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669A -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669A
KR20210077669A KR1020217009067A KR20217009067A KR20210077669A KR 20210077669 A KR20210077669 A KR 20210077669A KR 1020217009067 A KR1020217009067 A KR 1020217009067A KR 20217009067 A KR20217009067 A KR 20217009067A KR 20210077669 A KR20210077669 A KR 20210077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산 강
승우 이
동휘 김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37782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080055A1/ja
Publication of KR20210077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전면판과 배면판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고, 전면판 또는 배면판의 점착제층 측의 표면에 착색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굴곡 가능한 광학 적층체로서, 층간에 10㎛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기포의 혼입이 억제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 전면판, 제1점착제층과 제2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층, 및 배면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고, 전면판 또는 배면판의 어느 한쪽의 점착제층 측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착색층을 가지고, 점착제층은 제2점착제층이 착색층 측이 되도록 배치되고, 광학 적층체를 평면에서 볼 때 적어도 착색층 내측의 단부를 덮도록 적층되어 있고, 제1 점착층 및 제2 점착층은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고, (1) 0.01MPa≤제1 점착층 및 제2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0.1 MPa 및 (2) 0.5≤제2 점착층의 손실 탄젠트≤0.8을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설치된 편광 부재, 편광 부재 상에 설치된 윈도우가 각각 접착 부재로 접착된 폴더블 표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표시장치와 광학 부재를 첩합하기 위한 제1점착제층과 제2점착제층을 가지는 양면 점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보호 패널과 편광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점착제층 및 제2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17-126061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 2016-194085호 공보 특허문헌 3:일본 특허 제4806730호 공보
전면판과 배면판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고, 전면판 또는 배면판의 점착제층 측에 착색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굴곡 가능한 광학 적층체는, 층간에 10㎛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기포가 혼입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전면판과 배면판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고, 전면판 또는 배면판의 점착제층 측에 착색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굴곡 가능한 광학 적층체로서, 층간에 10㎛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기포의 혼입이 억제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적층체 및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1] 전면판, 점착제층, 및 배면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고, 상기 전면판의 점착제층 측 또는 상기 배면판의 점착제층 측의 어느 한쪽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착색층을 가지는 적층체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제1점착제층 및 제2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점착제층이 착색층 측이 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점착제층은, 광학 적층체를 평면에서 볼 때 적어도 착색층 내측의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점착제층 및 상기 제2점착제층은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고,
하기 (1) 및 (2)을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1) 0.01MPa≤제1점착제층 및 제2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0.1MPa
(2) 0.5≤제2점착제층의 손실 탄젠트≤0.8
[2] 상기 제1점착제층의 손실 탄젠트는, 상기 제2점착제층의 손실 탄젠트와는 다른, [1]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3] 상기 제2점착제층 두께는 상기 착색층의 두께보다 큰, [1]또는[2]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4] 상기 제1점착제층 및 상기 제2점착제층의 합계 두께는 25㎛ 이상 150㎛ 이하인, [1] ~ [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5] [1] ~ [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상기 제1점착제층의 압축 탄성률은, 3 MPa 이상 12 MPa 이하인, [1] ~ [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7] 상기 제2점착제층의 압축 탄성률은, 3 MPa 이상 5 MPa 이하인, [1] ~ [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판과 배면판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고, 전면판 또는 배면판의 점착제층 측에 착색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굴곡 가능한 광학 적층체로서, 층간에 10㎛ 이상의 크기의 기포의 혼입이 억제된 광학 적층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와 관련되는 광학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모든 도면에서는, 각 구성요소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축척을 적절히 조정해 나타내고 있어 도면에 나타나는 각 구성요소의 축척과 실제의 구성요소의 축척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광학 적층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이하, 생략하여 「적층체」라고도 한다)(100)는, 전면판(10), 점착제층(20), 및 배면판(30)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적층체(100)는, 배면판(30)의 점착제층(20) 측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착색층(40)을 더 구비한다. 점착제층(20)은, 제1점착제층(21)과 제2점착제층(22)을 포함하고, 제2점착제층(22)이 착색층 측이 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착색층(40)은, 배면판(30)의 점착제층(20) 측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대신에, 전면판(10)의 점착제층(20) 측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적층체(100)는 굴곡 가능하다. 굴곡 가능하다는 것은, 곡률 반경이 3 mm로 굴곡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적층체(100)는, 바람직하게는 적층체(100)의 내면의 곡률 반경이 3 mm로의 굴곡 횟수가 1만회이어도 크랙이 생기지 않는다.
적층체(100)의 두께는, 적층체에 요구되는 기능 및 적층체의 용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 이상 1,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500㎛ 이하이다.
적층체(100)를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예를 들면 방형 형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방형 형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이다. 적층체(100)의 면방향의 형상이 장방형인 경우, 장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10 mm 이상 1400 mm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 600 mm 이하이다. 단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5 mm 이상 800 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 mm 이상 500 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 300 mm 이하이다.
적층체(100)를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방형 형상인 경우, 전면판(10) 및 배면판(30)의 각변의 길이는 같아도 좋고, 전면판(10) 및 배면판(30)의 단부의 위치가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100)를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방형 형상인 경우, 점착제층(20)의 단부의 위치는 각각 전면판(10) 또는 배면판(30)의 단부의 위치와 같아도 좋고, 또는 내측에 있어도 좋다.
