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865A - 배당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당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865A
KR20210058865A KR1020217009766A KR20217009766A KR20210058865A KR 20210058865 A KR20210058865 A KR 20210058865A KR 1020217009766 A KR1020217009766 A KR 1020217009766A KR 20217009766 A KR20217009766 A KR 20217009766A KR 20210058865 A KR20210058865 A KR 20210058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cid
formula
compound represented
glycosid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사이토
히데키 이하라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8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86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23/00Compounds containing boron, silicon, or a metal, e.g. chelates, vitamin B1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07H19/067Pyrimidine radicals with ribosyl as the saccharide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07H19/10Pyrimidine radicals with the saccharide radical esterified by phosphoric or polyphosphor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순도에서의 목적 화합물 (아미다이트) 의 합성이 가능해지는,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공정 A : 산화제 및 산의 존재 하에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과 식 (2) 로 나타내는 에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반응계 내에 산화제를 첨가하고, 이어서 산을 첨가하는, 그 공정 (하기 식 중,
Figure pct00038

식 중, Ba 는, 아실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시토신기, 또는 우라실기를 나타내고, R1 은 C1 ∼ C6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며, 그리고, n 은 0 또는 1 을 나타낸다.) 을 포함하고, 여기서, 산화제는, N-할로겐화숙신이미드 및 N-할로겐화히단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그리고, 산은, 퍼플루오로알킬카르복실산 및 그 염, 알킬술폰산 및 그 염, 아릴술폰산 및 그 염, 퍼플루오로알킬술폰산 및 그 염, 및 이것들의 2 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당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
본 특허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2018-168135 호 (2018년 9월 7 일 출원) 에 기초하는 파리 조약상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고, 여기에 인용함으로써, 상기 출원에 기재된 내용의 전체가 본 명세서 내에 들어 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당체 화합물 및 아미다이트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RNA 는 RNA 프로브, 안티센스 RNA, 리보자임, siRNA, 앱타머 등으로서 이용 가능하여, 유용한 소재이다.
RNA 는 고상 합성법 등에 의해서 합성 가능하고, 고상 합성법에서는 뉴클레오티드의 포스포르아미다이트 (이하,「아미다이트」라고 칭한다) 가 원료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아미다이트의 2' 위치의 수산기의 보호기로는, 예를 들어, TBDMS (t-부틸디메틸실릴), TOM (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메틸), ACE (비스(2-아세톡시에톡시)메틸)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아미다이트의 2' 위치의 수산기의 보호기로서, 특허문헌 1, 2 및 3 에 개시된 보호기가 보고되어 있지만, 이들 보호기를 갖는 아미다이트의 합성 방법으로는, 얻어지는 아미다이트의 수율이나 순도의 관점에서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아미다이트의 포지션 아이소머가 존재한 경우에는, RNA 의 합성에 있어서 최종물의 합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He, Kaizhang and Hasan, Ahmad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mpurities in Phosphoramidites Used in Making Therapeutic Oligonucleotides : Risk Mitigation Strategies for Entering Clinical Phases, <URL:https://assets.thermofisher.com/TFS-Assets/BID/Technical-Notes/amidite-impurity-classification-technote.pdf> 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5157168 호 일본 특허공보 제5554881 호 WO2007/097447
본 발명은 고순도에서의 목적 화합물 (아미다이트 화합물) 의 합성이 가능해지는 배당체 화합물 및 아미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미다이트의 합성 반응에 있어서, 상기 특허문헌 1, 2 및 3 에서는, 아래의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할 때, 반응계 내에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은 등의 산을 첨가하고, 이어서 N-요오드숙신이미드 또는 N-브로모숙신이미드 등의 산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행해졌다. 그렇게 하면, 질량 분석을 행하면 목적물과 동일 분자량의 불순물이 생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아미다이트 화합물의 합성 반응에 있어서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할 때, 반응계 내에 산화제 (N-요오드숙신이미드) 를 첨가하고, 이어서 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을 첨가함으로써, 목적물과 동일 분자량의 불순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결과적으로, 고순도에서의 목적 화합물 (아미다이트 화합물) 의 합성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다음의 배당체 화합물 및 아미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항에 기재하는 실시양태를 포함하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 1.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공정 A : 산화제 및 산의 존재 하에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과 식 (2) 로 나타내는 에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반응계 내에 산화제를 첨가하고, 이어서 산을 첨가하는, 그 공정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Ba 는, 아실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시토신기, 또는 우라실기를 나타내고,
R1 은 C1 ∼ C6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며, 그리고,
n 은 0 또는 1 을 나타낸다.) 을 포함하고,
여기서,
산화제는, N-할로겐화숙신이미드 및 N-할로겐화히단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그리고,
산은, 퍼플루오로알킬카르복실산 및 그 염, 알킬술폰산 및 그 염, 아릴술폰산 및 그 염, 퍼플루오로알킬술폰산 및 그 염, 및 이것들의 2 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그 방법.
항 2. n 이 1 인, 항 1 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3. n 이 0 인, 항 1 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4. 산화제가 N-할로겐화숙신이미드인, 항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5. 산화제가 N-요오드숙신이미드인, 항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6. 산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은, 및 메탄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항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7. 산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인, 항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8.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는, 항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9. R1 이 메틸기인, 항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10. Ba 가 아세틸기로 치환된 시토신기, 또는 무치환의 우라실기인, 항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항 11.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아미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Ba 및 n 은 상기와 동일하고,
G1 및 G2 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수산기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G3 은 동일 또는 상이하며 알킬기를 나타낸다.)
