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189B1 -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 및 세탁물 처기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 및 세탁물 처기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189B1
KR102446189B1 KR1020170164474A KR20170164474A KR102446189B1 KR 102446189 B1 KR102446189 B1 KR 102446189B1 KR 1020170164474 A KR1020170164474 A KR 1020170164474A KR 20170164474 A KR20170164474 A KR 20170164474A KR 102446189 B1 KR102446189 B1 KR 102446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treatment
cabinet
unit
laundry
treatment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046A (ko
Inventor
채교순
김진호
오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1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는, 제 1케비닛과, 상기 제 1케비닛 내에 세탁물을 담는 제 1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1드럼과, 상기 제 1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구동부를 포함하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 2케비닛과, 상기 제 2케비닛 내에 세탁물을 담는 제 2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2드럼과, 상기 제 2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구동부를 포함하는 제 2세탁물 처리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세탁물 처리기기 및 상기 제 2세탁물 처리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세탁물 처리기기의 상측부에 대한 상기 제 2세탁물 처리기기의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는, 상기 정위치 이탈시 상기 센싱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 1구동부 및 상기 제 2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 및 세탁물 처기기기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ing device for top placement, Laundry treating device for bottom placement, Set of laundry treating devices, and Controlling method for laundry treating device}
본 발명은,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와 그 위에 배치되는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이 잠기도록 물을 공급하고, 적당량의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세탁조 또는 세탁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작용 및 세탁날개가 가하는 기계력을 이용하여 의류나 침구 등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열풍이나 냉풍을 가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스팀을 가하여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리프레셔(refresher) 등이 있으며, 건조 겸용 세탁기와 같이 여러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생산되는데, 최근에는 특정 목적에 따라 소량의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한 미니세탁기나, 아기 전용 세탁기도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세탁수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용량이 큰 세탁조가 구비되는 경우,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것에도 많은 양의 세탁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소량의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한 미니세탁기나, 아기 전용 세탁기도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의 일환으로, 용량이 서로 다른 2개의 세탁 모듈을 상하로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65752 (공개일 : 2008년 7월 15일)
사용자가 처음부터 2개의 세탁 모듈이 구비된 세탁물 처리기기를 구매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1개의 세탁물 처리기기를 사용하는 중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를 더 구매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그런데, 복수의 세탁물 처리기기를 수평적으로 배치하면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고, 어느 한 세탁물 처리기기 위에 다른 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올려 배치하면 진동 등에 의한 전복 등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어느 한 세탁물 처리기기 위에 다른 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최초에 안정적으로 올려 배치하더라도, 추후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상측에 배치된 세탁물 처리기기가 전복되거나 떨어지는 위험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어느 한 세탁물 처리기기 위에 다른 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두 세탁물 처리기기의 설치 과정에서의 오조립이나, 진동 등에 따른 정위치 이탈 발생시,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대응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어느 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배치 가능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시한다. 또한, 오조립이나 진동 등에 따른 정위치 이탈시 이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비닛; 상기 케비닛 내에 세탁물을 담는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외부의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측부에 대한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정위치 이탈시 상기 센싱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비닛; 상기 케비닛 내에 세탁물을 담는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케비닛의 상측부에 대한 외부의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의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정위치 이탈시 상기 센싱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는, 제 1케비닛과, 상기 제 1케비닛 내에 세탁물을 담는 제 1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1드럼과, 상기 제 1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구동부를 포함하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 2케비닛과, 상기 제 2케비닛 내에 세탁물을 담는 제 2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2드럼과, 상기 제 2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구동부를 포함하는 제 2세탁물 처리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세탁물 