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596A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596A
KR20210059596A KR1020200096963A KR20200096963A KR20210059596A KR 20210059596 A KR20210059596 A KR 20210059596A KR 1020200096963 A KR1020200096963 A KR 1020200096963A KR 20200096963 A KR20200096963 A KR 20200096963A KR 20210059596 A KR20210059596 A KR 20210059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
fishing rod
rear grip
proximal end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유키 오소레다
히로노리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10059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고감도이고,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회전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고, 가는 블랭크(blank)에 적합한 리어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2 블랭크(3)를 구비하고, 제2 블랭크(3)는, 주부(主部)(20)와, 주부(20)의 장대 기단 측으로 연속하는 리어 그립부(21)를 가지고, 리어 그립부(21)는, 근사 평면(30)과, 주부(20)의 외주(外周)보다도 상측에, 횡단면(橫斷面)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리어 그립부(21)의 최하부(21a)보다도 주부(20)의 중심으로부터 경(徑)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제1 및 제2 각부(角部)(31)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본 발명은, 리어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릴 시트보다도 장대 기단 측에 리어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가 알려져 있다. 리어 그립부는, 블랭크(blank)와는 별체(別體)의 구성이다. 리어 그립부는, 블랭크의 외주면(外周面)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낚시꾼이 오른손으로 낚싯대를 파지(把持)하는 경우, 물고기가 걸렸을 때에, 낚시꾼은, 오른손의 팔을 리어 그립부에 댈 수 있다. 그 때문에, 낚시꾼은, 오른손의 손바닥과 오른손의 팔로, 낚싯대를 지탱할 수 있다. 그렇지만, 리어 그립부가 블랭크와는 별체의 구성이면, 낚싯대로부터 손으로 전해지는 감도가 저하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하기 특허 문헌 1과 같이, 블랭크에 리어 그립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성에 관하여 이미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어 그립부가 블랭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낚싯대로부터 손으로 전해지는 감도가 향상한다. 그렇지만, 리어 그립부의 단면 형상이 원형상(圓形狀)이기 때문에, 오른손의 팔에 리어 그립부가 당접(當接)하였을 때에, 리어 그립부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기 쉽다. 또한, 캐스트(cast) 시에는, 낚시꾼은, 왼손으로 리어 그립부를 파지하여 더블 핸드 캐스트할 수 있다. 리어 그립부의 단면 형상이 원형상이면, 리어 그립부를 파지하는 왼손의 촉감에 의하여,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향하는 쪽을 파악하는 것은 어렵다.
본 출원인은, 하기 특허 문헌 2와 같이, 리어 그립부의 단면 형상이 비원형상이고 리어 그립부가 하측(下側)으로 오프셋된 낚싯대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리어 그립부의 단면 형상이 비원형상이기 때문에, 리어 그립부의 상면(上面)에 오른손의 팔을 안정되게 댈 수 있다. 또한, 리어 그립부를 파지하는 왼손의 촉감에 의하여,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향하는 쪽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렇지만, 리어 그립부가 하측으로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가는 블랭크의 경우에는, 왼손의 팔을 리어 그립부의 상면에 대기 어렵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649456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9-50745호
본 발명은, 고감도이고,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회전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고, 가는 블랭크에 적합한 리어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블랭크를 구비하고 있다. 블랭크의 하측에 릴을 장착할 수 있다. 블랭크는, 릴보다도 장대 기단 측에, 주부(主部)와 리어 그립부를 가지고 있다. 리어 그립부는, 주부의 장대 기단 측으로 연속하고 있다. 리어 그립부는, 각부(角部)를 가지고 있다. 각부는, 주부의 외주(外周)보다도 상측(上側)에 위치하고 있다. 각부는,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리어 그립부의 최하부보다도, 주부의 중심으로부터 경(徑)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덧붙여, 횡단면(橫斷面)으로부터 볼 때란, 낚싯대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으로부터 볼 때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블랭크의 하측에 릴이 취부(取付)된다. 릴은, 예를 들어 스피닝 릴이다. 스피닝 릴은 낚싯대의 하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낚싯대를 오른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경우, 오른손의 팔을 리어 그립부에 대어 낚싯대를 지탱할 수 있다. 덧붙여, 팔에는 팔꿈치도 포함된다. 리어 그립부는, 각부를 가지고 있다. 각부는, 주부의 외주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블랭크의 주부가 비교적 가늘어도, 리어 그립부에 오른손의 팔을 용이하게 댈 수 있고, 낚싯대를 오른손으로 용이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각부는,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리어 그립부의 최하부보다도, 주부의 중심으로부터 경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오른손의 팔에 대하여 리어 그립부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기 어렵다.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흔들림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리어 그립부에 각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왼손으로 리어 그립부를 파지하여 더블 핸드 캐스트를 할 때에,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향하는 쪽을 왼손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더블 핸드 캐스트 시에, 낚싯대를 소정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정확하게 캐스트할 수 있다. 또한, 각부에 의하여, 왼손이 리어 그립부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작은 힘으로 리어 그립부를 파지하여 캐스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블랭크를 구비하고 있다. 블랭크의 상측에 릴을 장착할 수 있다. 블랭크는, 릴보다도 장대 기단 측에, 주부와 리어 그립부를 가지고 있다. 리어 그립부는, 주부의 장대 기단 측으로 연속하고 있다. 리어 그립부는, 각부를 가지고 있다. 각부는, 주부의 외주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부는,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리어 그립부의 최하부보다도, 주부의 중심으로부터 경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블랭크의 상측에 릴이 취부된다. 릴은, 예를 들어 양 베어링 릴이다. 양 베어링 릴은 낚싯대의 상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낚싯대를 오른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경우, 오른손의 팔을 리어 그립부에 대어 낚싯대를 지탱할 수 있다. 덧붙여, 팔에는 팔꿈치도 포함된다. 리어 그립부는, 각부를 가지고 있다. 