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937A -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937A
KR20210071937A KR1020217001649A KR20217001649A KR20210071937A KR 20210071937 A KR20210071937 A KR 20210071937A KR 1020217001649 A KR1020217001649 A KR 1020217001649A KR 20217001649 A KR20217001649 A KR 20217001649A KR 20210071937 A KR20210071937 A KR 20210071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preferable
fluorine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마미 다케우치
류지로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only
    • C08G65/22Cyclic ethers having at least one atom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utside the ring
    • C08G65/223Cyclic ethers having at least one atom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utside the ring containing halogens
    • C08G65/226Cyclic ethers having at least one atom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utside the ring containing halogen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6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ether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기재의 표면에 우수한 발수 발유성을 부여할 수 있음과 함께, 발수 발유성의 내마찰성이 우수하고, 함유 성분의 용제에 대한 용출이 억제된 표면층을 형성할 수 있는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및 그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액, 또한 그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또는 그 코팅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표면층을 갖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의 제공.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규소 원자에 가수분해성기 및/또는 수산기가 결합한 기를 갖는 화합물 A 와,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고, 규소 원자에 가수분해성기 및/또는 수산기가 결합한 기를 갖지 않는 화합물 B 를 포함하는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서, 상기 화합물 A 의 1 몰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 B 를 0.25 ∼ 0.40 몰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Description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함불소 화합물은, 높은 윤활성, 발수 발유성 등을 나타내기 때문에, 표면 처리제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표면 처리제에 의해 기재의 표면에 발수 발유성을 부여하면, 기재의 표면의 오염을 닦아내기 쉬워져, 오염의 제거성이 향상된다. 그 함불소 화합물 중에서도, 퍼플루오로알킬렌 사슬의 도중에 에테르 결합 (-O-) 이 존재하는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 사슬을 갖는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은, 유연성이 우수한 화합물이고, 특히 유지 (油脂) 등의 오염의 제거성이 우수하다.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 사슬을 갖고, 말단에 가수분해성기가 결합한 실릴기를 갖는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방오제, 윤활제, 발수 발유제 등의 표면 처리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및 2 참조.).
또한,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표면층에 우수한 미끄러짐성과 내마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 조성물에 함불소 오일을 포함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및 4 참조.).
국제 공개 제2011/059430호 국제 공개 제2013/0427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32719호 일본 특허 제6172410호
그러나 본 발명자에 의하면, 특허문헌 3 이나 4 에 기재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표면층에 있어서는, 미끄러짐성은 충분히 얻어지지만 내마찰성이 충분하지 않고, 또한 표면층을 갖는 물품의 사용시에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함불소 오일이 용제에 용출되기 쉬워 미끄러짐성이 저하되는 점이 문제였다.
본 발명은, 기재의 표면에 우수한 발수 발유성을 부여할 수 있음과 함께, 발수 발유성의 내마찰성이 우수하고, 함유 성분의 용제에 대한 용출이 억제된 표면층을 형성할 수 있는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및 그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층을 갖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규소 원자에 가수분해성기 및/또는 수산기가 결합한 기를 갖는 화합물 A 와,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고, 규소 원자에 가수분해성기 및/또는 수산기가 결합한 기를 갖지 않는 화합물 B 를 포함하는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서, 상기 화합물 A 의 1 몰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 B 를 0.25 ∼ 0.40 몰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2] 상기 화합물 A 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규소 원자에 가수분해성기 및/또는 수산기가 결합한 기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기를 갖고, 상기 화합물 B 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기를 갖고, 상기 화합물 A 가 갖는 연결기 및 상기 화합물 B 가 갖는 연결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미드 결합을 갖는 기 (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및 실페닐렌 골격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 (단, 아미드 결합,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및 실페닐렌 골격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는 탄소-탄소 원자간에 규소 원자 혹은 질소 원자를 포함해도 되는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기인, [1] 의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3] 상기 화합물 A 가 갖는 연결기 및 상기 화합물 B 가 갖는 연결기는, 모두 상기 아미드 결합을 갖는 기이고, 모두 상기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고, 또는 모두 상기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기인 [1] 또는 [2] 의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4] 상기 화합물 A 가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고, 상기 화합물 B 가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1] ∼ [3] 중 어느 하나의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A1-(OX1)m1-]j1Z1[-Si(R1)n1L1 3-n1]g1 식 1
단, 식 1 중,
A1 은,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Q1[-Si(R1)n1L1 3-n1]k1 이고,
X1 은, 1 개 이상의 불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m1 은, 2 ∼ 200 의 정수 (整數) 이고,
j1, g1, k1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Z1 은, (j1 + g1) 가의 연결기이고,
R1 은, 1 가의 탄화수소기이고,
L1 은, 가수분해성기 또는 수산기이고,
n1 은, 0 ∼ 2 의 정수이고,
Q1 은, (k1 + 1) 가의 연결기이다.
[A2-(OX2)m2-]j2Z2[-CH=CH2]g2 식 2
단, 식 2 중,
A2 는,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Q2[-CH=CH2]k2 이고,
X2 는, 1 개 이상의 불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m2 는, 2 ∼ 200 의 정수이고,
j2, g2, k2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Z2 는, (j2 + g2) 가의 연결기이고,
Q2 는, (k2 + 1) 가의 연결기이다.
[5] 상기 화합물 A 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 ∼ 8000 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6] 상기 화합물 B 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 ∼ 8000 인, 상기 [1] ∼ [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7]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의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과, 액상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액.
[8]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의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층을 기재의 표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9] 터치 패널의 손가락으로 닿는 면을 구성하는 부재의 표면에 상기 표면층을 갖는, [8] 의 물품.
[10]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의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을 사용한 드라이 코팅법에 의해 기재의 표면을 처리하여, 상기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층을 상기 기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11] 웨트 코팅법에 의해 [7] 의 코팅액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상기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층을 상기 기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및 그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에 의하면, 기재의 표면에 우수한 발수 발유성을 부여할 수 있음과 함께, 내마찰성이 우수하고, 함유 성분의 용제에 대한 용출이 억제됨 (이하, 「내용제성」 이라고도 기재한다.) 으로써, 장기 사용에 있어서 발수 발유성이 잘 저하되지 않는 표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은, 본 발명의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층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발수 발유성을 갖고, 그 발수 발유성은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하고, 장기 사용에 있어서도 발수 발유성이 잘 저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기재의 표면에 우수한 발수 발유성을 부여할 수 있음과 함께, 그 발수 발유성은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하고, 장기 사용에 있어서도 발수 발유성이 잘 저하되지 않는 표면층을 갖는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화합물 1 로 기재한다. 다른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도 동일하게 기재한다. 식 2 로 나타내는 기를 기 2 로 기재한다. 다른 식으로 나타내는 기도 동일하게 기재한다.
이하의 용어의 정의는,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걸쳐서 적용된다.
「에테르성 산소 원자」 란, 탄소-탄소 원자간에 있어서 에테르 결합 (-O-) 을 형성하는 산소 원자를 의미한다.
옥시플루오로알킬렌기의 화학식은, 그 산소 원자를 플루오로알킬렌기의 좌측에 기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표면층」 이란, 본 발명의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 기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층을 의미한다.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란,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기이다. 하기 식에 있어서의 Ra 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10), 또는 페닐기이다. 또, g1 은, 1 이상의 정수이고, 1 ∼ 9 가 바람직하고, 1 ∼ 4 가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실페닐렌 골격기」 란, -Si(Rb)2PhSi(Rb)2- (단, Ph 는 페닐렌기이고, Rb 는 1 가의 유기기이다.) 로 나타내는 기이다. Rb 로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10) 가 바람직하다.
「디알킬실릴렌기」 는, -Si(Rc)2- (단, Rc 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10) 이다.) 로 나타내는 기이다.
함불소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 은, NMR 분석법을 사용하여, 1H-NMR 및 19F-NMR 에 의해, 말단기를 기준으로 하여 옥시플루오로알킬렌기의 수 (평균값) 를 구함으로써 산출된다.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본 발명의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이하, 「본 조성물」 이라고도 기재한다.) 은, 화합물 A 와 화합물 B 를, 화합물 A 의 1 몰에 대하여 화합물 B 가 0.25 ∼ 0.40 몰이 되는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합물 A 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규소 원자에 가수분해성기 및/또는 수산기가 결합한 기 (이하, 「기 Y」 라고도 기재한다.) 를 갖는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이다. 화합물 B 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고, 기 Y 를 갖지 않는 화합물이다.
본 조성물은 화합물 A 를 함유함으로써 경화되어 경화물이 된다. 본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표면층은 본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진다. 본 조성물의 경화는, 화합물 A 의 기 Y 의 반응에 의해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 A 의 기 Y 가 규소 원자에 결합하는 가수분해성기를 갖는 경우, 그 가수분해성기가 가수분해되어 실란올기 (Si-OH) 를 형성하고, 그 실란올기가 분자간에서 축합 반응하여 Si-O-Si 결합에 의해 경화된다. 화합물 A 의 기 Y 가 규소 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갖는, 즉 실란올기를 갖는 경우, 그 실란올기가 분자간에서 축합 반응하여 Si-O-Si 결합에 의해 경화된다. 또, 이와 같은 경화시에, 예를 들어, 기재가 유리 기재와 같이 표면에 실란올기를 갖는 경우에는 그 실란올기와, 화합물 A 가 갖는, 또는 화합물 A 로부터 생성한 실란올기가 반응하여 Si-O-Si 결합이 형성된다. 이로써, 얻어지는 표면층은 기재에 밀착된다.
화합물 A 가 갖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은, 경화 후에는 전형적으로는 표면층 중의 대기측에 존재하여 표면층에 발수 발유성을 부여한다고 생각된다.
한편, 화합물 B 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을 가짐으로써, 본 조성물의 경화물인 표면층에 있어서, 화합물 A 가 반응하여 얻어진 가수분해 축합물의 간극을 충전하고, 표면층에 미끄러짐성을 부여하여 내마찰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화합물 B 는, 종래의 함불소 오일과 달리, 말단에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짐으로써, 기재 표면과 밀착되기 쉽다고 생각된다. 나아가서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사이의 연결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화합물 A 또는 화합물 A 의 경화물과도 서로 끌어당기는 작용이 발생하여, 표면층으로부터 잘 탈리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본 조성물에 있어서, 화합물 A 의 1 몰에 대하여 화합물 B 를 0.25 ∼ 0.40 몰이 되는 비율로 함유시키면, 화합물 B 는 표면층에 대한 미끄러짐성의 부여와, 표면층으로부터의 화합물 B 의 탈리의 억제를 양호한 밸런스로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표면층은, 우수한 발수 발유성을 가짐과 함께, 발수 발유성의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것이다.
(화합물 A 및 화합물 B 의 조합)
화합물 A 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이하,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라고도 기재한다.) 과 기 Y 를 갖는다. 화합물 A 에 있어서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와 기 Y 는, 연결기 (이하, 「연결기 a」 라고도 기재한다.) 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 Y 는 규소 원자가 연결기 a 와 결합한다.
상기 화합물 A 에 있어서,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의 2 개의 말단은, 편방이 플루오로알킬기와 결합하고 있고, 다른 편방이 연결기 a 를 개재하여 기 Y 에 연결되어 있거나, 둘 다, 각각 연결기 a 를 개재하여 기 Y 에 연결되어 있다. 발수 발유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의 편방의 말단은 플루오로알킬기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와 연결기 a 의 경계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즉,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는 좌측의 말단에 플루오로알킬렌기에 결합하는 산소 원자를 갖고, 우측의 말단은 플루오로알킬렌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의 우측에 연결기 a 가 결합하는 경우, 연결기 a 가 결합하는 플루오로알킬렌기의 "산소 원자와 결합하지 않는 측의 말단" 을, 불소 원자와 결합하는 가장 우단의 탄소 원자로 한다. 화합물 B 의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b 와 연결기 b 의 경우도 동일하다.
