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182A - 하의 - Google Patents

하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182A
KR20210064182A KR1020217001379A KR20217001379A KR20210064182A KR 20210064182 A KR20210064182 A KR 20210064182A KR 1020217001379 A KR1020217001379 A KR 1020217001379A KR 20217001379 A KR20217001379 A KR 20217001379A KR 20210064182 A KR20210064182 A KR 20210064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cylindrical
slit
protection bel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나 타카다
히로시 카지야마
타카코 미야무라
타다유키 미즈노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8Abdomin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허리부를 조여 매는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해서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작업용 바지 등 하의에 일체로 허리부 보호 벨트를 부설할 수 있는, 허리 둘레 부분의 배면부 또한 하의의 내측에 통형상부를 갖는 하의로서, 착용자가 상기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 완료하는데도 시간이 걸리지 않는 하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은 허리 둘레 부분을 갖는 하의로서, 상기 허리 둘레 부분의 배면 부분 또한 하의의 내측에는 하의 보디 생지와 그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의 보디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를 갖고 있고, 상기 통형상부는 그 축 방향이 상기 허리 둘레 부분의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의 대략 중앙부에 1개의 슬릿을 갖고 있고, 상기 슬릿은 길이 방향이 착용자의 신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부의 폭(W1)과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70∼1.00인 하의.

Description

하의
본 발명은 하의(Bottom wear)에 관한 것이다.
직업성 질병 중, 요통은 노동자가 업무 중에 걸리기 쉬운 병 중 하나이고, 여러가지 직종에 넓게 발생하고 있다. 요통 발생의 리스크가 높은 직업 종사자로서, 중량물 운반이나 장거리 드라이브에 종사하는 운송업 사업자, 입원 환자의 공조나 구급 환자의 대응이 필요한 의료 종사자가 열거되지만, 최근에는 고령자 개호 등의 사회 복지 시설에서의 업무 종사자의 요통 발생 건수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통은 직업 종사자의 연령이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특히 초기 중에 대책을 취하는 사람은 적고, 요통의 증상이 진행될 때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는 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또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되어 생산 연령 인구의 감소라고 하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사회를 유지한다고 하는 측면에서는 65세 이상의 일하는 시니어나 일하는 여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중, 귀중한 노동자의 건강의 유지 및 건강의 증진은 지금까지 이상으로 중요성을 높이고 있다. 직업복에 있어서도, 종래부터 안전성, 움직임 용이성, 식별성이라고 하는 기능에 더해, 노동자의 건강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지한다고 하는 시점이 중요하게 되고 있다.
종래, 요통 예방에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 특히 착용자의 골반 상부를 포함하는 위치에서, 허리부 보호대를 조여 매고, 그래서 배압을 높이는 것이 유효하게 되어 왔다. 이것은 복강이 럭비 볼과 같이 기둥이 되어서 허리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허리부 보호대는 의복 아래에 착용하는 것이 대다수이어서, 의복을 벗고 나서 몸에 착용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번거롭고, 또한 허리부 보호대를 몸에 착용한 후에 허리부의 조임 상태를 조정할 때에도, 의복을 벗거나 느슨하게 하고 나서 조임 상태를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애, 이 작업이 번거롭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작업용 바지 등 하의에 일체로 허리부 보호 벨트를 부설할 수 있는 허리 둘레 부분의 배면부 또한 하의의 내측에 통형상부를 갖는 하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이 하의에서는 허리부 보호 벨트에 의해 허리부를 조여 맨 착용자가 직립 자세로부터 쪼그려 않는 자세 또는 쪼그려 앉는 자세로부터 직립 자세로 변화시키는 신축 동작을 복수회 반복 행한 경우에도, 허리부 보호 벨트의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한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슬라이드에 따라 착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이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하여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착용자의 상기와 같은 자세의 반복의 변화에 따라 착용자가 불쾌하게 느낀다는 것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WO 2018/066504호 공보
그러나,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일체로 허리부 보호 도구를 부설할 수 있는 하의에서는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이하, 단지 「벨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장착할 때는 통형상부의 양단 중 일방의 단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는 구조로 되고 있고, 이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은 도중에 허리부 보호 벨트의 단부 등이 통형상부의 내측의 측면에 걸리거나 함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가 통형상부의 내측으로 조여들거나 하는 트러블이 발생하여 시간과 노동력을 요하는 작업이 되는 경향이 있다라는 과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요통 발생의 리스크가 높은 직업 종사자인 운송업 종사자, 의료 종사자, 고령자 개호 등의 사회 복지 시설에서의 업무의 종사자는 이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을 한정된 경의(更衣) 공간에서 행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복수인이 동시에 경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1인분의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어려운 중, 다른 사람의 경의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신속하게 경의를 끝내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의 양단 중 일방의 단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벨트를 삽입하는 방법(즉, 벨트의 일방의 단부를 통형상부의 일방의 개구로부터 삽입해서 통형상부의 타방의 개구를 향해서 삽입 통과시켜 벨트를 장착하는 방법)에서는 벨트가 통형상부의 도중에 조여들거나, 벨트가 통형상부의 내부에서 접혀져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그 경우에는 작업자는 통형상부의 타방의 개구로부터 통형상부의 내측으로 손을 넣어서 벨트를 끌어내는 것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통형상부의 타방의 개구로부터 손을 넣어서 벨트를 끌어내는 경우에도, 통형상부의 일방의 개구로부터 타방의 개구라고 하는 바와 같이, 벨트를 삽입 통과시키는 거리(이하, 「벨트의 삽입 통과 거리」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가 길면 벨트가 조여들어간 곳까지 손을 넣는 것도 곤란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통형상부의 양단 중 일방의 단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벨트를 삽입하는 방법을 채용하지 않을 수 없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하의에서는, 착용자가 허리부 보호 벨트를 상기 통형상부로 장착을 완료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라고 하는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 및 더욱 바람직한 형태를 개시한다.
1. 허리 둘레 부분을 갖는 하의로서, 상기 허리 둘레 부분의 배면 부분 또한 하의의 내측에는 하의 보디 생지와 그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의 보디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를 갖고 있고,
상기 통형상부는 그 축 방향이 상기 허리 둘레 부분의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부는 이하의 (1) 및 (2)의 조건을 만족하는 슬릿을 1개만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릿은 상기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 또한 상기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하의,
(1)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이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2)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통형상부의 폭(W1)과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70∼1.00이다,
2. 상기 통형상부의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마찰계수가 0.2∼1.0이고, 상기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의 통형상부의 폭 방향의 10% 신장 시의 응력이 10N/25mm이하인 상기 하의,
3. 상기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의 인체로부터 먼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가 0.2∼1.0인 상기 어느 하나의 하의,
4. 상기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가 0.2∼1.0인 상기 어느 하나의 하의,
5. 상기 통형상부가 하의 보디 생지와 그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면형상물의 상방부 및 하방부는 각각 하의 보디 생지와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1∼4 중 어느 하나의 하의,
6. 상기 통형상부가 하의 보디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통형상부의 상방부 및 하방부는 각각 하의 보디 생지와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1∼4 중 어느 하나의 하의,
7. 상기 면형상물이 포백인 상기 어느 하나의 하의, 및
8.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의와 허리부 보호 벨트를 갖는, 벨트가 있는 하의이다.
착용자의 허리부를 졸라 매는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해서 사용하는데 적당한 작업용 바지 등 하의에 일체로 허리부 보호 벨트를 부설할 수 있는 허리 둘레 부분의 배면부 또한 하의의 내측에 통형상부를 갖는 하의로서, 착용자가 상기 통형상부로의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 작업을 신속하게 완료시키는 것이 가능한 하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하의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하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하의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의에 장착할 수 있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의에 장착할 수 있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일례의 배면도이다.
도 6은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도 1에 나타내는 하의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도 6에 나타내는 하의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하의의 C-C' 단면도이다.
도 10은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도 8에 나타내는 하의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도 10에 나타내는 하의의 D-D'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나타내는 하의의 E-E'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하의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8에 나타내는 하의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허리부 보호 벨트를 완전하게 하의의 내측에 숨기는 구조를 지닌 하의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은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도 15에 나타내는 하의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은 허리부 보호 벨트를 부분적으로 숨길 수 있는 구조를 지닌 하의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은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도 17에 나타내는 하의의 부분적으로 허리부 보호 벨트를 숨겼을 때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9는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도 17에 나타내는 하의의 부분적으로 허리부 보호 벨트를 숨기지 않고 전면에 허리부 보호 벨트가 나와 있을 때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 15에서 사용한 하의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1은 비교예 2에서 사용한 하의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2는 비교예 1에서 사용한 하의의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하의에 있어서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하는 순서에 있어서의 제 1 공정에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4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하의에 있어서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하는 순서에 있어서의 제 2 공정에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5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하의에 있어서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하는 순서에 있어서의 제 3 공정에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용어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하의: 하반신에 착용하는 의복이고, 예를 들면 슬랙스, 진스(jeans), 치노·팬츠, 카고 팬츠 및 반바지 등의 바지, 스커트 및 오버롤이 있다.
