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286B1 -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286B1
KR101847286B1 KR1020160113132A KR20160113132A KR101847286B1 KR 101847286 B1 KR101847286 B1 KR 101847286B1 KR 1020160113132 A KR1020160113132 A KR 1020160113132A KR 20160113132 A KR20160113132 A KR 20160113132A KR 101847286 B1 KR101847286 B1 KR 101847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plate portion
unit
source uni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141A (ko
Inventor
이국행
김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2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Abstract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가열부가 마련되고, 가열부의 하부에 냉각부가 마련되며,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광원유닛이 가열부의 측부에 마련되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냉기흐름유도부재에 있어서, 가열부와 냉각부 사이에 구비되어 가열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플레이트부와; 광원유닛을 관통하여 광원유닛과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연장플레이트부; 및 지지플레이트부와 연장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쿡탑케이스의 바닥면과 냉기흐름유도부재 사이에는 냉각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냉각공기유로가 형성되고, 냉각공기유로는, 가열부의 하부를 통과하는 제1구간과 광원유닛을 통과하는 제2구간으로 구분되고, 지지플레이트부는, 냉각공기유로의 상부와 가열부의 하부 사이에서 제1구간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연장플레이트부는, 광원부의 상부에서 제2구간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MEMBER FOR INDUCING AIR FLOW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본 발명은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기기 내부의 냉각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그리고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위치하고, 음식물 또는 음식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근래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와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되어 다수의 열원이 조합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복합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열원이 설치되는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열원 및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의 유로가 동반된다.
상기 복합조리기기에서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측에 개방형 조리기기가 위치된다. 또한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복수 개의 히터 또는 버너(이하 "히터"라 한다)가 설치되어 동시에 다수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바베큐요리나 빵 등과 같은 오븐요리, 생선구이와 같이 구이요리를 할 때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게 되고,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서 가열하는 일반요리를 할 때는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개방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하게 된다.
그리고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사용자가 어느 히터가 사용되는지의 여부와 위험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표시램프가 설치된다. 이러한 표시램프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중인 히터가 어떤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고, 사용중인 히터의 현재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여러 형태의 개방형 조리기기 중, 히터의 상면에 세라믹 글래스(Seramic glass)가 설치된 형태의 제품군에서는, 표시램프의 빛이 세라믹 글래스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세라믹 글래스의 상부에 다양한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개방형 조리기기에서는, 세라믹 글래스의 하부에 표시램프가 설치되고, 이 표시램프를 통해 발산된 빛이 세라믹 글래스의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세라믹 글래스의 상부에 조명 효과가 구현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복수 개의 히터가 구비되고, 표시램프도 히터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히터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표시램프는, 각각의 표시램프가 어느 히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인지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태 표시의 대상이 되는 히터에 인접된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히터가 동작되면, 히터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히터 주변의 온도가 상승된다.
그런데 상기한 표시램프의 설치 구조에 따르면, 표시램프가 히터에 인접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므로 히터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된 열의 영향을 쉽게 받게 되며, 이로 인해 표시램프의 온도가 상승되어 표시램프 동작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향상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의 환경에서도 조명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기흐름유도부재는: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가열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냉각부가 마련되며,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광원유닛이 상기 가열부의 측부에 마련되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냉기흐름유도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광원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광원유닛과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연장플레이트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쿡탑케이스의 바닥면과 상기 냉기흐름유도부재 사이에는 상기 냉각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냉각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공기유로는, 상기 가열부의 하부를 통과하는 제1구간과 상기 광원유닛을 통과하는 제2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는, 상기 냉각공기유로의 상부와 상기 가열부의 하부 사이에서 상기 제1구간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는,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구간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결플레이트부가 "
Figure 112016085876308-pat00001
"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부와 상기 연장플레이트부가 "
Figure 112016085876308-pat00002
"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플레이트부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부의 일부분이 절개된 후 "
Figure 112016085876308-pat00003
