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465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465A
KR20220105465A KR1020210008191A KR20210008191A KR20220105465A KR 20220105465 A KR20220105465 A KR 20220105465A KR 1020210008191 A KR1020210008191 A KR 1020210008191A KR 20210008191 A KR20210008191 A KR 20210008191A KR 20220105465 A KR20220105465 A KR 20220105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fixing
cavity
packing memb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5465A/ko
Priority to EP22152323.6A priority patent/EP4033157A1/en
Priority to US17/579,754 priority patent/US20220228754A1/en
Publication of KR2022010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1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ealings for doors or transparent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캐비티와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 및 패킹부재를 캐비티와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패킹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고정부재의 전후방향 양측이 패킹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패킹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 등의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그리들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며,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어는 조리실의 개방된 전방에 배치되어 조리실을 개폐하며,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전면과 도어 사이에는 가스켓이 마련될 수 있다. 가스켓은,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했을 때 조리실 내의 열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가스켓은 탄성 복원력이 있는 고무계 재료로 제조되어 캐비티의 전면 또는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은,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했을 때 탄성 복원력으로 조리실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행기술에는,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패킹 고정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서는, 오븐도어의 내면에 고무재질의 패킹이 고정되기 위해, 패킹의 저면 다수 곳에 패킹본체와 동일재질로 이루어진 브래킷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오븐도어의 패킹결합부상에는, 브래킷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브래킷 고정공이 형성된다. 이 브래킷 고정공에 브래킷이 삽입, 고정됨에 의해서, 패킹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선행기술에서는, 패킹본체와 브래킷이 동일재질로 형성된다. 이 경우, 패킹본체와 브래킷은 탄성 복원력이 있는 고무계 재료로 함께 형성되거나, 경도가 높은 재료로 함께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브래킷이 고무계 재료로 형성된다면 패킹의 고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패킹본체가 경도가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면 조리실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패킹본체, 즉 가스켓 본체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고무계 재료로, 브래킷은 경도가 높은 재료로 별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가스켓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사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에는, 가스켓을 캐비티의 전면 또는 도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 재질의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가스켓과 브라켓을 별도로 성형한 후, 브라켓을 가스켓에 본딩하는 방식으로 가스켓에 대한 브라켓 설치 작업이 이루어져 왔었다. 그러나 이러한 브라켓 설치 방식에 따르면, 브라켓을 가스켓에 본딩하는 별도의 작업이 추가될 뿐 아니라, 고온 노출시 본딩 부위의 변형으로 인해 브라켓이 가스켓으로부터 분리될 위험성이 높은 단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가스켓 성형과 브라켓 설치 작업이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가스켓은 가스켓을 성형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에 기제작된 브라켓이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가스켓과 브라켓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의 재료로, 탄성 재질이면서 성형성이 좋은 실리콘 고무가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실리콘 고무 재질로 형성된 가스켓은, 고온 노출시 열경화되어 부스러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실리콘 고무 재질의 가스켓의 점을 개선하기 위해, 불소 고무 재질이 가스켓의 재료로 적용될 수 있다. 불소 고무는, 실리콘 고무에 비해 내열성이 뛰어나므로, 고온 노출시 열경화되어 부스러질 우려가 적다.
그런데 불소 고무 재질은, 실리콘 고무 재질에 비해 강도가 낮기 때문에 실리콘 고무 재질에 비해 찢어지기 쉬운 특성이 있다. 더욱이, 가스켓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브라켓을 둘러싸는 부분에서의 가스켓의 두께는 다른 부분에 비해 현저히 얇아지는데, 이로 인해 브라켓 주변부에서 가스켓의 찢어짐이 발생될 우려가 높아지게 된다.
