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196A - 의류 폴딩 머신 - Google Patents
의류 폴딩 머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6196A KR20230116196A KR1020220012819A KR20220012819A KR20230116196A KR 20230116196 A KR20230116196 A KR 20230116196A KR 1020220012819 A KR1020220012819 A KR 1020220012819A KR 20220012819 A KR20220012819 A KR 20220012819A KR 20230116196 A KR20230116196 A KR 202301161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lding
- clothes
- plate
- cradle
- cloth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06F89/02—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 D06F89/023—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of shirts
- D06F89/026—Details, e.g. collar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06F89/02—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폴딩 머신에 관한 것으로, 외부 골격을 외부 골격을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의류를 거치하며 거치된 의류를 접는 폴딩부와, 폴딩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의류가 폴딩부에 거치되기 전에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거치대는 상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바, 거치대에 거치된 의류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힌 의류에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의류 폴딩 머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 폴딩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에 의류를 거치하고 판을 회전시키면서 의류를 접을 수 있는 의류 폴딩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의류는 천연 또는 합성섬유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제조되며, 보관 및 이동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folding)이 수행되어야 한다.
일상적으로, 의류는 세탁 후 수납하기 위하여 또는 계절 변화에 따른 장기 보관을 위하여 의류 접기 행위가 상당히 자주 또는 다량으로 요구되었다. 그런데 인력에 의한 직접적인 의류 접기 행위는 시간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숙달되지 않은 인력으로 인해 접혀진 의류의 모양과 크기가 일치되지 않게 되면 전시 또는 보관을 위해 추가적인 노동이 투입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의류 접기 행위를 신속하고 일률적으로 수행할 자동 폴딩 머신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였다.
선행문헌으로 한국공개공보 제2021-0096664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은 세탁물에서 폭 접힘을 생성하기 위한 폭접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세탁물을 거치하는 폭 폴더를 구비하며, 폭 폴더는 수직 방향을 따라서 적층된 수형부재 및 암형부재를 포함한다. 수형부재는 세탁물의 운동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제1접기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암형부재는 수형부재의 아래에 위치되고, 운동방향을 따라서 안쪽으로 수렴하는 제2접기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암형부재는 수형상부표면을 가로질러 진행하는 동안 세탁물의 말단을 안쪽으로 압박하는 접기 돌출부를 구비한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의류의 양 측단은 제1접기 가장자리와 제2접기 가장자리 사이의 틈새에서 하부로 처지는 특징이 있다. 만약 의류가 다소 뻣뻣한 경우, 의류의 단부가 접기 돌출부에 접촉되어 하방으로 꺾이게 되어, 제1접기 가장자리와 제2접기 가장자리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게 된다.
하지만, 선행문헌에 따르면 폭 폴더는 의류의 단부를 하방으로 처지게 할 뿐이고, 의류를 접기 위해서는 폭 폴더의 후방에 별도의 어셈블리가 필요하므로, 폴딩 머신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폭 폴더에 거치된 의류가 처지면서 주름이 발생할 수 있고, 주름이 발생한 상태로 의류가 접히는 경우 의류에 구김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의류 폴딩 머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의류 폴딩 머신을 로딩부-폴딩부-언로딩부로 구획하지 않고, 하나의 공간에서 로딩 및 폴딩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 폴딩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로딩부가 의류를 폴딩부로 운반하기 전에 의류의 면적을 일정 이하로 감소시켜, 폴딩부에 거치되는 의류의 면적을 정형화할 수 있는 의류 폴딩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은, 외부 골격을 프레임부,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의류를 거치하며 거치된 의류를 접는 폴딩부, 폴딩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의류가 폴딩부에 거치되기 전에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거치대는 상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거치대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1곡률을 가지고, 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제1곡률에 교차되는 제2곡률을 가질 수 있다.