화합물 A 는, 기 Y 를 적어도 1 개 가지면 된다. 표면층의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2 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2 ∼ 10 개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5 개가 더욱 바람직하고, 2 또는 3 개가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B 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이하,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b」 라고도 기재한다.) 과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고, 기 Y 를 갖지 않는 화합물이다. 화합물 B 에 있어서,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b 와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은, 연결기 (이하, 「연결기 b」 라고도 기재한다.) 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 B 에 있어서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b 의 2 개의 말단은, 편방이 플루오로알킬기와 결합하고 있거나, 둘 다,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에 각각 연결기 b 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발수 발유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b 의 편방의 말단은 플루오로알킬기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B 는,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적어도 1 개 가지면 된다. 표면층의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2 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2 ∼ 10 개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5 개가 더욱 바람직하고, 2 또는 3 개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수소 원자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으로는 -CH=CH2 가 바람직하다.
연결기의 가수는 2 이상의 정수이고, 3 ∼ 11 이 바람직하고, 3 ∼ 6 이 보다 바람직하고, 3 또는 4 가 특히 바람직하다.
연결기는, 1 개의 탄소 원자, 규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로 분기되는 구조를 갖는 가수 3 ∼ 4 의 연결기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분기된 말단이 기 Y 와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와 결합한다. 복수의 분기 원소를 갖는 연결기나 가수가 4 를 초과하는 연결기이어도 된다. 또한, 연결기의 분기의 기점이 되는 원소를 이하, 분기 원소라고도 기재한다.
연결기 a 및 연결기 b 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하의 분류 1 ∼ 5 를 들 수 있다.
분류 1 : 아미드 결합을 갖는 기 (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및 실페닐렌 골격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분류 2 :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 (단, 아미드 결합,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및 실페닐렌 골격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분류 3 : 탄소-탄소 원자간에 질소 원자 또는 규소 원자를 가져도 되는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기
분류 4 :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또는 실페닐렌 골격기를 갖는 기
분류 5 : 상기 분류 1 ∼ 4 중 어느 것으로도 분류되지 않는 기
이하, 연결기 a 로서 상기 분류 1 ∼ 5 의 연결기를, 각각 이 순서로 연결기 a-1 ∼ a-5 라고도 기재한다. 연결기 a 로는, 연결기 a-1, 연결기 a-2, 연결기 a-3 이 바람직하다. 동일하게, 연결기 b 로서 상기 분류 1 ∼ 5 의 연결기를, 각각 이 순서로 연결기 b-1 ∼ b-5 라고도 기재한다. 연결기 b 로는, 연결기 b-1, 연결기 b-2, 연결기 b-3 이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에 있어서, 화합물 A 와 화합물 B 의 조합으로는, 화합물 A 가 연결기 a-1 을 갖고, 또한 화합물 B 가 연결기 b-1 을 갖는 조합 I, 화합물 A 가 연결기 a-2 를 갖고, 또한 화합물 B 가 연결기 b-2 를 갖는 조합 II, 화합물 A 가 연결기 a-3 을 갖고, 또한 화합물 B 가 연결기 b-3 을 갖는 조합 III 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화합물 A 및 복수의 화합물 B 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하는 모든 화합물에 있어서 조합 I, 조합 II, 또는 조합 III 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표면층의 내용제성의 관점에서는, 조합 I 및 조합 II 가 보다 바람직하고, 조합 I 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A 와 화합물 B 를 조합함에 있어서는, 연결기 a 와 연결기 b 의 구조가 거의 동일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기 원소의 종류와 수가 동일하고, 탄소수는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합에서는 화합물 A 와 화합물 B 의 연결기가 거의 동일한 구조가 되기 때문에, 화합물 A 와 화합물 B 사이에 반데르발스력이나 수소 결합 등에 의한 담지력이 특히 강하게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이로써,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보다 우수한 표면층이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또, 1 개의 탄소 원자, 규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로 분기되는 구조를 갖는 가수가 3 또는 4 인 연결기에 있어서, 당해 분기 원소를 경계로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과 기 Y 측으로 나누어 생각하면, 연결기 중의, 아미드 결합, 에테르성 산소 원자 또는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기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에 있어도 되고 기 Y 측에 있어도 되고, 그 양방에 있어도 된다.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에 있거나 양방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에 있으면 화합물 A 와 화합물 B 사이의 반데르발스력이나 수소 결합 등에 의한 담지력이 보다 강하게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이하, 1 개의 탄소 원자, 규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로 분기되는 구조를 갖는 가수가 3 또는 4 인 연결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연결기 a-1 에 있어서, 가수가 2 인 경우, 아미드 결합은 -C(O)NR9- 이고, 탄소 원자측이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 질소 원자측이 기 Y 측에 위치한다. R9 는, 예를 들어, 수소 원자,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C(O)NR9- 의 탄소 원자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에, 알킬렌기를 개재하여 결합하거나 직접 결합하고, 직접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NR9- 의 질소 원자는, 예를 들어,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져도 되는 알킬렌기를 개재하여 기 Y 에 결합한다.
연결기 a-1 에 있어서, 가수가 3 이상인 경우, 기 내에 탄소 원자, 규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로 분기되는 구조를 갖고, 분기한 말단이 기 Y 와 결합한다. 연결기 a-1 에 있어서, 1 개의 탄소 원자, 규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로 분기되는 구조를 갖는 가수가 3 ∼ 4 인 연결기는, 분기된 말단이 기 Y 와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드 결합은 분기 원소를 경계로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에 있어도 되고 기 Y 측에 있어도 되고, 그 양방에 있어도 된다. 아미드 결합은,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에 아미드 결합이 있는 경우, 아미드 결합은 그 탄소 원자가,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에 알킬렌기를 개재하여 결합하거나 직접 결합하고, 직접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결기 a-1 이 갖는 분기 원소는, 아미드 결합의 질소 원자이어도 되고, 아미드 결합에 결합하는 기의 탄소 원자, 규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이어도 된다. 아미드 결합과 분기 원소는 직접 결합하거나, 2 가의 연결기, 예를 들어,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및/또는 아미드 결합을 갖는 기를 개재하여 결합한다. 분기 원소와 기 Y 는 각각 2 가의 연결기에 의해 연결된다.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5 가 바람직하고, 2 ∼ 5 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5 가 바람직하다.
기 Y 측에만 아미드 결합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C(O)NR9- 와 동일한 아미드 결합이 바람직하다.
연결기 a-2 에 있어서, 가수가 2 인 경우, 에테르성 산소 원자의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은,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에 직접 결합하는 구조이어도 되고, 2 가의 연결기, 예를 들어,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를 개재하여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에 결합하는 구조이어도 된다.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5 가 바람직하고, 2 ∼ 5 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5 가 바람직하다.
연결기 a-2 에 있어서, 가수가 3 이상인 경우, 기 내에 탄소 원자, 규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로 분기되는 구조를 갖고, 분기된 말단이 기 Y 와 결합한다. 연결기 a-2 에 있어서, 1 개의 탄소 원자, 규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로 분기되는 구조를 갖는 가수가 3 ∼ 4 인 연결기는, 분기된 말단이 기 Y 와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테르성 산소 원자는 분기 원소를 경계로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에 있어도 되고 기 Y 측에 있어도 되고, 그 양방에 있어도 된다. 에테르성 산소 원자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측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가 있는 경우, 에테르성 산소 원자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에 직접 결합하는 구조이어도 되고, 2 가의 연결기, 예를 들어, 알킬렌기를 개재하여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에 결합하는 구조이어도 된다. 에테르성 산소 원자와 분기 원소는 직접 결합하거나, 2 가의 연결기, 예를 들어,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가 바람직하다.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5 가 바람직하고, 2 ∼ 5 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5 가 바람직하다.
연결기 a-3 에 있어서의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기는 직사슬형, 분기 사슬형이 바람직하다. 직사슬형의 경우, 연결기 a-3 의 가수는 2 이다. 분기 사슬형의 경우, 연결기 a-3 의 가수는 3 이상이고, 복수의 기 Y 나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에 결합할 수 있다. 1 개의 탄소 원자로 분기되는 구조를 갖는 가수가 3 ∼ 4 인 연결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는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연결기 a-3 이 질소 원자를 갖는 경우, 질소 원자가 2 개의 기 Y 에 각각 알킬렌기 (탄소수 1 ∼ 5 가 바람직하다.) 를 개재하여 결합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연결기 a-3 이 규소 원자를 갖는 경우, 규소 원자가 2 개 또는 3 개의 기 Y 에 각각 알킬렌기 (탄소수 1 ∼ 5 가 바람직하다.) 를 개재하여 결합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연결기 a-4 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화합물 1 에 있어서의 기 11-6 중의 연결기를 예시할 수 있다.
연결기 b-1 ∼ b-4 는, 구체적으로는, 각각 연결기 a-1 ∼ a-4 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단, 연결기 b-1 ∼ b-4 에 있어서는, 연결기 a-1 ∼ a-4 가 기 Y 에 결합하는 구성인 데에 대해,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에 결합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화합물 1 : 화합물 A 의 구체적 화합물)
화합물 A 는, 화합물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1 에 있어서, (OX1)m1 이 화합물 A 의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에 상당하고, -Si(R1)n1L1 3-n1 이 기 Y 에 상당하고, Z1 및 Q1 이 연결기 a 에 상당한다.
[A1-(OX1)m1-]j1Z1[-Si(R1)n1L1 3-n1]g1 식 1
단, 식 1 중,
A1 은,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Q1[-Si(R1)n1L1 3-n1]k1 이고,
X1 은, 1 개 이상의 불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m1 은, 2 ∼ 200 의 정수이고,
j1, g1, k1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Z1 은, (j1 + g1) 가의 연결기이고,
R1 은, 1 가의 탄화수소기이고,
L1 은, 가수분해성기 또는 수산기이고,
n1 은, 0 ∼ 2 의 정수이고,
Q1 은, (k1 + 1) 가의 연결기이다.
A1 이, 퍼플루오로알킬기인 경우, 퍼플루오로알킬기 중의 탄소수는, 표면층의 내마찰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1 ∼ 20 이 바람직하고, 1 ∼ 10 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6 이 더욱 바람직하고, 1 ∼ 3 이 특히 바람직하다. 퍼플루오로알킬기는, 직사슬형이어도 되고 분기 사슬형이어도 된다.
Figure pct00002
퍼플루오로알킬기로는, 표면층의 발수 발유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CF3-, CF3CF2-, CF3CF2CF2- 가 바람직하다.
(OX1)m1 은, (OX1) 로 나타내는 단위 (이하, 「단위 1」 이라고도 기재한다.) 가 m1 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X1 은, 1 개 이상의 불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로알킬렌기이다. 플루오로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6 이 바람직하다.
플루오로알킬렌기는, 직사슬형이어도 되고 분기 사슬형이어도 되지만,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직사슬형이 바람직하다.
플루오로알킬렌기의 불소 원자수는, 1 개 이상이고, 표면층의 내마찰성 및 발수 발유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2 ∼ 10 개가 바람직하고, 2 ∼ 4 개가 특히 바람직하다.
플루오로알킬렌기는, 플루오로알킬렌기 중의 모든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어도 된다.
Figure pct00003
(OX1)m1 에 포함되는 단위 1 의 반복수 m1 은 2 ∼ 200 의 정수이고, 5 ∼ 150 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5 ∼ 100 의 정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50 의 정수가 특히 바람직하다.
