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571A - 커피 고수율 거품발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고수율 거품발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571A
KR20210054571A KR1020217011079A KR20217011079A KR20210054571A KR 20210054571 A KR20210054571 A KR 20210054571A KR 1020217011079 A KR1020217011079 A KR 1020217011079A KR 20217011079 A KR20217011079 A KR 20217011079A KR 20210054571 A KR20210054571 A KR 20210054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pressure
back pressure
cavity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펑 자오
Original Assignee
메이크 튜브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크 튜브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메이크 튜브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10054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2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ai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steam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 고수율 거품발생 방법 및 장치로서, 장치는 압력 제어 기구(2), 가스 압력원(11), 물 저장 디바이스(3) 및 배압 공진 기구(4)를 포함하며, 배압 공진 기구(4)의 하부 부분은 커피 출구(5)이다. 버튼(21)이 눌러질 때, 휴대용 커피 머신에서 6 내지 8 바의 수압을 갖는 물 또는 가정용 또는 식탁용 머신에서 9 내지 11 바의 수압을 갖는 물은 커피 배치 공동(451) 내로 진입되고 용해되며 커피를 추출한다. 공진 니들(42) 및 콜로이드 링(43)은 공진 공동(425)을 구성하고; 눌러진 커피 슬러리가 공진 공동(425)을 횡단할 때, 눌러진 커피 슬러리 및 공진 공동(425)의 특수 구조로 인해, 커피 슬러리는 고주파수 진동을 겪고, 그 다음 거품 내로 완전히 주입되고, 커피 출구(5) 밖으로 흐른다. 장치 구조는 작은 공간을 점유하고 임의의 모델의 대형 및 소형 커피 머신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한편, 제조된 커피 내의 커피 거품은 70%에 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고수율 거품발생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커피 메이커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서, 원두 커피가 충분한 거품을 발생시키게 하기 위해, 복수의 혁신이 수행되고, 복수의 특허 기술이 발생되며, 이들은 이하에 예들로서 열거된다.
발명의 명칭이 "coffee foaming device"인 중국 실용신안의 특허 제ZL 200620008268.0호에서, 그것의 출구 밸브 코어는 압력을 인가하여 커피를 방출하기 위한 종래의 구조에 속하며, 여기서 거품발생 효과가 발생되지만, 거품발생 효율은 높지 않다.
더욱이, 발명의 명칭이 "coffee foaming device of coffee maker"인 중국 실용신안의 특허 제200920193566.5호는 급수 출구 노즐이 필터 스크린 위로 커피 슬러리를 분무하고, 커피 슬러리가 공기와 충분히 융합되어 거품을 일으킨다는 원리에 기초하며, 여기서 거품발생 효과가 달성되지만, 거품발생 효율은 여전히 높지 않다.
더욱이, 발명의 명칭이 "coffee foaming device"인 중국 실용신안의 특허 제201120033697.4호는 종래의 급수 출구 노즐이 용기의 벽 위로 커피 슬러리를 분무하여 거품을 일으킨다는 원리에 여전히 기초하며, 여기서 거품발생 효과가 달성되지만, 거품발생 효율응 여전히 높지 않다.
