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617A - 의류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617A
KR20210061617A KR1020190149387A KR20190149387A KR20210061617A KR 20210061617 A KR20210061617 A KR 20210061617A KR 1020190149387 A KR1020190149387 A KR 1020190149387A KR 20190149387 A KR20190149387 A KR 20190149387A KR 20210061617 A KR20210061617 A KR 2021006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lothing
conveyor
lay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윤
김근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1617A/ko
Priority to US17/778,646 priority patent/US20220396913A1/en
Priority to EP20889234.9A priority patent/EP4063557A4/en
Priority to PCT/KR2020/015680 priority patent/WO2021101150A1/ko
Publication of KR2021006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06F89/02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Abstract

의류 폴딩 장치로서,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폴딩 장치를 구성하는 폴딩 어셈블리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구동 모터에 의해, 인입된 의류의 세로접기가 수행되는 세로접기 레이어, 세로접기 레이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컨베이어를 구비하며, 구동 모터에 의해, 로딩된 의류의 가로접기가 수행되는 가로접기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 및 가로접기 레이어에 구비되고, 의류의 로딩 여부, 의류의 길이 및 의류의 접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폴딩 장치{APPARATUS FOR FOLDING CLOTHES}
본 발명은 의류의 접힘을 수행하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는 천연 또는 합성섬유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제조되며, 보관 및 이동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folding)이 수행되어야 한다.
일상적으로, 의류는 세탁 후 수납하기 위하여 또는 계절 변화에 따른 장기 보관을 위하여 의류 접기 행위가 상당히 자주 또는 다량으로 요구되었다. 그런데 인력에 의한 직접적인 의류 접기 행위는 시간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숙달되지 않은 인력으로 인해 접혀진 의류의 모양과 크기가 일치되지 않게 되면 전시 또는 보관을 위해 추가적인 노동이 투입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의류 접기 행위를 신속하고 일률적으로 수행할 자동화 장치(이하 '의류 폴딩 장치'라 한다)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종래의 의류 폴딩 장치와 관련하여 2018. 7. 5. 발행된 PCT공개특허 제2018-122841호(발명의 명칭 :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STACKED CONVEYOR LAYERS AND FOLDING METHOD THEREFOR)가 개시되었다(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 상기 선행문헌은 의류가 상부에 인입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된 후, 하부에서 배출되는 자동화 장치에 대한 기술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장치는 아래와 같이 몇 가지 기술적인 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
첫째로, 장치의 높이 또는 부피로 인해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제한된 실내 공간에 배치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의 장치는 의류의 접힘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레이어(layer)들이 상하로 적층되는데 각 레이어는 1회의 접기만 수행되어야 하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다수의 접기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치의 높이 또는 부피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또한 접힘 수행과 무관한 레이어 또는 어셈블리가 삽입됨으로써 장치의 높이 또는 부피 증가에 원인을 제공한다.
둘째로, 접힘 가능한 의류의 범위가 한정적으로, 의도한 접힘의 크기 및 모양에도 한계가 있다. 선행문헌의 장치에는, 일정한 두께 이상이거나 길이가 긴 의류 등이 인입되는 경우 이송 또는 접힘 과정에서 장애를 일으키거나 접힘 품질이 떨어져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행문헌의 장치로는 다양한 종류와 두께의 의류에 대응하여 원하는 크기와 모양의 접힘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의류 폴딩 장치에 따른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사용 가능한 의류 범위를 확대하고, 의류 접힘의 신뢰성과 다양성을 확보하며, 장치 소형화에 기여하는 의류 폴딩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장치의 소형화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다수 레이어를 구성하는 세로접기 내지 가로접기 어셈블리 및 컨베이어 배치 등에 대한 구조적 변환을 꾀하여 전체적인 장치의 높이 또는 부피를 최소화하는 의류 폴딩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하고 신뢰성 있는 접힘 품질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의류에 대응할 수 있고, 의도한 바에 따라 정확한 접힘이 수행되며, 이를 위해 의류의 길이, 로딩 내지 접힘 여부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은 유지관리 및 방열 처리가 용이하고, 다수 레이어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장치 소형화 과제, 다양하고 신뢰성 있는 접힘 품질을 확보 및 그 밖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폴딩 장치에 있어서, 의류가 인입되도록 구비되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접힘이 수행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접힘이 완료된 의류를 배출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구동 모터에 의해, 인입된 의류의 세로접기가 수행되는 세로접기 레이어,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컨베이어를 구비하며, 구동 모터에 의해, 로딩된 의류의 가로접기가 수행되는 가로접기 레이어 및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 및 가로접기 레이어에 구비되고, 의류의 로딩 여부, 의류의 길이 및 의류의 접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 및 가로접기 레이어의 컨베이어는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상기의 장치 소형화 과제, 다양하고 신뢰성 있는 접힘 품질을 확보 및 그 밖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인입된 의류의 세로접기가 수행되는 제1 폴딩 레이어,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구동 모터에 의해, 로딩된 의류의 세로접기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제2 폴딩 레이어,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구동 모터에 의해, 로딩된 의류의 가로접기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제3 폴딩 레이어 및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구동 모터에 의해, 로딩된 의류의 가로접기가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는 제4 폴딩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 및 가로접기 레이어에 구비되고, 의류의 로딩 여부, 의류의 길이 및 의류의 접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폴딩 레이어 내지 제4 폴딩 레이어의 컨베이어는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상기의 장치 소형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부 컨베이어에서 낙하하는 의류가 인접한 하부 컨베이어에 직접 로딩되도록, 상부 컨베이어는 하부 컨베이어와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엇갈리게 배치된다.
