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545A - 주방용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545A
KR20210092545A KR1020200006071A KR20200006071A KR20210092545A KR 20210092545 A KR20210092545 A KR 20210092545A KR 1020200006071 A KR1020200006071 A KR 1020200006071A KR 20200006071 A KR20200006071 A KR 20200006071A KR 20210092545 A KR20210092545 A KR 20210092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space
temperature
voltage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2545A/ko
Publication of KR2021009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001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elastically deformable gauges by electric, electro-mechanic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9/0008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elastically deformable gauges by electric, electro-mechanic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using vibrations
    • G01L9/0022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elastically deformable gauges by electric, electro-mechanic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using vibrations of a piezoelectric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주방용 가열 장치가 개시된다. 주방용 가열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제1 공간에 배치되고, 마이컴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부,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 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고, 관통홀이 형성된 구획 플레이트 및 상기 관통홀에 부착되고, 상기 쿨링 팬에서 발생된 바람의 압력과 대응하여 제1 전압을 출력하는 피에조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상기 제1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쿨링 팬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Description

주방용 가열 장치{KITCHEN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장치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쿨링 팬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주방용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주방용 가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주방용 가열 장치는 쿡탑 또는 오븐 등을 포함한다.
쿡탑은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한다. 특히, 전기 쿡탑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 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즉, 가열부)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방사하거나 전도시켜 조리 용기를 가열한다.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코일(즉, 가열부)에 인가하여 코일 주변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계에서 생성된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조리 용기를 가열한다.
오븐은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가전 기기이다. 특히, 전기 오븐은 도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조리실이 구비되고,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기 위한 전장부품 또는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와 같은 가열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장부품에서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조리실의 내부의 음식물이 가열되어 조리된다.
이 때, 주방용 가열 장치는 가열부 및 기타 부품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 기판부(일례로, 인쇄 회로 기판(PCB))가 구비되는데, 가열부의 구동에 의해 회로 기판부의 온도가 상승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주방용 가열 장치는 회로 기판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고, 측정된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회로 기판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 팬이 설치된다.
한편, 측정된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쿨링 팬이 구동되어야 하지만 쿨링 팬이 구동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쿨링 팬이 고장이 나거나 구동 전원이 쿨링 팬으로 인가되지 않아 상기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주방용 가열 장치의 비정상 시험 또는 사용자가 주방용 가열 장치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에서 쿨링 팬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 팬이 비 구동하는 경우 비구동의 원인을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주방용 가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쿨링 팬의 비구동의 원인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주방용 가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가열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제1 공간에 배치되고, 마이컴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부,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 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고, 관통홀이 형성된 구획 플레이트 및 상기 관통홀에 부착되고, 상기 쿨링 팬에서 발생된 바람의 압력과 대응하여 제1 전압을 출력하는 피에조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상기 제1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쿨링 팬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가열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마이컴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부, 상기 회로 기판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바람을 발생하는 쿨링 팬, 상기 바람의 전달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쿨링 팬에서 발생된 바람의 압력과 대응하여 제1 전압을 출력하는 피에조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상기 제1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쿨링 팬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가열 장치는 쿨링 팬이 비 구동하는 경우 비구동의 원인을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에서 도어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를 제거한 상태에서 오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체의 바디를 제거한 상태에서 캐비티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 내의 상부 공간에 구비된 각종 부품의 배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압 인가 감지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쿨링 팬의 미 구동의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가열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주방용 가열 장치는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쿡탑,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오븐 또는 전자 레인지 등과 같이 피가열체(조리 용기, 음식물 등)를 가열하는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방용 가열 장치를 전기 오븐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에서 도어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어를 제거한 상태에서 오븐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케이스의 바디를 제거한 상태에서 캐비티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븐(10)은 음식물을 수용하고 가열하는 공간인 캐비티(32)를 구비하는 케이스(30)와, 케이스(30)의 정면에 마련된 도어(20)를 포함한다.
케이스(30)의 바디(31)에는 캐비티(32)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쿨링 팬 등의 수단이 수용된다. 바디(31)의 캐비티(32)는 정면으로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을 구비한다.