"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고, 내부에 광전달통로가 형성되는 광원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는, 상기 광원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서 상기 광원고정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는, 상기 광원고정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상부차단판;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전달통로 사이가 개방되도록 상기 상부차단판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광통과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결플레이트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결플레이트부 간의 연결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통로를 형성하는 분기통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기통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결플레이트부 간의 연결 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쿡탑케이스와;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가열부와; 상판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광원유닛과;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광원유닛 측으로 유도하는 냉기흐름유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흐름유도부재는, 상기 가열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광원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광원유닛과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연장플레이트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쿡탑케이스의 바닥면과 상기 냉기흐름유도부재 사이에는 상기 냉각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냉각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공기유로는, 상기 가열부의 하부를 통과하는 제1구간과 상기 광원유닛을 통과하는 제2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는, 상기 냉각공기유로의 상부와 상기 가열부의 하부 사이에서 상기 제1구간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는,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구간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고, 내부에 광전달통로가 형성되는 광원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는, 상기 광원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서 상기 광원고정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고정부는, 상기 광원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측부를 통해 상기 연장플레이트부가 끼움 결합되는 홀더부 및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된 상기 광전달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부가 상하로 연결된 "凸"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원고정부의 측부에는,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를 상기 광원고정부 외부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광원유닛에 대한 열차단 구조 및 냉각 구조를 함께 제공하여 광원유닛의 과열 발생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원유닛에 대한 열차단 구조 및 냉각 구조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조립 공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공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가 광원유닛의 상부 주변 및 광원유닛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 구조 및 지지플레이트부와 연장플레이트부 사이의 열전도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열전도 차단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광원유닛의 과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흐름유도부재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유닛 및 가열부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흐름유도부재의 냉기 유도 작용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유닛 및 가열부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기흐름유도부재의 냉기 유도 작용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상판(21)이 제공된다.
상판(2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열성이 좋은 세라믹 글래스 형태로 제공되되, 일정한 영역에서만 조명 효과가 구현되도록 표면이 특수 처리된 특수 표면 처리 글래스가 아니라, 조명 구현을 위한 처리가 별도로 되어 있지 않은 범용의 세라믹 글래스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상판(21)의 상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일 수 있으며, 상판(21)의 하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부(22)가 위치된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위치한다.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실(31)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34)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1)의 하측에도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35)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3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6)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33)이 설치된다. 핸들(33)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1)이 전장실(50)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흐름유도부재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유닛 및 가열부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흐름유도부재의 냉기 유도 작용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쿡탑부(20)는 상판(21)과 쿡탑케이스(23)와 가열부(22)와 광원유닛(24)과 냉각부(25) 및 냉기흐름유도부재(27)를 포함한다.
쿡탑케이스(23)는, 오븐부(30)와 상판(2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판(21)의 하부에서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쿡탑케이스(23)의 개방된 상면에는 상판(21)이 설치되어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며,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에는 가열부(22)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가열부(22)는, 자기 코일에 전류를 보내 와류전류를 발생시켜 조리용기 자체를 발열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인덕션 히팅 모듈(Induction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히팅 코일을 발열시켜 발생되는 복사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라디안트 히팅 모듈(Radiant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가열부(22)는, 가스연료를 연소시킨 에너지를 이용하되, 직화열이 아닌 가스연료에 의한 복사에너지를 이용하는 세라믹 균일 버너로 상판을 가열하는 히든 라디안트 버너(Hidden Radiant Burner)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부(22)가 인덕션 가열을 위한 코일부를 구비한 인덕션 히팅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쿡탑케이스(23)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는 냉기흐름유도부재(27)가 설치되어 쿡탑케이스(23) 내에서 냉기흐름유도부재(27)의 하부 공간과 상부 공간을 규정한다. 이러한 냉기흐름유도부재(27)의 상부에는 가열부(22)가 설치된다.
쿡탑케이스(23)의 바닥면 상에는 가열부(22)를 구동하고 광원유닛(24)을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전장품이 설치된다. 전장품은 금속 재질의 쿡탑케이스(23)의 바닥면에 직접 설치되기보다 합성수지 재질의 전장케이스(25) 내에 설치됨으로써 조립과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도모되도록 한다.
전장케이스(25) 내에 설치된 전장품의 전방에는, 쿡탑케이스(23)에 의해 규정되는 쿡탑부(20)의 내부공간에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냉각부(26)가 설치된다.
