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855A - 의류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855A
KR20210073855A KR1020190164585A KR20190164585A KR20210073855A KR 20210073855 A KR20210073855 A KR 20210073855A KR 1020190164585 A KR1020190164585 A KR 1020190164585A KR 20190164585 A KR20190164585 A KR 20190164585A KR 20210073855 A KR20210073855 A KR 20210073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assembly
clothes
plat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주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855A/ko
Priority to PCT/KR2020/017812 priority patent/WO2021118195A1/ko
Priority to EP20898836.0A priority patent/EP4074886A4/en
Priority to US17/784,479 priority patent/US20230036912A1/en
Publication of KR2021007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06F89/02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의류 폴딩 장치로서,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가 인입되도록 구비되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접힘이 수행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접힘이 완료된 의류를 배출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구동 모터에 의해, 컨베이어에 전개된 의류의 접힘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세로접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특히 세로접기 동작이 직선형 궤적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요구하는 동작 공간이 감소되고 장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 폴딩 장치{APPARATUS FOR FOLDING CLOTHES}
본 발명은 의류의 접힘을 수행하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는 천연 또는 합성섬유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제조되며, 보관 및 이동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folding)이 수행되어야 한다.
일상적으로, 의류는 세탁 후 수납하기 위하여 또는 계절 변화에 따른 장기 보관을 위하여 의류 접기 행위가 상당히 자주 또는 다량으로 요구되었다. 그런데 인력에 의한 직접적인 의류 접기 행위는 시간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숙달되지 않은 인력으로 인해 접혀진 의류의 모양과 크기가 일치되지 않게 되면 전시 또는 보관을 위해 추가적인 노동이 투입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의류 접기 행위를 신속하고 일률적으로 수행할 자동화 장치(이하 '의류 폴딩 장치'라 한다)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종래의 의류 폴딩 장치와 관련하여 2018. 7. 5. 발행된 PCT공개특허 제2018-122841호(발명의 명칭 :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STACKED CONVEYOR LAYERS AND FOLDING METHOD THEREFOR)가 개시되었다(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 상기 선행문헌은 의류가 상부에 인입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된 후, 하부에서 배출되는 자동화 장치에 대한 기술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장치는, 특히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해 의류의 접힘을 수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먼저, 좌우측에 위치한 플레이트가 접기 동작을 위해 이동하는 경우 회전식 링크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플레이트의 이동 궤적은 원형 또는 곡선형을 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상부 내지 측부에는 상당한 동작 공간이 요구되고, 다른 폴딩 레이어와의 간격 내지 전체적인 폭이 비대해지며 결과적으로 장치 소형화에 역행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접힘 대상이 되는 의류가 전체적으로 두껍거나, 그 재질이 뻣뻣하거나, 아동 의류와 같이 그 좌우 폭이 넓지 않은 경우, 선행문헌 장치에 따른 플레이트의 원형 또는 곡선형 궤적의 특성상 의류 접힘이 전혀 성립하지 않거나 의류 끼임으로 인해 접힘 품질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의류 폴딩 장치에 따른 동작 공간의 비대성 내지 접힘 품질 저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원형 내지 곡선형 궤적이 아닌 직선형 궤적의 플레이트 동작이 구현되는 의류 폴딩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폴딩 장치에 있어서, 의류가 인입되도록 구비되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접힘이 수행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접힘이 완료된 의류를 배출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구동 모터에 의해, 컨베이어에 전개된 의류의 접힘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세로접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컨베이어에 나란히 배치되되, 접힘 동작시 상기 컨베이어의 내측 상방으로 구동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가 구동하는 경우, 직선형 궤적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마련된 캠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결정된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된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홈은, 외측으로부터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캠부에는, 제1 가이드홈 및 제2 가이드홈이 나란히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홈 및 제2 가이드홈은 서로 다른 슬라이드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홈은, 플레이트가 초기 동작에 있어 수평형 궤적을 가지도록 하는 수평홈 및 상기 수평홈에서 이어지며, 플레이트가 경사형 궤적을 가지도록 하는 경사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와 삽입부 사이에는, 플레이트 힌지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캠부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동작이 구현되도록 기능하는 바닥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 구조는,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 링크 및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구비되는 커넥팅 링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링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격하여 대칭형으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 구조는, 상기 커넥팅 링크와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삽입부(45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링크, 커넥팅 링크 및 슬라이더는, 상호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로접기를 위한 플레이트가 직선형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요구하는 동작 공간이 감소하여 장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의 소재, 재질 및 크기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히 세로접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다양한 의류를 포섭하면서도, 일률적이고 상향된 접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폴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접기 이전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접기 이후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8은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9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이다.
