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766B1 - 스팀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스팀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766B1
KR101064766B1 KR1020090030801A KR20090030801A KR101064766B1 KR 101064766 B1 KR101064766 B1 KR 101064766B1 KR 1020090030801 A KR1020090030801 A KR 1020090030801A KR 20090030801 A KR20090030801 A KR 20090030801A KR 101064766 B1 KR101064766 B1 KR 10106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vity
space
guide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339A (ko
Inventor
최성호
김수환
이상기
오광석
김정길
신장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76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1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ealings for doors or transparent pa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2Co-operating with a door, e.g. operated by the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수의 배출이 원활한 도어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및 스팀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가 구비되면서 외형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유리; 상기 전면유리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 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후면커버; 및 상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응축수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되며, 배수되는 응축수의 집수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조리기기, 스팀, 도어, 응축수가이드, 집수유닛

Description

스팀조리기기 { Steam cooking appliance }
본 발명은 응축수의 배출은 물론 도어와 캐비티 사이의 기밀을 위한 밀폐부재의 조립성을 향상시킨 도어가 포함되는 스팀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주방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에 의해 전자레인지와 오븐 등으로 구별되며, 설치되는 형태에 의해 빌트인(Built-in) 타입과 스탠드 타입, 벽걸이 타입 등으로 구별되기도 한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고주파를 발산하여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주방기기이며, 상기 오븐은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으로 히터 또는 버너 등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주방기기이다.
그리고, 빌트인 타입은 주방 공간에 위치하는 주방 가구의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며, 스탠드 타입은 주방 가구의 상측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놓이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고, 벽걸이 타입은 주방 공간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주방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후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근래에는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고주파를 발산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전자레인지와 히터 또는 버너 등에서 열을 발산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조리기기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조리기기에는 요리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여 요리 공간을 가열하는 다수의 열원이 구비되고, 이러한 열원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요리 공간이 가열되면서, 요리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익게 된다.
그리고, 조리기기를 사용하여 요리하는 음식물의 종류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식습관 기호에 따른 다양한 요리 방법으로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많은 기능이 부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음식물의 종류와 요리 방법에 따라 다양한 열원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세라믹 히터 또는 할로겐 램프와 같은 복사 가열원과 컨벡션 히터와 같은 대류 가열원 및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스팀 가열원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원들은 음식물의 크기 또는 요리 방법, 사용자의 식습관 기호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되어 각각 장착되어 가장 적합한 열원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며, 부가적인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에는 조리기기를 사용하여 요리된 음식물이 요리 상태에 따라 사용자들의 감성 불만을 해소하면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한 조리기기 및 스팀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한 도어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및 스팀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전면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에 의해 전면과 하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하여,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유리와, 상기 전면유리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과, 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후면커버가 구비되는 도어와, 상기 후면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와 도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부재와,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가열챔버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유닛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유닛으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응축수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기밀부재에는 외측 끝 부분에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기밀부재가 상기 캐비티와 도어 사이에서 고정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장부가 더 형성되는 스팀조리기기.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 및 스팀조리기기는, 응축수가이드에 의해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되며, 배수되는 응축수의 집수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응축수의 배수와 집수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조리기기 및 스팀조리기기의 사용에 따른 청결성과, 습기에 의한 제품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의 오염이 방지되며, 응축수의 집수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응축수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주방 공간의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효과로 인해 조리기기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방 공간의 오염 방지에 의해 주방 공간 전체의 청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주방 공간의 청결성 향상은 사용자의 주방 공간 청소 시간을 줄여주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시간 활용에 큰 도움을 주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으로 응축수로 인한 습기 유입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습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습기에 의한 전장 부품의 과열 또는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의 예방으로 인해 사용자의 인체에 대한 손상 및 재산 상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안전한 조리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부품의 손상이 예방됨으로써 조리기기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인체의 손상 및 화재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로 인해 조리기기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와 캐비티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조립성의 향상으로 인해 조립 시간의 단축이 예상되고, 조립 시간의 단축은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밀부재의 미끄럼 및 내측 이동이 제한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서비스 비용이 절감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스팀조리기기는 사용의 편의성과 안전성, 경제성, 조립성 및 생산성,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작장치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모든 조리기기의 형태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개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조리기기는 다양한 열원이 사용되면서,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되는 스팀조리기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을 이루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충격에 강한 재질의 플레이트에 의해 외면을 형성하게 