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608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608A
KR20220056608A KR1020200141340A KR20200141340A KR20220056608A KR 20220056608 A KR20220056608 A KR 20220056608A KR 1020200141340 A KR1020200141340 A KR 1020200141340A KR 20200141340 A KR20200141340 A KR 20200141340A KR 20220056608 A KR20220056608 A KR 20220056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oking
upper casing
hole
screw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608A/ko
Publication of KR2022005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조리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싱,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조리실과 연통되고, 상부케이싱과 결합하는 결합패널이 구비되고,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패널은, 스크류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관통홀, 및 결합패널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관통홀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과 조립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각 부품들이 조립되어 제작이 완료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각 부품들은 패널형태로 구비되는 부분이 있고, 이러한 패널들을 겹치고 홀을 형성하면, 이러한 홀에 스크류볼트 등의 결합기구를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각 부품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스크류볼트로 체결되는 부품들 중에는 그 두께가 매우 얇아서, 스크류볼트가 충분한 결합강도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스크류볼트의 결합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체결되는 부품들이 흔들리거나 체결이 파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조립된 조립기기의 내구성이 약해지고, 각 부품들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에는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벤트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벤트장치는 공기의 유동경로를 가이드하는 덕트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덕트는 강판을 성형하여 제작되므로, 덕트를 조리기기에 부착하는 부위는 얇은 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조리기기의 부품 중 덕트 등의 얇은 판으로 제작되는 부품을 조리기기에 스크류볼트로 체결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이유로 견고하고 안정적인 체결을 이루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부품을 조립하는 경우 조립된 상태가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결합패널과 상부케이싱을 겹치고 스크류볼트로 결합시킬때, 이들의 두께가 얇더라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조리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싱,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조리실과 연통되는 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벤트부에는 상부케이싱과 결합을 위한 결합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패널과 상부케이싱의 결합패널과 대응하는 부위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오버랩(overlap) 될 수 있다.
상부케이싱과 결합패널이 오버랩되는 부분에서는 상부케이싱과 결합패널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패널에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고, 제1돌출부의 중앙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케이싱에서는, 제1돌출부와 제1관통홀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되고, 제2돌출부의 중앙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스크류볼트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만 스크류볼트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조리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싱,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조리실과 연통되고, 상부케이싱과 결합하는 결합패널이 구비되고,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패널은, 스크류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관통홀, 및 결합패널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관통홀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벤트부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조리실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송풍팬, 송풍팬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송풍팬으로부터 방출되는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유동덕트, 유동덕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배기구, 및 유동덕트의 하부에 결합하는 결합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패널은, 유동덕트와 결합하는 제1피스, 및 제1피스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1관통홀과 제1돌출부가 구비되는 제2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피스는 상부케이싱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싱과 결합할 수 있다.
제1돌출부는 상부케이싱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케이싱은,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스크류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관통홀, 및 제1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돌출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관통홀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출부의 내주면에는 스크류볼트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돌출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1돌출부의 내주면에는 스크류볼트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돌출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조리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싱,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조리실과 연통되고, 상부케이싱과 결합하는 결합패널이 구비되고,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부를 포함하고, 결합패널은, 스크류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관통홀, 및 결합패널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관통홀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싱은,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스크류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관통홀, 및 제1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돌출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관통홀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의 내주면 또는 제2돌출부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만 스크류볼트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있어서, 결합패널과 상부케이싱의 결합부위에 각각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매우 얇은 상기 결합패널과 상부케이싱이 겹쳐진 부위에서도 스크류볼트를 사용하여 안전적이고 견고하게 상기 결합패널과 상부케이싱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만 상기 스크류볼트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함으로써, 결합패널과 상부케이싱의 결합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결합작업 동안 발생하는 스크류볼트의 파손과 이로 인한 결합패널 또는 상부케이싱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상부케이싱을 추가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패널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결합패널을 도 6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은 결합패널과 상부케이싱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 단면도이다.
도 9는 결합패널과 상부케이싱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내부에 조리실(30)이 형성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본체(10)의 상단을 폐쇄하는 상판(21)이 제공된다.
