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893B1 -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893B1
KR102199893B1 KR1020190044674A KR20190044674A KR102199893B1 KR 102199893 B1 KR102199893 B1 KR 102199893B1 KR 1020190044674 A KR1020190044674 A KR 1020190044674A KR 20190044674 A KR20190044674 A KR 20190044674A KR 102199893 B1 KR102199893 B1 KR 102199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length
width
clothing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996A (ko
Inventor
최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오
Priority to KR102019004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89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 B65B63/04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for folding garments, e.g. stockings, sh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20Packaging garments, e.g. socks, stockings, sh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1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roduct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펼쳐진 의류를 자동으로 접어주고,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CLOTHES FOLDING DEVICE THAT LENGTH OF THE FOLDER IS VARIABLE}
본 발명은 의류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펼쳐진 의류를 자동으로 접어주고,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를 생산하는 공정에는, 의류를 접어서 비닐에 포장하는 포장단계가 있다. 또한, 의류 매장에서는, 흐트러진 옷을 접어서 정리하거나 재포장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의류를 보관하는 방법은 의류를 옷걸이에 걸어서 펼쳐진 상태로 보관하는 방법과 의류를 접어서 보관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를 접어서 보관하는 것은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보관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의 효과도 포함될 것이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520호에는 의류 접이용 포장백에 관한 고안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포장단계는 의류 생산 공정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제품의 생산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의류 생산 공장 또는 의류 매장과 같이 의류를 대량으로 취급하는 곳에서 의류를 자동으로 접어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520호 (2012.07.2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의류를 자동으로 접어주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작동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폴더부를 포함하여, 상기 폴더부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더부는, 상기 본체부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폴더부 및 상기 제1폴더부로부터 일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폴더부로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2폴더부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더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레일형태의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더부는, 상기 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폴더부에 구비되는 레일형태의 폭조절부 및 상기 제2폴더부에 구비되는 레일형태의 폭가변부를 포함하여, 폭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의류를 접는 과정에서, 상기 날개부가 작동 후, 상기 폴더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는,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펼쳐진 의류를 자동으로 접을 수 있으므로, 의류 생산 공정 중 포장단계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의 폴더부 길이확장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의 폴더부 2축 확장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5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폴더부의 기본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폴더부의 2축 확장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폴더부 길이확장모드에서 날개부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폴더부 길이확장모드에서 제1폴더부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폴더부 길이확장모드에서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가 1단 모드로 작동하여 의류를 접은 후, 의류를 수용부에 수납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의 폴더부 기본모드를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의 폴더부 기본모드에서 날개부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폴더부 기본모드에서 제2폴더부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폴더부 기본모드에서 제1폴더부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폴더부 기본모드에서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가 2단 모드로 작동하여 의류를 접은 후, 의류를 수용부에 수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의 폴더부 길이확장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의 폴더부 2축 확장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5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폴더부의 기본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폴더부의 2축 확장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폴더부 길이확장모드에서 날개부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폴더부 길이확장모드에서 제1폴더부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폴더부 길이확장모드에서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가 1단 모드로 작동하여 의류를 접은 후, 의류를 수용부에 수납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의 폴더부 기본모드를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의 폴더부 기본모드에서 날개부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폴더부 기본모드에서 제2폴더부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폴더부 기본모드에서 제1폴더부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폴더부 기본모드에서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가 2단 모드로 작동하여 의류를 접은 