상기 언급된 특허 기술들 전부가 고온 스팀 가압 주입에 의한 커피 거품의 발생에 속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악기의 스트링 또는 리드가 진동하여 소리를 생성한다는 원리, 및 임의의 공동이 그 자체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한편 임의의 니들 형상 객체 또는 다이어프램 객체가 또한 그 자체의 공진 주파수를 가져서, 커피의 진동 및 거품발생을 테스트한다는 원리를 사용하는 것은 시도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에서, 커피 거품발생이 고압 스팀 분무 및 스퍼터링 원리를 채택함으로써 주로 수행되고, 거품발생 효과가 뒤떨어지는 한편, 특정 압력을 갖는 압력 전력원이 외부로 인가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특정 공진 요소 및 특정 구성이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한 시도들로 설계되어, 커피 슬러리가 그 안에서의 작용 하에 진동으로 원자화되고, 거품발생 속도가 두배가 된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적 해결법들을 채택함으로써 실현된다.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은,
제1 단계에서, 압력 제어 기구의 입구에 있는 가스 압력원과 연결되고 압력 제어 기구의 출구에 있는 물 저장소와 연결되는 압력 제어 기구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브루잉 물은 물 저장소 내에 포함되고, 커피 배치 공동은 물 저장소 아래에 배열되고, 커피 백은 커피 배치 공동 내에 배치되고, 배압 공진 기구는 커피 배치 공동 아래에 배열되고, 커피 출구는 배압 공진 기구의 하부 부분에 배열되는 단계;
그 다음, 제2 단계에서, 버튼을 누르는 단계로서, 압력 제어 기구는 가스 압력원의 고압 가스를 물 저장소에 진입하는 브루잉 압력을 갖는 가스로 감압하고, 브루잉 압력을 갖는 물은 이때 커피 배치 공동에 진입하여 커피와 혼합되고 추출되는 단계;
그 다음, 제3 단계에서, 커피 슬러리가 배압 공진 기구에 진입하는 단계로서, 첫번째 도달 커피 슬러리가 안내 판의 안내 구멍으로부터 아래로 흐르고 환상 공간에 진입하며, 배압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하단 표면이 콜로이드 링에 의해 눌러질 시에, 하나의 공진 니들은 카트리지 하단 표면 상에 배열 및 배치되고, 공진 홈은 공진 니들과 콜로이드 링의 접촉 위치에 배열되고, 공진 홈은 공진 니들 상에 버클링되어 공진 공동을 구성하고,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가 공진 공동을 통과할 때, 브루잉 압력 및 공진 공동의 특수 구조로 인해,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는 고주파수 진동 후에 충분히 거품발생되고 커피 출구 밖으로 흐르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단계에서, 안내 판이 배압 카트리지 내로 내장될 때, 안내 판 주변은 배압 카트리지의 상부 내부 원형 벽과 일치된다.
제3 단계에서, 하부 원형 돌기는 안내 판의 하부 부분에 배열되고 콜로이드 링의 중심 원형 구멍을 클램핑하고 콜로이드 링을 위치시키는 데 사용되며, 배압 카트리지의 하부 내부 원형 벽 및 콜로이드 링의 콜로이드 링 외부 에지는 환상 공간을 함께 구성한다.
제2 단계에서, 브루잉 압력은 휴대용 커피 메이커에서 6 내지 8 바이고 가정용 또는 탁상용 머신에서 9 내지 11 바이다.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장치가 설계되고 제조되며, 장치는 압력 제어 기구의 입구에 있는 가스 압력원과 연결되고 압력 제어 기구의 출구에 있는 물 저장소와 연결되는 압력 제어 기구를 포함하고, 커피 배치 공동은 물 저장소 아래에 배열되고, 배압 공진 기구는 커피 배치 공동 아래에 배열되고, 커피 출구는 배압 공진 기구의 하부 부분에 배열된다.
압력 제어 기구에는 버튼이 제공되며, 버튼이 눌러질 때, 압력 제어 기구는 고압 가스를 물 저장소에 진입하는 브루잉 압력을 갖는 가스로 감압하며, 브루잉 압력을 갖는 물은 이때 커피 배치 공동에 진입하여 커피와 혼합되고 추출되며, 브루잉 압력은 휴대용 커피 메이커에서 6 내지 8 바이고 가정용 또는 탁상용 머신에서 9 내지 11 바이다.
배압 공진 기구는 안내 구멍들이 안내 판 상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상태에서 안내 판을 포함하며, 안내 구멍들은 환상 공간과 연통되고,
배압 공진 기구는 배압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며, 배압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하단 표면은 콜로이드 링에 의해 눌러지고;
하나의 공진 니들은 카트리지 하단 표면 상에 배열되고, 공진 홈은 공진 니들과 콜로이드 링의 접촉 위치에 배열되고, 공진 홈은 공진 니들 상에 버클링되며, 공진 공동은 공진 홈과 공진 니들 사이에 구성되고,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가 공진 공동을 통과할 때, 브루잉 압력 및 공진 공동의 특수 구조로 인해,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는 고주파수 진동 후에 충분히 거품발생되고 커피 출구 밖으로 흐른다.
안내 판이 배압 카트리지 내로 내장될 때, 안내 판 주변은 배압 카트리지의 상부 내부 원형 벽과 일치되고; 하부 원형 돌기는 안내 판의 하부 부분에 배열되고 콜로이드 링의 중심 원형 구멍을 클램핑하고 콜로이드 링을 위치시키는 데 사용되며,
배압 카트리지의 하부 내부 원형 벽 및 콜로이드 링의 콜로이드 링 외부 에지는 환상 공간을 함께 구성한다.