되며,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10)와,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120)와,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130)와, 양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140) 및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150)에 의해 외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30)와 측면플레이트(140)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120)에 각각 체결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의 플레이트가 각각 체결되면서 외형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플레이트가 각각 체결되면서 상기 본체(100)의 외형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다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1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가 절제되어 다음에 설명할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캐비티(300)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어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면플레이트(12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후면플레이트(120)의 전방에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의 후면커버(35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후면플레이트(120)는 그 중앙부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상기 후 면커버(350)의 후방과 후면플레이트(120)의 전방 사이에는 일정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어,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장착되는 전장실(36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36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전장부품이 동작하면서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이러한 전장실(360)에는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361)과, 상기 마그네트론(361)으로 고전압의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고압트랜스(362), 마그네트론(361)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하는 고주파가이드(363), 다수의 전장 부품을 냉각시키면서 상기 본체(100) 내부 공간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냉각팬(364) 등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의 전방에는 전면플레이트(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형성되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20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핸들(202)이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200)가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여닫혀서 다음에 설명할 캐비티(3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어(200)의 적어도 중앙부는 사용자가 주방 공간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요리되는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확인하거나, 도어(200)를 회동시키지 않고, 본체(100)의 내부 공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의 앞면 즉, 상기 도어핸들(202)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과 다이얼로 구성되는 조작부(204)와, 본체(1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206)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206)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04)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100)의 동작을 조작하게 될 때, 본체(100)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의 요리 상태, 요리 방법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표시부(206)는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고, 사용 범위가 넓은 액정 장치의 하나인 엘씨디(LCD) 패널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영상, 화면, 문자 등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다수의 엘이디(LED)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도 가능하고, 음성 출력장치가 구비되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물론, 상기 표시부(206)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음성 또는 화면이나, 동영상 등 어떠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영상과 음성, 화면 등의 모든 형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 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30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캐비티(300)는 실질적으로 음식물의 요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30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310)과, 후면을 형성하는 제2패널(320), 상면을 형성하는 제3패널(330), 하면을 형성하는 제4패널(340)이 서로 체결되면서 하나의 캐비티(300)를 구성하게 된다.
물론,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캐비티(300)가 하나의 패널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상기 제1패널(310)과 상기 제2패널(320)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3패널(330)과 상기 제4패널(340)이 결합되면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캐비티(30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티(300)는 앞면이 개방되어 있는 다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패널에 의해 측면 및 후면과, 천장 및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패널(310)에는 다수의 그루브가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서 외부에서 내부 공간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그루브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면서 음식물이 놓이는 랙(미도시)을 지지하게 되고,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그루브에 의해 상기 랙은 다양한 높이에서 음식물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비티(300)의 앞면은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와 체결되면서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전면플레이트(110)의 중앙부는 캐비티(300)의 개방된 앞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절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3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3패널(330)에는 조사개구(미도시) 및 다공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조사개구는 상기 마그네트론(361)에서 공급되는 고주파가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조사되는 입구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다공부는 다음에 설명할 할로겐히터(352)에서 공급되는 에너지 즉, 상기 할로겐히터(352)에서 발산되는 열과 빛을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발산하는 입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3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패널(320)에는 다수의 흡입공(321)과 다수의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공(321)은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에서 다음에 설명할 컨벡션장치(352)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되고, 상기 배출공은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을 순환한 공기가 상기 컨벡션장치(352)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흡입공(321)과 배출공에 의해 실질적으로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과 컨벡션장치(352)의 내부 공간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3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310) 중 어느 하나, 즉, 전방에서 볼 때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310)에는 조리실배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배기공은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가 캐비티(3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3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310) 중 어느 하나, 즉, 전방에서 볼 때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310)에는 스팀노즐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스팀노즐공은 다음에 설명할 가열챔버(410)에서 공급되는 스팀이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3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패널(320)의 후측에는 후면커버(3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후면커버(35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제2패널(320)의 상하좌우 외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후면커버(350)는 그 앞면 일부가 제2패널(320)의 후면 일부에 고정되면서 장착된다.