후, 의류를 수용부에 수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1)는, 직육면체 형태의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좌우방향으로 작동하는 날개부(200) 및 상기 날개부(200)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폴더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의류 폴딩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버튼(1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버튼(110)은, 전원스위치(111), 폴더부가변버튼(112), 모드선택버튼(113), 시작버튼(114) 및 비상정지버튼(1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스위치(111)는, 직사각 형상으로 상기 본체부(100) 전면의 우측 상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가변버튼(112)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형의 다이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 전면의 좌측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작버튼(114)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 전면의 수직방향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원스위치(111)의 좌측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정지버튼(115)은,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원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 전면의 수직방향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사용자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작버튼(114)의 하단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상기 비상정지버튼(35)을 조작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선택버튼(113)은,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형의 다이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비상정지버튼(115)의 하단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의류가 놓여져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200) 및 상기 폴더부(3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날개부(200) 및 상기 폴더부(300)에 의하여 접힌 의류가 적층으로 수용되는 수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0)에 수용된 의류를 사용자가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개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날개부(200) 및 폴더부(300)를 포함한 다양한 구성들이 설치되기 위한 프레임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날개부(200)는, 일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의 판상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200)의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내식성과 부식성을 가진 강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놓이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2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날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즉, 상기 2개의 날개부(2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 일측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 타측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날개부(200)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날개부(200)의 외측 단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210)가 결합된다. 상기 2개의 날개부(200)는, 상기 의류가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을 기준으로 90~180°의 각도 범위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날개부(2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날개부(200)의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날개부(200)로 전달하는 구동전달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전달부(120)는,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날개부(200)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날개부(20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거나 당겨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전달부(120)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가 서로 이루는 각도가 달라짐으로써 상기 날개부(200)를 밀어 올리거나 당겨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210)는 2개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200)의 내측 2지점에 각각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2개의 힌지(210) 중 제1힌지는 상기 날개부(200)의 내측 전단부에 설치되고, 제2힌지는 후술할 제1폴더부(310)에 인접한 상기 날개부(200)의 내측 단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210)는, 상기 날개부(20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날개부(200)를 지지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210)의 일측은 상기 날개부(2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힌지(210)는,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날개부(20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과 상기 힌지(210)가 접하는 부분에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 홀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210)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210)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날개부(200)가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2개의 날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이격되는 간격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날개부(200)는, 상기 제2힌지를 기준으로 너비가 가변되는 어깨부(2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어깨부(240)의 전반부는 상기 어깨부(240)의 후반부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팔 부분이 형성되는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넓은 일반적인 상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200)에는 다수개의 공기구멍(230)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공기구멍(230)은, 상기 날개부(200)의 너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어 배열된다. 