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105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105A
KR20160117105A KR1020150049000A KR20150049000A KR20160117105A KR 20160117105 A KR20160117105 A KR 20160117105A KR 1020150049000 A KR1020150049000 A KR 1020150049000A KR 20150049000 A KR20150049000 A KR 20150049000A KR 20160117105 A KR20160117105 A KR 20160117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unit
cooking
heating un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424B1 (ko
Inventor
문성철
윤부근
키타시마테츠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85,79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05460B2/en
Publication of KR2016011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2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홀을 갖고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 제1가열부에 적층 배치되고 제1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홀을 가지며, 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 제1가열부의 제1홀과 제2가열부의 제2홀에 배치되되 제2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조리 용기가 접촉되면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리 용기 하부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출력을 다단의 레벨로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온도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어 음식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를 함께 동작시킴으로써 제1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제2가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열 속도를 높이면서 제2가열부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로,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과,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가스 레인지, 오븐 및 전기 레인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조리 중 특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음식물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열의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경우 음식물이 설익거나 타버릴 수도 있다.
그리고,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열의 온도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할 경우 음식물이 조리용기 밖으로 끓어 넘치거나, 튀김용 오일이 비산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요리하는데 있어서 조리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튀김 온도를 조절하거나 수프 등을 적당한 온도로 데우고 보온을 유지하는 경우 온도 조절은 더욱 중요하다.
가스 레인지의 경우, 최대/오프 또는 최대/최소/오프로 화력을 조절하거나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가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화력을 다단으로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최대/오프 또는 최대/최소/오프로 가스 레인지의 화력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화력의 조절단수가 적어 화력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가스 레인지의 화력을 다단으로 조절하는 경우에는 가스레인지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측면은 가스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와,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되 제1가열부의 출력을 보강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고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타입의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제1가열부의 제1가열 레벨과, 제2가열부의 제2가열 레벨을 조합하여 다단의 출력 레벨을 설정하고, 조리 정보에 대응하는 출력 레벨이 되도록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제1홀을 갖고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 제1가열부에 적층 배치되고 제1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홀을 가지며, 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 제1가열부의 제1홀과 제2가열부의 제2홀에 배치되되 제2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조리 용기가 접촉되면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를 포함한다.
제2가열부는 제1가열부와 이격 배치된다.
온도 검출부는, 제2홀의 외부로 돌출되고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싱부와, 센싱부에 연결되고 센싱부의 신호 라인을 수용하고 제1홀과 제2홀을 이동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가이드부는, 제2가열부의 통신 라인 및 전원 라인을 더 수용한다.
센싱부의 크기는 제2홀의 크기보다 작다.
제2가열부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발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의 방출을 방지하는 절연부를 포함한다.
제2가열부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발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제1가열부와 하우징의 하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의 방출을 방지하는 절연부와, 하우징의 상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절연부, 하우징 및 패널은 서로 적층 배치되고, 제2홀을 각각 갖는다.
온도 검출부는, 조리 용기에 의해 가압되면 패널의 제2홀 내부로 이동하되 패널의 상부 면과 동일한 위치로 이동한다.
제 2가열부는, 하우징과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과 패널을 연결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 2가열부는, 하우징과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패널을 탄성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제1가열부의 가열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레벨의 조합에 의해 설정된 다단의 출력레벨을 저장부; 다단의 출력 레벨 중 어느 하나의 출력 레벨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가열레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외부의 디바이스에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동작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통신부에 수신된 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가열레벨을 각각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검출된 온도를 외부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검출된 온도가 제한 온도 이상이면 알람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적층된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높이는 지지대의 높이와 동일하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 동작 시 조리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조리 시간이 제한 시간을 경과하면 알람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제1홀을 갖고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 제1가열부에 적층 배치되고 제1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홀을 가지며, 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되 제1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보강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 제1가열부의 제1홀과 제2가열부의 제2홀에 배치되되 제2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조리 용기가 접촉되면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제1가열부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1가열부의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제2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온도 검출부는, 제2홀의 외부로 돌출되고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싱부와, 센싱부에 연결되고 센싱부의 신호 라인, 제2가열부의 통신 라인 및 전원 라인을 수용하고 제1홀과 제2홀을 이동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제2가열부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발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제1가열부와 하우징의 하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의 방출을 방지하는 절연부와, 하우징의 상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절연부, 하우징 및 패널은 서로 적층 배치되고, 제2홀을 각각 갖는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입력부에 메뉴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뉴에 대응하는 출력레벨, 조리 시간 및 에너지 소비량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천 정보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조리 중 정온 제어 시점이면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조절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 제1가열부에 적층 배치되되 제1가열부와의 사이에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가열부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제1가열부의 가열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레벨의 조합에 의해 설정된 다단의 출력레벨을 저장부; 다단의 출력 레벨 중 어느 하나의 출력 레벨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가열레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리 용기 하부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출력을 다단의 레벨로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온도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어 음식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를 함께 동작시킴으로써 제1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제2가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열 속도를 높이면서 제2가열부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를 함께 동작시킴으로써 제2가열부 측으로 제1가열부의 열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1가열부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를 이격 배치시켜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가열부에 외부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가스의 연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가열부의 화염이 온도 검출부로 향하여 온도 검출부의 센싱 값이 빠르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가열부의 작동 중에 가스밸브가 차단되는 경우, 제2가열부를 이용하여 조리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출된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면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출력을 하향 조절하여 안전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부 또는 통신부에 수신된 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여 자동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리 정보를 외부의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 정도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예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100a)의 예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조리부의 x-x단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레인지 어셈블리에 마련된 온도 검출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제1조리부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제1가열부의 예시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제2가열부의 예시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제2가열부의 상세 예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출력 레벨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조리 용기의 예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예시도이다.
조리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 공간 중 상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1조리부(100a)와, 하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조리부(100b)를 포함한다.
아울러 조리기기(1)의 본체는 제1조리부(100a)와 제2조리부(100b) 중 제1조리부(100a)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1조리부(100a)는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되되 조리 용기가 놓일 수 있도록 배치되고, 조리 용기 측으로 열을 발생시켜 조리 용기 내의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한다.
제2조리부(100b)는 조리 공간을 포함하고, 이 조리 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조리 공간에 음식물이 수용된 후 밀폐되면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조리 공간으로 전달하여 밀폐된 음식물이 건열에 의해 익도록 한다.
이러한 제1조리부(100a)는 레인지일 수 있고, 제2조리부(100b)는 오븐일 수 있다.
