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701B1 - 하의 - Google Patents

하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701B1
KR102144701B1 KR1020167035208A KR20167035208A KR102144701B1 KR 102144701 B1 KR102144701 B1 KR 102144701B1 KR 1020167035208 A KR1020167035208 A KR 1020167035208A KR 20167035208 A KR20167035208 A KR 20167035208A KR 102144701 B1 KR102144701 B1 KR 102144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waist circumference
back pain
bel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681A (ko
Inventor
미키 카사보
타카코 미야무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7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67Trousers with reinforcement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7Belt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허리 둘레부(2)를 갖는 하의로서, 상기 허리 둘레부(2)는 제 1 구멍(3) 및 제 2 구멍(4)을 적어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사람에 따라서 달라지는 요부 조임 위치의 조정의 용이성, 세탁 등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도 번거롭지않는 실용성과 간단하게 요부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는 조정의 용이성을 구비하는 하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의{BOTTOM WEAR}
본 발명은 하의에 관한 것이다.
직업성 질병 중, 요통은 노동자가 업무 중에 걸리기 쉬운 병의 하나이고, 다양한 직종에서 널리 발생하고 있다. 요통 발생의 리스크가 높은 직업으로서, 중량물 운반이나 장거리 드라이브에 종사하는 운송업, 입원 환자의 개조(介助)나 구급 환자의 대응이 필요한 의료 종사자가 열거된다. 최근에서는 고령자 개호(介護) 등의 사회 복지 시설에서 요통의 발생 건수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직장에도 가정에도 PC가 널리 퍼져 있어, 화면을 주시하면서 장시간 마우스나 키보드 조작하는 작업도, 요통 발생의 새로운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요통은 연령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특히 초기에 대책을 구하는 사람은 적고 증상이 진행될 때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일본은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되고, 생산 연령 인구의 감소라고 하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므로, 사회를 뒷받침하는 측면에서는 65세 이상의 일하는 시니어나 일하는 여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귀중한 노동자의 건강 유지 및 건강 증진은 지금까지 이상으로 중요성이 늘고 있어, 직업 의복에 있어서도 종래부터의 안전성, 움직임 용이성, 및 식별성이라고 하는 기능에 더해, 노동자의 건강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지한다고 하는 시점이 중요하게 되고 있다.
종래, 요통의 예방에는 요부 보호대 등에 의해 요부의 주위, 특히 골반 상부를 포함한 위치에서 조여서, 복압을 상승시키는 것이 유효로 되어 왔다. 이것은 복강이 럭비볼과 같이 기둥이 되어서 허리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요부 보호대는 의복을 탈의한 다음 신체에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장착이 번거롭고, 또한 요부 보호대를 몸에 부착한 후에 요부의 조임 상태를 조절할 때에도, 의복을 탈의하거나 느슨하게 하고 나서 조임 상태를 조절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 작업이 번거롭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요부 보호대로 조이는 위치로서는 효과적인 위치가 있다고 하여 골반 상부를 포함하는 위치를 요부 보호대로 조이는 것이 추장되고 있다. 그러나, 요부 보호대의 착용시는 적절한 위치에서 조이고 있어도, 여러 가지의 동작을 하고 있는 중에 요부 보호대가 기어올라 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특히, 웨스트와 힙의 차가 큰 여성에게서 현저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요부 보호구 부착 스포츠용 의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 요부 보호구가 부착된 스포츠용 의료는 의복 본체에 허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가 포착(包着)되어 인체의 요부의 주위를 조임으로써 요부 부담의 경감과 그 조임 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요부 보호구가 의복 본체에 포착되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요부 보호구가 기어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일본특허공개 평10-4640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요부 보호구가 부착된 스포츠용 의료에서는 의복 본체에 요부 보호구가 직접 포착되어 있으므로, 요부 보호구가 인체에 닿는 위치가 일의적으로 결정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사람에 따라 다른 요폭이나 골반에 따라서 최적인 허리의 위치에서 조이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요부 보호구가 부착된 스포츠용 의료는 요부 보호구가 경질한 금속 소재 또는 합성 수지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의복 본체가 유연한 섬유 소재로 이루어진다. 즉, 요부 보호구 부착 스포츠용 의료는 경도가 다른 복수의 소재의 조합이므로, 세탁을 반복하는 동안에 의복 본체의 요부 보호구의 주변의 직물이 열화한다. 또한, 그 스포츠용 의료의 건조에 텀블러 건조기를 사용하면 요부 보호구가 변형되어버려, 결과적으로, 의복 본체의 수명을 단축해버린다. 