상기 어깨부(240)를 기준으로, 상기 공기구멍(230)이 상기 어깨부(240)의 전반부에는 2열로 배열되고, 상기 어깨부(240)의 후반부에는 1열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힌지에 인접한 공기구멍(230)은 상기 후반부에 형성되는 나머지 공기구멍(23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공기구멍(230)에 의하여, 상기 날개부(200)가 회동할 때, 공기저항이 최소화되어 진동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200) 상에서 의류가 닿은 부분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비교적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공기구멍(23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날개부(200)의 중량이 감소되어 상기 날개부(200)의 회동에 필요한 토크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공기구멍(230)이 상기 날개부(200)의 너비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구멍(230)이 형성되면서도 상기 날개부(200)의 지지 강도는 견고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폴더부(300)는, 상기 2개의 날개부(200) 사이에 일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의 판상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300)의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내식성과 부식성을 가진 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300)의 면적은, 상기 날개부(200)의 면적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300)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부로부터 후방으로 놓여져 결합된다. 즉, 상기 폴더부(300)는, 상기 2개의 날개부(200) 사이에 노출된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을 일부만 차폐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날개부(200) 및 상기 폴더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ㄷ’자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폴더부(300)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1폴더부(310) 및 상기 제1폴더부(31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2폴더부(320)로 구비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을 바라볼 때, 상기 2개의 날개부(200)의 사이 공간에 상기 수용부(130), 제1폴더부(310) 및 제2폴더부(32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폴더부(310) 및 제2폴더부(320)의 전단부에는, 상기 힌지(21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폴더부(310)의 전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폴더부(310)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형태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폴더부(320)의 전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폴더부(320)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며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폴더부(310)의 하면 및 상기 제2폴더부(320)의 하면에는, 상기 날개부(200)의 구동부와 동일한 형태로 구동부가 결합된다. 상기 제1폴더부(310) 및 제2폴더부(320)의 구동부는, 상기 날개부(200)의 구동부와 마찬가지로,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전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구동전달부(120)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300)에 결합된 힌지(210)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300)에 결합된 힌지(210)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폴더부(300)에 결합된 힌지(210)는, 4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폴더부(310)의 전단 2지점에 2개가 설치되고, 상기 제2폴더부(320)의 전단 2지점에 2개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폴더부(310) 및 제2폴더부(320)는, 서로 연동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상기 제2폴더부(3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폴딩 대상이 되는 의류의 형태에 따라, 성인용 상의와 같이 길이가 긴 형태의 의류인 경우에는 상기 제1폴더부(310) 및 제2폴더부(320)가 순차적으로 함께 작동하여 의류 폴딩이 수행되고, 아동용 상의와 같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형태의 의류인 경우에는 상기 제2폴더부(320)는 미작동되는 상태로 상기 제1폴더부(310)만 작동하여 의류 폴딩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폴더부(310) 및 상기 제2폴더부(320)가 작동하는 모습을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을 기준으로, ‘∠’ 형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제1폴더부(310) 및 제2폴더부(320)는 상기 의류가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90~180°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폴더부(310)는,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폴더부(310)의 상면에 포개져 결합되고 직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폭연장폴더(3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폭연장폴더(311)의 너비는, 상기 제1폴더부(310) 너비의 절반 이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폭연장폴더(311)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2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폭연장폴더(311)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과 인접한 내측 단부의 일부가 함몰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폴더부(310)는,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놓여져 결합되는 회전받침대(315) 및 상기 회전받침대(315)를 관통하여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16)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받침대(315)는, 상기 내측가이드홀과 외측가이드홀의 사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대(315)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2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대(315)는,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대(315)의 너비는,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16)는, 나사 또는 볼트 또는 리벳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16)는, 상기 회전받침대(315)의 내측 후단 모서리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받침대(315)는, 상기 제1폴더부(310)의 폭이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316)를 회전축으로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펼쳐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받침대(315)는, 상기 폭연장폴더(311) 및 길이연장폴더(313)가 확장되면서 생기는 빈공간으로 의류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대(315)의 