물 저장소의 하부 부분에는 배압 공진 기구의 배압 쉘 상의 배압 잠금 캐치와 버클링되는 물 저장소 잠금 캐치가 제공되며, 커피 백은 커피 배치 공동 상에 잠궈지고;
커피 배치 공동은 배치 공동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고, 배치 공동 트레이 아래의 커피 슬러리 공간은 커피 슬러리 관통 구멍으로부터 아래로 흐르는 커피 슬러리를 저장한다.
출구 필터 스크린 및 방말 포트는 커피 출구에 배열되어 슬러리 출구로부터 밖으로 흐르는 커피 슬러리가 커피 컵 내로 순차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고, 압력 제어 기구 커버 판은 압력 제어 기구의 상단 상에 배열되고;
배압 카트리지 밀봉 링은 배압 카트리지와 배압 쉘 사이에 배열되고;
안내 판 필터 스크린은 안내 판 상에 배열된다.
가스 압력원은 이산화탄소 및 고압 스팀을 포함한다. 시장에서 통상 사용되는 음료수를 가압하는 데 사용되는 워터 펌프가 채택되면, 가스 압력원, 압력 제어 기구 및 물 저장소가 결합되며, 이는 또한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장치에 적절하다. 구조는 이러한 지점에서 가스 압력원, 압력 제어 기구, 및 물 저장소가 결합되고 워터 펌프에 의해 가압되며, 펌핑된 물이 커피 배치 공동에 진입한다는 것이다.
포켓 크기 이산화탄소 가스 탱크는 가장 작은 체적을 갖고, 휴대용 커피 메이커에 적절하고, 워터 펌프에 비해 어떠한 잡음 발생도 갖지 않는다.
게다가, 이산화탄소의 사용은 커피 콩들이 로스팅된 후에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가스 내용물로부터 커피 맛이 발생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원두 커피의 수온이 요구되지 않고, 물론, 고온수에 의해 브루잉되는 커피의 맛이 더 양호하다는 장점들을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구조는 점유된 공간에서 작고 임의의 크기의 커피 메이커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 및 구조에 의해 제조되는 커피는 커피 거품의 70 퍼센트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을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들 중 하나의 전체 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들 중 하나의 전체 분해 해체의 일 방향으로 관찰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들 중 하나의 전체 분해 해체의 다른 방향으로부터 관찰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커피가 브루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의 개략도이며, 여기서 거품은 70% 초과를 차지하고, 커피 슬러리(91)는 작은 부분만을 차지하는 컵(9)의 하단에 있고, 거품(92)은 큰 부분을 차지하는 컵의 상부 부분에서 부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의 압력 카트리지(40), 콜로이드 링(43), 안내 판(44) 및 공진 니들(42)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의 조립된 콜로이드 링(43), 안내 판(44), 공진 니들(42), 배압 쉘(45), 배치 공동 트레이(458), 커피 배치 공동(451), 및 커피 슬러리 공간(454)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의 조립된 콜로이드 링(43), 안내 판(44), 공진 니들(42), 배압 쉘(45), 배치 공동 트레이(458), 커피 배치 공동(451), 및 커피 슬러리 공간(454)의 개략 단면도이며, 공진 공동(425)을 특히 더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의 커피 출구(5)의 제2 실시예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이제 특정 구현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제1 단계에서, 처음에 압력 제어 기구(2)의 입구에 있는 가스 압력원(11)과 연결되고 압력 제어 기구(2)의 출구에 있는 물 저장소(3)와 연결되는 압력 제어 기구(2)가 제공되고, 브루잉 물은 물 저장소(3) 내에 포함되고, 커피 배치 공동(451)은 물 저장소(3) 아래에 배열되고, 커피 백은 커피 배치 공동(451) 내에 배치되고, 배압 공진 기구(4)는 커피 배치 공동(451) 아래에 배열되고, 커피 출구(5)는 배압 공진 기구(4)의 하부 부분에 배열된다.
그 다음, 제2 단계에서, 버튼(21)이 눌러지고, 압력 제어 기구(2)는 가스 압력원(11)의 고압 가스를 물 저장소(3)에 진입하는 브루잉 압력을 갖는 가스로 감압하고, 브루잉 압력을 갖는 물은 이때 커피 배치 공동(451)에 진입하여 커피와 혼합되고 추출된다.
