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277A - 재활 기구를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침대에 연결된 재활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재활 기구를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침대에 연결된 재활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277A
KR20210093277A KR1020217017326A KR20217017326A KR20210093277A KR 20210093277 A KR20210093277 A KR 20210093277A KR 1020217017326 A KR1020217017326 A KR 1020217017326A KR 20217017326 A KR20217017326 A KR 20217017326A KR 20210093277 A KR20210093277 A KR 20210093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rehabilitation
receiving unit
height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쾨니그
헬프라이드 페이를
라모나 수잔나 슐라퍼
맥시밀리안 그로쎄-던케르
헬무트 오스치왈드
Original Assignee
리액티브 로보틱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액티브 로보틱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리액티브 로보틱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9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59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moved by trans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76Means for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4Stationary fixed means, e.g. fixed to a surface or b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8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onnecting a trolley to a device, e.g. bed or column 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7Constructive details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61H2201/1246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by piston-cylinde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 기구(30)를 침대(80)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병원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는 장치(1)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1)는 적어도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1); 상기 침대(80)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801)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으로서, 상기 수용 유닛(12)은 설계 시 연결 요소(31)에 대응하는, 수용 유닛(12); 및 상기 재활 기구(30)를 침대(80)를 향해 그리고 침대(80)로부터 멀어지도록 운송하기 위한 운송 수단(13)을 포함하며, 상기 운송 수단(13) 및/또는 상기 침대(80)는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에 의해 침대(80)에 연결되는 재활 기구(30)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재활 기구(30)를 통상적인 병원 침대(80)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병원 침대에, 쉽고 빠르게 그리고 가역적으로 유리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기존의 침대(80)를 운동 요법을 위한 로봇 시스템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개장하는 데 적합하다.

Description

재활 기구를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침대에 연결된 재활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재활 기구를 침대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병원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장치를 침대에, 바람직하게는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침대에 연결된 재활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운송 수단에 배치된 제어 유닛을 사용한다.
누워 있는(bedridden) 환자(이하 특히 의식 또는 무의식 여부에 관계없이 의학적 이유로 인해 임의의 시간 동안 스스로 침대에서 나올 수 없는 환자로 이해됨)의 자동화된 운동 요법(kinesiotherapy)을 위해, 누워 있는 환자를 수평 위치로부터 경사진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로봇의 도움을 받아 환자의 사지(四肢), 특히 다리를 자동으로 그리고 환자의 체중의 적어도 일부의 영향을 받아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다양한 장치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WO 00/61069호는, 높이 및 경사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환자의 다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갖는 직립 테이블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환자의 척추에서 운동 중심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집중적인 훈련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직립 테이블을 사용하기 전에, 무엇보다도 먼저 환자가 병원 침대로부터 그러한 장치로 이송되어야만 하며, 특히 예를 들어 카테터 또는 케이블 연결을 통해 다른 의료 기기에 연결된 집중 케어 환자의 경우에, 이러한 절차는 시간이 많이 걸리며 그리고 환자의 불편함을 유발시키거나 또는 의학적으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DE 10 2015 117 596 B3호는 누워 있는 환자를 위한 재활 기구, 상기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재활 기구를 포함하는 침대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재활 기구는 치료사에 의해 침대에 수동으로 고정되어야만 하고, 그리고 마찬가지로 유사하게 다시 제거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그에 따라 운동 요법을 수행하도록 통상적인 병원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운동 요법을 수행한 후 다시 이동될 수 있는 모바일 이동 로봇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JP 2005-334 385 A호는 병원 침대의 옆으로 가압될 수 있는 훈련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DE 41 13 135 A1호는 다리를 수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트롤리(trolley)의 도움을 받아 병원 침대의 발 끝(foot end)으로 이동되는 치료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두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 로봇은 운동 요법 중 각각의 운송 수단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동 요법의 맥락에서 체중의 영향 하에서 이들 운동 로봇의 유용성을 제한한다. DE 10 2016 115 982 A1호는 침대를, 특히 병원 침대를 그 길이방향측의 수평 위치로부터 경사진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 즉 통상적인 침대의 수직화(verticalization)를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또한 누워 있는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재활 기구를 제공하며, 이 재활 기구는 일 구성에 있어서 운송 수단의 도움을 받아, 특히 트롤리의 도움을 받아, 여기에 개시된 장치의 정지 부분(stationary part)으로 운송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부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활 기구는 여기서는 침대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정지 부분의 수용 장치에 연결된다. 