회전범위는, 0~90°의 각도 범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폭조절부(312)는, 4개로 구비되어, 상기 2개의 폭연장폴더(311)에 2개씩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홀(3121)은, 상기 폭연장폴더(311)의 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단가이드홀과, 상기 폭연장폴더(311)의 중심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중심가이드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부(3122)는, 상기 전단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폴더부(310)에 결합되는 전단위치고정부와, 상기 중심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폴더부(310)에 결합되는 중심위치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폭연장폴더(311)는, 상기 제1폴더부(3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단가이드홀 및 중심가이드홀의 길이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위치 조정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폴더부(310)는 폭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3121)은, 상기 폭연장폴더(311)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자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폭연장폴더(311)가 회전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만 병진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폴더부(310)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폭연장폴더(311)의 상면에 포개져 결합되고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길이연장폴더(313)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길이연장폴더(313)는, 상기 폭연장폴더(311) 상면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면적은, 상기 제1폴더부(310) 면적의 4분의 1이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연장폴더(313)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2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연장폴더(313)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과 인접한 내측 단부의 일부가 함몰되어 ‘ㅌ’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폴더부(310)는, 상기 제1폴더부(3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314)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조절부(314)는 상기 폭조절부(312)와 비교하여,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표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홀(3141)과,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가이드홀(314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폭연장폴더(311)에 대한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3142)를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314)의 위치고정부(3142)는 예를 들면, 볼트 리벳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부(314)의 위치고정부(3142)는, 상기 길이조절부(314)의 가이드홀(3141), 즉, 상기 길이연장폴더(313)를 관통하여 상기 폭연장폴더(311)에 결합된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314)는, 상기 폭연장폴더(311)와 상기 길이연장폴더(313)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연장폴더(313)를 이동시켜 상기 제1폴더부(310)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길이조절부(314)의 위치고정부(3142)를 풀어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길이조절부(314)의 위치고정부(3142)를 다시 조여 상기 길이연장폴더(313)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제1폴더부(31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314)는, 4개로 구비되어, 상기 2개의 길이연장폴더(313)에 2개씩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부(314)의 가이드홀(3141)은,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내측 단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내측가이드홀과,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외측 단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외측가이드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부(314)의 위치고정부(3142)는, 상기 내측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폭연장폴더(311)에 결합되는 내측위치고정부와, 상기 외측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폭연장폴더(311)에 결합되는 외측위치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길이연장폴더(313)는, 상기 폭연장폴더(311)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가이드홀 및 외측가이드홀의 길이범위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위치 조정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폴더부(310)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부(314)의 가이드홀(3141)은,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자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길이연장폴더(313)가 회전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만 병진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폴더부(310)는,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놓여져 결합되는 회전받침대(315) 및 상기 회전받침대(315)를 관통하여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16)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받침대(315)는, 상기 내측가이드홀과 외측가이드홀의 사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대(315)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2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대(315)는,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대(315)의 너비는,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16)는, 나사 또는 볼트 또는 리벳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16)는, 상기 회전받침대(315)의 내측 후단 모서리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받침대(315)는, 상기 제1폴더부(310)의 폭이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316)를 회전축으로 상기 길이연장폴더(313)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펼쳐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대(315)의 회전범위는, 0~90°의 각도 범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폴더부(300)는, 