거치대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단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돌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는, 상부면에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대 바디, 거치대 바디의 일 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거치대 측벽, 거치대 측벽의 일 측에서 내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의류가 거치대 바디를 통과할 때 의류의 일 측단을 접는 소매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소매접힘부의 측면은, 상단이 하단보다 내측에 배치된 경사가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소매접힘부는, 거치대 바디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판, 측판의 상단에서 내측방으로 연장되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판은 후단이 전단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판은 내측단이 외측단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소매접힘부는, 측판의 전단에 배치되고, 거치대 측벽에서 내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는 상부면에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대 바디, 거치대 바디의 일 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거치대 측벽, 거치대 바디의 일 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의류의 일 측단을 지지하는 소매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폴딩 머신은,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의류가 거치대에 거치되면 의류의 일 측을 고정하고 폴딩부로 운반하는 로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부는, 로딩부 바디, 로딩부 바디에 배치되고 로딩부 바디에 의류를 고정하는 그리퍼, 로딩부 바디의 일 측에 배치되는 피니언, 프레임부에 배치되고 의류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고 피니언에 연결되는 래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는, 로딩부 바디에 고정 결합되고 의류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판, 하부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로딩부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부판, 일 측이 하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 제1링크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 측이 하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는, 로딩부 바디에 고정 결합되고 의류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판, 하부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로딩부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부판, 일 측이 하부판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부판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는, 로딩부 바디에 고정 결합되고 의류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판, 하부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로딩부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부판, 일 측이 로딩부 바디에 배치되고 타 측이 상부판에 밀착되는 압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리퍼는, 일 측이 로딩부 바디에 결합되고 타 측이 압박부재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류 폴딩 머신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상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바, 거치대에 거치된 의류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힌 의류에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거치대 측벽의 일 측에서 내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소매접힘부를 포함하는 바, 의류가 거치대 바디를 통과할 때 의류의 일 측단이 접힘으로써 일정 이하의 너비를 가지므로, 폴딩부의 크기를 작게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로딩부의 그리퍼는 일 측이 하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2링크를 포함하는 바, 상부판이 회전 없이 이동만으로 하부판에 밀착되어, 의류를 균일한 압력으로 고정하며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으로써, 의류를 고정하기 전의 의류 폴딩 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의류를 고정한 후의 의류 폴딩 머신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의류를 폴딩부로 운반한 후의 의류 폴딩 머신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의류의 고정을 해제한 후의 의류 폴딩 머신의 사시도,
도 5는 로딩부의 구동 어셈블리를 확대한 도,
도 6은 로딩부의 구동 어셈블리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
도 7은 도 6에서 A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로딩부의 구동 어셈블리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로써, 의류를 고정하기 전 상태의 도,
도 9는 도 8에서 의류를 고정한 상태의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서 B부분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서 C부분의 단면도,
도 16은 도 13에서 D부분의 단면도,
도 17은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서 E부분의 단면도,
도 19는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
도 20은 도 19에서 F부분의 단면도,
도 21은 제4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
도 22는 도 21에서 G부분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서 폴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서 연동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이 의류를 세로 접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이 의류를 가로 접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이 컨베이어를 통하여 가로 접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의류를 고정한 후의 의류 폴딩 머신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의류를 폴딩부로 운반한 후의 의류 폴딩 머신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의류의 고정을 해제한 후의 의류 폴딩 머신의 사시도,
도 5는 로딩부의 구동 어셈블리를 확대한 도,
도 6은 로딩부의 구동 어셈블리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
도 7은 도 6에서 A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로딩부의 구동 어셈블리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로써, 의류를 고정하기 전 상태의 도,
도 9는 도 8에서 의류를 고정한 상태의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서 B부분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서 C부분의 단면도,
도 16은 도 13에서 D부분의 단면도,
도 17은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서 E부분의 단면도,
도 19는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
도 20은 도 19에서 F부분의 단면도,
도 21은 제4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
도 22는 도 21에서 G부분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서 폴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에서 연동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이 의류를 세로 접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이 의류를 가로 접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이 컨베이어를 통하여 가로 접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의류 폴딩 머신(1)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의류 폴딩 머신(1)에 대한 것이다. 의류 폴딩 머신(1)은 펼쳐져 있는 의류가 삽입되면, 의류를 접어 규격화된 크기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의류는 상의일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 달리, 의류는 하의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의류 폴딩 머신(1)의 방향을 정의한다. 전방은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거치대(20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이다. 예를 들어, 의류는 거치대(200)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며, 거치대(200)를 통과하여 폴딩부(400)에 도달한다. 우측방은 전방에서 의류 폴딩 머신(1)을 바라볼 때 우측 방향으로 정의한다. 좌측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이다. 상방은 도 1에서 프레임(100)의 위쪽을 말하고, 하방은 도 1에서 프레임(100)의 아래쪽을 말한다.
의류 폴딩 머신(1)은 외부 골격으로서 기능하는 프레임부(1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의류 폴딩 머신(1)의 외부 모서리 측에 배치되어 의류 폴딩 머신(1)의 최소 작동 공간을 정의하고, 의류 폴딩 머신(1)를 구성하는 여러 부재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은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이다. 수평프레임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이다. 수직프레임은 수평프레임과 서로 교차되어 결합됨으로써, 의류 폴딩 머신의 골격을 구성한다.
한편, 의류 폴딩 머신(1)은 거치대(200), 로딩부(loading unit)(300), 폴딩부(folding unit)(400) 및 언로딩부(unloading unit)(미도시)를 포함한다.
거치대(200), 로딩부(300), 폴딩부(400) 및 언로딩부(미도시)는 각각 전술한 프레임부(100)에 지지될 수 있고, 거치대(200), 로딩부(300), 폴딩부(400) 및 언로딩부(미도시)의 작동 공간은 프레임부(10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의류 폴딩 머신은 거치대(200)를 포함한다. 거치대(200)는 의류가 폴딩부(400)에 거치되기 전에 의류를 거치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200)는 제1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추후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거치대(200)는 의류가 폴딩부(400)에 거치되기 전에 의류를 임시로 거치한다. 의류는 거치대(200)에 거치된 후, 로딩부(300)에 의하여 폴딩부(400)로 안내된다.
거치대(200)는 폴딩부(400)의 전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거치대(200)는 폴딩부(400)의 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프레임부에 결합된다.