허리 둘레 부분: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척주의 하부로부터 골반까지의 부분의 체표면 둘레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닿는 하의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이 허리 둘레 부분은 벨트 루프, 옆 주머니, 뒷 주머니, 전후 파스너를 포함하는 웨이스트 부분, 및 바지의 가랑이 윗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배면 부분: 착용자의 배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닿는 하의의 일부.
통형상부: 하의의 허리 둘레 부분, 배면 부분에 있는 통형상의 부분. 하의 본체의 배면 부분의 앞부분에 있다. 반드시 단면이 원일 필요는 없고, 단면이 중공 또는 중공이 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틀어져 있어도 되고, 접어져서 거의 면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통형상부의 축 방향은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이기도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형상부: 하의 보디 생지와, 그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형상부: 하의 보디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
제 1 실시형태의 발명: 제 1 실시형태의 통형상부를 갖는 발명.
제 2 실시형태의 발명: 제 2 실시형태의 통형상부를 갖는 발명.
통형상부의 후방 부분: 통형상부는 통형상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과 하단이 이루는 선으로 2개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착용자로부터 먼 부분.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보디 생지(5)」.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9의 「통형상부의 후방 부분(15')」. 이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 통형상부는 통형상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과 하단이 이루는 선으로 2개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착용자로부터 가까운 부분.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6)」.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9의 「통형상부의 전 방부분(15)」. 이하, 「통형상부 전방 부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전방: 하의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앞의 방향(도 12에서는 부호(19)).
후방: 하의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뒤의 방향(도 12에서는 부호(20)).
이하에 본 발명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개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제 1 실시형태의 하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예가 되는 하의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 또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하의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의(1)는 그 둘레에 허리 둘레부(2)를 갖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하의(1)가 갖는 허리 둘레부(2)는 그 배면 부분(18)에 통형상부(3)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통형상부(3)는 그 축 방향이 허리 둘레부의 허리 둘레 방향(4)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고자 한다. 이 통형상부(3)의 내부에는 허리부 보호 벨트(9)를 통형상부(3) 중에 삽입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하의의 A-A'단면도이다. 도 1의 통형상부(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리 둘레부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5)와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형상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면형상물은 하의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의 생지(5)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형상부 후방 부분이 되고 있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은 면형상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 결과, 하의 보디 생지와, 그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의 상단은 하의 생지(5)와, 허리 둘레 방향에 록킹부(7)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의 형태와 같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형상물의 상단이 허리 둘레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본 실시형태의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발끝등이 면형상물과 하의 생지(5)의 사이에서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단,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에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면형상물의 상단보다 약간 아래의 부분(면형상물의 상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이,연결되어 있는 형태, 즉, 록킹부의 상방에 면형상물의 상단이 밀려나와 있는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도 3에서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형상물의 하단은 허리 둘레 방향에 단속하고,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5)와 록킹부(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하단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이하한 바와 같다.
면형상물의 하단부를 하의 보디 생지의 내면에 따르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허리부 보호 벨트를 통형상부 내부에 통과시켰을 때의 수용이 좋다. 또한, 면형상물의 하단부가 하의의 내측에서 마구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면형상물이 하의의 내측에서 절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는 하의를 입은 채로도 허리부 보호 벨트를 통형상부에 통과시킬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형상물의 하단보다 약간 윗부분(면형상물의 하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 즉, 록킹부의 하방에 포백의 하단이 밀려나와 있는 형태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도 3과 같은 단면을 갖는 형태의 하의에 있어서는 록킹부(7) 및 록킹부(8)는 봉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포백(면형상물)의 상방부 및 하방부는 각각, 허리 둘레 방향에 단속하고, 각각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와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은 단속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연속하고 있어도 된다. 이 연결은 통형상부를 구성하고 있는 곳의 면형상물의 상단 및 하단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속한 록킹부로서는 봉제나 접착제나 융착, 면 파스너나 버튼 등에 의한 록킹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열거된다. 그 한편, 연속한 록킹부로서는 봉제나 융착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열거된다. 또한, 봉제는 통상의 본 바느질 외, 사람에게의 촉감을 원활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플랫시머 봉제나 2개 바늘, 3개 바늘 봉제 등의 체인 스티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단속한 록킹부의 형태예로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하의가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형상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통형상부의 양단부의 하단에 각각 1점만 설치되는 록킹부이어도 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의 중앙부에는 슬릿(25)이 1개만 배치되어 있고, 이 슬릿(25)은 길이 방향이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령, 이 슬릿(25)이 없는 경우,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형상부가 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형상부의 구조에서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 시, 작업자는 벨트의 일방단을 통형상부의 일방의 단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삽입해서 통형상부의 타방의 개구를 향해서 삽입 통과시켜 벨트를 장착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장착 방법에서는 벨트가 통형상부의 도중에 조여들거나, 벨트가 통형상부의 내부에서 접혀버리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그 경우에는 작업자는 통형상부의 타방의 개구로부터 통형상부의 내측으로 손을 넣어서 벨트를 끌어내는 것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통형상부의 타방의 개구로부터 손을 넣어서 벨트를 끌어내는 경우에도, 통형상부의 일방의 개구로부터 타방의 개구라고 한 바와 같이, 벨트의 삽입 통과 거리가 길면 벨트가 조여든 곳까지 손을 넣는 것도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통형상부의 양단 중 일방의 단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벨트를 삽입하는 방법을 채용하지 않을 수 없는 구성의 하의에서는 착용자가 허리부 보호 벨트를 상기 통형상부에 장착을 완료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라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슬릿(25)을 설치함으로써, 도 23,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순서로 용이하게 허리부 보호 벨트 하의로의 장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허리부 보호 벨트를 등부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중 어느 일방의 단부를 통형상부에 삽입 통과시키고(도 24), 그 후, 허리부 보호 벨트의 타방의 단부를 통형상부의 조금 전과는 반대측으로 통과시켜(도 25),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의 대폭적인 시간 단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에는 슬릿(25)이 1개만 설치되어 있다. 슬릿(25)의 수를 1개에 한정하는 이유로서는 이하한 바와 같다. 제 1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의 슬릿은, 이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고,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목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슬릿의 수가 2개 이상(예를 들면, 슬릿 A 및 슬릿 B의 2개)이면, 허리부 보호 벨트를 슬릿 A로부터 통형상부 중에 통과시켜 갈 때에 허리부 보호 벨트의 선단이 슬릿 B에 걸리고, 슬릿 A로부터 벨트가 용이하게 들어가기 어려워져, 오히려 수고가 증가해버리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슬릿의 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상기와 같은 수고가 증가하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효과는 작아져 간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부터,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설치하는 슬릿의 수는 1개로 한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릿은 상기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 또한 상기 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은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이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에만 배치되어 있는, 즉, 통형상부의 후방 부분에 슬릿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를 통형상부에 장착했을 때에 허리 둘레부의 외관으로부터는 허리부 보호 벨트가 노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의에서는 착용 시에, 허리부 보호 벨트 하의의 외부에 있는 돌기물 등으로의 걸림이 억제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슬릿의 설치 위치를 통형상부 전방 부분 또한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 하는 이유로서는 이하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의 슬릿은 이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고,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목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슬릿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양단 중 어느 일방에 매우 가까운 개소에 설치되어 있었던 경우, 종래의 통형상부의 양단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는 경우와 작업의 용이함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극단적으로 감소해 버린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슬릿(25)은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 또한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의로의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의 작업성에 대폭적인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슬릿(25)의 통형상부에 있어서의 배치의 위치는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통형상부의 일방의 단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이어도 된다.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이란 통형상부를 길이 방향으로 3등분한 경우에, 정중앙에 위치하는 통형상부의 일부분을 말한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의 슬릿은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대략 중앙 부분에 1개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부에는 이하의 (1) 및 (2)의 조건을 만족하는 슬릿을 1개만 구비하고 있다.
(1)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이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2)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통형상부의 폭(W1)과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의 폭(W2)의 비(W2/W1)가 0.70∼1.00이다.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이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이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직교한다란 길이 방향과 허리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형성되는 예각의 각도가 0∼15도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와 같이 슬릿을 배치함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의 삽입 통과 방향이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여기서, 슬릿의 형상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략 타원 형상의 슬릿이 열거된다. 또한, 이 슬릿은 단순하게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의 면형상물의 중앙에 절개를 넣은 것만이어도,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가 포백으로 끼워지고 가장자리를 두른 후에 봉제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들의 형태 중에서도, 슬릿은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가 포백으로 끼워지고 가장자리가 둘러진 후에 봉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가 보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가 보강되어 있는 슬릿에서는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와 허리부 보호 벨트의 마찰에 의해,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가 마모하는 등하여 손상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슬릿은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 둘레의 전체가 보강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 둘림에 사용하는 포백은 허리부 보호 벨트의 출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신축성이 있는 포백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신축성이 있는 포백을 얻는 소재로서는 후술하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면형상물의 소재와 같은 것이 열거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의 폭을 W1로 하고,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을 W2라고 했을 때의 W1과 W2의 비(W2/W1)는 0.70∼1.00이다. 여기서, 전제로서, 하의에 의한 허리부 보호 벨트의 유지성을 뛰어난 것으로 하는 관점으로부터는 허리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허리부 보호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폭과 통형상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근사할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착용자의 신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이란, 상하 방향으로 대략 평행한 방향이기도 하고, 후술하는 방향 I에 평행한 방향이다. 이하, 대략 상하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하의에 의한 허리부 보호 벨트의 유지성을 우수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하의의 착용자는 하의에 장착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에, 이 허리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허리부 보호부의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하의의 통형상부의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과 근사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를 채용하는 것이 통상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 W1과 W2의 비(W2/W1)가 0.70 이상임으로써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의 출입 작업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하의에 장착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로서, 허리부 보호부의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충분한 크기의 허리부 보호부를 구비한 허리부 보호 벨트를 채용할 수 있다(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5∼20cm로 충분한 크기의 폭의 허리부 보호부를 구비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는 뛰어난 허리부 보호 성능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W1과 W2의 비(W2/W1)를 1.00 이하로 함으로써 통형상부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출입할 때의 통형상부의 변형을 최저한으로 억제하고, 통형상부 전체의 형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하여,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허리부 보호 벨트를 넣고 꺼내는데도 충분한 슬릿 폭을 확보하기 위해서, W1과 W2의 비(W2/W1)는 상기 범위로 한다. 또한. 상기의 관점으로부터, W1과 W2의 비(W2/W1)는 0.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편, 0.9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W1은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통형상부의 부분에 있어서의, 허리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통형상부의 폭 중, 최대가 되는 폭의 값을 말하고, W2는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 중, 최대가 되는 폭의 값을 말한다.