상기 제1폴더부(310)의 후단에 결합되는 레일형태의 폴더부조절부(33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폴더부(300)는, 상기 제2폴더부(320)의 전단에 결합되는 레일형태의 폴더부조절부(3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폴더부조절부(330)는, 상기 제1폴더부(310)와 상기 제2폴더부(3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폴더부조절부(330)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조절부(330)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2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조절부(330)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폴더부조절부(330)는, 상기 제2폴더부(320)의 전단에 설치된 상기 힌지(210)의 외측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길이연장폴더(313)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제2폴더부(320)가 상기 폴더부조절부(330)을 따라 상기 길이연장폴더(313)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므로, 상기 폴더부(30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폴더부(320)는,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폴더부(320)의 상면에 포개져 결합되고, 직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폭가변폴더(3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폭가변폴더(321)의 너비는 상기 제2폴더부(320) 너비의 절반 이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폭가변폴더(321)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2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폭가변폴더(321)는,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과 인접한 내측 단부의 일부가 함몰되어 ‘ㅌ’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폴더부(320)는, 상기 제2폴더부(32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가변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폭가변부(322)는 상기 폭조절부(312)와 비교하여, 상기 폭가변폴더(321)의 표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홀(3221)과, 상기 폭가변폴더(321)의 가이드홀(322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2폴더부(320)에 대한 상기 폭가변폴더(32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3222)를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폭가변부(322)의 위치고정부(3222)는 예를 들면, 볼트, 리벳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폭가변부(322)의 위치고정부(3222)는, 상기 폭가변부(322)의 가이드홀(3221) 즉, 상기 폭가변폴더(321)를 관통하여 상기 제2폴더부(320)에 결합된다. 즉, 상기 폭가변부(322)는, 상기 제2폴더부(320)와 상기 폭가변폴더(321)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폭가변폴더(321)를 이동시켜 상기 제2폴더부(320)의 폭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폭가변부(322)의 위치고정부(3222)를 풀어 상기 폭가변폴더(321)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폭가변부(322)의 위치고정부(3222)를 다시 조여 상기 폭가변폴더(321)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제2폴더부(32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가변부(322)는, 4개로 구비되어 상기 2개의 폭가변폴더(321)에 2개씩 설치된다. 상기 폭가변부(322)의 가이드홀(3221)은, 상기 폭가변폴더(321)의 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방가이드홀과, 상기 폭가변폴더(321)의 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후방가이드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폭가변부(322)의 위치고정부(3222)는, 상기 전방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폴더부(320)에 결합되는 전방위치고정부와, 상기 후방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폴더부(320)에 결합되는 후방위치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폭가변폴더(321)는, 상기 제2폴더부(3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가이드홀 및 후방가이드홀의 길이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위치 조정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폴더부(320)는 폭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폭가변부(322)의 가이드홀(3221)은, 상기 폭가변폴더(321)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자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폭가변폴더(321)가 회전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만 병진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의류 폴딩 장치(1)는 4개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4개의 모드는, 상기 폴더부(300)가 최소폭 및 최소길이로 변형된 모습인 기본모드, 상기 기본모드에서 상기 폴더부(300)의 폭이 확장된 모습인 폭확장모드, 상기 기본모드에서 상기 폴더부(300)의 길이가 확장된 모습인 길이확장모드, 상기 폴더부(300)의 폭과 길이가 함께 확장된 모습인 2축 확장모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300)는, 상기 4개의 모드 중 선택된 1개의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상기 폭조절부(312), 상기 길이조절부(314), 상기 폭가변부(322) 및 폴더부조절부(330)를 조작하는 수동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후술할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폴더부가변버튼(112)을 누르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직육면체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0)는, 상기 제1폴더부(310)의 전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날개부(200)의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0)의 높이는, 상기 본체부(100) 높이의 절반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 폴딩 장치(1)는 의류를 접은 후 상기 수용부(130)의 높이만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의류를 접는 과정을 1회 실시 후, 사용자가 접힌 의류를 전방으로 인출하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의류를 접는 과정이 수행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0)의 높이는, 상기 본체부(100) 높이의 절반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수용부(130) 상면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삽입판(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판(140)은, 상기 제1폴더부(310)의 전단에 인접하여 상기 날개부(200)의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판(140)은,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2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판(140)은,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과 