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892A - 실크 기능성 원단 - Google Patents

실크 기능성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892A
KR20210077892A KR1020190169375A KR20190169375A KR20210077892A KR 20210077892 A KR20210077892 A KR 20210077892A KR 1020190169375 A KR1020190169375 A KR 1020190169375A KR 20190169375 A KR20190169375 A KR 20190169375A KR 20210077892 A KR20210077892 A KR 20210077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abric
silk
adhesive
buff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952B1 (ko
Inventor
김진규
김문식
김민영
Original Assignee
김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규 filed Critical 김진규
Priority to KR102019016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952B1/ko
Priority to PCT/KR2020/011900 priority patent/WO2021125498A1/ko
Priority to CN202080084032.8A priority patent/CN114746268A/zh
Publication of KR20210077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4Silk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크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편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1 원단층, 제1 원단층과 상이한 신장 및 신축성을 구비하는 제2 원단층 및 제1 원단층과 제2 원단층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원단층 및 제2 원단층 각각의 신장 또는 신축에 따른 상호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버퍼층을 포함하는 실크 기능성 원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크 기능성 원단{FUNCTIONAL FABRICS INCLUDING A SILK}
본 발명은 실크 기능성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실크 기능성 원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발 제품 및 가방 제품 등의 산업용 소재로서 천연 섬유가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울 섬유의 경우에는 차세대 신발 소재로서, 물리적 특성이 크게 요구되는 신발 제품에 이를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최근 일고 있다.
천연 섬유 중 가장 대표적인 섬유는 비단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실크 섬유로, 누에고치에서 얻어지는 섬유를 통칭한다.
이러한 실크 섬유는 우아한 광택, 선명한 색상, 피부 접촉감, 쾌적성 및 경량성 등을 갖추고 있어, 심미적인 측면과 착용성 측면에서 완벽한 섬유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크 섬유는 앞서 언급한 뛰어난 색감과 광택의 높은 심미성과 쾌적성 등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신장성, 신축성, 탄력성 및 내구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타 소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 의류 제품 등에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을 뿐, 신발 제품 등과 같이 강한 외력과 충격에 노출되어, 높은 물리적 특성이 요구되는 산업용 섬유로의 응용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 때문에, 실크 섬유의 고유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실크 섬유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크 기능성 원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등록특허 제10-1611128호(등록일: 2016.04.04.)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서는 실크 기능성 원단, 구체적으로는 실크 고유의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하면서도, 신장성, 신축성, 탄력성 및 내구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실크 기능성 원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크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편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1 원단층, 제1 원단층과 상이한 신장 및 신축성을 구비하는 제2 원단층 및 제1 원단층과 제2 원단층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원단층 및 제2 원단층 각각의 신장 또는 신축에 따른 상호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버퍼층을 포함하는 실크 기능성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제1 원단층과 버퍼층 사이에 구비되고, 미세 기공층을 포함하여 투습 및 발수 기능을 수행하는 접착성 필름층 및 제2 원단층 또는 버퍼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구비되어, 제2 원단층과 버퍼층을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실크 기능성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실크를 포함하는 직물은 바이어스로 제작 또는 바이어스로 재단되어 제1 원단층의 신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제2 원단층의 신장 또는 신축에 대응하여 제1 원단층에 유동성을 부가하는 실크 기능성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접착성 필름층과 접착층은 버퍼층을 통과하여 상호 연결되어, 제2 원단층의 신장 또는 신축에 따른 제1 원단층 또는 제2 원단층으로부터 버퍼층의 박리를 억제시키는 실크 기능성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접착층은 제2 원단층 상에, 균일 또는 불균일 패턴을 가지는 직물, 편물 및 부직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턴 부재를 위치시키고, 패턴 부재의 통공 사이로 접착제를 주입한 후, 패턴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실크 기능성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접착성 필름층은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의 일 영역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원단층과 버퍼층 간의 접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제2 원단층의 신장 또는 신축에 따른 제1 원단층 또는 버퍼층의 박리를 억제시키는 실크 기능성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크 기능성 원단은, 실크 고유의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하면서도, 신장성, 신축성, 탄력성 및 내구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높은 물성을 요구하는 신발용 갑피 또는 산업용 섬유 등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크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제1 원단층에 신축성 및 신장성을 부여하여, 일체로 부착된 제2 원단층의 신장 또는 신축에 의해 제1 원단층이 터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제1 원단층과 제2 원단층 사이에 버퍼층을 개재함으로써 완충 기능을 제공하여 원단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의 제2 원단층을 통해 수분 또는 습기를 빨아들여 접착층, 버퍼층, 접착성 필름층 및 제1 원단층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발수 가공된 제1 원단층과 발수성을 갖는 접착성 필름층을 통해 외부의 빗방울이나 물방울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인체에 착용하는 기능성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크 기능성 원단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크 기능성 원단(100)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크 기능성 원단(100)은, 제1 원단층(110), 제2 원단층(120) 및 버퍼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단층(110)은 실크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편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 제1 원단층(110)은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이용한, 직물이거나 편물일 수 있고,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 중 적어도 하나와 천연섬유(예; 면, 울 등) 또는 화학섬유(예;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의 교직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원단층(110)은 앞서 설명한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염색하여 제직한 직물 또는 편물을 함침 및 후처리하거나, 염색된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 중 적어도 하나와 천연섬유(예; 면, 울 등) 또는 화학섬유(예;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의 교직물을 함침 및 후처리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염색 공정에서,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반응성 염료로 염색할 수 있다.
