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384A - 차량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384A
KR20210073384A KR1020190164177A KR20190164177A KR20210073384A KR 20210073384 A KR20210073384 A KR 20210073384A KR 1020190164177 A KR1020190164177 A KR 1020190164177A KR 20190164177 A KR20190164177 A KR 20190164177A KR 20210073384 A KR20210073384 A KR 20210073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or
side hinge
hinge element
gri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제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384A/ko
Priority to US17/014,351 priority patent/US11781367B2/en
Priority to DE102020211575.3A priority patent/DE102020211575A1/de
Priority to CN202011007921.2A priority patent/CN112937267A/zh
Publication of KR2021007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05F15/63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allowing or involving a secondary movement of the wing, e.g. rotational or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2007/1027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2015/105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with slanted or curved track sections or 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2015/485Swinging or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05Y2201/692Rollers having vertical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2Dowels;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2Additional w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개구를 한정하는 도어프레임을 가진 차체; 상기 도어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상기 차체에 장착된 레일;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유닛; 상기 도어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센터 레일; 및 상기 센터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롤러들과, 상기 롤러들이 장착된 롤러브라켓과, 상기 롤러브라켓에 연결된 롤러측 힌지엘리먼트와,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를 포함한 센터 롤러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 및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는 그립유닛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도어 개폐장치{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도어가 스윙모드 및 슬라이딩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드로 개폐될 수 있는 차량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윙모드 및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센터 롤러유닛의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가 선택적으로 분리 내지 연결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객이 승객실 내외로 승하차를 위한 도어 개구를 가진다. 차량도어가 폐쇄됨으로써 차량의 도어 개구가 차단되고, 차량도어가 개방됨으로써 탑승객의 승하차가 허용된다. 차량 도어는 스윙도어, 슬라이딩도어 등으로 구분된다. 스윙도어가 스윙도어 및 차체 사이에 장착된 힌지 둘레로 스윙함으로써 개폐된다. 슬라이딩도어는 슬라이딩도어 측에 장착된 롤러가 차체 측에 장착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개폐된다.
스윙도어는 그 개폐조작이 매우 간편하므로 승하차가 매우 신속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도어의 개방 시에 승하차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차량이 좁은 공간에 위치한 경우에 도어의 스윙궤적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그 개폐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슬라이딩도어는 차량의 좁은 공간에 위치하더라도 그 개폐가 용이하고, 도어의 개방 시에 승하차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 개폐조작 시에 상대적으로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승하차가 신속하게 진행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차량 도어가 단일한 개폐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편의성, 다양성, 새로움 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 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한 모드로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특히 스윙모드 및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센터 롤러유닛의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가 선택적으로 분리 내지 연결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개구를 한정하는 도어프레임을 가진 차체; 상기 도어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상기 차체에 장착된 레일;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유닛; 상기 도어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센터 레일; 및 상기 센터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롤러들과, 상기 롤러들이 장착된 롤러브라켓과, 상기 롤러브라켓에 연결된 롤러측 힌지엘리먼트와,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를 포함한 센터 롤러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 및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는 그립유닛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 및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는 슬라이드 힌지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는 롤러측 힌지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는 상기 롤러측 힌지홀에 정렬되는 도어측 힌지홀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롤러측 힌지홀의 축선 및 상기 도어측 힌지홀의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롤러측 힌지홀의 축선 및 상기 도어측 힌지홀의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롤러측 힌지홀의 축선 및 상기 도어측 힌지홀의 축선을 향해 연장된 힌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은 상기 베이스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롤러측 힌지홀 및 상기 도어측 힌지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를 연결하는 연결위치와,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머트를 분리하는 분리위치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하는 래크치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크치형은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는 힌지핀을 가지고,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는 상기 힌지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는 상기 제1수용홈의 둘레를 따라 이동가능한 힌지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러그는 상기 힌지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힌지러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수용홈 및 상기 제1수용홈은 폐쇄된 힌지홀 및 개방된 힌지홀을 선택적으로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러그는 상기 힌지핀을 홀드하는 홀드위치 및 상기 힌지핀의 분리를 허용하는 분리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러그가 상기 홀드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수용홈과 상기 제1수용홈은 상기 힌지핀을 홀드하는 폐쇄된 힌지홀을 한정하고, 상기 힌지러그가 상기 분리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수용홈과 상기 제1수용홈은 상기 힌지핀의 분리를 허용하는 개방된 힌지홀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그립유닛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제1그립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제2그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립부재 및 상기 제2그립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립부재는 제1편향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그립부재는 제2편향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유닛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제1그립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제2그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립부재 및 상기 제2그립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립부재는 제1편향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그립부재는 제2편향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유닛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제1그립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장착된 제2그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립부재 및 상기 제2그립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그립부재 및 상기 제2그립부재는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립부재는 그 내부에 제1밀폐형 캐비티를 가지고, 상기 제2그립부재는 그 내부에 제2밀폐형 캐비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도어의 개폐작동을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함으로써 편의성, 다양성 등과 같은 소비자의 니즈에 충족할 수 있다고, 고객의 상황 및 환경에 따라 차량도어의 개폐작동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 및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도어가 스윙모드로 개폐될 때 센터 롤러유닛의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가 분리될 수 있고, 차량도어가 슬라이드모드로 개폐될 때 센터 롤러유닛의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도어는 스윙모드 및 슬라이딩모드 중에서 어느 모드에서도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사양측면에서 차량의 모델에 상관없이 다양한 차량에 대해 차량도어의 개폐구조를 표준화 내지 규격화할 수 있으므로 원가 및 투자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차량의 리어도어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용 아웃사이드핸들에 인접한 선택기, 선택기에 연결된 엑츄에이터 및 홀드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차량도어가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이 어퍼 레일 및 로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에 의해 차량도어가 스윙모드로 개폐되는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에 의해 차량도어가 스윙모드로 개폐되는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b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이 해당 스트라이커를 홀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c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이 해당 스트라이커를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d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이 해당 스트라이커를 수용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차량도어에 장착된 메인래치 및 메인스트라이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센터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센터 레일의 스윙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센터 레일의 슬라이딩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센터 롤러유닛이 센터 레일의 스윙가이드에 안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센터 롤러유닛이 센터 레일의 스윙가이드로부터 분리되는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센터 롤러유닛이 차량도어 및 센터 레일 사이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센터 롤러유닛에서 슬라이드 힌지가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를 연결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센터 롤러유닛에서 슬라이드 힌지가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에 대해 이동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센터 롤러유닛에서 롤러측 힌지엘리먼트가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7에 도시된 센터 롤러유닛에서 도어측 힌지엘리먼트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7에 도시된 센터 롤러유닛에서 도어측 힌지엘리먼트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에 연결되고 롤러측 힌지엘리먼트가 그립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17에 도시된 센터 롤러유닛의 그립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센터 롤러유닛에서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가 힌지러그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센터 롤러유닛에서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가 힌지러그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센터 롤러유닛에서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가 힌지러그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센터 롤러유닛에서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가 힌지러그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차량의 프론트도어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프론트도어가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은 도 31에서 차량도어가 스윙모드에 따라 차량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더에 모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가 모두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4는 도 33에서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가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는 차량도어를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어느 한 모드로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는 트랜스폼 타입의 도어 개폐장치일 수 있다. 