도 10은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3은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한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의류 폴딩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은 의류 폴딩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은 의류 폴딩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어셈블리"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에 관한 설명을 토대로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 폴딩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폴딩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10)는 프레임(110)에 지지 및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의 외부 골격과 같이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의 외부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의 최소 작동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를 이루는 여러 부재들을 안정적으로 부착 및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및 수평 프레임(113, 114, 115, 116, 117)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및 수평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121, 122, 123, 124)(도 1)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의 외곽면에는 마감 커버(미도시)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마감 커버는 상기 의류 폴딩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프레임이 구비됨으로써, 의류 접기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후술할 세로접기 어셈블리가 안정적으로 지지 및 장착될 수 있다.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 폴딩 장치(10)는 로딩 어셈블리(loading assembly)(100), 폴딩 어셈블리(folding assembly)(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unloading assembly)(300)을 포함한다.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 폴딩 어셈블리(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 폴딩 어셈블리(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작동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은, 그 작동 공간이 상부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은 의류가 인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은 인입부(101)에 투입된 의류가 컨베이어(2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은 상부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 사이에서 인입부(101)에 투입된 의류가 컨베이어(2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의류라 함은,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 재직되어 인간이 착용 가능한 상의 또는 하의를 의미함은 물론, 수건이나 이불과 같이 상기 의류 폴딩 장치를 통해 원하는 크기와 두께로 접혀져 제공될 수 있는 물품이면 전부 포함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딩 어셈블리(100)은, 인입부(101)에 의해 투입된 의류가 클립부(103)(도 1, 도 2 참조)에 의해 파지된다. 이후 클립부(103)는 의류를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끌어 컨베이어(20)의 상면에 놓여지도록 파지가 해제된다. 상기 컨베이어(20)는 수평 프레임(11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클립부(103)는 상기 상부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11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접힌 의류가 모여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언로딩 레이어(310)(도 3 참조)에서 받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부(301)에 모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300)은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 사이에서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받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부(301)에 모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폴딩 어셈블리에 의해 낙하되는 의류가 받침 컨베이어에 놓여진다. 이후 받침 컨베이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언로딩판(미도시)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배출부(301)의 내부 공간에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가지런히 모아진다. 상기 받침 컨베이어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은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117)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언로딩판 상하 이동 세로접기 어셈블리는 하부 프레임(11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접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폴딩 레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폴딩 레이어는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인입된 의류는 상부의 폴딩 레이어로부터 하부의 폴딩 레이어로 이송되면서 각 폴딩 레이어에서 적어도 1회 이상의 접힘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배출부(301)에서는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모아진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인입된 의류가 상부의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하부의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이송되면서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혀지도록 기능한다. 각 폴딩 레이어에서는 적어도 1회 이상의 접힘이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는 2회의 접힘이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최하부의 폴딩 레이어에는 언로딩 레이어(310)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제4 폴딩 레이어(240)의 하부에는 접힘이 완료된 의류가 낙하하게 되는 언로딩 레이어(3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언로딩 레이어(310)는 배출부(301)가 구비되어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가지런히 모아진다.
상기 폴딩 레이어는 컨베이어(2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20)는 인입되거나 낙하한 의류가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기능한다. 각 폴딩 레이어는 상기 컨베이어(20)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한다. 하나의 폴딩 레이어에 2개 이상의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경우 양 컨베이어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거나 또는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폴딩 갭(gap)을 형성한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컨베이어(20)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는 2개의 컨베이어(20)를 구비할 수 있고, 제4 폴딩 레이어(240)는 3개의 컨베이어(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에 구비된 양 컨베이어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폴딩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폴딩 레이어(240)에 구비된 3개의 컨베이어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거나 또는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2개의 폴딩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로딩 레이어(310)에는 받침 컨베이어가 수평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 컨베이어는 언로딩판(미도시)와 함께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배출부(301)로 가지런히 모아지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세로접기 되도록 구비되고, 인입되거나 낙하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가로접기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폴딩 어셈블리(200)을 구성하는 4개의 폴딩 레이어 중 상부 2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에서는 의류가 세로접기되고(이하 '세로접기 레이어'로 칭하기도 한다), 하부 2개의 폴딩 레이어(230, 240)에서는 의류가 가로접기될 수 있다(이하 '가로접기 레이어'로 칭하기도 한다).