캐비티(32)를 규정하는 캐비티 패널(34)은 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외형을 가진다. 캐비티 패널(34)은 캐비티(32)의 양측 경계를 규정하는 한 쌍의 캐비티 측면패널(35), 캐비티(32)의 상부 경계를 규정하는 캐비티 상부패널(36), 캐비티(32)의 후방 경계를 규정하는 캐비티 리어패널(37) 및 캐비티(32)의 바닥을 규정하는 캐비티 플로어패널(39)을 포함한다.
도어(20)는 하부에 수평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풀 다운 방식, 또는 좌측이나 우측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윙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어(20)를 닫으면 캐비티(32)의 전방 개구부가 막혀 캐비티(32) 내부 공간은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캐비티 리어패널(37)에는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는 중앙 에어홀(371)이 설치되고, 에어홀의 후방에 마련된 팬(미도시)이 회전함에 따라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에어홀(371)을 통해 캐비티(3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케이스(30)의 바디(31)에서 캐비티(32) 상부에는 오븐(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부 등이 수용되는 상부 공간(33)이 마련된다.
양측 캐비티 측면패널(35) 중앙부에는 캐비티 내부를 비추는 조명을 구비하는 조명 어셈블리(351)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351)는 상하로 긴 직사각형의 조사면을 구비하며, 내부에는 도광판이나 확산판 등을 사용하여 면 발광 형태로 캐비티 내부를 비추게 설계할 수 있다. 광원은 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비교적 캐비티 내부의 고온의 환경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캐비티(32)의 상부 공간(33)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양측 캐비티 측면패널(35)에서 조명 어셈블리(351)보다 전방에는 슬라이드 승강 어셈블리(40)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승강 어셈블리(40)는 캐비티 리어패널보다는 도어 쪽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캐비티(32) 내부에는 음식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제1 선반(88)이 구비되고, 제1 선반(88)은 서랍 방식으로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는 제1 선반 프레임(80) 상에 놓여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20)를 열고 제1 선반 프레임(80)을 인출한 뒤, 제1 선반 프레임(80)에 거치되어 있는 제1 선반(88) 상에 음식물을 올려 놓고, 다시 제1 선반 프레임(80)을 캐비티(32) 내부로 집어 넣을 수 있다.
캐비티(32) 내부에는 2 이상의 선반이 설치될 수 있다. 예시된 도면에는 제1 선반(88)보다 하부에 제2 선반(98)이 더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선반(98) 역시 서랍 방식으로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는 제2 선반 프레임(90) 상에 놓여진다. 2 이상의 선반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면, 오븐(10)을 활용하여 더 다양한 요리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10) 내의 상부 공간(33)에 구비된 각종 부품의 배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상부 공간(33)는 구획 플레이트(430)에 의해 구획되는 제1 공간(410) 및 제2 공간(420)으로 구획된다.
구획 플레이트(430)는 제1 공간(410)과 제2 공간(420)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구획 플레이트(430)는 상부 공간(33)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구획 플레이트(430)의 일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431)이 형성된다. 관통홀(43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쿨링 팬(421)에서 발생된 바람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공간(410)에는 회로 기판부(411) 및 기타 부품들이 배치된다.
특히, 회로 기판부(411)는 가열부인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며, 기타 오븐(10)의 부품들의 구동을 제어한다. 회로 기판부(411)는 마이크로 컴퓨터, 즉 마이컴을 포함한다. 히터는 바디(31) 내부에 수용되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산한다. 히터가 구동되는 경우 제1 공간(410)의 온도, 즉, 회로 기판부(411)의 온도는 상승한다.
또한, 제1 공간(410)에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배치된다.
온도 센서(미도시)는 제1 공간(410)의 온도, 즉, 회로 기판부(411)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온도는 마이컴으로 전송된다.
제2 공간(420)에는 쿨링 팬(421) 및 쿨링 팬(421)를 구동시키는 쿨링 팬 모터(422) 및 전달 유로(423)가 배치된다.