각부는, 주부의 외주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블랭크의 주부가 비교적 가늘어도, 리어 그립부에 오른손의 팔을 용이하게 댈 수 있고, 낚싯대를 오른손으로 용이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각부는,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리어 그립부의 최하부보다도, 주부의 중심으로부터 경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오른손의 팔에 대하여 리어 그립부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기 어렵다.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흔들림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리어 그립부에 각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왼손으로 리어 그립부를 파지하여 더블 핸드 캐스트를 할 때에,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향하는 쪽을 왼손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더블 핸드 캐스트 시에, 낚싯대를 소정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정확하게 캐스트할 수 있다. 또한, 각부에 의하여, 왼손이 리어 그립부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작은 힘으로 리어 그립부를 파지하여 캐스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어 그립부는, 적어도 2개의 제1 및 제2 각부와, 상방면(上方面)과, 하방면(下方面)을 가지고 있다. 상방면은, 제1 및 제2 각부의 사이의 원주 상의 상측의 면이다. 하방면은, 제1 및 제2 각부의 사이의 원주 상의 하측의 면이다. 상방면과 하방면은,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서로 곡률(曲率) 반경이 다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회전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방면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은, 하방면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다. 상방면은, 근사 평면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회전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방면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은, 주부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고 제1 및 제2 각부를 통과하는 가상 원의 반경보다도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방면에 오른손의 팔을 확실하게 댈 수 있고,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회전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랭크의 장대 기단 측의 단면(端面)은, 상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장대 기단 측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어 그립부의 하부가 상부보다도 장대 기단 측으로 연장되게 된다. 캐스트 시에 리어 그립부를 왼손으로 파지한다. 그 때, 예를 들어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리어 그립부의 상부에 대고, 왼손의 남는 4개의 손가락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손가락을 리어 그립부의 하부에 댄다. 리어 그립부의 하부가 리어 그립부의 상부보다도 장대 기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리어 그립부의 하부에 많은 손가락을 댈 수 있다. 그 때문에, 리어 그립부를 짧게 할 수 있고, 리어 그립부를 경량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어 그립부는, 적어도 장대 기단 측의 부분에 있어서, 상측으로의 팽출량(膨出量)이 하측으로의 팽출량보다도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블랭크의 주부가 비교적 가늘어도, 리어 그립부에 오른손의 팔을 용이하게 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낚싯대는, 뒷마개를 구비하고 있다. 뒷마개는, 블랭크의 장대 기단 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뒷마개의 장대 기단 측의 단면은, 상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장대 기단 측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낚싯대를 로드 홀더나 장대 주머니에 순조롭게 넣을 수 있다. 또한, 뒷마개의 장대 기단 측의 단면에 의하여,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향하는 쪽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뒷마개는, 뒷마개의 장대 기단 측의 단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하부에, 장대 기단 측으로 돌출하는 가드벽을 가지고 있다. 가드벽의 돌출량은, 하측을 향하여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드벽에 의하여 블랭크의 장대 기단 측의 단면의 하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뒷마개의 하부도 보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뒷마개는, 블랭크의 내측으로 삽입된 내통부(內筒部)를 가지고 있다. 내통부의 장대 선단 측의 단면은, 상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장대 기단 측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통부에 의하여 블랭크가 지지되고, 블랭크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내통부를 경량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고감도인 낚싯대를 얻을 수 있고,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회전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고, 특히 가는 블랭크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要部)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同)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동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동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동 낚싯대를 장대 기단 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은 동 낚싯대의 요부의 종단면도(縱斷面圖).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동 낚싯대의 제조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종단면도(縱斷面圖).
도 9의 (a)는 도 3의 A-A 단면도(端面圖), (b)는 도 3의 B-B 단면도(端面圖).
도 10의 (a)는 도 3의 C-C 단면도(端面圖), (b)는 도 3의 D-D 단면도(端面圖).
도 11은 동 낚싯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정면도.
도 12는 동 낚싯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배면도.
도 13은 동 낚싯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배면도.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도 10(b)에 대응한 단면도(端面圖).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대에 관하여 도 1 ~ 도 13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낚싯대의 종류는 임의이고, 예를 들어, 꽂기 장대나 뽑이 장대, 원피스 로드 등이다.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는, 장대 본체와 릴 시트(1)를 구비하고 있다. 릴 시트(1)는, 스피닝 릴(90)을 취부하기 위한 것이다. 장대 본체에 릴 시트(1)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스피닝 릴(90)에 적합한 것이다. 스피닝 릴(90)은, 릴 시트(1)에 취부하기 위한 릴 다리(100)를 구비하고 있다. 릴 다리(100)는, 제1 다리부(101) 및 제2 다리부(102)를 가지고 있다. 릴 시트(1)는, 릴 다리(100)가 취부되는 릴 취부면(13)을 가지고 있다. 릴 취부면(13)에는, 릴 다리(100)의 이면(裏面)이 당접한다. 낚싯대에 스피닝 릴(90)을 취부한 사용 상태에 있어서, 스피닝 릴(90)은 낚싯대의 하측에 위치하고, 릴 취부면(13)은, 하측을 향한다. 스피닝 릴(90)의 경우, 하측이 릴 장착 측이고, 상측이 릴 장착 측과는 경방향 반대 측이다.