여기서 가로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인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수직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9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여기서 세로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한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평행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 및 이에 포함되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접기 이전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접기 이후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세로접기 되도록 기능하는 세로접기 레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제1 폴딩 레이어(210) 및/또는 제2 폴딩 레이어(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세로접기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400)는 제1 폴딩 레이어(210) 및/또는 제2 폴딩 레이어(2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로접기 레이어는 제1 폴딩 레이어(210) 및 제2 폴딩 레이어(220)로 구성되고, 세로접기 어셈블리(400)는 제2 폴딩 레이어(220)에 구비되는 일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한다.
상기 제1 폴딩 레이어(210)의 하부에는 제2 폴딩 레이어(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폴딩 레이어(220)는 제1 폴딩 레이어(210)로부터 로딩된 의류를 전방으로 이송하면서 세로접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로딩 어셈블리(100)로부터 인입된 의류는 상기 제1 폴딩 레이어(210) 및 제2 폴딩 레이어(220)로 구성된 세로접기 레이어를 통과하면서 의도한 세로접기가 구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폴딩 어셈블리(200)은 인입된 의류가 의도된 크기와 모양으로 세로접기되도록 기능하는 세로접기 레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세로접기 가이드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21)는 제1 폴딩 레이어(210)의 컨베이어(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21)는 제1 폴딩 레이어(210)의 컨베이어(20)의 하부에 지지되어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의류(C)를 하방으로 눌러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21)에 의해 가이드된 의류(C)는 세로접기 어셈블리(400)에 의해 의류(C)의 외측 부분이 내측으로 접히게 된다.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21)는 상부 컨베이어에 장착되어 그 하부 컨베이어에 로딩된 의류를 하방으로 눌러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가이드부(221)의 가이드프레임은 상부 컨베이어에 장착되면서, 하부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로딩되는 의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날을 지지할 수 있다. 더욱 안정적인 가이드를 위해 상기 가이드날은 하부 컨베이어의 상부면에서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날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기준으로 폭방향으로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의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의도한 바에 따라 정확한 세로접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넓은 폭의 의류에 대해 좁은 폭의 세로접기를 의도한 경우, 가이드날을 내측으로 가변시켜 원하는 세로접기를 특별한 방해요소 없이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이송 가이드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이송 가이드부(222)는 제2 폴딩 레이어(220)의 컨베이어(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 컨베이어(20)에서 낙하하는 의류(C)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하부 컨베이어(20)로 이송 변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송 가이드부(222)는 작업 공간의 불필요한 확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세로접기 어셈블리(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400)은 컨베이어(20)에 전개된 의류가 세로접기 되도록 구동 모터에 의해 가변되는 능동형 세로접기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400)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세로접기 레이어는, 경우에 따라 세로접기를 생략하고 하부의 폴딩 레이어로 바로 이송 변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폴딩 레이어(220)에 로딩된 의류는 세로접기 어셈블리(400)에 의한 세로접기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컨베이어(2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어 하부의 제3 폴딩 레이어(230)로 로딩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크기와 모양에 부합한 세로접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그 정면도이며, 도 8은 그 측면도이고, 도 9는 그 저면도이며, 도 10은 그 단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설명도이며, 도 12는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400)는, 하부 케이싱(410), 플레이트(420), 캠부(430), 바닥 구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싱(410)은(도 6의 점선 표시 참조),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400)의 하부를 감싸고, 상기 바닥 구조(44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410)은 바닥부(411) 및 측면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411)는 후술할 바닥 구조(440)가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412)는 상기 바닥부(411)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캠부(430)가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411) 및 측면부(41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40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세로접기 어셈블리(400)의 접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412)는 외측으로 수평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400)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420)는 컨베이어(20)에 놓여진 의류(C)의 양 외측 부분이 접히도록 내측을 향해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420a, 420b)는 컨베이어(20)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위치되도록 2개가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플레이트(420a, 420b)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20a, 420b)는 상기 컨베이어(20)보다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컨베이어(20)에 