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985A - 텐셔너 레버 - Google Patents

텐셔너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985A
KR20210054985A KR1020200138908A KR20200138908A KR20210054985A KR 20210054985 A KR20210054985 A KR 20210054985A KR 1020200138908 A KR1020200138908 A KR 1020200138908A KR 20200138908 A KR20200138908 A KR 20200138908A KR 20210054985 A KR20210054985 A KR 20210054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load
lever
suppor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지 무라츠바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21005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Torsio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7External to intern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 거동의 변동에 수반하는 다양한 장력 변동에 대해서 항상 적절한 반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고, 체인의 주행시의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텐셔너 레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셔너 레버(100)는, 체인(CH)을 슬라이드 안내하는 슈면(S)을 가지는 레버 본체(110)와, 권회부(121)의 일방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누름 완부(122)의 선단부(122a)가 레버 본체(110)에 제1 하중점(P1)에서 맞닿아서 권회부(121)의 타방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완부(123)의 선단부(123a)가 설치면에 설치된 지지부(W)에 제1 지지점(R1)으로 맞닿아서 지지되도록 구성된 비틀림 코일 용수철(120)을 구비하고, 체인(CH)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크기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제2 하중점(P2) 및 제2 지지점(R2)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13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텐셔너 레버{TENSIONER LEVER}
본 발명은, 주행하는 체인을 슬라이드(摺動, slidably) 안내하는 텐셔너 레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틀림 코일 용수철(torsion coil spring)의 탄성력에 의해서 레버 본체의 슈면(shoe surface)을 체인 측에 꽉 누름으로써 체인을 슬라이드 안내하는 체인용의 텐셔너 레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엔진의 보기 구동(補機驅動, auxiliary machine) 등에 이용되는 체인 전동장치에서, 체인의 느슨함을 제거하여 주행중의 체인의 진동을 방지하는 텐셔너 레버로서 엔진 블록 등의 설치면(取付面, attachment surface)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체인을 슬라이드 안내하는 슈면을 가진 레버 본체와, 레버 본체 및 설치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슈면을 체인 측에 누르는(押壓, press) 비틀림 코일 용수철을 구비하는 텐셔너 레버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참조).
이러한 텐셔너 레버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의 권회부(捲回部, helical part)가, 레버 본체의 베이스부로부터 설치면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보스부의 보스 외주면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권회부의 일방 단으로부터 연장된 누름 완부(押壓腕部, pressing arm)가 레버 본체에 접촉하고, 권회부의 타방 단으로부터 연장된 지지 완부(支持腕部, support arm)의 선단부를 설치면에 형성된 용수철 보관 유지구멍(保持穴, retention hole)에 꽂히도록 하여, 설치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텐셔너 레버에서는, 체인으로부터의 하중을 받아 비틀림 코일 용수철이 비틀림으로써, 비틀림량(twisted amount)(누름 완부의 각도 변화량)에 따른 반력을 얻을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 2000-274501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 2009-108909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 2012-3699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텐셔너 레버에서는, 지지 완부의 선단부가 고정되어 체인으로부터의 하중을 누름 완부의 선단으로 받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누름 완부의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용수철의 최대 허용 하중에는 제한이 있으며, 또한, 과대한 하중을 받으면, 비틀림 코일 용수철은 크게 탄성변형 하게 되고, 급격한 체인 거동의 변동에 대해서 추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엔진 시동시에 체인의 덜컹거림이 크게 발생하거나, 고주파에서의 체인의 공진이 발생하거나 하면, 적절한 반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체인 거동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체인 거동의 변동에 수반하는 다양한 장력 변동에 대해서 항상 적절한 반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고, 체인의 주행시의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텐셔너 레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체인을 슬라이드(摺動, slidably) 안내하는 슈면을 갖고, 설치면에 입설된 피봇축으로 회전 가능하게(回動自在, ) 지지되는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 및 상기 설치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슈면을 체인 측에 누르는(押壓, ) 비틀림 코일 용수철을 구비하는 텐셔너 레버로서, 상기 비틀림 코일 용수철은, 상기 레버 본체에 설치된 원통형의 보스부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권회부()와, 상기 권회부의 일방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선단부가 제1 하중점으로서 상기 레버 본체에 맞닿는 누름 완부와, 상기 권회부의 타방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선단부가 제1 지지점으로서 상기 설치면에 설치된 지지부에 맞닿아서 지지되는 지지 완부를 갖고,