덧붙여, 낚싯대의 중심선의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장대 선단 측을 앞쪽, 장대 기단 측을 뒤쪽으로 한다. 릴 취부면(13) 측을 하측으로 하고, 릴 취부면(13)과는 경방향 반대 측을 상측으로 한다. 도 4는, 낚싯대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낚싯대를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면 중, 좌우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앞쪽을 화살표 Y1로 나타내고, 뒤쪽을 화살표 Y2로 나타내고, 상측을 화살표 Z1로 나타내고, 하측을 화살표 Z2로 나타낸다.
릴 시트(1)는, 통상(筒狀)이다. 릴 시트(1)는, 파이프 시트라고도 칭하여진다. 릴 시트(1)는, 장대 본체에 장착된다. 릴 시트(1)는, 장대 본체의 소정 위치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릴 시트(1)는, 장대 본체의 외주면에 직접 혹은 통상의 스페이서를 통하여 접착된다. 장대 본체는, 릴 시트(1)를 삽통(揷通)한다.
릴 시트(1)는, 릴 시트 본체(10)와, 가동 후드(11)와, 너트(12)를 구비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10)를 장대 본체가 삽통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10)는, 릴 취부면(13)을 가지고 있다. 릴 시트 본체(10)는, 고정 후드(14)를 가지고 있다. 고정 후드(14)는, 릴 시트 본체(1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릴 시트(1)에 스피닝 릴(90)을 취부한 상태에 있어서, 릴 다리(100)의 제1 다리부(101)는 앞쪽을 향하고, 제2 다리부(102)는 뒤쪽을 향한다. 고정 후드(14)는, 릴 다리(100)의 제1 다리부(101)를 보지(保持)한다. 가동 후드(11)는, 릴 시트 본체(10)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 후드(11)는, 릴 다리(100)의 제2 다리부(102)를 보지한다. 너트(12)는, 릴 시트 본체(10)에 나합(螺合)하고 있다. 너트(12)는, 가동 후드(1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함께 소망의 위치에 고정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너트(12)가 릴 시트 본체(10)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지만, 너트(12)가 릴 시트 본체(10)의 앞쪽에 위치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장대 본체는, 하나 또는 복수의 블랭크(장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대 본체는, 제1 블랭크(2)와 제2 블랭크(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블랭크(2)는, 제2 블랭크(3)의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블랭크(2)와 제2 블랭크(3)는, 서로 접합 일체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블랭크(2)와 제2 블랭크(3)는 릴 시트 본체(10)의 내측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다. 제1 블랭크(2)와 제2 블랭크(3)는, 예를 들어, 소정 길이의 포개어 맞춤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접합된다. 덧붙여, 제1 블랭크(2)와 제2 블랭크(3)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도 무방하다.
제2 블랭크(3)는, 프리프레그(prepreg)를 맨드릴(mandrel)에 권회(卷回)하여 가열 소성(燒成)하는 것으로 중공상(中空狀)으로 형성된 것이다.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로서는 카본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블랭크(3)는, 릴 시트(1)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블랭크(3)는, 낚싯대의 후단부(後端部)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블랭크(3)는, 주부(20)와 리어 그립부(21)를 가지고 있다. 주부(20)와 리어 그립부(21)는, 제2 블랭크(3)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릴 시트(1)의 내측에 주부(20)의 전부(前部)가 위치하고 있다. 주부(20)는, 릴 시트(1)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주부(20)는, 원통상(圓筒狀)이다. 주부(20)의 중심선(4)이, 제2 블랭크(3)의 중심선이고, 낚싯대의 중심선이다. 주부(20)의 중심선(4)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을 직교면이라고 칭한다. 직교면의 법선은, 주부(20)의 중심선(4)이다. 직교면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제2 블랭크(3)를 직교면에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횡단면이라고 칭하고, 그 단면 형상을 횡단면 형상이라고 칭한다. 주부(20)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상이다. 주부(20)는, 직경 대략 일정한 스트레이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그립부(21)는, 주부(20)의 뒤쪽으로 연속하고 있다. 리어 그립부(21)는, 낚싯대를 잡는 손의 팔이 대어지거나, 양손으로 캐스트하는 경우에는 릴 시트(1)를 잡는 손과는 반대 측의 손으로 파지되거나 한다. 이하, 낚싯대를 오른손으로 잡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낚싯대를 오른손으로 잡는 경우, 오른손의 팔이 리어 그립부(21)에 대어진다. 팔에는 팔꿈치를 포함한다. 양손으로 캐스트하는 경우, 즉, 더블 핸드 캐스트를 하는 경우에는, 오른손으로 릴 시트(1)를 잡고, 왼손으로 리어 그립부(21)를 파지한다.
