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065A -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065A
KR20210045065A KR1020190128349A KR20190128349A KR20210045065A KR 20210045065 A KR20210045065 A KR 20210045065A KR 1020190128349 A KR1020190128349 A KR 1020190128349A KR 20190128349 A KR20190128349 A KR 20190128349A KR 20210045065 A KR20210045065 A KR 20210045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drania
steam
inlet
partition wall
extra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980B1 (ko
Inventor
안오장
안지인
Original Assignee
진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안지인
안오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안지인, 안오장 filed Critical 진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9012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9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 줄기 등으로 부터 변색되지 않은 순수한 고농도의 꾸지뽕수액을 저온에서 추출할 수 있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부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이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꾸지뽕 줄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추출탱크와; 상기 추출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꾸지뽕 줄기로부터 추출된 증기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증기이송관과; 상기 증기이송관을 통해 유입되는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를 통해 응축된 꾸지뽕 추출액을 수용하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를 감압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꾸지뽕수액 추출장치{Cudrania sap extracting device}
본 발명은 꾸지뽕수액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꾸지뽕 줄기 등으로 부터 변색되지 않은 순수한 고농도의 꾸지뽕수액을 저온에서 추출할 수 있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꾸지뽕나무는 산지와 촌락에 자생하는 높이 7~8m정도의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이다. 열매는 일반 뽕나무보다 훨씬 크고 7~8월에 익으며, 꽃은 녹색으로 4~5월에 핀다. 특히 잎은 깻잎처럼 타원형이며 솜털이 나 있으며, 일반 뽕나무와 달리 나무 줄기에는 가시 돋아 있습니다. 또한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하얗고 진한 액체가 흘러나온다.
예로부터 꾸지뽕의 잎, 줄기, 뿌리를 끓여 각기, 폐렴, 폐결핵, 감기, 고혈압 등을 치료하는 약재로 써 왔다. 그런데 최근 일부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에 항암효과가 뛰어난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플라보노이드 다량 함유로 암세포를 더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할 뿐만 아니라 통증을 가볍게 하고 밥맛을 좋게 하여 몸무게를 늘려주고, 오줌을 잘나가게 하여 복수를 없애주는 작용이 있다. 또 말기 암환자의 저항력을 키워주어 스스로 병을 이겨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한 신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제리쿠드라닌의 화학구조 및 생물 활성이란 논문에 의하면 지리산 일대에 자생하고 있는 꾸지뽕나무의 줄기에 폐암, 대장암, 피부암, 자궁암 등에 효과가 높은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고 한다.
꾸지뽕나무는 소화기 계통의 암 환자 중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을 쓸 수 없는 환자들한테 사용하여 종양을 더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할 뿐만 아니라 통증을 가볍게 하고 식욕을 증진시켜 몸무게를 늘려 주고 복수를 없애 주는 작용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고 또한 말기 암 환자의 저항력을 높여주어 거의 부작용 없이 암 치료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고도 한다.
이러한 꾸지뽕의 효능 때문에 최근에는 꾸지뽕 수액을 추출해서 음용하는 등 건강보조 식품이나 기능성 음료로 개발되고 있다.
일예로서, 항아리를 이용한 꾸지뽕 추출방법이 있는데, 이는 항아리 밑에 다수의 천공을 형성하고, 항아리의 표면이 지면과 일치되도록 한후 항아리 밑에는 드럼통과 같은 용기를 받치고, 항아리와 용기 사이를 황토와 같이 연결부를 폐쇄할 수 있는 결합제를 바른 후 항아리에 열을 가하면 항아리 안에 있던 꾸지뽕의 줄기나 잎 또는 열매 등으로부터 수액이 낙하되어 그 하부에 용기에 모이면 삼베천 등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추출방법은 항아리의 둘레에서 열을 가하므로 추출하는데 대략 7일이 소요되고, 압력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100℃ 이상으로는 가열할 수도 없으며, 추출후 황토를 제거하고 항아리를 개방한 후에는 다시 꾸지뽕 재료를 채운 후 황토를 바르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항아리 둘레에서 열을 가하면 항아리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면서 바른 황토 틈새 사이로 빠져나오고 이와 반대로 연기는 유입되어 타르 성분이 수액에 혼입됨으로써 음용할 때 매스꺼운 맛이 난다.