조리기기의 본체(100)는 제1조리부(100a)와 제2조리부(100b)의 조리 정보를 입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c)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c)는 조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10)와, 조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제1조리부(100a)의 출력 레벨을 입력받는 제1입력부(111)와, 제1조리부(100a)와 제2조리부(100b)의 조리 정보를 입력받는 제2입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입력부(111)는 조그 다이얼, 물리적 버튼 또는 터치 버튼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입력부(112)는 물리적 버튼, 터치 버튼 및 조그 다이얼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제1조리부(100a) 및 제2조리부(100b)의 동작 중 조리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LCD, PDP, OLE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로 마련 가능하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100a)의 예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조리부의 x-x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리부(100a)는 본체(100)의 상부 부분을 커버하는 플레이트(130)와, 플레이트(13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하고 조리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대(140)와, 플레이트(130)에 배치되고 열을 발생시키는 레인지 어셈블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레인지 어셈블리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복수의 레인지 어셈블리(150: P1, P2, P3, P4)는 최대 출력 레벨이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30)는 함몰부(131)와, 함몰부(131)에 형성된 개구(132)를 포함한다.
이러한 함몰부(131)에는 지지대(140)가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플레이트(130)의 개구(132)의 수와 레인지 어셈블리(150)의 수는 동일하며, 한 개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30)의 개구(132)에는 레인지 어셈블리(150)가 배치된다. 이러한 레인지 어셈블리(150)는 함몰부(13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130)의 함물부(131)는 조리 용기에서 넘친 음식물을 수용하고 음식물의 물이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대(140)는 하나의 레인지 어셈블리(150)와 쌍을 이루고, 쌍을 이룬 레인지 어셈블리(150)에 주변에 위치하여 쌍을 이룬 레인지 어셈블리(150)에 위치한 조리 용기를 지지하는 단독형 지지대(140a)일 수 있다.
단독형 지지대(140a)는 플레이트(130)에 접촉하는 프레임(141)과, 프레임(141)에서 돌출 형성되어 조리 용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세 개의 지지 레그(142)를 포함한다.
적어도 세 개의 지지 레그(142)는 일정 높이를 가지되 서로 동일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적어도 세 개의 지지 레그(142)는 조리 용기가 레인지 어셈블리(150)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한다.
지지대(140)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인지 어셈블리(150)와 쌍을 이루고, 쌍을 이루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인지 어셈블리에 위치한 조리 용기를 각각 지지하는 연결형 지지대(140b)일 수 있다.
연결형 지지대(140b)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인지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사이즈의 프레임(143)과, 프레임(143)에서 적어도 두 개의 레인지 어셈블리 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 레그(144)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지지 레그는 서로 다른 레인지 어셈블리를 향하는 지지 레그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지지 레그가 서로 연결된 공통 지지 레그(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인지 어셈블리(150)가 복수 개인 경우, 지지대(140)는 레인지 어셈블리(150) 별로 단독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전체 연결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부만이 연결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대(140)의 프레임(141, 143)의 외곽의 형상 및 사이즈는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함몰부의 외곽의 형상 및 사이즈와 각각 대응한다. 이에 따라 지지대(140)는 플레이트(130)의 함물부(131)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예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레인지 어셈블리에 마련된 온도 검출부의 상세 구성도이며, 도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변형 예시도이다. 이를 도 4, 도 5,a 도5b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 어셈블리(150)는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150a)와, 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150b)와,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150c)를 포함한다.
제1열원은 가스이고, 제2열원은 전기 에너지일 수 있다.
즉 제1가열부(150a)는 가스 레인지일 수 있고, 제2가열부(150b)는 전기 레인지일 수 있다.
제2가열부(150b)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체를 직접 가열하는 하이라이트 전기 레인지와, 전기 코일에 자기장을 형성시켜 자성을 띄는 조리용기에 열이 발생하도록 하는 인덕션 전기 레인지와, 주철이나 코팅열판 아래에서 코일 형태의 전열선을 가열하는 핫 플레이트와, 강관 속에 발열체와 단열체로 구성된 시즈 전기 레인지와, 할로겐 램프에서 나오는 원적외선 파워로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할로겐 전기 레인지 중 어느 하나의 전기 레인지일 수 있다.
또한 제2가열부(150b)는 볼펜 스프링 방식의 노말 전기레인지와, 페스트 발열체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페스트 전기 레인지일 수 있다.
레인지 어셈블리(150)의 제1가열부(150a)는 제1조리부(100a)의 플레이트(130) 내 함몰부(131)에 배치되고, 제2가열부(150b)는 제1가열부(150a)에 적층 배치되되 제1가열부(150a)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배치된다.
제1가열부(150a)의 평면과 제 2가열부(150b)의 평면은 원형의 형상이거나 비 원형의 형상일 수 있고, 제1가열부(150a)의 사이즈는 제 2가열부(150b)의 사이즈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가열부(150b)는 제1가열부(150a)에서 발생되는 화염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제2가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인지 어셈블리(150)는 조리 용기의 가열 속도를 높이면서 제2가열부에서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레인지 어셈블리(150)의 제1가열부(150a)는 제1홀(h1)을 포함하고, 제 2가열부(150b)는 제1홀(h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홀(h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홀(h1)과 제2홀(h2)은 레인지 어셈블리(15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온도 검출부(150c)는 제1가열부(150a)의 제1홀(h1)과 제 2가열부(150b)의 제2홀(h2)에 배치되되, 제 2가열부(150b)의 외부로 일정 길이(d1)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조리 용기에 의해 가압되면 제 2가열부(150b)의 제2홀(h2) 내부로 일정 길이(d1)만큼 이동한다.
적층된 제1가열부(150a)와 제 2가열부(150b)의 높이는,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의 높이와 동일하고, 가압된 온도 검출부(150c)의 높이와 동일하다.
즉, 조리 용기가 레인지 어셈블리(150)에 놓이게 되면, 조리 용기의 바닥면은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와, 제 2가열부(150b)의 패널의 상부 면과, 온도 검출부(150c)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검출부(150c)는 조리 용기의 바닥 면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적층된 제1가열부(150a)와 제2가열부(150b)의 높이는, 플레이트(130)의 함몰부(131)로부터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의 까지의 높이이다.
또한 적층된 제1가열부(150a)와 제 2가열부(150b)의 높이는,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의 높이보다 낮을 수도 있다.
또한 적층된 제1가열부(150a)와 제 2가열부(150b)의 높이는, 조리 용기에 의해 가압된 온도 검출부(150c)의 높이와 동일할 수도 있다.
온도 검출부(150c)는 제 2가열부(150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싱부(151a)와, 센싱부(151a)에 연결되고 센싱부(151a)의 신호 라인을 수용하며 제1홀(h1)과 제2홀(h2)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151b)와, 제1홀(h1) 내부에 배치되거나 제1홀(h1)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센싱부(151a)가 가압되면 센싱부(151a)와 가이드부(151b)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센싱부(151a)의 가압이 해제되면 센싱부(151a)와 가이드부(151b)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51c)를 포함한다.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검출부의 센싱부(151a)는 제2홀(h2)의 크기(w1)보다 작은 크기(w2)를 갖는다.
