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810A - 제초 브러시와 이를 구비한 제초 어태치먼트 및 제초기 - Google Patents
제초 브러시와 이를 구비한 제초 어태치먼트 및 제초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3810A KR20210053810A KR1020207024171A KR20207024171A KR20210053810A KR 20210053810 A KR20210053810 A KR 20210053810A KR 1020207024171 A KR1020207024171 A KR 1020207024171A KR 20207024171 A KR20207024171 A KR 20207024171A KR 20210053810 A KR20210053810 A KR 202100538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eding
- brush
- linear elastic
- mower
- seed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333 wee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0
- 230000002363 herbicid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논을 이동하는 주행기체에 장착하여 제초를 수행하는 제초 브러시(20)로서, 제초브러시(20)는 회전에 의해 제초를 수행하는 것이며, 복수의 선형 탄성체(43)와, 선형 탄성체(43)를 고정하는 기체(49)를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선형 탄성체(43)는 회전의 회전 중심선(53)의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며, 또 세로로 긴 공간(52)을 둘러싸 듯이 배치되고, 선단을 개방한 바구니형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논(水田)을 이동하면서 제초를 하는 제초기(除草機)에 사용되는 제초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논을 이동하면서 제초를 하는 제초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된 제초기는, 주행기체에 제초 작업기를 연결하고, 제초 작업기는 제초용의 회전 가능한 전차와 레이크를 구비하고 있다. 전차(田車)는, 주행기체의 진행 방향에 대한 횡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제초를 수행하는 것이고, 레이크(rake)는 선(線)형의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포장(圃場) 내로 삽입되어 제초를 행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초기에 있어서는, 전차를 주행기체의 근방에 위치시킴으로써 주행기체의 좌우 사행(蛇行)시의 전차의 좌우 흔들림량은 작게 억제되어, 주행기체의 좌우 사행시에 전차에 의해 모종(苗)을 넘어뜨려, 심어져 있는 모종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크는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크와 모종이 접촉해도 레이크의 탄력성에 의해 모종이 꺾이거나 뽑히는 일 등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레이크를 전후에 2개 설치함으로써 한번의 제초 주행에 의해 레이크에 의한 제초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초기는, 주행기체가 논의 경반(耕盤) 변화 등에 의해 좌우로 사행했을 경우에 제초 로터가 좌우로 크게 흔들려 제초 로터에 의해 모종이 넘어져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전차의 위치나 레이크의 배치에 특징을 갖는 것이며, 레이크 자체의 구조상의 특징에 의해 제초 효과를 높인다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제초에 직접 관련되는 제초 수단 자체의 구조상의 특징에 의해 제초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모종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초 브러시와 이것을 구비한 제초 어태치먼트 및 제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초 브러시는, 논을 이동하는 주행기체에 장착하여 제초를 행하는 제초 브러시이며, 상기 제초 브러시는 회전에 의해 제초를 행하는 것이고, 복수의 선형 탄성체와, 상기 선형 탄성체를 고정하는 기체(基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선형 탄성체는 상기 회전의 회전 중심선의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며 세로로 긴 공간을 둘러싸 듯이 배치되어, 선단을 개방 한 바구니형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초 브러시에 따르면, 바구니형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비교적 다수의 선형 탄성체를 기체에 쉽게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제초시는 경사시킨 제초 브러시의 회전에 따라 선단부가 끊임없이 흙에 매설되어 흙을 긁어올리기 때문에 제초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선형 탄성체는, 선형이면서 탄성체인데다 가늘고 길기 때문에 휘어지기 쉽게 되어 있어, 제초 브러시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초 브러시와 모종의 위치 관계에 관계없이 제초시의 모종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제초기의 주행이 좌우로 흔들려도 모종의 손상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또한, 복수의 선형 탄성체는, 제초 브러시의 회전 중심선의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며 세로로 긴 공간을 둘러싸 듯이 배치되어 있어서, 인접한 선형 탄성체의 간격을 뿌리에서부터 끝단에 이르기까지 넓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풀이 엉키기 어려워진다.