또한, 꾸지뽕의 줄기나 잎과 열매를 용기에 넣고 여기에 물을 부어 끓여서 수액을 추출하는 오래된 방법도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수액의 농도가 너무 낮고 꾸지뽕 수액만 걸려내는 복잡한 과정을 다시 거쳐야 한다.
상기와 같이 지금까지 꾸지뽕 수액의 효과를 인정하여 여러가지 방법으로 수액을 추출하였으나 추출 효율이 떨어지고, 위생적으로도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0001(KR10-1150393B1)의 꾸지뽕수액 추출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중탕기에 맥반석 용기를 집어 넣고, 꾸지뽕의 줄기, 잎, 열매를 정선한 후 물에 세정하여 줄기는 맥반석 용기내에 들어 갈수 있는 있도록 잘라서 집어 넣고 잎과 열매는 통째로 집어 넣는 단계, 꾸지뽕의 줄기, 잎, 열매를 맥반석 용기에 집어 넣고, 중탕기와 맥반석 사이의 공간에 맥반석 용기내로 물이 흘러 넘치지 않도록 물을 채워넣는 단계, 상기 중탕기는 증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폐쇄하고, 열을 가해 중탕기내의 물을 끓여 압력을 높임으로서 중탕기내부의 온도가 200 ~ 230℃가 되도록 한후, 480 ~ 600분 동안 찌는 단계, 중탕기로 찐 후 중탕기를 개방하여 맥반석 용기내의 단단한 줄기만 가려내고, 중탕기를 다시 폐쇄시켜 남아 있는 줄기, 잎, 열매를 60 ~ 90분 동안 다시 찌는 단계, 중탕기에서 다시 찐후 맥반석 용기에서 찌는 과정에서 혼입된 물과 줄기, 잎, 열매를 건져내어 압축기를 이용하여 수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수액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01의 꾸지뽕 수액 추출방법은 위생적인 이점이 있으나, 공정이 복잡하여 꾸지뽕수액을 추출하는데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중탕기를 이용해 추출하기 때문에 꾸지뽕수액의 색이 갈변하는 등 변색되는 문제가 있다.
KR10-1150393B1 (2012.05.21)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꾸지뽕 줄기 등으로 부터 변색되지 않은 순수한 고농도의 꾸지뽕수액을 저온에서 추출할 수 있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측부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이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꾸지뽕 줄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추출탱크와;
상기 추출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꾸지뽕 줄기로부터 추출된 증기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증기이송관과;
상기 증기이송관을 통해 유입되는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를 통해 응축된 꾸지뽕 추출액을 수용하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를 감압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탱크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어 상기 추출탱크의 추출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꾸지뽕 줄기가 적재되는 꾸지뽕버켓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꾸지뽕버켓은 다공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C형상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전측부에 결합되는 전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측부에 결합되는 후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측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꾸지뽕버켓이 상기 추출탱크 내에 투입될 때 상기 추출탱크의 내주면과 상기 측판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바가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이격바는 상기 측판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측판의 외주면에 C형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증기이송관에는 상기 추출탱크의 내부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일 경우 폐쇄시키는 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추출탱크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의 온도감지값에 따라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냉각부는,
일측부에 상기 증기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증기가 냉각되어 응축된 추출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유입구로부터 타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는 일측격벽과;
상기 원통형 몸체의 배출구로부터 일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타측격벽과;
상기 일측격벽의 복수의 유입공과 상기 타측격벽의 복수의 배출공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응축관과;
상기 일측격벽과 상기 타측격벽 사이의 공간으로 냉각수를 유입시켜 상기 복수의 응축관을 통해 유입된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시키는 냉각수공급관과;
상기 일측격벽과 상기 타측격벽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복수의 응축관과 열교환된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냉각수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수용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냉각부에 의해 응축된 추출액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부의 배출구와 상기 수용탱크의 유입구 사이를 연결하고, 중간부에 투명관부가 형성되는 추출액 이송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꾸지뽕수액 추출장치는 꾸지뽕 줄기 등으로 부터 변색되지 않은 순수한 고농도의 꾸지뽕수액을 저온에서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꾸지뽕수액 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추출탱크의 투입구로부터 분리된 꾸지뽕버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꾸지뽕버켓에 일예의 이격바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일예의 이격바가 형성된 꾸지뽕버켓이 추출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일예의 이격바가 형성된 꾸지뽕버켓이 추출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다른예의 이격바가 형성된 꾸지뽕버켓이 추출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일예의 이격바가 형성된 꾸지뽕버켓이 추출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냉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냉각부를 통해 응축된 꾸지뽕 추출액이 수용탱크에 수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꾸지뽕수액 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꾸지뽕수액 추출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추출탱크(10), 증기이송관(20), 냉각부(30), 수용탱크(40) 및 진공펌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추출탱크(10)의 전측부에 투입구(도 3의 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탱크(10)의 투입구(110)를 개폐시키는 뚜껑(1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뚜껑(120)의 타측이 상기 추출탱크(10)의 전측부 타측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120)의 일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추출탱크(10)의 전측부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공지된 잠금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추출탱크(10)의 전측부 일측에 잠금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추출탱크(10)에는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상기 추출탱크(10)의 내부에 형성된 추출공간으로 투입된 꾸지뽕 줄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증기이송관(20)의 하부는 상기 추출탱크(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추출탱크(10)의 상부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증기이송관(20)의 내부로는 꾸지뽕 줄기로부터 추출된 증기가 유입되어 상기 증기이송관(20)의 상부방향으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부(30)는 상기 증기이송관(20)을 통해 상기 냉각부(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시키게 된다.