직접 염색법에 의한 산성염료는 염색조작이 용이하고 값이 싸며, 색상이 밝고 선명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일광 견뢰도와 세탁 견뢰도가 낮아, 본 발명에서는 반응성 염료를 이용하여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염색 가공하여 견뢰도 및 내광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 제직 공정에 있어서는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직하거나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 중 적어도 하나와 천연섬유(예; 면, 울 등) 또는 화학섬유(예;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를 교직하여 실크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경사(經絲, 날실)와 위사(緯絲, 씨실)의 반복적인 짜임에 의해 평면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통상의 직물이라 함은 경사와 위사가 90°의 수직된 각도로 짜진 직물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물의 신장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이어스(bias) 제작 방식을 이용하여 바이어스 직물을 제작하거나, 통상의 직물을 바이어스(bias)로 재단할 수 있다.
바이어스 직물은 경사와 위사의 짜임 각도가 90° 이외의 비스듬한 각도를 갖는 것으로, 통상의 직물에 비해 신장성, 신축성, 탄력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바이어스 직물을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통상의 직물을 제직 또는 직조한 후, 제직 또는 직조된 직물의 양쪽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짜임 각도가 비스듬하게 변경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고, 두 번째는 통상의 직물을 직조한 후, 직조된 직물을 비스듬히 절단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일정 각도로 짜임 각도가 바이어스된, 바이어스 직물은 통상의 직물에 비해 신장성과 내구성이 크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어스 직물의 실크 원단을 활용하여, 신장성, 신축성, 탄력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어스 제작 방식으로 제작되거나 바이어스 재단된 실크 원단은 제1 원단층(110)의 신장성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후술되는 버퍼층(130)과 같이 제1 원단층(110)에 부착되는 제2 원단층(120)의 신장 또는 신축에 대응하여 유동성이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써, 제직 공정에 의해 제직 또는 직조되는 실크 원단은 단직, 이중직, 삼중직 또는 사중직으로 제직 또는 직조될 수 있는데, 단직 직물의 경우 배접 시 풀이 빠져나와 부드럽지 못하고 딱딱한 느낌이 강하다는 단점이 있고, 삼중직과 사중직의 경우에는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게는 이중직으로 제직 또는 직조되는 것이 좋다.
한편, 함침 공정에 있어서는 제직 또는 직조된 실크 원단에 수지를 함침하여 인장강도, 마모강도 및 신장률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실크 원단에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함침액을 함침시켜 가공할 수 있다.
