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209A - 의류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209A
KR20220109209A KR1020210012586A KR20210012586A KR20220109209A KR 20220109209 A KR20220109209 A KR 20220109209A KR 1020210012586 A KR1020210012586 A KR 1020210012586A KR 20210012586 A KR20210012586 A KR 20210012586A KR 20220109209 A KR20220109209 A KR 20220109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olding bar
bar
horizontal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2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209A/ko
Publication of KR2022010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06F89/02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의류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의류 폴딩 장치에 포함된 가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는, 폴딩바와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회전 캠; 상기 회전 캠 및 상기 폴딩바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폴딩바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링크; 및 상기 폴딩바 및 상기 이송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폴딩바와 상기 이송 링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폴딩바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폴딩바 가이드홈이 마련된 폴딩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바 가이드홈은, 상기 폴딩바 프레임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수평부; 상기 폴딩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폴딩 장치{APPARATUS FOR FOLDING CLOTHES}
본 발명은 의류의 접힘을 수행하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는 천연 또는 합성섬유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제조되며, 보관 및 이동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folding)이 수행되어야 한다.
일상적으로, 의류는 세탁 후 수납하기 위하여 또는 계절 변화에 따른 장기 보관을 위하여 의류 접기 행위가 상당히 자주 또는 다량으로 요구되었다. 그런데 인력에 의한 직접적인 의류 접기 행위는 시간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숙달되지 않은 인력으로 인해 접혀진 의류의 모양과 크기가 일치되지 않게 되면 전시 또는 보관을 위해 추가적인 노동이 투입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의류 접기 행위를 신속하고 일률적으로 수행할 자동화 장치(이하 '의류 폴딩 장치'라 한다)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종래의 의류 폴딩 장치와 관련하여 2018. 7. 5. 발행된 PCT공개특허 제2018-122841호(발명의 명칭 :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STACKED CONVEYOR LAYERS AND FOLDING METHOD THEREFOR)가 개시되었다(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 상기 선행문헌은 의류가 상부에 인입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된 후, 하부에서 배출되는 자동화 장치에 대한 기술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장치는, 의류의 두께나 소재의 마찰력 등에 따라 접힘이 실패하거나 불완전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상기 선행문헌의 가로접기 레이어는 접힘을 의도한 지점에 일정한 간격의 폴딩갭을 두고 2개의 고정된 컨베이어가 배치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데, 두꺼운 의류가 인입되는 경우 폴딩갭이 이를 수용하지 못하여 접힘이 이루어질 수 없고, 나아가 최악의 경우 끼임이 발생하여 장치가 오작동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마찰력이 적은 소재의 의류가 인입되는 경우, 양 컨베이어의 회전만으로는 대상 의류를 폴딩갭에 수용되지 못하여 접힘에 실패하거나 불완전한 접힘이 이루어지는 기술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접힘의 실패, 장치의 오작동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폴딩갭에 의류를 강제적으로 밀어넣기 위한 구조를 갖는 의류 폴딩 머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PCT 공개특허 제2018-122841호
본 발명은 전술한 의류 폴딩 장치에 따른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다양한 두께와 소재를 가진 의류에 대해 오작동 없이 정확한 접힘이 수행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장치는,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폴딩 장치에 있어서, 의류가 인입되도록 구비되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접힘이 수행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접힘이 완료된 의류를 배출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수평방향으로 의류를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제2 컨베이어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폴딩바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가로접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폴딩바와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회전 캠; 상기 회전 캠 및 상기 폴딩바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폴딩바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링크; 및 상기 폴딩바 및 상기 이송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폴딩바와 상기 이송 링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폴딩바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폴딩바 가이드홈이 마련된 폴딩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바 가이드홈은, 상기 폴딩바 프레임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수평부; 상기 폴딩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 링크는, 이송 링크 바디; 상기 이송 링크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폴딩바와 연결되어 상기 폴딩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폴딩바 연결홈; 및 상기 이송 링크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 캠에서 돌출된 연결핀과 연결되는 캠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딩바 연결홈은 사선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장홀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캠 연결홈은 상기 회전 캠의 회전 반경과 동일한 크기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연결홈 곡선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딩바는, 폴딩바 바디; 상기 폴딩바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폴딩바 연결홈에 연결되는 이송 링크 연결부; 및 상기 폴딩바 바디의 단부와 상기 이송 링크 연결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폴딩바 가이드홈에 연결되는 폴딩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바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폴딩바 바디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프레임 연결부와 제2 프레임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 캠을 회전 구동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 캠으로 전달하는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컨베이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된 