그래서, 세탁에 따르는 직물의 열화나, 요부 보호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요부 보호구가 부착된 스포츠용 의료의 세탁이 번거로워서 실용성이 결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람에 따라 다른 요부 조임 위치의 조정의 용이성, 세탁 등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도 번거롭지 않은 실용성과, 간단하게 요부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는 복압의 조정의 용이성을 구비하는 하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의는 적어도 허리 둘레부를 갖고, 상기 허리 둘레부는 제 1 구멍 및 제 2 구멍을 적어도 갖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의는 요부 보호부를 구비하는 요통 보호대를 더 갖고, 상기 요부 보호부가 상기 허리 둘레부의 후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요통 보호대의 일방의 단부가 상기 제 1 구멍을 통해서 상기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요통 보호대의 타방의 단부가 상기 제 2 구멍을 통해서 상기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요통 보호대의 일방의 단부가 상기 요통 보호대의 타방의 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는 상기 허리 둘레부의 후내측에 상기 요부 보호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는 상기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요부 보호부가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는 상기 허리 둘레부에 적어도 1개의 벨트 루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는 상기 벨트 루프의 허리 둘레 방향의 폭이 1∼5cm이고, 상기 벨트 루프의 허리 둘레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폭이 2.5∼20.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는 상기 허리 둘레부에 제 3 구멍 및 제 4 구멍을 갖고, 상기 제 3 구멍 및 상기 제 4 구멍이 상기 제 1 구멍 및 제 2 구멍보다 상기 허리 둘레부의 보다 배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는 상기 요통 보호대의 제 1 면이, 상기 허리 둘레부의 내측면과 마주보고 있고,
상기 요통 보호대는 상기 요통 보호대의 제 1 면을 향해서 상기 요부 보호부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벨트부와, 상기 요통 보호대의 제 1 면을 향해서 상기 요부 보호부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벨트부와, 상기 요통 보호대의 제 1 면에 제 1 보조 벨트 및 제 2 보조 벨트를 갖고,
상기 제 1 벨트부가 제 5 록킹부를 갖고,
상기 제 2 벨트부가 제 6 록킹부를 갖고,
상기 제 1 보조 벨트는 그 제 1 단부가 상기 요부 보호부에 고정되고, 그 제 2 단부가 상기 제 3 구멍을 통해서 상기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보조 벨트는 그 제 1 단부가 상기 요부 보호부에 고정되고, 그 제 2 단부가 상기 제 4 구멍을 통해서 상기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보조 벨트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5 록킹부 또는 상기 제 6 록킹부와 착탈 가능하게 록킹 가능한 제 7 록킹부를 갖고,
상기 제 2 보조 벨트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5 록킹부 또는 상기 제 6 록킹부와 착탈 가능하게 록킹 가능한 제 8 록킹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는 상기 허리 둘레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 개더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는 상기 개더부의 허리 둘레 방향의 폭이 2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람에 따라 다른 요부 조임 위치의 조정의 용이성, 세탁 등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도 번거롭지 않은 실용성과, 간단하게 요부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는 복압의 조정의 용이성을 구비하는 하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의의 일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이 정면이 되도록 해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의의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을 제 1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요통 보호대의 일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측에 배치되는 면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요통 보호대를, 착용자측에 배치되는 면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5는 요부 보호부를 허리 둘레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높은 위치에 고정한 하의의 일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이 정면이 되도록 해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요부 보호부를 허리 둘레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낮은 위치에 고정한 하의의 일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이 정면이 되도록 해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하의의 허리 둘레부의 주변부를 제 1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의의 다른 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이 정면이 되도록 해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하의의 허리 둘레부의 주변부를 제 1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보조 벨트를 갖는 요통 보호대의 일실시형태를, 그 요통 보호대를 하의에 장착한 때에 허리 둘레부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요통 보호대를, 그 요통 보호대를 하의에 장착한 때에 착용자측에 배치되는 면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나타내는 하의에 도 10에 나타내는 요통 보호대를 장착한 것의 허리 둘레부의 주변부분을 제 1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의의 다른 실시형태의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을 제 1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하의에 도 10에 나타내는 요통 보호대를 장착한 것의 허리 둘레부의 주변부분을 제 1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하의의 다른 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이 정면이 되도록 해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하의에 있어서는 적어도 허리 둘레부를 갖고 있고, 상기 허리 둘레부는 제 1 구멍 및 제 2 구멍을 적어도 갖는다.
여기서, 허리 둘레부란 착용자의 척주의 하부부터 골반까지의 소위, 허리주위에 위치하는 하의의 의복 부분이다. 즉, 착용자의 우측배부터 배, 좌측배, 허리라고 하는 바와 같이 요부 주위를 따라서 접하는 하의의 의복 부분 전체이다. 또한, 허리 둘레부에는 벨트 루프, 옆 포켓, 뒷 포켓, 및 전후 파스너를 포함하는 웨스트 부분 등이 포함된다. 또한, 바지에서는 상기의 것에 더해 가랑이 밑위부분 등이 포함된다.