상기 날개부(200)의 하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판(140)은, 상기 수용부(130)의 상면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판(140)은,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놓여진 의류가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130)에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수용부(130)의 일부를 차폐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놓여진 의류가 접힌 후,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과 상기 날개부(200)의 하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접힌 의류가 상기 수용부(130)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 하면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퀴(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퀴(16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 폴딩 장치(1)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퀴(160)는, 상기 의류 폴딩 장치(1)가 의류를 접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부(100)가 바닥에 고정되도록 상기 바퀴(160)의 일측에 고정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수용부(130)에 적재된 의류를 받치는 의류받침대(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의류받침대(150)는, 상기 수용부(13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사각형상의 철판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의류받침대(150)는, 사용자가 상기 수용부(130)에 적재된 의류를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폴더부조절부(330)와 유사한 레일형태의 가이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받침대(15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의류받침대(150)는, 후술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될 것이며, 상기 버튼(110)은,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인출버튼(부호미부여)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100)에 상용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상기 본체부(100)에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온(On)상태 또는 상용전원이 상기 본체부(100)에 공급되지 않도록 회로(미도시)를 차단하는 오프(Off)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전원스위치(111)를 통해서 상기 온(On)상태 또는 상기 오프(Off)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 폴딩 장치(1)는, 상기 의류 폴딩 장치(1)에 상용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프(Off)상태가 되면 사용전력이 최소화되므로 절전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놓여진 의류를 폴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모드선택버튼(113)을 통해 상기 제2폴더부(320)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 폴딩 장치(1)는, 상기 날개부(200)와 상기 제1폴더부(310)만 작동하여 의류를 접는 1단 모드 및, 상기 날개부(200)와 상기 제1폴더부(310)와 상기 제2폴더부(320)가 작동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전후방향으로 의류를 2회 접을 수 있는 2단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 폴딩 장치(1)는, 상기 2단 모드로 작동하여 접은 의류의 크기가 상기 1단 모드로 작동하여 접은 의류의 크기보다 작게 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시작버튼(114)을 1회 누르면, 상기 1단 모드 및 상기 2단 모드 중 선택된 모드를 1회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정지버튼(115)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면, 즉시 상기 본체부(1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의류 폴딩 장치(1)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 폴딩 장치(1)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예측하지 못한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비상정지버튼(115)를 조작하여 상기 의류 폴딩 장치(1)의 작동을 즉시 중단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의류 폴딩 장치(1)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의류 폴딩 장치(1)의 작동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의류 폴딩 장치(1)에 상용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111)를 눌러, 상기 의류 폴딩 장치(1)를 가동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300)를 상기 4개의 모드 중 1개의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더부(300)의 모드 선택은, 사용자가 상기 폴더부가변버튼(112)을 조작하여 상기 4개의 모드 중 1개의 모드를 선택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모드선택버튼(113)을 조작하여, 상기 1단 모드 또는 2단 모드 중 1개의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 폴딩 장치(1)가 상기 폴더부(300) 길이확장모드에서 상기 1단 모드로 작동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의류를 펼쳐놓은 후, 상기 시작버튼(114)을 누르면.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상기 날개부(200)가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된 상기 날개부(200)가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1폴더부(310)가 작동한다. 이 후, 상기 삽입판(140)이 작동하고, 접힌 의류는 상기 수용부(130)에 적재되는 것이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 폴딩 장치(1)가 상술한 모드 선택 과정을 거쳐, 상기 폴더부(300) 기본모드에서 상기 2단 모드로 작동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의류를 펼쳐놓은 후, 상기 시작버튼(114)을 누르면,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상기 날개부(200)가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된 상기 날개부(200)가 작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폴더부(320)가 작동하여 의류를 상기 본체부(100)의 전후방향으로 1회 접는다. 이 후, 상기 제1폴더부(310)가 작동하여 의류를 상기 본체부(100)의 전후방향으로 1회 더 접는다. 그리고, 상기 삽입판(140)이 작동하고, 접힌 의류는 상기 수용부(130)에 적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2개의 날개부(200) 작동 순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 상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에 구비된 상기 날개부(200)가 작동한 후,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에 구비된 상기 날개부(200)가 작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기 날개부(200)의 작동 순서는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의류의 일예로 반팔 형태의 상의를 살펴보면, 몸통부분 및 팔부분으로 나눌 수 있고, 상기 의류 폴딩 장치(1)는 상기 날개부(200)가 먼저 작동하여 상기 팔부분을 접은 후, 상기 폴더부(300)가 작동하여 상기 몸통부분을 접는다. 따라서, 상기 의류 폴딩 장치(1)는, 접힌 의류가 다시 펼쳐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의류 폴딩 장치