(OX1)m1 은, 1 종만의 단위 1 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단위 1 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 종 이상의 단위 1 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단위 1, 탄소수가 동일해도 측사슬의 유무나 측사슬의 종류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단위 1, 탄소수가 동일해도 불소 원자의 수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단위 1 을 들 수 있다. 2 종 이상의 단위 1 의 각각의 m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OCF2) 와 (OCF2CF2) 를 갖는 경우에 (OCF2) 에 대한 (OCF2CF2) 의 비율은 0.1 ∼ 10 이 바람직하고, 0.2 ∼ 5 가 보다 바람직하고, 0.2 ∼ 2 가 더욱 바람직하고, 0.2 ∼ 1.5 가 특히 바람직하고, 0.2 ∼ 0.85 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2 종 이상의 단위 1 의 결합 순서는 한정되지 않고, 랜덤, 교호, 블록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화합물 1 은, -Si(R1)n1L1 3-n1 (이하, 「기 Y1」 이라고도 기재한다.) 을 적어도 1 개 가지면 된다. 기 Y1 의 수는, 표면층의 내마찰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2 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2 ∼ 10 개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5 개가 더욱 바람직하고, 2 또는 3 개가 특히 바람직하다. 기 Y1 이 1 분자 중에 복수 있는 경우, 복수 있는 기 Y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원료의 입수 용이성이나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용이성의 점에서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R1 은, 1 가의 탄화수소기이고, 1 가의 포화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R1 의 탄소수는, 1 ∼ 6 이 바람직하고, 1 ∼ 3 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2 가 특히 바람직하다.
L1 은, 가수분해성기 또는 수산기이다. L1 에 있어서의 가수분해성기의 구체예로는, 알콕시기, 알릴옥시기, 할로겐 원자, 아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NCO) 를 들 수 있다. 알콕시기로는,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가 바람직하다. 아실기로는, 탄소수 1 ∼ 6 의 아실기가 바람직하다. 할로겐 원자로는, 염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L1 로는, 화합물 1 의 제조가 보다 용이한 점에서,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가 바람직하다. L1 로는, 도포시의 아웃 가스가 적고, 화합물 1 을 포함하는 본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가 바람직하고, 화합물 1 을 포함하는 본 조성물의 장기의 보존 안정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에톡시기가 특히 바람직하고, 도포 후의 반응 시간을 단시간으로 하는 경우에는 메톡시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n1 은, 0 ∼ 2 의 정수이다. n1 은, 0 또는 1 이 바람직하고, 0 이 특히 바람직하다. L1 이 복수 존재함으로써, 표면층의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보다 강고해진다. n1 이 1 이하인 경우, 1 분자 중에 존재하는 복수의 L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원료의 입수 용이성이나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용이성의 점에서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n1 이 2 인 경우, 1 분자 중에 존재하는 복수의 R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원료의 입수 용이성이나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용이성의 점에서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j1 은, 1 이상의 정수이고, 표면층의 발수 발유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1 ∼ 5 의 정수가 바람직하다. A1 이 -Q1[-Si(R1)n1L1 3-n1]k1 인 경우, j1 은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합물 1 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j1 은 1 이 특히 바람직하다.
g1 은, 1 이상의 정수이고, 표면층의 내마찰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2 ∼ 4 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2 또는 3 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1 에 있어서, k1 × j1 + g1 이 기 Y1 의 수이다. 이 수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k1, j1 및 g1 을 조정한다. 표면층의 기재에 대한 밀착성의 관점에서는, k1 이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의 발수 발유성의 관점에서는 A1 은, 퍼플루오로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1 에 있어서, Q1 은, (k1 + 1) 가의 연결기이고, Z1 은, (j1 + g1) 가의 연결기이다. Z1 및 Q1 은, 가수가 동일한 경우,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수가 상이한 경우, Z1 및 Q1 은 상이하지만,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Z1 을 예로 설명하지만, Q1 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식 1 에 있어서, 연결기인 Z1 과 (OX1)m1 의 분리에 대해 설명한다. 연결기 Z1 은, [A1-(OX1)m1-] 중의 m1 개 있는 (OX1) 기 중, 가장 A1 에 먼 (OX1) 기에 있어서, 기 X1 의 산소 원자와 결합하지 않는 측에 결합한다. 기 X1 의 산소 원자와 결합하지 않는 측의 말단은, 불소 원자와 결합한 탄소 원자로서 가장 A1 에 먼 탄소 원자이다.
Z1 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상기 가수의 기이면 된다. Z1 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기 Y1 을 포함하는 기로서, 기 11 및 기 12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식 11 및 식 12 에 있어서, Z1 은, 기 11, 기 12 로부터 Si(R1)n1L1 3-n1 을 제거한 기이다.
Figure pct00004
식 11 및 식 12 중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R1, L1 및 n1 의 정의는, 식 1 중의 각 기의 정의와 동일한 의미이다.
Qa 는, 단결합 또는 2 가의 연결기이다.
2 가의 연결기로는, 예를 들어, 2 가의 탄화수소기 (2 가의 포화 탄화수소기, 2 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이어도 된다. 2 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는, 직사슬형, 분기 사슬형 또는 고리형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는 1 ∼ 20 이 바람직하다. 또, 2 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5 ∼ 20 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페닐렌기를 들 수 있다. 그 이외에도, 탄소수 2 ∼ 20 의 알케닐렌기, 탄소수 2 ∼ 20 의 알키닐렌기이어도 된다.), 2 가의 복소 고리기, -O-, -S-, -SO2-, -N(Rd)-, -C(O)-, -Si(Ra)2-, 및 이들을 2 종 이상 조합한 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Ra 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10), 또는 페닐기이다. Rd 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10) 이다.
또한, 상기 이들을 2 종 이상 조합한 기로는, 예를 들어, -OC(O)-, -C(O)N(Rd)-, 알킬렌기-O-알킬렌기, 알킬렌기-OC(O)-알킬렌기, 알킬렌기-Si(Ra)2-페닐렌기-Si(Ra)2 를 들 수 있다.
X31 은, 탄소 원자, 질소 원자 및 규소 원자에서 선택되는 분기 원소, 단결합, 또는 2 ∼ 8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이다.
2 ∼ 8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로는,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및 후술하는 (w + 1)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들 수 있다.
Qb 는, Qa 및 X31 이 단결합인 경우,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및/또는 아미드 결합을 갖는 기이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결합 또는 2 가의 연결기이다.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20 이 바람직하고, 1 ∼ 10 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및/또는 아미드 결합을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20 이 바람직하고, 2 ∼ 10 이 특히 바람직하다.
2 가의 연결기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Qa 에서 설명한 정의와 동일한 의미이다.
R31 은, 수산기 또는 알킬기이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5 가 바람직하고, 1 ∼ 3 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이 특히 바람직하다.
X31 이 단결합인 경우, h 는 1, i 는 0 이고,
X31 이 질소 원자인 경우, h 는 1 ∼ 2 의 정수이고, i 는 0 ∼ 1 의 정수이고, h + i = 2 를 만족시키고,
X31 이 탄소 원자 또는 규소 원자인 경우, h 는 1 ∼ 3 의 정수이고, i 는 0 ∼ 2 의 정수이고, h + i = 3 을 만족시키고,
X31 이 2 ∼ 8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인 경우, h 는 1 ∼ 7 의 정수이고, i 는 0 ∼ 6 의 정수이고, h + i = 1 ∼ 7 을 만족시킨다.
(-Qb-Si(R1)n1L1 3-n1) 이 2 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2 개 이상의 (-Qb-Si(R1)n1L1 3-n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R31 이 2 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2 개 이상의 (-R3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Qc 는,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다.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R3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이고,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알킬기로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Qd 는, 단결합 또는 알킬렌기이다.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1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Qd 는, 단결합 또는 -CH2- 가 바람직하다.
R33 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y 는, 1 ∼ 10 의 정수이고, 1 ∼ 6 의 정수가 바람직하다.
2 개 이상의 [CH2C(R32)(-Qd-Si(R1)n1L1 3-n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이하, 연결기 a 로서의 Z1 에 대해, 기 11 을 예로, h 의 수, 즉 기 Y1 의 수에 따라 이하의 기 11-1 ∼ 11-6 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Figure pct00005
또한, 식 11-1 ∼ 11-6 중, R1, L1, 및 n1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기 11-1 은, 기 Y1 을 1 개 갖는 경우의 Z1 의 예시이고, 기 11-1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Qa1 은, (X32)s1 이고, X32 는, -O-, 또는 -C(O)N(Rd)- 이다 (단, 식 중의 N 은 Qb1 에 결합한다).
Rd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s1 은, 0 또는 1 이다.
Qb1 은, 알킬렌기, 혹은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O-, 실페닐렌 골격기,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또는 디알킬실릴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를 1 또는 2 이상 갖는 기이다.
Qb1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O-, 실페닐렌 골격기,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또는 디알킬실릴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를 1 또는 2 이상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b1 로는, s1 이 0 인 경우에는, -CH2OCH2CH2CH2-, -CH2OCH2CH2OCH2CH2CH2-, -CH2CH2-, -CH2CH2CH2-, -CH2OCH2CH2CH2Si(CH3)2OSi(CH3)2CH2CH2- 가 바람직하다. (X32)s1 이 -O- 인 경우에는, -CH2CH2CH2-, -CH2CH2OCH2CH2CH2- 가 바람직하다. (X32)s1 이 -C(O)N(Rd)- 인 경우에는,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단, 식 중의 N 은 Qb1 에 결합한다). Qb1 이 이들 기이면 화합물을 제조하기 쉽다.
기 11-1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기 11-11 ∼ 11-14 를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 는, (OX1)m1 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기 11-11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2 로 분류된다. 기 11-12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1 로 분류되고, 기 11-13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3 으로 분류되고, 기 11-14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4 로 분류된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6
기 11-2 는, 기 Y1 을 2 개 갖는 경우의 Z1 의 예시이고, 기 11-2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Qa2 는, (X33)s2-Qa21 이고, X33 은, -O-,-NH-, 또는 -C(O)N(Rd)- 이다.
Rd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Qa21 은, 단결합, 알킬렌기, -C(O)-,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C(O)-, -C(O)O-, -OC(O)- 혹은 -NH- 를 갖는 기이다.
Qa21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1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21 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C(O)-, -C(O)O-, -OC(O)- 또는 -NH- 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21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 -CH2CH2-, -CH2CH2CH2-, -CH2OCH2CH2-, -CH2NHCH2CH2-, -CH2CH2OC(O)CH2CH2-, -C(O)- 가 바람직하다 (단, 우측이 N 에 결합한다.).
s2 는, 0 또는 1 (단, Qa21 이 단결합인 경우에는 0 이다.) 이다.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0 이 바람직하다.
Qb2 는,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에테르성 산소 원자 혹은 -NH- 를 갖는 기이다.
Qb2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b2 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에테르성 산소 원자 또는 -NH- 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b2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CH2CH2-, -CH2CH2OCH2CH2CH2- 가 바람직하다 (단, 우측이 Si 에 결합한다.).
2 개의 [-Qb2-Si(R1)n1L1 3-n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기 11-2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기 11-21 ∼ 11-24 를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 는, (OX1)m1 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기 11-21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3 으로 분류된다. 기 11-22, 기 11-23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2 로 분류되고, 기 11-24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1 로 분류된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7
기 11-3 은, 기 Y1 을 2 개 갖는 경우의, 기 11-2 와는 다른 Z1 의 예시이고, 기 11-3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Qa3 은,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고,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단결합이 바람직하다.
Qa3 으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3 으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X34 는, 탄소 원자 또는 규소 원자이다.
Rg 는, 수산기 또는 알킬기이다. Rg 로 나타내는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4 가 바람직하다.
X34(Rg)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OH) 또는 Si(Rga) (단, Rga 는 알킬기이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가 바람직하다.
Qb3 은,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혹은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이다.
Qb3 으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b3 으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또는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b3 으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CH2CH2CH2CH2- 가 바람직하다.
2 개의 [-Qb3-Si(R1)n1L1 3-n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기 11-3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기 11-31 ∼ 11-33 을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 는, (OX1)m1 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기 11-31 ∼ 11-33 중의 연결기는, 모두 연결기 a-3 으로 분류된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8
기 11-4 는, 기 Y1 을 3 개 갖는 경우의 Z1 의 예시이고, 기 11-4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Qa4 는, -[C(O)N(Rd)]s4-Qa41-(O)t4 이다.
Rd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s4 는, 0 또는 1 이다.
