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867A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867A
KR20220049867A KR1020200133524A KR20200133524A KR20220049867A KR 20220049867 A KR20220049867 A KR 20220049867A KR 1020200133524 A KR1020200133524 A KR 1020200133524A KR 20200133524 A KR20200133524 A KR 20200133524A KR 20220049867 A KR20220049867 A KR 20220049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ner case
transmitting window
cooking chamb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우
남태헌
박윤식
노경태
송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867A/ko
Publication of KR2022004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8Illumination for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 챔버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조리 챔버의 내부를 모니터링 또는 캡쳐하는 카메라; 이너 케이스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이너 케이스의 저면을 기준으로 제1높이에 위치한 제1투광창; 이너 케이스의 타 측면에 구비되고 이너 케이스의 저면을 기준으로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에 위치한 제2투광창; 및 제1투광창 및 제2투광창을 통해 조리 챔버의 내부로 광을 출사하는 한 쌍의 광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내부을 모니터링 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오븐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조리실과, 조리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 장치와, 가열 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순환 팬을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오븐은 조리물을 밀폐,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고, 가스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오븐을 통한 조리 과정 중 상태 확인 및 양념을 넣기 위해 중간중간 확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때마다 오븐에 가서 투시창을 확인하거나, 오븐 도어를 열고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부엌에서 다른 요리 중이거나, 손님 접대와 동시에 요리 상태를 체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번거로움이 많다.
선행 문헌(EP 3438545A1, Heating Cooker)에 개시된 조리 장치(11)는, 히팅 챔버(13)의 내부를 모니터링 가능한 이미지 캡쳐 유닛(20)과, 히팅 챔버(13)의 내부에 빛을 비추는 복수개의 라이팅 유닛(25a 내지 25d)를 포함한다. 상기 선행 문헌에는 상기 복수개의 라이팅 유닛(25a 내지 25d)은 측벽에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됨이 개시된다.
그러나, 복수개의 라이팅 유닛이 측벽의 동일 높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식재료나 요리가 놓이는 선반 등에 의해 라이팅 유닛에서 출사되는 빛이 차단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캡쳐 유닛의 동작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히팅 챔버 내의 특정 구역에서 음영이 발생하거나, 선반의 높이에 따라 조도차로 인한 색감차이와 빛반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캡쳐 유닛의 모니터링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EP 3438545A1 (2019.02.06. HEATING COOK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최소한의 광원 유닛으로 조리 챔버 내의 조도를 균일하게 확보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조리 챔버의 양측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제1투광창 및 제2투광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상세히, 상기 조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 챔버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를 모니터링 또는 캡쳐하는 카메라; 상기 이너 케이스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면을 기준으로 제1높이에 위치한 제1투광창; 상기 이너 케이스의 타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에 위치한 제2투광창; 및 상기 제1투광창 및 제2투광창을 통해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로 광을 출사하는 한 쌍의 광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된 투시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투시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 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된 제3투광창; 및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투광창을 통해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로 광을 출사하는 보조 광원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투광창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 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투광창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양 측면 중 상기 제1투광창이 구비된 상기 일 측면보다 상기 제2투광창이 구비된 상기 타 측면에 더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에 배치된 제1히팅 코일; 및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조리 챔버의 외부에 배치된 제2히팅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히팅 코일의 내측 영역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팅 코일과 상기 제2히팅 코일 사이의 수직 거리의 중간에 대응하는 지점과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제1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2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투광창과 상기 제2투광창은 수평 방향으로 일부가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1투광창 및 제2투광창은 상기 이너 케이스에 대해 후방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조리 챔버의 외부에서 상기 제1투광창 또는 제2투광창에 인접하게 배치된 