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859B1 -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859B1
KR101623859B1 KR1020150128372A KR20150128372A KR101623859B1 KR 101623859 B1 KR101623859 B1 KR 101623859B1 KR 1020150128372 A KR1020150128372 A KR 1020150128372A KR 20150128372 A KR20150128372 A KR 20150128372A KR 101623859 B1 KR101623859 B1 KR 101623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idth
folded
angle
sp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광
Priority to KR102015012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22Longitudinal folders, i.e. for folding moving sheet material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B65H45/221Longitudinal folders, i.e. for folding moving sheet material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incorporating folding triang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6Folding webs
    • B65H45/08Folding web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22Longitudinal folders, i.e. for folding moving sheet material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B65H45/221Longitudinal folders, i.e. for folding moving sheet material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incorporating folding triangles
    • B65H45/223Details of folding tri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22Longitudinal folders, i.e. for folding moving sheet material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B65H45/221Longitudinal folders, i.e. for folding moving sheet material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incorporating folding triangles
    • B65H45/225Arrangements of folding tri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5Folding, unfo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각각 다른 사이즈의 주문되어 제작되는 물티슈를 포장대의 수용면적에 맞춰 양 단부가 접히도록 폴딩부를 구성하되, 폴딩부의 각도 및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물티슈의 생산성을 높이도록 하는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물티슈 제조를 위해 롤형태로 감겨있는 부직포가 풀리면서 스프레더에 의해 가이딩되어 이송되되, 포장대의 수용용량에 따라 부직포 폭 방향의 양 단부를 부직포의 중심방향으로 일정폭으로 접을 시 부직포를 가이딩하는 폴딩부 및 상기 폴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부직포의 구겨짐을 방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Manufacturing portable wipes having folding device with regulation of place and width and angle}
본 발명은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각각 다른 사이즈로 주문되어 제작되는 물티슈를 주문자가 요청하는 사이즈에 맞게 양 단부가 접히도록 폴딩부를 구성하되, 하나의 물티슈 제조장치에 30~100개를 구비한 폴딩부의 각도 및 폭 조절을 용이하고 균일하게 하여 물티슈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WIPES)는 물휴지를 말하는 것으로, 건조상태의 부직포에 물을 적셔 함침시킨 상태에서 포장함으로써 휴대 사용을 용이하게 한 위생용품중 하나이다.
이러한 물티슈는 화장을 지우거나 혹은 오염되어 더러워진 곳을 닦거나 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일반 유흥업소나 음식점 등에서 고객들에게 보다 더 청결한 이미지를 줄 요량으로 일회용으로 제공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용도에 따라 미용용, 아기용, 일반용, 업소용 등 다양하게 제조 판매되고 있는데, 이를 테면 화장을 지우는데 사용되는 미용용의 경우는 화장을 잘 지울 수 있도록 세정력을 높인 계면활성제 함량이 증대된 형태로 함침액의 조성이 조절된 것이고, 아기용의 경우에는 아기 피부에 자극을 최대한 주지 않도록 함침액의 성분이 조절된 것이며, 일반용의 경우에는 단순히 정제된 물을 함침액으로 사용하여 개인 위생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업소용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유흥업소나 음식점 등에서 고객들이 취식하기 전에 손 등을 닦아 오염물질을 씻어낼 수 있도록 함침액 성분이 조절된 것이다.
이와 같은 물티슈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되며, 그 중 하나는, 물티슈 포장대에서 물티슈를 한 장을 뽑을 경우 먼저 뽑힌 티슈 뒤에 다음 티슈의 앞자락이 딸려 나오게 되도록 하여 각각의 낱장의 물티슈가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되어 포장되는 방식이다.