거치대(200)는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대(200)는 후단이 프레임부에 힌지 결합되고, 거치대(200)의 전단이 이동하며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대(200)의 기울기는 가변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류에 적합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200)는 상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거치대(200)의 중앙은 좌측단 또는 우측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거치대(200)의 중앙은 전단 또는 후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의류가 거치대(200)에 거치될 때, 의류는 중앙에서 전방/후방/좌측방/우측방으로 자연스럽게 처지면서 주름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거치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거치대(200)는 제1곡률(C1) 및 제2곡률(C2)을 갖는 이중 굴곡 구조를 가진다.
거치대(200)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1곡률(C1)을 가지고, 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제1곡률(C1)에 교차되는 제2곡률(C2)을 갖는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방에서 바라볼 때 거치대(200)는 제1곡률(C1)을 가진다. 제1곡률(C1)의 곡률중심은 거치대(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우측에서 바라볼 때 거치대(200)는 제2곡률(C2)을 가진다. 제2곡률(C2)의 곡률중심은 거치대(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의류가 후방으로 인입되는 동안 의류에 주름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제2곡률(C2)의 곡률반경은 가변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우측에서 바라볼 때, 전반부의 곡률(C2-1)의 곡률반경은 후반부의 곡률(C2-2)의 곡률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의류가 거치대(200)에 거치될 때 보다 효과적으로 펴질 수 있다.
거치대(200)는 돌출부(250)를 갖는다. 돌출부(250)는 의류가 거치될 때 주름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돌출부(25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단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돌출부(250)는 제3곡률(C3)을 갖는다. 제3곡률(C3)의 곡률중심은 거치대 바디(210)의 전단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돌출부(250)의 근처에서 의류는 중앙이 양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바, 중앙과 양단 사이에 장력이 발생하므로,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류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의류가 돌출부(250)의 전단에 걸려 장력이 발생하는 바, 의류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거치대(200)는 리브(26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260)는 거치대(20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리브(260)는 거치대(200)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리브(260)는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26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260)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거치대(200)는 거치대 바디(210), 거치대 측벽(220), 소매지지부(230) 및 소매접힘부(240)를 포함한다.
거치대 바디(210)는 상부면에 의류를 거치한다.
거치대 바디(210)는 전방/후방/좌측방/우측방으로 연장된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 바디(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거치대 바디(210)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1곡률(C1)을 가지고, 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제2곡률(C2)을 가진다. 제1곡률(C1)에 의한 가상의 곡선과 제2곡률(C2)에 의한 가상의 곡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직교할 수 있다.
거치대 측벽(220)은 거치대 바디(210)의 일 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거치대 측벽(220)은 거치대 바디(210)의 양 단에 형성된다.
거치대 측벽(220)은 거치대 바디(21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소매지지부(230)는 거치대 바디(210)의 일 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의류의 일 측단을 지지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소매지지부(230)는 거치대 바디(210)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더욱 돌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소매지지부(230)는 중앙이 전단 또는 후단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소매지지부(230)는 상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소매지지부(230)는 의류의 양 단을 지지하여, 의류의 양 단과 정중앙 사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의류는 단면이 W-형상으로 배치되면서, 의류에 불필요한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용이하게 접히게 된다. 특히, 의류가 상의인 경우, 소매지지부(230)는 소매를 지지하는 바, 소매의 손목부위까지 평평하게 위치시켜, 소매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매접힘부(24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매접힘부(240)는 형상에 따라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소매접힘부(240a~240d)를 포함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소매접힘부(240a)를 설명한 후,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소매접힘부(240b~240d)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소매접힘부(240a)는 거치대 측벽(220)의 일 측에서 내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의류가 거치대 바디(210)를 통과할 때, 의류의 일 측단을 접는다.
거치대 바디(210)에 거치된 의류는 폴딩부(400)를 향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의류가 소매접힘부(240a)를 통과할 때, 의류의 일 측단은 소매접힘부(240a)의 측벽을 따라서 점점 상승하며, 단면이 U-형상으로 된다. 그 후, 의류의 일 측단은 내측을 향하여 낙하하고, 의류의 좌측면 일부 또는 우측면 일부가 의류의 나머지 부분에 포개지며 접힌다.
특히, 의류가 상의인 경우, 상의의 소매가 소매접힘부(240a)에 의하여 상의의 몸통에 접히게 된다. 따라서, 폴딩부(400)에서는 몸통만을 집중적으로 접으면 되고 소매를 따로 접을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의류를 접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소매접힘부(240a)의 측면은 상단이 하단보다 내측에 배치된 경사(L1)가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매접힘부(240a)의 내측 상단은 내측 하단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소매접힘부(240a)의 측면은 제1경사(L1)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의류의 일 측단은 소매접힘부(240a)의 측면을 따라 내측 상방으로 이동하고, 측단이 내측으로 접히게 된다. 특히, 의류가 상의일 때, 사매가 소매접힘부(240a)의 측면을 따라 내측 상방으로 이동하고, 소매가 몸통의 상부에 포개진다.
도 13을 참조하면, 소매접힘부(240a)의 후단은 전단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소매접힘부(240a)의 전단에서 측면은 제2경사(L2)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의류의 일 측단은 소매접힘부(240a)의 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내측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의류가 상의일 때, 소매는 몸통의 하부로 삽입되지 않고, 소매접힘부(240a)의 측면을 따라 몸통의 상부로 포개질 수 있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소매접힘부(240a)와 다른 형상의 소매접힘부(240b)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충돌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의 설명이 원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소매접힘부(240b)를 포함한다. 소매접힘부(240b)는 측판(241b) 및 상판(242b)을 포함한다.
