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128B1 -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128B1
KR101611128B1 KR1020150034420A KR20150034420A KR101611128B1 KR 101611128 B1 KR101611128 B1 KR 101611128B1 KR 1020150034420 A KR1020150034420 A KR 1020150034420A KR 20150034420 A KR20150034420 A KR 20150034420A KR 101611128 B1 KR101611128 B1 KR 101611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k
silk fabric
fabric
wrinkle
sh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훈
장영민
하나라
Original Assignee
다이텍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텍연구원 filed Critical 다이텍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29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045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dyeing and degumming si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크원단을 정련하고 표백하는 전처리단계와, 전처리단계를 거친 실크원단을 염색하는 염색단계와, 염색된 실크원단의 방축(防縮)되도록 하고, 주름을 없애는 방축 및 주름 가공단계와, 상기 방축 및 주름가공단계를 거친 실크원단에 일정한 패턴의 주름을 형성시키는 주름부여단계와, 상기 주름부여단계를 통해 형성된 주름의 형태를 보존시키도록 하는 증기가공단계와, 마감단계로 이루어져, 실크원단이 전처리 단계, 염색 단계, 방축 및 주름가공단계, 주름부여단계, 증기가공단계 및 마감단계를 거치도록 함으로서, 물세탁이 가능하며 방축효과와 형태안정적인 효과를 암모니아가공을 통해 이루도록 하고, 실크 소재에 알맞은 환경친화적 내구성이 있는 주름(Crease)가공을 통해 세탁 후에서도 내구성이 있는 물리적 기계주름을 유지될 수 있어 직접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 SILK FABRICS MANUFACTURING METHOD }
본 발명은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크원단이 전처리 단계, 염색 단계, 방축 및 주름가공단계, 주름부여단계, 증기가공단계 및 마감단계를 거치도록 함으로서, 물세탁이 가능하며 방축효과와 형태안정적인 효과를 암모니아가공을 통해 이루도록 하고, 실크 소재에 알맞은 환경친화적 내구성이 있는 주름(Crease)가공을 통해 세탁 후에서도 내구성이 있는 물리적 기계주름을 유지될 수 있어 직접관리가 용이한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크는 첨단 패션산업의 중요한 소재로서 관련 상품은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친환경적 상품으로 실크직물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패션제품 시장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국가의 성장을 이끄는 견인차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실크 상품은 고가의 상품이라서 과거에는 수요가 특정계층으로 제한되었으나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증가로 고급 제품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수요계층도 아주 넓어지는 추세에 있다. 또한 실크/PET, 실크/면 등 복합소재 직물 등의 소재를 이용한 패션제품시장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적인 실크 제품의 수요 증가 추세와 반대로 중국을 중심으로 한 신흥개발국가들의 중저가 제품의 수입증가로 인한 저가제품 생산기반 와해와 선진국 제품들에 비해 디자인과 소재에 있어서의 취약성, 나아가 브랜드 전략 부재로 인해 우리나라 실크산업은 생산기반과 제품의 경쟁력이 부족한 사양산업이라는 인식이 퍼져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격경쟁력의 약화, 심각한 기능인력 부족현상, 수요의 다양화, 개성화 등에 대한 대응능력의 부족, 상품기획 능력과 마케팅능력의 부족, 패션디자인능력의 부족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났다. 하지만 이상과 같은 섬유산업의 발전에 제약이 되는 점이 있지만 이에 못지않게 성장 잠재력 또한 지니고 있어 제품의 디자인과 기능성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시대적인 요구사항에 부응하고자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7-0092180호에서와 같이 실크원단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여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심미감을 향상시켜 경쟁력을 갖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기술로 제조된 실크원단을 실크의 특성상 구김 등의 문제로 인해 관리 및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크원단이 전처리 단계, 염색 단계, 방축 및 주름가공단계, 주름부여단계, 증기가공단계 및 마감단계를 거치도록 함으로서, 물세탁이 가능하며 방축효과와 형태안정적인 효과를 암모니아가공을 통해 이루도록 하고, 실크 소재에 알맞은 환경친화적 내구성이 있는 주름(Crease)가공을 통해 세탁 후에서도 내구성이 있는 물리적 기계주름을 유지될 수 있어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크원단을 정련하고 표백하는 전처리단계와, 전처리단계를 거친 실크원단을 염색하는 염색단계와, 염색된 실크원단의 방축(防縮)되도록 하고, 주름을 없애는 방축 및 주름 