
한편 가바 및 트립토판 혼합제제 처리군은 5) 저-(가바+트립토판) 처리군은 가바 22 mg/kg 및 트립토판 8 mg/kg, 6) 중-(가바+트립토판) 처리군은 가바 44 mg/kg 및 트립토판 16 mg/kg, 그리고 7) 고-(가바+트립토판) 처리군은 가바 66 mg/kg 및 트립토판 25 mg/kg을 생리식염수 (Junsei Chemical Co., Ltd., Tokyo, Japan)에 녹여 마우스들에게 하루에 한 번 (오후 1시 내지 2시 사이) 주사기로 경구투여 하였다.
3. 펜토탈(Pentothal)로 유도된 수면시간 시험
모든 측정은 객관성을 위해 두 실험자에 의해 맹목적 조건하에 수행되었다. 모든 실험은 오후 1시에서 5시 사이에 수행되었으며, 마우스들은 실험 24시간 전부터 단식시켰다. 시험 시료들을 경구투여하고 30분 후, 펜토탈 (thiopental sodium) (JW Pharm. Co., Ltd.,Seoul, Korea)을 수면 유도 용량인 40 mg/kg을 각 마우스의 복강내 주사하였다. 수면유도시간(sleep latency)은 펜토탈 주입 후부터 정향반사(righting reflex)가 소실되는 시점까지, 수면시간(sleeping time)은 정향반사가 회복되는 시간으로 하였다(Ferrini R, Miragoli G, Taccardi B (1974). Neuro-pharmacological studies on SB 5833, a new psychotherapeutic agent of the benzodiazepine class. Arzneim.-Forsch. (Drug Res.) 24: 2029-2032). 15분 이내에 수면을 취하지 않는 동물은 실험에서 배제하였다.
4. 면역조직화학 분석
마우스들로부터 혈액을 수집한 후, 실험군 마우스(각 군 당 n=7)의 좌심실을 통하여 0.1 M 인산염 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 pH 7.4; Sigma-Aldrich Co.)를 주입한 후 0.1 M PBS에 녹인 4% 파라포름알데히드 (Samchun Chemicals, Pyeongtaek, Korea)을 고정액을 관류시켰다. 관류 고정 후 마우스에서 뇌를 적출한 다음 뇌 조직을 상기 고정액에 담가서 4℃에서 6시간 동안 후 고정하였다. 고정된 뇌 조직을 30% 수크로오스 (Junsei Chemical Co., Ltd.)에 하룻밤 동안 침적시켜 동결보호(cryoprotect)하였다. 그 후 뇌 조직을 동결시키고 크라이오스탯(cryostat) (Leica, Wetzlar, Germany)으로 30 ㎛ 두께의 연속관상 절전을 제작하였다. 뇌조직 절편들은 0.1 M PBS (pH 7.4; Sigma-Aldrich Co)가 들어있는 6-웰 플레이트에 모았다.
GABA 또는 GABA+Trp 혼합제제처리로 인한 마우스 SCN(suprachiasmatic nuclei, 시신경 교차상핵)에서의 아데노신 A1 수용체(adenosine A1 receptor, AA1R)의 면역반응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래빗 항-AA1R (1:200;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항체를 1차 항체로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으로 pre-면역 혈청(pre-immune serum) (Vector, Burlingame, CA, USA)을 일차 항체 대신에 사용하였다. 마우스 당 총 7개의 섹션이 AA1R 면역반응성을 정량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SCN 디지털 이미지를 Axiocam 디지털 카메라 (Carl Zeiss)가 장착된 AxioM1 광학현미경 (Carl Zeiss, Oberkochen, Germany)으로 캡쳐하였다. 디지털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Optimas 6.5; CyberMetrics, Scottsdale, AZ, USA)를 이용하여 AA1R 면역반응성의 면역 염색 강도로 반-정량하였다. 각각의 면역반응성 구조에서의 AA1R 면역 염색의 강도 평균을,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회색도 평균을 변환하여 얻은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OD)를 기초로하여 측정하였다.