Qa41 은,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다.
Qa41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1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41 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t4 는, 0 또는 1 (단, Qa41 이 단결합인 경우에는 0 이다.) 이다.
-Qa41-(O)t4-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s4 가 0 인 경우에는, 단결합, -CH2O-, -CH2OCH2-, -CH2OCH2CH2O-, -CH2OCH2CH2OCH2-, -CH2OCH2CH2CH2CH2OCH2- 가 바람직하고 (단, 좌측이 (OX1)m1 에 결합한다.), s4 가 1 인 경우에는, 단결합, -CH2-, -CH2CH2- 가 바람직하다.
Qb4 는, -(O)u4-Qb41 이다.
Qb41 은,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O-, -C(O)N(Rd)- (Rd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실페닐렌 골격기,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또는 디알킬실릴렌기를 갖는 기, 혹은 알킬렌기와 그 알킬렌기의 (O)u4 측 말단에 결합하는 -C(O)N(Rd)-, 디알킬실릴렌기 또는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이다.
Qb41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O-, -C(O)N(Rd)- (Rd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실페닐렌 골격기,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또는 디알킬실릴렌기를 갖는 기, 혹은 알킬렌기와 그 알킬렌기의 (O)u4 측 말단에 결합하는 -C(O)N(Rd)-, 디알킬실릴렌기 또는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u4 는, 0 또는 1 이다.
Figure pct00009
3 개의 [-Qb4-Si(R1)n1L1 3-n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기 11-4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기 11-41 ∼ 11-44 를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 는, (OX1)m1 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기 11-41 ∼ 11-43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2 로 분류되고, 기 11-44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1 로 분류된다.
[화학식 5]
Figure pct00010
기 11-5 는, 기 Y1 을 3 개 갖는 경우의, 기 11-4 와는 다른 Z1 의 예시이고, 기 11-5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Qa5 는,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다.
Qa5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5 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5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OCH2CH2CH2-, -CH2OCH2CH2OCH2CH2CH2-, -CH2CH2-, -CH2CH2CH2- 가 바람직하다 (단, 우측이 Si 에 결합한다.).
Qb5 는,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혹은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이다.
Qb5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b5 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또는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b5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CH2CH2-, -CH2CH2OCH2CH2CH2- 가 바람직하다 (단, 우측이 Si(R1)n1L1 3-n1 에 결합한다.).
3 개의 [-Qb5-Si(R1)n1L1 3-n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기 11-5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기 11-51 ∼ 11-52 를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 는, (OX1)m1 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기 11-51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2 로 분류된다. 기 11-52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3 으로 분류된다.
[화학식 6]
Figure pct00011
기 11-6 은, 기 Y1 을 w 개 갖는 경우의 Z1 의 예시이고, 기 11-6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기 11-6 중의 연결기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 11-6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4 로 분류된다.
Qa6 은, -[C(O)N(Rd)]v-Qa61 이다.
Rd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v 는, 0 또는 1 이다.
Qa61 은,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다.
Qa61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61 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61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OCH2CH2CH2-, -CH2OCH2CH2OCH2CH2CH2-, -CH2CH2-, -CH2CH2CH2- 가 바람직하다 (단, 우측이 X35 에 결합한다.).
X35 는, (w + 1)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이다.
w 는, 2 ∼ 7 의 정수이다.
(w + 1)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로는, 하기의 기 X1-1 ∼ X1-8 을 들 수 있다. 단, 하기 식에 있어서의 Ra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화학식 7]
Figure pct00012
Qb6 은,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혹은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이다.
Qb6 으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b6 으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또는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b6 으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CH2-, -CH2CH2CH2- 가 바람직하다.
w 개의 [-Qb6-Si(R1)n1L1 3-n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화합물 1 은, 표면층의 발수 발유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식 1-2 로 나타내는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A1-(OX1)m1-Qa-]j32Z32[-Qb-Si(R1)n1L1 3-n1]h32 식 1-2
식 1-2 중, A1, X1, m1, Qa, Qb, R1, L1 및 n1 의 정의는, 식 1 중 및 식 11 중의 각 기의 정의와 동일한 의미이다.
Z32 는, (j32 + h32) 가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화수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탄소수 2 이상이고 (j32 + h32) 가의 탄화수소기이다.
Z32 로는, 1 급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로부터 수산기를 제거한 잔기가 바람직하다.
Z32 로는, 원료의 입수 용이성의 점에서, 기 Z-1 ∼ Z-5 가 바람직하다. 단, R34 는, 알킬기이고, 메틸기 또는 에틸기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8]
Figure pct00013
j32 는 2 이상의 정수이고, 표면층의 발수 발유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2 ∼ 5 의 정수가 바람직하다.
h32 는 1 이상의 정수이고, 표면층의 내마찰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2 ∼ 4 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2 또는 3 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 1-2 에 있어서, 예를 들어, Qa, Qb 가 모두 단결합인 경우에는, 기 Z-1 ∼ 기 Z-5 가 연결기 a 에 상당한다. 기 Z-3 은 연결기 a-2 로 분류되고, 그 이외는 연결기 a-3 으로 분류된다.
화합물 A 로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a 의 편방의 말단에 연결기 a, 기판과 결합하는 지점이 많을수록 밀착성은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연결기 a-1 을 개재하여 기 Y 가 2 개 이상 연결된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 Y 의 수는, 상기와 동일하게 2 ∼ 10 개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5 개가 더욱 바람직하고, 2 또는 3 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합물 A 의 구체예로는, 화합물 1 에 있어서, A1 이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Z1[-Si(R1)n1L1 3-n1]g1 이, 기 11-2, 기 11-4, 기 11-6 에서 선택되고, 연결기 a 인 Z1 이 연결기 a-1 로 분류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Z1[-Si(R1)n1L1 3-n1]g1 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 11-24, 기 11-44 등을 들 수 있다. 또, 화합물 1-2 에 있어서, A1 이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Qb 가 -C(O)N(Rd)- (단, Rd 는 상기와 같다) 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합물 A 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표면층의 내마찰성의 점에서, 500 ∼ 20,000 이 바람직하고, 800 ∼ 10,000 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 ∼ 8,000 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A 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NMR 분석법을 사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값이다. 즉, 19F-NMR (용매 : CDCl3, 내부 표준 : CFCl3) 에 의해, (OX1)m1 의 반복 단위를 동정함과 함께, 반복 단위의 수를 산출하고, 1 분자당 (OX1)m1 의 분자량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1H-NMR (용매 : CDCl3, 내부 표준 : TMS) 에 의해, 말단기의 동정 및 정량을 실시하고, 말단기의 몰수에 기초하여, 본 조성물의 수평균 분자량 (Mn) 을 산출한다. 이하, 수평균 분자량을 간단히 「Mn」 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화합물 A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하기의 문헌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029585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27772호에 기재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변성 아미노실란, 일본 특허 제2874715호에 기재된 규소 함유 유기 함불소 폴리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4097호에 기재된 유기 규소 화합물,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2-506887호에 기재된 불소화 실록산,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34696호에 기재된 유기 실리콘 화합물, 일본 특허 제4138936호에 기재된 불소화 변성 수소 함유 중합체,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0/0129672호 명세서 및 국제 공개 제2014/126064호에 기재된 화합물, 국제 공개 제2011/060047호, 국제 공개 제2011/059430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70163호에 기재된 오르가노 실리콘 화합물, 국제 공개 제2012/064649호에 기재된 함불소 오르가노실란 화합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72272호에 기재된 플루오로옥시알킬렌기 함유 폴리머, 국제 공개 제2013/042732호, 국제 공개 제2013/121984호, 국제 공개 제2013/121985호, 국제 공개 제2013/121986호, 국제 공개 제2014/1630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80473호, 국제 공개 제2015/087902호,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 국제 공개 제2017/038832호, 국제 공개 제2017/187775호, 국제 공개 제2018/143433호, 국제 공개 제2018/216630호, 국제 공개 제2019/039186, 국제 공개 제2019/039341호, 국제 공개 제2019/044479호, 국제 공개 제2019/049753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044158호에 기재된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18639호에 기재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화합물, 국제 공개 제2018/169002호에 기재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화합물, 국제 공개 제2019/151442호에 기재된 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화합물, 국제 공개 제2019/151445호에 기재된 (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화합물, 국제 공개 제2019/098230호에 기재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화합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999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2046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210854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222859호에 기재된 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폴리머 변성 실란, 국제 공개 제2019/039083호 및 국제 공개 제2019/049754호에 기재된 함불소 화합물.
화합물 A 의 시판품으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의 KY-100 시리즈 (KY-178, KY-185, KY-195, KY-1900 등), AGC 사 제조의 Afluid (등록상표) S550, 다이킨 공업사 제조의 옵툴 (등록상표) DSX, 옵툴 (등록상표) AES, 옵툴 (등록상표) UF503, 옵툴 (등록상표) UD509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조성물이 함유하는 화합물 A 는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
(화합물 2 : 화합물 B 의 구체적 화합물)
화합물 B 는, 화합물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2 에 있어서, (OX2)m2 가 화합물 B 의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b 에 상당하고, -CH=CH2 가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Z2 및 Q2 가 연결기 b 에 상당한다.
[A2-(OX2)m2-]j2Z2[-CH=CH2]g2 식 2
단, 식 2 중,
A2 는,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Q2[-CH=CH2]k2 이고,
X2 는, 1 개 이상의 불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m2 는, 2 ∼ 200 의 정수이고,
j2, g2, k2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Z2 는, (j2 + g2) 가의 연결기이고,
Q2 는, (k2 + 1) 가의 연결기이다.
A2 가, 퍼플루오로알킬기인 경우의 [A2-(OX2)m2-]j2 는, 화합물 1 에 있어서, A1 이, 퍼플루오로알킬기인 경우의 [A1-(OX1)m1-]j1 과, 바람직한 양태도 포함하여 동일하게 할 수 있다.
화합물 2 는, -CH=CH2 를 적어도 1 개 가지면 된다. 표면층의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2 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2 ∼ 10 개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5 개가 더욱 바람직하고, 2 또는 3 개가 특히 바람직하다.
g2 는, 1 이상의 정수이고, 표면층의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2 ∼ 4 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2 또는 3 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2 에 있어서, k2 × j2 + g2 가 -CH=CH2 인 수이다. 이 수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k2, j2 및 g2 를 조정한다. 표면층의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의 관점에서는, k2 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의 발수 발유성의 관점에서는 A2 는, 퍼플루오로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2 에 있어서, Q2 는, (k2 + 1) 가의 연결기이고, Z2 는, (j2 + g2) 가의 연결기이다. Z2 및 Q2 는, 가수가 동일한 경우,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수가 상이한 경우, Z2 및 Q2 는 상이하지만,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Z2 를 예로 설명하지만, Q2 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기인 Z2 와 (OX2)m2 의 분리에 대해서는, 화합물 1 에 있어서의 Z1 과 (OX1)m1 의 분리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Z2 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상기 가수의 기이면 된다. Z2 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화합물 1 에 있어서의 Z1 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Z2 는, 구체적으로는, -CH=CH2 를 포함하는 기로서, 이하의 식 21 로 나타내는 기 및 식 22 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즉, 식 21 및 식 22 에 있어서, Z2 는, 기 21, 기 22 로부터 -CH=CH2 를 제거한 기이다.
-Qaa-X36(-Qbb-CH=CH2)hh(-R35)ii 식 21
-Qcc-[CH2C(R36)(-Qdd-CH=CH2)]yy-R37 식 22
식 21 및 식 22 중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Qaa 는, 단결합 또는 2 가의 연결기이다. 2 가의 연결기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식 11 중의 Qa 에서 설명한 정의와 동일한 의미이다.
X36 은, 탄소 원자, 질소 원자 및 규소 원자에서 선택되는 분기 원소, 단결합, 또는 2 ∼ 8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이다.
2 ∼ 8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로는,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및 후술하는 (ww + 1)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들 수 있다.