처리기기 및 상기 제 2세탁물 처리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세탁물 처리기기의 상측부에 대한 상기 제 2세탁물 처리기기의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는, 상기 정위치 이탈시 상기 센싱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 1구동부 및 상기 제 2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케비닛의 탑 커버는 탈거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세탁물 처리기기의 하측부는 상기 제 1케비닛의 상기 탑 커버가 탈거된 위치에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위치의 이탈시 만족되도록 기설정된 소정의 이탈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탈 조건 만족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탈 조건은, 상기 구동부의 동작중 상기 센싱부의 이탈 감지 횟수가 소정의 m값 이상일 때 만족하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m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위치 이탈시 상기 센싱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센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 중 상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측부에 대한 상기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의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 및 상기 감지 단계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정위치 이탈이라고 판단시 상기 제 2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이탈 대응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 대응 단계에서, 상기 정위치의 이탈시 만족되도록 기설정된 소정의 이탈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탈 조건 만족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이탈 대응 단계에서, 상기 정위치 이탈이라고 판단시 사용자에게 이탈을 알림할 수 있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 복수의 세탁물 처리기기를 상하로 배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상기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의 배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정위치 이탈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른 진동 발생을 막아, 진동에 따른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복이나 낙하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이탈 조건을 통해,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른 진동에 의해 상기 정위치 이탈이 발생할 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켜 전복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이탈 감지 횟수의 기설정을 통해, 진동에 따른 일시적인 상기 센싱부의 이탈 감지 신호에 따라 불필요하게 상기 구동부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정위치 이탈시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복 위험이나 오조립 상황에 대해, 사용자가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도와준다.
상기 복수의 센싱부를 통해, 보다 정밀하게 상기 정위치를 기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세탁물 처리기기의 상기 탑 커버가 탈거된 위치에 상기 제 2세탁물 처리기기가 결합되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구조 소요를 최소화하면서도, 두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적인 결합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입면 개념도이다. 도 2(a)에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설치 중 삽입 방향(M)이 도시되고, 도 2(b)에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설치 완료 상태가 도시된다.
도 5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100 또는 2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구체화하여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제어방법의 다른 예를 구체화하여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Y)/후(-Y)/좌(+X)/우(-X)/상(+Z)/하(-Z)”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인 세탁물 처리기기(100 및/또는 200)는 세탁기, 건조기, 탈수기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200)은 둘 모두 세탁기, 건조기 및 탈수기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200)은 각각 세탁기, 건조기 및 탈수기 중 선택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구현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200)의 구현으로 실시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200)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100, 200)의 구현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100 및/또는 200)의 제어방법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로 지칭될 수 있고, 상기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로 지칭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상측부에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물을 처리한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상기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와 별도로 세탁물을 처리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전방으로 세탁물을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하측에 배치되게 기설정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 1처리 공간(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제 1처리 공간 내의 세탁물에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처리가 진행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 1케비닛(110)을 포함한다. 제 1케비닛(110)은 외부의 바닥면에 놓여진다. 제 1케비닛(110)에 제 1터브(미도시)가 고정된다.
제 1케비닛(110)은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 1프론트 커버(111)를 포함한다. 제 1케비닛(110)은 측면을 형성하는 제 1사이드 커버(112)를 포함한다. 제 1사이드 커버(112)는 제 1케비닛(110)의 양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케비닛(110)은 후면을 형성하는 제 1백 커버(113)를 포함한다. 제 1케비닛(11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제 1탑 커버(114)를 포함한다. 제 1케비닛(110)은 하측면을 형성하는 제 1베이스(115)를 포함한다. 제 1베이스(115)는 외부의 바닥면에 놓여질 수 있다. 제 1베이스(115)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를 지지한다.