리어 그립부(21)는, 제2 블랭크(3)의 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리어 그립부(21)는, 주부(20)보다도 굵다. 리어 그립부(21)는, 주부(20)보다도 경방향 외측으로 팽출하여 있다. 리어 그립부(21)는, 릴 시트(1)에 대하여 뒤쪽으로 떨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어 그립부(21)는, 주부(20)보다도 짧다. 리어 그립부(21)의 길이는, 왼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이다. 리어 그립부(21)의 길이는, 일반적인 어른의 손의 집게손가락으로부터 새끼손가락까지의 4개의 손가락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손가락에 상당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그립부(21)의 횡단면 형상은, 비원형상이다. 리어 그립부(21)의 경방향 외측으로의 팽출량은, 뒤쪽을 향하여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리어 그립부(21)는, 주부(20)의 뒤쪽으로 연속하고, 뒤쪽을 향하여 서서히 확대하는 확대부와, 확대부의 뒤쪽으로 연속하고 있어 리어 그립부(21)의 후단부까지 연장되고, 뒤쪽을 향하여 확대하지 않고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스트레이트부를 가지고 있다. 스트레이트부에 후술의 뒷마개(6)가 장착된다. 리어 그립부(21)는, 스트레이트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트레이트부가 생략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9(b) 및 도 10에, 리어 그립부(21)의 횡단면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9(b) 및 도 10에 있어서, 주부(20)의 외주면을 이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과 함께, 주부(20)의 중심선(4)과 좌우 양 각부(31)와의 사이의 거리 R1을 반경으로 하는 가상 원(5)을 이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9(a)는, 주부(20)의 횡단면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과 같이, 주부(20)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상이다. 그것에 대하여, 리어 그립부(21)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상이 아니라, 좌우 대칭의 비원형상이다. 상세하게는, 리어 그립부(21)의 횡단면 형상은, 역삼각형상이다. 제2 블랭크(3)의 횡단면 형상은, 주부(20)로부터 리어 그립부(21)에 걸쳐 원형상으로부터 역삼각형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도 10(b)와 같이, 리어 그립부(21)는, 적어도 후부(後部)에 있어서, 상측으로의 팽출량 B1이 하측으로의 팽출량 B2보다도 크다.
리어 그립부(21)는, 좌우 한 쌍의 각부(31)와, 상방면(30)과, 하방면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어 그립부(21)는, 좌우 한 쌍의 각부(31)를 가지고 있지만, 리어 그립부(21)가 하나의 각부(31)만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리어 그립부(21)에 좌우 한 쌍의 각부(31)가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리어 그립부(21)의 전체 둘레는, 둘레 방향으로 2개의 부분으로 구분된다. 구분된 상측의 부분이 상방면(30)이고, 하측의 부분이 하방면이다. 하방면은, 리어 그립부(21)의 전체 둘레 중, 상방면(30)을 제외하는 부분이다. 상방면(30)은, 좌우 한 쌍의 각부(31)의 사이에 위치하고, 리어 그립부(21)의 원주 상의 상측에 위치한다. 하방면은, 좌우 한 쌍의 각부(31)의 사이에 위치하고, 리어 그립부(21)의 원주 상의 하측에 위치한다. 덧붙여, 상방면(30)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은, 하방면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방면(30)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은, 하방면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방면(30)은, 리어 그립부(21)의 상면이다. 상방면(30)의 둘레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각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방면(30)에는, 낚싯대를 잡는 손, 즉, 오른손의 팔을 댈 수 있다. 도 4와 같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방면(30)은, 주부(20)의 직경보다도 폭이 넓다. 상방면(30)은, 뒤쪽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넓게 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상방면(30)은, 뒤쪽을 향하여 서서히 상승하고 있다. 도 9(b) 및 도 10과 같이, 상방면(30)은, 둘레 방향을 따라 경방향 외측으로 만곡한 볼록 형상의 만곡면이다. 상방면(30)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은, 주부(20)의 중심선(4)을 중심으로 하고 한 쌍의 각부(31)를 통과하는 가상 원(5)의 반경보다도 크다. 상방면(30)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은 크고, 상방면(30)은 평면에 가까운 만곡면이고, 근사 평면이다. 상방면(30)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은, 가상 원(5)의 반경보다도 크다. 도 10과 같이, 상방면(30)은, 리어 그립부(21)의 적어도 후부에 있어서, 주부(20)의 정상부(20a)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부(31)는,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이 국소적으로 작아진 부분이다. 각부(31)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은, 리어 그립부(21)의 전체 둘레 중, 가장 작다. 각부(31)는,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줄기 형상이다.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각부(31)는, 좌우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다. 양 각부(31) 사이의 이간(離間) 거리가 리어 그립부(21)의 좌우 방향의 치수이고 폭이다. 양 각부(31) 사이의 이간 거리는, 뒤쪽을 향하여 서서히 크게 되어 있다. 리어 그립부(21)의 외주면은, 좌우의 각부(31)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된다. 좌우의 각부(31)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된 리어 그립부(21)의 외주면의 2개의 부분 중, 상측의 부분이 상방면(30)이다. 리어 그립부(21)는, 한 쌍의 각부(31)로부터 리어 그립부(21)의 최하부(21a)를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다. 리어 그립부(21)의 횡단면 형상은, 역삼각형상이다. 리어 그립부(21)의 최하부(21a)는, 역삼각형의 하측의 정점부(頂点部)이다. 리어 그립부(21)의 최하부(21a)는,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주부(20)의 중심선(4)으로부터 리어 그립부(21)의 최하부(21a)까지의 거리 R2를 가지고 있다.
도 10과 같이, 한 쌍의 각부(31)는, 리어 그립부(21)의 적어도 후부에 있어서, 주부(20)의 정상부(20a)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가상 원(5)은, 주부(20)의 외주면보다도 크다.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가상 원(5)의 직경은, 주부(20)의 외경보다도 크다. 리어 그립부(21)의 후부에 있어서, 가상 원(5)의 직경은, 주부(20)의 외경의 2배 이상이다. 또한, 도 9(b) 및 도 10과 같이,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한 쌍의 각부(31)는, 리어 그립부(21)의 전체 둘레 중, 주부(20)의 중심선(4)으로부터 경방향으로 가장 떨어져 있다.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주부(20)의 중심선(4)으로부터 한 쌍의 각부(31)까지의 거리 R1(반경)은, 주부(20)의 중심선(4)으로부터 리어 그립부(21)의 최하부(21a)까지의 거리 R2(반경)보다도 크다. 주부(20)의 중심선(4)으로부터 한 쌍의 각부(31)까지의 거리 R1은, 가상 원(5)의 반경이다. 가상 원(5)의 반경은, 주부(20)의 중심선(4)으로부터 리어 그립부(21)의 최하부(21a)까지의 거리 R2보다도 크다. 리어 그립부(21)의 전체 길이에 걸쳐, 한 쌍의 각부(31)는, 리어 그립부(21)의 전체 둘레 중, 주부(20)의 중심선(4)으로부터 경방향으로 가장 떨어져 있다.