Qbb 는, Qaa 및 X36 이 단결합인 경우,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및/또는 아미드 결합을 갖는 기이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결합 또는 2 가의 연결기이다.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8 이 바람직하고, 1 ∼ 8 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및/또는 아미드 결합을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8 이 바람직하고, 2 ∼ 8 이 특히 바람직하다. 2 가의 연결기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식 11 중의 Qa 에서 설명한 정의와 동일한 의미이다.
R35 는, 수산기 또는 알킬기이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5 가 바람직하고, 1 ∼ 3 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이 특히 바람직하다.
X36 이 단결합인 경우, hh 는 1, ii 는 0 이고,
X36 이 질소 원자인 경우, hh 는 1 ∼ 2 의 정수이고, ii 는 0 ∼ 1 의 정수이고, hh + ii = 2 를 만족시키고,
X36 이 탄소 원자 또는 규소 원자인 경우, hh 는 1 ∼ 3 의 정수이고, ii 는 0 ∼ 2 의 정수이고, hh + ii = 3 을 만족시키고,
X36 이 2 ∼ 8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인 경우, hh 는 1 ∼ 7 의 정수이고, ii 는 0 ∼ 6 의 정수이고, hh + ii = 1 ∼ 7 을 만족시킨다.
(-Qbb-CH=CH2) 가 2 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2 개 이상의 (-Qbb-CH=CH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R35 가 2 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2 개 이상의 (-R35)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식 21 에 있어서의 Qaa, X36, hh, R35, ii 와 Qbb 는, 이하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기 a 와 연결기 b 의 구조가 거의 동일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 점에서, 식 21 에 있어서의, Qaa, X36, hh, R35, ii 는 각각, 식 11 에 있어서의 Qa, X31, h, R31, i 와 동일하고, 식 21 에 있어서의 Qbb 는, 식 11 에 있어서의 Qb 에서 탄소수가 2 개 적은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Qcc 는,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다.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R36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이고,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알킬기로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Qdd 는, 단결합 또는 알킬렌기이다.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8 이 바람직하고, 1 ∼ 4 가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Qdd 는, 단결합이 바람직하다.
R37 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yy 는, 1 ∼ 10 의 정수이고, 1 ∼ 6 의 정수가 바람직하다.
2 개 이상의 [CH2C(R36)(-Qdd-CH=CH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식 22 에 있어서의 Qcc, R36, R37, yy 와 Qdd 는, 이하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기 a 와 연결기 b 의 구조가 거의 동일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 점에서, 식 22 에 있어서의 Qcc, R36, R37, yy 는 각각, 식 12 에 있어서의 Qc, R32, R33, y 와 동일하고, 식 22 에 있어서의 Qdd 는, 식 12 에 있어서의 Qd 에서 탄소수가 2 개 적은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기 b 로서의 Z2 에 대해,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기 21-1 ∼ 21-6 에 있어서 -CH=CH2 를 제거한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4
기 21-1 은, -CH=CH2 를 1 개 갖는 경우의 Z2 의 예시이고, 기 21-1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Qaa1 은, (X39)ss1 이고, X39 는, -O-, 또는 -C(O)N(Rd)- 이다 (단, 식 중의 N 은 Qbb1 에 결합한다).
Rd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ss1 은, 0 또는 1 이다.
Qbb1 은,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O-, 실페닐렌 골격기,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또는 디알킬실릴렌기를 갖는 기이다. Qbb1 에 대해서는, 기 11-1 의 Qb1 보다 탄소수가 2 개 적은 기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Qbb1 로는, ss1 이 0 인 경우에는, -CH2OCH2-, -CH2OCH2CH2OCH2-, -CH2-, -CH2OCH2CH2CH2Si(CH3)2OSi(CH3)2- 가 바람직하다. (X39)ss1 이 -O- 인 경우에는, -CH2-, -CH2CH2OCH2- 가 바람직하다. (X39)ss1 이 -C(O)N(Rd)- 인 경우에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단, 식 중의 N 은 Qbb1 에 결합한다). Qbb1 이 이들 기이면 화합물을 제조하기 쉽다.
기 21-1 의 Qaa1 및 Qbb1 은, 연결기 a 와 연결기 b 의 구조가 거의 동일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 점에서, 기 11-1 에 있어서의 Qa1 및 Qb1 과 각각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 21-1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기 21-11 ∼ 21-14 를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 는, (OX2)m2 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기 21-11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2 로 분류된다. 기 21-12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1 로 분류되고, 기 21-13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3 으로 분류되고, 기 21-14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4 로 분류된다.
Figure pct00015
기 21-2 는, -CH=CH2 를 2 개 갖는 경우의 Z2 의 예시이고, 기 21-2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Qaa2 는, (X40)ss2-Qaa21 이고, X40 은, -O-, -NH-, 또는 -C(O)N(Rd)- 이다.
Rd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Qaa21 은, 단결합, 알킬렌기, -C(O)-,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C(O)-, -C(O)O-, -OC(O)- 혹은 -NH- 를 갖는 기이다.
Qaa21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1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a21 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C(O)-, -C(O)O-, -OC(O)- 또는 -NH- 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a21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 -CH2CH2-, -CH2CH2CH2-, -CH2OCH2CH2-, -CH2NHCH2CH2-, -CH2CH2OC(O)CH2CH2-, -C(O)- 가 바람직하다 (단, 우측이 N 에 결합한다.).
ss2 는, 0 또는 1 (단, Qaa21 이 단결합인 경우에는 0 이다.) 이다.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0 이 바람직하다.
Qbb2 는,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에테르성 산소 원자 혹은 -NH- 를 갖는 기이다. Qbb2 에 대해서는, 기 11-2 의 Qb2 보다 탄소수가 2 개 적은 기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Qbb2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 -CH2CH2OCH2- 가 바람직하다 (단, 우측이 -CH=CH2 에 결합한다.).
2 개의 [-Qbb2-CH=CH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기 21-2 의 Qaa12 및 Qbb2 는, 연결기 a 와 연결기 b 의 구조가 거의 동일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 점에서, 기 11-2 에 있어서의 Qa2 및 Qb2 와 각각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 21-2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기 21-21 ∼ 21-24 를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 는, (OX2)m2 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기 21-21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3 으로 분류된다. 기 21-22, 기 21-23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2 로 분류되고, 기 21-24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1 로 분류된다.
Figure pct00016
기 21-3 은,-CH=CH2 를 2 개 갖는 경우의, 기 21-2 와는 다른 Z2 의 예시이고, 기 21-3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Qaa3 은,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고,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단결합이 바람직하다.
Qaa3 으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a3 으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X37 은, 탄소 원자 또는 규소 원자이다.
Rgg 는, 수산기 또는 알킬기이다. Rgg 로 나타내는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4 가 바람직하다.
X37(Rgg)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OH) 또는 Si(Rgga) (단, Rgga 는 알킬기이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특히 바직하다.) 가 바람직하다.
Qbb3 은,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혹은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이다. Qbb3 에 대해서는, 기 11-3 의 Qb3 보다 탄소수가 2 개 적은 기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Qbb3 으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 -CH2CH2CH2CH2CH2CH2- 가 바람직하다.
2 개의 [-Qbb3-CH=CH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기 21-3 의 Qaa3, X37, Rgg 및 Qbb3 은, 연결기 a 와 연결기 b 의 구조가 거의 동일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 점에서, 기 11-3 에 있어서의 Qa3, X34, Rg 및 Qb3 과 각각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 21-3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기 21-31 ∼ 21-33 을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 는, (OX2)m2 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기 21-31 ∼ 21-33 중의 연결기는, 모두 연결기 b-3 으로 분류된다.
Figure pct00017
기 21-4 는, -CH=CH2 를 3 개 갖는 경우의 Z2 의 예시이고, 기 21-4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Qaa4 는, -[C(O)N(Rd)]ss4-Qaa41-(O)tt4 이다.
Rd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ss4 는, 0 또는 1 이다.
Qaa41 은,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다.
Qaa41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1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a41 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tt4 는, 0 또는 1 (단, Qaa41 이 단결합인 경우에는 0 이다.) 이다.
-Qaa41-(O)tt4-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ss4 가 0 인 경우에는, 단결합, -CH2O-, -CH2OCH2-,-CH2OCH2CH2O-, -CH2OCH2CH2OCH2-, -CH2OCH2CH2CH2CH2OCH2- 가 바람직하고 (단, 좌측이 (OX2)m2 에 결합한다.), ss4 가 1 인 경우에는, 단결합, -CH2-, -CH2CH2- 가 바람직하다.
Qbb4 는, -(O)uu4-Qbb41 이다. Qbb41 은,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O-, -C(O)N(Rd)- (Rd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실페닐렌 골격기,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또는 디알킬실릴렌기를 갖는 기, 혹은 알킬렌기와 그 알킬렌기의 (O)uu4 측 말단에 결합하는 -C(O)N(Rd)-, 디알킬실릴렌기 또는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이다. uu4 는, 0 또는 1 이다. Qbb41 에 대해서는, 기 11-4 의 Qb41 보다 탄소수가 2 개 적은 기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Qbb4-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 -CH2OCH2-, -CH2OCH2CH2CH2-, -OCH2-, -OSi(CH3)2CH2-, -OSi(CH3)2OSi(CH3)2CH2-, -CH2CH2CH2Si(CH3)2PhSi(CH3)2- 가 바람직하다 (단, 우측이 -CH=CH2 에 결합한다.).
3 개의 [-Qbb4-CH=CH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기 21-4 의 Qaa4 및 Qbb4 는, 기 11-4 에 있어서의 Qa4 및 Qb4 와 각각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 21-4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기 21-41 ∼ 21-44 를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 는, (OX2)m2 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기 21-41 ∼ 21-43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2 로 분류되고, 기 21-44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1 로 분류된다.
Figure pct00018
기 21-5 는, -CH=CH2 를 3 개 갖는 경우의, 기 21-4 와는 다른 Z2 의 예시이고, 기 21-5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Qaa5 는,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다.
Qaa5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a5 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a5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OCH2CH2CH2-, -CH2OCH2CH2OCH2CH2CH2-, -CH2CH2-, -CH2CH2CH2- 가 바람직하다 (단, 우측이 -CH=CH2 에 결합한다.).
Qbb5 는,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혹은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이다. Qbb5 에 대해서는, 기 11-5 의 Qb5 보다 탄소수가 2 개 적은 기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Qbb5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 -CH2CH2OCH2- 가 바람직하다 (단, 우측이 -CH=CH2 에 결합한다.).
3 개의 [-Qbb5-CH=CH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기 21-5 의 Qaa5 및 Qbb5 는, 연결기 a 와 연결기 b 의 구조가 거의 동일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 점에서, 기 11-5 에 있어서의 Qa5 및 Qb5 와 각각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 21-5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기 21-51, 기 21-52 를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 는, (OX2)m2 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기 21-51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2 로 분류된다. 기 21-52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3 으로 분류된다.
Figure pct00019
기 21-6 은, -CH=CH2 를 ww 개 갖는 경우의 Z2 의 예시이고, 기 21-6 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기 21-6 중의 연결기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 21-6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a-4 로 분류된다.
Qaa6 은, -[C(O)N(Rd)]vv-Qaa61 이다.
Rd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vv 는, 0 또는 1 이다.
Qaa61 은,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다.
Qaa61 로 나타내는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1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a61 로 나타내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의 탄소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2 ∼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Qaa61 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OCH2CH2CH2-, -CH2OCH2CH2OCH2CH2CH2-, -CH2CH2-, -CH2CH2CH2- 가 바람직하다 (단, 우측이 X38 에 결합한다.).
X38 은, (ww + 1)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이다.
ww 는, 2 ∼ 7 의 정수이다.