상기 회전 캠의 회전을 동기화하는 싱크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싱크바는 상기 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 제어하도록 상기 폴딩바의 위치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 캠에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위치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구동 모터가 정지해야 할 시점보다 앞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두께와 소재로 구성된 의류가 인입되더라도 의류를 강제적으로 폴딩갭에 밀어넣어 가로접기를 수행할 수 있는 폴딩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접힘의 실패 없이 의도한 지점에서 정확하고 완전한 접힘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컨베이어의 하측으로 이동할수록 약해지는 폴딩바의 누름력 및 상승력을 보완하여 다양한 두께와 소재로 구성된 의류가 인입되더라도 폴딩바의 누름력 약화에 의한 접힘 실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폴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류 폴딩 장치의 폴딩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폴딩 어셈블리에 있어 접기가 수행되는 위치를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로서 상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로서 하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로서 타월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폴딩 레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3 폴딩 레이어에 포함된 가로접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로접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폴딩바 프레임을 제외한, 회전 캠과 이송 링크와 폴딩바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로접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폴딩바 프레임과 폴딩바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회전 캠의 회전에 따라 폴딩바 및 이송 링크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회전 캠의 위치 감지부 및 이와 접촉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이송 링크 및 폴딩바 프레임과 연결되는 폴딩바의 단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폴딩바의 누름력 및 상승력을 보완하는 이송 링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에 관한 설명을 토대로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 폴딩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의류 폴딩 장치의 폴딩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의류 폴딩 장치(10)는 프레임(110)에 지지 및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의류 폴딩 장치(10)의 외부 골격과 같이 기능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의류 폴딩 장치(10)의 외부 모서리에 배치되어 의류 폴딩 장치(10)의 최소 작동 공간을 정의하고, 의류 폴딩 장치(10)를 이루는 여러 부재들을 안정적으로 부착 및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및 수평 프레임(113, 114, 115, 116, 11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상하로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및 수평 프레임(113, 114, 115, 116, 117)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121, 122, 123, 124)(도 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외곽면에는 마감 커버(미도시)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마감 커버는 의류 폴딩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프레임(110)이 구비됨으로써, 의류 접기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후술할 세로접기 어셈블리(400)가 안정적으로 지지 및 장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의류 폴딩 장치(10)는 로딩 어셈블리(loading assembly)(100), 폴딩 어셈블리(folding assembly)(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unloading assembly)(30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딩 어셈블리(100), 폴딩 어셈블리(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300)는 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로딩 어셈블리(100), 폴딩 어셈블리(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프레임(110)에 의해 작동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딩 어셈블리(100)는, 그 작동 공간이 상부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에 의해 정의되고, 언로딩 어셈블리(300)는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로딩 어셈블리(100)는 의류(1)가 인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로딩 어셈블리(100)는 인입부(101)에 투입된 의류(1)가 컨베이어(2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 어셈블리(100)는 상부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 사이에서 인입부(101)에 투입된 의류(1)가 컨베이어(2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의류(1)라 함은,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 재직되어 인간이 착용 가능한 상의 또는 하의를 의미함은 물론, 수건이나 이불과 같이 의류 폴딩 장치(10)를 통해 원하는 크기와 두께로 접혀져 제공될 수 있는 물품이면 전부 포함된다.
일 실시예로서, 로딩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인입부(101)에 의해 투입된 의류(1)가 클립부(103)(도 1, 도 2 참조)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이후 클립부(103)는 의류를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끌어 컨베이어(20)의 상면에 놓여지도록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컨베이어(20)는 수평 프레임(1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클립부(103)는 상부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113)에 지지될 수 있다.
언로딩 어셈블리(300)는, 접힌 의류가 모여서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언로딩 어셈블리(300)는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언로딩 레이어(310)(도 3 참조)에서 받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부(301)에 모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 언로딩 어셈블리(300)는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 사이에서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받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부(301)에 모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폴딩 어셈블리(200)에 의해 낙하되는 의류가 받침 컨베이어에 놓여진다. 이후 상기 받침 컨베이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언로딩판(미도시)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배출부(301)의 내부 공간에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가지런히 모아질 수 있다. 상기 받침 컨베이어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은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1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언로딩판 상하 이동 세로접기 어셈블리는 하부 프레임(112)에 지지될 수 있다.
