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627A - 차량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627A
KR20230150627A KR1020220050242A KR20220050242A KR20230150627A KR 20230150627 A KR20230150627 A KR 20230150627A KR 1020220050242 A KR1020220050242 A KR 1020220050242A KR 20220050242 A KR20220050242 A KR 20220050242A KR 20230150627 A KR20230150627 A KR 20230150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vehicle
passing rod
door opening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제원
이재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627A/ko
Priority to US17/969,477 priority patent/US20230340805A1/en
Priority to CN202211431417.4A priority patent/CN116927608A/zh
Priority to DE102022212077.9A priority patent/DE102022212077A1/de
Publication of KR20230150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8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to effect movement of a bolt or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the door having a hinge axis in horizontal direction transverse to vehicle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30Rotary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38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pillar-less vehicles, i.e. vehicles where a front and a back door engage each other in the clos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15/10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2007/1027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2015/485Swinging or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05Y2201/692Rollers having vertical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도어 개폐장치는, 차량도어; 차체에 장착된 레일;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유닛; 및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유닛을 정해진 위치에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된 패싱로드를 포함한 차체측 홀드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도어 개폐장치{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도어가 스윙모드 및 슬라이딩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드로 개폐될 수 있는 차량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측에 장착된 차체측 홀드록이 롤러유닛을 해제가능하게 홀드함으로써 차체측 홀드록 및 롤러유닛의 록킹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차량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객이 승객실 내외로 승하차를 위한 도어 개구를 가진다. 차량도어가 폐쇄됨으로써 차량의 도어 개구가 차단되고, 차량도어가 개방됨으로써 탑승객의 승하차가 허용된다. 차량 도어는 스윙도어, 슬라이딩도어 등으로 구분된다. 스윙도어가 스윙도어 및 차체 사이에 장착된 힌지 둘레로 스윙함으로써 개폐된다. 슬라이딩도어는 슬라이딩도어 측에 장착된 롤러가 차체 측에 장착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개폐된다.
스윙도어는 그 개폐조작이 매우 간편하므로 승하차가 매우 신속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도어의 개방 시에 승하차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차량이 좁은 공간에 위치한 경우에 도어의 스윙궤적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그 개폐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슬라이딩도어는 차량의 좁은 공간에 위치하더라도 그 개폐가 용이하고, 도어의 개방 시에 승하차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 개폐조작 시에 상대적으로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승하차가 신속하게 진행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차량 도어가 단일한 개폐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편의성, 다양성, 새로움 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체 측에 장착된 차체측 홀드록이 롤러유닛을 해제가능하게 홀드함으로써 차체측 홀드록 및 롤러유닛의 록킹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차량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차량도어; 차체에 장착된 레일;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유닛; 및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유닛을 정해진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된 패싱로드를 포함한 차체측 홀드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유닛은 관통홀을 가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패싱로드는 상기 바디의 관통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싱로드의 길이방향 축선은 상기 바디의 평면에 대해 직교하고, 상기 패싱로드는 상기 바디의 평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싱로드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바디의 평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는 구동기어를 가지고, 상기 패싱로드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치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치형은 상기 패싱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패싱로드는 그 중간에 제공된 스토퍼를 가지고, 상기 스토퍼의 외경이 상기 패싱로드의 외경 보다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바디의 관통홀에 장착된 그립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싱로드가 상기 바디의 관통홀을 통과할 때,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패싱로드를 그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그 내부에 한정된 홀을 가지고, 상기 패싱로드가 상기 그립부재의 홀에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바디의 관통홀에 삽입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제공된 헤드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의 관통홀과 인접한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의 관통홀과 인접한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원통부 및 상기 후크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가지고, 복수의 슬릿은 상기 원통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각 슬릿은 상기 원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제공된 복수의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드는 상기 복수의 슬릿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헤드부의 내주가장자리에 제공된 챔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도어의 개폐작동을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함으로써 편의성, 다양성 등과 같은 소비자의 니즈에 충족할 수 있다고, 고객의 상황 및 환경에 따라 차량도어의 개폐작동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 및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고객의 상황(장소, 시간, 용도 등), 환경(날씨, 계절 등), 연령(유아, 일반인, 노년층 등) 등에 따라 차량도어의 개폐작동이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이 길가에서 정차될 때 스윙모드가 선택됨으로써 전연령의 탑승객이 상대적으로 작으로 힘으로 차량도어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다. 주차장 등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슬라이드모드가 선택됨으로써 전연령의 탑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고, 승하차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유아, 노인, 장애인 등과 같은 저약자의 승하차 시에 슬라이드모드가 선택됨으로써 저약자에게 상대적으로 넓은 승하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을 이용한 캠핑, 화물의 적재 등이 요구될 때 슬라이드모드가 선택됨으로써 그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홀드록이 차체 측에 장착될 수 있고, 차체측 홀드록은 롤러유닛의 바디의 관통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패싱로드를 포함함으로써 각 홀드록이 롤러유닛의 바디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할 수 있다. 이에, 홀드록의 패싱로드 및 롤러유닛의 바디 사이의 록킹강성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차량 충돌 발생 시에 차량도어의 변형 및 차량도어의 개방 등이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충돌성능이 충분히 만족될 수 있다. 