[수학식 1]
OD=log (256/mean gray level)
OD의 배경값은 측정한 구역에 인접한 구역으로부터 도출되었다. 배경값을 뺀 후에, Adobe Photoshop version 8.0 및 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의 광학 밀도 비율을 % (상대적인 광학 밀도, relative optical density, ROD)로 보정한 뒤 NIH Image 1.59 소프트웨어 (NIH, Bethesda, MD, USA)로 분석하였다.
5. 웨스턴 블롯 분석
마우스 SCN에서의 AA1R 농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들 (각각의 군 당 n=5)에서 혈액을 수집한 후에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직들을 EGTA (pH 8.0; Santa Cruz Biotechnology), 0.2% NP-40 (Sigma-Aldrich Co.), 10mM EDTA (pH 8.0, Sigma-Aldrich Co.), 15mM sodium pyrophosphate (Santa Cruz Biotechnology), 100mM β-glycerophosphate (Santa Cruz Biotechnology), 50mM NaF (Santa Cruz Biotechnology), 150mM NaCl (Santa Cruz Biotechnology), 2mM sodium orthovanadate (Santa Cruz Biotechnology), 1mM PMSF (Santa Cruz Biotechnology) 및 1mM DTT (Santa Cruz Biotechnology)를 포함하는 50mM PBS (pH 7.4; Sigma-Aldrich Co.)에 균질화시켰다. 균질화한 시료들을 각각 16,000×g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뒤, 상등액의 단백질 농도를 Micro BCA 단백질 분석 키트 (Pierce Chemical,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총 단백질 20㎍을 함유하도록 시료를 나눈 뒤 150mM Tris (pH 6.8; Santa Cruz Biotechnology), 3mM DTT (Santa Cruz Biotechnology), 6% SDS (Santa Cruz Biotechnology), 0.3% bromophenol blue (Santa Cruz Biotechnology) 및 30% glycerol (Junsei Chemical Co.,Ltd.)를 포함하는 로딩 버퍼와 끓여주었다. 끓인 시료들을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에 로딩한 뒤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전기영동 후, 젤을 니트로셀룰로오스 트랜스퍼 멤브레인 (Pall Crop, East Hills, NY, USA)에 트랜스퍼하고 PBS에 녹인 5% 탈지분유 (Santa Cruz Biotechnology) (0.1% Tween 20 (Santa Cruz Biotechnology) 포함)에 넣어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각각의 1차 항체 및 peroxidase-conjugated donkey anti-rabbit IgG (Sigma-Aldrich Co.)와 인큐베이션하고 ECL kit (Pierce Chemical)를 이용하여 디벨롭핑하였다. 웨스턴 블롯팅으로 나온 밴드들을 Scion Image software (Scion Corp.,Frederick, MD, USA)를 이용하여 스캔하고 비히클 처리한 대조군을 100%로 하여 상대적인 ROD 비율을 %로 보정하였다.
그 결과, 비히클을 처리한 대조군의 SCN에서 AA1R 면역반응성 세포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으며, AA1R 면역반응성은 SCN의 세포질에서 관찰되었다 (도 4A). low-GABA 처리군에서, AA1R 면역반응성의 발현 패턴은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면역반응성 및 단백질 농도(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SCN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p<0.05) (도 4B, 도 5). 유사하게, low-GABA+Trp 처리군에서의 AA1A 면역반응성 및 단백질 농도(수준)도 대조군 및 low-GABA 처리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도 4C 및 도 5).
상기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low-GABA 또는 low-GABA+Trp가 수면 잠복기를 감소시키고 수면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시상하부의 SCN에서 GABA 수용체와 고도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AA1A에 대한 작용과 관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통계처리
모든 실험 결과는 mean ± SEM으로 나타내었고, 통계처리는 SPSS 14.0을 사용하여 student’s t-test를 실시하였다(p<0.05)
[실험결과]
1. 가바가 펜토탈로 유도한 생쥐의 수면유도시간 및 수면시간에 미치는 효과
수면유도시간(sleep latency)는 대조군인 비히클 처리군에서 3.8±0.4분이었다. 가바 투여군의 경우 수면유도시간은 저-가바 처리군: 3.2±0.2분, 중-가바 처리군: 3.4±0.3분, 및 고-가바 처리군: 3.0±0.2분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단축되었으나 유의적으로 단축되지는 않았다 (p>0.05)(도 1).