즉 불소 고무 재질로 가스켓을 성형할 경우, 실리콘 고무 재질의 가스켓에 비해 가스켓의 찢어짐 및 브라켓 이탈 발생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불소 고무 재질은 실리콘 고무 재질에 비해 성형성이 좋지 않다. 즉 불소 고무 재질로 가스켓을 성형할 경우, 가스켓이 브라켓 주변을 제대로 둘러싸지 못하는 상태로 가스켓의 성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가스켓이 브라켓 주변을 제대로 둘러싸지 못하는 상태로 가스켓의 성형이 이루어게 되면, 브라켓 주변부에서 가스켓의 찢어짐이 발생될 가능성 및 그로 인한 가스켓 이탈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31387호(발명의 명칭: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패킹 고정구조)
본 발명은 내열성이 높으면서도 찢어짐 및 브라켓 이탈 발생 위험성이 감소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패킹부재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캐비티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 및 패킹부재를 캐비티와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패킹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고정부재의 전후방향 양측이 패킹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패킹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패킹부재를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패킹부, 및 상기 제1패킹부로부터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캐비티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로 함몰되게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1고정부의 전후방향 양측이 상기 제1패킹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고정부 측을 향한 상기 제1패킹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삽입부와 다른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패킹부의 일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삽입부는, 상기 제1패킹부의 배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되고, 제2삽입부는, 상기 제1삽입부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제1패킹부의 배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가 "L"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제1패킹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적어도 0.5mm 이상 이격된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삽입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2고정부부터 상기 제2삽입부의 함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1고정부의 전면과 배면이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패킹부의 내측면과 각각 밀착되며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실리콘 고무보다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불소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내열성이 높은 불소 고무 수지에 의해 패킹부재가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조리 과정 동안 고온에 노출되더라도 부스러지지 않으면서 조리실 밀폐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패킹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고정부재 주변을 충분한 두께로 둘러싸면서 고정부재와 함께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으므로, 고온 상태에서도 조리실 밀폐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패킹부재의 찢어짐 및 이로 인한 브라켓 이탈 발생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캐비티 및 패킹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캐비티 및 패킹부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패킹부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쿡탑부(20)와 오븐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본체(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티(11), 및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31)이 형성되며, 전면패널(13)의 내부에는 조리실(31)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쿡탑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쿡탑부(20)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쿡탑부(20)에는, 쿡탑부(2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본체(10)의 상단을 폐쇄하는 탑플레이트(21)가 제공될 수 있다.
쿡탑부(20)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가열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쿡탑가열부(22)는,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쿡탑가열부는 전기를 이용하는 히터나 유도가열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이용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쿡탑가열부(22)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부에는, 오븐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마련될 수 있다.
캐비티(1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리실(31)은 이러한 캐비티(1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리실(31)은, 캐비티(11) 내부에 배치된 대략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 내부가 가열되면서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기기에는, 조리실(31)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는,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쿡탑가열부는 전기를 이용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이용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가열부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부가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조리실(31)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브로일 버너(35)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1)의 하측에도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베이커 버너 형태의 버너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3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7)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컨벡션부(37)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7)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어(32)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31)을 개폐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32)의 전방에는, 손잡이(33)가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33)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사용자는, 손잡이(33)를 이용하여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전면 상부, 즉 캐비티(11)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패널(5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조리기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50)에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51) 및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패널(50)은 도어(32)의 상부 및 쿡탑부(20)의 전방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 커버(50a)에 입력부(51) 및 디스플레이(52)가 설치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조작스위치는 회전 조작 가능한 노브(Knob)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누름 조작이나 터치 조작 가능한 버튼 또는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52)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2)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52)가 터치 조작 가능한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되고, 이로써 하나의 터치 패널에 입력부(51)와 디스플레이(52)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조리실(31)의 후방에는, 배후공간(34)이 마련될 수 있다. 배후공간(34)은, 캐비티(11)의 후방에 배치되며, 조리실(31)과 배후공간(34) 사이를 전후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면(30a)에 의해 조리실(31)과 구획된 공간이다. 배후공간(34)의 전방 경계면은 구획면(30a)에 의해 정의되고, 배후공간(34)의 후방 경계면은 캐비티(11)의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 커버(15)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캐비티(11)의 외부에는, 상부공간(40)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공간(40)은, 캐비티(11)의 상부 및 컨트롤패널(50)의 배후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공간(40)의 내부에는, 쿡탑가열부(22)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이나 전장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쿡탑가열부(22)가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부공간(40)에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버너로의 가스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쿡탑가열부(22)가 전기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부공간(40)에는 히터나 유도가열부, 그리고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전장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공간(40)의 전면은, 전면패널(1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전면패널(13)은, 캐비티(11)와 도어(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패널(13)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공간(40)의 전방을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실(31)의 상부에 배치된 전면패널(13)의 상부 영역이 상부공간(40)의 전면을 차폐할 수 있다.
전면패널(13)에는, 흡기구(14)가 마련될 수 있다. 흡기구(14)는, 전면패널(13)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기구(14)는, 상부공간(40) 외부의 공기가 상부공간(4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전면패널(13) 상에 형성할 수 있다.