이때, 함침용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에는 무황변 타입의 지방족 이소시안산염이 사용될 수 있고, 폴리올, 유화제 또는 쇄연장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올은 에스테르계 폴리올(예: polyester polyol, polycaprolactonepolyol), 에테르계 폴리올(예: polypropylene polyol, PTMG), PCD(polycarbonate-diol) 타입의 폴리올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디올(diol)로 1,4-butandiol, 1,6-haxnediol, ethylene glycol 및 diethylene glycol을 사용하여 코폴리머 타입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불어, 유화제는 sulfonic 계 음이온 유화제, DMPA(dimethylpropionicacid) 및 DMBA(dimethylbutyricacid)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쇄연장제는 EDA(ethylene diamine), DETA(diethylenetriamine) 및 피페라진(piperaz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크 원단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CD(polycarbonate-diol) 타입의 폴리올이 사용될 수 있고, 투습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PEG(polyethylene glycol) 및 나노 사이즈의 실리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함침액으로 실크 원단을 함침하여 가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크 원단의 인장강도, 마모강도 및 신장률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후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실크 원단에 발수 또는 방오 가공을 수행할 수 있고, 방축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실크 원단은 흡수능력이 뛰어나므로 액체가 쉽게 흡수되고 기름때가 잘 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직물의 내부에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수 가공이 실시되거나 직물의 내부에 유성 오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오 가공이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실크 원단에 수행되는 발수 가공은 실크 원단의 외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물방울 등을 튕겨내는 기능을 수행하여 후술되는 접착성 필름층(140)의 발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더불어, 실크 원단에는 직물을 세탁할 때 발생하는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방축 가공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실크 원단을 방축 가공하는 방법으로는 실크 원단에 수용성 비닐 설폰 유도체를 가교제로 이용하는 열화방지처리와 증융법, 진공증융법 또는 산포라이징법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수 가공으로 불소계 발수 가공제를 이용하는 발수 가공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발수 가공에 사용되는 불소계 발수 가공제에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플루오로알킬(메타) 아크릴레이트와, 이러한 플루오로알킬(메타) 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불소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를 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원단층(110)은 반응성 염료를 이용하여 반응성 염료를 이용하여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염색하고, 바이어스 제작 방식을 통해 제작 또는 통상의 직물을 바이어스로 재단하거나, 염색된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 중 적어도 하나와 천연섬유(예; 면, 울 등) 또는 화학섬유(예;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를 바이어스 제작 방식을 통해 제작 또는 교직물을 바이어스로 재단한 다음, 수지 함침 가공을 수행한 후, 발수 가공 및 방축 가공 등의 후처리 가공을 수행하여 제조함으로써, 직물의 신장성, 신축성 및 탄력성 등을 확보할 수 있고 인장강도, 마모강도 및 신장률 등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하는 것과 세탁에 의한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원단층(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제1 원단층(110)과 상이한 신장 및 신축성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원단층(120)은 수분 또는 습기 등을 흡수하여 외측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친수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예로써 가죽, 울 또는 폴리에스터 원단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원단층(120)은 신축성이 좋고, 보온성이 뛰어나며, 수분이나 습기 등을 잘 빨아들여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원단층(120)은 수분이나 습기 등에 대하여 높은 흡수성을 갖는 친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30)은 제1 원단층(110)과 제2 원단층(120)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원단층(110)과 제2 원단층(120) 각각의 신장 및 신축에 따른 상호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버퍼층(130)의 경우 경편직물로 형성될 수 있고, 니트직물,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퍼층(130)은 제1 원단층(110)과 제2 원단층(120) 사이에 부착되어 지지체 역할을 하고, 추가적으로 신장성 및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크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제1 원단층(110)은 가죽 등으로 이루어진 제2 원단층(120)과 다른 신장성 및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제1 원단층(110)과 제2 원단층(120)이 상호 부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굽힘이 발생하면 신장성 또는 신축성의 차이로 인하여 층간 박리가 발생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제1 원단층(110)이 터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원단층(110)과 제2 원단층(120) 사이에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버퍼층(130)을 개재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써, 버퍼층(130)은 완충 기능을 가지면서도 투습성을 방해하지 않는 네트(net) 형태의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크 기능성 원단(100)은 접착성 필름층(140)과 접착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성 필름층(140)은 제1 원단층(110)과 버퍼층(130) 사이를 부착시키고, 접착층(150)은 버퍼층(130)과 제2 원단층(120)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착성 필름층(140)은 제1 원단층(110)과 버퍼층(130) 사이에 구비되고, 미세 기공층을 포함하여 투습 및 발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성 필름층(140)은 투습과 발수 기능을 갖도록 미세공이 형성된 미세 다공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층에 미세공이 형성되는 경우, 투습 기능을 제공하여 미세 입자를 갖는 공기 중의 수분 또는 습기는 통과시킬 수 있고, 동시에 발수 기능을 제공하여 입자가 큰 빗방울이나 물방울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미세공은 100㎛를 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80㎛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필름층(140)은 합성고분자 또는 천연고분자로부터 제조된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스터 및 천연고무 등으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성이 우수하면서 변형에 강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emperature polyurethane)으로 제조된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성 필름층(140)은 기본적으로 신장성 및 신축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 제1 원단층(110)과 버퍼층(130) 사이에 유동성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필름층(140)의 표면 및 이면에는 제1 원단층(110)과 버퍼층(130)에 부착되는 접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접착성 필름층(140)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된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타입의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원단층(110)과 버퍼층(130) 사이에 접착성 필름층(140)이 공고히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필름층(140)의 표면 또는 이면을 엠보싱 처리하여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박리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성 필름층(140)은 접착제가 형성되는 표면과 이면에 각각 요철 형상의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접착성 필름층(140)의 표면 및 이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1 원단층(110) 및 버퍼층(130)과의 접착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성 필름층(140)의 표면 및 이면에 제1 원단층(110)과 제2 원단층(120)이 공고히 부착됨으로써 박리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어, 제2 원단층(120)의 신장 또는 신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제1 원단층(110) 또는 버퍼층(130)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성 필름층(140)은 제1 원단층(110)과 버퍼층(130) 사이를 공고히 부착할 수 있고, 제1 원단층(110)을 통하여 외측에서 유입되는 물방울 등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제2 원단층(120)이 배치된 내측에서 버퍼층(13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수분 또는 습기를 제1 원단층(110) 쪽으로 내보낼 수 있다.