한편 수면시간(sleeping time)은 대조군의 경우 70.1±9.5분이었으며, 저-가바 처리군은 107.9±8.8분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수면시간이 유의적으로 연장되었다 (p<0.05). 그러나, 중-가바 처리군 및 고-가바 처리군의 경우는 각각 81.0±9.2 분 및 78.5±11.0분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연장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p>0.05) (도 1).
Vehicle: 대조군;
Low-GABA: GABA 22 mg/kg 투여군;
Middle-GABA: GABA 44 mg/kg 투여군; 및
High-GABA: GABA 66 mg/kg 투여군.
2. 가바와 트립토판 혼합제제가 펜토탈로 유도한 생쥐의 수면유도시간 및 수면시간에 미치는 효과
가바와 트립토판 혼합제제를 투여한 경우 대조군의 수면유도시간은 3.8±0.4분이었으며, 저-(가바+트립토판)을 투여한 처리군은 수면유도기가 2.7±0.3분으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p<0.05). 그러나, 중-(가바+트립토판) 처리군 및 고-(가바+트립토판) 처리군은 수면유도기가 각각 3.5±0.4분 및 3.6±0.4분으로 단축되었으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도 2).
또한, 저-(가바+트립토판) 처리군의 경우 수면시간이 125.6±8.7분으로 나타나 대조군의 70.1±9.5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역시 중-(가바+트립토판) 처리군 및 고-(가바+트립토판) 처리군은 수면 시간이 각각 83.5±9.0분 및 77.9±10.0 분으로 대조군에 비해 연장되었으나 유의하게 연장되지는 않았다 (p>0.05) (도 2).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가바와 트립토판을 투여한 경우 펜토탈로 유도한 생쥐의 수면유도시간과 수면시간을 전반적으로 개선하였으며, 특히 낮은 농도의 가바(22mg/kg)를 투여한 처리군의 경우 수면유도시간이 단축되고 수면시간이 유의하게 연장되었다. 또한 저농도의 가바(22mg/kg)에 트립토판을 낮은 농도(8mg/kg)로 추가 투여한 경우 이러한 수면개선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Vehicle: 대조군;
Low-(GABA+Trp): GABA 22 mg/kg 및 Trp 8 mg/kg 혼합투여군;
Middle-(GABA+Trp): GABA 44 mg/kg 및 Trp 16 mg/kg 혼합투여군; 및
High-(GABA+Trp): GABA 66 mg/kg 및 Trp 25 mg/kg 혼합투여군.
3. 아데노신 A1 수용체(Adenosine A1 receptor, AA1R) 면역반응 및 단백질 수준
시각교차위핵은 뇌의 시상하부(hypothalamus)에 속하는 핵으로 시각교차(optic chiasm) 바로 위에 있는 작은 핵(신경세포집단)을 말하며, 눈으로 들어온 빛을 감지해 낮과 밤을 구분하여 수면을 조절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주기 유지장치인 시각교차위핵 (suprachiasmatic nucleus, SCN)에서 수면 증진에 관련된 물질인 AA1R의 면역반응성을 확인한 결과, 비히클을 처리한 대조군의 SCN에서 AA1R 면역반응성 세포들을 쉽게 관찰할 수 있었으며, AA1R 면역반응성은 SCN의 세포질에서 확인되었다 (도 4A). 저-가바 처리군에서, AA1R 면역반응성의 발현 패턴은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면역반응성 및 단백질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SCN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도 4B, 도 5). 유사하게, 저-(가바+트립토판) 처리군에서의 AA1A 면역반응성 및 단백질 수준도 대조군 및 저-가바 처리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도 4C 및 도 5).