의류(C)의 로딩 및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접힐 부분이 플레이트(420)에 정확히 놓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의류(C)가 세로접기 어셈블리(400)보다 긴 경우, 세로접기 어셈블리(400)의 플레이트(420)가 여러 번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420)의 크기 내지 형상에 의해 이러한 연속적인 접힘 동작이 병목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로접기 이전의 상기 플레이트(420a, 420b)는 상기 컨베이어(20)의 좌우측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양 플레이트(420a, 420b)는 상기 컨베이어(2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세로접기 이후의 상기 플레이트(420a, 420b)는 상기 컨베이어(20)를 기준으로 내측 상방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역시 양 플레이트(420a, 420b)는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로접기 이전의 상기 플레이트(420a, 420b)의 상부면은 상기 컨베이어(20)의 상부면보다 낮게 구비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0)의 의류 이송력이 원활히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즉, 접기 이전 상태의 플레이트(420)가 로딩 및 이송되는 의류를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캠부(430)는, 상기 플레이트(420)가 상기 컨베이어(20)의 내측 상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캠부(4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420)는 원형 내지 곡선형 궤적이 아닌 직선형 궤적을 그리면서 슬라이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부(430)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삽입부(450)(도 10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50)의 상부에는 상기 플레이트(4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420)는 상기 삽입부(450)와 같은 궤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이드홈의 방향 내지 형상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420)의 궤적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캠부(430)의 가이드홈은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홈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420)는 직선형 궤적을 그리면서 내측 상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도 11의 A4 점선 참조).
상기 캠부(430)는 상기 컨베이어(20)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부(430)의 가이드홈은 상기 컨베이어(2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측 캠부(430a)의 가이드홈은 우측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우측 캠부(430b)의 가이드홈은 좌측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 플레이트(420a, 420b)는 직선형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 컨베이어(20)가 위치한 내측 상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캠부(430)는 2개의 가이드홈(431, 432)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가이드홈이 나란히 배치된다는 의미는, 반드시 평행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420)는 직선형 궤적을 그리되,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의류 부분을 세로접기함에 있어 불필요한 동작 공간을 제거하면서, 숙련되고 안정된 접기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12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홈(431)은 제2 가이드홈(432)과 다른 슬라이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모양이 다르다는 의미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홈을 다른 가이드홈에 그대로 평행이동하면 그 모양이 일치되는 경우를 제외한 모든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홈(431)에 삽입되는 제1 삽입편(451)과, 상기 제2 가이드홈(432)에 삽입되는 제2 삽입편(452)을 포함하는 상기 삽입부(450)가 상기 제1, 2 가이드홈(431, 43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상기 플레이트(420)는 기본적으로 직선형 궤적을 그리되, 내측 상방으로 향해 이동할 때 주변 부재(예를 들어, 컨베이어 가장자리)와 충돌되지 않도록 들어올리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 가이드홈(431) 및 제2 가이드홈(432)의 구조에 의해 직선형 궤적을 기본으로 하면서, 나아가 주변 부재와의 충돌을 피하고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플레이트(420)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홈(431)은 제1 수평홈(4311), 경사홈(4312) 및 제2 수평홈(4313)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홈(4311)은 상기 제2 수평홈(4313)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홈(4311)에 의해 초기 수평형 궤적(A41)이 형성되고, 이어서 바로 경사홈(4312)에 진입함으로써 경사형 궤적(A42)이 형성되며, 마지막에는 다시 제2 수평홈(4313)에 의해 수평형 궤적(A43)으로 복귀하게 된다. 초기 수평형 궤적(A41)에서 경사형 궤적(A42)으로 변환함으로써 플레이트(420)의 내측 단부를 들어올리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경사형 궤적(A42)에서 다시 수평형 궤적(A43)으로 변환함으로써 안정적인 정지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가이드홈(431)과 그 슬라이드 모양이 다른 상기 제2 가이드홈(432)의 경우, 마찬가지로 제1 수평홈, 경사홈 및 제2 수평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각 부분의 크기와 각도에 차이를 두어, 양 가이드홈(431, 432)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플레이트(420)의 동작에 각운동 내지 직선운동에 변화를 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가이드홈만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각운동 등의 플레이트 동작을 상기 제1 가이드홈(431) 및 제2 가이드홈(432)의 슬라이드 모양에 의해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420)와 삽입부(450) 사이에 플레이트 힌지(42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4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유연성이 부여될 수 있다. 