할로겐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리어 히팅 코일; 상기 리어 히팅 코일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리어 히팅 코일 및 순환팬을 커버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순환팬의 최상단의 높이는 상기 제1높이 이상이고, 상기 순환팬의 최하단의 높이는 상기 제2높이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양 측면에서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전후로 수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투광창 또는 제2투광창보다 전방에 위치한 프론트 지지대; 및 상기 제1투광창 또는 제2투광창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프론트 지지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프론트 지지대와 이격된 리어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조리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투광창 또는 제2투광창을 향해 연장된 광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광 가이드 부재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Light Emitting Diode(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과 상기 제1투광창 사이의 전후 거리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과 상기 제2투광창 사이의 전후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투광창과 제2투광창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긴 트레이를 지지하는 서포터의 높이에 따라 최적의 조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가 어느 하나의 투광창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된다고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투광창을 통해 입사된 광에 의해 조도가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광원 유닛으로도 히팅 챔버 내부를 균일하게 밝힐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히팅 챔버 내의 특정 구역에서 음영이 발생하거나, 상기 서포터의 높이에 따라 조도차로 인한 색감 차이와 빛반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영상 또는 이미지의 품질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투광창 및 제2투광창은 이너 케이스에 대해 후방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의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광이 닿지 않는 조리 챔버의 내측 영역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광원 유닛의 광이 입사되는 제3투광창은 이너 케이스에 대해 전방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후방 편심되게 위치한 제1,2투광창을 보완하여 조리 챔버 내부의 조도가 더욱 균일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3투광창은, 제1투광창이 구비된 일 측면보다 제2투광창이 구비된 타 측면에 더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위치한 제2투광창이 트레이나 조리물에 의해 가려진 경우에 조리 챔버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 사이에 발생하는 조도 차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제1히팅 코일의 내측 영역을 향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히팅 코일이 카메라의 촬영 영역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히팅 코일과 제2히팅 코일 사이의 수직 거리의 중간에 대응하는 지점은, 제1투광창보다 낮고 제2투광창보다 높을 수 있다. 이로써, 조리물이 실사용 높이에 위치한 경우에 조리 챔버 내부의 조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히팅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이 투광창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원 유닛은 할로겐 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할로겐 램프는 내열성이 강하므로, 조리 챔버의 외부에서 제1투광창 또는 제2투광창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조리 장치가 컴팩트하고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순환팬의 최상단의 높이는 제1투광창 이상이고 최하단의 높이는 제2투광창 이하일 수 있다. 이로써, 조리물이 실사용 높이에 위치한 경우에 조리 챔버 내부의 조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투광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프론트 지지대와 리어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투광창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높이의 지지대에 서포터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투광창이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너 케이스의 높이가 컴팩트하게 유지되고 투광창이 충분히 크게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원 유닛은 광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향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광원의 내열성이 다소 약하더라도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이너 케이스의 배면을 기준으로 제2투광창은 제1투광창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위치한 제2투광창이 트레이나 조리물에 의해 가려지더라도, 도어의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광이 닿지 않는 조리 챔버의 내측 영역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서 팬커버 및 선반 그릴을 제거하고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투광창 및 광원 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투광창 및 광원 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투광창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서 팬커버 및 선반 그릴을 제거하고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조리 장치가 오븐(oven)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조리 챔버(S1)를 갖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측에 배치된 전장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조리 챔버(S1)를 가지고, 조리 챔버(S1) 내에 수용된 식재료나 음식물(이하, 조리물)을 가열 또는 조리할 수 있다.
