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331A - 디커플링 텐셔너 상의 틈새 없는 자동 조심 베어링 - Google Patents

디커플링 텐셔너 상의 틈새 없는 자동 조심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331A
KR20180079331A KR1020187013009A KR20187013009A KR20180079331A KR 20180079331 A KR20180079331 A KR 20180079331A KR 1020187013009 A KR1020187013009 A KR 1020187013009A KR 20187013009 A KR20187013009 A KR 20187013009A KR 20180079331 A KR20180079331 A KR 20180079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arm
main unit
spring
sliding bearing
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하우크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07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1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ry fric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4Two or more finally actuated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를 위한 자동 조심 베어링(1)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자동 조심 베어링은 메인 유닛(2)과; 이 메인 유닛과 분리되고 환형으로 형성된 인장 아암(3)을; 포함하고, 인장 아암(3)은 메인 유닛(2)에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메인 유닛(2)의 미끄럼 베어링 영역(4) 내에 활주하는 방식으로 장착되며, 메인 유닛(2)의 미끄럼 베어링 영역(4)과 인장 아암(3) 사이에는 메인 유닛(2)과 인장 아암(3)을 서로 떠받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5, 6)가 삽입된다.

Description

디커플링 텐셔너 상의 틈새 없는 자동 조심 베어링
본 발명은, 승용차, 트럭, 버스, 농업용 상용차 또는 오토바이와 같은 자동차의 디젤 엔진 또는 오토 엔진과 같은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endless flexible drive), 바람직하게는 연속 벨트 드라이브(endless belt drive)를 위한 진자 텐셔너(pendulum tensioner)에 관한 것이며, 상기 진자 텐셔너는 메인 유닛(main unit)과; 이 메인 유닛과 분리되고 환형으로 형성되는 텐셔너를; 포함하며, 인장 아암은 메인 유닛에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메인 유닛의 미끄럼 베어링 영역 내에 활주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진자 롤러 텐셔너 또는 링 텐셔너로서도 지칭되는 상기 진자 텐셔너는 종래 기술로부터 이미 다양한 유형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런 맥락에서, 예컨대 DE 10 2011 084 680 B3호는, 연속 순환 벨트; 기계 하우징 및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한 전기 기계; 및 벨트를 통해 구동 스프로킷과 구동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구동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벨트 드라이브를 위한 인장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인장 장치 자체는, 미끄럼 베어링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의 축을 중심으로 기계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텐셔너 하우징; 구동 스프로킷의 전방 및 후방에서 벨트의 순환 방향으로 벨트에 예압력을 가하는 2개의 인장 롤러; 예압력을 생성하는 스프링 수단; 스프링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하게 텐셔너 하우징 내에 장착된 인장 아암이면서, 인장 롤러들 중 일측 인장 롤러는 인장 아암 상에 장착되고 타측 인장 롤러는 텐셔너 하우징 상에 위치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인, 상기 인장 아암; 및 텐셔너 하우징을 축 방향으로 덮는 베어링 캐리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은 EP 2 557 295 B1호 및 DE 10 2012 209 028 A1호에서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대한 단점으로서 확인된 점에 따르면, 미끄럼 베어링 내에 통상 공차로 인한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유격(radial and axial play)이 존재한다. 매번 진자 텐셔너의 고주파 진동 과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상기 진자 텐셔너는, 반경 방향 힘 및 축 방향 힘이 인장 아암과 메인 유닛/미끄럼 베어링 영역 사이의 지지점에 전혀 작용하지 않는 영점을 통과한다. 이는, 다시금, 진자 텐셔너의 특정 진동 여기(vibration excitation) 시에 상기 진자 텐셔너가 베어링 간극(bearing clearance) 내에서 공진하게 한다. 이런 경우, 결과적으로, 채터링(chattering)이 발생하거나, 심지어는 미끄럼 베어링의 유의적으로 증가된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단점들을 제거하고, 특히 자신의 인장 아암이 모든 작동 상태에 걸쳐서 최대한 틈새 없이 지지되는 진자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메인 유닛의 미끄럼 베어링 영역과 인장 아암 사이에, 메인 유닛과 인장 아암을 서로 떠받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통해 해결된다. 이는, 인장 아암과 메인 유닛 사이에 제공/삽입되는 미끄럼 베어링이 탄성 예압(elastic preloading)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적어도 반경 방향으로, 또는 축 방향으로, 또는 반경 방향뿐 아니라 축 방향으로도 베어링 간극을 제거할 수 있다. 진자 감쇠(pendulum damping)는 목표한 바대로 설정되고, 베어링의 자기 공진(self-resonance)은, 작동 주파수를 벗어나는 주파수 범위로 변위된다. 이런 공진 거동의 변경을 통해, 진자 텐셔너의 작동 동안 채터링 소음은 분명하게 감소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청구되고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기재된다.
