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631A -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 Google Patents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631A
KR20210074631A KR1020190165522A KR20190165522A KR20210074631A KR 20210074631 A KR20210074631 A KR 20210074631A KR 1020190165522 A KR1020190165522 A KR 1020190165522A KR 20190165522 A KR20190165522 A KR 20190165522A KR 20210074631 A KR20210074631 A KR 20210074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creen
fireproof
fram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숙
Original Assignee
김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숙 filed Critical 김미숙
Priority to KR1020190165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4631A/ko
Publication of KR2021007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05Slat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구획을 각형으로 형성하여 넓은 방화구획을 확보하고 방화스크린의 폴딩라인을 일면에만 형성하여 제작 공정의 단순화 및 인건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후방으로 연결되어 소정 각도를 이루는 좌측면프레임 및 우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 각형의 방화구획을 형성하기 위해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각형의 방화구획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바, 상기 승강바에 연동되어 화재 발생 시 상기 각형의 방화구획을 구획하는 방화스크린, 상기 방화스크린을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형의 베이스프레임과 승강바 및 방화스크린에 의해 각형의 방화구획을 형성하므로 종래기술의 직선형 또는 곡선형 방화구획에 비하여 보다 넓은 방화구획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SQUARE SHAPE SCREEN FIRE SHUTTER}
본 발명은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구획을 각형으로 형성하여 넓은 방화구획을 확보하고 방화스크린의 폴딩라인을 일면에만 형성하여 제작 공정의 단순화 및 인건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방화 스크린 방화셔터는 방화구획의 용도로 화재 시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폐쇄되는 것으로서, 공항이나 체육관 등 넓은 공간에 부득이하게 내화구조로 된 벽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하며, 평상시에는 개방되어 있다가 화재 시 연기나 열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차단되어 방화구획을 형성하게 된다.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20912호(등록일자 2016년05월09일) ‘곡선형 방화스크린(300)의 개폐장치’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83610호(공개일자 2019년07월17일) ‘곡선형 방화스크린(300) 셔터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한 쪽 벽면에 설치 시 방화구획을 원호형으로 형성하게 되므로 사각형이나 오각형 등의 각형 방화구획에 비하여 넓은 방화구획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은 방화스크린의 접히는 폴딩라인이 내외면에 재봉으로 형성되므로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제작 기간이 늘어나며 인건비가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20912호(등록일자 2016년05월09일)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83610호(공개일자 2019년07월17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구획을 각형으로 형성하여 넓은 방화구획을 확보하고 방화스크린의 폴딩라인을 일면에만 형성하여 제작 공정의 단순화 및 인건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후방으로 연결되어 소정 각도를 이루는 좌측면프레임 및 우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 각형의 방화구획을 형성하기 위해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각형의 방화구획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바, 상기 승강바에 연동되어 화재 발생 시 상기 각형의 방화구획을 구획하는 방화스크린, 상기 방화스크린을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바는, 상기 전면프레임에 대응되는 전면승강바, 상기 좌측면프레임에 대응되도록 전면승강바의 좌측 단부에 연결된 좌측면승강바, 상기 우측면프레임에 대응되도록 전면승강바의 우측 단부에 연결된 우측면승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전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면풀리를 갖는 전면회전축, 상기 양 측면프레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측면풀리를 갖는 측면회전축, 상기 전면회전축과 양 측면회전축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조인트부재, 상단은 상기 전면풀리 및 측면풀리에 각각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전면승강바 및 양 측면승강바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 상기 케이블을 승강시키도록 어느 한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전면회전축과 양 측면회전축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전면회전축과 양 측면회전축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니버설 조인트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각형의 베이스프레임과 승강바 및 방화스크린에 의해 각형의 방화구획을 형성하므로 종래기술의 직선형 또는 곡선형 방화구획에 비하여 보다 넓은 방화구획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 상태를 우측면에서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도 5의 작동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작동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는, 전면프레임(110)과 이 전면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에 후방으로 연결되어 소정 각도를 이루는 좌측면프레임(120) 및 우측면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각형의 방화구획(FP)을 형성하기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00), 각형의 방화구획(FP)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바(200), 승강바(200)에 연동되어 화재 발생 시 방화구획(FP)을 구획하는 방화스크린(300), 방화스크린(300)을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구동부재(400)를 포함한다.
먼저, 도면에 표시된 좌표의 X축은 좌우 방향, Y축은 전후 방향, Z축은 상하 방향으로 정의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면프레임(110)과 좌측면프레임(120) 및 우측면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프레임(100)은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프레임(110)과 전면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에 후방으로 연결되는 좌측면프레임(120) 및 우측면프레임(130)을 포함하여 평면에서 대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좌측면프레임(120)과 우측면프레임(130)은 전면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소정 각도로 꺾이도록 연결되는데, 전면프레임(110)과 양 측면프레임 사이의 소정 각도는 각형(角形)의 방화구획(FP)을 형성하기 위해 90°뿐만 아니라 예각 및 둔각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프레임(110) 및 양 측면프레임은 복수의 수평관(140) 및 수직관(150)의 조립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직관(150)의 중앙에는 서포트 플레이트(160)가 수평으로 연결되어 구동부재(400)를 지지하게 된다.