그 결과, DE 10 2016 115 982 A1호의 교시에 따른 재활 기구에 연결된 침대는, 재활 기구와 함께 이동될 수 없지만, 그러나 그 대신에 상기 장치의 정지 부분에 항상 묶여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로봇의 모바일 사용을 위한 장치를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이 장치는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개선되었으며, 이는 운동 요법의 맥락에서 특히 체중의 영향 하에서 각각의 이동 로봇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은 무엇보다도 먼저 독립 청구항 1 및 종속 청구항 14의 특징을 갖는 재활 기구를 침대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병원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의 도움을 받아, 그리고 추가의 종속 청구항 15의 특징을 갖는 이러한 장치를 침대에, 바람직하게는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침대에 연결된 재활 기구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 및 발전이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재활 기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침대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수용 유닛은 설계 시 상기 연결 요소에 대응하는, 수용 유닛; 및 상기 재활 기구를 침대를 향해 그리고 침대로부터 멀어지도록 운송하기 위한 운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운송 수단 및/또는 침대는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운송 수단은, 재활 기구를 해제하고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상호작용하거나,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재활 기구를 통상적인 병원 침대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특히 높이 조정이 가능한 병원 침대에, 쉽고 빠르게 그리고 가역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유리하게 허용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에 값비싼 구매품인 이동 로봇 또는 재활 기구가 하루 중 여러 침대에서 여러 운동 요법 세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 유닛의 배치에 의해 이미 존재하는 침대가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개장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유리하게 로봇 시스템으로 개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재활 기구 상에 배치된 2개의 연결 요소; 및 침대의 길이방향 축선의 상이한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는 2개의 수용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재활 기구 상에 배치된 2개의 연결 요소와, 바람직하게는 침대의 길이방향 축선의 상이한 측부들 상에 배치된 2개의 수용 유닛과의 상호작용은, 침대의 횡방향측의 영역에서 힘의 균일한 분포를 유리하게 허용한다. 이런 경우에, 재활 기구 상에서 발생하는 힘은 침대의 수용 유닛 내로, 특히 재활 기구의 모터 근처의 긴 측부 상으로, 직접적으로 바람직하게 도입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레버리지 힘의 발생에 대항하여, 침대와 재활 기구 사이의 연결을 바람직하게 안정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또한, 수용 유닛 또는 연결 요소의 길이방향 배열은 운송 수단의, 바람직하게는 트롤리의, 무게중심 근처에서 침대 상의 재활 기구의 수용과, 상기 재활 기구의 무게중심 근처에서 침대 상의 재활 기구의 배치 모두를 허용하며, 이는 다시 작동 상태에서 전체 배열의 안정성을 유리하게 증가시킨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활 기구를 침대에 연결하기 위해 및/또는 침대로부터 재활 기구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운송 수단은 여러 개의 수용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또는 하나 이상의 수용 장치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구성된 운송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에서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에서, 제3자에 의해 추가의 간섭에 대한 필요 없이 상기 운송 수단과 수용 유닛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 수단의 자동 로킹 및 언로킹을 유리하게 허용하며, 따라서 특히 연결 절차 중에 작동 안전을 유리하게 증가시킨다.
또한, 침대의 횡방향측에는, 상기 횡방향측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연결 프레임이 배치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은 2개의 수용 유닛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고 및/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 유닛에 대해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상기 연결 프레임이,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방향 범위에 대해, 중심에 적어도 하나의 로킹 플레이트를 포함한다면 유리하다. 이런 종류의 연결 프레임은 한편으로는 2개의 수용 유닛이 있는 경우 이들을 서로 설정된 거리에 고정하고,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통상적인 병원 침대를 전체적으로 개장하기 위해 각각의 침대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자율적인 구조 유닛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 또는 이상의 수용 유닛에 대해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프레임은, 상기 운송 수단과 접촉함으로써 운송 수단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 유닛 사이의 상호작용을 유리하게 허용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이 또한 적어도 하나의 로킹 플레이트를 포함한다면, 상기 운송 수단을 침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및/또는 상기 운송 수단에 의해 로킹 플레이트 상에 압력을 발휘함으로써, 상기 운송 수단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 유닛 사이의 상호작용이 유리하게 트리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이,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이 상기 연결 프레임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로킹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수용 유닛이 이런 종류의 로킹 장치를 포함한다면, 수용 유닛의 로킹 및 언로킹은 연결 프레임 상에, 특히 연결 프레임 상의 로킹 플레이트 상에, 작용함으로써 유리하게 트리거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은, 재활 기구의 연결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바닥을 향해 테이퍼지는 개구를 갖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런 개구 또는 이들 개구에 의해, 상기 재활 기구는 연결 요소 또는 연결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침대에 안정적으로, 그러나 가역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닥을 향해 테이퍼지고 따라서 상기 수용 유닛의 상부에서 비교적 더 넓은 개구는, 재활 기구가 운송 수단에 의해 각각의 침대를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연결 요소가 수용 유닛 내로 쉽게 "나사 결합되는 것을(threaded)" 유리하게 허용하며, 여기서 유리한 점은, 연결 절차 중 횡방향과 경사가 발생하는 경우 모두에 대해, 상기 재활 기구의 배향에 대한 추가의 공차 범위가 생성된다는 점이다(재활 기구의 횡방향측에 대한 침대의 횡방향측). 개구 또는 개구들의 테이퍼링은 또한 재활 기구를 위한 일종의 자체-중심잡기(self-centering) 기구를 유리하게 제공하며, 또한 침대와 관련하여 그 위치를 유리하게 정의하므로, 사용자에게는 연결 절차가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침대를 향해 지향된 그 내면 상의 개구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코팅되었다면 유리하다. 이런 구성의 개구의 내벽은 연결 절차 중 연결 요소와 수용 유닛 사이의 마찰을 유리하게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추가 윤활의 필요 없이 구성요소의 기계적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flon)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flon)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내벽은, 연결 절차 중 마찰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민감한 병원 영역에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미리 정의한다.