상기 본 발명의 제초 브러시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선형 탄성체는, 선단부가 상기 세로로 긴 공간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초 브러시를 경사시켜 제초할 때에 선단부를 옆을 향하게 해서 토양에 매설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긁어올리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1개의 직선형상의 탄성체를 구부려 가공해서, 2개분의 상기 선형 탄성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부림 가공한 단부를 위치결정 부재로서 활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한 번에 2개분의 선형 탄성체의 위치결정이 되어 제작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초 어태치먼트는, 상기 본 발명의 각 제초 브러시를 갖춘 제초 어태치먼트로서, 상기 주행기체에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제초기는, 상기 본 발명의 각 제초 브러시를 갖춘 제초기로서, 상기 주행기체에 상기 제초 브러시가 회전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바와 같은데, 요약하면, 본 발명의 제초 브러시에 따르면, 비교적 다수의 선형 탄성체를 기체에 쉽게 배치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제초시는 선단부가 끊임없이 토양에 매설되어 흙을 긁어올리기 때문에 제초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선형 탄성체는 휘기 쉽게 되어 있어서 제초 브러시와 모종의 위치 관계에 상관없이 제초시의 모종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인접한 선형 탄성체의 간격을 뿌리부터 끝단에 이르기까지 넓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풀이 엉키키 어려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초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 브러시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제초 브러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제초 브러시를 분해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기가 제초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 브러시에 의해 제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을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요부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기의 주행이 도 9의 상태에서 왼쪽으로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 어태치먼트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제초기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 브러시의 요동기구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초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 브러시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제초 브러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제초 브러시를 분해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기가 제초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 브러시에 의해 제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을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요부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기의 주행이 도 9의 상태에서 왼쪽으로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 어태치먼트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제초기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 브러시의 요동기구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한 제초기(1)의 측면도이다. 본 도면은, 제초기(1)가 물에 잠긴 상태의 논을 주행중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 21은 수면을 나타내고 있다. 논에는 모종(22)이 이식되고 있다.
제초기(1)는, 주행기체(2)에 제초 어태치먼트(3)를 교체 가능하게 장착한 것이다. 주행기체(2)는 기체 본체(4)에 전륜(5) 및 후륜(6)이 장착된 것이며, 좌석 (7)에 착석한 조작자가 스티어링(8) 이외에,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조작 패널, 변속 레버, 조작 페달 등을 조작해서 운전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초기(1)의 전륜(5)쪽을 앞쪽이라 하고, 그 반대편을 뒤쪽이라 한다.
제초 어태치먼트(3)는, 제초 브러시(20), 제초 브러시(30), 제초 브러시의 지지체(10)를 주요부로 하고 있다. 주행기체(2)의 엔진(9)에는, 연결축(12)이 접속되어 있으며, 연결축(12)에 회전 전달축(13)이 접속되어 있다. 회전 전달축(13)은 중공부를 가지고 있으며, 단면 6각형의 신축축(14)이 삽입되어 있다.
엔진(9)으로 연결축(12)이 회전 구동되고, 이것과 일체로 회전 전달축(13) 및 신축축(14)이 회전한다. 신축축(14)의 회전에 의해 지지체(10) 내부의 구동계가 스포로킷 또는 기어(베벨기어)로 구동되고, 유니버설 조인트로 적절하게 방향을 바꾸면서 지지체(10) 내부의 회전축에 동력이 전달되어 제초 브러시(20,30)가 회전한다. 또한, 유압기구(16)가 구비하는 로드(17)의 신축에 의해, 링크기구(11)가 구동되어 제초 어태치먼트(3)가 승강하고, 이것과 일체로 제초 브러시(20,30)가 승강한다.