상기의 다양하고 신뢰성 있는 접힘 품질을 확보 및 그 밖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세로접기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는,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날과, 상기 가이드날을 컨베이어에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날은, 구동 모터에 의해, 폭방향으로 가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의 장치 소형화 과제, 다양하고 신뢰성 있는 접힘 품질을 확보 및 그 밖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부는, IR센서로 구성되는 의류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의류 감지 센서는,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에서,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어 적외선을 상방으로 투과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의 의류 감지 센서는,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의류 감지 센서는, 상기 가로접기 레이어에서, 컨베이어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적외선을 수평으로 투과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수의 폴딩 레이어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두께 및 종류의 의류에 대응하여 의도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이 구현되므로, 사용 가능한 의류 범위가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 감지 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의류의 로딩 여부, 의류의 길이 및 접힘 여부 등을 간이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 감지 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의류의 길이가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길이보다 크더라도 세로접기를 완전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로접기 가이드부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의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의도한 바에 따라 정확한 세로접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컨베이어에 의한 폴딩갭을 1개 또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함으로써, 한정된 수평 공간에서 다양한 크기와 모양에 부합한 가로접기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컨베이어가 적어도 2개 이상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접기를 생략하고 하부의 폴딩 레이어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와 모양에 부합한 가로접기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가로접기 레이어의 컨베이어 구성에 의해, 폴딩 공정의 단순화와 동시에 장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컨베이어가 지그재그로 배치됨으로써, 상부 컨테이너에서 낙하하는 의류를 하부 컨테이너에서 직접 받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병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컨베이어가 지그재그로 배치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고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컨베이어의 지그재그식 배치와 함께 센서부가 구비됨으로써, 의류의 정상적인 낙하 및 로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구동 모터부가 구비됨으로써, 유지관리 및 방열 처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이 구비됨으로써, 접힘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폴딩 어셈블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이 구비됨으로써, 양 폴딩 레이어의 작동 어셈블리가 동시에 지지되어 요구 공간이 절약되고 폴딩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폴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폴딩 어셈블리의 컨베이어 배치 모습을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폴딩 레이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폴딩 레이어 및 제2 폴딩 레이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 이전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 이후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접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세로접기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세로접기 가이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폴딩 레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폴딩 레이어의 측면 상세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폴딩 레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폴딩 레이어의 측면 상세도이다.
도 17은 제4 폴딩 레이어에서 수행되는 가로접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제4 폴딩 레이어에서 수행되는 가로접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폴딩 레이어를 통과한 의류의 이송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터의 배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터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배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감지 센서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감지 센서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폴딩 레이어의 의류 감지 센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폴딩 레이어의 의류 감지 센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폴딩 레이어의 의류 감지 센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폴딩 레이어의 의류 감지 센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한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인 의류 폴딩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인 의류 폴딩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인 의류 폴딩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어셈블리"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관한 설명을 토대로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 폴딩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폴딩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폴딩 어셈블리의 컨베이어 배치 모습을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10)는 프레임(110)에 지지 및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의 외부 골격과 같이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의 외부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의 최소 작동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를 이루는 여러 부재들을 안정적으로 부착 및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및 수평 프레임(113, 114, 115, 116, 117)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111)은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의 상부 작동 공간은 상기 상부 프레임(11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12)은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의 하단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의 하부 작동 공간이 상기 하부 프레임(11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기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에는 후술할 컨베이어(20)(도 2 참조) 내지 구동모터(30)(도 20 참조) 등이 장착 및 지지될 수 있다.
양 수평 프레임 사이의 공간은 후술할 폴딩 레이어(folding layer)의 작동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접기를 수행하는 제2 폴딩 레이어(220)(도 3 참조)은 그 작동 공간이 양 수평 프레임(114, 115)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양 수평 프레임 사이의 공간은 적어도 두 개의 폴딩 레이어의 작동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접기를 수행하는 제3 폴딩 레이어(230) 및 제4 폴딩 레이어(240)(도 3 참조)는 그 작동 공간이 양 수평 프레임(115, 116)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1)에 인접한 수평 프레임(113)은 인입부(101)로 투입되는 의류를 파지 및 이송시키기 위한 어셈블리가 상부에서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112)에 인접한 수평 프레임(117)은 후술할 받침 컨베이어(25)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기능하는 가이드레일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및 수평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121, 122, 123, 124)(도 1)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은 의류가 투입되는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121)과, 상기 전방 프레임(121)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의 후방 작동 공간을 정의하는 후방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의 외곽면에는 마감 커버(미도시)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마감 커버는 상기 의류 폴딩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프레임이 구비됨으로써, 후술할 각 폴딩 레이어에서 의류 접기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작동 세로접기 어셈블리가 안정적으로 지지 및 장착될 수 있고, 하나의 수평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하 배치되는 폴딩 레이어의 작동 공간에 필요한 세로접기 어셈블리가 동시에 지지됨으로써 요구 공간이 절약되어 의류 폴딩 장치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는 로딩 어셈블리(loading assembly)(100), 폴딩 어셈블리(folding assembly)(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unloading assembly)(300)을 포함한다.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 폴딩 어셈블리(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 폴딩 어셈블리(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작동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은, 그 작동 공간이 상부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은 의류가 인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은 인입부(101)에 투입된 의류가 컨베이어(2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은 상부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 사이에서 인입부(101)에 투입된 의류가 컨베이어(2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의류라 함은,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 재직되어 인간이 착용 가능한 상의 또는 하의를 의미함은 물론, 수건이나 이불과 같이 상기 의류 폴딩 장치를 통해 원하는 크기와 두께로 접혀져 제공될 수 있는 물품이면 전부 포함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은, 인입부(101)에 의해 투입된 의류가 클립부(103)(도 1, 도 2 참조)에 의해 파지된다. 이후 클립부(103)는 의류를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끌어 컨베이어(20)의 상면에 놓여지도록 파지가 해제된다. 상기 컨베이어(20)는 수평 프레임(11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클립부(103)는 상기 상부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11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접힌 의류가 모여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언로딩 레이어(310)(도 3 참조)에서 받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부(301)에 모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 사이에서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받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부(301)에 모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폴딩 어셈블리에 의해 낙하되는 의류가 받침 컨베이어(25)(도 19 참조)에 놓여진다. 이후 받침 컨베이어(25)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언로딩판(미도시)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배출부(301)의 내부 공간에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가지런히 모아진다. 상기 받침 컨베이어(25)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은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117)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언로딩판 상하 이동 세로접기 어셈블리는 하부 프레임(11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접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폴딩 레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폴딩 레이어는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인입된 의류는 상부의 폴딩 레이어로부터 하부의 폴딩 레이어로 이송되면서 각 폴딩 레이어에서 적어도 1회 이상의 접힘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배출부(301)에서는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모아진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인입된 의류가 상부의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하부의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이송되면서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혀지도록 기능한다. 각 폴딩 레이어에서는 적어도 1회 이상의 접힘이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는 2회의 접힘이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최하부의 폴딩 레이어에는 언로딩 레이어(310)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제4 폴딩 레이어(240)의 하부에는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낙하하게 되는 언로딩 레이어(3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언로딩 레이어(310)는 배출부(301)가 구비되어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가지런히 모아진다.