제 1탑 커버(114)는 탈거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탑 커버(114)는 제 1케비닛(110)의 상측부에 탈거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하측부는 제 1케비닛(110)의 제 1탑 커버(114)가 탈거된 위치에 결합되게 구비된다. 탑 커버 탈거된 제 1케비닛의 상측부(114a)는 제 1탑 커버(114)와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 2케비닛(210)의 하측부는 상기 상측부(114a)에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에서 제 1탑 커버(114)를 탈거시킨 후,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하측부를 소정의 삽입 방향(M)으로 상기 상측부(114a)에 대해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하여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삽입 방향 M 참고)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상기 제 1처리 공간을 개폐하는 제 1도어(120)를 포함한다. 제 1도어(120)는 상기 제 1처리 공간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도어(120)는 제 1케비닛(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1도어(120)는 제 1프론트 커버(111)에 배치된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구동에 대한 지시를 입력을 하도록 구비되는 제 1입력부(130)를 포함한다. 제 1입력부(130)는 제 1케비닛(110)의 전방 상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위해 구비되는 버튼, 다이얼 및/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구동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제 1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제 1출력부(140)는 제 1케비닛(110)의 전방 상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출력부(140)는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수가 담기는 상기 제 1터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 1터브는 제 1드럼(16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 1터브는 제 1케비닛(110)에 고정 배치된다. 상기 제 1터브는 전방으로 세탁물 투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상기 제 1케비닛(110) 내에 세탁물을 담는 상기 제 1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1드럼(160)을 포함한다. 제 1드럼(160)은 상기 제 1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1드럼(160)은 세탁물을 담도록 구비된다. 제 1드럼(160)은 상기 제 1터브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 1드럼(160)은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1드럼(16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1드럼(160)은 전방으로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드럼(160)에는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제 1드럼(160)에는 밸런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는 제 1드럼(160)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밸런스, 볼밸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제 1드럼(16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구동부(165)를 포함한다. 제 1구동부(165)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구동부(165)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 1드럼(160)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벨트, 풀리 및/또는 샤프트 등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상기 제 1터브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1물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물공급부는, 외부 수원과 연결되는 제 1급수 유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물공급부는, 상기 제 1급수 유로를 단속하는 제 1급수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물공급부는, 상기 제 1급수 유로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제 1드럼(160) 내로 분사하는 제 1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상기 제 1터브 내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세제 공급부(150)를 포함한다. 제 1세제 공급부(150)는 제 1케비닛(110)에 입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세제 박스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세제 공급부(150)는, 상기 제 1급수 유로 내의 물에 세제가 유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세제 공급부(150)는 제 1프론트 커버(111)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상기 제 1터브 내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제 1배수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배수부는, 상기 제 1터브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배수를 안내하는 제 1배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배수부는, 상기 제 1배수 유로를 단속하는 제 1배수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각종 정보를 처리하는 제 1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제 1제어부(170)는 제 1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 1제어부(170)는 제 1통신부(18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서, 제 1제어부(170)는 센싱부(30)로 감지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 1제어부(170)는 입력되거나 수신하거나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제어부(170)는 제 1출력부(14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제어부(170)는 제 1구동부(16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제어부(170)는, 제 1케비닛(110)의 상측부에 대한 외부의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시, 센싱부(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 1구동부(165)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제어부(170)는, 상기 정위치 이탈시 센싱부(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제 1통신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통신부(180)는 서버, 무선 공유기, 이동 단말기 및/또는 특정 영역 내 위치한 다른 기기(주변 기기)와 유선, 무선, 위성 통신 방식들 중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통신부(180)가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한다는 것은, 제 1통신부(180)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공유기, 서버, 이동 단말기 및 다른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제 1통신부(180)는 IEEE 802.11 WLAN, IEEE 802.15 WPAN, UWB, Wi-Fi, Zigbee, Z-wave,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로 무선 통신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 1통신부(180)는 통신하고자 하는 다른 장치 또는 서버의 통신 방식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1통신부(180)는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제 2통신부(28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에 구비된 센싱부(30)의 감지 결과를 제 2통신부(280)가 제 1통신부(180)로 송신하여, 제 1제어부(170)는 제 1통신부(18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 1구동부(165)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제어부(170)는 제 1통신부(18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 1출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전방으로 세탁물을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상측에 배치되게 기설정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 2처리 공간(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제 2처리 공간 내의 세탁물에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처리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 2처리 공간은 상기 제 1처리 공간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 2케비닛(210)을 포함한다. 제 2케비닛(210)은 외부의 바닥면에 놓여질 수도 있으나,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위에 놓여질 수도 있다. 제 2케비닛(210)에 제 2터브(미도시)가 고정된다.