주행기체(2)는, 벼 이앙기에 사용되는 주행기체와 같은 구조이다. 이앙기는 엔진(9), 링크기구(11) 및 유압기구(16)에 상당하는 것이 장비되어 있으며, 엔진(9)을 활용해서 제초 브러시(20,30)의 회전 구동원으로 할 수 있으며, 유압기구 (16) 및 링크 기구(11)를 제초 브러시(20,30)의 승강 기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앙기가 구비하는 모내기용의 어태치먼트를 제거하고 제초 어태치먼트를 장착해서 이앙기의 주행기체를 제초기의 주행기체로 전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초기(1)의 평면도이다. 제초 어태치먼트(3)에는 복수의 제초 브러시(20,30)가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제초 브러시(20,30)는 전후 2 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초 브러시(20)에 의해 앞쪽에 제초 브러시 열을 형성하고, 제초 브러시(30)에 의해 뒤쪽에 제초 브러시 열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열 측의 제초 브러시에 부호 20을 붙이고, 뒷열 측의 제초 브러시에 부호 30을 붙인다. 제초 브러시(20,3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초기(1)를 직진시키면, 이것과 일체로 제초 브러시(20,30)은 묘조(苗條)(L1~L5)을 따라 직진하여,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으며, 포기사이(株間,인접한 포기와 포기사이, 그루와 그루사이)(50) 및 줄사이(條間)(51)의 풀이 순차적으로 제초되어 간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초 브러시(20)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제초 브러시(20)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초 브러시(20)의 예로 설명하는데, 제초 브러시(30)에 관해서도 같은 구조이다. 도 3에서, 제초 브러시(20)는, 한 쌍의 원반상의 상부 플레이트(40)와 하부 플레이트(41)로 구성된 기체(49)에 선형 탄성체(43)가 고정된 것으로, 상부 플레이트(40)와 하부 플레이트(41) 사이에 배치된 지지구(42)에 선형 탄성체(43)가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40)와 하부 플레이트(41)는 지지구(42)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볼트(45) 및 너트(4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40)에 회전축의 장착통 (44)이 고정되어 있으며, 장착통(44)에 회전축(미도시)을 삽입해서 핀홀(55)에 핀을 박아넣으면, 장착통(44)에 회전축이 고정된다. 제초 브러시(20)는 회전축의 장착통(44)에 장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4의 부호 53은, 이 회전의 회전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제초 브러시(20)를 분해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선형 탄성체(43)는 한 개의 금속제 등의 스프링 재료를 コ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서 가공한 것이다. 스프링재는 예를 들면, 피아노 선, 경강(硬鋼)선 또는 스테인레스이며, 직경은 2mm~4mm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제초 브러시(20)에 4개의 선형 탄성체(43)를 구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초 브러시(20)는 기체(49)에서 8개의 선상체(도 5의 도시에서는 4개)가 연출되어 있게 된다.
도 6은 도 4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구(42)에는 노치(47)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하부 플레이트(41)에 지지구 (42)가 고정되어 있고, 4개의 선형 탄성체(43)의 상단부를 각각 지지구(42)의 노치(47)(도 6 참조)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40)와 하부 플레이트(41)를 볼트(45) 및 너트(46)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 탄성체(43)는 지지구(42)와 상부 플레이트(40)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기체(49)와 일체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선형 탄성체(43)는 제초 브러시 (20)의 회전 중심선(53)의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며, 세로로 긴 공간(52)을 둘러싸 듯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초 브러시(20)는 선단을 개방한 바구니형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다. 부호 48은, 선형 탄성체(43)의 선단부를 나타내고 있으며,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초시에는 선단부(48)를 토양에 매설시켜 제초 브러시(20)의 회전에 따라 선단부(48) 부근의 흙과 함께 풀(23)의 뿌리 부분이 긁어올려진다(도 8 참조).
제초 브러시(20)는, 상기와 같은 바구니형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비교적 다수의 선형 탄성체(43)를 기체(49)에 쉽게 배치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경사시킨 제초 브러시(20)의 회전에 따라, 선단부(48)가 끊임없이 토양에 매설되어 흙을 긁어내기 때문에 제초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형 탄성체(43)는 선형이면서 탄성체인데다가 가늘고 길기 때문에 휘기 쉽게 되어 있어 제초 브러시(20)의 폭 방향에서 제초 브러시(20)와 모종(22)의 위치 관계에 상관없이 제초시의 모종(2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초기(1)의 주행이 좌우로 흔들려도 모종(22)의 손상을 우려할 일이 없다.