또한, 하의란 하반신에 착용하는 의복 전반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스커트, 또는 슬랙스, 진스, 치노팬츠 또는 카고팬츠 등의 바지가 포함된다.
또한, 여기서, 구멍이란 의복의 착용자의 신체 측면과 그 뒤쪽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나타내고, 특히 그 형태에 제약은 없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구멍을 통해서, 허리 둘레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벨트를 내는 경우에는 벨트의 인출 조작을 스무스하게 행하기 위해서 세로 슬릿 형상의 절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의의 일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이 정면이 되도록 해서 본 사시도이다. 하의의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1)은 허리 둘레부(2)를 구비하고, 이 허리 둘레부(2)는 제 1 측부에 제 1 구멍(3)을 갖고, 제 2 측부에 제 2 구멍(4)을 갖는다.
또한, 도 2는 도 1 하의의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을 제 1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시판되어 있는 일반적인 요통 보호대 등을 후술하는 도 6과 같이 배치하고, 착용자의 요부로의 착압(着壓)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요통 보호대 등의 요부 보호부는 허리 둘레부의 착용자측의 면에 배치되지만, 포착되는 등해서 직접적으로는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는 각 개인에 있어서 최적인 부위에 최적의 착압을 제공하도록 요부 조임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에 장착된 요통 보호대의 2개의 단부는 제 1 구멍 및 제 2 구멍을 통해서 허리 둘레부의 착용자측의 면의 뒤쪽의 외측면(이하, 외측면이라고 한다)에서 서로 착탈 가능하게 록킹된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는 자신의 요부로의 착압을 조정할 때에 하의를 탈의 등 할 필요가 없어 복압의 조정의 용이성 이 우수한 하의가 된다.
또한, 요통 보호대 등은 포착 등에 의해 직접적으로는 하의에 고정되지 않고 있으므로, 하의를 세탁할 때에는 하의로부터 요통 보호대 등을 분리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세탁을 세탁기 등으로 행하는 경우에도, 하의와 요통 보호대 등을 분리해서 세탁할 수 있으므로, 하의로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의는 세탁 등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 번거롭지 않은 실용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요통 보호대 등과 하의는 별개의 파츠(parts)이므로, 오염되기 쉽지만 세탁에 대한 높은 내구성을 갖는 하의는 빈번히 세탁을 할 수 있고, 하의와 비교해서 세탁에 대한 내구성은 높지 않지만 더러워지기 어려운 요통 보호대 등은 빈번히 세탁을 하지 않는다. 또한, 하의 및 요통 보호대 등의 각각에 적당한 세탁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요부 보호 기능을 갖는 하의로서 셋트로 보았을 때에는 그 내구성은 매우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착용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하의의 마찰, 또는 하의의 파손이 발생하기 쉬위지거나 또는 요통 보호대의 벨트부의 고무의 느슨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즉, 이들과 같이 어느 하나의 파츠에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그 불량이 생긴 파츠만을 새것으로 교환하면 되므로 본 발명의 하의는 경제적이고 메인터넌스의 번거로움도 없다.
또한, 하의의 허리 둘레부(2)는 그 착용자측의 면에 제 1 록킹부(5)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록킹부(5)와, 후술하는 도 3에 나타내는 요통 보호대의 요부 보호부가 갖는 제 2 록킹부가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고, 요부 보호부가 하의의 허리 둘레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다양한 동작을 하고 있는 중에 요부 보호부가 기어올라 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의의 허리 둘레부(2)는 적어도 1개의 벨트 루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루프는 요부 보호부가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신체와 접하는 허리 둘레부의 내측에 설치해도, 허리 둘레부의 외측에 형성해도 되고, 특히 허리 둘레부의 외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루프에 요통 보호대의 벨트부를 통과시켜서 신체측에 고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의 벨트부가 도어 손잡이 등의 돌기물에 걸려서 착용자가 전도한다고 하는 사고를 피할 수 있다. 벨트 루프는 특히, 하의를 작업복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성과 착용자의 요통의 경감을 양립시키기 위해서 중요하게 된다.