제2 블랭크(3)의 후단면(後端面)(3a)은, 직교면과 평행이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교면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은, 경사면이다.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은, 하측이 상측보다도 뒤쪽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다. 직교면에 대한 경사 각도를, 이하, 단지 경사 각도라고 한다.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의 경사 각도 θ1은, 예를 들어 45도 이하이다.
<뒷마개(6)>
낚싯대는, 낚싯대의 후단부에, 뒷마개(6)를 구비하고 있다. 뒷마개(6)는, 제2 블랭크(3)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뒷마개(6)를 뒤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형상은, 제2 블랭크(3)의 후단부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뒷마개(6)는, 도 5와 같이, 뒤쪽으로부터 보아, 역삼각형상이다.
뒷마개(6)는, 마개 본체(60)와 커버(61)를 구비하고 있다. 마개 본체(60)는, 제2 블랭크(3)에 장착되고, 커버(61)는, 마개 본체(60)에 장착된다. 마개 본체(60)는, 경질의 합성 수지제나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61)는, 마개 본체(60)보다도 연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61)는, 고무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 본체(60)는, 통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개 본체(60)는, 중공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 본체(60)의 전단부(前端部)는 개구(開口)하고, 마개 본체(60)의 후단부는 폐구(閉口)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 본체(60)는, 내통부(70)와 외통부(外筒部)(71)를 가지고 있다. 내통부(70)는, 제2 블랭크(3)의 후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내통부(70)의 횡단면 형상은, 제2 블랭크(3)의 후단부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내통부(70)의 횡단면 형상은, 역삼각형상이다. 내통부(70)는, 제2 블랭크(3)의 후단부의 내주면(內周面)을 지지하여, 제2 블랭크(3)의 후단부가 찌부러지는 파손을 방지한다. 내통부(70)는, 제2 블랭크(3)의 후단부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이다. 내통부(70)는, 제2 블랭크(3)의 내주면에 접착된다. 내통부(70)의 전단면(前端面)(70a)은, 상측이 하측보다도 앞쪽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다. 즉, 내통부(70)의 전단면(70a)은,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과 마찬가지로 경사하고 있다. 내통부(70)의 전단면(70a)은,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과 평행이다. 내통부(70)의 전단면(70a)의 상부는, 내통부(70)의 전단면(70a)의 하부보다도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내통부(70)의 길이는,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하다. 즉, 제2 블랭크(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뒷마개(6)의 부분의 길이는,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하다.
외통부(71)는, 내통부(70)의 뒤쪽으로 연속하고 있다. 외통부(71)는, 제2 블랭크(3)의 후단부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여 있다. 외통부(71)의 전단부의 외주면에는, 테두리부(72)가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72)는,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테두리부(72)는, 외통부(71)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부(72)는,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에 당접한다. 테두리부(72)가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에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마개 본체(60)는 그 이상 제2 블랭크(3)에 삽입되지 않는다. 테두리부(72)의 전면이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에 당접한다.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이 경사하고 있는 것에 대응하여, 테두리부(72)의 전면도 마찬가지로 경사하고 있다.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과 테두리부(72)의 전면은, 면접촉한다.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과 테두리부(72)의 전면은, 서로 평행이다. 테두리부(72)는, 제2 블랭크(3)의 외주면보다도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부(72)가 제2 블랭크(3)의 외주면보다도 돌출하여 있는 것에 의하여,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의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마개 본체(60)의 외통부(71)에 커버(61)가 장착된다. 커버(61)는, 테두리부(72)보다도 뒤쪽에 위치한다. 외통부(71)의 후부의 외주면은, 외통부(71)의 전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일단(一段) 내측에 위치한다. 외통부(71)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본체 볼록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볼록부(73)는,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본체 볼록부(73)는,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볼록부(73)에 커버(61)가 계지(係止)된다.
커버(61)의 형상은, 제2 블랭크(3)의 후단부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커버(61)는, 도 5와 같이, 뒤쪽으로부터 보아, 역삼각형상이다. 커버(61)는, 마개 본체(60)의 외통부(71) 중 테두리부(72)보다도 뒤쪽의 부분을 덮는다. 커버(61)는, 판상부(板狀部)(80)와, 판상부(80)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커버 통부(81)를 가지고 있다. 판상부(80)는, 마개 본체(60)의 외통부(71)의 후단면을 뒤쪽으로부터 덮는다. 커버 통부(81)는, 외통부(71)의 후부의 외주면을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커버 통부(81)의 내주면에는 커버 볼록부(82)가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커버 볼록부(82)가 본체 볼록부(73)에 계지한다. 커버 볼록부(82)가 본체 볼록부(73)에 계지하는 것에 의하여, 마개 본체(60)에 커버(61)가 장착된다. 마개 본체(60)의 테두리부(72)는, 커버 통부(81)의 외주면보다도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상부(80)의 후면이, 커버(61)의 후단면이고, 뒷마개(6)의 후단면이고, 낚싯대의 후단면이다. 판상부(80)의 후면은, 상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뒤쪽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다.