폴딩 어셈블리(200)는,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접힐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폴딩 어셈블리(200)는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폴딩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폴딩 레이어는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인입된 의류는 상부의 폴딩 레이어로부터 하부의 폴딩 레이어로 이송되면서 각 폴딩 레이어에서 적어도 1회 이상의 접힘이 발생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배출부(301)에서는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모아질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폴딩 어셈블리(200)는,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상하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인입된 의류가 상부의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하부의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이송되면서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혀지도록 기능할 수 있다. 각 폴딩 레이어에서는 적어도 1회 이상의 접힘이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는 2회의 접힘이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최하부의 폴딩 레이어에는 언로딩 레이어(310)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제4 폴딩 레이어(240)의 하부에는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낙하하게 되는 언로딩 레이어(3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언로딩 레이어(310)에는 배출부(301)가 구비되어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가지런히 모아질 수 있다.
폴딩 레이어는 컨베이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20)는 인입되거나 낙하한 의류가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각 폴딩 레이어는 컨베이어(20)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폴딩 레이어에 2개 이상의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경우 양 컨베이어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거나 또는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폴딩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컨베이어(20)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는 2개의 컨베이어(20)를 구비할 수 있고, 제4 폴딩 레이어(240)는 3개의 컨베이어(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에 구비된 양 컨베이어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폴딩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폴딩 레이어(240)에 구비된 3개의 컨베이어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거나 또는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2개의 폴딩 갭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언로딩 레이어(310)에는 받침 컨베이어가 수평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 컨베이어는 언로딩판(미도시)과 함께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배출부(301)로 가지런히 모아지도록 기능할 수 있다.
한편, 폴딩 어셈블리(200)는,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세로접기 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인입되거나 낙하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가로접기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폴딩 어셈블리(200)을 구성하는 4개의 폴딩 레이어 중 상부 2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에서는 의류가 세로접기되고(이하 '세로접기 레이어'로 칭하기도 한다), 하부 2개의 폴딩 레이어(230, 240)에서는 의류가 가로접기될 수 있다(이하 '가로접기 레이어'로 칭하기도 한다).
여기서 가로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인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수직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9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여기서 세로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한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평행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한 다양한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 4는 폴딩 어셈블리에 있어 접기가 수행되는 위치를 표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로서 상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로서 하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로서 타월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폴딩 어셈블리(200)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폴딩 장치(10)에 인입되는 의류(1)는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 세로접기 단계(S2),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 가로접기 단계(S3, S4) 및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 가로접기 단계(S5, S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로접기 단계(S3, S4)는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하부의 폴딩 레이어로 이송되는 이송 단계(S3)와, 접힘 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로접기 단계(S5, S6)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1/3 지점에서 접힘이 수행되는1/3 접힘 단계(S5)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1/2 지점에서 접힘이 수행되는 1/2 접힘 단계(S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세로접기 어셈블리(400)는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수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폴딩 장치(10)에 의해 인입된 상의(1)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에서 각각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의(1)는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1)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3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상의(1)가 배출될 수 있다(도 5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1)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2 접힘 단계(S6)만 수행함으로서, 4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상의(1)가 배출될 수 있다(도 5의 우측 순서도).