슬라이딩모드는 차량도어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차량도어가 도어 개구개폐되는 모드일 수 있고, 스윙모드는 차량도어가 차량의 외측으로 스윙함으로써 차량도어가 도어 개구개폐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체(1)는 복수의 도어 개구(2, 3)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도어 개구(2, 3)는 프론트 개구(2) 및 리어 개구(3)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차량도어(4, 5)는 프론트 개구(2)를 커버 및 언커버하는 프론트도어(4) 및 리어 개구(3)를 커버 및 언커버하는 리어도어(5)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도어(4)가 개방됨에 따라 프론트도어(4)는 프론트 개구(2)를 언커버(uncover)하고, 프론트도어(4)가 폐쇄됨에 따라 프론트도어(4)는 프론트 개구(2)를 커버(cover)할 수 있다. 리어도어(5)가 개방됨에 따라 리어도어(5)는 리어 개구(3)를 언커버(uncover)하고, 리어도어(5)가 폐쇄됨에 따라 리어도어(5)는 리어 개구(3)를 커버(cover)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는 프론트도어(4), 리어도어(5) 등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가 리어도어(5) 측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다. 이하에서는 리어도어(5)가 차량도어(5)로 지칭되고, 리어 개구(3)는 도어 개구(3)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는 차체(1)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레일(11, 12)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레일(11, 12)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퍼 레일(11)이 차체(1)의 상측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고, 로어 레일(12)이 차체(1)의 하측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다.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어퍼 레일(11)은 도어 개구(3)의 상측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로어 레일(12)은 도어 개구(3)의 하측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개폐장치는 레일(11, 12)을 따라 가이드되는 롤러유닛(21, 22)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유닛(21, 22)은 차량도어(5)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롤러유닛(21, 22)은 홀드록(31, 32)에 의해 레일(11, 12)의 정해진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홀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유닛(21, 22)이 홀드록(31, 32)에 의해 레일(11, 12)의 정해진 위치에서 홀드되면 차량도어는 레일(11, 12)의 정해진 위치에서 스윙하는 스윙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롤러유닛(21, 22)이 홀드록(31, 32)에 의해 해제되면 차량도어(5)는 레일(11, 12)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딩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어퍼 롤러유닛(21)이 차량도어(5)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고, 어퍼 롤러유닛(21)은 어퍼 레일(11)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로어 롤러유닛(22)이 차량도어(5)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고, 로어 롤러유닛(22)은 로어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도어(5)는 아웃사이드핸들(6)을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를 선택하는 선택기(40)가 아웃사이드핸들(6)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선택기(40)는 슬라이딩모드를 선택하는 제1스위치(41) 및 스윙모드를 선택하는 제2스위치(42)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제1스위치(41)를 누름으로써 슬라이딩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아웃사이드핸들(6)을 차량의 전방을 향해 밀거나 차량의 후방을 향해 당김에 따라 도 3과 같이 차량도어(5)는 어퍼 레일(11), 로어 레일(12), 센터 레일(13)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드에서, 도 1 및 도 3과 같이 차량도어(5)는 도어 개구(3)를 완전히 개방하는 제1개방위치(OP1) 및 도어 개구(3)를 완전히 폐쇄하는 제1폐쇄위치(CP1)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스위치(42)를 누름으로써 스윙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아웃사이드핸들(6)을 차량의 승객실을 향해 밀거나 차량의 실외를 향해 당김으로써 도 4와 같이, 차량도어(5)가 스윙할 수 있다. 스윙모드에서, 도 7 및 도 9와 같이 차량도어(5)는 도어 개구(3)를 완전히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OP2) 및 도어 개구(3)를 완전히 폐쇄하는 제2폐쇄위치(CP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에 홀드될 때 스윙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어퍼 롤러유닛(21)은 어퍼 홀드록(31)을 가질 수 있고, 차체(1)는 차체(1)의 루프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 및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가질 수 있다.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는 제1폐쇄위치(C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고,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는 제1개방위치(O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3과 같이 어퍼 홀드록(31)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고(releasably hold),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 및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선택적으로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홀드함으로써 어퍼 롤러유닛(21)은 제1폐쇄위치(CP1)에 홀드될 수 있고, 어퍼 홀드록(31)이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홀드함으로써 어퍼 롤러유닛(21)은 제1개방위치(OP1)에 홀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퍼 홀드록(31)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별도의 개방용 어퍼 홀드록(미도시)이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어퍼 홀드록(31) 및 제1개방위치(0P1)에서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개방용 어퍼홀드록(미도시)이 어퍼 롤러유닛(21)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어퍼 롤러유닛(21)은 어퍼 회전축선(CX1, upper rotation axis)을 가질 수 있고, 차량도어(5)는 어퍼 회전축선(CX1) 둘레로 회전가능하다. 어퍼 롤러유닛(21)이 어퍼 홀드록(31) 및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에 의해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때, 차량도어(5)가 어퍼 회전축선(CX1)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로어 롤러유닛(22)은 로어 홀드록(32)을 가질 수 있고, 차체(1)는 차체(1)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 및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가질 수 있다.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는 제1폐쇄위치(C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고,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는 제1개방위치(O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3과 같이, 로어 홀드록(32)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고(releasably hold),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 및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홀드함으로써 로어 롤러유닛(22)은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수 있고, 로어 홀드록(32)이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홀드함으로써 로어 롤러유닛(22)은 제1개방위치(OP1)에 견고하게 홀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어 홀드록(32)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별도의 개방용 로어 홀드록(미도시)이 제1개방위치(0P1)에서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로어 홀드록(32) 및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개방용 로어 홀드록(미도시)이 로어 롤러유닛(22)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로어 롤러유닛(22)은 로어 회전축선(CX2, lower rotation axis)을 가질 수 있고, 차량도어(5)는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로어 롤러유닛(22)이 로어 홀드록(32) 및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에 의해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때, 차량도어(5)가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수직으로 정렬된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택기(40)는 엑츄에이터(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엑츄에이터(43)는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기(40)를 선택함에 따라 엑츄에이터(43)는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 또는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홀드하는 홀드작동과,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 또는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해제하는 해제작동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기(40)의 제1스위치(41)를 누르면, 엑츄에이터(43)의 해제작동에 의해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함과 동시에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하고, 이에 사용자가 차량도어(5)를 차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슬라이딩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기(40)의 제2스위치(42)를 누르면, 엑츄에이터(43)의 홀드작동에 의해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홀드함과 동시에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홀드함으로써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이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차량도어(5)를 차량의 실내공간 및 실외공간을 향해 스윙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스윙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하나의 엑츄에이터(43)가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을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퍼 홀드록(31)을 작동하는 엑츄에이터 및 로어 홀드록(32)을 작동하는 엑츄에이터가 선택기(40)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을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 각각은 캐치(71, catch)와, 캐치(71)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폴(72, pawl)과, 폴(72)에 기능적으로 연결된(operatively connected) 레버(73, lever)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73)는 케이블(75)을 통해 엑츄에이터(43)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케이블(75)이 후진(당김)함에 따라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할 수 있다. 캐치(71)의 일부, 폴(72), 레버(73) 등은 커버플레이트(76)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커버플레이트(76)는 장착플레이트(74)에 부착될 수 있다. 각 스트라이커(31a, 32a)는 장착플레이트(78)에 의해 차체(1) 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에 따르면,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크라이커(31a)을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되고,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된다.