쿨링 팬(421) 및 쿨링 팬 모터(422)는 회로 기판부(411) 기타 제1 공간(410)에 배치된 부품들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쿨링 팬(421)은 쿨링 팬 모터(422)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바람은 구획 플레이트(430)가 배치된 방향으로 전달된다. 특히, 바람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431)을 통해 제2 공간(420)에서 제1 공간(410)으로 전달된다.
전달 유로(423)는 쿨링 팬(421)에서 발생된 바람을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431)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달 유로(423)는 구획 플레이트(430)와 쿨링 팬(421) 사이에 배치된다. 전달 유로(423)가 배치됨으로써 관통홀(431)로 집중하여 바람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전달 유로(423)는 제2 공간(420)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관통홀(431)에는 피에조 센서(432)가 배치될 수 있다.
피에조는 특정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결정체(수정, 전기석 등)의 표면에서 전기가 발생하는 성질을 가진다. 피에조 센서(432)는 쿨링 팬(421)에서 발생되는 바람의 전달 방향에 배치되고, 바람의 압력, 즉 풍압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전압을 출력한다. 제1 전압은 마이컴으로 전송된다.
쿨링 팬(421)이 턴 오프되어 바람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제1 전압은 0V의 값을 가지며, 쿨링 팬(421)이 턴 온되어 바람이 발생되는 경우 제1 전압은 특정한 값을 가진다. 풍량이 증가할수록 제1 전압은 높은 값을 가진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관통홀(431)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피에조 센서(431)는 관통홀(431)의 상부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일례에 불과하며, 피에조 센서(431)는 관통홀(431)의 하부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고 기타 관통홀(431)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공간(420)에는 쿨링 팬(421)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 전압 인가 감지부(미도시)가 더 배치된다.
즉, 릴레이, 스위치 등의 고장으로 인해 쿨링 팬(421)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구동 전압 인가 감지부(미도시)는 구동 전압이 쿨링 팬(421)에 인가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이 때, 구동 전압 인가 감지부(미도시)는 제2 전압을 출력하여 마이컴으로 전송하고, 마이컴은 제2 전압에 기초하여 구동 전압이 쿨링 팬(421)에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제2 전압이 0V인 경우 마이컴은 쿨링 팬(421)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제2 전압이 특정 값(일례로, 5V)을 가지는 경우, 마이컴은 쿨링 팬(421)에 구동 전압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압 인가 감지부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공간(41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쿨링 팬(421)이 구동되며, 쿨링 팬(421)에서 생성된 바람은 관통홀(431)를 통해 제1 공간(410)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 공간(410)에 배치된 회로 기판부(411) 기타 부품이 냉각된다.
하지만, 쿨링 팬(421)이 고장이 나거나, 쿨링 팬(421)으로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간(410)의 온도가 상승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에조 센서(432) 및 구동 전압 인가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쿨링 팬(421)의 미 구동의 원인을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 공간(410)의 측정된 온도, 제1 전압 및 구동 전압 인가 감지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쿨링 팬(421)의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쿨링 팬(421)의 미 구동의 원인을 파악하는 오븐(10)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쿨링 팬(421)의 미 구동의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단계(S710)에서, 히터가 턴 온된다. 이에 따라, 제1 공간(410)의 온도가 상승된다.
단계(S720)에서, 온도 센서(미도시)는 제1 공간(410)의 온도를 감지한다.
단계(S730)에서, 마이컴은 제1 공간(410)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 임계 온도는 100 °C일 수 있다.