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폴딩 장치(10)에 의해 인입된 하의(1)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후 하의(1)는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1)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2 접힘 단계(S6)의 가로접힘이 후속함으로써, 4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하의(1)가 배출될 수 있다(도 6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1)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3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하의(1)가 배출될 수 있다(도 6의 우측 순서도).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폴딩 장치(10)에 의해 인입된 타월류(1)는 세로접기 및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세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1)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어서,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욕실장 보관용 핸드타월 크기와 모양으로 배출될 수 있다(도 7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1)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어서,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바로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2 접힘 단계(S6)를 수행함으로서, 제1 실시예의 핸드타월과 비교하여 크기와 모양이 상이한 핸드타월로 배출될 수 있다(도 7의 중간 순서도).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1)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세로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후,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바로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2 접힘 단계(S6)를 수행함으로서, 제1, 2 실시예의 핸드타월과 비교하여 크기와 모양이 상이한 타월로 배출될 수 있다(도 7의 우측 순서도). 다른 실시예로서, 가로접기가 완료된 후 세로접기가 추가로 수행되도록 제4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는 세로접기 레이어가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월보다 세로폭이 감소한 핸드타월로 배출되어 의도한 욕실장에 적절히 수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가로접기 레이어 및 이에 포함되는 가로접기 어셈블리(400)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폴딩 어셈블리(200)는 인입된 의류가 가로접기되도록 기능하는 가로접기 레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접기 레이어는 제3 폴딩 레이어(230) 및/또는 제4 폴딩 레이어(2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접기 레이어는 가로접기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접기 어셈블리(400)는 제3 폴딩 레이어(230) 및/또는 제4 폴딩 레이어(24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폴딩 레이어(230)의 하부에는 제4 폴딩 레이어(2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4 폴딩 레이어(240)는 제3 폴딩 레이어(230)로부터 로딩된 의류를 이송하면서 가로접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로딩 어셈블리(100)로부터 인입된 의류는 상기 제3 폴딩 레이어(230) 및 제4 폴딩 레이어(240)로 구성된 가로접기 레이어를 통과하면서 의도한 가로접기가 구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의도된 크기와 모양으로 가로접기되도록 기능하는 가로접기 레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이후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가로접기 레이어는 제3 폴딩 레이어(230) 및 제4 폴딩 레이어(240)로 구성되고, 가로접기 어셈블리(400)는 제3 폴딩 레이어(230)에 구비되는 일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폴딩 레이어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3 폴딩 레이어에 포함된 가로접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로접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폴딩바 프레임을 제외한, 회전 캠과 이송 링크와 폴딩바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로접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폴딩바 프레임과 폴딩바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3 폴딩 레이어(230)에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컨베이어(23-1) 및 제1 컨베이어(23-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23-2)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23-1)는 인접한 상부 폴딩 레이어(220)로부터 이송되어 낙하한 의류가 후방을 향해 전개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의류를 이송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23-2)는 제1 컨베이어(23-1)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소정의 간격인 폴딩갭(233)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23-1)와 제2 컨베이어(23-2)는 의류가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의류는 가로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제1 컨베이어(23-1)와 제2 컨베이어(23-2) 및 폴딩갭(233)을 지나쳐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제1 컨베이어(23-1)와 제2 컨베이어(23-2)는 의류가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접힘이 수행되는 경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의류는 폴딩갭(233)을 통해서 가로접힘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에는 제1 컨베이어(23-1) 및 제2 컨베이어(23-2) 사이의 폴딩갭(233)에 폴딩바(410)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가로접기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가로접기 어셈블리(400)는, 폴딩갭(233)을 통한 의류(1)의 가로접힘 및 인접한 하부 폴딩 레이어(240)로의 낙하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폴딩바(410), 회전 캠(420), 이송 링크(430) 및 폴딩바 프레임(440)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바(410)는 폴딩갭(23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폴딩바(410)의 양 단부에는 회전 캠(420), 이송 링크(430) 및 폴딩바 프레임(440)이 결합된 구조가 각각 구비되어 배치될 수 있다.
폴딩바(410)가 폴딩갭(233)을 향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1 컨베이어(23-1)와 제2 컨베이어(23-2)에 전개된 의류가 폴딩바(410)에 의해 가압되어 가로접힘이 수행될 수 있다. 폴딩바(410)에 의해 가압된 의류는 폴딩바(410)가 가압한 지점이 접힘선이 되는 가로접힘이 수행되어 폴딩갭(233)을 통해 하부에 배치된 폴딩 레이어로 낙하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23-1)와 제2 컨베이어(23-2)의 회전 방향은 반대방향일 수 있다. 즉, 제1 컨베이어(23-1)와 제2 컨베이어(23-2)는 각각 폴딩갭(233)에 의류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가 강제적으로 가압되어 폴딩갭(233)에 밀어넣어지므로 의류가 두꺼운 경우나 의류의 재질이 뻣뻣한 경우에도 접힘의 실패 없이 의도한 지점에서 정확하고 완전한 가로접힘이 수행될 수 있다.