공정 A : 항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과 식 (2) 로 나타내는 에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그 방법.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Ba, R1 및 n 은 상기와 동일하다.)
항 12. 공정 B : 공정 A 에서 얻어진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의 3' 위치와 5' 위치의 수산기를 탈보호하여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Ba 및 n 은 상기와 동일하다.)
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 11 에 기재된 방법.
항 13. 탈보호제로서 트리에틸아민삼불화수소산염 또는 피리딘불화수소산염을 사용하는, 항 12 에 기재된 방법.
항 14. 공정 C : 공정 B 에서 얻어진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의 5' 위치의 수산기에 보호기 G1 을 도입하고, 3' 위치의 수산기를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하여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아미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 중, Ba, n, G1, G2 및 G3 은 상기와 동일하다.)
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 12 또는 13 에 기재된 방법.
항 15. 5' 위치 수산기의 보호기 도입 시약으로서 4,4'-디메톡시트리틸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항 14 에 기재된 방법.
항 16. 3' 위치 수산기의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 시약으로서 2-시아노에틸-N,N,N',N'-테트라이소프로필포스포르디아미다이트를 사용하는, 항 14 또는 15 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아미다이트 화합물의 합성 반응에 있어서 중간체 화합물의 불순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목적 화합물 (아미다이트 화합물) 을 높은 순도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포함하다 (comprise)」는,「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essentially consist of)」이라는 의미와,「만으로 이루어지는 (consist of)」이라는 의미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아미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아래의 공정 A, 공정 A 및 B, 또는 공정 A ∼ 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중,
Ba 는 아실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시토신기, 또는 우라실기를 나타내고,
n 은 0 또는 1 을 나타내며,
G1 및 G2 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수산기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G3 은 동일 또는 상이하며 알킬기를 나타낸다.)
공정 A : 산화제 및 산의 존재 하에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과 식 (2) 로 나타내는 에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반응계 내에 산화제를 첨가하고, 이어서 산을 첨가하는, 공정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 중, Ba, 및 n 은 상기와 동일하고, 그리고, R1 은 C1 ∼ C6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공정 B : 공정 A 에서 얻어진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의 3' 위치와 5' 위치의 수산기를 탈보호하여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 중, Ba 및 n 은 상기와 동일하다.)
공정 C : 공정 B 에서 얻어진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의 5' 위치의 수산기에 보호기 G1 을 도입하고, 3' 위치의 수산기를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하여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아미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식 중, Ba, n, G1, G2 및 G3 은 상기와 동일하다.)
R1 로서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다.
Ba 에 있어서의 핵산염기는, 아래에 나타내는 시토신기, 또는 우라실기이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식 중, R2 는 수소 원자, 아세틸기, 이소부티릴기 또는 벤조일기를 나타낸다.)
G1 로는, 보호기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아미다이트 화합물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보호기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G1 로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기이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식 중, R3, R4 및 R5 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수소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R3, R4 및 R5 는, 1 개가 수소이고, 나머지의 2 개가 알콕시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콕시기로는 메톡시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G2 로는, 보호기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아미다이트 화합물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보호기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G2 로는, 예를 들어, 수소 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시클로알킬기, 상기 알킬기 등 이외의 탄화수소기, 할로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아릴알킬기, 시클로알케닐기, 시클로알킬알킬기, 시크릴알킬기, 하이드록시알킬기, 아미노알킬기, 알콕시알킬기, 헤테로시크릴알케닐기, 헤테로시크릴알킬기, 헤테로아릴알킬기, 실릴기, 실릴옥시알킬기, 모노, 디 또는 트리알킬실릴기, 모노, 디 또는 트리알킬실릴옥시알킬기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전자구인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G2 로는, 바람직하게는 전자구인기로 치환된 알킬기이다. 당해 전자구인기로는, 예를 들어, 시아노기, 니트로기, 알킬술포닐기, 할로겐, 아릴술포닐기, 트리할로메틸기, 트리알킬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아노기이다.
G2 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기이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G3 은, 동일 또는 상이하며 알킬기이고, 2 개의 G3 이 서로 결합하여 고리형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G3 으로는, 양방이 이소프로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기는, 직사슬형 또는 분기 사슬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이다.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및 헥실을 들 수 있다. 여기서의 알킬기로는 알콕시기 등의 알킬 부분도 포함된다.
아실기는, 직사슬형 혹은 분기 사슬형의 지방족 아실기, 또는, 방향족 아실기를 나타내고, 카르보닐의 탄소도 포함한 합계의 탄소수가 2 ∼ 12 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 ∼ 7 이며, 아실기의 예로는, 지방족 아실기 (예를 들어,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타노일기 (부티릴기), 이소부타노일기 (이소부티릴기), 펜타노일기, 헥사노일기, 헵타노일기, 옥타노일기, 노나노일기, 데카노일기, 운데카노일기 등), 및 방향족 아실기 (예를 들어, 벤조일기, 1-나프토일기 및 2-나프토일기) 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틸기, 이소부티릴기 또는 벤조일기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아미다이트 화합물에는 프리한 상태 및 염의 상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아미다이트 화합물의 염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염기부가염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칼륨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등의 무기 염기와의 염 ; 메틸아민염, 에틸아민염, 에탄올아민염 등의 유기 염기와의 염 ; 리신염, 오르니틴염, 아르기닌염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 및 암모늄염 등의 염기 부가염을 들 수 있다. 또, 당해 염은 산 부가염이어도 되고, 이러한 염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광산 ;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말론산, 말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숙신산, 락트산, 말레산, 시트르산,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등의 유기산 ;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과의 산 부가염을 들 수 있다.