나머지 하나는 물티슈 각각이 접혀서 독립되도록 적층하여 포장함으로서 인출구를 통하여 한 장의 물티슈를 뽑아도 다음 층의 물티슈는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적층되어 포장되는 독립 적층식인데, 본 발명은 이 부분에 관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20-0476668호
상기한 특허문헌의 등록실용신안의 경우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되어 등록된 실용신안으로서, 휴대용 물티슈 제조를 위해 긴 거리를 이동하는 동안 부직포 상에 함침액이 균일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개선된 휴대용 물티슈 제조용 함침액 주입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의 물티슈 제조장치는, 예를 들어 50매들이 물티슈를 제조할 시 물티슈를 구성하는 부직포 롤이 50개가 구성되며, 각 부직포 롤이 직렬로 배치되어 각각의 부직포롤에서 풀려서 인출되는 부직포를 각각의 폴딩부를 통하여 소정 길이로 접히도록 하면서 일측단에서 이송한 뒤 50매씩 절단하여 포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물티슈의 경우 각각 다른 사이즈의 포장대에 맞춰 제작되므로 포장대의 내측에 수용되는 각각의 물티슈들의 사이즈도 포장대의 수용면적에 맞춰 양 단부가 접히도록 폴딩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폴딩부는 부직포 롤 끝단부를 소정 폭으로 접히도록 결합되며, 상기한 폴딩부는 포장대의 사이즈에 맞도록 물티슈가 접히는 폭을 조절되어야 한다.
그러나 작업자는 제조될 물티슈의 크기 및 포장대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폴딩부를 조절하여야 되므로 막대한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물티슈가 50매들이 또는 100매들이로 제조될 경우 폴딩부를 50개 또는 100개를 일일이 개별적으로 조절하여야 되며, 이에 소요되는 시간은 막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기에 보다 개선된 기술적 구성을 바탕으로 본 출원을 하게 된 것이다.
또한, 폴딩부를 조절할 때 일일이 부직포가 접히는 간격을 맞춰서 조절하여야 되므로 오차가 발생될 경우 불량품이 제조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기존의 폴딩부의 경우 부직포가 접히는 부분의 각도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부직포를 접어서 끼우는 작업도 만만치 않아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그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져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 다른 사이즈의 주문되어 제작되는 물티슈를 포장대의 수용면적에 맞춰 양 단부가 접히도록 폴딩부를 구성하되, 폴딩부의 각도 및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물티슈의 생산성을 높이도록 하는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물티슈 제조를 위해 롤형태로 감겨있는 부직포(200)가 풀리면서 스프레더(130)에 의해 가이딩되어 이송되되, 포장대의 수용용량에 따라 부직포(200) 폭 방향의 양 단부를 부직포의 중심방향으로 일정폭으로 접을 시 부직포(200)를 가이딩하는 폴딩부(100) 및 상기 폴딩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부직포의 구겨짐을 방지하는 지지판(16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100)는, 상기 부직포(200)가 중심부 측으로 접혀지는 폭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폭조절부(110); 및 상기 폭조절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각도조절부(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부(11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프레더(130)를 지지하는 지지체(140)에 관통되어 좌우방향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며, 고정수단(150)에 의해 고정되는 인출입봉(111)과, 상기 인출입봉(111)의 중간에 결합되는 회전봉(112)로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부(120)는, 상기 회전봉(112)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고정수단(150)에 의해 고정되는 중량체(121) 및 상기 중량체(12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접혀진 부직포(200)가 외측으로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딩 편(12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인출입봉(111)은 일측단부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회전봉(112)을 고정하는 제1 조절볼트(151)로 구성되고, 상기 인출입봉(111)의 일측단부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회전봉(112)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제2 조절볼트(152)가 구비되며, 상기 중량체(121)는, 전면에 관통결합되는 제3 조절볼트(153)로 구성되어 상기 중량체(121)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60)의 후단에는 상기 부직포(200)가 풀리면서 일정한 장력 및 속도로 지지판(16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이드 판(161)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130)는, 상기 지지체(140)에 결합되어 스프레더(13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며, 표면에 상기 스프레더(13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131)이 복수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132)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편(122)은, 그 끝단이 상기 부직포(200) 폭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일정각도 세워져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112)들은 상부로 일정거리 연장형성되고, 각 회전봉(112)들의 상단부에는 연결봉(180)이 연결되되, 일단부는 제조장치 프레임(10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공(182)을 통하여 관통되어 돌출되고, 끝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81)에 의해 제조장치 프레임(10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에 의하면, 첫째, 제조될 물티슈의 크기 및 포장대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롤 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폴딩부를 일일이 조절하여야 되어 막대한 시간 및 작업 공수를 낭비하게 되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됨으로써 물티슈의 생산성을 높이게 되어 졍게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
둘째, 폴딩부를 구성하는 폭조절부 및 각도조절부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폭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가이딩 편은 경사진 상태로 세워지도록 위치되고, 양 끝단이 부직포 폭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부직포의 양 단부가 접히면서 전진하더라도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 저항도 작아지게 되기 때문에 부직포가 원활하게 진행되어 불량 물티슈의 생산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
넷째, 가이딩 편이 세워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실수로 폴딩부의 조작을 잘못하여 가이딩 편의 각도가 잘못 조작되더라도 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이 오르는 효과가 있게 된다.