[패킹부재의 구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캐비티 및 패킹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캐비티 및 패킹부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캐비티(11)와 도어(32) 사이에는 패킹부재(100)가 배치될 수 있다. 패킹부재(100)는, 도어(32)가 조리실(31)을 폐쇄했을 때 조리실 내의 열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킹부재(100)는 전면패널(13)과 도어(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100)는, 전면패널(13)의 테두리 또는 도어(32)의 테두리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패킹부(110)와 제2패킹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00)는, 전면패널(13)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어(3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100)가 전면패널(13)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하, 패킹부재(100)가 전면패널(13)에 결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패킹부재(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패킹부(110)는, 패킹부재(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패킹부(110)는, 캐비티(11)의 전방,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면패널(13)의 전방에서 개구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패킹부(110)는, 제1패킹본체부(111) 및 제1패킹연결부(113)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패킹본체부(111)는, 제1패킹부(110) 중에서 전면패널(13)과의 결합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패킹본체부(111)는, 전면패널(1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패킹본체부(111)는, 전면패널(13)과 면접촉하며 전면패널(13)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패킹본체부(111)에는 고정부재(15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패킹연결부(113)는, 제1패킹본체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패킹본체부(111)와 제2패킹부(1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패킹연결부(113)는, 제1패킹본체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패킹연결부(113)는 제1패킹본체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과 도어(32)를 향한 방향 사이의 방향 또는 구심방향과 캐비티(11)를 향한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패킹연결부(113)는 제1패킹본체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과 캐비티(11)를 향한 방향 사이의 방향, 즉 후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패킹연결부(113)는 제1패킹본체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과 도어(32)를 향한 방향 사이의 방향, 즉 전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패킹부(120)는, 제1패킹부(11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패킹부(120)는, 제1패킹부(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패킹연결부(113)로부터 도어(32) 또는 캐비티(11)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패킹부(120)는 제1패킹부(110)로부터 도어(32)를 향한 방향, 즉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제1패킹부(110)로부터 캐비티(11)를 향한 방향, 즉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패킹부(120)는, 제1패킹부(110)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패킹부(120)가 제1패킹부(110)로부터 캐비티(11)를 향한 방향, 즉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2패킹부(120)는 전면패널(13)의 개구부를 통해 조리실(3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패킹부(120)는, 캐비티(11)의 내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캐비티(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100)는, 제3패킹부(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패킹부(130)는, 제2패킹부(120)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패킹부(120)가 제1패킹부(110)로부터 캐비티(11)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면, 제3패킹부(130)는 제1패킹부(110)로부터 도어(32)를 향한 방향, 즉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00)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고무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100)는 실리콘 고무보다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100)가 실리콘 고무보다 내열성이 높은 불소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처럼 불소 고무 재질로 형성된 패킹부재(100)는, 실리콘 고무에 비해 내열성이 뛰어나므로, 고온 노출시 열경화되어 부스러질 우려가 적다.
[고정부재의 구조]
도 7은 도 3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50)는 패킹부재(100)를 캐비티(11)와 도어(32)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50)가 패킹부재(100)를 캐비티(11),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면패널(13)에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패킹부재(100)와 전면패널(13) 사이에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50)가 배치되어 복수 지점에서 패킹부재(100)와 전면패널(13) 간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100)의 각 모서리에 고정부재(150)가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킹부재(100)의 개수와 배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각각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부재(1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고정부(160) 및 제2고정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160)는, 제1패킹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패킹부재(10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부(160)는 제1패킹본체부(1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패킹본체부(111)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100)의 각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처럼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 패킹부재(10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50)의 제1고정부(160)는, 패킹부재(100)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고정부(160)는 눈썹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금속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고정부(160)는 전면패널(13)과 마주보는 제1패킹부(110)의 배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고정부(170)는, 제1고정부(160)와 연결되어 캐비티(11)와 도어(3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고정부가 캐비티(11),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면패널(13)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고정부(170)는, 패킹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된 제1고정부(160)와 패킹부재(100)의 내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고정부(170)는, 제1고정부(160)로부터 패킹부재(100)의 외측, 예컨대 패킹부재(1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70)는, 제1고정부(160)로부터 후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고정부(170)는 제1고정부(160)로부터 ユ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패킹부재 및 고정부재와 캐비티 간의 결합 구조]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100)의 각 모서리에 고정부재(150)가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패킹부재(100)의 네 모서리에 고정부재(15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면패널(13)에는 가이드홀(13a)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홀(13a)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전면패널(13)의 네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홀(13a)은 전면패널(13)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가이드홀(13a)에 각각의 고정부재(150)가 삽입되며 전면패널(13)과 고정부재(15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패킹부재(100)와 캐비티(11), 좀 더 구체적으로는 패킹부재(100)와 전면패널(13) 간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고, 그 안내된 결합 위치에 패킹부재(100)를 임시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패킹부재(100)는, 결합돌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140)는, 패킹부재(100)와 전면패널(13)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140)는, 제1패킹부(1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면패널(13)에는 결합홀(13b)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홀(13b)은, 전면패널(13)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홀(13b)에 결합돌기(140)가 삽입되면서 전면패널(13)과 결합돌기(14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면패널(13)과 결합돌기(140)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패킹부재(100)가 전면패널(13)의 전방에 고정될 수 있다.