이에 따라 센싱부(151a)는 제2홀(h2)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제2홀(h2)에서 용이하게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51b)는 유연성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51b)는 센싱부(151a)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센싱부(151a)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151b)는 수용부를 갖고, 센싱부(151a)에 센싱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라인과, 제2가열부(150b)에 전원 및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을 갖는 라인부(151d)를 수용한다.
여기서 구동모듈에 연결된 제2가열부(150b)의 라인은, 제1가열부의 헤드에 위치한 제1홀에서 제2가열부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라인부(151d)는 구동 모듈(160)에 연결되어 구동모듈과 제1가열부, 제2가열부 및 온도 검출부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구동모듈(160)은 복수의 레인지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PCB)일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1c)는 제2홀(h2) 내에 배치되되 센싱부(151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151c)는 가이드부(151b)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151c)는 가이드부(151b) 내에 배치되되 센싱부(151a)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제1가열부(150a)의 예시도이다.
제1가열부(150a)는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153a)과, 배관(153a)에 마련되어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1밸브(153b)와, 배관(153a)에 마련되어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153c)와, 배관(153a)에 연결된 몸체(153d)와, 몸체(153d)의 내부에 안착되는 헤드(153e)와, 헤드(153e)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153f)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153d), 헤드(153e) 및 캡(153f)은 환 형상일 수 있다.
제1밸브(153b)는 구동 모듈(160)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제2밸브(153c)는 구동 모듈(160)에 의해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몸체(153d)는 조리기기의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헤드(153e)와 캡(153f)은 조리기기의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개구(132)에 위치한다.
헤드(153e)의 외주 면에는 톱니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53d)에 헤드(153e)가 안착되면 외측을 향해서 복수 개의 화염구(153g)가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53d)와, 헤드(153e)와, 캡(153f)은 동일 위치에 형성된 제1홀(h1)을 각각 갖는다.
제1가열부(150a)는 사용자의 조그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고 점화를 위한 점화부(153h)를 포함한다.
여기서 점화부(153h)는 자동 점화가 가능할 수도 있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제2가열부(150b)의 예시도이고,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제2가열부(150b)의 상세 예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열부(150b)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154a)와, 발열부(154a)를 수용하는 하우징(154b)와, 하우징(154b)에 접촉되어 배치되고 발열부(154a)의 열이 제1가열부(150a)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154c)를 포함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4b)은 발열부(154a)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고 발열부(154a)에 전력을 공급하는 라인(154g)이 외부로 인출되어 구동모듈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발열부(154a)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54b)은 절연부(154c)에 적층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54b)과 절연부(154c)는 서로 동일 위치에 형성된 제2홀을 각각 갖는다.
이때 조리 용기의 바닥면은 하우징(154b)에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2가열부(150b)는 외력으로부터 발열부(154a)를 보호하기 위한 패널(154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패널(154d)은 강화 유리로 마련될 수 있다.이 경우 하우징(154b)은 절연부(154c)에 적층 배치되고, 패널(154d)은 하우징(154b)에 적층 배치된다.
이러한 절연부(154c), 하우징(154b) 및 패널(154d)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제2홀(h2)을 각각 갖는다.
이 패널(154d)은 하우징(154b)과 동일한 사이즈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패널(154d)은 고정부재(154e)에 의해 하우징(154b)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54b), 절연부(154c) 및 패널(154d)은 결합부재(154f)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제2가열부의 예시도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레인지 어셈블리(150)는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150a)와, 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150b)와,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150c)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1가열부(150a)와 온도 검출부(150c)는 도 3a의 실시 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2가열부(150b)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154a)와, 발열부(154a)를 수용하는 하우징(154b)과, 하우징(154b)에 접촉되어 배치되고 발열부(154a)의 열이 제1가열부(150a)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154c)와, 외력으로부터 발열부(154a)를 보호하기 위한 패널(154d)을 포함한다.
제2가열부(150b)의 발열부(154a)와, 하우징(154b)과, 절연부(154c)와, 패널(154d)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2가열부(150b)는, 하우징(154b)에 패널(154d)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54h)를 더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 어셈블리의 고정부재(154h)는 하우징(154b)에 패널(154d)이 고정되도록 연결하되 패널(154d)에 조리 용기가 놓이면 수축되고 패널(154d)에서 조리 용기가 제거되면 이완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130)의 함몰부(131)에서 패널(154d)까지의 높이는 플레이트(130)의 함몰부(131)에서 지지레그(142)까지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고, 또한 온도 검출부의 높이는 지지 레그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아울러 조리 용기가 레인지 어셈블리에 놓이게 되면, 플레이트(130)의 함몰부(131)에서 패널(154d)까지의 높이, 지지레그의 높이 및 온도 검출부의 높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즉, 패널(154d), 지지레그 및 온도 검출부는 모두 조리 용기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가열부의 패널(154d)의 높이를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의 높이보다 높게 하되 제2가열부의 패널(154d)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제2가열부의 패널(154d)과 조리 용기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제2가열부의 패널(154d)에 조리 용기가 놓이면 제2가열부의 패널(154d)의 높이가 지지 레그와 같은 높이가 되어 제2가열부의 패널(154d)과 조리 용기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 어셈블리(150)는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150a)와, 제1가열부(150a)에 적층되고 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150b)와,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150c)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가열부(150a)는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153a)과, 배관(153a)에 마련되어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1밸브(153b)와, 배관(153a)에 마련되어 가스의 공급량을 하이 또는 로우로 조절하는 제2밸브(153c)와, 배관(153a)에 연결된 환형상의 몸체(153d)와, 몸체(153d)의 내부에 안착되는 환형상의 헤드(153e)와, 헤드(153e)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환형상의 캡(153f)과, 사용자의 조그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고 점화를 위한 점화부(153h)를 포함한다.
제2가열부(150b)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154a)와, 발열부(154a)를 수용하는 하우징(154b)와, 하우징(154b)에 접촉되어 배치되고 발열부(154a)의 열이 제1가열부(150a)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154c)와, 외력으로부터 발열부(154a)를 보호하기 위한 패널(154d)을 포함한다.
온도 검출부(150c)는 제 2가열부(150b)의 패널(154d)의 상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싱부(151a)와, 센싱부(151a)에 연결되어 센싱부(151a)를 지지하고 제1홀(h1)과 제2홀(h2) 내부를 이동하는 가이드부(151b)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51b)는 센싱부(151a)에 센싱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라인과, 제2가열부(150b)에 전원 및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라인을 갖는 라인부(151d)를 수용한다.
레인지 어셈블리(150)의 제1가열부(150a)는 제1홀(h1)을 포함하고, 제 2가열부(150b)는 제1홀(h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홀(h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홀(h1)과 제2홀(h2)은 레인지 어셈블리(15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온도 검출부(150c)는 제1가열부(150a)의 제1홀(h1)과 제 2가열부(150b)의 제2홀(h2)에 배치되되, 제 2가열부(150b)의 상부 면과 동일 높이로 배치된다.
