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515A -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515A
KR20210089515A KR1020200002754A KR20200002754A KR20210089515A KR 20210089515 A KR20210089515 A KR 20210089515A KR 1020200002754 A KR1020200002754 A KR 1020200002754A KR 20200002754 A KR20200002754 A KR 20200002754A KR 20210089515 A KR20210089515 A KR 2021008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urly wage
hourly
employee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691B1 (ko
Inventor
최재우
Original Assignee
최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우 filed Critical 최재우
Priority to KR1020200002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6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공간에서 시간 단위로 근무 수당을 지급받는 시급 종업원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위하여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에서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에서 입력된 임의의 공간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시급 종업원의 체류 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공간에 방문한 방문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에서 설정된 방문자 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공간에 방문한 방문자로부터 발생되는 주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한 주문 정보, 상기 체류 시간 정보 및 방문자 패턴 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실적 점수를 실적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실적 점수를 근거하여 상기 시급 종업원의 시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AN HOURLY EMPLOYEE}
본 발명은 실적 기반으로 시급 종업원을 관리하고, 이에 따른 시급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사 및 노무 관리는 기업의 인적 자원인 피고용인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게 하여 피고용인 자체가 최대한의 성과를 달성하도록 하며, 피고용인이 인간으로서의 만족을 얻게 하려는 일련의 체계적인 관리 활동이다.
인사 및 노무 관리의 주요 기능은 업적, 생산성 그리고 비용 등으로 나타나는 성과를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전사관리시스템(ERP)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인 인사 및 노무관리 시스템은 피고용인의 능력과 업적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한편, 최근 시급 종업원의 급증에 따라 시급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의 시급제 관리는 수기 입력을 통해 관리되거나, 또는 관리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시급 결정 시점에 고용주와 고용인 사이에 시급에 따른 급여 관련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한편,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 단순한 통신 장치 내지 정보 제공 장치의 범위를 넘어서 전통적 음성통화기능과 저용량 데이터 통신 기능 외에도 멀티미디어 재생 및 편집, 인터넷 검색 기능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통합한 스마트 단말로 진화하고 있다. 기술적 발전에 의해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보급률과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에 맞춰서, 다양한 형태의 근무에 따른 급여 체계를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기술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7-0009027호(2017.01.25. 공개)
본 발명은 특정 공간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급 종업원의 체류 시간 정보, 특정 공간에서의 주문 정보 및 방문자 패턴 정보를 단말기로부터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실적 점수에 근거하여 시급을 결정할 수 있는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급 종업원의 체류 시간 정보, 특정 공간에서의 주문 정보 및 방문자 패턴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실적 점수를 산출할 수 있는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은 복수의 공간에서 시간 단위로 근무 수당을 지급받는 시급 종업원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에서 단말기에서 입력된 임의의 공간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시급 종업원의 체류 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공간에 방문한 방문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서 설정된 방문자 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공간에 방문한 방문자로부터 발생되는 주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한 주문 정보, 상기 체류 시간 정보 및 방문자 패턴 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실적 점수를 실적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실적 점수를 근거하여 상기 시급 종업원의 시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문자 패턴 정보는 상기 시급 종업원의 지정 여부 또는 방문 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실적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체류 시간 정보, 상기 방문자 패턴 정보 및 주문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실적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의의 공간에서 최초 주문 발생 후 퇴실 시까지 상기 방문자에 의해 발생된 중간 주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적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중간 주문 정보를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실적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류 시간 정보는 상기 방문자의 최초 방문 후 기준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입력되며,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된 후 연장될 경우 상기 기준 시간보다 작은 시간으로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은 임의의 단말기의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임의의 단말기 상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시켜 배포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 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임의의 단말기 사용자에 대한 권한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한 권한 정보와 임의의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은 외부 기기로부터 특정 시급 종업원에 대한 실적 조회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권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한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실적 조회 요청이 유효한지를 판단한 후 유효한 경우 상기 특정 시급 종업원에 대한 실적 점수를 상기 실적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외부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체류 시간 정보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임의의 공간에 방문자 추가 또는 방문자로부터 추가 주문이 발생될 경우 이에 대응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형 버튼을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방문자가 특정 공간에서 퇴실할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공간 식별용 