또한, 패싱로드 및 바디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고, 패싱로드 및 바디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차량도어의 스윙 시에 흔들림, 이음 등이 발생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사양측면에서 차량의 모델에 상관없이 다양한 차량에 대해 차량도어의 개폐구조를 표준화 내지 규격화할 수 있으므로 원가 및 투자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차량의 리어도어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용 아웃사이드핸들에 인접한 선택기, 선택기에 연결된 엑츄에이터 및 홀드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차량도어가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로 개폐될 때,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이 어퍼 레일 및 로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차량도어가 스윙모드로 개폐될 때, 차량도어가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에 의해 피벗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어퍼 롤러유닛 및 로어 롤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b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이 해당 스트라이커를 홀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이 해당 스트라이커를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d는 어퍼 홀드록 및 로어 홀드록이 해당 스트라이커를 수용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차량도어에 장착된 메인래치 및 메인스트라이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센터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센터 레일의 스윙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센터 레일의 슬라이딩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센터 롤러유닛이 센터 레일의 스윙가이드에 안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센터 롤러유닛이 센터 레일의 스윙가이드로부터 분리되는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복수의 차체측 홀드록이 차체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차체측 홀드록 및 롤러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차체측 홀드록 및 롤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차체측 홀드록 및 롤러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차체측 홀드록의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차체측 홀드록의 엑츄에이터 및 구동기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차체측 홀드록의 패싱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차체측 홀드록의 그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패싱로드, 그립부재, 및 롤러유닛의 바디 사이의 록킹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차체측 홀드록의 패싱로드가 롤러유닛을 홀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차체측 홀드록의 패싱로드가 롤러유닛을 해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차량의 프론트도어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프론트도어가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8에서 차량도어가 스윙모드에 따라 차량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에 모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가 모두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9에서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가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차량도어를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어느 한 모드로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트랜스폼 타입의 도어 개폐장치일 수 있다. 슬라이딩모드는 차량도어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차량도어가 개폐되는 모드일 수 있고, 스윙모드는 차량도어가 차량의 외측으로 스윙함으로써 차량도어가 개폐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체(1)는 복수의 도어 개구(2, 3)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도어 개구(2, 3)는 프론트 개구(2) 및 리어 개구(3)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차량도어(4, 5)는 프론트 개구(2)를 커버 및 언커버하는 프론트도어(4) 및 리어 개구(3)를 커버 및 언커버하는 리어도어(5)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도어(4)가 개방됨에 따라 프론트도어(4)는 프론트 개구(2)를 언커버(uncover)하고, 프론트도어(4)가 폐쇄됨에 따라 프론트도어(4)는 프론트 개구(2)를 커버(cover)할 수 있다. 리어도어(5)가 개방됨에 따라 리어도어(5)는 리어 개구(3)를 언커버(uncover)하고, 리어도어(5)가 폐쇄됨에 따라 리어도어(5)는 리어 개구(3)를 커버(cover)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프론트도어(4), 리어도어(5) 등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리어도어(5) 측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다. 이하에서는 리어도어(5)가 차량도어(5)로 지칭되고, 리어 개구(3)는 도어 개구(3)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차체(1)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레일(11, 12)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레일(11, 12)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퍼 레일(11)이 차체(1)의 상측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고, 로어 레일(12)이 차체(1)의 하측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다.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어퍼 레일(11)은 도어 개구(3)의 상측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로어 레일(12)은 도어 개구(3)의 하측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레일(11, 12)을 따라 가이드되는 롤러유닛(21, 22)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유닛(21, 22)은 차량도어(5)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롤러유닛(21, 22)은 홀드록(31, 32)에 의해 레일(11, 12)의 정해진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홀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유닛(21, 22)이 홀드록(31, 32)에 의해 레일(11, 12)의 정해진 위치에서 홀드되면 차량도어는 레일(11, 12)의 정해진 위치에서 스윙하는 스윙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롤러유닛(21, 22)이 홀드록(31, 32)에 의해 해제되면 차량도어(5)는 레일(11, 12)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딩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어퍼 롤러유닛(21)이 차량도어(5)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고, 어퍼 롤러유닛(21)은 어퍼 레일(11)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로어 롤러유닛(22)이 차량도어(5)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고, 로어 롤러유닛(22)은 로어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도어(5)는 아웃사이드핸들(6)을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를 선택하는 선택기(40)가 아웃사이드핸들(6) 또는 아웃사이드핸들(6)에 인접한 차량도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기(40)는 슬라이딩모드를 선택하는 제1스위치(41) 및 스윙모드를 선택하는 제2스위치(42)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제1스위치(41)를 누름으로써 슬라이딩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아웃사이드핸들(6)을 차량의 전방을 향해 밀거나 차량의 후방을 향해 당김에 따라 도 3과 같이 차량도어(5)는 어퍼 레일(11), 로어 레일(12), 센터 레일(13)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드에서, 도 1 및 도 3과 같이 차량도어(5)는 차량도어(5)가 완전히 개방되는 제1개방위치(OP1) 및 차량도어(5)가 완전히 폐쇄되는 제1폐쇄위치(CP1)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스위치(42)를 누름으로써 스윙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아웃사이드핸들(6)을 차량의 승객실을 향해 밀거나 차량의 실외를 향해 당김으로써 도 4와 같이, 차량도어(5)가 스윙할 수 있다. 스윙모드에서, 도 6과 같이 차량도어(5)는 도어 개구(3)를 완전히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OP2) 및 도어 개구(3)를 완전히 폐쇄하는 제2폐쇄위치(CP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에 홀드될 때 스윙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어퍼 롤러유닛(21)은 어퍼 홀드록(31)을 가질 수 있고, 차체(1)는 차체(1)의 상부에 제공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 및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가질 수 있다.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는 제1폐쇄위치(C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고,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는 제1개방위치(O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3과 같이 어퍼 홀드록(31)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고(releasably hold),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 및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선택적으로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홀드함으로써 어퍼 롤러유닛(21)은 제1폐쇄위치(CP1)에 홀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제1폐쇄위치(CP1)에서 유지될 수 있다. 