상기 폴딩 레이어는 컨베이어(2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20)는 인입되거나 낙하한 의류가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기능한다. 각 폴딩 레이어는 상기 컨베이어(20)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한다. 하나의 폴딩 레이어에 2개 이상의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경우 양 컨베이어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거나 또는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폴딩 갭(gap)을 형성한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컨베이어(20)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는 2개의 컨베이어(20)를 구비할 수 있고, 제4 폴딩 레이어(240)는 3개의 컨베이어(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에 구비된 양 컨베이어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폴딩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폴딩 레이어(240)에 구비된 3개의 컨베이어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거나 또는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2개의 폴딩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로딩 레이어(310)에는 받침 컨베이어(25)가 수평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 컨베이어(25)는 언로딩판(미도시)와 함께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배출부(301)로 가지런히 모아지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세로접기 되도록 구비되고, 인입되거나 낙하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가로접기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폴딩 어셈블리(200)을 구성하는 4개의 폴딩 레이어 중 상부 2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에서는 의류가 세로접기되고(이하 '세로접기 레이어'로 칭하기도 한다), 하부 2개의 폴딩 레이어(230, 240)에서는 의류가 가로접기될 수 있다(이하 '가로접기 레이어'로 칭하기도 한다).
여기서 가로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인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수직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9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여기서 세로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한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평행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 및 가로접기 레이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다수의 컨베이어(20)가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에 있어 상하로 배치되는 폴딩 레이어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들이 수평방향으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가 지그재그로 배치됨으로써 상부 컨테이너에서 낙하하는 의류를 하부 컨테이너에서 직접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상부 폴딩 레이어를 구성하는 컨베이어(20) 및 하부 폴딩 레이어를 구성하는 컨베이어(20)는 수평방향으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 컨베이어(20)에서 낙하하는 의류(C)를 하부 컨베이어(20)에서 직접 로딩할 수 있는 공간(D1)이 확보된다.
이처럼, 상하부 컨베이어가 지그재그로 배치됨으로써, 상부 컨베이어에서 하부 컨베이어로 의류가 이송 전환되는 부분에서 자주 발생하는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컨베이어에서 하부 컨베이어로 이송 변환되는 별도의 공간 내지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의류가 상하로 적체되어 의류 폴딩 장치의 이송 효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 컨베이어를 하부 컨베이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엇갈리도록 배치하여 로딩 공간(D1)을 확보함으로써 이러한 병목 현상을 간단하면서 완전히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부 컨베이어가 지그재그로 배치됨으로써, 프레임의 범위를 벗어나는 의류 이송 또는 작업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상부 컨베이어(20)가 하부 컨베이어(20)와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단부가 형성된다면 낙하하는 의류는 프레임의 우측으로 벗어나 로딩되는 공간과 동시에 하부 컨베이어(20)로 의류가 이송 변환되도록 별도의 장치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 컨베이어를 하부 컨베이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엇갈리도록 배치하여 이러한 부가 공간 내지 장치 기능을 대체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고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그재그식 컨베이어 배치와 함께,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에는 센서부(40)(도 22 참조)가 구비됨으로써, 의류의 낙하 및 로딩이 정상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컨베이어가 일정한 로딩 공간(D1)을 두고 하부 컨베이어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어긋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로딩 공간(D1)을 통해 낙하하는 의류의 정상적인 로딩 또는 병목 현상을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상부 컨베이어의 하향 돌출된 의류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부가적으로, 하부 컨베이어에서 로딩 공간(D1)을 향해 감지 신호를 발산하도록 하부 컨베이어의 상부에도 의류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의 전반적인 배치 및 그 기능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 폴딩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폴딩 레이어에 대해 도 5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2는 세로접기 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13 내지 도 19는 가로접기 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폴딩 레이어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제1 폴딩 레이어 및 제2 폴딩 레이어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접기 이전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그 정면도이며, 도 9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접기 이후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그 정면도이며, 도 11은 세로접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세로접기 가이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세로접기 가이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세로접기 되도록 기능하는 세로접기 레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제1 폴딩 레이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딩 레이어(210)는, 로딩 어셈블리(100)로부터 인입된 의류를 후단으로 이송하면서 세로접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딩 레이어(210)는, 로딩 어셈블리(100)의 인입부(101)에 의해 인입된 의류가 클립부(103)(도 1, 도 2 참조)에 의해 당겨져 놓여지는 컨베이어(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1)는 놓여진 의류(C)를 후단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동시에, 이송하는 의류(C)의 세로접기가 구현되도록 세로접기 어셈블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미도시)은 구동 모터의 힘을 받아 능동적으로 접히는 메커니즘이 아닌, 의류가 이송되면서 자연스럽게 접히도록 하는 수동형 세로접기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베이어(21)의 양측에는 돌출 형성된 폴더부(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의류가 이송되면서 소매 부분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 폴딩 레이어(210)는, 동일한 수평 공간에서 의류 인입과 접힘이 구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로딩 어셈블리(100) 및 세로접기가 같은 레이어에서 동시에 일어나도록 구비됨으로써, 폴딩 공정의 단순화와 함께 장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21)의 상부 후방에는 의류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감지 센서에 의해 의류(C)가 정상적으로 컨베이어(21)에 로딩되었는지 또는 의류(C)의 전체 길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의류 감지 센서의 전체적인 배치 및 기능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제2 폴딩 레이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제1 폴딩 레이어(210) 및 제2 폴딩 레이어(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폴딩 레이어(210)의 하부에는 제2 폴딩 레이어(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폴딩 레이어(220)는 제1 폴딩 레이어(210)로부터 로딩된 의류를 전방으로 이송하면서 세로접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로딩 어셈블리(100)로부터 인입된 의류는 상기 제1 폴딩 레이어(210) 및 제2 폴딩 레이어(220)로 구성된 세로접기 레이어를 통과하면서 의도한 세로접기가 구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의도된 크기와 모양으로 세로접기되도록 기능하는 세로접기 레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세로접기 가이드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11)는 제1 폴딩 레이어(210)의 컨베이어(2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11)는 제1 폴딩 레이어(210)의 컨베이어(21)의 하부에 지지되어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의류(C)를 하방으로 눌러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11)에 의해 가이드된 의류(C)는 세로접기 어셈블리(222)에 의해 의류(C)의 외측 부분이 내측으로 접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11)는 가이드날(2111) 및 가이드프레임(211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날(2111)은 전방으로 길고 납작하게 형성되어 이송되는 의류(C)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세로접기의 기준선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날(2111)은 전방으로 가면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이송되는 의류(C)가 점진적으로 눌리면서 안정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113)은 상기 컨베이어(21)에 장착되면서, 상기 가이드날(2111)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113)은 상기 가이드날(2111)과 수직인 폭방향(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11)는 상부 컨베이어에 장착되어 그 하부 컨베이어에 로딩된 의류를 하방으로 눌러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11)의 가이드프레임(2113)은 상부 컨베이어에 장착되면서, 하부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로딩되는 의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날(2111)을 지지할 수 있다. 