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197A - 의류 폴딩 머신 - Google Patents

의류 폴딩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197A
KR20230116197A KR1020220012820A KR20220012820A KR20230116197A KR 20230116197 A KR20230116197 A KR 20230116197A KR 1020220012820 A KR1020220012820 A KR 1020220012820A KR 20220012820 A KR20220012820 A KR 20220012820A KR 20230116197 A KR20230116197 A KR 20230116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late
link
clothing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197A/ko
Priority to PCT/KR2023/001138 priority patent/WO2023146273A1/ko
Publication of KR2023011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19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06F89/02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 D06F89/023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of shirts
    • D06F89/026Details, e.g. colla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06F89/02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폴딩 머신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 의류가 인입되는 로딩부, 및 인입된 상기 의류를 이송하고 접는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의류를 접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의류를 접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 및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가로 접기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동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의류를 접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고, 크기가 큰 의류에 대해서도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류 폴딩 머신{FOLDING MACHINE FOR CLOTHES}
본 발명은 의류 폴딩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의류 폴딩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의류는 천연 또는 합성섬유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제조되며, 보관 및 이동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folding)이 수행되어야 한다.
일상적으로, 의류는 세탁 후 수납하기 위하여 또는 계절 변화에 따른 장기 보관을 위하여 의류 접기 행위가 상당히 자주 또는 다량으로 요구되었다. 그런데 인력에 의한 직접적인 의류 접기 행위는 시간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숙달되지 않은 인력으로 인해 접혀진 의류의 모양과 크기가 일치되지 않게 되면 전시 또는 보관을 위해 추가적인 노동이 투입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의류 접기 행위를 신속하고 일률적으로 수행할 자동 폴딩 머신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였다.
종래의 의류 폴딩 머신과 관련하여 일본등록특허 제3600148B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는 의류가 인입되어 소매를 접은 후, 폴딩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의류를 접는 폴딩 머신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폴딩 머신은, 의류의 소매를 접는 수단과 의류의 가로 접기 또는 의류의 밑단을 접는 수단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수평면 상 공간은 물론 수직 공간 상으로도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하나의 레이어에서 의류에 대한 세로 접기, 밑단 접기 및 가로 접기가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폴딩 머신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의류 폴딩 머신이 폴딩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의류를 접는 경우에, 스웨터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의류에 대해서는 폴딩 플레이트가 충분히 회전되지 못하면서 의류가 접힌 모양이 일정하지 못한 한계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의류 폴딩 머신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하나의 레이어에서 의류에 대한 세로 접기 및 가로 접기가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의류 폴딩 머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크기가 큰 의류에 대해서도 세로 접기 및 가로 접기가 가능한 의류 폴딩 머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두께가 두꺼운 의류에 대해서도 접을 수 있는 의류 폴딩 머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류 폴딩 머신은, 프레임부; 의류가 인입되는 로딩부; 및 인입된 상기 의류를 이송하고 접는 폴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의류를 접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의류를 접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 및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가로 접기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와 상기 연동 플레이트를 연결시키는 제1 연동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가로 접기 플레이트와 상기 연동 플레이트를 연결시키는 제2 연동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동 링크는, 제1 연동 링크 바디; 및 상기 제1 연동 링크 바디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는, 상기 제2 회전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동 링크는, 제2 연동 링크 바디; 및 상기 제2 연동 링크 바디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로 접기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회전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가로 접기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의류를 이송시키는 제1 폴딩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폴딩 컨베이어와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의류를 접는 제2 폴딩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폴딩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폴딩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류 폴딩 머신은, 프레임부; 의류가 인입되는 로딩부; 및 인입된 상기 의류를 이송하고 접는 폴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의류를 접는 폴딩 플레이트; 및 상기 폴딩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폴딩 플레이트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폴딩 플레이트 모터; 상기 폴딩 플레이트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 디스크; 상기 구동 디스크와 링크 결합되되 상기 구동 디스크의 중심에서 이심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제1 링크; 상기 제1 링크와 링크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2 링크의 일측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는 제3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타측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는 제4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링크를 관통하는 링크 샤프트; 및 상기 링크 샤프트가 소정 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플레이트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제1 링크가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링크와 접촉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 의하면, 하나의 레이어에 세로 접기 플레이트 및 가로 접기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동 플레이트가 세로 접기 플레이트 또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회전되어 접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고, 크기가 큰 의류에 대해서도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동 링크를 통하여 두께가 두꺼운 의류에 대해서도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그리퍼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서 폴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서 폴딩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서 연동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서 폴딩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링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폴딩 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위치 센서 및 댐퍼에 접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서 폴딩 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서 폴딩 플레이트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서 폴딩 플레이트가 의류를 넘기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이 의류를 세로 접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이 의류를 가로 접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이 컨베이어를 통하여 가로 접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1)은 프레임부(100), 거치대(200), 로딩부(300) 및 폴딩부(4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의류 폴딩 머신(1)의 외관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히는, 프레임부(100)는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수평 프레임(130) 및 수직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1)은 프레임부(100)가 지면에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부(100)로 둘러싸인 내부 작동 공간 및 그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의류가 인입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고 부를 수 있고, 내부 작동 공간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전면의 반대 방향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내부 작동 공간에서 의류가 인입되는 방향을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하여 오른쪽 방향을 우측, 왼쪽 방향을 좌측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의류 폴딩 머신(1)이 지면에 세워진 상태에서 지면에 가까운 방향을 하측, 지면에서 먼 방향을 상측이라고 부를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은 의류 폴딩 머신(1)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의류 폴딩 머신(1)의 상부 작동 공간은 상부 프레임(11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0)은 의류 폴딩 머신(1)의 하단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의류 폴딩 머신(1)을 바닥면(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의류 폴딩 머신(1)의 하부 작동 공간이 하부 프레임(1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30)은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30)에는 각각 후술할 폴딩부(400) 및 폴딩 베이스(500)가 장착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수직 프레임(14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및 수평 프레임(130)과 결합된다. 수직 프레임(140)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및 수평 프레임(130)의 간격(높이차)이 유지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의 외곽면에는 마감 커버(미도시)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마감 커버는 의류 폴딩 머신(1)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배치되는 부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감 커버의 전면부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미도시), 의류 폴딩 머신(1)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의류 폴딩 머신(1)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알람부(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100)가 구비됨으로써, 의류의 폴딩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후술할 폴딩부(400)가 지지됨으로써 요구 공간이 절약되어 의류 폴딩 머신(1)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의류 폴딩 머신은 거치대(200)를 포함한다. 거치대(200)는 의류가 폴딩부(400)에 거치되기 전에 의류를 거치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의류라 함은,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제작되어 인간이 착용 가능한 상의를 의미함은 물론, 하의 또는 수건이나 이불과 같이 의류 폴딩 머신(1)을 통해 원하는 크기와 두께로 접혀져 제공될 수 있는 물품이면 모두 포함된다.