어퍼 홀드록(31)이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홀드함으로써 어퍼 롤러유닛(21)은 제1개방위치(OP1)에서 견고하게 홀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제1개방위치(OP1)에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퍼 홀드록(31)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제1폐쇄위치(CP1)에서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어퍼 홀드록(31)은 제1폐쇄위치(CP1)에서 차량도어(5)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어퍼 클로우즈홀드록(upper closed hold lock)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어퍼 오픈홀드록(33, upper open hold lock)이 어퍼 롤러유닛(21)에 장착될 수 있고, 어퍼 오픈홀드록(33)은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어퍼 클로우즈홀드록(31) 및 제1개방위치(0P1)에서 제2어퍼 스트라이커(31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어퍼 오픈홀드록(33)이 어퍼 롤러유닛(21)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어퍼 롤러유닛(21)은 어퍼 회전축선(CX1, upper rotation axis)을 가질 수 있고, 차량도어(5)는 어퍼 회전축선(CX1) 둘레로 회전가능하다. 어퍼 롤러유닛(21)이 어퍼 홀드록(31) 및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에 의해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때, 차량도어(5)가 어퍼 회전축선(CX1)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로어 롤러유닛(22)은 로어 홀드록(32)을 가질 수 있고, 차체(1)는 차체(1)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 및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가질 수 있다.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는 제1폐쇄위치(C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고,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는 제1개방위치(OP1)의 가상축선에 정렬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3과 같이, 로어 홀드록(32)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고(releasably hold),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 및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홀드함으로써 로어 롤러유닛(22)은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제1폐쇄위치(CP1)에서 유지될 수 있다. 로어 홀드록(32)이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홀드함으로써 로어 롤러유닛(22)은 제1개방위치(OP1)에서 견고하게 홀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제1개방위치(OP1)에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어 홀드록(32)이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제1폐쇄위치(CP1)에서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로어 홀드록(32)은 제1폐쇄위치(CP1)에서 차량도어(5)를 유지하는 로어 클로우즈홀드록(lower closed hold lock)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로어 홀드록(34, lower open hold lock)이 로어 롤러유닛(22)에 장착될 수 있고, 로어 오픈홀드록(34)은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폐쇄위치(CP1)에서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로어 클로우즈홀드록(32) 및 제1개방위치(OP1)에서 제2로어 스트라이커(32b)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로어 오픈홀드록(34)이 로어 롤러유닛(22)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도어(5)는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에 의해 제1폐쇄위치(CP1)에서 해제가능하게 홀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에 의해 제1폐쇄위치(CP1)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은 제1폐쇄위치(CP1)에서 차량도어(5)를 유지하는 클로우즈홀드록(closed hold lock)일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로어 롤러유닛(22)은 로어 회전축선(CX2, lower rotation axis)을 가질 수 있고, 차량도어(5)는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로어 롤러유닛(22)이 로어 홀드록(32) 및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에 의해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때, 차량도어(5)가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는 수직으로 정렬된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택기(40)는 엑츄에이터(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엑츄에이터(43)는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기(40)를 선택함에 따라 엑츄에이터(43)는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 및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홀드하는 홀드작동과,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 및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하는 해제작동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기(40)의 제1스위치(41)를 누르면, 엑츄에이터(43)의 해제작동에 의해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함과 동시에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하고, 이에 사용자가 차량도어(5)를 차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슬라이딩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기(40)의 제2스위치(42)를 누르면, 엑츄에이터(43)의 홀드작동에 의해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홀드함과 동시에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홀드함으로써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이 제1폐쇄위치(CP1)에 견고하게 홀드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차량도어(5)를 차량의 실내공간 및 실외공간을 향해 스윙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스윙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하나의 엑츄에이터(43)가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을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퍼 홀드록(31)을 작동하는 어퍼측 엑츄에이터 및 로어 홀드록(32)을 작동하는 로어측 엑츄에이터가 선택기(40)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 각각은 캐치(71, catch)와, 캐치(71)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폴(72, pawl)과, 폴(72)에 기능적으로 연결된(operatively connected) 레버(73, lever)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73)는 케이블(75)을 통해 엑츄에이터(43)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케이블(75)이 후진(당김)함에 따라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할 수 있다. 캐치(71)의 일부, 폴(72), 레버(73) 등은 커버플레이트(76)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커버플레이트(76)는 장착플레이트(74)에 부착될 수 있다. 각 스트라이커(31a, 32a)는 장착플레이트(78)에 의해 차체(1) 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에 따르면, 어퍼 홀드록(31)이 제1어퍼 스트라이커(31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되고, 로어 홀드록(32)이 제1로어 스트라이커(32a)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된다.
캐치(71)는 제1피벗축(71a)을 통해 장착플레이트(74)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수용하는 슬롯(71b)을 가질 수 있으며,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결합 및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치(71)는 결합위치(도 9b 참조) 및 해제위치(도 9c 참조)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결합위치는 도 9b와 같이 캐치(71)가 스트라이커(31a, 32a)를 결합하는 위치이고, 해제위치는 도 9c와 같이 캐치(71)가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하는 위치이다. 도 9b와 같이 캐치(71)가 결합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결합함으로써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홀드할 수 있다. 도 9c와 같이 캐치(71)가 해제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가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될 수 있다. 캐치(71)는 토션스프링 등과 같은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를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편향부재(71c)는 제1피벗축(71a)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캐치(71)는 록킹솔더(71d, locking shoulder)를 가질 수 있다.
폴(72)은 제2피벗축(72a)을 통해 장착플레이트(74)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이에 폴(72)은 폴 록킹위치(도 9b 참조) 및 폴 해제위치(도 9c 및 도 9d)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폴 록킹위치는 폴(72)이 캐치(71)를 결합함으로써 캐치(71)가 결합위치에 유지되는 위치이고, 폴 해제위치는 폴(72)이 캐치(71)를 해제함으로써 캐치(71)가 결합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이동함을 허용하는 위치일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폴 록킹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폴(72)에 의해 구속됨에 따라 캐치(71)는 결합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폴 해제위치에 위치할 때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폴(72)에 의해 구속되지 않으므로 캐치(71)는 결합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폴(72)은 토션스프링 등과 같은 제2편향부재(72c)에 의해 폴 록킹위치(도 9b 참조)를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편향부재(72c)는 제2피벗축(72a) 둘레에 배치될수 있다.