공정 A :
본 반응에서는, 산화제 및 산의 존재 하에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과 식 (2) 로 나타내는 에테르 화합물을 반응 (커플링 반응) 시킴으로써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얻을 수 있고, 특히, 반응계 내에 산화제를 첨가하고, 이어서 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산화제로는, 예를 들어, N-클로로숙신이미드, N-브로모숙신이미드, N-요오드숙신이미드 등의 N-할로겐화숙신이미드, 1,3-디요오드-5,5-디메틸히단토인 등의 N-할로겐화히단토인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N-할로겐화숙신이미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N-요오드숙신이미드가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산으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카르복실산 및 그 염, 알킬술폰산 및 그 염, 아릴술폰산 및 그 염, 퍼플루오로알킬술폰산 및 그 염, 그리고 이것들의 2 종류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염으로는, 예를 들어, 금속염 (예를 들어, 구리염 및 은염) 을 들 수 있다. 산으로는, 구체적으로는, 메탄술폰산, 파라톨루엔술폰산, 캄파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은 등, 그리고 이것들의 2 종류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반응의 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디옥산 등의 에테르,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및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식 (2) 로 나타내는 에테르 화합물의 양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 1 몰에 대해서, 통상적으로 1 ∼ 5 몰, 바람직하게는 1 ∼ 3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5 몰이다. 산화제의 양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 1 몰에 대해서, 통상적으로 1 ∼ 3 몰, 바람직하게는 1 ∼ 2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5 몰이다. 산의 양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에테르 화합물 1 몰에 대해서, 통상적으로 0.1 ∼ 5 몰, 바람직하게는 0.5 ∼ 3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5 몰이다.
본 반응의 반응 온도는, 통상적으로 -80 ∼ 0 ℃, 바람직하게는 -60 ∼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40 ℃ 이다. 본 반응의 반응 시간은, 통상적으로 1 ∼ 12 시간, 바람직하게는 1 ∼ 8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4 시간이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고, 시판품을 입수할 수도 있다. 식 (2) 로 나타내는 에테르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 (상기 특허문헌 1, 2 및 3 참조) 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공정 A 의 반응은, 전형적으로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과 식 (2) 로 나타내는 에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에 산화제를 첨가하고, 이어서, 생성되는 혼합물에 산을 첨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 식 (2) 의 에테르 화합물, N-요오드숙신이미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을 순서대로 적하하여 실시될 수 있다.
공정 B :
본 반응에서는, 공정 A 에서 얻어진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의 3' 위치와 5' 위치의 수산기를 탈보호함으로써,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탈보호 반응은, 보호기에 따라서, 사용하는 보호제를 적절히 바꿀 수 있고, 예를 들어, 공지된 탈보호제를 사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탈보호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불화수소피리딘, 트리에틸아민삼불화수소산염, 피리딘불화수소산염, 불화암모늄, 불화수소산, 테트라부틸암모늄플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탈보호제의 양은,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 1 몰에 대해서, 통상적으로 0.1 ∼ 20 몰, 바람직하게는 0.2 ∼ 1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몰이다.
본 반응의 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세톤 등의 케톤,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등의 에테르,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반응의 반응 온도는, 통상적으로 0 ∼ 100 ℃, 바람직하게는 10 ∼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30 ℃ 이다. 본 반응의 반응 시간은, 통상적으로 30 분 ∼ 72 시간, 바람직하게는 2 ∼ 24 시간이다.
공정 C :
본 반응에서는, 공정 B 에서 얻어진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의 5' 위치의 수산기에 보호기 G1 을 도입하고, 3' 위치의 수산기를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함으로써,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아미다이트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반응에 있어서는, 보호기 G1 의 도입과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는, 동시에 (1 공정에서) 행할 수도 있고, 보호기 G1 을 도입한 후에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를 행할 수도 있고, 혹은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를 행한 후에 보호기 G1 을 도입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보호기 G1 을 도입한 후에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기 G1 의 도입 반응에 있어서, 보호기 도입제는, G1 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4,4'-디메톡시트리틸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톨루엔, 피리딘 등의 방향족 용매,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통상적으로 0 ∼ 100 ℃, 바람직하게는 10 ∼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30 ℃ 이다. 반응 시간은, 통상적으로 30 분 ∼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 ∼ 8 시간이다. 보호기 도입제의 양은,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 1 몰에 대해서, 통상적으로 1 ∼ 100 몰, 바람직하게는 1 ∼ 2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몰이다.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 반응에 있어서,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 시약은 G2 및 G3 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시아노에틸-N,N,N',N'-테트라이소프로필포스포르디아미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화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통상적으로 0 ∼ 40 ℃, 바람직하게는 20 ∼ 40 ℃ 이다. 반응 시간은, 통상적으로 30 분 ∼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 ∼ 6 시간이다.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 시약은,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 1 몰에 대해서, 통상적으로 1 ∼ 20 몰, 바람직하게는 1 ∼ 5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5 몰이다.
