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244A -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244A
KR20210043244A KR1020190126183A KR20190126183A KR20210043244A KR 20210043244 A KR20210043244 A KR 20210043244A KR 1020190126183 A KR1020190126183 A KR 1020190126183A KR 20190126183 A KR20190126183 A KR 20190126183A KR 20210043244 A KR20210043244 A KR 20210043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substrate
pattern
insulating
lea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준
백지흠
김혜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244A/ko
Priority to EP20873457.4A priority patent/EP4044774A4/en
Priority to CN202080085885.3A priority patent/CN114788421B/zh
Priority to JP2022521553A priority patent/JP7364791B2/ja
Priority to PCT/KR2020/013778 priority patent/WO2021071303A1/ko
Publication of KR20210043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244A/ko
Priority to JP2023173703A priority patent/JP2023174762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3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71Shields or metal cases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기판은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1 패턴부;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턴부와 이격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제1 오픈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절연 부분; 및 상기 제1 절연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제2 오픈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부분과 이격되는 제2 절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1 리드 패턴부;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 리드 패턴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리드패턴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리드 패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패턴부는, 상기 제2 오픈 영역의 코너에 위치한 절곡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PACKAGE BOARD, DRIVING APPARATUS OF IMAGE SENS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 배럴을 중심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MP3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 기기를 비롯하여, 자동차, 내시경, CCTV와 같은 전자 기기에 카메라 장치가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장치는 점차로 고화소 중심으로 발달되고 있으며,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카메라 장치는, 저가의 제작 비용으로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현 가능하도록 변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 장치는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렌즈 배럴에 결합되는 렌즈 홀더, 렌즈 홀더 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구동 기판을 포함한다. 이때 렌즈가 피사체의 영상 신호를 이미지 센서에 전달한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가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카메라 장치에서 영상 신호의 정확성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장치는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렌즈 배럴을 상대 이동시켜 초점 보상이나 흔들림 보상을 제공하였다. 즉, 카메라 장치는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X축, Y축 및 Z축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해 상대 이동시켰다. 이때, 카메라 장치는 상기 렌즈 배럴을 상대 이동 시키기 위해 최소 6개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가 필요했다. 그리고, 상기 각 탄성 부재는 본딩과 같은 방식에 의해 렌즈 배럴과 결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렌즈 배럴이 상대 이동함에 따라 렌즈 배럴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스프링 플레이트와, 렌즈 배럴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스프링 플레이트와, Z축의 고정을 위한 탄성 와이어(elastic wire)와 같은 구조물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카메라 장치의 모듈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렌즈 배럴을 움직이기 위한 다수의 탄성 부재가 필요로 하며, 상기 다수의 탄성 부재의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렌즈 배럴에 대해 이미지 센서가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한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X축, Y축 및 Z축의 이동뿐 아니라, 틸트 보정도 가능한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자동 초점 기능이나, 손떨림 보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이미지 센서와의 전기 연결 역할을 하는 판 스프링 구조에 와이어 스프링을 추가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동 시에 발생하는 틸트를 억제할 수 있는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기판은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1 패턴부;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턴부와 이격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제1 오픈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절연 부분; 및 상기 제1 절연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제2 오픈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부분과 이격되는 제2 절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1 리드 패턴부;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 리드 패턴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리드패턴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리드 패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패턴부는, 상기 제2 오픈 영역의 코너에 위치한 절곡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패턴부는 신호 전송 패턴이고,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1 패턴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보강 패턴이다.
또한, 상기 제1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 패턴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리드 패턴부와 상기 제2 리드 패턴부 사이의 직선 거리보다 크다.
또한, 상기 연결 패턴부의 길이는, 상기 제2 오픈 영역의 폭보다 크다.
또한, 상기 연결 패턴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절연 부분의 외측과 상기 제2 절연 부분의 내측 사이의 직선 거리의 1.5배 내지 20배 범위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연결 패턴부는, 상기 제2 오픈 영역 상에서 부유하며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1-1 리드 패턴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2 리드 패턴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1 리드 패턴 부분과, 상기 제2-1 리드 패턴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절연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제2-2 리드 패턴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 패턴부의 선폭은, 상기 제1 리드 패턴부 또는 상기 제2 리드 패턴부의 선폭보다 작다.
또한, 상기 연결 패턴부는, 상기 제1 리드 패턴부와 연결되는 일단부 및 상기 제2 리드 패턴부와 연결되는 타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의 각각의 측면은 곡면을 가진다.
또한,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의 각각의 측면의 곡률(R)은 30 내지 100 사이의 범위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리드 패턴부와 이격되는 제1 보강 패턴과,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리드 패턴부와 이격되는 제2 보강 패턴과, 상기 제2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강 패턴과 상기 제2 보강 패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 패턴부와 이격되는 제3 보강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보강 패턴은,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1 보강 패턴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절연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절연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제2-2 보강 패턴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2 보강 패턴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2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패턴부와 접촉하는 제3 절연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절연 부분은, 상기 제2 오픈 영역의 상기 코너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패턴부의 상기 절곡 부분과 접촉한다.
또한, 상기 제3 절연 부분은, 상기 제1 절연 부분 및 상기 제2 절연 부분과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센서 구동 장치는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마그넷부, 및 상기 홀더 상에 배치되는 댐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홀더부와,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이격되어 상기 마그넷과 대향되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센서를 포함하는 코일 이동 기판; 상기 코일 이동 기판과 연결되는 이동 부분과, 상기 제1 기판과 연결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과 상기 코일부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센서를 이동시키는 제4 기판; 및 일단이 상기 고정부의 상기 댐핑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코일 이동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코일 이동 기판을 탄성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기판은,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1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제1 오픈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절연 부분; 및 상기 제1 절연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제2 오픈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부분과 이격되는 제2 절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1 리드 패턴부;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 리드 패턴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리드패턴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리드 패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패턴부는, 상기 제2 오픈 영역의 코너에 위치한 절곡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1-1 리드 패턴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 이동 기판의 제2 단자부와 연결되는 제1-2 리드 패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1 리드 패턴 부분과, 상기 제2-1 리드 패턴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절연 부분과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단자부와 연결되는 제2-2 리드 패턴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센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이동 기판은, 상기 센서 기판이 배치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더 및 상기 코일 이동 기판 각각은,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관통 홀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OIS 및 AF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종래의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는 대신에 이미지 센서를 렌즈 배럴에 대하여 X축, Y축 및 Z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OIS 및 AF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복잡한 스프링 구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를 렌즈 배럴에 대해 상대 이동시킴에 따라 기존 대비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부와 제1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4 기판의 연결 패턴부가 스프링 구조를 가지도록 하면서 절연층 상에 플로팅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 패턴부는 이미지 센서부와 제1 기판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 역할 및 상기 이미지 센서부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를 X축, Y축 및 Z 축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스프링 플레이트와 같은 구조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스프링 플레이트와 관련된 공정을 배제시켜 제작 공정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프링 기능을 하는 연결 패턴부를 배치함에 있어, 제1 리드 패턴부 및 상기 제1 리드 패턴부가 배치된 영역과 마주보는 영역에 배치된 제2 리드패턴부 사이가 아닌 제1 리드 패턴부가 배치된 영역과 교차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2 리드 패턴부 사이를 연결한다. 이로 인해, 실시 예에서의 연결 패턴부는 이미지 센서의 틸팅 방향으로 회전하며 배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르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 패턴부를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의 틸트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제4 기판은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연결 패턴부와 수직으로 오버랩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제3 절연 부분을 포함한다. 이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보다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하면서, 렌즈 배럴에 대해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연결 패턴부의 길이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리드 패턴부와 제2 리드 패턴부 사이의 직선 거리의 적어도 1.5배 내지 20배 사이를 가지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용 기판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면서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제2 액추에이터는 제4 기판의 연결 패턴부로 구성되는 판 스프링 구조 이외에 상기 제4 기판을 탄성 지지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때, 연결 패턴부는 제2 액추에이터 내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구동 시 발생하는 Z축으로의 틸티 현상을 보상하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내에서 전기적 연결 역할이 아닌 지지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구동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부의 Z축으로의 틸트 현상을 억제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4 기판의 연결 패턴부 이외에 상기 연결 와이어를 추가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센서부의 이동 시에 발생하는 틸트 현상을 억제하여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액추에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의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7의 (b)은 도 5의 제1 액추에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5의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8의 (b)은 도 5의 제1 액추에이터의 저면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제2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홀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댐핑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제1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코일 이동 기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코일 이동 기판부의 제2 기판의 저면도이다.
도 16의 (a)는 도 14에 도시된 코일 이동 기판부의 제3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6의 (b)는 도 14에 도시된 코일 이동 기판부의 제3 기판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실시 예에 따른 제2 기판과 제3 기판의 결합도이다.
도 18은 도 9에 도시된 제4 기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a는 도 9에 도시된 제4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9b는 도 9에 도시된 제4 기판의 저면도이다.
도 19c는 제4기판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판과 제4 기판의 결합도이다.
도 21은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판 내지 제4 기판의 결합도이다.
도 22는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2 기판과 이미지 센서 모듈의 결합도이다.
도 2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통해 x축 방향 시프트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통해 y축 방향 시프트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c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통해 z축 중심 회전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마그넷과 코일 사이의 자기력 흐름(magnetic flow)과 로렌츠 힘(Lorentz Forc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의 (a)는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의 (b)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광학기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중 하나 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 및 AF(Auto Focusing)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2개의 스프링 플레이트가 요구된다.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스프링 플레이트가 2개일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스프링 플레이트에 최소 6개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가 요구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어셈블리, 적외선 타단 필터부 및 센서부를 포함하는 광학계를 포함한다. 즉, 비교 에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 렌즈 어셈블리(20), 제1 탄성 부재(31), 제2 탄성 부재(32), 제1 하우징(41), 제2 하우징(42), 적외선 차단 필터부(50), 센서부(60), 회로 기판(80) 및 구동부(71, 72, 73, 74)를 포함한다.
이때, 렌즈 배럴(10)은 제1 하우징(41)과 연결된다. 즉, 렌즈 배럴(10)은 제1 하우징(41)에 제1 탄성 부재(31)를 통해 연결된다. 즉, 렌즈 배럴(10)은 제1 하우징(41)에 제1 탄성 부재(31)에 의해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제1 탄성부재(31)는 복수의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탄성 부재(31)는 렌즈 배럴(10)의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렌즈 배럴(10)과 제1 하우징(41) 사이를 연결한다.