폴(72)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가능한 록킹돌기(72d, locking projection)를 가질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제2편향부재(72c)에 의해 폴 록킹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구속될 수 있고, 이에 캐치(71)는 결합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이 레버(73)에 의해 폴 해제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되고, 이에 캐치(71)는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레버(73)는 제3피벗축(73a)을 통해 장착플레이트(74)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레버(73)는 케이블(75)을 통해 엑츄에이터(4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75)의 단부가 레버(73)에 고정될 수 있고, 케이블(75)은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전진 내지 후진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43)가 케이블(75)을 이동시킴으로써 레버(73)는 제3피벗축(73a) 둘레로 피벗할 수 있다. 레버(73)는 케이블(75)의 후진에 의해 폴(72)을 폴 해제위치(도 9c 참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레버(73)는 핀(72b) 및 개구(73b)를 통해 폴(72)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핀(72b)은 폴(72)에 마련될 수 있고, 개구(73b)는 레버(73)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핀(72b)은 개구(73b)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레버(73)가 제3피벗축(73a) 둘레로 피벗함에 따라 핀(72b)이 개구(73b)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폴(72)이 이동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75)이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전진하면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구속되므로 캐치(71)는 결합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에 홀드될 수 있다. 즉,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은 해당하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홀드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75)이 엑츄에이터(43)에 의해 후진하면 레버(73)는 폴(72)을 폴 해제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에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캐치(71)는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은 그에 해당하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해제할 수 있고,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은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블(75)이 엑츄에이터(43)에 의해 전진하더라도 캐치(71)는 제1편향부재(71c)에 의해 해제위치에 여전히 유지될 수 있으므로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스트라이커(31a, 32a)는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가능해진다. 즉,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캐치(71)의 이동(회전)이 허용된 상태에서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이 제1폐쇄위치(CP1) 및 제1개방위치(OP1) 사이로 슬라이드할 때 스트라이커(31a, 32a)가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가능해진다. 그리고, 스트라이커(31a, 32a)가 캐치(71)의 슬롯(71b)에 수용된 상태에서 어퍼 홀드록(31) 및 로어 홀드록(32)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이 제1편향부재(71c)의 스프링력 보다 클 경우 캐치(71)가 결합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도 9b과 같이 폴(72)의 록킹돌기(72d)가 캐치(71)의 록킹솔더(71d)에 결합됨으로써 캐치(71)는 스트라이커(31a, 32a)를 홀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 각각은 장착브라켓(15)을 통해 차체(1) 측에 장착될 수 있고, 장착브라켓(15)은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 레일(11) 및 로어 레일(12) 각각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상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51) 및 제1연장부(51)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연장된 제2연장부(52)를 가질 수 있다. 제2연장부(52)는 제1연장부(51)에 대해 일정각도로 벤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어퍼 롤러유닛(21) 및 로어 롤러유닛(22) 각각은 레일(11, 12)을 따라 구르는 롤러(65, 66)들을 가진 롤러브라켓(64)과, 롤러브라켓(64) 및 차량도어(5)를 연결하는 바디(6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브라켓(64)은 롤러(65, 66)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 롤러(65, 66)는 어퍼 레일(11), 로어 레일(12)을 따라 구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간롤러(65, middle roller) 및 중간롤러(65)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사이드롤러(66)가 롤러브라켓(6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중간롤러(65)의 회전축선은 각 사이드롤러(66)의 회전축선과 직교할 수 있다.
바디(60)는 제1연장부(51) 및 제2연장부(52)와 간섭하지 않도록 커브질 수 있다. 바디(60)는 차량의 실내방향을 향해 면하는 제1단부(61) 및 차량의 실외방향을 향해 면하는 제2단부(62)를 가질 수 있다. 바디(60)의 제1단부(61)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롤러브라켓(64)에 고정될 수 있고, 바디(60)의 제2단부(62)는 피벗핀(63)을 통해 차량도어(5)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5)는 바디(60)의 제2단부(62)와 인접한 피벗핀(63)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롤러브라켓(64)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바디(60)의 제1단부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바디(60)의 제2단부(62)는 피벗핀(63)을 통해 차량도어(5)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피벗브라켓(68)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차량도어(5)에 고정될 수 있고, 제2피벗브라켓(69)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바디(60)의 제2단부(6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피벗브라켓(68)은 러그(68a)를 가질 수 있고, 제2피벗브라켓(69)은 홈(69a)을 가질 수 있으며, 제1피벗브라켓(68)의 러그(68a)가 제2피벗브라켓(69)의 홈(69a)에 삽입될 수 있으며, 피벗핀(63)이 제1피벗브라켓(68)의 러그(68a) 및 제2피벗브라켓(69)을 관통할 수 있다.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피벗핀(63)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예컨대,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피벗핀(63)의 중심포인트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 가상축선일 수 있고,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은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에 차량도어(5)는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회전축선(CX2)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 회전축선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어퍼 홀드록(31)은 어퍼 롤러유닛(21)의 바디(60)에 고정될 수 있고, 로어 홀드록(32)은 로어 롤러유닛(22)의 바디(60)에 고정될 수 있다.