회전 캠(420)은 폴딩바(410)와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구성으로써, 구동 모터(45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하며, 후술할 이송 링크(430)와 연결되어 이송 링크(4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링크(430)는 회전 캠(420) 및 폴딩바(410)의 사이에 연결되어 폴딩바(410)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 링크(430)는 이송 링크 바디(431), 폴딩바 연결홈(432) 및 캠 연결홈(433)을 포함할 수 있다.(도 10 참조)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 링크 바디(431)는 이송 링크(430)의 외형을 구성하며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 링크 바디(431)에는 폴딩바 연결홈(432)과 캠 연결홈(433)이 형성되어, 폴딩바 연결홈(432)에는 폴딩바(410)가, 캠 연결홈(433)에는 회전 캠(420)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폴딩바 연결홈(432)은 이송 링크 바디(43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폴딩바 연결홈(432)은 장홀 형태로 가공되어 마련될 수 있고, 이때 폴딩바 연결홈(432)은 사선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장홀의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딩바 연결홈(432)은 전방(제1 컨베이어(23-1)가 배치된 방향)의 상측으로부터 후방(제2 컨베이어(23-2)가 배치된 방향)의 하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폴딩바(410)와 연결되어 폴딩바(4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사선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폴딩바(410)가 후술할 폴딩바 가이드홈(442)을 따라 수평 이동을 함에 있어서 수평 분력이 생기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폴딩바(410)가 곡선부(4423)에서 수평부(4421)로 이동할 때 수평 이동에 필요한 동력이 감소되어 구동 모터(45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캠 연결홈(433)은 이송 링크 바디(431)에 마련되며 폴딩바 연결홈(432)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캠 연결홈(433)은 장홀 형태로 가공되어 마련될 수 있다. 캠 연결홈(433)은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홈 직선부(4331)가 전방의 일정영역 및 후방의 일정영역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연결홈 직선부(4331)의 사이에는 이송 링크 바디(431)의 하측 단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소정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연결홈 곡선부(4332)가 마련될 수 있다. 캠 연결홈(433)에는 회전 캠(420)에서 돌출 형성된 연결핀(422)이 연결되어(도 17 참조) 회전 캠(420)의 회전시 연결핀(422)이 캠 연결홈(43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결핀(422)이 캠 연결홈(433)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송 링크(430)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링크(430)는 프레임 연결돌기(4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연결돌기(434)는 이송 링크 바디(431)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이송 링크 바디(431)의 전방 상하부 모서리측에 하나씩, 후방 상하부 모서리측에 하나씩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연결돌기(434)는 후술할 이송 링크 이동홈(443)에 삽입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폴딩바 프레임(440)은, 폴딩바(410)와 이송 링크(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폴딩바 프레임(440)을 사이에 두고 내측(컨베이어 측)에는 폴딩바(410)가, 외측에는 이송 링크(430)와 회전 캠(420)이 배치된다.(도 9 참조) 폴딩바 프레임(440)은 프레임 바디(441), 폴딩바 가이드홈(442) 및 이송 링크 이동홈(443)을 포함할 수 있다.(도 11 참조)
프레임 바디(441)는 폴딩바 프레임(440)의 외형을 구성하며 폴딩바(410)의 이동 영역보다 큰 면적을 갖는 사각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폴딩바 가이드홈(442)은 폴딩바(41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프레임 바디(441)의 상하부 일정 영역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폴딩바(410)는 폴딩바 가이드홈(442)에 연결되어 폴딩바 가이드홈(442)의 형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딩바 가이드홈(442)은 프레임 바디(441)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수평부(4421), 프레임 바디(44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수직부(4422) 및 수평부(4421)와 수직부(4422)를 연결하는 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곡선부(44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폴딩바 가이드홈(442)은 물음표('?')의 형상에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폴딩바(410)는 폴딩바 가이드홈(442)을 따라 수직부(4422)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수평부(4421)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폴딩바(410)가 의류를 가압한 후에는 접힌 의류가 하측의 폴딩 레이어로 낙하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충분히 상승해 주어야 한다. 폴딩바(410)의 형상은 의류를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그리고 폴딩바(410)가 폴딩갭(23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긴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폴딩바(410)가 충분히 상승하도록 하려면 폴딩 레이어(230)의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더 커져야 하므로 이는 결국 의류 폴딩 장치 전체의 비대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폴딩바 가이드홈(442)의 상측에 수평부(4421)가 마련되어 폴딩바(410)가 수평부(4421)를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수평부(4421)에서 폴딩바(410)가 90°로 꺾여 눕는 형태로 이동하게 되므로 의류와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면서도 폴딩바(410)가 상측으로는 더 이상 이동할 필요가 없어지는 바 의류 폴딩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평부(4421)와 수직부(4422) 사이에 마련된 곡선부(4423)를 통해 폴딩바(410)의 상하 운동(수직 운동)과 수평 운동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폴딩바(410)가 곡선부(4423)를 이동할 때 이송 링크(430)의 폴딩바 연결홈(432)의 형태(사선 형태)에 의해 수평 분력이 생성되므로 수평부(4421)를 이동할 때 적은 힘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송 링크 이동홈(443)은 이송 링크(43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프레임 바디(441)의 상측 단부 인근에서 하측 단부 인근까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송 링크 이동홈(443)은 프레임 바디(441)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2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이송 링크 이동홈(443)에는 이송 링크(430)의 프레임 연결돌기(434)가 연결되어 이송 링크(430)가 폴딩바 프레임(440)과 결합될 수 있다.