거치대(200)는 의류가 폴딩부(400)에 거치되기 전에 의류를 임시로 거치한다. 의류는 거치대(200)에 거치된 후, 로딩부(300)에 의하여 폴딩부(400)로 안내된다.
거치대(200)는 폴딩부(400)의 전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거치대(200)는 폴딩부(400)의 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프레임부(100)에 결합된다.
거치대(200)는 프레임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대(200)는 후단이 프레임부에 힌지 결합되고, 거치대(200)의 전단이 이동하며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대(200)의 기울기는 가변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류에 적합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200)는 상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거치대(200)의 중앙은 좌측단 또는 우측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또한, 거치대(200)의 중앙은 전단 또는 후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의류가 거치대(200)에 거치될 때, 의류는 중앙에서 전방/후방/좌측방/우측방으로 자연스럽게 처지면서 주름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거치대(200)의 상측 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거치대(200)는 제1곡률(C1) 및 제2곡률(C2)을 갖는 이중 굴곡 구조를 가진다.
거치대(2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1곡률(C1)을 가지고, 좌우 방향을 따라 제2곡률(C2)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의류가 후방으로 인입되는 동안 의류에 주름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거치대(200)는 돌출부(250)를 갖는다. 돌출부(250)는 의류가 거치될 때 주름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돌출부(25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단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돌출부(250)의 근처에서 의류는 중앙이 양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바, 중앙과 양단 사이에 장력이 발생하므로,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류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의류가 돌출부(250)의 전단에 걸려 장력이 발생하는 바, 의류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거치대(200)는 거치대 바디(210), 거치대 측벽(220), 소매지지부(230) 및 소매접힘부(240)를 포함한다.
거치대 바디(210)는 상부면에 의류를 거치한다. 거치대 바디(210)는 전방/후방/좌측방/우측방으로 연장된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 바디(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거치대 바디(210)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1곡률(C1)을 가지고, 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제2곡률(C2)을 가진다. 제1곡률(C1)에 의한 가상의 곡선과 제2곡률(C2)에 의한 가상의 곡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직교할 수 있다.
거치대 측벽(220)은 거치대 바디(210)의 일 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거치대 측벽(220)은 거치대 바디(210)의 양 단에 형성된다.
거치대 측벽(220)은 거치대 바디(21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소매지지부(230)는 거치대 바디(210)의 일 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의류의 일 측단을 지지한다.
소매지지부(230)는 거치대 바디(210)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더욱 돌출된다.
소매지지부(230)는 중앙이 전단 또는 후단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소매지지부(230)는 상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소매지지부(230)는 의류의 양 단을 지지하여, 의류의 양 단과 정중앙 사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의류는 단면이 W-형상으로 배치되면서, 의류에 불필요한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용이하게 접히게 된다. 특히, 의류가 상의인 경우, 소매지지부(230)는 소매를 지지하는 바, 소매의 손목부위까지 평평하게 위치시켜, 소매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한다.
소매접힘부(240)는 거치대 측벽(220)의 일 측에서 내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의류가 거치대 바디(210)를 통과할 때, 의류의 일 측단을 접는다.
거치대 바디(210)에 거치된 의류는 폴딩부(400)를 향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의류가 소매접힘부(240)를 통과할 때, 의류의 일 측단은 소매접힘부(240)의 측벽을 따라서 점점 상승하며, 단면이 U-형상으로 된다. 그 후, 의류의 일 측단은 내측을 향하여 낙하하고, 의류의 좌측면 일부 또는 우측면 일부가 의류의 나머지 부분에 포개지며 접힌다.
특히, 의류가 상의인 경우, 상의의 소매가 소매접힘부(240)에 의하여 상의의 몸통에 접히게 된다. 따라서, 폴딩부(400)에서는 몸통만을 집중적으로 접으면 되고 소매를 따로 접을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의류를 접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의류 폴딩 머신(1)은 로딩부(300)를 포함한다. 로딩부(300)는 의류를 인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로딩부(300)는 거치대(200)를 따라 투입된 의류를 폴딩부(400)로 운반하는 구성요소이다.
로딩부(300)는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의류가 거치대(200)에 거치되면 의류의 일 측을 고정하고 폴딩부(400)로 운반한다.
로딩부(300)는 로딩부 바디(310), 그리퍼(320), 구동 어셈블리(330) 및 센서부(340)를 포함한다.
로딩부 바디(310)는 로딩부(3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로딩부 바디(310)는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퍼(320)는 의류를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퍼(320)는 로딩부 바디(310)에 배치되고, 로딩부 바디(310)에 의류를 고정한다.
그리퍼(320)는 거치대(200)에 거치된 의류를 집어서, 의류를 로딩부 바디(310)에 고정한다. 그리퍼(320)는 폴딩부(400)로 이동된 의류의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퍼(320)는 하부판(321), 상부판(322)을 포함한다. 하부판(321)과 상부판(322)은 의류에 밀착되어, 의류를 로딩부 바디(310)에 고정한다.
하부판(321)은 로딩부 바디(310)에 고정 결합되고, 의류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하부판(321)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의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하부판(321)은 거치대 바디(21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판(321)은 제1곡률(C1)을 가질 수 있다.
상부판(322)은 하부판(321)의 상부에 배치되고, 로딩부 바디(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상부판(322)은 하부판(321)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판(322)은 제1곡률(C1)을 가질 수 있다.
상부판(322)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판(322)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하부판(321)과 함께 의류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판(322)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의류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의류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부판(322)의 하부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의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부판(32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구동 어셈블리(330)는 로딩부 바디(310)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동 어셈블리(330)는 프레임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어셈블리(330)는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는 의류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다.
구동 어셈블리(330)는 로딩부 구동모터(331) 및 래크(334)를 포함한다.
로딩부 구동모터(331)는 로딩부 바디(310)에 배치된다. 로딩부 구동모터(331)는 그리퍼(320)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생성한다. 로딩부 구동모터(331)는 로딩부 바디(310)에 결합되어, 로딩부 바디(310)와 함께 이동한다.
로딩부 구동모터(331)는 샤프트를 구비하며, 샤프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가 결합된다. 기어는 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한다.
래크(334)는 프레임부에 배치되고, 의류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고, 피니언(333)에 연결된다.
래크(334)에는 피니언이 치합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이 회전하는 경우, 피니언 및 로딩부 바디(310)는 래크(334)의 연장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피니언은 로딩부 바디(310)의 양 단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래크(334)도 로딩부 바디(310)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340)는 로딩부(3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부(340)는 프레임부(10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40)는 래크(334)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340)는 제1로딩감지센서(341), 제2로딩감지센서(342) 및 제3로딩감지센서(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딩감지센서(341)는 로딩부(300)가 전방으로 한계이동한 때 로딩부(3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때, 그리퍼(320)가 작동되어 의류를 로딩부 바디(310)에 고정할 수 있다.