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비콘 송신기가 구비되며, 상기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은 상기 시급 종업원의 단말기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비콘 신호 내 공간 식별용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공간 식별용 정보와 상기 시급 종업원의 식별자를 포함한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상기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에서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시급 종업원의 동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급 종업원의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상기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에 전송하되,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신호 세기를 갖는 비콘 신호 내 공간 식별용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특정 공간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급 종업원의 체류 시간 정보, 특정 공간에서의 주문 정보 및 방문자 패턴 정보를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로부터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실적 점수에 근거하여 시급을 결정할 수 있는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시급 종업원과 관리자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시급 종업원의 체류 시간 정보, 특정 공간에서의 주문 정보 및 방문자 패턴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실적 점수를 산출함으로써, 시급 종업원의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실적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의 실적 관리 시스템에서 각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을 관리하기 위해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가 복수의 공간을 구비한 장소에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관리 시스템에서 시급 종업원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관리 시스템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시급 종업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공간, 예컨대 룸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급 종업원들에 대한 시급(Time charge)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관리 시스템에서, 방문자는 특정 공간에서 시급 종업원에 의해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손님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실적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실적 관리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각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급 관리 시스템은 크게 유무선 통신망으로 상호 연결된 복수의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110), 복수의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 총 관리자측 단말기(130) 및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110), 복수의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 총 관리자측 단말기(130) 및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종업원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패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시급 종업원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CPU)(10), 인터페이스들(20), 및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등의) 버스(30)를 포함한다. 적절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제어 하에서 동작할 때, CPU(110)는 복수의 프로세서(14)를 포함하며, 특정하게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기계의 기능들과 연관된 특정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프로세서(14)를 포함한 CPU(10), 메모리(12), 및 인터페이스(들)(20)를 활용하는 시급 종업원 관리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CPU(10)가 소프트웨어 모듈들/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운영 시스템 및 임의의 적절한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드라이버들 등을 포함함)의 제어 하에서 하나 이상의 상이한 타입의 시급 종업원 관리 기능들 및/또는 작업들을 수행하도록 초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주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급 종업원의 룸 입장 및 퇴장 등과 관련된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임의의 시급 종업원이 공간(예컨대 룸)에 입장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체류 시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 연장 요청이 있을 경우 연장 요청된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공간 내 방문자로부터 주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방문자 패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문자 패턴 정보는 방문자가 단골(재방문)인지의 여부 또는 시급 종업원의 지정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류 시간 정보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공간에 방문자가 추가 또는 추가 주문이 발생될 경우 이에 대응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문 처리자는 체류 시간 정보, 주문 정보, 방문자 추가 여부, 방문자 패턴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에 따라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방문자가 특정 공간에서 퇴실할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시급 종업원의 공간 입장 후 시간 내에 재주문(이하, '중간 주문'이라 고함)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중간 주문 요청이 있을 경우 중간 주문 내역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시급 종업원이 공간에서 퇴장하거나 방문자가 결제를 완료하는 시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 예컨대 공간 내 시급 종업원의 체류 시간, 방문자 패턴 정보 및 중간 주문 정보 등을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체류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공간에 최초 입장 시 기준 시간(예컨대, 1시간)으로 설정되며, 이후 연장에 따라 기준 시간의 이하 시간(예컨대,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류 시간은 최초 입장 시 1시간으로 셋팅되며, 연장에 따라 30분씩 추가되는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근무지 내 설치된 포스 단말기(140)와 연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방문자가 공간에서 나오는 시점에서 주문 처리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포스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는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 상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메모리(미도시됨) 상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시급 종업원의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메모리에 저장한 후 주문 처리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포스 단말기(140)를 통해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거나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실적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도 