공정 A 내지 C 의 어느 공정에 의해서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정제, 세정, 농축 등의 처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동일 분자량의 불순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목적 화합물인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아미다이트 화합물을 높은 순도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실시예를 든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실시예 1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N44-아세틸-3',5'-O-(테트라이소프로필디실록산-1,3-디일)시티딘 (TIPS-C) (10.0 g, 19.0 m㏖), 톨루엔 (50 ㎖) 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용액을 30 ㎖ 까지 농축시켰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2 ㎖) 을 첨가한 후, 반응액을 -50 ℃ 까지 냉각시키고, 그곳에 2-시아노에톡시메틸메틸티오메틸에테르 (이하, EMM 화제로 기재한다.) (4.58 g, 28.4 m㏖), N-요오드숙신이미드 (5.76 g, 25.6 m㏖)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3 ㎖) 용액,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4.27 g, 28.5 m㏖) 의 순으로 적하하였다. -50 ℃ 에서 2 시간 교반 후, 반응액을 탄산수소나트륨 (3.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10.0 g) 및 물 (65 ㎖) 로 이루어지는 빙랭한 수용액에 첨가하여, 혼합액을 실온에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다시 탄산수소나트륨 (1.7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5.0 g) 및 물 (32.5 ㎖) 로 이루어지는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LC-MS 분석을 행하고, 네거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목적물의 m/z 인 639.3 에서 스캔 측정한 결과, 목적물 피크 99.1 % 에 비해서, 크리티컬 불순물인 목적물과 동일 m/z 의 피크는 0.9 % 였다.
실시예 2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3',5'-O-(테트라이소프로필디실록산-1,3-디일)우리딘 (TIPS-U) (5.0 g, 10.0 m㏖), 톨루엔 (25 ㎖) 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15 ㎖ 까지 농축시켰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5 ㎖) 을 첨가한 후, 용액을 -50 ℃ 까지 냉각시키고, 그곳에 EMM 화제 (2.48 g, 15.4 m㏖), N-요오드숙신이미드 (3.18 g, 14.1 m㏖)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5 ㎖) 용액,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2.31 g, 15.4 m㏖) 의 순으로 적하하였다. -50 ℃ 에서 2 시간 교반 후, 반응액을 탄산수소나트륨 (1.7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5.0 g) 및 물 (32.5 ㎖) 로 이루어지는 빙랭한 수용액에 첨가하여, 혼합액을 실온에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다시 탄산수소나트륨 (0.8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2.5 g) 및 물 (16 ㎖) 로 이루어지는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상기한 미정제 EMM U-1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 ㎖), 아세톤 (15 ㎖) 에 용해시키고, 삼불화수소/트리에틸아민 (1.82 g, 11.3 m㏖) 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20 ℃ 에서 17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tert-부틸메틸에테르 (50 ㎖) 에 주입하고, 혼합액을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얻어진 고체를 tert-부틸메틸에테르 (10 ㎖) 로 씻고, 그 고체를 감압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01 g, 수율 84 %) 을 얻었다.
LC-MS 분석을 행하고, 네거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목적물의 m/z 인 392.1 (장치·유리 기구 등 유래의 염화물 이온 부가체) 에서 스캔 측정한 결과, 목적물 피크 99.6 % 에 비해서, 크리티컬 불순물인 목적물과 동일 m/z 의 피크는 0.4 % 였다.
실시예 3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상기한 미정제 EMM C-1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0 ㎖) 에 용해시키고, 삼불화수소/트리에틸아민 (3.36 g, 20.8 m㏖) 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20 ℃ 에서 1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0 ℃ 로 냉각시키고, tert-부틸메틸에테르 (60 ㎖) 를 적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로 회수,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7.95 g) 을 얻었다.
실시예 4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상기한 미정제 EMM C-2 (7.0 g, 17.6 m㏖) 를 피리딘 (35 ㎖), 아세토니트릴 (14 ㎖), 톨루엔 (35 ㎖) 에 용해시키고, 0 ℃ 로 냉각시켰다. 4,4'-디메톡시트리틸클로라이드 (7.14 g, 21.1 m㏖) 를 그곳에 첨가하여, 혼합액을 20 ℃ 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메탄올 (3.5 ㎖) 을 첨가하여 5 분간 교반하고, 반응액을 탄산수소나트륨 (1.75 g) 및 물 (35 ㎖) 로 이루어지는 용액에 톨루엔 (7 ㎖) 으로 씻어 넣어, 혼합액을 실온에서 분액하였다. 다음으로 유기층을 탄산수소나트륨 (1.75 g) 및 물 (35 ㎖) 로 이루어지는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추가로 유기층을 염화나트륨 (3.5 g) 및 물 (35 ㎖) 로 이루어지는 용액으로 세정하여, 유기층을 21 ㎖ 까지 농축시켰다. 톨루엔 (28 ㎖) 을 첨가하여 21 ㎖ 까지 농축시키는 조작을 3 회 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헵탄/아세트산에틸-아세톤의 1 : 1 용액 = 40/60 ∼ 10/90) 를 행하여, 목적 화합물 (6.42 g, TIPS-C 로부터의 수율 61 %) 을 얻었다.