도 5와 같이, 판상부(80)의 후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가드벽(83)이 형성되어 있다. 가드벽(83)은, 뒤쪽으로 돌출하여 있다. 가드벽(83)은, 판상부(80)의 후면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전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가드벽(83)은, 판상부(80)의 후면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하부에 형성된다. 가드벽(83)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가드벽(83)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조(突條)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드벽(83)은, 판상부(80)의 후면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상부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판상부(80)의 후면은, 역삼각형상이다. 가드벽(83)은, 역삼각형의 상측의 한 변의 부분을 제외하는 나머지의 두 변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가드벽(83)은, 뒤쪽으로부터 보아, V자 형상 혹은 U자 형상이다.
가드벽(83)의 뒤쪽으로의 돌출량은, 가드벽(8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여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드벽(83)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서서히 돌출량이 크게 되어 있다. 가드벽(83)의 최하부(83a)에 있어서 가드벽(83)의 돌출량은 최대가 되어 있다. 가드벽(83)의 폭은, 일정하여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드벽(83)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서서히 넓어져 있다. 가드벽(83)의 최하부(83a)에 있어서 가드벽(83)의 폭은 최대가 되어 있다.
판상부(80)의 후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가드벽(83)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판상부(80)의 후면은, 가드벽(83)이 형성된 부분과 가드벽(8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 구획된다. 판상부(80)의 후면 중 가드벽(8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베이스면(84)이다. 판상부(80)의 후면은, 베이스면(84)과 가드벽(83)의 후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면(84)의 주위에 가드벽(83)이 위치한다. 베이스면(84)은, 각종의 표시부를 설치하기 위한 표시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베이스면(84)에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표시부의 구성은 여러 가지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표시부는, 베이스면(84)에 일체적으로 요철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표시부는,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베이스면(84)에 취부된 별도의 표시판 등의 표시 부재가 표시부여도 무방하다. 가드벽(83)은, 베이스면(84)에 대하여 뒤쪽으로 돌출하여 있다. 베이스면(84)은, 가드벽(83)에 대하여 앞쪽으로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면(84)은, 가드벽(83)에 대하여 앞쪽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면(84)이 가드벽(83)에 의하여 보호된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가드벽(83)의 후면(83b)은, 직교면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가드벽(83)의 후면(83b)의 경사 각도 θ2는,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의 경사 각도 θ1과 동일하다. 베이스면(84)은, 가드벽(83)의 후면(83b)과는 다른 경사 각도로 경사하고 있다. 베이스면(84)의 경사 각도 θ3은, 가드벽(83)의 후면(83b)의 경사 각도 θ2보다도 작다. 이 경사 각도의 상위에 의하여, 가드벽(83)이 베이스면(8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돌출하고, 가드벽(83)의 돌출량은 가드벽(83)의 최하부(83a)를 향하여 서서히 크게 되어 있다. 베이스면(84)의 경사 각도 θ3은,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의 경사 각도 θ1보다도 작다. 덧붙여, 판상부(80)의 베이스면(84)에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는, 베이스면(84)의 최하부를 향하여 서서히 얇아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낚싯대에는, 도 11과 같이, 스피닝 릴(90)이 취부된다. 스피닝 릴(90)은, 릴 시트(1)의 릴 취부면(13)에 취부된다. 릴 취부면(13)은, 하측을 향한다. 스피닝 릴(90)은, 낚싯대의 하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낚싯대를 오른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오른손의 팔을 상방면(30)에 대어 낚싯대를 지탱할 수 있다. 상방면(30)의 곡률 반경이 크고, 상방면(30)이 평면에 가까운 만곡면이 되어 있기 때문에, 오른손의 팔을 상방면(30)에 제대로 꽉 눌러 낚싯대를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낚싯대가 안정되고,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방면(30)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각부(3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면(30)에 오른손의 팔을 댄 상태에 있어서, 낚싯대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기 어렵다. 나아가, 좌우 한 쌍의 각부(31)에 의하여, 상방면(3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방면(30)에 오른손의 팔을 용이하게 댈 수 있다. 상방면(30)에 오른손의 팔을 정확하게 댈 수 있기 때문에,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자세가 안정된다.
한 쌍의 각부(31)는, 리어 그립부(21)의 후부에 있어서, 주부(20)의 정상부(20a)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각부(31)는, 주부(20)의 중심선(4)으로부터 경방향으로 가장 떨어진 부분이고,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리어 그립부(21)의 최하부(21a)보다도 주부(20)의 중심선(4)으로부터 경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제2 블랭크(3)의 주부(20)가 비교적 가늘어도, 상방면(30)에 오른손의 팔을 용이하게 댈 수 있다. 또한, 리어 그립부(21)의 둘레 방향의 회전을 오른손의 팔로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리어 그립부(21)의 후부에 있어서, 리어 그립부(21)의 상측으로의 팽출량 B1이 하측으로의 팽출량 B2보다도 크다. 그 때문에, 제2 블랭크(3)의 주부(20)가 비교적 가늘어도, 상방면(30)에 오른손의 팔을 용이하게 댈 수 있다.
더블 핸드 캐스트를 할 때에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리어 그립부(21)를 왼손으로 파지한다.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엄지손가락을 상방면(30)에 당접시킨다. 도 12와 같이,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4개의 손가락을 리어 그립부(21)의 하부에 당접시켜 가볍게 파지할 수 있다. 제2 블랭크(3)와 뒷마개(6)의 테두리부(72)와의 사이에 단차(段差)가 생겨 있기 때문에, 그 단차의 앞쪽에 새끼손가락을 위치시킬 수 있다. 단차가 걸림이 되어, 새끼손가락의 뒤쪽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리어 그립부(21)의 횡단면 형상이 역삼각형상이기 때문에, 집게손가락 등의 손가락의 관절 부분을 리어 그립부(21)의 최하부(21a)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집게손가락 등의 손가락으로 리어 그립부(21)의 하부를 좌우로부터 협지(挾持)할 수 있다. 또한, 도 13과 같이, 집게손가락으로부터 약손가락까지의 3개의 손가락을 리어 그립부(21)의 하부에 당접시켜 가볍게 파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약손가락을 단차에 댈 수 있다.