(ww + 1)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로는, 상기 기 11-6 에서 설명한 (w + 1)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와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Qbb6 은,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 혹은 2 가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를 갖는 기이다. Qbb6 에 대해서는, 기 11-6 의 Qb6 보다 탄소수가 2 개 적은 기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Qbb6 으로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CH2- 가 바람직하다.
ww 개의 [-Qbb6-CH=CH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기 21-6 은, -CH=CH2 를 ww 개 갖는 경우의 Z2 의 예시이고, 기 21-6 중의 연결기는, 연결기 b-4 로 분류된다.
화합물 2 는, 표면층의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식 2-2 로 나타내는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A2-(OX2)m2-Qaa-]j42Z42[-Qbb-CH=CH2]h42 식 2-2
식 2-2 중, A2, X2, m2, Qaa 및 Qbb 의 정의는, 식 2 중 및 식 21 중의 각 기의 정의와 동일한 의미이다.
Z42 는, (j42 + h42) 가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화수소기의 탄소-탄소 원자간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탄소수 2 이상이고 (j42 + h42) 가의 탄화수소기이다.
Z42 로는, 1 급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로부터 수산기를 제거한 잔기가 바람직하다.
Z42 로는, 원료의 입수 용이성의 점에서, 상기 기 Z-1 ∼ Z-5 가 바람직하다. 단, R34 는, 알킬기이고, 메틸기 또는 에틸기가 바람직하다.
j42 는 2 이상의 정수이고, 2 ∼ 5 의 정수가 바람직하다.
h42 는 1 이상의 정수이고, 2 ∼ 4 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2 또는 3 이 보다 바람직하다.
j42, Z42 및 h42 는, 각각, 식 1-2 에 있어서의 j32, Z32 및 h32 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B 로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 b 의 편방의 말단에 연결기 b 를 갖는 화합물이, 기판에 대한 밀착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화합물 B 로는, 비닐기의 수가 많으면 기판에 대한 밀착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화합물 B 로는, 연결기 b-1 을 개재하여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2 개 이상 연결된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수는, 상기와 동일하게 2 ∼ 10 개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5 개가 더욱 바람직하고, 2 또는 3 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합물 B 의 구체예로는, 화합물 2 에 있어서, A2 가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Z2[-CH=CH2]g2 가, 기 21-2, 기 21-4, 기 21-6 에서 선택되고, 연결기 b 인 Z2 가 연결기 b-1 로 분류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Z2[-CH=CH2]g2 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 21-24, 기 21-44 등을 들 수 있다. 또, 화합물 2-2 에 있어서, A2 가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Qbb 가 -C(O)N(Rd)- (단, Rd 는 상기와 동일하다) 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합물 B 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표면층의 내마찰성의 점에서, 500 ∼ 20,000 이 바람직하고, 800 ∼ 10,000 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 ∼ 8,000 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B 는, 예를 들어, 화합물 A 를 얻을 때에 사용하는 원료 성분이어도 된다. 화합물 A 는 전형적으로는, 가수분해성기와 수소 원자가 규소 원자에 결합한 실란 화합물, 예를 들어, HSi(R1)n1L1 3-n1 과 화합물 B 를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에 의해 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관계의 화합물 B 와 화합물 A 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화합물 B 가 갖는 연결기 b 는, 얻어지는 화합물 A 의 연결기 a 에 비해 탄소수가 2 개 적은 기가 된다.
예를 들어, 기 11-12 를 갖는 화합물 1 은, 기 21-12 를 갖는 화합물 2 와 HSi(OCH3)3 을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에 의해 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지는 화합물 1 에 있어서의 [A1-(OX1)m1-]j1 과 원료 화합물 2 의 [A2-(OX2)m2]j2 는 동일하다.
다른 화합물 A 에 있어서도, 대응하는 화합물 B 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 B 에 대해서도, 화합물 A 의 구체예가 기재된, 상기의 문헌에 구체예가 기재되어 있다.
본 조성물이 함유하는 화합물 B 는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
(본 조성물)
본 조성물은, 화합물 A 와 화합물 B 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화합물 B 를 상기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에 의해 화합물 A 로 할 때, 반응에 사용하는 화합물 B 의 양을 조정하여 얻어진 반응액으로부터, 화합물 B 와 화합물 A 이외의 성분을 제거하여 제조해도 된다. 또한, 반응에 사용하는 화합물 B 의 양은, 얻어지는 반응액이 화합물 A 와 화합물 B 를 소정의 비율로 함유하도록 조정한다.
본 조성물이 함유하는 화합물 A 의 1 몰에 대한 화합물 B 의 함유 비율은, 0.25 ∼ 0.40 몰이다. 본 조성물에 있어서는, 화합물 A 와 화합물 B 를 상기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주로 화합물 A 의 경화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층에 대한 화합물 B 에 의한 미끄러짐성의 부여와, 표면층으로부터의 화합물 B 자체의 탈리의 억제를 균형있게 달성할 수 있다. 화합물 A 의 1 몰에 대한 화합물 B 의 함유 비율은, 0.25 ∼ 0.35 몰이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에 있어서 화합물 A 는, 화합물 A 자체가 함유되어도 되고, 화합물 A 가 갖는 기 Y 가 가수분해성기를 갖는 경우에는 그 일부가 가수분해 반응한 상태, 또한 기 Y 가 실란올기를 갖는 경우에는 그 실란올기가, 또는 상기 가수분해 반응으로 생성된 실란올기가 부분적으로 축합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조성물이 함유하는 화합물 A 와 화합물 B 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50 ∼ 100 질량% 가 바람직하고, 90 ∼ 10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99 ∼ 10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99.5 ∼ 100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화합물 A 가 갖는 기 Y 의 가수분해와 축합 반응을 촉진하는 산 촉매나 염기성 촉매 등의 공지된 첨가제, 플루오로에테르 고리화체를 들 수 있다. 산 촉매로는, 염산, 질산, 아세트산, 황산, 인산, 술폰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촉매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다.
플루오로에테르 고리화체로는, 예를 들어, 화합물 C 를 들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pct00020
식 C 중, X3 은 플루오로알킬렌기, z 는 1 ∼ 200 의 정수이다. (OX3) 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OX3)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고, 또 그 결합 순서는 한정되지 않고, 랜덤, 교호, 블록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z 는 2 ∼ 150 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2 ∼ 100 의 정수가 특히 바람직하다.
X3 의 탄소수는 1 ∼ 6 이 바람직하다. X3 의 탄소수가 2 이상인 경우, 직사슬형이어도 되고 분기 사슬형이어도 상관없지만 직사슬형이 바람직하다. X3 은 내마찰성이 우수한 점에서는 퍼플루오로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X3 의 구체예로는, CF2, CHF, C2F4, C2HF3, CH2F2, C3F6, C3HF5, C3H2F4, C4F8, C4HF7, C4H2F6, C5F10, C5HF9, C5H2F8, C6F12, C6HF11, C6H2F12 를 들 수 있다.
1 개의 분자 내에 X3 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그 종류는, 2 ∼ 2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루오로에테르 고리화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 ∼ 5,000 이 바람직하다. 플루오로에테르 고리화체의 분자량 분포는 1 ∼ 1.5 가 바람직하다. 플루오로에테르 고리화체는, 수평균 분자량의 2 배 이상의 성분이, 2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루오로에테르 고리화체의 구체예로는 화합물 C-1 ∼ C-13 을 들 수 있다. 또한, 식 중의 z1 ∼ z12 는 바람직한 범위도 포함하여 상기 서술한 z 와 동일하다. 식 중의 p, q, r 및 d 는 각각 1 ∼ 197 로서, p + q + r + d 는 바람직한 범위도 포함하여 상기 서술한 z 와 동일하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21
임의 성분은, 화합물 A 및 화합물 B 의 제조 공정으로 생성한 부생성물 등의 불순물을 포함해도 된다. 임의 성분의 함유량은 본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임의 성분이 플루오로에테르 고리화체의 경우, 플루오로에테르 고리화체의 함유량은 본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코팅액]
본 발명의 코팅액 (이하, 「본 코팅액」 이라고도 기재한다.) 은, 본 조성물과 액상 매체를 포함한다. 본 코팅액은, 액상이면 되고, 용액이어도 되고 분산액이어도 된다.
본 코팅액에 있어서의 본 조성물의 함유량은, 본 코팅액 중, 0.001 ∼ 40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01 ∼ 2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 ∼ 1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0.01 ∼ 1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액상 매체)
액상 매체로는,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는, 함불소 유기 용매이어도 되고 비불소 유기 용매이어도 되고, 양 용매를 포함해도 된다.
함불소 유기 용매로는, 불소화 알칸, 불소화 방향족 화합물, 플루오로알킬에테르, 불소화 알킬아민, 플루오로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불소화 알칸으로는, 탄소수 4 ∼ 8 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는, C6F13H (AGC 사 제조, 아사히클린 (등록상표) AC-2000), C6F13C2H5 (AGC 사 제조, 아사히클린 (등록상표) AC-6000), C2F5CHFCHFCF3 (케마즈사 제조, 버트렐 (등록상표) XF) 등을 들 수 있다.
불소화 방향족 화합물로는, 헥사플루오로벤젠, 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퍼플루오로톨루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등을 들 수 있다.
플루오로알킬에테르로는, 탄소수 4 ∼ 12 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는, CF3CH2OCF2CF2H (AGC 사 제조, 아사히클린 (등록상표) AE-3000), C4F9OCH3 (3 M 사 제조, 노벡 (등록상표) 7100), C4F9OC2H5 (3 M 사 제조, 노벡 (등록상표) 7200), C2F5CF(OCH3)C3F7 (3 M 사 제조, 노벡 (등록상표) 7300) 등을 들 수 있다.
불소화 알킬아민으로는, 퍼플루오로트리프로필아민, 퍼플루오로트리부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플루오로알코올로는,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비불소 유기 용매로는, 수소 원자 및 탄소 원자만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과, 수소 원자, 탄소 원자 및 산소 원자만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탄화수소, 알코올, 케톤, 에테르,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액상 매체는, 2 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 매체이어도 된다.
액상 매체의 함유량은, 본 코팅액 중, 60 ∼ 99.999 질량% 가 바람직하고, 80 ∼ 99.999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90 ∼ 99.999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99 ∼ 99.999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물품]
본 발명의 물품 (이하, 「본 물품」 이라고도 기재한다.) 은, 본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층을 기재의 표면에 갖는다.
표면층의 두께는, 0.1 ∼ 100 ㎚ 가 바람직하고, 0.1 ∼ 5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표면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이면, 표면 처리에 의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쉽다. 표면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이용 효율이 높다. 표면층의 두께는, 박막 해석용 X 선 회절계 (RIGAKU 사 제조, ATX-G) 를 사용하여, X 선 반사율법에 의해 반사 X 선의 간섭 패턴을 얻고, 간섭 패턴의 진동 주기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기재로는, 발수 발유성의 부여가 요구되고 있는 기재를 들 수 있다. 기재의 재료로는, 금속, 수지, 유리, 사파이어, 세라믹, 돌, 이들의 복합 재료를 들 수 있다. 유리는 화학 강화되어 있어도 된다. 유리로는, 소다라임 유리, 알칼리알루미노규산염 유리, 붕규산 유리, 무알칼리 유리, 크리스탈 유리, 석영 유리가 바람직하고, 화학 강화된 소다 라임 유리, 화학 강화된 알칼리알루미노규산염 유리, 및 화학 강화된 붕규산 유리가 특히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로는,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기재의 표면에는 SiO2 막 등의 하지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는 본 물품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물품의 제조 방법]
본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본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재의 표면에 표면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드라이 코팅법이어도 되고 웨트 코팅법이어도 된다.
드라이 코팅법에 의해 표면층을 형성하는 경우, 본 조성물을 사용하여 드라이 코팅법에 의해 기재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웨트 코팅법에 의해 표면층을 형성하는 경우, 본 코팅액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표면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드라이 코팅법으로는, 물리적 증착법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퍼터링법), 화학적 증착법 (열 CVD 법, 플라즈마 CVD 법, 광 CVD 법), 이온 빔 스퍼터링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조성물 중의 화합물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점, 및 장치의 간편함의 점에서, 진공 증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진공 증착시에는, 철, 강 등의 금속 다공체에 본 조성물을 함침시킨 펠릿상 물질을 사용해도 된다. 본 코팅액을 철, 강 등의 금속 다공체에 함침시키고, 액상 매체를 건조시켜, 본 조성물이 함침한 펠릿상 물질을 사용해도 된다.