제1 공간(410)의 온도가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 단계(S730)으로 회기한다. 이 때, 쿨링 팬(421)는 구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공간(410)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단계(S740)에서 마이컴은 피에조 센서(432)에서 출력된 제1 전압의 크기가 0V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 공간(410)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쿨링 팬(421)이 구동되어야 하며, 마이컴은 제1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쿨링 팬(421)이 구동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제1 전압의 크기가 0V가 아닌 경우, 단계(S750)에서, 마이컴은 쿨링 팬(421)에서 바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단계(S750)을 통해, 마이컴은 쿨링 팬(421)이 고장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제1 전압의 크기가 0V인 경우, 단계(S760)에서, 마이컴은 구동 전압 인가 감지부(미도시)에서 출력된 제2 전압이 0V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제2 전압이 0V인 경우, 단계(S770)에서, 마이컴은 쿨링 팬(421)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단계(S770)을 통해, 마이컴은 쿨링 팬(421)의 고장이 아닌 다른 원인(일례로, 릴레이 등의 고장)으로 인해 쿨링 팬(421)에서 바람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제2 전압이 0V이 아닌 경우, 단계(S780)에서, 마이컴은 쿨링 팬(421)에 구동 전압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단계(S780)을 통해, 마이컴은 쿨링 팬(421)이 고장나서 바람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요컨대, 본 발명은 제1 공간(410)에서 측정된 온도 및 피에조 센서(432)에서 출력된 제1 전압에 기초하여 쿨링 팬(421)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고, 더불어 구동 전압 인가 감지부(미도시)에서 출력된 제2 전압에 더 기초하여 쿨링 팬(421)의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쿨링 팬이 비 구동하는 원인을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제1 공간에 배치되고, 마이컴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부;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 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고, 관통홀이 형성된 구획 플레이트; 및
    상기 관통홀에 부착되고, 상기 쿨링 팬에서 발생된 바람의 압력과 대응하여 제1 전압을 출력하는 피에조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상기 제1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쿨링 팬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주방용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전압이 0V인 경우, 상기 쿨링 팬이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주방용 가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팬은 상기 임계 온도에서 턴 온되고, 상기 턴 온된 쿨링 팬에서 발생된 바람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전달되고, 상기 피에조 센서는 상기 제1 전압을 상기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주방용 가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팬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 전압 인가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감지된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상기 쿨링 팬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주방용 가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전압이 0V이고, 상기 쿨링 팬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쿨링 팬이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주방용 가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피에조 센서에서 출력되지 않고, 상기 쿨링 팬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쿨링 팬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부품이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주방용 가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사각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피에조 센서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 중앙 또는 하부 중앙에 배치되는, 주방용 가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와 상기 쿨링 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쿨링 팬에서 발생된 바람을 상기 관통홀로 전달하는 전달 유로;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 가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공간의 온도가 증가하는, 주방용 가열 장치.
  10.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마이컴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부;
    상기 회로 기판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바람을 발생하는 쿨링 팬;
    상기 바람의 전달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쿨링 팬에서 발생된 바람의 압력과 대응하여 제1 전압을 출력하는 피에조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상기 제1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쿨링 팬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주방용 가열 장치.
KR1020200006071A 2020-01-16 2020-01-16 주방용 가열 장치 KR20210092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71A KR20210092545A (ko) 2020-01-16 2020-01-16 주방용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71A KR20210092545A (ko) 2020-01-16 2020-01-16 주방용 가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545A true KR20210092545A (ko) 2021-07-26

Family

ID=7712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071A KR20210092545A (ko) 2020-01-16 2020-01-16 주방용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25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504B1 (ko)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KR20080024025A (ko) 조리기기
KR20210092545A (ko) 주방용 가열 장치
US9482435B2 (en) Method for light emitting device protection and performance in an appliance
US20230213206A1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94287A (ko) 주방용 가열 장치
JP2006317112A (ja) 加熱調理器
JP201616270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8025311A (ja) 加熱調理器
JP6013086B2 (ja) 加熱調理器
KR20160117105A (ko) 조리기기
JP2015138631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50083504A (ko) 전자레인지의 고압트랜스 제어방법
JP200535353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6840109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80037796A (ko) 조리기기
JP2005322512A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30133267A1 (en) Cooking appliance
KR20210096940A (ko) 주방용 가열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제어 장치
JPH0821631A (ja) 高周波加熱装置
US20230134860A1 (en)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1169878A (ja) 加熱調理器
KR101545746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101608983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20230061200A (ko)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