그에 따라서, 역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활주면으로서 구성되는 표면을 포함한다. 그 결과, 스프링 부재는 특히 좁은 장착 공간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활주면이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축 방향으로 미끄럼 베어링 영역 또는 인장 아암 상에서 지지/안착된다면, 스프링 부재는 특히 목표한 바대로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그 각각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2개의 표면 중 일 표면 상에 배치되는 2개의 활주면 역시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링 부재의 특히 저마모성인 형성이 구현된다.
또한, 이런 맥락에서, 적합하게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메인 유닛과 인장 아암 사이에서 반경 방향(인장 아암의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축 방향(인장 아암의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스프링 힘을 가한다. 그 결과, 스프링 부재는 특히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가 미끄럼 베어링 영역과 인장 아암 사이의 반경 방향 간극에 그리고/또는 축 방향 간극에 배치된다면, 기존 진자 텐셔너 설계의 대규모 변경 없이 상기 스프링 부재는 다방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스프링 부재는 미끄럼 베어링 영역과 인장 아암 사이의 반경 방향 간극 내에 배치되고, 제2 스프링 부재는 미끄럼 베어링 영역과 인장 아암 사이의 축 방향 간극 내에 배치된다. 그 결과, 진자 텐셔너 내에서, 미끄럼 베어링 영역에 상대적으로 각각의 방향으로 인장 아암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2개 이상의 스프링 부재가 이용된다. 그 결과, 반경 방향으로뿐 아니라 축 방향으로도 베어링 유격의 특히 효과적인 감소가 구현된다.
진자 텐셔너의 이용을 위해 특히 장기 내구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점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가 파형 스프링(corrugated spring)으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적합하게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환형으로 또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스프링 부재는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미끄럼 베어링 영역과 인장 아암 사이의 반경 방향 간극 또는 축 방향 간극 내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런 맥락에서, 바람직하게는, 파형 스프링은 환형으로 형성되며, 파형 스프링의 지름(내경 및 외경)은 원주방향으로 파형으로 변동된다. 파형 스프링이 원판형으로 형성된다면, 바람직하게는, 파형 스프링의 축 방향 측벽부들은 원주방향으로 파형으로 (만곡되어) 연장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콤팩트하게 그리고 적은 비용으로 제조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회전 방지 부재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 영역 또는 인장 아암과 연결된다. 그 결과,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의 단지 하나의 표면만이 목표한 바대로 활주면으로서 형성되는 점이 가능해지며, 그럼으로써 제조 비용은 추가로 감소된다.
특히 이런 맥락에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형상 결합식 연결부를 통해(메인 유닛에 상대적인 인장 아암의 회전 방향으로) 미끄럼 베어링 영역 또는 인장 아암 상에 회전 방지되게 고정/파지된다. 그 때문에, 회전 방지 부재는 간단하게 제조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인장 아암의 활주 라이닝(sliding lining) 상에서 지지/안착된다. 그 결과, 미끄럼 베어링 영역의 마모는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들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며, 이런 맥락에서 다양한 실시예들 역시도 원칙에 따라 기재된다.