캐치(71)는 제1피벗축(71a)을 통해 장착플레이트(74)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수용하는 슬롯(71b)을 가질 수 있으며,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결합 및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치(71)는 결합위치(도 10b 참조) 및 해제위치(도 10c 참조)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결합위치는 도 10b와 같이 캐치(71)가 스트라이커(31a, 32a)를 결합하는 위치이고, 해제위치는 도 10c와 같이 캐치(71)가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하는 위치이다. 도 10b와 같이 캐치(71)가 결합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결합함으로써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홀드할 수 있다. 도 10c와 같이 캐치(71)가 해제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가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될 수 있다. 캐치(71)는 토션스프링 등과 같은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를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편향부재(71c)는 제1피벗축(71a)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캐치(71)는 록킹솔더(71d, locking shoulder)를 가질 수 있다.
폴(72)은 제2피벗축(72a)을 통해 장착플레이트(74)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이에 폴(72)은 폴 록킹위치(도 10b 참조) 및 폴 해제위치(도 10c 및 도 10d)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폴 록킹위치는 폴(72)이 캐치(71)를 결합함으로써 캐치(71)가 결합위치에 유지되는 위치이고, 폴 해제위치는 폴(72)이 캐치(71)를 해제함으로써 캐치(71)가 결합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이동함을 허용하는 위치일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폴 록킹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폴(72)에 의해 구속됨에 따라 캐치(71)는 결합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0c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폴 해제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폴(72)에 의해 구속되지 않으므로 캐치(71)는 결합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폴(72)은 토션스프링 등과 같은 제2편향부재(72c)에 의해 폴 록킹위치(도 10b 참조)를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편향부재(72c)는 제2피벗축(72a) 둘레에 배치될수 있다.
폴(72)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가능한 록킹돌기(72d, locking projection)를 가질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제2편향부재(72c)에 의해 폴 록킹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구속될 수 있고, 이에 캐치(71)는 결합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레버(73)에 의해 폴 해제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되고, 이에 캐치(71)는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레버(73)는 제3피벗축(73a)을 통해 장착플레이트(74)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레버(73)는 케이블(75)을 통해 엑츄에이터(4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75)의 단부가 레버(73)에 고정될 수 있고, 케이블(75)은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전진 내지 후진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43)가 케이블(75)을 이동시킴으로써 레버(73)는 제2피벗축(72a) 둘레로 피벗할 수 있다. 레버(73)는 케이블(75)의 후진에 의해 폴(72)을 폴 해제위치(도 10c 참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레버(73)는 핀(72b) 및 개구(73b)을 통해 폴(72)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핀(72b)은 폴(72)에 마련될 수 있고, 개구(73b)는 레버(73)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핀(72b)은 개구(73b)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레버(73)가 제3피벗축(73a) 둘레로 피벗함에 따라 핀(72b)이 개구(73b)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폴(72)이 이동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75)이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전진하면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구속되므로 캐치(71)는 결합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에 홀드될 수 있다. 즉,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은 해당하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홀드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75)이 엑츄에이터(43)에 의해 후진하면 레버(73)는 폴(72)을 폴 해제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에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캐치(71)는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은 해당하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할 수 있고,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은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블(75)이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전진하더라도 캐치(71)는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에 여전히 유지될 수 있으므로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가능해진다. 즉,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된 상태에서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이 제1폐쇄위치(CP1) 및 제1개방위치(OP1) 사이로 슬라이드할 때 스트라이커(31a, 32a)가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가능해진다. 그리고, 스트라이커(31a, 32a)가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된 상태에서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를 통해 가해지는 외력이 제1편향부재(71c)의 스프링력 보다 클 경우 캐치(71)가 결합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도 10b과 같이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됨으로써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홀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 각각은 장착브라켓(15)을 통해 차체(1) 측에 장착될 수 있고, 장착브라켓(15)은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 각각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상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51) 및 제1연장부(51)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연장된 제2연장부(52)를 가질 수 있다. 제2연장부(52)는 제1연장부(51)에 대해 일정각도로 벤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 각각은 레일(11, 12)을 따라 구르는 롤러(65, 66)들을 가진 롤러브라켓(64)과, 롤러브라켓(64) 및 차량도어(5)를 연결하는 바디(6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60)는 제1연장부(51) 및 제2연장부(52)와 접촉하지 않도록 대각선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바디(60)는 차량의 실내방향을 향해 면하는 제1단부(61) 및 차량의 실외방향을 향해 면하는 제2단부(62)를 가질 수 있다. 바디(60)의 제1단부(61)는 롤러브라켓(64)에 부착될 수 있고, 바디(60)의 제2단부(62)는 차량도어(5)에 부착될 수 있다.