적층체(100)는, 예를 들면 표시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유기 EL) 표시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무기 EL) 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전계발광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적층체(100)는,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장치에 적합하다.
종래, 전면판 또는 배면판의 점착제층 측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착색층이 형성된 굴곡성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는, 착색층과 점착제층의 사이나, 제1점착제층과 제2점착제층의 사이, 전면판 혹은 배면판과 점착제층의 사이에 길이가 10㎛ 이상의 기포(이하, 특정 기포라고도 한다)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가, 기포의 억제에 대해 예의 연구를 행했는데, 착색층이 존재하는 영역과 착색층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사이에 적층체 두께 방향으로 단차가 생기고, 그 단차 상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이 단차를 추종할 수 없어, 점착제층과 착색층이 형성된 전면판 또는 배면판의 사이, 특히 전면판 혹은 배면판과 착색층의 단차부에 기포가 생기기 쉬운 것을 규명하였다. 그래서, 점착제층에 주목해 추가의 연구를 거듭했는데, 점착제층을 2층 구조로 하고, 2층 중 착색층과 접하는 층의 손실 탄젠트(이하, tanδ라고도 한다)를 특정의 범위 내로 하고, 각각의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고, 특정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굴곡성을 손상하지 않고, 기포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특정 기포는, 광학 현미경으로 적층체의 투과상을 관측함으로써 관찰할 수 있다. 특정 기포는, 적층체 평면 방향에서 착색층 내측의 단부에 평행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특정 기포의 형상은 선상인 경우가 많다. 특정 기포가 선상인 경우, 길이는 10㎛ 이상이고, 폭은 예를 들면 0.01㎛ 이상 5㎛ 이하이어도 좋다. 특정 기포가 발생할 때는, 착색층과 점착제층의 사이, 및 전면판 혹은 배면판과 점착제층의 사이의 양쪽 모두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착색층 내측의 단부를 기준으로 할 때, 그 기준을 대칭 축으로 하는 위치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전면판)
전면판(10)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판상체이면 재료 및 두께는 한정되지 않고, 1층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그 예로는, 수지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수지판, 수지 시트, 수지 필름 등), 유리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유리판, 유리 필름 등)를 들 수 있다. 전면판은, 표시장치의 최표면을 구성하는 층일 수 있다.
전면판(10)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 이상 2,000㎛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500㎛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각 층의 두께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두께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전면판(10)이 수지제의 판상체인 경우, 수지제의 판상체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타)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이용할 수 있다. 강도 및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수지 필름이다. 수지제의 판상체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 이상 2,000㎛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500㎛ 이하이고, 100㎛ 이하이어도 좋다.
전면판(10)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하드 코트층을 설치해 경도를 보다 향상시킨 필름이어도 좋다. 기재 필름으로는, 상기 수지로 제조한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기재 필름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쪽 모두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는 것으로, 경도 및 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이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는 한정되지 않고,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전면판(10)이 유리판인 경우, 유리판은, 디스플레이용 강화유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리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1,000㎛ 이하이어도 좋다.
유리판을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표면 경도를 가지는 전면판(10)을 구성할 수 있다.
적층체(100)가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전면판(10)은, 표시장치에서의 윈도우 필름으로서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전면판(10)은, 터치 센서로서 기능, 블루 라이트 컷 기능, 시야각 조정 기능 등을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점착제층)
점착제층(20)은, 전면판(10)과 배면판(30)의 사이에 개재해 이들을 첩합하는 층이어도 좋다.
점착제층(20)은, 제1점착제층(21) 및 제2점착제층(22)을 포함한다. 제1점착제층(21)과 제2점착제층(22)은 서로 점착제의 조성이 다를 수 있다. 점착제층(20)은, 예를 들면 제1점착제층(21) 및 제2점착제층(22)이 적층된 적층물이어도 좋고, 제1점착제층(21)과 제2점착제층(22)은 서로 접해 적층되어도 좋다. 점착제층(20)은, 제2점착제층(22)이 착색층(40) 측이 되도록 전면판(10) 또는 배면판(30) 상에 적층된다. 점착제층(20)은, 제2점착제층(22)이 제1점착제층(21)으로부터 착색층(40)에 가깝게 되도록 적층되어도 좋고, 착색층(40)과 접하도록 적층되어도 좋다. 또한, 점착제층(20)은, 광학 적층체(100)를 평면에서 볼 때 적어도 착색층(40) 내측의 단부를 덮도록 적층되어 있다. 착색층(40)에 의한 단차는, 특정의 저장 탄성률을 가지는 제1 점착제(21)와 특정의 탄성률 및 손실 탄젠트를 가지는 제2점착제층(22)을 포함하는 점착제층(20)에 흡수됨으로써, 점착제층 평면이 평활하게 되어 특정 기포의 혼입이 억제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점착제층(20)은, 광학 적층체(100)를 평면에서 볼 때, 단차 흡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착색층(40)의 전부와 전면판(10) 또는 배면판(30)의 착색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전부를 덮도록 적층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에서 본다는 것은, 층의 두께 방향에서 보는 것을 의미한다.
(제1점착제층)
제1점착제층(21)은, 전면판(10) 또는 배면판(30) 중 착색층(4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쪽에 첩합될 수 있다. 제1점착제층(21)은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한다.