웨트 코팅법에 있어서 본 코팅액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핀 코트법, 와이프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스퀴지 코트법, 딥 코트법, 다이 코트법, 잉크젯법, 플로우 코트법, 롤 코트법, 캐스트법, 랭뮤어·블로젯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표면층 형성 후, 표면층의 내마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가열, 가습, 광 조사 등의 후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표면층 중에 화합물 A 의 기 Y 에서 유래하는 미반응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가수분해성기나 수산기, 또는 가수분해 후의 실란올기 등이 존재하고 있었을 경우에, 그들 가수분해 반응이나 가수분해성기의 축합 반응이 촉진되어, 충분히 경화된 표면층이 얻어진다.
본 물품이 기재 상에 갖는 표면층은, 우수한 발수 발유성을 가짐과 함께, 그 발수 발유성은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하고, 장기 사용에 있어서도 발수 발유성이 잘 저하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 A 및 화합물 B 의 제조]
(화합물 A-1 및 화합물 B-1)
국제 공개 제2013/121984호의 예 6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1 및 화합물 B-1 을 얻었다.
Figure pct00022
단위수 x3 의 평균값 : 7, Mn : 2,900.
Figure pct00023
단위수 x3 의 평균값 : 7, Mn : 2,780.
(화합물 A-2 및 화합물 B-2)
이하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화합물 B-2 를 사용하여, 국제 공개 제2018/043166 의 단락 0087 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화합물 A-2 를 얻었다. 국제 공개 제2013/121984호의 예 6 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CF3-(OCF2CF2OCF2CF2CF2CF2)x3OCF2CF2OCF2CF2CF2-C(=O)OCH3 의 10.0 g 을 얻었다. 계속해서, 디알릴아민의 1.54 g, 4-피롤리디노피리딘의 1.12 g, AC-2000 의 3 g 을 첨가하고 0 ℃ 에서 200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실리카 겔 칼럼으로 정제하고, AC-2000 을 이배퍼레이터로 제거함으로써, 화합물 B-2 를 얻었다.
Figure pct00024
단위수 x3 의 평균값 : 13, Mn : 5,040.
Figure pct00025
단위수 x3 의 평균값 : 13, Mn : 4,790.
(화합물 A-3 및 화합물 B-3)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의 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3 및 화합물 B-3 을 얻었다.
Figure pct00026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810.
Figure pct00027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450.
(화합물 A-4 및 화합물 B-4)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의 예 8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4 및 화합물 B-4 를 얻었다.
Figure pct00028
단위수 x4 의 평균값 : 6, Mn : 1,920.
Figure pct00029
단위수 x4 의 평균값 : 6, Mn : 1,550.
(화합물 A-5 및 화합물 B-5)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의 예 10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5 및 화합물 B-5 를 얻었다.
Figure pct00030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310.
Figure pct00031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190.
(화합물 A-6 및 화합물 B-6)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의 예 1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6 및 화합물 B-6 을 얻었다.
Figure pct00032
단위수 x3 의 평균값 : 13, Mn : 5,400.
Figure pct00033
단위수 x3 의 평균값 : 13, Mn : 4,800.
(화합물 A-7 및 화합물 B-7)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의 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7 및 화합물 B-7 을 얻었다.
Figure pct00034
단위수 x3 의 평균값 : 13, Mn : 5,400.
Figure pct00035
단위수 x3 의 평균값 : 13, Mn : 4,800.
(화합물 A-8 및 화합물 B-8)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의 예 13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8 및 화합물 B-8 을 얻었다.
Figure pct00036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600.
Figure pct00037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250.
(화합물 A-9 및 화합물 B-9)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의 예 14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9 및 화합물 B-9 를 얻었다.
Figure pct00038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600.
Figure pct00039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250.
(화합물 A-10 및 화합물 B-10)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의 예 16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10 및 화합물 B-10 을 얻었다.
Figure pct00040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720.
Figure pct00041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360.
(화합물 A-11 및 화합물 B-11)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의 예 48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11 및 화합물 B-11 을 얻었다.
Figure pct00042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900.
Figure pct00043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540.
(화합물 A-12 및 화합물 B-12)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의 예 49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12 및 화합물 B-12 를 얻었다.
Figure pct00044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850.
Figure pct00045
단위수 x1 의 평균값 : 21, 단위수 x2 의 평균값 : 20, Mn : 4,490.
(화합물 A-13 및 화합물 B-13)
국제 공개 제2017/038830호의 예 50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13 및 화합물 B-13 을 얻었다.
Figure pct00046
단위수 x3 의 평균값 : 13, Mn : 5,400.
Figure pct00047
단위수 x3 의 평균값 : 13, Mn : 5,040.
(화합물 A-14 및 화합물 B-14)
이하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화합물 B-14 를 사용하여 일본 특허 제5761305호의 합성예 3 ∼ 4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14 를 얻었다. 일본 특허 제5761305호의 합성예 1 ∼ 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B-14 를 얻었다.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화합물 A-15 및 화합물 B-15)
이하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화합물 B-15 를 사용하여 일본 특허 제6296200호의 합성예 3 ∼ 4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15 를 얻었다. 일본 특허 제6296200호의 합성예 1 ∼ 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B-15 를 얻었다.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화합물 A-16 및 화합물 B-16)
이하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화합물 B-16 을 사용하여 일본 특허 제6296200호의 합성예 7 ∼ 8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A-16 을 얻었다. 일본 특허 제6296200호의 합성예 5 ∼ 6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B-16 을 얻었다.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상기에서 얻은 화합물 A-1 ∼ A-16 에 있어서의 연결기 + 기 Y (말단기) 의 구조의 약칭, 연결기의 분류 및 기 Y 의 수를 표 1 에 나타낸다. 동일하게 화합물 B-1 ∼ B-16 에 있어서의 연결기 +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말단기) 의 구조의 약칭, 연결기의 분류 및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수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비교예용 화합물]
(화합물 Cf-1 및 화합물 Cf-2)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을 갖지만 화합물 A, 화합물 B 중 어느 것도 아닌 이하의 화합물 Cf-1 및 화합물 Cf-2 를 비교예용으로 준비하였다.
화합물 Cf-1 : CF3CF2-(OCF2CF2CF2)10.9OCF2CF2-CH2OH (순도 86.9 질량%, PFPE 모노알코올, 다이킨 공업사 제조)
화합물 Cf-2 : CF3CF2CF2-(OCF2CF2CF2)5OCF2CF3 (Mn : 1,100. 국제 공개 제2016/092900호의 실시예 2 에 따라 제조)
[예 1 ∼ 25]
상기에서 얻은 화합물 A-1 ∼ A-16, 화합물 B-1 ∼ B-16, 화합물 Cf-1 ∼ Cf-2 를 표 3 에 나타내는 조합, 비율로 혼합하여 예 1 ∼ 25 의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예 1 ∼ 19 가 실시예이고, 예 20 ∼ 25 가 비교예이다. 예 1 에서 얻은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을 이하 「조성물 1」 로 표기한다. 다른 예에 의해 얻어진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도 동일하게 표기한다.
Figure pct00056
[예 26]
조성물 1 과 액상 매체로서의 C4F9OC2H5 (노벡-7200 : 제품명, 3 M 사 제조) 를 혼합하여, 코팅액 중 조성물 1 의 함유량이 0.1 질량% 인 코팅액 1 을 조제하였다. 기재로는 무알칼리 유리 (이글 XG : 제품명, 코닝사 제조, 50 ㎜ × 50 ㎜, 두께 0.5 ㎜) 를 준비하였다.
기재의 일방의 주면에 노드슨사 제조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코팅액 1 을 도포량 6.0 g/초로 스프레이 코트한 후, 기재 상에 형성된 코팅액 1 의 도막을 120 ℃ 에서 10 분간 건조시켜, 표면층이 형성된 기재를 얻었다. 표면층의 두께는 10 ㎚ 이었다.
[예 27 ∼ 50]
조성물 1 대신에 조성물 2 ∼ 2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26 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층이 형성된 기재를 얻었다. 표면층의 두께는, 모두 10 ㎚ 이었다.
[예 51]
진공 증착 장치 내에 예 26 과 동일한 기재를 배치하고, 진공 증착 장치 내를 5 × 10-3 ㎩ 이하의 압력이 될 때까지 배기하였다. 기재의 일방의 주면에 대향하도록 거리 1,000 ㎜ 의 위치에 조성물 5 를 수용한 증착용 용기를 저항 가열에 의해 300 ℃ 로 가열하고, 조성물 5 를 진공 증착시켜 두께 10 ㎚ 의 표면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조성물 5 의 온도는, 300 ℃ 이었다. 그 후, 얻어진 표면층이 형성된 기재를, 온도 200 ℃ 에서 30 분간 가열 (후처리) 하였다.
[예 52, 53]
조성물 5 대신에 각각 조성물 20 및 조성물 2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51 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층이 형성된 기재를 얻었다. 표면층의 두께는 모두 10 ㎚ 로 하였다.
상기에 있어서, 예 26 ∼ 44 및 예 51 이 실시예이고, 예 45 ∼ 50, 예 52 및 예 53 이 비교예이다.
[평가]
상기 예 26 ∼ 53 에서 얻은 표면층이 형성된 기재의 표면층에 대해, 이하의 방법으로, 초기의 물 접촉각, 마찰 시험 후의 물 접촉각, 초기의 동마찰 계수, 세정 시험 후의 동마찰 계수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이하의 평가에 있어서 표면층의 표면은, 모두, 표면층의 공기측의 표면이다. 결과를, 각 예에 있어서의 표면층이 형성된 기재의 제조 방법과 함께 표 4 에 나타낸다.
(물 접촉각 측정 방법)
표면층의 표면에 둔, 약 2 ㎕ 의 증류수를, 접촉각 측정 장치 DM-500 (쿄와 계면 과학사 제조)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면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이한 5 지점에서 측정을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접촉각의 산출에는 2θ 법을 사용하였다.