실시예 5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상기한 EMM C-3 (6.0 g, 8.6 m㏖) 에 아세토니트릴 (18 ㎖) 을 첨가하고, 그곳에 25 ℃ 에서 디이소프로필아민테트라졸리드 (1.68 g, 9.8 m㏖), 2-시아노에틸N,N,N',N'-테트라이소프로필포스포르디아미다이트 (3.09 g, 10.3 m㏖) 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35 ℃ 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톨루엔 (60 ㎖), 물 (30 ㎖) 및 탄산수소나트륨 (1.5 g) 으로 이루어지는 용액에 붓고, 혼합액을 실온에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DMF (30 ㎖) 및 물 (30 ㎖) 로 이루어지는 용액으로 4 회, 물 (30 ㎖) 로 2 회, 염화나트륨 (3.0 g) 및 물 (30 ㎖) 로 이루어지는 용액으로 1 회 각각 세정하였다. 유기층에 황산나트륨 (3.0 g) 을 첨가하여 여과하고, 18 ㎖ 까지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헵탄/아세톤 = 60/40 ∼ 30/70) 를 행하여, 목적 화합물 (6.45 g, EMM C-3 으로부터의 수율 84 %) 을 얻었다.
실시예 6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N4-아세틸-3',5'-O-(테트라이소프로필디실록산-1,3-디일)시티딘 (TIPS-C) (1.0 g, 1.9 m㏖)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 에 용해시키고, 그곳에 메틸티오메틸2-시아노에틸에테르 (이하, CEM 화제로 기재한다.) (0.37 g, 2.8 m㏖), 몰레큘러 시브 4 A (0.8 g) 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질소 분위기 하, -45 ℃ 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그곳에 N-요오드숙신이미드 (0.64 g, 2.8 m㏖) 를 첨가한 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0.42 g, 2.8 m㏖) 을 적하하여, 혼합액을 -45 ℃ 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트리에틸아민 (1.6 ㎖) 을 첨가하고, 여과 후,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유기층을 물 (10 ㎖),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1.0 g), 탄산수소나트륨 (0.35 g) 의 혼합 용액으로 2 회 세정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LC-MS 분석을 행하고, 네거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목적물의 m/z 인 609.3 에서 스캔 측정한 결과, 목적물 피크 99.93 % 에 비해서, 크리티컬 불순물인 목적물과 동일 m/z 의 피크는 0.07 % 였다.
[화학식 20]
Figure pct00020
상기한 미정제 CMMC-1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 ㎖) 에 용해시키고, 그곳에 25 ℃ 에서 삼불화수소/트리에틸아민 (0.37 g, 2.2 m㏖) 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45 ℃ 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석출물을 흡인 여과로 회수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세정,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68 g, 수율 97 %) 을 얻었다.
실시예 7
[화학식 21]
Figure pct00021
N4-아세틸-3',5'-O-(테트라이소프로필디실록산-1,3-디일)시티딘 (TIPS-C) (3.0 g, 5.7 m㏖) 을 톨루엔 (15 ㎖) 으로 3 회 공비하고, 진공 펌프로 용매 증류 제거하였다. 질소 분위기 하, 잔류물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 ㎖) 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45 ℃ 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에 EMM 화제 (2.8 g, 18 m㏖), N-요오드숙신이미드 (2.0 g, 9.0 m㏖),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1.3 g, 8.8 m㏖) 을 이 순서로 적하하였다. -45 ℃ 에서 5 시간 교반 후, 반응액에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치하였다.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 (30 ㎖), 탄산수소나트륨 (1.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3.0 g) 및 물 (30 ㎖) 로 이루어지는 빙랭한 용액에 첨가하여, 혼합액을 실온에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LC-MS 분석을 행하고, 네거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목적물의 m/z 인 639.3 에서 스캔 측정한 결과, 목적물 피크 99.87 % 에 비해서, 크리티컬 불순물인 목적물과 동일 m/z 의 피크는 0.13 % 였다.
실시예 8
[화학식 22]
Figure pct00022
3',5'-O-(테트라이소프로필디실록산-1,3-디일)우리딘 (TIPS-U) (3.0 g, 6.0 m㏖) 을 질소 분위기 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 ㎖) 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45 ℃ 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에 EMM 화제 (1.56 g, 9.7 m㏖), N-요오드숙신이미드 (2.16 g, 9.7 m㏖)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1.44 g, 9.7 m㏖) 을 이 순서로 적하하였다. -45 ℃ 에서 5 시간 교반 후, 반응액에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치하였다. 반응액을 탄산수소나트륨 (1.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3.0 g), 물 (30 ㎖) 및 아세트산에틸 (15 ㎖) 로 이루어지는 빙랭한 수용액에 첨가하여, 혼합액을 실온에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다시 탄산수소나트륨 (1.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3.0 g) 및 물 (30 ㎖) 로 이루어지는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 헵탄 = 1 : 1) 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3.0 g, 수율 83 %) 을 얻었다.
[화학식 23]
Figure pct00023
상기한 EMM U-1 (2.0 g, 3.3 m㏖)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8 ㎖) 에 용해시키고, 그곳에 불화수소피리딘 (65.5 %, 0.81 g) 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25 ℃ 에서 17 시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 채취하여, 목적 화합물 (1.10 g, 수율 92 %) 을 얻었다.