상기 후면커버(350)의 전방과 상기 제2패널(320)의 후방 사이에는 일정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는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을 대류에 의해 가열하는 컨벡션장치(352)의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패널(330)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후면커버(350)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연통개구(351)가 형성되고, 이러한 연통개구(351)에 의해 상기 캐비티(300)의 상부 공간과 상기 전장실(360)이 연통되어, 전장실(360)에서 다수의 전장 부품을 냉각한 공기가 제3패널(33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패널(320)의 후면과 상기 후면커버(350)의 앞면 사이 공간에는 상기 컨벡션장치(352)의 일부인 컨벡션커버(353)가 구비되며, 제2패널(320)의 후면에 고정되어, 제2패널(320)의 후면과 컨벡션커버(353)의 앞면 사이에 일정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컨벡션커버(353)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테두리 부분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패널(320)의 후면에 접하면서 고정됨으로써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중앙부에 의해 일정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컨벡션커버(353)의 후면에는 백커버(354)가 구비된다. 상기 백커버(354)는 상기 후면커버(350)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후면커버(350)의 앞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백커버(354)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중앙부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후면커버(350)와 컨벡션커버(353)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에 의해 컨벡션커버(353)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여 후면커버(350)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는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15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50)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0)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120)의 하단부와 체결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5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상,하면의 면적이 넓은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은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일정 부분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중앙부분의 일부분은 다음에 설명할 스팀용 수가 저장되는 탱크(4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레이트(150)에는 배기구(152)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152)는 하부플레이트(150)에 다수의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배기구(152)는 상기 냉각팬(364)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면커버(350)의 후면과 상기 후면플레이트(120)의 앞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상기 전장실(360)에는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동작하게 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되며, 이러한 전장 부품은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04)를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면, 마이컴(미도시)이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다수의 전장 부품으로 동작신호를 전달하여 전장 부품이 동작하면서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360)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364)이 구비되어, 다수의 전장 부품을 냉각하면서 본체(100)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전장실(360)에는 상기 마그네트론(361)이 장착된다. 이러한 마그네트론(361)은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조사되는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마그네트론(361)의 측방에는 고압트랜스(362)가 구비된다. 상기 고압트랜스(362)는 마그네트론(361)으로 고압의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300)의 상면 즉, 상기 제3패널(330)의 상측에는 상기 마그네트 론(361)에서 발진된 고주파를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하는 고주파가이드(363)가 구비된다. 상기 고주파가이드(363)의 내부에는 일정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가 안내되면서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론(361) 및 상기 고압트랜스(362)의 하방에는 상기 냉각팬(364)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냉각팬(364)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냉각팬(364)은 2개의 팬과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1개의 팬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팬은 회전 운동하면서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출하는 시로코팬이 사용되며, 축 방향 끝 부분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은 각각 상기 후면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흡기구(122)와 인접하여 위치되고, 그 원주 일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기되는 부분은 상방으로 공기를 배기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364)은 상기 흡기구(122)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방을 향하여 배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360)에는 상기 냉각팬(364)에서 배기되는 공기가 냉각팬(364)으로 재흡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리어(365)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365)에 의해 실질적으로 전장실(360)을 상기 마그네트론(361) 및 상기 고압트랜스(362)를 포함하는 전장부품이 장착되는 영역과 냉각팬(364)이 설치되는 영역으로 구획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리어(365)에는 냉각팬(364)의 배기 부분에 배출개구가 형성되어 냉각팬(364)에서 배기되는 공기가 전장실(360)의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 상측에는 상부히터(37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히터(370)는 캐비티(300) 내부 공간에서 발열하여 캐비티(300) 내부 공간을 복사 가열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히터(370)는 시즈히터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컨벡션커버(353)의 내부에는 컨벡션히터(355) 및 컨벡션팬(356)이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히터(355)는 상기 캐비티(300) 내부 공간의 공기를 대류시키면서 대류 가열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컨벡션팬(356)은 캐비티(300) 내부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벡션팬(356)이 구동하게 되면, 상기 흡입공(321) 및 배출공(미도시)을 통하여, 공기가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과 컨벡션커버(353) 내부 공간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컨벡션팬(356)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히터(355)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열되어 컨벡션히터(355)의 열이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순환하면서 대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팬(356)은 상기 컨벡션히터(355)의 동작과는 별개로 스팀발생장치의 동작 여부에 따라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팀의 사용을 선택하거나, 스팀이 사용되도록 입력되어 있는 요리를 시작하게 될 때, 컨벡션히터(355)와 컨벡션팬(356)이 동시에 동작하지 않고, 컨벡션팬(356)만 동작하여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대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360)에는 상기 컨벡션팬(356)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컨벡션모터(357)가 장착된다. 