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319A -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319A
KR20210062319A KR1020190150388A KR20190150388A KR20210062319A KR 20210062319 A KR20210062319 A KR 20210062319A KR 1020190150388 A KR1020190150388 A KR 1020190150388A KR 20190150388 A KR20190150388 A KR 20190150388A KR 20210062319 A KR20210062319 A KR 20210062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lings
dumpling
laver
par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환
Original Assignee
김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환 filed Critical 김희환
Priority to KR102019015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2319A/ko
Publication of KR2021006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10Meat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4Mouthfeel improving agent

Abstract

본 발명은 거의 일율적인 맛과 영양을 갖는 만두의 구성과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비타민이 풍부하여 영양소가 우수하게 되고 식이섬유 또한 풍부하여 포만감을 주면서도 고소한 맛과 식감을 제공할 수 있는 고기만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밀가루와 쌀가루를 사용하여 만두피 반죽을 하는 단계; 부추, 두부, 데친 숙주, 삶은 당면, 갈은 돼지고기, 호박, 잘게 절단된 조미김을 주재로 하여 만두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 반죽으로 만두피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에 조미김니 포함된 만두소를 넣고 만두를 빚는 단계; 및 상기 빚어진 만두를 찌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만두소와 조미김이 혼합되지 않도록 특정한 방법에 의해 만두소를 형성하여 김의 고소한 맛과 특유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 하여 바쁜 일상에서도 맛있고 쉽게 만두를 섭취할 수 있게 되므로, 김의 풍부한 영양소를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 고기만두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 및 그 제조방법{Dumplings with excellent texture and nutrient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의 일율적인 맛과 영양을 갖는 만두의 구성과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비타민이 풍부하여 영양소가 우수하게 되고 식이섬유 또한 풍부하여 포만감을 주면서도 고소한 맛과 식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영양소가 우수한 김을 이용하여, 김의 식감이 그대로 재현되어 맛이 좋고 필수 영양소를 갖추어 건강에도 좋은, 김의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기능성 고기만두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고기만두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주식은 쌀을 위주로 하는 밥이지만, 이에 더하여 다양한 간식 음식이 발달하였는데 주로 많이 애용되는 간식 중 하나가 밀가루를 반죽한 것에 소를 넣고 빚은 음식인 만두이다. 이러한 만두는 맛이 좋고 각종 재료가 혼합되어 들어가 영양도 우수하여 애용되는 간식 중 하나이다.
한편, 또 다른 식재료로서 김은 먹기 간편하고 맛도 좋아 예로부터 밥이 주식인 우리나라에서 반찬으로 애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김은 홍조강 보라털목 보라털과 김속에 속하는 총칭이다.
이러한 김은 남반구와 북반구의 조간대 상부, 질소가 풍부한 물에서 잘 자라며, 말린 뒤 식용으로 쓰는데, 우리나라에는 약 10종이 자라고 있으며, 창김과 방사무늬김을 양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김은,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고, 콜레스테롤을 몸 밖으로 배출해주는 성분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바다의 주요 작물 중의 하나로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바닷가에서 양식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으며 이중 완도김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주로 많이 찾는 간식 중의 하나인 만두와 김은 종래로부터 같이 섭취하기에는 서로 맞지 않는 음식중의 하나였다. 