여기서, 벨트 루프의 허리 둘레 방향의 폭은 1∼5cm인 것이 바람직하고, 벨트 루프의 허리둘레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폭은 2.5∼20.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루프의 허리 둘레 방향의 폭을 1cm 이상으로 함으로써 벨트 루프에 부여되는 충격에 의해 벨트 루프가 하의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벨트 루프의 허리 둘레 방향의 폭을 5cm 이하로 함으로써 허리 둘레부의 유연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작업성에 의해 우수한 하의로 할 수 있다. 또한, 벨트 루프의 허리 둘레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폭을 2.5cm 이상으로 함으로써 벨트 루프에 벨트부를 통과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벨트 루프의 허리둘레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폭을 20.5cm 이하로 함으로써 허리 둘레부의 유연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작업성이 보다 뛰어난 하의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요통 보호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요통 보호대의 일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측에 배치되는 면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요통 보호대(7)는 요부 보호부(8), 이 요부 보호부(8)의 좌우에 배치된 벨트부(9), 요통 보호대의 일방의 단부에 배치된 제 3 록킹부(10), 요부 보호부(8)에 배치된 제 2 록킹부(11) 및 요부 보호부(8)에 배치된 본(12)을 갖는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요통 보호대를, 착용자측에 배치되는 면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요통 보호대(7)는 요부 보호부(8), 이 요부 보호부(8)의 좌우에 배치된 벨트부(9), 제 3 록킹부(10)가 배치된 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된 제 4 록킹부(13) 및 요부 보호부(8)에 배치된 본을 갖는다.
여기서, 요부 보호부란 광폭의 띠이며, 벨트부와 같은 소재를 사용한 것이어도 다른 소재를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요부 보호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폭인 등(背) 폭은 5∼2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등 폭을 5cm 이상으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요부의 조임 압력이 협폭 부분에 집중하고,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되어 혈관 등을 과도하게 압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요부 보호부의 배치시의 위치 결정에 있어서, 요부 보호부가 골반의 상부가 걸리도록 하기 위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등 폭을 20cm 이하로 함으로써 장시간의 착용시의 더운 느낌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하여 가동 제한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장시간의 착용이나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요부 보호부의 등 폭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관점으로부터, 등 폭의 하한이 8c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등 폭의 상한이 15c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요부 보호부는 척주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의 소재는 금속 및 수지 등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되고, 그 형상도 스파이럴형상 및 단책형상 본 등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또한, 요부 보호부는 요부 보호부의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요부 보호부의 착용자측의 면에 미끄럼방지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끄럼방지 테이프란 예를 들면, 미끄럼방지 효과를 갖는 실형상 탄성체가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해서 돌출하도록 부설된 것이 예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는 허리 둘레부의 후내측에, 요부 보호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요부 보호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이란 하의의 허리 둘레부의 후내측에 배치되는 제 1 록킹부 등이 열거된다. 제 1 록킹부가, 요부 보호부가 갖는 제 2 록킹부와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고, 요부 보호부가 하의의 허리 둘레부에 고정됨으로써 착용자의 다양한 동작에 의해 요부 보호부가 기어올라 가는 것이 억제된다. 여기서, 제 1 록킹부 및 제 2 록킹부로서는 한 쌍의 면 파스너, 한쌍의 스냅 버튼 등의 한 쌍의 버튼류, 한쌍의 훅류 또는 요부 보호부를 통해서 그것을 하의의 허리 둘레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루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수단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의 수단으로부터 복수의 수단을 선출해서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고정하는 수단이, 요부 보호부를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5는 요부 보호부를 허리 둘레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높은 위치에 고정한 하의의 일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이 정면이 되도록 해서 본 사시도이다. 이 하의에서는 요부 보호부(14)가 허리 둘레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높은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요부 보호부를 허리 둘레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낮은 위치에 고정한 하의의 일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이 정면이 되도록 해서 본 사시도이다. 이 하의에서는 요부 보호부(14)가 허리 둘레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낮은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즉, 이들 하의에서는 요통 보호대의 요부 보호부를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상하 방향의 소망의 위치에 고정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고정 수단으로서 루프, 버튼류 또는 훅류(이하, 루프 등이라고 한다)를 채용한 경우, 요부 보호부를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은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록킹부에 하나의 버튼이 배치되고, 제 2 록킹부에 복수의 버튼 구멍이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버튼 구멍은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나열되어서 배치되어 있는 형태가 열거된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요부 보호부를 소망의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서, 착용자는 하나의 버튼을 통과하는 버튼 구멍을, 복수있는 버튼 구멍의 중에서 1개 선택한다. 또한, 이 조정하는 수단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튼이 복수이고, 버튼 구멍이 하나의 형태이어도 되고, 버튼과 버튼 구멍이 모두 복수인 형태이어도 되고, 또한 제 1 록킹부에 버튼 구멍이 배치되고, 제 2 록킹부에 버튼이 배치된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고정 수단으로서 면 파스너를 채용한 경우, 요부 보호부를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은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록킹부에 한 쌍의 면 파스너의 일방이 배치되고, 제 2 록킹부에 한 쌍의 면 파스너의 타방이 배치되어 있고, 제 1 록킹부예의 면 파스너의 폭이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짧고, 제 2 록킹부예의 면 파스너의 폭이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긴 형태가 열거된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요부 보호부를 소망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착용자는 제 1 록킹부예의 면 파스너를, 제 2 록킹부예의 면 파스너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한다. 또한, 이 조정하는 수단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록킹부예의 면 파스너의 폭이 신장 방향으로 길고, 제 2 록킹부예의 면 파스너의 폭이 신장 방향으로 짧은 형태이어도 되고, 제 1 록킹부예와 제 2 록킹부예의 면 파스너의 양쪽의 폭이,모두 신장 방향으로 긴 형태이어도 된다.