쿡탑부(20)의 중앙부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부(22)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부(22)는 전기를 이용하는 인덕션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가열부(22)는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이용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가열부(22)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0)이 위치한다.
조리실(30)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0)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조리실(30)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34)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0)의 하측에도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35)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30)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6)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부(36)은 컨벡션모터(36a), 상기 컨벡션모터(36a)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여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컨벡션팬(36b), 상기 컨벡션팬(36b)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컨벡션히터(36c)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벡션부(36)는, 조리실(30)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6)는, 조리실(30) 내부공간의 공기를 가열하고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조리실(30)의 양측 벽에는 랙(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40)에는 음식물을 담은 용기가 거치될 수 있다. 음식물을 담은 용기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랙(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전면에는 조리실(30)을 개폐하는 도어(60)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6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전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30)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6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60)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65)이 설치된다. 핸들(65)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6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그리고 도어(60)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와 조리실(30)에 구비되는 장치들을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2)의 조작스위치는 버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knob)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조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53)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3)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중 쿡탑부(20)와 조리실(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 및 도어(60)의 상부가 위치하며, 조리기기는 컨트롤패널(51)과 도어(60)에 의해 전장실(50)의 전면이 차폐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부케이싱(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싱(70)은 상기 조리실(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싱(70)은 조리실(30)과 전장실을 구분하고, 후술하는 벤트부(80)가 일측에 결합할 수 있다. 상부케이싱(70)은 본체(10)의 측면에 구비되는 다른 케이싱과 결합하여 상기 본체(10)의 골격을 이룰 수 있다.
상부케이싱(70)은 두께가 얇은 패널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얇은 강판을 금형가공하여 도시된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벤트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트부(8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30)과 연통될 수 있다. 벤트부(80)는 공기의 강제유동을 통해 조리실(30)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벤트부(80)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고, 조리기기의 작동 중에 또는 조리기기의 작동완료 후에 작동하여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기체를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부(8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상부케이싱(70)을 추가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패널(100)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결합패널(100)을 도 6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벤트부(80)는 구동모터(200), 송풍팬(300), 유동덕트(400), 배기구(500) 및 결합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벤트부(80)는 예를 들어 조리기기의 상부에, 쿡탑부(2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모터(200)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구동모터(200)는 송풍팬(300)과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3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송풍팬(300)은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조리실(30)과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0)의 입구는 상기 조리실(30)과 연통되고, 송풍팬(300)의 출구는 유동덕트(400)와 연통될 수 있다.
송풍팬(300)은 작동하여 조리실(3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유동덕트(400)로 보낼 수 있다. 송풍팬(300)은 예를 들어, 다량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고, 공간을 작게 차지하는 시로코 타입의 팬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동덕트(400)는 상기 송풍팬(300)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300)으로부터 방출되는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유동덕트(400)의 출구는 배기구(500)와 연결되어, 송풍팬(300)으로 유입되는 조리실(30) 내부의 공기 즉, 고온의 기체는 유동덕트(400)에 의해 유동이 가이드되어 배기구(50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유동덕트(400)는 얇은 패널을 이용하여 중공을 형성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배기구(500)는 상기 유동덕트(40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배기구(500)는 상기 유동덕트(400)의 출구와 연통되고,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00)이 흡입한 조리실(30) 내부의 공기는 최종적으로 배출홀을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합패널(100)은 상기 유동덕트(400)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부케이싱(70)과 결합할 수 있다. 상부케이싱(70)은 유동덕트(400)를 형성하는 패널에 볼트 등의 결합기구를 사용하거나, 접착제로 접착되어 상기 유동덕트(400)와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결합패널(100)은 상기 유동덕트(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패널(100)은 상부케이싱(70)과 면접촉한 상태에서 스크류볼트(9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싱(70)과 결합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경량화와 조립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결합패널(100)과 상기 상부케이싱(70)은 얇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부케이싱(70)은 결합패널(100)과 서로 겹쳐져 서로가 결합하는 부위에서 두께가 매우 얇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의 결합부위는 모두 대략 0.5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을 겹쳐 놓아도 약 1mm 정도의 두께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을 겹치고 스크류볼트(90)를 체결하는 경우 얇은 두께로 인해 견고한 체결이 어려워질 수 있다.