LC-MS 분석을 행하고, 네거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목적물의 m/z 인 356.1 에서 스캔 측정한 결과, 크리티컬 불순물인 목적물과 동일 m/z 의 피크는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1
[화학식 24]
Figure pct00024
N4-아세틸-3',5'-O-(테트라이소프로필디실록산-1,3-디일)시티딘 (TIPS-C) (10.0 g, 19.0 m㏖), 톨루엔 (50 ㎖) 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용액을 30 ㎖ 까지 농축시켰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2 ㎖) 을 첨가하고, 반응액을 -50 ℃ 까지 냉각한 후, 그곳에 EMM 화제 (4.58 g, 28.4 m㏖),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4.27 g, 28.5 m㏖), N-요오드숙신이미드 (5.76 g, 25.6 m㏖)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3 ㎖) 용액의 순서로 적하하였다. -50 ℃ 에서 1 시간 교반 후, 반응액을 탄산수소나트륨 (3.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10.0 g) 및 물 (65 ㎖) 로 이루어지는 빙랭한 수용액에 첨가하여, 혼합액을 실온에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다시 탄산수소나트륨 (1.7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5.0 g) 및 물 (32.5 ㎖) 로 이루어지는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LC-MS 분석을 행하고, 네거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목적물의 m/z 인 639.3 에서 스캔 측정한 결과, 목적물 피크 96.4 % 에 비해서, 크리티컬 불순물인 목적물과 동일 m/z 의 피크는 3.6 % 였다.
비교예 2
[화학식 25]
Figure pct00025
3',5'-O-(테트라이소프로필디실록산-1,3-디일)우리딘 (TIPS-U) (5.0 g, 10.0 m㏖), 톨루엔 (25 ㎖) 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용액을 15 ㎖ 까지 농축시켰다. 그곳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5 ㎖) 을 첨가한 후, 용액을 -50 ℃ 까지 냉각시키고, 그곳에 EMM 화제 (2.48 g, 15.4 m㏖),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2.31 g, 15.4 m㏖), 및 N-요오드숙신이미드 (3.18 g, 14.1 m㏖)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5 ㎖) 용액의 순서로 적하하였다. -50 ℃ 에서 2 시간 교반 후, 반응액을 탄산수소나트륨 (1.7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5.0 g) 및 물 (32.5 ㎖) 로 이루어지는 빙랭한 수용액에 첨가하여, 혼합액을 실온에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다시 탄산수소나트륨 (0.8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2.5 g) 및 물 (16 ㎖) 로 이루어지는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화학식 26]
Figure pct00026
상기한 미정제 EMM U-1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 ㎖), 아세톤 (15 ㎖) 에 용해시키고, 그곳에 삼불화수소/트리에틸아민 (1.82 g, 11.3 m㏖) 을 첨가하여, 반응액을 20 ℃ 에서 17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tert-부틸메틸에테르 (50 ㎖) 에 주입하여, 혼합액을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얻어진 고체를 tert-부틸메틸에테르 (10 ㎖) 로 씻고, 그 고체를 감압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05 g, 수율 85 %) 을 얻었다.
LC-MS 분석을 행하고, 네거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목적물의 m/z 인 392.1 (장치·유리 기구 등 유래의 염화물 이온 부가체) 에서 스캔 측정한 결과, 목적물 피크 92.6 % 에 비해서, 크리티컬 불순물인 목적물과 동일 m/z 의 피크는 7.4 % 였다.
비교예 3
[화학식 27]
Figure pct00027
N4-아세틸-3',5'-O-(테트라이소프로필디실록산-1,3-디일)시티딘 (TIPS-C) (1.0 g, 1.9 m㏖) 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 에 용해시키고, 그곳에 CEM 화제 (0.37 g, 2.8 m㏖), 몰레큘러 시브 4 A (0.8 g) 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질소 분위기 하, -45 ℃ 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그곳에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0.42 g, 2.8 m㏖) 을 적하한 후, N-요오드숙신이미드 (0.64 g, 2.8 m㏖) 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45 ℃ 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트리에틸아민 (1.6 ㎖) 을 첨가하고, 여과 후, 여과액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유기층을 물 (10 ㎖),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1.0 g), 탄산수소나트륨 (0.35 g) 의 혼합 용액으로 2 회 세정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LC-MS 분석을 행하고, 네거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목적물의 m/z 인 609.3 에서 스캔 측정한 결과, 목적물 피크 97.3 % 에 비해서, 크리티컬 불순물인 목적물과 동일 m/z 의 피크는 2.7 % 였다.
[화학식 28]
Figure pct00028
상기한 미정제 CMMC-1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 ㎖) 에 용해시키고, 그곳에 25 ℃ 에서 삼불화수소/트리에틸아민 (0.37 g, 2.2 m㏖) 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45 ℃ 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석출물을 흡인 여과로 회수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세정,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63 g, 수율 90 %) 을 얻었다.