또한, 로킹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스탬프 요소 및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면 유리하며, 상기 스탬프 요소는 재활 기구의 연결 프레임에 그리고 연결 요소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스프링 요소는 스탬프 요소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다. 이런 종류의 로킹 장치는 특히 침대가 경사 위치에 있을 때, 즉 수직화 중 수용 유닛으로부터의 미끄러짐에 대해 재활 기구를 고정하는 자체-로킹 "상시-로킹(always-locked)" 기구를 유리하게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 요소는 무부하 상태를 유리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재활 기구에 의해 침대 상에 발휘된 힘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탬프 요소를 통해 전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은 재활 기구의 연결 요소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침대의 수직화 기구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갖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침대의 수직화 기구에, 재활 기구, 특히 그 연결 요소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 유닛 사이의 연결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정적인 연결이 있을 때는 침대의 수직화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에러를 방지하고 따라서 환자의 안전을 강화시키도록 유리하게 동작된다.
또한, 재활 기구를 해제 및 고정하기 위해, 연결 프레임과, 특히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식으로 운송 수단이 구성되는 실시예가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런 방식으로 구성된 운송 수단은, 연결 절차 또는 해제 절차가 안전하게 수행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운송 수단이 침대에 충분히 가까이 이동되었을 때만 로킹 장치의 로킹 기구가 작동되는 것을 유리하게 보장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은 적어도 재활 기구를 지지하기 위해 경질의 또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트리거 수단을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정이 가능한 지지 프레임은 각각의 병원 침대와는 관계없이 운송 수단에 의해 높이 차이가 보상되는 것을 허용한다. 각각의 병원 침대는 수동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침대와 운송 수단 사이의 임의의 통신 장치를 살릴 수 있다. 경질의 지지 프레임은 임의의 레버 기구 없이 운송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에 따라 비용 및 지출을 절감시킨다. 많은 병원 침대가 어떤 경우라도 높이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운송 수단은 수동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한번 침대와 운송 수단 사이의 모든 통신 장치를 유리하게 살릴 수 있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운송 수단 및 침대는 각각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높이 방향으로 이동된 거리는 유리하게 분할될 수 있으며, 이는 침대와 운송 수단 사이의 통신 장치가 이러한 설계에서 추가의 요구사항을 나타낼 수 있더라도, 레버 기구의 관점에서 다시 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장치의 실시예는, 운송 수단이 침대에 대해 운송 수단을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 상기 재활 기구의 전복 방지(anti-tipping) 장치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보유 요소; 및/또는 재활 기구와 제어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바람직하게 포함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운송 수단을 중심잡기 위한 수단은 재활 기구를, 침대의 횡방향측에 대해, 침대를 향해 그리고 상기 연결 절차에 적합한 위치 내로의 급속한 이동을 유리하게 촉진시킨다. 보유 요소는 특히 운송 수단으로의 운송 중 상기 재활 기구가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운송 수단이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면, 재활 기구는 추가의 제어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운송 수단으로부터 유리하게 제어될 수 있다.
재활 기구를 침대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병원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하에 기재되는 점에서 다른 타입의 방법과 구별된다.
- 재활 기구가 운송 수단에 배치되고 그리고 운송 위치에서 침대로 운송되고;
- 재활 기구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 및/또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의 도움을 받아 제1 연결 위치로 이동되며;
- 재활 기구는 운송 수단 및/또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의 도움을 받아 제1 연결 위치로부터 제2 연결 위치로 이동되며;
- 여기서 상기 운송 수단은, 수용 유닛을 언로킹하기 위해, 침대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상호작용하고;
- 재활 기구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 및/또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의 도움을 받아 제2 연결 위치로부터 제3 연결 위치로 이동되며;
- 여기서 상기 재활 기구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 및/또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는 제3 연결 위치로부터 운송 위치로 이동되며; 및
- 운송 수단은 침대로부터 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재활 기구를 통상적인 병원 침대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병원 침대에, 쉽고 빠르게 그리고 가역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유리하게 허용하며, 또한 방법의 각각의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가능한 최대의 안전을 보장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장치에 의해, 침대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병원 침대에, 연결된 재활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운송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재활 기구(30)와 제어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은 재활 기구의 연결 요소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침대의 수직화 기구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은, 재활 기구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와 상기 침대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재활 기구가 침대의 수직화 기구와 제어 데이터를 교환한다는 점에서, 다른 타입의 작동 방법과 구별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은, 재활 기구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와 상기 침대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니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재활 기구가 침대의 수직화 기구와 그리고 상기 운송 수단에 배치된 제어 유닛과 제어 데이터를 교환한다는 점에서, 다른 타입의 작동 방법과 구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은, 