상기 증기이송관(20)의 상부는 상기 냉각부(3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냉각부(30)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용탱크(40)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부(30)를 통해 응축된 꾸지뽕 추출액이 수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진공펌프(50)는 상기 수용탱크(40)의 내부의 압력을 감압하게 된다.
도 3은 추출탱크의 투입구로부터 분리된 꾸지뽕버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추출탱크(10)의 투입구(110)를 통해 상기 추출탱크(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추출공간내에 배치되는 꾸지뽕버켓(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꾸지뽕버켓(60)의 내부에 복수의 꾸지뽕 줄기가 적재될 수 있다.
상기 꾸지뽕버켓(60)은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측판(610), 전측판(620) 및 후측판(6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610)의 내측에 복수의 꾸지뽕 줄기가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꾸지뽕 줄기로부터 추출된 증기가 상기 증기이송관(20)으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측판(610)은 상측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C형상의 상기 측판(610)에는 복수의 다공(6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꾸지뽕 줄기로부터 추출된 증기가 복수의 상기 다공(611)을 통해 상기 측판(610)의 외측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증기이송관(20)으로 유입될 수 있어 상기 꾸지뽕 줄기의 증기 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측판(610)의 상부에는 상기 측판(6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손잡이(6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620)은 상기 측판(610)의 전측부에 수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630)은 상기 측판(610)의 후측부에 수직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꾸지뽕버켓에 일예의 이격바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판(610)의 외주면에 상기 측판(6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이격바(7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이격바(70)는 상기 측판(61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일예의 이격바가 형성된 꾸지뽕버켓이 추출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이격바(70)를 통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꾸지뽕버켓(60)이 상기 추출탱크(10)의 내부에 형성된 추출공간(130)으로 투입될 때 상기 추출탱크(10)의 내주면과 상기 측판(610)의 외주면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꾸지뽕 줄기로부터 추출된 증기가 복수의 상기 다공(611)을 통해 상기 측판(610)의 외측으로 막힘없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상기 꾸지뽕 줄기의 증기 추출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일예의 이격바가 형성된 꾸지뽕버켓이 추출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복수의 상기 다공(611)을 통해 상기 측판(610)의 외측으로 배출된 상기 꾸지뽕 줄기로부터 추출된 증기가 상기 이격바(70)에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이격바(70)가 상기 측판(6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복수배치되는 것이 좋다.