어퍼 홀드록(31)이 어퍼 롤러유닛(21)의 바디(60)를 제1폐쇄위치(CP1)에서 고정적으로 홀드하고 로어 홀드록(32)이 로어 롤러유닛(22)의 바디(60)를 제1폐쇄위치(CP1)에서 고정적으로 홀드할 때, 차량도어(5)가 어퍼 롤러유닛(21)의 어퍼 회전축선(CX1) 및 로어 롤러유닛(22)의 로어 회전축선(CX2) 둘레로 스윙할 수 있다. 이에 차량도어(5)는 도어 개구(3)를 폐쇄하는 제2폐쇄위치(CP2) 및 도어 개구(3)를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OP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차체(1)의 중간부에 장착된 센터 레일(13) 및 센터 레일(13)을 따라 가이드되는 센터 롤러유닛(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래치(80)가 차량도어(5)의 후방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고, 메인스트라이커(81)는 차체(1)의 도어프레임영역(8)과 인접한 가장자리면에 장착될 수 있다. 메인스트라이커(81)가 차체(1)의 도어프레임영역(8)과 인접한 가장자리면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영역(8)은 도어 개구(3)를 한정하는 차체(1)의 프레임영역을 지칭한다. 메인래치(80)는 센터 롤러유닛(23)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메인스트라이커(81)는 센터 레일(13)의 전방부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인래치(80)가 차량도어(5)의 후방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고, 메인래치(80)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축선(HT1) 둘레로 회전가능한 캐치(8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스트라이커(81)는 "U"자형 로드(81a)와, 차체(1)에 고정된 베이스(81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슬롯(82)이 차량도어(5)의 후방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고, 차량도어(5)의 폐쇄 시에 "U"자형 로드(81a)가 수용슬롯(82)에 수용될 수 있다. "U"자형 로드(81a)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연장된 길이방향 축선(HT2)을 가질 수 있고, 캐치(83)의 회전축선(HT1)은 "U"자형 로드(81a)의 길이방향 축선(HT2)과 평행할 수 있으며, 특히 캐치(83)의 회전축선(HT1) 및 "U"자형 로드(81a)의 길이방향 축선(HT2)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메인래치(80)의 캐치(83)가 메인스트라이커(81)의 로드(81a)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 또는 제2폐쇄위치(CP2)에 위치할 때, 아웃사이드핸들(6)의 결합조작을 통해 메인래치(80)의 캐치(83)가 메인스트라이커(81)의 로드(81a)를 결합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제1폐쇄위치(CP1) 또는 제2폐쇄위치(CP2)에서 록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 또는 제2폐쇄위치(CP2)에 위치할 때, 아웃사이드핸들(6)의 해제조작을 통해 메인래치(80)의 캐치(83)가 메인스트라이커(81)의 로드(81a)를 해제함으로써 차량도어(5)는 슬라이딩모드 또는 스윙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제1폐쇄위치(CP1)에서 홀드되고 메인래치(80)의 캐치(83)가 메인스트라이커(81)의 로드(81a)를 해제할 때, 센터 롤러유닛(23)은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도어(5)가 스윙모드로 개폐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센터 레일(13)은 차체(1)의 센터라인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센터 레일(13)은 도어 개구(3)의 후방가장자리로부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센터 롤러유닛(23)은 차량도어(5)의 중간부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특히 센터 롤러유닛(23)은 차량도어(5)의 후방단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센터 롤러유닛(23)은 센터 레일(13)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센터 레일(13)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상으로 연장된 슬라이딩가이드(91, sliding guide) 및 슬라이딩가이드(91)로부터 차량의 실내를 향해 연장된 스윙가이드(9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윙가이드(92)는 벤딩부(93)를 통해 슬라이딩가이드(91)에 대해 일정각도로 벤딩될 수 있고, 벤딩부(93)는 일정반경으로 커브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센터 롤러유닛(23)은 롤러브라켓(101) 및 롤러브라켓(1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105, 106)들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브라켓(101)은 센터 레일(13)과 인접한 제1단부와, 센터 레일(13)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한 제2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브라켓(101)은 차량도어(5)의 중간부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롤러브라켓(101)은 센터 레일(13)을 향해 절곡된 롤러암(102)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암(102)은 롤러브라켓(101)의 제1단부로부터 일정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암(102)은 롤러브라켓(101)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105, 106)는 롤러암(10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복수의 롤러(105, 106)는 센터 레일(13)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간롤러(105) 및 중간롤러(105)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사이드롤러(106)가 롤러브라켓(101)의 롤러암(10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중간롤러(105)의 회전축선은 사이드롤러(106)의 회전축선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은 센터 레일(13)의 상부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차량도어(5)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할 때, 슬라이딩가이드(91)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가이드(91)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슬라이딩가이드(91)로부터 이탈됨을 차단하는 스토퍼벽(9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91)는 차량의 실외를 향해 개방된 실외측 개구를 가질 수 있고, 스토퍼벽(95)은 슬라이딩가이드(9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벽(95)이 슬라이딩가이드(91)의 실외측 개구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슬라이딩가이드(91)는 차량의 실외를 향해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특히, 스토퍼벽(95)이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와 면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이에 스토퍼벽(95)은 사이드롤러(106)들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스토퍼벽(95)은 슬라이딩가이드(91)의 길이 및 벤딩부(93)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스토퍼벽(95)은 슬라이딩가이드(91)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스토퍼벽(95)이 슬라이딩가이드(91)의 상부 영역 및 벤딩부(93)의 상부 영역을 폐쇄함으로써 도 13과 같이 센터 롤러유닛(23)은 슬라이딩가이드(91)로부터 차량의 실외측을 향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윙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차량도어(5)가 스윙모드로 개폐될 때, 스윙가이드(92)는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윙가이드(92)는 도어 개구(3) 및/또는 차량의 실외를 향해 완전히 개방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돌기(94)가 스윙가이드(92)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할 수 있고, 가이드돌기(94)는 스윙가이드(9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차량도어(5)가 스윙궤적(T1)을 따라 제2폐쇄위치(CP2)로부터 제2개방위치(OP2)를 향해 스윙할 때, 도 12과 같이 센터 롤러유닛(23)의 중간롤러(105)가 가이드돌기(94)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91)의 스토퍼벽(95)의 전방단(95a) 및 가이드돌기(94)의 후방단(94a)은 차량도어(5)의 스윙궤적(T1)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가이드(91)의 축선(X1) 및 스윙가이드(92)의 축선(X2)은 일정각도(a)로 교차할 수 있고, 특히 슬라이딩가이드(91)의 축선(X1) 및 스윙가이드(92)의 축선(X2) 사이의 교차각(a)은 둔각일 수 있고, 이에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은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거나 센터 레일(13)의 스윙가이드(92)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센터 레일(13)은 차량도어(5)가 스윙모드에 따라 스윙할 때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되거나 센터 레일(13)로 수용됨을 허용하는 공간(98)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98)은 스토퍼벽(95)의 전방단(95a)과 가이드돌기(94)의 후방단(94a)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스토퍼벽(95)의 전방단(95a)과 가이드돌기(94)의 후방단(94a) 사이에서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98)에 의해, 스윙모드에서 센터 롤러유닛(23)의 롤러(105, 106)들이 센터 레일(13)로부터 분리되거나 센터 레일(13)로 수용됨이 방해받지 않는다.