패킹부재(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돌기(140)가 마련될 수 있고, 전면패널(13)에도 상기 결합돌기(140)와 대응되는 개수의 결합홀(13b)이 상기 결합돌기(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지점에서 전면패널(13)과 결합돌기(14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패킹부재(100)가 전면패널(13)의 전방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3)과 결합돌기(140) 간의 끼움 결합은, 고정부재(15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50)는 전면패널(13)과 결합돌기(14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위치에 패킹부재(100)를 임시적으로 고정시키고, 이와 같이 안내되는 위치에 패킹부재(100)가 임시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전면패널(13)과 결합돌기(140) 간의 끼움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패킹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결합 구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패킹부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패킹부재(100)에는 삽입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삽입부(115)는 제1패킹부(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115)에는 제1고정부(16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15)는, 제1패킹부(110)의 내부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115)는, 삽입부(115)에 삽입된 제1고정부(160)의 전후방향 양측이 제1패킹부(110)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부(115)가 제1삽입부(116) 및 제2삽입부(117)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삽입부(116)는, 제2고정부(170) 측을 향한 제1패킹부(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제1패킹부(110)의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삽입부(116)는 제1패킹본체부(111)의 배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삽입부(117)는, 제1패킹부(110)의 내부에서 제1삽입부(116)와 다른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제1삽입부(116)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삽입부(117)는, 제1패킹부(110)의 일측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패킹본체부(111)의 배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삽입부(117)는 제1패킹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제1패킹부(110)의 일측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패킹본체부(111)의 배면으로부터 적어도 0.5mm 이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삽입부(117)의 전방과 후방이 제1패킹본체부(111)의 전면과 배면에 의해 감싸진 형태로, 제2삽입부(117)가 제1패킹부(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삽입부(117)는, 제1삽입부(116)의 전방 단부로부터 제1패킹부(110)의 배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삽입부(115)는 제1삽입부(116)와 제2삽입부(117)가 L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15)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17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삽입부(116)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고정부(170)는, 삽입부(115)의 내부에서 제1고정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고정부(160)는, 제1삽입부(116)에 삽입된 제2고정부(170)로부터 제2삽입부(117)의 함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50)는, 제1고정부(160)가 제2삽입부(117)에 삽입되고 제2고정부(170)가 제1삽입부(116)를 통해 패킹부재(100)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패킹부재(1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고정부(160)가 제2삽입부(117)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고정부재(150)와 패킹부재(1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고정부재(150)의 일부분, 즉 제2고정부는 패킹부재(10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패킹부(110)의 내부에서는, 제2삽입부(117)에 삽입된 제1고정부(160)의 전면과 배면이 제1패킹부(110)의 내측면과 각각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고정부(160)의 전면과 배면이 제1패킹부(110)의 내측면과 각각 밀착된 상태로, 제1고정부(160)가 제1패킹부(1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패킹부재(100)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사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패킹부재(100)는 불소 고무 수지를 이용한 사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00)와 고정부재(150)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고정부(160)가 제1패킹부(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패킹부재(100)와 고정부재(150)가 인서트 사출됨으로써, 패킹부재(100)와 고정부재(150)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킹부재(100)와 고정부재(150)가 일체로 성형될 때, 패킹부재(100)의 내부에서 고정부재(150)가 삽입되는 부분이 삽입부(115)에 해당된다. 이 중 제2삽입부(117)는 제1패킹본체부(111)의 배면으로부터 적어도 0.5mm 이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이러한 제2삽입부(117)에 삽입되는 제1고정부(160)의 배면에는 패킹부재(100)의 일부분이 적어도 0.5mm 이상의 두께로 덮이게 된다.