100 : 본체부
110 : 버튼
111 : 전원스위치
112 : 폴더부가변버튼
113 : 모드선택버튼
114 : 시작버튼
115 : 비상정지버튼
120 : 구동전달부
130 : 수용부
140 : 삽입판
150 : 의류받침대
160 : 바퀴
200 : 날개부
210 : 힌지
220 : 가이드레일
230 : 공기구멍
240 : 어깨부
300 : 폴더부
310 : 제1폴더부
311 : 폭연장폴더
312 : 폭조절부
313 : 길이연장폴더
314 : 길이조절부
315 : 회전받침대
316 : 고정부재
320 : 제2폴더부
321 : 폭가변폴더
322 : 폭가변부
330 : 폴더부조절부
3121, 3141, 3221 : 가이드홀
3122, 3142, 3222 : 위치고정부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작동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폴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더부는,
    상기 본체부 중심부에 형성되어, 의류를 접을 수 있는 제1폴더부; 및
    상기 제1폴더부로부터 일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폴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폴더부는,
    상기 제1폴더부의 상면에 결합된 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폭이 가변될 수 있는 폭연장폴더;
    상기 폭연장폴더의 상면에 결합된 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길이연장폴더; 및
    상기 길이연장폴더의 상면에 결합된 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길이연장폴더의 내측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폴더부는,
    상기 제2폴더부의 상면에 결합된 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폭이 가변될 수 있는 폭가변폴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받침대는, 상기 폴더부의 2축 확장모드에서 상기 폭연장폴더 및 길이연장폴더가 확장되면서 생기는 빈공간으로 의류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레일형태의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는,
    상기 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폴더부에 구비되는 레일형태의 폭조절부; 및
    상기 제2폴더부에 구비되는 레일형태의 폭가변부;를 포함하여, 폭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의류를 접는 과정에서, 상기 날개부가 작동 후, 상기 폴더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KR1020190044674A 2019-04-17 2019-04-17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KR102199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674A KR102199893B1 (ko) 2019-04-17 2019-04-17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674A KR102199893B1 (ko) 2019-04-17 2019-04-17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996A KR20200121996A (ko) 2020-10-27
KR102199893B1 true KR102199893B1 (ko) 2021-01-08

Family

ID=7313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674A KR102199893B1 (ko) 2019-04-17 2019-04-17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685A (ko) * 2021-11-02 202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머신 및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KR20230077309A (ko) * 2021-11-25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머신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16197A (ko) * 2022-01-28 2023-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머신
CN115924242B (zh) * 2023-03-10 2023-05-26 广东宸际内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同步消毒的内衣包装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84565U (zh) 2011-07-29 2012-04-11 天津鑫港船务服务有限公司 新型可调节叠衣板
CN203806830U (zh) 2014-04-24 2014-09-03 泰州润康医疗用品有限公司 消毒纸巾折叠装置
CN105019216B (zh) 2015-07-30 2017-01-11 宁波智腾针织科技有限公司 一种烫衣机的折衣架组件
CN206068295U (zh) 2016-08-26 2017-04-05 安徽汉邦希瑞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封口功能的卫生衣装袋装置
KR101881583B1 (ko) * 2017-07-06 2018-07-24 박영원 의류 포장 프레임
CN207739051U (zh) * 2017-11-30 2018-08-17 洛阳亚辉外骨骼助力技术有限公司 一种叠衣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520Y1 (ko) 2009-03-03 2012-07-20 배수원 의류 접이용 포장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84565U (zh) 2011-07-29 2012-04-11 天津鑫港船务服务有限公司 新型可调节叠衣板
CN203806830U (zh) 2014-04-24 2014-09-03 泰州润康医疗用品有限公司 消毒纸巾折叠装置
CN105019216B (zh) 2015-07-30 2017-01-11 宁波智腾针织科技有限公司 一种烫衣机的折衣架组件
CN206068295U (zh) 2016-08-26 2017-04-05 安徽汉邦希瑞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封口功能的卫生衣装袋装置
KR101881583B1 (ko) * 2017-07-06 2018-07-24 박영원 의류 포장 프레임
CN207739051U (zh) * 2017-11-30 2018-08-17 洛阳亚辉外骨骼助力技术有限公司 一种叠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996A (ko)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893B1 (ko) 폴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의류 폴딩 장치
EP3845093A1 (en) Folding table and stool set
JP6158215B2 (ja) 部屋のドアをドアフレームに支持するヒンジに選択的に取り付けられるキャビネットおよび鏡、かかる取付用のヒンジ、ならびにその取り付けのための方法
CN104165493A (zh) 一种冷藏装置及其搁架组件
CN109835570A (zh) 可折叠容器
CN107685450A (zh) 便携的桌式焊接机
CN103575045B (zh) 冰箱
CN205718182U (zh) 一种冰箱用搁架组件及冰箱
CN206256253U (zh) 自动缝担干机构
JP3185582U (ja) 折り畳み収納車構造
KR101161855B1 (ko) 절첩식 쇼핑 카트
JP3170965U (ja) 折り畳み机
KR101824568B1 (ko)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CN107794709B (zh) 衣物处理装置
CN210672522U (zh) 多功能折叠桌
CN110419907A (zh) 一种便于携带的展示台
CN211493863U (zh) 一种可折叠为桌子的汽车手套箱
CN207191117U (zh) 一种仪器手推车
CN103598740A (zh) 一种可折叠的钢制家具办公柜
CN219699359U (zh) 可折叠抽屉柜
CN110758261A (zh) 一种可折叠为桌子的汽车手套箱及工作方法
CN204876799U (zh) 一键开合的帐篷架杆解锁装置
CN203834239U (zh) 挂烫机组件和具有其的挂烫机
CN109452803A (zh) 一种储物空间可调的自动货柜
JP2006242520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