더욱 안정적인 가이드를 위해 상기 가이드날(2111)은 하부 컨베이어의 상부면에서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날(211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113)을 기준으로 폭방향으로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날(2111)의 가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세로접기 가이드부(211)는, 도 12의 실시예에 따르면, 랙(2116), 피니언(211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113)은 그 외관이 상부 프레임바디(2113a) 및 하부 프레임바디(2113b)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벨트(2118)로 연결되어 모터기어(2119)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니언(2117)이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2117)과 기어 결합되는 폭방향의 랙(2116)이 구비되며, 이러한 랙 피니언 구동을 감지 및 제어하는 마이크로스위치(21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날(2111)이 폭방향으로 가변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의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의도한 바에 따라 정확한 세로접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넓은 폭의 의류에 대해 좁은 폭의 세로접기를 의도한 경우, 가이드날(2111)을 내측으로 가변시켜 원하는 세로접기를 특별한 방해요소 없이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날(211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113)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의류(C)의 양 외측 부분이 내측으로 대칭적으로 접힐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의 가이드날(2111)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2113)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양 가이드날(2111)은 세로접기 대상인 의류(C)의 크기와 모양 등을 고려하여 폭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11)에는 링크(2112)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2112)는 상기 가이드날(2111) 및 가이드프레임(2113)을 매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2112)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날(2111)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113)과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링크(2112)는 상부 컨베이어에 장착된 가이드 프레임(2113)과, 하부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로딩되는 의류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날(2111)을 매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안정적인 가이드를 위해 상기 링크(2112)는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2112)의 경사는 상기 가이드날(2111)의 경사보다 큰 값을 가짐으로써 낙하하여 로딩된 의류가 전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전개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링크(2112)에 의해 가이드날(2111)의 힌지식 구동이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의류에 대응하여 세로접기 가이드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두꺼운 의류가 가이드날(2111)의 하방을 통과하려는 경우 링크(2112)가 이송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함으로써(도 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회전을 의미함) 가이드날(2111)과 컨베이어(22) 사이의 간격이 확보되어 특별한 방해요소 없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된다.
한편,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이송 가이드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이송 가이드부(221)는 제2 폴딩 레이어(220)의 컨베이어(22)에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 폴딩 레이어(210)의 컨베이어(21)에서 낙하하는 의류(C)가 직접 제2 폴딩 레이어(220)의 컨베이어(22)에 놓여지도록 양 컨베이어가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동시에 하부 컨베이어(22)에 이송 가이드부(221)를 구비함으로써 낙하하는 의류(C)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하부 컨베이어(22)로 이송 변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송 가이드부(221)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작업 공간의 불필요한 확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 가이드부(221)는, 이처럼 상하부 컨베이어 사이의 안정적인 이송 변환에 기여하기 위하여, 가로접기 레이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폴딩 레이어(230) 및 제4 폴딩 레이어(240)의 컨베이어에도 낙하하는 의류가 안정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이송 가이드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세로접기 어셈블리(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222)은 컨베이어에 전개된 의류가 세로접기 되도록 구동 모터에 의해 가변되는 능동형 세로접기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도 10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222)은 보조 컨베이어(22a)에 놓여진 의류(C)의 양 외측 부분이 가이드날(2111)을 기준으로 접히도록 플레이트(2221)를 구동 모터 등에 의해 구동시킨다. 이 때, 플레이트(2221)는 세로접기 지지편(2223)(도 11 참조)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플레이트(2221)는 의류가 접히도록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경우에 따라 세로접기를 생략하고 하부의 폴딩 레이어로 바로 이송 변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폴딩 레이어(220)에 로딩된 의류는 세로접기 어셈블리(222)에 의한 세로접기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컨베이어(2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어 하부의 제3 폴딩 레이어(230)로 로딩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크기와 모양에 부합한 세로접기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폴딩 레이어(220)에 구비되는 컨베이어(22)의 상부 전방 및 후방에는 의류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 감지 센서의 전체적인 배치 및 기능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9는 가로접기 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폴딩 레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제3 폴딩 레이어의 측면 상세도이며, 도 15는 제4 폴딩 레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4 폴딩 레이어의 측면 상세도이며, 도 17은 제4 폴딩 레이어에서 수행되는 가로접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8은 제4 폴딩 레이어에서 수행되는 다른 가로접기를 나타낸 것이며, 도 19는 제4 폴딩 레이어를 통과한 의류의 이송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가로접기되도록 기능하는 가로접기 레이어를 포함한다. 폴딩 어셈블리(200)에 있어 상기 가로접기 레이어는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제3 폴딩 레이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는, 로딩된 의류를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가로접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폴딩 레이어(230)는 세로접기를 수행하는 상기 제2 폴딩 레이어(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폴딩 레이어(230)는, 상기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직접 로딩되도록 상기 제2 폴딩 레이어(220)의 직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레이어 간의 상하 작동 공간이 감소하여 폴딩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폴딩 레이어(230)는, 로딩된 의류를 후방으로 이송하거나, 중간 위치에 놓인 의류가 폴딩갭(233)(도 14 참조)으로 인출되도록 이송하는 컨베이어(23)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23)는 전방 컨베이어(23-1) 및 후방 컨베이어(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컨베이어(23-1)는 낙하하는 또는 인입되는 의류를 로딩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후방 컨베이어(23-2)는 상기 전방 컨베이어(23-1)와 동일한 수평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전방 컨베이어(23-1)로부터 이송받은 의류를 연속하여 후방으로 이송하거나, 폴딩갭(233)으로 의류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방 컨베이어(23-1)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구동하도록 구비된다(도 14의 후방 컨베이어 회전 화살표 참조).