복수의 상기 다공(611)을 통해 상기 측판(610)의 외측으로 배출된 상기 꾸지뽕 줄기로부터 추출된 증기는 복수의 상기 이격바(70) 사이마다 형성되는 공간(710)을 통과하면서 상승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예의 이격바가 형성된 꾸지뽕버켓이 추출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일예의 이격바가 형성된 꾸지뽕버켓이 추출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이격바(7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C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판(610)의 외주면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이격바(70)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판(610)의 외주면에 상기 측판(6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냉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부(30)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원통형 몸체(310), 일측격벽(320), 타측격벽(330), 응축관(340), 냉각수공급관(350) 및 냉각수배출관(3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일측부에 유입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유입구(311)에 상기 증기이송관(20)의 상부가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증기이송관(20)으로부터 이송되는 증기는 상기 유입구(311)를 통해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타측부에는 상기 유입구(311)를 통해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내부로 유입된 증기가 냉각되어 응축된 추출액이 배출되는 배출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이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배출구(312)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몸체(310)는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점차 하향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격벽(320)은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유입구(311)로부터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인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일측 내부에 상기 원통형 몸체(310)와 직교를 이룬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격벽(320)에는 복수의 유입공(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격벽(330)은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배출구(312)로부터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인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타측 내부에 상기 원통형 몸체(310)와 직교를 이룬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격벽(330)에는 복수의 배출공(33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응축관(340)은 상기 일측격벽(320)의 복수의 유입공(321)과 상기 타측격벽(330)의 복수의 배출공(331)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공급관(350)의 상부는 상기 일측격벽(320)과 상기 타측격벽(330) 사이의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공급관(350)은 상기 일측격벽(320)과 상기 타측격벽(330) 사이의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내부공간으로 물 등의 냉각수를 유입시켜 복수의 상기 응축관(340)을 통해 유입된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수배출관(360)의 하부는 상기 일측격벽(320)과 상기 타측격벽(330) 사이의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상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배출관(360)은 상기 일측격벽(320)과 상기 타측격벽(330) 사이의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어 복수의 상기 응추관(340)과 열교환된 냉각수를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1은 냉각부를 통해 응축된 꾸지뽕 추출액이 수용탱크에 수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탱크(40)의 상부에는 상기 냉각부(30)에 의해 응축된 추출액(3)이 유입되는 유입구(40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30)의 배출구(312)와 상기 수용탱크(40)의 유입구(401)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수용탱크(40)의 내부로 추출액(3)을 이송하는 추출액 이송관(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출액 이송관(80)의 중간부 또는 상기 추출액 이송관(80)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상기 수용탱크(40)의 내부로의 추출액(3) 이송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관부(81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증기이송관(20)의 하부에는 상기 증기이송관(20)을 개폐하는 전자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밸브(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추출탱크(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추출탱크(1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온도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부의 온도감지값과 기준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밸브(9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90℃의 기준온도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 90℃이외의 다양한 수치의 기준온도값이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온도값이 90℃인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부의 온도감지값이 기준온도값인 90℃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밸브(90)는 상기 증기이송관(20)을 폐쇄함과 더불어 상기 히터(미도시)는 꾸지뽕 줄기로 고온의 열을 발산하여 꾸지뽕 줄기를 가열할 수 있고, 상기 진공펌프(50)는 상기 수용탱크(40)의 내부의 압력을 감압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의 온도감지값이 기준온도값인 90℃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밸브(90)는 상기 증기이송관(20)을 개방하게 되어 꾸지뽕 줄기로 추출된 고온의 증기가 상기 추출탱크(10)와 상기 수용탱크(40)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증기이송관(20), 상기 냉각부(30)로 이송되어 냉각될 수 있고, 상기 냉각부(30)를 통해 응축된 꾸지뽕 추출액(3)은 상기 추울액 이송관(80)을 통해 상기 수용탱크(40)의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농축공정없이 단순공정으로 꾸지뽕 줄기 등으로부터 갈변 등으로 변색되지 않은 순수한 고농도의 꾸지뽕수액을 저온에서 추출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도와 상품성이 높아질 수 있고, 또한 버켓구조의 상기 꾸지뽕버켓(60)을 이용하여 순수한 고농도의 꾸지뽕수액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추출탱크, 20; 증기이송관,
30; 냉각부, 40; 수용탱크,
50; 진공펌프.