그 다음, 제3 단계에서, 커피 슬러리는 배압 공진 기구(4)에 진입하고, 첫번째 도달 커피 슬러리는 안내 판(44)의 안내 구멍(443)으로부터 아래로 흐르고 환상 공간(444)에 진입하며, 배압 카트리지(40)의 카트리지 하단 표면(401)이 콜로이드 링(43)에 의해 눌러질 시에, 하나의 공진 니들(42)은 카트리지 하단 표면(401) 상에 배열 및 배치되고, 공진 홈(431)은 공진 니들(42)과 콜로이드 링(43)의 접촉 위치에 배열되고, 공진 홈(431)은 공진 니들(42) 상에 버클링되어 공진 공동(425)을 구성하고,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가 공진 공동(425)을 통과할 때, 브루잉 압력 및 공진 공동(425)의 특수 구조로 인해,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는 고주파수 진동 후에 충분히 거품발생되고 커피 출구(5) 밖으로 흐른다.
제3 단계에서, 안내 판(44)이 배압 카트리지(40) 내로 내장될 때, 안내 판 주변(442)은 배압 카트리지(40)의 상부 내부 원형 벽(403)과 일치된다.
제3 단계에서, 하부 원형 돌기(441)는 안내 판(44)의 하부 부분에 배열되고 콜로이드 링(43)의 중심 원형 구멍을 클램핑하고 콜로이드 링(43)을 위치시키는 데 사용되고, 배압 카트리지(40)의 하부 내부 원형 벽(402) 및 콜로이드 링(43)의 콜로이드 링 외부 에지(432)는 환상 공간(444)을 함께 구성한다.
제2 단계에서, 브루잉 압력은 휴대용 커피 메이커에서 6 내지 8 바이고 가정용 또는 탁상용 머신에서 9 내지 11 바이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 방법은 가스 압력원(11), 압력 제어 기구(2) 및 물 저장소(3)가 결합되고 워터 펌프에 의해 가압되며, 가압된 물이 커피 배치 공동(451)에 진입한다는 것이다.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장치가 설계되고 제조되며, 장치는 압력 제어 기구(2)의 입구에 있는 가스 압력원(11)과 연결되고 압력 제어 기구(2)의 출구에 있는 물 저장소(3)와 연결되는 압력 제어 기구(2)를 포함하고, 커피 배치 공동(451)은 물 저장소(3) 아래에 배열되고, 배압 공진 기구(4)는 커피 배치 공동(451) 아래에 배열되고, 커피 출구(5)는 배압 공진 기구(4)의 하부 부분에 배열된다.
압력 제어 기구(2)에는 버튼(21)이 제공되며, 버튼(21)이 눌러질 때, 압력 제어 기구(2)는 고압 가스를 물 저장소(3)에 진입하는 브루잉 압력을 갖는 가스로 감압하고, 브루잉 압력을 갖는 물은 이때 커피 배치 공동(451)에 진입하여 커피와 혼합되고 추출되며, 여기서 브루잉 압력은 휴대용 커피 메이커에서 6 내지 8 바이고 가정용 또는 탁상용 머신에서 9 내지 11 바이다.
배압 공진 기구(4)는 안내 구멍들(443)이 안내 판(44) 상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상태에서 안내 판(44)을 포함하며, 안내 구멍들(443)은 환상 공간(444)과 연통된다.
배압 공진 기구(4)는 배압 카트리지(40)를 더 포함하며, 배압 카트리지(40)의 카트리지 하단 표면(401)은 콜로이드 링(43)에 의해 눌러진다.
하나의 공진 니들(42)은 카트리지 하단 표면(401) 상에 배열되고, 공진 홈(431)은 공진 니들(42)과 콜로이드 링(43)의 접촉 위치에 배열되고, 공진 홈(431)은 공진 니들(42) 상에 버클링되며, 공진 공동(425)은 공진 홈(431)과 공진 니들(42) 사이에 구성되고,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가 공진 공동(425)을 통과할 때, 브루잉 압력 및 공진 공동(425)의 특수 구조로 인해,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는 고주파수 진동 후에 충분히 거품발생되고 커피 출구(5) 밖으로 흐른다.
