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099A -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099A
KR20210069099A KR1020217013321A KR20217013321A KR20210069099A KR 20210069099 A KR20210069099 A KR 20210069099A KR 1020217013321 A KR1020217013321 A KR 1020217013321A KR 20217013321 A KR20217013321 A KR 20217013321A KR 20210069099 A KR20210069099 A KR 20210069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old
bending
frame
bend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뛰르 팔멍띠에
아쉼 자이슈너
잭 패너스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1006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6Gravity 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7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suction without blowing, e.g. with vacuum or by venturi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트는 벤딩 챔버에서 몰드의 접촉 표면에 고정되고 몰드에 의해 프레임에 배치되며, 여기서 몰드는 벤딩 챔버내에서 시트를 고정하기 전에, 고정된 시트 없이 벤딩 챔버 안으로 도입되고, 시트를 프레임 상에 배치한 후에, 고정 시트 없이 벤딩 챔버에서 제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를 벤딩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벤딩 챔버, 벤딩 챔버에 고정되어 있고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 표면을 갖고, 벤딩 챔버에서 시트를 처리하는 동안 벤딩 챔버에 영구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몰드 및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 표면을 갖고 벤딩 챔버에서 시트를 처리하는 동안 벤딩 챔버 외부에 때때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가능한 몰드를 포함한다. 이송 가능한 몰드는 이동형 몰드 캐리어에 고정되며, 여기서 이송 가능한 몰드는 벤딩 챔버로 도입될 수 있으며 몰드 캐리어를 이동하여 벤딩 챔버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이송 가능한 몰드(7)는 그 위에 시트(52)가 고정되지 않고서 벤딩 챔버(2)에 도입되고, 그 위헤 시트가(52)가 고정되지 않고서 벤딩 챔버(2)에서 제거되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시트 생산의 기술 분야에 있으며,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벤딩 방법들이, 그중에서 많은 방법들이 이미 특허 문헌에 나타나 있고 판유리의 산업 연속 생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WO2012/080072는 가장자리 영역과 내부 영역에서 판유리의 점진적인 벤딩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판유리는 먼저 사전 벤딩 링(pre-bending ring)에서 가열로(furnace)로 이동되며, 여기서 판유리의 가장자리는 미리 벤딩되어 있고, 그 후 제1 흡입 장치로 판유리 가장자리를 더 구부리고, 최종 최종 벤딩 링의 표면에 판유리를 위치시키고 벤딩시킨 후, 제2 흡입 장치로 원하는 최종 형상으로 벤딩을 마무리 한다.
WO2004/087590 및 WO2006072721에서, 먼저 벤딩 프레임에서 판유리를 중력으로 미리 벤딩시키고, 그 후 상부 또는 하부 몰드를 사용하여 가압 벤딩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EP255422 및 US5906668은 각 경우 상부 몰드에 대한 흡입으로 판유리의 벤딩을 설명한다.
EP1550639A1, US2009/084138A1 및 EP2233444A1은 각 경우 고정 캐리어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 상에서 벤딩 스테이션들 사이로 가압 프레임이 이송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한다.
WO2007/050297A2는 시트가 가열 구역에서 벤딩 온도로 가열되는 유리 벤딩 장치를 개시한다. 그 후, 가열된 시트는 이송 플레이트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가열 구역에서 벤딩 챔버로 이송되어 가압 링에 위치된다. 시트는 그 후 벤딩 몰드에 의해 가압 몰딩된다. 유사한 장치는 US4662925A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판유리를 벤딩하기 위한 비교적 간결한 시스템이 필요하고, 유리판은 비교적 짧은 사이클 시간과 낮은 생산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매우 높은 품질 요구사항을 갖는 복잡하게 벤딩된 시트들이 생산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광학적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단계 시트 벤딩으로만 실현될 수 있고 여러 개의 몰드의 사용을 요구한다. 판유리를 벤딩하기 위한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기존의 시스템을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벤딩 프로세스의 변경된 요구사항에 빠르고 비용-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대등한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판유리 벤딩 방법 및 장치에 의해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명백하다.
용어 “시트”는 일반적으로 판유리, 특히 열 강화된 소다 석회 유리를 의미한다.
용어 “사전 벤딩(pre-bending)”은 시트의 정의되거나 정의가능한 최종 벤딩(최종 형상 또는 최종 모양)에 대한 시트의 불완전한 벤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전 벤딩은 최종 벤딩의 10% 내지 80%를 차지할 수 있다. “가장자리 사전 벤딩(edge pre-bending)”으로 사용될 때, 이 용어는 시트 가장자리에 인접한 시트의 주변 가장자리 영역, 일반적으로 스트립형 방식으로 시트를 둘러싸는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시트의 불완전한 벤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트립 폭은 3 mm 내지 150 mm 사이이다. 시트 가장자리는 각 경우 일반적으로 시트의 두 개의 대향하는 주표면에 수직인 끝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표면 사전 벤딩(surface pre-bending)”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 용어는 가장자리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고, 가장자리 영역에 직접 인접한 시트의 중앙 또는 내부 영역에서의 시트의 불완전한 벤딩을 의미한다. 대조적으로, 용어 “최종 벤딩(final bending)”은 시트의 완전한 벤딩을 의미한다. “가장자리 최종 벤딩(edge final bending)”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 용어는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완전한 벤딩을 의미하고; “표면 최종 벤딩(surface final bending)”으로 사용되는 경우, 시트의 내부 영역에서의 완전한 벤딩을 의미한다.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가열된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벤딩 챔버를 포함하며, 시트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가 유리하게 장착된다. 특히, 이를 위해, 벤딩 챔버는 시트의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을 가능하게 하는 온도(연화 온도)가 될 수 있고, 유리의 경우, 전형적으로 600℃ 내지 800℃ 범위에 있다. 벤딩 챔버는 벤딩 챔버 공동(bending chamber cavity)를 가지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절연된 벽으로 완전히 둘러ㅆㆍ여있다. 벤딩 챔버 공동는 벤딩 챔버 공동로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벤딩 챔버 도어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 표면(contact surface)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위치 고정) 몰드가 벤딩 챔버에 배치된다. 여기 및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정 몰드”는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시트가 벤딩 챔버에 위치하는 기간동안 벤딩 챔버로 도입되거나 벤딩 챔버에서 제거되지 않고, 대신 벤딩 챔버에 영구적으로(중단없이) 남아 있는 몰드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고정 몰드는 적어도 벤딩 챔버에서 처리될 시트의 제공으로부터 프레임형 캐리어(템퍼링 프레임) 상의 시트가 벤딩 챔버로부터 냉각 장치(벤딩 챔버 외부에 위치)로 이송까지의 적어도 시간동안 벤딩 챔버에 영구적으로 남아 있다. 고정 몰드는 벤딩 챔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수는 아니지만, 벤딩 챔버는 단일 고정 몰드만을 포함한다.
벤딩 챔버에서 시트를 가공하는 동안 벤딩 챔버에 영구적으로 남아 있는 고정 몰드 외에도,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장치는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 표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이송 가능한 몰드를 포함한다. 여기 및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송 가능한 몰드(transportable mold)”는, 하나의 동일한 시트가 벤딩 챔버에 위치하는 기간동안, 벤딩 챔버에 영구적으로 배치되지 않고, 때때로, 벤딩 챔버 외부에 위치하며 벤딩 챔버로 도입되고, 이송 가능한 몰드에 고정된 시트 없이 도입되고, 이송 가능한 몰드에 고정된 시트 없이 벤딩 챔버로부터 제거되는 몰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벤딩 챔버로 이송 가능한 몰드를 도입하고, 벤딩 챔버에서 이송 가능한 몰드를 제거하는 것은 항상 이송 가능한 몰드에 고정된 시트 없이 수행된다. 이송 가능한 몰드에 시트를 고정하는 것은 벤딩 챔버 내에서만 수행되고, 벤딩 챔버 외부, 특히 시트를 벤딩하는 것에 적합한 온도(유리의 연화 온도)로 가열하는 데 사용되는 예열 구역에서는 수행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이송 가능한 몰드는 시트를 벤딩 챔버로 또는 벤딩 챔버 밖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즉, 이송 가능한 몰드는 벤딩 챔버 내로 도입되고, 벤딩 챔버 내의 고정 몰드에 시트를 고정하는 것과 벤딩 챔버 내의 고정 몰드에 다른 시트를 바로 다음에 고정하는 것, 즉 벤딩 챔버 내의 고정 몰드에 두 시트를 바로 연속적으로 고정하는 것 사이에 이송 가능한 몰드에 고정된 시트 없이 벤딩 챔버로부터 제거된다. 이송 가능한 몰드는 바람직하게는 이동가능한 몰드 캐리어 상에 고정된다. 몰드 캐리어는 이송 가능한 몰드가 벤딩 챔버로 도입될 수 있고, 몰드 캐리어를 이동시킴으로써 벤딩 챔버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벤딩 챔버에 대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시트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벤딩 챔버 내로 이송 가능한 몰드가(시트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벤딩 챔버 외부로 이동하는 것은 배타적으로 수평이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이송 가능한 몰드 상에 고정된 시트를 갖는 벤딩 챔버 내에서 이송 가능한 몰드의 이동은 배타적으로 수직이다.
고정 몰드와 이송 가능한 몰드는 각각의 경우 시트 성형을 위한 역할을 하며, 여기서 각각의 몰드는 일반적으로 시트를 고정하고, 선택적으로 프레임형(시트) 캐리어(예를 들어, 환형 캐리어, 이하 “프레임”이라고 함)와 협력하여 시트를 가압(압축 몰딩)하는 역할을 하는 접촉 표면을 갖는다. 특히, 이송 가능한 몰드는 가압 프레임과 협력하여 시트를 압축 성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용어 “고정”은 몰드의 접촉 표만 상에 시트를 고정시키는 것을 말하며, 여기서 시트는 접촉 표면에 대해 가압되고/거나 접촉 표면에 의해 끌려갈 수 있고, 특히 흡입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몰드의 접촉 표면은 시트가 여러 단계를 포함하는 벤딩 공정에서 원하는 벤딩을 얻을 수 있도록 구현된다(벤딩 작업). 접촉 표면은 외부 표면 섹션과 내부 표면 섹션을 갖거나 외부 및 내부 표면 섹션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표면의 외부 표면 섹션은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가장자리 최종 벤딩을 위해 적합하게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표면 섹션은 가장자리 영역으로 둘러싸인 시트의 중앙 또는 내부 영역에서 표면 사전 벤딩 또는 표면 최종 벤딩을 위해 적합하게 설계된다. 접촉 표면의 외부 표면 섹션과 관련하여 “적절하게 설계된”이라는 문구는 외부 표면 섹셔닝 외부 표면 섹션에 대한 접합 또는 시트를 가압하여 시트의 가장자리 최종 벤딩이 생성될 수 있도록 성형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시트는 반드시 가장자리 최종 벤딩을 받을 필요는 없고; 대신, 가장자리 사전 벤딩만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법의 추가 과정이 진해오딜 때까지 가장자리 최종 벤딩이 생성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외부 표면 섹션은 가장자리 최종 벤딩된 시트의 모양을 보완하는 모양을 반드시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접촉 표면의 내부 표면 섹션과 관련하여, “적절하게 설계된”은, 예를 들어, 내부 표면 섹션이 시트의 표면 사전 벤딩이 내부 표면 섹션에 대한 접합(abutment) 또는 가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도록 성형됨을 의미하며, 따라서, 표면 사전 벤딩을 의무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 만약 내부 표면 섹션이 표면 최종 벤딩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면, 이는 표면 최종 벤딩이 제조될 수 있지만, 반드시 제조될 필요는 없음을 의미한다. 방법의 추가 과정까지 표면 최종 벤딩이 제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접촉 표면에 시트를 고정하는 것은 시트의 벤딩 작업과 관련될 수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몰드의 접촉 표면은 작업 위치에서 아래 방향을 향한다.