냉각부(26)는,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 좀 더 구체적으로는 냉기흐름유도부재(27)와 쿡탑케이스(23)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어 냉기를 송풍하도록 마련되며, 쿡탑부(20)의 외부와 연결된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빨아들여 쿡탑부(20)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하는 쿨링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냉기흐름유도부재(27) 상에서 각 가열부(22)의 측부, 즉 각 가열부(22)의 전방에는 광원유닛(24)이 마련되며, 광원유닛(24)의 위치는 상판(21)의 광표시영역(D)의 위치와 대응한다. 이러한 광원유닛(24)은, 대응하는 가열부(22)의 작동 여부와 작동 세기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조명을 구현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표시영역(D)은 광원유닛(24)에서 발산된 빛이 상판(21)을 통해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는, 다시 말해 광원유닛(24)에서 발산된 빛이 상판(21) 상에서 비춰지는 영역으로서, 상판(21)의 전체 영역 중에서 정해진 일부 영역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광표시영역(D)은, 상판(21)의 표면에 별도의 표면 처리를 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판(21) 상에 눈에 띄게 표시되는 부분이 아니며, 단지 광원유닛(24)에서 발산된 빛이 상면유리(21) 상에서 비춰질 부분으로 지정된 가상의 영역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유닛(24)은 광원부(241)와 광원고정부(243) 및 패킹부(245)를 포함한다.
광원부(241)는, 상판(21)을 향해 빛을 발산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241)는 LED(241a)를 광원으로 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광원부(241)는 PCB 등과 같은 기판(241b)에 복수 개의 LED(241a)가 실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LED(241a)는 기판(24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LED(241a)의 개수와 기판(241b)의 길이는, 광원유닛(24)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조명 효과의 강도 및 영역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부(241)가 LED(241a)를 광원으로 하는 형태인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ED 외에도 전구, 형광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광원부(241)의 광원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광원부(241)는, 광원고정부(243)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고정부(243)는 상판(21)의 하부에서 광원부(241)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광원고정부(243)의 내부에는 광전달통로(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부에 광전달통로(a)가 형성된 광원고정부(243)는, 광원부(241)에서 발산되는 빛아 광전달통로(a)를 통해 상판(21)의 광표시영역(D)으로 안내되도록 빛의 조사영역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고정부(243)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홀더부(243a)와 격벽부(24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부(243a)는 하부면이 개구된 "ㄷ"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홀더부(243a)의 내부에는 광원부(24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부(243a)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광원부(241)의 기판(241b)과 홀더부(243a) 내벽 간의 결합을 통해 홀더부(243a)와 광원부(24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러한 홀더부(243a)와 광원부(241) 간의 결합에 의해 광원부(241)가 홀더부(243a)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격벽부(243b)는, 홀더부(243a)로부터 상판(21)을 향해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격벽부(243b)의 내부에는, 홀더부(243a)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결된 광전달통로(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홀더부(243a) 및 격벽부(243b)를 포함하는 광원고정부(243)는, 광원부(24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홀더부(243a) 및 수용공간과 연결된 광전달통로(a)가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부(243b)가 상하로 연결된 "凸"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부(243a)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광원부(241)에서 발산되는 빛은 홀더부(243a)로부터 상판(21)을 향해 연장된 격벽부(243b)의 내벽으로 인해 퍼져나가는 범위가 제한되고, 그 결과 빛이 격벽부(243b) 내부의 광전달통로(a)를 따라 상판(21) 측으로 조사되도록 빛의 조사경로가 안내된다.
이에 따라 광원부(241)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판(21)의 광표시영역(D)으로 정의된 영역에만 전달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상판(21)이 지정된 영역으로만 빛이 통과되도록 하기 위해 표면이 특수 처리된 특수 표면 처리 글래스 형태로 구비되지 않아도 조명 효과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격벽부(243b)의 내벽에는 광원부(241)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광표시영역(D)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반사부는 빛의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나 기타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가 격벽부(243b)의 내벽에 부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부(243b)의 내벽에 반사부가 구비됨으로써, 광전달통로(a)를 따라 조사되는 빛의 조도를 높일 수 있고, 이로써 보다 낮은 광원부(241)의 출력으로 더욱 향상된 조명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패킹부(245)는, 광원고정부(243)와 상판(21) 간의 결합 부위에 마련된다. 이러한 패킹부(245)의 내부에는 광전달통로(a)와 광표시영역(D) 사이를 잇는 광방출통로(b)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킹부(245)는 내열성이 높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실리콘 또는 불소수지재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패킹부(245)는, 각각이 모두 경질 재질로 이루어진 광원고정부(243)와 상판(21)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판(21)의 열이 광원고정부(243) 측으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광원고정부(243)와 상판(21) 간의 결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245) 내부의 광방출통로(b)는, 광전달통로(a)와 광표시영역(D) 사이를 잇되, 광표시영역(D)의 형상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광전달통로(a)를 통과하여 패킹부(245)의 내부로 전달되는 빛은, 패킹부(245)의 내벽으로 인해 퍼져나가는 범위가 제한되고, 그 결과 빛이 패킹부(245) 내부의 광전달통로(a)를 따라 상판(21) 측으로 조사되도록 빛의 조사경로가 안내된다.