그리고 또한, 복수의 선형 탄성체(43)는, 제초 브러시(20)의 회전 중심선 (53)의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며, 세로로 긴 공간(52)을 둘러싸 듯이 배치되어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한 선형 탄성체(43)의 간격을 뿌리부터 끝단에 이르기까지 넓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풀이 엉키기 어려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초시에는 선단부(48)가 토양에 매설됨에 따라 제초가 이루어진다(도 8 참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한 선형 탄성체(43)의 선단 측의 간격(54)은 뿌리 쪽에 비해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단부(48)의 두 개분이 한번에 토양에 매설되는 경우, 2개의 선단부(48)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제초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초 브러시(20)의 분해 구조에 따르면, 선형 탄성체(43)와 지지구(42)의 노치(47)(도 6 참조)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 (40)와 하부 플레이트(41)를 볼트(45) 및 너트(46)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제작이 쉬우면서 동시에 분해가 용이하기 때문에, 선형 탄성체(43)의 교체도 쉬워진다.
또한, 선형 탄성체(43)는 コ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를 지지구(42)의 노치(47)(도 6 참조)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쉽게 위치결정이 되면서 동시에 한번에 2개분의 선형 탄성체(43)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작이 쉬워진다.
상기의 제초 브러시(20)의 구조는 적절히 변경한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부 플레이트(40)와 하부 플레이트(41)는 원반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 이어도 좋고, 기체(49)는 단일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선형 탄성체(43)는 コ자 모양의 절곡 가공을 생략하고, 1개씩 기체(49)에 고정해도 좋고, 고정 방법은 용접 등이어도 좋고, 선형 탄성체(43)의 갯수는 적절하게 변경하면 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제초기(1)에 의한 제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초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의 제초 어태치먼트(3) 근방의 확대도에 상당한다. 본 도면에 있어서, 제초기(1)는 모종(22)의 열(列) 방향으로 전진(화살표 B방향)하고 있으며, 이것과 일체로 회전중(화살표 C방향)의 제초 브러시(20,30)도 전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기사이(50)의 풀(23) 및 줄사이 (51)(도 9 참조)의 풀(23)이 순차적으로 제초되어 간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제초에 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제초 브러시(30)에 의해 제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제초 브러시(30)는 편의를 위해 장착통(44)을 중심으로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예로 설명하지만,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초 효과는 동일하다. 또한, 제초 브러시(30)의 예로 설명하지만, 제초 브러시(2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8에서는 선형 탄성체(43)의 선단부(48)가 지면에 매설되어 있다. 제초 브러시(30)의 회전(화살표 D방향)에 의해, 선단부(48)는 지면에서 부상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화살표 E방향).
이를 통해 선단부(48) 부근의 흙과 함께 풀(23)의 뿌리 부분이 긁어올려져 풀(23)이 제초된다. 제초 브러시(30)의 회전에 의해 인접하는 선형 탄성체(43)의 선단부(48)가 순차적으로 지면에 매설된 후, 지면으로부터 부상해 간다. 이런 반복에 의해, 제초 브러시(30)의 통과 범위 내의 풀(23)이 제초되어 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단부(48)가 세로로 긴 공간(52) 측으로 경사져 있으며(도 4 참조), 선단부(48)를 옆을 향하게 해서 토양에 매설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긁어올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경사진 선단부(48)를 갖지 않는 경우에도 제초 브러시(30)의 경사의 조정에 의해, 긁어올림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도 있고, 경사진 선단부(48)는 임의의 구성이다.
도 9는 도 7을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 9에서는, 안쪽의 제초 브러시(20)에 대해서는 간략화해서 도시하고 있으며, 줄사이(51)보다도 바깥쪽의 제초 브러시(20,30)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본 도면의 모종(22)은, 도 2에 나타낸 묘조(L2)와 묘조(L3)의 모종에 상당한다. 묘조(L2)에 관해서 보면, 제초 브러시(30)의 선형 탄성체(43)의 여러개가, 모종(22)과 겹쳐져 있다. 도 9의 상태에서 제초 브러시(30)는 회전하면서 전진(지면의 이면측)하기 때문에, 묘조(L2)에 있어서, 포기사이(50)(도 7 참조)의 풀(23)이 제초되어 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묘조(L2)에 있어서, 제초 브러시(30)의 탄성체(43)의 선단은, 흙과 함께 풀(23)을 긁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하여(화살표 G1), 풀(23)이 제초되어 간다. 인접한 제초 브러시(20)(미도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화살표 G2), 묘조(L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화살표 G3, G4).
