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303B1 -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9303B1 KR102049303B1 KR1020180096506A KR20180096506A KR102049303B1 KR 102049303 B1 KR102049303 B1 KR 102049303B1 KR 1020180096506 A KR1020180096506 A KR 1020180096506A KR 20180096506 A KR20180096506 A KR 20180096506A KR 102049303 B1 KR102049303 B1 KR 1020493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driving space
- master rail
- shutter body
- mas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건을 층간 이동시키는 증강장치에 구비되는 마스터 레일을 효과적으로 개폐하여 화재 시 연기를 차단할 수 있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캐리어가 층간 이동되도록 승강시키는 승강벨트 및 승강벨트가 마련되는 구동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캐리어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며, 내측면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홈부를 가지는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로서, 메인셔터부, 보조셔터부 그리고 사이드셔터부를 포함한다. 메인셔터부는 마스터 레일의 일측에 마스터 레일과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구동공간 중 승강벨트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구동공간을 개폐한다. 보조셔터부는 마스터 레일의 타측에 구비되고, 제1회전축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구동공간 중 승강벨트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제2구동공간을 개폐한다. 사이드셔터부는 메인셔터부에 구비되고 메인셔터부가 제1구동공간을 밀폐 시에 메인셔터부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홈부를 밀폐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건을 층간 이동시키는 증강장치에 구비되는 마스터 레일을 효과적으로 개폐하여 화재 시 연기를 차단할 수 있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운반용 승강장치는 물건을 승강시켜 층간 이동시키는 것으로, 화물운반용 승강장치는 여러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승강장치는 운반 대상물을 층간 이동시키기 때문에, 운반 대상물을 승강시키는 캐리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통로를 가진다.
한편, 이러한 승강장치가 사용된 건물 등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로 인한 화염 및 연기는 승강통로를 통해 확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화재발생 시 화재로 인한 인명안전은 화재발생장소에서 발생한 화열(火熱)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화재기류에 의해 운반되어 건물 내로 확산되는 연기에 의하여 호흡곤란으로 인한 질식사로 이어져 인명 피해가 더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물의 화재로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인명안전에 매우 위험한 요소로 작용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연기는 연소가스가 유통과정에서 혼합되는 공기에 의해 희석된 것으로 화염이나 연소직후의 가스보다 위험도는 낮지만, 화염에 비해 연기가 건물 내에서 확산되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기와 열의 제어수단과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건물 화재에서 인명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화물운반용 승강장치는 캐리어의 승강을 안내함과 동시에 승강벨트가 마련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터 레일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마스터 레일은 내측에 승강벨트가 마련되는 구동공간을 가지기 때문에, 화재 시에 화염 및 연기의 차단을 위해서는 마스터 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구동공간을 밀폐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건을 층간 이동시키는 증강장치에 구비되는 마스터 레일을 효과적으로 개폐하여 화재 시 연기를 차단할 수 있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캐리어가 층간 이동되도록 승강시키는 승강벨트가 마련되는 구동공간을 내측에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며, 내측면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홈부를 가지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로서, 상기 마스터 레일의 일측에 상기 마스터 레일과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공간 중 상기 승강벨트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구동공간을 개폐하는 메인셔터부; 상기 마스터 레일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공간 중 상기 승강벨트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제2구동공간을 개폐하는 보조셔터부; 그리고 상기 메인셔터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셔터부가 상기 제1구동공간을 밀폐 시에 상기 메인셔터부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홈부를 밀폐하는 사이드셔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셔터부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공간을 개폐하는 제1셔터몸체를 가지고, 상기 제1셔터몸체는 상기 제1구동공간을 밀폐하도록 회전 시에, 상기 마스터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공간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푸셔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셔터몸체는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공간과, 외측면에 상기 제1셔터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셔터부는 상기 제1셔터몸체의 상부에 상기 제1셔터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고,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슬릿을 가지는 제1지지구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슬릿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릿을 따라 수직 이동하는 제1슬라이딩핀과, 상기 제1지지구의 양측에 각각 대칭을 이루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셔터몸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슬릿을 가지는 제2지지구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2슬릿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슬릿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제2슬라이딩핀과, 일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핀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와, 일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셔터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제2링크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링크가 상기 