측판(241b)은 거치대 바디(2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판(242b)은 측판(241b)의 상단에서 내측방으로 연장된다.
측판(241b)은 거치대 측벽(220)과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측판(241b)은 거치대 측벽(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개로 형성된 후 단차를 형성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측판은 후단이 전단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의류의 일 측단이 측판(241b)을 따라 상승할 때 상승하는 영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의류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측판(241b)은 내측면이 외측으로 오목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을 예로 들면, 소매접힘부(240b)의 내측면은 우측이 개방된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의류의 일 측단이 내측 상방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되면서, 보다 용이하게 의류의 나머지 부분에 포개질 수 있다. 특히, 의류가 상의인 경우, 소매가 측판(241b)을 따라 상승할 때 의류의 몸통의 상부에 용이하게 포개질 수 있다.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소매접힘부(240a,240b)와 다른 형상의 소매접힘부(240c)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충돌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의 설명이 원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소매접힘부(240c)를 포함한다. 소매접힘부(240c)는 측판(241c) 및 상판(242c)을 포함한다.
상판(242c)은 내측단이 외측단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도 20을 예로 들면, 소매접힘부(240c)의 내측면은 우측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의류의 일 측단이 내측 상방으로 이동한 후 내측 하방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되면서, 보다 용이하게 의류의 나머지 부분에 포개질 수 있다. 특히, 의류가 상의인 경우, 소매가 측판(241c)을 따라 상승할 때 의류의 몸통의 상부에 용이하게 포개질 수 있다.
이하,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소매접힘부(240a~240c)와 다른 형상의 소매접힘부(240d)를 포함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충돌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따른 거치대(200)의 설명이 원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4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소매접힘부(240d)를 포함한다. 소매접힘부(240d)는 측판(241d) 및 상판(242d)을 포함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전방 가이드(243d)를 포함한다.
전방 가이드(243d)는 측판(241d)의 전단에 배치되고, 거치대 측벽(220)에서 내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전방 가이드(243d의 내측면은 소매접힘부 측판(241d)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의 일 측단은 전방 가이드(243d)의 내측면을 따라 말려 올라가게 되나, 전방 가이드(243d)를 벗어나면 측판(241d)을 향해 다시 펼쳐지게 된다. 그 후, 펼쳐진 일 측단은 측판(241d)의 내측면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승될 수 있다.
의류 폴딩 머신은 로딩부(300)를 포함한다. 로딩부(300)는 의류를 거치대(200)에서 폴딩부(400)로 운반하는 구성요소이다. 로딩부(300)는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의류가 거치대(200)에 거치되면 의류의 일 측을 고정하고 폴딩부(400)로 운반한다.
로딩부(300)는 로딩부 바디(310), 그리퍼(320), 구동 어셈블리(330) 및 센서부(340)를 포함한다.
로딩부 바디(310)는 로딩부(3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로딩부 바디(310)는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퍼(320)는 의류를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퍼(320)는 로딩부 바디(310)에 배치되고, 로딩부 바디(310)에 의류를 고정한다.
그리퍼(320)는 거치대(200)에 거치된 의류를 집어서, 의류를 로딩부 바디(310)에 고정한다. 그리퍼(320)는 폴딩부(400)로 이동된 의류의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퍼(320)는 하부판(321), 상부판(322), 제1링크(323) 및 제2링크(324)를 포함한다.
하부판(321)과 상부판(322)은 의류에 밀착되어, 의류를 로딩부 바디(310)에 고정한다.
하부판(321)은 로딩부 바디(310)에 고정 결합되고, 의류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하부판(321)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의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하부판(321)은 거치대 바디(21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판(321)은 제1곡률(C1)을 가질 수 있다.
상부판(322)은 하부판(321)의 상부에 배치되고, 로딩부 바디(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상부판(322)은 하부판(321)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판(322)은 제1곡률(C1)을 가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부판(322)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판(322)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하부판(321)과 함께 의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부판(322)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의류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의류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부판(322)의 하부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의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상부판(322)이 이동할 때 상부판(322)을 안내한다.
제1링크(323)는 일 측이 하부판(3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부판(3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링크(324)는 제1링크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 측이 하부판(3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부판(3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링크와 제2링크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링크와 제2링크가 회전하는 경우, 상부판(322)은 회전 없이 평행이동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링크와 제2링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부판(322)이 하강하면서 의류를 고정한다. 이와 달리,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부판(322)이 하강하면서 의류의 고정을 해제한다.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링크 또는 제2링크는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모터(미도시)는 제1링크에 연결될 수 있고, 제2링크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퍼(320)는 제1스프링(3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프링(326)은 일 측이 하부판(321)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부판(322)에 결합된다.
제1스프링(326)은 상부판(322)이 상승한 경우에, 상부판(322)에 하방을 향하는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1스프링(326)은 의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퍼(320)는 압박부재(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박부재는 상부판(322)을 압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압박부재는 로딩부 바디(310)에 배치되고, 타 측이 상부판(322)에 밀착된다.
