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504B1 -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504B1
KR102384504B1 KR1020150151887A KR20150151887A KR102384504B1 KR 102384504 B1 KR102384504 B1 KR 102384504B1 KR 1020150151887 A KR1020150151887 A KR 1020150151887A KR 20150151887 A KR20150151887 A KR 20150151887A KR 102384504 B1 KR102384504 B1 KR 102384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appliance
cooking
unit
applian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402A (ko
Inventor
김태우
김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504B1/ko
Priority to CN201680074976.0A priority patent/CN108474563B/zh
Priority to AU2016346866A priority patent/AU2016346866B2/en
Priority to PCT/KR2016/012290 priority patent/WO2017074119A1/en
Priority to EP16860302.5A priority patent/EP3353472B1/en
Priority to US15/339,122 priority patent/US20170119207A1/en
Publication of KR2017005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402A/ko
Priority to US17/105,880 priority patent/US2021007671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3Oven, co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제2 조리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A cooking apparatus, a cooking apparatus controll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cook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oking apparatus}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피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로, 음식물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이용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또는 전기 레인지 등이 있다.
오븐은, 조리실 및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포함하며, 조리실에 피조리물을 투입하고, 조리실을 밀폐시킨 후 피조리물에 열을 인가하여 피조리물을 굽거나, 튀기거나, 찌거나, 끓이거나 또는 해동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피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오븐은, 크게 가스를 연소하여 인가될 열을 획득하는 가스 오븐과,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인가될 열을 획득하는 전기 오븐으로 구분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는 주파수가 높은 마이크로파에 기인한 유전 가열 현상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 내부에 도입된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가열체가 전기장에 노출시되면 피가열체 내부의 쌍극자 모멘트를 구비하는 분자가 전기장의 방향으로 배향하면서 분극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피가열체를 마이크로파와 같은 교류 전기장에 노출시키면 이와 같은 쌍극자 배향이 단시간에 반복되면서 쌍극자가 진동 또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열이 발생하게 된다.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는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피가열체를 가열시킬 수 있다.
가스 레인지나 전기 레인지는, 열을 발생시켜 상판 위에 거치된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조리 기기이다. 가스 레인지는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전기 레인지는, 발열체를 이용하거나, 또는 유도 가열의 원리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레인지는 니크롬선과 같은 발열체에 전류를 인가하고 인가된 전류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하거나, 또는 전기 레인지 상판의 저면에 위치한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조리 기기의 동작에 따라 동작을 개시하면서 다른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개선한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하단에 배치된 전기 레인지가 동작하는 경우, 전기 레인지의 동작에 대응하여 전기 레인지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흡입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전한 조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조리 기기,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제2 조리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고, 상기 제1 조리 기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1 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제2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기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대한 명령인지 또는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상태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은,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조리 시작, 조리 정지, 조리 종료, 조리 예약, 조리 시간 설정, 제2 조리 기기의 동작 모드 및 제2 조리 기기의 세척 동작 여부에 대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초 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근거리 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동작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명령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1 조리 기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 상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램프, 형광 램프, 자외선 램프, 할로겐 램프,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 및 백열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오븐, 가스 오븐 및 전자 레인지(microwa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조리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조리 기기는, 상면이 제2 조리 기기의 저면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기기는, 상기 제2 조리 기기 및 상기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조리 동작에 따라 생성된 연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3 조리 기기가 배치된 방향에 설치되는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리 기기 및 상기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을 개시하면, 상기 제2 조리 기기 및 상기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흡입부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기기가 상기 제2 조리 기기 및 상기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부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1 조리 기기 내지 상기 제3 조리 기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흡입부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제3 조리 기기는, 점화 스위치부 및 상기 점화 스위치부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전달하는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점화 스위치부는, 파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응하여 회전하는 캠 부재에 형성된 제1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제1 종동부 및 상기 제1 종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종동부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종동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의 접촉에 따라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는 점화 플러그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는, 파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응하여 회전하는 캠 부재에 형성된 제2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제2 종동부 및 상기 제2 종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종동부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종동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의 접촉에 따라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1 조리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흡입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리 기기 및 상기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동작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명령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리 기기 및 상기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에서 전달된 명령에 따른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 상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조리 기기는 가스 레인지 또는 전기 레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와 이격된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전달받거나, 또는 상기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은, 저면에 마련된 흡입부를 포함하는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통신 가능한, 제2 조리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열원, 상기 열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점화 스위치부 및 상기 점화 스위치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의 감지 결과는 상기 제1 조리 기기로 전달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감지 결과에 상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는, 파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응하여 회전하는 캠 부재에 형성된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종동부 및 상기 종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종동부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부 및 상기 접촉부의 접촉에 따라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1 조리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기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1 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 지그비, WFD, 초 광대역 통신, 적외선 통신 및 근거리 장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조리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 및 상기 조리 기기와 이격된 타 조리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타 조리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타 조리 기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제1 입력부 및 상기 타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제2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조리 기기의 상태 및 상기 타 조리 기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타 조리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전달 받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 동작을 개시하는 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 기기의 동작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제1 조리 기기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 및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이격된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조리 기기가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제2 조리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가 상기 제1 조리 기기에서 전달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제1 조리 기기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 및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이격된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제2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조리 기기가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상태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마련된 정지 명령 입력부가 조작되면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조리 기기가 상기 제1 조리 기기에서 전달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작을 개시하면 상기 동작 개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제1 조리 기기의 하단에 설치된 제2 조리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열원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의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저면에 마련된 흡입부가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하단에 설치된 제2 조리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열원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가,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점화 스위치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가,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점화 스위치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는, 캠 부재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캠 부재의 회전에 따라 종동부가 이동하는 단계, 종동부가 접촉부에 접촉하면 종동부와 접촉부가 도통하여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1 조리 기기로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은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관련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통신 가능한 제2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이격된 제2 조리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제2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1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조리 기기가 별도로 마련된 다른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조리 기기가 다른 조리 기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개시 및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별도로 마련된 다른 조리 기기에 정보 제공 수단이 부재한 경우에도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조리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조리 기기의 하단에 배치된 전기 레인지가 동작하는 경우, 전기 레인지의 동작에 대응하여 전기 레인지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흡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안전한 조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조리 기기의 하단에 전기 레인지가 배치된 경우, 조리 기기가 전자 레인지가 동작하는 경우에만 대응하여 가스 흡입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조리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전기 레인지의 가스 공급 밸브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조리 기기가 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제2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조리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제2 조리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제3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제1 조리 기기 내지 제3 조리 기기가 실내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제1 도이다.
도 9는 제1 조리 기기 내지 제3 조리 기기가 실내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제2 도이다.
도 10은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조리 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14는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6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b는 제1 조리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는 표시부의 일례를 도시한 제1 도이다.
도 17b는 표시부의 일례를 도시한 제2 도이다.
도 17c는 표시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1 조리 기기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은 제2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2 조리 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제2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제2 조리 기기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3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제3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3 조리 기기에 마련된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 및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와,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제3 조리 기기의 점화 스위치부 및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를 포함하는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9a는 점화 플러그 신호 생성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b는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캠의 회전에 따른 점화 스위치 동작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31은 캠의 회전에 따른 점화 스위치 동작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32는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33은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34는 제3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제3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따른 제1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36은 제3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따른 제1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37은 제3 조리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8은 제1 조리 기기가 전자 레인지이고 제2 조리 기기가 오븐인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는 전자 레인지와 냉장고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조리 기기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1은 조리 기기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2는 조리 기기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두 개의 조리 기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제2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1)은, 제1 조리 기기(100)와, 제2 조리 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는, 각각 음식물 등의 피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조리 기기(100)는, 전기 오븐, 가스 오븐, 전자 레인지, 가스 레인지 및 전기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제2 조리 기기(200) 역시 전기 오븐, 가스 오븐, 전자 레인지, 가스 레인지 및 전기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는, 상호 동종의 조리 기기일 수도 있고, 또한 상호 이종의 조리 기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 양자 모두 오븐이나 전자 레인지일 수도 있고,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제1 조리 기기(100)는 전자 레인지이고, 제2 조리 기기는 전기 오븐 또는 가스 오븐일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100)와, 제2 조리 기기(20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는, 장치 각각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구축될 수 있으며, 케이블은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캔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초 광대역 통신(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및 근거리 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구축된 것일 수 있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3GPP, 3GPP2 또는 와이맥스 계열 등의 각종 이동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구축된 것일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거나, 또는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각종 명령을 입력하고, 또한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조리 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이용하여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면, 제1 조리 기기(100)는 입력된 명령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조리 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이용하여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면, 제1 조리 기기(100)는 입력된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조리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200)는, 제1 조리 기기(100)에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리 기기(100)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장치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오직 제1 조리 기기(10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를 통하여만 동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조리 기기(200)가 제어 장치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요하는 경우, 제2 조리 기기(200)에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등이 설치되는 기판 등과 같이 제어 장치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각종 부품 등을 설치할 필요가 감소하거나 없어지기 때문에, 제2 조리 기기(200)의 내부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해지고 이에 따라 제2 조리 기기(200)를 보다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어 제작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조리 기기(200)의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200)는,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이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조리 기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조리 기기(100)는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조리 기기(200)는, 제1 조리 기기(100)와 접하거나, 또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리 기기(200)는, 제1 조리 기기(10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조리 기기(100)의 저면에 접하거나 또는 제1 조리 기기(100)의 저면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제2 조리 기기(200)는 제1 조리 기기(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조리 기기(100)와 제2 조리 기기(200)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는 상호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조리 기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제1 통신부(120), 제어부(180) 및 제1 조리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명령을 수령하기 위한 입력부(130)과, 기호, 문자, 숫자 및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은 정지 화상 및 동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력부(130)는,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명령 및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부(130)는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제1 입력부(131)와, 제2 조리 기기(1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입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3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하고, 제어부(180)는 제1 입력부(131)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제1 조리부(19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18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를 경유하여 조리부 제어부(181)로 전달될 수도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를 경유하지 않고 조리부 제어부(181)로 전달될 수도 있다.