이처럼, 전방 컨베이어(23-1) 및 후방 컨베이어(23-2)가 구비됨으로써, 로딩된 의류를 전개하면서 신속하게 가로접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 가로접기를 생략하고 하부의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이송 변환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와 모양에 부합한 가로접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의류의 로딩과 함께, 가로접기 어셈블리(231)에 의한 가로접기 수행 또는 하부 폴딩 레이어로의 이송 변환이 동일한 수평 공간에서 이루어지므로, 폴딩 공정의 단순화와 함께 장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로접기 레이어는, 도 13의 실시예와 같이, 가로접기 어셈블리(231)을 포함한다.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231)은, 폴딩갭(233)을 통한 의류(C)의 인출과 동시에 가로접힘이 이루어지도록 싱크바(2311), 폴딩바(2313), 지지편(2315) 및 구동모터(2317)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타이밍벨트(2316)에 의해 매개되는 구동모터(2317)의 회전력은 상기 지지편(2315)에 지지되는 커넥팅로드(2314)에 전달된다. 상기 지지편(2315)는 컨베이어(23)의 좌우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좌우 커넥팅로드(2314)의 구동이 동기화되도록 양 단을 좌우 커넥팅로드(2314)와 결합한 싱크바(2311)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팅로드(2314)가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로드(2314)와 연결된 링크바(2312)의 일단이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링크바(2312)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폴딩바(2313)의 상하 이동이 구현된다(도 14의 상하방향 화살표 참조).
상기 커넥팅로드(2314) 인근에는 마이크로스위치(2318)가 구비되어 상기 폴딩바(2313)의 상단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317)의 온오프 제어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2318)의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지지편(2315)에는 레버(23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231)과 양 컨베이어(23-1, 23-2)를 통해 의류(C)의 가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231)의 폴딩바(2313)에 의해 의류(C)는 폴딩갭(233)을 통해 하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양 컨베이어(23-1, 23-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폴딩갭(233)에서는 의류(C)의 접힘이 발생하고 동시에 아래로 끌려 낙하하게 된다. 상기 양 컨베이어(23-1, 23-2) 는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23)에는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의류(C)의 가로접힘 부분을 정확히 인지하여 양 컨베이어(23-1, 23-2) 사이의 폴딩갭(233)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3)의 하단에 구비되는 의류 감지 센서는 폴딩갭(233)을 통과하는 의류(C)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가로접힘이 수행되었는지, 의류의 잼(jam) 현상 등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의류 감지 센서의 전체적인 배치 및 기능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제4 폴딩 레이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접기 레이어는 제3 폴딩 레이어(230) 및 제4 폴딩 레이어(2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폴딩 레이어(230)의 하부에는 제4 폴딩 레이어(2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4 폴딩 레이어(240)는 제3 폴딩 레이어(230)로부터 로딩된 의류를 이송하면서 가로접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폴딩 레이어(240)는, 상기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직접 로딩되도록 상기 제3 폴딩 레이어(230)의 직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레이어 간의 상하 작동 공간이 감소하여 폴딩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세로접기 레이어로부터 인입된 의류는 상기 제3 폴딩 레이어(230) 및 제4 폴딩 레이어(240)로 구성된 가로접기 레이어를 통과하면서 의도한 가로접기가 구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의도된 크기와 모양으로 가로접기되도록 기능하는 가로접기 레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폴딩 레이어(240)는, 로딩된 의류를 전방으로 이송하거나, 중간 위치에 놓인 의류가 폴딩갭(243, 244)(도 17 참조)으로 인출되도록 이송하는 컨베이어(24)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24)는 전방 컨베이어(24-1), 중간 컨베이어(24-2) 및 후방 컨베이어(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컨베이어(24-1) 또는 후방 컨베이어(24-3)는 낙하하는 또는 인입되는 의류를 로딩하여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폴딩갭(233)을 통해 낙하하는 의류는 전방 컨베이어(24-1)에 로딩되고, 제3 폴딩 레이어(230)의 후방 컨베이어(23-2)의 이송에 의해 낙하하는 의류는 후방 컨베이어(24-3)에 로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 컨베이어(24-2)는 상기 후방 컨베이어(24-3)와 동일한 수평 공간에 배치되되, 후방 컨베이어(24-3)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여 폴딩갭(244)을 형성하고, 후방 컨베이어(24-3)에 전개된 의류 또는 전방 컨베이어(24-1)로부터 이송받은 의류를 상기 폴딩갭(244)을 통해 접히도록 상기 후방 컨베이어(24-3)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구동하도록 구비된다(도 17의 중간 컨베이어 회전 화살표 참조).
상기 중간 컨베이어(24-2) 및 후방 컨베이어(24-3) 사이의 폴딩갭(244)을 통해 의류(C)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1/3 지점에 가로접기가 수행되고 다시 위로 끌어올려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간 컨베이어(24-2) 및 후방 컨베이어(24-3)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C)를 컨베이어(24)의 상면에 재배치시킬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 컨베이어(24-2)는 상기 전방 컨베이어(24-1)와 동일한 수평 공간에 배치되되, 전방 컨베이어(24-1)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여 폴딩갭(243)을 형성하고, 전방 컨베이어(24-1)에 전개된 의류 또는 후방 컨베이어(24-3)로부터 이송받은 의류를 상기 폴딩갭(243)을 통해 접히도록 상기 전방 컨베이어(24-1)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구동하도록 구비된다(도 18의 중간 컨베이어 회전 화살표 참조).
상기 중간 컨베이어(24-2) 및 전방 컨베이어(24-1) 사이의 폴딩갭(243)을 통해 의류(C)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1/2 지점에 가로접기가 수행되고 하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하방으로 인출된 의류는 상술한 언로딩 레이어(310)(도 3 참조)로 이송 변환된다. 구체적으로 가로접힘이 완료된 의류는 상기 폴딩갭(243)을 통해 끌어내려져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 컨베이어(25)에 의해 로딩될 수 있다(도 19 참조). 상기 받침 컨베이어(25)는 언로딩판(미도시)와 함께 접힘이 완료된 의류를 적층하여 배출부(301)를 통해 배출한다.