가공단계와, 상기 방축 및 주름가공단계를 거친 실크원단에 일정한 패턴의 주름을 형성시키는 주름부여단계와, 상기 주름부여단계를 통해 형성된 주름의 형태를 보존시키도록 하는 증기가공단계와,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방축 및 주름 가공단계는 염색된 실크원단에 액체암모니아를 침지처리(padding)한 다음 상기 실크원단을 경사방향으로 장력을 주어 고정시킨 후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축 및 주름 가공단계는 염색된 실크원단에 액체암모니아를 침지처리(padding)한 다음 상기 실크원단을 장력방향으로 늘려 변부 및 원단 전체 부분을 고정시킨 후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후 열수(hot water)나 스팀(steam)으로 1분 ~ 60분 이내로 처리를 하게 되면 실크의 결정체가 silk Ⅲ에서 silk Ⅰ으로 일부 변형이 일어나면서 구김이 고정이 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일반 실크직물의 경우 당초의 결정형이 Silk.Ⅰ가 액체암모니아처리에 의해 Silk.Ⅲ로 변하여 새로운 물성변화를 만들어 냈다. 이에 암모니아처리 이후에 스팀 + steaming처리 및 각종 실크의 결정체의 변화(Silk.Ⅰ 또는 Silk.Ⅱ)를 줄 수 있는 공정을 실시하여 결정부분 뿐만 아니라 주변의 결정혼재부분의 섬유구조가 팽윤상태 또는 성형상태로 고정화됨에 따라서 방축/성형, 고감성 효과를 만들어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크원단은 실크 또는 실크교직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은 실크원단이 전처리 단계, 염색 단계, 방축 및 주름가공단계, 주름부여단계, 증기가공단계 및 마감단계를 거치도록 함으로서, 물세탁이 가능하며 방축효과와 형태안정적인 효과를 암모니아가공을 통해 이루도록 하고, 실크 소재에 알맞은 환경친화적 내구성이 있는 주름(Crease)가공을 통해 세탁 후에서도 내구성이 있는 물리적 기계주름을 유지될 수 있어 직접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이하 설명의 편의상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이라 명명함)은 실크원단를 저온형 반응성 염료로 염색한 후 패턴인 주름을 형성시켜, 친환경적이고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하는 실크원단의 제조방법은 전처리단계(S1), 염색단계(S2), 방축 및 주름가공단계(S3), 주름부여단계(S4), 증기가공단계(S5) 및 마감단계(S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처리 단계(S1)는 실크원단의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정련하고 균일한 색상이 유지되도록 표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전처리 단계에서(S1)의 상기 실크원단은 실크원사를 직조하여 형성시키거나, 실크원사와 다른 섬유원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실크원단 교직물 중 어느 하나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염색단계(S2)는 상기 전처리단계(S1)를 거친 실크원단을 염색하는 단계이다.
상기 염색단계(S2)에서는 세리신과 같은 불순물이 제거된 실크원단에 저온형 반응성염료로 염색하는 것으로서, 상기 염료는 다양한 색상을 갖으며 낮은온도(10℃ ~ 40℃)에서 실크섬유를 염색시켜 실크 자체의 물성에 변형을 최소화 하였다.
상기 방축 및 주름가공단계(S3)는 염색된 실크원단이 방축(防縮)되도록 함으로서 세탁 후 건조하는 과정에서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가공과정에서 형성되는 주름을 없애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방축 및 주름 가공단계(S3)는 염색된 실크원단에 액체암모니아를 침지(padding)한 다음 상기 실크원단을 경사방향으로 장력을 주면서 테두리 부분을 지그로 고정시킨 후 건조시키게 된다. 여기서, 액체인 암모니아를 실크원단에 0.1초 ~ 10초 이내로 실크원단을 함침이후에 망글로 패팅(padding)의 장력조정을 하면서 실시한다.
그 이후에는 열수(hot water)나 스팀(steam)으로 1분 ~ 60분 이로 열수에 함침시키거나 스팀을 분사하게 되면 아래 사진1에서와 같이 실크의 결정체가 silk Ⅲ에서 silk Ⅰ으로 일부 변형이 일어나면서 구김이 고정이 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Figure 112015024275617-pat00001
[사진 1]
Figure 112015024275617-pat00002
[표 1]
상기한 표 1은 고온수(高溫水)처리에 의한 결정의 변화를 나타낸 것임. 여기서, 일반 실크직물의 경우 당초의 결정형이 Silk.Ⅰ가 액체암모니아처리에 의해 Silk.Ⅲ로 변하여 새로운 물성변화를 만들어 냈다. 이에 암모니아처리 이후에 스팀처리 및 각종 실크의 결정체의 변화(Silk.Ⅰ 또는 Silk.Ⅱ)를 줄 수 있는 공정을 실시 하여 결정부분 뿐만 아니라 주변의 결정혼재부분의 섬유구조가 팽윤상태 또는 성형상태로 고정화됨에 따라서 방축/성형, 고감성 효과를 만들어 볼 수 있다.
상기 주름부여단계(S4)는 상기 방축 및 주름가공단계를 거친 실크원단에 일정한 패턴의 주름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실크원단에 주름을 형성시키는 것을 일정한 형상의 돌기 또는 홈과 같은 패턴을 갖는 롤러사이를 관통시켜 형성시키거나, 주름금형을 가압하여 형성시키게 되며, 섬유원단에 주름을 형성시키는 통상의 방법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증기가공단계(S5)는 상기 주름부여단계(S4)를 통해 형성된 주름의 형태를 보존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증기가공단계에서(S5)의 상기 증기가공은 VP(Vapor Phase)가공으로서, VP(Vapor Phase)가공은 세탁에도 수축되지 않는 우수한 방축성과 방추성이 유지된다. 또한 형태보전성과 주름의 영구성 봉재에 대한 수축 방지성이 우수하고 다림질이 필요없다.