<초기 물 접촉각>
표면층의 표면에 대해, 초기의 물 접촉각을 상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마찰 시험 후 물 접촉각>
표면층의 표면에 대해, JIS L0849 : 2013 (ISO 105-X12 : 2001) 에 준거하여 왕복식 트래버스 시험기 (다이에이 정기사 제조) 를 사용하여, 스틸 울 본스타 (번수 (番手) : #0000, 치수 : 5 ㎜ × 10 ㎜ × 10 ㎜) 를 하중 : 9.8 N, 빈도 : 60 ㎐ 로 10,000 회 왕복시키는 마찰 시험을 실시하였다. 마찰 시험 후의 표면층의 표면에 대해, 물 접촉각을 상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 마찰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물 접촉각의 변화량을 산출하였다. 마찰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물 접촉각의 변화량은, 초기 물 접촉각-마찰 시험 후 물 접촉각으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측정되는 초기의 물 접촉각이 105 도 이상, 마찰 시험 후의 물 접촉각이 104 도 이상, 마찰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물 접촉각의 변화량이 10 도 이하이면 실용상 문제 없다. 상기 측정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또한, 표면층의 초기의 물 접촉각 및 마찰 시험 후의 물 접촉각은 모두 110 도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마찰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물 접촉각의 변화량은 5 도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층의 물 접촉각은, 높을수록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동마찰 계수)
표면층의 표면에 대해, 인공 피혁 (이데미츠 테크노파인사 제조, PBZ13001) 에 대한 동마찰 계수를, 하중 변동형 마찰 마모 시험 시스템 HHS2000 (신토 과학사 제조) 을 사용하여, 접촉 면적 3 ㎝ × 3 ㎝, 하중 ; 0.98 N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초기의 동마찰 계수>
표면층의 표면에 대해, 초기의 동마찰 계수를 상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세정 시험 후의 동마찰 계수>
표면층이 형성된 기재를 AGC 사 제조 AE-3000 으로 초음파 세정 (주파수 : 37 ㎐, 시간 : 10 분, 온도 : 25 ℃) 하는 세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세정 시험 후의 표면층의 표면에 대해, 동마찰 계수를 상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 세정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변화량을 산출하였다. 세정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변화량은, 세정 시험 후 동마찰 계수-초기 동마찰 계수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측정되는 초기의 동마찰 계수가 1.9 이하, 세정 시험 후의 동마찰 계수가 1.9 이하, 세정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변화량이 0.5 이하이면 실용상 문제 없다. 상기 측정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또한, 표면층의 초기의 동마찰 계수는 1.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세정 시험 후의 동마찰 계수는 1.7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세정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변화량은 0.2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57
표 4 로부터, 실시예인 예 26 ∼ 44 및 예 51 에서 얻은 표면층이 형성된 기재의 표면층에 대해서는, 우수한 발수성을 갖고, 그 발수성은 내마찰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중 예 28 및 예 29 에서는, 화합물 A 와 화합물 B 에 있어서의 연결기의 종류가 상이한 조합의 조성물 3 및 조성물 4 를 각각 사용하고 있지만, 예 28 및 예 29 이외에서는, 화합물 A 와 화합물 B 에 있어서의 연결기의 종류가 동일한 조합의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예 28 및 예 29 에 비해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면층이 형성된 기재의 표면층은, 보다 내마찰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조성물은 윤활성이나 발수 발유성의 부여가 요구되고 있는 각종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송 기기용 물품, 정밀 기기용 물품, 광학 기기용 물품, 건축용 물품 또는 전자 기기용 물품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송 기기용 물품의 구체예로는, 전철, 자동차, 선박 및 항공기 등에 있어서의 외장 부재, 내장 부재, 유리 (예를 들어,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및 리어 유리), 미러, 타이어 휠을 들 수 있다. 정밀 기기용 물품의 구체예로는, 촬영 기기에 있어서의 창재 (窓材) 를 들 수 있다. 광학 기기용 물품의 구체예로는, 렌즈를 들 수 있다. 건축용 물품의 구체예로는, 창, 플로어재, 벽재, 도어재를 들 수 있다. 전자 기기용 물품의 구체예는, 통신용 단말 또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유리,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반사 방지 필름, 지문 센서, 터치 패널을 들 수 있다.
본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사용예로는, 터치 패널 등의 표시 입력 장치 ; 투명한 유리제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제 부재의 표면 보호 코트, 키친용 방오 코트 ; 전자 기기, 열교환기, 전지 등의 발수 방습 코트나 방오 코트, 토일리트리용 방오 코트 ; 도통하면서 발액이 필요한 부재에 대한 코트 ; 열교환기의 발수·방수·활수 코트 ; 진동체나 실린더 내부 등의 표면 저마찰 코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전면 보호판, 반사 방지판, 편광판, 안티글레어판, 혹은 그들의 표면에 반사 방지막 처리를 실시한 것,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등의 기기의 터치 패널 시트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등 사람의 손가락 혹은 손바닥으로 화면 상의 조작을 실시하는 표시 입력 장치를 갖는 각종 기기, 화장실, 목욕탕, 세면소, 키친 등의 배수 설비의 장식 건재, 배선판용 방수 코팅 열교환기의 발수·방수 코트, 태양 전지의 발수 코트, 프린트 배선판의 방수·발수 코트, 전자 기기 케이싱이나 전자 부품용의 방수·발수 코트, 송전선의 절연성 향상 코트, 각종 필터의 방수·발수 코트, 전파 흡수재나 흡음재의 방수성 코트, 목욕탕, 주방 기기, 토일리트리용 방오 코트, 열교환기의 발수·방수·활수 코트, 진동체나 실린더 내부 등의 표면 저마찰 코트, 기계 부품, 진공 기기 부품, 베어링 부품, 자동차 부품, 공구 등의 표면 보호 코트를 들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상기 특성을 가지므로, 이들 용도 중에서도 특히 터치 패널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닿는 면을 구성하는 부재의 그 면에 표면층을 갖는 터치 패널로 하면, 효과는 현저하다.
또한, 2018년 10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190427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11)

  1.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규소 원자에 가수분해성기 및/또는 수산기가 결합한 기를 갖는 화합물 A 와,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고, 규소 원자에 가수분해성기 및/또는 수산기가 결합한 기를 갖지 않는 화합물 B 를 포함하는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서,
    상기 화합물 A 의 1 몰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 B 를 0.25 ∼ 0.40 몰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A 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규소 원자에 가수분해성기 및/또는 수산기가 결합한 기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기를 갖고, 상기 화합물 B 는 폴리(옥시플루오로알킬렌) 사슬과 말단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기를 갖고, 상기 화합물 A 가 갖는 연결기 및 상기 화합물 B 가 갖는 연결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미드 결합을 갖는 기 (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및 실페닐렌 골격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 (단, 아미드 결합,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잔기 및 실페닐렌 골격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는 탄소-탄소 원자간에 규소 원자 혹은 질소 원자를 포함해도 되는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기인,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A 가 갖는 연결기 및 상기 화합물 B 가 갖는 연결기는, 모두 상기 아미드 결합을 갖는 기이고, 모두 상기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이고, 또는 모두 상기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기인,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A 가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고, 상기 화합물 B 가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A1-(OX1)m1-]j1Z1[-Si(R1)n1L1 3-n1]g1 식 1
    단, 식 1 중,
    A1 은,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Q1[-Si(R1)n1L1 3-n1]k1 이고,
    X1 은, 1 개 이상의 불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m1 은, 2 ∼ 200 의 정수이고,
    j1, g1, k1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Z1 은, (j1 + g1) 가의 연결기이고,
    R1 은, 1 가의 탄화수소기이고,
    L1 은, 가수분해성기 또는 수산기이고,
    n1 은, 0 ∼ 2 의 정수이고,
    Q1 은, (k1 + 1) 가의 연결기이다.
    [A2-(OX2)m2-]j2Z2[-CH=CH2]g2 식 2
    단, 식 2 중,
    A2 는,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Q2[-CH=CH2]k2 이고,
    X2 는, 1 개 이상의 불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m2 는, 2 ∼ 200 의 정수이고,
    j2, g2, k2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고,
    Z2 는, (j2 + g2) 가의 연결기이고,
    Q2 는, (k2 + 1) 가의 연결기이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A 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 ∼ 8000 인,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B 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 ∼ 8000 인,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과,
    액상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액.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층을 기재의 표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9. 제 8 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손가락으로 닿는 면을 구성하는 부재의 표면에 상기 표면층을 갖는, 물품.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을 사용한 드라이 코팅법에 의해 기재의 표면을 처리하여, 상기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층을 상기 기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11. 웨트 코팅법에 의해 제 7 항에 기재된 코팅액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상기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로 형성된 표면층을 상기 기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217001649A 2018-10-05 2019-09-30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71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90427 2018-10-05
JPJP-P-2018-190427 2018-10-05
PCT/JP2019/038596 WO2020071330A1 (ja) 2018-10-05 2019-09-30 含フッ素エーテル組成物、コーティング液、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937A true KR20210071937A (ko) 2021-06-16

Family

ID=7005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649A KR20210071937A (ko) 2018-10-05 2019-09-30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96927B2 (ko)
KR (1) KR20210071937A (ko)
CN (1) CN112789325B (ko)
WO (1) WO20200713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1655B2 (ja) * 2020-04-21 2023-08-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被膜の耐候性を評価する方法、該被膜の製膜方法及び該被膜を有する物品
JP7385058B2 (ja) * 2021-06-18 2023-11-21 キヤノンオプトロン株式会社 表面層、光学部材、眼鏡、及び表面層形成用材料
CN114773376B (zh) * 2022-03-17 2022-12-23 江苏中新瑞光学材料有限公司 三(亚甲基氧丙基三甲氧基硅烷基)氨基甲烷的制备方法
WO2024038873A1 (ja) * 2022-08-18 2024-02-22 Agc株式会社 化合物、組成物、表面処理剤、コーティング液、物品、及び物品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430A1 (en) 2009-11-11 2011-05-19 Essilor International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surface-treated article
WO2013042733A1 (ja) 2011-09-21 2013-03-28 旭硝子株式会社 含フッ素エーテル組成物、その製造方法、コーティング液、および表面処理層を有する基材の製造方法
JP2016132719A (ja) 2015-01-19 2016-07-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パーフルオロ(ポリ)エーテル基含有シラン化合物を含む表面処理剤
JP6172410B2 (ja) 2016-01-26 2017-08-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2410A (ja) * 1992-12-08 1994-06-21 Tosoh Corp エチレン−塩化ビニル共重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組成物
US20050277731A1 (en) * 2004-06-11 2005-12-15 Shin-Etsu Chemical Co., Ltd. Curable perfluoropolyether compositions and rubber or gel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US10858478B2 (en) * 2015-08-31 2020-12-08 Daikin Industries, Ltd. Perfluoro(poly)ether group containing silane compound
KR20180044282A (ko) * 2015-09-01 2018-05-02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및 물품
EP3533818B1 (en) * 2016-10-27 2024-01-17 Daikin Industries, Ltd. Perfluoro(poly)ether group-containing silane compound
JP6705390B2 (ja) * 2017-01-30 2020-06-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された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430A1 (en) 2009-11-11 2011-05-19 Essilor International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surface-treated article
WO2013042733A1 (ja) 2011-09-21 2013-03-28 旭硝子株式会社 含フッ素エーテル組成物、その製造方法、コーティング液、および表面処理層を有する基材の製造方法
JP2016132719A (ja) 2015-01-19 2016-07-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パーフルオロ(ポリ)エーテル基含有シラン化合物を含む表面処理剤
JP6172410B2 (ja) 2016-01-26 2017-08-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6927B2 (ja) 2022-12-27
WO2020071330A1 (ja) 2020-04-09
JPWO2020071330A1 (ja) 2021-09-16
CN112789325B (zh) 2023-03-28
CN112789325A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6826B1 (ko)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및 물품
KR102584013B1 (ko)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1977B1 (ko)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EP2154176B1 (en) Perfluoroether moiety-containing polymer and a surface treating agent comprising the same
CN103773202B (zh) 涂覆剂组合物、包含该组合物的表面处理剂和利用该表面处理剂表面处理后的物品
KR102441819B1 (ko) 내열성을 가진 발수발유 처리제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물품
KR20210071937A (ko)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582200B1 (ko)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599697B1 (ko)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WO2019049754A1 (ja) 含フッ素化合物、組成物および物品
KR20210124226A (ko)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물품의 제조 방법, 및 함불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2628576B1 (ko) 함불소 에테르 화합물,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7392667B2 (ja) 含フッ素エーテル組成物、コーティング液、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9208503A1 (ja) 含フッ素エーテル化合物、それを含む組成物、コーティング液及び物品
WO2018151055A1 (ja) 含フッ素エーテル組成物、コーティング液および物品
KR20210002456A (ko) 조성물 및 물품
JP6690675B2 (ja) 化合物、組成物、表面処理剤、物品および化合物の製造方法
KR20210127151A (ko) 조성물 및 물품
KR20210096122A (ko) 함불소 화합물, 함불소 화합물 함유 조성물, 코팅액,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060199A1 (ja) 含フッ素エーテル組成物、コーティング液、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合物
CN109563338B (zh) 组合物
KR102559704B1 (ko) 증착용 함불소 에테르 조성물, 그리고 증착막이 형성된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6635229B2 (ja) 含フッ素エー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JP6741170B2 (ja) 含フッ素エー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物品の製造方法
KR20230067603A (ko) 조성물, 표면층이 형성된 기재, 표면층이 형성된 기재의 제조 방법, 화합물 및 화합물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