제2 입력부(132)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하고, 제어부(180)는 제2 입력부(132)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 또는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1 통신부(120)를 통하여 제2 조리 기기(200)로 전달하여, 제2 조리 기기(20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32)는, 예를 들어, 제2 조리 기기(200)의 조리 시작 여부, 조리 정지 여부, 조리 종료 여부, 조리 예약 여부, 조리 시간 설정, 제2 조리 기기의 동작 모드 선택 및 제2 조리 기기의 세척 동작 여부에 대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31)와, 제2 입력부(132)는, 각각 제1 조리 기기(100)에 접하거나, 또는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31)와, 제2 입력부(132)는, 예를 들어, 물리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 노브, 조그 셔틀, 조작 스틱, 트랙볼, 트랙 패드, 동작 감지 센서 및/또는 마우스 장치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고, 각종 명령을 입력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제1 입력부(131) 및 제2 입력부(132)는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부(131)와, 제2 입력부(132)는, 동종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이종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입력부(131) 및 제2 입력부(132)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부(131) 및 제2 입력부(132)는, 물리 버튼과 같은 물리적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각각 별도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입력부(131) 및 제2 입력부(132)는, 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부(131) 및 제2 입력부(132)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1 입력부(131) 또는 제2 입력부(132)로 기능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40)는, 제1 조리 기기(100)의 동작이나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이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표시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의 제어에 따라서, 예를 들어, 소정 색의 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기호, 문자, 숫자 또는 화상을 출력함으로써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정보 및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예를 들어, 현재 시간이나, 조리와 관련된 각종 정보나, 생활 정보나, 뉴스나, 또는 날씨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더 표시하거나, 조리 기기(100, 200)와 관련된 다양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표시부(14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나 메시지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결정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40)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램프, 형광 램프, 자외선 램프(UV lamp), 할로겐 램프,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 또는 백열 램프 등과 같이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40)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또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냉음극관(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등과 같이 소정의 문자, 기호 또는 화상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140)는,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141) 및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14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표시부(141) 및 제2 표시부(14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정보 및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표시부(140)가,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정보 및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모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하나의 표시부(140)는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정보와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고, 이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음성이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이어폰 또는 헤드셋(headset) 등과 같은 사운드 출력부(미도시)와 같이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통신부(120)는, 제1 조리 기기(100)가 외부의 장치, 일례로 제2 조리 기기(200)나 단말 장치(미도시)와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1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 통신 칩이 설치되는 기판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은 다중화기나, 변조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제1 통신부(120)는 제어부(180)로 동작하는 각종 반도체 칩이 설치된 기판과 별도의 기판에 설치되어 별도의 모듈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통신부(120)는,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12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는 제2 조리 기기(200)의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조리 기기(100)에서 출력된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2 조리 기기(200)로 전송하고, 제2 조리 기기(200)에서 전송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 통신부(221)는, 제1 조리 기기(100)와 별도로 마련된 단말 장치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단말 장치로 제1 조리 기기(100)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종 명령이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는, 외부의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로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스마트 폰, 셀룰러 폰, 태블릿 피씨, 내비게이션 장치, 휴대용 게임기, 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전자 수첩 등이 있을 수 있다. 단말 장치 통신부(221)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129)는, 서로 동일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단말 장치 통신부(129)는 와이파이 기술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129)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고,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다.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경우, 이들(121, 129) 각각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경우 이들(121, 129)은 제2 조리 기기(200) 및 단말 장치와 동시에 통신 가능하거나 또는 이시에 선택적으로 통신 가능한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조리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제어부(180)는, 제1 조리 기기(100) 내의 각 부품, 일례로 제1 조리부(190)나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의 각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조리 기기(100) 내의 각 부품에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각 부품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회로, 도선, 또는 제1 조리 기기(100) 내부에 구축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 다양한 통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각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부 제어부(181),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부 제어부(18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상응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제1 조리부(190)로 전달하여 제1 조리부(190)를 제어함으로써 제1 조리부(190)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부 제어부(181)는, 제1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1 조리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리부 제어부(181)는, 필요에 따라, 제1 감지부(170)에서 전달된 전기적 신호나, 제1 통신부(120)를 통해 전달된 전기적 신호, 일례로 단말 장치에서 전달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응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함으로써 제1 조리부(19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상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제1 통신부(120), 일례로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로 전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20)는 제2 제어 신호를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조리 기기(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2 조리 기기(200)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는, 제2 입력부(13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리부 제어부(181)와 동일하게,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는, 필요에 따라서, 제1 감지부(170)에서 전달된 전기적 신호나, 제1 통신부(120)를 통해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응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조리 기기(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거나, 변환하거나 또는 스위칭하여 조리부 제어부(181)나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어느 조리 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조리부 제어부(181) 및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 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예를 들어, 조작된 입력부(130)가 제1 입력부(131)인지 또는 제2 입력부(132)인지 여부에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또는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제1 조리부(190)의 동작에 관한 정보나, 제1 감지부(170) 또는 제1 통신부(120)에서 전달된 정보나, 또는 제1 조리부 제어부(181)나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 등과 같이 각종 정보나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의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의 제어에 따라서, 표시부(140)는 임의의 색의 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문자, 기호 및 소정의 화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표시부(140)가 제1 표시부(141) 및 제2 표시부(142)를 포함하는 경우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제1 표시부(141) 및 제2 표시부(142) 각각에 별도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표시부(141) 및 제2 표시부(14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정보 및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표시부(140)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제어하여 에러 신호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의 조작이 미리 설정된 바에 부합하지 않는 조작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조리 기기(100, 200)에 대한 명령을 다시 입력해달라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140)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의 조작에 따라 출력된 신호가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도 아니고,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도 아닌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이외에 다른 조리 기기에 대한 명령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140)가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은, 인쇄 회로 기판 위에 설치되어 제1 조리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련된다. 상술한 조리부 제어부(181),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모두 동일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조리부 제어부(181),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가 각각 서로 상이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이들 각각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은 서로 상이한 기판 위에 설치되어 제1 조리 기기(100) 내부에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제1 조리부(190)는, 제어부(180), 일례로 조리부 제어부(181)의 제어에 따라서,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조리부(190)는, 제1 조리 기기(100)의 종류에 따라서 다앙한 부품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 기기(100)가 전자 레인지인 경우, 전열 히터, 마그네트론 및 전력 공급기 등을 이용하여 제1 조리부(190)는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조리부(190)는, 특정 종류의 조리 기기(100)의 조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조리 기기(10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 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감지부(170)는, 제2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한 동작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회로나 케이블을 통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70)는, 예를 들어, 자외선 센서, 적외선 센서, 가시 광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자기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부(170)는 제2 조리 기기(100)에서 방출되는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70)는,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을 적절하게 감지할 수 있는 제1 조리 기기(100)의 일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조리 기기(200)가 제1 조리 기기(100)의 하단에 설치되고 제1 감지부(170)가 열 감지 센서인 경우, 하단 방향으로 제1 조리 기기(1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70)는, 실시에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도 3은 제2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 조리 기기(200)는, 제2 통신부(220) 및 제2 조리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20)는, 외부의 장치, 일례로 제1 조리 기기(100)나 단말 장치(미도시)와 제2 조리 기기(200)가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통신부(220)는, 제1 통신부(120)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 통신 칩이 설치되는 기판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통신부(220)는, 별도의 모듈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통신부(120)는,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22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는 제1 조리 기기(100)의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조리 기기(100)에서 출력된 정보나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2 조리 기기(200)가 획득한 각종 정보를 제1 조리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는,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된 경우,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 역시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 통신부(221)는, 제2 조리 기기(200)와 별도로 마련된 단말 장치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단말 장치로 제2 조리 기기(200)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단말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사용자 명령이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는 제1 조리 기기(100)의 단말 장치 통신부(121)와 통신 가능한 단말 장치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200)의 단말 장치 통신부(221)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229)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서로 동일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229)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고,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다.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229)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경우, 각각의 통신부(221, 229)는 별도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경우 이들(221, 229)은, 제1 조리 기기(100) 및 단말 장치와 동시에 또는 이시에 통신할 수 있는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통신부(220), 일례로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가 수신한 신호, 일례로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는, 회로나, 도선이나, 또는 제2 조리 기기(200) 내부에 구축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 조리부(29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조리부(290)는, 제1 조리 기기(100)에서 생성되고 제2 통신부(220)를 통해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조리부(290)는, 제2 조리 기기(200)의 종류에 따라서 다앙한 부품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리 기기(200)가 오븐인 경우, 전열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제2 조리부(290)는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조리부(290)는, 제2 조리 기기(200)의 종류에 따라서 조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20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정지 명령 입력부(250), 동작 상태 표시부(260) 및 제2 감지부(26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지 명령 입력부(2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조리부(29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사용자는, 제2 조리 기기(200)가 동작 중 과열 등의 이유로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정지 명령 입력부(250)를 조작함으로써 제2 조리 기기(200)를 긴급히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 명령 입력부(250)는, 조작에 따라서 제2 조리부(29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또는 제2 조리부(290)의 부품 중 일부의 동작을 정지시켜 제2 조리부(290)가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지 명령 입력부(250)는, 물리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 노브, 조작 스틱, 트랙볼, 또는 트랙 패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감지부(269)는, 제2 조리부(290)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 상태 표시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감지부(269)는, 제2 조리부(290)로 진입하는 전류의 크기나, 제2 조리부(29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나, 제2 조리부(290)의 조리실 내부의 온도나, 조리실에 열을 가하는 히터의 온도나, 또는 제2 조리부(290)에 연소용 가스의 제공 여부 등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감지부(269)는, 제2 조리 기기(200)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버튼 등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 상태 표시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감지부(269)는, 예를 들어, 자외선 센서, 적외선 센서, 가시 광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자기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미리 정의된 색의 광을 출력함으로써 제2 조리 기기(200)의 제2 조리부(290)가 동작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제2 감지부(269)에서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광을 방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소정의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감지부(269)에서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조명 장치와 전원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에서 조명 장치로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조명 장치로부터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 형광 램프, 자외선 램프, 할로겐 램프,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 또는 백열 램프 등과 같이 소정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정지 명령 입력부(250), 동작 상태 표시부(260) 및 제2 감지부(269)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조리 기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리 기기(100)와는 상이하게 별도의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제1 조리 기기(100)로부터 전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조리 기기(200)는, 긴급 시의 정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정지 명령 입력부(250) 이외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조리 기기(200)가 별도의 제어부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2 조리 기기(200)의 구조가 간단해져 제작의 편의성이 개선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세 개의 조리 기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2)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조리 기기(100), 제2 조리 기기(200) 및 제3 조리 기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100), 제2 조리 기기(200) 및 제3 조리 기기(300)는, 각각 피조리물을 상호 독립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조리 기기(100), 제2 조리 기기(200) 및 제3 조리 기기(300)는, 전기 오븐, 가스 오븐, 전자 레인지, 가스 레인지 및 전기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100), 제2 조리 기기(200) 및 제3 조리 기기(300)는, 상호 동종의 조리 기기일 수도 있고, 또한 상호 이종의 조리 기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 기기(100), 제2 조리 기기(200) 및 제3 조리 기기(300) 모두 오븐이나 전자 레인지일 수도 있고,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제1 조리 기기(100)는 전자 레인지이고, 제2 조리 기기는 전기 오븐 또는 가스 오븐이며, 제3 조리 기기(300)는 가스 레인지일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100), 제2 조리 기기(200) 및 제3 조리 기기(300)는 상호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는, 장치 각각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은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이더넷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로는, 무선 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캔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초 광대역 통신,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저 에너지 및 근거리 장 통신 등을 이용하여 구축된 것일 수 있고,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3GPP, 3GPP2 또는 와이맥스 계열 등의 각종 이동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구축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1 조리 기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각종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3 조리 기기(3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거나, 제3 조리 기기(3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제2 조리 기기(100)는, 제1 조리 기기(100)로부터 직접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제3 조리 기기(300)를 경유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100)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 경우, 제2 조리 기기(100)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또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장치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오직 제1 조리 기기(1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통하여만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조리 기기(200)는,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이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1 조리 기기(100)로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제3 조리 기기(300)를 경유하여 제1 조리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수신한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이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제2 조리 기기(1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3 조리 기기(100)는, 제1 조리 기기(100)에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3 조리 기기(300)는 제3 조리 기기(3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1 조리 기기(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조리 기기(100)는 제3 조리 기기(300)의 동작에 응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조리 기기(300)가 가스 레인지나 전기 레인지인 경우, 가스 레인지나 전기 레인지가 동작을 개시하면 제1 조리 기기(100)의 하단에 마련된 흡입팬이 동작을 개시하여 가스 레인지나 전기 레인지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에서 발생된 연기를 흡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조리 기기(10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조리 기기(100)와 제2 조리 기기(200) 사이의 정보나 명령의 전송을 중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조리 기기(200) 및 제3 조리 기기(300)는, 제1 조리 기기(100)와 접하거나, 또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조리 기기(300)는, 제1 조리 기기(100)의 하단에 위치하고, 제2 조리 기기(2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조리 기기(300)는 제1 조리 기기(100)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고, 제2 조리 기기(200)와는 접하도록 제2 조리 기기(200)의 상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제1 조리 기기 내지 제3 조리 기기(100 내지 300)는, 각각(100 내지 300)의 측면에 배치되어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제1 조리 기기 내지 제3 조리 기기(100 내지 300)는 상호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1 조리 기기 내지 제3 조리 기기(100 내지 3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제1 조리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조리 기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제1 통신부(120), 감지부(170), 제어부(180) 및 제1 조리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3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3 조리 기기(300)의 동작에 관한 명령을 더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부(130)는, 제1 조리 기기(100)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제1 입력부(131) 및 제2 조리 기기(200)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입력부(1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입력부(131) 및 제2 입력부(132)에 대해선 기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입력부(130)는 제3 조리 기기(300)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제3 입력부(13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입력부(13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하고, 제어부(180)는 제3 입력부(133)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 또는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1 통신부(120)를 통하여 제3 조리 기기(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조리 기기(300)가 전달 받은 전기적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제3 입력부(133)는, 예를 들어, 물리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 노브, 조그 셔틀, 조작 스틱, 트랙볼, 트랙 패드, 동작 감지 센서 및/또는 마우스 장치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3 입력부(130)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제1 입력부 내지 제3 입력부(100 내지 13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도 있고, 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도 있으며, 논리적으로 분리된 경우, 제1 입력부 내지 제3 입력부(100 내지 130)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같이 선택적으로 제1 입력부 내지 제3 입력부(100 내지 130)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에게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140)는 제3 조리 기기(300)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제1 조리 기기(1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141) 및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14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표시부(141) 및 제2 표시부(14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표시부(14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3 표시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표시부(143)는 제3 조리 기기(3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제3 표시부(143)는 음극선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또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냉음극관 등과 같은 화상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3 표시부(143)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표시부(140)가, 제1 조리 기기 내지 제3 조리 기기(100 내지 300)에 대한 정보 모두를 동시에 또는 이시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이들 외에도 사운드 출력부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통신부(120)는, 제1 조리 기기(100)가 외부의 장치, 일례로 제2 조리 기기(200), 제3 조리 기기(300) 및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1 통신부(120)는,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129)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는, 다른 조리 기기(200, 300)과 통신을 수행하고, 단말 장치 통신부(129)는 별도로 마련된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는,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복수의 조리 기기(200, 300) 각각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는, 각각의 조리 기기(200, 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 일례로 제1 조리 기기 통신 모듈(122)과, 제2 조리 기기 통신 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 통신 모듈(122)은, 제2 조리 기기(200)와의 통신 수행하고, 제2 조리 기기 통신 모듈(123)은, 제3 조리 기기(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 통신 모듈(122) 및 제2 조리 기기 통신 모듈(123)은 서로 동일한 통신 기술, 일례로 블루투스 기술이나 와이파이 기술을 이용하여 각각 제2 조리 기기(200) 및 제3 조리 기기(300)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각각 제2 조리 기기(200) 및 제3 조리 기기(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외 제1 통신부(120)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통해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제1 조리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리부 제어부(181),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 제3 조리 기기 제어부(183),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부 제어부(181)는 제1 조리부(19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는, 입력부(130), 일례로 제2 입력부(13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응하여 제2 조리 기기(20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 일례로 제1 조리 기기 통신 모듈(122)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 통신 모듈(122)를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2 조리 기기(200)로 전달하여, 제2 조리 기기(200)가 제1 조리 기기(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리 기기 제어부(183)는, 입력부(130), 예를 들어, 제3 입력부(13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응하여 제3 조리 기기(30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 일례로 제2 조리 기기 통신 모듈(123)로 전달함으로써 제3 조리 기기(300)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제3 조리 기기 제어부(183)는 생략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조리부 제어부(181),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 제3 조리 기기 제어부(18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도 있고, 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도 있으며, 이들(181 내지 189) 모두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경우, 각각은 서로 상이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모두(181 내지 189)가 논리적으로 분리된 경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조리부 제어부(181),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 제3 조리 기기 제어부(18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는 구현될 수 있다.