즉 고정부재(150) 중 패킹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인 제1고정부(160)의 주변이 패킹부재(100)에 의해 둘러싸이되, 패킹부재(100)가 제1고정부(160)의 각 부분을 적어도 0.5mm 이상의 두께로 둘러싸는 형태로 고정부재(150)와 패킹부재(1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킹부재(100)는 불소 고무 수지로 형성되고, 고정부재(1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불소 고무 수지 재질로 형성된 패킹부재(100)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패킹부재에 비해 높은 내열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불소 고무 수지 재질로 형성된 패킹부재(100)는, 고온 노출시에도 열경화되지 않고 그 탄성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100)는, 조리 과정 동안 고온에 노출되더라도 부스러지지 않으면서 조리실 밀폐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불소 고무는, 실리콘 고무에 비해 강도가 낮기 때문에 실리콘 고무에 비해 찢어지기 쉬운 특성이 있다. 또한 불소 고무는, 실리콘 고무에 비해 성형성이 좋지 않다. 즉 불소 고무 재질로 패킹부재를 성형할 경우, 패킹부재가 고정부재 주변을 제대로 둘러싸지 못하는 상태로 패킹부재의 성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50)가 패킹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위치가 패킹부재(100)의 배면으로부터 적어도 0.5mm 이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삽입부(115)의 위치가 설정된다.
이에 따르면, 제2삽입부(117)는 제1패킹본체부(111)의 배면으로부터 적어도 0.5mm 이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처럼 제2삽입부(117)의 위치가 설정되면, 아무리 불소 고무가 실리콘 고무에 비해 성형성이 좋지 않다고 하더라도,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패킹부재(100)가 고정부재(150) 주변을 충분한 두께로 둘러쌀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제2삽입부(117)가 제1패킹본체부(111)의 배면과 0.1mm 정도밖에 이격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된다면, 패킹부재(100)가 제1고정부(160)의 배면을 제대로 감싸지 못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불소 고무의 성형성이 좋지 않은 것은, 사출을 위해 용융된 불소 고무 수지의 흐름성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럼 흐름성이 좋지 않은 불소 고무 수지로 0.1mm 이하의 얇은 막을 제1고정부(160)의 배면에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즉 제2삽입부(117)가 제1패킹본체부(111)의 배면과 0.1mm 정도밖에 이격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될 경우, 성형성이 좋지 않은 불소 고무의 특성으로 인해, 제1고정부(160)의 배면에 패킹부재(100)가 제대로 덮이지 못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50)가 패킹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위치가 패킹부재(100)의 배면으로부터 적어도 0.5mm 이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삽입부(115)의 위치가 설정됨으로써, 흐름성이 좋지 않은 불소 고무 수지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 성형시에도 패킹부재(100)가 고정부재(150) 주변을 충분한 두께로 둘러쌀 수 있도록 한다.
즉 흐름성이 좋지 않은 불소 고무 수지의 특성 상, 0.5mm 이상의 두께로 제1고정부(160)의 배면을 덮는 막이 형성되기는 어렵다 하더라도, 적어도 제1고정부(160)의 배면에 패킹부재(100)가 제대로 덮이지 못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일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삽입부(115)의 위치가 설정됨에 따라, 0.5mm에 가까운 두께로 제1고정부(160)의 배면을 덮는 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150) 주변부에서의 패킹부재(100)의 찢어짐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부재(150)의 이탈 발생 위험성도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패킹부재(100)와 고정부재(150)를 일체로 성형한 후 성형된 제품을 금형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패킹부재(100)가 찢어지거나 고정부재(150)가 패킹부재(10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의 발생도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두께로 고정부재(150) 주변이 패킹부재(100)로 감싸진 형태로 고정부재(150)와 패킹부재(1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비록 불소 고무 자체의 강도가 실리콘 고무에 비해 낮다고 하더라도, 고정부재(150) 주변부에서의 패킹부재(100)의 찢어짐 발생 가능성이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패킹부재에 비해 오히려 낮아지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100)가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통상의 패킹부재에 비해 훨씬 두꺼운 두께로 고정부재(150) 주변을 감쌈으로써, 소재 자체 특성에 따른 강도 저하의 영향을 두께 증가로 인한 강도 증가의 효과로 상쇄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고정부재(150)와 패킹부재(100) 간의 결합이 더욱 단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캐비티
13 : 전면패널
13a : 가이드홀
14 : 흡기구
15 : 리어 커버
20 : 쿡탑부
21 : 탑플레이트
22 : 쿡탑가열부
30: 오븐부
30a : 구획면
31 : 조리실
32 : 도어
33 : 핸들
34 : 배후공간
35 : 브로일버너
37 : 컨벡션부
50 : 컨트롤패널
51 : 입력부
52 : 디스플레이
100 : 패킹부재
110 : 제1패킹부
111 : 제1패킹본체부
113 : 제1패킹연결부
115 : 삽입부
116 : 제1삽입부
117: 제2삽입부
120 : 제2패킹부
130 : 제3패킹부
140 : 결합돌기
150 : 고정부재
160 : 제1고정부
170 : 제2고정부

Claims (10)