다섯째, 각 회전봉들의 상부를 연결봉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게 되면, 폴딩부의 폭을 일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능률이 오르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에 구비되는 부직포 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구비되는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폴딩부에 부직포가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구비되는 폴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봉이 장치 프레임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에 구비되는 부직포 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구비되는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폴딩부에 부직포가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는, 후술할 각 구성들이 결합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조장치 프레임(1000)이 구비된다. 상기 제조장치 프레임(1000)은,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물티슈의 매수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물티슈는 20매, 30매, 50매, 100매 등 포장지에 내장되는 매수에 따라 투입되는 원단, 즉 부직포의 개수가 달라지는데 매수가 많을수록 대응 투입되는 부직포의 수가 많아져야 하므로 제조장치 프레임(1000)의 길이도 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직포의 개수란 부직포가 롤 형태로 감겨 일정반경 이상의 크기를 갖도록 반입되고, 이를 풀 수 있도록 제조장치 프레임(1000) 상에 걸어 둔 상태에서 일정속도로 풀면서 물티슈를 제조하기 때문에 부직포가 감겨 반입되는 롤 단위를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또한, 상기 제조장치 프레임(1000)은 무한정 길게 만들 수 없기 때문에 롤 단위의 부직포(원단)를 몇 개씩 걸 수 있도록 기본단위의 크기로 만들고, 이 기본단위를 복수로 연결하여 조합함으로써 원하는 길이, 즉 걸 수 있는 부직포 개수를 임의로 늘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도시된 도 2의 예는 이러한 기본단위의 제조장치 프레임(1000)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조장치 프레임(1000)의 하단 일측에는 롤안착대(1100)가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후술되는 다수의 안내롤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다수의 안내롤들을 적정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조장치 프레임(1000)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롤안착대(1100) 방향으로 돌출된 롤고정대(1200)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롤안착대(1100)는 상기 제조장치 프레임(10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며, 각 롤안착대(1100)의 상단에는 반원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롤축안착홈(1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축안착홈(1120)에는 부직포롤축(220)이 끼워져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부직포롤축(220)은 부직포권취드럼(210)의 양단 중심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부직포권취드럼(210)의 드럼면 상에는 부직포(200)가 감겨 롤형 부직포 단위로 원단을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롤형 부직포 단위로 반입된다.
한편, 상기 제조장치 프레임(1000) 및 롤고정대(1200)에는 상기 부직포(200)가 권해(풀림)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텐션롤(300), 안내롤(310), 사행방지롤(3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사행방지롤(320)의 상측에는 상기 사행방지롤(320)과 접촉하면서 가압하는 가압롤(330)이 더 구비되어 이들 사이로 부직포(200)가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롤(330)은 자중에 의해 항상 상기 사행방지롤(320)의 표면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텐션롤(300)은 풀려나온 부직포(200)가 일정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풀림방향을 전환시켜 이송안내하는 최초의 롤로서, 상기 부직포(200)의 풀림을 최대한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부직포(200)의 풀림방향과 경사를 두고 부직포(200) 상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내롤(310)은 상기 텐션롤(300)과 엇갈린 상태로 그 상측에 구비되어 풀림되는 부직포(200)가 균일한 장력을 받도록 조력하는 롤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사행방지롤(320)은 다른 롤들에 비해 직경이 크고, 재질이 달리 구성되어 당김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앞서 설명한 텐션롤(300) 및 안내롤(310)은 부직포(200)의 이송에 주로 관련되어 있고 밀착력이 높을 경우 부직포(200)의 조직을 투입과 동시에 소손되거나 혹은 초기 사행시 이를 바로잡을 수 없기 때문에 슬립성이 좋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어야 하고, 가급적 작은 직경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상기 사행방지롤(320)은 이들과 달리 비교적 직경이 커 느린 속도로 회전되면서 부직포(200)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사행방지롤(320)의 상측에는 사행방지롤(320)을 눌러 주는 가압롤(330)이 항상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부직포(200)는 쉽게 사행되지 않는다.