Claims (10)

  1. 전측부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이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꾸지뽕 줄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추출탱크와;
    상기 추출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꾸지뽕 줄기로부터 추출된 증기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증기이송관과;
    상기 증기이송관을 통해 유입되는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를 통해 응축된 꾸지뽕 추출액을 수용하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를 감압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탱크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어 상기 추출탱크의 추출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꾸지뽕 줄기가 적재되는 꾸지뽕버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버켓은 다공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C형상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전측부에 결합되는 전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측부에 결합되는 후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꾸지뽕버켓이 상기 추출탱크 내에 투입될 때 상기 추출탱크의 내주면과 상기 측판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바가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격바는 상기 측판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격바는 상기 측판의 외주면에 C형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이송관에는 상기 추출탱크의 내부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일 경우 폐쇄시키는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탱크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의 온도감지값에 따라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일측부에 상기 증기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증기가 냉각되어 응축된 추출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유입구로부터 타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는 일측격벽과;
    상기 원통형 몸체의 배출구로부터 일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타측격벽과;
    상기 일측격벽의 복수의 유입공과 상기 타측격벽의 복수의 배출공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응축관과;
    상기 일측격벽과 상기 타측격벽 사이의 공간으로 냉각수를 유입시켜 상기 복수의 응축관을 통해 유입된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시키는 냉각수공급관과;
    상기 일측격벽과 상기 타측격벽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복수의 응축관과 열교환된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냉각수배출관;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냉각부에 의해 응축된 추출액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부의 배출구와 상기 수용탱크의 유입구 사이를 연결하고, 중간부에 투명관부가 형성되는 추출액 이송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KR1020190128349A 2019-10-16 2019-10-16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KR102320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349A KR102320980B1 (ko) 2019-10-16 2019-10-16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349A KR102320980B1 (ko) 2019-10-16 2019-10-16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065A true KR20210045065A (ko) 2021-04-26
KR102320980B1 KR102320980B1 (ko) 2021-11-03

Family

ID=7573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349A KR102320980B1 (ko) 2019-10-16 2019-10-16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9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871A (ko) * 1997-01-29 1998-10-15 강대주 죽력 추출방법 및 추출장치
JP2848801B2 (ja) * 1994-08-04 1999-01-20 ビッグ ビーンズ 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 植物、動物または鉱物中から成分を抽出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前記方法で抽出された成分を主成分とする健康飲料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7103B1 (ko) * 2004-02-05 2006-05-10 (주)피눅스 죽력의 제조 장치
KR101150393B1 (ko) 2010-03-23 2012-06-01 황현정 꾸지뽕 수액 추출방법
KR101606328B1 (ko) * 2015-10-29 2016-03-25 김창우 식품 농축장치
KR101795796B1 (ko) * 2017-04-03 2017-11-08 김용식 다목적 농축 및 추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8801B2 (ja) * 1994-08-04 1999-01-20 ビッグ ビーンズ 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 植物、動物または鉱物中から成分を抽出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前記方法で抽出された成分を主成分とする健康飲料等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6871A (ko) * 1997-01-29 1998-10-15 강대주 죽력 추출방법 및 추출장치
KR100577103B1 (ko) * 2004-02-05 2006-05-10 (주)피눅스 죽력의 제조 장치
KR101150393B1 (ko) 2010-03-23 2012-06-01 황현정 꾸지뽕 수액 추출방법
KR101606328B1 (ko) * 2015-10-29 2016-03-25 김창우 식품 농축장치
KR101795796B1 (ko) * 2017-04-03 2017-11-08 김용식 다목적 농축 및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980B1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5818B2 (ja) 蒸熟機能を有する家庭用湯煎器及びこれを用いた紅参エキス製造方法
CN205568658U (zh) 一种蒸煮装置及设备
KR100801840B1 (ko) 녹차추출기
CN105001973B (zh) 一种干姜片及姜油的综合加工设备
KR101852168B1 (ko) 저온 발효식 홍삼 또는 흑삼 제조기 및 그를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방법
KR102320980B1 (ko) 꾸지뽕수액 추출장치
KR101723517B1 (ko)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CN106262713A (zh) 一种滋阴补气的辣椒酱
CN107348064A (zh) 一种凉茶的加工方法
KR101150393B1 (ko) 꾸지뽕 수액 추출방법
JP3425918B2 (ja) タンニン含量を低下させる咸豊草の加工法
KR20220038881A (ko) 중탕용 탕정기
CN107494831A (zh) 一种富含白及花的功能性茶产品
KR100691343B1 (ko) 한약재의 증숙액 추출기
CN108936495A (zh) 一种桃花土蜂蜜的加工工艺
CN218232309U (zh) 一种精酿啤酒酒花提取物的提取装置
CN106993703A (zh) 一种金银花复合茶的制备方法
KR20130069227A (ko) 초석잠을 이용한 액상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684073B1 (ko) 홍삼제조기
CN106039492A (zh) 一种中草药保健气疗仪
KR101125119B1 (ko) 다용도 찜통
CN106306220A (zh) 一种木槿花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824249A (zh) 一种柠檬瘦身桔梗花茶
KR102595191B1 (ko) 추출액 추출탱크 시스템
CN107319077A (zh) 一种茶用金银花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