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610A -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및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및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610A
KR20210090610A KR1020217008533A KR20217008533A KR20210090610A KR 20210090610 A KR20210090610 A KR 20210090610A KR 1020217008533 A KR1020217008533 A KR 1020217008533A KR 20217008533 A KR20217008533 A KR 20217008533A KR 20210090610 A KR20210090610 A KR 20210090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uent
section
supply port
detachment force
f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오 오카다
마사히로 오기노
쿄헤이 사토
마사키 츠루타
토시키 미야지마
Original Assignee
오르가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르가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르가노 코포레이션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39702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00471A1/ja
Publication of KR2021009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14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01D15/1821Simulated mov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14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01D15/1821Simulated moving beds
    • B01D15/185Simulated moving beds characterized by the components to be separ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26Conditioning of the fluid carrier; Flow patter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26Conditioning of the fluid carrier; Flow patterns
    • G01N30/38Flow patterns
    • G01N30/46Flow patterns using more than one colum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Abstract

흡착제가 충전된 복수의 단위 충전탑이 배관을 개재해서 직렬로 그리고 무단 형태로 연결된 순환계를 이용해서, 원액 중에 포함되는, 흡착제에 대해서 약흡착성 성분과, 강흡착성 성분과, 두 성분의 중간적인 흡착성인 중간 흡착성 성분을,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분리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이며, 순환계의 배관에는, 원액 공급구(F)와, 2종 이상의 각 용리액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용리액 공급구(D)와, 약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흡착성 분획의 추출구(A)와, 중간 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중간 흡착성 분획의 추출구(B)와, 강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구(C)가 설치되고, 원액 공급구(F), 추출구(A), 추출구(B) 및 추출구(C)의 위치를 특정 관계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및 이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의 실시에 바람직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

Description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및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
본 발명은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및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사이동층 방식에 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서는, 원액 중에 함유되는 2성분 이상의 성분 중의 특정 성분에 대해서 선택적 흡착 능력을 갖는 흡착제를 충전한 복수의 단위 충전탑(이하, 단지 "충전탑"이라고도 칭하고, "칼럼"이라고 지칭할 경우도 있음)을, 배관을 개재해서 직렬로 연결하고, 그리고 최하류부의 충전탑과 최상류부의 충전탑을 연결해서 무단(endless) 형태로 한 순환계를 구축한다. 이 순환계에 대해서 원액과 용리액을 공급하는 동시에, 순환계 내의 이동 속도가 빠른 분획(약흡착성 분획)과, 느린 분획(강흡착성 분획)과, 필요에 따라 이동 속도가 중간적인 분획(중간 흡착성 분획)을 각각 다른 위치로부터 추출하고, 이어서, 원액 공급위치, 용리액 공급위치, 약흡착성 분획의 추출위치, 중간 흡착성 분획의 추출위치 및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위치를, 일정한 위치 관계로 유지하면서 순환계의 유체순환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킨다. 이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원액 공급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이동층의 처리 조작을 유사적으로 실현한다.
특허문헌 1에는, 1계열의 개량된 모사이동층 장치에, 용리액과 원액을 공급하면서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는 공정과, 용리액을 공급하면서 약흡착성 분획과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흡착제에 대한 친화력이 다른 3개 이상의 분획을 연속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을 비롯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모사이동층 방식에 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서는, 기본적으로 1종의 용리액을 이용한다. 따라서, 흡착제에 대한 흡착성이 강한 성분을 포함하는 원액이나, 테일링(tailing)(농도분포가 브로드하게 되는 현상)을 일으키기 쉬운 성분을 함유하는 원액을 순환계에 공급할 경우, 이들 성분을 탈착(이탈)시키기 위해서 대량의 용리액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용리액의 대량 사용은, 추출액의 농축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또한, 목적하는 정제물의, 흡착제당의 생산량의 저하로도 연결된다.
다른 한편, 모사이동층 방식에 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있어서,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하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탈착력이 약한 제1 용리액과, 탈착력이 강한 제2 용리액을 이용해서, 이들 용리액이나 원액의 공급 타이밍과, 약흡착성 분획, 중간 흡착성 분획 및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 타이밍을 특정 조합으로 함으로써, 적은 흡착제량으로 높은 분리 성능을 실현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JP 1998860 B JP 4606092 B
모사이동층 방식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는, 목적하는 정제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고순도로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분야 등에의 적용도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항체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항체를 생산하는 배양 세포의 추출액이나 배양액에는, 목적하는 항체 외에, 항체가 절단 등 되어서 생긴 항체로서 충분히 기능하지 않는 프래그먼트나, 항체가 응집되어서 거대화된 응집체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상기 프래그먼트는 흡착제와의 상호작용 부위가 적고 해당 흡착제에 대한 흡착성이 약하다. 반대로, 응집체는 흡착제에의 흡착성이 강하다. 따라서, 모사이동층 방식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항체 의약의 정제에 적용할 경우, 목적하는 항체를, 흡착제에 대해서 중간적인 흡착성을 나타내는 중간 흡착성 분획으로서 분취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 약흡착성 분획과 강흡착성 분획에 대해서는, 모두 높은 제거율로 충분히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 이러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의 실용화에 있어서는, 필요한 흡착제량을 될 수 있는 한 감소시켜 분리 처리 효율을 높여, 저비용화를 실현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상기 각 특허문헌에 기재된 기술을 비롯해서 종래의 모사이동층 방식에 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검토한 바, 상기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는 것이 어려운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모사이동층 방식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서, 원액 중의 정제 대상 성분을 보다 적은 흡착제의 사용량으로, 고순도로 분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의 실시에 적합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모사이동층 방식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에 있어서, 용리액을 2종 이상 이용해서, 또 순환계에 있어서의 원액 공급구,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 및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를 특정 위치 관계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의 해결이 가능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의거해서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완성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하기 수단에 의해 해결되었다.
[1] 흡착제가 충전된 복수의 단위 충전탑이 배관을 개재해서 직렬로 그리고 무단 형태로 연결된 순환계를 이용해서, 원액 중에 함유되는, 상기 흡착제에 대해서 약흡착성 성분과, 강흡착성 성분과, 두 성분의 중간적인 흡착성인 중간 흡착성 성분을,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순환계의 상기 배관에는, 원액 공급구(F)와, 상기 2종 이상의 각 용리액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용리액 공급구(D)와, 상기 약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흡착성 분획의 추출구(A)와, 상기 중간 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중간 흡착성 분획의 추출구(B)와, 상기 강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구(C)가 설치되고, 해당 원액 공급구(F), 해당 추출구(A), 해당 추출구(B) 및 해당 추출구(C)의 위치를 하기 (a) 내지 (c)로 하고:
(a) 상기 추출구(B)를, 상기 원액 공급구(F)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
(b) 상기 추출구(C)를, 상기 원액 공급구(F)를 갖는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구(C)를, 상기 원액 공급구(F)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상류측에 설치하는 것;
(c) 상기 추출구(A)를, 상기 추출구(B)를 갖는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구(A)를, 상기 추출구(B)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은 하기 스텝 (A) 및 (B)를 순서대로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스텝 (A)]
상기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상기 2개 이상의 용리액 공급구(D)로부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각각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상기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각각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추출하는 스텝;
[스텝 (B)]
상기 스텝 (A) 종료 후, 상기 원액 공급구(F), 상기 용리액 공급구(D), 상기 추출구(A), 상기 추출구(B) 및 상기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는 스텝.