제2 탄성 부재(32)는 상기 제1 하우징(41) 및 상기 제1 하우징(41)을 수용하는 제2 하우징(42)에 연결된다. 상기 제2 탄성 부재(32)는 상기 제 1 하우징(41)을 상기 제 2 하우징(42)에 유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제 2 탄성 부재(32)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자세하게, 상기 제2 탄성 부재(32)는 판형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때, 제1 탄성 부재(31)는 렌즈 배럴(10)을 지지하면서, 상기 렌즈 배럴(10)을 센서부(60)에 대해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1 탄성 부재(31)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32)는 렌즈 배럴(10)을 지지하면서, 상기 렌즈 배럴(10)을 센서부(60)에 대해 수평 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2 탄성 부재(32)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OIS 및 AF가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6개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가 필요하다. 또한,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와 같은 탄성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스프링 플레이트가 필요하다. 또한,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의 Z축을 고정하는 탄성 와이어와 같은 추가적인 부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을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 구조물이 복잡하다.
또한,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탄성 부재를 렌즈 배럴(10)과 결합시키기 위해, 수작업으로 각각의 탄성 부재를 본딩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조 공정이 복잡하면서 제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의 틸트 기능을 제공하기는 하나, 실질적으로 이미지에 대한 틸트 보정은 어려운 구조이다. 즉, 렌즈 배럴(10)이 센서부(60)에 대해 회전한다 하더라도, 센서부(60)에 입사되는 이미지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이미지에 대한 틸트 보정이 어려운 형태이며, 나아가 틸트 기능 자체가 불필요했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용 기판, 카메라 모듈 및 이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Optical Axis) 방향'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되는 렌즈 및/또는 이미지 센서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수직방향'은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수직방향은 'z축 방향'과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수평방향'은 수직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즉, 수평방향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와 대응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 예에서의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렌즈 구동 장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er)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구동 모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제1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센서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센서 구동 장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일 수 있다. 센서 구동 장치는 센서 구동 모터일 수 있다. 센서 구동 장치는 센서 구동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센서 구동장치는 제2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여기에서, 렌즈 구동 장치는 A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구동 장치는 OI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
카메라 장치는 렌즈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렌즈 및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한개 이상의 렌즈 및 한개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렌즈 모듈(100)의 일 구성이 렌즈 배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개 이상의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렌즈 모듈(100)은 제1 액추에이터(200)에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일례로써, 제1 액추에이터(20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모듈(100)은 상기 제1 액추에이터(2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제1 액추에이터(2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일례로서 제1 액추에이터(200)와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100)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100)은 일 예로 5매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액체 렌즈와 고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렌즈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하여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전기적인 힘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액체 렌즈는 계면을 조절하여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렌즈 일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장치는 렌즈 모듈(100)을 쉬프트시키기 위한 제1 액추에이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200)는 AF 모듈일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200)은 상기 렌즈 모듈(100)을 상하 방향(명확하게,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액추에이터(200)는 상기 렌즈 모듈(1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600)는 이미지 센서(430)를 구동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600)는 이미지 센서(430)를 틸트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600)는 이미지 센서(4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600)는 이미지 센서(430)를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광축으로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은 x축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y축 방향이고, 광축은 z축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제1 액추에이터(200) 및 제2 액추에이터(600)는 렌즈 모듈(100) 및 이미지 센서(430)를 각각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액추에이터(200)는 제1 구동부(추후 설명)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600)는 제2 구동부(추후 설명)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부 각각은 코일 및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과 마그네트는 상호간의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렌즈 모듈(100) 및 이미지 센서(430)를 각각 구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케이스(300, 5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00, 500)는 제1 케이스(300) 및 제2 케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300)은 카메라 장치의 상부 영역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일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스(300)는 실드 캔일 수 있다.
제1 케이스(300)는 카메라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액추에이터(200) 및 제2 액추에이터(600),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측부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제1케이스(300)는 상면에 제1 오픈 영역(3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300)의 제1 오픈 영역(310)은 중공홀일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제1 오픈 영역(310)에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200)에 결합된 렌즈 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제1 오픈 영역(310)은 상기 렌즈 모듈(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300)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가장자에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300)의 상판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상판의 4개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4개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300)는 상면에 렌즈 모듈(100)이 삽입되는 제1 오픈 영역(310)이 형성되고, 아랫면이 개구되고, 모서리가 라운드된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스(300)의 4개의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측판에는 제2 오픈 영역(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픈 영역(320)은 상기 제1 케이스(300) 내에 배치되는 제1 액추에이터(200)의 일부 구성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 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300)의 제2 오픈 영역(320)은 상기 제1 액추에이터(200)의 연성회로기판(260)의 단자(262)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오픈 영역(320)은 상기 연성 회로 기판(260)의 단자와 추후 설명할 제2 액추에이터의 제1 기판의 결합을 위해 진행되는 솔더링을 위한 개구부일 수 있다.
제2 케이스(500)는 카메라 장치의 하부 영역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일 수 있다. 제2 케이스(500)는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오픈된 하부 영역을 패쇄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액추에이터(200), 제2 액추에이터(600) 및 이미지 센서 모듈(40) 각각은 상기 제1 케이스(300) 및 상기 제2 케이스(50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제2 액추에이터(60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액추에이터(600)는 고정부(추후 설명) 및 이동부(추후 설명)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액추에이터(600)의 이동부는 추후 설명할 제4 기판(추후 설명)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기판은 이동 영역 및 고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그리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이동부는 제4 기판의 이동 영역 및 상기 이동 영역 상에 배치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이동부는 상기 제4 기판의 이동 영역 및 상기 이동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2 기판 및 제3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액추에이터(600)의 이동부는 제2 구동부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한다는 것은 상기 고정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 제2 방향으로의 이동 및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 와이어(추후 설명)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와이어는 전기적 신호 전달 역할이 아닌,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구동 시에 상기 이동부에 발생하는 틸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의 이동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이미지 센서(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4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440)는 x축, y축 및 z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40)는 x축, y축 및 z축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40)는 x축, y축 및 z축을 중심으로 틸트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제2 액추에이터(600)의 이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의 이동부가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의 고정부에 대해 상대 이동할 때,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의 이동부와 함께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의 고정부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 결과, 손떨림 보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 예에서는 제1 액추에이터(200) 또는 렌즈 모듈의 액체 렌즈를 통해 AF 기능을 수행하고, 제2 액추에이터(600)를 통해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액추에이터(600)가 AF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카메라 장치는 렌즈 모듈(100)에 대해 이미지 센서 모듈(400)을 상대 이동시켜 손떨림 보정 기능 및/또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한다.
즉, 최근 카메라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이미지 해상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이미지 센서(440)의 사이즈도 커지고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440)의 사이즈가 커지는 상황에서 렌즈 모듈(100)의 사이즈 및 렌즈 모듈(100)을 쉬프트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부품도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렌즈 모듈(100)의 자체 무게 뿐 아니라, 렌즈 모듈(100)을 쉬프트하기 위한 다른 액추에이터 부품들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VCM 기술을 이용하여 렌즈 모듈(100)을 안정적으로 쉬프트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신뢰성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는 렌즈 시프트 방식을 구현하는 제1 액추에이터(200)를 이용하여 AF를 수행하고, 이미지 센서 시프트 방식을 구현하는 제2 액추에이터(600)를 이용하여 OIS를 수행함으로써, 카메라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카메라 장치에서의 손떨림에는 5축 손떨림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5축 손떨림은 각도로 떨리는 2개의 손떨림과, 쉬프트로 떨리는 2개의 손떨림과 회전으로 떨리는 1개의 손떨림이 존재한다. 이때, 렌즈 시프트 방식으로는 4축 손떨림 보정만이 가능하고, 회전으로 떨리는 손떨림에 대해서는 보정이 불가능하다. 이는, 회전으로 발생하는 손떨림에 대해서는 광학 모듈의 회전으로 보정을 해야 하는데, 렌즈 모듈(100)을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입사되는 광로는 그대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렌즈 쉬프트 방식으로는 5축 손떨림 보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센서 쉬프트 방식을 적용하여 5축 손떨림 보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카메라 기술 발전에 따른 렌즈 쉬프트 방식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액추에이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액추에이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빈(220)의 사시도이고, 도 7의 (a)는 도 5의 베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7의 (b)은 도 5의 제1 액추에이터의 평면도이며, 도 8의 (a)는 도 5의 베이스의 저면도이고, 도 8의 (b)은 도 5의 제1 액추에이터의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액추에이터(200)는 베이스(210), 보빈(220), 제1 탄성부재(230), 제2 탄성 부재(240), 제1 구동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의 제1 액추에이터(200)는 보빈(220)이 제1 탄성부재(230) 및 제2 탄성 부재(240)를 통해 베이스(210)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보빈(220)에 배치된 제1 구동부(25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보빈(2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빈(220)에 결합된 렌즈 모듈(100)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모듈(10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오토 포커스(AF)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베이스(210)는 제1 액추에이터(200)의 고정부재일 수 있다. 베이스(210)는 제1 케이스(3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케이스(30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210)는 중앙에 제1 개구부(213)가 형성된 몸체(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1)의 형상은 상기 제1 케이스(3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210)의 몸체(211)의 형상은 상기 제1 케이스(300)가 가지는 형상에 대응하는 직육면체 형상 또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210)의 몸체(211)의 상면에는 복수의 제1 돌기(212)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1 돌기(212)는 상기 몸체(211)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211)의 하면에도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하측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기(212)는 상기 베이스(210) 위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23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기(212)는 상기 베이스(210)의 몸체(211)의 상면에서 4개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0)의 몸체(211)에는 제1 개구부(213)가 형성된다. 제1 개구부(213)는 보빈(2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보빈(22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구부(213)도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보빈(220)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구부(213)도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213)의 사이즈는 상기 보빈(220)의 사이즈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개구부(213) 내에 보빈(2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210)의 몸체(211)의 내측면과 상기 보빈(220)의 외측면 사이에는 일정 갭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0)의 몸체(211)의 내측면에는 단턱(2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216)은 상기 제1 개구부(213) 내에 배치된 보빈(220)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보빈(22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턱(215)은 상기 보빈(220)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기능을 할 수 있다. 