스크류볼트(90)는 일반적으로 볼트머리의 바로 아래부분, 즉 볼트의 목(neck) 부위에 나사산의 가공이 어려우며, 나사산이 가공되지 않는 목부위의 길이는 대략 2mm 내외가 될 수 있다.
전술한 결합패널(100), 상부케이싱(70) 및 스크류볼트(90)의 구조를 고려하면,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을 겹치고, 이러한 겹친부위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을 통해 스크류볼트(90)를 타이트하게 조일 경우에, 스크류볼트(90)에 의한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은 불가능할 수 있다.
스크류볼트(90)에서 나사산이 가공되지 않는 목부위의 길이가 상기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을 겹친 두께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을 겹치고 스크류볼트(90)로 결합시킬때, 이들의 두께가 얇더라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결합패널(100)은 제1피스(101) 및 제2피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패널(100)은 스크류볼트(90)에 의해 상부케이싱(70)과 결합되기 위해 제1관통홀(110)과 제1돌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피스(101)는 상기 유동덕트(40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피스(102)는 상기 상부케이싱(70)과 서로 겹쳐져서 스크류볼트(9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싱(70)과 결합하는 부위가 될 수 있다. 이때, 제2피스(102)는 가공성을 높이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제2피스(102)는 상기 제1피스(10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110)과 상기 제1돌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피스(102)는 상부케이싱(70)과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을 위해,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제2피스(102)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10)과 제1돌출부(12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관통홀(110)과 제1돌출부(120)는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들의 개수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1관통홀(110)에는 스크류볼트(90)가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제1돌출부(120)는 상기 결합패널(100)의 상기 제2피스(10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110)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돌출부(120)는, 스크류볼트(90)의 안정적인 체결을 위해, 예를 들어 제2피스(102)의 하단에서 제1돌출부(120)의 상단까지 대략 1.6mm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피스(102)는 상기 상부케이싱(70)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싱(70)과 결합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싱(70)이 하부에 배치되고 제2피스(102)가 상부에 배치되어 서로 상하방향으로 겹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류볼트(90)에 의해 상부케이싱(70)과 제2피스(102)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돌출부(120)가 제2피스(102) 하면과 상부케이싱(70) 상면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상기 제1돌출부(120)는 상부케이싱(70)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 단면도이다. 도 9는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상부케이싱(70)은 제2관통홀(71)과 제2돌출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관통홀(71)은 상기 제1관통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볼트(90)가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제2돌출부(72)는 상기 제1돌출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돌출부(120)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관통홀(71)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72)는, 스크류볼트(90)의 안정적인 체결을 위해, 예를 들어 제2돌출부(72)의 끝단에서 상부케이싱(70)의 상단까지 대략 1.6mm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70)은 제2관통홀(71)과 제2돌출부(72)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제1관통홀(110)과 제2관통홀(71)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돌출부(120)와 제2돌출부(72)도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돌출부(120)와 제2돌출부(72)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출부(72)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볼트(90)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12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스크류볼트(90)는 제1관통홀(110)로부터 제2관통홀(71)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볼트(90)는 제1돌출부(120)의 끝단을 가압할 수 있다.