장치를 추가로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운송 수단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재활 기구의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직화 기구의 또한 존재할 경우 침재의 리프팅 기구의 조화된 사용자 친화적 제어를 유리하게 허용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세부사항 및 추가의 이점은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 그리고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 기재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b는 도 1a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운송 수단의 지지 프레임을 확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2개의 수용 유닛이 그 위에 배치된, 연결 프레임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는 도 4a로부터의 연결 프레임 및 수용 유닛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c는 도 4a로부터의 연결 프레임 및 수용 유닛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수용 유닛의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도 5a로부터의 수용 유닛을 통한 A-A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c는 도 5a 및 5b로부터의 수용 유닛을 통한 B-B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연결 요소가 그 위에 배치된, 재활 기구의 실시예의 일부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내지 7f는 재활 기구를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제1 시컨스를 나타내는 일련의 이미지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b는 도 1a의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장치(1)는 예를 들어 여기에 연결 블레이드로서 도시된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1), 및 침대(80)의 발 끝(801)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유닛(12)은 연결 요소(31), 특히 연결 블레이드에 대응하여 설계된다. 상기 장치(1)는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연결 요소(31); 및 침대(80)의 길이방향 축선(85)의 상이한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는 2개의 수용 유닛(12)을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재활 기구(30)를 침대(80)를 향해 그리고 침대(80)로부터 멀어지도록 운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13)을 포함하며, 상기 운송 수단(30) 및/또는 침대(80)는 높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운송 수단(13)은 재활 기구를 해제하고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상호작용하거나, 여러 개의 수용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송 수단(13)은 예를 들어 트롤리로서 유리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큰 노력 없이 재활 기구(30)가 편안하게 이동될 수 있다. 운송 수단(13), 특히 트롤리는 높이 조정 장치(1331), 바람직하게는 신축 장치를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재활 기구(30)는, 이동 중에 그리고 또한 침대(80)로부터 멀리 위치되었을 동안, 바닥에 가까운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운송 수단(13)과 재활 기구(30)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무게중심을 생성하여 전체 시스템의 전복에 대한 안전성을 유리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운송 수단(13) 또는 트롤리는 특히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80)와 함께 사용될 때 경질의 디자인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13)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상기 재활 유닛을 침대(80)에 연결하도록 및/또는 상기 재활 기구(30)를 침대(80)로부터 제거하도록 운송 수단(13)이 구성된다면, 특히 연결 프레임(1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상기 재활 기구(30)를 해제 및 고정하도록 운송 수단(13)이 구성된다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기 위해, 트리거 수단(134)이 운송 수단(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 수단(134)은 운송 수단(13) 상에서 지지 프레임(133)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 수단(13)은 침대(80)에 대해 운송 수단(13)을 중심잡기 위한 수단(135)을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단(135)은 또한 운송 수단(13) 상에서 지지 프레임(133)의 아래에 바람직하게 배치되며, 또한 V 형 또는 U 형 디자인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재활 기구(30)의 전복 방지 장치(32) 및/또는 재활 기구(30)와 제어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131)과의 상호작용을 위해, 상기 운송 수단(13) 상에는 고정 요소(132)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로부터의 운송 수단(13)의 지지 프레임(133)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재활 기구(30)가 운송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여기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133)은, 전복 방지 장치(32)를 위한 보유 요소(132)를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재활 기구(30) 상에, 바람직하게는 재활 기구의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도 4a 내지 4c는 2개의 수용 유닛(12)이 배치된 연결 프레임(11)의 실시예를 사시도로(도 4a), 평면도로(도 4b), 그리고 배면도로(도 4c)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11)은 2개의 수용 유닛(12)을 서로 견고하게 유리하게 연결하며, 그 결과로서 모듈 타입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11)은 피봇 축선(113)을 중심으로 2개의 수용 유닛(12)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는 달리,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 또는 2개의 수용 유닛(12) 또는 연결 프레임(11)은 침대(80)에, 바람직하게는 그 측부에 및/또는 발 끝(801)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모듈식 셋업의 경우라면,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모듈은 침대(80)의 횡방향측(81)에 바람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11)은 횡방향측(81)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전체 횡방향측(81)을 따라 유리하게 연장된다. 특히 도 4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프레임(11)은 적어도 하나의 로킹 플레이트(114)를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연결 프레임(11)의 길이방향 범위에 대해 중심에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11)의 하나 이상의 날개 요소(115)가 연결 프레임(11)의 횡방향측들(112) 중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된다면, 더욱 유리하다(도 4a 참조).