즉 온도 검출부(150c)의 센싱부(151a)는 제2가열부(150b)의 패널(154d)의 제2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제1가열부(150a)와 제 2가열부(150b)의 높이는,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의 높이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조리 용기가 놓이면,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와, 제 2가열부(150b)의 패널(154d)의 상부 면과, 온도 검출부(150c)의 센싱부(151a)가 조리 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온도 검출부(150c)의 센싱부(151a)는 조리 용기의 바닥면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 어셈블리(150)는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150a)와, 제1가열부(150a)에 적층되고 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150b)와,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150c)를 포함한다.
제1가열부(150a)는 도 3a의 제1가열부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가열부(150b)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154a)와, 발열부(154a)를 수용하는 하우징(154b)와, 제1가열부와 하우징(154b) 사이에 배치되고 발열부(154a)의 열이 제1가열부(150a)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154c)를 포함한다.
온도 검출부(150c)는 제 2가열부(150b)의 하우징(154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싱부(151a)와, 센싱부(151a)에 연결되고 센싱부(151a)의 신호 라인을 수용하며 제1홀(h1)과 제2홀(h2)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이드부(151b)와, 센싱부(151a)가 가압되면 센싱부(151a)와 가이드부(151b)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센싱부(151a)의 가압이 해제되면 센싱부(151a)와 가이드부(151b)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51c)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51b)는 센싱부(151a)에 센싱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라인과, 제2가열부(150b)에 전원 및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을 갖는 라인부(151d)를 수용한다.
라인부(154d)는 구동 모듈(160)에 연결되어 구동모듈과 제1가열부, 제2가열부 및 온도 검출부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레인지 어셈블리(150)의 제1가열부(150a)는 제1홀(h1)을 포함하고, 제 2가열부(150b)는 제1홀(h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홀(h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홀(h1)과 제2홀(h2)은 레인지 어셈블리(15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온도 검출부(150c)는 제1가열부(150a)의 제1홀(h1)과 제 2가열부(150b)의 제2홀(h2)에 배치되되, 제 2가열부(150b)의 하우징(154b)의 상부 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온도 검출부(150c)는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조리 용기가 지지대의 지그 레그에 놓이면 조리 용기에 의해 가압되어 센싱부(151a)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센싱부(151a)는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 높이만큼 이동한다.
여기서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의 높이는 플레이트의 함몰부(131)로부터의 높이다.
이에 따라 지지대의 지지 레그에 조리 용기가 놓이면,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와, 온도 검출부(150c)의 센싱부(151a)가 조리 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온도 검출부(150c)의 센싱부(151a)는 조리 용기의 바닥면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레인지 어셈블리(150)는 도 3a에 도시된 레인지 어셈블리(150)와 달리 제1가열부(150a)와 적층 배치되되 제1가열부(150a)로부터 일정 거리(d2) 이격 배치된 제2가열부(150b)를 포함한다.
즉 레인지 어셈블리(150)의 제1가열부(150a)는 제1조리부(100a)의 플레이트(130) 내 함몰부(131)에 배치되고, 제2가열부(150b)는 제1가열부(150a)에 일정 거리(d2)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가열부(150a)와 제2가열부(150b) 사이에는 지지부재(15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가열부(150b)는 지지부재(152)에 의해 제1가열부(150a)에서 일정 거리(d2)의 갭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9a의 레인지 어셈블리(150)의 그 외 구성은 도 3a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 어셈블리의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 사이에는 공기의 유로(f)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1가열부 동작 시 외부 공기가 공급되어 제1가열부의 가스의 연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1가열부의 하부가 제1가열부의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고, 제1가열부의 상부가 제1가열부의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아 제1가열부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흐르게 되고,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가스의 연소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레인지 어셈블리의 온도 검출부(150c)는 제1가열부의 화염구(153g)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되되 제1가열부(150a)가 최대 화력일 때 바람에 의한 제1가열부(150a)의 화염이 미치지 않는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거리는 실험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검출부(150c)에서 센싱된 온도가 제1가열부(150a)의 화염에 의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제1조리부의 제어 구성도로,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리 기기의 제1조리부의 제어 구성은 도3a, 도6, 도7, 도 8 및 도 9a에 도시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제어 시에 구현 가능하다.
조리기기(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c), 온도 검출부(150c), 제1조절부(155), 제2조절부(156) 및 구동 모듈(160)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c)는 조리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조리 정보를 구동모듈(160)에 전송하는 입력부(110)와, 구동 모듈(16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정보를 표시하되 입력된 조리 정보, 레인지 어셈블리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제1조리부(100a)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출력 레벨을 입력받는 제1입력부(111)와, 제1조리부(100a)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조리 정보를 입력받는 제2입력부(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입력부(111)는 레인지 어셈블리 별로 매칭되어 마련될 수 있고 매칭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입력부(111)는 제1가열부(150a)의 가열 레벨을 입력받고, 제2입력부(112)는 제2가열부(150b)의 가열 레벨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즉, 조리기기는 제1조리부에 마련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제1가열부(150a)와 제2가열부(150b)의 가열 레벨을 각각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입력부(111)와 제2입력부(112)는 조그 다이얼, 물리적 버튼, 터치 버튼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입력부(111)는 예약 조리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여기서 조리 예약 정보는 조리할 레인지 어셈블리의 위치와, 조리할 메뉴와 조리 시작 시간 또는 조리 종료 시간을 포함한다.
표시부(12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조리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제1조리부(100a) 및 제2조리부(100b)의 동작 중 조리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입력부(110)에 입력된 조리 정보는 레인지 어셈블리의 출력 레벨,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 조리 예약 정보, 음식물의 종류 및 조리 방식, 조리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조리 정보는 레인지 어셈블리의 출력 레벨,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 음식물의 종류 및 조리 방식, 조리 시간, 조리 예약 정보 및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입력된 조리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창(121)과, 조리 용기의 현재 온도, 조리 용기의 목표 온도 및 조리 시간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창(122)과, 동작 중인 레인지 어셈블리의 출력 레벨을 표시하는 레벨창(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정보창(122)은 레인지 어셈블리에서 발생된 열의 온도가 제한 온도를 넘거나 조리 시작 후 경과된 시간이 제한 시간을 넘으면 알람 정보를 이모티콘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의 디바이스와의 통신 여부를 이모티콘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조리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조리 예약 정보는 조리 예약을 의미하는 이모티콘과, 조리할 레인지 어셈블리의 위치와, 조리할 메뉴와 조리 시작 시간 또는 조리 종료 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의 안내 정보창(122)은 조리 예약 상태에서 조리할 레인지 어셈블리의 위치에 조리 용기가 없으면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조리 예약의 취소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리기기는 알람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사운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 시간은 조리 시작 시각부터의 경과 시간 또는 조리 완료 시각까지의 남은 시간일 수 있다.