제3로딩감지센서(343)는 로딩부(300)가 후방으로 한계이동한 때 로딩부(3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제2로딩감지센서(342)는 제1로딩감지센서(341)와 제3로딩감지센서(343) 사이에 배치된다. 제2로딩감지센서(342)는 로딩부(3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그리퍼(320)가 작동되어 의류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폴딩부(400)는, 로딩부(200)를 통해 인입된 의류를 이송하고 접는 기능을 수행한다.
폴딩부(400)는 프레임부(100) 내부에 배치되고, 폴딩 플레이트(410, 420), 연동 플레이트(430), 제1 연동 링크(440), 제2 연동 링크(450), 링크 플레이트(460, 470), 폴딩 컨베이어(480, 49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폴딩부(400)는 폴딩 플레이트(410, 420)의 회전에 의하여 의류를 접을 수 있고,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회전(순환)에 의하여 의류를 이송하면서 접을 수 있다.
폴딩 플레이트(410, 420)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외곽에 배치된다. 따라서, 로딩부(200)를 통하여 인입된 의류(C)의 중앙부(예를 들어, 티셔츠의 가슴 부분)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 위에 놓이고, 의류(C)의 단부(예를 들어, 티셔츠의 소매 또는 옆구리 부분 또는 밑단 부분)는 폴딩 플레이트(410, 420) 위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폴딩 플레이트(410, 420)의 회전에 의하여 의류(C)의 단부가 접힐 수 있고,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회전에 의하여 의류(C)의 중앙부를 접거나 의류(C)를 이송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폴딩 플레이트(410, 420)는 링크 플레이트(460, 4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하여 의류(C)를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폴딩 플레이트(410, 420)는 제1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의류(C)를 접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제1 회전축(A1)과 수직한 제2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의류(C)를 접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를 포함한다.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좌우 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의류(C)의 좌우측 단부를 의류(C)의 중앙 쪽으로 접을 수 있다. 편의상,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 중 좌측에 배치된 것을 제1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a)라 부를 수 있고, 우측에 배치된 것을 제2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b)라고 부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좌우가 바뀔 수 있다.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와 링크 결합되고,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는 폴딩 베이스(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는 제1 회전축(A1)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는 제1 회전축(A1)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와 함께 또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와 별도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전방에 배치되고, 의류(C)의 후단을 의류(C)의 중앙 쪽(예를 들어, 상의의 몸통 쪽)으로 접을 수 있다.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는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와 링크 결합되고,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는 폴딩 베이스(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는 제2 회전축(A2)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는 제2 회전축(A2)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와 함께 또는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와 별도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연동 플레이트(430)는 세로 접기 폴딩 플레이트(410) 또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연동 플레이트(430)는 제1 연동 링크(440)를 통하여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연결될 수 있다. 연동 플레이트(430)는 제2 연동 링크(450)를 통하여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동 플레이트(430)는 제1 연동 링크(440)와 링크 결합되고, 제1 연동 링크(440)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링크 결합된다. 따라서,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가 회전되면, 연동 플레이트(430)도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연동 플레이트(430)는 제2 연동 링크(450)와 링크 결합되고, 제2 연동 링크(450)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링크 결합된다. 따라서,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가 회전되면, 연동 플레이트(430)도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연동 플레이트(430)는 연동 플레이트 바디(431), 제1 연동 링크 결합부(432) 및 제2 연동 링크 결합부(433)를 포함한다.
연동 플레이트 바디(43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동 플레이트 바디(431)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연동 플레이트 바디(431)의 일 방향 폭은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의 단축 방향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동 플레이트 바디(431)의 일 방향과 수직한 연동 플레이트 바디(431)의 타 방향 폭은 폴딩 플레이트 바디(421)의 단축 방향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연동 플레이트(430)는 세로 접기 폴딩 플레이트(410) 또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함께 회전될 때, 접는 선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제1 연동 링크 결합부(432)는 연동 플레이트 바디(431)의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 방향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1 연동 링크(440)와 링크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 연동 링크 결합부(432)는 연동 플레이트 바디(431)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을 갖는 한 쌍의 프레임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제1 연동 링크(440)의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4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다.
제2 연동 링크 결합부(433)는 연동 플레이트 바디(431)의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 방향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2 연동 링크(450)와 링크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2 연동 링크 결합부(433)는 연동 플레이트 바디(431)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을 갖는 한 쌍의 프레임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제2 연동 링크(450)의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5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다.
연동 링크(440, 450)는 폴딩 플레이트(410, 420)와 연동 플레이트(4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연동 링크(440, 450)는 제1 연동 링크(440) 및 제2 연동 링크(450)를 포함한다.
제1 연동 링크(440)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연동 플레이트(4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연동 링크(440)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연동 플레이트(43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연동 링크(440)는 제1 연동 링크 바디(441),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42) 및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4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연동 링크 바디(441)는 의류 폴딩 머신(1)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죽하게 형성된 블럭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연동 링크 바디(441)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42) 및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43)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42)는 제1 연동 링크 바디(441)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에 형성된 링크 결합부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42)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링크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42)는 상기 링크 결합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43)는 제1 연동 링크 바디(441)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1 연동 링크 결합부(432)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43)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제1 연동 링크 결합부(432)에 형성된 결합홀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43)는 제1 연동 링크 결합부(432)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42)는, 연동 플레이트(430)보다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에 가깝게 배치된다.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43)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보다 연동 플레이트(430)에 가깝게 배치된다.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42)는, 제2 회전축(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1 연동 링크(440)는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와 함께 제2 회전축(A2)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2 연동 링크(450)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연동 플레이트(4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연동 링크(450)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연동 플레이트(43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연동 링크(450)는 제2 연동 링크 바디(451), 가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52) 및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5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연동 링크 바디(451)는 의류 폴딩 머신(1)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죽하게 형성된 블럭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2 연동 링크 바디(451)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52) 및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53)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52)는 제2 연동 링크 바디(451)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에 형성된 링크 결합부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가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52)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링크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52)는 상기 링크 결합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53)는 제2 연동 링크 바디(451)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2 연동 링크 결합부(433)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53)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제2 연동 링크 결합부(433)에 형성된 결합홀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53)는 제2 연동 링크 결합부(433)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가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52)는, 연동 플레이트(430)보다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에 가깝게 배치된다. 연동 플레이트 결합 돌기(453)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보다 연동 플레이트(430)에 가깝게 배치된다.
가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452)는, 제1 회전축(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2 연동 링크(450)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와 함께 제1 회전축(A1)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링크 결합되고, 제1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는 링크 플레이트 바디(461), 힌지부(462) 및 결합 돌기(463)를 포함한다.