롤러브라켓(64)은 롤러(65, 66)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 롤러(65, 66)는 어퍼 레일(11), 로어 레일(12)을 따라 구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간롤러(65, middle roller) 및 중간롤러(65)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사이드롤러(66)가 롤러브라켓(6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중간롤러(65)의 회전축선은 각 사이드롤러(66)의 회전축선과 직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과 같이, 바디(60)의 제1단부(61)가 피벗핀(68)을 통해 롤러브라켓(64)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바디(60)의 제2단부(62)는 차량도어(5)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5)는 롤러브라켓(64)과 인접한 피벗핀(68)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바디(60)는 제1단부(61)로부터 롤러브라켓(64)을 향해 돌출한 피벗러그(63, pivot lug)를 가질 수 있고, 롤러브라켓(64)은 피벗러그(63)에 피벗핀(68)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롤러브라켓(64)은 차량도어(5)의 스윙 시에, 바디(60)와 간섭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피벗핀(68)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는 피벗핀(68)의 중심포인트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 가상축선일 수 있고,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에 차량도어(5)는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 회전축선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어퍼 홀드록(31)은 어퍼 롤러유닛(21)의 롤러브라켓(64)에 고정될 수 있고, 로어 홀드록(32)은 로어 롤러유닛(22)의 롤러브라켓(64)에 고정될 수 있다.
엑츄에이터(43)의 홀드작동에 의해 어퍼 홀드록(31)이 어퍼 롤러유닛(21)의 롤러브라켓(64)을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함과 동시에 로어 홀드록(32)이 로어 롤러유닛(22)의 롤러브라켓(64)을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할 때, 도 7과 같이 차량도어(5)가 어퍼 롤러유닛(21)의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롤러유닛(22)의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5)는 도어 개구(3)를 폐쇄하는 제2폐쇄위치(CP2) 및 도어 개구(3)를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OP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스윙할 때, 인접한 다른 도어(4) 또는 다른 부품들과 간섭하지 않도록 인접한 다른 도어(4) 또는 다른 부품은 차량도어(5)에 대해 일정 간격(S1)으로 충분히 이격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차량도어(5)는 리어도어이고, 인접한 다른 도어(4)는 프론트도어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벗핀(68)이 롤러브라켓(64)과 바디(60)의 제1단부(61)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차량도어(5)의 회전축선(CX1, CX2)들이 차량도어(5)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5)의 스윙궤적(T1) 및 회전반경(R1)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으므로 차량도어(5)와 인접한 다른 도어(4) 사이의 간격(S1)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5) 및 이에 인접한 다른 도어(4) 사이의 간격(S1)을 줄일 경우에는, 차량도어(5)가 제2개방위치(OP2)를 향해 이동할 때 차량도어(5)가 인접한 도어(4)와 간섭할 우려가 있으므로 차량도어(5)의 회전궤적(T1)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스윙에 의한 차량도어(5)의 개방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바디(60)의 제1단부(61)가 롤러브라켓(64)에 고정될 수 있고, 바디(60)의 제2단부(62)가 피벗핀(68)을 통해 차량도어(5)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5)는 바디(60)의 제2단부(62)와 인접한 피벗핀(68)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롤러브라켓(64)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바디(60)의 제1단부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바디(60)의 제2단부(62)는 피벗핀(68)을 통해 차량도어(5)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차량도어(5)는 바디(60)를 향해 돌출한 피벗러그(69)를 가질 수 있고, 피벗러그(69)는 피벗핀(68)을 통해 바디(60)의 제2단부(62)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디(60)의 제2단부(62)는 차량도어(5)의 스윙 시에 차량도어(5)와 간섭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피벗핀(68)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예컨대,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는 피벗핀(68)의 중심포인트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 가상축선일 수 있고,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에 차량도어(5)는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 회전축선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어퍼 홀드록(31)은 어퍼 롤러유닛(21)의 바디(60)에 고정될 수 있고, 로어 홀드록(32)은 로어 롤러유닛(22)의 바디(6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어퍼 홀드록(31)이 어퍼 롤러유닛(21)의 롤러브라켓(64)을 제1폐쇄위치(CP1)에서 고정적으로 홀드하고 로어 홀드록(32)이 로어 롤러유닛(22)의 롤러브라켓(64)을 제1폐쇄위치(CP1)에서 고정적으로 홀드할 때, 차량도어(5)가 어퍼 롤러유닛(21)의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롤러유닛(22)의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5)는 도어 개구(3)를 폐쇄하는 제2폐쇄위치(CP2) 및 도어 개구(3)를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OP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벗핀(68)이 바디(60)의 제2단부(62) 및 차량도어(5)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차량도어(5)의 회전축선(CX1, CX2)들이 차량도어(5)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5)의 회전반경(R2)이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으므로 차량도어(5) 및 이에 인접한 다른 도어(4) 사이의 간격(S2)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고, 이로 인해 그 외관미가 상대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도어(5)의 회전축선(CX1, CX2)들이 차량도어(5)와 가까워지더라도 차량도어(5)의 스윙궤적(T2)이 줄어들지 않으므로 스윙에 의한 차량도어(5)의 개방공간은 상대적으로 좁아지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도어(5)의 후방단에는 메인래치(80)가 장착될 수 있고, 차체(1)에는 메인스트라이커(81)가 고정될 수 있으며, 메인래치(80)가 메인스트라이커(81)를 해제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 또는 제2폐쇄위치(CP2)에 위치할 때, 아웃사이드핸들(6)의 결합조작을 통해 메인래치(80)가 메인스트라이커(81)를 결합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제1폐쇄위치(CP1) 또는 제2폐쇄위치(CP2)에서 록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 또는 제2폐쇄위치(CP2)에 위치할 때, 아웃사이드핸들(6)의 해제조작을 통해 메인래치(80)가 메인스트라이커(81)를 해제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슬라이딩모드 또는 스윙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에서 홀드되고 메인래치(80)가 메인스트라이커(81)를 해제할 때, 센터 롤러유닛(23)은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가 스윙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차체(1)의 중간부에 장착된 센터 레일(13) 및 센터 레일(13)을 따라 가이드되는 센터롤러유닛(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센터 레일(13)은 도어 개구(3)로부터 차량의 길입아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센터 롤러유닛(23)은 차량도어(5)의 중간부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특히 센터 롤러유닛(23)은 차량도어(5)의 후방단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센터 롤러유닛(23)은 센터 레일(13)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센터 레일(13)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상으로 연장된 슬라이딩가이드(91, sliding guide) 및 슬라이딩가이드(91)로부터 차량의 실내방향을 향해 연장된 스윙가이드(9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윙가이드(92)는 벤딩부(93)를 통해 슬라이딩가이드(91)에 대해 일정각도로 벤딩될 수 있고, 벤딩부(93)는 일정반경으로 커브질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센터 롤러유닛(23)은 롤러브라켓(101) 및 롤러브라켓(1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105, 106)들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브라켓(101)은 차량도어(5)의 중간부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롤러(105, 106)들은 센터 레일(13)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다.