상기 체인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크기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상기 제1 하중점과 다른 위치에서 상기 누름 완부와 상기 레버 본체가 맞닿는 제2 하중점 및 상기 제1 지지점과 다른 위치에서 상기 지지 완부와 상기 지지부가 맞닿는 제2 지지점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에 따른 텐셔너 레버에 의하면, 체인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크기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제2 하중점 및 제2 지지점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형성되어 체인으로부터의 하중이 분담되게 되므로, 비틀림 코일 용수철의 용수철 하중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체인으로부터 받는 하중이 작은 경우에는, 체인으로부터의 하중을 제1 하중점만으로 받게 되므로, 필요 이상의 반력으로 체인을 밀어 넣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항상 적절한 반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져, 엔진 시동시에서의 체인의 덜컹거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체인으로부터의 하중이 분담되므로, 비틀림 코일 용수철의 뒤틀림량 자체는 작아지므로, 급격한 체인 거동의 변동에 수반하는 장력 변동에 대해서도 적절한 반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하중점 및 제2 지지점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형성되므로, 체인의 고유 주파수(고유 진동수)가 변화하므로, 고주파역에서 체인이 공진한 경우에도, 체인의 공진을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2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누름 완부와 당접부 형성 벽부와의 접촉에 수반하는 용수철 하중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반력을 더욱 확실히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3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비틀림 코일 용수철의 반력이 과소하게 되어 체인 거동의 변동에 대한 추종성이 악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청구항 4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가 제2 하중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더불어,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를 레버 본체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레버 본체로의 비틀어 코일 용수철의 조합 작업을 곤란하게 하지 않는다. 또한,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가, 제2 하중점 및 제2 지지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체인의 거동 변동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텐셔너 레버의 사용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텐셔너 레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이면측 측면도.
[도 3] 텐셔너 레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이면측 사시도.
[도 4] 텐셔너 레버를 설치면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비틀림 코일 용수철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 고하중시의 비틀림 코일 용수철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텐셔너 레버의 사용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도 6에 나타내는 텐셔너 레버에서의 고하중시의 비틀림 코일 용수철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텐셔너 레버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텐셔너 레버(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블록(도시하지 않음) 등의 설치면(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돌출된 피봇축(Pa)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크랭크 축에 장착된 구동측 스프로켓(sprocket)(SP1)과 보기축(補機軸, shaft of auxiliary machine)에 장착된 피동측 스프로켓(SP2) 사이에 걸어 걸려진(掛渡) 체인(CH)을 슬라이드(摺動, slidably) 안내하고, 체인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는 것이다.
텐셔너 레버(100)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 레버 본체(110)와, 레버 본체(110)와 설치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금속 등으로 형성된 비틀림 코일 용수철(120)을 구비하고 있다.
레버 본체(1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면 대략 곡옥 형상(勾玉形狀, comma-like shape)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된 레버 둘레 벽부(周壁部, circumferential wall)(111)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 둘레 벽부(111)는, 도 3에도 나타내듯이, 피봇축(Pa)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주를 따른 형상을 가지는 반달 모양(弧狀, circular arc) 둘레 벽부(周壁部, circumferential wall part)(111a)와, 반달 모양 둘레 벽부(111a)의 일방 단에 연속해 체인(CH)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대략 평판 모양의 일단측 둘레 벽부(111b)와, 일방 단이 일단측 둘레 벽부(111b)의 타방 단에 매끄럽게 연속해 체인(CH) 측을 향해 볼록한 원호(圓弧, circular arc)에 따른 형상을 가지는 체인측 둘레 벽부(111c)와, 일방 단이 반달 모양 둘레 벽부(111a)의 타방 단에 매끄럽게 연속해 체인측 둘레 벽부(111c)와 대향하여 연장되는 대략 평판 모양의 반(反)체인측 둘레 벽부(111d)와, 체인측 둘레 벽부(111c) 및 반체인측 둘레 벽부(111d)의 각각의 타방 단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원호상을 나타내는 타단측 둘레 벽부(111e)를 갖고, 체인측 둘레 벽부(111c)의 체인(CH)에 대향하는 외면이 체인(CH)을 슬라이드 안내하는 슈면(S)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레버 둘레 벽부(111)에 둘러싸인 공간은, 체인측 둘레 벽부(111c)와 반체인측 둘레 벽부(111d)의 사이에 설치된 보강 리브부(112a)에 의해서 길이 방향으로 2개의 공간부로 구획되고, 일단 측에 위치되는 공간부에 의해서 비틀림 용수철 수용부(H)가 형성되고 있다. 타단 측에 위치되는 공간부는, 격벽부(113)에 의해서 축 방향(피봇축(P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공간부에는, 체인측 둘레 벽부(111c)와 반체인측 둘레 벽부(111d)의 사이에 보강 리브부(112b)가 설치되고 있다.