4에 바와 같이, 복수의 공간 각각에 부착된 비콘 송신기(122)와의 연동을 통해 비콘 송신기(122)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공간 식별용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공간 식별용 정보와 자신의 식별자(시급 종업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종업원 위치용 데이터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간 식별용 정보는 비콘 송신기(122)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비콘 신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비가청대역의 초음파 신호, 블루투스 기반의 신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비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소정의 어플리케이션(미도시됨)의 실행을 통해 종업원 위치용 데이터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콘 송신기(122)가 비콘 신호를 NFC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NFC 모듈을 이용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하며, 비콘 송신기(122)가 스피커를 이용하여 비가청대역의 초음파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며, 비콘 송신기(122)가 비콘 신호를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공간을 구비한 장소 특성 상,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신호의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을 유지하는 비콘 신호 내 포함된 공간 식별용 정보와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한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공간이 밀집되어 있는 특성 상,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복수의 공간 각각에 장착된 각각의 비콘 송신기(122)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최초 수신된 비콘 신호들 중 공간에 입장한 후 신호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비콘 신호에 대해서만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공간 식별용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한 공간 식별용 정보와 식별자를 포함한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비콘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통해 공간 식별용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미도시됨) 상에 표시함으로써, 시급 종업원이 정보 전송 전 공간 식별용 정보가 정확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되,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신호 세기를 갖는 비콘 신호 내 공간 식별용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위치 확인용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도 5의 242)에 저장한 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된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급 종업원의 동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선 데이터를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110) 또는 총 관리자측 단말기(13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전송한 후 위치 확인용 데이터에 이용된 공간 식별용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기 설정된 신호 세기를 갖고 공간 식별용 정보를 포함한 비콘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위치 확인용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시급 종업원이 입장한 공간 내 입출입 내역을 생성하며, 생성한 입출력 내역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할 수 있다.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시급 종업원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시급 종업원의 실적을 계산함과 더불어 실적을 기반으로 각 시급 종업원에게 소정의 포인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각 시급 종업원의 시급 또는 급여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시급 종업원에게 부여된 포인트는 시급 종업원의 시간 단위의 급여와 관련될 수 있다. 즉, 포인트가 높을수록 시급이 높게 책정되고, 포인트가 낮을수록 시급이 낮게 책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배포부(210), 정보 수신부(220), 실적 계산부(230), 정보 제공부(240) 및 종업원 관리부(250)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 실적용 데이터베이스(244) 등과 연동될 수 있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배포부(210)는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 복수의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110) 및 총 관리자측 단말기(130) 등의 요청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권한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배포부(210)는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정보 전송 권한만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정보(예컨대, 포인트 및 자신의 시급 정보)만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 권한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11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이 관리하는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총 관리자측 단말기(130)의 요청에 따라 전체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각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배포부(210)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 설정된 권한 정보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주문 처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만을 전송할 뿐 정보 조회 및 열람이 제한될 수 있으며,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자신의 포인트 및 시급 정보만을 확인할 뿐 다른 정보의 접근이 제한될 수 있으며,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110)는 자신이 관리하는 시급 종업원의 전체 실적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할 수 있고 다른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시급 종업원에 대한 전체 실적 정보의 조회 및 열람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총 관리자측 단말기(130)는 전체 시급 종업원에 대한 실적 정보, 포인트 등을 조회 및 열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배포부(210)에서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에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비콘 신호와 반응하여 동작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비콘 신호 내 공간 식별용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한 공간 식별용 정보와 시급 종업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220)는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와의 연동을 통해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 상에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수신부(220)는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로부터 시급 종업원의 근무 시간 정보, 전체 결제 금액, 중간 주문 정보, 방문자 패턴 정보 등을 수신하며, 수신한 정보를 실적 계산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신부(220)는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 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할 수 있다.