도 1은, 진자 텐셔너가 단부면에서 인장 아암이 확인되는 측으로부터 도시되는 상태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활주 지지점(sliding bearing point)이 진자 텐셔너의 메인 유닛의 미끄럼 베어링 영역과 인장 아암 사이에서 확인되는 상태로, 부분적으로 종방향으로 절단되어 도시된 도 1에 따른 진자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III"로 표시되어 있으면서, 메인 유닛과 인장 암 사이의 축 방향 간극 및 반경 방향 간극 내에 삽입된 스프링 부재들이 확인되는 영역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V"로 표시되어 있으면서, 미끄럼 베어링 영역과 인장 아암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것과 같은 두 스프링 부재가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는 영역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은, 인장 아암과 메인 유닛/이 메인 유닛의 미끄럼 베어링 영역 사이의 반경 방향 간극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과 같은 제1 스프링 부재의 어셈블리가 이미 확인될 수 있는 상태로, 도 1에 따른 진자 텐셔너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인장 아암의 도해가 생략됨으로써 특히 파형 스프링들의 형태인 두 스프링 부재가 특히 잘 확인될 수 있는 상태로, 메인 유닛의 미끄럼 베어링 영역 내에서 도 1에 따른 진자 텐셔너의 원주방향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다시, 원주방향 영역이 여기서는 다른 각도에서 도시됨으로써 특히 축 방향 간극 내에서 축 방향 스프링으로서 이용되는 제2 스프링 부재의 파형 연장부가 확인될 수 있는 상태로, 도 7과 유사하게 진자 텐셔너의 원주방향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다시금, 메인 유닛에 상대적으로 반경 방향 간극 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 부재의 회전 방지 부재가 확인될 수 있는 상태로, 도 1에 따른 진자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진자 텐셔너 내에 삽입되는 것과 같은 제1 스프링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진자 텐셔너 내에 삽입되는 것과 같은 제2 스프링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들은 오직 개략적인 것일 뿐이며, 오직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서만 이용된다. 동일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부여되어 있다.
도 1에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1)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진자 텐셔너(1)는 진자 벨트 텐셔너로서 형성되며, 그 결과 작동 중에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벨트 드라이브의 벨트로서 형성된 연속 견인 메커니즘(endless traction mechanism)을 예압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원에서 명확성을 위해 더 도시되지 않는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는 내연기관의 작동 중에 바람직하게는 내연기관의 출력 샤프트/크랭크 샤프트를 추가 회전 부품, 예컨대 제너레이터와 같은 보조 유닛의 구동 샤프트와 연결한다.
진자 텐셔너(1)는 링 텐셔너로서 형성되어 작용한다. 그에 상응하게, 진자 텐셔너(1)는 환형 메인 유닛(2)을 포함하며, 이 메인 유닛은 작동 중에 통상의 방식으로 제너레이터 하우징 상에 고정 배치된다. 메인 유닛(2)은, 자신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 인장 아암(3)처럼, 관통구의 형태인 중앙 개구부(16)를 포함한다. 따라서 진자 텐셔너(1)는 작동 중에 제너레이터 하우징 상으로 끼워질 수 있다.
메인 유닛(2)은 수용 챔버(14)를 포함하며, 이 수용 챔버는 [인장 아암(3)의 회전축(26)과 관련하여] 진자 텐셔너(1)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 요컨대 복수의 아크 스프링(15)(arc spring)을 둘러싼다. 아크 스프링들(15)은, 메인 유닛(2)의 섹션과, 이 메인 섹션(2)에 상대적으로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인장 아암(3)의 섹션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지지/삽입된다. 메인 유닛(2) 상에뿐만 아니라 인장 아암(3) 상에도, 각각 하나의 인장 롤러(17)가 회전식으로/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인장 롤러(17)는 작동 중에 벨트의 형태인 연속 견인 메커니즘과 접촉되고, 아크 스프링들(15)의 스프링 힘을 기반으로 예압력에 의해 연속 견인 메커니짐 상으로 밀착된다.
도 2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확인되는 것처럼, 메인 유닛(2)에 상대적으로 인장 아암(3)의 지지를 위해, 미끄럼 베어링(27)이 진자 텐셔너(1) 상에 제공된다. 메인 유닛(2) 상에는, 인장 아암(3)의 수용을 위한 미끄럼 베어링(27)의 미끄럼 베어링 영역(4)이 배치/형성된다. 미끄럼 베어링 영역(4)은, 인장 아암(3)의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는/반경 방향의 바깥쪽 플랜지 영역(18)과 함께, 미끄럼 베어링(27)을 형성한다. 플랜지 영역(18)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활주 라이닝(13)을 포함하며, 이 활주 라이닝은 도 3 및 도 5에서 특히 잘 확인된다. 미끄럼 베어링 영역(4)은, 실질적으로 요홈(groove) 형태로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메인 유닛(2)의 베어링 챔버(28)를 통해 형성된다.