특히, 텐션롤(300)과 안내롤(310)을 거치면서 장력이 거의 균일하게 맞추어진 상태로 이송되기 때문에 상기 사행방지롤(320)에서는 단순히 밀착력만 높이더라도 부직포(200)의 폭방향에서의 장력불균형이 거의 생기지 않아 사행이 방지된 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롤고정대(1120)에는 누름부재(4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누름부재(400)는 일종의 천과 같은 부재이며, 풀려나오는 부직포(200)의 표면을 중력을 이용하여 가볍게 눌러 주어 풀림시 부직포(200)의 들뜸 현상을 막아 장력 균일성 유지에 일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누름부재(400)의 상단은 상기 롤고정대(1120) 상에 구비된 걸이바(410)에 유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길이 일부는 상기 롤형태의 부직포(200) 표면에 접지되며, 하단에는 중력 작용을 증대시키도록 중량물인 무게추(420)가 고정되며,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롤형 부직포(200)를 눌러 주게 된다.
한편, 부직포(200)가 풀리면서 부직포(200) 폭 방향의 양 단부를 부직포의 중심방향으로 일정폭으로 접을 시 부직포(200)를 가이딩하는 폴딩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폴딩부(100)는 이송되는 부직포(200)가 표면과 밀착되어 부직포가 전진되면서 자연스럽게 접어지도록 안내하는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폴딩부(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폴딩부(100)는, 상기 부직포(200)가 중심부 측으로 접혀지는 폭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폭조절부(110)와, 상기 폭조절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각도조절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폭조절부(110) 및 각도조절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설명의 편의상 폭조절부(110) 및 각도조절부(120)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폭조절부(11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프레더(130)를 지지하는 지지체(140)에 관통되어 좌우방향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며, 고정수단(150)에 의해 고정되는 인출입봉(111)과, 상기 인출입봉(111)의 중간에 결합되는 회전봉(1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120)는, 상기 회전봉(112)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고정수단(150)에 의해 고정되는 중량체(121) 및 상기 중량체(12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접혀진 부직포(200)가 외측으로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딩 편(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딩 편(122)은 끝단부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첨단부는 이송되는 부직포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곡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딩 편(122)은, 그 끝단인 첨단부가 상기 부직포(200) 폭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일정각도 세워져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이딩 편의 바닥면이 부직포와 접하도록 형성되면, 그 저항에 의해 부직포의 원활한 진행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가이딩 편(122)은 경사진 상태로 세워지도록 위치시키고, 양 끝단을 부직포(200) 폭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부직포(200)의 양 단부가 접히면서 전진하더라도 저항이 작기 때문에 원활하게 부직포가 진행되며, 특히, 가이딩 편(122)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도 경사는 지지만, 세워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가이딩 편(122)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이딩 편(122)이 세워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실수로 폴딩부(100)의 조작을 잘못하여 가이딩 편(122)의 각도가 잘못 조작되더라도 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이 오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폴딩부(100)의 하부에는 접혀지는 부직포를 평평하게 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판(160)이 구비된다. 지지판(160)과 스프레더(130)에 의해 부직포는 평평하게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60)의 후단에는 상기 부직포(200)가 풀리면서 일정한 장력 및 속도로 지지판(16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이드 판(161)이 상기 지지판(160)과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판(161)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지지판(160)의 하부로 인입되는 부직포가 구겨짐 없이 팽팽하고, 평평하게 인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인출입봉(111)은 일측단부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회전봉(112)을 고정하는 제1 조절볼트(151)로 구성되고, 상기 인출입봉(111)의 일측단부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회전봉(112)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제2 조절볼트(152)가 구비되며, 상기 중량체(121)는, 전면에 관통결합되는 제3 조절볼트(153)로 구성되어 상기 중량체(121)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포장대에 수용되는 부직포의 접혀지는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지지체(140)에 