비교예 4
[화학식 29]
Figure pct00029
N4-아세틸-3',5'-O-(테트라이소프로필디실록산-1,3-디일)시티딘 (TIPS-C) (3.0 g, 5.7 m㏖) 을 톨루엔 (15 ㎖) 으로 3 회 공비하고, 진공 펌프로 용매 증류 제거하였다. 질소 분위기 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 ㎖) 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45 ℃ 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에 EMM 화제 (2.8 g, 18 m㏖),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1.3 g, 8.8 m㏖), N-요오드숙신이미드 (2.0 g, 9.0 m㏖) 를 이 순서로 적하하였다. -45 ℃ 에서 5 시간 교반 후, 그곳에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치하였다.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 (30 ㎖), 탄산수소나트륨 (1.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3.0 g) 및 물 (30 ㎖) 로 이루어지는 빙랭한 용액에 첨가하여, 혼합액을 실온에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LC-MS 분석을 행하고, 네거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목적물의 m/z 인 639.3 에서 스캔 측정한 결과, 목적물 피크 97.7 % 에 비해서, 크리티컬 불순물인 목적물과 동일 m/z 의 피크는 2.3 % 였다.
비교예 5
[화학식 30]
Figure pct00030
3',5'-O-(테트라이소프로필디실록산-1,3-디일)우리딘 (TIPS-U) (3.0 g, 6.0 m㏖) 을 질소 분위기 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 ㎖) 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45 ℃ 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에 EMM 화제 (1.56 g, 9.7 m㏖),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1.44 g, 9.7 m㏖) 및 N-요오드숙신이미드 (2.16 g, 9.7 m㏖) 를 이 순서로 적하하였다. -45 ℃ 에서 5 시간 교반 후, 그곳에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치하였다. 반응액을 탄산수소나트륨 (1.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3.0 g), 물 (30 ㎖) 및 아세트산에틸 (15 ㎖) 로 이루어지는 빙랭한 수용액에 첨가하여, 혼합액을 실온에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다시 탄산수소나트륨 (1.5 g),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3.0 g) 및 물 (30 ㎖) 로 이루어지는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 헵탄 = 1 : 1) 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82 g, 수율 78 %) 을 얻었다.
[화학식 31]
Figure pct00031
상기한 EMM U-1 (2.0 g, 3.3 m㏖) 을 THF (8 ㎖) 에 용해시키고, 그곳에 불화수소피리딘 (65.5 %, 0.81 g) 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25 ℃ 에서 17 시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 채취하여, 목적 화합물 (1.08 g, 수율 90 %) 을 얻었다.
LC-MS 분석을 행하고, 네거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목적물의 m/z 인 356.1 에서 스캔 측정한 결과, 목적물 피크 98.9 % 에 비해서, 크리티컬 불순물인 목적물과 동일 m/z 의 피크는 1.1 % 였다.
Figure pct00032
시약 첨가 순서 1 :
EMM 화제 또는 CEM 화제, N-요오드숙신이미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의 순서
시약 첨가 순서 2 :
EMM 화제 또는 CEM 화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N-요오드숙신이미드의 순서
이상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요오드숙신이미드 후에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을 첨가함으로써 불순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보다 고순도로 목적물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6)

  1.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공정 A : 산화제 및 산의 존재 하에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과 식 (2) 로 나타내는 에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반응계 내에 산화제를 첨가하고, 이어서 산을 첨가하는, 그 공정
    Figure pct00033

    (식 중,
    Ba 는, 아실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시토신기, 또는 우라실기를 나타내고,
    R1 은 C1 ∼ C6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며, 그리고,
    n 은 0 또는 1 을 나타낸다.) 을 포함하고,
    여기서,
    산화제는, N-할로겐화숙신이미드 및 N-할로겐화히단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그리고,
    산은, 퍼플루오로알킬카르복실산 및 그 염, 알킬술폰산 및 그 염, 아릴술폰산 및 그 염, 퍼플루오로알킬술폰산 및 그 염, 및 이것들의 2 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n 이 1 인,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n 이 0 인,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N-할로겐화숙신이미드인,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N-요오드숙신이미드인,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은, 및 메탄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인,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이 메틸기인,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a 가 아세틸기로 치환된 시토신기, 또는 무치환의 우라실기인, 제조 방법.
  11.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아미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34

    (식 중, Ba 및 n 은 상기와 동일하고,
    G1 및 G2 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수산기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G3 은 동일 또는 상이하며 알킬기를 나타낸다.)
    공정 A : 청구항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과 식 (2) 로 나타내는 에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그 방법.
    Figure pct00035

    (식 중, Ba, R1 및 n 은 상기와 동일하다.)
  12. 제 11 항에 있어서,
    공정 B : 공정 A 에서 얻어진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의 3' 위치와 5' 위치의 수산기를 탈보호하여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
    Figure pct00036

    (식 중, Ba 및 n 은 상기와 동일하다.)
    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탈보호제로서 트리에틸아민삼불화수소산염 또는 피리딘불화수소산염을 사용하는,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공정 C : 공정 B 에서 얻어진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배당체 화합물의 5' 위치의 수산기에 보호기 G1 을 도입하고, 3' 위치의 수산기를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하여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아미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
    Figure pct00037

    (식 중, Ba, n, G1, G2 및 G3 은 상기와 동일하다.)
    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5' 위치 수산기의 보호기 도입 시약으로서 4,4'-디메톡시트리틸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3' 위치 수산기의 포스포르아미다이트화 시약으로서 2-시아노에틸-N,N,N',N'-테트라이소프로필포스포르디아미다이트를 사용하는, 방법.