본체(10)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가 복수개 구비된 경우, 복수개의 본체(10)는 상하로 적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는 제1본체(10a)와, 제1본체(10)의 하측에 배치된 제2본체(1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본체(10a)(10b)는 각각 조리 챔버(S1)를 가지므로, 동시에 서로 다른 조리를 수행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전장부(20)는 본체(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가 복수개인 경우, 전장부(20)는 최상단의 본체(1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부(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전장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전장부(20)의 전면에는, 조작부(22) 또는 디스플레이(23)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프론트 패널(21)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21)은 좌우로 연장된 수직 패널일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22)를 통해 조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22)는 복수개의 놉(knob)일 수 있고, 사용자는 놉(knob)의 회전 정도에 따라 조리 장치의 온오프,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작부(22)가 버튼이나 스위치나 마이크 등과 같은 다른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23)는 조리 장치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23)에는 후술할 카메라(80)(도 6 참조)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3)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작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장부(20)의 내부에는 조작부(22) 및 디스플레이(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후술할 히팅 코일(71)(72)(73) 및 순환팬(74)(도 4 참조)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30)와, 아우터 케이스(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조리 챔버(S1)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조리 챔버(S1)를 개폐하는 도어(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케이스(40)는 대략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케이스(40)는, 이너 케이스(4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패널(41)과, 이너 케이스(40)의 저면을 형성하는 로어 패널(42)과, 이너 케이스(4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43)(44)과, 이너 케이스(40)의 저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케이스(40)의 내부 공간은 조리 챔버(S1)를 정의할 수 있다. 조리물은 이너 케이스(4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조리 챔버(S1)로 출납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40)의 양 측면에는 복수개의 지지대(4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지지대(46)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43)(44)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대(46)는 조리 챔버(S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전후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대(46)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46)에는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긴 트레이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서포터(47)을 장착할 수 있다. 서포터(47)의 일측 가장자리는 일 사이드 패널(43)에 형성된 지지대(46)에 의해 지지되고, 서포터(47)의 타측 가장자리는 타 사이드 패널(44)에 형성된 지지대(4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서포터(47)는 대략 판형 또는 그릴 형상일 수 있으며, 조리 챔버(S1) 내에서 에어가 원활하게 대류되도록 다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너 케이스(4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복수개의 지지대(46) 중 원하는 높이에 서포터(47)를 장착할 수 있다.
본체(10)는, 조리 챔버(S1)를 개폐하는 도어(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32)는 이너 케이스(40)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어(32)는 아우터 케이스(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도어(32)의 하측 가장자리는 아우터 케이스(1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32)의 일측 가장자리가 아우터 케이스(10)에 힌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어(32)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갖는 윈도우(33)가 구비될 수 있다. 윈도우(33)는 조리 챔버(S1)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32)를 개방하지 않고도 윈도우(33)를 통해 조리 챔버(S1)의 내부를 볼 수 있다.
또한, 도어(32)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34)이 구비될 수 있다. 핸들(34)은 윈도우(33)를 가리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핸들(34)은 도어(32)의 상부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32)의 일측 가장자리가 아우터 케이스(10)에 힌지 연결되는 경우에는 핸들(34)은 도어(32)의 타측부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는, 조리 챔버(S1) 내의 조리물을 가열시키는 히팅 코일(71)(72)(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는 조리 장치가 전기 저항체를 사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전기 오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조리 장치는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 히터를 갖는 가스 오븐인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히팅 코일(71)(72)(73)은 서로 독립적으로 가열되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복수개의 히팅 코일(71)(72)(73)은 제1히팅 코일(71)과, 제2히팅 코일(72)과, 제3히팅 코일(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히팅 코일(71)은, 이너 케이스(40)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조리 챔버(S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히팅 코일(71)은 어퍼 패널(41)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조리 챔버(S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히팅 코일(71)은 대략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 및 적어도 하나의 곡선부를 포함하는 패턴을 이룰 수 있다.
제2히팅 코일(72)은, 이너 케이스(40)의 저면에 인접하도록 조리 챔버(S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히팅 코일(72)은 로어 패널(42)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조리 챔버(S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히팅 코일(72)은 대략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 및 적어도 하나의 곡선부를 포함하는 패턴을 이룰 수 있다.