승강바(200)는 납작하고 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평상 시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에 배치되었다가 화재 발생 시 구동부재(400)의 구동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으로 하강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강바(200)는 전면승강바(210)와 좌측면승강바(220) 및 우측면승강바(230)를 포함하여 베이스프레임(1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좌측면승강바(220)와 우측면승강바(230)는 전면승강바(210)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소정 각도로 꺾이도록 연결되어 각형 베이스프레임(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승강바(200)를 형성하게 된다.
방화스크린(300)은 승강바(200)와 함께 하강되어 화재 발생 시 각형 방화구획(FP)을 구획하게 된다.
방화스크린(300)은 내열성을 갖는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단부는 서포트 플레이트(160)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승강바(200)에 연결되며, 일면에는 재봉에 의해 폴딩라인(310)이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라인(310)을 중심을 접혀서 승강바(200)의 상면에 여러 겹으로 쌓여 포개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방화스크린(300)은 전면승강바(210)와 좌측면승강바(220) 및 우측면승강바(230)에 연결되어 대략 ‘┗┛’형상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방화스크린(30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성되어 각형 방화구획(FP)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부재(400)는 화재 발생 시 방화스크린(30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구동부재(400)는 전면회전축(410)과 측면회전축(420)과 조인트부재(430)와 케이블(430) 및 모터(4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부재(400)는 전면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면풀리(411)를 갖는 전면회전축(410), 양 측면프레임(120)(1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측면풀리(421)를 갖는 측면회전축(420), 전면회전축(410)과 양 측면회전축(420)을 각각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조인트부재(430), 상단은 전면풀리(411) 및 측면풀리(421)에 각각 연결되고 하단은 전면승강바(210) 및 양 측면승강바(220)(230)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440), 케이블(440)을 승강시키도록 어느 한 회전축(410)(420)을 구동시키는 모터(450)를 포함한다.
전면회전축(410)은 전면프레임(110)의 수직관(150)에 설치된 전면브래킷(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전면풀리(411)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전면회전축(410)의 중앙에는 종동기어(412)가 설치된다. 전면풀리(411)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케이블(440)이 전면승강바(210)의 전후에 각각 연결된다.
측면회전축(420)은 양 측면프레임(120)(130)의 수직관(150)에 각각 설치된 측면브래킷(180)에 회전 가능 가능하게 설치되어 측면풀리(421)가 설치되고, 측면풀리(421)는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케이블(440)이 양 측면승강바(220)(230)의 좌우에 각각 연결된다.
조인트부재(430)는 전면회전축(410)의 구동력을 양 측면회전축(420)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조인트부재(4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회전축(410)의 양단부와 양 측면회전축(42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베벨기어(bevel gear)로 구현되는데, 이때 전면회전축(410)과 양 측면회전축(420) 사이의 각도(Θ)는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조인트부재(430)는 전면회전축(410)의 구동력을 양 측면회전축(420)으로 전달하도록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전면회전축(410)과 양 측면회전축(420) 사이의 각도(Θ)는 둔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440)은 전면풀리(411)와 전면승강바(210), 측면풀리(421)와 양 측면승강바(220)(230)를 각각 연결하도록 좌우 및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북수로 이루어진다. 전면에 배치되는 케이블(440)의 상단은 전면풀리(411)에 연결되고 하단은 전면승강바(210)에 연결되며,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440)의 상단은 측면풀리(421)에 연결되고 하단은 양 측면승강바(220)(230)에 연결된다. 상술한 각각의 케이블(440) 하단은 턴버클(441)에 의해 승강바(200)에 연결되어 수평 및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각각의 케이블(440)은 펼쳐진 방화스크린(300)의 내외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어느 한 케이블(440)은 방화스크린(30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승강바(200)에 연결되고, 다른 케이블은 방화스크린(30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승강자(200)에 연결되므로, 승강바(200)의 상승 및 하강 시 내외부의 밸런스를 유지하게 된다.
모터(450)는 전면회전축(410)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모터(4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플레이트(160)의 후단에 연결된 모터브래킷(161)에 의해 지지되고, 모터(450)의 축(451)에는 구동기어(452)가 설치되어 전면회전축(410)에 설치된 종동기어(412)에 체인(453)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 시 방화스크린(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방화가 감지되면 모터(450)의 구동으로 축(451)이 회전되고, 축(451)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기어(452)와 체인(453)으로 연결된 종동기어(412)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의해 전면회전축(410)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전면회전축(410)의 회전력은 조인트부재(430)에 의해 양 측면회전축(420)으로 전달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면회전축(410)과 양 측면회전축(420)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440)의 하단과 승강바(200)가 하강하고, 방화스크린(300)의 상부는 승강바(200)의 상면에 폴딩라인(310)으로 포개진 상태에서 펼쳐지게 된다.
계속해서 승강바(200)가 하강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바(200)가 지면(E)에 안착되고, 방화스크린(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형의 방화스크린(300)에 의해 각형의 방화구획(FP)을 형성하므로 종래기술에 비하여 보다 넓은 방화구획(FP)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전면프레임
120 : 좌측면프레임 130 : 우측면프레임
140 : 수평관 150 : 수직관
160 : 서포트 플레이트 170 : 전면브래킷
180 : 측면브래킷 200 : 승강바
210 : 전면승강바 220 : 좌측면승강바
230 : 우측면승강바 300 : 방화스크린
310 : 폴딩라인 400 : 구동부재
410 : 전면회전축 411 : 전면풀리
412 : 종동기어 420 : 측면회전축
421 : 측면풀리 430 : 조인트부재
440 : 케이블 450 : 모터
451 : 축 452 : 구동기어
453 : 체인 E : 지면
FP : 방화구획