제1점착제층(21)의 저장 탄성률은, 0.01 MPa 이상 0.1 MPa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2 MPa 이상 0.08 MPa 이하이다. 제1점착제층(21)의 저장 탄성률이 0.01 MPa 이상 0.1 MPa 이하인 경우, 적층체(100)에서 우수한 굴곡성이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장 탄성률은, 후술의 실시예의 란에서 설명하는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저장 탄성률은, 상온(온도 23℃)에서의 값을 채용할 수 있다.
제1점착제층(21)의 저장 탄성률은, 제1점착제층(21)을 형성하는 재료의 선정이나, 제1점착제층(21)의 두께, 제1점착제층(21)의 제조 조건, 예를 들면 제1점착제층(21)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UV 조사량 등,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점착제 조성물 1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는데 비교적 큰 분자량의 모노머를 이용하면 제1점착제층(21)의 저장 탄성률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UV 조사량을 많게 하면 제1점착제층(21)의 저장 탄성률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제1점착제층(21)의 손실 탄젠트는, 예를 들면 0.7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제1점착제층(21)은,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하, 점착제 조성물 1이라고도 한다)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계 수지」란, 아크릴계 수지 및 메타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나타낸다. 그 외의 「(메타)」를 붙인 용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점착제 조성물 1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이어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 1에 이용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헥실, (메타)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라우릴, (메타)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이소보닐과 같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4-히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가지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1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더 함유한다. 가교제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이고,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카르복실산 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이고,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이고,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도 점착성을 가지고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시킬 수 있고,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여 밀착력을 조정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 외에,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더 함유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을 함유시키기도 한다.
점착제 조성물 1은, 광산란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립자, 비즈(수지 비즈, 유리 비즈 등), 유리 섬유,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수지, 점착성 부여제, 충전제(금속분말이나 그 외의 무기 분말 등),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염료, 안료, 착색제, 소포제, 부식 방지제, 광중합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 1의 유기용제 희석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는, 형성된 점착제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소망한 경화도를 가지는 경화물로 할 수 있다.
제1점착제층(21)의 두께는, 추종성 및 굴곡성의 관점에서 얇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3㎛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이어도 좋다.
(제2점착제층)
제2점착제층(22)은, 전면판(10) 또는 배면판(30) 중 착색층(40)이 형성되어 있는 쪽에 첩합될 수 있다. 제2점착제층(22)은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한다.
제2점착제층(22)의 손실 탄젠트는, 0.5 이상 0.8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5 이상 0.75 이하이다. 제2점착제층(22)의 손실 탄젠트가 0.5 이상 0.8 이하인 경우, 우수한 추종성이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손실 탄젠트는, 후술의 실시예의 란에서 설명하는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손실 탄젠트는, 상온(온도 23℃)에서의 값을 채용할 수 있다.
제2점착제층(22)의 손실 탄젠트는, 제2점착제층(22)을 형성하는 재료의 선정이나, 제2점착제층(22)의 두께, 제2점착제층(22)의 제조 조건 등의 조합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점착제 조성물 2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는데 비교적 큰 분자량의 모노머를 이용하면 제2점착제층(22)의 손실 탄젠트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제2점착제층(22)의 저장 탄성률은, 0.01 MPa 이상 0.1 MPa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2 MPa 이상 0.08 MPa 이하이다. 제2점착제층(22)의 저장 탄성률이 0.01 MPa 이상 0.1 MPa 이하인 경우, 적층체(100)에서 우수한 굴곡성이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제2점착제층(22)의 저장 탄성률을 조절하는 방법은, 상술의 제1점착제층(21)의 설명에서 예시한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제2점착제층(22)은, 점착제 조성물(이하, 점착제 조성물 2라고도 한다)로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2는, 상술의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2는, 손실 탄젠트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이다.
점착제 조성물 2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 가교제, 광중합개시제 및 첨가제 등은 각각, 점착제 조성물 1의 설명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하다. 제2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제1점착제층의 형성 방법과 동일해도 좋다.
제2점착제층(22)의 두께는, 착색층(40)의 단차를 흡수하는 관점에서 착색층(40)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3㎛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이어도 좋다.
(점착제층의 합계 두께)
제1점착제층(21) 및 제2점착제층(22)의 합계 두께는, 예를 들면 25㎛ 이상 150㎛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1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100㎛ 이하이다. 합계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양호한 단차 추종성 및 내굴곡성이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손실 탄젠트의 차이)
제1점착제층(21)의 손실 탄젠트는, 예를 들면 제2점착제층(22)의 손실 탄젠트와는 달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제2점착제층(22)의 손실 탄젠트보다 작다. 제1점착제층(21)과 제2점착제층(22)의 손실 탄젠트가 다른 경우, 그 차이의 절대값은, 예를 들면 0.05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0.5 이하이다.
(압축 탄성률)
제1점착제층의 압축 탄성률은, 예를 들면 3 MPa 이상 12 MPa 이하이어도 좋다. 제1점착제층의 압축 탄성률이 3 MPa 이상인 경우, 굴곡시에 제1점착제층이 피착체로부터 떼어내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제1점착제층의 압축 탄성률이 12 MPa 이하인 경우, 굴곡시에 전면판 및 배면판에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제1점착제층의 압축 탄성률은, 상기 박리 및 크랙의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 MPa 이상 10 MPa 이하이다.