상기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low-GABA 또는 low-(GABA+Trp) 투여군에서 수면유도기가 단축되고 수면시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현저함을 면역조직화학 분석을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Vehicle: 대조군;
Low-GABA: GABA 22 mg/kg 투여군;
Low-(GABA+Trp): GABA 22 mg/kg 및 Trp 8 mg/kg 투여군;
AA1R: AA1R 항체로 확인한 AA1R 단백질 밴드;
β-Actin: 로딩 컨트롤; 및
ROD: 상대 광학 밀도(relative optical density).

Claims (11)

  1. 미배아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배아 발효물은 수면유도시간을 단축하고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배아 발효물은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를 함유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sakei) B2-16(기탁번호 KFCC11321)으로 미배아 추출물을 발효시킨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미배아 발효물은 발효가바를 10 내지 95%(w/w) 함유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트립토판을 추가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가바와 트립토판의 비율이 11:4(w/w)인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바가 44 mg/kg 미만으로 투여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립토판이 16 mg/kg 미만으로 투여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10. 미배아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유도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배아 발효물은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를 함유하는 수면 유도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50152473A 2015-10-30 2015-10-30 미배아 발효물 함유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KR20170051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473A KR20170051756A (ko) 2015-10-30 2015-10-30 미배아 발효물 함유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473A KR20170051756A (ko) 2015-10-30 2015-10-30 미배아 발효물 함유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756A true KR20170051756A (ko) 2017-05-12

Family

ID=5874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473A KR20170051756A (ko) 2015-10-30 2015-10-30 미배아 발효물 함유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17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161A (ko) * 2017-06-08 2018-12-18 (주) 노바렉스 타트체리추출물 및 미배아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96932A (ko) 2020-01-29 2021-08-06 코스바이오 주식회사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9526B1 (ko) * 2023-03-17 2023-07-26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리모시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m1063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 개선 또는 숙면 유지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161A (ko) * 2017-06-08 2018-12-18 (주) 노바렉스 타트체리추출물 및 미배아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96932A (ko) 2020-01-29 2021-08-06 코스바이오 주식회사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9526B1 (ko) * 2023-03-17 2023-07-26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리모시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m1063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 개선 또는 숙면 유지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57401A (ko) 파라잔틴-기반 카페인 대용 조성물 및 느린 카페인 대사자에서의 이의 사용 방법
KR20170051756A (ko) 미배아 발효물 함유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TW201813656A (zh) 用於使時鐘基因之表現變化的組合物
US20180325925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oinflammatory disease, containing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inhibitor
CN106666746A (zh) 具有调节神经递质平衡功能的芦笋组合物及其制备方法、芦笋组合物粉剂
JP2017137296A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US11439603B2 (en) Compositions for ameliorating, preventing or treating somnipathy including phloroglucinol as active ingredient and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intolerance to or alleviating side effects of agonist at benzodiazepine binding site of GABA-A receptor including phloroglucinol as active ingredient
KR101735061B1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901145A (zh) 一种舒睡巴氏杀菌牛奶及其制备方法
KR101401612B1 (ko) 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232872B1 (ko) 스핑고신-1-포스페이트(sphingosine-1-phosphat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8654B1 (ko) Tph1 유전자, ddc 유전자 및/또는 aanat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바나나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76828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신적 스트레스, 우울증 또는 치매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US10568939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sleep duration and quality
US10835567B2 (en) Method for regulating expressions of TPH1 gene, DDC gene, and/or AANAT gene by using banana peel extract
KR102242400B1 (ko)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KR102293239B1 (ko) 시계꽃 추출물을 함유하여 신경세포 활성을 억제시키는 조성물
KR102240706B1 (ko) 시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유도용 조성물
KR102612099B1 (ko) 흑미 호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US20230390263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nicotinamide and vitamin b6 and methods of using such compositions for treating cachexia or precachexia
KR101457442B1 (ko) 감마오리자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
US11464824B2 (en) Peptide capable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KR20210056283A (ko) 대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401928A1 (en) Anti-obesity agent, pollakiuria improving agent, and autonomic nervous activity regulator
JP2016124842A (ja) 脂肪燃焼促進剤及び低体温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