상기 컨벡션모터(357)는 상기 냉각팬(364)의 구동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한편, 상기 제3패널(330)의 상면에는 할로겐히터(372)가 장착된다. 상기 할로겐히터(372)는 상기 다공부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빛과 열을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할로겐히터(372)는 반사판(374)에 의해 발산되는 빛과 열이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다. 즉, 할로겐히터(372)에서 발산되는 빛과 열은 반사판(374)에 의해 반사되거나, 직접 다공부를 통하여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할로겐히터(372)는 하부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반사판(374)에 의하여 차폐되면서 빛과 열을 상기 다공부로 집중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볼 때 상기 캐비티(300)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310) 중 캐비티(30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310)의 좌측면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 가운데 하나인 가열챔버(410)가 장착된다. 상기 가열챔버(410)는 공급되는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증기 형태의 스팀을 발생시켜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하부플레이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하부플레이트(150)는 일정 정도의 두께와 강도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가열챔버(410)를 제외한 스팀발생장치가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열챔버(410)로 공급되는 스팀용수를 저장하는 탱크(420)와, 상기 탱크(420)에서 가열챔버(410)로 스팀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30) 와, 탱크(420) 및 급수펌프(430), 가열챔버(410) 및 급수펌프(430) 사이에 위치하여 스팀용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튜브(440)와, 탱크(420)가 내부 공간에 수납하여 지지하는 탱크하우징(450)과, 상기 본체(10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유닛(460)이 장착된다.
상기 가열챔버(410)는 내면과 외면이 일정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고, 내면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내부 공간에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용수가 수용되며, 내면과 외면 사이 공간에 상기 스팀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스팀열원(미도시)이 구비된다. 따라서, 가열챔버(410)은 스팀용수가 수용되는 공간과 스팀열원이 구비되는 공간은 구획된 상태에서 스팀열원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스팀용수가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고, 생성된 스팀은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가열챔버(410)는 내부에 스팀용수가 수용되는 일정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그 공간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스팀용수를 가열하는 스팀열원(미도시)이 구비된다. 이러한 스팀열원은 스팀용수가 수용되는 공간과 구획된 공간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레이트(150)의 하부에는 상기 탱크하우징(450)과 상기 집수유닛(460)이 장착된다. 탱크하우징(450)은 적어도 앞면이 개방되는 다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스팀용수를 저장하는 상기 탱크(42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 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면과 앞면이 개방되는 다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탱크하우징(450)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150)는 상기 탱크(420)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탱크하우징(450)이 위치하는 부분은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처럼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생성되는 공간에 탱크(420)가 수납되면서 상기 가열챔버(410)로 공급되는 스팀용수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탱크(420)의 상면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은 그 내부 공간의 청소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탱크(4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저장되는 스팀용수를 세정액 예를 들어 식초 등을 저장한 다음 상기 가열챔버(410)로 이동시키게 되면, 세정액이 가지는 세정 기능에 의해 세정액이 이동하면서 스팀용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팀용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스팀발생장치의 사용이 가능해지며, 이로 인해 위생성 및 청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탱크(42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그 내부 공간에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용수를 수용하여 저장하게 되며, 이러한 탱크(42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10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유닛(460)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50)의 상부에는 상기 탱크(4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스팀용수를 상기 가열챔버(410)로 이동시키는 급수펌프(430)가 장착된다. 상기 급수펌프(430)는 장착브라켓 또는 기타 구조에 의해 하부플레이트(15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탱크(420)와 상기 급수펌프(430) 사이 및 상기 가열챔버(410)와 급수펌프(430) 사이에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튜브형태의 안내튜브(440)가 연결된다. 