사전 벤딩은 한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원통형 사전 벤딩). 오히려 사전 벤딩은 서로 다른 여러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몰드 캐리어는 벤딩 챔버 외부에 배열된 모듈(보다 쉽게 참조하고 아래에 언급된 “가압 프레임 모듈”과의 차별화를 위해 이하에서 “몰드 캐리어 모듈”이라고 함)에 부착된다. 몰드 캐리어 모듈은 구조 유닛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필수는 아니지만 벤딩 챔버에 대해 움직일 수 있어 벤딩 챔버로 전달되고 벤딩 챔버로부터 공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몰드 캐리어 모듈은 벤딩 챔버에 대해 몰드 캐리어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구동 가능한 이송 메커니즘 또는 에어 쿠션 이송 메커니즘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몰드 캐리어 모듈은 가열 가능한 공동(이하에서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이라고 함)을 포함하며,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바람직하게는 절연된 벽에 의해 한정된다. 몰드 캐리어 공동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문 또는 플랩(flap)에 의해 닫힐 수 있다. 몰드 캐리어 모듈이 벤딩 챔버로 전달될 때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은 벤딩 챔버 공동에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를 가지며, 이는 벤딩 챔버의 벤딩 챔버 공동의 제2 개구를 대향하는 위치로 가져와질 수 있어서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와 벤딩 챔버 공동의 바람직하게는 정렬된 연결이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의 제1 개구 및/또는 벤딩 챔버 캐비티의 제2 개구는 각각의 경우 관련 개구가 폐쇄될 수 있는 문이 제공된다.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과 벤딩 챔버 공동의 공간적인 연결이 필수적이다.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은, 특히 이송 가능한 몰드를 벤딩 챔버로 도입하기 이전에 시트 처리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몰드 캐리어에 고정된 이송 가능한 몰드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벤딩 챔버 내에서 이송 가능한 몰드를 시간 소모적으로 가열할 필요 없이 벤딩 챔버에서 시트 가공이 매우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몰드 캐리어 모듈은 벤딩 챔버로 전달되거나 전달될 수 있어, 이송 가능한 몰드는 몰드 캐리어를 이동시킴으로써 벤딩 챔버 내로 또는 벤딩 챔버 외부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이동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몰드 캐리어는 이송 가능한 몰드를 벤딩 챔버 내로 및 벤딩 챔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평면으로(만)(즉, 1차원적으로) 왕복 및 병진으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몰드 캐리어는, 특히 벤딩 챔버 내에서 이송 가능한 몰드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직으로도 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해 몰드 캐리어는 이동 메커니즘과 결합된다. 가열 가능한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이 제공된다면, 몰드 캐리어 이동 메커니즘이 가열 가능한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배열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몰드 캐리어 이동 메카니즘의 구성요소의 바람직하지 않은 가열 및 관련된 열에 의한 길이 변화는 유리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는 몰드 캐리어, 특히 벤딩 챔버 내에서 특히 높은 정확도와 고속으로 그 위에 고정되는 이송 가능한 몰드를 위치시키는 것에 크게 기여하여, 복잡한 모양의 시트가 특히 높은 품질 요구사항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몰드 캐리어는 냉각 장치에 의해 능동적으로 냉각될 수 있으며, 이는 이송 가능한 몰드의 위치 결정 정확도가 더욱 향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몰드 캐리어를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몰드 캐리어 모듈은 벤딩 챔버와 관계없이 몰드의 간단한 장착과 빠른 몰드 교체가 가능한 독립형 구조 유닛이다. 몰드 캐리어 모듈이 이동 가능할 때, 몰드 캐리어 모듈은 간단한 방식으로 벤딩 챔버로 전달되고 다시 제거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유리하게는 특정 벤딩 작업을 위한 유지 보수 또는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벤딩 챔버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를 벤딩시키기 위한 장치는 시트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표면을 갖는 가압 프레임(예를 들어, 가압 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암착 프레임의 가압 표면은 가장자리 최종 벤딩에 적합하게 설계된 고정 및/또는 이송 가능한 몰드의 외부 표면 센셕에 보완적으로 설계된다. 예를 들어, 가압 표면은 스트립 폭, 예를 들어, 3~150 mm 범위의 스트립 형태로 설계된다. 가압 프레임의 가압 표면은 시트와의 접촉을 위해 윗 방향을 향한다. 더 나은 중량 분배를 위해, 스트립 형 가압 표면의 더 넓은 폭은 바람직하지 않은 마킹(시트의 평평한 표면의 변화)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유리하고, 상기 마킹의 생성은 가압 프레임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시트를 가압함으로써 대응(counteract)될 수 있다. 가압 프레임의 가압 표면은 정의된 지오메트리(geometry)를 가지며, 가압 프레임은 이를 위해 충분히 견고하다. 예를 들어, 가압 프레임은, 예를 들어, 밀링에 의해 제조되는 가압 표면과 함께 주조 파트(cast part)로 구현된다.
가압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시트의 내부 영역에서 중력에 의해 표면이 미리 벤딩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중력에 의해 시트의 내부 영역이 아래 방향으로 처지는 것이 가능하다. 중력 벤딩의 경우, 시트는 자체의 무게로 미리 벤딩된다. 이를 위해, 가압 프레임은 개방, 즉, 중앙 개구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시트 내부 영역의 처짐이 가능해지는 한 전체 표면이 오목해질 수 있다. 더 간단한 가공을 위해 개방형 디자인이 선호된다. 가압 프레임의 가압 표면에 대해 시트 가장자리를 이전에 가압한 결과, 가압 프레임이 보관하는 동안 시트의 표면 사전 벤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벤딩 장치에서, 몰드(고정 몰드 및 적어도 하나의 이송 가능한 몰드) 및 가압 프레임은 각각의 경우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움질일 수 있어, 시트는 각각의 몰드의 접촉 표면과 가압 프레임의 가압 면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미리 벤딩되거나 최종 벤딩된다. 유리하게는, 고정 몰드는 시트를 가압하기 위해 몰드가 고정 가압 프레임으로 전달될 수 있는 이동 메커니즘과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송 가능한 몰드는 시트를 가압하기 위해 몰드 캐리어를 고정 가압 프레임으로 수직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가 고정된 이송 가능한 몰드의 이동은 배타적으로 수직이다. 가장자리와 내부 영역의 시트를 여러 단계로 벤딩함으로써 특히 고품질의 복잡한 현상의 시트가 제조될 수 있다. 이 점에서, 가압 프레임 상 가압하는 것에 의한 시트의 특히 정확한 위치와 선택적으로 시트가 그 위에 놓여있을 때 가압 프레임의 변경되지 않은 위치는 매우 유리하다.
각 접촉 표면에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각 몰드와 관련되어 있다. 접촉 표면에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기체 유체, 특히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압식 흡입 장치(pneumatic suction device)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시트는 음악에 의해 접촉 표면에 대해 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접촉 표면에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suction hole)가 제공될 수 있으며, 유리하게는 복수의 흡입구가 예를 들어 접촉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흡입 효과를 위해 각각의 경우 접촉 표면에 음압이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흡입 장치는 접촉 표면을 둘러싸는 에이프런(apron)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촉 표면에 음압이 생성될 수 있다. 흡입 장치는 전형적으로 상향으로 향하는 기체 유체, 특히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며, 이는 접촉 표면에 대해 시트를 견고하게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접촉 표면에 고정된 시트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각각의 경우에 몰드와 결합된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기체 유체, 특히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공압식 송풍 장치(pneumatic blowing device)이며, 이를 통해 시트가 양압에 의해 접촉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접촉 표면에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송풍 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복수의 송풍 구가 접촉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송풍 장치는 전형적으로 하향으로 향하는 기체 유체, 특히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여 시트가 접촉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시트가 접촉 표면에 바람직하지 않게 부착될 위험 없이 프레임에 시트를 안정적으로 배치하는 것에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경우 몰드와 관련된 흡입 및 송풍 장치는 하나의 흡입/송풍 장치를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접촉 표면의 구멍은 선택적으로 음압 또는 양압을 받을 수 있다. 가열 가능한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이 이송 가능한 몰드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면, 가열 가능한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의 외부에 배열되는 이송 가능한 몰드와 관련된 흡입 및/또는 송풍 장치의 음압 또는 양압을 생성하는 수단이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벤딩 장치는 구현되는 기체 유체 흐름, 특히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공압 송풍 장치를 더 포함하여서, 시트는 아래에서 불어서 들어올려져 몰드의 접촉 표면에 가압될 수 있다. 특히 송풍 장치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가장자리 영역에서, 접촉 표면에 대해 고정된 시트가 유체의 기체 흐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가장자리 영역 및/또는 내부 영역에서 사전 벤딩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시트의 열 템퍼링을 위한 냉각 장치가 있는 열 템퍼링 구역과 시트를 벤딩 챔버에서 템퍼링 구역으로 이송하기 위한 템퍼링 프레임(예: 템퍼링 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템퍼링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이동 구성요소로 이동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템퍼링 프레임은 수평면에서(1차원적으로) 왕복(reciprocally) 및 병진(translationally) 이동 가능하다. 열 템퍼링은 시트의 파단 강도(breaking strength)를 증가시키기 위해 시트의 표면 구역과 코어 구역 사이에 의도적으로 운도 차이를 만든다. 시트의 템퍼링은 유리하게는 기체 유체, 바람직하게는 공기로 시트에 송풍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의 양면에 동시에 냉각 공기 흐름이 적용된다. 템퍼링 프레임은 템퍼링 프레임이 상호 이동될 수 있는 템퍼링 프레임 이동 메커니즘과 결합된다. 템퍼링 프레임 이동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가압 프레임을 위한 이동 메커니즘과 결합되지 않는다.
가압 프레임과 템퍼링 프레임에 각각 하나의 시트가 이송될 수 있다. 하나의 시트가 가압 프레임에 있고 다른 시트가 템퍼링 프레임에 동시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유리하게는, 시트를 벤딩 챔버로부터 템퍼링 구역으로 이송하기 위한 템퍼링 프레임은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가장자리 최종 벤딩을 위해 적합하게 설계된 프레임 표면을 갖는다. 또한, 템퍼링 프레임은 시트의 내부 영역에서 중력에 의한 표면 최종 벤딩에 적합하게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중력에 의한 가장자리 최종 벤딩 및 표면 최종 벤딩은 템퍼링 프레임에서 시트를 이송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를 벤딩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벤딩 온도(유리의 연화 온도)로 시트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가 있는 예열 구역, 및 예열 구역에서 벤딩 챔버, 특히 고정 몰드 바로 아래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거 위치로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특히 롤러 베드형의 이송 메커니즘을 갖는다. 따라서, 시트는 롤러 베드 상의 벤딩 챔버로, 바람직하게는 고정 몰드 바로 아래의 제거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롤러 베드는 유리하게는 개별 시트가 제거 위치로 차례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특히, 제거 위치는 롤러 베더의 단부 섹션에 해당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시트는 유리의 연화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예열 구역의 연화 온도 또는 벤딩 온도로 가열되며, 전형적으로 시트의 온도는 단순히 벤딩 챔버에서 유지되고, 즉, 전형적으로 벤딩 챔버에서 시트의 추가 온도 상승이 발생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시트는 이미 벤딩에 적합한 온도에서 벤딩 챔버에 도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를 벤딩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술한 몰드 캐리어 모듈과의 용이한 참조와 구별을 위해 “가압 프레임 모듈”로 언급되는 추가 모듈을 갖는다. 가압 프레임 모듈은 구조 유닛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필수는 아니지만, 벤딩 챔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여 가압 프레이미 모듈은 벤딩 챔버로 전달되거나 벤딩 챔버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 프레임 모듈을 바람직하게는 벤딩 챔버에 대해 가압 프레임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구동 가능한 이동 메카니즘, 예를 들어 롤러 이송 메커니즘 또는 에어 쿠션 이송 메커니즘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프레임 모듈을 바람직하게는 절연된 벽에 의해 완전히 구분되는 공동(이하에서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으로 언급됨)을 갖는다. 벽은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을 외부 환경과 분리한다.