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간롤러(105) 및 중간롤러(105)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사이드롤러(106)가 롤러브라켓(1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중간롤러(105)의 회전축선은 사이드롤러(106)의 회전축선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차량도어(5)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할 때, 슬라이딩가이드(91)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가이드(91)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슬라이딩가이드(91)로부터 이탈됨을 차단하는 스토퍼벽(9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벽(95)은 슬라이딩가이드(91)의 길이 및 벤딩부(93)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스토퍼벽(95)은 슬라이딩가이드(91)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스토퍼벽(95)이 슬라이딩가이드(91)의 상부 영역 및 벤딩부(93)의 상부 영역을 폐쇄함으로써 도 14와 같이 센터 롤러유닛(23)은 슬라이딩가이드(91)로부터 차량의 실외측를 향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윙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차량도어(5)가 스윙모드로 개폐될 때, 스윙가이드(92)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됨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윙가이드(92)의 실외측은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해 전체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94)가 스윙가이드(92)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할 수 있고, 가이드돌기(94)는 스윙가이드(9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스윙궤적(T1, T2)을 따라 제2폐쇄위치(CP2)로부터 제2개방위치(OP2)를 향해 스윙할 때 도 13과 같이 센터 롤러유닛(23)의 중간롤러(105)가 가이드돌기(94)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91)의 스토퍼벽(95)의 전방단(95a) 및 가이드돌기(94)의 후방단(94a)은 차량도어(5)의 스윙궤적(T1, T2)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가이드(91)의 축선(X1) 및 스윙가이드(92)의 축선(X2)은 일정각도(a)로 교차할 수 있고, 특히 슬라이딩가이드(91)의 축선(X1) 및 스윙가이드(92)의 축선(X2) 사이의 교차각(a)은 둔각일 수 있고, 이에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은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거나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센터 레일(13)은 차량도어(5)가 스윙모드에 따라 스윙할 때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되거나 센터 레일(13)로 수용됨을 허용하는 공간(98)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98)은 스토퍼벽(95)의 전방단(95a)과 가이드돌기(94)의 후방단(94a)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스토퍼벽(95)의 전방단(95a)과 가이드돌기(94)의 후방단(94a) 사이에서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98)에 의해, 스윙모드에서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되거나 센터 레일(13)로 수용됨이 방해받지 않는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모드에서 메인래치(80)의 오작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차량도어(5) 또는 스윙가이드(92)의 변형 등이 발생할 경우,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차량도어(5)가 슬라이딩모드로 용이하게 개폐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스윙모드 및 슬라이딩모드 어느 모드에서도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스윙모드 및 슬라이딩모드 중에서 어느 한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센터 롤러유닛(23)의 힌지엘리멘트(110, 120)들이 분리 내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도어(5)가 스윙모드 및 슬라이딩모드 중에서 어느 모드에서도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는 슬라이딩가이드(91)의 스토퍼벽(95)으로부터 연장된 스토퍼벽(99)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스윙가이드(92)는 스토퍼벽(99)에 의해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은 스윙모드 및 슬라이딩모드 중 어느 모드에서도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센터 롤러유닛(23)은 차량도어(5)에 고정된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와,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브라켓(101)에 연결된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와,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힌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는 차량도어(5)에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 도어측 베이스(115)와, 도어측 베이스(115)로부터 연장된 제1도어측 힌지암(111) 및 제2도어측 힌지암(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측 힌지암(111)은 제1도어측 힌지홀(113)을 가질 수 있고, 제2도어측 힌지암(112)은 제2도어측 힌지홀(114)을 가질 수 있다. 제1도어측 힌지암(111) 및 제2도어측 힌지암(112)은 이격될 수 있다.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브라켓(101)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는 롤러브라켓(101)로부터 연속적으로 일체 가공됨으로써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 및 롤러브라켓(101)은 단일체(unitary one-piece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브라켓(101)에 일체로 연결된 롤러측 베이스(125)와, 롤러측 베이스(125)로부터 연장된 제1롤러측 힌지암(121) 및 제2롤러측 힌지암(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측 힌지암(121)은 제1롤러측 힌지홀(123)을 가질 수 있고, 제2롤러측 힌지암(122)은 제2롤러측 힌지홀(124)을 가질 수 있다. 제1롤러측 힌지암(121) 및 제2롤러측 힌지암(122)은 이격될 수 있다.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도어측 힌지암(111)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제1롤러측 힌지암(121)과 인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고, 제1도어측 힌지홀(113)의 축선은 제1롤러측 힌지홀(123)의 축선에 정렬될 수 있다.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2도어측 힌지암(112)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제2롤러측 힌지암(122)과 인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고, 제2도어측 힌지홀(114)의 축선은 제2롤러측 힌지홀(124)의 축선에 정렬될 수 있다. 제1도어측 힌지홀(113)의 축선 및 제1롤러측 힌지홀(123)의 축선을 가상으로 연장한 가상축선은 제2도어측 힌지홀(114)의 축선 및 제2롤러측 힌지홀(124)의 축선을 가상으로 연장한 가상축선과 평행하거나 정렬될 수 있다.
슬라이드 힌지(130)는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베이스(135)와, 베이스(135)의 상단으로부터 제1도어측 힌지암(111) 및 제1롤러측 힌지암(121)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31)와, 베이스(135)의 하단으로부터 제2도어측 힌지암(112) 및 제2롤러측 힌지암(122)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132)와, 제1연장부(13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제1힌지핀(133)과, 제2연장부(13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제2힌지핀(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힌지핀(133)은 제1도어측 힌지홀(113) 및 제1롤러측 힌지홀(123)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제2힌지핀(134)은 제2도어측 힌지홀(114) 및 제2롤러측 힌지홀(124)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135)는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에 대해 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베이스(135)는 베이스(135)의 축선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135)의 축선은 제1도어측 힌지홀(113)의 축선, 제2도어측 힌지홀(114)의 축선, 제1롤러측 힌지홀(123)의 축선, 제2롤러측 힌지홀(124)의 축선에 대해 평행할 수 있고, 이에 베이스(135)의 이동경로는 제1도어측 힌지홀(113)의 축선, 제2도어측 힌지홀(114)의 축선, 제1롤러측 힌지홀(123)의 축선, 제2롤러측 힌지홀(124)의 축선에 대해 평행할 수 있다.