메인 유닛(2)의 미끄럼 베어링 영역(4)은 수용 챔버(14)와 연결된다. 인장 아암(3)의 제1 축 방향 측에 인접하여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는 미끄럼 베어링 영역(4)의 제1 지지 영역(19); 및 제1 측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인장 아암(3)의 제2 축 방향 측에 인접하여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는, 커버(21)의 형태인 제2 지지 영역(20);은 함께 베어링 챔버(28)를 형성한다. 커버(21)는 다시 탈착 가능하게 제1 지지 영역(19) 상에 고정된다. 축 방향으로 두 지지 영역들(19, 20) 사이에는, 플랜지 영역(18)이 활주 라이닝(13)과 함께 배치된다. 또한, 인장 아암(3)은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부터 마찬가지로 제1 지지 영역(19)에 의해 에워싸인다. 그에 따라, 메인 유닛(2)은 횡단면으로 관찰할 때 실질적으로 요홈 형태/U자형 미끄럼 베어링 영역(4)을 형성하고, 이 미끄럼 베어링 영역은 반경 방향에서 안쪽을 향해 개방되어 플랜지 영역(18)을 위한 베어링 챔버(28)를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 영역은 자신의 반경 방향의 바깥쪽 영역에서 활주 라이닝(13)과 함께 안쪽으로 돌출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역시 확인되는 것처럼, 반경 방향으로 활주 라이닝(13)/인장 아암(3)의 반경 방향 외면(22)과, 제1 지지 영역(19)/활주 베어링 영역(4) 사이에 반경 방향 간극(9)이 형성된다. 이런 반경 방향 간극(9) 내로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스프링 부재(5)가 인장 아암(3)의 반경 방향/반경인 방향으로 압입/예압되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링 부재(5)는 그 전체로 도 6 내지 도 9와 함께 특히 잘 확인되며, 단독으로 관찰하는 경우에는 도 10에서 잘 확인된다.
제1 스프링 부재(5)는 환형으로 형성되어(도 10) 진자 텐셔너(1)의 주연(circumference)을 따라서/원주방향으로 파형으로 연장된다. 그에 따라, 제1 스프링 부재(5)는 파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제1 스프링 부재(5)의 (변함없는 박판 두께에 근거한) 내경 및 외경은, 진자 텐셔너(1)의 원주방향으로 관찰할 때 파형으로 변동된다(확대되고 다시 감소된다). 이런 제1 스프링 부재(5)를 이용하는 것을 통해, 미끄럼 베어링(27)은 탄성 예압되며, 요컨대 반경 방향으로 탄성 예압된다. 따라서, 제1 스프링 부재(5)는 모든 작동 상태에서 반경 방향의 예압 하에, 다시 말하면 반경 방향 예압/반경 방향 스프링 힘의 인가하에, 반경 방향 간극(9) 내로 삽입/압입된다. 그에 따라, 인장 아암(3)과 메인 유닛(2) 사이의 반경 방향 유격은 제거된다. 인장 아암(3)은 항상 메인 유닛(2)에 상대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다.
또한, 제1 스프링 부재(5)는 회전 방지 부재(11)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부(23)(bulge)를 통해 구현된다. 만곡부(23)는, 미끄럼 베어링 영역(4) 내에, 요컨대 제1 지지 영역(19) 내에 자신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도 9) 공동부(24) 내로 형상 결합식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스프링 부재(5)가 메인 유닛(2)에 대해 회전 방지 방식으로 파지/지지되게 하는 형상 결합식 연결부(12)가 실현된다. 그에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제1 스프링 부재(5)는 자신의 외주면으로 작동 중에 비틀리지 않게 제1 지지 영역(19)의 내주면 상에 안착된다. 이와 반대로, 제1 스프링 부재(5)는 자신의 내주면으로는 하기에서 제1 활주면(7)으로서 지칭되는 활주면으로서 형성된다. 제1 활주면(7)은, 인장 아암(2)/활주 라이닝(13)의 활주 지지(sliding support)의 관점에서 재료 측면에서 그리고 기하학적으로 최적화된 제1 스프링 부재(5)의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활주면(7) 상에서는, 작동 중에, 다시금 도 5에서 예컨대 잘 확인되는 것처럼, 인장 아암(3)이 그를 따라 활주하는 방식으로 (회전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축 방향으로, 제1 지지 영역(19)과 인장 아암(3) 사이에는, 요컨대 인장 아암(3)의 제1 축 방향 측 쪽으로 축 방향 간극(10)이 형성된다. 이런 축 방향 간극(10) 내에도, 스프링 부재, 요컨대 제2 스프링 부재(6)가 삽입된다.