제 2케비닛(210)은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 2프론트 커버(211)를 포함한다. 제 2케비닛(210)은 측면을 형성하는 제 2사이드 커버(212)를 포함한다. 제 2사이드 커버(212)는 제 2케비닛(210)의 양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케비닛(210)은 후면을 형성하는 제 2백 커버(213)를 포함한다. 제 2케비닛(21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제 2탑 커버(214)를 포함한다. 제 2케비닛(210)은 하측면을 형성하는 제 2베이스(215)를 포함한다. 제 2베이스(215)는 외부의 바닥면에 놓여질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상측부에 놓여질 수 있다. 제 2베이스(215)는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를 지지한다. 제 2베이스(251)는 상기 상측부(114a)에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상기 제 2처리 공간을 개폐하는 제 2도어(220)를 포함한다. 제 2도어(220)는 상기 제 2처리 공간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도어(220)는 제 2케비닛(2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2도어(220)는 제 2프론트 커버(211)에 배치된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구동에 대한 지시를 입력을 하도록 구비되는 제 2입력부(230)를 포함한다. 제 2입력부(230)는 제 2케비닛(210)의 전방 상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위해 구비되는 버튼, 다이얼 및/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구동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제 2출력부(240)를 포함한다. 제 2출력부(240)는 제 2케비닛(210)의 전방 상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출력부(24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출력부(240)는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세탁수가 담기는 상기 제 2터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 2터브는 제 2드럼(26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 2터브는 제 2케비닛(210)에 고정 배치된다. 상기 제 2터브는 전방으로 세탁물 투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상기 제 2케비닛(210) 내에 세탁물을 담는 상기 제 2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2드럼(260)을 포함한다. 제 2드럼(260)은 상기 제 2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2드럼(260)은 세탁물을 담도록 구비된다. 제 2드럼(260)은 상기 제 2터브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 2드럼(260)은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2드럼(26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2드럼(260)은 전방으로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드럼(260)에는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제 2드럼(260)에는 밸런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는 제 2드럼(260)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밸런스, 볼밸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제 2드럼(26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구동부(265)를 포함한다. 제 2구동부(265)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구동부(265)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 2드럼(260)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벨트, 풀리 및/또는 샤프트 등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상기 제 2터브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2물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물공급부는, 외부 수원과 연결되는 제 2급수 유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물공급부는, 상기 제 2급수 유로를 단속하는 제 2급수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물공급부는, 상기 제 2급수 유로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제 2드럼(260) 내로 분사하는 제 2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상기 제 2터브 내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2세제 공급부(250)를 포함한다. 제 2세제 공급부(250)는 제 2케비닛(210)에 입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세제 박스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세제 공급부(250)는, 상기 제 2급수 유로 내의 물에 세제가 유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2세제 공급부(250)는 제 2프론트 커버(211)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상기 제 2터브 내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제 2배수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배수부는, 상기 제 2터브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배수를 안내하는 제 2배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배수부는, 상기 제 2배수 유로를 단속하는 제 2배수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각종 정보를 처리하는 제 2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제 2제어부(270)는 제 2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 2제어부(270)는 제 2통신부(28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서, 제 2제어부(270)는 센싱부(30)로 감지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 2제어부(270)는 입력되거나 수신하거나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제어부(270)는 제 2출력부(24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제어부(270)는 제 2구동부(26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제어부(270)는, 외부의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상측부에 대한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시, 센싱부(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 2구동부(265)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제어부(270)는, 상기 정위치 이탈시 센싱부(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제 2통신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통신부(280)는 서버, 무선 공유기, 이동 단말기 및/또는 특정 영역 내 위치한 다른 기기(주변 기기)와 유선, 무선, 위성 통신 방식들 중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2통신부(280)가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한다는 것은, 제 2통신부(280)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공유기, 서버, 이동 단말기 및 다른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제 