즉, 노멀 상태에서의 보빈(220)은 상기 제1 개구부(213)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215)과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보빈(220)이 하측 방향으로의 움직임 제한 범위까지 이동한 경우에 상기 단턱(215)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단턱(215)은 제1 내지 제4 단턱(216-1, 216-2, 216-3, 21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단턱(216-1, 216-2, 216-3, 216-4)은 상기 베이스(210)의 내측면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210)는 4개의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단턱(216-1, 216-2, 216-3, 216-4)은 상기 4개의 내측면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단턱(216-1, 216-2, 216-3, 216-4)은 각각 상기 보빈(220)과 접촉하는 지지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내지 제4 단턱(216-1, 216-2, 216-3, 216-4) 중 적어도 2개의 단턱은 상기 지지 영역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단턱(216-1, 216-2, 216-3, 216-4) 중 나머지 2개의 단턱은 지지 영역 및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턱(216-2)은 제1 지지 영역(216-2a) 및 제1 개방 영역(216-2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턱(216-2)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배치된 제4 단턱(216-4)은 제2 지지 영역(216-4a) 및 제2 개방 영역(216-4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턱(216-1) 및 제3 단턱(216-3)은 지지 영역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개방 영역(216-2b) 및 제2 개방 영역(216-4b)은 상기 보빈(220)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250)의 일부를 노출하기 위한 노출 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개방 영역(216-2b) 및 제2 개방 영역(216-4b)은 상기 보빈(220)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250)의 구성 중 센서 마그넷(253, 254)을 노출하기 위한 센서 마그넷 노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개방 영역(216-2b) 및 제2 개방 영역(216-4b)에는 보빈(220)에 형성된 센서 마그넷 장착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방 영역(216-2b) 및 제2 개방 영역(216-4b)은 상기 보빈(220)의 센서 마그넷 장착부에 장착된 센서 마그넷(253, 254)과 연성 회로 기판(260)에 장착된 드라이버 IC(미도시)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몸체(211)의 하면에는 제1 구동 마그넷 장착홈(216)이 형성된다. 즉, 베이스(210)의 몸체(211)의 하면의 제1 영역에는 제1-1 구동 마그넷 장착홈(21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상기 몸체(211)의 하면의 제2 영역에는 제1-2 구동 마그넷 장착 홈(217-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고, 상기 제 1 영역과 마주보는 상기 몸체(211)의 하면의 제3 영역에는 제1-3 구동 마그넷 장착 홈(217-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과 마주보는 상기 몸체(211)의 하면의 제4 영역에는 제1-3 구동 마그넷 장착 홈(217-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의 제1 액추에이터(200)는 4개의 제1 구동 마그넷(252a, 252b, 252c, 252d)을 이용하여 보빈(2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마그넷(252a, 252b, 252c, 252d)은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의 제2 구동 마그넷과의 자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구동 마그넷(252a, 252b, 252c, 252d)은 상기 베이스(210)의 몸체(211)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의 제2 구동 마그넷도 이동부가 아닌 고정부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서는 제1 구동 마그넷(252a, 252b, 252c, 252d)과 제2 구동 마그넷이 각각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실시 예에서는 렌즈 쉬프트 및 이미지 센서 쉬프트에 따라 움직이는 부분에 코일이 배치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구동 마그넷들이 고정된 곳에 계속 위치해있도록 하고, 이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마그넷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210)의 몸체(211)는 연성 회로 기판(260)이 삽입되는 기판홈(21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성 회로 기판(260)은 상기 기판홈(214) 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기판홈(214)은 적어도 1회 절곡되는 절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기판홈(214)에는 연성 회로 기판(260)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연성 회로 기판(260)은 일면에 배치되는 드라이버 IC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 IC는 홀센서 내장 드라이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라이버 IC는 센서 마그넷(253, 254)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장의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렌즈 모듈(100)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출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라이버 IC는 상기 센서 마그넷(253, 254)과 마주하며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센서 마그넷(253, 254)과 상기 드라이버 IC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드라이버 IC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보빈(220) 또는 렌즈 모듈(100)의 위치 감지 정보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기판(260)에는 제2 액추에이터(600)의 제1 기판(추후 설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26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자(262)와 상기 제1 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는 납땜 등의 공정을 진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262)는 상기 베이스(210)의 외측면에 가깝게 위치해야 한다.
즉, 연성 회로 기판(260)은 단자(262)가 배치되는 제1 기판 영역(261)과, 드라이버 IC가 배치되는 제2 기판 영역(26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260)은 상기 제1 기판 영역(261)은 베이스(210)의 외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 영역(263)은 상기 베이스(210)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이를 위해, 상기 1 및 2 기판 영역 사이는 절곡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0)의 제1 개구부(213) 내에는 보빈(220)이 배치된다.
보빈(220)은 중앙에 제2 개구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221)는 렌즈 모듈(1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부(221)는 렌즈 모듈(100)이 가지는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빈(220)은 렌즈 모듈(10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00)은 보빈(220)의 제2 개구부(221)에 삽입되어 상기 보빈(220)과 결합될 수 있다.
보빈(220)의 상면에는 제1 탄성부재(230)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2 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돌기(224)는 상기 제1 탄성부재(230)에 상기 보빈(220)이 탄성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보빈(220)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빈(220)이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2 돌기(224)는 보빈(22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300)의 상면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보빈(2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보빈(220)의 외측면에는 제1 코일부(251)가 권선되는 코일 권선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220)의 외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리세스 형태의 코일 권선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 권선부(222)에는 제1 코일부(251)가 권선될 수 있다. 제1 코일부(251)는 "코일 블럭" 형태일 수 있다. 제1 코일부(251)는 "전자석"일 수 있다. 제1 코일부(251)는 상기 제1 구동 마그넷(252a, 252b, 252c, 252d)과 마주보며 배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기 제1 구동 마그넷(252a, 252b, 252c, 252d)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코일부(251)는 제2 탄성 부재(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코일부(251)는 제2 탄성 부재(24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보빈(220)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빈(220)의 외측면에는 상기 베이스(210)의 제1 내지 제4 단턱(216-1, 216-2, 216-3, 216-4)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가이드 돌기(22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23)는 상기 보빈(220)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223)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돌기(223)는 상기 제1 내지 제4 단턱(216-1, 216-2, 216-3, 216-4)에 대응되게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돌기(223) 중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 돌기에는 상기 베이스(210)의 내측면 방향으로 함몰되고, 센서 마그넷(253, 254)가 배치될 수 있는 센서 마그넷 장착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마그넷(253, 254)은 상기 센서 마그넷 장착부(225)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210)의 상기 제1 개방 영역(216-2b) 및 제2 개방 영역(216-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마그넷(253, 254)은 상기 보빈(22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보빈(220)과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 마그넷(253, 254)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성 회로 기판(260)에 배치된 드라이버 IC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크기가 변화하며, 상기 드라이버 IC는 상기 변화하는 자기장의 크기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마그넷(253, 254), 나아가 상기 보빈(220)의 위치, 더 나아가 상기 렌즈 모듈(1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는 베이스(210) 및 보빈(2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 탄성 부재(240)는 베이스(210) 및 보빈(2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보빈(220)는 상기 베이스(210)의 제1 개구부 내에서 상기 제1 탄성부재(230) 및 제2 탄성 부재(24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는 판 스프링(plate spring)일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는 금속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탄성부재(230)는 비자성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230)는 제1 구동 마그넷(252a, 252b, 252c, 252d)의 자기력과 제1 코일부(251)의 전자기력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는 베이스(2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재(230)는 보빈(2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는 베이스(210) 및 보빈(22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부재(230)는 베이스(210)와 결합되는 제1-1 탄성부(231) 및 상기 제1-1 탄성부(231)로부터 연장되어 보빈(220)과 결합되는 제1-2 탄성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탄성부(231)는 상기 베이스(210)의 몸체(211)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돌기(212)에 대응하는 가이드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재(230)는 상기 가이드부(232)가 상기 제1 돌기(212)에 지지된 상태에서 보빈(220)의 상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재(230)는 중앙에 상기 렌즈 모듈(100)이 삽입되는 개구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240)는 베이스(2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240)는 보빈(22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40)는 베이스(210) 및 보빈(22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 부재(240)는 베이스(210)와 결합되는 제2-1 탄성부(241)와, 보빈(220)과 결합하는 제2-2 탄성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탄성 부재(240)는 상기 베이스(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220)의 하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240)는 중앙에 상기 렌즈 모듈(100)이 삽입되는 개구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40)는 제1 코일부(2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40)는 연성 회로 기판(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40)는 제1 코일부(251)와 연성 회로 기판(26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연성 회로 기판(260)에서 제2 탄성 부재(240)를 통해 제1 코일부(251)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코일부(251)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 파장, 세기 등은 제어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
이하에서는 제2 액추에이터(6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액추에이터(600)는 제1 액추에이터(20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200)와는 별개로 동작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400)을 쉬프트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액추에이터(600)는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구동부의 전자기력에 의해 위치가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제2 액추에이터(6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의 구동 시에 위치가 변하지 않고 고정된 구성요소를 의미하고, 이동부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의 구동 시에 위치가 변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제2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홀더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댐핑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제1 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코일 이동 기판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코일 이동 기판부의 제2 기판의 저면도이고, 도 16의 (a)는 도 14에 도시된 코일 이동 기판부의 제3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4에 도시된 코일 이동 기판부의 제3 기판의 저면도이며, 도 17은 실시 예에 따른 제2 기판과 제3 기판의 결합도이고, 도 18은 도 9에 도시된 제4 기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a는 도 9에 도시된 제4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19b는 도 9에 도시된 제4 기판의 저면도이고, 도 19c는 제4기판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20은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판과 제4 기판의 결합도이고, 도 21은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판 내지 제4 기판의 결합도이다.
도 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제2 액추에이터(600)는 고정부 및 이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액추에이터(600)의 고정부는 하우징(610), 홀더부(620) 및 기판부(630, 640, 65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600)의 이동부는 상기 기판부(630, 640, 650)의 나머지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부(630, 640, 650)는 제1 기판(630), 제2 기판(641) 및 제3 기판(642)을 포함하는 코일 이동 기판부(640), 그리고 제4 기판(6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부(630, 640, 650)의 제1 기판(630)은 제2 액추에이터(600)의 고정부일 수 있다. 그리고, 기판부(630, 640, 650)의 제2 기판(641) 및 제3 기판(642)을 포함하는 코일 이동 기판부(640)는 제2 액추에이터(600)의 이동부일 수 있다. 그리고, 제4 기판(650)은 고정부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이동부일 수 있다. 즉, 제4 기판(650)의 일부는 고정부이고, 제4 기판(650)의 나머지 일부는 이동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4 기판(650)의 외측 프레임(추후 설명)은 상기 제1 기판(630)과 연결되어 고정부로 기능할 수 있고, 제4 기판(650)의 내측 프레임은 상기 제2 기판(641) 및 제3 기판(642)을 포함하는 코일 이동 기판부(640)와 연결되어 이동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600)는 하우징(6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10)은 내부에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우징(610)은 제1 기판(630)의 일부, 제2 기판(641), 홀더부(620), 제3 기판(642) 및 제4 기판(65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액추에이터(6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
하우징(610)은 중앙에 제1 개구부(612)가 형성된 바닥부(611)와, 상기 바닥부(61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측벽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610)은 하면에 제1 개구부(612)가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610)의 측벽부(613) 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610)의 측벽부(613) 중 적어도 일부는 노출부(6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616)는 상기 하우징(610) 내에 수용된 제1 기판(630)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6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1 기판(630)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610)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노출부(616)를 통해 상기 하우징(6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0)은 상기 바닥부(611)의 내측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가이드 돌기(6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돌기(614)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610)의 바닥부(611) 상에서 제1 기판(630)의 배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610)은 상기 측벽부(613)의 상면에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 홈(6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615)은 상기 측벽부(613)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홈(615)은 측벽부(613) 상에 서로 마주보며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결합 홈(615)은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측벽부(613)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 홀더부 -
상기 하우징(610) 상에는 홀더부(620)가 배치된다.