레버 둘레 벽부(111)에서의 비틀림 용수철 수용부(H)를 정의(畵成, define)하는 부분에는, 설치면과 반대 측의 단면에 비틀림 용수철 수용부(H)를 덮는 레버 측벽부(115)가 연설(連設, formed continuously)되고 있다.
레버 측벽부(115)에는, 피봇축(Pa)이 삽입되는 축 구멍(軸孔)(116)이 형성되고 있다. 또한, 레버 측벽부(115)에는, 축 구멍(116)의 주연으로부터 설치면 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원통형의 보스부(117)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스부(117)에 피봇축(Pa)이 삽입됨으로써, 레버 본체(110)가 설치면에 요동 가능(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스부(117)의 설치면측 단면은, 레버 둘레 벽부(111)보다 조금 설치면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로 인해, 보스부(117)의 설치면 측 단면 이외의 부분이 설치면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고, 피봇축(Pa)을 중심으로 하는 레버 본체(110)의 원활한 요동(회동)을 확보하고 있다.
보스부 외주면의 설치면측 단부에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120)이 설치면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돌기부(118)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텐셔너 레버(100)를 설치면에 설치하기 전 상태에서, 비틀림 코일 용수철(120)이 레버 본체(110)로부터 빗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텐셔너 레버(100)를 설치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비틀림 코일 용수철(120)이 설치면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비틀림 코일 용수철(120)은, 권회부(捲回部, helical part)(121)와, 권회부(121)의 일방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누름 완부(押壓腕部, pressing arm)(122)와, 권회부(121)의 타방 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지지 완부(支持腕部, support arm)(123)를 가진다. 누름 완부(122)의 선단부(122a)는 설치면 측으로 절곡되고(折曲, bent), 지지 완부(123)의 선단부(123a)는, 설치면과 반대 측으로 절곡되고 있다.
비틀림 코일 용수철(120)은, 권회부(121)가 보스부(117)의 외주면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레버 본체(110)에 설치되고, 누름 완부(122)의 선단부(122a)가 제1 하중점(P1)에서 체인측 둘레 벽부(111c)의 내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반달 모양 둘레 벽부(弧狀周壁部, circular arc circumferential wall part)(111a)에 형성된 노치부(切欠部, cut-out portion)(114)를 통해 레버 본체(110)의 외부에 돌출된 지지 완부(123)의 선단부(123a)가 제1 지지점(R1)에서 설치면에 설치된 지지부(W)에 맞닿는다(도 1 참조.).
누름 완부(122)의 선단측 부분은, 체인측 둘레 벽부(111c)의 내면으로부터 돌설된 용수철 계지 리브부(119)에 끼워지고(係止, stop), 이로 인해, 누름 완부(122)의 선단부(122a)의 체인측 둘레 벽부(111c)의 내면에 대한 적정한 맞닿음 상태를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셔너 레버(100)를 설치면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120)의 탄성력에 의해서 레버 본체(110)가 피봇축(Pa) 둘레에 체인(CH) 측에 회전 힘이 가해져서(回動付勢, exert torque) 슈면(S)을 통해 체인(CH)을 누르고(押壓, press)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 레버(100)는, 체인(CH)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크기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제1 하중점(P1)과 다른 위치에서 누름 완부(122)와 레버 본체(110)가 맞닿는 제2 하중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130)는, 당접부 형성 벽부(當接部型成壁部, abutment part forming wall)(131)가 체인측 둘레 벽부(111c)의 내면으로부터 돌설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접부 형성 벽부(131)의 누름 완부(122)와 대향하는 내벽면(132)은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텐셔너 레버(100)를 설치면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내벽면(132)은 누름 완부(122)의 둘레면과 이간한 상태로 되어 있다.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130)는, 누름 완부(122)와 당접부 형성 벽부(131)가 맞닿을 때, 누름 완부(122)와 당접부 형성 벽부(131)가 맞닿는 범위가 서서히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체인(CH)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하중을 받으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완부(122)가 체인측 둘레 벽부(111c) 측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휘고, 누름 완부(122)의 둘레면이 당접부 형성 벽부(131)의 내벽면(132)에 대해서 서서히 맞닿는다. 이로 인해, 누름 완부(122)와 당접부 형성 벽부(131)와의 접촉에 수반하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120)의 용수철 하중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반력을 더욱 확실히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접부 형성 벽부(13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하중점(P2)이 제1 하중점(P1)으로부터 누름 완부(122)의 길이(La)의 2/3이 길이 영역(L1) 내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비틀림 코일 용수철(120)의 용수철 하중을 적정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어 적절한 반력을 더욱 확실히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2 하중점(P2)가 상기 영역(L1) 이외의 위치에서 형성되도록 당접부 형성 