2통신부(280)는 IEEE 802.11 WLAN, IEEE 802.15 WPAN, UWB, Wi-Fi, Zigbee, Z-wave,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로 무선 통신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 2통신부(280)는 통신하고자 하는 다른 장치 또는 서버의 통신 방식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2통신부(280)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 1통신부(18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에 구비된 센싱부(30)의 감지 결과를 제 1통신부(180)가 제 2통신부(280)로 송신하여, 제 2제어부(270)는 제 2통신부(28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 2구동부(265)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제어부(270)는 제 2통신부(28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 2출력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상측부에 대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3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한 제 1실시예에서, 센싱부(30)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에 배치된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센싱부(30)는, 제 1케비닛(110)의 상측부에 대한 외부의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센싱부(30)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상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의 센싱부(30)는 상측에 배치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센싱부(30)를 구비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한 제 2실시예에서, 센싱부(30)는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에 배치된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센싱부(30)는, 외부의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상측부에 대한 기설정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센싱부(30)는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센싱부(30)는 하측에 배치된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를 감지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서,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센싱부(30)를 구비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한 제 3실시예에서,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에 각각 센싱부(30)가 배치된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센싱부(30)는, 제 1케비닛(110)의 상측부에 대한 외부의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한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센싱부(30)는, 외부의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상측부에 대한 기설정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한다.
실시예A에서, 센싱부(30)는 광신호 등의 전자기적 신호를 발신하는 발광부(미도시) 및 상기 전자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A의 일 예로,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고,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 중 다른 하나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상측부에 대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정위치 상태에서만 상기 발광부의 발신 신호를 반시시키도록 배치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위치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에서 발신된 신호는 상기 반사부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로 수신된다.
상기 실시예A의 다른 예로,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발광부를 포함하고,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 중 다른 하나는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상측부에 대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정위치 상태에서만 상기 발광부의 발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수광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위치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에서 발신된 신호는 상기 수광부로 수신된다.
실시예B에서, 센싱부(30)는 상기 정위치의 이탈 여부에 따라 전환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힘에 가해지는 레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정위치의 이탈 여부에 따라 전환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정위치 상태에서 제 1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정위치의 이탈 상태에서 상기 제 1위치와 다른 제 2위치로 전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 및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정위치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에 힘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싱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부(3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센싱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센싱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싱부(30)가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전방부, 후방부 및 측방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100, 200)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100, 200)의 제어부의 기능은 상기 제 1제어부(170)가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100, 200)의 제어부의 기능은 상기 제 2제어부(270)가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100, 200)의 제어부의 기능은 외부의 서버(미도시) 또는 이동 단말기가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또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감지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위치 이탈시 센싱부(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 1구동부(165) 및 상기 제 2구동부(265)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 1제어부(170)는 상기 감지 결과를 근거로 하여 제 1구동부(165)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센싱부(30)가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에 배치된 경우, 센싱부(30)의 감지 결과가 제 1통신부(180)를 통해 제 1제어부(170)로 전달된다.