[2] 상기 스텝 (A)가 복수의 서브스텝으로 구성되고, 해당 복수의 서브스텝은, 원액을 공급하는 서브스텝과, 원액을 공급하지 않는 서브스텝을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3] 상기 추출구(C)를, 2종 이상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d1)을 공급하는 용리액 공급구(D1)의 하류측에 설치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상기 추출구(C)까지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배치하고,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상기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추출구(C)로부터, 상기 용리액(d1)의 공급량과 같은 양의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4] 상기 추출구(B)를, 2종 이상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d2)을 공급하는 용리액 공급구(D2)의 하류측에 설치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추출구(B)까지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배치하고,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추출구(B)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의 공급량과 같은 양의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는 시간대를 두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5] 서로 탈착력이 다른 4 내지 6종의 용리액을 이용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6]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4개 이상 구비하고, 해당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4개의 섹션 1 내지 4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1), (A2-1) 및 (A3-1)을 행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1)>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1)>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1)>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7]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4개 이상 구비하고, 해당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4개의 섹션 1 내지 4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2), (A2-2) 및 (A3-2)을 행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2)>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2)>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2)>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2)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8]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구비하고, 해당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3), (A2-3) 및 (A3-3)을 행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3)>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과 같거나 또는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3)>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3)>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3)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9]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7개 이상 구비하고, 해당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4), (A2-4) 및 (A3-4)를 행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4)>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과 같거나 또는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4)>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를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4)>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4)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V)로부터 용리액d-V를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10]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구비하고, 해당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5), (A2-5) 및 (A3-5)을 행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5)>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5)>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5)>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11]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구비하고, 해당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6), (A2-6) 및 (A3-6)을 행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6)>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6)>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6)>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12]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구비하고, 해당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7), (A2-7) 및 (A3-7)을 행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7)>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7)>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7)>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13] 흡착제가 충전된 복수의 단위 충전탑이 배관을 개재해서 직렬로 그리고 무단 형태로 연결된 순환계를 이용해서, 원액 중에 함유되는, 상기 흡착제에 대해서 약흡착성 성분과, 강흡착성 성분과, 두 성분의 중간적인 흡착성인 흡착성 성분을,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분리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순환계의 상기 배관에는, 원액 공급구(F)와, 상기 2종 이상의 각 용리액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용리액 공급구(D)와, 상기 약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흡착성 분획의 추출구(A)와, 상기 중간 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중간 흡착성 분획의 추출구(B)와, 상기 강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구(C)가 설치되고, 해당 원액 공급구(F), 해당 추출구(A), 해당 추출구(B) 및 해당 추출구(C)의 위치를 하기 (a) 내지 (c)로 하고:
(a) 상기 추출구(B)를, 상기 원액 공급구(F)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
(b) 상기 추출구(C)를, 상기 원액 공급구(F)를 갖는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구(C)를, 상기 원액 공급구(F)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상류측에 설치하는 것;
(c) 상기 추출구(A)를, 상기 추출구(B)를 갖는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구(A)를, 상기 추출구(B)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은 하기 스텝 (A) 및 (B)를 순서대로 반복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
[스텝 (A)]
상기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상기 2개 이상의 용리액 공급구(D)로부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각각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상기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각각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추출하는 스텝;
[스텝 (B)]
상기 스텝 (A) 종료 후, 상기 원액 공급구(F), 상기 용리액 공급구(D), 상기 추출구(A), 상기 추출구(B) 및 상기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는 스텝.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류", "하류"라는 용어는, 순환계 내의 유체의 유통 방향에 대해서 이용된다. 즉, 순환계의 어떤 부위에 대해서 "상류측"이란, 해당 부위를 향해서 유체가 유통되어 오는 쪽을 의미하고, "하류측"이란, 해당 부위로부터 유체가 흘러나가는 쪽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강흡착성 성분"이란, 원액 중에 함유되는 복수 성분 중,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이 강한 성분을 의미하고, "약흡착성 성분"이란, 원액 중에 함유되는 복수 성분 중,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이 약한 성분을 의미하고, "중간 흡착성 성분"이란, 상기 강흡착성 성분보다도 흡착제에 대한 흡착성이 약하지만, 상기 약흡착성 성분보다는 흡착제에 대한 흡착성이 강한 성분을 의미한다. 즉, "강흡착성", "중간 흡착성" 및 "약흡착성"이라는 용어는, 원액 중에 함유되는 각 성분의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을 비교했을 때의, 상대적인 흡착력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강흡착성 성분", "중간 흡착성 성분" 및 "약흡착성 성분"은, 각각, 단일성분으로 이루어져도 되고, 복수의 성분으로부터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해당 복수의 성분은 흡착력이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원액 중의 각 성분의, "강흡착성 성분", "중간 흡착성 성분" 및 "약흡착성 성분"으로의 그룹 나눔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원액이 4종의 성분을 함유할 경우를 예로 들면,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이 강한 순으로 2종의 성분을 합쳐서 강흡착성 성분으로 하고,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이 세번째로 강한 성분을 중간 흡착성 성분,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이 가장 약한 성분을 약흡착성 성분으로 해서 위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이 가장 강한 성분을 강흡착성 성분,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이 두번째인 성분과 세번째인 성분을 합쳐서 중간 흡착성 성분,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이 가장 약한 성분을 약흡착성 성분으로 해서 위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이 가장 강한 성분을 강흡착성 성분,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이 두번째인 성분을 중간 흡착성 성분, 흡착제에 대한 흡착력이 세번째인 성분과 가장 약한 성분을 합쳐서 약흡착성 성분으로 해서 위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원액이 5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각종 그룹 나눔에 의거한 분리, 정제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리액의 "탈착력"이란, 흡착제에 흡착된 성분을, 해당 흡착제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용의 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에 따르면, 흡착제의 사용량을 억제하면서, 원액 중의 정제 대상 성분을 고순도로 분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의 실시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스텝 (A)를 종료한 후, 스텝 (B)를 실시하고, 그 후의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스텝 (A)를 종료한 후, 스텝 (B)를 실시하고, 그 후의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스텝 (A)를 종료한 후, 스텝 (B)를 실시하고, 그 후의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스텝 (A)를 종료한 후, 스텝 (B)를 실시하고, 그 후의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비교예 1 및 2에 있어서의 단일 칼럼·스텝 구배의 운전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비교예 3에 있어서의 유사이동 상대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의 운전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비교예 4에 있어서의 유사이동 상대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의 운전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스텝 (A)를 종료한 후, 스텝 (B)를 실시하고, 그 후의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스텝 (A)를 종료한 후, 스텝 (B)를 실시하고, 그 후의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스텝 (A)를 종료한 후, 스텝 (B)를 실시하고, 그 후의 스텝 (A)를 구성하는 각 서브스텝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이하, 단지 "본 발명의 방법"이라고도 칭함)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흡착제가 충전된 복수의 단위 충전탑을, 배관을 개재해서 직렬로 그리고 무단 형태로 연결한 순환계를 이용해서 실시된다. 모사이동층 방식에 이용할 수 있는 순환계 자체는 공지이며,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9-36536호 공보나 특허 제4606092호 공보 등을 참조할 수 있다.
해당 순환계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서 이하에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것 이외에는 이들 양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 언급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각 구성의 크기나 상대적인 대소관계는 설명의 편의상 대소를 변화시키고 있을 경우가 있고, 실제의 관계를 그대로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사항 이외에는 이들 도면에 나타낸 형상, 상대적인 위치 관계 등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것 이외의 조건, 예를 들어, 단위 충전탑의 용량, 배관의 관내 단면적이나 길이, 순환계에 공급하는 액의 유속 등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하는 순환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순환계(100)는, 흡착제(Ab)가 충전된 단위 충전탑(칼럼)을 4개(단위 충전탑(10a, 10b, 10c, 10d)) 구비하고, 각 단위 충전탑의 출구는, 인접하는 단위 충전탑의 입구에 배관(1)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전체로서 각 단위 충전탑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최후부의 단위 충전탑(예를 들면 단위 충전탑(10d))의 출구는, 최전부의 단위 충전탑(예를 들면 단위 충전탑(10a))의 입구에 배관(1)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전체 단위 충전탑은 무단 형태로(원환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순환계(100) 내에, 유체를 순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위 충전탑(10a 내지 10d)은, 내부의 형태, 크기, 흡착제의 충전량이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단위 충전탑(10a 내지 10d)은, 내부의 형태, 크기, 흡착제의 충전량이 모두 등가인 것(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계(100) 내에는, 유체를 화살표 방향으로 유통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P1)를 배치할 수 있다. 순환 펌프(P1)는 정량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순환계(100) 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충전탑 사이의 배관(1)에는, 그 하류측의 단위 충전탑에의 유체의 유통을 차단 가능한 차단밸브(R1, R2, R3, R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차단밸브(R1 내지 R4)와, 그 상류측에 위치하는 각 단위 충전탑(10a 내지 10d)의 출구 사이에는, 각각, 흡착제(Ab)에 대한 약흡착성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분획(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착제(Ab)에 대한 약흡착성 분획" 또는 단지 "약흡착성 분획"이라 칭함)을 추출하는 약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2a, 2b, 2c, 2d)이 분기 배치되어 있다. 각 약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2a, 2b, 2c, 2d)에는, 각각, 각 약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을 개폐 가능한 약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A1, A2, A3, A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약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2a, 2b, 2c, 2d)은 합류되어서 하나의 약흡착성 분획 합류관(2J)에 모여진다.
또한 마찬가지로, 각 차단밸브(R1 내지 R4)와, 그 상류측에 위치하는 각 단위 충전탑(10a 내지 10d)의 출구 사이에는, 흡착제(Ab)에 대한 중간 흡착성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분획(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착제(Ab)에 대한 중간 흡착성 분획" 또는 단지 "중간 흡착성 분획"이라 칭함)을 추출하는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3a, 3b, 3c, 3d)이 분기 배치되어 있다. 각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3a, 3b, 3c, 3d)에는, 각각, 각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을 개폐 가능한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B1, B2, B3, B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3a, 3b, 3c, 3d)은 합류되어서 하나의 중간 흡착성 분획 합류관(3J)에 모여진다.
또한 마찬가지로, 각 차단밸브(R1 내지 R4)와, 그 상류측에 위치하는 각 단위 충전탑(10a 내지 10d)의 출구 사이에는, 흡착제(Ab)에 대한 강흡착성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분획(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착제(Ab)에 대한 강흡착성 분획" 또는 단지 "강흡착성 분획"이라 칭함)을 추출하는 강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4a, 4b, 4c, 4d)이 분기 배치되어 있다. 각 강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4a, 4b, 4c, 4d)에는, 각각, 각 강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을 개폐 가능한 강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C1, C2, C3, C4)가 설치되어 있다. 각 강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4a, 4b, 4c, 4d)은 합류되어서 하나의 강흡착성 분획 합류관(4J)에 모여진다.
후술하는 스텝 (A) 중에서, 약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A1, A2, A3, A4) 중 어느 것인가가 밸브 개방된 상태가 된다. 해당 밸브 개방된 약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가 설치된 약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과, 배관(1)과의 연결 부위가, 후술하는 스텝 (A)에 있어서의 약흡착성 분획의 추출구(A)가 된다.
또한, 후술하는 스텝 (A) 중에서,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B1, B2, B3, B4) 중 어느 것인가가 밸브 개방된 상태가 된다. 해당 밸브 개방된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가 설치된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과, 배관(1)과의 연결 부위가, 후술하는 스텝 (A)에 있어서의 중간 흡착성 분획의 추출구(B)가 된다.
또한, 후술하는 스텝 (A) 중에서, 강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C1, C2, C3, C4) 중 어느 것인가가 밸브 개방된 상태가 된다. 해당 밸브 개방된 강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가 설치된 강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과, 배관(1)과의 연결 부위가, 후술하는 스텝 (A)에 있어서의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구(C)가 된다.
순환계(100)에는, 순환계(100)의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당한 부위에 도시하고 있지 않은 안전밸브(또는 릴리프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충전탑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의 체크밸브(T1, T2, T3, T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계(100) 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액 탱크(6)에 수용된 원액(7)이 공급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순환계(100) 내는 2종 이상의 용리액이 공급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일례로서, 4종의 용리액을 공급하는 형태를 도시하였다.
원액(7)은, 공급 유량을 제어 가능한 원액 공급 펌프(P2)에 의해, 원액 공급라인(11)을 개재해서 공급된다. 원액 공급 펌프(P2)는 정량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액 공급라인(1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원액 공급 분기라인(11a, 11b, 11c, 11d)으로 분기되고, 각 원액 공급 분기라인(11a, 11b, 11c, 11d)을 개재해서, 원액을, 각각 각 단위 충전탑(10a, 10b, 10c, 10d)의 입구에 공급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원액 공급 분기라인(11a, 11b, 11c, 11d)에는, 개폐 가능한 원액 공급 밸브(F1, F2, F3, F4)가 설치되고, 밸브 개방된 원액 공급 밸브를 갖는 원액 공급 분기라인을 통해서, 그 하류에 연결하는 단위 충전탑에 원액이 공급된다.
후술하는 스텝 (A) 중에서, 상기 원액 공급 밸브(F1, F2, F3, F4) 중 어느 것인가가 밸브 개방된 상태가 된다. 해당 밸브 개방된 원액 공급 밸브가 설치된 원액 공급 분기라인과 배관(1)의 연결 부위가 후술하는 스텝 (A)에 있어서의 원액 공급구(F)가 된다.