도 9에 있어서, 묘조(L2)와 묘조(L3) 사이인 줄사이(51)에서는, 중앙 부분에 제초 브러시(20)가 배치되어 있으며, 좌우 양측에는 제초 브러시(3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제초 브러시(30)가 배치되고, 좌우 양측에 제초 브러시(20)가 배치되어 있는 줄사이도 있다. 또한, 중앙 부분의 제초 브러시(20)와 좌우 양측의 제초 브러시(3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에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형 탄성체(43)끼리 간섭하는 일은 없다. 즉, 줄사이(51)에는 선형 탄성체(43)가 골고루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이 회전하기 때문에 제초 브러시(20) 및 (30)의 회전과 전진에 따라 흙의 저항에 의한 부력의 발생에 의해 제초 브러시(20)와 제초 브러시(30) 사이에서 흙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적당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줄사이(51)의 풀(23)이 제초되어 간다.
한편, 제초기(1)는 정확하게 묘조(L1~L5)(도 2 참조)를 따라 직진된다고는 할 수 없고, 제초기(1)의 주행이 좌우로 흔들릴 수 있다. 이 경우, 도9에 나타낸 묘조(L2) 및 묘조(L3)와 제초 브러시(20) 및 (30)의 위치 관계도 변화하게 된다. 도 10은, 제초기(1)의 주행이 도 9의 상태에서 좌측(화살표 F)으로 어긋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상태에 있어서도 묘조(L2)의 모종(22)과 제초 브러시(30)가 겹치고, 묘조(L3)의 모종(22)과 제초 브러시(20)가 겹쳐 있기 때문에, 묘조(L2) 및 묘조(L3)에 있어서 포기사이(50)(도 7 참조)의 풀(23)이 제초되어 간다. 또한, 도 10에서도 도 9와 마찬가지로 줄사이(51)에는 선형 탄성체(43)가 빠짐없이 배치되어 있어, 제초 브러시(20) 및 (30)의 회전과 전진에 따라, 줄사이(51)의 풀(23)이 제초되어 간다.
이때, 도 10에 있어서, 묘조(L2)에서는 모종(22)과 제초 브러시(30)의 중앙부가 겹쳐있다. 이 위치 관계에서는, 제초 브러시(30)의 회전에 의해 선형 탄성체 (43)가 끊임없이 모종(22)을 가로지르게 되어 모종(22)의 손상이 염려된다. 그러나, 제초 브러시(30)의 선형 탄성체(43)는 선형이면서 탄성체인 데다 가늘고 길기 때문에 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보다 쉽게 휘는 모종(22)을, 휘기 쉬운 선형 탄성체(43)가 가로지르면, 모종은 일시적으로는 휘게 되지만, 제초 브러시 (30)가 통과한 후에는 특별히 모종(22)이 손상되는 일 없이 원래 상태로 복원한다.
따라서, 모종(22)과 제초 브러시(30)의 중앙부가 겹쳐도 모종(22)을 손상시키지 않고, 포기사이(50)(도 7 참조)을 제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련한 제초 브러시(20,30)를 이용함으로써 모종(22)과 제초 브러시(20,30)의 위치 관계는 당초의 기준에서 벗어나도 모종(22)의 손상을 우려하지 않고 제초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제초기(1)는 전륜(5) 및 후륜(6)(도 1 참조)이 줄사이(51)(도 2 참조) 내를 주행하는 경우, 제초기(1)의 주행이 좌우로 흔들려도 아무런 지장없이 제초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초 브러시(20,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체(43)로 둘러싸인 공간이 세로로 긴 공간(52)(도 3 및 도 4 참조)이며, 기체(49)에서 복수의 가늘고 긴 선형 탄성체(43)가 제초 브러시(20)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인접한 선형 탄성체(43)의 간격을 뿌리부터 끝단에 이르기까지 넓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서 풀이 엉키기 어려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에 있어서, 유압기구(16)가 구비하는 로드(17)의 신축에 의해 링크기구(11)가 구동되어 제초 어태치먼트(3)가 승강하고, 이것과 일체로 제초 브러시(20,30)가 승강한다. 도 11은, 제초 어태치먼트(3)를 상승(화살표 H 방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제초기(1)의 측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제초를 수반하지 않는 제초기(1)의 이동이 가능해져, 제초 브러시(20,30)의 교체나 각종 유지 보수가 쉬워진다.