레벨창(123)은 제1조리부에 마련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수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레벨창(123)은 하나만이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번호 및 그의 출력 레벨을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00c)의 표시부(120)는 안내 정보창(122)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리 메뉴의 조리에 적합한 출력레벨을 추천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표시부(120)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출력 레벨과, 각 출력 레벨로 음식물을 조리했을 때 소요되는 시간과, 에너지 소비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출력 레벨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빠른 시간 내에 물을 끓이길 원한다면 소요 시간이 짧은 출력 레벨 5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조리 기기는 제2입력부를 통해 출력 레벨 5를 선택받을 수 있고, 레인지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선택된 출력 레벨 5로 물을 끓인다.
만약 사용자는 적은 에너지 소비로 물을 끓이길 원한다면 에너지 소비량이 적은 출력 레벨 4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조리기기는 제2입력부를 통해 출력 레벨 4를 선택받을 수 있고 레인지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선택된 출력 레벨 4로 물을 끓인다.
표시부(120)는 메뉴별 누적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누적 정보는 조리 시간에 따른 조리 용기의 온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는 물 1L를 끓이기 위한 조리 정보가 입력되면 과거 물 1L를 끓였을 때의 출력 레벨 별 시간에 따른 온도를 표시한다.
아울러, 과거에 물 1L를 끓이기 위한 누적 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출력 레벨 별로 시간에 따른 조리 용기의 평균 온도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c)는 입력부(110)와 표시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온도 검출부(150c)는 레인지 어셈블리에 위치한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를 구동모듈(160)에 전송한다.
조리 기기는 레인지 어셈블리에 위치한 조리 용기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 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게 검출부는 탄성부재(151c)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조절부(155)는 제1가열부의 가스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1가열부의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제1밸브(153b)와, 제1가열부의 가스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153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밸브(153b)는 배관(153a)에 배치되고 구동모듈(160)에서 전송된 온 오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배관(153a)의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고, 제2밸브(153c)는 배관(153a)에 배치되고 구동모듈(16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배관(153a)의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하이-로우 밸브 또는 스태핑 모터일 수 있다.
제2조절부(156)는 발열부(154a)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발열부(154a)의 발열량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조절부(156)는 발열부(154a)에 공급되는 전류의 펄스 폭을 변조(PWM)하는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절부(156)는 구동 모듈(160)에 배치되고 신호 라인을 통해 제2가열부의 발열부(154a)에 연결되어 제2가열부의 발열부(154a)에 동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동모듈(160)은 복수의 레인지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PCB)일 수 있고, 신호 라인을 통해 조리 기기의 외부에 배치된 온도 검출부(150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신호 라인 및 전원 라인을 통해 제2가열부의 발열부(15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구동모듈(160)은 신호 라인을 통해 제1밸브(153b) 및 제2밸브(153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듈(160)은 제어부(161), 저장부(162) 및 통신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1)는 프로세서, CPU, MCU 등일 수 있고, 저장부(162)는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RAM(random access memory)과, 판독이 가능한 ROM(read only memory) 등의 메모리일 수 있다.
통신부(163)는 적외선(IR) 통신, RF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1)는 제 1입력부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제1가열부(150a)의 가열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1가열부(150a)의 가열 레벨에 기초하여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며, 제2가열부(150b)의 동작 제어함으로써 열이 보강되도록 한다.
제어부(161)는 조작된 제1입력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1입력부와 매칭된 레인지 어셈블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 번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확인된 레인지 어셈블리에 마련된 제2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1)는 레인지 어셈블리 동작 중 검출 온도를 확인하고 검출된 온도가 제한 온도 이상이면 알람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1)는 표시부(120)에 알람 정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하거나, 외부의 디바이스로 알람 정보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63)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61)는 제2가열부(150b)를 이용하여 열을 보강하는 경우, 검출된 온도가 제한 온도 이상이면 제2가열부(150b)의 동작을 정지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1)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출력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출력레벨에 대응하는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확인하여 제1가열부(150a)와 제2가열부(150b)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1)는 확인된 제1가열부(150a)의 가열 레벨에 기초하여 제1밸브(153b)의 개폐와 제2밸브(153c)의 개도를 조절하고 확인된 제2가열부(150b)의 가열 레벨에 기초하여 발열부(154a)에 흐르는 전류의 PWM을 제어한다.
제어부(161)는 입력부(110)에 메뉴가 입력되거나 통신부(163)에 메뉴가 수신되면 메뉴에 대응하는 조리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조리 정보에 대응하는 조리 시간 별 출력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조리 시간 별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1가열부(150a)와 제2가열부(150b)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1)는 조리 중 출력 레벨이 변경되면 변경된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1가열부(150a)와 제2가열부(150b)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61)는 메뉴 및 조리 양에 대응하는 추천 출력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추천 출력 레벨의 표시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61)는 추천 출력 레벨로 조리 시의 조리 시간과 에너지 소비량이 함께 표시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준다.
제어부(161)는 복수의 추천 출력 레벨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출력 레벨이 선택되면 선택된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1가열부(150a)와 제2가열부(150b)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1)는 제1가열부(150a)와 제2가열부(150b) 동작 중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제1가열부(150a)의 정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가열부(150a)가 정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밸브(153b)를 오프 제어한다.
제어부(161)는 온도 검출부(150c)에서 검출된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리 용기 내의 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조리 용기 내의 물이 없다고 판단되면 알람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161)는 입력부(110)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 용기가 놓인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에 대응하는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번호의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161)는 무게 검출부(미도시)에서 검출된 무게에 기초하여 조리 용기의 존재 여부, 조리 용기가 놓인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에 대응하는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번호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61)는 무게 검출부(미도시)에서 검출된 무게 및 메뉴의 종류에 기초하여 조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의 조리 양을 예측하고 예측된 조리 양에 기초하여 조리 시간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1)는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확인하여 가스량과, 가스량에 대응하는 가스 비용과, 소비 전력량과, 소비 전력량에 대응하는 전기 비용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2가열부가 인덕션 전자 레인지인 경우, 조리 기기는 각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1)는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조리 용기의 위치 및 조리 용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및 조리 용기의 사용 여부의 용기 정보가 표시부(1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1)는 조리 예약 정보가 입력되면 메뉴와 조리 시작 시간을 확인하고 현재 시간이 조리 시작 시간이라고 판단되면 예약 메뉴의 출력 레벨을 확인하며 확인된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제1가열부의 자동 점화 및 가열 레벨을 제어하고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61)는 조리 예약 정보에 조리 시작 시간이 아닌 조리 종료 시간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예약 메뉴에 대응하는 조리 소요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조리 소요 시간과 조리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조리 시작 시간을 획득하고 획득된 조리 시작 시간에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61)는 조리 예약 정보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조리 시작 시 조리 수행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61)는 조리 예약 정보가 입력되면 조리할 레인지 어셈블리의 위치에 조리 용기가 있는지 확인하고 조리할 레인지 어셈블리의 위치에 조리 용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조리 용기 없음의 알람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조리 용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조리 예약을 취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1)는 메뉴에 기초하여 정온 제어 여부를 판단하고 정온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리 용기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1가열부의 가열레벨 및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레벨을 조절한다.