제2 스프링 부재(6)의 구성은 다시금 도 7 및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고 분리되어서는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2 스프링 부재(6)는 중앙 관통구를 구비한 원판형으로/링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제2 스프링 부재(6) 역시도, 제1 스프링 부재(5)처럼, 파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제2 스프링 부재(6)는, 자신의 축 방향 측벽부들(25a, 25b)/단부면들이 원주방향으로 파형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 스프링 부재(5)처럼, 제2 스프링 부재(6)도 금속 소재의 스프링 박판으로 제조되고 주연을 따라 관찰할 때 자신의 박판 두께에서는 동일하다. 제1 축 방향 측으로 배향되는 제1 측벽부(25a)뿐만 아니라 제2 축 방향 측으로 배향되는 제2 측벽부(25b) 역시도 각각 제1 및 제2 활주면(7, 8)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제2 스프링 부재(6)를 다시금 메인 유닛(2)[또는 인장 아암(3)] 상에 회전 방지 방식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다시금, 단지 하나의 측벽부만이, 바람직하게는 인장 아암(3)으로 향해 있는 제2 측벽부(25b)만이 (제2) 활주면(8)으로서 형성된다.
제2 스프링 부재(6)는 축 방향 예압 하에, 다시 말하면 축 방향 예압/축 방향 스프링 힘의 인가 하에 축 방향 간극(10) 내로 삽입/압입된다. 제2 스프링 부재(6)는, 인장 아암(3)이 틈새 없이 미끄럼 베어링 영역(4)에 상대적으로 축 방향으로 수용될 정도의 스프링 힘을 미끄럼 베어링 영역(4) 및 인장 아암(3)으로 가한다. 이런 구성을 통해, 축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으로도 구현되는 인장 아암(3)의 틈새 없는 수용이 실현된다.
달리 표현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베어링[미끄럼 베어링(27)]에서 반경 방향 유격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 유격이 제공되며, 이런 장착 공간 내로는 소정의 예압이 가해지는 원형의 파형 스프링[제1 스프링 부재(5)]이 삽입된다. 그에 따라, 텐셔너(1)가 베어링(27)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없는 점이 보장된다. 동일한 원리에 따라서, 축 방향으로 유격을 제거하는 축 방향 파형 스프링[제2 스프링 부재(6)] 역시도 적용된다. 상기 스프링(6) 역시도 소정의 예압이 가해진다. 스프링 강성은, 그 고유 주파수가 진자 텐셔너(1)의 작동 주파수를 상회하고 요동 과정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또한, 스프링들(5, 6)은, 각각의 선택된 예압에 따라서, 진자 감쇠를 목표한 바대로 설정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한다.