링크 플레이트 바디(461)는 소정 두께의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링크 플레이트 바디(461)는 사각 평판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링크 플레이트 바디(461)의 장축 방향 폭은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의 장축 방향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그리고, 링크 플레이트 바디(461)의 단축 방향 폭은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의 단축 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힌지부(462)는 링크 플레이트 바디(461)의 일측에 형성되고, 폴딩 베이스(5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플레이트 바디(461)의 일측은 폴딩 컨베이어(480, 490)가 배치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힌지부(462)는 링크 플레이트 바디(461)의 일측 단부에서부터 타측을 향하여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 상에 형성되고, 상기 홈의 양 측벽을 연결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부(462)는 링크 플레이트 바디(46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도 폴딩 베이스(5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힌지부(462)를 축으로 하여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의류를 접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의류가 링크 플레이트(460)에 끼어 의류에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부(462)는 제1 회전축(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돌기(463)는 링크 플레이트 바디(461)의 장축 방향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 돌기(463)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에 형성된 링크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는 힌지부(462)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는 결합 돌기(463)를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링크 결합되고, 제2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는 링크 플레이트 바디(471), 힌지 돌기(472) 및 결합 돌기(473)를 포함한다.
링크 플레이트 바디(471)는 소정 두께의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링크 플레이트 바디(471)는 사각 평판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링크 플레이트 바디(471)의 장축 방향 폭은 폴딩 플레이트 바디(421)의 장축 방향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그리고, 링크 플레이트 바디(471)의 단축 방향 폭은 폴딩 플레이트 바디(421)의 단축 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힌지 돌기(472)는 링크 플레이트 바디(471)의 장축 방향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폴딩 베이스(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돌기(472)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폴딩 베이스(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 돌기(472)는 제2 회전축(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돌기(473)는 링크 플레이트 바디(471)의 장축 방향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 돌기(473)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에 형성된 링크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는 힌지 돌기(472)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는 결합 돌기(473)를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폴딩 컨베이어(480, 490)는 의류(C)를 이송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폴딩 컨베이어(480, 490)는 의류(C)를 이송시키면서 접을 수 있다.
폴딩 컨베이어(480, 490)는 제1 폴딩 컨베이어(480) 및 제2 폴딩 컨베이어(490)를 포함한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의류(C)를 이송시킬 수 있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로딩부(200)를 통과한 의류(C)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제1 컨베이어 모터(MC1)에 연결되어 제1 컨베이어 모터(MC1)가 제공하는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벨트를 포함하고, 벨트는 기어를 통하여 제1 컨베이어 모터(MC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컨베이어 모터(MC1)가 작동되면, 제1 컨베이어 모터(MC1)의 구동력에 의하여 벨트가 순환하면서 의류를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한 쌍의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제2 폴딩 컨베이어(49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제2 폴딩 컨베이어(490)와 지지 플레이트(5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의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의 벨트의 상측 면에 의류(C)가 올려져 이송될 수 있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가 의류를 전방으로 이송시킬 때에는, 제1 폴딩 컨베이어(480)의 벨트의 상측 면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고, 벨트의 하측 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가 의류를 후방으로 이송시킬 때에는, 제1 폴딩 컨베이어(480)의 벨트의 상측 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고, 벨트의 하측 면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1 컨베이어 모터(MC1)가 작동되면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로딩부(200)를 통과한 의류(C)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 및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가 회전된 후, 제1 컨베이어 모터(MC1)는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 M3)를 작동시킨 후, 제1 컨베이어 모터(MC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 및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가 회전 작동된 후, 제1 폴딩 컨베이어(480)가 회전하면서 의류(C)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함께 의류(C)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함께 의류(C)를 이송시키면서 접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제2 컨베이어 모터(MC2)에 연결되어 제2 컨베이어 모터(MC2)가 제공하는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벨트를 포함하고, 벨트는 기어를 통하여 제2 컨베이어 모터(MC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컨베이어 모터(MC2)가 작동되면, 제2 컨베이어 모터(MC2)의 구동력에 의하여 벨트가 순환하면서 의류를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한 쌍의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제1 폴딩 컨베이어(48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의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벨트의 상측 면에 의류(C)가 올려져 이송될 수 있다.
제2 폴딩 컨베이어(490)가 의류를 전방으로 이송시킬 때에는,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벨트의 상측 면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고, 벨트의 하측 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제2 폴딩 컨베이어(490)가 의류를 후방으로 이송시킬 때에는,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벨트의 상측 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고, 벨트의 하측 면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2 컨베이어 모터(MC2)가 작동되면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로딩부(200)를 통과한 의류(C)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 및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가 회전된 후, 제2 컨베이어 모터(MC2)는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 M3)를 작동시킨 후, 제2 컨베이어 모터(MC2)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 및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가 회전 작동된 후, 제2 폴딩 컨베이어(490)가 회전하면서 의류(C)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서로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순환)될 수 있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순환)하여 의류(C)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순환)하여 의류(C)를 접을 수 있다. 즉,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의류를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폴딩 컨베이어(480)가 의류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제2 폴딩 컨베이어(490)가 의류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면, 의류가 접힐 수 있다.
한편,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컨베이어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샤프트를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샤프트는 제1 폴딩 컨베이어(480) 중에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폴딩 컨베이어(480)의 전측 단부는 호를 그리며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폴딩 컨베이어(480)의 전측 단부는 높이 변화 가능하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제1 컨베이어 이동 모터(MR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폴딩 컨베이어(480)는 제1 컨베이어 이동 모터(MR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폴딩 컨베이어(480)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컨베이어 이동 모터(MR1)가 작동되면, 제1 폴딩 컨베이어(480)의 전측 단부는 하방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폴딩 컨베이어(480)의 회전에 의하여 제1 폴딩 컨베이어(480)의 전측 단부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후측 단부 사이의 간격이 점차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1 폴딩 컨베이어(480) 위에 올려진 의류는 제1 폴딩 컨베이어(480)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 사이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의류에 대한 가로 접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컨베이어 샤프트(491)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샤프트(491)를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샤프트(491)는 제2 폴딩 컨베이어(49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후측 단부는 호를 그리며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후측 단부는 높이 변화 가능하다.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제2 컨베이어 이동 모터(MR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폴딩 컨베이어(490)는 제2 컨베이어 이동 모터(MR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폴딩 컨베이어(490)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컨베이어 이동 모터(MR2)가 작동되면,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후측 단부는 하방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회전에 의하여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후측 단부와 제1 폴딩 컨베이어(480)의 전측 단부 사이의 간격이 점차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2 폴딩 컨베이어(490) 위에 올려진 의류는 제2 폴딩 컨베이어(490)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 사이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의류에 대한 가로 접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의류 폴딩 머신(1)은 프레임부(100)에 결합되고, 폴딩 플레이트(410, 420), 링크 플레이트(460, 470) 및 폴딩 컨베이어(480, 490)가 결합되는 폴딩 베이스(5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폴딩 베이스(500)에는 링크 플레이트(460, 470)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폴딩 베이스(500)에는 폴딩 플레이트(410, 420)의 구동 디스크(412, 4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폴딩 베이스(500)은 베이스 바디(510), 측면 커버 프레임(520), 지지 플레이트(530), 결합 프레임(540), 폴딩 가이드벽(550) 및 상면 커버 프레임(560)을 포함한다.