다른 예로, 제 2제어부(270)는 상기 감지 결과를 근거로 하여 제 2구동부(265)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센싱부(30)가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에 배치된 경우, 센싱부(30)의 감지 결과가 제 2통신부(280)를 통해 제 2제어부(270)로 전달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서버 또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감지 결과를 근거로 하여 제 1구동부(165)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로 송신하고, 제 1통신부(180)를 통해 제 1제어부(170)로 상기 제어 신호가 전달되어 제 1구동부(165)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서버 또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감지 결과를 근거로 하여 제 2구동부(265)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로 송신하고, 제 2통신부(280)를 통해 제 2제어부(270)로 상기 제어 신호가 전달되어 제 2구동부(265)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위치 이탈시 센싱부(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정위치 이탈이라고 판단시 사용자에게 이탈을 알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알림은 제 1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알림은 제 2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알림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이동 단말기 등 외부의 다른 기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위치의 이탈시 만족되도록 기설정된 소정의 이탈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탈 조건 만족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탈 조건 만족시 상기 사용자에게 이탈을 알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른 진동에 의해 상기 정위치 이탈이 발생할 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켜 전복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일 예로, 상기 이탈 조건은, 상기 구동부의 동작중 상기 센싱부(30)의 이탈 감지가 있을시 만족되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다른 예로, 상기 이탈 조건은, 상기 구동부의 동작중 상기 센싱부(30)의 이탈 감지 횟수가 소정의 m값 이상일 때 만족하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m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이를 통해, 진동에 따른 일시적인 센싱부(30)의 이탈 감지 신호에 따라 불필요하게 상기 구동부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이탈 조건에서 언급되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구동부(165) 및 제 2구동부(2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으로 기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구동부(165) 및 제 2구동부(265) 중 특정한 어느 하나인 것으로 기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탈 조건에서 언급되는 상기 '구동부'는 제 2구동부(265)인 것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방법,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제어방법 및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100, 200)의 제어방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의 각종 판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세탁물 처리기기(100 및/또는 200)가 동작 중(S100), 상기 소정의 이탈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 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이탈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시, 동작 중이었던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100 및/또는 2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이탈 대응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이탈 조건이 불만족된다고 판단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100 및/또는 200)의 동작을 계속 유지시키는 정상 동작 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정상 동작 중(S150), 소정의 종료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90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종료 조건은, 세탁물 처리기기(100 및/또는 200)의 소정의 처리 동작이 종료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종료 조건은, 선택된 세탁물 처리 코스 동작이 시간 경과 등에 따라 종료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종료 조건이 불만족된다고 판단시, 세탁물 처리기기(100 및/또는 200)는 동작을 계속하며 상기 감지 단계(S200)가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종료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시, 세탁물 처리기기(100 및/또는 200)의 동작은 종료된다(S950).
상기 이탈 대응 단계(S300)에서, 상기 정위치의 이탈시 만족되도록 기설정된 소정의 상기 이탈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단계에서,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 중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상측부에 대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220).
상기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정위치 이탈이라고 판단시, 상기 이탈 대응 단계(S30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대응 단계(S300)에서, 상기 이탈 조건 만족시, 상기 구동부(165 및/또는 265)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이탈 대응 단계(S300)에서, 상기 이탈 조건 만족시 사용자에게 이탈을 알림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사용자에게 이탈을 알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가 사용자에게 이탈을 알림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탈을 알림할 수 있다. 상기 이탈 알림은, 경고음, 경고 음성 안내 및/또는 경고 메시지나 경고 기호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정위치 상태라고 판단시, 정상 동작이 유지될 수 있다(S150).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제어방법은,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가 동작 중(S110), 상기 소정의 이탈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 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제어방법은, 상기 이탈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시, 동작 중이었던 상기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이탈 대응 단계(S3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제어방법은, 상기 이탈 조건이 불만족된다고 판단시, 상기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동작을 계속 유지시키는 정상 동작 단계(S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종료 조건은,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소정의 처리 동작이 종료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상기 종료 조건이 불만족된다고 판단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는 동작을 계속하며 상기 감지 단계(S200)가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종료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시, 제 2세탁물 처리기기(200)의 동작은 종료된다(S951).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방법은,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가 동작 중, 상기 소정의 이탈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 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방법은, 상기 이탈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시, 동작 중이었던 상기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이탈 대응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방법은, 상기 이탈 조건이 불만족된다고 판단시, 상기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동작을 계속 유지시키는 정상 동작 단계(S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종료 조건은,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소정의 처리 동작이 종료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상기 종료 조건이 불만족된다고 판단시,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동작을 계속하며 상기 감지 단계(S200)가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종료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시, 제 1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동작은 종료된다(S950).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제어방법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 중(S200, S210) n값을 1로 설정한다(S210), 그 후, 상기 정위치의 이탈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이 진행된다. 상기 단계(S220)에서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n값에 1을 더한 값으로 n값이 갱신된다(S230). 갱신된 n값이 기설정된 m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0)가 진행된다(S250). (여기서, m은 2이상의 자연수로 기설정된다.) 상기 단계(S250)에서 n값이 m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탈 대응 단계(S300, S310)가 진행된다. 한편, 상기 단계(S220)에서 이탈이 감지되지 않으면, 정상 동작을 계속하는 단계(S150)가 진행된다. 또한, 상기 단계(S250)에서 n값이 m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S150)가 진행된다. 상기 단계(S150)가 진행된 후, 상기 종료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S900), 상기 단계(S220)부터 다시 진행된다.