양 가이드홈(431, 432)를 따라 이동하는 삽입부(450)와, 상기 삽입부(450)에 힌지 결합된 플레이트(420)에 의해, 각운동 내지 직선운동으로 상호 변환하는 구간에 유연성이 부여됨으로써, 주변 부재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더욱 안정적인 플레이트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세로접기를 위해 플레이트(420)의 동작을 캠부(430)에 따른 슬라이드 이동 동작으로 구현함으로써, 원형 내지 곡선형 궤적이 아닌 직선형 궤적이 그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요구하는 동작 공간이 감소하여 장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고, 의류의 소재, 재질 및 크기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률적이고 정확하게 세로접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세로접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그 평면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플레이트(420)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바닥 구조(440)가 상기 하부 하우징(4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 구조(440)가 구비됨으로써, 비교적 적은 수의 부재와 상호 간섭이 최소화된 구조로 직선형 궤적을 그리는 상기 플레이트(420)의 슬라이드 동작을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400) 내에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 구조(44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441)와, 상기 구동 모터(44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442)와, 상기 벨트(442)에 의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링크(443)와, 상기 회전 링크(443)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링크(44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커넥팅 링크(444)와, 상기 커넥팅 링크(444)과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삽입부(450)와 연결된 슬라이더(445)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 모터(441)라 함은,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하는 기계적 의미의 모터(motor)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 의해 직접 발생되는 수동적 동력원을 제외한 모든 능동적 동력원, 예를 들어 전기를 동력원으로 삼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전부 포함한다.
나아가, 능동형 세로접기 어셈블리 또는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세로접기 어셈블리라 함은,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 발생되는 수동적 동력원을 제외한 모든 동력원, 예를 들어 전기 등에 의해 동작되는 세로접기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 구조(440)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441)에서 발생한 회전운동(A1)은 상기 벨트(442)에 의해 상기 회전 링크(443)의 회전운동(A2)으로 전달되고), 이는 상기 커넥팅 링크(444)의 직선운동(A3)으로 변환되며, 이러한 직선운동(A3)은 슬라이더(445)와 삽입부(450)에 의해 플레이트(420)의 직선형 궤적(A4)(도 11 참조)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링크(443)는 상기 바닥부(411)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격되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회전 링크(443)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부(411)를 기준으로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 링크(443)와,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 링크(443)는 중심축으로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예, 상부 회전 링크 및 하부 회전 링크에는 각각 상술한 커넥팅 링크(444) 및 슬라이더(445)가 연결되고,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삽입부(450)가 연결됨으로써 양 플레이트(420a, 420b)는 대칭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2개의 회전 링크(443)가 상하로 이격되어 대칭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양 플레이트(420a, 420b)의 슬라이드 동작이 동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부재가 절감되어 구조가 단순해지며, 상부 회전 링크 관련 구조 및 하부 회전 링크 관련 구조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링크(443)와 상기 커넥팅 링크(444) 사이는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444)와 상기 슬라이더(445) 사이는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넥팅 링크(444)와 상기 슬라이더(445) 사이에는 힌지 결합을 위한 구조체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45)와 상기 삽입부(450) 사이는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모터(441)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손실없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에 전달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플레이트(420)의 슬라이드 동작이 하부 하우징(410)의 한정된 내부 공간 안에서 실현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한 다양한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 15는 폴딩 어셈블리에 있어 접기가 수행되는 위치를 표시한 개념도이고, 도 16는 일 실시예로서 상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7은 일 실시예로서 하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8은 일 실시예로서 타월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폴딩 어셈블리(200)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인입되는 의류는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 세로접기 단계(S2),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 가로접기 단계(S3, S4) 및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 가로접기 단계(S5, S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로접기 단계(S3, S4)는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하부의 폴딩 레이어로 이송되는 이송 단계(S3)와, 접힘 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로접기 단계(S5, S6)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1/3 지점에서 접힘이 수행되는1/3 접힘 단계(S5)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1/2 지점에서 접힘이 수행되는 1/2 접힘 단계(S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세로접기 어셈블리(400)는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수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해 인입된 상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에서 각각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의는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3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상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16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2 접힘 단계(S6)만 수행함으로서, 4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상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16의 우측 순서도).