벽부(131)를 구성한 경우에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120)의 용수철 하중이 과대가 되어 적절한 반력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가 체인측 둘레 벽부에 당접부 형성 벽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는, 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 용수철의 누름 완부의 형상을 적당 변경함으로써, 고하중시에 누름 완부와 맞닿아서 제2 하중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 용수철로서 예를 들면 누름 완부가 체인측 둘레 벽부를 향해서 반달 모양으로 만곡하여 신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이용함으로써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는, 고하중시에 제2 하중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는, 고하중시에 제2 지지점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제2 하중점 및 제2 지지점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230)를 제2 지지점(R2)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면의 지지부(W)에 설치면측 당접부 형성 벽부(235)를 형성하면 좋다.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230)는, 지지 완부(123)와 설치면측 당접부 형성 벽부(235)가 맞닿을 때, 지지 완부(123)와 설치면측 당접부 형성 벽부(235)가 맞닿는 범위가 서서히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면측 당접부 형성 벽부(235)의 내벽면(236)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하중시에 지지부(W)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휘는 지지 완부(123)의 둘레면이 설치면측 당접부 형성 벽부(235)의 내벽면(236)에 대해서 서서히 맞닿음으로써 제2 지지점(R2)이 형성된다. 또한, 설치면측 당접부 형성 벽부(235)는, 제2 지지점(R2)이 제1 지지점(R1)으로부터 지지 완부(123)의 길이의 2/3의 길이 영역 내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를 제2 지지점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서도, 비틀림 코일 용수철로서 누름 완부가 지지벽부를 향해서 반달 모양으로 만곡하여 신장하도록 구성된 것이 이용되는 것으로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가 형성되고 있어도 좋다.
100 ··· 텐셔너 레버
110 ··· 레버 본체
111 ··· 레버 둘레 벽부
111a ··· 반달 모양 둘레 벽부
111b ··· 일단측 둘레 벽부
111c ··· 체인측 둘레 벽부
111d ··· 반체인측 둘레 벽부
111e ··· 타단측 둘레 벽부
112a ··· 보강 리브부
112b ··· 보강 리브부
113 ··· 격벽부
114 ··· 노치부
115 ··· 레버 측벽부
116 ··· 축 구멍
117 ··· 보스부
118 ··· 규제 돌기부
119 ··· 용수철 계지 리브부
120 ··· 비틀림 코일 용수철
121 ··· 권회부
122 ··· 누름 완부
122a ··· 선단부
123 ··· 지지 완부
123a ··· 선단부
130, 230 ···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
131 ··· 당접부 형성 벽부
132 ··· 내벽면
235 ··· 설치면측 당접부 형성 벽부
236 ··· 내벽면
CH ··· 체인
H ··· 비틀림 코일 용수철 수용부
Pa ··· 피봇축
P1 ··· 제1 하중점
P2 ··· 제2 하중점
R1 ··· 제1 지지점
R2 ··· 제2 지지점
S ··· 슈면
SP1 ··· 구동측 스프로켓
SP2 ··· 피동측 스프로켓
W ··· 지지부

Claims (4)

  1. 체인을 슬라이드 안내하는 슈면을 갖고, 설치면에 입설된 피봇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 및 상기 설치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슈면을 체인 측에 누르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을 구비하는 텐셔너 레버로서,
    상기 비틀림 코일 용수철은, 상기 레버 본체에 설치된 원통형의 보스부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권회부와, 상기 권회부의 일방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선단부가 제1 하중점으로서 상기 레버 본체에 맞닿는 누름 완부와, 상기 권회부의 타방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선단부가 제1 지지점으로서 상기 설치면에 설치된 지지부에 맞닿아서 지지되는 지지 완부를 갖고,
    상기 체인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크기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상기 제1 하중점과 다른 위치에서 상기 누름 완부와 상기 레버 본체가 맞닿는 제2 하중점 및 상기 제1 지지점과 다른 위치에서 상기 지지 완부와 상기 지지부가 맞닿는 제2 지지점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레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는, 상기 제2 하중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슈면을 형성하는 체인측 둘레 벽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당접부 형성 벽부를 갖고,
    상기 누름 완부와 상기 당접부 형성 벽부가 맞닿을 때, 상기 누름 완부와 상기 당접부 형성 벽부가 맞닿는 범위가 서서히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레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는, 상기 제2 하중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슈면을 형성하는 체인측 둘레 벽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당접부 형성 벽부를 갖고,
    상기 당접부 형성 벽부는, 상기 제2 하중점이 상기 제1 하중점으로부터 상기 누름 완부의 길이의 2/3의 길이 영역 내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레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 하중 가변 구조부는, 상기 설치면의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설치면측 당접부 형성 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레버.