제1 조리부(190)는, 피조리물을 특정 방법으로 조리하도록 마련된다.
제1 조리 기기(100)의 조리부 제어부(181), 제2 조리 기기제어부(18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89) 및 제1 조리부(190)에 대해선 기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조리 기기(100)는, 제2 조리 기기(200) 및 제3 조리 기기(30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70)는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여 제1 조리 기기(100)가 감지 결과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감지부(170)는 제3 조리 기기(300)가 가스 레인지나 전기 레인지인 경우, 가스 레인지나 전기 레인지의 조리에 따라 조리 용기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하여, 제1 조리 기기(100)의 하단에 마련된 흡입팬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용기에서 발생된 연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제2 조리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 조리 기기(200)는, 제2 통신부(220) 및 제2 조리부(2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지 명령 입력부(250), 동작 상태 표시부(260) 및 제2 감지부(26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20)는, 외부의 장치, 일례로 제1 조리 기기(100), 제3 조리 기기(200) 및 단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와 제2 조리 기기(200)가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통신부(120)는,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3 조리 기기(3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와, 단말 장치(미도시)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 통신부(229)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조리 기기(100)의 제1 조리 기기 통신부(121)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조리 기기(100)에서 출력된 정보나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2 조리 기기(200)가 획득한 각종 정보를 제1 조리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는, 제3 조리 기기(100)의 제3 조리 기기 통신부(321)과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3 조리 기기(300)로 각종 정보나 제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제3 조리 기기(300)로부터 각종 정보나 제어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는, 제3 조리 기기(300)에 마련된 정지 명령 입력부(350)의 조작에 따라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리부(290)는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따라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단말 장치 통신부(221)는, 제2 조리 기기(200)와 별도로 마련된 단말 장치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단말 장치로 제2 조리 기기(200)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단말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사용자 명령이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229)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서로 동일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229)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고,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다.
제2 통신부(220), 일례로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가 수신한 신호, 일례로 제2 조리 기기 제어부(182)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는, 회로나, 도선이나, 또는 제2 조리 기기(200) 내부에 구축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 조리부(29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2 조리부(290)는 전달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조리 동작을 수행한다.
정지 명령 입력부(2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조리부(290) 및 제3 조리부(39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 명령 입력부(250)가 조작되면, 정지 명령 입력부(2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를 통해 제3 조리 기기(3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3 조리 기기(300)의 제3 조리부(390)는 전달 받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제2 감지부(269)는, 제2 조리부(290)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 상태 표시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감지부(269)는, 예를 들어, 자외선 센서, 적외선 센서, 가시 광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자기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제2 조리 기기(200) 또는 제3 조리 기기(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제2 조리 기기 통신부(221)를 통해 전달된 제3 조리 기기(300)의 상태에 따라서 소정의 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소정의 기호, 문자 또는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제3 조리 기기(3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정지 명령 입력부(250), 동작 상태 표시부(260) 및 제2 감지부(269)는,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이외 제2 조리 기기(200)의 정지 명령 입력부(250), 동작 상태 표시부(260) 및 제2 감지부(269)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해 기 수행한 바 있으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2 조리 기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조리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조리 기기(200)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도 7은 제3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3 조리 기기(300)는, 제3 통신부(320) 및 제2 조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부(320)는, 외부의 장치, 일례로 제1 조리 기기(100), 제2 조리 기기(200) 및 단말 장치(미도시)의 통신부(120, 220)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통신부(320)는, 제1 통신부(120) 및 제2 통신부(220)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별도의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칩, 기판 및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3 통신부(320)는, 제3 조리 기기 통신부(3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22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조리 기기 통신부(321)는,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조리 기기(300)는, 이를 통해 제1 조리 기기(100) 및 제2 조리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정보나 명령을 전달받거나, 또는 이들(100, 200)로 정보나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조리 기기(300)는, 제1 조리 기기(100)에서 출력된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1 조리 기기(100)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제2 조리 기기(200)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 통신부(221)는, 단말 장치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로 제3 조리 기기(300)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단말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사용자 명령이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는, 제1 조리 기기(100)의 단말 장치 통신부(121) 및 제2 조리 기기(200)의 단말 장치 통신부(221)와 통신 가능한 단말 장치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제3 조리 기기(300)의 단말 장치 통신부(321)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제3 조리 기기 통신부(3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329)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서로 동일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조리 기기 통신부(321) 및 단말 장치 통신부(329) 역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고,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다.
제3 조리부(390)는, 제1 조리 기기(100)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나, 또는 조작부(330)의 조작에 따라서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조리부(190) 및 제2 조리부(290)와 동일하게, 제3 조리부(390)는, 제3 조리 기기(300)의 종류에 따라서 다앙한 부품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조리 기기(300)가 가스 레인지인 경우, 제3 조리부(390)는 화구와 화구에 연결된 가스 배관과, 점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3 조리부(390)는, 제3 조리 기기(300)의 종류에 따라서 조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리 기기(300)는, 조작부(330), 조작 상태 감지부(340), 정지 명령 입력부(350), 동작 상태 표시부(360) 및 제3 감지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조작부(330), 조작 상태 감지부(340), 정지 명령 입력부(350), 동작 상태 표시부(360) 및 제3 감지부(37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 가능하다.
조작부(330)는, 제3 조리부(390)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330)는 물리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 노브, 조작 스틱, 트랙볼, 또는 트랙 패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330)를 가압하거나 회전시키거나, 조작부(330)에 소정의 제스처를 인가하면, 제3 조리부(390)는 조작부(330)의 조작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300)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3 조리부(390)에 마련된 가스 배관을 개폐하거나, 또는 이외 제3 조리부(39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여 제3 조리부(390)가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작 감지부(340)는, 사용자가 조작부(330)를 조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3 조리 기기 통신부(321)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300)가 노브인 경우, 조작 감지부(340)는 노브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조작부(300)가 물리 버튼인 경우, 조작 감지부(340)는 물리 버튼의 이동 여부 또는 물리 버튼에 대한 가압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3 조리 기기(300)가 전자 레인지인 경우, 조작 감지부(300)는, 점화 스위치부(도 24의 630)의 조작 여부를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도 26의 700) 내에 마련된 점화 스위치부 동작 감지부(도 27의 73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조작 감지부(34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제3 조리 기기 통신부(321)를 통해 제1 조리 기기(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1 조리 기기(100)는 조작 감지부(34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흡입팬의 회전 동작과 같은 소정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정지 명령 입력부(3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조리 기기(200)의 제2 조리부(29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제2 조리 기기(200)에 마련된 정지 명령 입력부(250)와 동일하게, 사용자에 의한 정지 명령 입력부(350)의 조작에 따라 제2 조리 기기(200)는 긴급 정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지 명령 입력부(350)는, 물리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 노브, 조작 스틱, 트랙볼, 또는 트랙 패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동작 상태 표시부(360)는,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광을 출력 가능한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명 장치는 소정 색의 광을 방출함으로써 제2 조리 기기(200)의 제2 조리부(290)가 동작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제2 조리 기기(200)로부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광을 방출함으로써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 여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동작 상태 표시부(360)는, 제3 조리 기기(300)의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소정 색의 광을 방출함으로써 제3 조리 기기(300)의 제3 조리부(390)가 동작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동작 상태 표시부(360)가 제2 조리 기기(200) 및 제3 조리 기기(300) 양자의 동작 상태를 모두 표시할 수 있는 경우,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조리 기기(200, 300) 각각의 동작마다 서로 상이한 색의 광을 출력함으로써 제2 조리 기기(200)의 동작 여부 및 제3 조리 기기(300)의 동작 여부를 각각 별도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 형광 램프, 자외선 램프, 할로겐 램프,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 또는 백열 램프 등과 같이 소정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상태 표시부(26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감지부(370)는, 제3 조리부(390)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조리 기기(100)나 제2 조리 기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감지부(370)는, 제3 조리부(390)에 인가된 전류나, 제3 조리부(390)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연기나, 제3 조리부(390)에 대한 가스의 유입 여부 등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3 감지부(370)는, 예를 들어, 자외선 센서, 적외선 센서, 가시 광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자기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3 조리 기기(300)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리 기기(200)와 동일하게 별도의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조리 기기(300)가 별도의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3 조리 기기(300) 내에, 제어부를 구현하기 위한 반도체 칩이나, 관련 부품이나, 기판 등이 내장될 필요가 없어져 제3 조리 기기(300)의 제조의 편의성 개선과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43을 참조하여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제1 조리 기기 내지 제3 조리 기기가 실내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제1 도이고, 도 9는 제1 조리 기기 내지 제3 조리 기기가 실내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제2 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리 기기 내지 제3 조리 기기(400, 500, 600)은, 실내, 일례로 부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조리 기기(400)는 가장 상단에 위치하고, 제2 조리 기기(500) 및 제3 조리 기기(600)는 제1 조리 기기(400)와 소정의 거리(h2)로 이격되어, 제1 조리 기기(400)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400)는, 상부 수납장(10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 수납장(1000) 중 제1 수납장(100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수납장(1002)이 제1 조리 기기(400)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수납장(1002) 내부에는, 배기 덕트(400a)가 설치될 수 있다. 배기 덕트(400a)는 일 말단은 제1 조리 기기(400)의 배기구(도 10의 403a, 403b)와 연결되고, 타 말단은 외벽(400a)에 형성된 배기 통로(400c)와 연결되어, 배기구(403a, 403b)와 배기 통로(400c) 사이에 유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 조리 기기(400)를 통과한 공기는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제1 조리 기기(400)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h1)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 조리 기기(4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제1 조리 기기(400)는 사용자의 눈 높이나 키에 맞춰 적당한 높이(h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400)가 전자 레인지인 경우, 제1 조리 기기(400)는, 후드가 마련된 오버 더 레인지(OTR, Over The Range)일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500) 및 제3 조리 기기(600)는, 상부 수납장(1000)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부 수납장(100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500) 및 제3 조리 기기(600) 중 적어도 하나는 바닥면에 접하고, 다른 하나는 바닥면에 접한 제2 조리 기기(500) 및 제3 조리 기기(6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닥면에 접한 조리 기기를 제2 조리 기기(500)라 하고, 제2 조리 기기(500)의 상단에 형성된 조리 기기를 제3 조리 기기(600)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리 기기(500) 및 제3 조리 기기(600)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조리 기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리 기기(500)가 수납함(1001) 사이에 설치되고, 제3 조리 기기(600)는 제 2 조리 기기(5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리 기기(500) 및 제3 조리 기기(600)는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일 수도 있다. 제2 조리 기기(500) 및 제3 조리 기기(6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 두 조리 기기(500, 600)는, 서로 하나의 외장 하우징을 공유할 수 있으며, 외장 하우징의 하부에는 제2 조리 기기(500)와 관련된 부품이 설치 또는 내장되고, 외장 하우징의 상부에는 제3 조리 기기(600)와 관련된 부품이 설치 또는 내장됨으로써 제2 조리 기기(500)의 상단에 제3 조리 기기(60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조리 기기(600)는, 상면이 제1 조리 기기(400)의 저면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조리 기기(600)의 조리 동작에 따라 발생된 연기 등이 제1 조리 기기(400)의 저면에 마련된 흡입부(450)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이상 제1 조리 기기 내지 제3 조리 기기(400 내지 600)가 실내에 설치된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1 조리 기기 내지 제3 조리 기기(400 내지 600)의 설치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치되는 장소의 크기나 특성, 설치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제1 조리 기기(400)의 일례로 전자 레인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1 조리 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저면도이고, 도 14는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 레인지인 제1 조리 장치(400)는, 외장 하우징(401)과, 외장 하우징(40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402)와, 도어(402)의 개폐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실(404)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피가열체는 가열, 해동, 건조 또는 살균될 수 있는 물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피가열체는 음식물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실(404) 내부에 삽입되어 가열, 해동, 건조 또는 살균될 수 있는 모든 물체가 피가열체로 이용될 수 있다.