상기 홀더부(620)는 홀더(621), 댐핑 플레이트(622) 및 마그넷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621)는 마그넷부(623)가 배치되는 마그넷 홀더일 수 있다.
또한, 홀더(621)는 댐핑 플레이트(622)가 배치되는 댐핑 플레이트 홀더일 수 있다.
홀더(621)는 중앙에 제2 개구부(621-1)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610) 상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621a)과, 상기 제1 프레임(621a)의 하측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6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621)의 제1 프레임(621a)은 상기 하우징(610)의 개방된 상부 영역을 일부 덮으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621a)은 중앙에 제2 개구부(621-1)가 형성된 판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부(621-1)는 제1 개구부(612)와 광축 상에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621b)은 상기 제1 프레임(621a)의 하면 중 상기 하우징(610)의 노출부(616)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621b)은 상기 제1 프레임(621a)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610)의 노출부(61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프레임(621b)은 상기 하우징(610)의 상기 개방된 노출부(616)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 프레임(621b)은 상기 노출부(616)의 제2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621-5)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프레임(621b)의 면적은 상기 노출부(616)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621b)은 상기 노출부(616)의 제1 부분만을 덮으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616)의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하우징(610) 상에 상기 홀더(621)가 배치된 상태에서도 계속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621b)의 상기 영역(621-5)과 상기 노출부(616)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상기 제2 오픈 영역(320)과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출부(616)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케이스(300)의 제2 오픈 영역(320)과 함께 상기 제1 액추에이터(200)의 연성회로기판(260)의 단자(262)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홀더(621)의 제1 프레임(621a) 상에는 제1 안착부(62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621-2)는 상기 제1 프레임(621a)의 내측 상면에 배치된 단턱일 수 있다.
상기 홀더(621)의 상기 제1 안착부(621-2)에는 댐핑 플레이트(622)의 탄성부(622-2, 622-3)가 배치되는 제1 리세스(62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리세스(621-3)는 상기 제1 안착부(621-2) 상에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세스(621-3)에는 연결 와이어(624)가 삽입되는 제1 관통 홀(6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621)의 상기 제1 안착부(621-2) 상에는 댐핑 플레이트(6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는 제1 안착부(621-2) 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부(622-1)와, 상기 플레이트부(622-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리세스(621-3)에 배치되는 탄성부(622-2, 622-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622-2, 622-3)는 상기 플레이트부(62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탄성부(622-2, 622-3)는 상기 플레이트부(622-1)로부터 연장되며, 적어도 1회 절곡되는 절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622-2, 622-3)는 적어도 1회 절곡되는 절곡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탄성 부분(622-2)와, 상기 제1 탄성 부분(622-2)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관통 홀(621-4)에 대응하는 영역에 홀이 형성된 제2 탄성 부분(622-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탄성 부분(622-3)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더(621)의 상기 제1 관통 홀(621-4)은 연결 와이어(624)가 통과하는 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와이어(624)의 일단은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의 상기 제2 탄성 부분(622-3)과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댐핑 플레이트(622)의 탄성부(622-2, 622-3)는 벤딩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복수의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의 상기 탄성부(622-2, 622-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의 상기 탄성부(622-2, 622-3)가 벤딩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 와이어(624)는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이동 시에 함께 이동하여 휨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휨의 발생 정도에 따라 끊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의 탄성부(622-2, 622-3)가 벤딩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이동 시에 서스펜스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 와이어(624)에 탄성을 부여하여 연결 와이어(624)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 와이어(624)는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의 상기 탄성부(622-2, 622-3)에 일단이 결합한다. 그리고, 연결 와이어(624)는 상기 홀더(621)의 제1 관통 홀(621-4)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621)의 하측 방향,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610)의 바닥부(611)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와이어(624)는 일단이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는 제2 액추에이터(600)의 고정부이고,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는 제2 액추에이터(600)의 이동부이다. 이때, 상기 연결 와이어(624)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의 쉬프트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쉬프트가 발생하는 방향과는 무관하게,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 또는 제4 기판(650)이 가지는 탄성에 의해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틸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와이어(624)는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이 연결되어,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를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와이어(624)는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 더 나아가 상기 제4 기판(650), 더 나아가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 시에 발생하는 틸트현상을 억제한다. 여기에서, 상기 틸트 현상이라는 것은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이 상기 제4 기판(650)이 가지는 탄성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와이어(624)는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의 하측 방향으로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코일 이동 기판부(640)는 상기 연결 와이어(624)를 통해 상기 홀더부(620)에 매달린 상태에서 쉬프트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틸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와이어(624)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와이어(624)는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연결 와이어(624)는 와이어 스프링일 수 있다. 연결 와이어(624)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홀더부(620)와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 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와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의 제3 기판(642)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 와이어(624)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와이어(624)는 코일 이동 기판부(640)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연결 와이어(624)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와이어(624)는 4개의 측면에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 와이어(624)는 4개의 측면에서 각각 마주보는 측면과 상호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와이어(624)는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해야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 와이어(624)가 비대칭 구조를 가지고 배치되는 경우, 코일 이동 기판부(640)가 쉬프트되는 동작에서, 연결 와이어가 많이 배치된 부분과 이 이외의 부분에서의 이동량 또는 틸트량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동작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연결 와이어(624)를 각각의 영역에 균일하게 배치하여 이미지 센서 쉬프트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한편, 도면 상에는 연결 와이어(624)가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상기 설명한 대칭 구조를 가지며 8개 또는 12개 등으로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홀더(621)의 상기 제1 프레임(621a)의 하면에는 마그넷부(623)가 배치되는 마그넷 안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621)의 상기 마그넷 안착부에는 마그넷부(623)가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부(623)는 코일 이동 기판부(640)에 배치된 코일부(추후 설명)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부의 주변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부와 상기 마그넷부(623)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코일부가 상기 마그넷부(62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부(623)는 상기 홀더(621)의 하면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그넷부(623)는 상기 홀더(621)의 하면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부(623)는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의 코일부와 대향할 수 있다. 마그넷부(623)는 평판 형상을 갖는 평판 마그넷일 수 있다.
마그넷부(623)는 복수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부(623)는 4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부(623)는 제1 내지 제4 마그넷(623-1, 623-2, 623-3, 62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623-1)은 코일 이동 기판부(640)의 제2 기판(641)에 배치된 제1 코일(641-2a)과 대향할 수 있다. 제1 마그넷(623-1)은 홀더(621)의 좌상측에 형성된 제1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그넷(623-2)은 코일 이동 기판부(640)의 제2 기판(641)에 배치된 제2 코일(641-2b)과 대향할 수 있다. 제2 마그넷(623-2)은 홀더(621)의 우상측에 형성된 제2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마그넷(623-3)은 코일 이동 기판부(640)의 제2 기판(641)에 배치된 제3 코일(641-2c)과 대향할 수 있다. 제3 마그넷(623-3)은 홀더(621)의 우하측에 형성된 제3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마그넷(623-4)은 코일 이동 기판부(640)의 제2 기판(641)에 배치된 제4 코일(641-2d)과 대향할 수 있다. 제4 마그넷(623-4)은 홀더(621)의 좌하측에 형성된 제4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부(623)를 구성하는 마그넷 각각은 인접한 마그넷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대각 방향에 배치된 마그넷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마그넷(623-1)의 면 중 코일부(641-2)와 대향하는 면의 극성은 일측에 가까운 부분과 타측면에 가까운 부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2 마그넷(623-2)의 면 중 코일부(641-2)와 대향하는 면의 극성은 일측에 가까운 부분과 타측면에 가까운 부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3 마그넷(623-3)의 면 중 코일부(641-2)와 대향하는 면의 극성은 일측에 가까운 부분과 타측면에 가까운 부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4 마그넷(623-4)의 면 중 코일부(641-2)와 대향하는 면의 극성은 일측에 가까운 부분과 타측면에 가까운 부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그넷(623-1)과 제3 마그넷(623-3)은 서로 동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그넷(623-2)과 제4 마그넷(623-4)은 서로 동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넷(623-1)은 제2 마그넷(623-2)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마그넷(623-1, 623-2, 623-3, 623-4)의 극성은 내측 부분끼리 같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마그넷(623-1, 623-2, 623-3, 623-4)의 극성은 외측 부분끼리 같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마그넷(623-1, 623-2, 623-3, 623-4)의 각각의 극성은 내측부분이 N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마그넷(623-1, 623-2, 623-3, 623-4) 각각의 극성은 외측 부분이 S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변형 예로 제1 내지 제4 마그넷(623-1, 623-2, 623-3, 623-4) 각각의 극성은 내측 부분이 S극으로 형성되고 외측 부분이 N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 제1 기판 -
제1 기판(630)은 중앙에 제3 개구부(631a)가 형성된 제1 영역(631) 및 상기 제1 영역(631)으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가 배치되는 제2 영역(6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630)은 상기 제1 영역(631)에 배치되는 제1 단자부(6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635)는 추후 설명할 제4 기판(650)의 제2 리드 패턴부(652-2)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판(630)의 상기 제1 단자부(635) 상에는 상기 제4 기판(650)의 제2 리드 패턴부(652-2)가 배치되며, 이에 따라 솔더링(soldering) 공정을 통해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와 상기 제1 단자부(635)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단자부(635)는 상기 제1 영역(631)의 상면 중 상기 제3 개구부(631a)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635)는 상기 제4 기판(650)의 제2 리드 패턴부(65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635)는 복수 개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635)는 복수의 제1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자부(635)는 상기 제1 영역(631)의 상기 제3 개구부(631a)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1 단자들(635-1)과, 상기 제1 영역(631)의 상기 제3 개구부(631a)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2 단자들(6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635)의 단자 개수는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의 패턴 개수와 같거나 많을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635)를 구성하는 제1 단자의 개수가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를 구성하는 제2 리드 패턴의 개수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단자들은 모두 상기 제2 리드 패턴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635)을 구성하는 제1 단자의 개수가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를 구성하는 제2 리드 패턴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1 단자들 중 일부가 상기 제2 리드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들 중 나머지 일부는 연결 상태 등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단자 등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631)과 연결되는 제2 영역(632)에는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631)은 카메라 장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632)은 상기 제1 영역(63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카메라 장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631)은 상기 하우징(6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632)은 상기 하우징(610)의 노출부(616)를 통해 상기 하우징(6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에 배치된 영역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630)은 제4 기판(650)으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4 기판(65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630)은 상기 제4 기판(650)의 제1 패턴부(65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4 기판(650)으로 전원 신호나 통신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신호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코일 이동 기판부(640)의 제3 기판(64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3 기판(642)은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의 제2 기판(64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4 기판(650)의 제1 패턴부(652a)는 상기 제3 기판(642)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4 기판(650)의 상기 제1 패턴부(652a)의 제1 리드 패턴부(652-1)는 상기 제3 기판(64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4 기판(650)의 제1 패턴부(652a)는 상기 제1 기판(63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4 기판(650)의 상기 제1 패턴부(652a)의 제2 리드 패턴부(652-2)는 상기 제1 기판(63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신호는 상기 제2 기판(641)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신호는 상기 제2 기판(641)과 연결된 제3 기판(642)으로 전달되며, 이는 다시 상기 제3 기판(642)에서 상기 제4 기판(650)으로 전달되며, 이는 또 다시 상기 제1 기판(6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630)에서 상기 제2 기판(641)으로 전달되는 전원 신호나 통신 신호는, 상기 제4 기판(650) 및 상기 제3 기판(642)을 통해 상기 제2 기판(64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630)은 상기 제1 영역(631)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단자부(6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부(636)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200)에 포함된 연성 푀로 기판(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630)은 상기 하우징(610)의 제1 가이드 돌기(614)에 의해 상기 하우징(61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630)은 상기 하우징(610) 내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판(630)은 제2 액추에이터(600)의 구동 시에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제1 기판(630)의 상기 제1 영역(631)이 하우징(610) 내에 배치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영역(631)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610) 내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 영역(632)과 함께 상기 하우징(6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631)의 상기 노출된 부분에는 자이로 센서(63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631)의 상기 노출된 부분에는 수동 소자(634)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손떨림 방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633)가 상기 제1 기판(630)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630)은 상기 자이로 센서(633)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으로 손떨림에 의한 각속도/선속도 감지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 코일 이동 기판부 -
코일 이동 기판부(640)는 상기 하우징(610) 내에서 상기 홀더부(62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는 상기 홀더부(62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 와이어(624)를 통해 상기 홀더부(620)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연결 와이어(624)는 일단이 상기 홀더부(620)를 구성하는 댐핑 플레이트(62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부(620) 하부에 배치된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 와이어(624)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의 구동 시에,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가 이동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틸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와이어(624)는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가 쉬프트 방향과는 무관한 광축 방향으로 틸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는 상기 연결 와이어(624)를 통해 상기 홀더부(6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부(623)와 상기 코일부(641-2) 사이의 상호 간의 작용에 의해 상기 홀더부(620) 또는 렌즈부(10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일 이동 기판부(640)는 제2 기판(641), 제3 기판(642) 및 기판 홀더(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기판(641) 및 제3 기판(642)은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를 구성하는 기판부일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2 액추에이터(600)의 구동 시에 이동하는 이동부일 수 있다.