제1셔터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 시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홈부에 밀착되는 사이드셔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핀은 상기 관통공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셔터몸체가 상기 제1구동공간을 밀폐하도록 회전 시에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푸셔에 의해 밀어 올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셔터부는 상기 제1셔터몸체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상기 사이드셔터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셔터가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셔터부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공간의 일부 공간을 개폐하는 제2셔터몸체와, 상기 제2셔터몸체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2셔터몸체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승강벨트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구동공간의 나머지 공간을 개폐하는 제3셔터몸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벨트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메인셔터부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보조셔터부가 마련되어 가이드 레일의 구동공간이 효과적으로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셔터부가 구동공간을 밀폐하도록 회전 시에, 사이드셔터부의 제1슬라이딩핀이 푸셔에 의해 밀어 올려지도록 함으로써, 사이드셔터가 자동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홈부를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셔터부가 구동공간을 개방하도록 회전 시에, 탄성부재에 의해 사이드셔터는 자동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가 승강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메인셔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사이드셔터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사이드셔터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보조셔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메인셔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사이드셔터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사이드셔터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보조셔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가 승강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2는 방화셔터장치를 상측에서 내려다 본 것이고, 도 3은 방화셔터장치를 하측에서 올려다 본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화셔터장치는 승강장치(10)의 마스터 레일(20)에 구비될 수 있다. 승강장치(10)는 베이스 프레임(11)을 가질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1)에 의해 중앙에는 승강통로(12)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통로(12)를 통해서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캐리어(미도시)가 이동될 수 있다. 캐리어는 승강통로(12)를 통해 이동하면서 층간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마스터 레일(20)은 승강통로(12)에 구비될 수 있다. 마스터 레일(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캐리어의 승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레일(20)은 캐리어를 승강시키는 승강벨트(21)가 마련되는 구동공간(25)을 내측에 가질 수 있다. 마스터 레일(20)은 내측면에 홈부(22)를 가질 수 있으며, 홈부(22)는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는 구동공간(25)을 효과적으로 개폐하여 화재 시 연기를 차단할 수 있다.
상세히,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 용 방화셔터장치는 메인셔터부(100), 보조셔터부(200) 그리고 사이드셔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셔터부(100)는 마스터 레일(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셔터부(100)는 한 쌍의 마스터 레일(20)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프레임(101) 및 제2프레임(10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1) 및 제2프레임(102)은 마스터 레일(20)의 폭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에 메인셔터부(100)는 마스터 레일(20)과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공간(25) 중 승강벨트(21)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구동공간(26)은 개방될 수 있다.
보조셔터부(200)는 마스터 레일(2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셔터부(200)는 한 쌍의 마스터 레일(20)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3프레임(103)에 고정될 수 있다. 제3프레임(103)은 마스터 레일(20)의 폭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에 보조셔터부(200)는 마스터 레일(20)과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공간(25) 중 승강벨트(21)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제2구동공간(27)은 개방될 수 있다.
사이드셔터부(300)는 메인셔터부(100)에 구비될 수 있다. 평상 시에 사이드셔터부(300)의 사이드셔터(370)는 메인셔터부(1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화재 시에는 메인셔터부(100) 및 보조셔터부(200)가 각각 회전하면서 제1구동공간(26) 및 제2구동공간(27)을 밀폐할 수 있으며, 메인셔터부(100)가 제1구동공간(26)을 밀폐 시에 사이드셔터부(300)는 메인셔터부(100)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홈부(22)를 밀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 시 연기가 구동공간(25)을 통과하지 못하고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인셔터부(100), 사이드셔터부(300) 및 보조셔터부(200)의 순서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메인셔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사이드셔터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메인셔터부(100)는 제1모터(110), 제1회전축(120) 그리고 제1셔터몸체(130)를 가질 수 있다.
제1모터(110)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회전축(120)은 마스터 레일(20)의 폭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모터(11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1셔터몸체(130)는 제1회전축(120)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셔터몸체(130)가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인 경우 제1구동공간(26)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셔터몸체(130)가 제1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면 제1구동공간(26)은 밀폐될 수 있다.