도 5a 내지 5c는 수용 유닛(12)의 실시예를 측면도로(도 5a), 수용 유닛(12)을 통한 A-A를 따른 단면도로(도 5b), 및 수용 유닛(12)을 통한 B-B를 따른 단면도로(도 5c) 도시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은, 재활 기구(30)의 연결 요소(31)를 수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바닥을 향해 테이퍼지는 개구(122)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침대를 향해 그 내면(1221) 상에 바람직하게 지향된 개구(122)는, 플라스틱으로, 특히 테플론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특히 테플론으로 코팅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수용 유닛(12)은 적어도 하나의 스탬프 요소(1211) 및 스프링 요소(1212)를 갖는 로킹 장치(121)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5c에서는 상기 스탬프 요소(1211)가, 예를 들어 대략 직사각형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용 유닛(12) 자체의 개구(122)의 방향으로 특히 세장형 개구를 갖는 고체 구성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결 블레이드로서 설계된 연결 요소가 상기 세장형 개구를 통과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스탬프 요소(1211)는 연결 요소(31)와 작동 가능하게 유리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탬프 요소(1211)의 한쪽 단부, 특히 침대(80)로부터 멀어지도록 지향된 단부는, 추가의 횡방향 개구를 통해 나올 수 있으며, 따라서 연결 프레임(11)으로의, 바람직하게는 그 날개 요소 또는 날개 요소들(115)로의 작동 연결을 위해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스탬프 요소(1211) 상에 그리고 이에 따라 스프링 요소(1212) 상에 대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 유닛(12)의 횡방향 개구로부터 스탬프 요소(1211)를 가압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스탬프 요소(1211)의 다른 쪽 단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침대(80)를 향해 지향된 단부에는, 상기 스탬프 요소(1211)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스프링 요소(1212)가 유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용 유닛(12),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은, 침대(80)의 수직화 기구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123)을 추가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수단(123)은 재활 기구(30)의 연결 요소(31)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교환을 위한 이러한 수단(123)은, 재활 기구(30)가 수용 유닛(12)에 적절히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와는 독립적으로, 예를 들어 수용 유닛(12)의 내측에서 상기 스탬프 요소(1211)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침대에 통합될 수 있는 수직화 기구에 제공하는 센서일 수 있다.
도 6은 연결 요소(31)가 그 위에 배치된 재활 기구(30)의 실시예의 일부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결 요소(31)는 여기서는 각각의 수용 유닛(12)의 개구(122)에 삽입될 수 있는 이른바 연결 블레이드로서 설계되었으며, 이는 각각의 수용 유닛(12)의 개구(122)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그 형상으로 인해 마찬가지로 바닥을 향해 테이퍼지며, 그 자체로 적절한 연결 프로세스 중 개구(122)의 내측의 적절한 위치 내로 스스로 이동한다. 여기에 도시된 연결 요소(31)는 또한 노치를 가지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폼핏 결합(form-fit engagement)에 의해 스탬프 요소(1211)와의 상호작용, 특히 "로킹"을 강화하도록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도 7a 내지 7f는 재활 기구(30)를 침대(80)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를 도시하는 일련의 이미지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방법 단계에 있어서, 재활 기구(30)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13) 상에 배치되어, 운송 위치(T)에서 침대(80)로 이송된다(도 7a). 이런 운송 위치(T)에서 바닥으로부터 재활 기구(30)의 거리는 작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재활 기구(30) 및 운송 수단(13)으로 구성된 시스템의 무게중심이 가능한 한 낮게, 즉 특히 바닥에 가깝게 선택된다. 이런 운송 위치(T)에서, 상기 재활 기구(30)는 지지 프레임(133)에 의해 바람직하게 운반되며, 상기 운송 수단(13)에 배치된 고정 요소(132)에 의해, 운송 중 하방으로의 전복에 대항하여 재활 기구에 배치된 전복 방지 장치(32)에서의 맞물림이 확보된다.
추가의 방법 단계에 있어서, 재활 기구(30)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13)의 도움을 받아, 운송 위치(T)로부터 제1 연결 위치(V1)로 이동된다(도 7b). 이를 위해, 상기 재활 기구(30)는 바람직하게는 높이 조정 장치(1331)의 도움을 받아, 특히 신축 장치를 사용하여 높이로 이동되므로, 상기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된 연결 요소(31)는 침대(80) 상에 배치된 수용 유닛(12) 내로 위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추가의 방법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재활 기구(30)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13)의 도움을 받아 제1 연결 위치(V1)로부터 제2 연결 위치(V2) 내로 이동된다(도 7c). 상기 운송 수단(13)은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상호작용하며, 이는 침대(80)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801)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운송 수단(13) 상에 배치된 트리거 수단(134)이 침대(80)에 접근할 때, 침대(80)에 배치된 연결 프레임(11)에 대항하여, 특히 그 위에 배치된 로킹 플레이트(114)에 대항하여 가압한다는 사실로 인해 상기 수용 유닛(12)을 언로킹하게 된다. 연결 프레임(11) 상에 배치된 날개 요소(15)는, 수용 유닛(12)의 로킹 장치(121)와, 특히 로킹 장치(121)의 스탬프 요소(1211)와 유리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재활 기구(30)로의 또는 연결 요소들(31)로의 연결을 위해 수용 유닛(12)을 해제할 수 있다.
추가의 방법 단계에서, 상기 재활 기구(30)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13)의 도움을 받아 제2 연결 위치(V2)로부터 제3 연결 위치(V3)로 이동되며, 여기서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1)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도 7d).