또한, 슬릿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W3라고 했을 때, 이 W3은 0.5cm 이상 3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W3이 0.5cm 이상임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의 전체의 강성이 높아 크게 절곡하는 것이 곤란한 허리부 보호 벨트이어도, 이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통형상부가 구비하는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의 일방의 단부를 통형상부에 삽입 통과한 후, 허리부 보호 벨트의 타방의 단부를 슬릿에 삽입할 때에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부터 나와 있는 부분을 크게 절곡할 필요가 있지만, W3이 클수록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부터 나와 있는 부분의 절곡의 정도가 작게 되고, 결과적으로, 이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W3이 3cm 이하임으로써 통형상부에 의한 허리부 보호 벨트 하의로의 고정이 보다 강고한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W3이 작을수록 통형상부에 설치된 슬릿에 의해 하의에 장착된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 덮어지지 않는 부분은 적어지고, 허리부 보호 벨트는 통형상부에 의해 하의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W3은 슬릿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중, 최대가 되는 폭의 값을 말한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의 하의 보디 생지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하의에서는 하의 보디 생지란 하의를 구성하는 부재 중, 통형상부 전방 부분을 구성하는 면형상물 이외의 생지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하의의 외관도이다. 도 13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지만 파선으로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형상물이 나타내어져 있고, 실선으로 하의 보디 생지(24)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12는 도 2에 나타내는 하의의 E-E'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하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5)와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가 허리 둘레 부분에서의 배면 부분(18)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의 내부의 공간, 즉,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5)와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6) 사이의 공간은 허리부 보호 벨트 배치용 공간(21)이고, 벨트가 장착된 벨트가 있는 하의의 상태에서는 이 허리부 보호 벨트 배치용 공간(21)에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허리부 보호부가 수납된다.
다음에, 도 4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하의에도 장착할 수 있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일례이며, 일방의 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그 허리부 보호 벨트의 배면도이다. 이 허리부 보호 벨트(9)는 허리부 보호부(10), 이 허리부 보호부(10)의 좌우에 배치된 벨트부(11), 허리부 보호 벨트의 일방의 단부에 배치된 제 1 고정 부재(12), 허리부 보호 벨트의 타방의 단부에 배치된 제 2 고정 부재(13) 및 허리부 보호부(10)의 중앙에 배치된 본(bone)(14)을 갖는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허리부 보호 벨트(9)의 허리부 보호부(10)는 폭이 크게 되어 있는 띠형상의 것이다. 이와 같이 폭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본(born)을 배치하는 점에서 적당하다. 도시한 것과 달리, 허리부 보호부가 벨트부와 같은 폭이나, 또한 벨트부보다 좁아도 된다. 허리부 보호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폭(등폭)은 5∼2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등폭을 5cm 이상으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허리부의 조임압이 협폭 부분에 집중하여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되어 혈관 등을 과도하게 압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허리부 보호부의 배치 시의 위치 결정에 있어서, 허리부 보호부가 골반의 상부가 걸리도록 하기 위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등폭을 20cm 이하로 함으로써 장시간의 착용 시의 답답함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하여 가동 제한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장시간의 착용이나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허리부 보호부의 등폭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관점으로부터, 등폭은 8c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편, 15c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허리부 보호부는 벨트부와 같은 소재를 사용한 것이어도, 다른 소재를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허리부 보호부나 벨트부의 소재로서는 포백이나 합성 피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허리부 보호 벨트를 세탁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라는 이유로부터, 상기의 소재는 포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의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나 폴리아미드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포백의 소재로서, 상기의 섬유를 복수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허리부 보호부는 척주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의 소재는 금속 및 수지 등에서 비교적 굽힘 응력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형상도 스파이럴 형상 및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단책형상 본의 것이나, 허리부 보호부를 면으로 덮는 판형상의 것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단책형상 본과 상기 판형상 본을 병용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허리부 보호부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의 허리부 보호 벨트를 본 발명의 하의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이 허리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제 1 고정용 부재와 제 2 고정 부재를 착용자의 전방에서 접합시킴으로써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한 착압을 높일 수 있다.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한 착압의 조정폭을 크게 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제 1 고정용 부재 및 제 2 고정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허리부 보호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한 착압을 조정하는 폭을 크게 하는 목적으로, 띠형상의 평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벨트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이 허리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제 1 고정용 부재 및 제 2 고정용 부재는 서로를 로킹시키기 위해서, 재료로서 면 파스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의 면 파스너의 종류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하의 보디 생지에 스크래치를 내어 하의 보디 생지에 필링이 발생해버리는 것을 고려하면, 볼록면의 돌기부의 선단 부분이 둥근 머슈룸형의 형태인 면 파스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1의 하의에 도 4에 나타내는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또한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하의 및 그것에 장착한 허리부 보호 벨트의 B-B'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형상부(3)의 내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9)가 이 허리부 보호 벨트(9)의 길이 방향이 통형상부(3)의 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의 본이 설치된 측의 면(이하, 허리부 보호 벨트의 이 면을 「허리부 보호 벨트의 면 A」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측이 되도록 삽입,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나타내는 개소의 이 통형상부(3)의 우측의 통형상부의 외측에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우측 단부가 통형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통형상부(3)의 좌측의 통형상부 외측에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좌측 단부가 통형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허리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허리부 보호부는 통형상부에 덮여져 있고,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은 허리부 보호 벨트 면 A의 반대측의 면(이하, 허리부 보호 벨트의 이 면을 허리부 보호 벨트의 면 B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과 접하고 있다. 즉, 허리부 보호 벨트의 면 B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의 내면과 접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고자 한다. 제 1 실시형태 하의에 있어서는 허리 둘레부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5)가 통형상부 후방 부분에 상당한다. 그렇게 되면, 그 내면(22)의 정마찰계수가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의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형상물의 폭 방향(이하, 방향 I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10% 신장 시의 응력은 10N/25mm 이하이다. 여기서 방향 I란 하의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이기도 하다.
여기서, 면형상물의 소재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되지 않지만, 범용성이 우수하다라는 이유에 의해, 포백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직물 또는 편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포백에 사용되는 섬유로서는 합성 섬유나 천연 섬유를 열거할 수 있고, 복수의 섬유를 사용해도 된다. 내세탁성이나 원사·편직 설계의 범용성을 고려하면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나일론 섬유 등의 합성 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나일론 섬유 등의 합성 섬유와, 폴리우레탄 섬유, 레이온 섬유, 아크릴 섬유 및 면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도 7에서는 부호 6)의 면형상물의 폭 방향, 즉 방향 I에서의 10% 신장 시의 응력은 10N/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포백은 경위의 양방 또는 경위 중 어느 하나의 실에 신축성이 있는 실을 사용한 직물, 직물에 비교해서 신장이 쉬운 편물이다. 편물에 있어서는 신축성이 있는 실과 비신축성의 실의 배합율을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I의 10% 신장 시의 응력이 10N/25mm 이하인 포백으로서 이하의 것이 열거된다.
(I) 견이나 울 등의 천연 섬유나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아크릴계 섬유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등에 탄성 섬유(폴리우레탄 섬유 등)를 혼용한 섬유로 구성되는 직물.
(II) 견이나 울 등의 천연 섬유나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아크릴계 섬유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등에 탄성 섬유(폴리우레탄 섬유 등)를 혼용한 섬유로 구성되는 편물.
(III) 탄성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일방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를 주체로 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이고, 타방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체로 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섬유 길이에 따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접합한 복합 섬유의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 중 적어도 일방에 사용한 직물.
(IV) 탄성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일방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를 주체로 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이고, 타방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체로 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섬유 길이에 따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접합한 복합 섬유의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한 편물.