메인셔터부(100)는 제4프레임(104)을 가질 수 있으며, 제4프레임(104)은 제1프레임(101)에 연결되고 마스터 레일(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4프레임(104)의 일단부에는 푸셔(380)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셔터몸체(130)는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131)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셔터몸체(130)가 제1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면 푸셔(380)는 관통공(131)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셔터몸체(130)는 수용공간(133) 및 개구부(134)를 가질 수 있다.
제1셔터몸체(130)의 중앙에는 마운트(1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관통공(131)은 마운트(132)를 통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132)의 상부에는 사이드셔터부(300)의 일부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수용공간(133)은 제1셔터몸체(13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셔터몸체(130)는 제1셔터몸체(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측면부(135)를 가질 수 있으며, 수용공간(133)은 측면부(135)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셔터몸체(130)의 상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셔터몸체(130)의 상부 양측에는 사이드커버(13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용공간(133)은 제1셔터몸체(130)의 상면과, 사이드커버(136)의 하면과, 측면부(135)의 내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이 될 수 있다.
개구부(134)는 제1셔터몸체(130)의 측면부(135) 중 외측면에 제1셔터몸체(13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34)에 의해 수용공간(133)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셔터부(300)는 제1지지구(310), 제1슬라이딩핀(320), 제2지지구(330), 제2슬라이딩핀(340), 제1링크(350), 제2링크(360) 그리고 사이드셔터(370)를 가질 수 있다.
제1지지구(310)는 마운트(132)의 상부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구(310)는 제1셔터몸체(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구(310)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슬릿(311)을 가질 수 있다.
제1슬라이딩핀(320)은 양단부가 각각 제1슬릿(3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슬릿(311)을 따라 수직 이동할 수 있다. 제1슬라이딩핀(320)은 관통공(13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슬라이딩핀(320)의 중앙은 제1슬라이딩핀(32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셔터몸체(130)가 제1구동공간(26)을 밀폐하도록 회전 시에 푸셔(380)가 관통공(131)을 관통하게 되면, 제1슬라이딩핀(320)은 푸셔(380)에 의해 밀어 올려질 수 있는데, 제1슬라이딩핀(320)의 중앙이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푸셔(380)는 제1슬라이딩핀(320)을 안정적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제2지지구(330)는 마운트(13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지지구(310)의 양측에 각각 대칭을 이루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구(330)는 제1셔터몸체(13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슬릿(331)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슬릿(331)은 제1슬릿(311)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슬라이딩핀(34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양단부가 각각 제2슬릿(331)에 결합되어 제2슬릿(331)을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제1링크(35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링크(350)의 일단부는 제1슬라이딩핀(32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슬라이딩핀(34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제2링크(36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2링크(360)의 일단부는 제2슬라이딩핀(34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360)는 제1셔터몸체(13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타단부는 수용공간(133)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링크(360)의 타단부에는 제1셔터몸체(130)의 폭 방향으로 제1결합홀(361)이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사이드커버(136)에는 제1결합홀(361)에 대응되도록 제1셔터몸체(130)의 폭 방향으로 오픈홀(137)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커버(136)의 상측에서 오픈홀(137)을 통해서는 결합구(138)가 삽입될 수 있다.
사이드셔터(370)는 한 쌍이 마련되어 각각 수용공간(133)에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셔터(370)에는 제2결합홀(13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오픈홀(137)을 통해 삽입되는 결합구(138)는 제1결합홀(361) 및 제2결합홀(139)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138)에 의해 사이드셔터(370)는 제2링크(36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링크(360)가 제1셔터몸체(13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게 되면, 사이드셔터(370)는 개구부(134)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사이드커버(136)의 하면에는 가이드블록(371)이 결합될 수 있고, 사이드셔터(370)에는 가이드블록(371)이 결합되는 가이드레일(372)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371) 및 가이드레일(372)은 사이드셔터(370)가 안정적으로 직진 이동되도록 도울 수 있다.
사이드셔터(370)는 외측이 마스터 레일(20)의 홈부(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이드셔터(370)가 개구부(134)를 통해 돌출되면 홈부(22)에 밀착되어 홈부(22)를 밀폐할 수 있다.