베이스 바디(510)는 프레임부(100)에 결합되고, 폴딩부(400)의 하측을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 바디(510)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1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바디(510)의 좌우 방향 양측 단부에는 측면 커버 프레임(520)이 결합된다. 그리고, 베이스 바디(510)에서 상측으로 복수 개의 결합 프레임(540)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바디(510)의 후방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530)가 결합된다. 그리고, 베이스 바디(510)에는 내부에 폴딩 컨베이어(480, 490)를 수용하는 폴딩 가이드벽(550)이 돌출 형성된다. 폴딩 가이드벽(550)은 측면 커버 프레임(520)의 내측에 형성된다.
측면 커버 프레임(520)은 베이스 바디(510)의 좌우 방향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폴딩부(4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일 예로, 측면 커버 프레임(520)은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측면 커버 프레임(520)은 전후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태로 길게 형성되되, 측면 커버 프레임(520)의 상측 단부는 상면 커버 프레임(560)과 결합되어, 베이스 바디(51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측면 커버 프레임(520)과 베이스 바디(510)가 결합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에 폴딩 플레이트(410, 420), 연동 플레이트(430), 연동 링크(440, 450), 링크 플레이트(460, 470) 및 폴딩 컨베이어(480, 49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30)는 베이스 바디(51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530)는 측면 커버 프레임(520)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30)의 적어도 일부는 측면 커버 프레임(520) 및 폴딩 컨베이어(480, 49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지지 플레이트(530)의 내부에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폴딩 머신을 상측에서 바라볼 때, 지지 플레이트(53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함몰된 공간에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30)에는 의류의 적어도 일부가 올려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530)는 의류(C)를 접는 동안, 의류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530)의 후측 단부는 하방 경사진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의류(C)가 지지 플레이트(530)에 지지되는 과정에서 의류(C)에 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30)의 상측 면은 측면 커버 프레임(520)의 상측 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530)의 상측 면은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상측 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540)은 베이스 바디(510)의 상측 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고, 폴딩 플레이트(410, 420) 및 폴딩 컨베이어(480, 49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프레임(540)은 링크 결합 프레임(541), 컨베이어 결합 프레임(542) 및 디스크 결합 프레임(543)을 포함한다.
링크 결합 프레임(541)은 베이스 바디(510)의 상측 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술할 제2 링크(414, 424)가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링크 결합 프레임(541)은 제2 링크(414, 424)가 회전되는 축을 지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 결합 프레임(542)은 폴딩 컨베이어(480, 490)와 결합되어, 폴딩 컨베이어(480, 49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결합 프레임(542)은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컨베이어 샤프트(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크 결합 프레임(543)은 구동 디스크(412, 422) 및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 M3)와 결합되어, 구동 디스크(412, 422)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폴딩 가이드벽(550)은 베이스 바디(510)에서 상측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폴딩 컨베이어(480, 49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폴딩 가이드벽(550)은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좌우 방향 양측 및 전방을 둘러싸는 벽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폴딩 가이드벽(550)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벽 및 상기 한 쌍의 벽을 연결하는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딩 가이드벽(55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은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마주보는 한 쌍의 벽의 간격은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좌우 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폴딩 가이드벽(550)의 돌출 높이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하측 면과 베이스 바디(510)의 상측 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폴딩이 종료된 의류(C)가 이송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하측 면과 베이스 바디(510)의 상측 면 사이에는 공간은 '언로딩 공간'이라고 부를 수 있다.
한편, 폴딩 가이드벽(550)에는 링크 플레이트(460, 47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가이드벽(550)에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의 힌지부(462) 및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의 힌지 돌기(47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551)이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링크 결합 프레임(541)은 링크 플레이트(460, 470)가 회전되는 축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폴딩 가이드벽(550)을 기준으로 링크 플레이트(460, 470)이 회전되므로 의류(C)에 대하여 접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의류(C)는 폴딩 가이드벽(550)을 따라 접는 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폴딩 플레이트(410, 420)의 세부 구성 및 폴딩 플레이트(410, 42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딩 플레이트(410, 420)는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 구동 디스크(412, 422), 제1 링크(413, 423), 제2 링크(414, 424), 제3 링크(415, 425), 제4 링크(416, 426) 및 링크 샤프트(417, 427)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폴딩 플레이트(410, 420)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 및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를 포함한다. 한편,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의 구성은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구성을 원용할 수 있다.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에 의하여 의류(C)의 좌우 방향 일부(예: 소매 또는 옆구리 부분)을 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의류(C)의 일부가 올려질 수 있고,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가 회전되면서 올려져 있던 의류(C)의 일부를 의류(C)의 중심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구동 디스크(412, 422)는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 M3)의 구동에 따라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 M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디스크(412, 422)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구동 디스크(412, 422)의 중심에는 샤프트가 구비되어 기어를 통하여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 M3)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 M3)는 제1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제2 폴딩 플레이트 모터(M2) 및 제3 폴딩 플레이트 모터(M3)을 포함하고, 좌우 한 쌍 구비된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구동 디스크(412)는 각각 제1 폴딩 플레이트 모터(M1)와 제2 폴딩 플레이트 모터(M2)에 연결될 수 있고,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의 구동 디스크(422)는 제3 폴딩 플레이트 모터(M3)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디스크(412, 422)는 제1 링크(413, 423)와 링크 결합된다. 예를 들어, 원판 형태의 구동 디스크(412, 422)의 중심에서 소정 반경을 갖는 위치에 원기둥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는 제1 링크(413, 4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링크(413, 423)는 구동 디스크(412, 422)에 이심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구동 디스크(412, 422)가 회전하면, 상기 돌기는 구동 디스크(412, 422)를 따라 회전하면서 주기적으로 위치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링크(413, 423)는 구동 디스크(412, 422)와 제2 링크(414, 424)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413, 423)는 길죽한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측은 구동 디스크(412, 422)와 링크 결합되는 디스크 결합홀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측은 제2 링크(414, 424)와 링크 결합되는 링크 결합홀이 형성된다. 한편, 제1 링크(413, 423)는 1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413, 423)는 상기 디스크 결합홀과 상기 링크 결합홀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폴딩 가이드벽(5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솟아 오른 막대 형태일 수 있다('부메랑' 형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1 링크(413, 423)는 구동 디스크(412, 422)의 회전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2 링크(414, 424)를 폴딩 가이드벽(550)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제2 링크(414, 424)는 제1 링크(413, 423), 제3 링크(415, 425), 제4 링크(416, 426), 링크 샤프트(417, 427) 및 링크 결합 프레임(541)에 적어도 2이상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링크(414, 424)는 길죽한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측에는 프레임 결합부(414a)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측에는 샤프트 결합부(414b)가 형성되며, 프레임 결합부(414a)와 샤프트 결합부(414b) 사이에는 제1 링크 결합부(414c)가 형성되고, 제1 링크 결합부(414c)와 프레임 결합부(414a) 사이에는 제3 링크 결합부(414d)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링크(414, 424)는 하나의 폴딩 플레이트(410, 420)에서 적어도 2개 구비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링크(413, 423)와 링크 결합되며, 적어도 나머지 하나는 제3 링크(415, 425)가 링크 결합된다. 또한, 제2 링크(414, 424)의 일측 단부는 링크 결합 프레임(54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축이 고정되고, 제2 링크(414, 424)의 타측 단부는 링크 샤프트(417, 427)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어,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 M3)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링크(414, 424)는 링크 샤프트(417, 427)를 통하여 제4 링크(416, 426)와 연결된다.