이에, 음식으로서 만두의 우수한 장점과 김의 영양소를 함께 이용하고자하는 시도가 있어 왔고 이를 위해 다양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518671호(특허문헌 1)에서는 김을 이용한 만두의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김 만두의 제조방법: (a) (i) 바다에서 채취한 물김을 해수로 세척한 다음 0.3∼2cm 크기로 고속 세절하고, 민물로 세척하는 단계; (ii) 상기 세척한 김의 물기를 원심 양면 탈수한 다음, 약 100℃에서 약 10분 동안 끓이는 단계; (iii) 유압 압착기 또는 쌍 기어 방식의 단방향 생즙기를 50∼150rpm으로 작동하여 상기 끓인 김을 농축하여 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iii) 단계에서 제조된 김 농축액 0.5∼2중량부와 소맥분 100중량부 및 3~5% 식염수 7∼10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죽한 다음, 1∼3mm 두께로 만두피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만두피 100중량부에 대하여, 조미김 20∼80중량부, 녹두채 5∼30중량부, 당면 5∼30중량부, 당근 5∼30중량부, 무말랭이 10∼50중량부, 양파 5∼30중량부 및 부추 5∼30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두소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의 만두피에 (b) 단계의 만두소를 넣어 만두를 제조하는 단계"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538261호(특허문헌 2)에서는 김 및 굴을 이용한 만두의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굴 만두의 제조방법: (a) (i) 바다에서 채취한 물김을 해수로 세척한 다음 0.3∼2cm 크기로 고속 세절하고, 민물로 세척하는 단계; (ii) 상기 세척한 김의 물기를 원심 양면 탈수한 다음, 약 100℃에서 약 10분 동안 끓이는 단계; (iii) 유압 압착기 또는 쌍 기어 방식의 단방향 생즙기를 50∼150rpm으로 작동하여 상기 끓인 김을 농축하여 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iii) 단계에서 제조된 김 농축액 0.5∼2중량부와 소맥분 100중량부 및 3∼5% 식염수 7∼10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죽한 다음, 1∼3mm 두께로 만두피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만두피 100중량부에 대하여, 굴 20∼80중량부, 녹두채 5∼30중량부, 당면 5∼30중량부, 당근 5∼30중량부, 무말랭이 10∼50중량부, 양파 5∼30중량부 및 부추 5∼30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두소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의 만두피에 (b) 단계의 만두소를 넣어 만두를 제조하는 단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의 발명은 만두소의 일 구성분으로 조미김을 단순히 부가하여 제조한다는 것이나, 이렇게 제조된 만두 역시 김의 본래 식감을 느낄 수 없으며 단지 김의 영양소만을 이용하는 방법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특허문헌 2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 기술 분야에서 종래에 요망되고 있었던 과제인 김의 영양소를 만두에 이용한 것이기는 하지만 김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19-0002578호(특허문헌 3)에서의 김 만두와 관련한 다수의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단지 만두피의 제조에 김을 혼합하거나 만두 소에 김을 혼합하는 방법으로 김의 영양소만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지니지 않고 김의 고소한 맛과 특유의 식감을 느낄 수 있는 만두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여 그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김을 특정하게 이용함으로 김에 다량 함유된 우수한 기능성 영양성분분들의 소화 흡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우수한 식감과 미감으로 바쁜 일상에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 만두의 제조방법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518671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538261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19-000257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종래의 기술에서의 김을 이용한 만두에서 김의 식감을 살리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식감과 고소한 김의 미감을 우수하게 유지하여, 김의 풍부한 영양소를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할수 있는, 김의 고소한 맛과 특유의 식감을 느낄 수 있는 기능성 고기만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식감과 영양분을 가져 바쁜 일상에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 고기만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 고기만두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의 제조방법은; 밀가루와 쌀가루를 사용하여 만두피 반죽을 하는 단계; 부추, 두부, 데친 숙주, 삶은 당면, 갈은 돼지고기, 호박, 잘게 절단된 조미김을 주재로 하여 만두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 반죽으로 만두피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에 조미김이 포함된 만두소를 넣고 만두를 빚는 단계; 및 상기 빚어진 만두를 찌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만두소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각 준비된 재료를 큰 볼에 담아서 혼합한 후 달걀, 마늘, 참기름, 통깨, 소금, 후추로 간을 맞추어 주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조미김이 포함된 만두소를 넣어 만두를 빚는 단계는 만두피에 만두소를 얹고 그 위에 조미김을 얹어 만두피를 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조미김이 포함된 만두소를 넣어 만두를 빚는 단계는 만두피에 조미김을 얹고 그 위에 만두소를 얹어 만두피를 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만두소는 부추를 잘게 송송 썰어 준비하는 단계; 두부를 으깨어 놓는 단계; 