외장 하우징(401)은 제1 조리 기기(400)의 외장을 형성하며, 내측에 가열실(404)이나 전장실(409)를 비롯하여 조리에 필요한 공간이 형성되고, 아울러 조리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내장된다. 외장 하우징(401)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402)는 외장 하우징(401)과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어(402)는 힌지 등을 이용하여 외장 하우징(401)과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어(402)는 가열실(404)에 대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외장 하우징(402)과 슬라이딩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402)에는 가열실(404)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광의 전부 또는 일부를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창(402a)과, 도어(402)의 개폐 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402b)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 받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01)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투과창(402a)는 유리나 합성 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402b)는 도어(402)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도어(402)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1)에 대해선 후술한다. 또한 도어(402)의 내측에는 각종 부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402) 내측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1)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과 관련된 부품, 일례로 반도체 칩 및 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402) 내측에는, 통신칩, 안테나 및 기판 등으로 구현 가능한 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
가열실(404)은 전면이 개방되고 전면 이외의 다른 면은 밀폐된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전면은 도어(402)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도어(402)가 열린 경우, 개방된 전면을 통해 피가열체가 가열실(404)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가열실(404) 내부에는 피가열체가 거치되는 거치부(405)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거치부(405)는, 피가열체가 거치되고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피가열체를 회전시키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실(404)은 마이크로파 방사부가 방사한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내벽 등에 도달한 마이크로파가 반사되어 피가열체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열실(404)의 내벽, 바닥면 및 상부면은 마이크로파가 가열실(404)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금속이나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400)는 제2 조리 기기(500)나 제3 조리 기기(600)에서 조리 중 발생될 수 있는 연기나 냄새 등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450)는, 흡입망 프레임(451), 흡입망(452), 흡입구(453), 배기 유로(454), 흡입팬(458), 방출팬(459) 및 배기구(403a, 403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453)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외장 하우징(401)의 저면(404)에 제2 조리 기기(500) 및 제3 조리 기기(600)의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흡입구(453)의 하 방향에는, 흡입망 프레임(451) 및 흡입망(452)이 설치될 수 있다. 흡입망 프레임(451)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이 형성되고, 흡입망(452)은 흡입망 프레임(451)의 통과공에 형성되어 이물질이 배기 유로(454)에 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흡입망 프레임(451)는, 보수나 청소 등을 위하여 외장 하우징(401)의 저면(404)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453)의 상 방향에는, 흡입구(453)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보조하는 흡입팬 어셈블리(458)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팬 어셈블리(458)는 회전에 따라 흡입력을 발생시켜 제3 조리 기기(600) 상부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흡입구(453)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1 조리 기기(40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흡입팬 어셈블리(458)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흡입팬 어셈블리(458)는 적어도 하나의 팬(458b) 및 적어도 하나의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 구동부(도 18의 458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팬 구동부(458a)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흡입구(45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조리 기기(400)의 하우징(401) 내부에 마련된 배기 유로(454)에 진입하고, 배기 유로(454)를 통해 배기구(403a, 403b) 방향으로 이동한다. 배기 유로(454)는, 예를 들어, 가열실(404) 및 전장실(409)과 외장 하우징(40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덕트나, 파이프관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유로(454)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실(404)의 하부 외측 및 배면 외측에 마련된 공간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외장 하우징(401) 상측의 배면 방향에 마련된 배기구(403a, 403b)로 전달될 수 있다.
배기구(403a, 403b)는 배기 통로(454)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흡입구(452)로 유입된 공기가 배기 덕트(400a)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배기구(403a, 403b)는, 외장 하우징(401)의 상면(403)의 일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배기 덕트(400a)의 일 말단이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배기 덕트(400a)가 결합될 수 있는 후크나 삽입 홈과 같은 결합 부재가 배기구(403a, 403b)의 주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배기구(403a, 403b)는 외장 하우징(401)의 상면(403)에 단수 또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기구(403a, 403b)에는 배기 유로(45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 등을 실외 또는 덕트(400a)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459)이 마련될 수 있다. 배기팬(459)는 배기팬(459)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 장치는 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배기팬(459)의 회전에 따라 배기 유로(45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공기는 강제적으로 실외 또는 덕트(400a)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제1 조리 기기(4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팬(459)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459a, 459b)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장실(409) 내부에는 제1 조리 기기(400), 일례로 전자 레인지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실(409) 내부에는 도파관(497), 마이크로파 방사부 하우징(498), 방열팬(498a), 전원 공급부(498b), 및 각종 기판이 마련된다.
도파관(497)은 마이크로파 방사부(도 18의 493)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진행하는 통로의 기능을 제공한다. 마이크로파는 도파관(497)을 따라 이동한 후, 가열실(404) 내부로 방사된다. 도 14에는 하나의 도파관(497)이 가열실(404)의 상부에 형성된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도파관(497)의 개수나 설치 위치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 방사부 하우징(498)은, 마이크로파 방사와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급전부(494)나 안테나부(495)를 내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 방사부 하우징(498)은, 일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은 도파관(497)과 연결되어 안테나부(495)에서 방출된 마이크로파가 도파관(497)을 통해 가열실(404)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방열팬(498a)은, 전장실(409)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발생한 열은 배기 유로(454)를 통해 배기구(403a, 403b)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98b)는, 제1 조리 기기(400)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마이크로파 방사부(493)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장실(409) 내부에는 제어부(도 18의 48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이 형성된 기판이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술한 기판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기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장실(409) 내부에는 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조리 기기(400)는, 광을 방출하는 조명부(460, 461)와, 감지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460, 461)과 감지부(47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하우징(401)의 저면(404)에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460, 461)는, 제3 조리 기기(600)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여 제3 조리 기기(600) 상단을 밝힐 수 있다. 조명부(460, 461)는 발광 다이오드램프, 형광 램프, 자외선 램프, 할로겐 램프,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 또는 백열 램프 등과 같이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부(460, 46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광을 방출할 수도 있고, 제3 조리 기기(600)의 동작에 대응하여 제어부(480)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감지부(470)는, 제3 조리 기기(600) 방향에서 발생된 연기나 열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48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감지부(470)의 감지 결과에 따라 흡입팬 어셈블리(458)의 팬(458b)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조리 기기(600)의 조리 동작에 응하여, 제1 조리 기기(400)의 팬(458b)이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 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조리 기기(40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어(402)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도어(402)의 상부, 하부 또는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6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각종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복수의 입력 버튼(411a 내지 411d)을 포함하는 입력부(411)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40)가 마련된 조작 패널(410a)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11)의 복수의 입력 버튼(411a 내지 411c)은, 제어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대상 선택 버튼(411a, 411b) 및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 입력 버튼(411c, 411d)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선택 버튼(411a, 411b)은, 조작에 따라서, 명령 입력 버튼(411c, 411d)이 특정 대상, 일례로 제1 조리 기기(400) 및 제2 조리 기기(5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조리 기기(400, 500)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선택적으로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거나, 또는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 선택 버튼은 제1 조리 기기 선택 버튼(411a) 및 제2 조리 기기 선택 버튼(4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 선택 버튼(411a)이 선택된 상태에서 명령 입력 버튼(411c, 411d)이 조작되면,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고, 반대로 제2 조리 기기 선택 버튼(411b)이 선택된 상태에서 명령 입력 버튼(411c, 411d)이 조작되면,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대상 선택 버튼(411a, 411b)의 종류나, 배치 위치, 형상 등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명령 입력 버튼(411c, 411d)은 사용자로부터 제1 조리 기기(400) 및 제2 조리 기기(5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각종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명령 입력 버튼(411c, 411d)은, 예를 들어, 조리의 개시, 조리의 취소, 조리의 정지, 조리 시간, 조리 모드 또는 조리 기기(400, 500)에 필요한 각종 설정의 등록 및 변경과 같은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모드는,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정의된 조리 기기(1)의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의 모드에는 조리 공간(110)의 목표 온도나 조리 시간, 또는 복수의 동작의 배열 순서 등이 정의되어 있다. 조작 패널(410a)에는 명령 입력 버튼(411c, 411d)이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명령 입력 버튼(411c, 411d)의 종류나, 설치 위치나, 형상 등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16b는 제1 조리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각종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복수의 입력부(413, 414)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40)가 마련된 조작 패널(410a)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입력부 중 제1 입력부(413)는,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복수의 제1 입력 버튼(413a, 413b)을 포함하며, 제2 입력부(414)는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복수의 제2 입력 버튼(414a, 414b)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제1 입력부(413)는, 조작 패널(410a)의 일부에 마련되며,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명령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2 입력부(414)는, 조작 패널(410a)의 다른 일부에 마련되며,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명령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제1 입력부(413) 및 제2 입력부(414)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조작 패널(410b)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부(413) 및 제2 입력부(414)는, 서로 측면에 배치되도록 조작 패널(410a)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부(413) 및 제2 입력부(414) 사이에는 표시부(44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제1 입력부(413) 및 제2 입력부(414)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1 입력부(413) 및 제2 입력부(414)는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력부(413)는,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부(413)는, 제1 조리 기기(400)의 동작을 개시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시작/정지 버튼(413a), 입력된 각종 설정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버튼(413b), 제1 조리 기기(400)가 수행 가능한 각종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버튼(413c), 숫자를 입력 받음으로써 제1 조리 기기(400)의 조리 시간을 입력하거나, 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숫자 입력 버튼(413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들 외에도 제1 입력부(413)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더 다양한 종류의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입력부(414) 역시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력부(414)는, 제2 조리 기기(500)의 동작을 개시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시작/정지 버튼(414a), 조리 시간을 미리 정의된 바에 따라 증가시키기 위한 시간 변경 버튼(414b), 입력된 각종 설정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버튼(414c), 제2 조리 기기(500)가 수행 가능한 각종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버튼(414d) 등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입력부(414)는, 이들 외에도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더 다양한 종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40)는, 입력부(411 내지 414)와 함께 조작 패널(410a, 410b)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40)는, 명령 입력 버튼(411c, 411d) 사이나, 제1 입력부(413) 및 제2 입력부(41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표시부(440)는 설치 가능하다.
표시부(440)는, 제1 조작 기기(400) 및 제2 조작 기기(5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7a는 표시부의 일례를 도시한 제1 도이고, 도 17b는 표시부의 일례를 도시한 제2 도이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440)는 특정 시점에 특정 조리 기기(400, 500)의 동작만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점에는 제1 조리 기기(400), 일례로 전자 레인지의 동작이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440a), 제2 시점에는 제2 조리 기기(500), 일례로 오븐의 동작이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440b). 여기서 전자 레인지의 동작이나 상태에 관한 정보와 오븐의 동작이나 상태에 관한 정보는, 동작 여부, 조리 경과 시간, 잔여 조리 시간, 조리 모드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4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a에 도시된 대상 선택 버튼(411a, 411b)이 조작되는 경우, 조작된 대상 선택 버튼(411a, 411b)에 따라서 표시부(440)는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440)는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정보 및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40)는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정보 및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번갈아 가면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440)는 현재 동작 중인 조리 기기(400, 500)에 대한 정보만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만약 제1 조리 기기(400) 및 제2 조리 기기(500)가 함께 동작한다면, 표시부(4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이나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제1 조리 기기(400) 및 제2 조리 기기(50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40)는 제3 조리 기기(600)에 대한 정보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7c는 표시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표시부(440)는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정보 및 제2 조리 기기(500)를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부(440)는 제1 조리 기기(400)의 동작이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441) 및 제2 조리 기기(500) 의 동작이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4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표시부(441) 및 제2 표시부(44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정보 및 제2 조리 기기(500)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표시부(441) 및 제2 표시부(442)가 표시하는 내용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제1 표시부(441) 및 제2 표시부(442)가 표시하는 내용은, 사용자의 선택이나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서로 교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선택이나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제1 표시부(441)가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제2 표시부(442)가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재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표시부(441) 및 제2 표시부(442)는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표시부(441)는 상부에 위치하고 제2 표시부(442)는 제1 표시부(442)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표시부(441) 및 제2 표시부(442)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1 표시부(441) 및 제2 표시부(442)는 배치 및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부(440)는 제3 조리 기기(6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3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표시부(441) 및 제2 표시부(442)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제3 조리 기기(6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 제1 조리 기기(400)의 제어 흐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은 제1 조리 기기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1 조리 기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만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리 기기(400)는, 제어부(480), 제1 조리부(490), 팬 구동부(458a), 흡입팬(458b),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제1 통신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도어(402)나 전장실(409)에 설치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제1 조리부(490), 팬 구동부(458a) 및 제1 통신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조리부(490)는 발진부(491), 증폭부(492), 마이크로파 방사부(493)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진부(491)는, 소정 주파수의 마이크로파 교류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파 교류 전력은, 도선 등의 전송로를 통하여 증폭부(492)로 전달할 수 있다. 증폭부(492)는 전달된 마이크로파 교류 전력을 증폭하여 마이크로파 방사부(493)로 전달한다. 마이크로파 방사부(493)는 급전부(494) 및 안테나부(495)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부(494)는 안테나부(495)에 마이크로파 전력을 급전할 수 있다. 안테나부(495)는 급전된 마이크로파 전력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마이크로파를 가열실(404) 내부로 방사하여 피가열체가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제1 통신부(420)를 통해 제3 조리 기기(600)의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면,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팬 구동부(458a)에 전력을 인가하여 팬 구동부(458a)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팬(458b)은 회전을 개시하고 제3 조리 기기(600)의 조리에 따라 발생된 연기는 흡입구(453)를 통해 배기 유로(454)에 유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480)는 제2 조리 기기(500)의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전달된 경우에도 팬 구동부(458a)에 전력을 인가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거나, 또는 제3 조리 기기(600)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여 팬 구동부(458a)에 전력을 인가하여 팬 구동부(458a)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제3 조리 기기(600)의 조리에 따라 발생된 연기가 흡입구(453)를 통해 배기 유로(454)에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조리 기기(500)나 제3 조리 기기(60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조작에 따라 제2 조리 기기(500)나 제3 조리 기기(600)가 동작할 것을 예측하고, 팬 구동부(458a)가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제1 감지부(470)의 감지 결과나, 제2 조리 기기(500)에 마련된 제2 감지부(569)의 감지 결과나, 또는 제3 조리 기기(600)에 마련된 제3 감지부(미도시)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팬 구동부(458a)에 전력을 인가하여 팬 구동부(458a)가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3 조리 기기(600)의 조리에 따라 발생된 연기는 흡입구(453)를 통해 배기 유로(454)에 유입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통하여 제2 조리 기기(500) 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한 제어 신호를 제1 통신부(4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통신부(420)는 전달된 제어 명령을 상응하는 조리 기기, 일례로 제2 조리 기기(5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10)가 제3 조리 기기(6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480)는 제1 통신부(420)를 통해 제3 조리 기기(60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제3 조리 기기(6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표시부(440)가 제1 조리 기기(400)나,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표시부(440)가 제3 조리 기기(6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4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어느 조리 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 기기 선택 버튼(411a)이 조작된 경우, 제어부(480)는 입력부(4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인 것으로 해석하고, 이에 따라 제1 조리부(49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제2 조리 기기 선택 버튼(411b)이 조작된 경우, 제어부(480)는 입력부(4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인 것으로 해석하고, 제1 통신부(42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제2 조리 기기(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제2 조리 기기(500)의 일례로 오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오븐은 가스 오븐일 수도 있고, 전기 오븐일 수도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2 조리 기기(500)인 오븐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장 하우징(501)과, 외장 하우징(50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502)와, 도어(502)의 개폐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실(504)이 마련될 수 있다.