접착층(150)은 제2 원단층(120) 또는 버퍼층(1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구비되어, 제2 원단층(120)과 버퍼층(1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층(150)은 접착제가 제2 원단층(120) 또는 버퍼층(130)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층(150)은 친수성 및 친환경성을 가지며 접착성이 좋은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접착층(150)은 제2 원단층(120) 또는 버퍼층(130)의 일면에 도트(dot) 또는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접착층(150)이 제2 원단층(120) 또는 버퍼층(130)의 일면 전체가 아닌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제2 원단층(120)과 버퍼층(130)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접착층(150)은 제2 원단층(120) 또는 버퍼층(130)의 일면에 균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지 않고 불균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제2 원단층(120)의 일면에, 균일한 패턴이나 불균일한 패턴이 형성된 패턴 부재(미도시)를 위치시키고, 패턴 부재(미도시)의 통공 사이로 접착제를 주입한 후, 패턴 부재(미도시)를 제거함으로써 제2 원단층(120)의 일면에 균일 또는 불균일한 패턴의 접착층(150)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접착층(150)을 통해 제2 원단층(120)의 일면에 버퍼층(130)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원단층(120) 대신 버퍼층(130)의 일면에 상술한 바와 같은 균일 또는 불균일한 패턴의 접착층(150)을 형성하여 버퍼층(130)의 일면에 제2 원단층(120)을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친수성 재질인 제2 원단층(120)에서 빨아들인 수분이나 습기가 접착층(15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투습성을 갖는 버퍼층(130) 및 접착성 필름층(140)을 통해 제1 원단층(11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버퍼층(13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접착성 필름층(140)과 접착층(150)은 버퍼층(130)의 네트(net) 사이를 통해 상호 부착될 수 있고, 이 경우 박리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접착성 필름층(140)과 접착층(150)은 버퍼층(130)의 네트 사이를 통과하여 상호 부착되어, 제2 원단층(120)의 신장 또는 신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제1 원단층(110) 또는 버퍼층(130)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원단층(110), 접착성 필름층(140), 버퍼층(130), 접착층(150) 및 제2 원단층(120)을 포함하는 실크 기능성 원단(100)은, 접착성 및 박리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제1 원단층(110), 접착성 필름층(140) 및 버퍼층(130)을 가압 부착하고, 제2 원단층(120)에 접착층(150)을 형성하여 가압 부착된 제1 원단층(110), 접착성 필름층(140) 및 버퍼층(130)을 제2 원단층(120)에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성 필름층(140)과 접착층(150)이 버퍼층(130)의 네트 사이를 통해 상호 공고히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조되는 실크 기능성 원단(100)은, 신발 또는 가방 등의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신발의 갑피로 사용되는 경우, 사람의 발과 접촉되는 안쪽의 제2 원단층(120)에서 수분 또는 습기를 빨아들여 접착층(150), 버퍼층(130), 접착성 필름층(140) 및 제1 원단층(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바깥쪽의 발수 가공된 제1 원단층(110)과 발수성을 갖는 접착성 필름층(140)을 통해 빗방울이나 물방울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실크 원단으로 이루어진 제1 원단층(110)에 의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고, 제1 원단층(110)과 제2 원단층(120) 사이에 구비된 버퍼층(130)을 통해 완충 기능을 수행하여 원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실크 원단으로 이루어진 제1 원단층(110)은 반응성 염료를 이용하여,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를 염색하고, 바이어스 제작 방식을 통해 제작 또는 직물을 바이어스로 재단하거나, 염색된 실크사, 실크 교연사, 실크 혼방사 또는 실크 복합사 중 적어도 하나와 천연섬유(예; 면, 울 등) 또는 화학섬유(예;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를 