마지막으로, 일 방법 단계에 있어서,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13)은 제3 연결 위치(V3)로부터 운송 위치(T)로 이동되며(도 7e); 그리고 마지막 방법 단계에서,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13)이 침대(8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된다(도 7f). 상기 운송 수단(13)이 침대(80)로부터 멀어지는 동안, 트리거 수단(134)에 의해 로킹 장치(121) 상에, 특히 그 스탬프 요소(1211) 상에 발휘된 가해지는 압력도 감소되며, 수용 유닛(12)에 바람직하게 배치된 스프링 요소(1212)는 스탬프 요소(1211)를 그 시작 위치(로킹 위치)로 다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재활 기구(30)를 수용 유닛 또는 유닛들(12)에 고정할 수 있다. 침대(80)로부터 재활 기구(30)를 분리하기 위해, 기재된 방법 단계는 역순으로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재활 기구(30)를 침대(80)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순서의 제2 예에 있어서,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80)는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능하므로,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된 연결 요소(31)는 침대(80)에 배치된 수용 유닛(12) 내로 위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는 경질이며, 따라서 비용 효율적인 운송 수단(13)의 사용을 유리하게 허용한다.
이를 위해, 일 방법 단계에 있어서, 재활 기구(30)는 운송 수단(13) 상에 배치되어, 운송 위치(T)로부터 침대(80)로 운송될 수 있다. 그 후,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80)가 제1 연결 위치(V1)로 이동될 수 있다. 추가의 방법 단계에 있어서,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80)는 제1 연결 위치(V1)로부터 제2 연결 위치(V2)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운송 수단(13)은 침대(80)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801)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상호작용하여, 수용 유닛(12)을 언로킹할 수 있다.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80)는 이제 제2 연결 위치(V2)로부터 제3 연결 위치(V3)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1)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또는 여러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마지막 방법 단계에 있어서,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80)는 제3 연결 위치(V3)로부터 운반 위치(T)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후 상기 운송 수단(13)이 침대(8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역적 연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재활 기구(30)는,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1)와, 그리고 침대(80)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801)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침대(80)의 수직화 기구와 및/또는 상기 운송 수단(13)에 배치된 제어 유닛(131)과 제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교환은 유선 연결을 통해 또는 무선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활 기구(30)를 침대(80)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설계된 병원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1)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1)는 적어도 상기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1); 상기 침대(80)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801)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유닛(12)은 설계 시 연결 요소(31); 및 상기 재활 기구(30)를 경질의 또는 바람직하게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80)를 향해 그리고 침대(80)로부터 멀어지도록 운송하기 위해, 경질의 또는 바람직하게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13)에 대응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에 의해 침대(80)에 연결된 재활 기구(30)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재활 기구(30)를 통상적인 병원 침대(80)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병원 침대에, 쉽고 빠르고 가역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기존의 침대(80)를 운동 요법을 위한 로봇 시스템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개장하기에 적합하다.
1: 장치
11: 연결 프레임
111: 연결 프레임(11)의 길이방향 축선
112: 연결 프레임(11)의 횡방향측
113: 피봇 축선
114: 로킹 플레이트
115: 날개 요소
12: 수용 유닛
121: 로킹 장치
1211: 스탬프 요소
1212: 스프링 요소
122: 개구
1221: 내면
123: 침대(80)의 수직화 기구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
13: 운송 수단(트롤리)
131: 제어 유닛
132: 전복 방지 장치(32)를 위한 보유 요소
133: 지지 프레임
1331: 지지 프레임(133, 134)을 위한 높이 조정기
134: 트리거 수단
135: 중심잡기 수단
30: 재활 기구
31: 연결 요소
32: 전복 방지 장치
80: 침대, 특히 요양 침대, 병원 침대, 병상 또는 집중 요양 침대
801: 발 끝[침대(80)의 끝]
81: 횡방향측
82: 길이방향측
85: 길이방향 축선

Claims (15)

  1. 재활 기구(30)를 침대(80)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병원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1)로서:
    - 상기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1);
    - 상기 침대(80)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801)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
    - 상기 수용 유닛(12)은 설계 시 상기 연결 요소(31)에 대응하고;
    - 상기 재활 기구(30)를 상기 침대(80)를 향해 그리고 상기 침대(80)로부터 멀어지도록 운송하기 위한 운송 수단(13)을 포함하며,
    - 상기 운송 수단(13) 및/또는 상기 침대(80)는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 상기 운송 수단(13)은, 상기 재활 기구(30)를 해제 및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장치(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 상기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연결 요소(31);
    -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대(80)의 길이방향 축선(85)의 상이한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는 2개의 수용 유닛(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활 기구(30)를 침대(80)에 연결하기 위해 및/또는 상기 재활 기구(30)를 상기 침대(8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기 운송 수단(1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80)의 횡방향측(81)에서, 연결 프레임(11)은 상기 횡방향측(81)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 상기 연결 프레임(11)은 2개의 수용 유닛(12)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는 연결하며,
    및/또는