제3히팅 코일(73)은 이너 케이스(40)의 내부에서 이너 케이스(40)의 배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히팅 코일(73)은 리어 패널(4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히팅 코일(73)은 후술할 팬 커버(75)에 의해 히팅 챔버(S1)와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케이스(40)의 배면, 즉 리어 패널(45)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함몰부(45a)가 형성될 수 있다. 제3히팅 코일(73)은 상기 함몰부(45a)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팬 커버(75)는 함몰부(45a)를 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따라, 제1히팅 코일(71)은 어퍼 히팅 코일로 명명할 수 있고, 제2히팅 코일(72)은 로어 히팅 코일로 명명할 수 있고, 제3히팅 코일(73)은 리어 히팅 코일로 명명할 수 있다.
본체(10)는, 제3히팅 코일(73)에서 가열된 공기를 조리 챔버(S1)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74)과, 순환팬(74)을 커버하는 팬 커버(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 팬(74)은 제3히팅 코일(73)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순환 팬(74)은 제3히팅 코일(73)과 함께 함몰부(45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팬 커버(75)는 함몰부(45a) 내의 공간과 히팅 챔버(S1)를 구획할 수 있다. 팬 커버(75)는 순환팬(74) 및 제3히팅 코일(73)을 커버할 수 있다.
팬 커버(75)에는 다수의 통공(75a)이 형성될 수 있다. 제3히팅 코일(73)의 주변에서 가열된 공기는 다수의 통공(75a) 중 일부를 통해 히팅 챔버(S1)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히팅 챔버(S1) 내의 공기는 다수의 통공(75a) 중 다른 일부를 통해 제3히팅 코일(73)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순환팬(74)은 팬 커버(75)의 다수의 통공(75a)을 통해 공기를 히팅 챔버(S1)로 순환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투광창 및 광원 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체(10)는, 이너 케이스(40)의 양 측면에 구비된 투광창(61)(62)과, 투광창(61)(62)을 통해 조리 챔버(S1)의 내부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 유닛(51)(52)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창(61)(62)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동시에, 투광창(61)(62)는 높은 내열성을 갖는 재질을 가져, 히팅 챔버(S1)내의 고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투광창(61)(62)은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투광창(61)(62)은, 이너 케이스(40)의 일 측면에 구비된 제1투광창(61)과, 이너 케이스(40)의 일 측면에 구비된 제2투광창(6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투광창(61)은 일 사이드 패널(43)에 구비될 수 있고, 제2투광창(62)은 타 사이드 패널(44)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투광창(61) 및 제2투광창(62)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케이스(40)의 저면, 즉 로어 패널(42)을 기준으로, 제1투광창(61)은 제1높이(H1)에 위치할 수 있고 제2투광창(62)은 상기 제1높이(H1)보다 낮은 제2높이(H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높이는 각 투광창(61)(62)의 중심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한 쌍의 투광창(61)(62)이 동일 높이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한 쌍의 투광창(61)(62)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된 서포터(47)(도 2 참조)에 트레이 또는 조리물이 놓이는 경우, 한 쌍의 투광창(61)(62)을 통해 조리 챔버(S1) 내로 출사되는 광이 상기 트레이나 조리물에 의해 일부가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카메라(60)(도 6 참조)로 입사되는 광량이 줄어들 수 있고, 조도가 낮아져 카메라(60)의 영상 또는 이미지의 품질이 하락할 우려가 있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투광창(61)(62)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면, 서포터(47)가 어느 하나의 투광창(62)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된다고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투광창(61)을 통해 입사된 광에 의해 카메라(60)의 촬영에 필요한 조도가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 쌍의 투광창(61)(62)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더 적은 개수의 광원 유닛(51)(52)으로도 히팅 챔버(S1) 내부를 균일하게 밝힐 수 있다. 