도 17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해 인입된 하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후 하의는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2 접힘 단계(S6)의 가로접힘이 후속함으로써, 4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하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17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3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하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17의 우측 순서도).
도 18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해 인입된 타월류는 세로접기 및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세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어서,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욕실장 보관용 핸드타월 크기와 모양으로 배출될 수 있다(도 18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어서,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바로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2 접힘 단계(S6)를 수행함으로서, 제1 실시예의 핸드타월과 비교하여 크기와 모양이 상이한 핸드타월로 배출될 수 있다(도 18의 중간 순서도).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세로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후,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바로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2 접힘 단계(S6)를 수행함으로서, 제1, 2 실시예의 핸드타월과 비교하여 크기와 모양이 상이한 타월로 배출될 수 있다(도 18의 우측 순서도). 다른 실시예로서, 가로접기가 완료된 후 세로접기가 추가로 수행되도록 제4 폴딩 레이어의 하부에는 세로접기 레이어가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월보다 세로폭이 감소한 핸드타월로 배출되어 의도한 욕실장에 적절히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의류 폴딩 장치
20 : 컨베이어
100 : 로딩 어셈블리
200 : 폴딩 어셈블리
210 : 제1 폴딩 레이어
220 : 제2 폴딩 레이어
221 : 세로접기 가이드부
222 : 이송 가이드부
300 : 언로딩 어셈블리
400 : 세로접기 어셈블리
410 : 하부 케이싱
420 : 플레이트
430 : 캠부
431 : 제1 가이드홈
432 : 제2 가이드홈
440 : 바닥 구조
441 : 구동 모터
442 : 벨트
443 : 회전 링크
444 : 커넥팅 링크
445 : 슬라이더
450 : 삽입부

Claims (12)

  1.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폴딩 장치에 있어서,
    의류가 인입되도록 구비되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접힘이 수행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접힘이 완료된 의류를 배출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구동 모터에 의해, 컨베이어에 전개된 의류의 접힘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세로접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컨베이어에 나란히 배치되되, 접힘 동작시 상기 컨베이어의 내측 상방으로 구동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가 구동하는 경우, 직선형 궤적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마련된 캠부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결정된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된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외측으로부터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의류 폴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에는, 제1 가이드홈 및 제2 가이드홈이 나란히 형성되는 의류 폴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홈 및 제2 가이드홈은 서로 다른 슬라이드 모양으로 형성되는 의류 폴딩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플레이트가 초기 동작에 있어 수평형 궤적을 가지도록 하는 수평홈; 및
    상기 수평홈에서 이어지며, 플레이트가 경사형 궤적을 가지도록 하는 경사홈을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삽입부 사이에는, 플레이트 힌지가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접기 어셈블리는,
    상기 캠부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동작이 구현되도록 기능하는 바닥 구조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는,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 링크; 및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구비되는 커넥팅 링크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링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격하여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는,
    상기 커넥팅 링크와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삽입부(45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링크, 커넥팅 링크 및 슬라이더는, 상호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
KR1020190164585A 2019-12-11 2019-12-11 의류 폴딩 장치 KR20210073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585A KR20210073855A (ko) 2019-12-11 2019-12-11 의류 폴딩 장치