이처럼, 전방 컨베이어(24-1), 중간 컨베이어(24-2) 및 후방 컨베이어(24-2)가 구비됨으로써, 로딩된 의류를 전개하면서 신속하고 다양한 가로접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2개의 가로접기를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하부의 언로딩 레이어(310)로 이송 변환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와 모양에 부합한 가로접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의류의 로딩과 함께, 2개의 가로접기 어셈블리(241, 242)에 의한 다양한 가로접기 수행이 동일한 수평 공간에서 이루어지므로, 폴딩 공정의 단순화와 함께 장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로접기 레이어는, 도 15의 실시예와 같이, 가로접기 어셈블리(241, 242)을 포함한다.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241, 242)은, 폴딩갭(243, 244)을 통한 의류(C)의 가로접힘 또는 가로접힘과 동시에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싱크바(2411, 2421), 폴딩바(2413, 2423), 지지편(2415) 및 구동모터(2417, 2427)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폴딩 레이어(240)는 2개의 폴딩갭(243, 2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각 폴딩갭에 대응되는 가로접기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폴딩바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폴딩바 및 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어셈블리는 컨베이어(24)에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조의 단순화를 위해 지지편(2415)은 일체로 형성되어 인접한 가로접기 어셈블리(241, 242)이 공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방 컨베이어(24-1) 및 중간 컨베이어(24-2) 사이의 폴딩갭(243)에 대응하는 가로접기 어셈블리(241)을 기준으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타이밍벨트(2416)에 의해 매개되는 구동모터(2417)의 회전력은 상기 지지편(2415)에 지지되는 커넥팅로드(2414)에 전달된다. 상기 지지편(2415)는 컨베이어(24)의 좌우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좌우 커넥팅로드(2414)의 구동이 동기화되도록 양 단을 좌우 커넥팅로드(2414)와 결합한 싱크바(2411)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팅로드(2414)가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로드(2414)와 연결된 링크바(2412)의 일단이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링크바(2412)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폴딩바(2413)의 상하 이동이 구현된다.
상기 커넥팅로드(2414) 인근에는 마이크로스위치(2418)가 구비되어 상기 폴딩바(2413)의 상단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417)의 온오프 제어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2418)의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지지편(2315)에는 레버(24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241, 242)과 컨베이어들(24-1, 24-2, 24-3)을 통해 의류(C)의 가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241, 242)의 폴딩바(2413, 2423)에 의해 의류(C)는 폴딩갭(243, 244)을 통해 하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전방 컨베이어(24-1) 및 중간 컨베이어(24-2) 또는 중간 컨베이어(24-2) 및 후방 컨베이어(24-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폴딩갭(243, 244)에서는 의류(C)의 접힘이 발생하거나, 접힘과 동시에 아래로 끌려 낙하하게 된다. 상기 전방 컨베이어(24-1) 및 중간 컨베이어(24-2) 또는 중간 컨베이어(24-2) 및 후방 컨베이어(24-3)는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으며, 중간 컨베이어(24-2) 및 후방 컨베이어(24-3)는 의류를 상부로 끌어올리기 위해 역방향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24)에는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의류(C)의 가로접힘 부분을 정확히 인지하여 폴딩갭(243, 244)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4)의 하단에 구비되는 의류 감지 센서는 폴딩갭(243, 244)을 통과하는 의류(C)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가로접힘이 수행되었는지, 의류의 잼(jam) 현상 등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의류 감지 센서의 전체적인 배치 및 기능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나타낸 것으로, 도 20은 본 발명의 구동 모터의 배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구동 모터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구동 모터부(30)는 로딩 어셈블리(100), 폴딩 어셈블리(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300)을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구동 모터로 구성된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을 구성하는 컨베이어(20), 세로접기 어셈블리 및 가로접기 어셈블리의 구동을 위해 다수의 구동 모터(31, 32, 33, 34)가 구비된다.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터부(30)는 의류 폴딩 장치(10)의 일 측면(P1)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 모터부(30)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동 모터는 의류 폴딩 장치(10)의 일 측면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전방 프레임(121) 및 후방 프레임(122)의 범위 안에 구비될 수 있다. 자세히는,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동 모터(31, 32, 33, 34)는, 양 수평 프레임(113, 117)의 상하 범위 안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구동 모터부(30)가 의류 폴딩 장치(10) 또는 폴딩 어셈블리(200)의 일 측면에 집중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유지관리 및 방열 처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모터부(30)가 일 측면에 집적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마감 커버(미도시)에 분리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여 관리자가 용이하게 그 내부를 살펴보고 필요시 구동 모터 등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 모터부(30)가 일 측면에 집적됨으로써, 다수의 구동 모터에 의한 방열 요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22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22는 본 발명의 센서부 배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감지 센서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감지 센서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5는 제1 폴딩 레이어의 의류 감지 센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6 내지 도 28은 제2 폴딩 레이어의 의류 감지 센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9는 제3 폴딩 레이어의 의류 감지 센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0은 제4 폴딩 레이어의 의류 감지 센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센서부(40)는 로딩 어셈블리(100), 폴딩 어셈블리(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300)에서 의류 위치, 어셈블리 위치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다수의 감지 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을 통해 이송되는 의류의 위치 또는 길이, 세로접기 어셈블리 또는 가로접기 어셈블리의 정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다수의 감지 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의류의 위치를 인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의류 감지 센서(41, 42, 43, 44)를 구비한다. 이러한 의류 감지 센서(41, 42, 43, 44)는 IR센서(infrared ray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3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의류 감지 센서는 컨베이어(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감지 센서는 적외선이 상방으로 투과되도록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감지 센서를 통해 컨베이어의 상부를 통과하는 의류를 인지함으로써 의류가 정상적으로 로딩되었는지 또는 의류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24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의류 감지 센서는 컨베이어(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감지 센서는 적외선이 수평 방향으로 투과되도록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감지 센서를 통해 컨베이어에서 낙하하는 의류를 인지함으로써 정상적인 접힘이 수행되었는지 또는 잼(jam) 현상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25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이러한 의류 감지 센서가 폴딩 어셈블리(200)을 구성하는 각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에서 작용하는 모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5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폴딩 레이어(210)에 구비되는 컨베이어(21)의 후방 상부에는 의류 감지 센서(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상방 투과형 의류 감지 센서(도 23 참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C)가 정상적으로 컨베이어(21)에 로딩되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의류(C)의 처음 부분과 끝 부분을 인지하여 그 감지 시간과 컨베이어 이동 속도를 이용하면 의류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의류 감지 센서(41)에서 인지된 의류의 길이값은 총 몇 번의 접힘을 수행할지 또는 어느 폴딩 레이어에서 접힘을 수행할지 판단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로서 제공된다.