외장 하우징(501)은 제2 조리 기기(500)의 외형을 이루며, 내측에 가열실(504)이나 전장실(598) 등과 같은 조리에 필요한 공간이 마련되고, 아울러 조리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내장된다. 외장 하우징(501)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장 하우징(501)의 상면(503)에는 제3 조리 기기(600)가 설치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외장 하우징(501)의 상면(503)에는 제3 조리 기기(600)가 설치될 수 있는 체결홈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조리 기기(500) 및 제3 조리 기기(6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조리 기기(500)의 외장 하우징(501)과 제3 조리 기기(600)의 외장 하우징(60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도어(502)는 외장 하우징(501)과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예를 들어, 힌지 등과 같은 개폐 수단을 이용하여 외장 하우징(501)과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502)에는 사용자가 가열실(504)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광의 전부 또는 일부를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창(502a)과, 도어(502)의 개폐 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502b)가 마련될 수 있다.
가열실(504)은 전면에 개구가 마련되어 피가열체가 출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가열실(504)의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502)가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가열실(504) 내부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405b, 405d)가 서로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쌍을 이룰 수 있다. 서로 쌍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405b, 405d)는 피가열체가 거치되는 트레이(405a, 405c)가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하나의 측벽에는 복수의 지지대(405b, 405d)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대(405b, 405d)에 장착된 트레이(405a, 405c)에 의해 가열실(504) 내부의 공간은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가열실(504)의 상단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는 가열실(504)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591)가 마련될 수 있다. 가열부(591)는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가열되어 열을 발생시켜 가열실(504) 내부 공간에 열을 제공하거나, 또는 제공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가열실(504) 내부 공간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실(504) 내부에 위치한 피가열체에 열이 인가된다.
가열실(504)의 후면이나 측면의 측벽에는 가열실(504)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순환 통로(594c)가 마련될 수 있으며, 순환 통로(594c)는 가열실(504)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 및 가열실(504)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통로(594c)의 후방에는 적어도 하나의 팬(594b, 594e)과 적어도 하나의 팬(594b, 594e)을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터(594a, 594d)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594a, 594d)의 구동에 따라 팬(594b, 594e)은 회전하며, 팬(594b, 594e)의 회전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다시 배출구를 통하여 가열실(504) 내부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가열실(504) 내부의 공기는 순환 가능하게 된다.
제2 조리 기기(500)는 제2 조리 기기(500)의 동작 여부나 동작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제2 감지부(56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부(569)는, 예를 들어, 가열실(504)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열실(504)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제2 조리 기기(500)의 동작 여부나 동작 상태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감지부(569)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제2 감지부(569)는, 가열부(591)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제2 조리 기기(500)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하우징(501)의 내측에는 전장실(59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장실(598)은, 예를 들어, 가열실(504)의 상방, 측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장실(598)의 내부에는 제2 통신부(520)로 동작하는 통신 모듈이나, 각종 도선, 또는 스위치 등의 회로 및 관련 기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500)는 제1 조리 기기(400)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므로, 전장실(598) 내부에는 제2 조리 기기(5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관련된 부품, 일례로 제어부를 구현하기 위한 반도체 칩 및 기판 등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장실(598) 내부에는 가열실(504)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부(592)가 설치될 수도 있다. 냉각부(592)는 전장실(598) 내부의 공기를 외장 하우징(501)의 전방에 형성된 토출구(592d)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냉각부(592)는, 흡입된 공기가 본체의 전방으로 배기되도록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기 덕트(592a)와, 전장실(598)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592d)를 통해 외장 하우징(501)의 전방으로 배기시키는 냉각 팬(592b)과, 냉각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592c) 등을 포함하여 마련 가능하다.
이하, 제2 조리 기기(500)의 제어 흐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는 제2 조리 기기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2 조리 기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만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리 기기(500)는 제2 통신부(520), 제2 감지부(569), 가열부(591), 모터(594a, 594d), 스위치(598) 및 전원(59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520)는 제1 조리 기기(400)의 제1 통신부(42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를 스위치(598)에 전달하거나, 또는 제2 감지부(569)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1 조리 기기(400)의 제1 통신부(420)에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치(598)는 제2 통신부(520)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599)과, 가열부(591) 및 모터(594a, 594d)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가열부(591) 및 모터(594a, 594d)에 전원(599)에서 공급된 전류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591)가 발열하거나 또는 모터(594a, 594d)가 구동하여 가열실(504) 내부 공간은 가열되고, 피가열체에 열이 인가되어 피가열체는 조리된다.
제2 감지부(569)는, 가열부(591)의 동작 여부나, 가열실(504) 내부의 온도 등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제2 통신부(520)로 전달되고, 제2 통신부(520)는 이를 제1 조리 기기(400)의 제1 통신부(420)로 전달한다. 제1 조리 기기(400)는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표시부(440)에 제2 조리 기기(500)의 상태, 일례로 제2 조리 기기(500)의 정상 동작 여부나, 가열실(502)의 온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리 기기(500)는, 제2 조리 기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제어 기능은 제1 조리 기기(400)의 제어부(480)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 도 23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제3 조리 기기(600)의 여러 실시에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제3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4는 제3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3 조리 기기(600)는 적어도 하나의 열원을 이용하여 피조리물을 가열 및 조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제3 조리 기기(600)는, 열원에서 발생된 열을 피조리물이 투입된 용기의 저면에 공급하거나, 또는 피조리물에 직접 공급하여 피조리물을 가열 및 조리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3 조리 기기(600)는 가스 레인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 조리 기기(6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장 하우징(601)과, 외장 하우징(601)의 상면(603)에 형성되고 열원으로 동작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구(691)와, 열원인 화구(691)를 점화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점화 스위치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점화 스위치부(630)는, 하나의 조리 기기(600)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조리 기기(600)에 제1 점화 스위치부 내지 제5 점화 스위치부(630a 내지 630e)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점화 스위치부(630a 내지 630e)는 개별적으로 각각의 화구(691a 내지 691e)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점화 스위치부(630a)의 제1 파지부(631)를 회전하여 조작하는 경우, 제1 점화 스위치부(630a)에 대응하는 제1 화구(691a)가 점화되어 화염을 분출하게 된다.
화구(691)는, 화염을 분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화구(691)에서 분출된 화염에 의해, 용기 안착부(689)에 안착된 용기는 저면 방향에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화구(691a 내지 691e)가 마련된 경우, 각각의 화구(691a 내지 691e)마다 소정의 용기 안착부(689a 내지 689e)가 각각의 화구(691a 내지 691e) 주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안전하게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장 하우징(601)의 전면(602)에는 정지 명령 입력부(650)가 마련될 수 있다. 정지 명령 입력부(650)가 조작되는 경우, 제2 조리 기기(500)는 동작, 일례로 가열실(504)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동작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정지 명령 입력부(650)는, 예를 들어, 물리 버튼이나, 터치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외장 하우징(601)의 전면(602)에는 동작 상태 표시부(660)가 마련될 수 있다. 동작 상태 표시부(660)는 제2 조리 기기(5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 상태 표시부(660)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나, 형광 램프 등의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조명 장치는 제2 조리 기기(500)가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 아무런 광도 방출하지 않고, 제2 조리 기기(500)가 동작을 하는 경우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 장치는 제2 조리 기기(5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거나, 상태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기타 사용자가 알아야 할 상황이 발생한 경우, 각각의 상황에 대응하는 색의 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이하 제3 조리 기기(600)에 마련된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700) 및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는 제3 조리 기기에 마련된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 및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3 조리 기기(600)의 점화 스위치부(600)는, 파지부(631),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700) 및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점화 스위치부(600)의 동작에 따라 열원인 화구(691)는 점화된다.
파지부(631)는 외장 하우징(601)의 전면(602)에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파지부(631)는 회전축부재(70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파지부(631)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부재(701)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축부재(701)에 결합된 캠 부재(도 27의 7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700)는, 파지부(631)의 회전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화구(691)에 마련된 점화 플러그(699)에 전달할 수 있다. 점화 플러그(699)는,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스파크를 발생시켜 화구(691)가 점화되도록 한다.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700)에는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도 2의 730)가 설치될 수 있다.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7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선(790 내지 792)이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도선은 점화 플러그(699)에 연결되어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70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점화 플러그(699)로 전달하는 점화 플러그 연결 도선(791)과, 점화 스위치 조작 여부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제3 조리 기기(600)의 제3 통신부(도 34의 620)로 전달하기 위한 제2 도선(791) 및 제3 도선(7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선(791) 및 제3 도선(792) 중 적어도 하나는 제3 조리 기기(600)의 제3 통신부(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도선(791) 및 제3 도선(792) 중 적어도 하나는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700)에 설치된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3 통신부(620)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 도선(791) 및 제3 도선(792) 중 다른 하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는, 파지부(631)의 회전에 따라 화구(691)에 연결된 제2 가스관(802)에 연소 가스가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화구(691)에 연소 가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는, 연소 가스가 유입되는 제1 가스관(801)과, 일 말단이 화구(691)와 연결된 제2 가스관(802)을, 파지부(631)의 회전에 따라 연결하여 외부에서 제1 가스관(801)으로 제공된 연소 가스가 제2 가스관(802)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가스관(801)은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배출공(미도시)이 설치되고, 가스 배출공은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의 상단에 마련된 가스 흡입공(도 26의 811)과 연결되어 제1 가스관(801)에서 공급된 연소 가스가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가스관(802)은, 일 말단은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의 가스 배출구(도 26의 821)와 연결되어 가스 배출구(821)에서 배출된 연소 가스가 유동하도록 마련되고, 타 말단은 화구(691)의 가스 유입부(693)와 연결되어, 유동하는 연소 가스가 화구(691)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화구(691)는, 몸체부(692)와, 몸체부(692)의 일부에 마련되고 가스관(802)의 타 말단이 결합되는 가스 유입부(693)와, 가스 유입부(693)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부(694)와, 스파크를 발생시켜 가스 유입부(693)를 통해 공급된 연소 가스를 연소시키는 점화 플러그(699)를 포함할 수 있다. 점화 스위치부(600)의 동작에 따라 화구(691)에는 연소 가스가 제공되고, 스파크가 발생함으로서 화구(691)는 점화되고, 이에 따라 제3 조리 기기(600)의 용기 안착부(689)에 안착된 용기의 저면이 열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700) 및 가스 공급부(8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6은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와,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은 제3 조리 기기의 점화 스위치부 및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를 포함하는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9a는 점화 플러그 신호 생성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9b는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9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점화 스위치 어셈블리(700)는, 전면 하우징(705)과, 전면 하우징(705)과 결합 가능한 후면 하우징(707)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하우징(705)과 후면 하우징(707)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예를 들어 전면 하우징(705)에는 외면에 후크 결합홈(706)이 마련되고, 후면 하우징(707)에는 후크 결합홈(706)에 결합될 수 있는 형성된 후크(70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나사나 너트 등의 체결 부재나, 기타 다양한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전면 하우징(705)과 후면 하우징(707)은 결합될 수 있다. 전면 하우징(705)과 후면 하우징(707)이 결합된 경우, 전면 하우징(705)과 후면 하우징(707)의 내측에는 캠 부재(710),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와,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 등의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전면 하우징(705)의 전면 방향 일 면에는, 캠 부재(7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캠 부재 결합공(705a)과, 적어도 하나의 도선(790 내지 792)이 전면 하우징(705)을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도선 관통홀(705b, 705c)이 형성될 수 있다. 캠 부재 결합공(705a)에 의해 캠 부재(710)는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선 관통홀(705b, 705c)에 의해 도선(790 내지 792)는 전면 하우징(705) 내부에 설치된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와,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후면 하우징(707)의 후면 방향 외측에는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709)가 형성되며, 결합 부재(709)는, 예를 들어,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의 몸체부(814)가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하우징(707)의 내측에는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의 몸체부(814) 내부에 마련된 가스 개방 및 차단부(830)의 일부가 삽입되어 후면 하우징(707)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삽입공(707b)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 개방 및 차단부(830)의 일부(830a)는, 캠 부재(710)와 결합되어 캠 부재(7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캠 부재(71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부(711)와, 제1 구동부(712)와 제2 구동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캠 부재(710)는 전면 방향에는 캠 부재 결합공(705a)을 통하여 전면 하우징(705)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711)가 형성되고, 전면부(711)의 전 방향 일 면의 중심에는 회전축부재(701)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부재 삽입공(710a)가 마련될 수 있다. 전면부(71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구동부(712)는 전면부(711)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전면부(71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제1 구동부(712)의 외면의 일부에는 외각 방향으로 돌출부(712a)가 형성된다. 