PCT/KR2020/017812 WO2021118195A1 (ko) 2019-12-11 2020-12-08 의류 폴딩 장치
EP20898836.0A EP4074886A4 (en) 2019-12-11 2020-12-08 GARMENT FOLDING DEVICE
US17/784,479 US20230036912A1 (en) 2019-12-11 2020-12-08 Garment fol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585A KR20210073855A (ko) 2019-12-11 2019-12-11 의류 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855A true KR20210073855A (ko) 2021-06-21

Family

ID=7633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585A KR20210073855A (ko) 2019-12-11 2019-12-11 의류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36912A1 (ko)
EP (1) EP4074886A4 (ko)
KR (1) KR20210073855A (ko)
WO (1) WO20211181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73A1 (ko) * 2022-01-28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282B (zh) * 2021-06-21 2022-11-15 重庆理工大学 一种智能叠衣机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73999B (de) * 1955-01-05 1960-01-28 The American Laundry Machmeiy Company Cmcmnatti Ohio (V St A) FaIt und Stapelvor richtung fur Waschestucke
US2758761A (en) * 1955-06-21 1956-08-14 Isaacson Daniel Shirt folding machine
US3514020A (en) * 1964-07-13 1970-05-26 Ametek Inc Collar clamp for shirt-folding machine
US4093205A (en) * 1976-09-30 1978-06-06 Chicago Dryer Company French folder construction
US4248414A (en) * 1978-08-31 1981-02-03 Automatech Industries, Inc. Panel folding machine and method
US4548595A (en) * 1983-07-25 1985-10-22 Opelika Manufacturing Corp. Folder
JPH01310700A (ja) * 1988-06-10 1989-12-14 Yozo Maejima 浴衣、ガウン類の連続折畳装置
AU1758892A (en) * 1991-03-27 1992-11-02 Chicago Dryer Company Folder construction
JP3073729B2 (ja) * 1999-01-19 2000-08-07 洋左右 前嶋 厚手生地から成る衣類の折り畳み装置
KR200309150Y1 (ko) * 2002-11-05 2003-03-31 이석호 시트 폴딩장치
KR200465910Y1 (ko) * 2011-01-11 2013-03-18 김미량 폴딩 변각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
CN204875295U (zh) * 2015-07-30 2015-12-16 宁波智腾针织科技有限公司 一种烫衣机的大身翻板结构
JP2020513195A (ja) 2016-12-30 2020-05-07 ギャル ロゾフ 積重ねられたコンベヤ層を有する家庭用コンパクト型物品折たたみ機、およびそのための折たたみ方法
CN107338636B (zh) * 2017-08-30 2023-09-26 金华馨菲科技有限公司 翻转动作执行机构和自动叠衣机及叠衣方法
CN107815839B (zh) * 2017-11-30 2023-05-12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自动叠衣机
CN108797071A (zh) * 2018-06-21 2018-11-13 金华优地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全自动叠衣机
CN109629215B (zh) * 2019-01-31 2023-09-05 广州大学 一种全自动衣服折叠方法及装置
CN110029482B (zh) * 2019-04-15 2024-03-26 江苏海狮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竖直式折叠组件
KR20210061617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73A1 (ko) * 2022-01-28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4886A4 (en) 2023-12-27
US20230036912A1 (en) 2023-02-02
WO2021118195A1 (ko) 2021-06-17
EP4074886A1 (en)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089B1 (ko) 홀딩 컨베이어를 가진 가정용 소형 물품 폴딩 머신 및 폴딩 방법
KR102659874B1 (ko) 의류 폴딩 로봇
KR20210073855A (ko) 의류 폴딩 장치
US11198969B2 (en)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stacked conveyor layers and folding method therefor
US20220396913A1 (en) Clothes folding apparatus
KR2020002882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59873B1 (ko) 의류 폴딩 로봇
US20230148695A1 (en) Clothes folding device
KR102620847B1 (ko) 의류 폴딩 로봇
JPH0692540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CN208278578U (zh) 用于中小型显示屏的装货箱插装装置
CN110281213A (zh) 一种弹片式多层高精度料架
US20160229651A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20114785A (ko) 의류 폴딩 장치
JP3136400U (ja) 布類の折り畳み装置
KR20210073858A (ko) 의류 폴딩 장치
KR20220032171A (ko) 의류 폴딩 머신 및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KR20210073853A (ko) 의류 폴딩 장치
CN209988851U (zh) 一种大型刀式布料折叠装置
EP4074885A1 (en) Apparatus for folding clothing
KR20220109209A (ko) 의류 폴딩 장치
CN217622460U (zh) 一种用于包装盒的折盒设备
KR20230116197A (ko) 의류 폴딩 머신
KR20210112197A (ko) 의류 폴딩 장치
JP2013103814A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