제2 기판(641)은 메인 기판일 수 있다. 제2 기판(641)은 제2 액추에이터(600)의 구동을 위한 구동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641)은 제4 개구부(64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개구부(641a)는 상기 제1 기판(630)에 형성된 제3 개구부(631a)와 광축 방향에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641)은 이의 각각의 코너부에 배치되는 코일부(6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641-2)는 상기 제2 기판(641)에 포함된 회로 패턴들(도시하지 않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코일부(641-2)는 상기 홀더부(620)에 배치된 마그넷부(623)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부(64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이의 주변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641-2)는 4개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코일 중 적어도 3개의 코일에는 독립적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서, 코일부(641-2)는 3개의 채널로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제2 실시 예에서, 코일부(641-2)는 4개의 각각의 개별 채널로 제어될 수 있다. 코일부(641-2)를 구성하는 4개의 코일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코일부(641-2)의 4개의 코일 각각에는 정방향 전류 및 역방향 전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4개의 코일 중 3개만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1개의 코일은 다른 하나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코일부(641-2)를 구성하는 4개의 코일 모두는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4개의 코일 중 3개의 코일만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경우, 코일부(641-2)로부터 3쌍, 총 6개의 인출선이 나오며, 4개의 코일 모두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경우 코일부(641-2)로부터 4쌍의 총 8개의 인출선이 나올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3채널로 4개의 코일을 제어하는 경우, z축 중심 회전 구동에서, 코일부(641-2)와 마그넷부(623)의 1쌍으로 구동해야 하지만, 제2 실시 예와 같이, 4채널로 4개의 코일을 제어하는 경우, z축 중심 회전 구동에서 코일부(641-2)와 마그넷부(623)의 2쌍으로 구동할 수 있다.
코일부(641-2)는 제1 내지 제4 코일(641-2a, 641-2b, 641-2c, 641-2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641-2a, 641-2b, 641-2c, 641-2d) 각각은 상기 홀더부(620)에 배치된 마그넷부(623)의 각각의 마그넷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641-2a)은 제2 기판(641)의 제1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641-2b)은 제2 기판(641)의 제2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코일(641-2c)은 제2 기판(641)의 제3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코일(641-2d)은 제2 기판(641)의 제4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641-2a)과 제3 코일(641-2c)은 제2 기판(641)의 제1 대각방향 상에 배치되고 제2 코일(641-2b)과 제4 코일(641-2d)은 제2 기판(641)의 제2 대각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코일(641-2a)과 제3 코일(641-2c)은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제2 코일(641-2b)과 제4 코일(641-2d)은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수직일 수 있다. 제1 코일(641-2a)의 장변과 제3 코일(641-2c)의 장변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641-2b)의 장변과 제4코일(641-2d)의 장변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641-2a)의 장변과 제2 코일(641-2b)의 장변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코일(641-2a)의 장변과 제2코일(641-2b)의 장변은 가상의 연장선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641-2a)의 배치 방향과 제2 코일(641-2b)의 배치 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코일(641-2a, 641-2b, 641-2c, 641-2d) 중 적어도 3개의 코일에는 독립적으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코일(641-2a, 641-2b, 641-2c, 641-2d)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코일(641-2a, 641-2b, 641-2c, 641-2d)의 내측에는 홀 센서(641-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제1 내지 제4코일(641-2a, 641-2b, 641-2c, 641-2d) 중 3개의 코일의 내측에만 홀 센서(641-3)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실시 예에서 3개의 채널로 제1 내지 제4코일(641-2a, 641-2b, 641-2c, 641-2d)을 제어하기 때문에, 하나의 코일에는 홀 센서가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홀 센서(641-3)는 마그넷부(623)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홀 센서(641-3)에서 감지된 마그넷부(623)의 자기력을 통해 이미지 센서 모듈의 이동이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OIS 피드백(feedback)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홀 센서(641-3)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와 같이 홀 센서(641-3)는 3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센서를 통해 이미지 센서(430)의 x축 방향 이동, y축방향 이동, z축 중심 회전이 모두 감지될 수 있다. 홀 센서(641-3)는 제1 내지 제3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제1 마그넷과 대향하고, 제2 센서는 제2 마그넷과 대향하고, 제3 센서는 제3 마그넷과 대향할 수 있다.
홀 센서(641-3)는 마그넷부(623)의 x축 방향 이동량 및/또는 변위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홀 센서(641-3)는 마그넷부(623)의 y축 방향 이동량 및/또는 변위를 감지하는 제2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홀 센서(641-3)는 마그넷부(623)의 x축 방향 이동량 및/또는 변위 또는 y축 방향 이동량 및/또는 변위를 감지하는 제3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센서, 제2홀센서 및 제3홀센서 중 어느 둘 이상을 통해 마그넷부(623)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641) 상에는 제2 액추에이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드라이버 IC(641-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641) 상에는 제2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수동 소자(641-5)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판(641)은 코일부(641-2), 드라이버 IC(641-4) 및 수동 소자(641-5) 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이를 다시 상기 제1 기판(630)과 연결해야 한다. 여기에서, 제2 기판(641)에서 제1 기판(63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필요한 단자는 12개일 수 있다. 상기 12개의 단자는 상기 드라이버 IC(641-4)와 연결되는 단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12개의 단자 중 4개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단자는 1개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기판(630)과 제2 기판(641) 사이의 연결에서, 드라이버 IC(641-4)와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단자는 8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641)에서 이미지 센서 모듈(400)과 전기적 연결을 위해 필요한 단자는 28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기판(641)은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신호를 상기 제1 기판(630)으로 전달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기판(630)과 상기 제2 기판(641) 사이의 연결에서, 상기 이미지 신호의 전달을 위해 필요한 단자는 28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기판(641)의 하면에는 상기 드라이버 IC(641-4)와 연결되거나,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신호를 제1 기판(63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3 단자부(64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자부(641-8)는 상기 제1 기판(63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패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기판(630)과 상기 제2 기판(641)은 서로 직접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지 않고, 중간에 배치된 제3 기판(642)을 통해 신호를 주고 받는다. 따라서, 상기 제3 단자부(641-8)는 상기 제3 기판(642)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패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단자부(641-8)는 상기 제2 기판(641)과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기판(630)에서 발생한 신호(예를 들어,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기판(641)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2 기판(641)에서 발생한 신호(예를 들어, 이미지 신호)를 상기 제1 기판(6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단자부(641-8)는 상기 제2 기판(641)의 하면에서 복수의 영역에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단자부(641-8)는 상기 제2 기판(641)의 하면 중 제4 개구부(641a)의 제1측에 배치되는 제3-1 단자부(641-8a) 및 상기 제1측과 마주보는 제2측에 배치되는 제3-2 단자부(641-8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641)의 하면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400)이 결합되는 제4 단자부(64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단자부(641-7)는 상기 제2 기판(641)의 하면에서 복수의 영역에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단자부(641-7)는 상기 제4 개구부(641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4 개구부(641a)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4-1 단자부(641-7a) 및 제4-2 단자부(641-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단자부(641-7)는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과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을 통해 전달되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이미지 신호 이외의 다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와, 이 이외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가 상기 제2 기판(641)의 하면의 동일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과 연결되는 제4 단자부(641-7) 중 이미지 신호가 전달되는 제4-1 단자부(641-7a)와, 이 이외의 신호가 전달되는 제4-2 단자(641-7b)를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시켜, 이에 따른 이미지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기판(641)에는 제2 관통 홀(64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관통 홀(641-6)은 상기 홀더(621)에 배치된 제1 관통 홀(621-4)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 홀(641-6)은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에 결합된 연결 와이어(624)가 통과하는 와이어 관통 홀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641) 아래에는 제3 기판(64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판(642)은 제1 기판(630), 제2 기판(641) 및 제4 개구부(641a) 사이에서 상호 간의 전기적 연결을 중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기판(641)과 상기 제3 기판(642) 사이에는 기판 홀더(643)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 홀더(643)은 상기 제2 기판(641)가 상기 제3 기판(642)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기판(641)과 상기 제3 기판(6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 홀더(643)는 중앙에 제5 개구부(6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개구부(643-1)는 상기 제2 기판(641)에 형성된 제4 개구부(641a)와 광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홀더(643)는 가장자리 영역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6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643-2)는 상기 기판 홀더(643)의 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643-2)는 상기 제2 기판(641)의 상면에 안착되어 하면이 상기 제2 기판(641)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643-2)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기판 홀더(643)가 상기 제2 기판(641)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기판 홀더(643)에 형성된 돌기(643-2)는 상기 제2 기판(641)에 형성된 제2 관통 홀(641-6)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643-2)에는 상기 제2 관통 홀(641-6)을 노출하기 위해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64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기판(642)은 상기 제2 기판(641)의 아래에서 상기 기판 홀더(6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판(642)에도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제2 기판(641), 제3 기판(642), 제1 액추에이터 등에 배치된 개구부들과 광축 방향 내에서 정렬될 수 있다.