베이스(135)는 구동유닛(150)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구동유닛(150)은 구동모터(151)와, 구동모터(151)의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152)과, 피니언(152)과 치합하는 래크치형(153)을 포함할 수 있다. 래크치형(153)은 베이스(135)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구동모터(151)가 회전함에 따라 피니언(152)의 회전이 래크치형(153)으로 전달되고, 이에 베이스(135)는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힌지(130)는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를 연결하는 연결위치(도 18 참조) 및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를 분리하는 분리위치(도 19 및 도 20 참조)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힌지(130)가 연결위치에 위치할 때, 슬라이드 힌지(150)의 제1힌지핀(133)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도어측 힌지홀(113)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제1롤러측 힌지홀(123)에 삽입되고, 슬라이드 힌지(150)의 제2힌지핀(134)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2도어측 힌지홀(114) 및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제2롤러측 힌지홀(12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는 슬라이드 힌지(130)에 의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터 롤러유닛(23)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가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슬라이딩모드로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힌지(130)의 베이스(135)가 분리위치에 위치할 때, 슬라이드 힌지(150)의 제1힌지핀(133)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제1롤러측 힌지홀(123)로부터 분리되고, 슬라이드 힌지(150)의 제2힌지핀(134)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제2롤러측 힌지홀(12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도 20과 같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는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터 롤러유닛(23)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가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스윙모드로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차체는 도어개구(3)를 한정하는 도어프레임(3a)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 롤러유닛(23)은 그립유닛(140)에 의해 도어프레임(3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는 그립유닛(140)에 의해 도어프레임(3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유닛(140)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도어프레임(3a)에 고정된 하우징(149)과, 하우징(149)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제1클램핑부재(141)와, 하우징(149)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제2클램핑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9)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 및 롤러측 힌지암(121, 1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49)은 제1측벽(149a) 및 제2측벽(149b)을 가질 수 있고, 제1측벽(149a) 및 제2측벽(149b)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 및 롤러측 힌지암(121, 122)를 수용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1그립부재(141) 및 제2그립부재(142)는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그립부재(141)는 제1피벗핀(143)을 통해 하우징(149)의 제1측벽(149a)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1그립부재(141)는 제1편향부재(147)에 의해 하우징(149)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편향부재(147)는 제1피벗핀(143)으로부터 제1측벽(149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제1편향부재(147)는 제1측벽(149a) 및 제1그립부재(141)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제2그립부재(142)는 제2피벗핀(144)을 통해 하우징(149)의 제2측벽(149b)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2그립부재(142)는 제2편향부재(148)에 의해 하우징(149)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편향부재(148)는 제2피벗핀(144)으로부터 제2측벽(149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제2편향부재(148)는 제2측벽(149b) 및 제2그립부재(142)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제1그립부재(141) 및 제2그립부재(142)는 제1편향부재(147)의 편향력 및 제2편향부재(148)의 편향력에 의해 롤러측 베이스(125)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그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그립부재(141)는 롤러측 베이스(125)의 해당하는 가장자리를 결합하는 제1결합숄더(145)를 가질 수 있고, 제2그립부재(142)는 롤러측 베이스(125)의 해당하는 가장자리를 결합하는 제2결합숄더(146)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에 인가되는 외력이 편향부재(147, 148)들의 편향력 보다 클 경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는 제1 및 제2 그립부재(141, 14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그립유닛(140)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르 해제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힌지(130)가 연결위치(도 18 참조)로 이동함에 따라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가 그립유닛(140)에 의해 도어프레임(3a)에 결합됨으로써 차량도어(5)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가 그립유닛(140)에 의해 도어프레임(3)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힌지(130)가 분리위치(도 20 참조)로 이동함에 따라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차량도어(5)는 차량의 외부공간을 향해 스윙될 수 있다. 즉,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스윙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힌지(130)가 연결위치(도 18 참조)로 이동함으로써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도어(5)를 차량의 후방을 향해 밀면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레일(13)의 스윙가이드(9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에 가해진 외력이 편향부재(47, 148)들의 스프링력 보다 클 경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는 한 쌍의 그립부재(141, 14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 롤러유닛(23)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힌지핀(230)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힌지암(121, 122)들 사이에 장착될 수 있고,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는 한 쌍의 힌지러그(118)에 의해 힌지핀(23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는 힌지핀(2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113a)을 가질 수 있고, 제1수용홈(113a)은 각 도어측 힌지암(111, 112)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각 제1수용홈(113a)은 힌지핀(230)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각 제1수용홈(113a)은 힌지핀(230)이 분리됨을 허용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측 힌지암(111, 112)은 제1수용홈(113a)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연장된 제1경사면(119)을 가질 수 있다.
각 힌지러그(118)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힌지러그(118)는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각 도어측 힌지암(111, 112)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힌지러그(118)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수용홈(113a)의 둘레에 한정된 원형 경로(circular path)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힌지러그(118)는 힌지핀(2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118a)을 가질 수 있고, 제2수용홈(118a)은 힌지핀(230)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2수용홈(118a)은 힌지핀(230)이 분리됨을 허용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러그(118)는 제1단면(118b) 및 제2단면(118c)을 가질 수 있다.
힌지러그(118)는 힌지핀(230)을 홀드하는 홀드위치(도 25 참조) 및 힌지핀(230)의 분리를 허용하는 분리위치(도 26 참조)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5와 같이, 힌지러그(118)가 홀드위치에 위치할 경우 힌지러그(118)의 제2수용홈(118a)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수용홈(113a)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됨으로써 제1수용홈(113a) 및 제2수용홈(118a)은 폐쇄된 힌지홀을 한정할 수 있고, 이에 힌지핀(230)은 제1수용홈(113a) 및 제2수용홈(118a)에 의해 한정된 폐쇄형 힌지홀에 유지됨으로써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은 힌지핀(230)을 통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폐쇄된 힌지홀"은 제1수용홈(113a) 및 제2수용홈(118a)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홀을 의미한다.
도 26과 같이, 힌지러그(118)가 분리위치에 위치할 경우 힌지러그(118)의 제1단면(118b)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경사면(119)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힌지핀(230)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291)이 힌지러그(118)의 제1단면(118b) 및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경사면(119)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힌지러그(118)의 제2수용홈(118a)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수용홈(113a)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속되지 않고 이격됨으로써 제1수용홈(113a)과 제2수용홈(118a)은 개방된 힌지홀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핀(230)이 개방된 힌지홀의 공간(291)을 통해 분리됨으로써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는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 롤러유닛(23)의 힌지구성을 도시한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는 한 쌍의 힌지러그(228)에 의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힌지핀(23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각 힌지러그(228)는 피벗핀(227)을 통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각 도어측 힌지암(111, 112)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제1부분(228b) 및 힌지핀(2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218a)을 가진 제2부분(228c)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힌지러그(228)는 편향부재(229)에 의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를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편향부재(229)는 피벗핀(227)의 둘레에 배치된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제2수용홈(118a)은 힌지핀(230)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2수용홈(118a)은 힌지핀(230)이 분리됨을 허용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러그(228)는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경사면(119)과 대향하는 제2경사면(229)을 가질 수 있고, 제2경사면(229)은 제2부분(228b)의 자유단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27 및 도 28과 같이 제1경사면(119) 및 제2경사면(229)은 힌지핀(230)를 기준으로 대칭적인 형상일 수 있다.