가압 프레임 모듈은 그 위에 놓인 시트를 저장하고 가압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움직이지 않게 장착된 가압 프레임을 갖는 이동 가능한 가압 프레임 캐리어르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프레임은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에 배열되거나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에(완전히) 배열될 수 있다. 가압 프레임 캐리어는 벤딩 챔버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가압 프레임 모듈이 벤딩 챔버로 전달되거나 전달될 수 있어서, 가압 프레임 캐리어는 가압 프레임과 함께(벤딩 챔버 외부 위치로부터) 벤딩 챔버로 도입될 수 있다.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에는 벤딩 챔버의 벤딩 챔버 공동의 제2 개구와 대향하게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를 가져서,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과 벤딩 챔버 공동의 바람직하게 정렬된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의 제1 개구 및/또는 벤딩 챔버 공동의 제2 개구는 이 경우 관련 개구가 폐쇄될 수 있는 도어와 함께 제공된다. 특히,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과 벤딩 챔버 공동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과 벤딩 챔버 공동의 공간적 연결이 필수적이다.
가압 프레임은 유리하게는 수평면(즉, 1차원)에서 와복 및 병진 이동 가능하다. 이동을 위해 가압 프레임 캐리어는 이동 메커니즘과 결합된다. 생산된 시트에 대한 매우 높은 품질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려면 가압 프레임의 매우 정밀한 위치 지정이 필요하며, 전형적으로 1mm 미만,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0.5 mm의 정밀도가 필요하다. 고온 벤딩 챔버에서 열팽창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압 프레임 캐리어를 위한 이동 메커니즘은 가압 프레임 모듈의 비가열 영역에서 벤딩 챔버 외부에 유리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것은 가압 프레임 캐리어의 특히 빠른 위치 지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또 다른 중요한 이점이다.
가압 프레임 모듈은 가압 프레임 모듈이 벤딩 챔버와 독립적으로 가압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하는 독립적인 구조 단위이다. 특히, 가압 프레임 캐리어의 외부 이동성이 가압 프레임 모듈의 쉽고 빠른 로딩을 가능하게 한다. 가압 프레임 모듈이 이동 가능하다면, 가압 프레임 모듈이 벤딩 챔버로 전달되고, 다시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유지 보수 작업 또는 특정 벤딩 작업에 대한 조정을 위해 벤딩 챔버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제공한다.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시트가 제1 방향에서 벤딩 챔버로 공급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송 가능한 몰드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에서 벤딩 챔버로 도입되도록 구현된다. 예를 들어, 시트가 벤딩 챔버로 공급되는 제1 방향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 가능한 몰드(시트가 고정되지 않음)가 벤딩 챔버로 도입되는 제2 방향에 대해 90°의 각도로 배열된다. 어느 경우에서든, 시트가 벤딩 챔버로 이송되는 방향과 이송 가능한 몰드가 벤딩 챔버로 도입되는 방향은 동일하지 않다.
다음에서, 독립적인 보호가 청구되는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있다.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명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관한 상기 진술은 본 발며에 따른 방법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해 표시된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방법에서, 벤딩 챔버에서 시트는 이송 가능한 몰드의 접촉 표면에 고정되고 몰드에 의해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벤딩 챔버에서 이송 가능한 몰드에 시트를 고정하기 전에 이송 가능한 몰드를 도입할 때 시트가 이송 가능한 몰드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 가능한 몰드가 벤딩 챔버에 도입되는 것이 필수적이며, 고정된 시트 없이 프레임에 시트를 배치한 후 벤딩 챔버에서 다시 제거된다.
따라서, 이송 가능한 몰드는 시트를 벤딩 챔버로 또는 벤딩 챔버 밖으로 이송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송 가능한 몰드에 시트를 고정하는 작업은 벤딩 챔버 내에서만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벤딩 챔버 내부로 및 벤딩 챔버 외부로 이송 가능한 몰드의 이동은 배타적으로 수평이다. 바람직하게는, 이송 가능한 몰드 상에 고정된 시트와 함께 벤딩 챔버 내에서 운송 가능한 몰드의 이동은 배타적으로 수직이다.
따라서, 벤딩 챔버 내의 이송 가능한 몰드에 (제1)시트를 고정하는 것과 벤딩 챔버 내의 이송 가능한 몰드에 또 다른 (제2)시트를 직후에 고정하는 것 사이에, 이송 가능한 몰드가 벤딩 챔버 내로 도입되고, 그 위에 시트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벤딩 챔버에서 제거된다.
본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는 제1 방향에서 벤딩 챔버로 공급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송 가능한 몰드는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에서 벤딩 챔버로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는 롤러 베드에 의해 벤딩 챔버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방법은 아래 나열된 단계를 포함하며, 이는 유리하게는 지시된 순서로 수행되지만 필수는 아니다. 특히, 방법 측면에서 가능하고 합리적이라면 다음 목록에서 나중에 언급된 단계 이후에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벤딩 온도로 가열된 시트가 벤딩 챔버에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시트는 특히 수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평 이동 구성요소와 함께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는 롤러 베드 상에서 벤딩 챔버로 이송된다.
이 방법은 시트가 제1 몰드의 접촉 표면에 고정되는 또 다른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시트를 접촉 표면에 고정시키는 것은 시트를 기체 유체로 송풍하여 들어 올리고 접촉 표면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으로, 시트는 흡입에 의해 접촉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필수는 아니지만, 시트는 제1 몰드의 접촉 표면 상 가장자리 영역에서 가장자리 사전 벤딩 및/또는 시트의 내부 영역에서 표면 사전 벤딩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몰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수직 이동에 의해 시트 상으로 하강되고, 예를 들어 수직 이동에 의해 시트를 접촉 표면에 고정시킨 후 다시 상승된다.
이 방법은 시트용 가압 프레임이, 바람직하게는 시트가 제1 몰드의 접촉 표면 상에 고정되는 동안에, 벤딩 챔버 내에 위치되는 또 다른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프레임은 벤딩 챔버의 외부에서 벤딩 챔버 내부로 도입된다. 유리하게는, 특히 수평면에서 수평 이동 구성요소와 함께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가압 프레임이 이동된다.
이 방법은 시트가 가압 프레임에 배치되는 또 다른 단계를 포함한다. 가압 프레임에 보관되는 동안, 가장자리 영역으로 둘러싸인 시트의 내부 영역에서 시트의 자체 중량으로 인한(수동적인) 표면 사전 벤딩이 바람직하게는 발생한다. 가압 프레임 상에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는 기체 유체를 송풍함으로써 유리하게는 보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가압 프레임 상에 배치되기 전에 시트가 제1 몰드의 접촉 표면과 가압 프레임 사이에 가압되는 또 다른 단계(시트의 제1 가압)를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자리 사전 벤딩 또는 가장자리 최종 벤딩은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접촉 표면에 고정된 시트를 갖는 제1 몰드가 고정된 가압 프레임 상에, 예를 들어 수직으로, 하강되어, 접촉 표면에 고정된 시트가 가압 프레임과 접촉하게 한다. 그 후, 시트를 프레스 프레임에 놓기 위해서는, 제1 몰드의 접촉 표면과 시트 사이의 고정 연결을 해제하고 가압 프레임에서 제1 몰드를 제거하기에 충분하다. 시트는 가압 중에 이미 가압 프레임과 접촉하고 있다. 접촉 표면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접착은 기체 유체로 송풍하여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가압 프레임에 놓인 시트가 제2 몰드와 가압 프레임 사이에서 가압되는 또 다른 단계(시트의 제2 가압)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장자리 사전 벤딩 또는 가장자리 최종 벤딩은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발생한다. 유리하게는, 이를 위해, 제2 몰드가 고정된 가압 프레임에 놓인 시트 위로, 예를 들어 수직으로, 하강되어, 제2 몰드의 접촉 표면이 시트와 접촉하게 한다.
상기 방법은 제2 몰드의 접촉 표면과 가압 프레임 사이의 제2 가압 후에 시트가 제2 몰드의 접촉 표면 상에 고정되는 또 다른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면 사전 벤딩 또는 표면 최종 벤딩이 내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고; 가장자리 사전 벤딩 또는 가장자리 최종 벤딩이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시트가 제2 몰드의 접촉 표면 상에 흡입에 의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가 접촉 표면에 고정된 제2 몰드는 가압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된다. 유리하게는, 시트가 제2 몰드의 접촉 표면 상에 고정되고(즉, 더 이상 가압 프레임 상에 안착되지 않음), 제2 몰드가 가압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되는 즉시 가압 프레임이 벤딩 챔버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방법은 템퍼링 프레임이 벤딩 챔버에 위치되는 또 다른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템퍼링 프레임은 수평면에서(1차원적으로) 병진 이동된다.
상기 방법은 시트가 제2 몰드에 의해 템퍼링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또 다른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시트가 접촉 표면 상에 고정된 제2 몰드가, 예를 들어 수직으로, 템퍼링 프레임 상으로 하강된다.
상기 방법은 시트의 열 템퍼링을 위해 시트가 템퍼링 프레임 상에서 냉각 장치로 이송되는 또 다른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템퍼링 프레임은 특히 수평면에서 수평 이동 구성요소와 함께 이동된다. 바라믹하게는, 템퍼링 프레임은(1차원적으로) 병진 이동된다.
전술한 방법에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1 몰드는 이송 가능한 몰드이고 제2 몰드는 고정 몰드이거나, 대안적으로 제2 몰드는 이송 가능한 몰드이고 제1 몰드는 고정 몰드이어야 한다. 특히 유리하게는, 이송 가능한 몰드는 몰드 캐리어 모듈에 의해 벤딩 챔버로 도입될 수 있는 몰드 캐리어에 고정되고, 몰드 캐리어를 이동함으로써 벤딩 챔버 내부로 도입되고, 벤딩 챔버로부터 제거된다. 특히 유리하게는, 벤딩 챔버에 도입되기 전에 이송 가능한 몰드가(시트를 벤딩하기에 적합한 온도, 특히 벤딩 챔버에서 우세한 온도로) 가열된다.