상기 안내튜브(440)는 자유로이 휘어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150)의 상부에서 스팀용수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50)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154)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54)는 일정 정도의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 마찰력이 큰 고무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지름과 높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플레이트(150)의 하면에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재(154)가 상기 하부플레이트(150)의 하면에 접하면서 나사에 의해 체결되면서 고정되면, 하부플레이트(150)의 하면과, 상기 본체(100)가 설치되는 장소는 일정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 상기 탱크(420)와, 상기 탱크하우징(450) 및 상기 집수유닛(460)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420)와, 상기 탱크하우징(450) 및 상기 집수유닛(460)은 상기 본체(1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본체(100)의 크기 또는 음식물을 요리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캐비티(300)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100)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됨으로써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것에 비해 더 큰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해지고,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플레이트(150) 하측에는 상기 집수유닛(460)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집수유닛(460)이 상기 본체(1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집수유닛(460)의 탈착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으며, 집수되는 응축수가 증발되어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집수유닛(460)은 상기 하부플레이트(150)의 전단부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본체(10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461)와, 상기 저장부(461)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안내부(4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수유닛(460)은 전체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길이가 긴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대적으로 중앙부에 상기 안내부(462)가 위치하게 되고 안내부(462)의 양쪽 끝 부분에 상기 저장부(461)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안내부(462)의 앞면은 저장부(461)의 앞면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상기 안내부(462)의 앞면에 의해 상기 탱크(420)의 후방 이동이 제한되어 사용자가 탱크(420)를 과도하게 후방으로 압착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집수유닛(460)은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의 앞면 및 상기 도어(200)의 후면,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집수유닛(460)의 앞면은 상기 도어(200)가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한 상태에서 도어(200)의 앞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집수유닛(460)은 상대적으로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안내부(46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10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게 된다.
상대적으로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안내부(462)는 전체적으로 앞면과 후면의 일 부분이 절제되는 형태의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 측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에 의해 상측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안내부(462)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저장부(461)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462)의 상면에는 상측에서 낙하하는 응축수가 안내부(46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양 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저장부(461)로 안내하는 안내리브 또는 안내홈이 구비된다. 이러한 안내리브 또는 안내홈에 의해 응축수는 안내부(46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면서, 안내리브와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어 저장부(461)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저장부(461)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안내부(462)의 양쪽 측방에 위치하게 되고, 그 상면 전단부는 일정 정도의 곡률을 가지면서 라운드지도록 형태로 절제되어 상기 도어(20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될 때 도어(200)의 회동 공간을 확보하여 주게 된다.
물론, 상기 도어(20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 and down) 방식으로 사용됨에 따라 상기 집수유닛(460)의 상면 전단부는 도어(2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집수유닛(460)의 전단부는 상기 도어(2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팀조리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면 전단부가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장착되면, 상기 집수유닛(460)의 상면 전단부에 형성되는 곡률을 가지면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부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도어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 도어의 후면커버 후면을 나타낸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도어 하면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의 일 부분을 확대한 부분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스팀조리기기의 상기 도어(20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어(200)에는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유리(21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유리(21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일정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 며, 사용자가 외부 공간에서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상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적어도 중앙부는 투명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유리(210)는 소정의 자체 강도를 가지면서 내열성이 강한 유리가 사용되며, 표면에는 가해지는 열을 반사하는 열 반사 필름이 부착되어 열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상기 전면유리(210)에는 상기 도어핸들(202)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버튼과 다이얼 등으로 형성되는 상기 조작부(204)와, 음식물의 요리 상태 또는 상기 본체(100)의 동작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06)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유리(210)의 후측에는 도어프레임(22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후면은 개방된 형상으로, 앞면의 중앙부는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앞면에 상기 전면유리(210)가 접하면서 접착제 등에 의해 지지된다. 전면유리(210)의 중앙부는 도어프레임(220)의 중앙부에 절제되는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사용자는 전면유리(210)의 중앙부를 통해 도어프레임(220)의 절제된 중앙부의 후방을 볼 수 있게 된다.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내부에는 상기 마그네트론(361)에서 발산되는 고주파의 전방 누설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테두리 부분을 따라 쵸크(choke)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도어패널(230)이 위치 하게 된다.