숙주는 살짝 데쳐 놓는 단계; 상기 두부와 숙주의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당면은 삶아서 식혀준 다음 잘게 썰어 놓는 단계; 대파를 세로로 반을 가른 후 송송 썰어 놓는 단계; 갈은 돼지고기를 준비해 놓는 단계; 호박을 채 썰어 소금에 절인 후 물기를 제거하여 절인 호박을 준비해 놓는 단계; 조미김을 잘게 절단하여 준비해 놓는 단계; 및 상기 각 단계에서 준비된 재료를 큰 볼에 담아서 혼합한 후 달걀, 마늘, 참기름, 통깨, 소금, 후추로 간을 맞추어 만두소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만두소는 갈은 돼지고기 14 내지 16 중량부, 부추 3 내지 4 중량부, 두부 6.5 내지 7 중량부, 숙주 3 내지 4 중량부, 당면 2 내지 3 중량부, 호박 3 내지 4 중량부, 잘게 절단된 조미김 1.8 내지 2.2 중량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는; 밀가루와 쌀가루를 사용하여 만두피 반죽을 하는 단계; 부추, 두부, 데친 숙주, 삶은 당면, 갈은 돼지고기, 호박, 잘게 절단된 조미김을 주재로 하여 만두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 반죽으로 만두피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에 조미김이 포함된 만두소를 넣어 만두를 빚는 단계; 및 상기 빚어진 만두를 찌는 단계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 및 그 제조방법은, 조미김을 만두소로 이용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만두소와 조미김이 혼합된 특정한 방법에 의해 만두소를 형성하여 김의 고소한 맛과 특유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 하여 바쁜 일상에서도 맛있고 쉽게 만두를 섭취할 수 있게 하므로, 김의 풍부한 영양소를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하는 기능성 만두를 제공하여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유용한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인 "만두"는 껍질의 재료와 소의 재료, 조리법 및 빚는 모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인식되는 것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인 "김"은 홍조강 보라털목 보라털과 김속에 속하는 총칭으로 남반구와 북반구의 조간대 상부, 질소가 풍부한 물에서 잘 자라며, 말린 뒤 식용으로 쓰이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고, 콜레스테롤을 몸 밖으로 배출해주는 성분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인 "조미김"은 특정한 종의 김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의미인 간이 된 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인식되는 것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의 제조방법은, 밀가루와 쌀가루를 사용하여 만두피 반죽을 하는 단계; 만두소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로, 상기 만두소는 부추, 두부, 데친 숙주, 삶은 당면, 갈은 돼지고기, 호박, 잘게 절단된 조미김을 주재로 하여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 반죽으로 만두피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에 조미김이 포함된 만두소를 넣고 만두를 빚는 단계; 및 상기 빚어진 만두를 찌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 상기 만두소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각 준비된 재료를 큰 볼에 담아서 혼합한 후 달걀, 마늘, 참기름, 통깨, 소금, 후추으로 간을 맞추어 주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만두피에 조미김이 포함된 만두소를 넣고 만두를 빚는 단계는 1) 만두피에 만두소를 얹고 그 위에 조미김을 별도로 얹어 만두피를 봉하는 것으로 구성되거나, 2) 만두피에 조미김을 얹고 그 위에 만두소를 별도로 얹어 만두피를 봉하는 것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3) 만두피에 만두소를 얹고 그 위에 조미김을 별도로 얹고 다시 그 위에 만두소를 별도로 얹어 만두피를 봉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만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만두소와 조미김이 함께 혼합되거나 또는 별도로 만두 안에 위치되어 취식자가 섭취할 때 김의 고소한 맛과 특유의 식감을 느끼게 되어 맛이 우수하고 먹는 취식감 또한 뛰어나 고기만두를 맛있게 섭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만두소는 다음과 같이 만두, 특히 만두 1개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되는 재료는, 갈은 돼지고기 15g, 부추 3.5g, 두부 6.7g, 숙주 3.5g, 당면 2.5g, 및 호박 3.5g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두에서 부가되는 조미김의 경우 만두 1개를 기준으로 1.8±2.2g을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조미김의 사용량이 1.8g 미만으로 되면 김의 고소한 맛과 식감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2.2g을 초과하게 되면 김 맛이 강하여 맛의 균형이 나빠져 오히려 만두의 맛을 저하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만두소의 양념으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소금, 후추, 참기름, 마늘, 대파, 통깨, 달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만두소는 바람직하기로는 하기의 구체적인 순서에 의해 만들어진다.