제3 링크(415, 425)는 제2 링크(414, 424)와 링크 플레이트(460, 470)를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제3 링크(415, 425)는 길죽한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측은 제2 링크(414, 424)와 샤프트 또는 핀을 통하여 링크 결합되고, 길이 방향 타측은 링크 플레이트(460, 470)(구체적으로, 링크 플레이트(460, 470)에서 의류가 접촉되는 면의 이면)와 링크 결합된다. 한편, 제3 링크(415, 425)는 1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링크(415, 425)는 제1 링크(413, 423)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3 링크(415, 425)는 구동 디스크(412, 422)의 회전에 따라 안정적으로 링크 플레이트(460, 470)를 폴딩 컨베이어(480, 490) 방향으로 밀 수 있다.
한편, 제3 링크(415, 425)의 최대 길이는 제2 링크(416, 426)의 최대 길이보다 짧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폴딩 플레이트(410, 420)가 링크 플레이트(460, 470)보다 의류(C)의 중심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의류의 소매 또는 옆구리 부분 등을 정확하게 접을 수 있다.
제4 링크(416, 426)는 링크 샤프트(417, 427)와 폴딩 플레이트(410, 420)를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제4 링크(416, 426)는 길죽한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측은 링크 샤프트(417, 427)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고, 길이 방향 타측은 폴딩 플레이트(410, 420)(구체적으로, 폴딩 플레이트(410, 420)에서 의류가 접촉되는 면의 이면)와 링크 결합된다.
한편, 베이스 바디(510)의 상측 면에는 제1 링크(413, 423)가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링크(413, 423)와 접촉되는 댐퍼(418)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418)는 베이스 바디(510)의 상측 면 또는 디스크 결합 프레임(543)에 결합되고, 베이스 바디(510)의 상측 면을 기준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되, 제1 링크(413, 423)를 수용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1 링크(413, 423)가 구동 디스크(412, 42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위치되는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링크(413, 423)의 일측 단부와 접촉될 수 있고, 제1 링크(413, 423)이 회전 중에 멈추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바디(510)에는 플레이트 위치 센서(S1, S2, S3)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위치 센서(S1, S2, S3)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위치 센서(S1, S2, S3)는 제1 플레이트 위치 센서(S1), 제2 플레이트 위치 센서(S2) 및 제3 플레이트 위치 센서(S3)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위치 센서(S1, S2, S3)는 링크 샤프트(417, 427)와 접촉하여, 폴딩 플레이트(410, 4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위치 센서(S1, S2, S3)는 링크 샤프트(417, 427)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서 지면에 가장 가까울 때 위치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샤프트(417, 427)가 최대한 지면에 가깝게 내려올 경우, 플레이트 위치 센서(S1, S2, S3)는 링크 샤프트(417, 427)와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 한 쌍 구비된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링크 샤프트(417)는 각각 제1 플레이트 위치 센서(S1) 및 제2 플레이트 위치 센서(S2)에 접촉될 수 있고,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의 링크 샤프트(427)는 제3 플레이트 위치 센서(S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 위치 센서(S1, S2, S3)는 링크 샤프트(417, 427)의 접촉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정보)를 제어부(500)에 송신할 수 있다.
의류에 대한 접기가 시작되기 전에는,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 및 링크 플레이트(460, 470)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높이 배치된다. 이 경우,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 M3)는 정지해 있고, 제1 링크(413, 423)는 제1 링크(413, 423)의 회전 경로 중에서 지면에 가장 가까운 위치(이하에서는, 이 상태를 '초기 위치(P1)'라고 부를 수 있다.)에 배치되며, 링크 샤프트(417, 427)도 이동 경로 중에서 지면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플레이트 위치 센서(S1, S2, S3)는 링크 샤프트(417, 427)의 접촉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500)에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링크(413, 423)가 초기 위치(P1)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1 링크(413, 423)은 댐퍼(418)와 접촉되어 지지 및 수용될 수 있다(도 7 및 도 8).
의류에 대한 접기가 시작되면,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 M3)가 작동되고, 그에 따라 구동 디스크(412, 422)가 회전한다. 구동 디스크(412, 422)가 회전하면, 구동 디스크(412, 422)에 이심되게 결합된 제1 링크(413, 423)의 일측 단부는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제1 링크(413, 423)의 일측 단부가 회전되면서 제1 링크(413, 423)의 일측 단부는 원호를 그리며 이동된다. 이때, 제2 링크(414, 424)와의 결합으로 인하여 이동 경로가 구속되어 있는 제1 링크(413, 423)의 타측 단부 또한 이동된다. 그리고, 일측이 결합 프레임(540)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는 제2 링크(414, 424)는, 제1 링크(413, 423)에 의하여 제1 링크 결합부(414c) 및 샤프트 결합부(414b)도 이동된다. 또한, 제3 링크(415, 425)는 링크 플레이트(460, 470)를 밀어 회전시킨다(도 10 참조). 또한, 샤프트 결합부(414b)에 결합된 제4 링크(416, 426)는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를 밀어 회전시킨다. 이때, 제4 링크(416, 426)의 타측 단부는 제3 링크(415, 425)의 타측 단부보다 의류 폴딩 머신(1)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11 참조). 결과적으로,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 M3)가 작동되면, 링크 플레이트(460, 470) 및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는 회전한다.