100: 제 1세탁물 처리기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200: 제 2세탁물 처리기기,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100, 200: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
110: 제 1케비닛 120: 제 1도어
130: 제 1입력부 140: 제 1출력부
150: 제 1세제 공급부 160: 제 1드럼
165: 제 1구동부 170: 제 1제어부
180: 제 1통신부
210: 제 2케비닛 220: 제 2도어
230: 제 2입력부 240: 제 2출력부
250: 제 2세제 공급부 260: 제 2드럼
265: 제 2구동부 270: 제 2제어부
280: 제 2통신부
30: 센싱부

Claims (11)

  1. 하측면을 형성하는 제1 베이스와,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1 프론트 커버와,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제1 사이드 커버와, 후면을 형성하는 제1 백 커버를 포함하는 제1 케비닛;
    상기 케비닛 내에 세탁물을 담는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드럼;
    상기 제1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케비닛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케비닛;
    상기 제2 케비닛 내에 세탁물을 담는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드럼; 그리고
    상기 제2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비닛은:
    상기 제1 케비닛의 상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탑 커버가 맞물릴 수 있는 상측부; 그리고
    상기 상측부의 후방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비닛은 상기 탑 커버가 탈거된 상기 제1 케비닛의 상측부에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는 상기 상측부의 전방에 삽입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케비닛에 결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비닛의 상측부에 대해 상기 제2 케비닛의 기설정된 정위치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 그리고
    상기 센싱부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케비닛이 상기 기설정된 정위치에서 이탈한 경우 상기 제1 구동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부의 동작 중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제2 케비닛의 상기 정위치의 이탈을 감지한 횟수가 2회 이상일 때 상기 제2 구동부를 정지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케비닛이 상기 정위치의 이탈시 상기 센싱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64474A 2017-12-01 2017-12-01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 및 세탁물 처기기기의 제어방법 KR102446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74A KR102446189B1 (ko) 2017-12-01 2017-12-01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 및 세탁물 처기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74A KR102446189B1 (ko) 2017-12-01 2017-12-01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 및 세탁물 처기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046A KR20190065046A (ko) 2019-06-11
KR102446189B1 true KR102446189B1 (ko) 2022-09-21

Family

ID=6684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474A KR102446189B1 (ko) 2017-12-01 2017-12-01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 및 세탁물 처기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6207A (zh) * 2019-07-29 2021-02-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CN113046990A (zh) * 2019-12-27 2021-06-2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护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764A (ja) * 2004-12-09 2006-06-22 Sharp Corp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890A (ja) * 2002-03-28 2003-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のアンバランス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KR101319879B1 (ko) 2007-01-10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잠금 장치를 갖는 페데스탈 세탁기
KR20170086208A (ko) * 2016-01-18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764A (ja) * 2004-12-09 2006-06-22 Sharp Corp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046A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0263B1 (en) Washing machine
KR20210097659A (ko) 의류처리장치
US20110041258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to control the same
US8893341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spin-drying thereof
KR2016009245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46189B1 (ko) 상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하부 배치용 세탁물 처리기기, 세탁물 처리기기 세트 및 세탁물 처기기기의 제어방법
US988513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TE510947T1 (de) Trommelwaschmaschine
US10669664B2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481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4698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EP3315647A1 (en) Method of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80102828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3908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70086207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4012503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laundry clothing treating apparatus
KR2022012036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571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22164790A (ja) 洗濯機用管理装置
KR20130070809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세탁 제어 방법
US20210207303A1 (en) Laundry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90005414A (ko)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10004750A (ko) 액체세제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4618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40167213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