    - 상기 연결 프레임(11)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 유닛(12)에 대해 피봇 축선(113)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11)은,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방향 범위에 대해 중심에, 적어도 하나의 로킹 플레이트(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은, 상기 연결 프레임(11)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로킹 장치(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은, 상기 재활 기구(30)의 연결 요소(31)를 수용하기 위해, 개구(122)를, 바람직하게는 바닥을 향해 테이퍼지는 개구(1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침대(1221)를 향해 지향된 그 내면(1221) 상의 개구(122)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121)는 적어도 하나의 스탬프 요소(1211) 및 스프링 요소(1212)를 포함하며,
    - 상기 스탬프 요소(1211)는 상기 연결 프레임(11)에, 그리고 상기 재활 기구(30)의 연결 요소(31)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설계되고,
    - 상기 스프링 요소(1212)는 상기 스탬프 요소(1211)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0.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은 침대(80)의 수직화 기구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단(123)을 가지며, 이는 재활 기구(30)의 연결 요소(31)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13)은, 상기 재활 기구(30)를 해제 및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결 프레임(11)과 추가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13)은
    - 상기 재활 기구(30)를 지지하기 위해 경질의 또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지지 프레임(133);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기 위한 트리거 수단(134)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13)은
    - 상기 침대(80)에 대해 상기 운송 수단(13)을 중심잡기 위한 수단(135);
    - 재활 기구(30)의 전복 방지 장치(32)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보유 요소(132); 및/또는
    - 상기 재활 기구(30)와 제어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131)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4. 재활 기구(30)를 침대(80)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병원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재활 기구(30)는 운송 수단(13)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운송 위치(T)에서 침대(80)로 운송되고;
    - 상기 재활 기구(30)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13) 및/또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의 도움을 받아, 제1 연결 위치(V1)로 이동되며;
    - 상기 재활 기구(30)는 운송 수단(13) 및/또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80)의 도움을 받아, 상기 제1 연결 위치(V1)로부터 제2 연결 위치(V2)로 이동되고;
    - 상기 운송 수단(13)은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상호작용하며, 이는 상기 수용 유닛(12)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침대(80)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801)에 배치될 수 있으며;
    - 상기 재활 기구(30)는, 상기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13) 및/또는 상기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80)의 도움을 받아, 상기 제2 연결 위치(V2)로부터 제3 연결 위치(V3)로 이동되며;
    - 상기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1)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과, 또는 여러 개의 수용 유닛(12)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과 작동 연결되며;
    - 상기 높이 조정이 가능한 운송 수단(13) 및/또는 상기 높이 조정이 가능한 침대(80)는 상기 제3 연결 위치(V3)로부터 상기 운송 위치(T)로 이동되며; 및
    - 상기 운송 수단(13)은 침대(8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방법.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장치에 의해, 침대(80)에, 특히 수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병원 침대에 연결된 재활 기구(30)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운송 수단(13)은 상기 재활 기구(30)와 제어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131)을 포함하고;
    -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은 침대(80)의 수직화 기구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단(123)을 가지며, 이는 상기 재활 기구(30)의 연결 요소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법에서, 상기 재활 기구(30)는
    - 상기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1)와, 상기 침대(80)의 측부에 및/또는 발 끝(801)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침대(80)의 수직화 기구와 제어 데이터를 교환하며,
    또는
    상기 재활 기구(3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31)와, 상기 침대(80)의 상기 측부에 및/또는 상기 발 끝(801)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유닛(12)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침대(80)의 수직화 기구와, 그리고 상기 운송 수단(13) 상에 배치되는 제어 유닛(131)과 제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법.
KR1020217017326A 2018-11-21 2019-11-21 재활 기구를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침대에 연결된 재활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20210093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29370.4 2018-11-21
DE102018129370.4A DE102018129370A1 (de) 2018-11-21 2018-11-21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versiblen Verbindung eines Rehabilitationsmechanismus mit einem Bett,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it einem Bett verbundenen Rehabilitationsmechanismus
PCT/DE2019/101001 WO2020103983A1 (de) 2018-11-21 2019-11-21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versiblen verbindung eines rehabilitationsmechanismus mit einem bett,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it einem bett verbundenen rehabilitationsmechanism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277A true KR20210093277A (ko) 2021-07-27

Family

ID=6884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326A KR20210093277A (ko) 2018-11-21 2019-11-21 재활 기구를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침대에 연결된 재활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008271A1 (ko)
EP (1) EP3883516B1 (ko)