바이어스 제작 방식을 통해 제작 또는 교직물을 바이어스로 재단한 다음, 수지 함침 가공을 수행한 후, 발수 가공 및 방축 가공 등의 후처리 가공을 수행하여 제조함으로써, 직물의 신장성 및 신축성 등을 확보할 수 있고 견뢰도, 인장강도, 마모강도 및 신장률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신축성 및 신장성이 부여된, 즉 바이어스 제작 방식을 통한 제작 또는 직물을 바이어스로 재단되어 신축성이 보완된 실크 원단의 제1 원단층(110)을 이용함으로써 일체로 부착된 제2 원단층(120)의 신장 또는 신축에 의해 제1 원단층(110)이 터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이용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1 원단층을 실크 원단, 제2 원단층을 폴리에스터 원단으로 구비하고, 실크 원단과 폴리에스터 원단 사이에 버퍼층으로 폴리에스터 경편 직물을 위치시킨 후, 실크 원단과 폴리에스터 경편 직물 사이는 접착성 필름층인 TPU 필름을, 폴리에스터 경편 직물과 폴리에스터 원단 사이는 핫멜트 접착제를 접착층으로 이용하여 실크 기능성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버퍼층인 폴리에스터 경편 직물과 접착성 필름층인 TPU 필름층을 제외하면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원단층을 실크 원단, 제2 원단층을 폴리에스터 원단으로 구비하고, 실크 원단과 폴리에스터 원단 사이는 핫멜트 접착제를 접착층으로 이용하여 실크 기능성 원단을 제조하였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각각의 실크 기능성 원단을 아래의 평가 방법에 따라 굴곡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를 [표 1]로 기재하였다.
굴곡 시험은 KS M ISO17694:2014에 준거하여 평가하였으며, 상온 (23±1)˚C에서 실시예와 비교예 각각의 실크 기능성 원단에 대하여 50,000회 및 70,000회의 굽힘을 반복 수행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시험방법 실시예 비교예
50,000회 굽힘 반복 균열 없음 균열 발생
70,000회 굽힘 반복 균열 없음 균열 발생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실크 기능성 원단 110 : 제1 원단층
120 : 제2 원단층 130 : 버퍼층
140 : 접착성 필름층 150 : 접착층

Claims (6)

  1. 실크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편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1 원단층;
    상기 제1 원단층과 상이한 신장 및 신축성을 구비하는 제2 원단층; 및
    상기 제1 원단층과 상기 제2 원단층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원단층 및 상기 제2 원단층 각각의 신장 또는 신축에 따른 상호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버퍼층을 포함하는 실크 기능성 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단층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구비되고, 미세 기공층을 포함하여 투습 및 발수 기능을 수행하는 접착성 필름층; 및
    상기 제2 원단층 또는 상기 버퍼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원단층과 상기 버퍼층을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실크 기능성 원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크를 포함하는 직물은 바이어스로 제작 또는 바이어스로 재단되어 상기 제1 원단층의 신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2 원단층의 신장 또는 신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원단층에 유동성을 부가하는 실크 기능성 원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필름층과 상기 접착층은 상기 버퍼층을 통과하여 상호 연결되어, 상기 제2 원단층의 신장 또는 신축에 따른 상기 제1 원단층 또는 상기 제2 원단층으로부터 상기 버퍼층의 박리를 억제시키는 실크 기능성 원단.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2 원단층 상에, 균일 또는 불균일 패턴을 가지는 직물, 편물 및 부직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턴 부재를 위치시키고, 상기 패턴 부재의 통공 사이로 접착제를 주입한 후, 상기 패턴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실크 기능성 원단.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필름층은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의 일 영역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원단층과 상기 버퍼층 간의 접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2 원단층의 신장 또는 신축에 따른 상기 제1 원단층 또는 상기 버퍼층의 박리를 억제시키는 실크 기능성 원단.