따라서, 제1 대안에 따르면,(제1 몰드에 시트가 고정되지 않은) 제1 몰드는 시트가 접촉 표면에 고정되기 전에 벤딩 챔버 외부에서 벤딩 챔버로 도입되고, 이후(시트를 제1 몰드에 고정하지 않고) 가압 프레임에 시트를 배치한 후 벤딩 챔버에서 제거된다. 제2 몰드는 시트가 벤딩 챔버 내에 제공될 때부터 시트가 템퍼링 프레임 상에 이송될 때까지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벤딩 챔버 내에 영구적으로 배치된다. 제2 대안에 따르면, 가압 프레임에 시트를 배치한 후,(제2 몰드에 시트가 고정되지 않은) 제2 몰드는 벤딩 챔버 외부에서 벤딩 챔버로 삽입되어, 템퍼링 프레임에 시트를 배치시킨 후 벤딩 챔버에서 제2 몰드에 고정된 시트 없이 제거된다. 제1 몰드는 시트가 벤딩 챔버 내에 제공된 때부터 시트가 템퍼링 프레임 상으로 이송될 때까지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벤딩 챔버 내에 영구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시트가 가압 프레임에 배치되기 전에 가압 프레임은(벤딩 챔버 외부 위치로부터) 벤딩 챔버 내로 도입되고, 시트가 제2 몰드의 접촉 표면 상에 고정된 이후에 벤딩 챔버로부터 제거된다. 특히 유리하게는, 가압 프레임은 가압 프레임 모듈에 의해 벤딩 챔버로 도입될 수 있는 가압 프레임 캐리어에 고정되고, 가압 프레임 캐리어를 이동시켜 벤딩 챔버로 도입되고, 벤딩 챔버로부터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프레임 및/또는 가압 프레임 캐리어는 시트가 그 위에 놓일 수 있을 때 하방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가압 프레임은 그 위에 놓인 시트와 함께 이동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시트에 대한 특히 높은 품질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있는데, 가압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가압 프레임에 대한 시트의 위치가 바람직하지 않게 변할 위험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가압 프레임에 시트를 가압하여 시트가 가압 프레임에 대해 매우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몰드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시트는 수평 이동 구성요소로 이동이 없다, 즉, 수직으로만 이동한다. 이것은 시트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더욱 향상시킨다. 특히 가압 프레임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메커니즘 및/또는 몰드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메커니즘이 각각의 경우 가열된 영역 외부에 배열될 때, 가압 프레임과 이송 가능한 몰드는 벤딩 챔버에 매우 정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수동적인 가장자리 사전 벤딩은 시트 자체의 무게에 의해 발생하거나, 능동적인 가장자리 사전 벤딩은 시트를 가압 프레임에 배치하고 선택적으로 제1 몰드와 가압 프레임 사이에서 시트를 가압하여 발생한다. 그 후, 제2 몰드와 가압 프레임 사이에서 시트를(선택적인 제2) 가압한 결과, 추가 가장자리 사전 벤딩은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템퍼링 프레임에서 시트를 이송하는 동안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가장자리 최종 벤딩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수동적인 가장자리 사전 벤딩은 시트 자체의 무게에 의해 발생하거나, 능동적인 가장자리 사전 벤딩은 시트를 가압 프레임 상에 배치하여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을 가압하고, 선택적으로 제1 몰드와 가압 프레임 사이에서 시트를 가압하여 발생한다. 그 후, 제2 몰드와 가압 프레임 사이에서 시트를(선택적인 제2) 가압한 결과,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가장자리 최종 벤딩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능동적인) 가장자리 최종 벤딩은 제1 몰드와 가압 프레임 사이에서 시트를 가압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프레임 상에 시트를 저장하는 동안,(수동적인) 표면 사전 벤딩은 중력 또는 시트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가장자리 영역으로 둘러싸인 시트 내부 영역에서 발생한다.
제2 몰드를 사용하여 시트를 벤딩시키면, 시트가 최종 또는 준최종 모양이 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필수는 아니지만, 템퍼링 프레임에서 시트의 모양이(보통 약간) 변경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템퍼링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 최종 벤딩에 적합하게 설계되면 프레임 표면을 갖는다. 또한, 템퍼링 프레임은 중력에 의한 표면 최종 벤딩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따라서, 시트는 템퍼링 프레임에서 최종 모양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템퍼링 프레임 상에 시트를 이송하거나 보관하는 동안에, 표면 최종 벤딩은 가장자리 영역으로 둘러싸인 시트의 내부 영역에서 중력에 의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서, 고정 몰드, 이송 가능한 몰드, 가압 프레임 및 템퍼링 프레임이 서로 위 또는 아래 위치에 배치되는 상황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용도뿐만 아니라 육지, 공중 또는 수중 여행용 운송 수단용, 특히 자동차, 특히 자동차의 뒷 유리용 판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확장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언급되고 다음에서 설명될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지시된 조합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 또는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용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축적이 아닌 단순화된 표현으로 다음을 묘사한다.
도 1은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1의 장치에서 절단면 A-A’에 따른 다양한 단면도들이고,
도 4는 도 1의 장치에서 절단면 B-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2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기 위하여 도 1의 장치에서 절단면 B-B’에 따른 다양한 단면도들이고,
도 21a-21b는 몰드와 가압 프레임 사이의 시트를 가압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개요이고,
도 22는 시트를 생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고려하면, 도 1은 도면의 개략도에 기초하여 참조번호 1로 전체적으로 지정된 시트 벤딩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필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2, 3은 단면 A-A 에 따른 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단면 B-B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는 벤딩(유리) 시트(52)를 위한 벤딩 챔버(2), 시트를 벤딩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예열 구역) 가열 장치(33)(도 1에 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벤딩 챔버(2)의 측면에 배치된 예열 구역(3), 벤딩 시트를 냉각 또는 템퍼링 하기 위해 벤딩 챔버(2)의 측면에도 배열된 템퍼링 구역(4)을 포함한다. 예열 구역(3) 및 템퍼링 구역(4)은 위에서 볼 때 벤딩 챔버(2)에서 90°의 각도로 배열되고, 예열 구역(3) 및 템퍼링 구역(4)은 장치(1)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영역으로 설계된다.
예열 구역(3)에 대향되는 벤딩 챔버(2) 상에 배열된 것은 이송 가능한 몰드(7)를 위한 모듈식 전달 챔버이고, 다음에서 “몰드 캐리어 모듈(5)”로 언급된다. 템퍼링 구역(4)에 대향되는 벤딩 챔버(2)에 배열된 것은 가압 프레임(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을 위한 모듈식 전달 챔버이고, 다음에서 “가압 프레임 모듈(6)”로 언급된다. 예열 구역(3), 템퍼링 구역(4), 몰드 캐리어 모듈(5) 및 가압 프레임 모듈(6)은 벤딩 챔버(2)의 4개 측면에 배열되고, 벤딩 챔버(2)와 기능적으로 결합된다.
도 1은 2개의 공간적으로 상이한 위치에 있는 몰드 캐리어 모듈(5)을 도시한다. 제1 위치에서, 몰드 캐리어 모듈(5)은 벤딩 챔버(2) 상에 배열되고 그와 기능적으로 결합된다. 제2 위치(도 1의 제1 위치의 오른쪽)에서, 몰드 캐리어 모듈(5)은 벤딩 챔버(2)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벤딩 챔버(2)와 기능적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몰드 캐리어 모듈(5)과 유사하게, 가압 프레임 모듈(6)은 벤딩 챔버(2)(도 1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 위치일 수 있다.
도 2(도 1의 A-A 단면)는 벤딩 챔버(2)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벤딩 챔버(2), 가압 프레임 모듈(6) 및 템퍼링 구역(4)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따라서, 벤딩 챔버(2)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벤딩 챔버 공동(10)로 이하에서 언급되는 벤딩 챔버(2)의 공동을 한정하는 절연 벤딩 챔버 벽(9)을 포함한다. 따라서, 벤딩 챔버 공동(10)는 시트의 벤딩 작업에 적합한 온도(벤딩 온도)로 가열되고 유지 될 수 있다. 벤딩 챔버 공동(10)를 가열하기 위해, 벤딩 챔버(2)는 가열 장치(미도시)를 갖는다. 벤딩 챔버 공동(10)에는 시트 처리를 위해 벤딩 챔버(2) 내에 영구적으로 남아있는 고정 몰드(11)가 위치한다, 즉, 하나의 동일한 시트가 장치(1)에서 처리되는 동안 벤딩 챔버(2)로 도입되거나 벤딩 챔버(2)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고정 몰드(11)는 홀더 이동기구(14)(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벤딩 챔버 벽(9)에 대해 적어도 수직으로 변위 될 수 있는 홀더(12)를 갖는다. 홀더(12)가 적어도 하나의 수평 이동 구성요소로 변위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몰드(11)는 홀더(12)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고정 몰드(11)는 시트(52)의 영역 접촉을 위한 하향 볼록 접촉 표면(15)을 갖는다. 적절한 접촉 압력으로, 시트(52)는 각각의 접촉 표면(15)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접촉 표면(15)은 외부 표면 섹션(16)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있는(경계된) 서로 다른 표면 윤곽(표면 형상)을 갖는 단부 또는 가장자리 외부 표면 섹션(16) 및 내부 표면 섹션(17)을 갖는다.
고정 몰드(11)는 접촉면(15)에 대해 시트(52)를 흡인하거나 접촉면(15)에 고정된 시트(52)를 제거하기 위한 결합된 흡입/송풍 장치(18)(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접촉 표면(15)은 예를 들어 균일하게 분포된 구멍(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에지에 에이프런이 제공 될 수 있다. 시트(52)는 구멍 또는 에지 에이프런에서 생성된 음압에 의해 접촉 표면(15)에 대해 인발될 수 있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시트(52)는 구멍에 양압이 생성될 때 접촉면(15)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벤딩 챔버(2)는 또한 송풍 장치(19)(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를 가지며, 이 장치에 의해 유동 기체 유체, 예를 들어 공기 흐름(55)은 중력에 대항하여 시트(52)를 들어올리기 위해, 특히 (낮은) 고정 금형(11)의 접촉면(15)에 대해 시트를 가압하기 위해 수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벤딩 챔버(2)는 벤딩 시트들을 템퍼링하기 위한 템퍼링 구역(4)의 측부에 위치된다. 템퍼링 구역(4)에는 2개의 소위 “템퍼링 박스(20)”가 있는데, 서로 수직으로 간격으로 두고 배열되어 있다. 2개의 템퍼링 박스(20)에 의해, 2개의 템퍼링 박스(20) 사이에 위치된 시트(52)의 공랭을 위한 공기 흐름이 시트(52)를 템퍼링 하기 위해 생성될 수 있다.
벤딩 챔버(2)로부터 템퍼링 구역(4)으로 시트(52)의 이송을 휴지하기 위해, 템퍼링 프레임(21)이 제공되며, 이는 도 2의 고정 몰드(11) 아래에 위치된다. 템퍼링 프레임(21)은 템퍼링 챔버(2)와 템퍼링 구역(4) 사이 (예를 들어, 수평면에서) 템퍼링 프레임 이동 메커니즘(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템퍼링 프레임(21)은 2개의 템퍼링 박스(20) 사이에 위치된 제1 템퍼링 프레임 위치(22)와 예를 들어 고정 몰드(11)의 바로 아래에 위치된 벤딩 챔버(2) 내의 제2 템퍼링 프레임 위치(23) 사이의 수평면에서 병진적으로 전후 이동될 수 있다.