요부 보호부를 배치해서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 중에서도, 요부 보호부의 배치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면 파스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하의의 허리 둘레부의 주변부를 제 1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하의의 허리 둘레부의 주변부의 제 1 측부에서는 요통 보호대의 벨트부(15)가 제 1 구멍을 통과해서 그 일부가 하의의 외측면으로 나가고 있고 하의의 허리 둘레부의 전방면에서 요통 보호대의 일방의 단부가 요통 보호대의 타방의 단부와 록킹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의의 다른 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이 정면이 되도록 해서 본 사시도이다. 이 하의는 후술하는 2개의 보조 벨트를 갖는 요통 보호대를 장착하는데 적합하고, 제 1 구멍(3) 및 제 2 구멍(4)에 더해서, 제 1 구멍(3) 및 제 2 구멍(4)으로부터 보아서 허리 둘레부의 보다 등부측에 제 3 구멍(16) 및 제 4 구멍(17)을 갖고 있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하의의 허리 둘레부의 주변부를 제 1 측부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이 하의는 제 1 구멍(3)에 더해서, 제 1 구멍(3)으로부터 보아서 허리 둘레부의 보다 등부측에 제 3 구멍(16)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하의에 장착하는 요통 보호대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벨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벨트의 일방의 단부는 요부 보호부에 고정되어 있고, 타방의 단부에는 요통 보호대의 착용자측에 배치되는 면의 뒤쪽의 면과 착탈 가능하게 록킹 가능한 록킹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요부로의 착압을 조정하는 수단이 증가하여 보다 갸날픈 착용자의 요부로의 착압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보조 벨트를 갖는 요통 보호대의 일실시형태를, 그 요통 보호대를 하의에 장착한 때에 허리 둘레부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여기서, 허리 둘레부의 내측면이란 하의을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측에 배치되는 허리 둘레부의 면을 말한다. 요통 보호대(18)는 요부 보호부, 이 요부 보호부의 좌우에 배치된 벨트부(제 1 벨트부(28) 및 제 2 벨트부(29)), 요통 보호대의 제 1 벨트부에 배치된 제 5 록킹부(19), 요통 보호대의 제 2 벨트부에 배치된 제 6 록킹부(20), 요부 보호부에 배치되는 제 2 록킹부(21) 및 2개의 보조 벨트(제 1 보조 벨트(22) 및 제 2 보조 벨트(23)를 갖는다. 또한, 제 1 보조 벨트(22)의 제 1 단부는 요부 보호부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 1 보조 벨트(22)의 제 2 단부는 그 요통 보호대측의 면에 제 7 록킹부(24)를 갖는다. 또한, 제 2 보조 벨트(23)의 제 1 단부는 요부 보호부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 2 보조 벨트(23)의 제 2 단부는 그 요통 보호대측의 면에 제 8 록킹부(25)를 갖는다. 또한,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요통 보호대를, 그 요통 보호대를 하의에 장착한 때에 착용자측에 배치되는 면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요통 보호대(18)는 요부 보호부, 이 요부 보호부의 좌우에 배치되는 벨트부(제 1 벨트부 및 제 2 벨트부), 제 2 벨트부에 배치된 제 9 록킹부(26) 및 요부 보호부에 배치된 본을 갖는다. 또한, 이 형태의 요통 보호대에서는 제 2 벨트부의 일방의 면에 제 6 록킹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벨트부의 타방의 면에 제 9 록킹부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5 록킹부(19)는 상기의 제 9 록킹부(26)와 착탈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또한, 제 5 록킹부(19)는 제 7 록킹부(24)와 착탈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또한, 제 6 록킹부(20)는 제 8 록킹부(25)와 착탈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도 12는 도 8에 나타내는 하의에 도 10에 나타내는 요통 보호대를 장착한 것의 허리 둘레부의 주변부분을 제 1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이 하의에서는 제 1 보조 벨트의 일부가 제 3 구멍(16)을 통해서 하의의 외주면으로 나가고 있다. 