실적 계산부(230)는 정보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시급 종업원에 대한 실적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적 계산부(230)는 시급 종업원의 근무 시간 정보, 전체 결제 금액, 중간 주문 정보, 방문자 패턴 정보 등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적 계산부(230)는 중간 주문 정보, 방문자 패턴 정보에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실적 정보, 즉 시급 종업원에게 부여되는 포인트를 계산하며, 계산한 실적 정보와 시급 종업원의 정보를 매칭시켜 실적용 데이터베이스(244)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240)는 소정의 단말기 요청에 따라 실적용 데이터베이스(244)에서 검색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부(240)는 시급 종업원의 실적 조회 요청에 따라 요청 내 포함된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된 권한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정보를 실적용 데이터베이스(244)에서 검색한 후 이를 요청한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110)로부터 자신이 관리하는 시급 종업원의 실적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정보 제공부(240)는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권한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에서 검색하며, 검색한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실적용 데이터베이스(244)에서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정보를 검색한 후 이를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종업원 관리부(25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된 위치 확인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종업원 관리를 위한 데이터, 예컨대 종업원의 동선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부(240)는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110),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 및 총 관리자측 단말기(130) 등의 요청에 따라 종업원의 동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급 종업원 관리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관리 시스템에서 시급 종업원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단말기, 예컨대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110) 및 총 관리자측 단말기(130) 등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배포(S400)하여 각 단말기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예컨대 주문 처리자, 시급 종업원, 중간 관리자 및 총 관리자 등의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 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회원 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회원 가입 처리 절차를 통해 사용자를 승인한 후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또는 총 관리자는 회원 가입 정보로 자신이 관리하는 시급 종업원 또는 관리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회원 가입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함과 더불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예컨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권한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한다(S402).
그런 다음, 특정 공간에 입장한 방문자의 요청에 따라 시급 종업원이 입장하면,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시급 종업원의 식별 정보, 방문자 패턴 정보, 체류 시간 정보 및 주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404). 여기에서, 방문자 패턴 정보는 재방문, 단골 여부, 방문 횟수, 시급 종업원의 지정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시급 종업원의 입장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방문자가 공간에서 퇴실하는 경우(S406),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S408).
이에 따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전송받은 정보, 예컨대 방문자 패턴, 주문 정보 및 시급 종업원의 체류 시간 정보 등을 기반으로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정보를 산출하며, 이를 실적용 데이터베이스(244)에 저장한다(S410).
한편, 시급 종업원이 입장 후 방문자가 공간에서 퇴실하지 않고 시간 연장하거나 중간 주문을 요청하는 경우(S412),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문 처리자로부터 시간 연장 및 중간 주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S414)한 후 S406으로 진행하여 방문자 퇴실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정보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시급 종업원의 시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급 종업원 관리 시스템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실적 조회 요청이 있을 경우(S500).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2)에서 권한 정보를 검색한다(S502).
그런 다음,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검색한 권한 정보를 기반으로 실적 조회 요청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S504). 구체적으로,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실적 조회 요청한 단말기가 관리자 또는 총 관리자의 회원 가입 시 등록한 단말기인지를 체크하여 실적 조회 요청이 유효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S504의 판단 결과, 유효한 경우,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실적 조회 요청한 시급 종업원에 대한 실적 정보를 실적용 데이터베이스(244)에서 검색한 후 이를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한다(S506).