이와 같이, 왼손으로 리어 그립부(21)를 파지할 때, 한 쌍의 각부(31)에 의하여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향하는 쪽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엄지손가락을 상방면(30)에 당접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더블 핸드 캐스트 시에, 낚싯대를 소정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정확하게 캐스트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각부(31)에 의하여 왼손이 리어 그립부(21)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작은 힘으로 리어 그립부(21)를 파지하여 캐스트할 수 있다.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이, 상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뒤쪽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고, 리어 그립부(21)의 최하부(21a)가 상방면(30)보다도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리어 그립부(21)의 길이가 짧아도, 리어 그립부(21)의 최하부(21a)에 많은 손가락을 댈 수 있다. 그리고, 리어 그립부(21)를 짧게 하는 것에 의하여, 리어 그립부(21)를 경량화할 수 있고, 낚싯대를 경량화할 수 있다.
뒷마개(6)의 가드벽(83)의 후면(83b)이, 상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뒤쪽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낚싯대를 로드 홀더나 장대 주머니에 순조롭게 넣을 수 있다. 나아가, 뒷마개(6)가 역삼각형상이고, 뒷마개(6)가 뒷마개(6)의 최하부를 향하여 가늘어져 있다. 즉, 뒷마개(6)의 최하부는 뒤쪽 또한 하측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가늘고 뾰족한 형상이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낚싯대의 후단부를 로드 홀더나 장대 주머니에 순조롭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뒷마개(6)의 가드벽(83)의 후면(83b)이 경사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의 둘레 방향의 향하는 쪽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가드벽(83)의 돌출량은, 하측을 향하여 서서히 증가하고 있어 가드벽(83)의 최하부(83a)에 있어서 최대가 되어 있기 때문에, 가드벽(83)에 의하여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의 최하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가드벽(83)에 의하여 뒷마개(6)의 최하부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가드벽(83)의 폭은, 하측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져 있어 가드벽(83)의 최하부(83a)에 있어서 최대가 되어 있기 때문에, 가드벽(83)에 의하여 제2 블랭크(3)의 후단면(3a)의 최하부와 뒷마개(6)의 최하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베이스면(84)의 경사 각도 θ3이 가드벽(83)의 후면(83b)의 경사 각도 θ2보다도 작기 때문에, 두께를 과도하게 늘리는 일 없이, 가드벽(83)의 돌출량을 하측을 향하여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다. 뒷마개(6)의 내통부(70)의 전단면(70a)이, 상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뒤쪽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제2 블랭크(3)를 내통부(70)로 지지하면서, 내통부(70)를 경량화할 수 있다.
덧붙여, 도 14(a)와 같이, 상방면(30)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지 않는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플랫(flat)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4(b)와 같이, 상방면(30)은,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즉, 상방면(30)은, 둘레 방향을 따라 경방향 내측으로 만곡한 오목 형상의 만곡면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5와 같이, 양 베어링 릴(91)을 취부하는 것에 적합한 낚싯대여도 무방하다. 이 낚싯대에는 양 베어링 릴(91)을 취부할 수 있다. 릴 취부면(13)은 상측을 향하고 있고, 양 베어링 릴(91)은, 낚싯대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릴 취부면(13) 측을 상측으로 하고, 릴 취부면(13)과는 경방향 반대 측을 하측으로 한다. 릴 시트(1)는, 손가락을 걸기 위한 트리거(trigger)(15)를 구비하고 있다. 트리거(15)는, 릴 취부면(13)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고 있다. 트리거(15)는 하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양 베어링 릴(91)의 경우, 상측이 릴 장착 측이고, 하측이 릴 장착 측과는 경방향 반대 측이다.
1: 릴 시트
2: 제1 블랭크
3: 제2 블랭크
3a: 후단면
4: 주부의 중심선
5: 가상 원
6: 뒷마개
10: 릴 시트 본체
11: 가동 후드
12: 너트
13: 릴 취부면
14: 고정 후드
15: 트리거
20: 주부
20a: 정상부
21: 리어 그립부
21a: 최하부
30: 상방면
31: 각부
60: 마개 본체
61: 커버
70: 내통부
70a: 전단면
71: 외통부
72: 테두리부
73: 본체 볼록부
80: 판상부
81: 커버 통부
82: 커버 볼록부
83: 가드벽
83a: 최하부
83b: 후면
84: 베이스면
90: 스피닝 릴
91: 양 베어링 릴
100: 릴 다리
101: 제1 다리부
102: 제2 다리부
θ1: 제2 블랭크의 후단면의 경사 각도
θ2: 가드벽의 후면의 경사 각도
θ3: 베이스면의 경사 각도

Claims (10)

  1. 릴을 하측에 장착할 수 있는 블랭크(blank)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는, 상기 릴보다도 장대 기단 측에, 주부(主部)와, 상기 주부의 장대 기단 측으로 연속하는 리어 그립부를 가지고,
    상기 리어 그립부는, 상기 주부의 외주(外周)보다도 상측(上側)에, 횡단면(橫斷面)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리어 그립부의 최하부보다도 주부의 중심으로부터 경(徑)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각부(角部)를 가지고 있는, 낚싯대.