1: 진자 텐셔너
2: 메인 유닛
3: 인장 아암
4: 미끄럼 베어링 영역
5: 제1 스프링 부재
6: 제2 스프링 부재
7: 제1 활주면
8: 제2 활주면
9: 반경 방향 간극
10: 축 방향 간극
11: 회전 방지 부재
12: 형상 결합식 연결부
13: 활주 라이닝
14: 수용 챔버
15: 아크 스프링
16: 개구부
17: 인장 롤러
18: 플랜지 영역
19: 제1 지지 영역
20: 제2 지지 영역
21: 커버
22: 외면
23: 만곡부
24: 공동부
25a: 제1 측벽부
25b: 제2 측벽부
26: 회전축
27: 미끄럼 베어링
28: 베어링 챔버

Claims (10)

  1. 메인 유닛(2)과; 메인 유닛과 분리되고 환형으로 형성된 인장 아암(3)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를 위한 진자 텐셔너(1)로서, 인장 아암(3)은 메인 유닛(2)에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메인 유닛(2)의 미끄럼 베어링 영역(4) 내에 활주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상기 진자 텐셔너에 있어서,
    메인 유닛(2)의 미끄럼 베어링 영역(4)과 인장 아암(3) 사이에는, 메인 유닛(2)과 인장 아암(3)을 서로 떠받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5, 6)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용 진자 텐셔너(1).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5, 6)는 활주면(7, 8)으로서 구성되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용 진자 텐셔너(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5, 6)는 메인 유닛(2)과 인장 아암(3)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축 방향으로 스프링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용 진자 텐셔너(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5, 6)는 미끄럼 베어링 영역(4)과 인장 아암(3) 사이의 반경 방향 간극(9) 내에 그리고/또는 축 방향 간극(1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용 진자 텐셔너(1).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스프링 부재(5)는 미끄럼 베어링 영역(4)과 인장 아암(3) 사이의 반경 방향 간극(9) 내에 배치되고, 제2 스프링 부재(6)는 미끄럼 베어링 영역(4)과 인장 아암(3) 사이의 축 방향 간극(1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용 진자 텐셔너(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5, 6)는 파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용 진자 텐셔너(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5, 6)는 환형으로 또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용 진자 텐셔너(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5, 6)는 회전 방지 부재(11)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 영역(4) 또는 인장 아암(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용 진자 텐셔너(1).
  9.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5, 6)는 형상 결합식 연결부(12)를 통해 미끄럼 베어링 영역(4) 또는 인장 아암(3) 상에 회전 방지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용 진자 텐셔너(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5, 6)는 인장 아암(3)의 활주 라이닝(13) 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속 플렉서블 드라이브용 진자 텐셔너(1).
KR1020187013009A 2015-11-11 2016-11-08 디커플링 텐셔너 상의 틈새 없는 자동 조심 베어링 KR201800793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22203.9 2015-11-11
DE102015222203.9A DE102015222203B4 (de) 2015-11-11 2015-11-11 Spielfreie Pendellagerung am Entkopplungsspanner
PCT/DE2016/200501 WO2017080551A1 (de) 2015-11-11 2016-11-08 Spielfreie pendellagerung am entkopplungsspan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331A true KR20180079331A (ko) 2018-07-10

Family

ID=5747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009A KR20180079331A (ko) 2015-11-11 2016-11-08 디커플링 텐셔너 상의 틈새 없는 자동 조심 베어링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88106B2 (ko)
EP (1) EP3374666B1 (ko)
KR (1) KR20180079331A (ko)
CN (1) CN108350999B (ko)
DE (1) DE102015222203B4 (ko)
ES (1) ES2811333T3 (ko)
PL (1) PL3374666T3 (ko)
WO (1) WO2017080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686A (ko) 2012-12-26 2015-09-02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궤도 장력기 조립체
US10520066B2 (en) * 2014-06-26 2019-12-31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Orbital tensioner assembly
DE102016217933B4 (de) * 2016-09-20 2020-06-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IT201700053588A1 (it) * 2017-05-17 2018-11-17 Dayco Europe Srl Tenditore per una trasmissione accessori di un autoveicolo
DE102017116000A1 (de) 2017-07-17 2019-01-17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KR102506926B1 (ko) * 2017-12-18 2023-03-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듀얼 텐셔너 및 이를 적용한 엔진
US10876606B2 (en) * 2018-03-13 2020-12-29 Gates Corporation Orbital tensioner
CN109838520B (zh) * 2018-11-12 2020-06-30 宁波丰茂远东橡胶有限公司 一种双液压自动张紧器
CN109340507A (zh) * 2018-12-10 2019-02-15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振动减小的飞轮壳
US11255414B2 (en) * 2019-05-15 2022-02-22 Gates Corporation Tension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5651B1 (it) * 1994-10-28 1997-10-17 Dayco Pti Spa Miglioramenti nei tenditori per cinghie di trasmissione