도 12는, 제초 브러시(20)의 요동기구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도면은 제초 브러시(20) 근방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초 브러시(30) 근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장착통(44)에 회전축(32)이 고정되어 있고, 회전축(32)은 회전하지 않는 연결통(31) 내에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축(34)이 회전하지 않는 연결통(33) 내에 있다. 회전축(34)과 회전축(32)은, 유니버설 조인트(35)로 연결되고, 회전축(34)의 회전이, 경사진 회전축(32)에 전달되고, 제초 브러시(20)가 회전한다.
연결통(31)은, 지지체(36)로 지지되고, 지지체(36)는 볼트구멍(38)에 체결되는 볼트(미도시)로 지지체(37)에 지지된다. 지지체(36)측의 볼트 구멍은 볼트의 지름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지지체(37)에는 볼트(39)가 설치되어 있다. 볼트의 축과 유니버설 조인트(35)의 시작점은 동일 선상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체 (36) 및 이것과 일체의 제초 브러시(20)는 볼트 구멍(38)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해지고, 요동 범위는 볼트(39)로 규제된다. 따라서, 제초기(1)가 전진하면 흙의 저항에 의한 부력에 따라 제초 브러시(20)는 요동한다(화살표 J). 즉 제초 브러시(20)는 흙의 상태에 따라서 요동하므로 제초 효과가 높아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들은 일례이며 적절하게 변경한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초 브러시는 제초 브러시 (20,30)의 전후 2열의 배치이지만, 1열로도 좋고 3열로도 좋다.
1; 제초기
2; 주행기체
3; 제초 어태치먼트
10; 지지체
20,30; 제초 브러시
43; 선형 탄성체
48; 선단부
49; 기체(基體)
50; 포기사이(株間; 인접한 그루와 그루사이, 포기와 포기사이)
51; 줄사이(條間)
52; 세로로 긴 공간
2; 주행기체
3; 제초 어태치먼트
10; 지지체
20,30; 제초 브러시
43; 선형 탄성체
48; 선단부
49; 기체(基體)
50; 포기사이(株間; 인접한 그루와 그루사이, 포기와 포기사이)
51; 줄사이(條間)
52; 세로로 긴 공간
Claims (5)
- 논(水田)을 이동하는 주행기체에 장착해서 제초(除草)를 수행하는 제초 브러시이며,
상기 제초 브러시는, 회전에 의해 제초를 수행하는 것이며,
복수의 선형 탄성체와,
상기 선형 탄성체를 고정하는 기체(基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선형 탄성체는, 상기 회전의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며, 또 세로로 긴 공간을 둘러싸 듯이 배치되고, 선단을 개방한 바구니형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브러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형 탄성체는, 선단부가 상기 세로로 긴 공간쪽으로 경사되어 있는 제초 브러시.
- 제1항에 있어서,
1개의 직선형태의 탄성체를 구부려 가공해서, 2개분의 상기 선형 탄성체를 형성하고 있는 제초 브러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초 브러시를 갖춘 제초 어태치먼트이며, 상기 주행기체에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제초 어태치먼트.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초 브러시를 갖춘 제초기이며, 상기 주행기체에 상기 제초 브러시가 회전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177517 | 2018-09-21 | ||
JP2018177517A JP6998053B2 (ja) | 2018-09-21 | 2018-09-21 | 除草ブラシとこれを備えた除草アタッチメント及び除草機 |
PCT/JP2019/030553 WO2020059323A1 (ja) | 2018-09-21 | 2019-08-02 | 除草ブラシとこれを備えた除草アタッチメント及び除草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3810A true KR20210053810A (ko) | 2021-05-12 |
KR102702816B1 KR102702816B1 (ko) | 2024-09-05 |
Family
ID=6988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4171A KR102702816B1 (ko) | 2018-09-21 | 2019-08-02 | 제초 브러시와 이를 구비한 제초 어태치먼트 및 제초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998053B2 (ko) |
KR (1) | KR102702816B1 (ko) |
CN (1) | CN111787785B (ko) |
WO (1) | WO202005932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41790B (zh) * | 2021-02-22 | 2023-10-13 | 成都农业科技职业学院 | 一种智能除草机器人 |
JP7527009B2 (ja) | 2021-03-23 | 2024-08-02 |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 除草装置 |