그리고, 제 1 보조 벨트가 구비하는 제 7 록킹부(24)에 의해, 하의의 외주면으로 나간 제 1 보조 벨트의 단부가 요통 보호대의 제 1 벨트부가 갖는 제 5 록킹부(19)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제 1 보조 벨트의 제 1 단부 및 제 2 보조 벨트의 제 1 단부가 요부 보호부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보조 벨트의 제 1 단부 및 제 2 보조 벨트의 제 1 단부의 고정 위치는 착용자의 요부로의 착압을 조정할 수 있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착용자의 요부로의 착압의 조정 폭이 우수하다는 관점으로부터, 제 1 보조 벨트의 제 1 단부 및 제 2 보조 벨트의 제 1 단부는 요부 보호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부 보호부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서는 제 1 보조 벨트 및 제 2 보조 벨트가 요부 보호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도 착용자의 요부로의 착압을 조정할 수 있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허리 둘레부의 주위의 길이의 4분의 1의 길이의 제 1 보조 벨트 및 허리 둘레부의 주위의 길이의 4분의 7의 길이의 제 2 보조 벨트의 각각의 제 1 단부가 요부 보호부의 동일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요부 보호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제 1 보조 벨트 및 제 2 보조 벨트가 모두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보조 벨트의 제 2 단부는 제 5 록킹부에 록킹되고, 제 2 보조 벨트의 제 2 단부는 제 6 록킹부에 록킹된다. 그 중에서도 구성을 심플한 것으로 하고, 요부로의 착압의 조정의 용이성이 우수하다라는 관점으로부터는 제 1 보조 벨트 및 제 2 보조 벨트가 요부 보호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하의는 제 1 보조 벨트의 제 2 단부가 요통 보호대의 제 1 벨트부가 갖는 제 5 록킹부에 록킹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벨트를 높은 신장성을 갖는 소재로 하는 등하고, 제 1 보조 벨트의 제 2 단부를 보다 허리둘레 방향으로 인장해서 보조 벨트를 신장시키고, 제 1 보조 벨트의 단부가 요통 보호대의 제 2 벨트부가 갖는 제 6 록킹부에 록킹되는 형태로 해도 된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내는 하의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보조 벨트를 갖는 요통 보호대를 장착하는데 적합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보조 벨트의 일부를 제 3 구멍을 통과해서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으로 나가게 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하의의 제 1 구멍에서 제 1 보조 벨트의 일부를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으로 나가게 한 경우에 비해 보조 벨트에 의해 요부로의 착압을 조절할 때에, 착용자가 쥘 수 있는 보조 벨트의 부분이 많아져, 보다 용이하게 착압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 2 보조 벨트에 관해서도, 제 2 보조 벨트의 일부를 제 4 구멍을 통과해서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으로 나가게 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하의의 제 2 구멍으로부터 제 2 보조 벨트의 일부를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으로 내보낸 경우에 비해 보조 벨트에 의해 요부로의 착압을 조절할 때에, 착용자가 쥘 수 있는 보조 벨트의 부분이 많아지고, 보다 용이하게 착압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요통 보호대는 보조 벨트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요부로의 착압을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 1개소에서 3개소로 증가하므로, 보다 갸날픈 착용자의 요부로의 착압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의의 다른 실시형태의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을 제 1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이 하의는 도 1에 나타내는 하의에 비해서 허리 둘레부가 구비하는 제 1 구멍(3)이 착용자의 신장방향의 보다 낮은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하의에 도 10에 나타내는 요통 보호대를 장착한 것의 허리 둘레부의 주변부분을 제 1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허리 둘레부가 구비하는 제 1 구멍(3)을 통과해서 요통 보호대의 벨트부의 일부 및 보조 벨트의 일부가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으로 나가고 있다.
본 발명의 하의는 그 허리 둘레부의 일부에 전부 또는 일부에 개더부를 가져도 좋다. 허리 둘레부가 개더부를 가짐으로써 직물이 부풀어 올라 입체적이 되므로 착용자의 신체 라인에 따라 요부로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더부의 폭은 허리둘레 방향의 폭을 2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개더부에 의한 입체감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허리 둘레부의 전부가 개더부를 갖고 있는 형태도 바람직하고, 개더부의 허리주위 방향의 폭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5은 본 발명의 하의의 다른 실시형태를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이 정면이 되도록 해서 본 사시도이다. 이 하의는 그 허리 둘레부의 등부측에 개더부(27)를 갖고 있다.