상기 도어패널(230)의 중앙부는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전면유리(2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윈도우(미도시)가 구비되거나,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앞면에 절제되는 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절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에는 가해지는 열을 반사하기 위한 열 반사 필름 등이 도포되어 가해지는 열이 전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기도 하며, 윈도우의 냉각을 위하여 별도의 냉각 유로를 형성하기도 한다.
상기 도어패널(230)은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앞면 상단부에는 상기 조작부(204) 및 상기 표시부(206)와 연결되어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본체(100)의 동작 상태를 외부 공간으로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회로기판(미도시) 및 엘씨디(LCD) 패널 등이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도어패널(230)의 후측에는 상기 도어(200)의 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도어후면커버(24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후면커버(240)는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부가 상기 윈도우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중앙부에 절제되는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절제되는 절제부(242)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후면커버(240)는 상기 후면패널(23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쵸크구조가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동시해 수행하기 됨으로써 쵸크커버 등의 명칭으로도 명명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도어후면커버(240)는 테두리 부분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앞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어후면커버(240)의 상기 절제부(242) 테두리를 따라 도어후면커버(240)와 상기 전면플레이트(110)가 기밀하게 접하도록 하기 위한 기밀부재(250)가 구비된다.
상기 기밀부재(250)는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도어(200)가 회동하여 상기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될 때 기밀부재(250)가 도어후면커버(240)의 상기 절제부(242)로부터 이탈되어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방 또는 캐비티(300)의 내부 공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 하반부 상세하게는,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절제되는 상기 절제부(242)의 하측 테두리 부분 하측에 형성되는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에는 상기 도어(200)의 후면 즉,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과 상기 도어패널(230)의 후면 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의 전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응축수가이드의 하나인 제1가이드(244)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244)는 전체적으로 후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가이드(244)는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패널(230)의 후면,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의 앞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 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될 때 중앙부로 이동하는 응축수를 양 측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과 상기 도어패널(23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윈도우의 후면을 따라 하방으로 응축수가 낙하하게 될 때, 도어후면커버(24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기 절제부(242)에 위치하는 상기 윈도우의 후면 중앙부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응축수는 상기 제1가이드(244)에 의해 양 측방으로 안내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가이드(244)의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고, 양 끝 부분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인해 응축수는 제1가이드(244)에 의해 측방으로 안내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244)가 응축수를 측방으로 안내하여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도어(2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집수유닛(460)의 상기 안내부(462) 양 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저장부(461)의 내부 공간으로 응축수를 안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가이드(244)를 후방에서 볼 때 좌우 방향의 길이는 집수유닛(460)의 안내부(462) 좌우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 하단부에는 제2가이드(246)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246)는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 하단부가 일정 정도의 경사를 가지면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즉,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 하단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향하게 되는 전방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경사부 분이 제2가이드(246)가 되고, 제2가이드(246)에 의해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응축수는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이처럼,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는 상기 제2가이드(246)에 의해 후면보다 전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제2가이드(246)에는 상기 제1가이드(244)에 의해 안내되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가이드홈(248)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홈(248)은 상기 제2가이드(246)의 하면 일부가 일정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이러한 제2가이드홈(248)으로 응축수가 안내되면서, 상기 제2가이드홈(248)을 따라 상기 제1가이드(244)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하는 응축수가 제2가이드(246)의 하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집수유닛(460)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 중앙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응축수는 상기 제1가이드(244)에 의해 좌우 측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며, 제1가이드(244)에 의해 안내되는 응축수와 제1가이드(244)에 의해 안내되지 않는 응축수는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면보다 전방으로 낙하하게 되면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집수유닛(460)의 상기 저장부(461)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집수된다.
한편,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하면에는 상기 도어(2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가이드(222)가 구비된다. 상기 제3가이드(222)는 도어프레임(220)의 하면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향하도록 일정 정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가이드(222)는 상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개방된 상면의 테두리 부분 상단부가 제3가이드(222)의 하면에 접하면서 체결되며, 하면과 저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일정 정도의 기울기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제3가이드(222)에 의해 상기 도어(2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응축수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3가이드(222)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3가이드(222)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응축수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는 저면에 의해 후방으로 안내되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가이드(222)의 후단부는 상기 제2가이드(246)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제3가이드(222)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하는 응축수가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가이드(222)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응축수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가이드(246)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집수유닛(460)으로 이동함으로써 집수유닛(460)에 집수된다.