또한, 히팅 챔버(S1) 내의 특정 구역에서 음영이 발생하거나, 서포터(47)의 높이에 따라 조도차로 인한 색감 차이와 빛반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60)의 영상 또는 이미지의 품질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투광창(61)과 제2투광창(62)은 수평 방향으로 일부가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투광창(61)의 하부와 제2투광창(62)의 상부는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투광창(61)과 제2투광창(62)이 수평 방향으로 논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투광창(61)과 제2투광창(62)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케이스(40)의 배면, 즉 리어 패널(45)을 기준으로, 제1투광창(61)과 제2투광창(62)은 서로 동일한 거리(D)(도 6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투광창(61) 및 제2투광창(62)은 이너 케이스(40)에 대해 후방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투광창(61) 또는 제2투광창(62)부터 도어(32)(도 1 참조)까지의 전후 거리는, 제1투광창(61) 또는 제2투광창(62)부터 리어 패널(45)까지의 전후 거리보다 멀 수 있다. 이로써, 도어(32)의 윈도우(33)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광이 도달하기 힘든 조리 챔버(S1)의 후방부 내부 영역에서도, 음영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조도가 확보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40)의 저면, 즉 로어 패널(42)을 기준으로, 제1투광창(61)의 높이(H1)는 순환팬(43)의 최상단 높이(H3) 이하이고, 제2투광창(61)의 높이(H1)는 순환팬(43)의 최하단 높이(H4) 이상일 수 있다. 즉, 순환팬(43)의 최상단의 높이(H3)는 제1높이(H1) 이상이고, 순환팬(43)의 최하단의 높이(H4)는 제2높이(H2) 이하일 수 있다.
조리 장치의 실사용 시, 서포터(47)(도 2 참조)는 순환팬(43)에 대응되는 높이 또는 그 이하 높이에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제1,2투광창(61)(62)과 순환팬(43) 사이의 위치 관계에 의해, 서포터(47)가 상기 높이에 설치된 경우에도 조리 챔버(S1) 내부의 조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제1히팅 코일(71)과 제2히팅 코일(72) 사이의 수직 거리의 중간에 대응하는 지점(P)은, 제1투광창(61)보다 낮고 제2투광창(62)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기 지점(P)과 이너 케이스(40)의 저면 사이의 높이(H5)는, 상기 제1높이(H1)보다 낮고 상기 제2높이(H2)보다 높을 수 있다.
조리 장치의 실사용 시, 서포터(47)(도 2 참조)는 상기 지점(P)과 인접한 높이 또는 그 이하 높이에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제1,2투광창(61)(62)과 제1,2히팅 코일(71)(72) 사이의 위치 관계에 의해, 서포터(47)가 상기 높이에 설치된 경우에도 조리 챔버(S1) 내부의 조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1,2투광창(61)(62)과 제1,2히팅 코일(71)(72) 간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므로, 제1,2히팅 코일(71)(72)에서 발생하는 열이 제1,2투광창(61)(62)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광원 유닛(51)(52)은 투광창(61)(62)를 통해 조리 챔버(S1) 내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광원 유닛(51)(52)은, 광원과, 상기 광원이 설치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광원 유닛(51)(52)에 포함된 상기 광원은 할로겐 램프일 수 있다. 할로겐 램프는 다른 타입의 광원(예를 들어, LED)과 비교하여 내열성이 높으므로, 투광창(61)(62)과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즉, 할로겐 램프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51)(52)은 직접 조명 방식으로 조리 챔버(S1)를 밝힐 수 있다.