반대로, 제2링크(360)가 제1셔터몸체(13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게 되면, 개구부(134)를 통해 돌출된 사이드셔터(370)는 수용공간(13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사이드셔터부(300)는 탄성부재(390)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390)는 제1셔터몸체(130)의 폭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사이드셔터(370)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390)는 한 쌍의 사이드셔터(370)가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사이드셔터부(300)는 제1지지구(310)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사이드셔터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인데, 도 8의 (a)는 제1구동공간(26)이 개방되도록 제1셔터몸체(130)가 상측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의 사이드셔터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제1구동공간(26)이 폐쇄되도록 제1셔터몸체(13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의 사이드셔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구동공간(26)이 개방되도록 제1셔터몸체(130)가 상측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39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사이드셔터(37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2링크(360)는 제1지지구(310)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슬라이딩핀(340)도 제1지지구(310)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1슬라이딩핀(320)은 제1슬릿(311)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다가, 제1구동공간(26)이 폐쇄되도록 제1셔터몸체(13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 관통공(131)을 통과하는 푸셔(380)에 의해 제1슬라이딩핀(320)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러면, 제1링크(350)가 펴지면서 제2슬라이딩핀(340)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되고, 이에 연동하여 제2링크(360)도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되면서 사이드셔터(370)는 개구부(134)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의 보조셔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마스터 레일의 방화셔터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보조셔터부(200)는 제2모터(210), 제2회전축(220), 제2셔터몸체(230) 및 제3셔터몸체(240)를 가질 수 있다.
제2모터(210)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회전축(220)은 마스터 레일(20)의 폭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모터(21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2모터(210) 및 제2회전축(220)의 사이에는 제2모터(210) 및 제2회전축(220)을 기어 연결하기 위한 기어박스(21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셔터몸체(230)는 연결암(231)에 의해 제2회전축(2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회전축(220)이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셔터몸체(230)가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인 경우 제2구동공간(27)의 일부 공간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다, 제2셔터몸체(230)가 제2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면 제2구동공간(27)의 일부 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제2셔터몸체(230)의 일단부에는 힌지부(235)가 구비될 수 있다.
제3셔터몸체(240)는 힌지부(235)에 의해 제2셔터몸체(230)와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제3셔터몸체(240)는 제2셔터몸체(230)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셔터몸체(240)는 힌지부(23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구동공간(27)의 나머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제3셔터몸체(240)의 일단부에는 밀착부(2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밀착부(241)는 제3셔터몸체(240)의 상측으로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3셔터몸체(240)가 제2구동공간(27)의 나머지 공간을 밀폐할 때, 밀착부(241)는 승강벨트(21)에 밀착될 수 있다.
메인셔터부(100)가 제1구동공간(26)을 밀폐하고, 사이드셔터부(300)가 홈부(22)를 밀폐하며, 보조셔터부(200)가 제2구동공간(27)을 밀폐함에 따라, 마스터 레일(20)의 구동공간(25)은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재 시 연기가 구동공간(25)을 통해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승강장치 20: 마스터 레일
21: 승강벨트 22: 홈부
25: 구동공간 26: 제1구동공간
27: 제2구동공간 100: 메인셔터부
130: 제1셔터몸체 131: 관통공
134: 개구부 136: 사이드커버
200: 보조셔터부 230: 제2셔터몸체
240: 제3셔터몸체 300: 사이드셔터부
320: 제1슬라이딩핀 330: 제2지지구
340: 제2슬라이딩핀 350: 제1링크
360: 제2링크 370: 사이드셔터
380: 푸셔 390: 탄성부재
21: 승강벨트 22: 홈부
25: 구동공간 26: 제1구동공간
27: 제2구동공간 100: 메인셔터부
130: 제1셔터몸체 131: 관통공
134: 개구부 136: 사이드커버
200: 보조셔터부 230: 제2셔터몸체
240: 제3셔터몸체 300: 사이드셔터부
320: 제1슬라이딩핀 330: 제2지지구
340: 제2슬라이딩핀 350: 제1링크
360: 제2링크 370: 사이드셔터
380: 푸셔 390: 탄성부재
Claims (7)
- 대상물이 수용되는 캐리어가 층간 이동되도록 승강시키는 승강벨트가 마련되는 구동공간을 내측에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며, 내측면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홈부를 가지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로서,
상기 마스터 레일의 일측에 상기 마스터 레일과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공간 중 상기 승강벨트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구동공간을 개폐하는 메인셔터부;
상기 마스터 레일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공간 중 상기 승강벨트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제2구동공간을 개폐하는 보조셔터부; 그리고
상기 메인셔터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셔터부가 상기 제1구동공간을 밀폐 시에 상기 메인셔터부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홈부를 밀폐하는 사이드셔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셔터부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공간을 개폐하는 제1셔터몸체를 가지고,