한편, 제1 링크(413, 423)의 일측 단부가 소정 폴딩 위치(P2)에 도달할 때까지, 링크 플레이트(460, 470) 및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 링크(413, 423)의 일측 단부가 소정 폴딩 위치(P2)를 통과할 경우, 링크 플레이트(460, 470) 및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제1 링크(413, 423)의 회전 방향은 초기 위치(P1)를 기준으로 폴딩 컨베이어(480, 490)에 가까워진 후 멀어지는 방향이다. 이때, 초기 위치(P1)와 폴딩 위치(P2)는 제1 링크(413, 423)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각도의 차이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위치(P1)와 폴딩 위치(P2)는 제1 링크(413, 423)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130도 이상 150도 이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링크 플레이트(460, 470) 및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가 의류를 접도록 회전되는 시간이, 링크 플레이트(460, 470) 및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시간보다 짧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링크 플레이트(460, 470) 및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 421)가 의류를 강하게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링크(413, 423)의 일측 단부가 초기 위치(P1)로 상대적으로 천천히 복귀하여 댐퍼(418)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링크 샤프트(417, 427)가 상대적으로 천천히 이동되어 플레이트 위치 센서(S1, S2, S3)가 링크 샤프트(417, 427)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500)는 로딩부(300) 및 폴딩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입력부(도면 미기재)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의류 폴딩 머신(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부(500)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의류의 종류 또는 폴딩 코스를 선택하여, 작동 등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의류 폴딩 머신(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입력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알람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의류 폴딩 머신(1)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알람부(미도시)에 송신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변환하여 로딩부(300) 및 폴딩부(400)에 공급하는 전력변환부 및 전력변환부로부터 로딩부(300) 및 폴딩부(400)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미리 입력되어 있거나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로딩부(200) 및 폴딩부(400)와 전기 또는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로딩부(300)의 로딩부 구동모터(331)에 대하여 구동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로딩부(300)의 제1 로딩 감지 센서(341), 제2 로딩 감지 센서(342) 및 제3 로딩 감지 센서(343)로부터 그리퍼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제어부(500)는 폴딩부(400)의 복수 개의 모터(MC1, MC2, MR1, MR2, M1, M2, M3)에 대하여 구동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폴딩부(400)에 구비된 센서(S1, S2, S3)로부터 폴딩 플레이트(410, 420)가 초기 위치(P1)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제어부(500)는 폴딩부(400)의 제1 컨베이어 모터(MC1), 제1 컨베이어 이동 모터(MR1), 제2 컨베이어 모터(MC2) 및 제2 컨베이어 이동 모터(MR2)에 대하여 구동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제어부(500)는 의류(C)에 대한 세로 접기 또는 가로 접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500)의 구체적인 제어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이 적용되어 의류를 폴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1)이 의류를 폴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은 로딩 단계(S10), 세로 접기 단계(S20), 가로 접기 단계(S30) 및 언로딩 단계(S40)를 포함한다.
로딩 단계(S10)에서는 의류(C)가 프레임부(100) 내부로 로딩된다.
로딩 단계(S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의류가 거치대(200) 위에 로딩되고, 프레임부(100) 내부를 향하여 넣어질 수 있다. 특히, 의류가 상의인 경우, 상의의 소매가 소매접힘부(240)에 의하여 상의의 몸통에 접히게 된다.
로딩 단계(S10)에서 의류가 거치대(200) 및 하부판(321) 위에 올려지고, 상부판(322)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하부판(321)과 함께 의류를 고정할 수 있다.
로딩 단계(S10)에서 제어부(500)는, 로딩부 바디(310)가 제1 로딩 감지 센서(341)가 배치된 위치에서 로딩부 구동 모터(331)의 작동을 시작하여 로딩부 바디(310)가 레크(334)를 따라 직선 이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로딩부 바디(310)가 제2 로딩 감지 센서(342)가 배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제2 로딩 감지 센서(34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부판(322)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부판(322)에 구비된 모터(미도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로딩부 바디(310)가 제3 로딩 감지 센서(343)가 배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제3 로딩 감지 센서(34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폴딩부(400)의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로딩 단계(S10) 후에는, 의류(C)가 폴딩부(400) 위에 놓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 단계(S10) 후에는, 의류(C)가 폴딩 컨베이어(480, 490), 폴딩 플레이트(410, 420) 및 링크 플레이트(460, 470) 위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C)의 중앙부(예를 들어, 티셔츠의 몸통 중앙 부분)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 위에 놓이고, 의류(C)의 단부(예를 들어, 티셔츠의 소매 또는 옆구리 부분 또는 밑단부)는 폴딩 플레이트(410, 420) 위에 놓일 수 있다.
로딩 단계(S10) 후,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를 작동시켜 의류(C)를 세로 접기한다. 여기서 세로 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한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평행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 제어부(500)는,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를 작동시켜,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가 작동되면, 구동 디스크(412)가 회전되고, 구동 디스크(412)의 회전에 따라 제1 링크(413)가 원호를 그리며 회전되며, 제1 링크(413)의 이동에 따라 제2 링크(414), 제3 링크(415), 제4 링크(416)가 이동되어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 및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는 지면과 수직에 가깝게 배치되고,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를 넘어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연직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가 의류(C)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한 기준선을 잡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에 의하여 의류(C)의 두께와 무관하게 세로 접기를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의류 폴딩 머신이 폴딩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의류를 접는 경우에, 스웨터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의류에 대해서는 폴딩 플레이트가 충분히 회전되지 못하면서 의류가 접힌 모양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가 회전되면서 두꺼운 의류에 대해서도 기준선의 틀을 잡아 유지시키고,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가 충분히 회전하여 의류의 단부를 접을 수 있다.
한편,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가 회전되면, 제1 연동 링크(440)를 통하여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연결된 연동 플레이트(430)가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와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면적보다 확장된 면적을 회전시켜 의류를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의류를 접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고, 크기가 큰 의류에 대해서도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는 한 쌍의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 제어부(500)는 제1 폴딩 플레이트 모터(M1)를 먼저 작동시켜 좌측에 배치된 제1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a)를 회전시킨 후(S21), 제2 폴딩 플레이트 모터(M2)를 작동시켜, 우측에 배치된 제2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b)를 회전시킬 수 있다(S22).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쌍의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소매 또는 옆구리 부분을 차례로 포개어 의류를 깔끔하게 접을 수 있다.
세로 접기 단계(S20) 후, 가로 접기 단계(S30)에서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를 작동시켜 의류(C)를 가로 접기한다. 여기서 가로 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인입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인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수직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9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가로 접기 단계(S30)에서 제어부(500)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의 작동이 종료하면, 제3 폴딩 플레이트 모터(M3)를 작동시켜, 폴딩 플레이트 바디(421)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제3 폴딩 플레이트 모터(M3)가 작동되면, 구동 디스크(422)가 회전되고, 구동 디스크(422)의 회전에 따라 제1 링크(423)가 원호를 그리며 회전되며, 제1 링크(423)의 이동에 따라 제2 링크(424), 제3 링크(425), 제4 링크(426)가 이동되어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 및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의 폴딩 플레이트 바디(421)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는 지면과 수직에 가깝게 배치되고, 폴딩 플레이트 바디(421)의 적어도 일부는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를 넘어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연직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로 접기 단계(S30)에서는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가 의류(C)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인 기준선을 잡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에 의하여 의류(C)의 두께와 무관하게 가로 접기를 할 수 있다.