광원 유닛(51)(52)은 투광창(61)(62)을 사이에 두고 조리 챔버(S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이너 케이스(40)에는 투광창(61)(62)이 설치되는 홀이 형성되고 광원 유닛(51)(52)은 이너 케이스(4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너 케이스(40)에는 외측을 향해 함몰되고 투광창(61)(62)에 의해 커버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광원 유닛(51)(52)은 상기 함몰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 유닛(51)(52)는 투광창(61)(62)에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광원 유닛(51)(52)은, 제1투광창(61)으로 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 유닛(51)과, 제2투광창(62)으로 광을 출사하는 제2광원 유닛(52)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원 유닛(51)(52)이 투광창(61)(62)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제1광원 유닛(51)은 제2광원 유닛(52)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2광원 유닛(51)(52)과 순환팬(74)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제1,2투광창(61)(62)과 순환팬(74)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원용할 수 있고, 제1,2광원 유닛(51)(52)과 제1,2히팅 코일(71)(72)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제1,2투광창(61)(62)과 제1,2히팅 코일(71)(72)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본체(10)는 카메라(80) 및 투시창(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80)는 조리 챔버(S1)의 내부를 모니터링 또는 캡쳐할 수 있다. 카메라(80)는 조리 챔버(S1)의 내부의 영상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는 디스플레이(23)에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32)의 윈도우(33)를 통해서는 잘 보이지 않는 조리 챔버(S1)의 깊은 영역에 위치한 조리물의 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80)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외부 단말기에 출력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조리 장치에는 외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모듈은 3G(3Generation), 4G(4Generation)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소정 거리 이내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카메라(80)는 이너 케이스(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80)는 투시창(81)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투시창(81)을 통해 조리 챔버(S1)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투시창(81)은 이너 케이스(40)의 상면, 즉 어퍼 패널(41)에 구비될 수 있다. 투시창(81)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동시에, 투시창(81)는 높은 내열성을 갖는 재질을 가져, 히팅 챔버(S1)내의 고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투시창(81)은 이너 케이스(40)의 상면에 대해 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투시창(81)은 어퍼 패널(41)의 전방측 가장자리보다 후방측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80)는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투시창(81)은 좌우 방향에 대해 이너 케이스(40)의 상면, 즉 어퍼 패널(4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는, 제3투광창(63) 및 제3투광창(63)을 통해 조리 챔버(S1)의 내부로 광을 출사하는 보조 광원 유닛(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투광창(63)은 이너 케이스(40)의 상면, 즉, 어퍼 패널(41)에 구비될 수 있다. 제3투광창(63)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동시에, 제3투광창(63)는 높은 내열성을 갖는 재질을 가져, 히팅 챔버(S1)내의 고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투광창(63)은 이너 케이스(40)의 상면에 대해 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3투광창(63)은 어퍼 패널(41)의 후방측 가장자리보다 전방측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3투광창(63)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하는 경사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로써, 제3투광창(63)을 통과한 빛은, 조리 챔버(S1) 내의 전방측 영역을 주로 비출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투광창(61)(62)은 조리 챔버(S1)의 후방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하므로, 제3투광창(63)에 의해 조리 챔버(S1) 내부의 조도가 더욱 균일하게 확보될 수 있다.
제3투광창(63)은, 이너 케이스(40)의 양 측면 중 제1투광창(61)이 구비된 일 측면보다 제2투광창(62)이 구비된 타 측면에 더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투광창(63)은 제1사이드 패널(43)보다 제2사이드 패널(44)에 더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투광창(62)은 제1투광창(61)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투광창(62)이 서포터(47)(도 2 참조)에 올려진 트레이나 조리물에 의해 가려진 경우에 조리 챔버(S1)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 사이에 조도 차가 발생할 수 있다. 제3투광창(63)은 제1투광창(61)보다 제2투광창(62) 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하므로, 이러한 조도 차를 해소할 수 있다.