1: 허리 둘레부 부근부분 2: 허리 둘레부
3: 제 1 구멍 4: 제 2 구멍
5: 제 1 록킹부 6: 벨트 루프
7: 요통 보호대 8: 요부 보호부
9: 벨트부 10: 제 3 록킹부
11: 제 2 록킹부 12: 본
13: 제 4 록킹부 14: 요부 보호부
15: 벨트부 16: 제 3 구멍
17: 제 4 구멍 18: 요통 보호대
19: 제 5 록킹부 20: 제 6 록킹부
21: 제 2 록킹부 22: 제 1 보조 벨트
23: 제 2 보조 벨트 24: 제 7 록킹부
25: 제 8 록킹부 26: 제 9 록킹부
27: 개더부 28: 제 1 벨트부
29: 제 2 벨트부

Claims (10)

  1. 적어도 허리 둘레부를 갖는 하의로서,
    상기 허리 둘레부는 제 1 구멍 및 제 2 구멍을 적어도 갖고,
    요부 보호부를 구비하는 요통 보호대를 갖고,
    상기 요부 보호부가 상기 허리 둘레부의 후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요통 보호대의 일방의 단부가 상기 제 1 구멍을 통과해서 상기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요통 보호대의 타방의 단부가 상기 제 2 구멍을 통과해서 상기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요통 보호대의 일방의 단부가 상기 요통 보호대의 타방의 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고,
    상기 요통 보호대는 상기 하의로부터 분리 가능한 하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둘레부의 후내측에 상기 요부 보호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을 갖는 하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요부 보호부가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갖는 하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둘레부에 적어도 1개의 벨트 루프를 갖는 하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루프의 허리 둘레방향의 폭이 1∼5cm이고, 상기 벨트 루프의 허리 둘레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의 폭이 2.5∼20.5cm인 하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둘레부에 제 3 구멍 및 제 4 구멍을 갖고,
    상기 제 3 구멍 및 상기 제 4 구멍이 상기 제 1 구멍 및 제 2 구멍보다 상기 허리 둘레부의 보다 등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하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통 보호대의 제 1 면이 상기 허리 둘레부의 내측면과 마주보고 있고,
    상기 요통 보호대는 상기 요통 보호대의 제 1 면을 향해서 상기 요부 보호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벨트부와, 상기 요통 보호대의 제 1 면을 향해서 상기요부 보호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벨트부와, 상기 요통 보호대의 제 1 면에 제 1 보조 벨트 및 제 2 보조 벨트를 갖고,
    상기 제 1 벨트부가 제 5 록킹부를 갖고,
    상기 제 2 벨트부가 제 6 록킹부를 갖고,
    상기 제 1 보조 벨트는 그 제 1 단부가 상기 요부 보호부에 고정되고, 그 제 2 단부가 상기 제 3 구멍을 통과해서 상기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보조 벨트는 그 제 1 단부가 상기 요부 보호부에 고정되고, 그 제 2 단부가 상기 제 4 구멍을 통과해서 상기 허리 둘레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보조 벨트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5 록킹부 또는 상기 제 6 록킹부와 착탈 가능하게 록킹 가능한 제 7 록킹부를 갖고,
    상기 제 2 보조 벨트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5 록킹부 또는 상기 제 6 록킹부와 착탈 가능하게 록킹 가능한 제 8 록킹부를 갖는 하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둘레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 개더부를 갖는 하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더부의 허리 둘레방향의 폭이 2cm 이상인 하의.
  10. 삭제
KR1020167035208A 2014-10-15 2015-10-14 하의 KR102144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0502 2014-10-15
JPJP-P-2014-210502 2014-10-15
PCT/JP2015/078999 WO2016060152A1 (ja) 2014-10-15 2015-10-14 下衣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681A KR20170067681A (ko) 2017-06-16
KR102144701B1 true KR102144701B1 (ko) 2020-08-14

Family

ID=5574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208A KR102144701B1 (ko) 2014-10-15 2015-10-14 하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303604A1 (ko)
EP (1) EP3207813B1 (ko)
JP (1) JP7158823B2 (ko)
KR (1) KR102144701B1 (ko)
CN (1) CN106793839B (ko)
CA (1) CA2962745C (ko)
WO (1) WO20160601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8003111A (es) * 2015-10-27 2018-05-11 Midori Anzen Co Ltd Pantalones con pretina de proteccion de cintura.