  1.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패킹부재를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패킹부, 및 상기 제1패킹부로부터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캐비티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로 함몰되게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1고정부의 전후방향 양측이 상기 제1패킹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고정부 측을 향한 상기 제1패킹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삽입부와 다른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패킹부의 일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1삽입부는, 상기 제1패킹부의 배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되고,
    제2삽입부는, 상기 제1삽입부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제1패킹부의 배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가 L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제1패킹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적어도 0.5mm 이상 이격된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삽입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2고정부부터 상기 제2삽입부의 함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1고정부의 전면과 배면이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패킹부의 내측면과 각각 밀착되며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조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제1패킹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일체로 성형되는 조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실리콘 고무보다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불소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KR1020210008191A 2021-01-20 2021-01-20 조리기기 KR20220105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191A KR20220105465A (ko) 2021-01-20 2021-01-20 조리기기
EP22152323.6A EP4033157A1 (en) 2021-01-20 2022-01-19 Cooking appliance
US17/579,754 US20220228754A1 (en) 2021-01-20 2022-01-20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191A KR20220105465A (ko) 2021-01-20 2021-01-20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465A true KR20220105465A (ko) 2022-07-27

Family

ID=7973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191A KR20220105465A (ko) 2021-01-20 2021-01-20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28754A1 (ko)
EP (1) EP4033157A1 (ko)
KR (1) KR202201054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387A (ko) 1997-10-10 1999-05-06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패킹 고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53170B1 (fr) * 1983-10-11 1987-10-30 Gerland Joint d'etancheite en elastomere constitue d'une seule longueur de profile
EP0992740B1 (en) * 1998-10-07 2002-01-09 POSA S.p.A. Elastomeric sealing gasket for cooking ovens
WO2001063181A1 (en) * 2000-02-22 2001-08-30 G.I.A.T. S.P.A. Counter-door frame with gasket for domestic cooking ovens
DE10059167A1 (de) * 2000-11-29 2002-06-06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Backofen
DE10119789A1 (de) * 2001-04-23 2002-10-2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Gargerät
DE102006002918A1 (de) * 2006-01-20 2007-07-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rgerätedichtungseinheit
KR101064766B1 (ko) * 2009-04-09 201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387A (ko) 1997-10-10 1999-05-06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패킹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33157A1 (en) 2022-07-27
US20220228754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735B1 (ko) 조리기기
US11832752B2 (en)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1924590B1 (ko) 조리기기
KR101692636B1 (ko) 가스켓이 구비된 조리기기
EP3288338B1 (en) Cooktop having a vent
US10539331B2 (en) Cooking appliance
EP2135009B1 (en) Oven
KR101634809B1 (ko) 조리기기
KR101702660B1 (ko) 조리기기
KR20220105465A (ko) 조리기기
CN107923628B (zh) 组合式炊具
KR101671109B1 (ko) 조리기기
US20220221158A1 (en) Cooking appliance
US20220268449A1 (en) Cooking appliance
KR20220101532A (ko) 조리기기
KR102297341B1 (ko) 조리기기
KR102245314B1 (ko) 조리기기
KR20230061867A (ko) 조리기기
KR101633123B1 (ko) 조리기기
JP5235744B2 (ja) 加熱調理器
JP5934055B2 (ja) グリル扉
KR20220056608A (ko) 조리기기
KR200337672Y1 (ko) 전자레인지 스테인리스카바의 고정구조
JP2021014969A (ja) 加熱調理器
JP2014048007A (ja) グリル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