(V) 파워네트
여기서, 파워네트란 나일론 섬유 등과 탄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섬유)로 생성된 눈금이 가는 네트 형상의 생지를 말한다. 단위면적당 중량 100g/m2 정도의 비교적 박지의 것으로 양호하게 신장되고, 킥백성도 우수하고 있어, 하의의 배면 부분에 구비하는 통형상부의 기능을 담보하면서, 이 통형상부를 컴팩트하게 실현할 수 있다라는 이유에 의해, 통형상부 전방 부분(6)(즉, 면형상물)은 파워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형상부 후방 부분(도 7에서는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5)가 상당)의 내면(22)의 정마찰계수가 0.2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정마찰계수가 선택되는 이유는 후술한다. 여기서,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22)의 정마찰계수를 0.2∼1.0으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이하의 것이 예시된다.
하의 보디 생지를 직물이나 편물로 하고, 이 생지의 표면의 요철 상태나, 이 생지를 구성하는 실의 종류에 의해 정마찰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직물에서는 표면의 요철이 적은 평직에서는 정마찰계수가 작아지고, 반대로, 직물 표면에 비스듬한 이랑이 나타나는 능직이나, 비스듬한 이랑은 나타나지 않지만 일정한 간격으로 조직점을 배치한 주자직에서는 정마찰계수가 커진다. 또한, 생지의 표면에 파일을 설치하거나, 표면을 기모하거나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정마찰계수를 높인다. 편물에서는 위편이어도 경편이어도 되고, 편지의 조밀에 의해 정마찰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단, 편목이 절단되어 런을 일으키기 어렵고, 그 결과 내구성이 높아진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경편이 바람직하다. 직물 또는 편물에 사용하는 실의 형상에 의해서도, 정마찰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라멘트사쪽이 방적사에 비해서 섬유 표면의 요철이 적으므로, 이 실을 사용한 생지의 정마찰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의 소재에 의해서도 정마찰계수는 조정 가능하고,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PTFE 섬유)는 그 자체가, 정마찰계수가 낮고, 반대로, 고무나 폴리우레탄사는 그 자체가 정마찰계수가 높다. 생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이러한 실을 사용함으로써 생지로서의 정마찰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정마찰계수는 생지의 표면과 이면이 다른 값으로 할 수도 있다. 양면 편조직(트리코트)의 편면은 탄성사만에 의한 니트 루프를 형성해서 경편지가 구성되고, 다른 일방의 면은 탄성사와 비탄성사의 병용에 의한 니트 루프를 형성해서 경편지가 구성됨으로써 탄성사만에 의한 니트 루프를 형성한 면에 대해서는 높은 정마찰계수가 발현된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로부터 먼 부분의 면(27)(즉,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착용자측의 면의 반대측의 면)도,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마찰계수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5)의 내면의 정마찰계수의 조정 방법과 동일하게 직편 조직의 표면의 요철이나 실의 형상이나 종류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열거된다.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로부터 먼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가 0.2∼1.0임으로써 제 1 실시형태 하의에 있어서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을 간편화한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현저한 것이 된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23)(즉, 상기 통형상부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는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마찰계수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5)의 내면의 정마찰계수의 조정 방법과 동일하게 직편 조직의 표면의 요철이나 실의 형상이나 종류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열거된다.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의 정마찰계수가 0.2∼0.1임으로써 착용자의 동작에 따르는 착용자의 착용하는 속옷의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한 착용자의 신장 방향에서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어 착용자의 착용 기분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의 통형상부를 갖는 하의에 대해서 이하, 설명을 행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통형상부는 하의 보디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된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 하의를 정면 또한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하의의 C-C'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의(1)는 허리 둘레부(2)를 갖고 있고, 그리고 허리 둘레부(2)의 등부에는 통형상부(3)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통형상부(3)는 그 축 방향이 허리 둘레부의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통형상부는 하의 보디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15) 및 통형상부 후방 부분(15')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형상부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록킹부(16) 및 록킹부(17)에 의해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통형상부 전방 부분(15)의 대략 중앙부에는 슬릿(26)이 1개만 배치되어 있고, 이 슬릿(26)은 길이 방향이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령, 이 슬릿(26)이 없는 경우,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형상부가 된다. 이러한 통형상부의 구조에서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 시, 벨트의 일방 단을 통형상부의 일방의 개구로부터 삽입해서 통형상부의 타방의 개구로 삽입 통과하여 벨트를 장착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장착 방법에서는 벨트가 도중에 조여들거나, 벨트가 통형상부의 내부에서 접혀버리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에는 작업자는 통형상부의 타방의 개구로부터 통형상부의 내측에 손을 넣어서 벨트를 끌어내는 것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통형상부의 타방의 개구로부터 손을 넣어서 벨트를 끌어내는 경우에도, 통형상부의 일방의 개구로부터 타방의 개구라고 한 바와 같이, 벨트의 삽입 통과 거리가 길면 벨트가 조여들어 있는 곳까지 손을 넣는 것도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통형상부의 양단 중 일방의 단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벨트를 삽입하는 방법을 채용하지 않을 수 없는 구성의 하의에서는 착용자가 허리부 보호 벨트를 상기 통형상부로 장착을 완료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라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슬릿(26)을 설치함으로써, 도 23,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순서로 용이하게 허리부 보호 벨트의 하의로의 장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허리부 보호 벨트를 등부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어느 일방의 단부를 통형상부로 삽입 통과하고(도 24), 그 후 허리부 보호 벨트의 타방의 단부를 조금 전과 반대측의 통형상부로 통과시켜(도 25),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의 대폭적인 시간 단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에는 슬릿(26)이 1개만 설치되어 있다. 슬릿(26)의 수를 1개로 한정하는 이유로서는 이하와 같다. 제 2 실시형태 하의에 있어서의 슬릿은 이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고,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목적에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슬릿의 수가 2개 이상(예를 들면, 슬릿 A 및 슬릿 B의 2개)이면, 허리부 보호 벨트를 슬릿 A로부터 통형상부 중에 통과시켜 갈 때에 허리부 보호 벨트의 선단이 슬릿 B에 걸리고, 슬릿 A로부터 벨트가 용이하게 들어가기 어려워져, 오히려 시간이 늘어나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슬릿의 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상기와 같은 수고가 증가하여,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효과는 적어져 간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부터,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설치하는 슬릿의 수는 1개로 한정된다.
또한, 슬릿은 상기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 또한 상기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슬릿의 설치 위치를 통형상부 전방 부분 또한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 하는 이유로서는 이하와 같다. 우선, 슬릿의 설치 위치가 통형상부 전방 부분임으로써, 하의를 착용하면서로도 허리부 보호 벨트를 통형상부에 장착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서, 허리부 보호 벨트의 착탈이 통형상부의 후방 부분에 상기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간편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의 슬릿은 이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고,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목적에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슬릿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양단 중 어느 일방에 매우 가까운 개소에 설치되어 있었던 경우, 종래의 통형상부의 양단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는 경우와 작업의 용이함이 거의 동일하게 되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극단적으로 감소해버린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슬릿(26)은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 또한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의로의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의 작업성에 대폭적인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슬릿(26)의 통형상부에 있어서의 배치의 위치는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통형상부의 일방의 단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이어도 된다.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이란 통형상부를 길이 방향으로 3등분한 경우에, 정중앙에 위치하는 통형상부의 일부분을 말한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의 슬릿은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대략 중앙 부분에 1개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부에는 이하의 (1) 및 (2)의 조건을 만족하는 슬릿을 1개만 구비하고 있다.
(1)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이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2)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통형상부의 폭(W1)과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의 폭(W2)의 비(W2/W1)가 0.70∼1.00이다.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이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이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직교한다란 길이 방향과 허리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예각의 각도가 0∼15도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와 같이 슬릿을 배치함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의 삽입 통과 방향이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고,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여기서, 슬릿의 형상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도 8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략 타원 형상의 슬릿이 열거된다. 또한, 이 슬릿은 단순하게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의 면형상물의 중앙에 절개를 넣은 것만으로도,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포백으로 끼워서 가장자리를 둘러 봉제한 것이어도 된다. 이 슬릿으로부터 여러번 허리부 보호 벨트의 넣고 꺼냄을 행하기 때문에 슬릿의 내구성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포백으로 끼워서 가장자리를 둘러 봉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 두름에 사용하는 포백은 허리부 보호 벨트의 넣고 꺼냄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신축성이 있는 포백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신축성이 있는 포백을 얻는 소재로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면형상물의 소재와 같은 것이 열거된다.