도 1은 탈착력이 다른 4종의 용리액을 공급하는 형태를 나타낸다. 용리액 탱크(8a)에 수용된 용리액(9a)은 공급 유량을 제어 가능한 용리액 공급 펌프(P3)에 의해 용리액 공급라인(12)에 공급된다. 용리액 탱크(8b)에 수용된 용리액(9b)은 공급 유량을 제어 가능한 용리액 공급 펌프(P4)에 의해 용리액 공급라인(13)에 공급된다. 용리액 탱크(8c)에 수용된 용리액(9c)은 공급 유량을 제어 가능한 용리액 공급 펌프(P5)에 의해 용리액 공급라인(14)에 공급된다. 또한, 용리액 탱크(8d)에 수용된 용리액(9d)은 공급 유량을 제어 가능한 용리액 공급 펌프(P6)에 의해 용리액 공급라인(15)에 공급된다.
용리액 공급 펌프(P3 내지 P6)는 정량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리액 공급라인(1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12a, 12b, 12c, 12d)으로 분기되고, 각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12a, 12b, 12c, 12d)을 개재해서, 용리액을, 각 단위 충전탑(10a, 10b, 10c, 10d)의 입구에 공급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12a, 12b, 12c, 12d)에는, 개폐 가능한 용리액 공급밸브(E1a, E2a, E3a, E4a)가 설치되고, 밸브 개방된 용리액 공급밸브를 갖는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을 통해서, 그 하류에 연결하는 단위 충전탑에 용리액이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용리액 공급라인(13)은 4개의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13a, 13b, 13c, 13d)으로 분기되고, 용리액 공급라인(14)는 4개의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14a, 14b, 14c, 14d)으로 분기되고, 용리액 공급라인(15)는 4개의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15a, 15b, 15c, 15d)으로 분기되고, 각 용리액을, 각 단위 충전탑(10a, 10b, 10c, 10d)의 입구에 공급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13a, 13b, 13c, 13d)에는 각각 개폐 가능한 용리액 공급밸브(E1b, E2b, E3b, E4b)가 설치되고,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14a, 14b, 14c, 14d)에는 각각 개폐 가능한 용리액 공급밸브(E1c, E2c, E3c, E4c)가 설치되고,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15a, 15b, 15c, 15d)에는 각각 개폐 가능한 용리액 공급밸브(E1d, E2d, E3d, E4d)가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스텝 (A) 중에서, 밸브 개방된 용리액 공급밸브가 설치된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과 배관(1)의 연결 부위가 용리액 공급구(D)가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용리액을 2종 이상 사용하므로, 후술하는 스텝 (A) 중에서, 밸브 개방되는 용리액 공급밸브는 복수개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스텝 (A) 중에서, 용리액 공급구(D)는, 사용하는 용리액의 종류에 따른 수(2개 이상)가 존재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순환계에 의해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할 때의, 순환계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것 이외에는, 이들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순환계는, 원액 공급구(F)와, 약흡착성 분획의 추출구(A)와, 중간 흡착성 분획의 추출구(B)와,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구(C)의 위치를, 하기 (a) 내지 (c)를 충족시키는 관계로 한다. 즉, 후술하는 스텝 (A) 및 (B)의 반복에 있어서, 원액 공급구(F)와, 약흡착성 분획의 추출구(A)와, 중간 흡착성 분획의 추출구(B)와,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구(C)의 서로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해당 (a) 내지 (c)를 항상 충족시키고 있다.
(a)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를, 원액 공급구(F)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하류측에 설치한다.
(b)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원액 공급구(F)를 갖는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원액 공급구(F)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상류측에 설치한다.
여기서,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원액 공급구(F)를 갖는 배관에 설치한다"란,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와 원액 공급구(F) 사이에 단위 충전탑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원액 공급구(F)를 갖는 배관에 설치하는" 경우,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 쪽이, 원액 공급구(F)보다도, 동일한 배관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이것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된 추출구와 공급구의 관계의 모두에 적합하다. 즉, 순환계에 있어서, 어떤 추출구와 공급구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단위 충전탑을 끼우지 않고 추출구와 공급구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추출구 쪽을, 공급구보다도, 동일한 배관의 상류측에 배치한다. 이것은, 공급한 액이 그 하류의 단위 충전탑에 도달하기 전에, 해당 액이 추출구로부터 추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b)는,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원액 공급구(F)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상류측에 설치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c)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를,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를 갖는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를,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하류측에 설치한다.
여기서,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를,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를 갖는 배관에 설치한다"란,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와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사이에, 단위 충전탑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c)는,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를,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하류측에 설치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기 순환계를 이용해서, 하기 스텝 (A) 및 (B)를 순서대로 반복한다.
[스텝 (A)]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2개 이상의 용리액 공급구(D)로부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각각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공급하고, 그리고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각각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추출하는 스텝.
여기서, 스텝 (A)에 있어서, 원액 공급구(F)로부터 공급되는 원액의 양과 용리액 공급구(D)로부터 공급되는 용리액의 양의 합계와,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추출되는 약흡착성 분획의 양과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부터 추출되는 중간 흡착성 분획의 양과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추출되는 강흡착성 분획(C)의 양의 합계는 일치한다. 즉, 순환계 내에 액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그것과 같은 양만큼, 순환계 내로부터 액이 추출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어떤 공급구(X)로부터 액이 공급되고, 그 하류측의 어떤 추출구(Y)로부터 액이 추출되는 경우에 있어서, X보다도 하류측에서 Y보다도 상류측으로부터 액이 공급되고 있지 않을 경우, Y로부터 추출되는 액의 양은, X로부터 공급되는 액의 양과 같다. 또, X보다도 하류측에서 Y보다도 상류측으로부터 액이 공급되고 있을 경우에는, Y로부터 추출되는 액의 양은, X로부터 공급되는 액의 양과 X보다도 하류측에서와 Y보다도 상류측으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액의 양의 합계와 같다. 예를 들면 도 2의 서브스텝 (A1-1)에 있어서,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공급하는 용리액의 공급량과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추출하는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량은 같다. 또한, 마찬가지로 서브스텝 (A1-1)에 있어서,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공급하는 용리액의 공급량과 원액 공급구(F)로부터 공급하는 원액의 공급량의 합계는,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추출하는 약흡착성 분획의 양과 같다.
또한, 상기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공급"한다란, 시간적인 차이를 두지 않고(공급하는 타이밍을 늦추지 않고) 공급하거나, 또는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공급하는 타이밍을 늦춰서)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 하나의 스텝 (A) 내에 있어서, 동일한 배관에 2종 이상의 액을 공급하는 2개 이상의 공급구가 배치될 경우(배관에 2개 이상의 공급구가 단위 충전탑을 끼우지 않고 배치되고, 해당 2개 이상의 각 공급구로부터 다른 액을 공급할 경우)에는, 해당 2종 이상의 액의 공급은 동시에는 행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스텝 (A) 중에서, 해당 2종 이상의 액의 공급을 다른 서브스텝으로 해서 행한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스텝 (A) 내에 있어서, 동일한 배관에 2종 이상의 분획을 추출하는 2개 이상의 추출구가 배치될 경우(배관에 2개 이상의 추출구가 단위 충전탑을 끼우지 않고 배치되고, 해당 2개 이상의 각 추출구로부터 다른 분획을 추출할 경우)에는, 해당 2종 이상의 분획의 추출은 동시에는 행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스텝 (A) 중에서, 해당 2종 이상의 분획의 추출을 다른 서브스텝으로 해서 행한다.
[스텝 (B)]
상기 스텝 (A) 종료 후, 원액 공급구(F), 용리액 공급구(D),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및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는 스텝.
이 하류측으로의 이행은, 원액 공급구(F), 용리액 공급구(D),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및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단위 충전탑 1개분만큼 하류측으로 이행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스텝 (A)에 있어서, 원액 공급 밸브(F1)가 설치된 원액 공급 분기라인과 배관(1)의 연결 부위가 원액 공급구(F)였을 경우, 스텝 (B)에 의해, 이 원액 공급구(F)는, 원액 공급 밸브(F2)가 설치된 원액 공급 분기라인과 배관(1)의 연결 부위로 이행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용리액 공급구(D),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및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각 공급구 및 추출구의, 단위 충전탑 1개분의 하류측으로의 이행은, 순환계에 배치한 각종 펌프나 각종 밸브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스텝 (B)의 실시에 의해, 계속되는 스텝 (A)(스텝 (A2)라고 칭함)에 있어서, 해당 스텝 (B)의 직전의 스텝 (A)(스텝 (A1)이라고 칭함)에 있어서 각 단위 충전탑에 대해 행한 것과 동일하도록, 액의 공급 및 추출을, 스텝 (A1)보다도 1개분만큼 하류측의 각 단위 충전탑에 대해서 행하게 된다.
상기 스텝 (A)는, 복수의 서브스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원액 공급구(F)로부터의 원액의 공급, 2개 이상의 용리액 공급구(D)로부터의 2종 이상의 각 용리액의 공급,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의 약흡착성 분획의 추출,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의 추출,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의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을, 어느 서브스텝에 있어서 행할지는,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기 스텝 (A)는 원액을 공급하는 서브스텝과 원액을 공급하지 않는 서브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텝 (A) 중에, 원액을 공급하는 시간과 원액을 공급하지 않는 시간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A)에 있어서, 2종 이상의 용리액이 공급된다. 이들 2종 이상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를,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에 대해서,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상류측의 배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용리액의 공급구 또는 원액 공급구에 대해서는,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보다도,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더욱 상류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보다도,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더욱 상류측에 설치한다"란, 가장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가 설치된 배관을 시점으로 해서 상류측으로 진행되고,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가 설치된 배관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의 어느 쪽인가의 배관에, 가장 강한 용리액 이외의 용리액의 공급구 또는 원액 공급구를 설치하는 것을 의미한다(환언하면,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가 설치된 배관을 시점으로 해서 하류측으로 진행되고, 가장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가 설치된 배관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의 어느 쪽인가의 배관에, 가장 강한 용리액 이외의 용리액의 공급구 또는 원액 공급구를 설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달리 말하면, 가장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와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 사이에 단위 충전탑이 2개 이상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 해당 2개 이상의 단위 충전탑끼리를 연결시키는 배관에는, 용리액의 공급구 또는 원액 공급구를 설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장 강한 용리액 이외의 용리액이 2종 이상 있을 경우에는, 이들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공급구는, 그들의 일부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각각이 단위 충전탑을 끼운 별개의 배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장 강한 용리액 이외의 용리액의 공급구와 원액 공급구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 이외의 용리액의 공급구 중 1개의 공급구를,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하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이다.