KR1020200138908A 2019-11-06 2020-10-26 텐셔너 레버 KR202100549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01200A JP7311781B2 (ja) 2019-11-06 2019-11-06 テンショナレバー
JPJP-P-2019-201200 2019-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85A true KR20210054985A (ko) 2021-05-14

Family

ID=7548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908A KR20210054985A (ko) 2019-11-06 2020-10-26 텐셔너 레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71591B2 (ko)
JP (1) JP7311781B2 (ko)
KR (1) KR20210054985A (ko)
CN (1) CN112780736A (ko)
DE (1) DE102020127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0738B2 (ja) * 2019-11-21 2024-02-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JP7440764B2 (ja) * 2020-05-14 2024-02-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JP2023026930A (ja) * 2021-08-16 2023-03-0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4501A (ja) 1999-03-24 2000-10-03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伝動用テンショナレバー
JP2009108909A (ja) 2007-10-29 2009-05-21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伝動用テンショナレバー
JP2012036996A (ja) 2010-08-09 2012-02-23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用テンショナレ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49477A (fr) * 1959-11-18 1960-12-30 Renault Perfectionnements aux tendeurs de chaînes automatiques
DE3810188A1 (de) * 1988-03-25 1989-10-05 Skf Gmbh Laufschiene zum spannen einer transmission
JP4046684B2 (ja) * 2003-12-26 2008-02-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エンジン用テンショナ
DE102012217209B4 (de) * 2012-09-24 2021-05-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schuh
JP6294089B2 (ja) 2014-01-31 2018-03-14 株式会社ニフコ チェーンテンショナおよびチェーンテンショナのねじりコイルばねの取付構造
DE102014211517B4 (de) * 2014-06-17 2023-02-02 Catensys Germany Gmbh Mechanischer Spanner mit verliergesicherter Befestigung einer Drehfeder und Zugmitteltrieb mit einem solchen Spanner
JP6294845B2 (ja) * 2015-02-27 2018-03-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JP6444294B2 (ja) * 2015-12-24 2018-12-2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WO2019061464A1 (zh) * 2017-09-30 2019-04-04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锁定机械张紧器的弹簧的锁定销和机械张紧器
JP7227742B2 (ja) * 2018-11-14 2023-02-22 大同工業株式会社 チェーン用テンショナ
JP7440738B2 (ja) * 2019-11-21 2024-02-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JP7440764B2 (ja) * 2020-05-14 2024-02-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4501A (ja) 1999-03-24 2000-10-03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伝動用テンショナレバー
JP2009108909A (ja) 2007-10-29 2009-05-21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伝動用テンショナレバー
JP2012036996A (ja) 2010-08-09 2012-02-23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用テンショナレ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71591B2 (en) 2022-06-28
JP2021076140A (ja) 2021-05-20
JP7311781B2 (ja) 2023-07-20
DE102020127702A1 (de) 2021-05-06
US20210131531A1 (en) 2021-05-06
CN112780736A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4985A (ko) 텐셔너 레버
US7285065B2 (en) Belt tensioner with installation pin
JP3926268B2 (ja) 非対称ダンピングテンショナベルト伝動システム
KR20210062560A (ko) 텐셔너 레버
KR20210141363A (ko) 텐셔너 레버
EP3322918B1 (en) Tensioner with secondary damping
KR101825801B1 (ko) 텐셔너 레버
WO2010041747A1 (ja) オートテンショナ
KR20180079331A (ko) 디커플링 텐셔너 상의 틈새 없는 자동 조심 베어링
EP3735543B1 (en) Tensioner
JP6026058B1 (ja) ベルト伝動システム
KR20230025752A (ko) 텐셔너 레버
JP5695463B2 (ja) ベルト取付治具
JP2023133839A (ja) テンショナレバー
CN114321298A (zh) 链条导件
JPH0366958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CA2773016A1 (en)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JPH02275159A (ja) オートテンショ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