도 7, 도 9a 내지 도 9d의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유닛(21, 22)에 장착된 홀드록(31, 32, 33, 34)들이 캐치 등을 이용하여 차체(1)에 장착된 스트라이커(31a, 31b, 32a, 32b)들을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하게 홀드함으로써 롤러유닛(21, 22)은 레일(11, 12)의 정해진 위치에서 홀드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각 홀드록(31, 32, 33, 34)의 캐치 및 그에 상응한 스트라이커(31a, 31b, 32a, 32b) 사이의 록킹강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차량의 충돌 사고 시에 높은 하중이 캐치 및 스트라이커 사이에 작용할 경우에는 캐치 및 스트라이커 사이의 록킹이 쉽게 해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 충돌 발생 시에 차량도어의 변형 및 차량도어의 개방 등으로 인해 충돌성능을 충분히 만족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캐치 및 스트라이커는 그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 차량도어의 스윙 시에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고,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캐치 및 스트라이커 사이에 유격(clearance)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차량도어의 스윙 시에 흔들림, 이음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롤러유닛(21, 22)이 복수의 링크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도어의 스윙 시에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롤러유닛(21, 22)을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드록이 차체(1) 측에 장착될 수 있고, 차체측 홀드록은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의 관통홀(60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패싱로드(155)를 포함함으로써 각 홀드록이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할 수 있다. 이에, 홀드록의 패싱로드(155) 및 롤러유닛의 바디(60) 사이의 록킹강성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차량 충돌 발생 시에 차량도어의 변형 및 차량도어의 개방 등이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충돌성능이 충분히 만족될 수 있다. 또한, 패싱로드(155) 및 바디(60)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고, 패싱로드(155) 및 바디(6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차량도어의 스윙 시에 흔들림, 이음 등이 발생함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제1폐쇄위치(CP1)의 상부, 제1폐쇄위치(CP1)의 하부, 제1개방위치(OP1)의 상부, 제1개방위치(OP1)의 하부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복수의 차체측 홀드록(131, 132, 133, 134)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홀드록(131, 132, 133, 134)은 차체(1)에 장착될 수 있고,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를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체(1)는 레일(11, 12)의 장착을 위한 레일 슬롯(11a, 12a)을 가질 수 있고,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는 레일 슬롯(11a, 12a)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차체측 홀드록(131, 132, 133, 134)은 차체(1)의 제1폐쇄위치(CP1)의 상부에 위치한 제1차체측 홀드록(131)과, 차체(1)의 제1폐쇄위치(CP1)의 하부에 위치한 제2차체측 홀드록(132)과, 차체(1)의 제1개방위치(OP1)의 상부에 위치한 제3차체측 홀드록(133)과, 차체(1)의 제1개방위치(OP1)의 하부에 위치한 제4차체측 홀드록(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차체측 홀드록(131)은 도 7의 어퍼 클로우즈홀드록(31)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2차체측 홀드록(132)은 도 7의 로어 클로우즈홀드록(32)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3차체측 홀드록(133)은 도 7의 어퍼 오픈홀드록(33)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4차체측 홀드록(134)은 도 7의 로어 오픈홀드록(34)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각 차체측 홀드록(131, 132, 133, 134)은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의 관통홀(60a, 도 24 참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패싱로드(155)를 포함할 수 있다. 패싱로드(155)의 길이방향 축선은 바디(60)의 평면에 대해 직교할 수 있고, 패싱로드(155)는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의 평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패싱로드(155)가 바디(60)의 관통홀(60a)을 통과함으로써 바디(60)는 패싱로드(155)에 의해 홀드될 수 있고, 패싱로드(155)가 바디(6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바디(60)는 패싱로드(155)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패싱로드(155)가 바디(60)의 관통홀(60a)을 통과함으로써 패싱로드(155)는 바디(60)의 관통홀(60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패싱로드(155)가 바디(60)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됨으로써 패싱로드(155)는 바디(60)의 관통홀(60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7은 차체(1)의 제1폐쇄위치(CP1)의 하부에 배치된 제2차체측 홀드록 및 그와 관련된 로어측 롤러유닛을 도시하고 있지만, 각 차체측 홀드록(131, 132, 133, 134)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차체측 홀드록(131, 132, 133, 134)은 차체(1)에 장착된 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하우징(140)은 베이스부(141)와, 베이스부(141)로부터 연장된 상측부(142)와, 베이스부(141)로부터 연장된 하측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부(143)는 상측부(142)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하측부(143)는 패싱로드(155)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는 관통홀(143a)을 가질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는 상측부(142) 및 하측부(14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패싱로드(155)는 하우징(140)의 상측부(142)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엑츄에이터(151)가 하우징(140)에 장착될 수 있고, 엑츄에이터(151)는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양방향모터일 수 있다. 엑츄에이터(151)는 구동기어(152)를 가질 수 있고, 구동기어(152)는 패싱로드(155)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4를 참조하면, 구동기어(152)는 복수의 치형(152a)을 가진 평기어일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2개의 패싱로드(155)가 하우징(140)의 상측부(142)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패싱로드(155)의 갯수는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를 록킹하는 록킹강성, 레이아웃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패싱로드(155)는 구동기어(152)와 치합하는 복수의 치형(154)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치형(154)이 패싱로드(15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됨으로써 복수의 치형(154)은 패싱로드(155)의 외면에 제공된 래크치형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각 치형(154)은 패싱로드(155)의 외주면 상에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각 치형(154)은 패싱로드(155)의 외주면 상에서 부채꼴, 반원형 등과 같이 부분적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패싱로드(155)는 그 하단에 형성된 테이퍼면(155a)을 가질 수 있다. 