JP (1) JP7441532B2 (ko)
KR (1) KR20210093277A (ko)
CN (1) CN113271906B (ko)
AU (1) AU2019382590A1 (ko)
CA (1) CA3123092A1 (ko)
DE (1) DE102018129370A1 (ko)
WO (1) WO2020103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1703B4 (de) 2019-11-22 2022-09-08 ReActive Robotics GmbH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r individuellen bewegungsanalyse und -therapie eines patiente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7279A (en) * 1990-05-16 1996-11-26 Hill-Rom Company, Inc. Hospital bed
DE4113135A1 (de) 1991-04-22 1992-10-29 Anton Reck Therapiegeraet zum passiven bewegen der beine
US5344169A (en) * 1992-01-27 1994-09-06 Pryor Products Multi-pole support stand
US5319816A (en) * 1992-12-07 1994-06-14 Hill-Rom Company, Inc. IV rack transferrable from an IV stand to a hospital bed
US6228004B1 (en) * 1998-06-26 2001-05-08 Bedside Rehabilitation Technology, Inc. Versatile physical therapy apparatus
DE50005903D1 (de) 1999-04-07 2004-05-06 Balgrist Schweiz Paraplegikerz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eine lokomotionstherapie
US6822571B2 (en) * 2001-11-15 2004-11-23 Stryker Corporation Patient movement detection system for a bed including a load cell mounting assembly
JP3870857B2 (ja) * 2001-11-29 2007-01-24 株式会社安川電機 肢体駆動装置
DE502004000710D1 (de) * 2004-03-12 2006-07-20 Trumpf Kreuzer Med Sys Gmbh Medizinischer Gerätewagen mit einer Andockvorrichtung
JP4737707B2 (ja) 2004-05-28 2011-08-03 株式会社安川電機 関節運動装置
DE102005054224A1 (de) * 2005-11-14 2007-05-16 Maquet Gmbh & Co Kg Patientenlagersystem
US7845601B1 (en) * 2006-11-09 2010-12-07 Modular Services Company Medical equipment transport system
CN202198778U (zh) * 2011-04-14 2012-04-25 阮龙权 带有床单更换装置的床
FR2985903B1 (fr) * 2012-01-20 2014-12-19 Medicatlantic Sa Lit comprenant une barriere comportant un point d'aide technique a la position assise
CN102824254B (zh) * 2012-09-14 2014-05-14 天津科技大学 一种辅助护理移乘装置
DE102014109985B4 (de) * 2014-07-16 2017-09-14 Joh. Stiegelmeyer Gmbh & Co. Kg Kranken- und Pflegebett und ein Seitengitter mit Einhandbedienung
CN104127289B (zh) * 2014-08-19 2017-01-11 宋扬 一种具有康复训练功能的分体式机器人护理床
DE102015117596B3 (de) * 2015-10-13 2016-08-11 ReActive Robotics GmbH Rehabilitationsmechanismus für bettpflichtige Patienten und Verfahren zu dessen Ansteuerung sowie ein den Rehabilitationsmechanismus umfassendes Bett
FR3042786B1 (fr) * 2015-10-23 2021-01-29 Univ De Caen Systeme et methode de manutention pour faciliter la maintenance d'une unite de couchage, en particulier un lit medicalise
CN205126625U (zh) * 2015-10-30 2016-04-06 北京京东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病床
CN105662748B (zh) * 2016-01-12 2018-03-02 福尔智能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多功能护理床
DE102016115982B4 (de) * 2016-08-26 2019-01-17 ReActive Robotics GmbH Vorrichtung zur Überführung eines Bettes aus einer bezüglich seiner Längsseiten horizontalen in eine geneigte Position
CN107320252A (zh) * 2017-08-17 2017-11-07 福尔智能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康复型多功能床椅
CN107802417B (zh) * 2017-12-01 2023-07-25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平移式伤病员换乘转运装置的锁死机构及使用方法
CN108836656A (zh) * 2018-07-11 2018-11-20 济南方德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床椅两用服务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23092A1 (en) 2020-05-28
DE102018129370A1 (de) 2020-05-28
JP2022509141A (ja) 2022-01-20
EP3883516B1 (de) 2024-05-08
CN113271906B (zh) 2023-09-22
EP3883516C0 (de) 2024-05-08
CN113271906A (zh) 2021-08-17
AU2019382590A1 (en) 2021-06-10
EP3883516A1 (de) 2021-09-29
JP7441532B2 (ja) 2024-03-01
WO2020103983A1 (de) 2020-05-28
US20220008271A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157B2 (en) Bed, in particular sickbed or nursing bed
US10182956B2 (en) Transport apparatus
US8650676B2 (en) Patient lift and transfer device
JP6630751B2 (ja) 人体支持装置用の調節可能な頸部牽引アセンブリ
US8650677B2 (en) Hoist provided with a clamping device for moving persons
EP4119086B1 (en) Mobile support and storage system for a medical device
EP2851051B1 (en) Bed with control system for mobile lift connectable to the bed
EP1346714A1 (en) Stretcher
US20120066831A1 (en) Patient transfer apparatus
US11628102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adaptable to multiple modes of transport
KR20210093277A (ko) 재활 기구를 침대에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침대에 연결된 재활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CN113038915A (zh) 用于支持在其活动方面受限制的人的自行前进运动能力的装置
US6568003B1 (en) Device for handling a patient
KR20170101333A (ko) 배드이송형 전동휠체어
JP4881125B2 (ja) ストレッチャー
WO2018224062A1 (en) Siderail assembly, especially for hospital bed
US20130110094A1 (en) Patient transfer arrangement, medical treatment apparatus and medical treatment system
JP5359633B2 (ja) 身体保持具及び移乗支援装置
KR20190045905A (ko) 침대, 특히 요양 침대, 의료용 침대, 병원 침대 또는 집중 치료 침대를 그 세로 측과 관련하여 수평 위치에서 기울어진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RU2364384C1 (ru) Тележка-подъемник для больных
CN108618900A (zh) 一种具有升降扶手机构的转运医用床
EP3581161B1 (en) A frame for transporting and loading system for a stretcher
JP2005021327A (ja) サドル着脱昇降式歩行車
KR200417392Y1 (ko) 착탈식 매트리스가 구비된 환자용 침대
CN108283544A (zh) 一种转运病人的医疗病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