CN114026980A (zh) * | 2021-12-02 | 2022-02-11 | 乌鲁木齐优尼克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开墩机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23272A (ja) * | 2005-02-21 | 2006-08-31 | Minoru Industrial Co Ltd | 水田除草機 |
JP2006271340A (ja) | 2005-03-30 | 2006-10-12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除草機 |
WO2010119040A2 (en) * | 2009-04-15 | 2010-10-21 | Oliver Di Signorini Luciano | Weeder with rotating members having hook-like elements |
JP2011004697A (ja) * | 2009-06-29 | 2011-01-13 | Sasagawa Noki Kk | 中耕除草機 |
JP2016208873A (ja) * | 2015-04-30 | 2016-12-15 | 株式会社オーレック | 水田除草作業機及び水田除草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314428Y1 (ko) * | 1963-12-08 | 1986-06-18 | ||
JPS5110097Y2 (ko) * | 1973-09-11 | 1976-03-17 | ||
JPS5995810U (ja) * | 1982-12-20 | 1984-06-29 | 旭陽工業株式会社 | 農用管理作業装置 |
CN104221577B (zh) * | 2014-09-19 | 2016-09-21 | 慈溪市华之杰塑料制品有限公司 | 割草机用除草盘 |
CN206611719U (zh) * | 2017-01-22 | 2017-11-07 | 浙江理工大学 | 自动除草机 |
-
2018
- 2018-09-21 JP JP2018177517A patent/JP6998053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8-02 CN CN201980015152.XA patent/CN111787785B/zh active Active
- 2019-08-02 KR KR1020207024171A patent/KR10270281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8-02 WO PCT/JP2019/030553 patent/WO202005932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23272A (ja) * | 2005-02-21 | 2006-08-31 | Minoru Industrial Co Ltd | 水田除草機 |
JP2006271340A (ja) | 2005-03-30 | 2006-10-12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除草機 |
WO2010119040A2 (en) * | 2009-04-15 | 2010-10-21 | Oliver Di Signorini Luciano | Weeder with rotating members having hook-like elements |
JP2011004697A (ja) * | 2009-06-29 | 2011-01-13 | Sasagawa Noki Kk | 中耕除草機 |
JP2016208873A (ja) * | 2015-04-30 | 2016-12-15 | 株式会社オーレック | 水田除草作業機及び水田除草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2816B1 (ko) | 2024-09-05 |
WO2020059323A1 (ja) | 2020-03-26 |
JP2020043843A (ja) | 2020-03-26 |
CN111787785B (zh) | 2022-12-23 |
CN111787785A (zh) | 2020-10-16 |
JP6998053B2 (ja) | 2022-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53810A (ko) | 제초 브러시와 이를 구비한 제초 어태치먼트 및 제초기 | |
JP5754800B2 (ja) | 水田用の除草作業機 | |
JP4526991B2 (ja) | 除草機 | |
JP2011004697A (ja) | 中耕除草機 | |
US4224997A (en) | Soil cultivating implements | |
JP2005287366A (ja) | 水田除草機 | |
JP2002034424A (ja) | 水田除草機 | |
JP3223663U (ja) | 水田除草作業機 | |
JP3711756B2 (ja) | 水田除草装置 | |
JP4866051B2 (ja) | 除草機 | |
JP2015130834A (ja) | 水田用除草装置 | |
JP5274418B2 (ja) | デバイダ | |
BR112021010156A2 (pt) | um veículo de trabalho agrícola | |
JP2013042683A (ja) | 除草作業機 | |
JP2017176089A (ja) | 除草機 | |
US4088084A (en) | Soil cultivating implements | |
JP4367619B2 (ja) | 水田用除草機 | |
JP4674068B2 (ja) | 水田用除草装置 | |
JP2019170224A (ja) | 水田用除草機 | |
JP5042097B2 (ja) | 集草機 | |
JP4393935B2 (ja) | 水田用除草機 | |
JP4907149B2 (ja) | 水田用除草機 | |
JP7373089B1 (ja) | 除草装置 | |
JP4727733B2 (ja) | 水田用除草機 | |
JP2012125214A (ja) | 除草作業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