DE19926615A1 (de) * 1999-06-11 2000-12-14 Schaeffler Waelzlager Ohg Spanneinrichtung für Zugmittel wie Riemen oder Ketten
US6932731B2 (en) * 2001-07-05 2005-08-23 Ina-Schaeffler Kg Tensioner
FR2832201B1 (fr) * 2001-11-13 2004-03-19 Skf Ab Dispositif tendeur instrumente et procede de controle associe
US7637829B2 (en) * 2004-09-29 2009-12-29 The Gates Corporation Eccentric pivot arm tensioner
DE102005004313A1 (de) * 2005-01-31 2006-09-21 Schaeffler K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in einem Riementrieb drehbar gelagerten Aggregats
JP4772865B2 (ja) * 2005-04-20 2011-09-14 ダイコ ユーロペ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コン ユニコ ソシオ オイル内で作動するベルトドライブ用のテンショナ
DE202007005929U1 (de) * 2006-12-21 2007-12-13 Schaeffler Kg Verriegelung einer Exzenter-Spannvorrichtung
EP2217832B1 (en) * 2007-11-06 2013-10-09 DAYCO EUROPE S.r.l. Asymmetric damping tensioner for a belt drive
DE102008025552B4 (de) * 2008-05-28 2020-06-10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für Starter-Generator-Anwendung
US7951030B2 (en) * 2008-12-04 2011-05-31 The Gates Corporation Tensioner
DE102009020589A1 (de) 2009-05-09 2010-11-1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iemenspanneinheit
US8613680B2 (en) * 2010-04-20 2013-12-24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with spring damper
DE102011082764A1 (de) * 2010-10-13 2012-04-1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eines Verbrennungsmotors
DE102011082330B4 (de) * 2011-08-12 2014-08-0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DE102011053869B4 (de) * 2011-09-22 2020-03-26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Aggregatanordnung mit Riemenspannvorrichtung
DE102011084680B3 (de) 2011-10-18 2012-11-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DE102011088652A1 (de) * 2011-12-15 2013-06-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DE102012209028A1 (de) 2012-05-30 2013-1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US8926462B2 (en) * 2012-10-24 2015-01-06 The Gates Corporation Tensioner
KR20150100686A (ko) * 2012-12-26 2015-09-02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궤도 장력기 조립체
DE102013002993A1 (de) 2013-02-22 2014-08-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tartergenerator - Riemenspanner
JP2015025538A (ja) * 2013-07-29 2015-02-0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のベルトテンショナ
US10520066B2 (en) * 2014-06-26 2019-12-31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Orbital tensioner assembly
US9976634B2 (en) * 2016-07-06 2018-05-22 Gates Corporation Rotary tens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20765A1 (en) 2018-11-08
DE102015222203A1 (de) 2017-05-11
WO2017080551A1 (de) 2017-05-18
EP3374666B1 (de) 2020-06-24
EP3374666A1 (de) 2018-09-19
US10788106B2 (en) 2020-09-29
ES2811333T3 (es) 2021-03-11
DE102015222203B4 (de) 2020-03-12
CN108350999A (zh) 2018-07-31
CN108350999B (zh) 2021-08-24
PL3374666T3 (pl)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9331A (ko) 디커플링 텐셔너 상의 틈새 없는 자동 조심 베어링
KR102469231B1 (ko) 벨트 장력부여 장치
US10920860B2 (en) Belt tensioning device
JP3657995B2 (ja) コーン型の滑り軸受を備える牽引手段用の緊張装置
JP5559930B2 (ja) アイソレータ
US9097314B2 (en) Tensioning device for a belt drive and electric machine with such a tensioning device
US10641364B2 (en) Muffled self-aligning bearing in decoupling belt tensioning units
US20060079360A1 (en) Belt tensioning device with high damping rate
CN109690132B (zh) 皮带张紧器
KR20140045600A (ko) 무단 드라이브용 인장 장치
JP5291550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4870978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6162162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CA2603248A1 (fr) Dispositif de galet tendeur
EP3513097B1 (en) V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JP6254788B2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FR2746467A1 (fr) Embrayage a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s automobiles
JP4232620B2 (ja) アイソレーションプーリ
WO2015125691A1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200224072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7597400B2 (en) Hinge mounting with wedge clearance compensation
JP6584303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2004132390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KR102286930B1 (ko) 벨트 풀리 댐퍼
JP2013015166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