일반적인 수지 가공과는 달리 세탁을 반복해도 태가 거칠어지지 않으며 직물 자체의 자연적인 유연감이 손상되지 않아 영구적인 유연성을 유지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가공 제품에 비해 25% 정도 건조가 빠르고 포름알데히드만으로 가교 결합을 시켰기 때문에 일반 수지 가공품에 비하여 약 3배 정도 흡수성이 높다.
반복 세탁에서도 잔털이 생기지 않으며 염색물은 변색되지 않고 연구적으로 신품과 같은 외관과 품위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가스에 의한 가공을 의미하며 포름알데히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에 의하여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마감단계(S6)는 상기 증기가공단계(S5)를 거친 실크원단을 일정한 길이와 넓이로 절단하고 포장하는 단계이다.
S1 : 전처리 단계
S2 : 염색 단계
S3 : 방축 및 주름가공단계
S4 : 주름부여단계
S5 : 증기가공단계
S6 : 마감단계

Claims (4)

  1. 실크원단을 정련하고 표백하는 전처리단계;
    전처리단계를 거친 실크원단을 염색하는 염색단계;
    염색된 실크원단의 방축(防縮)되도록 하고, 주름을 없애는 방축 및 주름 가공단계;
    상기 방축 및 주름가공단계를 거친 실크원단에 일정한 패턴의 주름을 형성시키는 주름부여단계;
    상기 주름부여단계를 통해 형성된 주름의 형태를 보존시키도록 하는 열수처리 및 스팀처리하는 증기가공단계; 및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축 및 주름 가공단계는 염색된 실크원단에 액체암모니아를 침지 및 분사한 다음 상기 실크원단을 경사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시킨 후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축 및 주름 가공단계는 염색된 실크원단에 액체암모니아를 침지 및 분사한 다음 상기 실크원단을 늘려 테두리 부분을 고정시킨 후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크원단은 실크 또는 실크교직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KR1020150034420A 2015-03-12 2015-03-12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KR101611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420A KR101611128B1 (ko) 2015-03-12 2015-03-12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420A KR101611128B1 (ko) 2015-03-12 2015-03-12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128B1 true KR101611128B1 (ko) 2016-04-08

Family

ID=5590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420A KR101611128B1 (ko) 2015-03-12 2015-03-12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1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96A (ko) * 2016-12-29 2018-07-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름 문양의 탄력성이 있는 실크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77892A (ko) 2019-12-18 2021-06-28 김진규 실크 기능성 원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16B1 (ko) 2009-06-04 2009-10-08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물세탁 가능한 실크직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46580A (ja) 2011-05-26 2012-12-13 Kimono Brain:Kk シルク繊維の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16B1 (ko) 2009-06-04 2009-10-08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물세탁 가능한 실크직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46580A (ja) 2011-05-26 2012-12-13 Kimono Brain:Kk シルク繊維の加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96A (ko) * 2016-12-29 2018-07-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름 문양의 탄력성이 있는 실크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77892A (ko) 2019-12-18 2021-06-28 김진규 실크 기능성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9040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woven or knit fabrics using yarn dyed raw silk and the woven or knit fabrics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US2121005A (en) Process of producing textiles with calender finish permanent to washing and product thereof
CN103938387B (zh) 一种平幅状连续染色整理针织布的生产方法及其轧染机
KR101611128B1 (ko) 직접관리가 용이한 주름가공 실크원단의 제조방법
KR100974443B1 (ko) 주름을 지닌 이중직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109693A1 (zh) 一种生产纯天然染色纱线的方法
US2161223A (en) Production of textile fabrics in formed printed patterns
KR100840339B1 (ko) 나염을 이용한 빈티지 효과를 갖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91906B1 (ko) 섬유의 연속전처리 방법
KR101591907B1 (ko) 섬유의 연속전처리 방법
KR100624716B1 (ko) 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진 원단
US6521000B1 (en) Process for forming scrubbed stretch denim fabric
KR100856750B1 (ko) 벨루어 섬유의 제조방법
CN109653006A (zh) 一种用于羊绒制品的吊染、扎染的工艺制作方法
JP2022015052A (ja) 染色釜を利用したタイダイ染
JP2000199175A (ja) 凹凸シワを有する生地の製造方法
CN111549419A (zh) 一种双层面料及其制造方法
KR100827451B1 (ko) 합성섬유의 구김 형성방법 및 구김이 형성된 합성섬유
KR102090244B1 (ko) 빈티지 느낌을 가지는 크리즈 섬유의 가공 방법 그 가공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크리즈 섬유
US3530510A (en) Durable press process
CN104631023A (zh) 弹力织物平缩预定形工艺技术
JPH08120560A (ja) 形態安定・形状記憶織レーベル
KR900001923B1 (ko) 실크직물의 염색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염색된 실크직물
US6523196B1 (en) Shibori clothes manufacturing method, etc. and shibori clothes made by said manufacturing method
US7279014B2 (en) Methods for coloring tex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