또한, 슬릿은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에만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이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에만 있음으로써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할 때, 잘못하여 통형상부 후방 부분과 하의 보디 생지의 사이에 허리부 보호 벨트가 들어가버려, 또 한번 허리부 보호 벨트를 끌어 내서 슬릿에 다시 넣는다와 같이, 허리부 보호 벨트의 삽입 작업의 수고가 증가해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스무스한 허리부 보호 벨트의 삽입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부터, 슬릿이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에만 있음으로써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이 통형상부의 후방 부분에도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허리부 보호 벨트 장착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슬릿은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에만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도, 통형상부의 폭을 W1로 하고,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을 W2라고 했을 때의 W1과 W2의 비(W2/W1)는 0.70∼1.00이다. 여기서, 전제로서, 하의에 의한 허리부 보호 벨트의 유지성을 뛰어난 것으로 한다라는 관점으로부터는 허리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허리부 보호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대략 평행한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대략 평행한 방향이고, 상술의 방향 I에 평행한 방향에서, 대략 상하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있어서의 폭과 통형상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대략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근사할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의에 의한 허리부 보호 벨트의 유지성을 뛰어난 것으로 하기 위해서, 하의의 착용자는 하의에 장착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에, 이 허리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허리부 보호부의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하의의 통형상부의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과 근사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를 채용하는 것이 통상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 W1과 W2의 비(W2/W1)가 0.70 이상임으로써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의 넣고 꺼냄 작업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하의에 장착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로서, 허리부 보호부의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충분한 크기의 허리부 보호부를 구비한 허리부 보호 벨트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5∼20cm로, 충분한 크기의 폭의 허리부 보호부를 구비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는 뛰어난 허리부 보호 성능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W1과 W2의 비(W2/W1)를 1.00 이하로 함으로써 통형상부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넣고 꺼낼 때의 통형상부의 변형을 최저한으로 억제하고, 통형상부 전체의 형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하여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허리부 보호 벨트를 넣고 꺼내는데 충분한 슬릿 폭을 확보하기 위해서, W1과 W2의 비(W2/W1)는 상기 범위로 한다. 또한, 상기의 관점으로부터, W1과 W2의 비(W2/W1)는 0.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편 0.9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W1은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통형상부의 부분에 있어서의 허리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통형상부의 폭 중, 최대가 되는 폭의 값을 말하고, W2는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을 말한다.
또한, 슬릿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W3이라고 했을 때, 이 W3은 0.5cm 이상 3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W3이 0.5cm 이상임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의 전체의 강성이 높고, 크게 절곡하는 것이 곤란한 허리부 보호 벨트이어도, 이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통형상부가 구비하는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의 일방의 단부를 통형상부에 삽입 통과한 후, 허리부 보호 벨트의 타방의 단부를 슬릿에 삽입할 때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부터 나와 있는 부분을 크게 절곡할 필요가 있지만, W3이 클수록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부터 나와 있는 부분의 절곡의 정도가 작아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W3이 3cm 이하임으로써 통형상부에 의한 허리부 보호 벨트의 하의로의 고정이 보다 강고한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W3이 작을수록 통형상부에 설치된 슬릿에 의해 하의에 장착된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 덮어지지 않는 부분은 적어지고, 허리부 보호 벨트는 통형상부에 의해 하의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W3은 슬릿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중, 최대가 되는 폭을 말한다.
도 14는 도 8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하의 외관도이다. 도 14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지만 파선으로 통형상 형상의 포백(15)이 나타나 있고, 실선으로 하의 보디 생지(24)가 나타내어져 있다. 그리고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인 도 8에 나타내는 하의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또한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도 10에 나타내는 하의의 D-D'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고자 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형상부(3)의 내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9)가 삽입, 배치되어 있다. 이 허리부 보호 벨트(9)의 길이 방향이 통형상부(3)의 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의 면 A가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측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형상부(3)의 우측의 허리부 보호 벨트의 우측 단부가 통형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또한 이 통형상부의 좌측의 통형상부 외부에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좌측 단부가 통형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허리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허리부 보호부는 통형상부에 덮여 있고,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은 허리부 보호 벨트의 면 B와 접할 수 있는 상태로 있다. 즉, 허리부 보호 벨트의 면 B는 통형상의 포백(15)의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의 내면과 접하는 면의 반대측의 면과 접할 수 있는 상태로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도,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도 9에 있어서 부호(22)의 면)의 정마찰계수가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정마찰계수가 선택되는 이유는 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폭 방향(방향 I)의 10% 신장 시의 응력은 10N/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도,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면형상물의 소재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것은 직물이다. 이와 같은 정마찰계수를 갖는 소재 및 신장 시의 응력을 갖는 소재로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포백을 접어서 상방부를 결합하는 방법에 더해, 포백을 2매 이상 봉합하는 방법이나, 환편물을 그대로 사용해서 통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대로 사용해서 통형상부로 해도 된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로부터 먼 부분의 면(27)(즉,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착용자측의 면의 반대측의 면)도,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마찰계수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제 1 실시형태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5)의 내면의 정마찰계수의 조정 방법과 동일하게 직편 조직의 표면의 요철이나 실의 형상이나 종류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열거된다.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로부터 먼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가 0.2∼1.0임으로써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을 간편화한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현저한 것이 된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23)(즉, 상기 통형상부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는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마찰계수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제 1 실시형태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5)의 내면의 정마찰계수의 조정 방법과 동일하게 직편 조직의 표면의 요철이나 실의 형상이나 종류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열거된다.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의 정마찰계수가 0.2∼0.1임으로써 착용자의 동작에 따르는 착용자의 착용하는 속옷의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한 착용자의 신장 방향에서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어 착용자의 착용 기분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15)과 후방 부분(15')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는 상단에서 하의 생지(5)와, 허리 둘레 방향으로 록킹부(16)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통형상부의 상단이 허리 둘레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본 실시형태의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발끝 등이 통형상부와 하의 생지(5) 사이에서 걸려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단, 도 9에 나타내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형상물의 상단보다 조금 아래의 부분(면형상물의 상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 즉, 록킹부의 상방에 면형상물의 상단이 밀려나와 있는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도 9에서는 통형상부의 하단은 허리 둘레 방향으로 단속하고,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5)와 록킹부(1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하단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이하와 같다.
통형상부의 하단부를 하의 보디 생지의 내면에 따르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허리부 보호 벨트를 통형상부 내부에 통과시켰을 때의 수용이 좋다. 또한, 통형상부의 하단부가 하의의 내측에서 마구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통형상부가 하의의 내측에서 절곡되는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는 하의를 입은 채로도 허리부 보호 벨트를 통형상부에 통과시킬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형태에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면형상물의 하단보다 약간 상방의 부분(면형상물의 하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 즉, 록킹부의 하방에 포백의 하단이 밀려나와 있는 형태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도 9와 같은 단면을 갖는 형태의 하의에 있어서는 록킹부(16) 및 록킹부(17)에 의해, 통형상부는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와 연결되어 있다. 단, 포백의 상단 또는 하단은 연속하여 이 하의 생지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단속 또는 연속한 록킹부로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수단이 열거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공통되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슬릿이 1개만 배치되어 있고, 이 슬릿은 길이 방향이 허리 둘레 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슬릿을 설치함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에의 삽입 통과 방향이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고,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에의 장착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여기서, 슬릿의 형상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략 타원 형상의 슬릿이 열거된다. 또한, 이 슬릿은 단순하게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의 면형상물의 중앙에 절개를 넣는 것만으로도,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포백으로 끼워서 가장자리를 둘러 봉제한 것이어도 된다. 이 슬릿으로부터 몇 번이나 허리부 보호 벨트의 넣고 꺼냄을 행하기 때문에, 슬릿의 내구성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포백으로 끼워서 가장자리를 둘러 봉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 두름에 사용하는 포백은 허리부 보호 벨트의 넣고 꺼냄을 간편하게 행하기 위해서 신축성이 있는 포백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신축성이 있는 포백을 얻는 소재로서는 상술의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면형상물의 소재와 같은 것이 열거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은 통형상부 전방 부분 또한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1개만 설치되어 있다. 슬릿의 수를 1개로 한정하는 이유로서는 이하와 같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의 슬릿은 이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고,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목적에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슬릿의 수가 2개 이상(예를 들면, 슬릿 A 및 슬릿 B의 2개)이면 허리부 보호 벨트를 슬릿 A로부터 통형상부 중에 통과시켜 갈 때에 허리부 보호 벨트의 선단이 슬릿 B에 걸리고, 슬릿 A로부터 벨트가 용이하게 들어가기 어려워져, 오히려 시간이 증가해버려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을 경향이 있다. 또한, 슬릿의 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상기와 같은 수고가 증가하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효과는 작아져 간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부터,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설치하는 슬릿의 수는 1개로 한정된다.
또한, 슬릿의 설치 위치를 통형상부 전방 부분 또한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라고 하는 이유로서는 이하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의에 있어서의 슬릿은 이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고,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목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슬릿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양단 중 어느 일방에 매우 가까운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종래의 통형상부의 양단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는 경우와 작업의 용이함이 동일하게 되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극단적으로 감소해버린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슬릿은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 또한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의로의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의 작업성에 큰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슬릿의 통형상부에 있어서의 배치의 위치는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통형상부의 일방의 단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이어도 된다. 여기서, 상기 하의로의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의 작업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슬릿의 배치의 위치를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이라고 말하고,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이란 통형상부를 길이 방향으로 3등분한 경우에, 정중앙에 위치하는 통형상부의 일부를 말한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본 발명의 하의에 있어서의 슬릿은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대략 중앙부에 1개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공통되어 통형상부의 폭을 W1이라고 하고,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을 W2라고 했을 때의 W1과 W2의 비(W2/W1)는 0.70∼1.00이다. 여기서, 전제로서, 하의에 의한 허리부 보호 벨트의 유지제를 뛰어난 것으로 한다라는 관점으로부터는 허리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허리부 보호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즉, 상하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이고, 상술의 방향 I과 평행한 방향이다)에 있어서의 폭과 통형상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근사할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의에 의한 허리부 보호 벨트의 유지성을 뛰어난 것으로 하기 위해서, 하의의 착용자는 하의에 장착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에, 이 허리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허리부 보호부의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하의의 통형상부의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과 근사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를 채용하는 것이 통상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 W1과 W2의 비(W2/W1)가 0.70 이상임으로써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의 넣고 꺼냄 작업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하의에 장착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로서, 허리부 보호부의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충분한 크기의 허리부 보호부를 구비한 허리부 보호 벨트를 채용할 수 있다(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5∼20cm로 충분한 크기의 폭의 허리부 보호부를 구비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는 뛰어난 허리부 보호 성능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W1과 W2의 비(W2/W1)를 1.00 이하로 함으로써 통형상부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넣고 꺼낼 때의 통형상부의 변형을 최저한으로 억제하여 통형상부 전체의 형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하여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허리부 보호 벨트를 넣고 꺼냄에 있어서도 충분한 슬릿 폭을 확보하기 위해서, W1과 W2의 비(W2/W1)는 상기 범위로 한다. 또한, 상기의 관점으로부터, W1과 W2의 비(W2/W1)는 0.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편, 0.9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W1은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에 있어서의 허리 둘레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통형상부의 폭 중, 최대가 되는 폭의 값을 말한다.