삽입된 인출입봉(111)을 소정거리 인출 또는 입입한 뒤 상기 제1 조절볼트(151)를 통하여 인출입봉(111)을 고정하게 되고, 이후 상기 회전봉(112)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뒤 제2 조절볼트(152)를 통하여 고정하게 되며, 상기 중량체(121)를 회전시켜 가이팅 편(122)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뒤 제3 조절볼트(153)를 통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폴딩부(100)의 인접하는 영역에는 주입노즐(170)이 배치되는데, 상기 주입노즐(170)은 일정폭을 갖는 라인형 물분사구조로 이루어져 부직포(200)의 폭방향으로 라인형태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주입노즐(170)은 상기 부직포(200)의 접어진 폭 절반 이하의 길이로 제한되어야 하는데, 이를 초과할 경우 물 주입시 물 일부가 부직포(200)의 에지부로 흘러넘쳐 설비 밖으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한정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주입노즐(170)에는 주입관(171)이 연결되는데, 상기 주입관(171)은 물공급원(미도시)과 연통되며,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볼죠이트 형태로 연장된 관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주입노즐(170)의 전방, 즉 부직포(200)가 진행하는 방향쪽으로 전방 위치에는 상기한 스프레더(130)가 지지체(140)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레더(130)는 대략 'ㄴ'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하단은 상기 부직포(200)의 상면에 접지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체(140)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더(13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며, 표면에 상기 스프레더(13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131)이 복수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132)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131)에 스프레더(130)의 단부를 삽입한 뒤 고정수단으로 볼트(133)를 이용하여 스프레더(13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131)은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레더(130)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부직포가 중심을 향하여 양측으로 접혀질 때 접혀지는 폭을 고려하여 상기 스프레더(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주문자가 원하는 대로 사이즈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사이즈에 따라 부직포가 접히는 거리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프래더(130)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제조장치 프레임(100)의 후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유닛(500), 커팅유닛(600), 포장유닛(700)이 순차로 구비되어 다수매 적층이송된 물티슈(부직포에 물이 함침된 상태의 것)를 탈수하여 적정 수분함량이 되게 하고, 이후 커팅유닛(600)을 커팅하여 일정 크기로 만들며, 커팅완료된 물티슈 다수매를 포장유닛(700)으로 포장하여 제품화하게 된다.
이때, 부직포(200)의 이송을 위한 구동수단은 하나의 구동모터(800)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조장치 프레임(100)의 중간 중간에는 이송롤조립체(900)가 설치되고, 이송롤조립체(900)들은 체인(810)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800)의 동력을 전달받아 모두가 동기속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다수의 롤들을 포함한 이송롤조립체(900)들이 상기 구동모터(800) 하나로 전부 구동되기 때문에 라인스피드가 일정하여 균일한 제조가 가능하고, 무엇보다도 설비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부직포(200)는 거는 갯수에 따라 물티슈의 적층 매수가 달라지는데, 인라인(In-line)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일 처음 부직포가 가장 바닥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 다음 부직포부터 순차 적층되게 동작하므로 도 1의 “A” 및 “B”원 안에 표시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서 최종단으로 갈수록 매수가 점차 적층되는 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는 롤형태의 부직포(200)가 풀리면서 공급될 때 발생되는 사행으로 인해 접이불량을 야기시켰던 종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여 균일한 장력으로 사행없이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설비가동효율을 높이면서 동시에 제품의 고품질화를 달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상기 롤형 부직포(200)당 하나씩의 스레더(130)가 구비되어야 하며, 이때 스프레더(130)들끼리는 절곡된 하단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구현되도록 하면 물의 분산을 더욱 더 촉진하고, 함침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직포(200)의 폭 중앙으로 주입된 물은 스프레더(130)를 만나면서 퍼지게 되는데, 이는 물이 아직 덜 스며들었을 때 스프레더(130)와 만나게 되므로 물은 스프레더(130)에 걸리고 부직포(200)는 이동하게 되므로 물이 부직포(200)를 따라 이동하려고 스프레더(130)의 절곡된 하단 길이방향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처음에는 얼마 못 퍼져나가지만 약 30-50매의 부직포(200)가 쌓이는 동안 이동하는 길이가 충분하기 때문에 매번 이러한 스프레더(130)의 동작이 일어나므로 결국 최종단에 도달했을 때 주입된 물은 부직포(200)의 폭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퍼진 상태가 된다.