즉 패킹부(245)는, 광원고정부(243)와 상판(21)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는 기능, 광원고정부(243)와 상판(21) 간의 결합 부위에 대한 완충 기능 및 상판(21)을 통해 비춰지는 빛의 영역이 광표시영역(D)과 일치하도록 빛 조사 영역의 테두리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광원유닛(24)은, 제1확산부(247) 및 제2확산부(2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확산부(247)는 광원부(241)와 연장플레이트부(275) 사이에 구비되어 광원부(241)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1확산부(247)는 점광원인 LED(241a)를 구비하는 광원유닛(24)이 면광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광원 간의 경계가 감춰진 형태로 조명이 구현되도록 하는 한편, 상판(21)의 광표시영역(D)을 통해 표시되는 조명의 빛이 은은하게 퍼진 형태로 보여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확산부(247)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재질의 확산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외에도 내열성이 우수하고 빛의 확산성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의 확산시트가 제1확산부(247)로 적용될 수 있다.
제2확산부(249)는, 제1확산부(247)의 상부, 즉 패킹부(245)와 상판(21) 사이에 구비되어 광방출통로(b)를 통해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킨다. 이러한 제2확산부(249)는, 제1확산부(247)와 마찬가지로 광원부(241)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켜 면광원이 구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함께 상판(21)과 패킹부(245)를 서로 결합시키는 부착재 역할을 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확산부(249)는 내열성이 높고 빛의 확산성이 우수한 테프론 시트(Teflon sheet)의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마련되는 테프론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외에도 내열성이 우수하고 빛의 확산성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의 시트 또는 접착 테이프가 제2확산부(249)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쿡탑케이스(23)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는, 냉기흐름유도부재(27)가 설치되어 쿡탑케이스(23) 내에서 냉기흐름유도부재(27)의 하부 공간과 상부 공간을 규정한다. 냉기흐름유도부재(27)의 상부에는 가열부(22)가 설치된다.
냉기흐름유도부재(27) 상에서 각 가열부(22)의 측부, 즉 각 가열부(22)의 전방에는 광원유닛(24)이 마련된다. 그리고 냉기흐름유도부재(27)의 하부 공간에는 전장케이스(25) 내에 설치된 전장품 및 냉각부(26)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기흐름유도부재(27)는 가열부(22)를 지지하는 한편, 냉각부(26)에서 송풍되는 냉기의 흐름을 전장품 및 광원유닛(24) 측으로 유도하도록 마련되며,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장플레이트부(275) 및 연결플레이트부(2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부(271)는, 가열부(22)와 냉각부(26) 사이에 구비된다. 지지플레이트부(271)는, 가로방향으로 펼쳐진 평면 형상을 갖는 금속 재질의 판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부(271)는, 쿡탑케이스(23)의 중간 정도 높이에서 쿡탑케이스(23)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상부에 구비된 가열부(22)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한다.