돌출부(712a)는 제1 구동부(712)의 회전에 따라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의 제1 종동부(721)와 접하거나 또는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제1 종동부(721)와 접한 경우 제1 피동부(720)가 제1 접촉부(72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만곡되어 제1 피동부(720)가 제1 접촉부(721)와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구동부(713)는, 제1 구동부(712)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전면부(711) 및 제1 구동부(712)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동부(713)의 외면의 일부에는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홈(713a)이 형성될 수 있다. 홈(713a)은 제2 구동부(713)의 회전에 따라 점화 스위치조작 감지부(730)의 제2 종동부(731)가 이동하거나 만곡되도록 마련되며, 제2 종동부(731)는 이동 및 만곡에 따라서 제2 접촉부(731)와 접하거나, 또는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제1 구동부(712) 및 제2 구동부(713)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는 반대로, 제2 구동부(713)가 제1 구동부(712)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구동부(712) 및 제2 구동부(713)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종동부(721) 및 제2 종동부(731)는 전면 하우징(705) 및 후면 하우징(707) 내에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동부(712) 및 제2 구동부(713) 양자 모두에 돌출부(712a)가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홈(713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반대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구동부(712)에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2 구동부(713)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 및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는, 캠 부재(710)의 주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의 일부분 또는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의 일 부분이 캠 부재(710)의 일부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는, 제1 구동부(7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점화 플러그를 구동시키고,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는 제2 구동부(713)의 동작에 따라 점화 스위치부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 및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는, 각각 대응되는 제1 구동부(712) 및 제2 구동부(713)의 형상에 대응하여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 및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에 돌출부(712a)가 형성되느냐, 또는 홈(713a)이 형성되느냐에 따라서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 및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는 소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는, 제1 종동부(721) 및 제1 접촉부(7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종동부(721)는, 제1 구동부(712)의 회전에 따라 제1 구동부(712)에 마련된 돌출부(712a)에 의해 이동하거나 또는 만곡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종동부(721)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723) 및 본체(72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723h)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723)는 외부에서 인가된 힘에 의해 만곡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면서, 인가된 힘이 소멸된 경우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이용하여 구현되되,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 등의 도체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723)는,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723h)에 의해 고정되고, 제1 도선(790)이 장착되거나, 또는 전원과 연결된 소정의 도선, 일례로 제3 도선(792)이 장착되는 장착홈(723i)이 형성된 제1 부분(723a)과, 캠 부재(710)가 위치한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1 부분(723a)의 말단과 제2 부분(723c)을 연결하는 제1 만곡부(723b)와, 제1 만곡부(723b)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부분(723c)과, 캠 부재(710)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2 부분(723c)과 제3 부분(723e)을 연결하는 제2 만곡부(723d)와, 일 말단은 제2 만곡부(723d)와 연결된 제3 부분(723e)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723e)은, 제1 만곡부(723b) 및 제2 만곡부(723d)에 의해 제1 구동부(712)의 외면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3 부분(723e)의 일부, 일례로 타 말단에는 접촉 단자(722)가 형성된다. 제1 부분 내지 제3 부분(723a 내지 723e)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구동부(712)의 회전에 따라 만곡되거나 이동하고, 제3 부분(723e)에 형성된 접촉 단자(722)는, 제1 접촉부(725)의 접촉 단자(726)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접촉부(725)의 접촉 단자(726)와 접하게 된다. 고정부(723h)는, 전면 하우징(705) 또는 후면 하우징(707)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본체(723)가 고정되도록 한다.
제1 접촉부(725)는 전면 하우징(705) 또는 후면 하우징(707)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접촉 단자(726)와, 전기적 연결부(7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725)의 접촉 단자(726)는 제1 종동부(721)가 제1 구동부(712)의 돌출부(712a)에 의해 만곡된 경우, 제1 종동부(721)의 접촉 단자(722)와 접하도록 마련된다. 제1 접촉부(725)는 전류가 통전 가능한 금속 등의 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727)는, 접촉 단자(726)와, 제1 도선(790)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727)의 일부에는 소정의 도선이 장착되는 장착부(727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소정의 도선은 제1 도선(7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제1 부분(723a)의 장착홈(723i)에는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에서 제공된 전류가 전달되는 도선이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기적 연결부(272)는 전원과 소정의 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부분(723a)의 장착홈(723i)에 제1 도선(790)dl 장착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727)는 전류가 통전 가능한 금속 등의 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는, 제2 종동부(731) 및 제2 접촉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종동부(731)는, 제2 구동부(713)의 회전에 따라 제2 구동부(713)에 마련된 홈(713a)에 의해 이동하거나 또는 만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종동부(731)는, 본체(733) 및 본체(73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733h)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733)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 등의 도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체는 외부에서 인가된 힘에 의해 만곡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면서, 인가된 힘이 소멸된 경우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구리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733)는,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733h)에 의해 고정되고, 제2 도선(791) 또는 제3 도선(792)이 장착되는 장착홈(733i)이 형성된 제4 부분(733a)과, 캠 부재(710)가 위치한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4 부분(733a)의 말단과 제5 부분(733c)을 연결하는 제3 만곡부(733b)와, 제3 만곡부(733b)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5 부분(733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만곡부(733b)는 제1 만곡부(723b)보다 더 경사지게 만곡된다. 제5 부분(733c)는 캠 부재(710)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5 부분(733c)과 제6 부분(733e)을 연결하는 제4 만곡부(73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만곡부(733d)는, 제2 만곡부(723d)보다 캠 부재(710)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더 경사지게 만곡될 수 있다. 제4 만곡부(733d)와, 제4 만곡부(733d) 주변의 제5 부분(733c)과, 제4 만곡부(733d) 주변의 제6 부분(733e)은 홈(713a)에 삽입되거나 또는 홈(713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홈 결합부(734)를 이룬다. 홈 결합부(734)는 제2 구동부(713)의 회전에 의해 홈(713a)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홈(713a) 내부로 진입하거나 또는 홈(713a) 내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733)는 제2 접촉부(735) 방향으로 만곡되거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6 부분(733e)은 제4 만곡부(733d) 및 제5 만곡부(733f) 사이에 마련되며, 제5 만곡부(733f)는 캠 부재(710)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6 부분(733e)과 제7 부분(733g)을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제7 부분(733g)의 일부, 일례로 일 말단에는 접촉 단자(732)가 형성된다. 제4 부분 내지 제7 부분(733a 내지 733g)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구동부(713)의 회전에 따라 만곡되거나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7 부분(733g)에 형성된 접촉 단자(732)는, 제2 접촉부(735)의 접촉 단자(736)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접촉부(725)의 접촉 단자(726)와 접하게 된다. 고정부(733h)는, 전면 하우징(705) 또는 후면 하우징(707)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본체(733)를 고정시킨다.
제2 접촉부(735)는 전면 하우징(705) 또는 후면 하우징(707)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접촉 단자(736)와, 전기적 연결부(7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촉부(735)의 접촉 단자(736)는 제2 종동부(731)의 홈 접촉부(734)가 제2 구동부(713)의 홈(713a)에서 이탈되어 만곡된 경우, 제2 종동부(731)의 접촉 단자(732)와 접하도록 설계된다. 제2 접촉부(735)는 전류가 통전 가능한 금속 등의 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737)는, 접촉 단자(736)와, 제2 도선(791) 및 제3 도선(792) 중 적어도 하나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전기적 연결부(727)의 일부에는 제2 도선(791) 및 제3 도선(792)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는 장착부(737a)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선(791)이 제4 부분(733a)의 장착홈(733i)에 장착된 경우, 전기적 연결부(727)의 장착부(737a)에는 제3 도선(792)이 장착되고, 반대로 제3 도선(792)이 제4 부분(733a)의 장착홈(733i)에 장착된 경우, 전기적 연결부(727)의 장착부(737a)에는 제2 도선(791)이 장착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737)는 전류가 통전 가능한 금속 등의 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0은 캠의 회전에 따른 점화 스위치 동작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고, 도 31은 캠의 회전에 따른 점화 스위치 동작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710)가 회전하면, 제1 구동부(712) 및 제2 구동부(722)도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구동부(712)의 돌출부(712a) 및 제2 구동부(722)의 홈(722a) 역시 이동하게 된다.
돌출부(712a)는 회전 이동하면서 제1 종동부(721)의 본체(723)의 제3 부분(723e)에 미는 힘을 인가하게 되고, 본체(723)는 캠 부재(710)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거나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23)에 마련된 접촉 단자(722)는 제1 접촉부(725)의 접촉 단자(727)와 접하게 된다. 이 경우, 본체(723)로 전류가 인가된 경우, 본체(723)에 인가된 전류는 두 접촉 단자(722, 727)를 통해 제1 접촉부(725)로 전달된다. 반대로 제1 접촉부(725)에 전류가 인가된 경우, 제1 접촉부(725)에 인가된 전류는 두 접촉 단자(722, 727)를 통해 본체(723)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 종동부(721)와 제1 접촉 단자(725)는 도통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과 연결된 도선을 통해 제공된 전류는 제1 종동부(721)와 제1 접촉 단자(725)를 통하여 제1 도선(790)으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점화 플러그(699)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는 점화 플러그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구동부(722)의 홈(722a)이 회전 이동하는 경우, 제2 종동부(731)의 홈 결합부(734)는 홈(722a)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홈(722a)에서 이탈된다. 이에 따라 제2 종동부(731)의 본체(733)는 캠 부재(710)가 위치한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33)에 마련된 접촉 단자(723)는 제2 접촉부(735)의 접촉 단자(737)와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종동부(731)와 제2 접촉 단자(735)는 도통되고, 이들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2 종동부(731)은, 제2 도선(791) 및 제3 도선(79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접촉 단자(735)는 제2 도선(791) 및 제3 도선(792)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2 종동부(731)와 제2 접촉 단자(735)의 도통에 따라 제2 도선(791)과 제3 도선(792) 역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도선(791) 및 제3 도선(792) 중 어느 하나가 제3 통신부(620)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연결되는 경우, 전원에서 공급된 전류는 제2 도선(791) 및 제3 도선(792)을 경유하여 제3 통신부(62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점화 스위치부(630)의 동작 여부가 제3 통신부(620)로 전달될 수 있게 되므로, 점화 스위치조작 감지부(730)는 점화 스위치부(630)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점화 스위치부 어셈블리(700)의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 및 점화 스위치조작 감지부(73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들의 기능이나 동작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에 제2 도선(791) 및 제3 도선(792)이 연결된 경우,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는 점화 스위치조작 감지부(7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점화 스위치조작 감지부(730)가 제1 도선(790) 및 전원에서 연장된 도선, 일례로 제3 도선(792)와 연결된 경우,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는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2는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고, 도 33은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는, 연소 가스가 흡입되는 가스 흡입부(810)와,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부(820)와, 가스 흡입부(810)와 가스 배출부(820)를 연결하되, 연소 가스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몸체부(8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흡입부(810)는, 연소 가스가 제공되는 제1 가스관(801)과 결합하며, 제1 가스관(801)의 가스 배출공과 연결되는 가스 흡입공(811)이 형성되어 연소 가스가 몸체부(814)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가스 흡입부(810)는 가스 흡입공(811)이 상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가스관(801)은 가스 흡입부(81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가스 흡입부(810)의 측면에는 제3 조리 기기(400)의 외장 하우징(601) 내측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81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812)는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외장 하우징(601)의 상면의 내측 방향에 고정됨으로써,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가 안정적으로 제3 조리 기기(6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가스 흡입부(810)와 몸체부(814) 사이에는, 가스 흡입부(810)에서 연장되고 연소 가스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연장부(8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814)는, 가스 흡입부(810)와 가스 배출부(8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몸체부(814)의 상부는 가스 흡입부(810)와 연결되고, 몸체부(814)의 후면은 가스 배출부(820)와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814) 내부에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개방 및 차단부(83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스 개방 및 차단부(830)는, 일 측면에 개구(831)가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밀폐된 관체(832)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관체(832)는 몸체부(814)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스 개방 및 차단부(830)의 일부(830a)는 캠 부재(710)의 제2 구동부(713)의 말단에 결합되어 캠 부재(710)의 회전에 따라 몸체부(814)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831)가 몸체부(814)의 측면 방향을 향하는 경우, 개구(831)는 몸체부(814)의 측면 프레임에 의해 폐쇄된다. 이 경우, 관체(832)의 밀폐된 부분은 가스 흡입부(810) 방향을 향하며, 가스 흡입부(810) 내의 통로(815)를 차폐함으로써, 가스 흡입구(810)로 진입된 연소 가스가 가스 배출구(821)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는, 연소 가스가 화구(69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만약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831)가 몸체부(814)의 상면 방향을 향하는 경우, 가스 흡입부(810) 내의 통로(815)가 개방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스 흡입구(811)와 가스 배출구(821)는 연소 가스가 유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가스 흡입구(811)를 통해 진입한 연소 가스는 통로(815)를 통과한 후, 가스 개방 및 차단부(830) 내부로 진입하고, 가스 배출부(820)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가스 배출구(821)로 이동한 후, 제2 가스관(802)을 따라 화구(691)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스 공급부 어셈블리(800)는, 연소 가스가 화구(691)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4는 제3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제3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따른 제1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고, 도 36은 제3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따른 제1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34는 제3 조리 기기의 제어 흐름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부분만을 한정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3 조리 기기(600)는 파지부(631)와, 제3 통신부(620)와, 점화 플러그(699)와, 점화 플러그 구동부(720)와,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631)를 사용자가 조작하면 파지부(631)의 회전에 따라 점화 플러그 구동부(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점화 플러그(699)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화구(691)는 점화되고, 화구(691) 주변의 용기 안착부(689)에 안착된 용기(9)는 가열된다.