Claims (5)

  1.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후방으로 연결되어 소정 각도를 이루는 좌측면프레임 및 우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 각형의 방화구획을 형성하기 위해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각형의 방화구획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바,
    상기 승강바에 연동되어 화재 발생 시 상기 각형의 방화구획을 구획하는 방화스크린,
    상기 방화스크린을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는,
    상기 전면프레임에 대응되는 전면승강바,
    상기 좌측면프레임에 대응되도록 전면승강바의 좌측 단부에 연결된 좌측면승강바,
    상기 우측면프레임에 대응되도록 전면승강바의 우측 단부에 연결된 우측면승강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전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면풀리를 갖는 전면회전축,
    상기 양 측면프레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측면풀리를 갖는 측면회전축,
    상기 전면회전축과 양 측면회전축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조인트부재,
    상단은 상기 전면풀리 및 측면풀리에 각각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전면승강바 및 양 측면승강바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
    상기 케이블을 승강시키도록 어느 한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전면회전축과 양 측면회전축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전면회전축과 양 측면회전축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니버설 조인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KR1020190165522A 2019-12-12 2019-12-12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KR20210074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522A KR20210074631A (ko) 2019-12-12 2019-12-12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522A KR20210074631A (ko) 2019-12-12 2019-12-12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31A true KR20210074631A (ko) 2021-06-22

Family

ID=7660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522A KR20210074631A (ko) 2019-12-12 2019-12-12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463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912B1 (ko) 2014-01-21 2016-05-13 대지금속 주식회사 곡선형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20190083610A (ko) 2018-09-13 2019-07-12 주식회사 주일기업 곡선형 방화스크린 셔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912B1 (ko) 2014-01-21 2016-05-13 대지금속 주식회사 곡선형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20190083610A (ko) 2018-09-13 2019-07-12 주식회사 주일기업 곡선형 방화스크린 셔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122B1 (ko)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US8807194B2 (en) Venetian blind
KR100623969B1 (ko) 회전식 방화판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620912B1 (ko) 곡선형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US7654259B1 (en) Keystone-shaped fireplace door apparatus
KR20210074631A (ko) 각형 스크린 방화셔터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101455363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JP6895801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構造
KR100676916B1 (ko) 발코니용 회전식 방화판
JP2016211315A (ja) 日射遮蔽装置
KR20120086767A (ko) 승강절첩형 출입문 개폐장치
JP2011239834A (ja) 機械排煙設備
JP6499569B2 (ja) 側壁付き吊り足場と、吊り足場側壁と、扉パネル
KR102047329B1 (ko) 소방용 급배기구 개폐장치
JP5284375B2 (ja) 可動性枠組装置
JP2006241740A (ja) ブラインドおよび建具
KR101644626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547894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JP2007068913A (ja)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TWI678462B (zh) 横型百葉窗
JP2001170196A (ja) 分割パネル式防火シャッタ
KR102049303B1 (ko)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7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021

Effective date: 20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