연장플레이트부(275)는, 지지플레이트부(271)로부터 연장되는 판재 형태로 구비되며, 광원유닛(24)을 관통하여 광원유닛(24)과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장플레이트부(275)는, 상부차단판(275a) 및 광통과공(27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차단판(275a)은, 광원고정부(243)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상판(21)과 광원부(241) 사이를 가로막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광통과공(275b)은, 상부차단판(275a)으로 인해 막힌 광원부(241)와 광전달통로(a) 사이가 개방되도록 상부차단판(275a)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광통과공(275b)은 광원부(241)에서 발산되는 빛이 광전달통로(a)로 통과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상판(21)에 놓인 상태에서, 가열부(22)의 작동에 의해 용기가 가열되면 용기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열은 상판(21)을 통과하여 광원부(241) 측으로 전달되어 광원부(241)의 온도를 과도하게 상승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광원부(241) 온도의 과도한 상승은 LED(241a)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LED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된 용기가 놓여진 상판(21)과 광원부(241) 사이를 상부차단판(275a)으로 막음으로써, 상판(21)의 상부에서 발생된 열이 광원부(241)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 구조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광원부(241)의 과도한 온도 상승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차단판(275a) 상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광통과공(275b)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광원부(241)에서 발산되는 빛의 조사 경로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광원부(241) 측으로의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열차단 구조가 냉기흐름유도부재(27)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부(273)는,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장플레이트부(275)를 연결하는 판재 형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기흐름유도부재(27)는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장플레이트부(275) 및 연결플레이트부(273)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결플레이트부(273)가 "
Figure 112017082149545-pat00004
"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연결플레이트부(273)와 상기 연장플레이트부(275)가 "
Figure 112017082149545-pat00005
"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된 형태로 냉기흐름유도부재(27)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장플레이트부(275) 및 연결플레이트부(273)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부(271)의 일부분이 절개된 후 "
Figure 112017082149545-pat00006
" 형상으로 절곡되어 가공된 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플레이트부(271)의 일부분이 가공된 형태로 형성된 연장플레이트부(275)는 그 일부분이 광원고정부(243)의 측부를 관통하여 광원고정부(243)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고정부(243)의 측부에는 연장플레이트부(275)의 상부차단판(275a)을 광원고정부(243) 외부에서 광원고정부(243)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홀(243c)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연장플레이트부(275)의 상부차단판(275a)은 통과홀(243c)을 통해 광원고정부(243)의 측부를 관통하여 광원고정부(243)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냉기흐름유도부재(27)의 구성 및 그 설치 구조에 따르면, 가열부(22) 고정을 위해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부(271)의 일부분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공만으로 상판(21)의 상부에서 발생된 열이 광원부(241)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일체로 형성된 연장플레이트부(275)를 광원고정부(243)에 끼워 설치하기만 하면 광원유닛(24)이 냉기흐름유도부재(27) 상에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광원유닛(24)을 설치하기 위해 수행되는 단 한번의 작업으로 쿡탑부(20)에 광원유닛(24)을 설치하는 작업 및 광원유닛(24) 내부에 열차단 구조를 설치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광원유닛(24)과 냉기흐름유도부재(27)의 구성 및 그 설치 구조에 따르면, 별도의 부품으로 광원유닛(24) 내부에 열차단 구조를 구성하고 이를 별도로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조립 공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냉기흐름유도부재(27)와 쿡탑케이스(23)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는 냉각부(26)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냉각공기유로(a,b)가 형성된다.
냉각부(26)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냉각공기유로(a,b)를 통해 가열부(22) 및 광원유닛(24) 하부 공간을 통과하여 전장품(25a) 측으로 이동하여 전장품(25a)을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공기유로(a,b)는 가열부(22)의 하부를 통과하는 제1구간(a)과 광원유닛(24)을 통과하는 제2구간(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플레이트부(271)는, 냉각공기유로(a,b)의 상부와 가열부(22)의 하부 사이에서 제1구간(a)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연장플레이트부(275)는, 광원부(241)의 상부에서 제2구간(b)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한다.
즉 냉각공기유로(a,b)는 냉기흐름유도부재(27)와 쿡탑케이스(23)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고, 냉각공기유로(a,b)의 제1구간(a)은 지지플레이트부(271)에 의해 형성되는 차단벽과 쿡탑케이스(23)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며, 냉각공기유로(a,b)의 제2구간(b)은 연장플레이트부(275)에 의해 형성되는 차단벽과 쿡탑케이스(23)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냉각부(26)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1구간(a)을 통해 가열부(22)의 하부 공간을 통과하고 제2구간(b)을 통해 광원유닛(24)의 하부 공간을 통과하여 전장품(25a)이 설치된 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공기가 이동하는 냉각공기유로(a,b) 중 제2구간(b)에는, 냉각공기유로(a,b)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가 광원유닛(24)의 내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분기된 통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플레이트부(271)로부터 "
Figure 112017082149545-pat00007