  2. 릴을 상측에 장착할 수 있는 블랭크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는, 상기 릴보다도 장대 기단 측에, 주부와, 상기 주부의 장대 기단 측으로 연속하는 리어 그립부를 가지고,
    상기 리어 그립부는, 상기 주부의 외주보다도 상측에,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리어 그립부의 최하부보다도 주부의 중심으로부터 경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각부를 가지고 있는, 낚싯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그립부는, 적어도 2개의 제1 및 제2 각부와, 상기 제1 및 제2 각부의 사이의 원주 상의 상측의 상방면(上方面)과, 상기 제1 및 제2 각부의 사이의 원주 상의 하측의 하방면(下方面)을 가지고,
    상기 상방면과 상기 하방면은, 횡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서로 곡률(曲率) 반경이 다른, 낚싯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면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은, 상기 하방면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고, 상기 상방면은, 근사 평면인, 낚싯대.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면의 둘레 방향의 곡률 반경은, 상기 주부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각부를 통과하는 가상 원의 반경보다도 큰, 낚싯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의 장대 기단 측의 단면(端面)은, 상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장대 기단 측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는, 낚싯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그립부는, 적어도 장대 기단 측의 부분에 있어서, 상측으로의 팽출량(膨出量)이 하측으로의 팽출량보다도 큰, 낚싯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의 장대 기단 측의 단부에 장착된 뒷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뒷마개의 장대 기단 측의 단면은, 상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장대 기단 측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는, 낚싯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뒷마개는, 상기 뒷마개의 장대 기단 측의 단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하부에, 장대 기단 측으로 돌출하는 가드벽을 가지고, 상기 가드벽의 돌출량은, 하측을 향하여 서서히 증가하고 있는, 낚싯대.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뒷마개는, 상기 블랭크의 내측으로 삽입된 내통부(內筒部)를 가지고, 상기 내통부의 장대 선단 측의 단면은, 상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장대 기단 측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는, 낚싯대.
KR1020200096963A 2019-11-15 2020-08-03 낚싯대 KR202100595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07055A JP7325306B2 (ja) 2019-11-15 2019-11-15 釣竿
JPJP-P-2019-207055 2019-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596A true KR20210059596A (ko) 2021-05-25

Family

ID=7585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963A KR20210059596A (ko) 2019-11-15 2020-08-03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44982A1 (ko)
JP (1) JP7325306B2 (ko)
KR (1) KR20210059596A (ko)
CN (1) CN11280633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4568B2 (ja) 2016-07-11 2019-04-03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2019050745A (ja) 2017-09-13 2019-04-04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847A (en) * 1912-10-14 1914-10-13 Orton A Turner Fishing-rod.
US3522674A (en) * 1968-06-20 1970-08-04 Columbia Products Co Reel mount for spinning rods
US4697376A (en) * 1981-09-15 1987-10-06 Fishing Designs, Inc. Palming grip fishing rod
US4578890A (en) * 1984-03-19 1986-04-01 Lew Childre & Sons, Inc. Fishing rod foregrip and reel securement device
US4878667A (en) * 1988-05-24 1989-11-07 John Tosti Replaceable, reusable golf club grip
JPH0751896Y2 (ja) * 1988-09-26 1995-11-29 株式会社シマノ 釣 竿
JP2517885Y2 (ja) * 1990-07-06 1996-11-20 株式会社シマノ 釣 竿
JP2542352B2 (ja) * 1990-09-07 1996-10-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製造法
JP2511719Y2 (ja) * 1992-06-20 1996-09-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用ハンドル
US5396727A (en) * 1993-03-22 1995-03-14 Daiwa Seiko, Inc. Casting handle for fishing rod
JP2003310110A (ja) * 2002-04-26 2003-11-05 Daiwa Seiko Inc リール装着部を有する釣竿
JP4070589B2 (ja) * 2002-12-04 2008-04-02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6282122B2 (ja) * 2014-01-18 2018-02-21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竿体とそれを備えた釣竿
JP6251106B2 (ja) * 2014-03-31 2017-12-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り竿
JP5972416B2 (ja) * 2015-03-04 2016-08-17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6543554B2 (ja) * 2015-10-21 2019-07-10 株式会社シマノ 延べ竿及び延べ竿用のグリ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4568B2 (ja) 2016-07-11 2019-04-03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2019050745A (ja) 2017-09-13 2019-04-04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25306B2 (ja) 2023-08-14
TW202128009A (zh) 2021-08-01
CN112806333A (zh) 2021-05-18
US20210144982A1 (en) 2021-05-20
JP2021078373A (ja)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39658B2 (ja) リアグリップ竿体
JP7080761B2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並びに釣竿用リールシートの移動フード
JP5739798B2 (ja)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およびハンドルノブ
JP6691842B2 (ja)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リールシート本体並びに釣竿
KR20210059597A (ko) 낚싯대
CN113543945A (zh) 手指剃刀
KR20210059596A (ko) 낚싯대
JP6494568B2 (ja) 釣竿
JP5525941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TWI850439B (zh) 釣竿
JP2007202402A (ja) 釣竿
TWI854001B (zh) 釣竿
JP2019146504A (ja) リールシート
JP6433463B2 (ja) 釣竿
JP6756856B2 (ja) 釣竿
JP2019024332A (ja) 両軸リール用の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2007195489A (ja) 釣竿
JP5000568B2 (ja) 釣り竿
JP6965393B2 (ja) 釣竿
KR102662076B1 (ko) 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JP7262546B2 (ja) リールシート
JP2001197851A (ja) 釣 竿
JP2007202454A (ja) 釣竿
JP3197183U (ja) 釣り竿のシャフトプロテクタ
KR20230068928A (ko) 골프용 보조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