스텝 (A)에 있어서, 2종 이상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을 공급하고 있는 동안에는, 그 하류로부터,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의 공급량과 같은 양의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로부터 그 하류의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까지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이 배치되고, 또한, 해당 동안에는 다른 공급구는 존재하지 않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A)에 있어서, 2종 이상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을 공급하면서, 그 하류에서부터,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의 공급량과 같은 양의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는 시간대(서브스텝)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로부터 그 하류의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까지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단위 충전탑)이 배치된다. 또,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의 공급구가 설치된 배관으로부터 그 하류 측의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가 설치된 배관까지의 사이에 다른 공급구가 존재하고 있었다고 해도, 상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는 시간대에는 해당 다른 공급구로부터는 액을 공급하지 않는다.
스텝 (A)를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는, 항상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텝 (A)를 복수의 서브스텝으로 구성할 경우에도, 해당 복수의 서브스텝에 있어서, 약흡착성 분획은 항상 추출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는, 서로 탈착력이 다른 3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로 탈착력이 다른 4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서로 탈착력이 다른 4 내지 6종의 용리액을 이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고, 서로 탈착력이 다른 4종 또는 5종의 용리액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용리액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흡착제의 종류나 원액 중의 성분의 종류와의 관계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된다. 예를 들면, 흡착제로서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할 경우, 용리액의 염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탈착력이 다른 복수의 용리액을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할 경우에는, NaCl 농도를 변화시킨 복수의 용리액을, 2종 이상의 용리액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스텝 (A)에 있어서의 서브스텝의 조합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들 형태의 실시는,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도 1의 시스템에 준하는, 목적하는 형태를 실시 가능한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상대적인 탈착력의 관점에서, 하기 용리액(d-1)로서 위치 부여되는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준비하고, 용리액(d-1)을 공급하는 서브스텝 간에 있어서, 사용하는 용리액(d-1)의 종류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용리액(d-II 내지 d-V)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어떤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리액(d-1)"이라고 할 경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서브스텝에서 "용리액(d-1)"을 사용할 경우에는, 다른 서브스텝에서 사용하는 "용리액(d-1)"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이것은 용리액(d-II 내지 d-V)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에서는, 단위 충전탑을 4개 이상 갖는 순환계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4개의 섹션 1 내지 4로 구획한 것을 상정한다. 또한, 용리액으로서, 탈착력이 다른 4종의 용리액(d-I 내지 d-IV)을 이용한다.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1), (A2-1) 및 (A3-1)을 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텝 (A)에 있어서 서브스텝 X, Y 및 Z를 행한다"란, 스텝 (A)가 서브스텝 X, Y 및 Z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서브스텝 X, Y 및 Z를 행하는 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스텝 (A)는, 서브스텝 X, Y 및 Z 이외의, 다른 서브스텝을 포함해도 된다.
"스텝 (A)에 있어서 서브스텝 X, Y 및 Z를 행하는" 형태로서, 전형적으로는, 스텝 (A)로서 서브스텝 X, Y 및 Z를 차례로 행하는 형태를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텝 (A)에 있어서 서브스텝 X, Y 및 Z를 행한다"란, 서브스텝 X의 직후에 서브스텝 Y를 행하고, 서브스텝 Y의 직후에 서브스텝 Z를 행하고, 서브스텝 Z의 직후에 스텝 (B)를 행하고, 스텝 (B)의 직후에 서브스텝 X를 행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외의 서브스텝을 포함하는 형태에서는, 서브스텝 X의 앞(스텝 (B)과 서브스텝 X 사이), 서브스텝 X와 Y 사이, 서브스텝 Y와 Z 사이, 서브스텝 Z와 스텝 (B) 사이의 적어도 1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서브스텝(서브스텝 X, Y 및 Z 이외의 서브스텝)을 편입시킬 수 있다. 공급 유량, 유속, 용리액 강도 등의 조정에 의해, 서브스텝 X, Y 및 Z 이외의 부가적인 서브스텝을 편입시켜도 원하는 효과가 얻어질 경우가 있으며, 이것은 본 명세서를 접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서브스텝 (A1-1)>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서브스텝 (A1-1)에서는, 상기의 각 액의 공급과, 각 분획의 추출이, 연속적으로 행하여진다(즉, 서브스텝 (A1-1)에서는 항상, 상기의 각 액의 공급과, 각 분획의 추출의 모두가 끊임없이 행해지고 있다). 이것은, 이후에 설명하는 각 서브스텝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 내지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서브스텝에서 설명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의 강약의 설명은, 해당 서브스텝 내에 있어서의 용리액의 탈착력의 강약이며, 다른 서브스텝에 있어서의 용리액의 탈착력의 강약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텝 (A)를 구성하는 하나의 서브스텝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는 것이 설명되고, 해당 스텝 (A)를 구성하는 다른 서브스텝에 있어서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는 것이 설명되어 있을 경우, 해당 하나의 서브스텝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과 해당 다른 서브스텝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서브스텝 (A2-1)>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이 서브스텝 (A2-1)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III)는, 상기 서브스텝 (A1-1)에 있어서의 원액 공급구(F)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스텝 (A3-1)>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상기 서브스텝 (A2-1)에 있어서,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은, 상기 서브스텝 (A3-1)에 있어서, 섹션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과 동일한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스텝 (A1-1)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1-1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1-1)은 서브스텝 (A1-1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1-1ex)>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1)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2)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상기 서브스텝 (A2-1)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2-1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2-1)은 서브스텝 (A2-1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2-1ex)>
상기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상기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상기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3)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3)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약한 용리액(d3)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이 서브스텝 (A2-1ex)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3)는, 상기 서브스텝 (A1-1)에 있어서의 원액 공급구(F)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브스텝 (A3-1)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3-1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3-1)은 서브스텝 (A3-1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3-1ex)>
상기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상기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4)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4)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세 번째로 강한 용리액(d4)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각 섹션이 단위 충전탑을 1개 구비할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스텝 (A)가 상기 서브스텝 (A1-1ex), (A2-1ex) 및 (A3-1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 중, 사각 테두리는 단위 충전탑 1개분을 나타내고, 해당 테두리 속의 숫자는 단위 충전탑의 번호(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번호 부여됨)를 나타낸다.
상기 서브스텝 (A1-1ex), (A2-1ex) 및 (A3-1ex)를 차례로 행하는 스텝 (A)가 종료 후, 스텝 (B)에 의해, 원액 공급구(F), 상기 용리액 공급구(D),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 상기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및 상기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고, 이어서 상기 서브스텝 (A1-1ex), (A2-1ex) 및 (A3-1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각 섹션에 배치되는 단위 충전탑이, 도 3에서는 1개씩 하류측의 것으로 시프트된다. 이 경우, 도 2에 나타낸 스텝 (A)로부터 시작하고, 이어서 스텝 (B)를 행하는 것을 1세트로 해서 이것을 4세트 행함으로써, 다시 도 2에 나타낸 형태로 돌아가게 된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단위 충전탑을 4개 이상 갖는 순환계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4개의 섹션 1 내지 4로 구획한 것을 상정한다. 또, 용리액으로서, 탈착력이 다른 4종의 용리액(d-I 내지 d-IV)을 이용한다.
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스텝 (A)로서 하기 서브스텝 (A1-2), (A2-2) 및 (A3-2)를 차례로 행한다.
<서브스텝 (A1-2)>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서브스텝 (A2-2)>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이 서브스텝 (A2-2)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I)는, 상기 서브스텝 (A1-2)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II)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용리액 공급구(D-III)는 원액 공급구(F)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서브스텝 (A2-2)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은, 상기 서브스텝 (A1-2)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스텝 (A3-2)>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2)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상기 서브스텝 (A1-2)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1-2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1-2)는 서브스텝 (A1-2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1-2ex)>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2)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상기 서브스텝 (A2-2)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2-2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2-2)은 서브스텝 (A2-2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2-2ex)>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1)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2)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3)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3)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약한 용리액(d3)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이 서브스텝 (A2-2ex)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1)는, 상기 서브스텝 (A1-2ex)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2)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용리액 공급구(D3)는, 상기 서브스텝 (A1-2ex)에 있어서의 원액 공급구(F)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브스텝 (A3-2)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3-2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3-2)은 서브스텝 (A3-2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3-2ex)>
상기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상기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상기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2ex)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4)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4)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세 번째로 강한 용리액(d4)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각 섹션이 단위 충전탑을 1개 구비할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스텝 (A)가 상기 서브스텝 (A1-2ex), (A2-2ex) 및 (A3-2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 중, 사각 테두리는 단위 충전탑 1개분을 나타내고, 해당 테두리 속의 숫자는 단위 충전탑의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서브스텝 (A1-2ex), (A2-2ex) 및 (A3-2ex)를 차례로 행하는 스텝 (A)가 종료 후, 스텝 (B)에 의해, 원액 공급구(F), 용리액 공급구(D),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및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고, 이어서 상기 서브스텝 (A1-2ex), (A2-2ex) 및 (A3-2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각 섹션에 배치되는 단위 충전탑이, 도 5에서는 1개씩 하류측의 것으로 시프트된다. 이 경우, 도 4에 나타낸 스텝 (A)로부터 시작하고, 이어서 스텝 (B)를 행하는 것을 1세트로 해서 이것을 4세트 행함으로써, 다시 도 4에 나타낸 형태로 돌아가게 된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은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갖는 순환계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한 것을 상정한다. 또한, 용리액으로서, 탈착력이 다른 4종의 용리액(d-I 내지 d-IV)을 이용한다.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스텝 (A)로서 하기 서브스텝 (A1-3), (A2-3) 및 (A3-3)을 차례로 행한다.