힌지러그(228)는 힌지핀(230)을 홀드하는 홀드위치(도 27 참조) 및 힌지핀(230)을 분리하는 분리위치(도 28 참조)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힌지러그(228)는 편향부재(229)에 의해 홀드위치(도 27 참조)를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도어(5)를 스윙모드로 개방할 때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에 인가되는 외력이 편향부재(229)의 편향력 보다 클 경우 힌지러그(228)는 분리위치(도 28 참조)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7과 같이, 힌지러그(228)가 홀드위치에 위치할 경우 힌지러그(228)의 제2수용홈(228a)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수용홈(113a)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됨으로써 제1수용홈(113a) 및 제2수용홈(228a)은 폐쇄된 힌지홀을 한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폐쇄된 힌지홀"은 제1수용홈(113a) 및 제2수용홈(228a)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홀을 의미한다. 힌지핀(230)은 제1수용홈(113a) 및 제2수용홈(228a)에 의해 한정된 폐쇄된 원형홀 내에 유지됨으로써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은 힌지핀(230)을 통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28과 같이, 힌지러그(228)가 분리위치에 위치할 경우 힌지러그(228)의 제2경사면(229)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경사면(119)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힌지핀(230)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292)이 힌지러그(228)의 제2경사면(229) 및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경사면(119)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힌지러그(228)의 제2수용홈(118a)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수용홈(113a)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속되지 않고 이격됨으로써 제1수용홈(113a)과 제2수용홈(118a)은 개방된 힌지홀을 한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개방된 힌지홀"은 제1수용홈(113a) 및 제2수용홈(228a)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지지 못한 C형상 홀을 의미한다. 힌지핀(230)이 개방된 힌지홀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는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윙모드로 차량도어(5)를 폐쇄할 때,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힌지핀(230)에 의해 인가되는 외력이 편향부재(229)의 편향력 보다 클 경우 힌지핀(230)은 힌지러그(228)의 제2경사면(229)을 밀어냄으로써 힌지러그(228)의 제2경사면(229)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경사면(119)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이에 힌지핀(230)은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제1수용홈(113a) 및 힌지러그(228)의 제2수용홈(228a)에 삽입될 수 있고, 그 이후에 힌지러그(228)는 편향부재(229)에 의해 도어측 힌지엘리먼트(110)의 힌지핀(230)을 홀드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유닛(24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그립유닛(240)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도어프레임(3a)에 고정된 하우징(249)과, 하우징(249)의 제1측벽(249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제1그립부재(241)와, 하우징(249)의 제2측벽(249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제2그립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49)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 및 롤러측 힌지암(121, 1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49)은 제1측벽(249a) 및 제2측벽(249b)을 가질 수 있고, 제1측벽(249a) 및 제2측벽(249b)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 및 롤러측 힌지암(121, 122)를 수용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1그립부재(241) 및 제2그립부재(242)는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그립부재(241)는 제1롤러(241a) 및 제1롤러(241a)를 지지하는 제1롤러 서포트(24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그립부재(241)는 제1편향부재(243)에 의해 하우징(249)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49)의 제1측벽(249a)은 제1편향부재(243)가 장착되는 홈을 가질 수 있고, 제1편향부재(243)는 제1그립부재(241)를 하우징(249)의 중심을 향해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그립부재(242)는 제2롤러(242a) 및 제2롤러(242a)를 지지하는 제2롤러 서포트(24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그립부재(242)는 제2편향부재(244)에 의해 하우징(249)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49)의 제2측벽(249b)은 제2편향부재(244)가 장착되는 홈을 가질 수 있고, 제2편향부재(244)는 제2그립부재(242)를 하우징(249)의 중심을 향해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그립부재(241) 및 제2그립부재(242)는 제1편향부재(243)의 편향력 및 제2편향부재(244)의 편향력에 의해 롤러측 베이스(125)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그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에 인가되는 외력이 편향부재(243, 244)들의 편향력 보다 클 경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는 제1 및 제2 그립부재(241, 242)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도 3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유닛(34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그립유닛(340)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도어프레임(3a)에 고정된 하우징(349)과, 하우징(349)의 제1측벽(349a)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제1그립부재(341)와, 하우징(349)의 제2측벽(349b)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제2그립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49)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 및 롤러측 힌지암(121, 1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349)은 제1측벽(349a) 및 제2측벽(349b)을 가질 수 있고, 제1측벽(349a) 및 제2측벽(349b)은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 및 롤러측 힌지암(121, 122)를 수용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1그립부재(341) 및 제2그립부재(342)는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그립부재(341)는 폴리아세탈(POM : Polyacetal, Polyoxymethylene)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부에 제1밀폐형 캐비티(343)를 가질 수 있다. 제1그립부재(341)는 제1밀폐형 캐비티(343)에 의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2그립부재(342)는 폴리아세탈(POM : Polyacetal, Polyoxymethylene)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부에 제2밀폐형 캐비티(344)를 가질 수 있다. 제2그립부재(342)는 제2밀폐형 캐비티(344)에 의해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그립부재(341) 및 제2그립부재(342)는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롤러측 베이스(125)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그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에 인가되는 외력이 제1 및 제2 그립부재(341, 342)의 탄성력 보다 클 경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120)의 롤러측 베이스(125)는 제1 및 제2 그립부재(241, 242)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리어도어(5)에 적용됨 것으로 예시되고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리어도어 이외에, 프론트도어 등과 같이 다양한 차량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프론트도어(4)에 적용됨을 예시한다. 도 31은 프론트도어(4)가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하고, 도 32는 프론트도어(4)가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한다.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프론트도어(4) 및 리어도더(5)에 모두 적용됨을 예시한다. 도 33은 프론트도어(4) 및 리어도어(5)가 모두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하고, 도 34는 프론트도어(4) 및 리어도어(5)가 모두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체 2: 프론트 개구
3: 리어 개구 4: 프론트도어
5: 리어도어 6: 아웃사이드핸들
11: 어퍼 레일 12: 로어 레일
13: 센터 레일 21: 어퍼 롤러유닛
22: 로어 롤러유닛 23: 센터 롤러유닛
31: 어퍼 홀드록 31a: 제1어퍼스트라이커
31b: 제2어퍼스트라이커 32: 로어 홀드록
32a: 제1로어스트라이커 32b: 제2로어스트라이커
40: 선택기 41: 제1스위치
42: 제2스위치 80: 메인래치
81: 메인스트라이커 91: 슬라이딩가이드
92: 스윙가이드 110: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111, 112: 도어측 힌지암 115: 도어측 베이스
118, 228: 힌지러그
120: 롤러측 힌지엘리먼트 121, 122: 롤러측 힌지암
125: 롤러측 베이스 130: 슬라이드 힌지
133: 제1힌지핀 134: 제2힌지핀
140: 그립유닛 141: 제1그립부재
142: 제2그립부재

Claims (16)

  1. 도어개구를 한정하는 도어프레임을 가진 차체;
    상기 도어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상기 차체에 장착된 레일;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유닛;
    상기 도어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센터 레일; 및
    상기 센터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롤러들과, 상기 롤러들이 장착된 롤러브라켓과, 상기 롤러브라켓에 연결된 롤러측 힌지엘리먼트와,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를 포함한 센터 롤러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 및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는 그립유닛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 및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는 슬라이드 힌지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는 롤러측 힌지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는 상기 롤러측 힌지홀에 정렬되는 도어측 힌지홀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롤러측 힌지홀의 축선 및 상기 도어측 힌지홀의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롤러측 힌지홀의 축선 및 상기 도어측 힌지홀의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롤러측 힌지홀의 축선 및 상기 도어측 힌지홀의 축선을 향해 연장된 힌지핀을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은 상기 베이스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롤러측 힌지홀 및 상기 도어측 힌지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를 연결하는 연결위치와,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 및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머트를 분리하는 분리위치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하는 래크치형을 포함하며,