가로접기 어셈블리(400)는 구동 모터(450) 및 기어(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구동 모터(450)는 회전 캠(420)을 회전 구동시키는 동력을 생성한다. 기어(460)는 구동 모터(450)에 연결되고 구동 모터(450)에서 생성된 동력으로 회전하여 구동 모터(450)의 동력을 회전 캠(4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어(460)의 기어 이와 회전 캠(420) 외주면의 기어 이가 서로 치합되어 회전하여 구동 모터(450), 기어(460), 회전 캠(420)으로 연결되는 동력 전달 구조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접기 어셈블리(400)는 싱크바(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싱크바(470)는 컨베이어(23-1, 23-2)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된 회전 캠(420)의 회전을 동기화하는 구성으로써, 싱크바(470)는 기어(46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싱크바(470)의 양측 단부는 컨베이어(23-1, 23-2)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기어(460)에 연결되어 두 개의 회전 캠(420)의 회전을 동기화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구동 모터(450) 만으로도 폴딩바(4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회전 캠의 회전에 따라 폴딩바 및 이송 링크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폴딩바(410)가 상승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회전 캠(420)이 회전하면 회전 캠(420)과 연결핀(422)을 매개로 결합된 이송 링크(43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폴딩바(410)는 수직부(4422)를 지나 곡선부(4423)를 거쳐 수평부(4421)로 이동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딩바(410)가 곡선부(4423)에서 수평부(4421)로 이동할 때 이송 링크(430)의 폴딩바 연결홈(432)이 사선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어 폴딩바(410)에 수평 분력이 생성되므로 폴딩바(410)가 수평부(4421)를 이동할 때 쉽게 이동할 수 있다.
폴딩바(410)가 하강할 때는 상승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부(4421)에서 곡선부(4423)를 거쳐 수직부(4422)로 이동하여 의류를 가압하게 된다.
폴딩바(410)가 수평부(4421)에서 하강하여 의류를 가압하고 다시 상승하여 최초의 수평부(4421) 위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회전 캠(420)은 한 바퀴 회전하게 된다.
도 15는 회전 캠의 위치 감지부 및 이와 접촉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가로접기 어셈블리(400)는 구동 모터(450)를 정지 제어하도록 폴딩바(410)의 위치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캠(420)이 구동 모터(45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여 이송 링크(430) 및 폴딩바(410)를 하강시켰다가 다시 최초 위치(이송 링크(430) 및 폴딩바(410)가 상승한 위치)로 되돌아오면 즉, 회전 캠(420)이 한 바퀴 회전하면 구동 모터(450)는 정지되어야 한다. 즉, 회전 캠(420)이 한 바퀴 회전하여 다시 최초 위치로 되돌아온 상태임을 감지하기 위해 또는 이송 링크(430)와 폴딩바(410)가 최상단 수평부(4421)에서 하강하여 의류를 가압한 후 다시 상승하여 최초 위치인 상기 수평부(4421)로 되돌아온 상태임을 감지하기 위해 마이크로 스위치(4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캠(420)에는 마이크로 스위치(480)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위치 감지부(421)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캠(420)이 한 바퀴 회전하여 마이크로 스위치(480)가 위치 감지부(421)와 접촉하는 경우 폴딩바(410)가 최초 위치로 되돌아온 것이므로 구동 모터(450)는 정지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위치 감지부(421)는 구동 모터(450)가 정지해야 할 시점보다 앞서 마이크로 스위치(480)와 접촉하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캠(420)은 회전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구동 모터(450)가 정지된 후에도 일정 각도를 더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딩바(410)와 이송 링크(430)가 다시 하강할 수 있다. 이는 폴딩바(410)와 컨베이어(23-1,23-2) 사이에 의류의 끼임이 발생하는 등의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위치 감지부(421)는 소정의 면적으로 구성되되, 마이크로 스위치(480)가 감지해야 할 지점을 포함한 전후 지점을 포함할 수 있는 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스위치(480)에 의해 폴딩바(410)가 최초 위치로 되돌아갔음을 감지해야 할 지점이 위치 P인 경우, 위치 감지부(421)는 위치 P를 포함한 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위치 P1 부터 위치 P2까지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도록 면적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위치 P1에서 먼저 마이크로 스위치(480)가 위치 감지부(421)와 접촉하여 구동 모터(450)가 정지 제어될 수 있고 관성력에 의해 회전 캠(420)이 위치 P2 방향을 향해 더 회전하더라도 위치 P 부근에서 회전 캠(420)이 정지될 수 있다. 이로써, 가로접기 어셈블리(400)의 구동이 더 정밀하게 오류 없이 제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치 P1은 폴딩바(410)가 폴딩바 가이드홈(442)의 수평부(4421)에 진입한 이후에 마이크로 스위치(480)와 만나는 지점이 되도록 위치 감지부(421)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폴딩바(410)는 폴딩바 바디(411), 이송 링크 연결부(412) 및 폴딩바 프레임 연결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이송 링크 및 폴딩바 프레임과 연결되는 폴딩바의 단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폴딩바 바디(411)는 폴딩바(410)의 외형을 구성한다. 