도 16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제3 기판(642)은 상면에 형성된 제5 단자부(6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단자부(642-2)는 상기 제2 기판(641)의 하면에 형성된 제3 단자부(641-8)에 대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5 단자부(642-2)는 상기 제2 기판(641)에 형성된 제3 단자부(641-8)와 광축 방향에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 단자부(642-2)는 상기 제3 단자부(641-8)의 단자 개수에 대응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단자부(642-2)와 상기 제3 단자부(641-8)는 솔더링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 단자부(642-2)는 상기 제3 단자부(641-8)의 제3-1 단자부(641-8a)와 연결되는 제5-1 단자부(642-2a)와, 상기 제3-2 단자부(641-8b)와 연결되는 제5-2 단자부(642-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b)에서와 같이, 제3 기판(642)은 하면에 형성된 제6 단자부(6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단자부(642-3)는 추후 설명할 제4 기판(650)의 제1 패턴부(65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6 단자부(642-3)는 상기 제4 기판(650)의 제1 패턴부(652a) 중 제1 리드 패턴부(652-1)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6 단자부(642-3) 아래에는 상기 제4 기판(650)이 배치되고, 나아가 상기 제4 기판(650)의 제1 패턴부(652a) 중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6 단자부(642-3)는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와 솔더링을 통해 결합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잇다.
이때, 제5 단자부(642-2)와 제6 단자부(642-3)는 서로 광축 방향 내에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5 단자부(642-2) 및 제6 단자부(642-3) 중 일부는 제2 기판(641)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다시 제4 기판(650)을 통해 제1 기판(630)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배선의 길이가 길어질 수록 상기 이미지 신호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신호 배선의 길이의 최소화를 위해, 상기 제5 단자부(642-2) 및 제6 단자부(642-3)는 광축 방향 내에서 서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5 단자부(642-2) 및 제6 단자부(642-3) 중 하나는 이미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단자이며, 다른 하나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제외한 다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단자이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5 단자부(642-2) 및 제6 단자부(642-3)를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분리시키도록 하여, 상기 이미지 신호의 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3 기판(642)은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 돌기(64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돌기(642-1)는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관통 홀(64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관통 홀(642-4)은 광축 방향 내에서 상기 홀더(621)에 형성된 제1 관통 홀(621-4) 및 상기 제2 기판(641)에 형성된 제2 관통 홀(641-6)과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관통 홀(642-4) 내에는 상기 제1 관통 홀(621-4) 및 상기 제2 관통 홀(641-6)을 통해 통과한 연결 와이어(624)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 돌기(642-1)의 하면 중 상기 제3 관통 홀(642-4)의 주위에는 결합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패드(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연결 와이어(624)의 솔더링을 위해 상기 제3 관통 홀(642-4)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와이어(624)의 타단은 상기 제3 관통 홀(642-4)을 통과한 후 상기 결합 패드에 솔더링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연결 와이어(624)는 일단이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에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 와이어(624)는 타단이 상기 제3 기판(64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와이어(624)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부분은 상기 제1 관통 홀(621-4), 제2 관통 홀(641-6) 및 제3 관통 홀(642-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와이어(624)의 길이는, 상기 댐핑 플레이트(622)의 두께, 상기 홀더(621)의 두께, 상기 제2 기판(641)의 두께 및 상기 제3 기판(642)의 두께를 모두 합한 것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 이동 기판부(640)는 상기 연결 와이어(624)를 통해 상기 홀더부(62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홀더부(620)에 매달린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 제 4 기판 -
제4 기판(650)은 상기 제1 기판(630)과 상기 제3 기판(6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기판(650)은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기판(650) 상에 배치된 코일 이동 기판부(640)는 상기 제4 기판(650)이 가지는 탄성력 및 상기 마그넷부(623)와 상기 코일부(641-2)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4 기판(650) 및 상기 제4 기판(650)이 가질 수 있는 탄성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4 기판(650)은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신호 전달도 가능하도록 한다.
제4 기판(650)은 절연층(651) 및 상기 절연층(651)의 일면 상에 배치된 패턴부(652)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 상에는 패턴부(652)가 상기 절연층(651)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패턴부(652)는 상기 절연층(651)의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절연층(651)은 상호 분리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651)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절연 부분(651-1) 및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과 이격되는 제2 절연 부분(65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 상에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과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이 서로 분리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의 외측과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의 내측 사이에는 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절연 부분(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절연층(651)은 제1 절연 부분(651-1) 및 제2 절연 부분(651-2)이 오픈 영역을 사이에 두고 물리적으로 완전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오픈 영역에 추가로 배치된 연결 절연 부분을 통해 일부 영역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및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의 전체 영역의 절연 부분을 모두 제거하지 않고 일부 남겨 놓도록 하여, 이 남겨진 부분이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과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절연 부분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절연 부분은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 동작에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쉬프트 과정에서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및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51)은 하나의 절연 부재 상에 상기 오픈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식각 또는 물리적 펀칭 등을 통해 제거함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실시 예에서의 절연층(651)은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과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에 오픈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오픈 영역에서의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과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오픈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은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의 주위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과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은 서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의 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절연층(651)은 20㎛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651)은 2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651)은 30㎛ 내지 4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연층(651)의 두께가 100㎛ 초과인 경우에는 전체적인 제4 기판(650)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51)의 두께가 2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패턴부(65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층(651)의 두께가 20um 미만인 경우에는, 제1 기판(630)이나 제3 기판(642)과의 결합을 위한 솔더링 공정에서 열/압력 등에 취약할 수 있어, 상기 제1 기판(630)이나 제3 기판(642)과의 결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의 평탄도 유지를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절연층(651), 나아가 제4 기판(650)의 무게를 감소하면서, 평탄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연층(651)의 일면 상에는 패턴부(652)가 배치된다.
상기 패턴부(652)는 신호 전달 기능을 하는 제1 패턴부(652a) 및 상기 제1 패턴부(652a)와 분리되고 강성 확보를 위한 제2 패턴부(652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패턴부(652b)는 상기 제4 기판(650)의 강성 확보를 위한 보강 패턴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절연층(651)과 상기 패턴부(652) 사이에는 접착 시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절연층(651)과 상기 패턴부(652)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패턴부(652a)는 절연층(651)의 제1 절연 부분(651-1) 상에 배치되는 제1 리드 패턴부(652-1), 절연층(651)의 제2 절연 부분(651-2) 상에 배치되는 제2 리드 패턴부(652-2) 및,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과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의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와 제2 리드 패턴부(652-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부(65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및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의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이 가지는 4변 영역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은 좌측변 영역, 우측변 영역, 상측변 영역, 하측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의 4개의 변 영역 중 서로 마주보는 상측변 영역 및 하측변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의 변 영역 중 좌측변 영역 및 우측변 영역에는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는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이 가지는 4개의 변 영역 중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가 배치된 변 영역과는 다른 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은 좌측변 영역, 우측변 영역, 상측변 영역, 하측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는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의 4개의 변 영역 중 서로 마주보는 좌측변 영역 및 우측변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의 변 영역 중 상측변 영역 및 하측변 영역에는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리드 패턴부(652-1) 및 제2 리드 패턴부(652-2)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및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각각에서, 서로 다른 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의 상측변 영역 및 하측변 영역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다르게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는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의 좌측변 영역 및 우측변 영역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 및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및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의 오픈 영역 내에서 서로 마주보지 않으며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Z-roll 과정에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는 상기 제3 기판(642)의 제6 단자부(642-3)와 연결되는 이너 리드 패턴부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리드 패턴부(652-2)는 상기 제1 기판(630)의 제1 단자부(635)와 연결되는 아우터 리드 패턴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 및 제2 리드 패턴부(652-2)는 연결 패턴부(652-3)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패턴부(652-3)는 일단이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 및 타단을 제외한 영역이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및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의 오픈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및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의 오픈 영역 상에 플라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플라잉된다는 의미는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상기 절연층(651)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중에 떠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는 복수 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도 복수 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리드 패턴부(652-1)와 상기 복수의 제2 리드 패턴부(652-2) 사이를 1:1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는 36개의 제1 리드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도 36개의 제2 리드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패턴부(652-3)도 36개의 연결 패턴들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리드 패턴들과 상기 제2 리드 패턴들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상기 오픈 영역 상에서 적어도 1회 절곡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 패턴부(652-3)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상기 오픈 영역 상에서 회전하는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와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가 상기 절연층(651)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절곡부 없이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와 제2 리드 패턴부(652-2)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와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적어도 1회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패턴부(652-3)가 가지는 절곡부는,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탄성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길이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과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의 오픈 영역의 폭보다 크다.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어디티브 공법(Additive process), 서브트렉티브 공법(Subtractive Process), MSAP(Modified Semi Additive Process) 및 SAP(Semi Additive Process) 공법 등을 통해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식각을 진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리드 패턴부(652-1),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 및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하나의 금속층을 식각하는 것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 제2 리드 패턴부(652-2) 및 연결 패턴부(652-3)로 구성되는 제1 패턴부(652)의 두께는 10㎛ 내지 5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652)의 두께는 30㎛ 내지 40㎛일 수 있다. 이때, 제1 패턴부(652)의 두께가 10㎛보다 작으면,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 과정에서 상기 제1 패턴부(652)의 끊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패턴부(652)의 두께가 50㎛보다 크면,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탄성력이 낮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이동성에 방해를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안정적으로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패턴부(652)의 두께는 35㎛±5㎛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길이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및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의 오픈 영역의 폭보다 크다. 