제2점착제층의 압축 탄성률은, 예를 들면 3 MPa 이상 5 MPa 이하이어도 좋다. 제2점착제층의 압축 탄성률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제2점착제층의 단차 추종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배면판)
배면판(30)으로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판상체나 통상의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구성요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배면판(30)의 두께는, 예를 들면 5㎛ 이상 2,000㎛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500㎛ 이하이다.
배면판(30)에 이용하는 판상체로는, 1층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좋고, 배면판(10)에서 기술한 판상체에 대해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배면판(30)에 이용하는 통상의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구성요소로는, 예를 들면 편광판, 터치 센서 패널 및 위상차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판)
편광판으로는,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필름을 편광자로서 포함하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로는, 예를 들면, 이색성 색소를 들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이색성의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이색성 유기 염료에는, C.I. 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이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 테트라키스아조 등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이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 편광자로서 이용되는,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도포한 필름으로는,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혹은 액정성을 가지는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색성 색소와 중합성 액정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을 가지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필름은,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에 비해, 굴곡 방향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1) 연신 필름을 편광자로서 구비하는 편광판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을 편광자로서 구비하는 편광판에 대해 설명한다. 편광자인,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은, 통상,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및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가지는,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편광자를 그대로 편광판으로서 이용해도 좋고, 그 한 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한 것을 편광판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40㎛ 이하이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여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 에테르류, 불포화 설폰산류, 암모늄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100 몰%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이상 10,000 이하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의 범위이다.
이러한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제막(製膜)한 것이, 편광판의 원반(原反)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의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150㎛ 이하 정도로 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1축 연신은,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전, 염색과 동시, 또는 염색의 후에 행할 수 있다. 1축 연신을 염색한 후에 행하는 경우, 이 1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에 행해도 좋고, 붕산 처리 중에 행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단계에서 1축 연신을 행할 수도 있다. 1축 연신에서는, 주속(周速)이 다른 롤간에 1 축으로 연신해도 좋고, 열(熱)롤을 이용하여 1 축으로 연신해도 좋다. 또한 1축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좋고, 용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킨 상태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좋다. 연신 배율은, 통상 3 ~ 8배 정도이다.
연신 필름을 편광자로서 구비하는 편광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이상 400㎛ 이하이어도 좋고, 5㎛ 이상 100㎛ 이하이어도 좋다.
편광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첩합된 보호 필름의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등, 당분야에서 공지의 필름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통상 300㎛ 이하이고,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통상 5㎛ 이상이고,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은 위상차를 가지고 있어도, 가지지 않아도 좋다.
(2) 액정층으로 형성된 필름을 편광자로서 구비하는 편광판
액정층으로 형성된 필름을 편광자로서 구비하는 편광판에 대해 설명한다. 편광자로서 이용되는,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도포한 필름으로는, 액정성을 가지는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색성 색소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얻어지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필름은, 기재를 박리해 또는 기재와 함께 편광판으로서 이용해도 좋고, 또는 그 한 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가지는 구성으로 편광판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상기 보호 필름으로는, 상기한 연신 필름을 편광자로서 구비하는 편광판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도포하고 경화하여 얻어진 필름은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해,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필름의 두께는, 통상 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3㎛ 이하이다.
상기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도포하여 얻어진 필름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공개 2012-33249호 공보 등에 기재된 필름을 들 수 있다.
액정층으로 형성된 필름을 편광자로서 구비하는 편광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이상 50㎛ 이하이어도 좋다.
편광판에 후술의 위상차 필름(예를 들면, 위상차층으로서 λ/4판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원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편광자의 흡수축과 λ/4판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45°±10°일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
터치 센서 패널로는, 터치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면, 검출 방식은 한정되지 않고,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 광 센서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 유도 결합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등의 터치 센서 패널이 예시된다. 저비용인 점에서,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의 일례는,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판, 이것들 한 쌍의 기판의 사이에 협지된 절연성 스페이서, 각 기판의 내측의 전면에 저항막으로서 설치된 투명 도전막, 및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을 설치한 화상 표시장치에서는, 전면판(10)의 표면이 터치되면, 대향하는 저항막이 단락되어, 저항막에 전류가 흐른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이 때의 전압의 변화를 검지해,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의 일례는, 기판, 기판의 전면에 설치된 위치 검출용 투명 전극, 및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을 설치한 화상 표시장치에서는, 전면판(10)의 표면이 터치되면, 터치된 점에서 인체의 정전 용량을 통해 투명 전극이 접지된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투명 전극의 접지를 검지해,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터치 센서 패널의 두께는, 예를 들면 5㎛ 이상 2,000㎛ 이하이어도 좋고, 5㎛ 이상 100㎛ 이하이어도 좋다.
(위상차 필름)
위상차 필름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차층으로는, λ/4판이나 λ/2판과 같은 포지티브 A 플레이트, 및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위상차층은, 상술의 보호 필름의 재료로서 예시를 한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위상차 필름은, 배향막이나 기재 필름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이상 50㎛ 이하이어도 좋다.
(착색층)
착색층(40)은, 예를 들면 표시장치에 이용한 경우, 표시되는 화상 등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표시장치 내의 배선 등을 표시장치 외측으로부터 시인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착색층(40)은, 예를 들면 광학 밀도가 3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착색층(40)의 형상 및 색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적층체를 이용하는 표시장치의 용도나 디자인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착색층(40)은, 착색제를 포함한다. 착색층(40)은 1층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착색층(40)이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2 이상의 층 중, 적어도 1층은 착색제를 포함하는 착색제 함유층이고, 나머지의 층은 착색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착색제의 색으로는, 흑색, 적색, 백색, 감색, 은색, 금색 등이 예시된다. 착색층(40)은, 착색제를 포함하는 착색제 함유층의 하측에, 차광성이 높은 착색제 함유층, 또는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하지층(下地層) 등을 가져도 좋다. 또한, 착색제 함유층을 피복하는 투명의 보호층을 가져도 좋다.