특히, 각도 및 폭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100)가 구비됨으로서 제조될 물티슈의 크기 및 포장대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롤 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폴딩부를 일일이 조절하여야 되어 막대한 시간 및 작업 공수를 낭비하게 되는 기존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함으로서 생산성 및 경제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의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구비되는 폴딩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연결봉이 장치 프레임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의 변형예의 경우 상기한 구성과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회전봉(112)의 상부가 상이한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회전봉(112)들은 상부로 일정거리 연장형성되고, 각 회전봉(112)들의 상단부에는 연결봉(18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봉(180)의 일단부는 제조장치 프레임(10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공(182)을 통하여 관통되어 돌출되고, 끝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81)에 의해 제조장치 프레임(10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봉(180)은 가이드 판(161)으로 진입되는 부직포(200)의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직포(200)와 연결봉(180) 간에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회전봉(112)은 소정각도로 휘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봉(180)을 구성하는 것은, 상기 폴딩부(100)의 간격을 일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즉, 폴딩부(10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서 각 폴딩부(100)의 간격을 일일이 조절하여야 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는 제1 조절볼트(151)을 풀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180)을 장공(182) 상에서 좌우로 알맞은 간격으로 조절한 뒤 고정볼트(182)를 조이고, 이후 상기 제1 조절볼트(151)를 조이게 되면 일괄적으로 폴딩부(100)의 폭을 한꺼번에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폴딩부 110 : 폭조절부
111 : 인출입봉 112 : 회전봉
120 : 각도조절부 121 : 회전체
122 : 가이딩 편 130 : 스프레더
140 : 지지체 150 : 고정수단
151 : 제1 조절볼트 152 : 제2 조절볼트
160 : 지지판 170 : 주입노즐
200 : 부직포 300 : 텐션롤
310 : 안내롤 320 : 사행방지롤
330 : 가압롤 400 : 누름부재
410 : 걸이바 420 : 무게추
500 : 탈수유닛 600 : 커팅유닛
700 : 포장유닛 800 : 구동모터
900 : 이송롤조립체 1000 : 제조장치 프레임
1120 : 롤축안착홈 1200 : 롤고정대

Claims (3)

  1. 휴대용 물티슈 제조를 위해 롤형태로 감겨있는 부직포(200)가 풀리면서 스프레더(130)에 의해 가이딩되어 이송되되, 포장대의 수용용량에 따라 부직포(200) 폭 방향의 양 단부를 부직포의 중심방향으로 일정폭으로 접을 시 부직포(200)를 가이딩하는 폴딩부(100) 및
    상기 폴딩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부직포의 구겨짐을 방지하고, 후단에는 상기 부직포(200)가 풀리면서 일정한 장력 및 속도로 부직포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이드 판(161)이 형성되는 지지판(160)을 포함하되,
    상기 폴딩부(100)는, 상기 부직포(200)가 중심부 측으로 접혀지는 폭의 길이를 조절하되,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더(130)를 지지하는 지지체(140)에 관통되어 좌우방향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며, 고정수단(150)에 의해 고정되는 인출입봉(111)과, 상기 인출입봉(111)의 중간에 결합되는 회전봉(112)로 구성되는 폭조절부(110); 및 상기 폭조절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봉(112)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고정수단(150)에 의해 고정되는 중량체(121) 및 상기 중량체(12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접혀진 부직포(200)가 외측으로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되, 끝단인 첨단부가 상기 부직포(200) 폭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일정각도 세워져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가이딩 편(122)으로 구성되는 각도조절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인출입봉(111)은 일측단부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회전봉(112)을 고정하는 제1 조절볼트(151)로 구성되고, 상기 인출입봉(111)의 일측단부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회전봉(112)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제2 조절볼트(152)가 구비되며, 상기 중량체(121)는, 전면에 관통결합되는 제3 조절볼트(153)로 구성되어 상기 중량체(121)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130)는,