KR1020190169375A 2019-12-18 2019-12-18 실크 기능성 원단 KR102340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75A KR102340952B1 (ko) 2019-12-18 2019-12-18 실크 기능성 원단
PCT/KR2020/011900 WO2021125498A1 (ko) 2019-12-18 2020-09-04 실크 기능성 원단
CN202080084032.8A CN114746268A (zh) 2019-12-18 2020-09-04 丝功能性面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75A KR102340952B1 (ko) 2019-12-18 2019-12-18 실크 기능성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892A true KR20210077892A (ko) 2021-06-28
KR102340952B1 KR102340952B1 (ko) 2021-12-16

Family

ID=7647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375A KR102340952B1 (ko) 2019-12-18 2019-12-18 실크 기능성 원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40952B1 (ko)
CN (1) CN114746268A (ko)
WO (1) WO2021125498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819A (ja) * 2000-09-06 2002-03-22 Tentac Co Ltd 熱接着フィルム
KR20050086535A (ko) * 2002-11-27 2005-08-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부직 재료와 탄성중합 재료의 신장성 라미네이트, 및 그제조 방법
KR20090017953A (ko) * 2007-08-16 2009-02-19 이동섭 바이어스 재단된 천조각으로 이루어진 안감을 포함하는 의복
KR101217168B1 (ko) * 2011-09-08 2012-12-31 한종희 물세탁 가능한 실크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넥타이 제조방법
KR20160026515A (ko) * 2014-09-01 2016-03-09 (주)아셈스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KR101611128B1 (ko) 2015-03-12 2016-04-08 다이텍연구원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KR20170001384A (ko) * 2015-06-26 2017-01-04 (주) 미벨라 탄성 복합 부직포 및 그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230990U (zh) * 2016-10-08 2017-06-09 射阳县华宏丝绸有限公司 一种高弹性复合丝绸面料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819A (ja) * 2000-09-06 2002-03-22 Tentac Co Ltd 熱接着フィルム
KR20050086535A (ko) * 2002-11-27 2005-08-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부직 재료와 탄성중합 재료의 신장성 라미네이트, 및 그제조 방법
KR20090017953A (ko) * 2007-08-16 2009-02-19 이동섭 바이어스 재단된 천조각으로 이루어진 안감을 포함하는 의복
KR101217168B1 (ko) * 2011-09-08 2012-12-31 한종희 물세탁 가능한 실크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넥타이 제조방법
KR20160026515A (ko) * 2014-09-01 2016-03-09 (주)아셈스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KR101611128B1 (ko) 2015-03-12 2016-04-08 다이텍연구원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KR20170001384A (ko) * 2015-06-26 2017-01-04 (주) 미벨라 탄성 복합 부직포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46268A (zh) 2022-07-12
WO2021125498A1 (ko) 2021-06-24
KR102340952B1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069B1 (ko) 불연속적 탄성 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형상 강화 의복
EP2280619B1 (en) Garment bands including polymer compositions
US20080050555A1 (en) Laminated fabric
CZ305553B6 (cs) Vrstvený výrobek a textilní výrobek vyrobený s jeho použitím
KR20120007074A (ko) 연신성을 갖는 결합된 직물 구조물
KR101605119B1 (ko) 냉감지속성이 우수한 하계 의류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7162205B2 (ja) 複合布帛
KR20090075871A (ko) 내풍성 및 수증기 투과성 의복
KR101500681B1 (ko)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투습방수원단
CN105209674A (zh) 耐磨耗织物
US20240158984A1 (en) Textile fabric-elastomer composite
EP2501544B1 (en) Elastic fabric with adhesive
JP2012052275A (ja) 汗処理機能に優れた布帛およびアンダーウエアーおよびスポーツウエアー
KR102340952B1 (ko) 실크 기능성 원단
KR100959637B1 (ko) 실크사 또는 실크 교직사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제품
JP6539495B2 (ja) 積層体布帛
CN211942427U (zh) 一种防水透湿面料
WO2014049390A1 (en) A textile assembly with air and water vapor permeable elastomeric coating
CN207697208U (zh) 一种防撕裂耐磨的纺织面料
US20210267294A1 (en) Garment
JP7344545B2 (ja) 原着丸編地
JP7267820B2 (ja) 滑り止め布帛を用いてなるシューズ用インソール
CN214000835U (zh) 一种高色牢度毛竹涤染色布
CN215620571U (zh) 一种防水型家纺用涤纶布
JP2018162543A (ja) 耐摩耗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