착색제는, 소망한색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착색제로는,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아연화, 아세틸렌 블랙 등의 카본 블랙, 철흑, 벵갈라, 크롬 버밀리온(Chromevermilion), 군청, 코발트 블루, 황연, 티탄 옐로우 등의 무기 안료; 프탈로시아닌 블루, 인단스렌 블루, 이소인돌리논 옐로우, 벤지딘 옐로우, 퀴나크리돈 레드, 폴리아조 레드, 페릴렌 레드, 아닐린 블랙 등의 유기 안료 또는 염료; 알루미늄, 놋쇠 등의 비늘 조각상 박편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안료;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알칼리성 탄산납 등의 비늘 조각상 박편으로 이루어지는 진주 광택 안료(펄 안료)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금층에 포함되는 금속도, 착색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착색층(40)의 각 층은, 인쇄법, 도포법, 도금법 등의 방법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착색층(40)은, 배면판(30)의 점착제층(20) 측의 표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착색층(40)은, 전면판(10)의 점착제층(20) 측의 표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착색층(40)은, 전면판(10)의 점착제층(20) 측이 되는 표면 상에 또는 배면판(30)의 점착제층(20) 측이 되는 표면 상에 직접 형성해도 좋고, 다른 기재 상에 형성한 것을 전면판(10)의 점착제층(20) 측이 되는 표면 상에 또는 배면판(30)의 점착제층(20) 측이 되는 표면 상에 전사하여 형성해도 좋다. 인쇄법의 구체예로는,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전사 시트로부터의 전사 인쇄를 들 수 있다. 인쇄법에 따르는 인쇄를 반복적으로 행해, 소망한 두께의 착색층(40)을 얻도록 해도 좋다. 인쇄법에 이용되는 잉크로는, 예를 들면 착색제, 바인더, 용매, 임의의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잉크를 들 수 있다. 착색층(40)은, 단차 저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배면판(30)의 제2점착제층(22) 측의 표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바인더로는, 염소화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염소화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바인더 수지는, 열중합성 수지이어도, 광중합성 수지이어도 좋다.
인쇄법에 따라, 착색제 함유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착색제는,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서, 50 질량부 이상 200 질량부 이하 포함되는 잉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금법의 구체예로는, 전해 도금, 무전해도금, 용융 도금, 화학 증착, 물리 증착 등, 공지의 도금 방법을 들 수 있다. 물리 증착으로는, 진공 증착, 분자선증착, 이온 빔 증착 등의 증발원을 가열해 증발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는 증발계,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이온 빔 스퍼터링 등의 스퍼터링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필요에 따라서 패터닝을 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금법에 따라 형성된 층을 도금층이라고 한다.
착색층(40)을 전면판(10) 또는 배면판(30)의 주연부에 설치하는 경우, 주연부의 사방에 설치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소망한 디자인 등에 따라, 주연부의 일부에만 설치되는 형태이어도 좋다. 착색층(40)을 전면판(10) 또는 배면판(30)의 주연부에 설치하는 경우, 그 폭은, 표시 영역의 크기, 소망한 디자인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층(40)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착색층(40)의 두께가, 상기 수치 범위 내인 것으로, 점착제층의 계면에 생기는 기포를 억제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착색층(40)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착색층(40)의 두께가 0.1㎛ 이상인 것으로, 착색층(40)이 시인되기 쉬워져 디자인성 향상에 기여하게 되고, 또한 광학 밀도의 향상에도 기여하게 된다.
도 1에는, 착색층(40)의 두께가 균일하고 단면 형상이 장방형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착색층(40)의 두께는 균일하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내측을 향해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단면 형상이어도 좋다. 테이퍼부를 가지는 것으로, 적층시에 생기기 쉬운 공기의 혼입을 억제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착색층(40)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에서 착색층(40)의 두께로서 기재한 수치 범위는, 착색층(40)의 최대의 두께로 한다.
<표시장치>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는 적층체(100)를 포함한다. 적층체(100)는, 표시장치의 시인 측에, 전면판이 외측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유기 EL) 표시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무기 EL) 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전계발광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적층체(100)는, 굴곡성을 가지는 표시장치에 적합하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
적층체(100)의 제조 방법의 제1 실시형태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한다.
1) 배면판(30)의 한쪽의 표면 상에 착색층(4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공정(도 2(a))
2) 박리 필름(61)과 박리 필름(62)의 사이에 제2점착제층(22)을 가지는 제2점착 시트(60)를 준비하는 공정(도 2(b))
3) 박리 필름(62)을 박리하고, 배면판(30)의 착색층(40) 측의 표면에 제2점착 시트(60)를 첩합하는 공정(도 2(c))
4) 박리 필름(71)과 박리 필름(72)의 사이에 제1점착제층(21)을 가지는 제1점착 시트(70)를 준비하는 공정(도 2(d))
5) 박리 필름(61)을 박리한 제2점착 시트(60)의 제2점착제층(22)과 박리 필름(72)을 박리한 제1점착 시트(70)의 제1점착제층(21)을 첩합하는 공정(도 2(e))
6) 박리 필름(71)을 박리하고, 제1점착제층(21)의 표면에 전면판(10)을 첩합하는 공정(도 2(f))
적층체(100)의 제조 방법의 제2 실시형태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한다.