도 26 내지 도 28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폴딩 레이어(220)에 구비되는 컨베이어(22)의 후방 및 전방 상부에는 의류 감지 센서(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상방 투과형 의류 감지 센서(도 23 참조)가 적용될 수 있다. 후방의 의류 감지 센서(42-2)를 통해 컨베이어(22)로 진입하는 의류를 인지한다(도 26 참조). 전방의 의류 감지 센서부(42-1)를 통해 컨베이어(22)로 의류가 완전히 전개되었음을 확인함으로써 세로접기 어셈블리(222)이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도 27 참조). 파악된 의류의 길이가 플레이트(2221)의 길이보다 긴 경우, 후속하여 플레이트(2221)의 길이에 해당하는 의류의 일부분을 컨베이어(22)를 통해 이송시킨 다음, 세로접기 어셈블리(222)에 의해 두 번째 세로접기를 수행할 수 있다(도 28 참조). 같은 방법으로 세로접기를 여러 번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의 의류 감지 센서(42-2)를 통해 의류의 끝 부분을 감지하여 마지막 세로접기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로접기 어셈블리(222)의 플레이트(2221)의 길이가 의류의 길이보다 짧더라도 상기 의류 감지 센서(42)를 통해 세로접기를 완전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29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폴딩 레이어(230)에 구비되는 컨베이어(23)의 하부에는 의류 감지 센서(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수평 투과형 의류 감지 센서(도 24 참조)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류 감지 센서(43)는 전방 컨베이어(23-1)의 하방에 돌출된 지지부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적외선이 투과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3)의 하부에 구비되는 의류 감지 센서(43)는 폴딩갭(233)을 통과하는 의류(C)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가로접힘이 수행되었는지, 의류의 잼(jam) 현상 등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0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4 폴딩 레이어(240)에 구비되는 컨베이어(24)의 하부에는 의류 감지 센서(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수평 투과형 의류 감지 센서(도 24 참조)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류 감지 센서(44)는 중간 컨베이어(24-2)의 하방에 돌출된 지지부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적외선이 투과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컨베이어(24)의 하방에 구비되는 의류 감지 센서는 폴딩갭(243, 244)을 통과하는 의류(C)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가로접힘이 수행되었는지, 의류의 잼(jam) 현상 등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1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한 다양한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 31은 폴딩 어셈블리에 있어 접기가 수행되는 위치를 표시한 개념도이고, 도 32는 실시예로서 상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3은 실시예로서 하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4는 실시예로서 타월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폴딩 어셈블리(200)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인입되는 의류는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 세로접기 단계(S2),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 가로접기 단계(S3, S4) 및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 가로접기 단계(S5, S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로접기 단계(S3, S4)는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하부의 폴딩 레이어로 이송되는 이송 단계(S3)와, 접힘 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로접기 단계(S5, S6)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1/3 지점에서 접힘이 수행되는1/3 접힘 단계(S5)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1/2 지점에서 접힘이 수행되는 1/2 접힘 단계(S6)를 포함한다.
도 32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해 인입된 상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에서 각각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의는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3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상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32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2 접힘 단계(S6)만 수행함으로서, 4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상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32의 우측 순서도).
도 33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해 인입된 하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후 하의는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2 접힘 단계(S6)의 가로접힘이 후속함으로써, 4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하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33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3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하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33의 우측 순서도).
도 34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해 인입된 타월류는 세로접기 및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세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어서,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욕실장 보관용 핸드타월 크기와 모양으로 배출될 수 있다(도 34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어서,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바로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2 접힘 단계(S6)를 수행함으로서, 제1 실시예의 핸드타월과 비교하여 크기와 모양이 상이한 핸드타월로 배출될 수 있다(도 34의 중간 순서도).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세로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후,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바로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2 접힘 단계(S6)를 수행함으로서, 제1, 2 실시예의 핸드타월과 비교하여 크기와 모양이 상이한 타월로 배출될 수 있다(도 34의 우측 순서도). 다른 실시예로서, 가로접기가 완료된 후 세로접기가 추가로 수행되도록 제4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는 세로접기 레이어가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월보다 세로폭이 감소한 핸드타월로 배출되어 의도한 욕실장에 적절히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의류 폴딩 장치
20 : 컨베이어
30 : 구동 모터부
40 : 센서부
100 : 로딩 어셈블리
101 : 인입부
200 : 폴딩 어셈블리
210 : 제1 폴딩 레이어
211 : 세로접기 가이드부
220 : 제2 폴딩 레이어
221 : 이송 가이드부
222 : 세로접기 어셈블리
230 : 제3 폴딩 레이어
231, 241, 242 : 가로접기 어셈블리
233, 243, 244 : 폴딩갭
240 : 제4 폴딩 레이어
300 : 언로딩 어셈블리
310 : 언로딩 레이어
301 : 배출부

Claims (15)

  1.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폴딩 장치에 있어서,
    의류가 인입되도록 구비되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접힘이 수행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접힘이 완료된 의류를 배출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구동 모터에 의해, 인입된 의류의 세로접기가 수행되는 세로접기 레이어;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컨베이어를 구비하며, 구동 모터에 의해, 로딩된 의류의 가로접기가 수행되는 가로접기 레이어; 및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 및 가로접기 레이어에 구비되고, 의류의 로딩 여부, 의류의 길이 및 의류의 접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 및 가로접기 레이어의 컨베이어는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의류 폴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컨베이어에서 낙하하는 의류가 인접한 하부 컨베이어에 직접 로딩되도록, 상부 컨베이어는 하부 컨베이어와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엇갈리게 배치되는 의류 폴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세로접기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는,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날과, 상기 가이드날을 컨베이어에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날은, 구동 모터에 의해, 폭방향으로 가변하도록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IR센서로 구성되는 의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감지 센서는,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에서,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어 적외선을 상방으로 투과하는 의류 폴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의 의류 감지 센서는,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감지 센서는,
    상기 가로접기 레이어에서, 컨베이어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적외선을 수평으로 투과하는 의류 폴딩 장치.