템퍼링 구역(4)을 벤딩 챔버(2)에 결합하기 위해, 벤딩 챔버 벽(9)은 벤딩 챔버 공동(10)으로 개방되는 제1 벤딩 챔버 개구(24)를 갖는다. 제1 벤딩 챔버 개구(24)는 벤딩 챔버 공동(10)이 외부로 개방되거나 외부 환경에 대해 폐쇄될 수 있도록 제1 벤딩 챔버 도어(25)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템퍼링 프레임(21)은 완성된 벤딩 시트(52)를 수용하고, 이를 템퍼링 구역(4)으로 이송하기 위해 개방된 제1 벤딩 챔버 개구(24)를 통해 벤딩 챔버 공동(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거기서, 템퍼링된 시트(52)는 용이하게 제거되고 추가 처리될 수 있다.
장치(1)는 벤딩 챔버(2)의 외부에서 템퍼링 구역(4)의 대향하게 배치된 이송 가능한 (이동) 가압 프레임 모듈(6)을 더 포함한다. 벤딩 챔버(2)와 같이, 가압 프레임 모듈(6)은 예를 들어 폐쇄 또는 폐쇄 가능한 챔버의 형태로 여기서 설계된다. 가압 프레임 모듈(6)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가압 프레임 모듈 캐비티(27)”로 이하에서 언급되는 가압 프레임 모듈(6)의 공동을 한정하는 절연 가압 프레임 모듈 벽(26)을 포함한다.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은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 내로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프레임 모듈 개구(28)를 통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가압 프레임 모듈 개구(28)는 가압 프레임 모듈 도어(29)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프레임 모듈(6)은 벤딩 챔버(2)의 외부에 배치되고, 가압 프레임 모듈 개구(28)는 벤딩 챔버 공동(10)의 제2 벤딩 챔버 개구(30)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벤딩 챔버 공동(10)은 벤딩 챔버 공동(10)으로 개방되는 제2 벤딩 챔버 개구(30)를 통해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다. 제2 벤딩 챔버 개구(30)는 제2 벤딩 챔버 도어(3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가압 프레임 모듈(6)이 벤딩 챔버(2)에 배치될 때, 가압 프레임 모듈 도어(20)와 제2 벤딩 챔버 도어(31)를 모두 개방함으로써 벤딩 챔버 공동(10)과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이 공간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은 가압 프레임 모듈 도어(29) 및/또는 제2 벤딩 챔버 도어(31)를 폐쇄함으로써 벤딩 챔버 공동(10)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가압 프레임 모듈(6)은 벤딩 챔버(2)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이를 위해 가압 프레임 모듈(6)(예를 들어, 롤러 베어링)을 이동시키기 위한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구동 가능한 가압 프레임 모듈 이동 메커니즘(32)을 갖는다. 가압 프레임 모듈 이동 메커니즘(32)에 의해, 가압 프레임 모듈(6)은 벤딩 챔버(2)로 전달되거나 벤딩 챔버(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은 절연 가압 프레임 모듈 벽(2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그 결과,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은 원하는 온도로 가열되고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드렁, 가압 프레임 모듈 캐비티(27)는 벤딩 챔버(2)와 같이 시트(52)의 벤딩 작업에 적합한 온도(벤딩 온도)로 가열된다.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을 가열하기 위해, 가압 프레임 모듈(6)은 도 2의 실시예에서 복사 히터의 형태로 구현되는 가압 프레임 모듈 가열 장치(34)를 갖는다. 복사 히터는 예를 들어 복수의 복사 히터 어레이로 분포된다.
가압 프레임 모듈(6)은 또한 가압 프레임(8)을 위한 연장된 가압 프레임 캐리어(35)를 갖는다. 가압 프레임 캐리어(35)는 가압 프레임 캐리어 메커니즘(36)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가압 프레임 캐리어 메커니즘(36)은 가열 가능한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의 외부(도 2의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의 아래)에 배치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압 프레임 캐리어 메커니즘(36)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상세히 설명될 필요없는 구동 피니언이 구비된 피니언 체인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상황에서, 가압 프레임 캐리어(35)는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 내에 완전히 위치된다. 가압 프레임 모듈 도어(29) 및 제2 벤딩 챔버 도어(31)는 각각의 경우 폐쇄 위치에 있다. 시트를 가압하여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가압 프레임(8)은 가압 프레임 캐리어(35)의 자유 단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를 위해, 가압 프레임 캐리어(35)는 예를 들어 2개의 평행한 캐리어 암을 포함하고, 그 사이에 가압 프레임(8)이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에서, 벤딩 챔버(2) 내에서 가압 프레임(8)의 이동은 벤딩 챔버(2)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프레임 캐리어(35)에 의해 수행되고, 여기서 가압 프레임 캐리어 이동 메커니즘(36)이 가열 가능한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의 외부에 배치된다는 사실로 인해,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가압 프레임(8)의 매우 정밀한 위치설정이 가능해진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여기서 장치(1)는 방법의 다른 상황에서도 도 2의 A-A 단면도에 따라 묘사된다. 불필요한 반복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와 관련된 차이점만 설명되며, 그렇지 않으면 상술한 설명이 참조된다. 도 3의 상황에서 템퍼링 프레임(21)은 2개의 템퍼링 박스(20) 사이의 제 템퍼링 프ㅔ임 위치(22)에 위치된다. 가압 프레임(8)은 가압 프레임 캐리어(35)를 가압 프레임 휴지 위치(37)로부터 가압 프레임 작업 위치(38)로 이동시킴으로써 벤딩 챔버(2) 내에서 이송된다. 이를 위해 가압 프레임(8)을 지지하는 가압 프레임 캐리어(35)의 자유 단부가 벤딩 챔버 공동(10)으로 도입된다(가압 프레임 캐리어(35)의 일부는 여전히 가압 프레임 모듈(6)에 위치함). 가압 프레임 모듈 가열 장치(34)에 의해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을 가열한 결과, 가압 프레임(8)은 또한 시트(52)의 벤딩에 적합한 온도로 벤딩 챔버 공동(10) 외부에서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벤딩 챔버 공동(1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벤딩 챔버(2)로부터 가압 프레임 모듈(5)을 제거하기 위해 벤딩 챔버 도어(25, 31)를 닫음으로써 벤딩 챔버 공동(10)이 폐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특히 벤딩 챔버 공동(10)에서 더 큰 온도 강하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모듈이 간단한 방식으로 벤딩 챔버(2)와 결합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여기서 단면 B-B(단면 A-A에 수직)에 따른 도 1의 장치(1)의 일부가 도시된다. 도 4는 벤딩 챔버(2), 벤딩 챔버(2) 상에 배치되고 그와 기능적으로 결하보딘 몰드 캐리어 모듈(5) 및 예열 구역(3)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2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벤딩 챔버(2)는 고정 몰드(11)가 배치되는 벤딩 챔버 공동(10)을 포함한다. 고정 몰드(11)는 외부 표면 섹션(16) 및 내부 표면 섹션(17)과의 접촉 표면(15)을 갖는다.
벤딩 챔버(2) 상에 배치되고 그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예열 구역(3)이 있으며, 여기서 시트(52)는 벤딩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장치(1)에서, 시트는 예열 구역(3)에서 벤딩 챔버92)로, 마지막으로 템퍼링 구역(4)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예열 구역(3)으로부터 벤딩 챔버(2)로 시트를 이송하기 위해, 예를 들어, 시트(52)의 영역 지지를 위해 복수의 원통형 롤러를 갖는 롤러 베드가 제공된다.
여전히 도 4를 참조하면, 벤딩 챔버(2)의 외부에서 예열 구역(3)에 대향하게 배치된 가동(이동) 몰드 캐리어 모듈(5)이 설명된다. 몰드 캐리어 모듈(5)은 몰드 캐리어(44)가 부착된 하부 구조(43)를 포함한다. 몰드(7)는 몰드 캐리어(44)의 단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몰드(7)는 몰드 캐리어(44)의 이동성으로 인해 이송 가능한 몰드가 된다. 몰드 캐리어(44)는 몰드 캐리어 모듈 벽(45)에 의해 둘러싸인 몰드 캐리어 모듀류 공동(46) 내로 개방되고, 이송 가능한 몰드(7)가 배치된 벤딩 챔버(2)로 개방된다. 벤딩 챔버 벽(9)은 몰드 캐리어 모듈(5)이 전달될 수 있는 측면에 제4 벤딩 챔버 개구(47)를 갖는다. 몰드 캐리어 모듈(5)이 벤딩 챔버(2)로 전달될 EO,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46)은 벤딩 챔버 캐비티(10) 내로 개방된다. 몰드 캐리어 모듈 벽(45)은 벤딩 챔버 벽(9)의 외부와 물리적으로 접촉된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경우에 제4 벤딩 챔버 개구(47) 및/또는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46)에 별도의 폐쇄를 위한 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46)은 원하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챔버(2)와 같이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46)은 이송 가능한 몰드(7)를 그러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시트(52)의 벤딩 작업에 적합한 온도(벤딩 온도)로 가열되고 유지된다. 이를 위해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46)은 복사 히터(도 4에 도시되지 않음)의 형태로 설계된 가열 장치(예를 들어, 복사 히터)를 갖는다. 뜨겁고 차가운 지역은 도 4에서 “H(ot)”와 “C(old)”로 식별된다.
몰드 캐리어 모듈(5)은 벤딩 챔버(2)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이를 위해 몰드 캐리어 모듈(5)을 이동시키기 위한 능동 구동 또는 수동 구동 가능한 몰드 캐리어 모듈 이동 메커니즘(52)을 갖는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몰드 캐리어 모듈 이동 메커니즘(50)은 복수의 수동 구동 가능한 휠(49)을 포함한다. 몰드 캐리어 모듈 이동 메커니즘(50)에 의해 몰드 캐리어 모듈(5)은 벤딩 챔버(2)로 전달되거나 벤딩 챔버(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몰드 캐리어 모듈(5)은 이송 가능한 몰드(7)를 위한 연장된 몰드 캐리어(44)를 갖는다. 몰드 캐리어(44)는 몰드 캐리어 이동 메커니즘(48) 및 수평 이동 구성요소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여, 몰드 캐리어(44) 상에 부착된 몰드(7)는 각각의 시트(52)의 처리를 위해 벤딩 챔버(2)로 도입되고 그로부터 다시 제거될 수 있다. 몰드 캐리어 이동 메커니즘(50)은 가열 가능한 몰드 캐리어 모듈 캐비티(46) 외부에 배치되어,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벤딩 챔버(2) 내에서 이송 가능한 몰드(7)의 매우 정밀한 위치설정이 가능해진다. 이송 가능한 몰드(7)는 수평 이동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벤딩 챔버(2) 내에서 그리고 수직으로(각 경우에 하나의 치수 및 왕복) 몰드 캐리어(44)를 이동시킴으로ㅆ 이동될 수 있다. 이송 가능한 몰드(7)는 외부 표면 섹션(16‘) 및 내부 표면 섹션(17’)으로 구성된 하향 접촉 표면(15‘)을 갖는다.