제어부(161)는 정온 제어 시 에너지 소비량의 변화 또는 조리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가열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61)는 정온 제어 시 가열 레벨 조절이 용이한 제2가열부의 가열레벨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1)는 레인지 어셈블리의 동작 시 시간에 따른 조리 용기의 온도 정보의 저장을 제어한다.
제어부(161)는 조리 메뉴와, 조리 량과, 레인지 어셈블리의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누적 정보의 표시를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61)는 누적 정보가 복수이면 시간에 따른 조리 용기의 평균온도를 산출하여 시간에 따른 조리 용기의 평균 온도의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161)는 조리 시 조리 시작 시간부터의 경과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경과 시간이 제한 시간을 경과하면 과열 알람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제어부(161)는 조리 메뉴에 대응하는 목표 온도를 확인하고, 조리 용기의 검출 온도가 확인된 목표 온도보다 일정 치 이상이면 과열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62)는 레인지 어셈블리별 복수의 출력 레벨을 저장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출력 레벨은 제1가열부의 가열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의 조합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1가열부의 가열레벨은 오프, 로우 레벨(LOW), 하이 레벨(HIGH)을 포함할 수 있고,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은 오프, 최소 레벨(MIN), 중간 레벨(MID), 최대 레벨(MAX)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 레벨은 레벨 1 내지 레벨9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2)는 복수의 출력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목표 온도를 저장할 수 있고, 레인지 어셈블리의 가열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온도를 저장한다.
저장부(162)는 메뉴에 대응하는 시간별 출력 레벨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저장부(162)는 메뉴의 조리량에 대응하는 조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2)는 메뉴별 추천 출력 레벨과, 출력 레벨별 조리 시간 및 에너지 소비량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62)는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별 가스량과, 가스량에 대응하는 가스 비용을 저장하고,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별 소비 전력량과, 소비 전력량에 대응하는 전기 비용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62)는 메뉴별 조리 시간 경과에 따른 조리 용기의 온도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63)는 외부의 디바이스(2)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63)는 조리기기의 조리 정보를 외부의 디바이스(2)로 전송하거나 외부 디바이스(2)에서 전송된 조리 정보를 제어부(161)에 전송한다.
외부의 디바이스(2)로 전송하는 조리 정보는, 복수 레인지 어셈블리의 조리 여부, 조리 중인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번호, 출력레벨, 검출 온도, 음식물의 종류 등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외부의 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조리 정보는, 제1가열부의 가열레벨,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 레인지 어셈블리의 출력레벨, 메뉴에 대응하는 시간별 출력 레벨, 조리 중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디바이스(2)는 조리 용기(210), 이동 가능한 단말기(220), 서버(230)일 수 있고, 또한 가정 내에 배치된 냉장고, 텔레비전, 세탁기, 식기 세척기 등과 같은 전기기기(미도시)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의 디바이스(2)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기기로, 조리기기에서 전송된 조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리 정보를 조리기기(1)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조리 용기(210)의 예시도이다.
조리 용기(210)는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11)와, 수용부(211)의 바닥면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2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리 용기(210)는 음식물 조리 시 조리기기(1)와 통신을 수행하고, 조리기기(1)에서 검출되어 전송된 온도를 표시부(212)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 온도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조리 용기(210)는 온도 외에도 경과된 조리 시간 및 남은 조리 시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220)의 예시도이다.
단말기(220)는 조리기기(1)와 통신을 수행하고, 음식물이 수용된 조리 용기가 올려진 레인지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2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 항목을 표시하고, 선택된 메뉴의 양을 입력받기 위한 수량 버튼을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22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선택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번호와 조리정보인 메뉴와 조리양을 표시하고, 표시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번호와 조리정보를 조리기기(1)로 전송한다.
아울러 단말기(220)는 선택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번호를 선택되지 않은 어셈블리와 구별되도록 서로 다른 표시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20)는 조리 예약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조리 예약의 취소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20)는 조리기기(1)와 통신을 수행하고, 조리기기(1)의 복수 레인지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인지 어셈블리 동작 시, 동작 중인 적어도 하나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번호와, 조리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단말기(220)에 표시되는 조리 정보는 조리 중인 메뉴와, 조리 상태, 조리 용기의 온도, 출력 레벨을 포함하고, 조리 용기의 온도는 검출온도와 목표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220)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 온도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20)는 적어도 하나의 레인지 어셈블리에 위치한 조리 용기의 온도가 제한 온도 이상이면,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번호와 함께 알람 정보를 이모티콘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리기기(1)는 서버(230)와 통신을 수행하고, 서버(230)에서 제공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조리기기(1)는 서버(230)로부터 메뉴에 대응하는 시간별 출력 레벨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조리기기(1)는 서버(230)로부터 메뉴별 조리량에 대응하는 조리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서버(230)로부터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별 가스량과, 가스량에 대응하는 가스 비용을 제공받고, 추후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며,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별 소비 전력량과, 소비 전력량에 대응하는 전기 비용을 제공받고, 추후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의 예를 설명한다.
우선 레인지 어셈블리의 동작 효율을 높이기 위한 조리기기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동작제어를 설명한다.
조리 기기는 지지대에 조리 용기가 놓이고, 제1입력부(111)가 조작되면 조리 용기가 놓인 레인지 어셈블리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레인지 어셈블리(150)는 제1입력부(111)의 조작에 의해 배관(153a)에 가스가 공급되고 점화되면 제1가열부(150a)를 통해 화염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열이 발생되도록 한다.
조리기기는 레인지 어셈블리가 복수 개인 경우, 조작된 제1입력부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의 제1입력부와 매칭된 레인지 어셈블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 번호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조리기기는 확인된 레인지 어셈블리에 마련된 제2가열부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제2가열부를 동작시키는 것은, 제2가열부(150b)의 발열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발열부에서 열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조리기기는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를 함께 동작시킴으로써 제2가열부 측으로 제1가열부의 열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1가열부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제2가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적은 에너지로도 제2가열부의 열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물의 가열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조리기기는 레인지 어셈블리 동작 중 온도 검출부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의 바닥면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한 온도를 비교한다.
조리기기는 검출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한 온도 미만이면 검출된 온도를 출력하고,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동작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검출된 온도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의 표시부(120)에 검출된 온도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검출된 온도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의 디바이스(2)에 마련된 표시부에 검출된 온도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리기기는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제1입력부(111)가 오프 조작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판단한다.
조리기기는 조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제1가열부의 동작이 정지되었는지 판단한다.