만약, 제1돌출부(120)와 제2돌출부(72)의 각각의 내주면에 모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우에 스크류볼트(90)를 회전시켜 제2피스(102)와 상부케이싱(70)를 서로 결합시키는 작업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또한 이경우에 제1돌출부(120)의 내주면에 스크류볼트(90)가 잘못 체결되고, 이로 인해 스크류볼트(90)의 나사산이 파손되면, 파손된 스크류볼트(90)의 나사산이 제2돌출부(72)의 나사산을 파손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제1돌출부(12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아, 스크류볼트(90)가 제2돌출부(72)의 내주면에만 나사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크류볼트(90)가 제2돌출부(72)의 내주면에 나사결합을 하면, 제2피스(102)는 스크류볼트(90)의 볼트머리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케이싱(7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술한 구조와 반대되는 구조의 구현도 가능하다. 즉, 제1돌출부(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볼트(90)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7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상태와 반대방향과 반대형상으로 상기 스크류볼트(90)가 체결될 수 있다. 즉, 스크류볼트(90)는 제2관통홀(71)로부터 제1관통홀(110)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볼트(90)는 제2돌출부(72)의 끝단을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을 가지는 경우에도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 체결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잇점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120)의 내주면 또는 상기 제2돌출부(72)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만 상기 스크류볼트(90)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의 결합부위에 각각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매우 얇은 상기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이 겹쳐진 부위에서도 스크류볼트(90)를 사용하여 안전적이고 견고하게 상기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돌출부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만 상기 스크류볼트(90)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함으로써, 결합패널(100)과 상부케이싱(70)의 결합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결합작업 동안 발생하는 스크류볼트(90)의 파손과 이로 인한 결합패널(100) 또는 상부케이싱(70)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본체 20: 쿡탑부
21: 상판 22: 가열부
30: 조리실 34: 상부히터
35: 하부히터 36: 컨벡션부
36a: 컨벡션모터 36b: 컨벡션팬
36c: 컨벡션히터 40: 랙
50: 전장실 51: 컨트롤패널
52: 입력부 53: 디스플레이
60: 도어 65: 핸들
70: 상부케이싱 71: 제2관통홀
72: 제2돌출부 80: 벤트부
90: 스크류볼트 100: 결합패널
101: 제1피스 102: 제2피스
110: 제1관통홀 120: 제1돌출부
200: 구동모터 300: 송풍팬
400: 유동덕트
500: 배기구

Claims (10)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싱;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고, 상기 상부케이싱과 결합하는 결합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패널은,
    스크류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관통홀; 및
    상기 결합패널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돌출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방출되는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유동덕트;
    상기 유동덕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배기구; 및
    상기 유동덕트의 하부에 결합하는 상기 결합패널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패널은,
    상기 유동덕트와 결합하는 제1피스; 및
    상기 제1피스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1돌출부가 구비되는 제2피스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는 상기 상부케이싱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싱과 결합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부케이싱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은,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관통홀; 및
    상기 제1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돌출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관통홀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2돌출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볼트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조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볼트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조리기기.
  9.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싱;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고, 상기 상부케이싱과 결합하는 결합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패널은,
    스크류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관통홀; 및
    상기 결합패널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싱은,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관통홀; 및
    상기 제1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돌출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관통홀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2돌출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제2돌출부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만 상기 스크류볼트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KR1020200141340A 2020-10-28 2020-10-28 조리기기 KR20220056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40A KR20220056608A (ko) 2020-10-28 2020-10-28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40A KR20220056608A (ko) 2020-10-28 2020-10-28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608A true KR20220056608A (ko) 2022-05-06

Family

ID=8158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340A KR20220056608A (ko) 2020-10-28 2020-10-28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66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1843B1 (en) Oven
US6201225B1 (en) Air duct in multi-purpose microwave oven
KR20040068681A (ko) 전자렌지
US6369372B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US6852963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CN107830555B (zh) 微波炉
JPH02230026A (ja) 調理器
KR20220056608A (ko) 조리기기
US20230093325A1 (en) Cooking apparatus
KR20040052325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US5886328A (en) Cooking chamber cavity structure of microwave ovens
US20030230571A1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JP7170597B2 (ja) 加熱調理器
KR100716001B1 (ko) 오븐 레인지
JP7076406B2 (ja) 加熱調理器
KR100191537B1 (ko) 전자렌지용 커버의 고정장치
WO2024144606A1 (en) A built-in cooking appliance
KR200386106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674267B1 (ko) 전기오븐의 피시비 장착구조
KR100633174B1 (ko) 전기오븐의 컨벡션커버
KR200153346Y1 (ko) 전자렌지의 도어구조
KR200337670Y1 (ko) 전자레인지의 블로워팬구조
KR200380809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KR100285862B1 (ko) 전자렌지의캐비넷조립체
KR100499482B1 (ko) 토스터를 갖는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