안내 판(44)이 배압 카트리지(40) 내로 내장될 때, 안내 판 주변(442)은 배압 카트리지(40)의 상부 내부 원형 벽(403)과 일치되고; 하부 원형 돌기(441)는 안내 판(44)의 하부 부분에 배열되고 콜로이드 링(43)의 중심 원형 구멍을 클램핑하고 콜로이드 링(43)을 위치시키는 데 사용된다.
배압 카트리지(40)의 하부 내부 원형 벽(402) 및 콜로이드 링(43)의 콜로이드 링 외부 에지(432)는 환상 공간(444)을 함께 구성한다.
물 저장소(3)의 하부 부분에는 배압 공진 기구(4)의 배압 쉘(45) 상의 배압 잠금 캐치(453)와 버클링되는 물 저장소 잠금 캐치(35)가 제공되고, 커피 백(8)은 커피 배치 공동(451) 상에 잠궈진다.
커피 배치 공동(451)은 배치 공동 트레이(458)에 의해 지지되고, 배치 공동 트레이(458) 아래의 커피 슬러리 공간(454)은 커피 슬러리 관통 구멍(452)으로부터 아래로 흐르는 커피 슬러리를 저장한다.
출구 필터 스크린(51) 및 방말 포트(52)는 커피 출구(5)에 배열되어 슬러리 출구(407)로부터 밖으로 흐르는 커피 슬러리가 커피 컵 내로 순차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고, 압력 제어 기구 커버 판(21)은 압력 제어 기구(2)의 상단 상에 배열된다.
배압 카트리지 밀봉 링(491)은 배압 카트리지(40)와 배압 쉘(45) 사이에 배열된다.
안내 판 필터 스크린(492)은 안내 판(44)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은 가스 압력원(11), 압력 제어 기구(2), 및 물 저장소(3)가 결합되고 워터 펌프에 의해 가압되며, 펌핑된 물이 커피 배치 공동(451)에 진입한다는 것이다.
가스 압력원은 이산화탄소 및 고압 스팀을 포함한다. 시장에서 통상 사용되는 음료수를 가압하는 데 사용되는 워터 펌프가 채택되면, 가스 압력원, 압력 제어 기구 및 물 저장소가 결합되며, 이는 또한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장치에 적절하다. 구조는 이 지점에서 가스 압력원, 압력 제어 기구, 및 물 저장소가 결합되고 워터 펌프에 의해 가압되며, 펌핑된 물이 커피 배치 공동에 진입한다는 것이다.
포켓 크기 이산화탄소 가스 탱크는 가장 작은 체적을 갖고, 휴대용 커피 메이커에 적절하고, 워터 펌프에 비해 어떠한 잡음 발생도 갖지 않는다.
게다가, 이산화탄소의 사용은 커피 콩들이 로스팅된 후에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가스 내용물로부터 커피 맛이 발생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고수율 거품발생이 생성될 수 있고, 상이한 출구 필터 스크린들에서, 상이한 맛들을 갖는 거품발생된 커피가 획득될 수 있다.
도 7에서, 커피 백(8)은 커피 배치 공동(451) 위에 배치되고 커피 슬러리는 공진 니들(42)과 콜로이드 링(43) 사이의 공진 공동(425)을 통과함에 따라 활발하게 진동되어, 커피 슬러리를 원자화된 기포 내로 공진시켜, 다량의 거품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의 100번의 테스트를 통해, 감압 후에 압력 제어 기구(2)의 이산화탄소 가스 압력이 약 7이어서 최적인 것으로 결정되고; 공진 니들(42)과 콜로이드 링(43) 사이의 공진 공동(425)의 최적 기하학적 구조가 결정되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은 출원인이 예상하는 것을 넘는 "양"만큼 커피 거품발생 속도가 변하는 예상 밖의 기술적 효과를 달성한다.
도 8에서, 커피 출구(5)에 제공되는 제2 출구 필터 스크린(54)은 포켓 형상을 갖고, 제2 방말 포트(53)는 또한 포켓 형상을 갖는다.
도 8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더하여, 방말 포트들의 형태들뿐만 아니라, 다수의 상이한 출구 필터 스크린은 커피 출구(5)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총망라하지 않을 것이다.