"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연장플레이트부(275)가 광원부(241)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광원유닛(24)과 결합되면서 냉각공기유로(a,b)의 제2구간(b)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연장플레이트부(275)의 형상 및 연장플레이트부(275)와 광원유닛(24) 간의 결합 구조에 의해, 제2구간(b)에서의 냉각공기유로(a,b)의 상하방향 폭은 쿡탑케이스(23)의 바닥면에서 광원부(241)의 상부에 위치된 연장플레이트부(275) 사이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공기유로(a,b) 중 제2구간(b)의 상부 영역에는 냉각공기유로(a,b)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가 광원유닛(24)의 내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분기된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분기된 통로를 통해 공기가 광원부(241)의 주변을 통과할 수 있는 냉각 구조가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원부(241) 온도의 과도한 상승은 LED(241a)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LED(241a)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며, 이러한 요인으로는 LED(241a)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 그리고 가열된 용기로부터 상판(21)을 통과하여 광원부(241)로 전달되는 열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공기유로(a,b)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광원유닛(24)의 내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분기된 통로가 형성되고, 이와 같이 분기된 통로를 통해 공기가 광원부(241)의 주변을 통과할 수 있는 냉각 구조가 형성되므로, 광원부(241)에 대한 냉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냉기흐름유도부재(27)는, 전장품(25a)을 냉각시키기 위해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광원부(241)의 주변을 통과하면서 광원부(241)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장품(25a)에 대한 냉각 및 광원부(241)에 대한 냉각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광원부(241)의 과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광원부(241)에 대한 냉각 구조를 형성하는 연장플레이트부(275)가 상판(21)의 상부에서 발생된 열이 광원부(241)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 구조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즉 광원유닛(24)에 연장플레이트부(275)를 끼워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광원유닛(24)의 설치가 이루어짐은 물론, 상판(21)의 상부에서 발생된 열이 광원부(241)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 구조와 외부공기를 이용하여 광원부(241)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각 구조가 함께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냉기흐름유도부재(27)는, 광원유닛(24)에 대한 열차단 구조 및 냉각 구조를 함께 제공하여 광원유닛(24)의 과열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원유닛(24)에 대한 열차단 구조 및 냉각 구조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조립 공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유닛 및 가열부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기흐름유도부재의 냉기 유도 작용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기흐름유도부재(27)에는, 분기통로부(277)가 더 마련된다.
분기통로부(277)는,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결플레이트부(273) 사이에 마련되어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결플레이트부(273) 간의 연결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기통로부(277)는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결플레이트부(273) 간의 연결 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분기통로부(277)는,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결플레이트부(273) 간의 연결 부분이 절개된 통공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분기통로부(277)에 의해, 냉각공기유로(a,b) 중 제2구간의 상부 영역에는 냉각공기유로(a,b)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가 광원유닛(24)의 상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분기된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분기된 통로를 통해 공기가 광원유닛(24)의 상부 주변을 통과할 수 있는 냉각 구조가 형성된다.
한편 가열부(22)는 가열부(22)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을 받아 그 온도가 상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부(271)는 가열부(22)와의 접촉 부분(이하 "열접촉부"라 한다)에서 이루어지는 열전도로 인해 온도가 상승된다.
이와 같이 온도가 상승된 지지플레이트부(271)의 열이 연장플레이트부(275)로 전달되어 연장플레이트부(275)의 온도가 상승되면, 광원부(241)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연장플레이트부(275)로 인해 광원부(241)의 온도가 오히려 상승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장플레이트부(275) 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열전도는 분기통로부(277)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즉 분기통로부(277)는, 냉각공기유로(a,b)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가 광원유닛(24)의 상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분기된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하는 한편,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장플레이트부(275)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장플레이트부(275) 사이에서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기통로부(277)가 형성되는 본 실시예의 냉기흐름유도부재(27)는, 냉각공기유로(a,b)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가 광원유닛(24)의 상부 주변 및 광원유닛(24)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 구조 및 지지플레이트부(271)와 연장플레이트부(275) 사이의 열전도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열전도 차단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광원유닛(24)의 과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쿡탑부
21 : 상판
22 : 가열부
23 : 쿡탑케이스
24 : 광원유닛
25 : 전장케이스
26 : 냉각부
27 : 냉기흐름유도부재
241 : 광원부
241a : LED
241b : 기판
243 : 광원고정부
243a : 홀더부
243b : 격벽부
243c : 통과홀
245 : 패킹부
247 : 제1확산부
249 : 제2확산부
271 : 지지플레이트부
273 : 연결플레이트부
275 : 연장플레이트부
275a : 상부차단판
275b : 광통과공
277 : 분기통로부

Claims (10)

  1.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가열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냉각부가 마련되며,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광원유닛이 상기 가열부의 측부에 마련되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냉기흐름유도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플레이트부;
    상기 광원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광원유닛과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연장플레이트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쿡탑케이스의 바닥면과 상기 냉기흐름유도부재 사이에는 상기 냉각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냉각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공기유로는, 상기 가열부의 하부를 통과하는 제1구간과 상기 광원유닛을 통과하는 제2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는, 상기 냉각공기유로의 상부와 상기 가열부의 하부 사이에서 상기 제1구간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는,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구간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고, 내부에 광전달통로가 형성되는 광원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는, 상기 광원고정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서 상기 광원고정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광원고정부에 끼움 결합된 연장플레이트부의 결합면은, 상기 광원고정부의 내부에서 상기 광원고정부를 상부방향으로 지지하는 냉기흐름유도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결플레이트부가 "