여기에서, 상기 오픈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및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직선 거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길이는 상기 직선 거리의 적어도 1.5배 이상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연결 패턴부(652-3)의 길이는 상기 직선 거리의 20배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 패턴부(652-3)의 길이가 상기 직선거리의 1.5배보다 작으면,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탄성력 저하로 인한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연결 패턴부(652-3)의 길이가 상기 직선 거리의 20배보다 크면, 상기 연결 패턴부(652-3)에 의한 신호 전달 거리가 커짐에 따른 저항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 패턴부(652-3)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결 패턴부(652-3)의 길이는 제1 리드 패턴부(652-1)와 제2 리드 패턴부(652-2) 사이의 직선 거리의 10배 이하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패턴부(652)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으로,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패턴부(652)는 금(Au), 은(Ag), 백금(Pt), 티타늄(Ti), 주석(Sn), 구리(Cu) 및 아연(Zn)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턴부(652)는 본딩력이 우수한 금(Au), 은(Ag), 백금(Pt), 티타늄(Ti), 주석(Sn), 구리(Cu), 아연(Zn)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또는 솔더 페이스트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패턴부(652)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4 기판(650) 상의 코일 이동 기판(640)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쉬프트가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진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패턴부(652)는 100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652)는 구리를 포함하는 2원계 합금 또는 3원계 합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652)는 구리(Cu)-니켈(Ni)의 2원계 합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652)는 구리(Cu)--주석(Sn)의 2원계 합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652)는 구리(Cu)-베릴륨(Be)의 2원계 합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652)는 구리(Cu)-코발트(Co)의 2원계 합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652)는 구리(Cu)- 니켈(Ni)-주석(Sn)의 3원계 합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652)는 구리(Cu)-베릴륨(Be)-코발트(Co)의 3원계 합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물질 이외에도, 상기 제1 패턴부(652)는 스프링 역할이 가능한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기 특성이 좋은 철(Fe), 니켈(Ni), 아연 등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턴부(652)는 금(Au), 은(Ag), 팔라듐(Pd) 등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한 도금층으로 표면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패턴부(652b)는 상기 절연층(651)의 일면 중 상기 제1 패턴부(652)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턴부(652b)는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상에 배치되는 제1 보강 패턴(652-4)과,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상에 배치되는 제2 보강 패턴(652-5) 및 상기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보강 패턴(652-4)과 제2 보강 패턴(652-5)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보강 패턴(65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패턴(652-4)은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의 좌측변 영역 및 우측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강 패턴(652-5)은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의 일면 중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강 패턴(652-5)은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강 패턴부(652b)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기판(641)의 강성을 획보하면서, 상기 제2 기판(641)의 평탄도 유지를 위해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의 외측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강 패턴(652-5)의 상기 제2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65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 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기판(630) 상에는 상기 결합 홀(652-7)에 대응하는 결합 돌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4 기판(650)과 상기 제1 기판(6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패턴부(652b)는 상기 제1 패턴부(652)과 동일한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패턴부(652b)는 상기 제1 패턴부(652)와 동일 공정 내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기판(650) 중 제1 절연 부분(651-1)과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와, 상기 제1 보강 패턴(652-4)은 상기 코일 이동 기판(640)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기판(650) 중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과,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와, 상기 제2 보강 패턴(652-5)은 상기 제1 기판(630)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기판(650) 중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신호 전달을 하면서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가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진 금속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기판(650) 중 상기 제3 보강 패턴(652-6)은 상기 연결 패턴부(652-3)와 함께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가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가 가지는 선폭은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가 가지는 선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패턴부(652-3)가 가지는 선폭은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 및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가 가지는 선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와 상기 연결 패턴부(652-3) 사이 및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와 상기 연결 패턴부(652-3) 사이에는 점차 폭이 작아지면서 측면이 직선이 아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완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양단부의 측면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양단부의 측면이 직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 이 부분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 패턴부(652-3)가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 또는 제2 리드 패턴부(652-2)로부터 분리되는 끊어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단부는 측면이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단부의 측면의 곡률(R) 값은 30 내지 100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측면의 곡률(R) 값이 30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응력 집중 방지 효과가 미비하며, 100보다 큰 경우 연결 패턴부(652-3)의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선폭은 20 내지 1000㎛의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선폭이 20㎛보다 작으면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전체적인 강성이 떨어져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패턴부(652-3)의 선폭이 1000㎛보다 크면,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탄성력이 낮아져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리드 패턴부(652-1)는 상기 절연층(651)의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 상에 배치되는 제1-1 리드 패턴 부분(652-1a)과, 상기 제1-1 리드 패턴 부분(652-1a)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2 리드 패턴 부분(65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리드 패턴 부분(652-1b)은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으로부터 돌출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기판(642)의 상기 제6 단자부(642-3)와의 결합을 위해 진행되는 솔더링 공정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드 패턴부(652-2)는 상기 절연층(651)의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상에 배치되는 제2-1 리드 패턴 부분(652-2a)과, 상기 제2-1 리드 패턴 부분(652-2a)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절연 부분(651-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2 리드 패턴 부분(65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2 리드 패턴 부분(652-2b)은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기판(630)의 상기 제1 단자부(635)와의 결합을 위해 진행되는 솔더링 공정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층(651)은 상기 제1 절연 부분(651-1)과 상기 제2 절연 부분(651-2) 사이의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3 절연 부분(6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 부분(651-3)은 상기 연결 패턴부(652-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 부분(651-3)은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강성을 높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 과정에서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형상이 변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연결 패턴부가 상호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절연 부분(651-3)은 상기 연결 패턴부(652-3)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패턴부(652-3)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3 절연 부분(651-3)은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 과정에서 복수의 연결 패턴부(652-3)가 상호 접촉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쇼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절연 부분(651-3)은 서로 다른 복수의 연결 패턴부(652-3) 상에 공통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절연 부분(651-3)은 서로 다른 복수의 연결 패턴부(652-3)의 절곡 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패턴부(652-3)의 절곡 부분은 강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절연 부분(651-3)은 상기 절곡 부분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면서, 쇼트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
도 22는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제2 기판과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결합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필터(440), 센서 베이스(410), 이미지 센서(430) 및 이미지 센서 기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센서 베이스(410)를 포함한다.
센서 베이스(410)는 개구부(411)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411)와 인접하게 필터(440)가 안착될 수 있는 단턱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턱에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배치되며, 상기 접착 부재 상에 필터(440)가 고정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440)는 렌즈 모듈(100)을 통과하는 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이미지 센서(430)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440)는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440)는 렌즈 모듈(100)과 이미지 센서(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440)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 필터로 입사되는 적외선을 흡수 또는 반사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기판(420)은 패키지 기판일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 기판(420) 상에는 이미지 센서(430)가 패키지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기판(42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기판(420)은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기판(420)에는 이미지 센서(4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기판(420)은 제2 기판(641)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센서 기판(420)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기판(641)의 제4 단자부(64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7 단자부(42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7 단자부(421)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 기판(420)의 하면에서 서로 반대되는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배치되며, 이에 따라 이미지 신호가 전달되는 패드와 이 이외의 패드의 위치를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센서 기판(420)은 상기 제2 기판(641)의 개구부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판(641)의 개구부 내에서 상기 제7 단자부(421)는 상기 제2 기판(641)의 제4 단자부(641-7)와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단자부(641-7)와 제7 단자부(421)는 솔더링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면 상에는 솔더링에 의한 접착 부재가 생략되었으며, 상기 솔더링 과정 전에는 상기 제7 단자부(421)와 상기 제4 단자부(641-7) 사이는 이격될 수 있으며, 솔더링 과정을 통해 제7 단자부(421)와 제4 단자부(641-7)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30)는 렌즈 모듈(100)과 필터(44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이미지가 결상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430)는 이미지 센서 기판(42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30)는 이미지 센서 기판(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430)는 이미지 센서 기판(42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430)는 이미지 센서 기판(420)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30)는 렌즈 모듈(100)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430)의 광축과 렌즈 모듈(100)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30)는 이미지 센서(430)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전기적 신호가 이미지 신호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43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 쉬프트 구동 동작>
이하에서는,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통해 x축 방향 시프트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통해 y축 방향 시프트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4c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통해 z축 중심 회전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마그넷과 코일 사이의 자기력 흐름(magnetic flow)과 로렌츠 힘(Lorentz Forc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2 코일(641-2b)과 제4 코일(623-2d)에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각각 제2 마그넷(623-2)과 제4 마그넷(623-4)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미지 센서 모듈(400)에 결합된 이미지 센서(430) x축 방향으로 이동(시프트)될 수 있다. 즉, 제2 코일(641-2b)과 제2 마그넷(623-2) 및 제4 코일(623-2d)과 제4 마그넷(623-4)은 이미지 센서(430)의 x축 방향 시프트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코일(641-2b)과 제2 마그넷(623-2)은 제1x축 시프트 구동부(X1)이고, 제4 코일(623-2d)과 제4 마그넷(623-4)은 제2x축 시프트 구동부(X2)일 수 있다.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코일(641-2a)과 제3 코일(641-2c)에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각각 제1 마그넷(623-1)와 제3마그넷(623-3)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미지 센서 모듈(400)에 결합된 이미지 센서(430)가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프트)될 수 있다. 즉, 제1 코일(641-2a)과 제1 마그넷(623-1) 및 제3 코일(641-2c)과 제3 마그넷(623-3)은 이미지 센서(430)의 y축 방향 시프트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코일(641-2a)과 제1 마그넷(623-1)은 제1y축 시프트 구동부(Y1)이고 제3 코일(641-2c)과 제3 마그넷(623-3)은 제2y축 시프트 구동부(Y2)일 수 있다.