보조 광원 유닛(53)은 제3투광창(63)을 통해 조리 챔버(S1) 내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보조 광원 유닛(53)의 구성은, 광원 유닛(51)(52)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보조 광원 유닛(53)은 제3투광창(6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광원 유닛(53)은 제3투광창(63)을 사이에 두고 조리 챔버(S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이너 케이스(40)에는 제3투광창(63)이 설치되는 홀이 형성되고 광원 유닛(51)(52)은 이너 케이스(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지지대(46) 중 적어도 하나는, 투광창(61)(62)보다 전방에 위치한 프론트 지지대(46a)와, 투광창(61)(62)보다 후방에 위치한 리어 지대(46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지지대(46a)와 리어 지지대(46b)는 투광창(61)(6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며,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투광창(61)(62)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높이의 지지대(46)에 서포터(47)(도 2 참조)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투광창(61)(62)이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지지대(46)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너 케이스(40)의 높이가 컴팩트하게 유지되고 투광창(61)(62)이 충분히 크게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투광창(61)(62)이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지지대(46)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제1히팅 코일(71)은 투시창(81)을 향하는 카메라(80)의 촬영 영역과 논 오버랩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즉, 카메라(80)는 제1히팅 코일(71)의 내측 영역을 향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히팅 코일(71)은 아우터 패턴(71a)과, 아우터 패턴(71a)보다 내측에 위치한 이너 패턴(71b)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패턴(71a) 및 이너 패턴(71b) 각각은 단일의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일의 코일의 양 단은 이너 케이스(40)의 배면, 즉 리어 패널(45)을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4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투시창(81)은 제1히팅 코일(71), 좀 더 상세히는 이너 패턴(71b)의 내측 영역을 향할 수 있다. 이너 패턴(71b)은 수직 방향으로 투시창(81)의 가장자리와 오버랩되거나, 투시창(81)과 논 오버랩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80)의 촬영 영역이 제1히팅 코일(71), 좀 더 상세히는 이너 패턴(71b)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히팅 코일(71)은, 제3투광창(63)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제3투광창(63)과 논 오버랩될 수 있다. 제3투광창(63)은 제1히팅 코일(71), 좀 더 상세히는 아우터 패턴(71a)의 외측 영역을 향할 수 있다.
이로써, 제3투광창(63)을 통해 조리 챔버(S1)내로 입사되는 광이 제1히팅 코일(71), 좀 더 상세히는 아우터 패턴(71a)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투광창 및 광원 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광원 유닛(51)(52)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광원 유닛(51)(52)은 광 가이드 부재(51a)(52a) 및 광원(51b)(52b)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광원 유닛(51)은 제1광 가이드 부재(51a) 및 제1광원(51b)을 포함하고, 제2광원 유닛(52)은 제2광 가이드 부재(52a) 및 제2광원(52b)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 부재(51a)(52a)는 조리 챔버(S1)의 외부에 배치되고 투광창(61)(6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광 가이드부재(51a)(52a)는 이너 케이스(40)의 측면, 즉 사이드 패널(43)(44)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광 가이드부재(51a)(52a)는 사이드 패널(43)(44)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장치가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다.
광 가이드 부재(51a)(52a)는 광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광 가이드 부재(51a)(52a)는 바(bar)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광 가이드 부재(51a)(52a)에 의해 광원(51b)(52b)과 투광창(61)(62) 간 거리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즉, 광원(51b)(52b)은 간접 조명 방식으로 조리 챔버(S1)를 밝힐 수 있으며, 내열성이 다소 약하더라도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광원(51b)(52b)은 Light Emitting Diode(LED)일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은 보조 광원 유닛(53)(도 6 참조)에도 원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투광창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2투광창(61)(62)의 배치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너 케이스(40)의 배면과 제1투광창(61) 사이의 전후 거리(D1)는, 이너 케이스(40)의 배면과 제2투광창(62) 사이의 전후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케이스(40)의 배면, 즉 리어 패널(45)을 기준으로, 제1투광창(61)까지의 전후 거리(D1)는 제2투광창(62)까지의 전후 거리(D2)보다 가까울 수 있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투광창(62)은 제1투광창(61)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제2투광창(62)이 서포터(47)(도 2 참조)에 올려진 트레이나 조리물에 의해 가려지더라도, 조리 챔버(S1) 내의 후방측 영역은 제1투광창(61)을 통해 입사된 광에 의해 조도가 확보될 수 있고, 조리 챔버(S1) 내의 전방측 영역은 도어(32)(도 1 참조)의 윈도우(33)를 통해 입사된 광에 의해 조도가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 챔버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를 모니터링 또는 캡쳐하는 카메라;
    상기 이너 케이스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면을 기준으로 제1높이에 위치한 제1투광창;
    상기 이너 케이스의 타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에 위치한 제2투광창; 및