또한 파지부(631)의 회전에 따라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730)에서도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며, 전기적 신호는 도선 등의 전송 수단을 통하여 제3 통신부(620)로 전달된다. 전기적 신호는 제3 통신부(620)로 전달되기 전에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거나, 또는 증폭기에 의해 증폭될 수도 있다.
제3 통신부(620)는, 점화 스위치부(630)의 조작 감지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통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제1 조리 기기(400)의 제1 통신부(4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400)의 제1 통신부(420)는 점화 스위치부(630)의 조작 감지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480)로 전달한다. 제어부(480)는,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팬 구동부(458a)에 전력을 인가하여 팬 구동부(458a)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과정 도중 용기(9)에서 발생한 연기(8)는 제1 조리 기기(400)의 저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조리 기기(400)의 저면에 마련된 흡입부(450)에 의해 흡입되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3 조리 기기(600)는, 제3 조리 기기(600)가 동작하는 경우, 감지부(미도시)를 이용하여, 화구(691) 주변의 열을 감지하고 감지된 열에 대한 정보를 제1 조리 기기(400)로 전달하여, 제1 조리 기기(400)의 제어부(480)가 전달된 화구(691) 주변의 온도를 기초로 팬 구동부(458a)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3 조리 기기(600)는 정지 명령 입력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 명령 입력부(6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3 통신부(620)로 전달하고, 제3 통신부(620)는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통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제2 조리 기기(500)의 제2 통신부(5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500)의 제2 통신부(520)는 정지 명령 입력부(650)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는 제2 조리부(590), 제2 조리부(59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전원 또는 제2 조리부(590)와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 등에 전달되어 제2 조리부(590)가 동작을 일시적으로 또는 비일시적으로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조리 기기(600)는, 동작 상태 표시부(6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작 상태 표시부(660)는 제2 조리 기기(5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통신부(620)는, 제2 조리 기기(500)의 제2 통신부(520)로부터 전달되고 제2 조리 기기(500)의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동작 상태 표시부(660)에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제3 조리 기기(600)에 마련된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여 동작 상태 표시부(660)가 제2 조리 기기(500)의 상태에 따라 소정의 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7은 제3 조리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3 조리 기기(900)는, 전기 레인지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 조리 기기(900)는, 제2 조리 기기(500), 일례로 오븐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조리 기기(50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제2 조리 기기(500) 위에 안착된 것일 수도 있고, 또한 제2 조리 기기(5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제3 조리 기기(900)와 제2 조리 기기(5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 제3 조리 기기(900)는 제2 조리 기기(500)와 외장 하우징을 공유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제3 조리 기기(900)는 외장 하우징(901)과, 외장 하우징(901)의 상면에 마련된 조리판(902)과, 조리판(902)의 내측에 마련된 가열 코일에 의해 구현되는 복수의 화구(903 내지 905)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가그이 화구(903 내지 905)는 열원으로 동작한다.
외장 하우징(901)은 제3 조리 기기(9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제3 조리 기기(900)의 조리 동작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조리판(902)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세라믹 글라스(ceramic glass) 등과 같은 강화 유리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조리판(902) 위에는 가열되는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마크(M1, M2, M3)가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안내 마크(M1, M2, M3)이 도시된 조리판(902)의 하단에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가열 코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하나의 안내 마크(M1, M2, M3)마다 하나의 유도 가열 코일이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이 설치될 수도 있다.
유도 가열 코일은 원 또는 타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유도 가열 코일에 교류 전류가 공급되면, 유도 가열 코일의 내측에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이 유도된다. 유도 가열 코일에 의하여 생성되고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은, 안내 마크(M1, M2, M3)에 안착된 조리 용기의 저면을 통과하는데, 이 때, 조리 용기의 저면에서는 자기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류, 즉 와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와전류가 조리 용기에 발생된 경우, 와전류에 의한 전자는 조리 용기를 이루는 원자핵과 충돌하면서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에 의해 조리 용기는 가열된다.
전기 레인지인 제3 조리 기기(900)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조리 용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제3 조리 기기(900)의 외장 하우징(901)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 하우징(901) 내부에는, 상술한 유도 가열 코일뿐만 아니라, 제3 조리 기기(900)의 동작, 일례로 유도 가열 코일에 대한 전류의 인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부품과, 이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과, 반도체 칩 등이 설치되는 기판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장 하우징(901) 내부에는, 통신부로 작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 있으며, 통신 모듈은 제1 조리 기기(400) 및 제2 조리 기기(500)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기판, 기판에 실장된 통신칩과, 안테나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제3 조리 기기(900)는, 제3 조리 기기(9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조리 기기(900)는 유도 가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거나, 또는 화구(903 내지 905) 주변의 열을 측정하여 제3 조리 기기(9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3 조리 기기(900)는, 제1 조리 기기(400)로 획득한 제3 조리 기기(9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조리 기기(400)의 제어부(480)는 제3 조리 기기(900)에서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팬 구동부(458a)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조리 기기(90)를 이용한 조리 과정 도중, 용기에서 발생한 연기는 제1 조리 기기(400)의 저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조리 기기(400)의 저면에 마련된 흡입부(450)에 의해 흡입되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또한 제3 조리 기기(90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1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는 제3 조리 기기(9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또한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동작을 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조리 기기(9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발광 다이오드 램프와 같은 조명 장치나,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제2 조리 기기(5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는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한 정지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은, 제2 조리 기기(500)에 마련된 제2 통신부(520) 및 제3 조리 기기(900)에 마련된 통신부를 통하여 상호 전송될 수 있다.
도 38은 제1 조리 기기가 전자 레인지이고 제2 조리 기기가 오븐인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3)은, 제1 조리 기기(400) 및 제2 조리 기기(500)만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조리 기기(600, 900)은 생략 가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조리 기기(500)의 상면은 제1 조리 기기(400)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2 조리 기기(500)의 상면에는 식기 건조대 등의 가전 기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조리 기기(400) 및 제2 조리 기기(500)에 대해선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도 39는 전자 레인지와 냉장고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4)은 제1 조리 기기(400)와 가전 기기(990), 일례로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1 내지 3)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1 조리 기기(400)와 가전 기기(99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통신 가능하게 설정된 것일 수 있다. 가전 기기(990)는 제1 조리 기기(40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조리 기기(400)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40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고, 또한 가전 기기(9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조리 기기(4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에 형성된 물리 버튼이나 터치 센서 등을 조작하여, 냉장고(900)의 냉장실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제1 조리 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또한 가전 기기(9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냉장고(900)의 냉동실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도 40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0 내지 도 42에 도시된 방법은, 복수의 조리 기기가 마련된 경우, 복수의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조리 기기가 두 개 또는 세 개가 마련되어 있다고 하고, 각각 제1 조리 기기, 제2 조리 기기 및 제3 조리 기기라 기재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들 조리 기기의 개수는 두 개일 수도 있고, 또는 네 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제1 조리 기기, 제2 조리 기기 및 제3 조리 기기의 종류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 기기는, 전기 오븐, 가스 오븐 및 전자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제2 조리 기기는, 전기 오븐, 가스 오븐 및 전자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3 조리 기기는, 전기 오븐, 가스 오븐, 전자 레인지, 가스 레인지 및 전기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 제2 조리 기기 및 제3 조리 기기는 모두 상이한 종류의 조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조리 기기, 제2 조리 기기 및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두 개는 동일한 종류의 조리 기기일 수도 있고, 또한 모두 동일한 종류의 조리 기기일 수도 있다.
제1 조리 기기, 제2 조리 기기 및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두 개는 상호 통신 가능하게 설계되며, 둘 사이의 통신은 유선 통신 네트워크나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는,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이더넷 케이블 등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캔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초 광대역 통신,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근거리 장 통신, 3GPP, 3GPP2 또는 와이맥스 계열 등의 각종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 가능하다.
제1 조리 기기, 제2 조리 기기 및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별도의 단말 장치, 일례로 스마트폰이나 랩톱 컴퓨터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들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전달 받거나, 또는 이들 단말 장치로 제1 조리 기기, 제2 조리 기기 및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따.
도 40은 조리 기기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1 조리 기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제1 조리 기기 및 제2 조리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일례로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이 마련되나, 제2 조리 기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제어 장치는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조리 기기에 간단한 수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례로 현재 상태 표시 등을 위한 조명 장치 정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가능하다.
도 4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먼저 제1 조리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1000).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조리 개시, 조리 중단, 조리 종료, 조리 시간 설정, 조리 시간 변경, 조리 예약, 조리 온도 설정, 제2 조리 기기의 동작 모드 선택 또는 제2 조리 기기의 세척 동작 여부에 대한 명령 등 다양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제1 조리 기기에 대한 명령인지, 또는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10, s1030). 이 경우, 제1 조리 기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도록 설정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제1 조리 기기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무엇에 대한 사용자 명령인지 판단할 수도 있고,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마련된 여러 입력 수단, 일례로 물리 버튼이나 터치 센서 중 어느 것이 조작되었느냐에 따라서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무엇에 대한 사용자 명령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
만약 제1 조리 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s1010의 예), 제1 조리 기기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 기기에 마련된 제1 조리부가 동작을 개시하여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s1020).
만약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s1030의 예), 제1 조리 기기는 입력 받은 사용자 명령을, 통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상술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조리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s1040).
만약 사용자 명령이 제1 조리 기기에 대한 명령 및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명령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 일례로 미리 설정된 바에 해당하지 않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1 조리 기기는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s1080). 여기서 에러 신호는, 예를 들어, 명령을 다시 입력해달라는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는, 제1 조리 기기에서 전달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작을 개시한다(s1050). 예를 들어, 제2 조리 기기의 제2 조리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작을 개시하여 소정 온도로 피가열체를 조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리 기기는, 제2 조리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1 조리 기기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s1060). 이와 같은 정보의 전달은 조리 동작 중에도 수행될 수도 있고, 조리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도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조리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제2 조리 기기의 동작 수행 여부, 조리 개시 후 경과 시간, 조리 기기의 온도, 조리 종료 여부, 제2 조리 기기의 고장이나 오류 발생 여부 또는 기타 제2 조리 기기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는, 제2 조리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1070). 이 경우, 제1 조리 기기는, 제1 조리 기기에 대한 상태 및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하나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조리 기기는 제1 조리 기기에 대한 상태 및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상태를 각각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가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조리 기기는 제2 표시부를 이용하여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부는 제1 조리 기기에 대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조리 기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다른 조리 기기에 대한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만약 제1 조리 기기가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마련된 오버 더 레인지인 경우, 사용자는 보다 편한 자세로, 또는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오버 더 레인지를 통해 다양한 조리 기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다양한 조리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익이 증가하게 된다.
도 41은 조리 기기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먼저 제2 조리 기기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s1100). 이 경우, 제2 조리 기기는 상술한 제1 조리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가 동작을 개시하면, 제2 조리 기기 및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조리 기기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다(s1110). 이 경우, 제3 조리 기기는 제2 조리 기기의 상단에 설치된 조리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리 기기는, 전기 오븐 또는 가스 오븐과 같은 오븐이고, 제3 조리 기기는 오븐의 상단에 설치된 가스 레인지 또는 전기 레인지일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의 동작의 표시는, 제2 조리 기기 및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동작 상태 표시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작 상태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 형광 램프, 자외선 램프, 할로겐 램프,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 또는 백열 램프 등과 같이 소정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조명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리 기기나 제3 조리 기기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동작 상태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장치는 제2 조리 기기 및 제3 조리 기기 내에 마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조리 기기 및 제3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조리 기기의 동작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명령 입력부가 마련될 수 있다.
만약 정지 명령 입력부가 조작되면 (s1120의 예), 제2 조리 기기는 동작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마련된다(s1130). 만약 제3 조리 기기에 정지 명령 입력부가 마련된 경우라면, 제3 조리 기기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조리 기기로 정지 명령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발생된 전기적 신호 또는 이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2 조리 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조리 기기는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수행 중인 동작, 일례로 조리 동작을 중단하게 된다.
만약 정지 명령 입력부가 조작되지 않으며(s1120의 아니오), 제2 조리 기기는 수행 중이던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유지한다(s1140).