  10.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폴딩 장치에 있어서,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접힘이 수행되는 폴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인입된 의류의 세로접기가 수행되는 제1 폴딩 레이어;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구동 모터에 의해, 로딩된 의류의 세로접기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제2 폴딩 레이어;
    상기 제2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구동 모터에 의해, 로딩된 의류의 가로접기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제3 폴딩 레이어; 및
    상기 제3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구동 모터에 의해, 로딩된 의류의 가로접기가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는 제4 폴딩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 및 가로접기 레이어에 구비되고, 의류의 로딩 여부, 의류의 길이 및 의류의 접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폴딩 레이어 내지 제4 폴딩 레이어의 컨베이어는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의류 폴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상기 제4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언로딩 레이어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딩 레이어는, 세로접기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는,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날과, 상기 가이드날을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의 컨베이어에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날은, 구동 모터에 의해, 폭방향으로 가변하도록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부 컨베이어에서 낙하하는 의류가 인접한 하부 컨베이어에 직접 로딩되도록, 상부 컨베이어는 하부 컨베이어와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엇갈리게 배치되는 의류 폴딩 장치.
KR1020190149387A 2019-11-20 2019-11-20 의류 폴딩 장치 KR20210061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87A KR20210061617A (ko) 2019-11-20 2019-11-20 의류 폴딩 장치
US17/778,646 US20220396913A1 (en) 2019-11-20 2020-11-10 Clothes folding apparatus
EP20889234.9A EP4063557A4 (en) 2019-11-20 2020-11-10 DEVICE FOR FOLDING CLOTHES
PCT/KR2020/015680 WO2021101150A1 (ko) 2019-11-20 2020-11-10 의류 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87A KR20210061617A (ko) 2019-11-20 2019-11-20 의류 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617A true KR20210061617A (ko) 2021-05-28

Family

ID=7598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387A KR20210061617A (ko) 2019-11-20 2019-11-20 의류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96913A1 (ko)
EP (1) EP4063557A4 (ko)
KR (1) KR20210061617A (ko)
WO (1) WO20211011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02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머신 및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855A (ko) * 2019-12-11 2021-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장치
CN113914085B (zh) * 2021-11-04 2024-01-30 浙江瑞峰智能物联技术有限公司 一种折衣机
CN114000331B (zh) * 2021-11-04 2024-01-05 浙江瑞峰智能物联技术有限公司 一种折衣机折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9261A (en) * 1963-05-24 1968-12-31 Sjostrom Automations Inc Folder for optional quarter fold or french fold
EP0612879B1 (de) * 1993-02-18 1995-02-08 Jensen Ag Burgdorf Falteinrichtung zum automatischen Falten von Wäschestücken
DE29905112U1 (de) * 1999-03-22 1999-08-05 Texpa Maschinenbau Gmbh & Co K Vorrichtung zum Falten eines textilen Stoffabschnitts
JP3600148B2 (ja) * 2000-10-13 2004-12-08 洋左右 前嶋 布類の折り畳み装置
EP1295982A1 (de) * 2001-09-20 2003-03-26 Jensen AG Burgdorf Falteinrichtung zum Falten von Wäschestücken
JP2006160427A (ja) * 2004-12-06 2006-06-22 Purex:Kk 折畳みタオル積層体の転倒防止装置
US20120196734A1 (en) * 2009-10-19 2012-08-02 Seven Dreamers Laboratories, Inc. Folding device and folding method
KR101784936B1 (ko) * 2016-02-15 2017-10-12 권오기 의류 자동 접이장치
DK3533922T3 (da) * 2016-10-27 2023-03-06 Totofolder Mfg Co Ltd Stoffoldningsanordning i stand til flere typer af foldninger
EP3526390A1 (en) 2016-12-30 2019-08-21 Foldimate Inc.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stacked conveyor layers and folding method therefor
EP3673109B1 (en) * 2017-08-25 2022-12-28 Miele & Cie. KG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holding conveyors
JP6974596B2 (ja) * 2017-08-30 2021-12-01 フォールディメイ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移動する衣類物品を折り畳む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DE102017216233A1 (de) * 2017-09-14 2019-03-14 BSH Hausgeräte GmbH Fördereinrichtung für eine Faltvorrichtung zum Falten von Textilien
DE102018205731A1 (de) * 2018-04-16 2019-10-17 BSH Hausgeräte GmbH Fördereinrichtung für eine Faltvorrichtung zum Falten von Textilien mit zumindest einem Trommelmotor, sowie Faltvorrichtung
CN108532261B (zh) * 2018-05-10 2021-05-07 梁盛权 一种自动叠衣机
EP3805447B1 (en) * 2018-05-28 2023-09-13 Totofolder Manufacturing Co., Ltd. Sleeve-folding assistance device for assisting back-revealing, sleeve-folding device and fold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02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머신 및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3557A1 (en) 2022-09-28
WO2021101150A1 (ko) 2021-05-27
EP4063557A4 (en) 2023-11-29
US20220396913A1 (en)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1617A (ko) 의류 폴딩 장치
CN107429473B (zh) 用于接收并拉直四边缘布块的设备和相关方法
EP2778106B1 (en) Paper-sheet processing apparatus
KR101746071B1 (ko) 시험관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 부착 시스템
KR102659874B1 (ko) 의류 폴딩 로봇
JP5258624B2 (ja) 両面畳み対応の折畳み装置
KR20200028826A (ko) 의류처리장치
CN106458446A (zh) 搁架操作装置
KR20210114200A (ko) 의류 폴딩 장치
US7703756B2 (en) Machine for converting a fabric from a rolled fabric into a superimposingly folded fabric for delivery to a dyeing machine
KR20210073855A (ko) 의류 폴딩 장치
JP6108815B2 (ja) 布片折畳み装置
JP5831748B2 (ja) 用紙束積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用紙後処理装置
US11970814B2 (en) Garment fold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3136400U (ja) 布類の折り畳み装置
US2780970A (en) Machine for setting up bottle cartons
KR20210073858A (ko) 의류 폴딩 장치
US20210363685A1 (en) Garment fold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185884B2 (en) Standby tray with feed roller tilt
JP2008535748A (ja) 種分け装置
US10297098B2 (en) Paper sheet storage apparatus and storing method of paper sheet storage apparatus
KR20220109209A (ko) 의류 폴딩 장치
CN210366288U (zh) 一种双通道双向出料的布草折叠机
JP5329117B2 (ja) 布類展張搬送方法及び布類展張搬送機
JP6591863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