패싱로드(155)는 그 중간부에 고정된 스토퍼(156)를 가질 수 있고, 스토퍼(156)의 외경이 패싱로드(155)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56)는 그 하부에 형성된 테이퍼면(156a)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156)는 패싱로드(155)가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의 관통홀(60a)로 삽입될 때, 스토퍼(156)가 바디(60)와 접촉함으로써 패싱로드(155)의 하향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에 장착된 그립부재(157)가 장착될 수 있다. 패싱로드(155)의 하부가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를 통과할 때, 그립부재(157)는 패싱로드(155)의 외면을 그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그립부재(157)는 원통부(157a)와, 원통부(157a)의 상단에 형성된 헤드부(157b)와, 원통부(157a)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157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재(157)는 그 내부에 한정된 홀(157e)을 가질 수 있고, 패싱로드(155)의 하부가 그립부재(157)의 홀(157e)에 삽입될 수 있다. 챔퍼(157h, chamfer)가 홀(157e)과 인접한 헤드부(157b)의 내주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157f)이 원통부(157a)의 하부 및 후크(157c)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슬릿(157f)은 원통부(157a)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각 슬릿(157f)은 원통부(157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원통부(157a) 및 후크(157c)는 복수의 슬릿(157f)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변형(확장 내지 수축)될 수 있다. 복수의 패드(157d)가 원통부(157a)의 외면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패드(157d)는 복수의 슬릿(157f)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2개의 그립부재(157)가 2개의 패싱로드(155)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그립부재(157)는 POM(Polyoxymethylene, Acetal) 등과 같은 내성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패드(157d)는 러버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그립부재(157)는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의 관통홀(60a)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립부재(157)의 원통부(157a)가 바디(60)의 관통홀(60a)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립부재(157)의 헤드부(157b)가 바디(60)의 관통홀(60a)과 인접한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립부재(157)의 후크부(157c)가 바디(60)의 관통홀(60a)과 인접한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엑츄에이터(151)가 작동함에 따라 구동기어(152)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구동기어(152)의 회전에 의해 패싱로드(155)는 그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패싱로드(155)는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의 관통홀(60a)을 향해 하향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패싱로드(155)의 하단이 그립부재(157)의 홀(157e)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패싱로드(155)가 그립부재(157)의 홀(157e)로 삽입될 때 그립부재(157)의 챔퍼(157h)는 패싱로드(155)의 길이방향 축선이 그립부재(157)의 센터라인에 정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패싱로드(155)는 챔퍼(157h)에 의해 그립부재(157)의 중심에 정확하게 센터링될 수 있다. 패싱로드(155)의 스토퍼(156)의 테이퍼면(156a)은 그립부재(157)의 챔퍼(157h)와 동일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패싱로드(155)의 스토퍼(156)의 테이퍼면(156a)이 그립부재(157)의 챔퍼(157h)에 안착됨으로써 패싱로드(155)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은 그립부재(157)의 센터라인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패싱로드(155)의 하부가 그립부재(157)의 홀(157e)을 완전히 통과할 경우 그립부재(157)의 원통부(157a)가 외경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고, 이에 복수의 패드(157d)가 바디(60)의 관통홀(60a)의 내면과 타이트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패싱로드(155)의 하부가 그립부재(157)의 홀(157e)을 완전히 통과할 때, 패싱로드(155)의 하단은 하우징(140)의 하측부(143)의 관통홀(143a)에 삽입될 수 있다.
원통부(157a)의 적어도 일부 내경은 패싱로드(155)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슬릿(157f)이 형성된 원통부(157a)의 하부는 그 내경이 패싱로드(155)의 외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패싱로드(155)의 하부가 그립부재(157)의 홀(157e)에 삽입될 때, 원통부(157a)의 하부 및 후크(157c)는 복수의 슬릿(157f) 및 패싱로드(155)의 삽입에 의해 외경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그립부재(157)의 원통부(157a)가 외경방향으로 확장될 때 복수의 패드(157d)는 바디(60)의 관통홀(60a)의 내면과 타이트하게 접촉할 수 있다.
구동기어(152)가 반시계방향(분리방향)으로 회전할 때, 패싱로드(155)는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의 관통홀(60a)로부터 멀어지도록 상향 이동할 수 있고, 도 25와 같이 패싱로드(155)의 하단은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로부터 완전히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러유닛(21, 22)은 차체측 홀드록(131, 132, 133, 134)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롤러유닛(21, 22)은 레일(11, 12)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구동기어(152)가 시계방향(결합방향)으로 회전할 때, 패싱로드(155)는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의 관통홀(60a)을 향해 하향 이동할 수 있고, 도 24와 같이 패싱로드(155)가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의 관통홀(60a)을 통과할 때, 패싱로드(155)의 하부가 그립부재(157)에 의해 타이트하게 그립될 수 있다. 패싱로드(155)의 하단이 그립부재(157)의 홀(157e)로 삽입될 때, 패싱로드(155)의 하단은 테이퍼면(155a)에 의해 그립부재(157)의 홀(157e)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그립부재(157)가 패싱로드(155)를 그립함으로써 차체측 홀드록(131, 132, 133, 134)은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를 타이트하게 홀드할 수 있고, 롤러유닛(21, 22)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으며, 차량도어(5)는 피벗핀(63) 둘레로 스윙할 수 있으므로 차량도어(5)의 스윙작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 내지 도 26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측 홀드록이 제1폐쇄위치(CP1)의 상부, 제1폐쇄위치(CP1)의 하부, 제1개방위치(OP1)의 상부, 및 제1개방위치(OP1)의 하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만 적용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에는 도 1, 도 3, 도 4, 도 7, 도 9a 내지 도 9d의 실시예에 따른 홀드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6 내지 도 26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홀드록은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의 관통홀(60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패싱로드(155)를 포함함으로써 홀드록은 롤러유닛(21, 22)의 바디(60)를 직접적으로 홀드할 수 있고, 홀드록의 패싱로드(155) 및 롤러유닛의 바디(60) 사이의 록킹강성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차량 충돌 발생 시에 차량도어의 변형 및 차량도어의 개방 등이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충돌성능이 충분히 만족될 수 있다. 또한, 패싱로드(155) 및 바디(60)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고, 패싱로드(155) 및 바디(6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차량도어의 스윙 시에 흔들림, 이음 등이 발생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러유닛(21, 22)의 홀드를 위한 구조가 단순화됨으로써 부품수의 축소, 원가 및 중량 절감효과 등이 있다.