상기 제1셔터몸체는 상기 제1구동공간을 밀폐하도록 회전 시에, 상기 마스터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공간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푸셔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셔터몸체는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공간과,
외측면에 상기 제1셔터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셔터부는
상기 제1셔터몸체의 상부에 상기 제1셔터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고,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슬릿을 가지는 제1지지구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슬릿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릿을 따라 수직 이동하는 제1슬라이딩핀과,
상기 제1지지구의 양측에 각각 대칭을 이루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셔터몸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슬릿을 가지는 제2지지구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2슬릿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슬릿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제2슬라이딩핀과,
일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핀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와,
일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셔터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제2링크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링크가 상기 제1셔터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 시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홈부에 밀착되는 사이드셔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핀은 상기 관통공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셔터몸체가 상기 제1구동공간을 밀폐하도록 회전 시에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푸셔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셔터부는
상기 제1셔터몸체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상기 사이드셔터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셔터가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셔터부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공간의 일부 공간을 개폐하는 제2셔터몸체와,
상기 제2셔터몸체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2셔터몸체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승강벨트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구동공간의 나머지 공간을 개폐하는 제3셔터몸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6506A KR102049303B1 (ko) | 2018-08-20 | 2018-08-20 |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6506A KR102049303B1 (ko) | 2018-08-20 | 2018-08-20 |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9303B1 true KR102049303B1 (ko) | 2019-11-27 |
Family
ID=6872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6506A KR102049303B1 (ko) | 2018-08-20 | 2018-08-20 |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930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50624A (zh) * | 2021-08-18 | 2022-05-27 | 成都华迈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用于暴恐环境的逃生指引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1260B1 (ko) * | 2015-09-17 | 2017-04-28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수직반송 시스템 |
-
2018
- 2018-08-20 KR KR1020180096506A patent/KR1020493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1260B1 (ko) * | 2015-09-17 | 2017-04-28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수직반송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50624A (zh) * | 2021-08-18 | 2022-05-27 | 成都华迈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用于暴恐环境的逃生指引系统 |
CN114550624B (zh) * | 2021-08-18 | 2024-02-06 | 成都华迈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逃生指引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476462B (zh) | 电梯装置 | |
JP2009113976A (ja) |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 |
CN109476456B (zh) | 电梯装置和电梯 | |
CN109476458B (zh) |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 |
KR20220108003A (ko)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 구조 | |
KR102049303B1 (ko) | 승강장치의 마스터 레일용 방화셔터장치 | |
EP3484807A1 (en) | Elevator arrangement for safe maintenance work | |
JP2015037995A (ja) | エレベータの係合装置 | |
JP2008303003A (ja) |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 |
KR20200143118A (ko) | 방화문 셔터 | |
JP2015016957A (ja) |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 |
KR200476513Y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 |
KR20210041760A (ko) | 자동 방화문 장치 | |
KR101017078B1 (ko) | 피난 사다리 장치 | |
KR102012433B1 (ko) | 승강장치용 방화도어장치 | |
CN205061262U (zh) | 电梯装置 | |
JP2007068913A (ja) |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 |
KR102206633B1 (ko) | 화재시 탈출 및 구조용 프로젝트 풀다운 캐시먼트 창호의 암플레이트 | |
JP2013189294A (ja) |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 |
KR102580957B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용 화염차단 방화도어 | |
JP2006027808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4354266B2 (ja) |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 |
KR101856765B1 (ko) | 화물용 승강기의 승강장도어 개폐장치 | |
JP2016145092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7432166B1 (ja) | エレベータのかご及びエレベー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