<서브스텝 (A1-3)>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과 같거나 또는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서브스텝 (A2-3)>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이 서브스텝 (A2-3)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은, 상기 서브스텝 (A1-3)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서브스텝 (A2-3)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I)는, 상기 서브스텝 (A1-3)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II)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스텝 (A3-3)>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3)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상기 서브스텝 (A1-3)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1-3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1-3)은 서브스텝 (A1-3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1-3ex)>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2)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3)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3)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약한 용리액(d3)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상기 서브스텝 (A2-3)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2-3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2-3)은 서브스텝 (A2-3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2-3ex)>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1)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2)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3)로부터 상기 용리액(d3)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이 서브스텝 (A2-3ex)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1)는, 상기 서브스텝 (A1-3ex)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2)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브스텝 (A3-3)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3-3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3-3)은 서브스텝 (A3-3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3-3ex)>
상기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상기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상기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3ex)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4)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4)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세 번째로 강한 용리액(d4)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각 섹션이 단위 충전탑을 1개 구비할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스텝 (A)가 상기 서브스텝 (A1-3ex), (A2-3ex) 및 (A3-3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 중, 사각 테두리는 단위 충전탑 1개분을 나타내고, 해당 테두리 속의 숫자는 단위 충전탑의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서브스텝 (A1-3ex), (A2-3ex) 및 (A3-3ex)를 차례로 행하는 스텝 (A)가 종료 후, 스텝 (B)에 의해, 원액 공급구(F), 용리액 공급구(D),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및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고, 이어서 상기 서브스텝 (A1-3ex), (A2-3ex) 및 (A3-3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각 섹션에 배치되는 단위 충전탑이, 도 7에서는 1개씩 하류측의 것으로 시프트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낸 스텝 (A)로부터 시작하고, 이어서 스텝 (B)를 행하는 것을 1세트로 해서 이것을 5세트 행함으로써, 다시 도 6에 나타낸 형태로 돌아가게 된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는 단위 충전탑을 7개 이상 갖는 순환계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한 것을 상정한다. 또한, 용리액으로서, 탈착력의 다른 5종의 용리액(d-I 내지 d-V)을 이용한다.
이 실시형태 4에 있어서는, 스텝 (A)로서 하기 서브스텝 (A1-4), (A2-4) 및 (A3-4)를 차례로 행한다.
<서브스텝 (A1-4)>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과 같거나 또는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서브스텝 (A2-4)>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이 서브스텝 (A2-4)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은, 상기 서브스텝 (A1-4)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서브스텝 (A2-4)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I)는, 상기 서브스텝 (A1-4)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II)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스텝 (A3-4)>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4)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V)로부터 용리액d-V를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상기 서브스텝 (A1-4)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1-4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1-4)는 서브스텝 (A1-4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1-4ex)>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2)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5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3)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3)로부터 5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약한 용리액(d3)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상기 서브스텝 (A3-3)에 있어서,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은, 상기 서브스텝 (A3-4)에 있어서,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과 같은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스텝 (A2-4)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2-4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2-4)은 서브스텝 (A2-4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2-4ex)>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1)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5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2)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5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4)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4)로부터 5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4번째로 강한 용리액(d4)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이 서브스텝 (A2-4ex)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1)는, 상기 서브스텝 (A1-4ex)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2)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브스텝 (A3-4)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3-4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3-4)은 서브스텝 (A3-4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3-4ex)>
상기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상기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상기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4ex)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5)로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5)로부터 5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세 번째로 강한 용리액(d5)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상기 스텝 (A)가 상기 서브스텝 (A1-4ex), (A2-4ex) 및 (A3-4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흐름의 일례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 중, 사각 테두리는 단위 충전탑 1개분을 나타내고, 해당 테두리 속의 숫자는 단위 충전탑의 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형태는 단위 충전탑을 7개 구비하고, 섹션 1에 단위 충전탑이 1개, 섹션 2에 단위 충전탑이 2개, 섹션 3에 단위 충전탑이 2개, 섹션 4에 단위 충전탑이 1개, 섹션 5에 단위 충전탑이 1개 포함되어 있다.
상기 서브스텝 (A1-4ex), (A2-4ex) 및 (A3-4ex)를 차례로 행하는 스텝 (A)가 종료 후, 스텝 (B)에 의해, 원액 공급구(F), 용리액 공급구(D),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및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고, 이어서 상기 서브스텝 (A1-4ex), (A2-4ex) 및 (A3-4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각 섹션에 배치되는 단위 충전탑이, 도 9에서는 단위 충전탑 1개분씩 하류측의 것으로 시프트된다. 이 경우, 도 8에 나타낸 스텝 (A)로부터 시작하고, 이어서 스텝 (B)를 행하는 것을 1세트로 해서 이것을 7세트 행함으로써, 다시 도 8에 나타낸 형태로 돌아가게 된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5는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갖는 순환계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한 것을 상정한다. 또한, 용리액으로서, 탈착력이 다른 4종의 용리액(d-I 내지 d-IV)을 이용한다.
이 실시형태 5에 있어서는, 스텝 (A)로서 하기 서브스텝 (A1-5), (A2-5) 및 (A3-5)를 차례로 행한다.
<서브스텝 (A1-5)>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서브스텝 (A2-5)>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서브스텝 (A3-5)>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이 서브스텝 (A3-5)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은, 상기 서브스텝 (A2-5)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스텝 (A1-5)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1-5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1-5)은 서브스텝 (A1-5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1-5ex)>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3)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3)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약한 용리액(d3)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상기 서브스텝 (A2-5)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2-5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2-5)은 서브스텝 (A2-5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2-5ex)>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1)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2)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3)로부터 상기 용리액(d3)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상기 서브스텝 (A3-5)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3-5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3-5)은 서브스텝 (A3-5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3-5ex)>
상기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상기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상기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4)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4)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세 번째로 강한 용리액(d4)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각 섹션이 단위 충전탑을 1개 구비할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스텝 (A)가 상기 서브스텝 (A1-5ex), (A2-5ex) 및 (A3-5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 중, 사각 테두리는 단위 충전탑 1개분을 나타내고, 해당 테두리 속의 숫자는 단위 충전탑의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서브스텝 (A1-5ex), (A2-5ex) 및 (A3-5ex)를 차례로 행하는 스텝 (A)가 종료 후, 스텝 (B)에 의해, 원액 공급구(F), 용리액 공급구(D),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및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고, 이어서 상기 서브스텝 (A1-5ex), (A2-5ex) 및 (A3-5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각 섹션에 배치되는 단위 충전탑이, 도 14에서는 1개씩 하류측의 것으로 시프트된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낸 스텝 (A)로부터 시작하고, 이어서 스텝 (B)를 행하는 것을 1세트로 해서 이것을 5세트 행함으로써, 다시 도 13에 나타낸 형태로 돌아가게 된다.
-실시형태 6-
실시형태 6은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갖는 순환계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한 것을 상정한다. 또, 용리액으로서, 탈착력이 다른 4종의 용리액(d-I 내지 d-IV)을 이용한다.
이 실시형태 6에 있어서는, 스텝 (A)로서 하기 서브스텝 (A1-6), (A2-6) 및 (A3-6)을 차례로 행한다.
<서브스텝 (A1-6)>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서브스텝 (A2-6)>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이 서브스텝 (A2-6)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은, 상기 서브스텝 (A1-6)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서브스텝 (A2-6)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I)는, 상기 서브스텝 (A1-6)에 있어서의 용리액 공급구(D-II)와 동일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스텝 (A3-6)>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이 서브스텝 (A3-6)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은, 상기 서브스텝 (A2-6)에 있어서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스텝 (A1-6)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1-6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1-6)은 서브스텝 (A1-6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1-6ex)>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2)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4)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4)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세 번째로 강한 용리액(d4)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상기 서브스텝 (A2-6)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2-6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2-6)은 서브스텝 (A2-6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2-6ex)>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1)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3)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3)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약한 용리액(d3)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상기 서브스텝 (A3-6)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3-6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3-6)은 서브스텝 (A3-6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3-6ex)>
상기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상기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상기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2)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3)로부터 상기 용리액(d3)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각 섹션이 단위 충전탑을 1개 구비할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스텝 (A)가 상기 서브스텝 (A1-6ex), (A2-6ex) 및 (A3-6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 중, 사각 테두리는 단위 충전탑 1개분을 나타내고, 해당 테두리 속의 숫자는 단위 충전탑의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서브스텝 (A1-6ex), (A2-6ex) 및 (A3-6ex)를 차례로 행하는 스텝 (A)가 종료 후, 스텝 (B)에 의해, 원액 공급구(F), 용리액 공급구(D),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및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고, 이어서 상기 서브스텝 (A1-6ex), (A2-6ex) 및 (A3-6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낸, 각 섹션에 배치되는 단위 충전탑이, 도 16에서는 1개씩 하류측의 것으로 시프트된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낸 스텝 (A)로부터 시작하고, 이어서 스텝 (B)를 행하는 것을 1세트로 해서 이것을 5세트 행함으로써, 다시 도 15에 나타낸 형태로 돌아가게 된다.
-실시형태 7-
실시형태 7은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갖는 순환계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한 것을 상정한다. 또한, 용리액으로서, 탈착력이 다른 4종의 용리액(d-I 내지 d-IV)을 이용한다.
이 실시형태 7에 있어서는, 스텝 (A)로서 하기 서브스텝 (A1-7), (A2-7) 및 (A3-7)을 차례로 행한다.
<서브스텝 (A1-7)>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서브스텝 (A2-7)>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서브스텝 (A3-7)>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상기 서브스텝 (A1-7)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1-7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1-7)은 서브스텝 (A1-7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1-7ex)>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1)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 해서, 해당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원액 공급구(F)로 해서, 해당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3)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3)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약한 용리액(d3)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 해서, 해당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상기 서브스텝 (A2-7)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2-7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2-7)은 서브스텝 (A2-7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2-7ex)>
상기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상기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상기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3)로부터 상기 용리액(d3)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상기 서브스텝 (A3-7)의 일례로서, 하기 서브스텝 (A3-7ex)를 실시하는 서브스텝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서브스텝 (A3-7)은 서브스텝 (A3-7ex)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스텝 (A3-7ex)>
상기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상기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상기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 해서, 해당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4)로 해서, 해당 용리액 공급구(D4)로부터 4종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세 번째로 강한 용리액(d4)을 공급하고,
상기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한다.