압박부재의 후단은 로딩부 바디(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압박부재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단이 상부판(322)의 상부면에 단순지지된다.
압박부재는 상부판(322)의 전반부를 압박한다. 상부판(322)의 후반부는 제1링크 또는 제2링크에 의해서 하향의 힘을 받으며, 상부판(322)의 전반부는 압박부재에 의해서 하향의 힘을 받는다. 따라서, 그리퍼(320)는 의류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압박부재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홀은 로딩부 바디(310)에 선택적으로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박부재가 상부판(322)에 가하는 고정력을 증감할 수 있다.
그리퍼(320)는 제2스프링(3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프링(326)은 일 측이 로딩부 바디(310)에 결합되고, 타 측이 압박부재에 결합된다.
제2스프링(326)은 압박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고, 상기 탄성력은 압박부재가 상부판(322)에 압박하는 고정력의 원동력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스프링(326)은 압박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압박부재에 인가한다.
구동 어셈블리(330)는 로딩부 바디(310)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동 어셈블리(330)는 프레임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어셈블리(330)는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는 의류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다.
구동 어셈블리(330)는 구동모터(331), 구동기어(332), 피니언(333) 및 래크(334)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31)는 로딩부 바디(310)에 배치된다.
구동모터(331)는 그리퍼(320)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생성한다.
구동모터(331)는 로딩부 바디(310)에 결합되어, 로딩부 바디(310)와 함께 이동한다.
구동모터(331)는 샤프트를 구비하며, 샤프트에는 구동기어(332)가 결합된다.
구동기어(332)는 구동모터(331)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구동기어(332)는 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한다.
피니언(333)은 로딩부 바디(310)의 일 측에 배치된다. 피니언(333)은 구동기어(332)와 연결되며, 구동기어(332)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래크(334)는 프레임부에 배치되고, 의류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고, 피니언(333)에 연결된다.
래크(334)는 프레임부(100) 중 수평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래크(334)는 수평프레임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래크(334)는 의류의 인입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래크(334)는 피니언(333)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333)이 회전하는 경우, 피니언(333) 및 로딩부 바디(310)는 래크(334)의 연장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피니언(333)은 로딩부 바디(310)의 양 단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래크(334)도 로딩부 바디(310)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어셈블리(330)는 안내돌기(335) 및 안내홈(3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돌기(335)는 거치대 바디(210)에 배치된다. 안내돌기(335)는 피니언(333)의 중심축에서 외측방으로 더욱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홈(336)은 프레임부에 배치된다. 안내홈(336)은 내측면에서 외측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홈(336)은 전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안내홈(336)의 연장 방향은 래크(334)의 연장 방향 및 의류의 인입 방향과 평행하다.
안내돌기(335)의 적어도 일부는 안내홈(336)에 삽입된다. 안내돌기(335)는 안내홈(336)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안내돌기(335) 및 안내홈(336)은 로딩부(300)가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돕는다.
센서부(340)는 로딩부(3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부(340)는 프레임부(10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40)는 수평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340)는 제1로딩감지센서(341), 제2로딩감지센서(342) 및 제3로딩감지센서(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딩감지센서(341)는 로딩부(300)가 전방으로 한계이동한 때 로딩부(3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때, 그리퍼(320)가 작동되어 의류를 로딩부 바디(310)에 고정할 수 있다.
제2로딩감지센서(342)는 제1로딩감지센서(341)와 제3로딩감지센서(343) 사이에 배치된다. 제2로딩감지센서(342)가 로딩부를 감지한 경우, 그리퍼(320)는 의류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의류는 중력에 의해서 낙하하여, 폴딩부(400)에 안착된다.
제3로딩감지센서(343)는 로딩부(300)가 후방으로 한계이동한 때 로딩부(3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의류 폴딩 머신(1)은 폴딩부(400)를 포함한다. 폴딩부(400)는 의류를 거치하고, 거치된 의류를 접는 구성요소이다.
폴딩부(400)는, 로딩부(200)를 통해 인입된 의류를 이송하고 접는 기능을 수행한다.
폴딩부(400)는 프레임부(100) 내부에 배치되고, 폴딩 플레이트(410, 420), 연동 플레이트(430), 제1 연동 링크(440), 제2 연동 링크(450), 링크 플레이트(460, 470), 폴딩 컨베이어(480, 49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폴딩부(400)는 폴딩 플레이트(410, 420)의 회전에 의하여 의류를 접을 수 있고,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회전(순환)에 의하여 의류를 이송하면서 접을 수 있다.