몰드(11, 7)의 접촉 표면(15, 15’)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표면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윤곽은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이송 가능한 몰드(7)의 접촉 표면(15‘)의 외부 표면 섹션(16’)은 원하는 가장자리 최종 벤딩에 적합한 표면 윤곽을 갖는다. 즉, 시트(52)의 (예를 들어, 스트립형) 가장자리 영역(53)에서의 최종 벤딩 또는 시트(52)의 추가 처리에서 이러한 최종 벤딩이 가능하게 한다. 시트(52)의 단부 가장자리 영역은 시트의 2개의 대향하는 주 표면에 수직으로 배열된 시트 (절단) 가장자리에 인접한다. 이송 가능한 몰드(7)의 접촉 표면(15‘)의 내부 표면 섹션(17’)은 가장자리 영역에 완전히 두러싸인 시트(52)의 내부 영역(54)에서의 표면 사전 벤딩, 즉 비-최종 벤딩에 대응하는 표면 윤곽을 갖는다. 고정 몰드(11)의 접촉 표면(15)의 외부 표면 섹션(16)은 이송 가능한 몰드(7)의 접촉 표면(15‘)의 외부 표면 섹션(16’)과 동일한 표면 윤곽을 가지며, 시트(52)의 가장자리 영역(53)에서 원하는 에지 최종 벤딩에 적합한 표면 윤곽을 가즌다. 이송 가능한 몰드(7)의 접촉면(15‘)의 내부 표면 섹션(17’)과 대조적으로, 고정 몰드(11)의 접촉 표면(15‘)의 내부 표면 섹션(17)은 표면 최종 벤딩에 적합한 표면 윤곽을 갖는다, 즉, 시트(52)의 내부 영역(54)에서 최종 또는 준-최종 벤딩 또는 추가 처리에서 이를 가능하게 한다.
이송 가능한 몰드(7)는 시트를 위한 결합된 흡입/송풍 장치(18’)(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에 의해 시트(52)가 접촉 표면(15‘)에 대해 흡입될 수 있고, 따라서 접촉 표면(15’)에 일시적으로 고정되거나 접촉 표면(15‘)에서 제거된다. 접촉 표면(15’) 상의 음압 또는 양압은 몰드 캐리어 모듈(5)의 저온 영역에 위치된 벤투리(Venturi) 장치(13)에 의해 벤투리 원리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장치(1)에서, 가압 프레임(8)은 몰드와 협력하여 시트의 보관 및 가압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 가압 프레임(8)은 가장자리 (예를 들어, 스트립형) 가압 표면(51)(도 21a 및 21b 참조)을 가지며, 그 표면 윤곽은 예를 들어 고정 몰드(11) 및 이송 가능한 몰드(7)의 외부 표면 섹션(16, 16‘)의 표면 윤곽에 대해 보안적이다. 상방을 향하는 가압 표면(51)은 가장자리 영역(53)에서 그 위에 놓인 시트(52)를 가압하기에 적합하다. 가압 프레임(8)은 전체 표면으로 설계되지 않고, 그러나 대신 중력에 의해 그 위에 배치된 시트(52)의 내부 영역(54)의 사전 벤딩을 허용하는 내부 개구를 갖는다.
도 4를 보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와 유사한 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5 내지 20을 참조한다. 불필요한 반복을 방지하기 위해 각 경우에 설명된 방법 상황들의 차이점만 설명되며; 그렇지 않으면 위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4는 이송 가능한 몰드(7)가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46) 내에 위치되고 시트 처리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는 시작 상황을 도시한다. 이를 위해, 벤딩 챔버 공동(10) 및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46)은 하나의 동일한 온도로 가열된다. 특히, 이송 가능한 몰드(7)는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46) 내에 완전히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몰드(11)는 벤딩 챔버(2) 내에 위치된다. 벤딩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된 시트(52)는 예열 구역(3)(미도시)에 위치된다.
도 5는 도 4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시트(52)는 제거위치에 위치된다. 몰드 캐리어(44)는 벤딩 챔버(2) 내로 수평 이동되고, 이송 가능한 몰드(7)는 시트(52) 바로 위에 수직으로 상승된 위치에 위치된다. 고정 몰드(11)는 또한 벤딩 챔버(2)에 위치되고, 이송 가능한 몰드(7)의 상부 및/또는 측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몰드(11)는 고정 몰드(11) 바로 아래에 수직으로 이송 가능한 몰드(7)를 위한 공간이 있도록 벤딩 챔버(2)에서 충분히 위로 이동된다.
도 6은 도 5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이송 가능한 몰드(7)가 그 위에 놓인 모드 캐리어(44)가 수직으로 내려져, 이송 가능한 몰드(7)는 이제 시트(52) 바로 위에 위치된다. 수평으로 이송 가능한 몰드(7)의 위치에는 변화가 없다.
도 7은 도 6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시트(52)는 기체 유체의 유체 흐름을 송풍하여 이송 가능한 몰드(7)의 방향으로 제거 위치로부터 상승되고, 여기서, 예를 들어, 송풍 장치(19)에 의해 하방에서 수직으로 생성되고 마지막으로 공기 흐름(55)에 의해 접촉 표면(15’)에 대해 가압되는 공기 흐름(55)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송 가능한 몰드(7)는 시트(52)가 공기 흐름(55)에 의해 접촉 표면(15‘)에 대해 가압될 수 있을만큼 충분히 낮아졌다.
도 8은 도 7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시트(52)는 공기 흐름(55)에 의해 접촉 표면(15’)에 대해 가압된다. 또한 시트(52)는 흡입/송풍 장치(18‘)에 의한 흡입에 의해 접촉 표면(15’)에 고정된다. 흡입/송풍 장치(18‘)는 진공으로 접촉 표면(15’)에 대해 시트(52)를 일시적으로 고정한다. 이것은 도 8에서 위쪽을 가리키는 화살표로 상직적으로 묘사된다.
접촉 표면(15‘)에 대한 전형적으로 불완전한 접촉의 결과로, 시트(52)의 사전 벤딩은 가장자리 영역(53)에서만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공기 흐름(55)으로부터의 가압 압력은 시트(52)의 가장자리 영역(53)에서 가장자리 최종 벤딩을 생성하기에 불충분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흡입/송풍 장치(18’)의 흡입 작용은 가압 프레임(8)이 시트(52) 아래로 이동할 때까지 접촉 표면(15‘)에 대해 시트(52)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시트(52)의 벤딩에 약간의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트(52) 내의 기포는 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시트(52)의 내부 영역(54)에서 접촉 표면(15’)의 결과로서 표면의 사전 벤딩만이 여전히 허용된다. 도 8은 시트(52)가 이미 접촉 표면(15‘)에 대해 고정된 상황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장치(1)를 도시한다. 하방에서 오는 기류(55)가 정지되었다. 시트(52)는 흡입/송풍 장치(18’)에 의해 생성된 부압에 의해서만 접촉 표면(15‘)에 고정된다. 이송 가능한 몰드(7)와 시트(52)가 고정된 몰드 캐리어(44)는 수직으로 상향 이동되었다.
도 10은 도 9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장치(1)를 도시한다. 여기서 묘사된 것은 가압 프레임(8)이 시트(52) 바로 아래의 가압 프레임 작업 위치(38)로 수직으로 이동되는 상황이다(도 10에서의 이동방향: 도면의 평면방향). 이송 몰드(7) 및 시트(52)가 그 위에 고정된 몰드 캐리어(44)는 여전히 상승된 위치에 위치된다.
도 11은 도 10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장치(1)를 도시한다. 이송 가능한 몰드(7)는 몰드 캐리어(44)를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수직 하향으로 낮추며, 접촉면(15’)에 고정된 시트(52)는 가압 프레임(8)과 면접 접촉을 갖는다.
도 12는 도 11에서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시트(52)는 이제 가압 프레임(8) 상에 배치된다. 이를 보조하기 위해, 시트(52)는 흡입/송풍 장치(18‘)에 의해 생성된 기체 유체의 흐름에 의해 송풍된다. 따라서, 접촉면(15’) 상의 시트(52)의 원하지 않는 접착이 방지될 수 있다. 가압 표면(51)은 바람직하게는 접촉 표면(15‘)의 외부 표면 섹션(16’)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시트(52)는 하방을 향하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가팅, 이송 가능한 몰드(7)의 접촉 표면(15‘)과 가압 프레임(8)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다. 시트(52)는 접촉 표면(15’)의 외부 표면 섹션(16‘)과 가압 프레임(8)의 가압 표면(51) 사이의 가장자리 영역(53)에서 가압된다(도 21a, 21b 참조). 가압 프레임(8)에서, 시트(52)의 가장자리 영역(53)은 자체 중량에 의해 수동적으로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가압에 의해 능동적으로 벤딩되거나 마무리된다. 가압 프레임(8)에 대해 시트(52)를 가압하는 주 이점은 가압 프레임(8)의 가압 표면 상의 시트(52)의 가장자리 영역(53)의 정확한 접촉으로 가압 프레임(8) 상의 시트(52)의 위치를 매우 정밀하게 정의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시트(52)에 접하는 스토퍼(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압 프레임(8) 상의 시트(52)의 정확한 위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특히 높은 생산 정확도와 벤딩 시트의 우수한 광학 품질이 달성될 수 있다. 접촉 표면(15’) 상의 시트(52)의 고정은 흡입/송풍 장치(18‘)의 흡입 작용을 중지함으로써 해제된다.
도 13은 도 12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몰드 캐리어(44) 및 그와 함께 이송 가능한 몰드(7)는 수직으로 상향 이동 되었다. 가압 프레임(8)에 보관하는 동안, 시트(52)는 내부 영역(54)에서 자체 중량에 의해 추가적으로 수동적으로 미리 벤딩된다. 가장자리 영역(53)에서 가압이 발생하면, 내부 영역(54)에서 가압이 발생하면, 내부 영역(54)에서 중력에 의해 미리 벤딩된 표면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3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시트(52)는 여전히 가압 프레임(8) 상에 저장된다. 몰드 캐리어(44)는 벤딩 챔버(2)로부터 몰드 캐리어 모듈(5)로 수평으로 뒤로 이동되었으며, 이송 가능한 몰드(7)는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46) 내에 위치된다.
도 15는 도 14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고정 몰드(11)는 가압 프레임(8)에 안착되는 시트(52) 상에 수직으로 하강되고, 접촉 표면(15)의 외부 표면 섹션(16)과 가압 프레임(8)의 가압 표면(51) 사이의 가장자리 영역(53)에 가압된다. 가압 표면(51)은 접촉 표면(15)의 외부 표면 섹션(16)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시트(52)의 가장자리 영역(53)은 바람직하게는 최종 벤딩, 즉 가장자리 최종 벤딩을 얻는다. 그러나, 시트(52)의 가장자리 영역(55)이 (추가적으로) 미리 벤딩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 프레임(8) 상에 시트(52)를 보관하는 동안, 가압 프레임(8) 상의 시트(52)가 위치를 변경할 위험 없도록 가압 프레임(8)이 이동되지 않고 특히 고품질의 시트(52)가 제조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압착 후, 시트(52)는 흡입/송풍 장치(18)에 의한 흡입에 의해 고정 몰드911)의 접촉 표면(15)에 고정된다. 접촉 표면(15)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유체 흐름은 화살표로 상징적으로 표시된다. 도 16은 시트(52)가 고정된 고정 몰드(11)가 수직으로 위로 이동된 상황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시트(52)를 홀딩하려는 의도가 있고 음압이 시트(52)의 벤딩(적어도 눈에 띄지 않음)을 유발하지 않는 이송 가능한 몰드(7)와 달리 시트(52)의 흡입 접촉 표면(15)에 대해 또한 시트(52)를 구부리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즉, 흡입은 원하는 방식으로 시트(52)를 벤딩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압력을 생성한다. 따라서 시트(52)는 내부 영역에서 접촉 표면(15)에 대해 미리 벤딩될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 영역(53)에서 이전에 생성된 가장자리 최종 벤딩이 시트(52) 상에 유지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6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도 17은 벤딩 챔버(2) 내의 가압 프레임 작업 위치(38)로부터 가압 프레임 모듈의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27) 내의 가압 프레임 휴지 위치(37)로 수평면에서 가압 프레임 캐리어(35)를 이동시킴으로써 가압 프레임(8)이 이동된 상황을 도시한다. 템퍼링 프레임(21)은 2개의 템퍼링 박스(20) 사이의 제1 템퍼링 프레임 위치(22)에서 벤딩 챔버(2) 내의 제2 템퍼링 프레임 위치(23)로 이동되었다. 제2 템퍼링 프레임 위치(23)는 수직으로 고정 몰드(11)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벤딩 챔버(2)로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 벤딩 챔버 도어(25)가 짧은 시간동안 개방되었고, 그 결과 상당한 온도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7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여기서, 시트(52)가 고정된 고정 몰드(11)은 수직으로 아래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시트(52)가 템퍼링 프레임(21) 상에 배치된다. 접촉 표면(15)에 시트(52)의 고정은 흡입/송풍 장치(18)의 흡입 작용을 중지함으로써 해제되었다. 시트(52)의 배치는 흡입/송풍 장치(18)에 의해 생성된 유체 흐름으로 불어냄으로써 보조된다.