각 섹션이 단위 충전탑을 1개 구비할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스텝 (A)가 상기 서브스텝 (A1-7ex), (A2-7ex) 및 (A3-7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 중, 사각 테두리는 단위 충전탑 1개분을 나타내고, 해당 테두리 속의 숫자는 단위 충전탑의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서브스텝 (A1-7ex), (A2-7ex) 및 (A3-7ex)를 차례로 행하는 스텝 (A)가 종료 후, 스텝 (B)에 의해, 원액 공급구(F), 용리액 공급구(D),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및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고, 이어서 상기 서브스텝 (A1-7ex), (A2-7ex) 및 (A3-7ex)를 차례로 행할 경우의 순서도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각 섹션에 배치되는 단위 충전탑이, 도 18에서는 1개씩 하류측의 것으로 시프트된다. 이 경우, 도 17에 나타낸 스텝 (A)로부터 시작하고, 이어서 스텝 (B)를 행하는 것을 1세트로 해서 이것을 5세트 행함으로써, 다시 도 17에 나타낸 형태로 돌아가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목적하는 액을 목적하는 장소에 공급하거나, 목적하는 액을 목적하는 장소로부터 추출하거나 하는 것은, 순환계에 마련한 각 장소의 펌프의 작동, 각 장소의 밸브의 개폐를 적절하게 조정해서 행할 수 있다. 즉, 순환계에 있어서의 목적하는 유체의 공급이나 목적하는 분획의 추출의 방법 그 자체는 공지이다. 또, 각 액의 공급 유량이나 추출 유량도, 처리 효율 등의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정제 대상 성분은 강흡착성 성분, 중간 흡착성 성분, 약흡착성 성분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그 중에서도 중간 흡착성 성분을 정제하는데 적합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백질의 정제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중간 흡착성 성분을 고순도로 얻을 수 있으므로, 목적하는 단백질 이외에 그 분해물이나 응집체를 함유하는 원액으로부터, 목적하는 단백질을 고순도로 얻기 위하여 바람직한 방법이다.
상기 단백질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항체를 정제 대상 성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체"란, 천연에 존재하는 항체이어도 되고, 키메라 항체이어도 되고, 효소 등에 의해 프래그먼트화된 항체이어도 된다(예를 들어, F(ab')2 프래그먼트, Fab' 프래그먼트, Fab 프래그먼트). 또한, 단쇄항체나 그의 이량체(다이아바디) 혹은 삼량체(트라이아바디) 또는 미니바디도 포함된다. 또한, 싱글 도메인 항체이어도 된다. 또, 이들은 일례이며, 항원에 대해서 특이적인 결합 능력을 갖는 단백질 또는 그 유도체는 모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항체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고순도화한 항체는, 항체 의약으로서의 적용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해서 원액 중에 함유되는 항체를 분취함으로써, 항체 의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항체 생산 세포의 배양액 및/또는 항체 생산 세포의 추출액을 원액으로 하여, 그 중에 포함되는 항체를 분취함으로써, 항체 의약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체 생산 세포의 배양액"이나 "항체 생산 세포의 추출액"은, 항체 생산 세포의 배양액이나 항체 생산 세포의 추출액을, 원심분리처리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처리 등의 각종 처리에 부여해서, 어느 정도 분획 또는 정제 등 된 상태로 한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단위 충전탑에 충전되는 흡착제는, 정제 대상 성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되는 것이며, 각종 흡착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합성 흡착제,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및 작용기 수식된 실리카겔(바람직하게는 옥타데실실릴 수식 실리카겔), 또한, 그 밖의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재료, 친화도-흡착 재료를 흡착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정제 대상성분이 단백질인 경우, 흡착제는 이온교환 수지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양이온 교환 수지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은, 전술한 순환계의 구성을 갖고, 해당 순환계가, 전술한 스텝 (A)의 작동과 스텝 (B)의 작동을 순서대로 반복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액의 조제]
인간의 면역글로불린 G2(IgG2)를 생산하는 세포를 배양하고, 그 배양액의 상청액을 투석에 의해 탈염한 후, NaCl을 가해서 염농도를 조정한 것을 원액으로 하였다. 이 상청액 중에 함유되는 항체와, 그의 프래그먼트 및 응집체의 함유량은 하기와 같다. 하기 표 중, 프래그먼트 1은 분자량 5000 부근을 피크로 하는 분자량이 25000 미만인 분획에 포함되는 단백질로 하고, 프래그먼트 2는 분자량이 25000 이상 50000 미만인 분획에 포함되는 단백질로 하였다. 또한, 항체는 분자량 150000 부근을 피크로 하는 분자량이 50000 이상 300000 미만인 분획에 포함되는 단백질로 하였다. 또한, 응집체는 분자량이 300000 이상인 분획에 포함되는 단백질로 하였다. 하기 성분 조성은, 분석 칼럼(토소 TSKgel G3000SWXL)을 이용한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결정하였다.
Figure pct00001
[단위 충전탑(칼럼)에 이용하는 흡착제]
흡착제로서 양이온 교환 수지(상품명: Fractogel(등록상표) EMD SO3 -(M), 머크사 제품)를 이용하였다.
[용리액]
하기 A액 및 B액을 이용해서 각종 NaCl 농도의 인산 완충액을 조제하여, 용리액으로서 이용하였다.
<A액>
20mM 인산 완충액 pH 6.0
<B액>
NaCl을 0.3M(17.53g/ℓ)의 농도로 함유하는 20mM 인산 완충액 pH 6.0
[비교예 1] 단일 칼럼·스텝 구배
<칼럼>
지름 10㎜×길이 100㎜ 1개
<원액>
원액 중의 NaCl 농도는 2.05g/ℓ로 하였다.
<용리액>
하기 용리액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02
<운전 조건>
하기 공정 1 내지 6을 차례로 행하였다. 공정 1 내지 6의 순서도를 도 10에 나타냈다.
하기 운전 조건은,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프래그먼트 2의 회수율이 98% 이상,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이 98% 이상, 그리고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이 98% 이상으로 되는 조건으로 하였다. 이것은, 후술하는 각 비교예 및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Figure pct00003
<결과>
-회수율-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프래그먼트 2의 회수율,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이 회수율은, 100×[분획 중의 질량]/[원액 중의 질량]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pct00004
-분리 처리 효율-
흡착제의 체적(단위: "L(리터)-R", R는 수지의 약어)당, 시간(단위: "h(시간)"당의 원액의 처리량(단위: "L(리터)-원액"을 분리 처리 효율로 하였다. 또, 후술하는 칼럼을 복수개 이용하는 멀티칼럼계에서는, 흡착제의 체적은, 모든 칼럼에 포함되는 흡착제의 총량이다.
비교예 1에 있어서의 분리 처리 효율은 6.04(L-원액)/(L-R)·h였다.
[비교예 2] 단일 칼럼·스텝 구배
<칼럼>
지름 10㎜×길이 400㎜ 1개
<원액>
원액 중의 NaCl 농도는 2.05g/ℓ로 하였다.
<용리액>
하기 용리액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05
<운전 조건>
하기 공정 1 내지 6을 차례로 행하였다. 공정 1 내지 6의 순서도는 도 10과 같다.
Figure pct00006
<결과>
-회수율-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프래그먼트 2의 회수율,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분리 처리 효율-
비교예 2에 있어서의 분리 처리 효율은 12.51(L-원액)/(L-R)·h였다.
[비교예 3] 멀티칼럼·구배·모사이동층 방식
<칼럼>
지름 10㎜×길이 100㎜ 4개
<원액>
원액 중의 NaCl 농도는 2.23g/ℓ로 하였다.
<용리액>
하기 용리액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08
<운전 조건>
도 11에 비교예 3의 운전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제1 내지 제4 스텝을 1사이클로 해서, 10사이클 실시하였다. 각 스텝의 사이에는, 원액 공급구(F), 용리액 공급구(D)(D1 내지 D3),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 및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칼럼 1개분만큼 하류측으로 이행시키는 스텝을 행하고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낸 제1 내지 제4 스텝은, 본 발명의 스텝 (A)에 대응하지만, 해당 스텝 (A)와는 달리, 복수의 서브스텝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환언하면, 1개의 서브스텝으로 1개의 스텝이 구성되어 있다). 도 11 중의 "D1", "D2" 및 "D3"은 모두 용리액 공급구이며, 각각, 용리액(D1, D2 및 D3)이 공급된다. 도 11 중의 "C"은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이며, 강흡착성 분획이 추출된다. 마찬가지로 "B"는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이며, 중간 흡착성 분획이 추출되고, "A"는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이며, 약흡착성 분획이 추출된다.
도 11에 나타낸 각 스텝에 있어서의 용리액(D1 내지 D3)과 원액(F)의 공급 유속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또, 하기 표에는 추출되는 액의 유속을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로부터 추출되는 강흡착성 분획의 유속은 용리액(D1)을 공급하는 유속과 같다. 또한,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로부터 추출되는 중간 흡착성 분획의 유속은 용리액(D2)을 공급하는 유속과 같다. 또,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로부터 추출되는 약흡착성 분획의 유속은, 용리액(D3)을 공급하는 유속과,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는 유속의 합계가 된다. 즉, 공급 유량과 추출 유량은 항상 동일하고, 이것은 이후의 비교예 내지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Figure pct00009
<결과>
-회수율-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프래그먼트 2의 회수율,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분리 처리 효율-
비교예 3에 있어서의 분리 처리 효율은 7.11(L-원액)/(L-R)·h였다.
[비교예 4] 멀티칼럼·구배·모사이동층 방식
<칼럼>
지름 10㎜×길이 100㎜ 4개
<원액>
원액 중의 NaCl 농도는 2.24g/ℓ로 하였다.
<용리액>
하기 용리액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11
<운전 조건>
도 12에 비교예 4의 운전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제1 내지 제4 스텝을 1사이클로 해서, 10사이클 실시하였다. 또, 도 12에 나타낸 각 스텝은, 제1 서브스텝과 제2 서브스텝의 2개의 서브스텝으로 구성되고, 제2 서브스텝은 액의 공급과 추출의 어느 것도 행하지 않고, 순환계 내의 유체를 순환시키는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각 스텝에 있어서의 용리액(D1 내지 D3)과 원액(F)의 공급 유속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Figure pct00012
<결과>
-회수율-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2의 회수율,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분리 처리 효율-
비교예 4에 있어서의 분리 처리 효율은 7.19(L-원액)/(L-R)·h였다.
[실시예 1] 멀티칼럼·구배·모사이동층 방식
<칼럼>
지름 10㎜×길이 100㎜ 4개
<원액>
원액 중의 NaCl 농도는 1.93g/ℓ로 하였다.