    상기 래크치형은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는 힌지핀을 가지고,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는 상기 힌지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도어측 힌지엘리먼트는 상기 제1수용홈의 둘레를 따라 이동가능한 힌지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러그는 상기 힌지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힌지러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수용홈 및 상기 제1수용홈은 폐쇄된 힌지홀 및 개방된 힌지홀을 선택적으로 한정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힌지러그는 상기 힌지핀을 홀드하는 홀드위치 및 상기 힌지핀의 분리를 허용하는 분리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한 차량도어 개폐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힌지러그가 상기 홀드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수용홈과 상기 제1수용홈은 상기 힌지핀을 홀드하는 폐쇄된 힌지홀을 한정하고,
    상기 힌지러그가 상기 분리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수용홈과 상기 제1수용홈은 상기 힌지핀의 분리를 허용하는 개방된 힌지홀을 한정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립유닛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제1그립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제2그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그립부재 및 상기 제2그립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부재는 제1편향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그립부재는 제2편향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립유닛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제1그립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제2그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그립부재 및 상기 제2그립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부재는 제1편향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그립부재는 제2편향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립유닛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제1그립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제2그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그립부재 및 상기 제2그립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그립부재 및 상기 제2그립부재는 상기 롤러측 힌지엘리먼트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부재는 그 내부에 제1밀폐형 캐비티를 가지고, 상기 제2그립부재는 그 내부에 제2밀폐형 캐비티를 가진 차량도어 개폐장치.
KR1020190164177A 2019-12-10 2019-12-10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3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177A KR20210073384A (ko) 2019-12-10 2019-12-10 차량도어 개폐장치
US17/014,351 US11781367B2 (en) 2019-12-10 2020-09-08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DE102020211575.3A DE102020211575A1 (de) 2019-12-10 2020-09-16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VON FAHRZEUGTÜREN
CN202011007921.2A CN112937267A (zh) 2019-12-10 2020-09-23 车门打开和关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177A KR20210073384A (ko) 2019-12-10 2019-12-10 차량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384A true KR20210073384A (ko) 2021-06-18

Family

ID=7596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177A KR20210073384A (ko) 2019-12-10 2019-12-10 차량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81367B2 (ko)
KR (1) KR20210073384A (ko)
CN (1) CN112937267A (ko)
DE (1) DE102020211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8065B2 (en) * 2019-11-07 2023-11-07 Hyundai Motor Company Sliding/swing composite door for vehicle
KR20210057616A (ko) *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0795A (ko) * 2019-12-05 2021-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0793A (ko) * 2019-12-05 2021-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3384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3385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JP7263418B2 (ja) * 2021-03-12 2023-04-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構造
CN113619367B (zh) * 2021-08-16 2024-03-15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滑移门开闭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2097A (en) * 1997-05-16 1999-11-3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liding door structure
FR2893544B1 (fr) * 2005-11-22 2010-07-3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comprenant une porte laterale coulissante montee sur le vehicule par l'intermediaire d'un bras de dehanchement
JP4750661B2 (ja) * 2006-09-28 2011-08-1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支持構造
US8418404B2 (en) * 2010-08-16 2013-04-16 Andersen Corporation Window with opening control mechanism
JP6156420B2 (ja) * 2015-03-19 2017-07-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ドア構造
DE102015012641B3 (de) * 2015-09-30 2016-04-28 Edscha Engineering Gmbh Gelenkverbindung
US10676974B2 (en) * 2016-11-02 2020-06-09 The Braun Corporation Overtravel hinge
KR102603543B1 (ko) * 2019-09-16 2023-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KR20210057618A (ko) *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용 링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57616A (ko)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0795A (ko) * 2019-12-05 2021-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0796A (ko) * 2019-12-05 2021-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체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0792A (ko) * 2019-12-05 2021-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용 홀드록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0793A (ko) * 2019-12-05 2021-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3385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3384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2996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링크식 유동 방지 구조
EP3859108B1 (en) * 2020-01-31 2024-04-03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Roller assembly for a sliding vehicle door
KR20220039093A (ko) * 2020-09-21 2022-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20039092A (ko) * 2020-09-21 2022-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81367B2 (en) 2023-10-10
US20210172237A1 (en) 2021-06-10
CN112937267A (zh) 2021-06-11
DE102020211575A1 (de)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3384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3385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57616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20039092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0793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20039093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0796A (ko) 차량도어 체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US7025225B2 (en) Lid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storage device for vehicle
KR20210057618A (ko) 차량도어용 링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US11512515B2 (en) Hold lock mechanism for vehicle door and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10070795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30150627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3116A (ko) 플러쉬 글라스장치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JP3664518B2 (ja) 跳ね上げドア用のヒンジ
KR20230150628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JPH11131889A (ja) 多段開閉機構
KR100550041B1 (ko) 다기능 오버 헤드 콘솔
KR20230150101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US20230340808A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JP3554578B2 (ja) カバン類の施錠装置
JPH1178642A (ja) 多段開閉機構
KR200389071Y1 (ko) 차량용 도어 래치장치
JP3989253B2 (ja) 車両用スライド扉のアーム装置
KR20130017493A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힌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