도 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제1 코일(641-2a)과 제3 코일(641-2c)에 반대 방향의 전류가 인가되고 제2 코일(641-2b)과 제4 코일(641-2d)에 반대 방향의 전류가 인가되고 이때 제1 코일(641-2a)에 인가되는 전류와 제2 코일(641-2b)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코일부(641-2)의 회전되는 방향이 같다면 이미지 센서 모듈(400)에 결합된 이미지 센서(430)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롤링, rolling)될 수 있다. 도 24d에 도시된 실시예는 코일부(641-2)가 4채널로 제어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코일부(641-2)가 3채널로 제어되는 경우라면 제1 코일(641-2a)과 제3 코일(641-2c) 또는 제2 코일(641-2b)과 제4 코일(641-2d)을 통해서 이미지 센서(430)를 롤링할 수 있다. 제1 코일(641-2a)과 제3 코일(641-2c) 및 제2 코일(641-2b)과 제4 코일(641-2d) 중 1개의 채널로 묶인 코일이 있다면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그넷부(623)의 자기력 흐름(Magnetic Flow)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5를 참조하면 코일부(641-2)에 대해 수직으로 지나가는 자기력 선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상태에서 코일부(641-2)에 전류가 인가되면 로렌츠 힘(Lorentz Force)에 따라 코일부(641-2)가 마그넷부(623)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 쉬프트 신뢰성 평가 >
도 26의 (a)는 비교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의 (b)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는 제4 기판(650)의 연결 패턴부(652-3)를 통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4 기판(650)의 제1 절연 부분(651-1) 상에 배치된 제1 리드 패턴부(652-1)와 연결되는 코일 이동 기판(640) 및 상기 코일 이동 기판(640)에 결합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광축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 패턴부(652-3)만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 과정에서 상기 연결 패턴부(652-3)는 광축 방향으로의 틸트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25의 (a)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이미지 센서 모듈(400)을 쉬프트 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이 광축 방향으로 틸트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미지 센서 모듈(400)이 배치되는 코일 이동 기판(640)의 일측은 제1 틸트(tilt 1)가 발생하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코일 이동 기판(640)의 타측은 제2 틸트(tilt 2)가 발생하여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 틸트(tilt1, 2)는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쉬프트 동작의 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반면, 도 25의 (b)에서와 같이 실시 예에서는 홀더부에 포함된 댐핑 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코일 이동 기판(640)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카메라 장치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코일 이동 기판(640)의 쉬프트 동작 시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틸트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연결 와이어는 상기 코일 이동 기판(640)을 지지하여, 쉬프트 동작 시에 발생하는 상기 코일 이동 기판(64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한다.
<광학기기>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광학기기의 구성도이다.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본체(1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250)는 바(bar)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본체(1250)는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r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본체(12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250)는 프론트 케이스(1251)와 리어 케이스(125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51)와 리어 케이스(12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광학기기의 각종 전자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본체(1250)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1151)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1250)의 일면과 일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는 카메라(1121)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무선 통신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0)는 광학기기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광학기기와 광학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1), 이동통신 모듈(1112), 무선 인터넷 모듈(1113), 근거리 통신 모듈(1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1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A/V 입력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121) 및 마이크(112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12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센싱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140)는 광학기기의 개폐 상태, 광학기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광학기기의 방위, 광학기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광학기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광학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기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입/출력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이다. 입/출력부(1150)는 광학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광학기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150)는 키 패드부(1130), 디스플레이(1151), 음향 출력 모듈(11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115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11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151)는 카메라(1121)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51)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52)은 콜(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1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11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메모리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160)에는 제어부(1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16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사진,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160)는 카메라(11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예컨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인터페이스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70)는 광학기기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광학기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광학기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제어부(1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180)는 광학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181)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181)은 제어부(1180) 내에 제공될 수도 있고, 제어부(1180)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부(1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전원 공급부(1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90)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OIS 및 AF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종래의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는 대신에 이미지 센서를 렌즈 배럴에 대하여 X축, Y축 및 Z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OIS 및 AF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복잡한 스프링 구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를 렌즈 배럴에 대해 상대 이동시킴에 따라 기존 대비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가 스프링 구조를 가지도록 하면서, 절연층과 수직 방향 내에서 오버랩되지 않은 위치에서 부유하며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하면서, 렌즈 배럴에 대해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센서에 대해 손떨림과 대응하는 X축 방향 시프트, Y축 방향 시프트 및 Z축 중심의 회전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대한 손떨림 보정과 대응하는 렌즈에 대한 손떨림 보정이 함께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손떨림 보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 센서를 렌즈 배럴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카메라 회로에 필요한 전기 소자들을 내장함으로써, 카메라 장치의 전체적인 높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카메라 회로 부품과 제2 액추에이터의 부품을 일체화하여 융합함으로써, 카메라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4)

  1.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1 패턴부;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턴부와 이격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제1 오픈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절연 부분; 및
    상기 제1 절연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제2 오픈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부분과 이격되는 제2 절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1 리드 패턴부;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 리드 패턴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리드패턴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리드 패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패턴부는,
    상기 제2 오픈 영역의 코너에 위치한 절곡부분을 포함하는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는 신호 전송 패턴이고,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1 패턴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보강 패턴인
    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리드 패턴부와 상기 제2 리드 패턴부 사이의 직선 거리보다 큰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부의 길이는,
    상기 제2 오픈 영역의 폭보다 큰
    기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절연 부분의 외측과 상기 제2 절연 부분의 내측 사이의 직선 거리의 1.5배 내지 20배 범위를 가지는
    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부는,
    상기 제2 오픈 영역 상에서 부유하며 배치되는
    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1-1 리드 패턴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2 리드 패턴 부분을 포함하는
    기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1 리드 패턴 부분과,
    상기 제2-1 리드 패턴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절연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제2-2 리드 패턴 부분을 포함하는
    기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부의 선폭은,
    상기 제1 리드 패턴부 또는 상기 제2 리드 패턴부의 선폭보다 작은
    기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부는,
    상기 제1 리드 패턴부와 연결되는 일단부 및 상기 제2 리드 패턴부와 연결되는 타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의 각각의 측면은 곡면을 가지는
    기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의 각각의 측면의 곡률(R)은 30 내지 100 사이의 범위를 가지는
    기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리드 패턴부와 이격되는 제1 보강 패턴과,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리드 패턴부와 이격되는 제2 보강 패턴과,
    상기 제2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강 패턴과 상기 제2 보강 패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 패턴부와 이격되는 제3 보강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패턴은,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1 보강 패턴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절연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절연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제2-2 보강 패턴 부분을 포함하는
    기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보강 패턴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을 포함하는
    기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2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패턴부와 접촉하는 제3 절연 부분을 포함하는
    기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 부분은,
    상기 제2 오픈 영역의 상기 코너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패턴부의 상기 절곡 부분과 접촉하는
    기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 부분은,
    상기 제1 절연 부분 및 상기 제2 절연 부분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기판.
  19.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마그넷부, 및 상기 홀더 상에 배치되는 댐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홀더부와,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이격되어 상기 마그넷과 대향되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센서를 포함하는 코일 이동 기판;
    상기 코일 이동 기판과 연결되는 이동 부분과, 상기 제1 기판과 연결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과 상기 코일부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센서를 이동시키는 제4 기판; 및
    일단이 상기 고정부의 상기 댐핑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코일 이동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코일 이동 기판을 탄성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판은,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1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제1 오픈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절연 부분; 및
    상기 제1 절연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제2 오픈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부분과 이격되는 제2 절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1 리드 패턴부;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 리드 패턴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리드패턴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리드 패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패턴부는,
    상기 제2 오픈 영역의 코너에 위치한 절곡부분을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1-1 리드 패턴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오픈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 이동 기판의 제2 단자부와 연결되는 제1-2 리드 패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드 패턴부는,
    상기 제2 절연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1 리드 패턴 부분과,
    상기 제2-1 리드 패턴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절연 부분과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단자부와 연결되는 제2-2 리드 패턴 부분을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센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이동 기판은,
    상기 센서 기판이 배치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및 상기 코일 이동 기판 각각은,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24.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을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상기 렌즈 구동 장치 아래에 배치되고, 청구항 18항 내지 청구항 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센서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90126183A 2019-10-11 2019-10-11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43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183A KR20210043244A (ko) 2019-10-11 2019-10-11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20873457.4A EP4044774A4 (en) 2019-10-11 2020-10-08 SUBSTRATE FOR AN IMAGE SENSOR
CN202080085885.3A CN114788421B (zh) 2019-10-11 2020-10-08 用于图像传感器的基板
JP2022521553A JP7364791B2 (ja) 2019-10-11 2020-10-08 イメージセンサー用基板
PCT/KR2020/013778 WO2021071303A1 (ko) 2019-10-11 2020-10-08 이미지 센서용 기판
JP2023173703A JP2023174762A (ja) 2019-10-11 2023-10-05 イメージセンサー用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183A KR20210043244A (ko) 2019-10-11 2019-10-11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244A true KR20210043244A (ko) 2021-04-21

Family

ID=75437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183A KR20210043244A (ko) 2019-10-11 2019-10-11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044774A4 (ko)
JP (2) JP7364791B2 (ko)
KR (1) KR20210043244A (ko)
CN (1) CN114788421B (ko)
WO (1) WO20210713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5165A1 (ko) * 2021-05-21 2022-1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WO2023277536A1 (ko) * 2021-06-30 2023-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WO2023008954A1 (ko) * 2021-07-30 2023-02-02 자화전자(주) 센서 구동 액추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1341B2 (ja) * 2021-04-21 2024-04-19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回路基板、イメージセンサーモジュール、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178A (ja) * 2000-10-26 2002-05-09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9139543A1 (ko) * 2008-05-14 2009-11-19 (주)하이소닉 떨림 보정기능이 구비된 영상 촬영 장치
KR101853827B1 (ko) * 2011-04-29 2018-05-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5624529B2 (ja) * 2011-09-27 2014-11-12 株式会社東芝 手振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TW201630407A (zh) * 2015-02-13 2016-08-16 Ue Technology Co Ltd 具有影像穩定功能之影像感測器系統晶片及其製法
WO2016143179A1 (ja) * 2015-03-10 2016-09-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撮像装置
SG11201807830UA (en) * 2016-03-11 2018-10-30 Apple Inc Optical image stabilization with voice coil motor for moving image sensor
WO2018112436A1 (en) * 2016-12-16 2018-06-21 Hutchinson Technology Incorporated Sensor shift structures i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suspens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5165A1 (ko) * 2021-05-21 2022-1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WO2023277536A1 (ko) * 2021-06-30 2023-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WO2023008954A1 (ko) * 2021-07-30 2023-02-02 자화전자(주) 센서 구동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1303A1 (ko) 2021-04-15
CN114788421A (zh) 2022-07-22
JP2023174762A (ja) 2023-12-08
CN114788421B (zh) 2024-03-15
JP2022551888A (ja) 2022-12-14
EP4044774A4 (en) 2023-11-29
EP4044774A1 (en) 2022-08-17
JP7364791B2 (ja)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7753A1 (en) Sensor driving apparatus
CN109073857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及光学装置
CN115152199B (zh) 传感器驱动装置
CN114731371B (zh) 传感器驱动装置
KR20210043244A (ko) 기판,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56300A (ko) 이미지 센서용 기판, 이미지 센서용 기판 모듈,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액츄에이터 및 카메라 장치
CN113785398B (zh) 图像传感器基板
US20240064404A1 (en) Sensor driving device
KR20210060035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20081574A (ko) 카메라 장치
KR20210132382A (ko) 회로기판, 센서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40040256A1 (en) Sensor driving device
KR20210026657A (ko) 기판 및 이미지 센서용 기판 모듈
KR20220145220A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91796A (ko) 이미지 센서 기판 및 센서 구동 장치
KR20220146100A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N117939282A (en) Sensor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