<용리액>
하기 용리액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14
<운전 조건>
도 2에 나타낸 서브스텝의 조합에 의해 스텝 (A)를 구성하였다. 이 스텝 (A)와 이것에 이어지는 스텝 (B)를 1세트로 하고, 이것을 4세트 행하여 1사이클로 해서, 10사이클 실시하였다. 각 스텝 (A)에 있어서의 용리액(D1 내지 D4)과 원액(F)의 공급 유속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Figure pct00015
<결과>
-회수율-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2의 회수율,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분리 처리 효율-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분리 처리 효율은 19.696(L-원액)/(L-R)·h였다.
[실시예 2] 멀티칼럼·구배·모사이동층 방식
<칼럼>
지름 10㎜×길이 100㎜ 4개
<원액>
원액 중의 NaCl 농도는 2.02g/ℓ로 하였다.
<용리액>
하기 용리액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17
<운전 조건>
도 4에 나타낸 서브스텝의 조합에 의해 스텝 (A)를 구성하였다. 이 스텝 (A)와 이것에 이어지는 스텝 (B)를 1세트로 하고, 이것을 4세트 행하여 1사이클로 해서, 10사이클 실시하였다. 각 스텝 (A)에 있어서의 용리액(D1 내지 D4)과 원액(F)의 공급 유속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Figure pct00018
<결과>
-회수율-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2의 회수율,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9
-분리 처리 효율-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분리 처리 효율은 18.610(L-원액)/(L-R)·h였다.
[실시예 3] 멀티칼럼·구배·모사이동층 방식
<칼럼>
지름 10㎜×길이 805㎜ 5개
<원액>
원액 중의 NaCl 농도는 2.46g/ℓ로 하였다.
<용리액>
하기 용리액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20
<운전 조건>
도 6에 나타낸 서브스텝의 조합에 의해 스텝 (A)를 구성하였다. 이 스텝 (A)와 이것에 이어지는 스텝 (B)를 1세트로 하고, 이것을 5세트 행하여 1사이클로 해서, 10사이클 실시하였다. 각 스텝 (A)에 있어서의 용리액(D1 내지 D4)과 원액(F)의 공급 유속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Figure pct00021
<결과>
-회수율-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2의 회수율,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2
-분리 처리 효율-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분리 처리 효율은 16.499(L-원액)/(L-R)·h였다.
[실시예 4] 멀티칼럼·구배·모사이동층 방식
<칼럼>
지름 10㎜×길이 100㎜ 7개
<원액>
원액 중의 NaCl 농도는 2.57g/ℓ로 하였다.
<용리액>
하기 용리액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23
<운전 조건>
도 8에 나타낸 서브스텝의 조합에 의해 스텝 (A)를 구성하였다. 이 스텝 (A)와 이것에 이어지는 스텝 (B)를 1세트로 하고, 이것을 7세트 행하여 1사이클로 해서, 10사이클 실시하였다. 각 스텝 (A)에 있어서의 용리액(D1 내지 D5)과 원액(F)의 공급 유속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Figure pct00024
<결과>
-회수율-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2의 회수율,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5
-분리 처리 효율-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분리 처리 효율은 15.225(L-원액)/(L-R)·h였다.
상기와 같이,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있어서,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순환계에 있어서의 약흡착성 분획 추출구(A)와,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구(B)와, 강흡착성 분획 추출구(C)와, 원액 공급구(F)의 위치 관계를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특정 관계로 함으로써, 약흡착성 성분과 중간 흡착성 성분과 강흡착성 성분을, 보다 적은 흡착제의 사용량으로, 충분히 고순도화해서 분취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목적하는 항체를 중간 흡착성 분획 중에, 고순도로, 고효율로 얻을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5] 멀티칼럼·구배·모사이동층 방식
<칼럼>
지름 10㎜×길이 80㎜ 5개
<원액>
원액 중의 NaCl 농도는 2.46g/ℓ로 하였다.
<용리액>
하기 용리액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26
도 13에 나타낸 서브스텝의 조합에 의해 스텝 (A)를 구성하였다. 이 스텝 (A)와 이것에 이어지는 스텝 (B)를 1세트로 하고, 이것을 5세트 행하여 1사이클로 해서, 10사이클 실시하였다. 각 스텝 (A)에 있어서의 용리액(D1 내지 D4)과 원액(F)의 공급 유속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Figure pct00027
<결과>
-회수율-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2의 회수율,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8
-분리 처리 효율-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분리 처리 효율은 16.502(L-원액)/(L-R)·h였다.
[실시예 6] 멀티칼럼·구배·모사이동층 방식
<칼럼>
지름 10㎜×길이 80㎜ 5개
<원액>
원액 중의 NaCl 농도는 2.55g/ℓ로 하였다.
<용리액>
하기 용리액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29
<운전 조건>
도 15에 나타낸 서브스텝의 조합에 의해 스텝 (A)를 구성하였다. 이 스텝 (A)와 이것에 이어지는 스텝 (B)를 1세트로 하고, 이것을 5세트 행하여 1사이클로 해서, 10사이클 실시하였다. 각 스텝 (A)에 있어서의 용리액(D1 내지 D4)과 원액(F)의 공급 유속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Figure pct00030
<결과>
-회수율-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2의 회수율,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31
-분리 처리 효율-
실시예 6에 있어서의 분리 처리 효율은 18.898(L-원액)/(L-R)·h였다.
[실시예 7] 멀티칼럼·구배·모사이동층 방식
<칼럼>
지름 10㎜×길이 80㎜ 5개
<원액>
원액 중의 NaCl 농도는 2.55g/ℓ로 하였다.
<용리액>
하기 용리액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32
<운전 조건>
도 17에 나타낸 서브스텝의 조합에 의해 스텝 (A)를 구성하였다. 이 스텝 (A)와 이것에 이어지는 스텝 (B)를 1세트로 하고, 이것을 5세트 행하여 1사이클로 해서, 10사이클 실시하였다. 각 스텝 (A)에 있어서의 용리액(D1 내지 D4)과 원액(F)의 공급 유속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Figure pct00033
<결과>
-회수율-
약흡착성 분획에의 프래그먼트 1 및 2의 회수율, 중간 흡착성 분획에의 항체의 회수율, 강흡착성 분획에의 응집체의 회수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34
-분리 처리 효율-
실시예 7에 있어서의 분리 처리 효율은 16.502(L-원액)/(L-R)·h였다.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와 함께 설명했지만, 본 발명자들은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본 발명자들의 발명을 설명의 어느 세부에 있어서도 한정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반하는 일 없이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본원은, 2018년 11월 16일자로 일본국에서 특허 출원된 특원 2018-215950 및 2019년 5월 8일자로 일본국에서 특허 출원된 특원 2019-088523에 의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해서 그 내용을 본 명세서의 기재의 일부로서 받아들인다.
100: 순환계
10a, 10b, 10c, 10d: 단위 충전탑(칼럼)
Ab: 흡착제
R1, R2, R3, R4: 차단밸브
2a, 2b, 2c, 2d: 약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
A1, A2, A3, A4: 약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
3a, 3b, 3c, 3d: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
B1, B2, B3, B4: 중간 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
4a, 4b, 4c, 4d: 강흡착성 분획 추출 라인
C1, C2, C3, C4: 강흡착성 분획 추출 밸브
T1, T2, T3, T4: 체크밸브
1: 배관
2J: 약흡착성 분획 합류관
3J: 중간 흡착성 분획 합류관
4J: 강흡착성 분획 합류관
6: 원액 탱크
7: 원액
8a, 8b, 8c, 8d: 용리액 탱크
9a, 9b, 9c, 9d: 용리액
11: 원액 공급라인
11a, 11b, 11c, 11d: 원액 공급 분기라인
F1, F2, F3, F4: 원액 공급 밸브
12, 13, 14, 15: 용리액 공급라인
12a, 12b, 12c, 12d: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
13a, 13b, 13c, 13d: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
14a, 14b, 14c, 14d: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
15a, 15b, 15c, 15d: 용리액 공급 분기라인
E1a, E2a, E3a, E4a: 용리액 공급밸브
E1b, E2b, E3b, E4b: 용리액 공급밸브
E1c, E2c, E3c, E4c: 용리액 공급밸브
E1d, E2d, E3d, E4d: 용리액 공급밸브
P1: 순환 펌프
P2: 원액 공급 펌프
P3, P4, P5, P6: 용리액 공급 펌프

Claims (13)

  1. 흡착제가 충전된 복수의 단위 충전탑이 배관을 개재해서 직렬로 그리고 무단 형태로 연결된 순환계를 이용해서, 원액 중에 함유되는, 상기 흡착제에 대해서 약흡착성 성분과, 강흡착성 성분과, 두 성분의 중간적인 흡착성인 중간 흡착성 성분을,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순환계의 상기 배관에는, 원액 공급구(F)와, 상기 2종 이상의 각 용리액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용리액 공급구(D)와, 상기 약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흡착성 분획의 추출구(A)와, 상기 중간 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중간 흡착성 분획의 추출구(B)와, 상기 강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구(C)가 설치되고, 상기 원액 공급구(F), 상기 추출구(A), 상기 추출구(B) 및 상기 추출구(C)의 위치를 하기 (a) 내지 (c)로 하고:
    (a) 상기 추출구(B)를, 상기 원액 공급구(F)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
    (b) 상기 추출구(C)를, 상기 원액 공급구(F)를 갖는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구(C)를, 상기 원액 공급구(F)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상류측에 설치하는 것;
    (c) 상기 추출구(A)를, 상기 추출구(B)를 갖는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구(A)를, 상기 추출구(B)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은 하기 스텝 (A) 및 (B)를 순서대로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스텝 (A)]
    상기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상기 2개 이상의 용리액 공급구(D)로부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각각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상기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각각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추출하는 스텝;
    [스텝 (B)]
    상기 스텝 (A) 종료 후, 상기 원액 공급구(F), 상기 용리액 공급구(D), 상기 추출구(A), 상기 추출구(B) 및 상기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는 스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A)가 복수의 서브스텝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서브스텝은, 원액을 공급하는 서브스텝과, 원액을 공급하지 않는 서브스텝을 포함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구(C)를, 2종 이상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가장 강한 용리액(d1)을 공급하는 용리액 공급구(D1)의 하류측에 설치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1)로부터 상기 추출구(C)까지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배치하고,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상기 용리액(d1)을 공급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추출구(C)로부터, 상기 용리액(d1)의 공급량과 같은 양의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구(B)를, 2종 이상의 용리액 중 탈착력이 두 번째로 강한 용리액(d2)을 공급하는 용리액 공급구(D2)의 하류측에 설치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추출구(B)까지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배치하고,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추출구(B)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의 공급량과 같은 양의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는 시간대를 두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탈착력이 다른 4 내지 6종의 용리액을 이용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4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4개의 섹션 1 내지 4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1), (A2-1) 및 (A3-1)을 행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1)>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2)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상기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1)>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1)>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상기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4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4개의 섹션 1 내지 4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2), (A2-2) 및 (A3-2)을 행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2)>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상기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2)>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2)>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2)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상기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3), (A2-3) 및 (A3-3)을 행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3)>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상기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과 같거나 또는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3)>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3)>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3)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상기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7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4), (A2-4) 및 (A3-4)를 행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4)>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상기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과 같거나 또는 섹션 1 및 2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4)>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4)>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서브스텝 (A2-4)에 있어서의 상기 용리액 공급구(D2)로부터 상기 용리액(d2)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상기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V)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V)로부터 용리액(d-V)를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5), (A2-5) 및 (A3-5)을 행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5)>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상기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5)>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5)>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상기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6), (A2-6) 및 (A3-6)을 행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6)>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3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상기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6)>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상기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6)>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한다.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계가 단위 충전탑을 5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순환계를, 각 섹션이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구비하도록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원환 형상으로 연속한 5개의 섹션 1 내지 5로 구획하고, 또한, 상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상기 스텝 (A)에 있어서 하기 서브스텝 (A1-7), (A2-7) 및 (A3-7)을 행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서브스텝 (A1-7)>
    섹션 1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섹션 1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C)로 해서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3의 상류측 말단을 상기 원액 공급구(F)로 해서 상기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공급하고, 섹션 4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섹션 5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A)로 해서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2-7)>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2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I)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4 및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및 3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서브스텝 (A3-7)>
    상기 용리액 공급구(D-I)로부터 상기 용리액(d-I)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용리액 공급구(D-II)로부터 상기 용리액(d-II)을 공급하고, 섹션 4의 하류측 말단을 상기 추출구(B)로 해서 상기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추출하고, 섹션 5의 상류측 말단을 용리액 공급구(D-IV)로 해서 상기 용리액 공급구(D-IV)로부터 용리액(d-IV)을 공급하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가장 강하게 하고,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1을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하고,
    섹션 5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을, 섹션 2, 3 및 4를 유통하는 용리액의 탈착력보다도 약하게 함.