한편, S404의 판단 결과, 유효하지 않을 경우,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는 실적 조회 요청 접근이 유효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임의의 단말기에 전송한다(S508).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적에 관련된 것만을 처리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실적뿐만 아니라 시급 종업원의 동선 데이터를 체크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적에 관련된 것을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시급 종업원의 실적과 관련된 정보를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120)는 시급 종업원의 요청에 따라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실적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며, 이를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주문 처리자측 단말기
110 : 중간 관리자측 단말기
120 : 시급 종업원측 단말기
130 : 총 관리자측 단말기
200 :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

Claims (3)

  1. 복수의 공간에서 시간 단위로 근무 수당을 지급받는 시급 종업원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급 종업원 관리 서버에서 단말기에서 입력된 임의의 공간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시급 종업원의 체류 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공간에 방문한 방문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서 설정된 방문자 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공간에 방문한 방문자로부터 발생되는 주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한 주문 정보, 상기 체류 시간 정보 및 방문자 패턴 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시급 종업원의 실적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실적 점수를 실적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실적 점수를 근거하여 상기 시급 종업원의 시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패턴 정보는, 상기 시급 종업원의 지정 여부 또는 방문 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실적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체류 시간 정보, 상기 방문자 패턴 정보 및 주문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실적 점수를 산출하는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공간에서 최초 주문 발생 후 퇴실 시까지 상기 방문자에 의해 발생된 중간 주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적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중간 주문 정보를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실적 점수를 산출하는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
KR1020200002754A 2020-01-08 2020-01-08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 KR10229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754A KR102299691B1 (ko) 2020-01-08 2020-01-08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754A KR102299691B1 (ko) 2020-01-08 2020-01-08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515A true KR20210089515A (ko) 2021-07-16
KR102299691B1 KR102299691B1 (ko) 2021-09-09

Family

ID=7715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754A KR102299691B1 (ko) 2020-01-08 2020-01-08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7889A (zh) * 2021-09-15 2022-01-04 北京市农林科学院信息技术研究中心 一种考核数据生成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890A (ko) * 2009-01-07 2010-07-15 (주)엔조이소프트 피시방 직원 평가 시스템
KR20170009027A (ko) 2015-07-15 2017-01-25 이에스텍 주식회사 임금 지급 방법 빛 임금 지급 시스템
KR20180076371A (ko) * 2016-10-28 2018-07-06 주식회사 디지텔라 비콘을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JP2019114017A (ja) * 2017-12-22 2019-07-11 株式会社オービック 給与計算情報管理装置、給与計算情報管理方法、及び給与計算情報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890A (ko) * 2009-01-07 2010-07-15 (주)엔조이소프트 피시방 직원 평가 시스템
KR20170009027A (ko) 2015-07-15 2017-01-25 이에스텍 주식회사 임금 지급 방법 빛 임금 지급 시스템
KR20180076371A (ko) * 2016-10-28 2018-07-06 주식회사 디지텔라 비콘을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JP2019114017A (ja) * 2017-12-22 2019-07-11 株式会社オービック 給与計算情報管理装置、給与計算情報管理方法、及び給与計算情報管理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7889A (zh) * 2021-09-15 2022-01-04 北京市农林科学院信息技术研究中心 一种考核数据生成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691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0025B2 (en) Check-in systems and methods
WO2018142764A1 (ja) 学習済みモデル生成方法、学習済みモデル生成装置、および学習済みモデル利用装置
KR102154626B1 (ko) 대여 공간 관리 시스템
US7392944B2 (en) Managing content at a portable, content adjus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device
US10489746B2 (en) Cloud based platform for vehicle related services
JP7160952B2 (ja) データ処理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KR102234889B1 (ko) 능력형 종업원 급여 관리 방법
CN113261020A (zh) 日程管理服务系统及方法
KR102299691B1 (ko)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
JP6575028B2 (ja) 来店分析システム及び来店分析方法
JP6012701B2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70124194A (ko) 여행정보 제공서비스방법 및 프로그램
TWM569449U (zh) Smart attendance system and its mobile device
KR20180129374A (ko) 메신저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6351807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04266A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고객 관리 시스템
US1088549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esentation, and recording medium
JP2020004344A (ja) サービス提供者選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提供者選定システム
KR20200094333A (ko) 지능형 골프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60040918A (ko) 비콘을 이용하는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단말 및 정보 제공 방법
KR20180066810A (ko) 학술행사 관련정보 제공 및 출결 상황 모니터링 장치
KR102573103B1 (ko) 노상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744289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ユーザ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2207062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83179B1 (ko) 구직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1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121

Effective date: 20210526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