조리 기기는 제1가열부의 동작이 정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밸브를 오프시켜 배관의 유로를 폐쇄함으로써 가스를 차단함으로써 가스가 실내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조리 기기는 제1가열부의 동작을 정지시킨 상태에서도 제2가열부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조리기기는 제1가열부의 동작이 정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온도 검출, 제한 온도와의 비교, 검출된 온도 출력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조리기기는 조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동작 중인 가열부를 정지시키고, 조리 완료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조리 완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의 표시부(120)에 조리 완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조리 완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의 디바이스(2)에 마련된 표시부에 조리 완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리 기기는 조리 중 검출된 온도가 제한 온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알람 정보를 출력하고, 조리 용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제2가열부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의 표시부(120)에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조리기기의 사운드부(미도시)를 통해 알람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의 디바이스(2)에 마련된 표시부에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리 용기의 과열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온도가 제한 온도 이상일 때 레인지 어셈블리의 출력 레벨을 낮춤으로써 조리 용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과열 방지를 통해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제2가열부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1가열부만을 동작시켜 조리 용기에 열을 공급하고, 조리 완료를 판단한다.
조리기기는 조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조리 완료 정보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2가열부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제1가열부만을 동작시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제2가열부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1가열부만을 동작시켜 조리를 수행하면서 제1가열부의 정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리기기는 제2가열부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1가열부도 정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밸브(153b)를 오프시켜 가스를 차단시키고,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조리기기는 제2가열부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1가열부도 정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밸브(153b)를 오프시켜 가스를 차단시킨 후 제2가열부를 동작시켜 조리가 완료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조리기기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리 기기는 지지대에 조리 용기가 놓이고, 제1입력부(111)가 조작되면 배관(153a)을 통해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고 점화를 수행하여 제1가열부(150a)에 화염이 발생되도록 한다.
조리기기는 입력부(110) 또는 통신부(163)로부터 출력 레벨을 수신받는다.
여기서 출력 레벨을 수신받는 것과, 제1가열부의 점화를 수행하는 것의 순서는 변경 가능하다.
조리기기는 수신된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출력 레벨이 1이면 제2가열부를 최소 레벨로 동작시키고, 출력 레벨이 2이면 제1가열부를 로우 레벨로 동작시키며 출력 레벨이 4이면 제2가열부를 최소 레벨로 동작시키고, 제1가열부를 로우 레벨로 동작시킨다.
조리기기는 레인지 어셈블리의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 동작 중 조리 용기의 바닥면의 온도를 검출(324)하고 검출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한 온도를 비교한다.
조리 기기는 조리 중 검출된 온도가 제한 온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알람 정보를 출력하고, 조리 용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동작 중인 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한 레벨 하향 조절한다.
아울러 조리기기는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가 모두 동작 중이면,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하향 조정한다.
여기서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의 표시부(120)에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조리기기의 사운드부(미도시)를 통해 알람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의 디바이스(2)에 마련된 표시부에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리기기는 검출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한 온도 미만이면 검출된 온도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동작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검출된 온도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의 표시부(120)에 검출된 온도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검출된 온도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의 디바이스(2)에 마련된 표시부에 검출된 온도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리기기는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동작 시간이 미리 설정된 조리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제1입력부가 오프로 조작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리기기는 조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동작 중인 가열부를 정지시키고, 조리 완료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조리 완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의 표시부(120)에 조리 완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조리 완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의 디바이스(2)에 마련된 표시부에 조리 완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조리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기기의 레인지 어셈블리의 동작 제어를 설명한다.
조리 기기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조리 정보 또는 통신부(163)에 수신된 조리 정보를 확인한다.
조리 기기는 확인된 조리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 시간 별 출력 레벨을 확인한다.
즉 조리 기기는 음식을 조리하는 총 조리 시간 동안의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목표 온도와, 각 목표 온도의 유지 시간을 시간 순으로 확인한다.
조리 기기는 지지대에 조리 용기가 놓이고, 제1입력부(111)가 조작되면 배관(153a)을 통해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고 점화를 수행하여 제1가열부(150a)에 화염이 발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조리기기는 확인된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출력 레벨이 1이면 제2가열부를 최소 레벨로 동작시키고, 출력 레벨이 2이면 제1가열부를 로우 레벨로 동작시키며 출력 레벨이 4이면 제2가열부를 최소 레벨로 동작시키고, 제1가열부를 로우 레벨로 동작시킨다.
조리기기는 레인지 어셈블리의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 동작 중 조리 용기의 바닥면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가 목표 온도인지 판단한다.
조리 기기는 검출된 온도가 목표 온도라고 판단되면 출력 레벨을 유지시킨다.
조리기기는 출력 레벨의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출력 레벨의 변경 시간인지 판단하고, 출력 레벨의 변경 시간이라고 판단되면 변경될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조절한다.
조리기기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와 변경된 출력 레벨의 목표 온도를 비교하며 검출된 온도가 목표 온도라고 판단되면 변경될 출력 레벨을 유지시킨다.
조리기기는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총 조리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리 기기는 조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변경된 출력 레벨의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출력 레벨의 재변경 시간인지 판단하고, 출력 레벨의 재변경 시간이라고 판단되면 재변경될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조절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조리기기는 조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동작 중인 가열부를 정지시키고, 조리 완료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조리 완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의 표시부(120)에 조리 완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조리 완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의 디바이스(2)에 마련된 표시부에 조리 완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 어셈블리(150)는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150a)와, 제1가열부(150a)에 적층되되 제1가열부와의 사이에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1가열부와 일정 거리(d2) 이격 배치되고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150b)를 포함한다.
제1가열부(150a)와 제2가열부(150b) 사이에는 지지부재(15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열부(150b)는 지지부재(152)에 의해 제1가열부(150a)에서 일정 거리(d2)의 갭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열부 동작 시 연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가열부(150a)는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153a)과, 배관(153a)에 마련되어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1밸브(153b)와, 배관(153a)에 마련되어 가스의 공급량을 하이 또는 로우로 조절하는 제2밸브(153c)와, 배관(153a)에 연결된 몸체(153d)와, 몸체(153d)의 내부에 안착되는 헤드(153e)와, 헤드(153e)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153f)과, 사용자의 조그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고 점화를 위한 점화부(153h)를 포함한다.
여기서 점화부는 자동으로 점화 제어가 가능하다.
제2가열부(150b)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154a)와, 발열부(154a)를 수용하는 하우징(154b)와, 하우징(154b)에 접촉되어 배치되고 발열부(154a)의 열이 제1가열부(150a)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154c)와, 강화 유리로 이루어지고 외력으로부터 발열부(154a)를 보호하기 위한 패널(154d)을 포함한다.
또한 적층된 제1가열부(150a)와 제 2가열부(150b)의 높이는,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용기가 놓이면, 지지대의 지지 레그(142)와, 제 2가열부(150b)의 패널(154d)의 상부 면이 조리 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의 제2가열부의 전원 라인 및 통신 라인은 제1가열부에 형성된 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외부에서 연결될 수도 있다.
조리기기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이 구동 모듈에 의해 다단의 출력 레벨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구동 모듈은 제1입력부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제1가열부(150a)의 가열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1가열부(150a)의 가열 레벨에 기초하여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며, 제2가열부(150b)의 동작 제어함으로써 열이 보강되도록 한다.