1) 배면판(30)의 한쪽의 표면 상에 착색층(4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공정(도 3(a))
2) 박리 필름(61)과 박리 필름(62)의 사이에 제2점착제층(22)을 가지는 제2점착 시트(60)를 준비하는 공정(도 3(b))
3) 박리 필름(62)을 박리하고, 배면판(30)의 착색층(40) 측의 표면에 제2점착 시트(60)를 첩합하는 공정(도 3(c))
4) 박리 필름(71)과 박리 필름(72)의 사이에 제1점착제층(21)을 가지는 제1점착 시트(70)를 준비하는 공정(도 3(d))
5) 박리 필름(72)을 박리하고, 전면판(10)의 표면에 제1점착 시트(70)를 첩합하는 공정(도 3(e))
6) 박리 필름(61)을 박리한 제2점착 시트(60)의 제2점착제층(22)과 박리 필름(71)을 박리한 제1점착 시트(70)의 제1점착제층(21)을 첩합하는 공정(도 3(f))
제1점착제층(21)과 제2점착제층(22)을 적층할 때나, 점착제층(20)과 전면판(10) 또는 배면판(30)을 첩합할 때, 첩합면에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등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제1점착 시트(70) 및 제2점착 시트(60)는, 예를 들면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용제에 점착제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점착제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이형처리가 실시된 박리 필름(71 또는 72), 및 박리 필름(61 또는 62) 상에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시트 형상으로 형성해 두고, 그 점착제층 상에 또 다른 박리 필름(72 또는 71), 및 박리 필름(62 또는 61)을 첩합하는 방식 등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적층체(100)의 제조 방법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공정 1)에서, 착색층(40)을 배면판(30)의 한쪽의 표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 대신에 착색층(40)을 전면판(10)의 한쪽의 표면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두께>
적층체를 레이저 커터를 이용하여 컷트하였다. 컷트한 적층체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SU8010; HORIBA, Ltd.)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얻어진 관찰상으로부터 각 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저장 탄성률>
점착제층을 150㎛가 되도록 적층한 샘플을 레오 미터 (Anton Parr, MCR-301)을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저장 탄성률(G')의 측정을 행하였다.
조건:응력 1%, 주파수 1 Hz
<손실 탄젠트>
점착제층을 150㎛가 되도록 적층한 샘플을 레오 미터 (Anton Parr, MCR-301)을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Tanδ의 측정을 행하였다.
조건:응력 1%, 주파수 1 Hz
<굴곡성>
적층체를 굴곡 시험기 (Covotech, CFT-720C)에 고정한 후, 윈도우 필름이 내측에 오도록 하여, 굽혔을 때의 필름간 거리가 6 mm가 되도록 굴곡 시험을 행하였다. 그 후, 굴곡 부분에 크랙이나 점착제 들뜸이 발생했을 때의 굴곡 횟수를 기초로, 이하와 같이 판단하였다.
◎:20만회 이상, ○:10만회 이상 20만회 미만, ×:10만회 미만
<기포 평가>
적층체를 85℃ 습도 85% 오븐 중에서 1시간 정도 방치한 후, 꺼냈다. 광학 현미경으로 착색층의 단차 영역의 단차부를 1cm×1cm의 영역에서 관찰하고, 10㎛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기포의 수를 카운트 하였다. 또한 표 1의 「기포 유무」의 열(列)에 기재된 숫자는, 기포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10개 이하, ×:10개 초과
제조예 1-1(아크릴계 공중합체 A1)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게 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500 ml의 4-neck 반응기에 4-히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4-HBA) 25 중량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50 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MA) 15 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10 중량부를 각각 투입한 후, 용제로서 아세트산에틸(EAc)을 100 질량부 투입하였다. 그 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서 질소 가스를 1시간 퍼지 한 후, 60℃에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 개시제의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상기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서 0.07 질량부 투입하였다. 약 5시간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의 약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A1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아크릴계 공중합체 A2)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대신에 부틸 아크릴레이트(BA)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 A2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아크릴계 공중합체 A3)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대신에 헥실 아크릴레이트(HA)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 A3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4(아크릴계 공중합체 A4)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대신에 라우릴 아크릴레이트(LA)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 A4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1(아크릴계 공중합체 B1)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게 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500 ml의 4-neck 반응기에 메틸 아크릴레이트(MA) 20 질량부, 4-히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4-HBA) 40 질량부, 옥틸 아크릴레이트(OA) 40 질량부를 각각 투입한 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서 질소 가스를 1시간 퍼지한 후, 80℃에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성 광개시제의 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을 상기 혼합물에 대해서 3 질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후, 교반시키면서 자외선(10 mW)을 조사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B1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2(아크릴계 공중합체 B2)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대신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2-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 B2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3(아크릴계 공중합체 B3)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대신에 라우릴 아크릴레이트(LA)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2-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 B3를 제조하였다.
(제1점착 시트)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이형 필름 상에, 표 1에 나타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해서 가교제(CORONATE-L, TOSOH CORPORATION) 0.5 질량부를 첨가한 혼합물을 도포하였다. 도포된 혼합물을 100℃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건조 후의 두께는 25㎛이었다. 그 위에 이형 필름을 접합하는 것으로 제1점착 시트(종 177 mm×횡 105 mm)를 제작하였다.