폴딩 플레이트(410, 420)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외곽에 배치된다. 따라서, 로딩부(200)를 통하여 인입된 의류의 중앙부(예를 들어, 티셔츠의 가슴 부분)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 위에 놓이고, 의류의 단부(예를 들어, 티셔츠의 소매 또는 옆구리 부분 또는 밑단 부분)는 폴딩 플레이트(410, 420) 위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폴딩 플레이트(410, 420)의 회전에 의하여 의류의 단부가 접힐 수 있고,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회전에 의하여 의류의 중앙부를 접거나 의류를 이송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폴딩 플레이트(410, 420)는 링크 플레이트(460, 4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하여 의류를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폴딩 플레이트(410, 420)는 제1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의류를 접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제1 회전축(A1)과 수직한 제2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의류를 접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를 포함한다.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좌우 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의류의 좌우측 단부를 의류의 중앙 쪽으로 접을 수 있다. 편의상,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 중 좌측에 배치된 것을 제1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a)라 부를 수 있고, 우측에 배치된 것을 제2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b)라고 부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좌우가 바뀔 수 있다.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와 링크 결합되고,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는 폴딩 베이스(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는 제1 회전축(A1)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는 제1 회전축(A1)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와 함께 또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와 별도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전방에 배치되고, 의류의 후단을 의류의 중앙 쪽(예를 들어, 상의의 몸통 쪽)으로 접을 수 있다.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는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와 링크 결합되고,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는 폴딩 베이스(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는 제2 회전축(A2)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는 제2 회전축(A2)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 범위 내에서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와 함께 또는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와 별도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연동 플레이트(430)는 세로 접기 폴딩 플레이트(410) 또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연동 플레이트(430)는 제1 연동 링크(440)를 통하여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연결될 수 있다. 연동 플레이트(430)는 제2 연동 링크(450)를 통하여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동 플레이트(430)는 제1 연동 링크(440)와 링크 결합되고, 제1 연동 링크(440)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링크 결합된다. 따라서,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가 회전되면, 연동 플레이트(430)도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연동 플레이트(430)는 제2 연동 링크(450)와 링크 결합되고, 제2 연동 링크(450)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링크 결합된다. 따라서,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가 회전되면, 연동 플레이트(430)도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한편, 도 2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6 내지 도 2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이 적용되어 의류를 폴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5 내지 도 2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1)이 의류를 폴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은 로딩 단계(S10), 세로 접기 단계(S20), 가로 접기 단계(S30) 및 언로딩 단계(S40)를 포함한다.
로딩 단계(S10)에서는 의류(C)가 프레임부(100) 내부로 로딩된다.
로딩 단계(S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의류가 거치대(200) 위에 로딩되고, 프레임부(100) 내부를 향하여 넣어질 수 있다. 특히, 의류가 상의인 경우, 상의의 소매가 소매접힘부(240)에 의하여 상의의 몸통에 접히게 된다.
로딩 단계(S10)에서 의류가 거치대(200) 및 하부판(321) 위에 올려지고, 상부판(322)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하부판(321)과 함께 의류를 고정할 수 있다.
로딩 단계(S10)에서 제어부(600)는, 로딩부 바디(310)가 제1 로딩 감지 센서(341)가 배치된 위치에서 로딩부 구동 모터(331)의 작동을 시작하여 로딩부 바디(310)가 레크(334)를 따라 직선 이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로딩부 바디(310)가 제2 로딩 감지 센서(342)가 배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제2 로딩 감지 센서(34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부판(322)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부판(322)에 구비된 구동모터(331)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로딩부 바디(310)가 제3 로딩 감지 센서(343)가 배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제3 로딩 감지 센서(34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폴딩부(400)의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로딩 단계(S10) 후에는, 의류가 폴딩부(400) 위에 놓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 단계(S10) 후에는, 의류가 폴딩 컨베이어(480, 490), 폴딩 플레이트(410, 420) 및 링크 플레이트(460, 470) 위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의 중앙부(예를 들어, 티셔츠의 몸통 중앙 부분)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 위에 놓이고, 의류의 단부(예를 들어, 티셔츠의 소매 또는 옆구리 부분 또는 밑단부)는 폴딩 플레이트(410, 420) 위에 놓일 수 있다.
로딩 단계(S10) 후,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를 작동시켜 의류를 세로 접기한다. 여기서 세로 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한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평행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도 26를 참조하면,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 제어부(600)는,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를 작동시켜,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가 작동되면, 구동 디스크(412)가 회전되고, 구동 디스크(412)의 회전에 따라 제1 링크(413)가 원호를 그리며 회전되며, 제1 링크(413)의 이동에 따라 제2 링크(414), 제3 링크(415), 제4 링크(416)가 이동되어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 및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는 지면과 수직에 가깝게 배치되고,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를 넘어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연직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한 기준선을 잡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에 의하여 의류의 두께와 무관하게 세로 접기를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의류 폴딩 머신이 폴딩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의류를 접는 경우에, 스웨터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의류에 대해서는 폴딩 플레이트가 충분히 회전되지 못하면서 의류가 접힌 모양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60)가 회전되면서 두꺼운 의류에 대해서도 기준선의 틀을 잡아 유지시키고,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가 충분히 회전하여 의류의 단부를 접을 수 있다.
한편,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가 회전되면, 제1 연동 링크(440)를 통하여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와 연결된 연동 플레이트(430)가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폴딩 플레이트 바디(411)와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면적보다 확장된 면적을 회전시켜 의류를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의류를 접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고, 크기가 큰 의류에 대해서도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는 한 쌍의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 접기 단계(S20)에서 제어부(600)는 제1 폴딩 플레이트 모터(M1)를 먼저 작동시켜 좌측에 배치된 제1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a)를 회전시킨 후(S21), 제2 폴딩 플레이트 모터(M2)를 작동시켜, 우측에 배치된 제2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b)를 회전시킬 수 있다(S22).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쌍의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소매 또는 옆구리 부분을 차례로 포개어 의류를 깔끔하게 접을 수 있다.