1. 부추를 잘게 송송 썰어 준다.
2. 두부를 으깨어 준다.
3. 숙주는 살짝 데쳐 놓는다.
4. 두부, 숙주의 물기를 제거해준다.
5. 당면은 삶아서 식혀준 다음 잘게 썰어준다.
6. 대파는 세로로 반을 가른 후 송송 썰어 준다.
7. 갈은 돼지고기를 준비해 둔다.
8. 호박은 채 썰어 소금에 절인 후 물기를 제거한다.
9. 조미김을 잘게 절단하여 준비해 둔다.
10. 상기 단계에서 준비된 재료를 큰 볼에 담아서 혼합한 후 달걀, 마늘, 참기름, 통깨, 소금, 후추로 간을 맞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만두소의 경우 잘게 절단된 조미김을 넣어 사용함으로써 고소한 맛과 김 특유의 향을 더해 줄 수 있으며, 만두피에 만두소를 얹고 그 위에 별도로 조미김을 얹어 만두피를 봉하거나 또는 만두피에 조미김을 얹고 그 위에 별도로 만두소를 얹어 만두피를 봉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아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만두 1개를 기준으로 갈은 돼지고기 15g, 부추 3.5g, 두부 6.7g, 숙주 3.5g, 당면 2.5g, 및 호박 3.5g, 잘게 절단된 조미김 2.0g을 준비하고, 이들 재료를 큰 볼에 담아서 혼합한 후 달걀, 마늘, 참기름, 통깨, 소금, 후추로 간을 맞추어 만두소를 제조한 다음 통상의 방식대로 만두피에 얹어 봉한 후에 쪄서 고기만두를 만들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만두피에 만두소를 넣을 때 만두피에 조미김을 얹고 그 위에 만두소를 별도로 얹은 후 만두피를 봉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고기만두를 만들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만두피에 만두소를 넣을 때 만두피에 만두소를 얹은 다음 그 위에 조미김을 얹고 다시 그 위에 만두소를 별도로 얹은 후 만두피를 봉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고기만두를 만들었다.
비교예
만두 1개를 기준으로 갈은 돼지고기 15g, 부추 3.5g, 두부 6.7g, 숙주 3.5g, 당면 2.5g, 및 호박 3.5g을 준비하여,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한 만두소의 제조 과정에 따라 만두소를 준비한 후 만두피에 만두소를 넣어 만두피를 봉하고 만두를 쪄서 고기만두를 만들었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고기만두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전에 평가방식에 대한 교육을 받은 평가단 100명을 대상으로 고기만두를 동일 방식으로 취식하게 한 다음 하기 표에서와 같이 외관, 식감, 맛 및 이에 대한 종합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였으며, 모든 평가는 7점 척도를 사용하였다(7점: 매우 강함 혹은 매우 좋음, 4점: 보통, 1점: 매우 약함 혹은 매우 나쁨).
외관 식감 기호도
실시예 1 6.1 6.7 6.9 6.6
실시예 2 5.7 6.3 6.7 6.4
실시예3 5.5 6.1 6.3 6.0
비교예 4.9 5.1 5.3 5.5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2의 경우 김의 식감과 고소한 맛이 재현됨으로써 각각 1, 2위의 평점을 받아 매우 우수하였고, 실시예 3은 약간 식감이 떨어지지만 비교적 좋은 평점을 받았으며, 비교예의 경우 일반적인 고기만두 맛의 기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에 불과하고 제한을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밀가루와 쌀가루를 사용하여 만두피 반죽을 하는 단계;
    부추, 두부, 데친 숙주, 삶은 당면, 갈은 돼지고기, 호박, 잘게 절단된 조미김을 주재로 하여 만두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 반죽으로 만두피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만두피에 조미김이 포함된 만두소를 넣고 만두를 빚는 단계; 및
    상기 빚어진 만두를 찌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소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각 준비된 재료를 큰 볼에 담아서 혼합한 후 달걀, 마늘, 참기름, 통깨, 소금, 후추로 간을 맞추어 주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미김이 포함된 만두소를 넣고 만두를 빗는 단계에서는 만두피에 만두소를 얹고 그 위에 조미김을 별도로 얹어 만두피를 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미김이 포함된 만두소를 넣고 만두를 빗는 단계에서는 만두피에 조미김을 얹고 그 위에 만두소를 별도로 얹어 만두피를 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소는;
    부추를 잘게 송송 썰어서 준비하는 단계;
    두부를 으깨어 놓는 단계;
    숙주를 살짝 데쳐 놓는 단계;
    상기 두부와 숙주의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당면은 삶아서 식혀준 다음 잘게 썰어 놓는 단계;
    대파를 세로로 반을 가른 후 송송 썰어 놓는 단계;
    갈은 돼지고기를 준비해 놓는 단계;
    호박을 채 썰어 소금에 절인 후 물기를 제거하여 절인 호박을 준비해 놓는 단계;
    조미김을 잘게 절단하여 준비해 놓는 단계; 및