도 19는 도 18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도 19는 고정 몰드(11)가 수직으로 위로 이동된 상황을 도시한다. 시트(52)는 템퍼링 프레임(21) 상에 배치된다.
도 20은 도 19보다 이후의 시트를 벤딩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여기서 템퍼링 프레임(21) 상의 시트(52)는 벤딩 챔버(2) 내의 제2 템퍼링 프레임 위치(23)로부터 시트(52)가 템퍼링 되는 2개의 템퍼링 박스(20) 사이의 제1 템퍼링 프레임 위치(22)로 이동되었다. 시트(52)가 배치된 템퍼링 프레임(21)이 벤딩 챔버(2)를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제1 벤딩 챔버 도어(25)가 짧은 시간 개방되고, 그 결과 상당한 온도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중력에 의한 시트(52)의 가장자리 최종 벤딩 및 표면 최종 벤딩은 템퍼링 프레임(21) 상에서 이송하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템퍼링 프레임(21)은 바람직하게는 시트(52)와 접촉하기 위한 상향 프레임 표면을 가지며, 이는 가장자리 최종 벤딩을 위해 적합하게 설계된다. 또한, 템퍼링 프레임(21)은 바람직하게는 중력에 의한 표면 최종 벤딩에 적합하게 설계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된 다른 시트(52)는 벤딩 챔버(2)로 이송될 수 있다. 도 20의 상황은 도 4의 상황과 유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벤딩 과정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2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장치(1)에 의해 시트(52)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연속적인 단계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1 단계 I에서, 벤딩 온도로 가열된 시트(52)가 벤딩 챔버(2) 내의 제거 위치에 제공된다. 제2 단계 II에서, 시트(52)는 이송 가능한 몰드(7) 및 고정 몰드(11)로부터 선택된 몰드의 접촉 표면(15’, 15) 상에 고정된다. 제3 단계 III에서, 가압 프레임(8) 벤딩 챔버(2) 내의 가압 프레임 작업 위치(38)에 위치된다. 선택적인 제4 단계 IV에서, 시트(52)가 고정 몰드(7, 11)의 접촉 표면(15‘, 15)과 가압 프레임(8) 사이에서 가압이 수행될 수 있다. 제5 단계 V에서, 시트(52)는 가압 프레임(8) 상에 배치된다. 제6 단계 VI에서, 시트(52)는 각각의 다른 (단계 II에서 선택되지 않은) 몰드(7, 11)의 접촉 표면(15, 15’)과 가압 프레임(8) 사이에서 가압된다. 제7 단계 VII에서, 시트(52)는 가압이 마지막으로 수행된 몰드(11, 7)의 접촉 표면(15, 15‘) 상에 고정된다. 제8 단계 VIII에서, 템퍼링 프레임(21)은 벤딩 챔버(2)의 제2 템퍼링 프레임 위치(23)에 위치된다. 제9 단계 IX에서, 시트(52)는 템퍼링 프레임(21) 상에 배치된다. 제10 단계 X에서, 시트(52)는 시트(52)의 열 템퍼링을 위해 템퍼링 프레임(21) 상에서 템퍼링 구역(4)으로 이송된다.
시트(52)의 제1 고정에 이송 가능한 몰드(7)가 사용되고 시트(52)의 제2 고정에 고정 몰드(11)가 사용되는 제1 대안에 따르면, 이송 가능한 몰드(7)는 시트(52)를 접촉 표면(15’)에 고정하기 이전에 벤딩 챔버로 도입되고, 가압 프레임(8)에 시트(52)를 배치한 이후에 벤딩 챔버(2)로부터 다시 제거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고정 몰드(11)는 적어도 벤딩 챔버(2)에 시트(52)를 제공한 이후부터 템퍼링 프레임(21) 상의 시트(52)가 이송될 때까지 벤딩 챔버(2)에 영구적으로 남아있다.
고정 몰드(11)는 시트(52)의 제1 고정을 위해 사용되고 이송 가능한 몰드(7)는 시트(52)의 제2 고정에 사용되는 제2 대안에 따르면, 이송 가능한 몰드(7)는 시트(52)를 가압 프레임에 배치한 이후 벤딩 챔버(2)로 도입되고, 시트(52)를 템퍼링 프레임(21)에 배치한 후 벤딩 챔버(2)로부터 제거된다. 이 경우, 고정 몰드(11)는 적어도 벤딩 챔버(2)에 시트(52)를 제공한 이후부터 템퍼링 프레임(21) 상에 시트(52)가 이송될 때가지 벤딩 챔버(2)에 영구적으로 남아있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복잡한 곡면 시트도 빠르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기존 시스템은 외부에서 벤딩 챔버로 도입된 이송 가능한 몰드로부터 쉽게 개조할 수 있다. 이송 가능한 몰드의 삽입 및 제거는 고정 몰드의 사용을 위한 공간을 만든다. 즉, 여러가지 몰드에 의한 시트 가공이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해진다. 특히, 몰드의 위치 변화가 수직으로만 발생하고 가압 프레임에 보관하는 동안 시트가 움직이지 않으면 시트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몰드와 가압 프레임 사이의 시트를 가압함으로ㅆ 가압 프레임 상의 시트를 위치시키는 정확도가 특히 유리해진다. 외부에서 벤딩 챔버로 도입될 수 있는 이송 가능한 몰드는 특히 높은 정확도로 벤딩 챔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몰드 캐리어의 이동 메커니즘이 가열된 영역 외부에 배치될 때에 해당한다. 또한, 몰드를 빠르고 쉽게 교체 및/또는 서비스할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이송 가능한 몰드는 사용 전에 가열될 수 있어서, 특히 몰드 변경 후에 시트의 가공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비교적 짧은 사이클 시간 및 특히 높은 품질 요구사항을 갖는 복잡한 형상의 시트의 특히 경제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1 : 장치
2 : 벤딩 챔버
3 : 예열 구역
4 : 템퍼링 구역
5 : 몰드 캐리어 모듈
6 : 가압 프레임 모듈
7 : 이송 가능한 몰드
8 : 가압 프레임
9 : 벤딩 챔버 벽
10 : 벤딩 챔버 공동
11 : 고정 몰드
12 : 홀더
13 : 벤투리 장치
14 : 홀더 이동 메커니즘
15, 15‘ : 접촉 표면
16, 16’ : 외부 표면 섹션
17, 17‘ : 내부 표면 섹션
18, 18’ : 흡입/송풍 장치
19 : 송풍 장치
20 : 템퍼링 박스
21 : 템퍼링 프레임
22 : 제1 템퍼링 프레임 위치
23 : 제2 템퍼링 프레임 위치
24 : 제1 벤딩 챔버 개구
25 : 제1 벤딩 챔버 도어
26 : 가압 프레임 모듈 벽
27 : 가압 프레임 모듈 공동
28 : 가압 프레임 모듈 개구
29 : 가압 프레임 모듈 도어
30 : 제2 벤딩 챔버 개구
31 : 제2 벤딩 챔버 도어
32 : 가압 프레임 모듈 이동 메커니즘
33 ; 예열 구역 가열 장치
34 : 가압 프레임 모듈 가열 장치
35 : 가압 프레임 캐리어
36 : 가압 프레임 캐리어 이동 메커니즘
37 : 가압 프레임 휴지 위치
38 : 가압 프레임 작업 위치
39 : 롤러 베드
40 : 롤러
41 : 제거 위치
42 : 제3 벤딩 챔버 개구
43 : 하부 구조
44 : 몰드 캐리어
45 : 몰드 캐리어 모듈 벽
46 :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
47 : 제4 벤딩 챔버 개구
48 : 몰드 캐리어 모듈 이동 메커니즘
49 : 바퀴
50 : 몰드 캐리어 이동 메커니즘
51 : 가압 표면
52 : 시트
53 : 가장자리 영역
54 : 내부 영역
55 : 기류

Claims (15)

  1. 시트(52)가 벤딩 챔버에서 운송 가능한 몰드(11, 7)의 접촉 표면(15, 15‘)에 고정되고, 이송 가능한 몰드(11, 7)에 의해 프레임(8, 21)에 배치되는,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에서,
    이송 가능한 몰드(11, 7)는 시트(52)가 이송 가능한 몰드(11, 7)에 고정되지 않은 채로 벤딩 챔버(2)에서 시트(52)가 고정되기 이전에 벤딩 챔버(2) 로 도입되고, 시트(52)를 이송 가능한 몰드(11, 7)에 고정되지 않은 채로 프레임(8, 21)에 시트(52)를 배치한 이후에 벤딩 챔버(2)에서 제거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벤딩 챔버(2)에 시트(52)를 제공하는 단계,
    - 벤딩 챔버(2) 내 제1 몰드(11, 7)의 접촉 표면(15, 15')에 시트(52)를 고정하는 단계,
    - 벤딩 챔버(2)에 가압 프레임(8)을 배치하는 단계,
    - 가압 프레임(8)에 시트(52)를 놓는 단계,
    - 제2 몰드(11, 7)의 접촉 표면(15, 15')과 가압 프레임(8) 사이의 시트(52)를 가압하는 단계,
    - 제2 몰드(11, 7)의 접촉 표면(15, 15')에 시트(52)를 고정하는 단계,
    - 벤딩 챔버(2)에 템퍼링 프레임(21)을 위치시키는 단계,
    - 템퍼링 프레임(21)에 시트(52)를 놓는 단계,
    - 템퍼링 프레임(21) 상의 시트(52)를 시트(52)의 열 템퍼링을 위한 냉각 장치(2)로 이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i) 시트(52)를 제1 몰드(7)에 고정하지 않고 시트(52)를 접촉 표면(15‘)에 고정하기 이전에 제1 몰드(7)를 벤딩 챔버(2)로 도입하고, 시트(52)를 제1 몰드(7)에 고정하지 않고 가압 프레임(8)에 시트(52)를 놓은 후 벤딩 챔버(2)에서 제거하거나,
    ii) 시트(52)를 제2 몰드(7)에 고정하지 않고 시트(52)를 접촉 표면(15’)에 고정하기 이전에 제2 몰드(7)를 벤딩 챔버(2)로 도입하고, 시트(52)를 제2 몰드(7)에 고정하지 않고 템퍼링 프레임(21)에 시트(52)를 배치한 이후에 벤딩 챔버(2)에서 제거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가압 프레임(8)은 시트(52)를 가압 프레임(8) 상에 배치하고, 시트(52)를 제2 몰드(11, 7)에 의해 가압한 이후에 이동되지 않는, 방법.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몰드(11, 7) 및/또는 제2 몰드(11, 7) 상의 고정된 상태의 시트(52)는 수직으로만 이동되는,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52)는 제1 몰드(11, 7)의 접촉 표면(15, 15‘)과 가압 프레임(8) 사이에서 가압되는, 방법.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계들 i), 단계들 ii) 또는 단계들 iii)을 포함한다:
    단계들 i)
    - 시트(52)를 가압 프레임(8)에 놓음, 및 선택적으로는 제1 몰드(11, 7)의 접촉 표면(15, 15’)과 가압 프레임(8) 사이에서 시트(52)를 가압함으로써 가장자리 영역(53)에서 시트(52)의 제1 가장자리를 사전 벤딩하는 단계,
    - 제2 몰드(11, 7)와 가압 프레임(8) 사이의 시트(52)를 가압하여 가장자리 영역(53)에서 시트(52)의 제2 가장자리를 사전 벤딩하는 단계,
    - 시트(52)를 템퍼링 프레임(21)에 놓음으로써 가장자리 영역(53)에서 시트(52)의 가장자리를 최종 벤딩하는 단계,
    단계들 ii)
    - 가압 프레임(8)에 시트(52)를 놓음 및 선택적으로는 제1 몰드(11, 7)의 접촉 표면(15, 15‘)과 가압 프레임(8) 사이에서 시트(52)를 가압함으로써, 가장자리 영역(53)에서 시트(52)의 가장자리를 사전 벤딩하는 단계,
    - 제2 몰드(11, 7)와 가압 프레임(8) 사이에서 시트(52)를 가압하여 가장자리 영역(53)에서 시트(52)의 가장자리를 최종 벤딩하는 단계,
    단계들 iii)
    - 제1 몰드(11, 7)와 가압 프레임(8) 사이의 시트(52)를 가압하여 가장자리 영역(53)에서 시트(52)의 가장자리를 최종 벤딩하는 단계,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프레임(8)에 놓인 시트(52)는 가장자리 영역(53)으로 둘러싸인 내부 영역(54)에서 중력에 의해 표면 사전 벤딩되는, 방법.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템퍼링 프레임(21)에 놓인 시트(52)는 가장자리 영역(53)으로 둘러싸인 시트(52)의 내부 영역(54)에서 중력에 의해 표면 최종 벤딩되는, 방법.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52)를 가압 프레임(8)에 배치하기 이전에, 가압 프레임(8)이 벤딩 챔버(2)로 도입되고; 제2 몰드(11, 7)의 접촉 표면(15, 15')에 시트(52)를 고정한 이후에 가압 프레임(8)을 벤딩 챔버(2)에서 제거하는, 방법.