그리고, 상기 제3가이드(222)의 하면에는 제3가이드(222)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응축수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제3가이드홀(22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3가이드홀(224)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면서 천공되어 제3가이드(222)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응축수의 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3가이드(222)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응축수가 제3가이드(222)의 저면을 따라 충분히 이동하지 못할 정도로 응축수의 양이 증가하게 되더라도, 상기 제3가이드홀(224)을 통해 하방으로도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3가이드(222)의 내부 공간이 부족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제3가이드(222)의 하면 후단부에는 응축수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2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226)는 제3가이드(222)의 하면 후단부에 하방으로 라운드지면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226)에 의해 제3가이드(222)의 하면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3가이드홀(224)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응축수의 일부가 상기 제3가이드(222)의 하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상기 스토퍼(226)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이는, 상기 제3가이드(222)에 의해 안내되는 응축수의 후방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집수유닛(460)으로 응축수가 이동하여 집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기밀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8의 A-A'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후면커버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10의 A-A'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앞면에는 상기 캐비티(300)와 상기 도어(200)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부재(250)가 장착된다. 이러한 기밀부재(250)는 일정 정 도의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도어(200)를 회동하여 캐비티(300)의 앞면을 차폐하게 될 때 압착되어 도어(200)의 후면과 캐비티(300) 내부 공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앞면과 상기 기밀부재(250)에는 기밀부재(2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도어후면커버(240)의 앞면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고정돌기(260)와 기밀부재(250)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26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돌기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돌기(260)가 상기 돌기홈에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면서 체결되어 상기 기밀부재(250)와 상하좌우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면서 기밀부재(250)는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에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기밀부재(250)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에 고정되면, 기밀부재(250)를 장착한 다음 기밀부재(250)가 도어후면커버(2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조립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물론, 도 8에서 볼 때 상기 고정돌기(260)의 상단부의 면적이 상기 돌기홈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밀부재(250)를 장착하게 될 때에는 기밀부재(250)의 자체 탄성에 의해 고정돌기(260)의 상단부가 돌기홈을 관통하게 되며, 고정돌기(260)의 상단부가 돌기홈을 관통하게 된 다음에는 기밀부재(250)의 탄성보다 더 큰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기밀부재(250)가 고정돌기(260)에 의해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기 절제부(242)의 테두리 부분은 일정 정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밀부재(25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기밀부재(25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어 기밀부재(250)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기밀부재(250)에는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측면과 접하면서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편(252)이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편(252)은 측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적어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어프레임(220)의 측면과 접하면서 기밀부재(250)가 전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측면에는 상기 미끄럼방지편(252)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홈에 미끄럼방지편(252)이 수용되면서 상기 기밀부재(250)의 미끄럼에 의한 전후방 이동을 제한하게 됨으로써 기밀부재(250)의 미끄럼을 더욱 방지하게 된다.