KR1020217009766A 2018-09-07 2019-09-06 배당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202100588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68135 2018-09-07
JPJP-P-2018-168135 2018-09-07
PCT/JP2019/035241 WO2020050411A1 (ja) 2018-09-07 2019-09-06 配糖体化合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865A true KR20210058865A (ko) 2021-05-24

Family

ID=6972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766A KR20210058865A (ko) 2018-09-07 2019-09-06 배당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55153A1 (ko)
EP (1) EP3848381A4 (ko)
JP (1) JP7423533B2 (ko)
KR (1) KR20210058865A (ko)
CN (1) CN112638926A (ko)
WO (1) WO202005041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4881Y2 (ko) 1977-02-03 1980-12-19
WO2007097447A1 (ja) 2006-02-27 2007-08-30 Nippon Shinyaku Co., Ltd. 核酸保護基の脱離方法
JP5157168B2 (ja) 2004-08-26 2013-03-06 日本新薬株式会社 ホスホロアミダイト化合物及びオリゴrna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202A (en) * 1991-02-28 1994-12-06 The Nisshin Oil Mills, Ltd. Processes of preparing sialoglycosyl compounds
US8158775B2 (en) * 2006-02-27 2012-04-17 Nippon Shinyaku Co., Ltd. Method for detaching protecting group on nucleic acid
KR20080100465A (ko) * 2006-02-27 2008-11-18 니뽄 신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올리고 핵산의 캡핑법
EP2053054B1 (en) * 2006-08-02 2014-12-17 Nippon Shinyaku Co., Ltd. Method for introducing nucleic-acid-protecting group
JP5138527B2 (ja) * 2008-09-29 2013-02-06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ポリシーベースのファイルサーバ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1125943A1 (ja) * 2010-04-01 2011-10-13 日本新薬株式会社 修飾オリゴヌクレオチド
ES2802996T3 (es) * 2011-08-25 2021-01-22 Bonac Corp Compuesto de tioéter para la protección del grupo 2'-hidroxi en nucleósidos que van a ser utilizados en la síntesis de oligonucleótidos
WO2016159374A1 (ja) 2015-04-02 2016-10-06 株式会社ボナック 配糖体化合物の製造方法
WO2018070543A1 (ja) * 2016-10-14 2018-04-19 株式会社ボナック 新規な配糖体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842065B2 (ja) 2017-03-30 2021-03-1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置換テトラヒドロフランの製造方法
WO2019208571A1 (ja) * 2018-04-24 2019-10-31 住友化学株式会社 アミダイト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用いたポリヌクレオチ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4881Y2 (ko) 1977-02-03 1980-12-19
JP5157168B2 (ja) 2004-08-26 2013-03-06 日本新薬株式会社 ホスホロアミダイト化合物及びオリゴrnaの製法
WO2007097447A1 (ja) 2006-02-27 2007-08-30 Nippon Shinyaku Co., Ltd. 核酸保護基の脱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5153A1 (en) 2021-11-18
EP3848381A1 (en) 2021-07-14
JPWO2020050411A1 (ja) 2021-08-30
EP3848381A4 (en) 2022-05-11
WO2020050411A1 (ja) 2020-03-12
JP7423533B2 (ja) 2024-01-29
CN112638926A (zh)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20507B (zh) 酰胺化合物及使用该化合物的多核苷酸的制造方法
JP6281599B2 (ja) 擬似固相保護基およびヌクレオチド
JP6477464B2 (ja) モルフォリノオリゴヌクレオチドの製造方法
JP7484951B2 (ja) オリゴヌクレオチドの製造方法
EP3450439B1 (en) Method for producing monomer for single-stranded nucleic acid molecule
CN112533892B (zh) 烷氧基苯基衍生物、核苷保护体和核苷酸保护体、寡核苷酸制造方法以及取代基除去方法
JP2018502077A (ja) ブルトンチロシンキナーゼ阻害剤の合成
CN107176955B (zh) 一种巴瑞替尼的制备方法
JP6673211B2 (ja) モルフォリノオリゴヌクレオチドの製造方法
JP5322940B2 (ja) (Rp)−8−置換cAMPSを製造する方法
EP3778619A1 (en) Segment for oligonucleotide synthesis, production method for same, and oligonucleotide synthesis method using same
EP3473637A1 (en) Method for synthesizing ribonucleic acid h-phosphonate monomer, and oligonucleotide synthesis in which said monomer is used
US20230212178A1 (en) Method of producing photoreactive nucleotide analog
KR20210058865A (ko) 배당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
JP2017088530A (ja) ホスホリルコリン修飾ア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EP0523080B1 (en) 2,3&#39;-o-cyclocytidin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WO2010079813A1 (ja) イノシン誘導体の製造方法
WO2020246443A1 (ja) 二分岐脂質結合オリゴヌクレオチドの製造方法及び中間体
WO2021070507A1 (ja) 配糖体化合物の製造方法
KR101407353B1 (ko) 10-디아세틸바카틴 iii으로부터 카바지탁셀을 고수율로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 및 이를 위한 신규 중간체
JP4627625B2 (ja) N−アセチルシチジン類の製造方法
JP2004123641A (ja) N4−ベンゾイル−2’−デオキシシチジン類の製造方法
EP1408047A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erythromycin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