이송 링크 연결부(412) 및 폴딩바 프레임 연결부(413)는 폴딩바 바디(411)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이송 링크(430) 및 폴딩바 프레임(4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송 링크 연결부(412)는 이송 링크(430)의 폴딩바 연결홈(4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송 링크 연결부(412)는 폴딩바(410)의 길이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원통형 형태일 수 있고, 이때 이송 링크 연결부(412)의 직경은 폴딩바 연결홈(432)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폴딩바 프레임 연결부(413)는 폴딩바 바디(411)의 단부와 이송 링크 연결부(412) 사이에 마련되고 폴딩바 프레임(440)의 폴딩바 가이드홈(442)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딩바 프레임 연결부(413)는 폴딩바 바디(411)의 상하방향(폴딩바 바디(411)가 수직부(4422)를 이동할 때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임)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프레임 연결부(4131)와 제2 프레임 연결부(413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 연결부(4131)와 제2 프레임 연결부(4132)는 각각 폴딩바(410)의 길이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원통형 형태일 수 있고, 제1 프레임 연결부(4131)와 제2 프레임 연결부(4132) 각각의 직경은 폴딩바 가이드홈(442)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 연결부(4131)와 제2 프레임 연결부(4132)는 각각 폴딩바 가이드홈(442)에 맞닿아 접촉하는 접촉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폴딩바(410)가 폴딩바 가이드홈(442)에 접촉하는 접촉점이 2개 마련되는 경우 곡선부(4423)에서 폴딩바(410)의 회전이 더 부드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은 폴딩바의 누름력 및 상승력을 보완하는 이송 링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회전 캠(420)이 회전할 때 최하측에서의 힘의 분력은 수평방향으로만 존재하고 수직으로 이동하는 성분인 수직 분력은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회전 캠(420)이 회전하면서 폴딩바(410)가 최하단으로 이동할수록 의류를 눌러주는 힘이 줄어들면서 최하단에서는 결국 수직 분력, 누름력 및 상승력이 제로가 되는데 의류의 종류에 따라서는 누름력 및 상승력의 부족에 의해 접힘이 실패할 우려가 있으므로 기술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 링크(430)의 캠 연결홈(4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홈 직선부(4331)와 연결홈 곡선부(4332)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홈 곡선부(4332)는 회전 캠(420)의 회전 반경과 동일한 크기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캠(420)의 중심으로부터 연결핀(422)까지의 반경(R_pin)을 회전 캠의 회전 반경이라 정의할 때, 회전 캠(420)의 회전 반경(R_pin)과 연결홈 곡선부(4332)의 곡률반경(R_rink)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 캠(420)의 연결핀(422)이 연결홈 곡선부(4332)를 지나갈 때 이송 링크(430)는 더 이상 하부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 캠(420)만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홈 곡선부(4332)의 형태에 의해 폴딩바(410)가 최하측에 위치한 경우에도 수직 분력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캠 연결홈(433)이 직선으로만 구성되는 실시예와 대비할 때 누름력 및 상승력이 보완될 수 있다. 이로써, 의류의 종류에 상관없이 가로접힘의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두께와 소재로 구성된 의류가 인입되더라도 의류를 강제적으로 폴딩갭에 밀어넣어 가로접기를 수행할 수 있는 폴딩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접힘의 실패 없이 의도한 지점에서 정확하고 완전한 접힘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컨베이어의 하측으로 이동할수록 약해지는 폴딩바의 누름력 및 상승력을 보완하여 다양한 두께와 소재로 구성된 의류가 인입되더라도 폴딩바의 누름력 약화에 의한 접힘 실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의류
10: 의류 폴딩 장치
100: 로딩 어셈블리
101: 인입부
103: 클립부
111: 상부 프레임
112: 하부 프레임
113, 114, 115, 116, 117: 수평 프레임
121, 122, 123, 124: 수직 프레임
200: 폴딩 어셈블리
210, 220, 230, 240: 폴딩 레이어
20: 컨베이어
23-1: 제1 컨베이어
23-2: 제2 컨베이어
233: 폴딩갭
300: 언로딩 어셈블리
310: 언로딩 레이어
301: 배출부
400: 가로접기 어셈블리
410: 폴딩바
411: 폴딩바 바디
412: 이송 링크 연결부
413: 폴딩바 프레임 연결부
4131: 제1 프레임 연결부
4132: 제2 프레임 연결부
420: 회전 캠
421: 위치 감지부
422: 연결핀
430: 이송 링크
431: 이송 링크 바디
432: 폴딩바 연결홈
433: 캠 연결홈
4331: 연결홈 직선부
4332: 연결홈 곡선부
434: 프레임 연결돌기
440: 폴딩바 프레임
441: 프레임 바디
442: 폴딩바 가이드홈
4421: 수평부
4422: 수직부
4423: 곡선부
443: 이송 링크 이동홈
450: 구동 모터
460: 기어
470: 싱크바
480: 마이크로스위치

Claims (9)

  1.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폴딩 장치에 있어서,
    의류가 인입되도록 구비되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접힘이 수행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접힘이 완료된 의류를 배출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수평방향으로 의류를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제2 컨베이어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폴딩바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가로접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폴딩바와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회전 캠;
    상기 회전 캠 및 상기 폴딩바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폴딩바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링크; 및
    상기 폴딩바 및 상기 이송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폴딩바와 상기 이송 링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폴딩바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폴딩바 가이드홈이 마련된 폴딩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바 가이드홈은,