US10709188B2 (en) * 2016-07-19 2020-07-14 Tedder Industries, LLC Metal reinforced belt
WO2018066504A1 (ja) * 2016-10-03 2018-04-12 東レ株式会社 下衣
USD844296S1 (en) * 2017-05-11 2019-04-02 Yuan-Chi Lin Pants with an elastic waistband
JP6899261B2 (ja) * 2017-05-29 2021-07-07 美津濃株式会社 腰ベルト及びこれを含む下衣
US20190075861A1 (en) * 2017-09-14 2019-03-14 Erin Burgess Skin protector
KR20210064182A (ko) * 2018-09-25 2021-06-0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하의
USD914889S1 (en) * 2019-06-10 2021-03-30 Idvc, Llc Belt
USD914890S1 (en) * 2019-06-10 2021-03-30 Idvc, Llc Belt
USD916298S1 (en) * 2019-06-10 2021-04-13 Idvc, Llc Belt
USD914891S1 (en) * 2019-06-10 2021-03-30 Idvc, Llc Belt
USD920523S1 (en) * 2020-09-17 2021-05-25 Humboldt Technology (Hk) Limited Waist bel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242B2 (ja) * 1989-10-16 2000-09-11 ソイルメク・エス・ピー・エー 昇圧圧送ピストン型液圧ポンプ
JP2008081864A (ja) * 2006-09-26 2008-04-10 Toshitsugu Matsuda 腰部保護ズボン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510U (ja) * 1983-06-18 1985-01-14 株式会社 自重堂 スラツクス
JPS63167113U (ko) * 1987-04-20 1988-10-31
JPH0444567Y2 (ko) * 1988-06-23 1992-10-21
US5399150A (en) * 1991-06-21 1995-03-21 The Saunders Group Back support system with interchangeable and positionally adjustable orthotic supports
GB9120452D0 (en) * 1991-09-25 1991-11-06 Vesty Uk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protective belts
US5351340A (en) * 1991-10-21 1994-10-04 Lion Apparel, Inc. Work garment with lumbar support
US5157790A (en) * 1991-10-21 1992-10-27 Lion Apparel, Inc. Firefighter garment with lumbar support
US5611084A (en) * 1994-02-28 1997-03-18 Raven Industries, Inc. Jacket with integral back support
JP3341204B2 (ja) * 1996-07-31 2002-11-05 モリト株式会社 腰用保護具付きスポーツ用衣服
JP3052914U (ja) * 1998-04-03 1998-10-13 ハワード株式会社 ウエスト部にコルセット部を設けた衣服
US6108819A (en) * 1998-06-24 2000-08-29 Debaene; David Pants with detachable back support
JP3061858U (ja) 1998-12-21 1999-09-24 武夫 三宅 腹帯内装ズボン
JP3783110B2 (ja) 1999-12-28 2006-06-07 株式会社デサント インナーパンツ
JP3609691B2 (ja) 2000-05-22 2005-01-12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スカート
JP3086242U (ja) * 2001-08-08 2002-06-14 ユニバース工業株式会社 固定用補助がベルト取り外し可能な腰痛保護帯
JP4045353B2 (ja) * 2003-02-06 2008-02-13 忠司 岐原 ズボン等のウエストの伸縮構造
JP2005154917A (ja) 2003-11-21 2005-06-16 Golf Studio:Kk 腰部保護衣類
US6990687B2 (en) * 2004-04-06 2006-01-31 Globe Manufacturing Co. Fire protective trousers with belt closure system
JP4491302B2 (ja) * 2004-08-27 2010-06-30 レカロ株式会社 腰部保護ベルトを取り付けた衣服
US20090235431A1 (en) * 2008-03-21 2009-09-24 Brenda Bevley Quick removal trousers with integral duty belt sleeve
US8438669B2 (en) * 2009-06-23 2013-05-14 Nike, Inc. Apparel incorporating a protective element
US20120022418A1 (en) * 2010-07-26 2012-01-26 Borg Unlimited Inc. Support / compression vest
CN202095558U (zh) * 2011-01-17 2012-01-04 天津市晟成针织制衣有限公司 保健裤
US20130007947A1 (en) * 2011-07-08 2013-01-10 Hurley International, Llc Water Shorts
US9339102B2 (en) * 2013-03-15 2016-05-17 323, Llc Tactical dress belt assembly
CN203353713U (zh) * 2013-07-22 2013-12-25 宁波市鄞州邱隘金凤制衣厂 西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242B2 (ja) * 1989-10-16 2000-09-11 ソイルメク・エス・ピー・エー 昇圧圧送ピストン型液圧ポンプ
JP2008081864A (ja) * 2006-09-26 2008-04-10 Toshitsugu Matsuda 腰部保護ズボ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03604A1 (en) 2017-10-26
EP3207813B1 (en) 2020-12-16
CA2962745A1 (en) 2016-04-21
EP3207813A1 (en) 2017-08-23
CA2962745C (en) 2021-06-15
CN106793839B (zh) 2019-12-03
WO2016060152A1 (ja) 2016-04-21
JP7158823B2 (ja) 2022-10-24
CN106793839A (zh) 2017-05-31
KR20170067681A (ko) 2017-06-16
JPWO2016060152A1 (ja) 2017-08-03
EP3207813A4 (en)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701B1 (ko) 하의
US11096433B2 (en) Trousers with waist protection belt
CN109788809B (zh) 下衣
CN112638188B (zh) 下衣
JP6562824B2 (ja) 腰痛保護帯付きズボン
JP2019081986A (ja) 衣服
JP4491302B2 (ja) 腰部保護ベルトを取り付けた衣服
RU173740U1 (ru) Детский форменный жилет с элементами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JP6685681B2 (ja) 下半身用衣服
JP2015190091A (ja) 上衣
US20220030956A1 (en) Men's undergarment for running and relative method of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