(제2점착 시트)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이형 필름 상에, 표 1에 나타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해서 반응성 희석제(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10 질량부 및 광중합개시제(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 0.1 질량부를 첨가한 혼합물을 도포하였다. 고압 수은 UV 램프를 이용하고, 표 1에 나타내는 광량을 조사함으로써 두께 25㎛의 제2점착 시트(종 177 mm×횡 105 mm)를 얻었다.
(착색제 함유층 형성용 조성물(흑색)의 조제)
[잉크 성분]
아세틸렌 블랙 15 질량%
폴리에스테르 75 질량%
글루탈산디메틸 에스테르 2.5 질량%
숙신산 2 질량%
이소포론 5.5 질량%
[경화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75 질량%
아세트산에틸 25 질량%
[용매]
이소포론
[조제 방법]
잉크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경화제를 10 질량부, 용매를 10 질량부 첨가하고, 교반하여, 착색제 함유층 형성용 조성물(흑색)을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투명)의 조제)
[잉크 성분]
폴리에스테르 90 질량%
글루탈산디메틸 에스테르 2.5 질량%
숙신산 2 질량%
이소포론 5.5 질량%
[경화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75 질량%
아세트산에틸 25 질량%
[용매]
이소포론
[조제 방법]
잉크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경화제를 10 질량부, 용매를 10 질량부 첨가하고, 교반하여,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전면판)
전면판으로서 기재 필름의 양면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된 두께 70㎛의 윈도우 필름(기재 필름 50㎛, 각 하드 코트층 10㎛, 종 177 mm×횡 105 mm)을 준비하였다. 윈도우 필름의 기재 필름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이고, 하드 코트층은 말단에 다관능 아크릴기를 가지는 덴드리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층이다.
(배면판)
배면판으로서 이하와 같이 제작한 원편광판을 이용하였다.
기재에 광배향막을 형성한 후, 이색성 색소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고, 배향, 경화시켜 두께 2㎛의 편광자를 얻었다. 상기 편광자 상에, 접착제층을 통해, 두께 25㎛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첩합하였다. 기재를 박리하고, 노출한 면에,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여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두께 17㎛, 층 구성:오버코트층(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경화층, 두께 1㎛)/점착제층(두께 5㎛)/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 및 배향막으로 이루어지는 λ/4판(두께 3㎛)/점착제층(두께 5㎛)/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 및 배향막으로 이루어지는 포지티브 C 플레이트(두께 3㎛))를 첩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원편광판(「TAC/편광자/위상차 필름」의 층 구성, 두께 44㎛, 종 177 mm×횡 105 mm)을 배면판으로서 준비하였다. 또한 편광자의 흡수축과 λ/4판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45°이었다.
(적층체)
제2점착 시트의 한쪽의 이형 필름을 떼어낸 후, 노출한 제2점착제층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원편광판의 TAC의 표면에, 상기에서 준비한 착색제 함유층 형성용 조성물(흑색)을 잉크로서 이용하여 460 메쉬의 스크린을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에 의해, 건조 후의 도포 두께가 3㎛가 되는 토출량의 인쇄를 행하여, 비표시 영역에, 두께 3㎛, 폭 5 mm의 흑색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흑색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는 원편광판의 TAC 표면에, 전자빔 증착 장치(제품명:UNIVAC2050, UNIVAC 사 제)를 이용하여, TiO2를 증착원으로서 80Å의 두께의 증착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In를 증착원으로서 500Å의 두께의 증착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TiO2를 증착원으로서 150Å의 두께의 증착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Al2O3를 증착원으로서 150Å의 두께의 증착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4층으로 이루어지는 금색 증착층(도금층, 두께<1㎛)을, 비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전영역에 형성하였다.
그 후, 금색 증착층의 표면의 비표시 영역에, 상기에서 준비한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투명)을 잉크로서 이용하여 460 메쉬의 스크린을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에 의해, 건조 후의 도포 두께가 5㎛가 되는 토출 양의 인쇄를 행해 보호층을 형성하여,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표시 영역)의 금색 증착층을 에칭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비표시 영역에, 「흑색 인쇄층(두께 3㎛)/금색 증착층(두께<1㎛)/보호층(두께 5㎛)」의 층 구성(전체의 두께 8㎛ 초과 9㎛ 미만)의 착색층(40)을 형성하였다.
원편광판의 흑색 인쇄층 측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처리를 한 면이 첩합면이 되도록, 제2점착제층과 원편광판을 첩합했다.
제2점착 시트의 다른 쪽의 이형 필름을 떼어낸 후, 노출한 제2점착제층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제1점착 시트에서의 제1점착제층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처리를 한 면이 첩합면이 되도록, 제2점착제층과 제1점착제층을 첩합했다.
제1점착 시트로부터 이형 필름을 떼어내고, 노출한 제1점착제층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윈도우 필름의 한쪽의 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처리를 한 면이 첩합면이 되도록, 제1점착제층과 윈도우 필름을 첩합했다.
이와 같이 하여, 윈도우 필름/제1점착제층/제2점착제층/원편광판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코로나 처리는 모두 이하의 조건에서 행했다.