  13. 흡착제가 충전된 복수의 단위 충전탑이 배관을 개재해서 직렬로 그리고 무단 형태로 연결된 순환계를 이용해서, 원액 중에 함유되는, 상기 흡착제에 대해서 약흡착성 성분과, 강흡착성 성분과, 두 성분의 중간적인 흡착성인 중간 흡착성 성분을, 2종 이상의 용리액을 이용해서 분리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순환계의 상기 배관에는, 원액 공급구(F)와, 상기 2종 이상의 각 용리액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용리액 공급구(D)와, 상기 약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흡착성 분획의 추출구(A)와, 상기 중간 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중간 흡착성 분획의 추출구(B)와, 상기 강흡착성 성분을 포함하는 강흡착성 분획의 추출구(C)가 설치되고, 상기 원액 공급구(F), 상기 추출구(A), 상기 추출구(B) 및 상기 추출구(C)의 위치를 하기 (a) 내지 (c)로 하고:
    (a) 상기 추출구(B)를, 상기 원액 공급구(F)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
    (b) 상기 추출구(C)를, 상기 원액 공급구(F)를 갖는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구(C)를, 상기 원액 공급구(F)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상류측에 설치하는 것;
    (c) 상기 추출구(A)를, 상기 추출구(B)를 갖는 배관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구(A)를, 상기 추출구(B)의, 적어도 1개의 단위 충전탑을 끼워서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은 하기 스텝 (A) 및 (B)를 순서대로 반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
    [스텝 (A)]
    상기 원액 공급구(F)로부터 원액을, 상기 2개 이상의 용리액 공급구(D)로부터 2종 이상의 용리액을, 각각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구(A)로부터 약흡착성 분획을, 상기 추출구(B)로부터 중간 흡착성 분획을, 상기 추출구(C)로부터 강흡착성 분획을, 각각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추출하는 스텝;
    [스텝 (B)]
    상기 스텝 (A) 종료 후, 상기 원액 공급구(F), 상기 용리액 공급구(D), 상기 추출구(A), 상기 추출구(B) 및 상기 추출구(C)를,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하류측으로 이행시키는 스텝.
KR1020217008533A 2018-11-16 2019-10-08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및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 KR20210090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5950 2018-11-16
JP2018215950 2018-11-16
JP2019088523A JP7225024B2 (ja) 2018-11-16 2019-05-08 擬似移動層方式クロマト分離方法及び擬似移動層方式クロマト分離システム
JPJP-P-2019-088523 2019-05-08
PCT/JP2019/039702 WO2020100471A1 (ja) 2018-11-16 2019-10-08 擬似移動層方式クロマト分離方法及び擬似移動層方式クロマト分離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610A true KR20210090610A (ko) 2021-07-20

Family

ID=7090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533A KR20210090610A (ko) 2018-11-16 2019-10-08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및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225024B2 (ko)
KR (1) KR20210090610A (ko)
CN (1) CN112639462B (ko)
SG (1) SG11202102816VA (ko)
TW (1) TWI8416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1297A4 (en) * 2020-05-14 2024-07-10 Organo Corp CHROMATOGRAPHIC SEPARATION PROCESS WITH SIMULATED MOVING BED TECHNIQUE AND CHROMATOGRAPHIC SEPARATION SYSTEM WITH SIMULATED MOVING BED TECHNIQUE
JPWO2023181655A1 (ko) 2022-03-22 2023-09-28
CN115006884B (zh) * 2022-06-28 2023-08-15 江南大学 一种在线解耦式模拟移动床分离系统及其分离木糖和阿拉伯糖的方法
CN118271183B (zh) * 2024-05-29 2024-08-16 浙江新和成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模拟移动床分离粗己二胺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6092Y1 (ko) 1967-04-28 1971-03-04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2594B2 (ja) * 1991-06-12 1999-10-12 オルガノ株式会社 複数成分の分離方法
US5770088A (en) * 1992-06-30 1998-06-2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Simulated moving bed chromatographic separation process
CN2484564Y (zh) * 2001-06-06 2002-04-03 浙江大学 开环结构的模拟移动床色谱装置
JP4606092B2 (ja) * 2004-08-30 2011-01-05 オルガノ株式会社 擬似移動層方式クロマト分離方法および装置
JP2007064944A (ja) * 2005-09-02 2007-03-15 Japan Organo Co Ltd クロマト分離方法
CN101391159B (zh) * 2008-10-13 2010-09-29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一种改进的模拟移动床分离方法
CN101402003B (zh) * 2008-11-03 2010-11-03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改进的模拟移动床色谱分离系统
CN101961565B (zh) * 2010-09-21 2012-09-26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用模拟移动床色谱分离三组分混合物的方法
US20140251912A1 (en) * 2011-10-11 2014-09-1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ethods and Controllers for Simulated Moving Bed Chromatography for Multicomponent Separation
JP2014029294A (ja) * 2012-07-31 2014-02-13 Nippon Rensui Co Ltd クロマト分離法
CN103961902B (zh) * 2014-03-27 2015-08-19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从原料液中分离与浓缩目标组分的模拟移动床色谱分离系统及其方法
JP6546808B2 (ja) * 2015-08-14 2019-07-17 オルガノ株式会社 クロマト分離方法及びクロマト分離システム
JP6013639B1 (ja) * 2016-05-20 2016-10-25 フィトファーマ株式会社 多成分を3以上の画分に分離するクロマト分離方法および装置
JP6732575B2 (ja) * 2016-07-07 2020-07-29 オルガノ株式会社 クロマト分離方法及びクロマト分離システム
CN106166402B (zh) * 2016-09-19 2018-06-29 辽宁科技大学 一种模拟移动床色谱分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6092Y1 (ko) 1967-04-28 1971-03-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102816VA (en) 2021-04-29
CN112639462A (zh) 2021-04-09
CN112639462B (zh) 2024-05-28
JP7225024B2 (ja) 2023-02-20
JP2020085881A (ja) 2020-06-04
TWI841625B (zh) 2024-05-11
TW202035004A (zh)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0610A (ko)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 및 모사이동층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시스템
JP5330499B2 (ja) グラジエント溶出マルチカラム分離法
CN1777435B (zh) 通过模拟移动床层析纯化多肽的方法
US8211312B2 (en)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Vançan et al. IMAC of human IgG: studies with IDA-immobilized copper, nickel, zinc, and cobalt ions and different buffer systems
JP2013519652A (ja) 単一ユニット抗体精製
JP2003156482A (ja) 調製クロマトグラフィ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離・精製方法
WO2020100471A1 (ja) 擬似移動層方式クロマト分離方法及び擬似移動層方式クロマト分離システム
JP6013639B1 (ja) 多成分を3以上の画分に分離するクロマト分離方法および装置
JPH11344481A (ja) クロマト分離方法
JP2018004567A (ja) クロマト分離方法及びクロマト分離システム
JP6546808B2 (ja) クロマト分離方法及びクロマト分離システム
CN115485046B (zh) 模拟移动床方式色谱分离方法和模拟移动床方式色谱分离系统
WO2023181655A1 (ja) 擬似移動層方式クロマト分離方法及び擬似移動層方式クロマト分離システム
Girot et al. 2-Mercapto-5-benzimidazolesulfonic acid: an effective multimodal ligand for the separation of antibodies
JP2965747B2 (ja) 多成分系の分離方法および装置
JPH03134562A (ja) 擬似移動層式クロマト分離装置
Bisschops et al. Dynamic simulations as a predictive model for a multicolumn chromatography separation
WO2016003753A1 (en) Simulated moving bed separators and methods for isolating a desired component
Yoshimoto et al. A method for designing flow-through chromatography processes
JPH04227804A (ja) 多成分系の分離方法および装置
JP2019032284A (ja) クロマト分離方法及びクロマト分離システム
TW201302777A (zh) 單一單元層析法抗體純化技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