상술한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일 뿐이고, 출원의 상세한 설명 및 범위 내의 변경들은 본 발명의 교시들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떠오를 것이고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0)

  1.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단계에서, 압력 제어 기구(2)의 입구에 있는 가스 압력원(11)과 연결되고 상기 압력 제어 기구(2)의 출구에 있는 물 저장소(3)와 연결되는 압력 제어 기구(2)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브루잉 물은 상기 물 저장소(3) 내에 포함되고, 커피 배치 공동(451)은 상기 물 저장소(3) 아래에 배열되고, 커피 백은 상기 커피 배치 공동(451) 내에 배치되고, 배압 공진 기구(4)는 상기 커피 배치 공동(451) 아래에 배열되고, 커피 출구(5)는 상기 배압 공진 기구(4)의 하부 부분에 배열되는 단계;
    그 다음, 제2 단계에서, 버튼(21)을 누르는 단계로서, 상기 압력 제어 기구(2)는 상기 가스 압력원(11)의 고압 가스를 상기 물 저장소(3)에 진입하는 브루잉 압력을 갖는 가스로 감압하고, 상기 브루잉 압력을 갖는 물은 이때 상기 커피 배치 공동(451)에 진입하여 상기 커피와 혼합되고 추출되는 단계; 및
    그 다음, 제3 단계에서, 커피 슬러리가 상기 배압 공진 기구(4)에 진입하는 단계로서, 첫번째 도달 커피 슬러리가 안내 판(44)의 안내 구멍(443)으로부터 아래로 흐르고 환상 공간(444)에 진입하며, 배압 카트리지(40)의 카트리지 하단 표면(401)이 콜로이드 링(43)에 의해 눌러질 시에, 하나의 공진 니들(42)은 상기 카트리지 하단 표면(401) 상에 배열 및 배치되고, 공진 홈(431)은 상기 공진 니들(42)과 상기 콜로이드 링(43)의 접촉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공진 홈(431)은 상기 공진 니들(42) 상에 버클링되어 공진 공동(425)을 구성하고, 상기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가 상기 공진 공동(425)을 통과할 때, 상기 브루잉 압력 및 상기 공진 공동(425)의 특수 구조로 인해, 상기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는 고주파수 진동 후에 충분히 거품발생되고 상기 커피 출구(5) 밖으로 흐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안내 판(44)이 상기 배압 카트리지(40) 내로 내장될 때, 안내 판 주변(442)은 상기 배압 카트리지(40)의 상부 내부 원형 벽(403)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하부 원형 돌기(441)는 상기 안내 판(44)의 하부 부분에 배열되고 상기 콜로이드 링(43)의 중심 원형 구멍을 클램핑하고 상기 콜로이드 링(43)을 위치시키는 데 사용되며, 상기 배압 카트리지(40)의 하부 내부 원형 벽(402) 및 상기 콜로이드 링(43)의 콜로이드 링 외부 에지(432)는 환상 공간(444)을 함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브루잉 압력은 휴대용 커피 메이커에서 6 내지 8 바이고 가정용 또는 탁상용 머신에서 9 내지 11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커피의 고수율 거품발생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압력 제어 기구(2)의 입구에 있는 가스 압력원(11)과 연결되고 압력 제어 기구(2)의 출구에 있는 물 저장소(3)와 연결되는 압력 제어 기구(2)를 포함하고, 커피 배치 공동(451)은 상기 물 저장소(3) 아래에 배열되고, 배압 공진 기구(4)는 상기 커피 배치 공동(451) 아래에 배열되고, 커피 출구(5)는 상기 배압 공진 기구(4)의 하부 부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 기구(2)에는 버튼(21)이 제공되며, 상기 버튼(21)이 눌러질 때, 상기 압력 제어 기구(2)는 고압 가스를 상기 물 저장소(3)에 진입하는 브루잉 압력을 갖는 가스로 감압하고, 상기 브루잉 압력을 갖는 물은 이때 상기 커피 배치 공동(451)에 진입하여 상기 커피와 혼합되고 추출되며, 상기 브루잉 압력은 휴대용 커피 메이커에서 6 내지 8 바이고 가정용 또는 탁상용 머신에서 9 내지 11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 공진 기구(4)는 안내 구멍들(443)이 안내 판(44) 상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상태에서 안내 판(44)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구멍들(443)은 환상 공간(444)과 연통되고,
    상기 배압 공진 기구(4)는 상기 배압 카트리지(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압 카트리지(40)의 카트리지 하단 표면(401)은 콜로이드 링(43)에 의해 눌러지고;