  10. 특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트(52)를 벤딩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음을 포함한다:
    - 시트를 벤딩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는 벤딩 챔버(2),
    - 시트(52)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 표면(15)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몰드(11) - 상기 몰드(11)는 하나의 동일한 시트(52)가 벤딩 챔버(2)에 위치하는 기간 동안 벤딩 챔버(2)에 영구적으로 배치됨 -,
    - 시트(52)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 표면(15')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가능한 몰드(7) - 상기 몰드(7)는 하나의 동일한 시트(52)가 벤딩 챔버(2)에 위치하는 기간 동안 벤딩 챔버(2)의 외부에 때때로 배치되고, 여기서 이송 가능한 몰드(7)는 이동 가능한 몰드 캐리어(44)에 고정되고, 벤딩 챔버(2)로 도입될 수 있고, 몰드 캐리어(44)를 이동시킴으로써 벤딩 챔버(2)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송 몰드(7)는 시트(52)가 이송 몰드(7)에 고정되지 않은 채 벤딩 챔버(2)로 도입되고 및 시트(52)가 이송 몰드(7)에 고정되지 않은 채 벤딩 챔버(2)에서 제거됨 -.
  11. 제10항에 있어서,
    몰드 캐리어(44)는 벤딩 챔버(2) 외부에 배치된 몰드 캐리어 모듈(5)에 장착되고, 상기 모듈(5)이 특히 벤딩 챔버(2)로 전달될 수 있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몰드 캐리어 모듈(5)은 이송 가능한 몰드(7)를 수용하기 위한 가열 가능한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46)을 갖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몰드 캐리어(44)를 이동시키기 위한 몰드 캐리어 이동 메커니즘(50)이 가열 가능한 몰드 캐리어 모듈 공동(46)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거나 몰드 캐리어(44)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를 갖는,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시트(5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프레임(8) - 여기서 몰드(11, 7) 및 가압 프레임(8)은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시트(52)가 몰드(11, 7)의 각각의 접촉 표면(15, 15')과 가압 프레임(8)의 가압 표면(51)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고 - ,
    - 시트(52)의 열 템퍼링을 위한 냉각 장치(52)가 있는 템퍼링 구역(4),
    - 시트(52)를 벤딩 챔버(2)로부터 템퍼링 구역(4)으로 이송하기 위한 템퍼링 프레임(21),
    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흡입에 의해 접촉 표면(15, 15')에 시트(52)를 고정하기 위한, 및/또는 송풍에 의해 접촉 표면(15, 15')에 고정된 시트(52)를 제거하기 위한, 각 몰드(11, 7)와 관련된 공압 흡입/송풍 장치(18, 18'), 및/또는
    - 송풍에 의해 몰드(11, 7)의 접촉 표면(15, 15')에 대해 시트(52)를 들어 올리고 가압하는 공압 송풍 장치(19),
    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217013321A 2018-10-31 2019-10-28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690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3721 2018-10-31
EP18203721.8 2018-10-31
PCT/EP2019/079321 WO2020089133A1 (de) 2018-10-31 2019-10-2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scheib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099A true KR20210069099A (ko) 2021-06-10

Family

ID=6404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321A KR20210069099A (ko) 2018-10-31 2019-10-28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147277A1 (ko)
EP (1) EP3873858A1 (ko)
JP (1) JP2021533071A (ko)
KR (1) KR20210069099A (ko)
CN (1) CN111630007A (ko)
BR (1) BR112020022238A2 (ko)
MA (1) MA54047A (ko)
MX (1) MX2021004938A (ko)
PE (1) PE20211164A1 (ko)
RU (1) RU2760812C1 (ko)
WO (1) WO2020089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7931A1 (de) * 2017-01-30 2018-08-02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zum biegen einer glasscheibe
FI20185664A1 (fi) * 2018-07-31 2020-02-01 Taifin Glass Machinery Oy Menetelmä laitteessa lasilevyjen taivuttamiseksi ja laite lasilevyjen taivuttamiseksi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2925A (en) * 1985-12-09 1987-05-05 Ppg Industries, Inc. Horizontal press bending of heat softened glass sheets
US4666493A (en) * 1985-12-19 1987-05-19 Ppg Industries, Inc. Sheet positioning system
FR2601668A1 (fr) 1986-07-16 1988-01-22 Saint Gobain Vitrage Perfectionnement au bombage de plaques de verre
US4711653A (en) * 1986-12-29 1987-12-08 Ppg Industries, Inc. Innovative press bending of thermoplastic sheets
DE4208219C1 (ko) * 1992-03-14 1993-05-06 Vegla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De
DE4334213A1 (de) * 1993-10-07 1995-04-13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Glasscheiben
CA2141830C (en) * 1994-02-14 1999-06-01 Ppg Industries Ohio, Inc. Method and apparatus of bending glass sheets
DE69601267T2 (de) * 1995-06-07 1999-07-08 Pilkington Glass Ltd Verfahren zum biegen von glasscheiben
US5906668A (en) 1997-11-20 1999-05-25 Glasstech, Inc. Mold assembly for forming heated glass sheets
US6038887A (en) * 1998-08-19 2000-03-21 Glasste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glass sheets
MXPA04000233A (es) * 2002-03-13 2004-05-04 Asahi Glass Co Ltd Metodo y aparato para flexionar un hoja de vidrio.
FR2852951B1 (fr) 2003-03-26 2007-02-16 Saint Gobain Procede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par pressage et aspiration
EP1550639A1 (en) * 2003-12-26 2005-07-06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thod for bending a glass sheet and apparatus therefor
FR2880343B1 (fr) 2004-12-31 2007-06-22 Saint Gobain Procede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par aspiration
DE102005001513B3 (de) * 2005-01-13 2006-06-01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iegen von Glasscheiben
US7958750B2 (en) 2005-10-21 2011-06-14 Glasstech, Inc. Glass sheet forming system
EP2025648B1 (en) 2006-04-25 2016-05-04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thod of bend forming of glass plate and glass plate bend forming apparatus
JP5223680B2 (ja) * 2006-12-19 2013-06-26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曲げ成形方法及び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
WO2009072530A1 (ja) 2007-12-04 2009-06-11 Asahi Glass Company, Limited ガラス板の曲げ成形方法及び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
US9296637B2 (en) * 2010-06-09 2016-03-29 Glasstech, Inc. Method for press forming glass sheets
EP2463247A1 (de) 2010-12-13 2012-06-13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Scheiben
US11021387B2 (en) * 2014-12-10 2021-06-01 AGC Inc. Manufacturing method for laminated glass
HUE053125T2 (hu) * 2016-04-13 2021-06-28 Saint Gobain Üveglapok hajlítása és a hozzá kapcsolódó eljárá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60812C1 (ru) 2021-11-30
MA54047A (fr) 2022-02-09
JP2021533071A (ja) 2021-12-02
MX2021004938A (es) 2021-06-08
WO2020089133A1 (de) 2020-05-07
CN111630007A (zh) 2020-09-04
US20210147277A1 (en) 2021-05-20
BR112020022238A2 (pt) 2021-06-08
PE20211164A1 (es) 2021-06-28
EP3873858A1 (de)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1665B2 (ja) ガラス板の曲げ焼もどし方法及び装置
JP4385132B2 (ja) ガラスシートを曲げ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6612615B (zh) 在使用风扇的情况下的玻璃弯曲装置和玻璃弯曲方法
FI86838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oejning av glasskivor.
RU2742780C2 (ru) Гибка стеклянных листов
US5858047A (en) Method and apparatus of bending glass sheets
JP4817113B2 (ja) ガラス板の曲げ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34630A (ja) ガラス薄板の曲げ/焼戻し方法および装置
KR20080056735A (ko) 유리 시트 성형 시스템 및 방법
CN108349771B (zh) 用于玻璃加工系统的抬升装置
JPH06501912A (ja) 板ガラスを曲げ加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5053069A (en) Process and device for bending and tempering by contact
KR20210069099A (ko)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377648B (zh) 弯曲薄玻璃
JP6912096B2 (ja) ガラスシート成形システムのための金型シャトル位置決めシステム
KR20180095805A (ko) 유리 시트 성형 시스템용 진공 금형 셔틀 시스템
KR102359351B1 (ko) 판유리를 벤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32693B1 (ko) 판유리를 벤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7168561B2 (ja) ガラスシートを成形する方法およびそれに利用されるガラス成形ライン
EP0363097B1 (en) Method of shaping sheet glass
CN114269698A (zh) 用于弯曲板的方法和设备
CN216039261U (zh) 一种新型双曲钢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