세로 접기 단계(S20) 후, 가로 접기 단계(S30)에서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를 작동시켜 의류(C)를 가로 접기한다. 여기서 가로 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인입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인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수직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9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가로 접기 단계(S30)에서 제어부(500)는, 세로 접기 플레이트(410)의 폴딩 플레이트 모터(M1, M2)의 작동이 종료하면, 제3 폴딩 플레이트 모터(M3)를 작동시켜, 폴딩 플레이트 바디(421)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제3 폴딩 플레이트 모터(M3)가 작동되면, 구동 디스크(422)가 회전되고, 구동 디스크(422)의 회전에 따라 제1 링크(423)가 원호를 그리며 회전되며, 제1 링크(423)의 이동에 따라 제2 링크(424), 제3 링크(425), 제4 링크(426)가 이동되어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 및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의 폴딩 플레이트 바디(421)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는 지면과 수직에 가깝게 배치되고, 폴딩 플레이트 바디(421)의 적어도 일부는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를 넘어 폴딩 컨베이어(480, 490)의 연직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로 접기 단계(S30)에서는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인 기준선을 잡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470)에 의하여 의류의 두께와 무관하게 가로 접기를 할 수 있다.
한편, 가로 접기 단계(S30)에서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가 회전되면, 제2 연동 링크(450)를 통하여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와 연결된 연동 플레이트(430)가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의 폴딩 플레이트 바디(421)와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로 접기 단계(S30)에서는 가로 접기 플레이트(420)의 면적보다 확장된 면적을 회전시켜 의류를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의류를 접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고, 크기가 큰 의류에 대해서도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로 접기 단계(S30) 후, 언로딩 단계(S40)에서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를 작동시켜, 의류를 언로딩 공간으로 이송시키면서 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로 접기 단계(S30)가 종료된 상태에서 의류는 폴딩 컨베이어(480, 490) 위에 올려져 있다. 이때, 의류(C)의 좌우 방향의 폭과 전후 방향의 길이는 일정하게 접혀있다.
언로딩 단계(S40)에서 제어부(500)는 제1 컨베이어 모터(MC1)와 제2 컨베이어 모터(MC2)를 작동시키되,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순환(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작동시킨다.
여기서, 제1 폴딩 컨베이어(480) 및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회전 방향은, 제1 폴딩 컨베이어(480)의 상측 면 및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상측 면이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언로딩 단계(S40)에서 의류(C)는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과하여 언로딩 공간(6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의류(C)가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 사이에서 눌려져 소정 두께로 펴질 수 있다.
한편, 언로딩 단계(S40)에서 제어부(600)는 제1 컨베이어 이동 모터(MR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언로딩 단계(40)에서 제어부(500)는 제2 컨베이어 이동 모터(MR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컨베이어 이동 모터(MR1) 및/또는 제2 컨베이어 이동 모터(MR2)가 작동되면, 제1 폴딩 컨베이어(480) 및/또는 제2 폴딩 컨베이어(49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고,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언로딩 단계(S40)에서는 의류(C)의 두께에 따라, 제1 폴딩 컨베이어(480)와 제2 폴딩 컨베이어(490)의 간격을 변화시켜, 의류(C)를 용이하게 이송시키면서도, 의류(C)를 소정 두께로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도 28 참조).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의류 폴딩 머신
100: 프레임부
200: 거치대
210: 거치대 바디 220: 거치대 측벽
230: 소매지지부 240: 소매접힘부
250: 돌출부 260: 리브
300: 로딩부
310: 로딩부 바디
320: 그리퍼 321: 하부판
322: 상부판 323: 제1링크
324: 제2링크 325: 압박부재
326: 제1스프링 327: 제2스프링
330: 구동 어셈블리 331: 구동모터
332: 구동기어 333: 피니언
334: 래크 335: 안내돌기
336: 안내홈
340: 센서부
400: 폴딩부
410 : 세로 접기 플레이트 420 : 가로 접기 플레이트
430 : 연동 플레이트 440 : 제1 연동 링크
450 : 제2 연동 링크 460 :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
470 :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 480 : 제1 폴딩 컨베이어
490 : 제2 폴딩 컨베이어
500 : 제어부 600 : 언로딩 공간
100: 프레임부
200: 거치대
210: 거치대 바디 220: 거치대 측벽
230: 소매지지부 240: 소매접힘부
250: 돌출부 260: 리브
300: 로딩부
310: 로딩부 바디
320: 그리퍼 321: 하부판
322: 상부판 323: 제1링크
324: 제2링크 325: 압박부재
326: 제1스프링 327: 제2스프링
330: 구동 어셈블리 331: 구동모터
332: 구동기어 333: 피니언
334: 래크 335: 안내돌기
336: 안내홈
340: 센서부
400: 폴딩부
410 : 세로 접기 플레이트 420 : 가로 접기 플레이트
430 : 연동 플레이트 440 : 제1 연동 링크
450 : 제2 연동 링크 460 : 세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
470 : 가로 접기 링크 플레이트 480 : 제1 폴딩 컨베이어
490 : 제2 폴딩 컨베이어
500 : 제어부 600 : 언로딩 공간
Claims (16)
- 외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의류를 거치하며, 상기 거치된 의류를 접는 폴딩부;
상기 폴딩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가 상기 폴딩부에 거치되기 전에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1곡률을 가지고,
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곡률에 교차되는 제2곡률;을 가지는 의류 폴딩 머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단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부면에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대 바디;
상기 거치대 바디의 일 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거치대 측벽;
상기 거치대 측벽의 일 측에서 내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의류가 상기 거치대 바디를 통과할 때 상기 의류의 일 측단을 접는 소매접힘부;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접힘부의 측면은,
상단이 하단보다 내측에 배치된 경사가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접힘부는,