또한, 슬릿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W3이라고 했을 때, 이 W3은 0.5cm 이상 3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W3이 0.5cm 이상임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의 전체의 강성이 높고, 크게 절곡하는 것이 곤란한 허리부 보호 벨트이어도 이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통형상부가 구비하는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의 일방의 단부를 통형상부에 삽입 통과한 후, 허리부 보호 벨트의 타방의 단부를 슬릿에 삽입할 때에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부터 나와 있는 부분을 크게 절곡할 필요가 있지만, W3이 클수록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부터 나와 있는 부분의 절곡이 작아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W3이 3cm 이하임으로써 통형상부에 의한 허리부 보호 벨트 하의로의 고정이 보다 강고한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W3이 작을수록 통형상부에 설치된 슬릿에 의해 하의에 장착된 허리부 보호 벨트의 통형상부로 덮여 있지 않는 부분은 적어지고, 허리부 보호 벨트는 통형상부에 의해 하의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W3은 슬릿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중, 최대가 되는 폭의 값을 말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공통되어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즉, 통형상부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는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을 구성하는 면형상물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는 0.2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면형상물의 인체에 가까운 쪽의 면이란, 예를 들면 도 10 및 11에 나타내는 하의에 있어서, 이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신체나 착용자의 착용하는 속옷 등과 접할 수 있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15)의 면이다. 또한, 포백의 정마찰계수를 조정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가 0.2∼1.0임으로써 착용자의 동작에 따르는 착용자의 착용하는 속옷의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한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현저한 것이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하의,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 공통되고, 정마찰계수 및 신장 시 응력이 특정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하의가 구비하는 허리 둘레 부분이 갖는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마찰계수는 0.2∼1.0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10% 신장 시 응력은 10N/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의는 상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하는 작업이 간편해진다. 상기의 효과가 발휘되는 상정 메커니즘은 이하와 같다고 생각한다.
즉,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할 때에는 도 1의 부호(25) 및 도 8의 부호(26)로 나타낸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에 설치된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의, 벨트부의 일방의 단을 삽입하고, 허리부 보호부의 중앙 부근까지 삽입한 곳에서(도 24), 마찬가지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에 설치된 슬릿으로, 허리부 보호 벨트를 벨트부의 다른 일방의 단으로부터 삽입하여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다(도 25). 그 때,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은 허리부 보호 벨트의 면 B와 접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작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하의가 구비하는 허리 둘레 부분이 갖는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마찰계수가 0.2 이상 1.0 이하로 작음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가, 통형상부 중에서 걸리지 않고 스무스하게 이동하여 장착 작업이 간편해진다. 또한, 상기 통형상부 전방 부분이 상방으로 적절하게 신장함으로써, 특히 동일한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의 양단을 삽입해 갈 때에,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신축성에 의해 슬릿의 개구를 조금만 벌릴 수 있어 보다 스무스한 삽입 작업으로 이어진다.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공통되고, 본 발명의 하의가 구비하는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마찰계수는 0.2∼1.0이 바람직한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마찰계수가 1.0 이하임으로써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할 때에 걸리지 않고 스무스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마찰계수가 0.2 이상임으로써 다음 작용 효과도 있다. 즉, 허리부 보호 벨트가 하의의 허리 둘레 부분에 있는 통형상부 중에서 과도하게 움직여 통형상부에의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이 오히려 곤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효과를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이 정마찰계수는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효과를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이 정마찰계수는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6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공통되고, 본 발명의 하의에 있어서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 I의 10% 신장 시의 응력이 10N/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 I의 10% 신장 시의 응력이 10N/25mm 이하임으로써 통형상부의 대략 중앙부에 있는 슬릿으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할 때, 통형상부의 신축성에 의해 슬릿의 개구가 약간 넓어짐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가 넣어지기 쉬워지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의 효과가 매우 현저한 것이 된다라는 이유로부터,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 I의 10% 신장 시의 응력은 1N/25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통형상부의 방향 I란 착용자의 신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 I의 10% 신장 시의 하한 에 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되지 않지만, 너무 신장되면 완전하게는 원래의 길이로는 되돌아오지 않고, 포백에 변형이 남기 쉽고, 주름이나 허리 주위의 뻣뻣한 느낌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이러한 회복률과의 관점으로부터 0.2N/2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공통되고, 본 발명의 하의에 있어서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로부터 먼 부분의 면(즉,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착용자측의 면의 반대측의 면)의 정마찰계수도,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할 때,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로부터 먼 부분의 면은 허리부 보호 벨트의 착용자측의 면(즉, 허리부 보호 벨트의 면 A)과 접하는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상기에서 나타낸 이유와 같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로부터 먼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에 관해서도, 1.0 이하임으로써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할 때에 걸리는 경우가 없이 스무스하게 통과시킬 수 있고, 한편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마찰계수가 0.2 이상임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가 하의의 허리 둘레 부분에 있는 통형상부 중에서 과도하게 움직여 통형상부에의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이 오히려 곤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효과를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이 정마찰계수는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효과를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이 정마찰계수는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6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공통되고, 본 발명의 하의에 있어서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 즉,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착용자측의 면의 정마찰계수는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하의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하의를 착용하면, 이 면의 착용자가 착용하는 속옷과 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이 강하게 접촉하지만, 정마찰계수가 1.0 이하임으로써 하의가 속옷의 움직임에 추종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속옷과 하의의 위치 관계가 너무나 저항없이 움직이면, 위화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는 점으로부터 이 면의 정마찰계수는 0.2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효과를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이 면의 정마찰계수는 0.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효과를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이 면의 정마찰계수는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6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의 하의에서는 하의 보디 생지가, 통형상부 후방 부분이 되어 있는 것이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전방 부분의 면형상물은 상방부에서 연속 또는 단속하여 하의 보디 생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은 통형상부의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상단 또는 그 부근이 좋다. 또한, 면형상물의 상방부란 면형상물의 상단과 면형상물의 상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면형상물은 하방부에서도 연속 또는 단속해서 하의 보디 생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은 통형상부의 폭 방향의 하단 또는 그 부근이 좋다. 또한, 면형상물의 하방부란 면형상물의 하단과 면형상물의 하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통형상부의 대략 절반 정도로 하의 보디 생지를 사용함으로써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 비해서 콤팩트한 통형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서는 하의 보디 생지 이외의 면형상물이 사용된다. 통형상부의 상방부에서 연속 또는 단속해서 하의 보디 생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은 통형상부의 대략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상단 또는 그 부근이 좋다. 또한, 면형상물의 상방부란 면형상물의 상단과 면형상물의 상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면형상물의 하방부에서도 상기 허리 둘레 방향으로 연속 또는 단속해서 상기 허리 둘레 부분의 배면 부분과 연결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연결은 통형상부의 폭 방향의 하단 또는 그 부근이 좋다. 또한, 면형상물의 하방부란 면형상물의 하단과 면형상물의 하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통형상부를, 통형상부의 상부로부터 매어 달고, 통형상부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를 하의에 삽입했을 때, 뒷모습의 실루엣이 깔끔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 하의 착용 시에는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하고, 허리부 보호 벨트의 우측단부와 좌측단부를 록킹함으로써 적당한 복압을 허리부(골반 위치)에 느끼도록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의의 외관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약이 없고, 이 허리부 보호 벨트의 우측단부와 좌측단부의 록킹부는 착용자의 외부로부터 보이고 있어도 숨겨져 있어도 된다. 허리부 보호 벨트의 우측단부와 좌측 단부의 록킹부가 보이는 구조의 하의의 외관으로서는 도 6이나 도 10에 나타낸 것이 열거된다. 한편, 허리부 보호 벨트의 우측단부와 좌측단부의 록킹부가 숨겨지는 구조의 하의의 외관의 예로서는 도 15에 나타낸 하의가 열거되고, 이 하의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했을 때의 외관을 도 16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허리부 보호 벨트를 완전하게 하의의 내측에서 록킹하고, 하의의 내측에 완전하게 수용하는 구조이어도 된다.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를 부분적으로 숨기는 구조의 하의의 예로서는 도 17에 나타낸 하의가 열거되고, 이 하의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했을 때의 외관을 도 18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의 전면에 설치한 덮개 천(28)을, 도 17의 부호 29로 나타낸 버튼 등에 의해 하의 전면과 로킹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허리부 보호 벨트를 숨기는 구조이어도 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하의에 있어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리부 보호 벨트의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의 록킹부를 숨기지 않고 전면에 보이는 상태로 장착하는 것도 가능한 구조이고, 사용 장면이나 착용자의 의향에 따라 허리부 보호 벨트를 부분적으로 숨기거나, 또는 숨기지 않고 전면에 보이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용 장면이나 착용자의 의향에 따라 허리부 보호 벨트 장착 시 하의의 외관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임으로써 1개의 패턴으로 착용자의 여러가지 니즈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측정 방법)
(정마찰계수)
포백 샘플의 정마찰계수를 JIS P8147:1994 3.2 경사 방법에 준해서 측정했다. 폭 25mm, 길이 130mm의 시험편을 3매 준비했다. 다음에 이들 3매의 시험편의 내의 1매의 시험편을, 미끄럼 경사각 측정 장치의 872g의 추에 부착했다. 한편, 폭 120mm×길이 200mm의 피마찰체를 미끄럼 경사각 측정 장치에 부착하고, 시험편을 부착한 추를 시험편의 측정면이 피마찰체에 접촉하도록, 또한 시험편의 길이 방향과 미끄럼 경사각 측정 장치의 미끄럼 방향이 일치하도록 피마찰체 상에 싣고, 경사 각도 3°/초의 조건에서 경사의 정도를 높여가고, 추가 낙하했을 때의 경사각을 판독하여, 상기 경사각의 정접(tanθ)을 정마찰계수로 했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2매의 시험편에 관해서도 정마찰계수를 측정하고, 그 3매분의 정마찰계수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포백 샘플의 정마찰계수로 했다.여기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상기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 I와 같도록 시험편을 샘플링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피마찰체로서 사용하는 것은 표준 면(3-1호: 일반재단법인 일본규격 협회제)으로 하고, 이 표준 면의 포백의 방향은 세로이어도 가로이어도 상관없다.