    하나의 공진 니들(42)은 상기 카트리지 하단 표면(401) 상에 배열되고, 공진 홈(431)은 상기 공진 니들(42)과 상기 콜로이드 링(43)의 접촉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공진 홈(431)은 상기 공진 니들(42) 상에 버클링되며, 공진 공동(425)은 상기 공진 홈(431과 공진 니들(42)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가 상기 공진 공동(425)을 통과할 때, 상기 브루잉 압력 및 상기 공진 공동(425)의 특수 구조로 인해, 상기 브루잉 압력을 갖는 커피 슬러리는 고주파수 진동 후에 충분히 거품발생되고 상기 커피 출구(5) 밖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판(44)이 상기 배압 카트리지(40) 내로 내장될 때, 안내 판 주변(442)은 상기 배압 카트리지(40)의 상부 내부 원형 벽(403)과 일치되고; 하부 원형 돌기(441)는 상기 안내 판(44)의 하부 부분에 배열되고 상기 콜로이드 링(43)의 중심 원형 구멍을 클램핑하고 상기 콜로이드 링(43)을 위치시키는 데 사용되며, 상기 배압 카트리지(40)의 하부 내부 원형 벽(402) 및 상기 콜로이드 링(43)의 콜로이드 링 외부 에지(432)는 환상 공간(444)을 함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소(3)의 하부 부분에는 상기 배압 공진 기구(4)의 배압 쉘(45) 상의 배압 잠금 캐치(453)와 버클링되는 물 저장소 잠금 캐치(35)가 제공되며, 커피 백(8)은 상기 커피 배치 공동(451) 상에 잠궈지고;
    상기 커피 배치 공동(451)은 배치 공동 트레이(458)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배치 공동 트레이(458) 아래의 커피 슬러리 공간(454)은 커피 슬러리 관통 구멍(452)으로부터 아래로 흐르는 커피 슬러리를 저장하며, 출구 필터 스크린(51) 및 방말 포트(52)는 상기 커피 출구(5)에 배열되어 슬러리 출구(407)로부터 밖으로 흐르는 커피 슬러리가 커피 컵 내로 순차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고, 압력 제어 기구 커버 판(21)은 상기 압력 제어 기구(2)의 상단 상에 배열되고;
    배압 카트리지 밀봉 링(491)은 상기 배압 카트리지(40)와 상기 배압 쉘(45) 사이에 배열되고;
    안내 판 필터 스크린(492)은 상기 안내 판(44)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압력원(11), 상기 압력 제어 기구(2), 및 상기 물 저장소(3)는 결합되고 워터 펌프에 의해 가압되며, 펌핑된 물은 상기 커피 배치 공동(451)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17011079A 2018-09-17 2019-08-23 커피 고수율 거품발생 방법 및 장치 KR202100545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080180.3A CN108852004B (zh) 2018-09-17 2018-09-17 一种咖啡高倍发泡的方法和装置
CN201811080180.3 2018-09-17
PCT/CN2019/102105 WO2020057320A1 (zh) 2018-09-17 2019-08-23 一种咖啡高倍发泡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571A true KR20210054571A (ko) 2021-05-13

Family

ID=6432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079A KR20210054571A (ko) 2018-09-17 2019-08-23 커피 고수율 거품발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307554A1 (ko)
EP (1) EP3854274B1 (ko)
JP (2) JP7398130B2 (ko)
KR (1) KR20210054571A (ko)
CN (1) CN108852004B (ko)
AU (1) AU2019344381A1 (ko)
BR (1) BR112021004992A2 (ko)
CA (1) CA3112925A1 (ko)
PL (1) PL3854274T3 (ko)
PT (1) PT3854274T (ko)
WO (1) WO2020057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2004B (zh) * 2018-09-17 2023-10-27 赵枫 一种咖啡高倍发泡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8625B2 (en) * 2002-02-11 2004-03-02 Nestec S.A. Mixing and frothing device and method
DE20320605U1 (de) * 2002-09-13 2004-10-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adträger für eine Getränkemaschine, Schaumeinheit und Getränkemaschine mit einem derartigen Padträger zum Bereiten eines Getränkes mit einer Schaumeinheit unter Verwendung eines derartigen Padträgers
CN200951017Y (zh) * 2006-09-12 2007-09-26 李洪文 咖啡机打泡装置
US8820214B2 (en) * 2007-01-04 2014-09-02 The Coca-Cola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oamed milk from powder
WO2008157189A1 (en) * 2007-06-11 2008-12-24 Espressi Corporation Portable brew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nd operating
PT2341805E (pt) * 2008-09-01 2012-08-22 Nestec Sa Aparelho para formar uma espuma fina por meio de vapor num líquido à base de leite