    상기 폴딩바 프레임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수평부;
    상기 폴딩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링크는,
    이송 링크 바디;
    상기 이송 링크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폴딩바와 연결되어 상기 폴딩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폴딩바 연결홈; 및
    상기 이송 링크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 캠에서 돌출된 연결핀과 연결되는 캠 연결홈;을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바 연결홈은 사선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장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폴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연결홈은 상기 회전 캠의 회전 반경과 동일한 크기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연결홈 곡선부을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바는,
    폴딩바 바디;
    상기 폴딩바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폴딩바 연결홈에 연결되는 이송 링크 연결부; 및
    상기 폴딩바 바디의 단부와 상기 이송 링크 연결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폴딩바 가이드홈에 연결되는 폴딩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바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폴딩바 바디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프레임 연결부와 제2 프레임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폴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 캠을 회전 구동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 캠으로 전달하는 기어;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컨베이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된 상기 회전 캠의 회전을 동기화하는 싱크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싱크바는 상기 기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폴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 제어하도록 상기 폴딩바의 위치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캠에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위치 감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폴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구동 모터가 정지해야 할 시점보다 앞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폴딩 장치.
KR1020210012586A 2021-01-28 2021-01-28 의류 폴딩 장치 KR20220109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586A KR20220109209A (ko) 2021-01-28 2021-01-28 의류 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586A KR20220109209A (ko) 2021-01-28 2021-01-28 의류 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209A true KR20220109209A (ko) 2022-08-04

Family

ID=8283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586A KR20220109209A (ko) 2021-01-28 2021-01-28 의류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92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2841A1 (en) 2016-12-30 2018-07-05 Foldimate Inc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stacked conveyor layers and folding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2841A1 (en) 2016-12-30 2018-07-05 Foldimate Inc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stacked conveyor layers and fold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8969B2 (en)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stacked conveyor layers and folding method therefor
RU26670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банкнот в стопку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KR20210061617A (ko) 의류 폴딩 장치
US8408540B2 (en) Sheet ejection devic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H0581508B2 (ko)
KR20220109209A (ko) 의류 폴딩 장치
JP2009020546A (ja) 紙葉類収納装置
KR102659873B1 (ko) 의류 폴딩 로봇
JP2015117075A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KR102620847B1 (ko) 의류 폴딩 로봇
KR20210073855A (ko) 의류 폴딩 장치
JP3136400U (ja) 布類の折り畳み装置
KR20210073858A (ko) 의류 폴딩 장치
US9144952B2 (en) Shutter for sheet processing apparatus
US20230034688A1 (en) Garment folding apparatus
US8353509B2 (en) Stacker device
JP6880558B2 (ja) 用紙搬送装置および後処理装置
JP5762258B2 (ja) 両面印刷装置及び当該装置における用紙搬送方法
CN106882632B (zh) 纸张输送装置
KR20220114785A (ko) 의류 폴딩 장치
JP2007091432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210073853A (ko) 의류 폴딩 장치
JP2007076912A (ja) シート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593516B2 (ja) 用紙積載装置
JP2006021886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