    상기 제1투광창 및 제2투광창을 통해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로 광을 출사하는 한 쌍의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된 투시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투시창을 향하도록 배치된 조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 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된 조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된 제3투광창; 및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투광창을 통해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로 광을 출사하는 보조 광원 유닛을 더 포함하는 조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투광창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 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된 조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투광창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양 측면 중 상기 제1투광창이 구비된 상기 일 측면보다 상기 제2투광창이 구비된 상기 타 측면에 더 인접하게 위치한 조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에 배치된 제1히팅 코일; 및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조리 챔버의 외부에 배치된 제2히팅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히팅 코일의 내측 영역을 향하는 조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히팅 코일과 상기 제2히팅 코일 사이의 수직 거리의 중간에 대응하는 지점과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제1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2높이보다 높은 조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광창과 상기 제2투광창은 수평 방향으로 일부가 서로 오버랩되는 조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광창 및 제2투광창은 상기 이너 케이스에 대해 후방으로 편심되게 배치된 조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조리 챔버의 외부에서 상기 제1투광창 또는 제2투광창에 인접하게 배치된 할로겐 램프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리어 히팅 코일;
    상기 리어 히팅 코일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리어 히팅 코일 및 순환팬을 커버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팬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순환팬의 최상단의 높이는 상기 제1높이 이상이고, 상기 순환팬의 최하단의 높이는 상기 제2높이 이하인 조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양 측면에서 상기 조리 챔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전후로 수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투광창 또는 제2투광창보다 전방에 위치한 프론트 지지대; 및
    상기 제1투광창 또는 제2투광창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프론트 지지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프론트 지지대와 이격된 리어 지지대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조리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투광창 또는 제2투광창을 향해 연장된 광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광 가이드 부재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Light Emitting Diode(LED)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과 상기 제1투광창 사이의 전후 거리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과 상기 제2투광창 사이의 전후 거리보다 가까운 조리 장치.
KR1020200133524A 2020-10-15 2020-10-15 조리 장치 KR20220049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24A KR20220049867A (ko) 2020-10-15 2020-10-15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24A KR20220049867A (ko) 2020-10-15 2020-10-15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867A true KR20220049867A (ko) 2022-04-22

Family

ID=8145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524A KR20220049867A (ko) 2020-10-15 2020-10-15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98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396A (ko) 2022-09-19 2024-03-26 코웨이 주식회사 조리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38545A1 (en) 2016-03-29 2019-02-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eating coo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38545A1 (en) 2016-03-29 2019-02-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eating coo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396A (ko) 2022-09-19 2024-03-26 코웨이 주식회사 조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7151B2 (en) Cooker
US20220090794A1 (en) Cooking appliance
WO2017170319A1 (ja) 加熱調理器
KR20220049867A (ko) 조리 장치
KR101847286B1 (ko)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110274265B (zh) 加热烹调器
KR101064766B1 (ko) 스팀조리기기
KR20220168100A (ko) 조리기기
KR101705363B1 (ko)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6017390A (ja) 加熱調理器
KR101101487B1 (ko) 스팀조리기기
GB2486845A (en) Household cooking appliance with light to illuminate different rack levels
KR20220168099A (ko) 조리기기
KR101971765B1 (ko) 광원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221044744U (zh) 一种蒸烤箱及集成灶
JP6530349B2 (ja) 加熱調理器
US10295193B2 (en) Cooking appliance, in particular for domestic use
KR102564249B1 (ko) 조리기기
KR20240037862A (ko) 그릴 히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조리 기기
JP2017040394A (ja) 加熱調理器
KR20220168102A (ko) 조리기기
KR20220168098A (ko) 조리기기
KR20220168097A (ko) 조리기기
KR20220168101A (ko) 조리기기
KR20240037819A (ko) 조리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