    상기 각 단계에서 준비된 재료를 큰 볼에 담아서 혼합한 후 달걀, 마늘, 참기름, 통깨, 소금, 후추으로 간을 맞추어 만두소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소는 갈은 돼지고기 14 내지 16 중량부, 부추 3 내지 4 중량부, 두부 6.5 내지 7 중량부, 숙주 3 내지 4 중량부, 당면 2 내지 3 중량부 및 호박 3 내지 4 중량부, 잘개 절단된 조미김 1.8 내지 2.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
KR1020190150388A 2019-11-21 2019-11-21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2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88A KR20210062319A (ko) 2019-11-21 2019-11-21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88A KR20210062319A (ko) 2019-11-21 2019-11-21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319A true KR20210062319A (ko) 2021-05-31

Family

ID=7615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388A KR20210062319A (ko) 2019-11-21 2019-11-21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231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671B1 (ko) 2005-08-31 2005-10-05 임규순 김을 이용한 만두의 제조방법
KR100538261B1 (ko) 2005-08-31 2005-12-21 임규순 김 및 굴을 이용한 만두의 제조방법
KR20190002578A (ko) 2016-04-27 2019-01-08 드 노라 페르멜렉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용 전극, 전해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전해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671B1 (ko) 2005-08-31 2005-10-05 임규순 김을 이용한 만두의 제조방법
KR100538261B1 (ko) 2005-08-31 2005-12-21 임규순 김 및 굴을 이용한 만두의 제조방법
KR20190002578A (ko) 2016-04-27 2019-01-08 드 노라 페르멜렉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용 전극, 전해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전해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778B1 (ko) 돈까스 요리의 제조방법
KR102144825B1 (ko) 고소애를 함유하는 떡갈비의 제조 방법
KR101186276B1 (ko) 천연 조미료, 그 천연 조미료를 포함하는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0670A (ko) 블럭화된 즉석 김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74177B1 (ko) 맛경채 만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맛경채 만두
KR101258272B1 (ko) 쇠고기 무국
KR20150078709A (ko) 단호박 및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김치 조성물
KR101521395B1 (ko) 다양한 색상표현이 가능한 산나물 만두의 제조방법
KR101173889B1 (ko) 건조해산물 식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건조해산물 식해
KR20200053094A (ko) 풍미가 뛰어난 짬뽕 및 짜장면의 제조방법
KR102353805B1 (ko) 전복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72664B1 (ko) 단호박 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101766580B1 (ko) 산마늘이 함유된 만두 제조방법
KR102037760B1 (ko) 건나물 파스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나물 파스타
KR102047952B1 (ko) 저염 우렁쉥이 젓갈을 제조하는 방법
KR20210062319A (ko)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고기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9230A (ko) 한방 저염 김치의 제조방법
KR20180001228U (ko) 콘 타입 부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 타입 부각
KR101697756B1 (ko) 비릿한 맛이 제거된 알탕 제조방법
KR100454662B1 (ko) 전분이 도포된 동결건조 송이버섯 및 이를 이용한송이버섯 김치
KR20210069856A (ko) 식감과 영양소가 우수한 김치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101663459B1 (ko) 어린이용 무우 김치와 그 제조방법
KR102582078B1 (ko) 게걸무를 이용한 만두 제조방법
KR102171815B1 (ko) 아귀강정의 제조방법
KR102588734B1 (ko) 짬뽕 감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