(10% 신장 시의 응력)
포백 샘플의 10% 신장 시의 응력을 Shimadzu Corporation 제작의 오토그래프 AG-50kNG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폭 25mm, 길이 220mm에 재단한 시험편을 5매 준비했다. 다음에 5매의 시험편 중의 1매의 시험편을, 척간 거리 100mm로 상기의 측정 기기에 부착하고, 인장 속도 300mm/min으로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 인장했다. 동일한 것을 다른 4매의 시험편에 대해서도 행하고, 5매의 시험편, 각각에 대해서 10% 신장 시의 응력을 측정했다. 여기서 말하는 「10% 신장 시의 응력 」이란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5매의 포백의 신도가 10%일 때의 신장 응력의 평균치를 말한다. 여기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상기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 I와 같도록 시험편을 샘플링하는 것으로 한다.
(평가 방법)
(허리부 보호 벨트 장착 작업의 소요 시간)
피험자 20명이, 실시예 및 비교예 하의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시간(초)을 스톱워치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피험자 20명에는 각각 3회씩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 작업을 실시하도록 하고, 각각의 소요 시간(초)의 평균을 산출하여 피험자 20명분의 평균을 허리부 보호 벨트 장착 작업의 소요 시간으로 했다.
(실시예)
(실시예 1)
경사로 167dtex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사와, 폴리에스테르 65%·면 35%(질량 비율)의 방적사를 사용하고, 위사로 167dtex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사를 사용하고, 경사 밀도 154개/2.54cm, 위사 밀도 64개/2.54cm의 경이중 능직으로 제직하고, 폴리에스테르 90%, 면 10%의 하의 보디 생지용의 생지 A를 얻었다.
이어서, 78dtex의 나일론사와 310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이용하여 편성하고, 나일론 82%, 폴리우레탄 18%의 파워네트 생지(이하, 이 파워네트 생지를 생지 D라고 한다)를 얻었다.
상기 하의 보디 생지용의 생지 A를 하의 보디 생지에 사용하고,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로 구성되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이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은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만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또한, 슬릿은 슬릿의 개구의 가장자리가 포백으로 끼워져 가장자리가 둘러진 후에 봉제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를 작성하고, 그 록킹부에는 면 파스너 볼록면으로서 압출 성형 타입인 몰드매직(등록상표)(Kuraray Fastening Co.,Ltd. 제품), 오목면으로서 링 파스너(seihou K.K.제품)를 사용하고, 이것을 허리부 보호 벨트 1로 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사용한 것과 같은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생지 D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로 구성되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이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은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94가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D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로 구성되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이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은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75가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D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로 구성되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이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은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96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D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로 구성되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이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은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1.00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44dtex의 나일론사와 44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이용하여 트리코트로 편성하고, 나일론 70%, 폴리우레탄 30%(질량 비율)의 트리코트 생지(이하, 이 트리코트 생지를 생지 E라고 한다)를 얻었다. 실시예 1의 하의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와 생지 E를 이용하고,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로 구성되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이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은 생지 E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3.3dtex의 PTFE 섬유를 경위에 사용해서 100% PTFE 능직물(단위면적당 중량 522g/m2)을 작성하고, 이것을 하의 보디 생지용의 생지 B로 했다. 이 생지 B를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에 사용하고, 그 이외 하의 보디 생지의 부분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생지 A를 이용하고,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B로 구성되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이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84dtex의 PPT 복합 섬유와 면 100% 방적사를 사용해서 28게이지로 트리코트를 편성하고, 트리코트 생지(이하, 이 트리코트 생지를 생지 F라고 칭한다)를 얻었다. 실시예 1의 하의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와 생지 F를 이용하여,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로 구성되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이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은 생지 F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지름 1mm의 실리콘 도트 가공이 1mm 간격으로 실시된 면 100% 니트 생지(실리콘 도트 가공된 면의 정마찰계수 0.91)을 생지 C로 했다. 이 생지 C를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에 사용하고, 그 이외의 하의 보디 생지의 부분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생지 A를 이용하여,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C로 구성되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이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를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D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8,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통형상부는 실시예 1과 같은 생지 D를 도 9와 같이 하방부에서 되접어서 하의 보디 생지에, 그 상방부를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그 하방부를 부분적으로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에 봉제하여 고정시킨 것이고, 도 9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D,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도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10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6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E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8,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통형상부는 실시예 1과 같은 생지 E를 도 9와 같이 하방부에서 되접어서 하의 보디 생지에, 그 상방부를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그 하방부를 부분적으로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에 봉제해서 고정시킨 것이고, 도 9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E,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도 생지 E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10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8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F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8,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통형상부는 실시예 1과 같은 생지 F를 도 9와 같이 하방부에서 되접어서 하의 보디 생지에, 그 상방부를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그 하방부를 부분적으로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에 봉제해서 고정시킨 것이고, 도 9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F,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도 생지 F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10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30게이지의 더블 트리코트 편기를 사용하고, 프론트 바디에 33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준비하고, 백 바디에 나일론 원사 22dtex/7필라멘트를 준비하여 다음 조직으로 양면 편조직의 폴리우레탄 탄성사 함유율 53%의 경편지를 편성했다.