    상기 지지체(140)에 결합되어 스프레더(13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며, 표면에 상기 스프레더(13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131)이 복수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1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112)들은 상부로 일정거리 연장형성되고, 각 회전봉(112)들의 상단부에는 연결봉(180)이 연결되되, 일단부는 제조장치 프레임(10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공(182)을 통하여 관통되어 돌출되고, 끝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81)에 의해 제조장치 프레임(10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
KR1020150128372A 2015-09-10 2015-09-10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 KR101623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372A KR101623859B1 (ko) 2015-09-10 2015-09-10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372A KR101623859B1 (ko) 2015-09-10 2015-09-10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859B1 true KR101623859B1 (ko) 2016-05-26

Family

ID=5610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372A KR101623859B1 (ko) 2015-09-10 2015-09-10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8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926B1 (ko) 2016-11-18 2018-02-07 주식회사 그린동화 물티슈 제조장치용 부직포 폴딩장치
CN114572463A (zh) * 2022-03-25 2022-06-03 泉州市泉创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化湿纸巾转向堆叠机
WO2023146121A1 (ko) * 2022-01-28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머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410A (ja) 2000-04-06 2001-10-16 Fukuyoo Kosan Kk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可変式折り板装置
KR101110130B1 (ko) 2011-10-06 2012-01-31 (주)로픽 도시락용 김이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단위세트로 포장하기 위한 설비
JP2012025418A (ja) 2010-07-22 2012-02-09 Koyo Kasei:Kk ウェットティッシュロールの包装方法並び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410A (ja) 2000-04-06 2001-10-16 Fukuyoo Kosan Kk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可変式折り板装置
JP2012025418A (ja) 2010-07-22 2012-02-09 Koyo Kasei:Kk ウェットティッシュロールの包装方法並びに装置
KR101110130B1 (ko) 2011-10-06 2012-01-31 (주)로픽 도시락용 김이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단위세트로 포장하기 위한 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926B1 (ko) 2016-11-18 2018-02-07 주식회사 그린동화 물티슈 제조장치용 부직포 폴딩장치
WO2023146121A1 (ko) * 2022-01-28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머신
CN114572463A (zh) * 2022-03-25 2022-06-03 泉州市泉创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化湿纸巾转向堆叠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859B1 (ko) 폭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폴딩부가 구비된 독립 적층식 휴대용 물티슈 제조장치
CN204096720U (zh) 铺布机的送布装置
JPH0565428B2 (ko)
JPS62168832A (ja) 帯状材料の選択−送り装置
JP4285999B2 (ja) 緩衝材ダンネージを作成し、分配するコンパクトな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20519490A (ja) 耐風性ファンフォールド供給支持体(サポート)
JP5919453B1 (ja) 紐誘導装置
US4676494A (en) Cloth support and feed apparatus for cloth spreading machine
KR20160000706U (ko) 휴대용 물티슈 제조용 부직포 가이드장치
KR200476668Y1 (ko) 휴대용 물티슈 제조용 함침액 주입장치
KR101790440B1 (ko) 물티슈 제조장치
CN105501494B (zh) 一种立式湿巾包装机
JP2011099188A (ja) 延反装置
US1722559A (en) Coated-board finishing and cutting apparatus
KR101682632B1 (ko)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킨 물티슈용 롤원단 거치대
US3271889A (en) Flatwork ironer with automatic flatwork spreading mechanism
US3504452A (en) Multilane spreader
JP5321857B2 (ja) 巻きおしぼり自動生成装置
CN206328573U (zh) 一种无纺布染色生产线
US1618391A (en) Towel-folding machine
TW201508111A (zh) 用於開放式圓編機中之織物之取下及/或收集組的張緊輥輪
CN214527065U (zh) 一种用于软织物和皮革制品的打卷机
KR101794010B1 (ko) 망지를 이용한 꽃포장지 제조장치
CN206328574U (zh) 一种改良型无纺布染色生产线
CN105129466B (zh) 一种衬布生产用放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