상기 기밀부재(250)의 후면에는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기 절제부(24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54)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54)에 의해 기밀부재(250)는 기밀부재(250)의 후면과 접하는 상대물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기밀부재(250)의 후면은 도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측 끝 부분에서 일정 정도의 각도를 가지면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연장부(254)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부(254)는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기 절제부(242)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향하도록 상향 경사를 가지면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54)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202)을 파지하여 상기 도어(200)를 회동시키게 될 때 상대물과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접합력을 향상시켜 도어(200)가 회동하게 될 때 상기 도어후면커버(24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기 절제부(242)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 또는 스팀조리기기에 의하면 본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응축수에 의한 제품의 손상 및 응축수에 의한 요리 공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와 전면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습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조리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 응축수에 의한 내부 부품의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조리기기의 사용에 따른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효과로 인해 조리기기를 제조 및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산업에서 많은 이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도어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 도어의 후면커버 후면을 나타낸 후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도어 하면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의 일 부분을 확대한 부분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기밀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9 는 도 8의 A-A'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스팀조리기기의 후면커버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도 10의 A-A'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전면플레이트
112. 응축수홀 120. 후면플레이트
122. 흡기구 130. 상부플레이트
140. 측면플레이트 150. 하부플레이트
152. 배기구 154. 지지부재
200. 도어 202. 도어핸들
204. 조작부 206. 표시부
210. 전면유리 220. 도어프레임
222. 제3가이드 224. 제3가이드홀
226. 스토퍼 230. 도어패널
240. 도어후면커버 242. 절제부
244. 제1가이드 246. 제2가이드
248. 제2가이드홈 250. 기밀부재
252. 미끄럼방지편 254. 연장부
260. 고정돌기 300. 캐비티
310. 제1패널 320. 제2패널
321. 흡입공 330. 제3패널
340. 제4패널 350. 후면커버
351. 연통개구 352. 컨벡션장치
353. 컨벡션커버 354. 백커버
355. 컨벡션히터 356. 컨벡션팬
357. 컨벡션모터 360. 전장실
361. 마그네트론 362. 고압트랜스
363. 고주파가이드 364. 냉각팬
365. 베리어 370. 상부히터
372. 할로겐히터 374. 반사판
410. 가열챔버 420. 탱크
430. 급수펌프 440. 안내튜브
450. 탱크하우징 460. 집수유닛
461. 저장부 462. 안내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전면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에 의해 전면과 하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하여,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유리와, 상기 전면유리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과, 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후면커버가 구비되는 도어;
    상기 후면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와 도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부재;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가열챔버;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유닛;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유닛으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응축수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기밀부재에는
    외측 끝 부분에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기밀부재가 상기 캐비티와 도어 사이에서 고정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장부가 더 형성되는 스팀조리기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도어프레임과 접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편이 형성되는 스팀조리기기.
KR1020090030801A 2009-04-09 2009-04-09 스팀조리기기 KR101064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801A KR101064766B1 (ko) 2009-04-09 2009-04-09 스팀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801A KR101064766B1 (ko) 2009-04-09 2009-04-09 스팀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339A KR20100112339A (ko) 2010-10-19
KR101064766B1 true KR101064766B1 (ko) 2011-09-14

Family

ID=4313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801A KR101064766B1 (ko) 2009-04-09 2009-04-09 스팀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59192A2 (en) * 2010-12-27 2013-11-06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door having a sealing element
KR101307659B1 (ko) * 2011-07-21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용수 배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KR101307628B1 (ko) * 2011-07-21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응축수 안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KR20220105465A (ko) * 2021-01-20 2022-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113455926B (zh) * 2021-07-02 2023-05-30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用于烹饪设备的水盒组件及烹饪设备
WO2024185968A1 (ko) * 2023-03-06 2024-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1579A (ko) * 2004-06-30 2006-01-06 주식회사 화인 스팀오븐기의 도어 배수장치
KR200408377Y1 (ko) * 2005-11-24 2006-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도어
KR20060129118A (ko) * 2005-06-10 2006-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JP2007093091A (ja) * 2005-09-28 2007-04-12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1579A (ko) * 2004-06-30 2006-01-06 주식회사 화인 스팀오븐기의 도어 배수장치
KR20060129118A (ko) * 2005-06-10 2006-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JP2007093091A (ja) * 2005-09-28 2007-04-12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KR200408377Y1 (ko) * 2005-11-24 2006-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339A (ko) 201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890B1 (ko) 조리기기
KR101064766B1 (ko) 스팀조리기기
US8334482B2 (en) Cooking range with air circulation mechanism
KR20160133190A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889132B1 (ko) 오븐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EP1509066A2 (en) Microwave oven which capable of steaming food
KR101055878B1 (ko) 조리기기 및 스팀조리기기
KR101101487B1 (ko) 스팀조리기기
US6956191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ojection door which extends a cooking chamber of the microwave oven
KR20100095307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110015784A (ko) 조리기기
JP6758336B2 (ja) 加熱調理器
JP6530349B2 (ja) 加熱調理器
KR100646881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차폐구조
US20240044506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044499A1 (en) Cooking appliance
KR100813728B1 (ko) 전자레인지
JP2014043973A (ja) 加熱調理器
US20240044514A1 (en) Cooking appliance
KR20036715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랙 구조
JP6710888B2 (ja) 加熱調理器
JP6693025B2 (ja) 加熱調理器
KR100697459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