    Figure 112016085876308-pat00008
    "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부와 상기 연장플레이트부가 "
    Figure 112016085876308-pat00009
    "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형성되는 냉기흐름유도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플레이트부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부의 일부분이 절개된 후 "
    Figure 112016085876308-pat00010
    "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냉기흐름유도부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는,
    상기 광원고정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상부차단판;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전달통로 사이가 개방되도록 상기 상부차단판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광통과공;을 포함하는 냉기흐름유도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결플레이트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결플레이트부 간의 연결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통로를 형성하는 분기통로부가 마련되는 냉기흐름유도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통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결플레이트부 간의 연결 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냉기흐름유도부재.
  8.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쿡탑케이스;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가열부;
    상판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광원유닛;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광원유닛 측으로 유도하는 냉기흐름유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흐름유도부재는,
    상기 가열부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플레이트부;
    상기 광원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광원유닛과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연장플레이트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쿡탑케이스의 바닥면과 상기 냉기흐름유도부재 사이에는 상기 냉각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냉각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공기유로는, 상기 가열부의 하부를 통과하는 제1구간과 상기 광원유닛을 통과하는 제2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는, 상기 냉각공기유로의 상부와 상기 가열부의 하부 사이에서 상기 제1구간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는,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구간의 상하방향 폭을 제한하는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고, 내부에 광전달통로가 형성되는 광원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는, 상기 광원고정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서 상기 광원고정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광원고정부에 끼움 결합된 연장플레이트부의 결합면은, 상기 광원고정부의 내부에서 상기 광원고정부를 상부방향으로 지지하는 조리기기.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고정부는, 상기 광원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측부를 통해 상기 연장플레이트부가 끼움 결합되는 홀더부 및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된 상기 광전달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부가 상하로 연결된 "凸"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원고정부의 측부에는, 상기 연장플레이트부를 상기 광원고정부 외부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KR1020160113132A 2016-09-02 2016-09-02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847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32A KR101847286B1 (ko) 2016-09-02 2016-09-02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32A KR101847286B1 (ko) 2016-09-02 2016-09-02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141A KR20180026141A (ko) 2018-03-12
KR101847286B1 true KR101847286B1 (ko) 2018-04-09

Family

ID=6172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132A KR101847286B1 (ko) 2016-09-02 2016-09-02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150B1 (ko) * 2018-03-23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060146B1 (ko) 2018-03-27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킹 코일 고정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EP3651550B1 (en) * 2018-11-08 2021-12-22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KR20210115331A (ko) 2020-03-12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및 이에 포함되는 에어 가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3425A (ja) * 2011-04-08 2014-07-0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3425A (ja) * 2011-04-08 2014-07-0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141A (ko) 201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286B1 (ko)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10408464B2 (en) Ligh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lighting device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KR20080024024A (ko) 조리기기
KR102363887B1 (ko) 도어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702660B1 (ko) 조리기기
KR101878048B1 (ko) 쿡탑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971765B1 (ko) 광원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600945B1 (ko) 조리기기
KR101101487B1 (ko) 스팀조리기기
KR102087974B1 (ko) 도어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060075154A (ko) 전기오븐의 제어부 구조
KR101626622B1 (ko) 조리기기
KR20080044055A (ko) 오븐
KR20240035304A (ko) 조리 기기
KR101690329B1 (ko) 조리기기
KR101101511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10083332A (ko) 조리기기
KR100872238B1 (ko) 조리기기
KR101692554B1 (ko) 오븐 레인지
KR20110053628A (ko) 조리기기
KR20110083348A (ko) 조리기기
KR20060071495A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080043758A (ko) 조리기기
JP2012117753A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