DE102009002656B4 (de) * 2009-04-27 2021-08-26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Emulgieren einer Mischung aus Luft, Dampf und Milch
KR101970614B1 (ko) 2010-12-16 2019-04-19 브리고,엘엘씨 끓인 에스프레소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397012B (zh) * 2011-11-23 2013-05-29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压力式咖啡机发泡装置
US20130213240A1 (en) 2012-02-17 2013-08-22 Espressi, Inc. Portable brewing device
ITUD20130022U1 (it) * 2013-05-10 2014-11-11 Stefano Lunazzi Elettrodomestico portatile per la produzione di panna montata e/o burro e/o per la formazione di schiuma derivata da idonei liquidi di partenza
CN103479224B (zh) * 2013-10-23 2016-01-06 赵凯 一种小型手动压力咖啡壶
CN104172927A (zh) * 2014-08-04 2014-12-03 林诺锋 一种咖啡机泡沫发生装置
ITUB20161132A1 (it) * 2016-02-26 2017-08-26 Mokha S R L Valvola di erogazione infuso con schiuma per caffettiera di tipo moka e caffettiera comprendente detta valvola
CN105686638B (zh) * 2016-03-25 2018-06-15 安吉箐英网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咖啡机及其控制方法
US20210315411A1 (en) * 2017-02-09 2021-10-14 Coffee Solutions, Llc Beverage maker for espresso
CN107581908B (zh) * 2017-10-09 2019-09-10 吴建威 一种具有泡沫发生功能的易卸料咖啡高压酿造装置
CN209346697U (zh) * 2018-09-17 2019-09-06 赵枫 一种咖啡高倍发泡的装置
CN108852004B (zh) * 2018-09-17 2023-10-27 赵枫 一种咖啡高倍发泡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7320A1 (zh) 2020-03-26
US20210307554A1 (en) 2021-10-07
EP3854274A4 (en) 2022-07-13
AU2019344381A1 (en) 2021-05-13
CA3112925A1 (en) 2020-03-26
PT3854274T (pt) 2024-01-26
JP2022508455A (ja) 2022-01-19
EP3854274A1 (en) 2021-07-28
CN108852004A (zh) 2018-11-23
JP7398130B2 (ja) 2023-12-14
BR112021004992A2 (pt) 2021-06-08
CN108852004B (zh) 2023-10-27
EP3854274B1 (en) 2023-11-08
PL3854274T3 (pl) 2024-04-08
JP2023179794A (ja)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6595B2 (ja) コーヒー用の抽出装置および抽出装置を用いてコーヒー飲料を生産するための方法
CN104334472A (zh) 制备粉末产品的浸液的可互换包囊及获得该浸液的相关方法
JP2023179794A (ja) コーヒーを高い収率で泡立てる方法及び装置
CN100502743C (zh) 低压条件下制造泡沫、浮沫或克丽玛的冲泡设备
AU2006203247A1 (en)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foam, froth, or crema under low pressure
CN205181106U (zh) 一种多功能手动咖啡胶囊冲泡装置
CN113597271A (zh) 用于浓缩咖啡机的超声清洗装置和包括该清洗装置的浓缩咖啡机
CN209346697U (zh) 一种咖啡高倍发泡的装置
KR101944246B1 (ko)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KR101679147B1 (ko) 휴대용 캡슐 음료 추출 장치
RU279893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пенивания кофе
JP6547382B2 (ja) 成分抽出式飲料製造装置
KR20100009358U (ko)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용 거피 추출기
JP6647393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およびコーヒー製造方法
TWM642140U (zh) 咖啡機的漩渦式分水盤
KR200440656Y1 (ko) 기호음료 제조장치
TWM630549U (zh) 具水量調節功能之咖啡濾器
KR101228579B1 (ko) 커피머신의 거품발생장치
CN208822405U (zh) 酿造机构和饮品机
KR20180005015A (ko) 더치 커피 제조장치
CN212234145U (zh) 冷咖啡酿造机构
CN217987307U (zh) 一种便携式咖啡机
CN214259000U (zh) 一种咖啡机萃取盒
CN218338206U (zh) 咖啡机用牛奶加热起泡杆
CN213909778U (zh) 安全型压力咖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