도 42는 조리 기기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한편 제3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서 제1 조리 기기가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조리 기기가 가스 레인지나 전기 레인지이고, 제1 조리 기기가 오버 더 레인지인 경우, 제3 조리 기기의 동작에 따라 제1 조리 기기 하단에 마련된 흡입부가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 제3 조리 기기가 가스 레인지이고, 가스 레인지의 화구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조리 기기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점화 스위치부의 파지부가 캠 부재와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설계된 경우,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조리 기기의 파지부가 회전하게 되면, 파지부의 회전 조작에 따라 캠 부재 역시 회전하게 된다(s1200). 여기서, 캠 부재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점화 플러그 구동부는 점화 플러그를 구동시키고, 제2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점화 스위치부 동작 감지부는 점화 스위치부의 동작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캠 부재가 회전하면, 제2 구동부는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구동부와 접하여 마련된 점화 스위치부 동작 감지부의 종동부가 이동하게 된다(s1210).
종동부는 접촉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접촉부와 접촉하게 된다. 종동부와 접촉부가 서로 접하면 종동부와 접촉부는 도통하여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s1220). 이에 따라 점화 스위치부 동작 감지부로 유입된 전기적 신호는 제3 조리 기기에 마련된 제3 통신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점화 스위치부가 조작되었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제3 통신부는 제1 조리 기기의 제1 통신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230). 이 경우, 제3 통신부는 전기적 신호를 통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도록 설계되고, 제1 조리 기기의 제1 통신부는 변환된 신호를 역변환하여 원래의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도록 설계된 것일 수 있다.
제1 조리 기기, 구체적으로 제1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는, 전달 받은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제3 조리 기기가 동작을 개시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s1240).
그러면, 제어 장치는 제1 조리 기기의 흡입부의 팬 구동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팬 구동부에 전달하여 제3 조리 기기 방향에 마련된 팬을 회전시킴으로써 제3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따라 발생된 연기가 흡입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시킨다(s1250). 따라서, 제3 조리 기기의 동작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제1 조리 기기는 연기 흡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조리 기기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나, 자기 테이프나, 컴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나 디브이디(DVD)와 같은 각종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나,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magneto-optical media)나, 또는 롬(ROM), 램(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와 같이, 컴퓨터 등의 호출에 따라 실행되는 특정 프로그램을 저장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오직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수정 및 변형하여 구현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역시 상술한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은,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될 수도 있고,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시스템, 구조, 장치 및 방법 등에 의하더라도, 상술한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는 획득 가능하다.
1: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100: 제1 조리 기기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120: 제1 통신부
130: 입력부 131: 제1 입력부
132: 제2 입력부 140: 표시부
141: 제1 표시부 142: 제2 표시부
170: 제1 감지부 180: 제어부
190: 제1 조리부 200: 제2 조리 기기
220: 제2 통신부 250: 정지 명령 입력부
260: 동작 상태 표시부 269: 제2 감지부
290: 제2 조리부 300: 제3 조리 기기
320: 제3 통신부 330: 조작부
340: 조작 감지부 350: 정지 명령 입력부
360: 동작 상태 표시부 370: 제3 감지부
390: 제3 조리부

Claims (47)

  1.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조리 기기;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제2 조리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고,
    상기 제1 조리 기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1 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리 기기는,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따라 생성된 연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2 조리 기기가 배치된 방향에 설치되는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점화 스위치부; 및 상기 점화 스위치부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전달하는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는,
    파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응하여 회전하는 캠 부재에 형성된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종동부; 및 상기 종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종동부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부 및 상기 접촉부의 접촉에 따라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1 조리 기기로 전달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제2 입력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 기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상기 제1 조리 기기에 대한 명령인지 또는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대한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상태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리 기기에 관한 사용자 명령은,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조리 시작, 조리 정지, 조리 종료, 조리 예약, 조리 시간 설정, 제2 조리 기기의 동작 모드 및 제2 조리 기기의 세척 동작 여부에 대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초 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근거리 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동작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명령 입력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1 조리 기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램프, 형광 램프, 자외선 램프, 할로겐 램프,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 및 백열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 기기는, 전기 오븐, 가스 오븐 및 전자 레인지(microwa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하단에 위치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3 조리 기기;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면이 제1 조리 기기의 저면을 향하도록 마련된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스위치부는, 파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응하여 회전하는 캠 부재에 형성된 제1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제1 종동부 및 상기 제1 종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종동부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종동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의 접촉에 따라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는 점화 플러그로 전달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22. 삭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흡입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을 개시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동작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명령 입력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1 조리 기기에서 전달된 명령에 따른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가스 레인지 또는 전기 레인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와 이격된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전달받거나, 또는 상기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28. 저면에 마련된 흡입부를 포함하는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조리 기기와 통신 가능한, 제2 조리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열원, 상기 열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점화 스위치부 및 상기 점화 스위치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의 감지 결과는 상기 제1 조리 기기로 전달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감지 결과에 상응하여 동작하고,
    상기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는, 파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응하여 회전하는 캠 부재에 형성된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종동부 및 상기 종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종동부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부 및 상기 접촉부의 접촉에 따라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1 조리 기기로 전달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 기기 및 상기 제2 조리 기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30. 삭제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 기기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리 기기는 상기 제1 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 지그비, WFD, 초 광대역 통신, 적외선 통신 및 근거리 장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제1 조리 기기의 하단에 설치된 제2 조리 기기의 열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점화 스위치부의 동작이, 제2 조리 기기의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점화 스위치부의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조리 기기의 저면에 마련된 흡입부가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 스위치부의 동작이 점화 스위치 조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단계는,
    캠 부재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캠 부재의 회전에 따라 종동부가 이동하는 단계;
    종동부가 접촉부에 접촉하면 종동부와 접촉부가 도통하여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1 조리 기기로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KR1020150151887A 2015-10-30 2015-10-30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384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87A KR102384504B1 (ko) 2015-10-30 2015-10-30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CN201680074976.0A CN108474563B (zh) 2015-10-30 2016-10-28 烹饪设备、烹饪设备控制系统以及控制烹饪设备的方法
AU2016346866A AU2016346866B2 (en) 2015-10-30 2016-10-28 Cooking apparatus, cooking apparatus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PCT/KR2016/012290 WO2017074119A1 (en) 2015-10-30 2016-10-28 Cooking apparatus, cooking apparatus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EP16860302.5A EP3353472B1 (en) 2015-10-30 2016-10-28 Cooking apparatuse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oking apparatuses system
US15/339,122 US20170119207A1 (en) 2015-10-30 2016-10-31 Cooking apparatus, cooking apparatus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US17/105,880 US20210076714A1 (en) 2015-10-30 2020-11-27 Cooking apparatus, cooking apparatus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87A KR102384504B1 (ko) 2015-10-30 2015-10-30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402A KR20170050402A (ko) 2017-05-11
KR102384504B1 true KR102384504B1 (ko) 2022-04-12

Family

ID=5863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887A KR102384504B1 (ko) 2015-10-30 2015-10-30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70119207A1 (ko)
EP (1) EP3353472B1 (ko)
KR (1) KR102384504B1 (ko)
CN (1) CN108474563B (ko)
AU (1) AU2016346866B2 (ko)
WO (1) WO2017074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006413U1 (de) 2017-08-09 2020-04-23 Sharkninja Operating Llc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US10600312B2 (en) 2017-12-21 2020-03-24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sensor configuration
EP3553384B1 (en) * 2018-04-13 2021-01-27 Whirlpool Corporation Electrical househol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al household system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KR102106495B1 (ko) * 2018-11-16 2020-05-06 주식회사 가나테크 렌지후드 시스템
CN109602289A (zh) * 2018-12-27 2019-04-12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和装置
US11033146B2 (en) 2019-02-25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DE102019132871A1 (de) * 2019-12-03 2021-06-1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und Erwärmen von Speise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2545323B (zh) * 2020-12-31 2022-03-22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装置
CN113712439B (zh) * 2021-08-27 2023-01-2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USD1005769S1 (en) 2021-09-08 2023-11-28 Newage Products Inc. Ov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5295A1 (en) * 2007-08-01 2010-08-12 Cornelia Dietmayer Syste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oking Devices With Respective Network-Based Monitoring Devices
US20110070340A1 (en) * 2008-02-18 2011-03-24 Rational Ag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Two Cooking Devices, Cooking Device, and System Including at Least Two Cook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646A (en) * 1977-10-27 1979-03-13 Home Metal Products Company A Division Of Mobex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and exhaust system
US4567763A (en) * 1983-09-27 1986-02-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Secretary Of Interior Passive encoder for range knobs
DE3516464A1 (de) * 1985-05-08 1986-11-13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Elektroherd
US4812963A (en) * 1987-03-31 1989-03-14 Food Automation-Service Techniques, Inc. Plural cooking computer communication system
US4919950A (en) * 1988-07-27 1990-04-24 Larry B. Harvey Computer controlled, fully automatic, short-order wok cooking system for preparing stir-fried Chinese food
JPH02140512A (ja) * 1988-11-18 1990-05-30 Toshiba Corp 調理器
EP0619567A1 (en) * 1993-04-05 1994-10-12 Whirlpool Corporation Oven temperature condition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domestic appliance
US5525771A (en) * 1994-11-30 1996-06-11 Harper-Wyman Company Spark ignition switch and valve assembly for gas burners including external detent assembly
DE29723914U1 (de) * 1996-09-17 1999-12-09 Fox S P A Di Renzo Bompani & C Küchen-Kocheinheit
KR19990041009U (ko) * 1998-05-12 1999-12-06 윤종용 복합조리기기
US7022949B2 (en) * 2003-04-10 2006-04-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Electric cooking range having multiple-zone power control system and wipe resistant control panel
US6933477B2 (en) * 2003-04-10 2005-08-23 Maytag Corporation Menu driven control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DE10327273B4 (de) * 2003-06-17 2013-12-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erd mit einem Kochfeld und mit einem Modul zur Steuerung des Kochfeldes
CN1704669A (zh) * 2004-05-27 2005-12-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烹饪设备的烹调阶段显示装置及显示方法
US9006619B2 (en) * 2007-10-09 2015-04-14 Acp, In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combination heating system
EP2604930B1 (en) * 2011-12-16 2020-08-12 Electrolux Professional S.p.A. Method of operating an cooking equipment
US9123234B2 (en) * 2012-01-06 2015-09-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DE102012210852A1 (de) * 2012-06-26 2014-01-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chfeld bzw. Gargerät mit einem Kochfeld und einer elektrischen Versorgungsleitung
WO2014090432A1 (en) * 2012-12-13 2014-06-19 Coprecitec, S.L. Gas cooking appliance
US20230129115A1 (en) * 2013-05-03 2023-04-27 Broan-Nutone Llc Sensor-enabled range hood system and method
CN103271630A (zh) * 2013-05-28 2013-09-04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设备及烹饪控制方法
KR20150022393A (ko) * 2013-08-23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DE102014200298A1 (de) * 2014-01-10 2015-07-16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Aufbauen einer drahtlosen Kommunikationsverbindung zwischen wenigstens zwei Haushaltsgeräten
US20150302569A1 (en) * 2014-04-22 2015-10-22 General Electric Company Sensing system for a cooktop appliance with airflow protected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5295A1 (en) * 2007-08-01 2010-08-12 Cornelia Dietmayer Syste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oking Devices With Respective Network-Based Monitoring Devices
US20110070340A1 (en) * 2008-02-18 2011-03-24 Rational Ag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Two Cooking Devices, Cooking Device, and System Including at Least Two Cook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19207A1 (en) 2017-05-04
AU2016346866B2 (en) 2022-02-10
KR20170050402A (ko) 2017-05-11
US20210076714A1 (en) 2021-03-18
CN108474563A (zh) 2018-08-31
EP3353472A4 (en) 2018-10-31
EP3353472B1 (en) 2022-05-11
AU2016346866A1 (en) 2018-05-10
WO2017074119A1 (en) 2017-05-04
EP3353472A1 (en) 2018-08-01
CN108474563B (zh)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504B1 (ko) 조리 기기, 조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US11644198B2 (en) Terminal, cooking appliance communicating therewith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appliance
KR20210107487A (ko) 조리기기
KR20170006090A (ko) 조리기기와 주방기기의 연계 시스템
CN105708305B (zh) 烹调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590639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2017B1 (ko) 음식 조리 기기
US11140754B2 (en) Cooking apparatus
KR200262150Y1 (ko) 가열장치와 환기장치
JP2006017390A (ja) 加熱調理器
KR20120001883A (ko)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10064859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JP4915261B2 (ja) 加熱調理器
KR20220049867A (ko) 조리 장치
JP2015203542A (ja) 加熱調理器
KR20200095142A (ko) 과열 및 화재 방지가 가능한 전자 조리 기기
KR200337662Y1 (ko) 전자렌지용 에어 가이드
JP2022129439A (ja) 加熱調理器
WO2010131807A1 (ko) 조리기기
JP2023076145A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JP2023076146A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KR20210092545A (ko) 주방용 가열 장치
JP2024048645A (ja) 加熱調理器
JP2022105196A (ja) 複合型加熱調理器及び複合型加熱調理器の制御用プログラム
KR200474647Y1 (ko) 화상방지 전기쿡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