상기 거치대 바디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에서 내측방으로 연장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후단이 전단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내측단이 외측단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접힘부는,
상기 측판의 전단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대 측벽에서 내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부면에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대 바디;
상기 거치대 바디의 일 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거치대 측벽;
상기 거치대 바디의 일 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의류의 일 측단을 지지하는 소매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의류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면, 상기 의류의 일 측을 고정하고 상기 폴딩부로 운반하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로딩부 바디;
상기 로딩부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로딩부 바디에 상기 의류를 고정하는 그리퍼;
상기 로딩부 바디의 일 측에 배치되는 피니언;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는 래크;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로딩부 바디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의류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딩부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부판;
일 측이 상기 하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상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 측이 상기 하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상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로딩부 바디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의류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딩부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부판;
일 측이 상기 하부판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상부판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로딩부 바디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의류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딩부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의류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부판;
일 측이 상기 로딩부 바디에 배치되고, 타 측이 상기 상부판에 밀착되는 압박부재;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일 측이 상기 로딩부 바디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압박부재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의류 폴딩 머신.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2819A KR20230116196A (ko) | 2022-01-28 | 2022-01-28 | 의류 폴딩 머신 |
PCT/KR2022/019861 WO2023146121A1 (ko) | 2022-01-28 | 2022-12-08 | 의류 폴딩 머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2819A KR20230116196A (ko) | 2022-01-28 | 2022-01-28 | 의류 폴딩 머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6196A true KR20230116196A (ko) | 2023-08-04 |
Family
ID=8747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2819A KR20230116196A (ko) | 2022-01-28 | 2022-01-28 | 의류 폴딩 머신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16196A (ko) |
WO (1) | WO2023146121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6664A (ko) | 2018-12-30 | 2021-08-05 | 폴디메이트 아이엔씨. | 세탁물에서 폭 접힘을 생성하기 위한 폭 접기 시스템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34523A (en) * | 1997-07-16 | 1999-08-10 | Southland Equipment Company, Inc. | Universal automatic long sleeve folding device |
KR101623859B1 (ko) * | 2015-09-10 | 2016-05-26 | 주식회사 성광 |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 |
EP3676443B1 (en) * | 2017-08-30 | 2021-07-14 | Foldimate, Inc. |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folding a moving article of clothing |
KR102620847B1 (ko) * | 2019-07-04 | 2024-0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폴딩 로봇 |
-
2022
- 2022-01-28 KR KR1020220012819A patent/KR20230116196A/ko unknown
- 2022-12-08 WO PCT/KR2022/019861 patent/WO2023146121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6664A (ko) | 2018-12-30 | 2021-08-05 | 폴디메이트 아이엔씨. | 세탁물에서 폭 접힘을 생성하기 위한 폭 접기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46121A1 (ko) | 2023-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91834C (zh) | 具有可折叠门的滚筒式洗衣机 | |
US10273624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holding portion and detergent introduction portion | |
KR20200028826A (ko) | 의류처리장치 | |
EP3118366A1 (en) | Clothes dryer | |
EP3118368A1 (en) | Clothes dryer | |
US6758377B2 (en) | Shirt finishing machine and cover put on torso | |
US20210238792A1 (en) | Washing machine | |
JP2020518332A (ja) | ポケットをアイロン掛けするとともに布に縫い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プロセス | |
KR20230116196A (ko) | 의류 폴딩 머신 | |
EP1911871A2 (en) | Laundry basket built in a washing machine | |
EP3409826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CN102782200A (zh) | 衣物处理机 | |
EP3933100A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KR20170009479A (ko) | 다기능 옷걸이 | |
EP3409825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8534512B2 (en) | Shirt press | |
KR20230116197A (ko) | 의류 폴딩 머신 | |
KR200466358Y1 (ko) | 접이식 옷걸이 | |
KR102020645B1 (ko) | 액자형 매립 건조대 | |
KR101801574B1 (ko) | 세탁장치 | |
EP3985154A1 (en)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
JP3248426U (ja) | スーツ等の被服用バッグ兼用洗濯ネット | |
ITPN980058U1 (it) | Essicatore domestico migliorato a tamburo rotante ecaricamento frontale | |
KR20130078284A (ko) | 의류용 비닐커버 포장기 | |
KR102107802B1 (ko) | 의류처리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