도 1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리어도어(5)에 적용됨 것으로 예시되고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리어도어 이외에, 프론트도어 등과 같이 다양한 차량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프론트도어(4)에 적용됨을 예시한다. 도 27은 프론트도어(4)가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하고, 도 28은 프론트도어(4)가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한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차량도어 개폐장치가 프론트도어(4) 및 리어도어(5)에 모두 적용됨을 예시한다. 도 29는 프론트도어(4) 및 리어도어(5)가 모두 슬라이딩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하고, 도 30은 프론트도어(4) 및 리어도어(5)가 모두 스윙모드에 따라 개방됨을 예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체 2: 프론트 개구
3: 리어 개구 4: 프론트도어
5: 리어도어 6: 아웃사이드핸들
11: 어퍼 레일 12: 로어 레일
13: 센터 레일 21: 어퍼 롤러유닛
22: 로어 롤러유닛 23: 센터 롤러유닛
31: 어퍼 홀드록 31a: 제1어퍼스트라이커
31b: 제2어퍼스트라이커 32: 로어 홀드록
32a: 제1로어스트라이커 32b: 제2로어스트라이커
40: 선택기 41: 제1스위치
42: 제2스위치 80: 메인래치
81: 메인스트라이커 91: 슬라이딩가이드
92: 스윙가이드 131, 132, 133, 134: 차체측 홀드록
140: 하우징 141: 베이스부
142: 상측부 143: 하측부
151: 엑츄에이터 152: 구동기어
154: 치형 155: 패싱로드
156: 스토퍼 157: 그립부재
157a: 원통부 157b: 헤드부
157c: 후크 157d: 패드
157e: 홀 157f: 슬릿
157h: 챔퍼

Claims (14)

  1. 차량도어;
    차체에 장착된 레일;
    상기 차량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차량도어가 슬라이딩모드 및 스윙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개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롤러유닛;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유닛을 정해진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홀드하도록 구성된 패싱로드를 포함하는 차체측 홀드록;을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관통홀을 가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패싱로드는 상기 바디의 관통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싱로드의 길이방향 축선은 상기 바디의 평면에 대해 직교하고, 상기 패싱로드는 상기 바디의 평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싱로드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바디의 평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엑츄에이터는 구동기어를 가지고, 상기 패싱로드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치형을 가진 차량도어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형은 상기 패싱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싱로드는 그 중간에 제공된 스토퍼를 가지고, 상기 스토퍼의 외경이 상기 패싱로드의 외경 보다 큰 차량도어 개폐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관통홀에 장착된 그립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싱로드가 상기 바디의 관통홀을 통과할 때,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패싱로드를 그립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그 내부에 한정된 홀을 가지고, 상기 패싱로드가 상기 그립부재의 홀에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바디의 관통홀에 삽입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제공된 헤드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 제공된 후크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의 관통홀과 인접한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의 관통홀과 인접한 저면에 부착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원통부 및 상기 후크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가지고, 복수의 슬릿은 상기 원통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각 슬릿은 상기 원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제공된 복수의 패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드는 상기 복수의 슬릿 사이에 위치한 차량도어 개폐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헤드부의 내주가장자리에 제공된 챔퍼를 가진 차량도어 개폐장치.
KR1020220050242A 2022-04-22 2022-04-22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30150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242A KR20230150627A (ko) 2022-04-22 2022-04-22 차량도어 개폐장치
US17/969,477 US20230340805A1 (en) 2022-04-22 2022-10-19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CN202211431417.4A CN116927608A (zh) 2022-04-22 2022-11-15 车门打开和关闭装置
DE102022212077.9A DE102022212077A1 (de) 2022-04-22 2022-11-15 FAHRZEUGTÜRÖFFNUNGS- UND - SCHLIEß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242A KR20230150627A (ko) 2022-04-22 2022-04-22 차량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627A true KR20230150627A (ko) 2023-10-31

Family

ID=8823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242A KR20230150627A (ko) 2022-04-22 2022-04-22 차량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40805A1 (ko)
KR (1) KR20230150627A (ko)
CN (1) CN116927608A (ko)
DE (1) DE102022212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91884A1 (en) * 2021-12-17 2023-06-22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assembly
US20230294774A1 (en) * 2022-03-18 2023-09-21 Nissan North America, Inc. Hinge assembly for vehicle h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27608A (zh) 2023-10-24
US20230340805A1 (en) 2023-10-26
DE102022212077A1 (de)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50627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US11781367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1520126B1 (ko) 자동차용 안전 핸들
KR20220039092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US11643860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20210057616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20039093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57618A (ko) 차량도어용 링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0793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70796A (ko) 차량도어 체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US11745568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5873633A (en) Retardation lock member for motor vehicle seat component
KR100747227B1 (ko) 자동차의 도어아웃사이드 핸들
JPS63162347A (ja) 自動車用シ−ト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KR20230150101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30150628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30150626A (ko) 차량도어 개폐장치
JP3924415B2 (ja) スライドドアのストッパ機構
JPH0414276Y2 (ko)
US20230203863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KR20240047131A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장치
JP3989253B2 (ja) 車両用スライド扉のアーム装置
JP4477445B2 (ja) タイヤラックの開閉機構
JP3650806B2 (ja) 開閉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