프론트 바디: 1-0/1-2/2-3/2-1//
백 바디: 2-3/1-1/1-0/2-2//
이렇게 하여, 양면 편성 조직의 편면은 탄성사만에 의한 니트 루프를 형성해서 경편지가 구성되고, 다른 일방의 면은 탄성사와 비탄성사의 병용에 의한 니트 루프를 형성해서 경편지가 구성되는 표면의 정마찰계수가 0.60 이면이 0.39의 표리에서 다른 정마찰계수를 지닌 트리코트 생지(이하, 이 트리코트 생지를 생지 G라고 한다)를 얻었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상기의 생지 G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8,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통형상부는 생지 G를 도 9와 같이 하방부에서 되접어서 하의 보디 생지에, 그 상방부를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그 하방부를 부분적으로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에 봉제해서 고정시킨 것이고, 상기 생지의 특성에 의해,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에는 생지 G의 정마찰계수가 0.39인 면이 배치되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에는 생지 G의 정마찰계수가 0.60인 면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10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3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G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8,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단, 생지 G의 표리를 반대로 배치해서 생지의 특성에 의해,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에는 생지 G의 정마찰계수가 0.60인 면이 배치되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에는 생지 G의 정마찰계수가 0.39인 면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10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D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20,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통형상부는 실시예 1과 같은 생지 D를 도 9와 같이 하방부에서 되접어서 하의 보디 생지에, 그 상방부를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그 하방부를 부분적으로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에 봉제해서 고정시킨 것이고, 도 9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D,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도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에서 1cm의 간격을 두고 2등분으로 분할되어 있고, 통형상부의 폭(W1)과 통형상부 분할부(30)의 길이 방향의 폭(W2)이 같고, (W2/W1)가 1.00인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실시예 1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로 구성되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이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도 생지 A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길이 14cm, 폭 25mm의 직물 테이프이고, 그 길이 방향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타방의 단부에 연속해서 배치된 2개의 고마찰체를 갖는 미끄럼 방지 테이프(Ando Tape제작 800A 탄성사의 노출이 많은 면의 정마찰계수 1.07)를 3매 준비했다. 이들의 미끄럼 방지 테이프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생지 A를 사용한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에, 이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의 중앙부와 중앙부로부터 좌우 8cm의 부위의 합계 3개소에 재봉했다. 미끄럼 방지 테이프의 길이 방향은 방향 I와 대략 평행하게 했다. 이 하의 보디 생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D를 이용하여, 외관이 도 1,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3매의 미끄럼 방지 테이프가 재봉된 생지 A,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8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D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22,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통형상부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생지 D를 도 9와 같이 하방부에서 되접어서 하의 보디 생지에, 그 상방부를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그 하방부를 부분적으로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에 봉제해서 고정시킨 것이고, 도 9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D,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도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는 슬릿을 1개도 설치하지 않았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의 소요 시간은 25초가 되고, 허리부 보호 벨트의 하의에의 장착에 시간을 요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2와 같은 구조의 하의에서는 통형상부의 일방의 개구로부터 타방의 개구까지 허리부 보호 벨트를 삽입 통과시킬 필요가 있고, 벨트의 삽입 통과 거리가 길수록 장착 작업에 시간이 걸린 것이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D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21,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통형상부는 실시예 1과 같은 생지 D를 도 9과 같이 하방부에서 되접어서 하의 보디 생지에, 그 상방부를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그 하방부를 부분적으로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에 봉제해서 고정시킨 것이며, 도 9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D,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도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이 2개 구비되어 있다. 즉, 통형상부의 슬릿이 통형상부의 후방 부분에도 계속되어 있고, 슬릿의 일형태가 되는 통형상 부분(30)을 2개 갖고 있다. 통형상부의 폭(W1)과 통형상부 분할부(30)의 길이 방향의 폭(W2)이 동일하고, (W2/W1)가 1.00인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의 소요 시간은 24초가 되고, 허리부 보호 벨트의 하의에의 장착에 시간을 요했다. 도 21과 같은 구조의 하의에서는 통형상부의 슬릿이 통형상부의 후방 부분에도 계속되어 있고, 또한 슬릿의 일형태가 되는 통형상부 분할 부분(30)을 2개 갖고 있는 이것에 의해, 통형상부 개구 C, 통형상부 개구 D, 통형상부 개구 E 및 통형상부 개구 F와 4개의 개구에 벨트를 삽입 통과시킬 필요가 있어 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각각의 통형상부 개구는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에, 하나의 통형상부 개구에 허리부 서포트 벨트를 통과시켜도, 그 밖의 통형상부 개구에 벨트를 삽입할 때에 개구부를 손으로 벌리는 등의 수고가 발생한 것이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D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8,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통형상부는 실시예 1과 같은 생지 D를 도 9와 같이 하방부에서 되접어서 하의 보디 생지에, 그 상방부를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그 하방부를 부분적으로 허리 둘레 부분의 등부에 봉제해서 고정시킨 것이고, 도 9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D,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도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6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10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의 소요 시간은 21초가 되고, 허리부 보호 벨트의 하의에의 장착에 시간을 요했다.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과의 비(W2/W1)가 0.68인 구조의 하의에서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등폭에 대하여 통형상부의 폭(W1)이 충분하지 않아, 벨트를 삽입할 때에 개구부를 손으로 벌리어서 보조하는 등의 시간이 발생한 것이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이용하여 하의 보디 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D를 이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고,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로 구성되는 하의 보디 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이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형상물)은 생지 D이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을 1개 설치하고,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68이 되도록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허리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함과 아울러, 그 때에 걸린 시간을 측정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허리부 보호 벨트 삽입 작업의 소요 시간은 21초가 되고, 허리부 보호 벨트 하의에의 장착에 시간을 요했다. 통형상부의 폭(W1)과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68인 구조의 하의에서는 허리부 보호 벨트의 등폭에 대하여 통형상부의 폭(W1)이 충분하지 않아 벨트를 삽입할 때에 개구부를 손으로 벌려서 보조하는 등의 시간이 발생한 것이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1: 하의
2: 허리 둘레부
3: 통형상부
4: 허리 둘레 방향
5: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부에 있는 하의 생지
6: 통형상부 전방 부분
7: 록킹부
8: 록킹부
9: 허리부 보호 벨트
10: 허리부 보호부
11: 벨트부
12: 제 1 고정부
13: 제 2 고정부
14: 본
15: 통형상부 전방 부분
15':통형상부 후방 부분
16: 록킹부
17: 록킹부
18: 배면 부분
19: 전방
20: 후방
21: 허리부 보호 벨트 배치용 공간
22: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
23: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
24: 하의 보디 생지
25: 슬릿
26: 슬릿
27: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로부터 먼 부분의 면
28: 하의 전면의 덮개 천
29: 버튼
30: 통형상부 분할부
31: 통형상부 개구 A
32: 통형상부 개구 B
33: 통형상부 개구 C
34: 통형상부 개구 D
35: 통형상부 개구 E
36: 통형상부 개구 F
I: 통형상부의 폭 방향

Claims (8)

  1. 허리 둘레 부분을 갖는 하의로서, 상기 허리 둘레 부분의 배면 부분 또한 하의의 내측에는 하의 보디 생지와 그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의 보디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를 갖고 있고,
    상기 통형상부는 그 축 방향이 상기 허리 둘레 부분의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부는 이하의 (1) 및 (2)의 조건을 만족하는 슬릿을 1개만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릿은 상기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 또한 상기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하의.
    (1)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이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2) 상기 허리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통형상부의 폭(W1)과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의 폭(W2)의 비(W2/W1)가 0.70∼1.00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마찰계수가 0.2∼1.0이고, 상기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의 통형상부의 폭 방향의 10% 신장 시의 응력이 10N/25mm 이하인 하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의 인체로부터 먼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가 0.2∼1.0인 하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의 정마찰계수가 0.2∼1.0인 하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가 하의 보디 생지와 그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면형상물의 상방부 및 하방부는 각각 하의 보디 생지와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가 하의 보디 생지와는 다른 면형상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통형상부의 상방부 및 하방부는 각각 하의 보디 생지와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형상물이 포백인 하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의와 허리부 보호 벨트를 갖는, 벨트를 구비하는 하의.
KR1020217001379A 2018-09-25 2019-09-17 하의 KR20210064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78710 2018-09-25
JP2018178710 2018-09-25
PCT/JP2019/036329 WO2020066740A1 (ja) 2018-09-25 2019-09-17 下衣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182A true KR20210064182A (ko) 2021-06-02

Family

ID=6994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379A KR20210064182A (ko) 2018-09-25 2019-09-17 하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60994A1 (ko)
EP (1) EP3841901A4 (ko)
JP (1) JPWO2020066740A1 (ko)
KR (1) KR20210064182A (ko)
CN (1) CN112638188B (ko)
WO (1) WO2020066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7549B2 (en) * 2019-08-22 2024-04-16 Lzrd Tech, Inc. Appendage garment with enhanced traction
USD967541S1 (en) * 2019-10-04 2022-10-18 Checkmate Lifting & Safety Ltd Waist pad for a lower portion of a harness
US11606995B1 (en) * 2020-08-14 2023-03-21 Aspen Defense LLC Dynamically expandable rigid waistband system
US20230292865A1 (en) * 2022-03-17 2023-09-21 FISIOLINK S.r.l.s. Waist belt and cloth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504A1 (ja) 2016-10-03 2018-04-12 東レ株式会社 下衣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1521U (ko) * 1978-04-10 1979-10-22
JP2702668B2 (ja) * 1993-07-28 1998-01-21 株式会社ワコール 腰部保護用衣類
US8256034B2 (en) * 2008-08-01 2012-09-04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inner and outer layer and an insert element in between
JP6037271B2 (ja) * 2012-10-11 2016-12-07 ボディーオーラ株式会社 腸骨稜ベルト
US9596897B2 (en) * 2013-01-28 2017-03-21 Nike, Inc. Flocked waistband
WO2016060152A1 (ja) * 2014-10-15 2016-04-21 東レ株式会社 下衣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504A1 (ja) 2016-10-03 2018-04-12 東レ株式会社 下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1901A1 (en) 2021-06-30
WO2020066740A1 (ja) 2020-04-02
CN112638188A (zh) 2021-04-09
CN112638188B (zh) 2023-03-24
JPWO2020066740A1 (ja) 2021-08-30
US20210360994A1 (en) 2021-11-25
EP3841901A4 (en)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4182A (ko) 하의
US10051904B2 (en) Shirt hold-down undergarment
EP2596711B1 (en) Supporter
CN109788809B (zh) 下衣
KR102144701B1 (ko) 하의
TWI702010B (zh) 下半身衣料
JP6111604B2 (ja) 腹部保護衣類
US20230240401A1 (en) Pair of trousers comprising a waistband system
JP6462455B2 (ja) 運動用衣服
GB2550613A (en) Garment
JP2013135703A (ja) ウエストサポーター
JP6550183B1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JP2015190091A (ja) 上衣
JP2021188203A (ja) スポーツ用パンツ
JP2021188202A (ja) スポーツ用パンツ
JP2022111243A (ja) パンツ
JP2018168507A (ja) 下衣
JP2017115272A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JP2017115274A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