주파수:20kHz/전압:8.6kV/파워:2.5kW/속도:6m/분
Figure pct00001
<압축 탄성률>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점착제층으로부터 측정용 샘플(치수 50 mm×50 mm)을 잘랐다. 측정용 샘플에 대해서, ISO-FDIS 14577-1 2013(E)에 준거해 미소 경도 시험기 (Helmut Fischer 사 제, HM-500, 압자식류:다이아몬드 정사각뿔)을 이용하고, 압자의 압입 방향이 측정용 샘플의 주면(두께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면)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하고, 측정 온도 25℃에서 이하와 같이 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압자의 압입 방향이 측정용 샘플의 측면(두께 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면)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측정을 행한 경우에도, 측정치는 압자의 압입 방향이 측정용 샘플의 주면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측정을 행한 경우와 같다.
압자가 측정용 샘플에 접촉하고 나서 부하(負荷)를 가하면서, 설정 시험력(1 mN)에 이른 후, 5초간 유지해 제하(除荷)를 행하였다. 제하시에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으로부터 최대 시험력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해 압축 탄성률(E'=δ/ε)로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10 전면판,
21 제1점착제층,
61, 62, 71, 72 박리 필름,
70 제1점착 시트,
22 제2점착제층,
60 제2점착 시트,
30 배면판,
40 착색층,
100 적층체.

Claims (7)

  1. 전면판, 점착제층, 및 배면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고, 상기 전면판의 점착제층 측 또는 상기 배면판의 점착제층 측의 어느 한쪽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착색층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제1점착제층 및 제2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점착제층이 착색층 측이 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점착제층은 광학 적층체를 평면에서 볼 때 적어도 착색층 내측의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점착제층 및 상기 제2점착제층은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고,
    하기 (1) 및 (2)을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1) 0.01MPa≤제1점착제층 및 제2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0.1MPa
    (2) 0.5≤제2점착제층의 손실 탄젠트≤0.8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제층의 손실 탄젠트는 상기 제2점착제층의 손실 탄젠트와는 다른, 광학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착제층 두께는 상기 착색층의 두께보다 큰, 광학 적층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제층 및 상기 제2점착제층의 합계 두께는 25㎛ 이상 150㎛ 이하인, 광학 적층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제층의 압축 탄성률은 3 MPa 이상 12 MPa 이하인, 광학 적층체.
  7.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착제층의 압축 탄성률은 3 MPa 이상 5 MPa 이하인, 광학 적층체.
KR1020217009067A 2018-10-16 2019-09-26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KR20210077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95049 2018-10-16
JPJP-P-2018-195049 2018-10-16
JP2019072582A JP2020064271A (ja) 2018-10-16 2019-04-05 光学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JPJP-P-2019-072582 2019-04-05
PCT/JP2019/037782 WO2020080055A1 (ja) 2018-10-16 2019-09-26 光学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669A true KR20210077669A (ko) 2021-06-25

Family

ID=7038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067A KR20210077669A (ko) 2018-10-16 2019-09-26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064271A (ko)
KR (1) KR20210077669A (ko)
CN (1) CN112839806A (ko)
TW (1) TW2021044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1380B (zh) * 2021-01-05 2022-09-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WO2024095890A1 (ja) * 2022-10-31 2024-05-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積層体及び表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730Y1 (ko) 1970-09-01 1973-02-21
JP2016194085A (ja) 2016-07-06 2016-11-1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積層体
JP2017126061A (ja) 2016-01-11 2017-07-2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フォルダブル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7553B2 (ja) * 2007-03-23 2013-08-28 Dic株式会社 電子端末用画像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全面貼り用粘着シート
KR101114277B1 (ko) * 2008-10-15 2012-03-13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점착시트 및 화상 표시장치
KR101923941B1 (ko) * 2014-09-11 2019-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점착 시트
JP6363930B2 (ja) * 2014-10-10 2018-07-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452483B2 (ja) * 2015-02-16 2019-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062225B1 (ko) * 2015-11-26 2020-01-03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CN107163867B (zh) * 2016-03-07 2021-10-26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用粘合片、带粘合剂层的偏振膜和液晶显示装置
JP2018025765A (ja) * 2016-07-29 2018-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730Y1 (ko) 1970-09-01 1973-02-21
JP2017126061A (ja) 2016-01-11 2017-07-2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フォルダブル表示装置
JP2016194085A (ja) 2016-07-06 2016-11-1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04483A (zh) 2021-02-01
CN112839806A (zh) 2021-05-25
JP2020064271A (ja)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19277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32089B2 (ja) フレキシブル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JP2019191560A (ja)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44755A (ko) 적층체 및 표시 장치
JP2020177249A (ja) フレキシブル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20210077669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WO2020080055A1 (ja) 光学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KR102393475B1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WO2020230493A1 (ja)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2021018424A (ja) 光学積層体
CN113396345B (zh) 光学层叠体和显示装置
WO2020162102A1 (ja)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WO2021200365A1 (ja) 積層体
WO2021149359A1 (ja)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WO2020195699A1 (ja) 積層体及び表示装置
WO2019208167A1 (ja)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57284A (ko) 적층체 및 표시 장치
JP2016091352A (ja) 透明電極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220147582A (ko) 광학 적층체
KR20210071969A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21162856A (ja) 積層体
KR20220015963A (ko)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3341493A (zh) 光学层叠体和显示装置
JP2021135505A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CN113359222A (zh) 光学层叠体和显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