구동 모듈은 조작된 제1입력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1입력부와 매칭된 레인지 어셈블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레인지 어셈블리의 식별 번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확인된 레인지 어셈블리에 마련된 제2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 모듈은 입력부(110)에 입력된 출력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출력레벨에 대응하는 제1가열부의 가열 레벨과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확인하여 제1가열부(150a)와 제2가열부(150b)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 모듈은 조리 시작 시점부터 경과된 조리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조리 시간이 제한 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과열 알람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1: 조리기기 2: 외부의 디바이스
100: 본체 100a: 제1조리부
100b: 제2조리부 100c: 사용자인터페이스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플레이트 140: 지지대
150: 레인지 어셈블리 150a: 제1가열부
150b: 제2가열부 150c: 온도 검출부
160: 구동모듈

Claims (25)

  1. 제1홀을 갖고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에 적층 배치되고 상기 제1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홀을 가지며, 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의 제1홀과 제2가열부의 제2홀에 배치되되 상기 제2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조리 용기가 접촉되면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제1가열부와 이격 배치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부는,
    상기 제2홀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 연결되고 상기 센싱부의 신호 라인을 수용하고 상기 제1홀과 제2홀을 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열부의 통신 라인 및 전원 라인을 더 수용하는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크기는 상기 제2홀의 크기보다 작은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의 방출을 방지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의 방출을 방지하는 절연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 하우징 및 패널은 서로 적층 배치되고, 상기 제2홀을 각각 갖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부는,
    상기 조리 용기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패널의 제2홀 내부로 이동하되 상기 패널의 상부 면과 동일한 위치로 이동하는 조리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열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패널을 연결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열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을 탄성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의 가열레벨과, 상기 제2가열부의 가열레벨의 조합에 의해 설정된 다단의 출력레벨을 저장부;
    상기 다단의 출력 레벨 중 어느 하나의 출력 레벨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가열레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의 디바이스에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2가열부의 동작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2가열부의 가열레벨을 각각 제어하는 조리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검출된 온도를 상기 외부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온도가 제한 온도 이상이면 알람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된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대의 높이와 동일한 조리기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 동작 시 조리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조리 시간이 제한 시간을 경과하면 알람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8. 제1홀을 갖고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에 적층 배치되고 상기 제1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홀을 가지며, 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되 상기 제1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보강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의 제1홀과 제2가열부의 제2홀에 배치되되 상기 제2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조리 용기가 접촉되면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상기 제1가열부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1가열부의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부는,
    상기 제2홀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 연결되고 상기 센싱부의 신호 라인, 상기 제2가열부의 통신 라인 및 전원 라인을 수용하고 상기 제1홀과 제2홀을 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의 방출을 방지하는 절연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 하우징 및 패널은 서로 적층 배치되고, 상기 제2홀을 각각 갖는 조리기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메뉴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뉴에 대응하는 출력레벨, 조리 시간 및 에너지 소비량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천 정보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조리기기.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리 중 정온 제어 시점이면 상기 제2가열부의 가열 레벨을 조절하는 조리기기.
  24. 제1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에 적층 배치되되 상기 제1가열부와의 사이에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가열부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제2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의 가열레벨과, 상기 제2가열부의 가열레벨의 조합에 의해 설정된 다단의 출력레벨을 저장부;
    상기 다단의 출력 레벨 중 어느 하나의 출력 레벨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가열레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150049000A 2015-03-30 2015-04-07 조리기기 KR102399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85,793 US10605460B2 (en) 2015-03-30 2016-03-30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446 2015-03-30
KR20150044446 2015-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105A true KR20160117105A (ko) 2016-10-10
KR102399424B1 KR102399424B1 (ko) 2022-05-19

Family

ID=5714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000A KR102399424B1 (ko) 2015-03-30 2015-04-07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4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5198A (zh) * 2020-03-10 2021-09-1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磁灶
KR20220048229A (ko) * 2020-10-12 2022-04-19 (주)세고스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조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3920A (ja) * 1988-04-26 1989-11-01 Sanyo Electric Co Ltd ガスコンロ
US6322354B1 (en) * 2000-07-17 2001-11-27 Wolf Appliance Company, Llc Stacked dual gas burner
KR200322769Y1 (ko) * 2003-04-29 2003-08-14 이장우 가스 및 전기 겸용 레인지
US20050076899A1 (en) * 2003-10-08 2005-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Hybrid cooking range burner with removable gas and radiant heat subassemblies
US20090134143A1 (en) * 2001-10-09 2009-05-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Electronic power control for cooktop heaters
JP2014164837A (ja) * 2013-02-22 2014-09-08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3920A (ja) * 1988-04-26 1989-11-01 Sanyo Electric Co Ltd ガスコンロ
US6322354B1 (en) * 2000-07-17 2001-11-27 Wolf Appliance Company, Llc Stacked dual gas burner
US20090134143A1 (en) * 2001-10-09 2009-05-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Electronic power control for cooktop heaters
KR200322769Y1 (ko) * 2003-04-29 2003-08-14 이장우 가스 및 전기 겸용 레인지
US20050076899A1 (en) * 2003-10-08 2005-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Hybrid cooking range burner with removable gas and radiant heat subassemblies
JP2014164837A (ja) * 2013-02-22 2014-09-08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5198A (zh) * 2020-03-10 2021-09-1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磁灶
KR20220048229A (ko) * 2020-10-12 2022-04-19 (주)세고스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조리장치
WO2022080800A1 (ko) * 2020-10-12 2022-04-21 주식회사 세고스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424B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20032B2 (en) User interface for a cooking system
CA3015304A1 (en) Wirelessly controlled cooking system
US10605460B2 (en) Cooking apparatus
CN113167479B (zh) 具有一体式温度监测和防火系统的烹饪容器支撑系统
CN101690389A (zh) 感应加热烹调器
KR101590639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6490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13983B1 (ko) 가스레인지의 노브 위치 자동 판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과열방지 제어방법
KR101614089B1 (ko) 인덕션 조리기
KR20160117105A (ko) 조리기기
JP5174089B2 (ja) 加熱調理器
CN214332693U (zh) 燃烧器组件和燃气灶
JP2008293890A (ja) 加熱調理器
JP6510295B2 (ja) グリル装置
JP4862710B2 (ja) 加熱調理器
KR20130122265A (ko) 조리용기의 열전도율에 따른 과열방지장치 및 방법
KR20100085455A (ko) 가스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JP2021081150A (ja) ガスコンロ
KR102605679B1 (ko) 접이식 멀티 레인지
US20240008673A1 (en) Cooktop appliance automated rice cooking
JP6563740B2 (ja) ガスコンロ
WO2020169111A1 (en) Control system for cooking device
KR100672305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탑버너 제어 방법
JP2022117570A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KR20200095142A (ko) 과열 및 화재 방지가 가능한 전자 조리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