한편, 가로 접기 단계(S30)에서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가 회전되면, 제2 연동 링크(450)를 통하여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연결된 연동 플레이트(430)가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의 폴딩 플레이트 바디(421)와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로 접기 단계(S30)에서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의 면적보다 확장된 면적을 회전시켜 의류를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의류를 접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고, 크기가 큰 의류에 대해서도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로 접기 단계(S30) 후, 언로딩 단계(S40)에서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를 작동시켜, 의류를 언로딩 공간으로 이송시키면서 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로 접기 단계(S30)가 종료된 상태에서 의류(C)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 위에 올려져 있다. 이때, 의류(C)의 좌우 방향의 폭과 전후 방향의 길이는 일정하게 접혀있다.
언로딩 단계(S40)에서 제어부(500)는 제1 컨베이어 모터(MC1)와 제2 컨베이어 모터(MC2)를 작동시키되,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순환(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작동시킨다.
여기서, 제1 폴딩 컨베이어(480) 및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회전 방향은, 제1 폴딩 컨베이어(480)의 상측 면 및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상측 면이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언로딩 단계(S40)에서 의류(C)는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과하여 언로딩 공간(6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의류(C)가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 사이에서 눌려져 소정 두께로 펴질 수 있다.
한편, 언로딩 단계(S40)에서 제어부(500)는 제1 컨베이어 이동 모터(MR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언로딩 단계(40)에서 제어부(500)는 제2 컨베이어 이동 모터(MR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컨베이어 이동 모터(MR1) 및/또는 제2 컨베이어 이동 모터(MR2)가 작동되면, 제1 폴딩 컨베이어(480) 및/또는 제2 폴딩 컨베이어(49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고,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언로딩 단계(S40)에서는 의류(C)의 두께에 따라,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간격을 변화시켜, 의류(C)를 용이하게 이송시키면서도, 의류(C)를 소정 두께로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도 16 참조).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의류 폴딩 머신
100 : 프레임부
200 : 거치대
300 : 로딩부
400 : 폴딩부
410 : 세로 접기 플레이트
420 : 가로 접기 플레이트
430 : 연동 플레이트
440 : 제1 연동 링크
450 : 제2 연동 링크
460 :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
470 :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
480 : 제1 폴딩 컨베이어
490 : 제2 폴딩 컨베이어
500 : 제어부
600 : 언로딩 공간

Claims (14)

  1. 프레임부;
    의류가 인입되는 로딩부; 및
    인입된 상기 의류를 이송하고 접는 폴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의류를 접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의류를 접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 및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가로 접기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동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와 상기 연동 플레이트를 연결시키는 제1 연동 링크;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가로 접기 플레이트와 상기 연동 플레이트를 연결시키는 제2 연동 링크;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 링크는,
    제1 연동 링크 바디; 및
    상기 제1 연동 링크 바디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는,
    상기 제2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폴딩 머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동 링크는,
    제2 연동 링크 바디; 및
    상기 제2 연동 링크 바디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로 접기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폴딩 머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세로 접기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가로 접기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의류를 이송시키는 제1 폴딩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폴딩 컨베이어와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의류를 접는 제2 폴딩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 컨베이어와 상기 제2 폴딩 컨베이어 사이의 간격은 변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폴딩 머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가로 접기 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세로 접기 폴딩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폴딩 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11. 프레임부;
    의류가 인입되는 로딩부; 및
    인입된 상기 의류를 이송하고 접는 폴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의류를 접는 폴딩 플레이트;
    상기 폴딩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크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폴딩 플레이트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폴딩 플레이트 모터;
    상기 폴딩 플레이트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 디스크;
    상기 구동 디스크와 링크 결합되되 상기 구동 디스크의 중심에서 이심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제1 링크;
    상기 제1 링크와 링크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2 링크의 일측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는 제3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타측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는 제4 링크;
    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링크를 관통하는 링크 샤프트; 및
    상기 링크 샤프트가 소정 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플레이트 위치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제1 링크가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링크와 접촉되는 댐퍼;
    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KR1020220012820A 2022-01-28 2022-01-28 의류 폴딩 머신 KR20230116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820A KR20230116197A (ko) 2022-01-28 2022-01-28 의류 폴딩 머신
PCT/KR2023/001138 WO2023146273A1 (ko) 2022-01-28 2023-01-25 의류 폴딩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820A KR20230116197A (ko) 2022-01-28 2022-01-28 의류 폴딩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197A true KR20230116197A (ko) 2023-08-04

Family

ID=8747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820A KR20230116197A (ko) 2022-01-28 2022-01-28 의류 폴딩 머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6197A (ko)
WO (1) WO20231462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0024C2 (nl) * 2006-03-13 2007-09-14 Johannes Jacobus Mar Oerlemans Vouwinrichting voor het vouwen van textiel of ander vouwbaar materiaal.
KR101784936B1 (ko) * 2016-02-15 2017-10-12 권오기 의류 자동 접이장치
KR102077452B1 (ko) * 2018-11-09 2020-02-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자동 의류 접이 장치
KR102199893B1 (ko) * 2019-04-17 2021-01-08 주식회사 비엠오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KR20210073855A (ko) * 2019-12-11 2021-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273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690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598811B2 (en) Washing machine
WO2019242548A1 (zh) 衣架、叠衣机及叠衣机的控制方法
US20140109344A1 (en) Door hinge
CN1766204B (zh) 具有可竖直打开并可线性运动的门的滚筒式洗衣机
EP2063014A2 (en) Washing machine
KR20200028826A (ko) 의류처리장치
US20210247099A1 (en) Humidification apparatus
EP3351677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30116197A (ko) 의류 폴딩 머신
KR20210114200A (ko) 의류 폴딩 장치
KR102645898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90106826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10073855A (ko) 의류 폴딩 장치
CN111996772B (zh) 一种叠衣机及其控制方法
KR102446189B1 (ko)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 및 세탁물 처기기기의 제어방법
KR20230116196A (ko) 의류 폴딩 머신
KR20230071355A (ko) 의류 폴딩 머신
JP7429769B2 (ja) 衣類処理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1058374A (ja) 洗濯処理液タンク及び洗濯機
KR20090115103A (ko) 드럼식 세탁장치
KR20040056816A (ko) 세탁 장치용 보조 장치
ES2213954T3 (es) Dispositivo de soporte de prendas para una lavadora automatica.
ITPN980058U1 (it) Essicatore domestico migliorato a tamburo rotante ecaricamento frontale
JP2006069695A (ja) ピボテッドバケットコンベ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